KR102243505B1 - 강재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강재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505B1
KR102243505B1 KR1020190080309A KR20190080309A KR102243505B1 KR 102243505 B1 KR102243505 B1 KR 102243505B1 KR 1020190080309 A KR1020190080309 A KR 1020190080309A KR 20190080309 A KR20190080309 A KR 20190080309A KR 102243505 B1 KR102243505 B1 KR 10224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image
steel material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230A (ko
Inventor
염국교
이강화
Original Assignee
엔피에스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에스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피에스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50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Image resto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Abstract

강재 정보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재 정보 처리 장치는 마커가 찍힌 강재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인식하고, 인식된 마커로부터 강재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강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프로세서 및 강재의 상황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재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Stee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강재의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커가 찍힌 강재에 대한 영상을 이용하여 마커를 인식하고, 인식된 마커로부터 강재의 식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강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선박은 복수 개의 블록들이 조립되어 건조된다. 하물선에서 하역된 강재들은 블록 별로 분류되어 이동된다. 분류된 위치에 적치된 강판은 작은 부재들로 절단되고, 절단된 부재들이 조립되어 블록이 제작된다. 이렇게 생성된 블록들이 다시 조립되어 대형 선박이 건조된다.
선박 건조에 사용되는 강판 및 이를 조립하는 공장은 그 규모가 크다는 점에서 강판이 제 위치에 있는지, 어떤 강판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강판의 위치 등을 확인하기 위해 강판에 해당 제품의 번호, 호선 번호 등을 인쇄하여 이용하고 있으나 강판에 인쇄된 이러한 정보들은 쉽게 훼손되어 인식률이 떨어진다. 즉, 강판에 인쇄된 정보는 강판의 이동이나 조립 공정 중에 훼손될 가능성이 높고, 인쇄되는 정보가 흐릿할 경우 인식하기 어려워, 강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마커가 찍힌 강재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인식하여 강재를 식별하고, 이를 이용하여 강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재 정보 처리 장치는 마커가 찍힌 강재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마커로부터 상기 강재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강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강재의 상황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커는 AR(ArUco) 마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강재 정보 처리 장치는 카메라로부터 상기 마커가 찍힌 상기 강재에 대한 영상 및 상기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강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강재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마커가 찍힌 상기 강재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강재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강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강재에는 동일한 마커가 복수 개 찍혀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개의 마커를 인식하여 인식률이 소정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마커의 크기 보정, 상기 영상의 휘도 보정, 상기 영상의 색상 보정, 상기 영상의 감마 보정, 상기 영상의 분포 정보 보정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상기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는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인식된 마커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강재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마커는 제1 마커 및 제2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마커의 아이디, 상기 강재의 제품 번호, 상기 강재가 사용되는 호선 및 블록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마커의 아이디, 상기 강재가 커팅되어 생성되는 각 부재들의 제품 번호, 상기 부재가 사용되는 블록에서의 위치 및 공정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마커가 찍힌 부재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2 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제2 마커로부터 상기 부재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부재의 상황을 파악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부재를 포함하는 블록에서의 상기 부재의 위치, 상기 부재를 포함하는 블록의 단계별 공정 진행 상황, 및 상기 블록이 포함되는 호선에서의 블록 별 공정 진행 상황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재 정보 처리 방법은 마커가 찍힌 강재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마커를 이용하여 상기 강재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강재의 상황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재 정보 처리 시스템은 마커가 찍힌 강재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는 정보 수집 장치,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인식된 마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강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강재의 상황을 출력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재 정보 처리 장치는, 강재 및 부재에 새겨진, 인식률이 높은 마커를 이용하여 강재 및 부재의 위치 및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재 정보 처리 장치는, 강재 및 부재에 새겨진 마커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강재 및 부재의 위치 및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재 정보 처리 장치는, 강재 및 부재에 새겨진 마커를 이용하여 강재 및 부재의 공정 진행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라 마커가 새겨진 강재를 촬영하여 강재의 현황을 파악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라 마커가 새겨진 강재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강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강재 위치 추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수집 장치가 이동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라 부재에 마커가 인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네스팅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AR 마커 및 AR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가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출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강재 정보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 예에서" 또는 "일 실시 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 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정보 수집 장치(110), 정보 처리 장치(120), 정보 출력 장치(130)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라 작업장에 정보 수집 장치가 설치되어 마커가 찍힌 강재를 촬영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작업장 평면도이다.
선박은 블록 별로 분할되어 설계 및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블록은 선박에서의 위치에 따라 선미, 선수, 사이드 블록 등으로 나뉠 수 있다. 각각의 블록들은 조립되어 대형 선박을 이루게 된다. 선박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강재는 종류 별로 두께나 재질이 다르고, 사용되는 부위나 용도가 다르다. 따라서 강재가 입고되면, 관리자는 강재들을 분류하여 각각의 강재가 특정한 작업장으로 이동되도록 관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강재는 트랜스 베이 작업장에서 크레인을 통해 한 장씩 리프팅되어 컨베이어에 실려 각각의 작업장으로 이동된다.
실시 예에서, 강재가 작업장으로 이동되기 전에 강재를 식별하기 위한 마커를 강재에 찍을 수 있다. 마커는 해당 강재가 어느 호선의 어느 블록에 사용되는지 등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강재를 식별하기 위해 강재에 인쇄되는 마커를 편의상 제1 마커로 부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컨대, 작업장(100)은 강재가 블록으로 이동되는 트랜스 베이 작업실일 수 있다. 또는 작업장(100)은 강재가 복수의 부재들로 커팅된 이후 각 부재들이 조립되는 작업실을 도시한 것일 수도 있다.
먼저, 작업장(100)이 트랜스 베이 작업실이라고 가정한다. 작업장(100)에는 복수 개의 정보 수집 장치(110)가 설치될 수 있다. 정보 수집 장치(110)는 강재에 인쇄된 제1 마커가 보이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수집 장치(110)는 작업장(100) 내부의 천장이나 벽, 또는 작업장(100)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철거물에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크레인 또는 컨베이어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정보 수집 장치(110)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촬영한 영상을 정보 처리 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자 기기이다. 정보 수집 장치(110)에 포함된 카메라는 상, 하, 또는 좌, 우로 회전하며 촬영 방향을 바꾸면서 강재를 촬영할 수 있다. 각각의 정보 수집 장치(110)는 설치된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는 범위가 정해져 있어, 그 범위 안에서 카메라의 방향을 바꾸면서 강재를 촬영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는 정보 수집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인식한다. 마커와 매핑된 식별정보는 미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 등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는 영상에서 인식한 마커에 대응하여 저장된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찾아, 강재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각 블록 처리장으로 운반된 이후, 강재는 설계도에 따라 커팅되어 부재들로 나뉜다. 각각의 부재들은 조립 및 가공되어 블록을 형성한다. 이하, 강재에 대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강재의 상황을 출력한다는 것은, 강재를 이루는 부재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여 부재의 상황을 출력한다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서, 강재가 복수의 부재들로 커팅되기 전에, 각각의 부재들을 식별하기 위한 마커를 강재에 찍을 수 있다. 이하, 부재들을 식별하기 위한 마커를 제2 마커로 부르기로 한다. 제2 마커는 해당 부재가 각 블록에서 사용되는 위치나 부위, 용도 등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작업장(100)이, 강재가 복수의 부재들로 커팅된 이후 각 부재들이 조립되는 장소를 도시하는 경우라고 가정한다. 도 1의 작업장(100)은 소정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블록 별 작업장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작업장(100)은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고, 각 영역 별로 부재(130)를 이용하여 정해진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부재(130)마다 고유의 마커(120)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마커(120)는 부재를 식별하기 위한 제2 마커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작업장(100)에는 정보 수집 장치(110)가 설치되어 공정 중인 부재(130)에 인쇄된 마커(120)를 촬영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작업장(100)에는 작업장의 크기에 따라, 또한 정보 수집 장치(110)가 촬영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복수 개의 정보 수집 장치(11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장(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해당 작업이 강재나 부재를 식별하는 것이 중요한 작업인 경우, 그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장(100)에는 다른 작업장보다 더 많은 개수의 정보 수집 장치(110)가 설치될 수 있다.
정보 수집 장치(110)는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거나, 설치물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정보 수집 장치(110)들에는 각각 고유 아이디가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정보 수집 장치(110)는 각각 17번, 19번, 21번 및 23번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정보 수집 장치(110)는 서로 다른 고유 아이디로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 장치(110)의 각각의 고유 아이디는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즉, 17, 19, 21, 23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각각의 정보 수집 장치(110)마다 부여된 고유 아이디 별로, 각 정보 수집 장치(110)가 설치된 주소를 미리 파악하고 있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정보 수집 장치(110)는 영상을 촬영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하면서, 영상과 함께 또는 영상과 별도로 해당 정보 수집 장치(110)의 고유 아이디나 위치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정보 수집 장치(110)는 제2 마커(120)가 새겨진 부재(130)를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는 수신한 영상에서 제2 마커(120)를 인식하고 인식된 마커로부터 부재(13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부재(13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는 해당 부재(130)가 사용되는 공정의 진행 상황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는 공정 진행 상황 등을 출력하거나, 또는 별개의 정보 출력 장치(미도시)로 전송하여 공정 진행 상황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라 마커가 새겨진 강재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강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강재 위치 추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강재 위치 추적 시스템(200)은 정보 수집 장치(110), 정보 처리 장치(120), 및 정보 출력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 장치(110)는 강재(101)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전자 기기로, 도 1에서 설명한 것처럼 작업장 내부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이용할 수 있다.
강재(101)에는 마커(102)가 기록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마커는 AR 마커일 수 있다. 동일한 마커(102)가 많을 수록 마커를 인식할 가능성도 높아지므로, 하나의 강재(101)에는 마커(102)가 복수 개 인쇄될 수 있다. 정보 수집 장치(110)는 마커(102)가 기록된 강재(101)를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정보 수집 장치(110)는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또는 소정 시간 간격마다 정보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수집 장치(110)와 정보 처리 장치(120)는 통신망(140)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망(14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통신망(140)은 유선 LAN, 무선 LAN,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 레이저 빔 통신과 같은 다양한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정보 수집 장치(11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마커(102)를 인식할 수 있다. 영상 내에 마커(102)의 크기는 촬영되는 장소의 밝기나, 촬영 각도, 촬영 거리에 따라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120)는 영상 내에서의 마커(102)가 크기가 소정 기준치 이상이 되도록, 영상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정보 처리 장치(120)는 정보 수집 장치(11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정보 수집 장치(110)에 포함된 카메라가 줌인, 또는 줌아웃 되도록 하여 정보 수집 장치(110)가 보다 확대된 영상을 촬영하여 정보 처리 장치(12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정보 처리 장치(120)는 영상에 포함된 마커(102)가 인식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정보 처리 장치(120)는 영상에 포함된 마커를 인식하기 위해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강재에 복수 개의 마커가 인쇄되어 있어, 강재를 촬영한 영상에도 복수 개의 마커가 보이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120)는 복수 개의 마커들 중 몇 개의 마커가 인식되는지를 계산하고, 마커 인식률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영상 보정을 수행하여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여러 가지 영상 보정 알고리즘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정하여 마커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실시간으로 또는 소정 시간 간격마다 영상에서 마커(102)를 인식하고 인식된 마커(102)로부터 강재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5)에는 마커와 매핑되어 있는 강재의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마커와 매핑되어 있는 강재의 식별 정보는 마커의 아이디, 강재의 종류나 강재가 사용되는 호선, 강재가 사용되는 블록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25)에는 부재에 인쇄된 마커와 매핑되어 있는 부재의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부재의 식별 정보는 해당 부재가 사용되는 블록이나 블록 내의 특정 위치, 사용 용도 등이 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강재의 식별 정보 및/또는 부재의 식별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25)가 아닌 정보 처리 장치(120) 내부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영상에서 인식된 마커(102)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강재의 식별 정보 또는 부재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5)로부터 또는 메모리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강재 또는 부재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강재나 부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거나 공정의 진행 상황 등을 파악하고 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정보 처리 장치(1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150)을 통해 별개의 정보 출력 장치(130)에 강재 또는 부재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위치 정보나 공정 진행 상황 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정보 출력 장치(130)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기기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니터, 핸드폰이나 PDA, 키오스크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출력 장치(130)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강재나 부재의 위치 정보, 해당 강재나 부재가 제 위치에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부재가 어떤 공정에 사용되고 있으며 어느 정도 해당 공정이 진척되었는지, 향후 얼만큼의 시일이 더 소요될지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수집 장치가 이동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10)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고 사진을 촬영하여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할 수 있는 전자 기기로,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예컨대,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10)를 이용하여 조립되고 있는 부재들(301, 302, 303, 304)을 촬영하여 영상(311)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각각의 부재들(301, 302, 303, 304)에는 고유의 마커(305, 306, 307, 308)가 각각 인쇄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영상(311)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영상(311)으로부터 마커(305, 306, 307, 308)를 인식하고, 사용자 단말기(310)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마커에 매핑되는 부재 식별 정보 중, 영상(311)에서 인식된 마커에 대응하는 부재 식별 정보를 찾아 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부재 식별 정보는 마커의 아이디, 부재의 제품 번호, 부재가 블록에서 사용되는 위치 및 공정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사용자 단말기(310)는 영상(311)에서 보이는 각 마커(305, 306, 307, 308) 위에 각 마커에 대해 식별된 마커의 아이디 번호를 출력하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310)의 영상(311)에 마커의 아이디 번호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10)가 영상(311)에 포함된 마커를 인식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10)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마커 위에 출력된 특정 아이디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입력 펜 등을 통해 아이디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10)에 구비된 버튼 등을 통해 아이디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3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마커에 대응하는 부재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현재 사용자 단말기(310)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영상을 촬영하고 있는 현재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선택된 마커 아이디를 가지는 부재의 식별 정보 및 해당 부재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부재에 대한 공정 상황 등을 파악하여 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310)의 메모리에는, 마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중 마커 아이디만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310)는 인식된 마커의 아이디를 도 2의 정보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위치 추적 센서를 이용하여 파악된 현재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또한 정보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데이터베이스(125)나 정보 처리 장치(120) 내부 메모리 등을 통해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 중, 사용자 단말기(310)로부터 수신한 마커의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식별 정보를 찾을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기(3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마커 아이디를 가진 부재의 상황 등을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정보 처리 장치(120)는 강재나 부재의 상황을 사용자 단말기(310)로 다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310)가 해당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라 부재에 마커가 인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네스팅 도면이다. 강재는 작업장으로 운반된 이후, 부재들로 커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강재(400)는 설계도에 따라 커팅되어 복수의 부재들(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로 나뉘게 된다. 복수의 부재들(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은 조립 및 가공 과정을 거쳐 블록을 형성하게 된다.
실시 예에서 강재가 복수의 부재들로 커팅되기 전에, 각각의 부재들을 식별하기 위한 마커를 각각의 부재에 인쇄할 수 있다. 부재를 식별하기 위한 제2 마커는 강재를 식별하기 위한 제1 마커와 구분되는 마커일 수 있다.
강판에 인쇄된 마커는 공정 진행 중에 훼손되기 쉬우므로, 커팅 직전에 제2 마커가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 마커가 인쇄되는 시기 및 단계는 달라질 수 있다.
도 4에서, 부재들(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에는 각각 마커(411, 412, 413, 414, 415)가 인쇄되어 있다. 복수의 부재들에 인쇄된 마커는 부재의 종류에 따라 동일할 수도 있다. 예컨대, 부재가 형상이 같고, 동일 공정에서 동일한 위치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부재의 식별 정보 또한 같을 수 있다. 도 4에서 부재 410과 부재 420은 블록 형성에 있어 동일한 위치, 동일한 공정에 사용되므로 동일한 마커(411)가 인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부재 430, 450, 460에는 동일한 마커(413)가 인쇄될 수 있다.
부재를 식별하기 위한 제2 마커는 마커 아이디 별로 해당 부재가 각 블록에서 사용되는 위치나 부위, 용도 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부재가 선박 중 선미를 형성하는 공정에 사용되고, 선미의 특정 위치에서 사용되는 경우, 제2 마커에 매핑되는 식별 정보는 제2 마커의 아이디, 부재 번호, 해당 부재가 선미 형성 시 어느 부위에서 어느 공정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부재들(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은 각각 마커가 인쇄된 상태로 커팅되고, 조립 과정 등을 거쳐 블록을 형성하게 된다.
도 2의 정보 수집 장치(110)는 부재들(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이 공정에서 사용될 때, 이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정보 처리 장치(120)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부재들(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 중 일부를 인식하고, 인식된 부재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정보 출력 장치(130)가 해당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AR 마커 및 AR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R 태그 이미지는 정사각형 안에 불규칙한 형상이 포함된 일종의 식별자이다. 실시 예에서, 강재 및 부재에 인쇄되는 마커는 AR 마커(ArUco marker)일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강판에 인쇄될 수 있고 공정 과정에서 훼손되지 않으면서 인식이 용이하다면 어느 형태의 마커도 실시 예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R 태그 이미지, 즉 AR 마커(510)는 특정 강재를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는 점에서 QR코드와 유사하다. QR코드는 AR 마커(510)보다 마커를 구성하는 정사각형 내의 불규칙한 격자 형태의 무늬가 더 정밀하다. 이에 비해 AR 마커(510)는 마커를 구성하는 무늬의 사이즈가 더 크고 단순하다. 따라서 AR 마커(510)를 QR코드보다 더 작게 만들어도 QR코드보다 마커 인식률이 높아진다. 실시 예에서, 강재나 부재에 인쇄되는 AR 마커(510)는 소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다만, AR 마커(510)의 사이즈는 강재나 부재의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강판에 새겨진 마커는 공정 중에 훼손되는 경우가 많다. 강판이 절단될 때 절단 열에 의한 손상, 플라즈마 흄, 강판을 자를 때 열손상으로 인해 절단선 주변이 검게 되는 현상, 기타 햇빛 노출, 또는 사람이 밟거나 만지는 등의 추가적인 터치에 의해 강판에 인쇄된 마커는 훼손되기 쉽다. 일반적으로 QR코드는 AR 마커(510)에 비해 훼손률이 높아 인식률이 떨어진다. QR코드는 AR 마커(510)보다 복잡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코드의 일부가 훼손될 경우 마커 인식률이 낮아지게 된다.
RFID 태그의 경우, 인식 거리가 짧다는 문제가 있다. 선박을 건조하는 공장 및 강판은 그 규모가 크기 때문에 인식 거리가 짧은 경우 해당 태그를 인식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에는, 강판은 물론, 공장 내부에서 이용되는 기계나 설비 등이 철로 되어 있고, 또한 강판을 들어올리기 위해 강한 자석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전파 방해로 인해 RFID 태그 인식이 잘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AR 마커(510)는 영상을 통해 인식될 수 있어, 인식 거리가 문제되지 않으며, 전파 방해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 예에서 강재나 부재에 인쇄되는 마커는, 해당 마커에 대응되는 강재나 부재에 대한 식별 정보를 표시한다는 점에서, 저장하는 정보량이 많지 않다. 따라서, 단순한 AR 마커(510)를 사용해도 강재나 부재를 식별하기에는 충분하다.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25) 또는 도 2의 정보 처리 장치(120) 내부의 메모리에는, 도 5의 테이블(500)이 저장될 수 있다.
도 5의 테이블(500)은 각 AR 마커 별(510)로, 마커의 아이디(520), 식별되는 부재의 부재 번호(530)가 매핑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하나의 예이다.
일반적으로 강재나 부재는 수만에서 수십만 개이고, AR 마커(510)는 수백만개까지 생성할 수 있으므로, 각 강재나 부재 별로 서로 다른 고유의 AR 마커(510)가 부여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각 강재나 부재에 서로 다 다른 AR 마커(510)를 사용하는 대신, 소정 개수의 AR 마커(510)를 조합한 형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나의 강재나 부재에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AR 마커(510)들을 복수 개만큼 인쇄하여 복수 개의 AR 마커(510)들의 조합 별로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매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AR 마커(510)들은 연속한 형태로 인쇄되거나 또는 네 개의 AR마커(510)들이 하나의 정사각형을 이루는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인쇄될 수 있다.
부재 번호(530)는, 해당 부재가 사용되는 호선 번호, 블록 번호, 배에서의 영역이나 위치, 사용되는 공정의 종류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의 테이블(500)은 하나의 실시 예로, 마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것 보다 훨씬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선박 공정 초기 단계에서, 강재가 각 작업장으로 분류되어 적치되기 전에, 이미 데이터베이스(125)나 메모리에는 도 5와 같은 테이블(500)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5)나 메모리에는 강재의 제품 번호, 호선 번호 외에도 적치 장소나 블록 정보, 강재의 재질이나 두께, 무게에 대한 특성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마커 인쇄 장치는 데이터베이스(125)나 메모리에 저장된 이러한 테이블(500)을 참조하여, 강재가 각 작업장으로 분류되기 이전에 각 강재에 대해 대응하는 제1 마커를 강재별로 인쇄할 수 있다. 이후 강재가 분류되고 공정이 진행되면, 정보 처리 장치(12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각 강재의 현재 위치, 이동 중인 강재의 목적지나, 공정 단계 별로 해당 강재의 입고, 출고 여부 등 공정의 진행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강재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업데이트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25)나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실시 예에서, 강재가 커팅되어 부재로 네스팅되기 전에, 이미 데이터베이스(125)나 메모리에는 설계도에 따라 강재로부터 분리될 각 부재의 형태 및 부재의 제품 번호, 부재의 호선 번호, 부재가 있어야 할 위치, 부재의 용도나 부위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마커 인쇄 장치는 데이터베이스(125)나 메모리에 저장된 이러한 매핑 정보에 따라, 강재를 커팅하기 전에 해당 부재들에 대해 대응하는 제2 마커를 각각의 부재에 인쇄할 수 있다.
또한, 강재로부터 부재가 커팅되어 공정이 진행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12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각 부재의 현재 위치, 이동 중인 부재의 목적지, 공정 단계 별로 부재의 입고, 출고 여부, 부재의 용도에 따라 해당 부위의 조립 정도, 공정의 진행 상황 등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125)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부재가 특정 블록에서 덮개로 사용되는 부재인 경우, 정보 처리 장치(120)는 제2 마커를 통해 해당 부재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부재가 특정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덮개 공정이 진행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20)는 해당 부재가 소정 작업장이나 소정 위치에 머무른 시간을 고려하여, 덮개 공정이 며칠 동안 진행되었으며 향후 며칠 후에 덮개 공정이 완료될 지 등에 대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강재나 부재의 상황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또는 정보 출력 장치(130)가 해당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600)의 내부 블록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600)는 프로세서(610), 통신부(620), 메모리(630), 사용자 인터페이스(640) 및 출력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600) 강재나 부재의 물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업데이트하여 강재 정보를 관리 및 처리하는 관리용 서버 또는 기간 시스템, 컴퓨터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정보 처리 장치(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600)가 기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610)를 도시하였으나, 정보 처리 장치(600)는 복수개의 프로세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시 예에 정보 처리 장치(600)에서 수행되는 동작들 각각은 복수개의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마커가 찍힌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마커가 촬영되는 곳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된 마커로부터 강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영상에서 마커의 사이즈가 작거나 촬영 각도에 따라 해당 마커가 잘 인식되지 않는 경우, 영상을 확대하여 마커의 사이즈가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610)는 통신부(620)를 통해 영상을 보내는 정보 수집 장치(11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마커의 사이즈가 더 커지도록 하거나 또는 촬영 각도가 변경되도록 하여 마커가 더 잘 인식되는 영상을 보내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영상에서 마커가 잘 인식되지 않는 경우 영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영상을 보정하여 강판과 마커 색의 대비도가 보다 커지도록 하거나, 또는 영상이 촬영되는 주변 환경의 밝기나, 또는 정보 수집 장치(110)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영상의 휘도, 색, 분포, 균일도 등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10)는 강판에 인쇄된 마커가 훼손된 경우, 마커의 훼손을 보완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마커에 보이는 스크래치 등을 제거함으로써 마커 인식률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영상에서 마커가 인식되면 인식된 마커에 대응하는 강재나 부재의 식별 정보를 메모리(630)나 또는 도 2의 외부 데이터베이스(125)로부터 찾을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영상에 포함된 마커를 인식한 경우, 인식된 마커의 아이디 번호가 영상의 마커 위에 표시되도록 출력부(65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강재나 부재의 식별 정보 및 강재나 부재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강재나 부재의 상황을 파악하고, 강재나 부재의 상황이 출력부(65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610)는 강재 상황을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된 강재의 위치가 프로그램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62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은 영상 신호 수신을 위한 통신 규격을 따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620)는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도 2의 정보 수집 장치(110)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부(620)는 정보 수집 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 수집 장치(110)가 촬영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에 보이는 마커가 크기가 작아 인식이 되지 않거나 또는 복수 개의 마커들 중 인식되는 마커의 수가 적어 인식률이 낮은 경우, 통신부(620)는 프로세서(610)의 제어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40)를 통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영상에서의 마커 크기가 커지도록 영상을 촬영하라는 제어 신호를 정보 수집 장치(110)로 보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부(620)는 영상 대신 마커의 아이디 번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도 3의 사용자 단말기(310)로 마커가 인쇄된 강재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310)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마커 별 아이디를 이용하여 해당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하고, 인식된 마커에 대응하는 마커의 아이디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마커의 아이디 번호를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통신부(62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62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마커의 아이디 번호 및 해당 마커가 인쇄된 강재의 위치 정보를 프로세서(610)로 보낼 수 있다.
메모리(6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630)에는 강재나 부재에 인쇄된 AR 마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AR 마커에 대한 정보는 AR 마커 별로 대응하는 마커의 아이디 및 매핑되는 강재나 부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강재의 식별 정보는 강재의 번호, 호선 번호, 블록 번호, 강재의 재질이나 두께, 무게에 대한 특성 정보, 배에서의 영역이나 위치, 사용되는 공정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재 식별 정보는 각 부재의 형태 및 부재의 제품 번호, 부재의 호선 번호, 부재가 있어야 할 위치, 부재의 용도나 부위 등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630)는 프로세서(6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30)는 프로세서(610)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630)에는 강재 상황을 표시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강재 상황을 표시하는 프로그램은 각 호선 별로 해당 호선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강재 상황을 표시하는 프로그램은 호선 번호 별로 호선을 구성하는 블록들의 위치 및 번호, 각 블록 별로 수행되는 각각의 단계별 공정의 착수일 및 완료일 등과 같은 공정 진행 상황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40)는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6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40)는 마우스, 키보드, 리모컨 또는 휴대폰과 같이 정보 처리 장치(6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마커로부터 식별된 강재 및 부재의 현재 위치 정보와 강재 상황을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된 강재의 위치가 프로그램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650)는 통신부(620)를 통하여 수신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650)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출력부(650)는 영상에 마커가 포함되어 있고 프로세서(610)가 영상에 포함된 마커를 인식한 경우, 인식된 마커의 아이디 번호를 영상의 마커 위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650)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640)를 통하여 특정 마커의 아이디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마커에 매핑되는 강재나 부재의 구체적인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650)는 마커로부터 식별된 강재 및 부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된, 강재 및 부재의 공정 진행 상황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7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정보 처리 장치(700)는 프로세서(710), 통신부(720), 메모리(730), 사용자 인터페이스(740), 출력부(750) 외에 촬영부(760) 및 위치 센서(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정보 처리 장치(700)는 도 6의 정보 처리 장치(600)와 수행하는 기능이 유사하나, 도 6의 정보 처리 장치(600)와 달리 직접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마커를 인식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도 7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 6에서 설명한 프로세서(710), 메모리(730), 사용자 인터페이스(740)에 대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의 정보 처리 장치(700)는 도 3의 사용자 단말기(310)와 같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700)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서(770)는 GPS 수신기나 와이파이, 블루투스 이동통신망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7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위치 센서(770)가 센싱한 정보 처리 장치(1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강재나 부재가 위치하고 있는 곳을 파악할 수 있다.
촬영부(760)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신호 처리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촬영부(760)는 마커가 인쇄되어 있는 강재나 부재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촬영부(760)는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CCD나 CMOS 등의 이미지 센서(미도시)에 상이 맺히도록 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를 통해 들어온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760)는 촬영한 영상에 대해 AE(Auto Exposure), AWB(Auto White Balance), Color recovery, correction, Sharpening, Gamma, Lens shading correction 중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촬영부(760)는 정보 처리 장치(700)와 마커 사이의 거리, 촬영 각도 또는 영상 내의 마커의 위치나 사이즈 등을 계산하여 영상 내의 마커의 크기 등이 소정 크기 이상이 되도록 영상을 촬영하여 마커의 인식률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정보 처리 장치(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메모리(7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700)가 기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촬영부(760)가 촬영한 마커가 인쇄된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인식하고, 위치 센서(770)가 센싱한, 정보 처리 장치(7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된 마커로부터 식별되는 강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영상에서 마커의 사이즈가 작거나 촬영 각도에 따라 해당 마커가 잘 인식되지 않는 경우, 영상을 확대하거나 촬영 위치를 바꿔서 마커가 더 잘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710)는 영상에서 마커가 잘 인식되지 않는 경우 영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영상에서 마커가 인식되면 인식된 마커에 대응하는 강재나 부재의 식별 정보를 메모리(730)로부터 찾을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인식된 마커의 아이디가 영상 내의 마커 위에 표시되도록 출력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강재나 부재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강재나 부재의 위치를 파악하고, 강재나 부재의 상황이 출력부(75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710)는 강재 상황을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된 강재의 위치가 프로그램에 반영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72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20)는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 예컨대 도 6의 정보 처리 장치(600)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부(720)는 정보 처리 장치(600)와 강재나 부재의 위치 정보 또는 강재나 부재의 공정 상황 등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여 공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730)에는 강재나 부재에 인쇄된 AR 마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마커는 강재를 식별하기 위한 제1 마커 및 부재를 식별하기 위한 제2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30)에는 제1 마커 및 제2 마커 각각에 대한 마커의 아이디 및 매핑되는 강재 및 부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730)는 프로세서(7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710)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7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은, 획득한 영상을 보상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7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은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하고 이로부터 강재나 부재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메모리(7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은 마커로부터 식별된 강재 및 부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강재 및 부재의 공정 진행 상황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인스트럭션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정보 처리 장치(700)가 용량 등의 문제로 강재의 위치나 상황에 대한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하여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 통신부(720)는 프로세서(710)가 인식한 마커의 아이디를 기간 시스템 등의 정보 처리 장치(6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40)는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7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4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740)는 정보 처리 장치(70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입력 펜 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40)는 사용자의 푸시 조작을 수신하는 버튼,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신하는 휠, 키보드(key board), 및 돔 스위치 (dome switch)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74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촬영 명령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740)는 촬영된 영상에서 인식된 마커 위에 마커의 아이디가 출력되는 경우, 출력된 마커의 아이디를 선택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마커로부터 식별된 강재 및 부재의 현재 위치 정보와 강재 상황을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된 강재의 위치가 프로그램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750)는 촬영부(760)가 촬영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750)는 영상에 마커가 포함되어 있고 프로세서(710)가 영상에 포함된 마커를 인식한 경우, 인식된 마커의 아이디 번호를 영상의 마커 위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650)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640)를 통하여 특정 마커의 아이디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마커에 매핑되는 강재나 부재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650)는 마커로부터 식별된 강재 및 부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된, 강재 및 부재의 공정 진행 상황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20)가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정보 처리 장치(120)는 인식하려는 마커에 대해 영상 보정을 수행하여 마커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촬영된 원본 영상(810)에 포함된 마커를 보면, 강재의 색은 흰색이 아니고 마커 색은 흐려서 마커와 강재 간의 구분이 잘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마커에 스크래치 등이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강판은 하얀색이 아니므로, 강판에 마커가 인쇄되는 경우, 하얀 바탕에 검정색 마커가 인쇄된 경우보다 인식률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20)는 원본 영상(810)을 보정하여 강판과 마커 색의 대비도가 보다 커지도록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된 곳의 주변 환경의 밝기나, 또는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자체의 특성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의 색상이나 밝기, 계조, 분포도 등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강판에 인쇄된 마커는 공정 진행 과정에서 훼손되는 경우가 많다. 여러 가지 원인들로 강판에 인쇄된 마커가 훼손되는 경우, 영상에서의 마커 인식률 또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20)는 영상에서 이러한 마커의 훼손을 보완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마커에 보이는 스크래치 등을 제거함으로써 마커 인식률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영상의 색상이나 휘도, 감마 특성, 분포도 등을 보정하는 각각의 알고리즘들을 실행하거나 또는 이들 중 두 개 이상을 결합하여 영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이러한 영상 보정을 한번에서 수회 반복함으로써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획득한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할 수 있다.
도 8의 우측에는 복수의 알고리즘에 따라 각각 수정된 이미지들(820)이 도시되어 있다. 수정된 이미지들(820)은 원본 영상(810)보다 마커와 배경이 보다 뚜렷이 구분되어 있고, 마커 색이 보다 선명해졌으며, 원본 영상(810)에서 보이는 마커 위의 훼손이 작아지거나 없어졌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출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정보 처리 장치(700)는 도 7에서 설명한 이동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700)일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700)는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부재를 촬영하여 해당 부재의 위치 및 공정 상황을 파악하고 필요한 업무가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700)는 전술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마커를 인식한 후, 마커를 이용하여 식별된 부재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700)는 각 부재의 현재 위치, 이동 중인 부재의 목적지, 공정 단계 별로 부재의 입고, 출고 여부, 부재의 용도에 따라 해당 부위의 조립 정도, 공정의 진행 상황 등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700)는 해당 부재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그 위치에서 해당 부재에 대한 공정이 수행된다는 점, 해당 부재가 그 위치에 며칠간 머물러 있는지 등에 대한 이력을 파악하여 해당 부재의 작업 현황, 향후 해당 부재가 며칠 더 해당 위치에 머무를 것인가 등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정 현황을 출력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700)는 각 호선의 블록 별 처리 현황이나 업무 착수일, 완료일, 공정 순서 등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 내부에 저장하고 있거나 또는 이러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25)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정보 처리 장치(700)는 작업 중인 조립 블록의 전체 리스트를 포함하는 화면(910)을 출력할 수 있다. 작업 중인 조립 블록의 전체 리스트는 착수 실적(911), 진척도(912), 완료 계획(913) 별로 각각 다른 색상 등으로 구분되어 도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스트를 보고, 각 블록들의 공정 진행 상황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910)을 보다가 이 중 특정 식별 번호(S997/B13S0)를 갖는 블록(911)을 선택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7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블록(911)이 선택되면, 이에 상응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블록(911)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화면(920)에 출력할 수 있다. 상세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블록(911)에 대한 공정의 계획 일이나 완료 일, 작업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 이와는 다른 다양한 상세 정보가 출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는 상세 정보 화면(920)에 출력되는 검사 신청(921)이나 도면 조회(922) 등을 선택할 수 있고, 정보 처리 장치(7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에 따라 해당하는 정보를 화면에 더 출력하여, 해당하는 블록에 대한 추가 업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강재나 부재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손쉽게 해당 강재나 부재를 이용하는 선박이나 블록, 소 블록의 공정 진행 상황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강재 정보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정보 처리 장치(120)는 마커가 찍힌 강재나 부재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단계 1010). 정보 처리 장치(120)는 직접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거나, 또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영상에서 마커가 인식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1020). 마커는 강재를 식별하기 위한 제1 마커 및 부재를 식별하기 위한 제2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영상에서 마커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영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1030). 영상 보정은, 영상에 포함된 마커의 사이즈를 더 늘리거나, 또는 영상에 포함된 마커의 색상을 보정하거나 마커와 강재나 부재 사이의 대비도 보정, 마커에 표시된 스크래치 보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영상에서 마커가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마커로부터 강재나 부재의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단계 1040).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나 또는 내부의 메모리에는, 마커와 매핑되어 저장된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1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는 제1 마커의 아이디, 강재의 제품 번호, 강재가 사용되는 호선 및 블록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는 제2 마커의 아이디, 강재가 커팅되어 생성되는 각 부재들의 제품 번호, 부재가 사용되는 블록에서의 위치 및 공정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데이터베이스나 메모리로부터, 인식된 마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영상에 포함된 강재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한 곳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카메라의 고유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을 전송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정보 처리 장치(120)가 직접 영상을 촬영한 경우, 정보 처리 장치(120)는 정보 처리 장치 자체의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정보 처리 장치(120)에 위치 센서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정보 처리 장치(120)는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따라 현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마커로부터 획득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된 강재나 부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단계 1050). 정보 처리 장치(120)는 식별된 강재나 부재의 위치를 이용하여 강재나 부재의 상황을 보여주는 화면을 생성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1060). 강재나 부재의 상황을 보여주는 화면은, 호선 번호 별로 호선을 구성하는 블록들의 위치 및 번호, 각 블록 별로 수행되는 각각의 단계별 공정의 착수일 및 완료일 등과 같은 공정 진행 상황을 보여주는 화면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4)

  1. 강재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마커가 찍힌 강재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마커로부터 상기 강재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이 생성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강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강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강재의 상황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는 AR(ArUco) 마커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마커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마커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영상을 보정하고,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것은 상기 마커의 크기 보정 및 상기 영상의 색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의 크기 보정은 상기 영상 내에 포함된 상기 마커의 크기가 소정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영상을 줌 인 또는 줌 아웃 하여 상기 마커의 크기가 상기 소정 범위에 포함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마커의 크기가 상기 소정 범위에 포함되는 영상을 재 획득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의 색 보정은 상기 영상의 휘도 보정, 상기 영상의 색상 보정, 상기 영상의 감마 보정, 상기 영상의 분포 정보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영상 내에 포함된 상기 마커의 인식률이 높아지도록 하는, 강재 정보 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색 보정은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마커와 상기 강재 간의 색 대비도가 더 커지도록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강재 정보 처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 상기 마커가 찍힌 상기 강재에 대한 영상 및 상기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로부터 상기 강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강재 정보 처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가 찍힌 상기 강재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강재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강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강재 정보 처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포함된 마커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개의 마커들 중 인식되는 마커들의 비율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율이 상기 기준치 이상이 아닌 것에 상응하여,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강재 정보 처리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는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인식된 마커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강재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마커는 제1 마커 및 제2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마커의 아이디, 상기 강재의 제품 번호, 상기 강재가 사용되는 호선 및 블록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마커의 아이디, 상기 강재가 커팅되어 생성되는 각 부재들의 제품 번호, 상기 부재가 사용되는 블록에서의 위치 및 공정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강재 정보 처리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마커가 찍힌 부재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2 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제2 마커로부터 상기 부재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부재의 상황을 파악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부재를 포함하는 블록에서의 상기 부재의 위치, 상기 부재를 포함하는 블록의 단계별 공정 진행 상황, 및 상기 블록이 포함되는 호선에서의 블록 별 공정 진행 상황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강재 정보 처리 장치.
  8. 강재 정보 처리 장치에서 수행하는 강재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마커가 찍힌 강재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마커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인식된 마커로부터 상기 강재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이 생성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강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강재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강재의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는 AR(ArUco) 마커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마커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마커의 크기 보정 및 상기 영상의 색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의 크기 보정은 상기 영상 내에 포함된 상기 마커의 크기가 소정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영상을 줌 인 또는 줌 아웃 하여 상기 마커의 크기가 상기 소정 범위에 포함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마커의 크기가 상기 소정 범위에 포함되는 영상을 재 획득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의 색 보정은 상기 영상의 휘도 보정, 상기 영상의 색상 보정, 상기 영상의 감마 보정, 상기 영상의 분포 정보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영상 내에 포함된 상기 마커의 인식률이 높아지도록 하는, 강재 정보 처리 장치에서 수행하는 강재 정보 처리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색 보정은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마커와 상기 강재 간의 색 대비도가 더 커지도록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강재 정보 처리 장치에서 수행하는 강재 정보 처리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이 획득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강재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재 정보 처리 장치에서 수행하는 강재 정보 처리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포함된 마커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마커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마커들 중 인식되는 마커들의 비율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되는 마커들의 비율이 상기 기준치 이상이 아닌 것에 상응하여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재 정보 처리 장치에서 수행하는 강재 정보 처리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인식된 마커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강재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는 제1 마커 및 제2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마커의 아이디, 상기 강재의 제품 번호, 상기 강재가 사용되는 호선 및 블록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마커의 아이디, 상기 강재가 커팅되어 생성되는 각 부재들의 제품 번호, 상기 부재가 사용되는 블록에서의 위치 및 공정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강재 정보 처리 장치에서 수행하는 강재 정보 처리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마커로부터 상기 강재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마커가 찍힌 부재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인식된 상기 제2 마커로부터 상기 부재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강재의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를 포함하는 블록에서의 상기 부재의 위치, 상기 부재를 포함하는 블록의 단계별 공정 진행 상황, 및 상기 블록이 포함되는 호선에서의 블록 별 공정 진행 상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재 상황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재 정보 처리 장치에서 수행하는 강재 정보 처리 방법.
  14. 강재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마커가 찍힌 강재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는 정보 수집 장치;
    마커에 매핑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인식된 마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이 생성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강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강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강재의 상황을 출력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는 AR(ArUco) 마커이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마커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마커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영상을 보정하고,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것은 상기 마커의 크기 보정 및 상기 영상의 색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의 크기 보정은 상기 영상 내에 포함된 상기 마커의 크기가 소정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영상을 줌 인 또는 줌 아웃 하여 상기 마커의 크기가 상기 소정 범위에 포함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마커의 크기가 상기 소정 범위에 포함되는 영상을 재 획득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의 색 보정은 상기 영상의 휘도 보정, 상기 영상의 색상 보정, 상기 영상의 감마 보정, 상기 영상의 분포 정보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영상 내에 포함된 상기 마커의 인식률이 높아지도록 하는, 강재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190080309A 2019-07-03 2019-07-03 강재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24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309A KR102243505B1 (ko) 2019-07-03 2019-07-03 강재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309A KR102243505B1 (ko) 2019-07-03 2019-07-03 강재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230A KR20210004230A (ko) 2021-01-13
KR102243505B1 true KR102243505B1 (ko) 2021-04-22

Family

ID=7414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309A KR102243505B1 (ko) 2019-07-03 2019-07-03 강재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5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356B1 (ko) * 2014-02-06 2014-11-13 조병모 공정지연 및 시험과 검사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신뢰성이 향상된 모바일 토탈 품질관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및, 이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781A (ko) * 2011-02-25 2012-09-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조선 내업 블럭 작업 진도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356B1 (ko) * 2014-02-06 2014-11-13 조병모 공정지연 및 시험과 검사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신뢰성이 향상된 모바일 토탈 품질관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및, 이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230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2119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composite selfie image composition for remote users
CN108141511B (zh) 图像处理装置、摄像装置、图像处理方法以及有形介质
JP626062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2538974A (zh) 热像显示装置、热像显示系统和热像显示方法
CN102564607A (zh) 热像装置和热像规范拍摄方法
JP5922067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CN102538980A (zh) 热像装置和热像拍摄方法
JP2004318823A (ja) 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ポインティング装置および情報表示システムにおけるポインタマーク表示方法
JP2013105258A (ja) 情報提示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8154058A (zh) 图形码展示、位置区域确定方法及装置
JP2006293912A (ja) 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表示方法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6096382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55954A (ja) 携帯情報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22395A (ja) 計数方法および計数装置
CN103533212A (zh) 一种图像合成方法和装置
JP5152281B2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41832B2 (en) Cooperative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operation method, and cooperative program
KR102243505B1 (ko) 강재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20037475A (ja) 建設機械制御システム、建設機械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92000A (ja) 自動撮影システム及び自動撮影方法
US2016017373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ata registration method, and data registration program
KR20160138823A (ko) 증강현실 이용한 전통장터 정보 제공 방법
JP5673121B2 (ja) サーバー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方法
JP2016012232A (ja) 携帯端末、プログラム及び作業情報管理システム
US10437528B2 (en) Content management system,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