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218B1 -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3218B1 KR102243218B1 KR1020200088935A KR20200088935A KR102243218B1 KR 102243218 B1 KR102243218 B1 KR 102243218B1 KR 1020200088935 A KR1020200088935 A KR 1020200088935A KR 20200088935 A KR20200088935 A KR 20200088935A KR 102243218 B1 KR102243218 B1 KR 1022432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iness card
- electronic business
- user terminal
- terminal
- grante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3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one-time-passwo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8—Migration or transfer of s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기 설정된 명함포맷 또는 기 저장된 명함포맷을 선택하고, 전자명함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항목 데이터를 수집 또는 입력받아 선택된 명함포맷에 삽입한 후 자동으로 전자명함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명함을 식별코드 스캔 또는 URL을 이용하여 일대일 교부하거나 생성된 전자명함을 세션(Session)을 형성하여 일대다 또는 다대다 교부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하거나 URL을 이용하여 전자명함을 수신 및 저장하고, 세션에 접속하기 위하여 기 생성된 인증번호를 입력한 후 전자명함의 교부자격을 취득하며, 세션에 접속한 후 사용자 단말의 전자명함을 선택 및 다운로드받는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인 및 기업별 전자명함을 생성하고 변동사항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며 일대일 교환 및 다자간 교환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국내에 명함을 가지고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가 전체 인구의 과반 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종이명함의 이용빈도는 아직까지 높은 편이다. 전 세계적으로는 매년 100억장이 넘는 명함이 교환되고 있지만, 종이명함은 색인관리와 보관이 수월하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폰으로 명함을 관리하려는 애플리케이션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명함관리의 핵심기술은 종이명함을 정확히 인식하는 광학문자인식(OCR) 기술과 얼마나 많은 명함을 오랫동안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느냐이다. 즉 OCR의 인식률, 종이명함을 빨리 정확하게 스캐닝 할 수 있는 초고속 명함 스캐너, 그리고 명함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등이 명함관리 앱의 성공여부 를 결정한다. OCR은 종이명함을 전자명함으로 바꾸는 핵심기술로 이미지 스캔으로 얻을 수 있는 문서의 활자 영상을 컴퓨터가 편집 가능한 문자코드 등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이때, 전자명함은 인식, 저장 외에 전달기능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자명함을 교환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7-0102077호(2017년09월07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383518호(2014년04월08일 공고)에는, 근거리 및 원격 통신을 이용하여 다자간 명함교환이 가능하도록 다자간 명함교환의 요청 및 수락 과정을 통하여 전자명함을 교환할 수 있고, 서버가 아닌 개인의 단말에 명함정보를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개인정보유출을 방지하는 구성과, 다자간 명함교환을 위한 명함교환을 위한 마스터 단말과, 참여를 요청하는 슬레이브 단말, 마스터 단말에 의해 명함교환모임이 생성된 경우 참여자 현황을 제공하여 참여자 현황을 토대로 사용자 명함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참여자 명함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명함의 전달은 명함을 상대방의 스마트폰 속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일대일 교환이나 다대다 교환을 포함하며, 다대다 교환은 오프라인 및 온라인 단체교환 방식으로 세미나, 워크샵, 네이버 밴드, 카카오그룹 멤버들 간에 단 상호 동시에 병렬로 명함교환을 수행하는 방식이지만, 다수가 모인 장소에서 근거리 통신으로 상호 간 명함을 교환하는 채널을 이용하다보면 채널 간 충돌 및 간섭으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존재하여 다시 종이명함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회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 한 회사에 근무하는 직원이라도 인사이동으로 인하여 부서가 변경되거나 직위가 바뀌는 등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시 종이명함을 받거나 전자명함을 변경하는 등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자동으로 전자명함을 생성 및 관리하고, 근거리에서도 채널 간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인별 및 기업별 기 설정된 명함포맷에 기반하여 명함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포함될 데이터를 HR DB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생성 및 변동사항 발생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며, 명함을 전달받은 피교부자의 전자명함도 자동으로 변경하거나 변동사항을 알려주는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고, 전자명함을 교환할 때 QR 코드 기반으로 명함을 교환하거나 다자간 교환시에는 교부자가 호스트가 되어 세션을 형성하되, 기 생성된 세션과의 충돌이 회피되도록 확인한 후 세션 개설을 인가받아 형성하고, 형성된 세션 및 암호를 이용하여 교부자와 피교부자 간 명함을 교환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 설정된 명함포맷 또는 기 저장된 명함포맷을 선택하고, 전자명함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항목 데이터를 수집 또는 입력받아 선택된 명함포맷에 삽입한 후 자동으로 전자명함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명함을 식별코드 스캔 또는 URL을 이용하여 일대일 교부하거나 생성된 전자명함을 세션(Session)을 형성하여 일대다 또는 다대다 교부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하거나 URL을 이용하여 전자명함을 수신 및 저장하고, 세션에 접속하기 위하여 기 생성된 인증번호를 입력한 후 전자명함의 교부자격을 취득하며, 세션에 접속한 후 사용자 단말의 전자명함을 선택 및 다운로드받는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서 업로드한 명함포맷 또는 기 저장된 명함포맷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저장부, 전자명함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포함될 항목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하여 전자명함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생성부,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간의 일대일 명함교환을 위하여 식별코드가 스캔 또는 리딩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간 전자명함이 교환되도록 하는 일대일교환부, 사용자 단말이 호스트(Host)로 일대다 또는 다대다 전자명함 교환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인증번호의 중복여부를 체크하여 사용가능 여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인증부, 일대다 또는 다대다 전자명함 교환을 위한 세션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을 호스트로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를 게스트로 참여하도록 한 후 전자명함을 상호교환하도록 하는 다자간교환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개인별 및 기업별 기 설정된 명함포맷에 기반하여 명함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포함될 데이터를 HR DB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생성 및 변동사항 발생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며, 명함을 전달받은 피교부자의 전자명함도 자동으로 변경하거나 변동사항을 알려주는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고, 전자명함을 교환할 때 QR 코드 기반으로 명함을 교환하거나 다자간 교환시에는 교부자가 호스트가 되어 세션을 형성하되, 기 생성된 세션과의 충돌이 회피되도록 확인한 후 세션 개설을 인가받아 형성하고, 형성된 세션 및 암호를 이용하여 교부자와 피교부자 간 명함을 교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자명함을 생성, 변경 및 교부하는 개인 또는 기업에 소속된 직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명함을 생성, 변경 및 교부하는 역할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피교부자 단말(400)은 전자명함을 교부받는 피교부자의 역할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사용자 단말(100)에서도 전자명함을 교부받을 수 있고 피교부자 단말(100)에서도 전자명함을 생성, 관리 및 교부할 수 있으나 상술한 역할을 기본으로 설명하는 경우 그 역도 성립(Vice Versa)하기 때문에, 혼동이나 오인의 여지를 없애기 위하여 각 역할을 고정하기로 한다. 다만, 하나의 단말에서 두 개의 구성이나 프로세스가 함께 발생하는 실시예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업로드 또는 선택한 명함포맷에 적어도 하나의 항목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하여 자동으로 전자명함을 생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식별코드를 출력하고 피교부자 단말(400)에서 식별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피교부자 단말(400)로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이 전송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다자간 교환을 원하는 경우, 인증번호 및 세션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호스트로 한 세션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이 참여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을 선택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모든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자원 및 네트워킹 자원이 충분한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역할은 웹페이지, 앱페이지,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배포하고 업데이트하는 역할에 그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제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은,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을 전송받는 피교부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피교부자 단말(400)은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접속한 후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을 다운로드하거나, SMS 또는 MMS로 전달된 URL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을 다운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는, 피교부자 단말(400)은 호스트인 사용자 단말(100)의 세션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번호를 입력하여 세션에 참가한 후,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을 선택하여 다운로드하는 게스트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생성부(320), 일대일교환부(330), 인증부(340), 다자간교환부(350) 및 영구삭제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로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은,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업로드한 명함포맷 또는 기 저장된 명함포맷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이 기업에 소속된 사용자의 단말인 경우, 기 설정된 명함포맷은 기업의 CI(Corporate Identity) 이미지를 포함하는 명함포맷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 데이터는 기업 단말의 인사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 자동 완성 및 실시간으로 변경사항을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코드가 NFC 태그인 경우, 저장부(310)는 사용자의 정보가 바뀌었을 때 저장부(310)에 저장된 정보를 바꾸면서 바뀐 사람의 정보를 동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피교부자 단말(400)로 전자명함이 교부되는 경우, 사용자의 전자명함은 피교부자 단말(400)의 스마트기기 내부에 저장되고, 저장부(310)는 사용자에게 ID를 부여하여 서버 차원에서 관리할 수 있는데, 사용자 단말(100)에서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사용자의 ID를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로 사용자의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려 피교부자가 정보의 업데이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후, 변경된 정보로 업데이트하게 한다.
저장부(310)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추가, 삭제, 수정의 편리성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의 정보를 이하의 표 1과 같이 XML 형식으로 데이터를 관리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NFC를 사용하여 전자명함을 전송함으로써 빠르고 직접적으로 나의 전자명함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정보를 동적으로 업데이트하기에 정보가 변경되어도 새로운 정보로 업데이트 할 수 있고 ID를 부여하여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고 변경된 부분만 전송하고, 또 후술할 영구삭제부(36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 단(End)에 남아있는 모든 고유식별정보를 삭제하기 때문에 개인정보보호법에도 강인한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object> <p_number>01012345678<P_number> <name>홍당무</Name> <position>팀장</Position> <e_mail>redcarrot@bronx.com</e_mail> <Fax>0212345678</Fax> </object> |
이때,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 전자명함에 기재되는 정보들은 고유식별정보가 아닐지라도, 기타 정보와 조합했을 때 식별이 가능한 정보가 되기 때문에 개인정보보호법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명함을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100) 내에 전자명함이 저장되도록 한 후, 저장부(310) 내의 데이터는 영구삭제부(360)에서 후술하겠지만 영구삭제할 수 있다. 또, 변경으로 업데이트를 시킬 때에도 변경되는 정보만을 추출하여 업데이트시킨 후 이 또한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피교부자 단말(400)로 전송될 때에도 저장부(310)로부터 사용자의 전자명함을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추출된 전자명함을 메모리 상에 잠시 로딩한 후 교부가 완료되면 캐시까지 모두 삭제함으로써 저장부(310)에서조차 사용자의 데이터를 알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등급 | 분류 | 개인정보항목 | 설명 |
1등급 | 고유식별정보 | 주민등록번호, 여권번호, 운전면허번호, 외국인등록번호 *개인정보보호법 제24조 및 동법 시행령 제19조 | 그 자체로 개인의 식별이 가능하거나 매우 민감한 개인정보 또는 관련 법령에 따라 처리가 엄격하게 제한된 개인정보 |
민감정보 | 사상·신념, 노동조합·정당의 가입·탈퇴, 정치적 견해, 병력, 신체적·정신적 장애, 성적 취향, 유전자검사정보, 범죄경력정보 등 사생활을 현저하게 침해할 수 있는 정보 *개인정보보호법 제23조 및 동법 시행령 제18조 |
||
인증정보 | 비밀번호, 바이오정보(지문, 홍채, 정맥 등) *개인정보의 안정성 확보조치 기준고시 제7조 |
||
신용정보 금융정보 |
신용정보, 신용카드번호, 계좌번호 등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9조 및 동법 시행령 제2조, 제16조, 제21조 등 |
||
위치정보 |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동 등에 한 법률 제2조, 제16조 등 | ||
2등급 | 개인식별정보 | 이름, 주소,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이메일, 생년월일, 성별 등 | 조합되면 명확히 개인의 식별이 가능한 개인정보 |
개인관련정보 | 학력, 직업, 키, 몸무게, 혼인여부, 가족상황, 취미 등 | ||
3등급 | 자동생성정보 | IP정보, MAC정보, 사이트 방문기록, 쿠키 등 | 개인 식별정보와 조합되면 부가적인 정보를제공하는 간접개인정보 |
가공정보 | 통계성 정보, 가입자 성향 등 | ||
제한적 본인식별정보 | 회원정보, 사번, 내부용 개인식별정보 등 |
덧붙여서, 인사부서(HR)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기 위해서 별도의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고도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되는 부분만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aaS(Software as a Service),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및 Paas(Platform as a Service)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기반한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할 수 있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서버자원, IP, Network, Storage, 전력 등 여러 인프라 자원을 탄력적이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Iaas는 자원을 쉽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를 제공하므로 친숙한 환경이 주어질 수 있다.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안정적인 환경과 그 환경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PaaS는 간편하게 원시코드를 빌드 및 배포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따라 조정하기 용이하다. SaaS(Software as a Service)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 하는 서비스이다. SaaS는 인터넷 어디에서든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다. 생성부(320)는, 전자명함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포함될 항목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하여 전자명함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업이나 개인이 사용하는 전자명함 포맷이나 전자명함 디자인 또는 글씨체 등은 서로 다를지라도 각 항목 데이터는 태그나 인덱스로 식별되기 때문에, 항목 데이터만 수집하면 자동으로 전자명함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명함 내에 식별코드, 예를 들어, QR 코드가 삽입되는 경우 QR 코드를 AR 마커로 하여 AR 전자명함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소를 모르는 사람에게 주소를 알려주는 3차원 지도를 전자명함 상에 AR 콘텐츠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영업사원의 전자명함이라면,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설명을 3D 모델링을 통하여 AR 콘텐츠로 출력할 수도 있으며, AR 콘텐츠가 애니메이션화되는 것 뿐만 아니라, 전자명함 상에서 플로팅(Floating)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명함 뿐만 아니라 기업건물의 외관에서 기업의 로고를 인식하는 경우 상술한 방식으로 AR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 입간판 또는 외관에 부착된 간판의 또 다른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외관을 AR 마커로 하여 전화번호나 사업내용을 출력하도록 하는 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rawMarker() 함수를 통해 마커 이미지를 생성하고 detectMarker() 함수를 사용하여 이미지 상의 마커에서 4개의 코너점 값과 ID를 얻을 수 있다. 얻어낸 마커의 4개의 코너점 값과 ID를 활용하여 OpenCV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Estimate Pose Single Markers Method 함수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3차원 위치와 방향을 알아낸다. 카메라의 자세 추정을 실행하기 전에 카메라 고유의 파라미터(Focal Length, Pricipal Point, Skew Coefficient)을 얻어내서 오차 값을 보정하는 카메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 작업을 하여 정밀한 카메라 위치와 방향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 EstimatePoseSingleMarkers Method 함수를 사용하면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감지된 마커를 받아 카메라에 대한 포즈 추정을 개별적으로 반환한다.
따라서 각 마커에 대해 하나의 회전(Rotation Vector) 및 평행이동 벡터(Trasform Vector)가 반환되는데 입력 값으로 마커 한 변의 길이를 얻어내면 마커 코디네이트(Coordinate) 시스템은 마커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며 z축은 마커 평면에 수직이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 단말(100)이나 피교부자 단말(400)의 카메라가 깊이 카메라가 아니더라도, 이미 절대적인 크기와 위치를 알고 있는 물체를 함께 촬영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 단말(100)이나 피교부자 단말(400)의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거리값을 측정할 수 있고,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이용하여 카메라 고유의 파라미터 값을 측정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오차를 보정하여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이나 피교부자 단말(400)에서 실시간으로 영상을 출력해야 하기 때문에 네트워킹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이 충분히 지원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GPU를 이용하도록 하여 동일한 컴퓨팅 자원에서도 높은 성능을 낼 수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속도 및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멀티 GPU를 이용한 병렬처리 기법을 사용하며, 각각의 GPU에 대한 활성화 정도를 파악해 GPU를 스레드에 할당하여 리소스를 최적의 상태로 분배할 수 있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 있다.
멀티 GPU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GPU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할당하지 않을 경우에는 하나의 GPU에 과부하가 걸려 안정적인 시스템 구동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N 개의 스레드(Thread)에 쿠다를 사용하여 GPU 리소스를 최적의 상태로 분배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GPU 할당 알고리즘은 첫 번째로 모든 GPU 디바이스의 활성화된 코어 수와 메모리 활성화 정도를 파악한다. 이 과정을 통해 각 GPU가 현재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게 된다. 두 번째로 각 GPU의 현재 리소스 사용 상태를 따라 가장 점유율이 낮은 GPU를 스레드에 할당한다. 이때 메모리 사용량과 활성화된 코어의 개수를 모두 고려하여 최적의 GPU를 할당하는데, 예를 들어, 리소스 점유율이 가장 낮은 GPU #2를 스레드 #1에 할당하게 된다. 스레드 #N-1과 스레드 #N에 대해서도 첫 번째와 두 번째 과정을 수행하여 모든 스레드에 대하여 최적의 GPU를 할당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모든 스레드에 대하여 최적의 GPU를 할당한 후에는 첫 번째와 두 번째 과정을 매 프레임 반복시 오히려 GPU에 과부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GPU 점유율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에만 다시 첫 번째와 두 번째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기준치를 높여 알고리즘을 실행할 경우에는 예상보다 빠르게 GPU 점유율이 높아져 GPU를 스위칭하기 전에 과부하가 걸릴 우려가 있다. 반대로 기준치를 낮추는 경우에는 GPU 스위칭이 너무 빈번하게 발생해 오히려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시 수행하는 기준인 GPU 점유율이 기 설정된 퍼센트, 예를 들어 60%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대일교환부(33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간의 일대일 명함교환을 위하여 식별코드가 스캔 또는 리딩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간 전자명함이 교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식별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NFC 태그 및 RFID 태그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고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여기서, 식별코드는 1차원 식별코드 뿐만 아니라 2차원 식별코드 및 나아가 3차원 식별코드까지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이 피교부자 단말(400)로 전송될 때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전송 및 피교부자 단말(4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100)은 URL을 SMS 또는 MMS로 피교부자 단말(40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인증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이 호스트(Host)로 일대다 또는 다대다 전자명함 교환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자체적으로 인증번호를 발행하여 인증번호의 중복여부를 인증부(340)에서 체크한 후, 사용가능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인증부(340)의 역할은 실시예에 따라 인증번호의 중복여부만 알려주는 역할에 그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과 피교부자 단말(400) 간에는 전화번호와 현재시간이 조합된 경우 전화번호가 중복이 발생되지 않는 이상 중복은 발생하지 않는다. 혹시 모를 사태에 대비하여 인증부(340)에서 인증번호의 중복을 체크하는 것일 뿐, 인증부(340)의 인증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이에 따라, 인증부(340)의 역할이 배제될지라도, 즉 사용자 단말(100)과 피교부자 단말(400) 간의 통신만으로도 명함을 교환할 수 있는 세션이 생성될 수 있다.
다자간교환부(350)는, 일대다 또는 다대다 전자명함 교환을 위한 세션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호스트로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를 게스트로 참여하도록 한 후 전자명함을 상호교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세션은 다자간교환부(350)에서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이 생성 및 참여할 수 있게 생성하되, 충돌이 없는지 확인한 후 세션을 열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세션은 기 설정된 시간만 유효하고 이후에는 만료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 단말(100) 및 피교부자 단말(400)의 위치를 LBS 기반으로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100)과 피교부자 단말(400)이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계속 유효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무선통신은 근원적으로 많은 보안 취약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00)과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 간 안전한 세션 보호 기술이 선행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간 세션 키 교환 기술로 디피 헬만 알고리즘(Diffie-Hellman Algorithm, 이하 DH 프로토콜)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세션 키의 검증 방법으로 사람이 직접 세션 키 공유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구성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영구삭제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GPD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또는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에 포함된 고유식별정보가 서비스 제공 서버 내에서 삭제되기를 원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 내에서 고유식별정보의 영구삭제를 실시할 수 있다. 최근 적용된 개인정보보호 관련 컴플라이언스 중 최소 과징금 200억원 등 법적 책임이 매우 엄격한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이 적용, 이에 따른 준비가 요구되기 때문에, 이름, 사진 및 전화번호 같은 고유식별정보는 아니지만 타정보와 함께 사용되었을 때 개인을 식별가능한 정보는 최소한으로 이용되어야 한다. 또한, 암호화 대상 파일은 평문화 저장이나 보관만으로도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사항이므로, 영구삭제부(360)는, 수신된 정보는 일괄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안에만 암호화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 이후에는 완전삭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의 ID 및 전자명함 등을 모두 저장하고 있으므로, 접속 시마다 입력하지 않아도 되고, 영구삭제부(360)에서 저장된 채널로 접근허용권만 얻는다면 자동으로 정보들에 엑세스할 수 있고 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암호화 방식 또는 복호화 방식은, 블록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 블록암호화 알고리즘 중 ARIA 방식, SEED 방식, AES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RIA 알고리즘은 정부 주도의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2004년 국가 표준 기본법에 의거 지식경제부에 의하여 국가표준(KS)으로 지정된 알고리즘으로 국가를 대상으로 한 암호화 지원은 SEED 방식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SEED 방식은 민간지원을 위한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전자상거래, 금융 및 무선통신 보안을 이해 한국인터넷 진흥원과 국내 암호화 전문가들과 함께 만들어낸 알고리즘이다. AES는 고급 암호화 표준(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ES)은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NIST)에 의해 제정된 암호화 방식이다. 완전삭제는, 전자기적 파일 형태인 경우 복원이 불가능한 방법으로 영구 삭제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며, 복원이 불가능한 방법이란 개인정보보호법 표준지침 제10조(개인정보의 파기방법 및 절차)에 의거 현재의 기술수준에서 사회통념상 적정한 비용으로 파기한 개인정보의 복원이 불가능하도록 조치하는 방법을 말한다. 완전삭제는 정보통신망법 제29조 개인정보의 파기, 신용정보법 제21조 폐업시 보유정리의 처리 등 다양한 법률에서 요구하는 방법일 수 있다. 완전삭제 알고리즘은, DoD 5220.22-M-ECE, DoD 5220.22-M, HMG IAS No.5 Higher Overwrite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개인정보가 포함되어있는 전자기적의 파일은 단순 운영체제에서 지원하고 있는 삭제 방식이 아닌 DoD 5220.22-M 방식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전체섹터에 0을 기록하고 다시 1을 기록하고 임의의 문자로 채운 후 검증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자기적 보관 파일에 대한 완전한 삭제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기 설정된 명함포맷 또는 기 저장된 명함포맷을 선택하고, 전자명함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항목 데이터를 수집 또는 입력받아 선택된 명함포맷에 삽입한 후 자동으로 전자명함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명함을 식별코드 스캔 또는 URL을 이용하여 일대일 교부하거나 생성된 전자명함을 세션(Session)을 형성하여 일대다 또는 다대다 교부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하거나 URL을 이용하여 전자명함을 수신 및 저장하고, 세션에 접속하기 위하여 기 생성된 인증번호를 입력한 후 전자명함의 교부자격을 취득하며, 세션에 접속한 후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을 선택 및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는, 피교부자 단말(400)이 한 회사에 소속된 직원의 단말이라면, 피교부자 단말(400)에서 교부받은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을 회사계정에 축적되도록 할 수 있다. 거래처에서 클라이언트(사용자)를 만나고 오는 경우 해당 정보가 공유되지 않으면 클라이언트의 문의전화를 받는 관리직원이나 타직원들은 피교부자가 아니기 때문에 이 정보를 모르는 상태에서 히스토리 없이 전화를 받거나 응대를 해야 한다. 이때, 피교부자 단말(400)이 별도로 회사 ERP 시스템이나 DB에 저장을 할 수도 있지만, 거래처가 한 두 군데가 아닌 영업사원의 경우 일일이 저장하는 것도 부담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교부자 단말(400)을 회사 계정과 연동시켜놓은 경우나 회사에서 지급받은 단말인 경우 이를 연동시켜놓음으로써 자동으로 거래처나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업로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피교부자 단말(400)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을 저장한 경우 이를 바로 회사의 클라우드 시스템이나 ERP로 연동시켜 업로드하는 봇(Bot)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봇은, 웹 매크로(Macro) 봇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매크로 프로그램은 단순/반복적 작업을 자동으로 프로그램화하여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로 통상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키보드 및 마우스 입력값, 입력순서 등의 작업을 사전에 입력하여 자동적, 반복적으로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컴퓨터를 이용한 단순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데 사용된다.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순/반복적 작업을 자동화하는 것 자체는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위하여 필요하고, 아울러 매크로 프로그램은 허용된 명령을 자동화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처음 만났을 때 악수를 하거나 발화하는 특정 문구나 단어가 있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춰 이러한 모션이 감지되거나 단어가 음성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을 피교부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자동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을 쥔 채 서로 악수를 하는 경우 두 개의 핸드폰이 맞닿은 채로 쉐이킹(Shaking)되는데, 쉐이킹되는 모션을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충격 센서 등을 감지하여 상호 간의 명함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설명할 때 4 개의 실시예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는 전자명함을 생성하고 관리할 때 HR 및 CS가 갖추어진 상황과 그렇지 않은 상황으로 나뉜다. 또, 제 3 실시예와 제 4 실시예는 일대일 교환 방법과 일대다나 다대다와 같은 다자간 교환 방법을 설명한다. 이를 정리한 것은 표 3과 같다.
전자명함 생성 및 관리 | 제 1 실시예 | HR 및 CS가 구축된 기업 |
제 2 실시예 | HR 및 CS가 구축되지 않은 기업 또는 개인 | |
전자명함 교환 | 제 3 실시예 | 일대일 교환 |
제 4 실시예 | 일대다/다대다 교환 |
<제 1 실시예>
도 3a의 (a)를 참조하면, 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업 구성원의 전자명함 생성 권한은 인사관리 부서에 국한하여 부여할 수 있고, ② 해당 기업의 CI를 기준을 따르는 전자명함 포맷을 HR 부서에서 결정하면, ③ 기업의 HR DB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전자명함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API를 마련할 수 있다. 신규채용, 퇴사, 승진, 인사이동, 전화번호 변경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 ④ 전화번호 변경, 승진, 인사이동, 퇴사 등 변동사항을 사용자와 명함을 교환한 상대방에게 통보할 수 있으며, ⑤ 전자명함 하드카피는 상대방인 피교부자의 피교부자 단말(400)로 전송하고 회사 소개자료 등 부가정보는 피교부자의 요청에 따라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및 서버의 부하 감소를 목적으로 한다. 또, ⑥ 전자명함은 QR 코드와 사용자의 본인 사진, 배경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파일 형태로 사용자 단말(100)에 다운로드되며, 그 역도 마찬가지인데, 이는 고객정보의 소프트 카피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⑦ 사용자 단말(100)에 다운로드된 전자명함의 배경 이미지는 기업홍보 방향에 따라 수시로 변경될 수 있고, ⑧ 피교부자 단말(400)의 전자명함 중 중요정보는 전자명함관리 서버(미도시)에서 보관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는 인덱스만 유지하고 각자의 정보는 각 단말(100, 400)에서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도 3a의 (b)를 참조하면, 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전자명함 생성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회원가입하여 사용자 ID와 PW로 로그인 후 전자명함을 생성할 수 있다. ② 사용자 단말(100)은, 기업의 고유 전자명함 포맷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전자명함 포맷을 결정하는데, 이때 촬영된 로고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거나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된 로고 이미지를 붙여넣기 할 수도 있게 UI/UX를 설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기본 전자명함 포맷을 이용하거나 유료의 프리미엄 포맷을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③ 내지 ⑥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3a의 (c)를 참조하면, 이는 세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우선, ① 참석자가 전자명함 사용자인 경우, ② 참석자가 전자명함 사용자이나 스마트 단말을 소지하지 않고 회의에 참석한 경우, ③ 참석자가 전자명함 사용자가 아닌 경우로 나뉠 수 있다. ①의 경우에는, 전자명함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명함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고, ②의 경우에는, 전자명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상대방인 피교부자 단말(40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자명함 이미지(하드 카피)와 URL을 전송함으로써, 피교부자 단말(400)에서 피교부자는 추후 전자명함 교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전자명함을 받고 자신의 전자명함도 이미지(하드 카피) 및 URL로 전송할 수 있다. ③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은 피교부자 단말(400)의 전화번호로 전자명함 이미지(하드 카피) 및 URL을 전송하고, 피교부자 단말(400)은 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이때, VCard 또는 MeCard 등 디지털 포맷인 경우, 포맷 변환 유틸리티를 이용하며 종이명함인 경우 OCR을 이용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3a의 (d)를 참조하면, ① 회의참석자 중 전자명함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한 명,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명함교환 세션 호스트가 되어 인증번호를 발생시키는 루틴(Routine)으로부터 생성한 인증번호(OTP)의 사용승인을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번호를 검증하는 역할이 배제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다른 세션과의 충돌이 없는지를 확인한 후 세션 개설을 인가할 수 있다. 충돌시에는 회피 루틴에 의해 다른 인증번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②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400)는, 명함교환 세션에 호스트가 지정해주는 인증번호를 입력하여 입장하고, 호스트의 허가에 의해 명함교환자격을 획득할 수 있으며, ③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400)는 참석자의 명함을 선택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고, ④ 명함교환 이후 참석하는 참석자가 추가로 참석하는 참석자를 위하여 일정 시간 세션을 유지하고, 그 이후에는 자동으로 소멸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참석자가 전자명함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제 3 실시예의 ③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개입 최소화를 위하여 도 3b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 및 피교부자 단말(400) 단(End)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배제 또는 개입이 최소화된다고 하여 프로세스 또는 구성이 빠지거나 배제되는 것은 아니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프로세스를 단말에서 구동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광역통신망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QR 코드, 문자메세지 등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서버의 개입 없이 간편한 절차를 통해 교환대상자를 특정하고 전자명함을 교환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물론, 문자메세지는 CS(Circuit Service) 또는 PS(Packet Switched), 더 나아가 최근에는 LTE 망을 이용하도록 통합되었지만, 기지국의 개입을 배제한 문자메세지로 한정하기로 한다.
대부분의 구성이나 절차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 단에서 수행되던 것들이 디바이스 단에서 수행되도록 변경된 것이어서 유사하지만 다시 한번 설명을 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교환 대상자를 특정하여 전자명함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① 회의 주관자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자명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명함 교환 버튼을 누르면, 명함 교환을 시작한다. 교환을 개시하면 전자명함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00)에 명함교환 세션을 생성하고 세션에 접속(페어링)할 수 있는 OTP를 발생시키며 사용자 단말(100) 내 저장된 전자명함은 세션에 업로드된다. 그리고, ② 회의 주관자는 참석자에게 세션의 OTP를 알려주고 세션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참석자인 피교부자는 피교부자 단말(400)의 전자명함 애플리케이션에 OTP를 입력하여 세션에 접속하는데, 피교부자 단말(400)은, 세션에 접속함과 동시에 자신의 단말 내에 저장된 피교부자의 전자명함도 세션 상에 업로드한다.
③ 세션에 접속한 각 참석자는 수령할 명함을 선택하여 피교부자 단말(400)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운로드된 전자명함은, 피교부자 단말(400)에 저장된 전자명함과 비교하여 중복여부를 판단하고, 저장, 취소 및 덮어쓰기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Prefix(Header)는 36자(영문 26자+숫자 10자)로 4자리 숫자 생성(1/1,679,616 확율로 중복)되고, 명함교환 프로세스에 입력, 이 문자를 이용 Filter로 사용할 수 있다. 또, Bluetooth Broadcasting ID의 노출로 불특정 다수의 접근이 가능하므로 Session에 접속하기 위한 Password 생성 및 입력 필요할 수 있고, Session 존속시간은 임의로 지정하여 시간이 경과하면 Session Close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기업의 HR 및 CS가 구축된 기업의 사용자인 경우(S4100), 직원의 ID를 추출하여(S4200) HR DB와 연결시키고(S4300) 자동으로 항목 데이터를 전자명함 포맷에 채운 후에 생성된 전자명함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다(S4400).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S4100에서 개인이나 HR 등이 구축되지 않은 기업의 직원인 경우(S4500), 전자명함 포맷을 선택하거나 업로드하도록 하고, 항목 데이터로 입력받아(S4600) 자동으로 전자명함을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4610).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일대일 교부를 하는 경우(S4700), 사용자 단말(100)에서 QR 코드를 출력하도록 하고(S4710), 피교부자 단말(400)에서 이를 스캔 또는 리딩하는 경우(S4720) 사용자의 전자명함이 피교부자 단말(400)에서 저장되도록 한다(S4730). 만약 다자간 교부를 하는 경우(S4800), 사용자 단말(100)은 교부신청 이벤트를 생성하고(S4810),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세션 및 인증번호를 생성하여(S4820)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S4830), 피교부자 단말(400)은 인증번호를 입력하여 세션에 접속하고(S4840) 원하는 전자명함을 선택 및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S4850). 이때, 세션이 만료될 시간이 도래한 경우(S4900),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세션을 만료시킨다(S4920).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업로드한 명함포맷 또는 기 저장된 명함포맷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5100).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전자명함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포함될 항목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하여 전자명함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S5200),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간의 일대일 명함교환을 위하여 식별코드가 스캔 또는 리딩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간 전자명함이 교환되도록 제어한다(S5300).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이 호스트(Host)로 일대다 또는 다대다 전자명함 교환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생성한 인증번호의 중복여부를 체크하여 사용가능 여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S5400), 일대다 또는 다대다 전자명함 교환을 위한 세션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을 호스트로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를 게스트로 참여하도록 한 후 전자명함을 상호교환하도록 제어한다(S5500). 이때, S540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인증번호의 중복여부를 체크하여 사용가능 여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 기 설정된 명함포맷 또는 기 저장된 명함포맷을 선택하고, 전자명함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항목 데이터를 수집 또는 입력받아 선택된 명함포맷에 삽입한 후 자동으로 전자명함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전자명함을 식별코드 스캔 또는 URL을 이용하여 일대일 교부하거나 상기 생성된 전자명함을 세션(Session)을 형성하고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일대다 또는 다대다 교부하는 사용자 단말(100);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상기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하거나 상기 URL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명함을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세션에 접속하기 위하여 기 생성된 인증번호를 입력한 후 상기 전자명함의 교부자격을 취득하며, 상기 세션에 접속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을 선택 및 다운로드받는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업로드한 명함포맷 또는 기 저장된 명함포맷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저장부(310), 상기 전자명함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포함될 항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하여 상기 전자명함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생성부(320),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간의 일대일 명함교환을 위하여 상기 식별코드가 스캔 또는 리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간 전자명함이 교환되도록 하는 일대일교환부(330),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호스트(Host)로 일대다 또는 다대다 전자명함 교환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생성한 인증번호의 중복여부를 체크하여 사용가능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인증부(340), 상기 일대다 또는 다대다 전자명함 교환을 위한 세션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호스트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를 게스트로 참여하도록 한 후 상기 전자명함을 상호교환하도록 하는 다자간교환부(350)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의 통신불능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피교부자 단말(400) 단(End)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무선통신으로 세션을 형성하여 명함교환을 수행하며,
상기 저장부(3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게 ID를 부여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자명함에 포함된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ID를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피교부자 단말(400)로 해당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에 포함된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통보하여 정보의 업데이트를 확인할 수 있게 안내하고,
상기 인증번호는 현재시간과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번호가 조합되어 생성된 OTP(One-Time Password)이고,
상기 식별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NFC 태그 및 RFID 태그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기업에 소속된 사용자의 단말인 기업 단말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명함포맷은 상기 기업의 CI(Corporate Identity) 이미지를 포함하는 명함포맷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 데이터는 상기 기업 단말의 인사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 자동 완성 및 실시간으로 변경사항을 업데이트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이 상기 피교부자 단말(400)로 전송될 때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전송 및 상기 피교부자 단말(400)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GPD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또는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에 포함된 고유식별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 내에서 삭제되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 내에서 상기 고유식별정보의 영구삭제를 실시하는 영구삭제부(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교부자 단말(4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함을 저장한 경우 이를 회사의 클라우드 시스템 또는 ERP로 연동시켜 업로드하는 봇(Bo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8935A KR102243218B1 (ko) | 2020-07-17 | 2020-07-17 |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8935A KR102243218B1 (ko) | 2020-07-17 | 2020-07-17 |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3218B1 true KR102243218B1 (ko) | 2021-04-22 |
Family
ID=7573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8935A KR102243218B1 (ko) | 2020-07-17 | 2020-07-17 |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3218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3783B1 (ko) * | 2021-06-25 | 2022-10-17 | 김대현 | 명함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102488809B1 (ko) | 2022-07-27 | 2023-01-18 | 주식회사 제이에스모바일 | 모바일 명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WO2023287059A1 (ko) * | 2021-07-14 | 2023-01-19 | 백승윤 | 개인 연락처 노출 방지를 위한 전자명함 서비스 시스템 |
KR102508465B1 (ko) * | 2022-09-27 | 2023-03-09 | 주식회사 제황 | 명함 정보 편집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KR102569561B1 (ko) | 2022-10-25 | 2023-08-21 | 서병구 | 전자명함 생성 및 관리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
KR102670086B1 (ko) | 2023-12-29 | 2024-05-29 | 주식회사 티맥스메타에이아이 | 블록체인 기반 명함 생성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33744A (ja) * | 2010-05-10 | 2012-07-12 | Sansan Inc | 名刺交換情報処理装置、名刺交換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14170382A (ja) * | 2013-03-04 | 2014-09-18 | Gimme Five株式会社 | 名刺情報管理装置、携帯端末、名刺情報管理システム、名刺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KR20140146030A (ko) * | 2014-12-03 | 2014-12-24 | 주식회사 페타정보기술 | 기업 명함관리 솔루션 시스템, 그리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
2020
- 2020-07-17 KR KR1020200088935A patent/KR1022432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33744A (ja) * | 2010-05-10 | 2012-07-12 | Sansan Inc | 名刺交換情報処理装置、名刺交換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14170382A (ja) * | 2013-03-04 | 2014-09-18 | Gimme Five株式会社 | 名刺情報管理装置、携帯端末、名刺情報管理システム、名刺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KR20140146030A (ko) * | 2014-12-03 | 2014-12-24 | 주식회사 페타정보기술 | 기업 명함관리 솔루션 시스템, 그리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3783B1 (ko) * | 2021-06-25 | 2022-10-17 | 김대현 | 명함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
WO2023287059A1 (ko) * | 2021-07-14 | 2023-01-19 | 백승윤 | 개인 연락처 노출 방지를 위한 전자명함 서비스 시스템 |
KR102488809B1 (ko) | 2022-07-27 | 2023-01-18 | 주식회사 제이에스모바일 | 모바일 명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KR102508465B1 (ko) * | 2022-09-27 | 2023-03-09 | 주식회사 제황 | 명함 정보 편집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KR102569561B1 (ko) | 2022-10-25 | 2023-08-21 | 서병구 | 전자명함 생성 및 관리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
WO2024090822A1 (ko) * | 2022-10-25 | 2024-05-02 | 서병구 | 전자명함 생성 및 관리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
KR102670086B1 (ko) | 2023-12-29 | 2024-05-29 | 주식회사 티맥스메타에이아이 | 블록체인 기반 명함 생성 방법 및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3218B1 (ko) |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US10348726B2 (en) | Online identity verification platform and process | |
US11423205B2 (en) | Font personalization | |
CN106850392B (zh) | 消息处理方法及装置、消息接收方法及装置 | |
US9177168B2 (en) | Method of modifying access control for web services using query languages | |
US10110521B2 (en) |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 |
US9881322B2 (en) | Data transfer between mobile computing devices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s | |
JP7538949B2 (ja) | ユーザー介入をトリガーするグループベー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を介したアプリケーション間データ交換 | |
US20140164249A1 (en) |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authent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nd analysis | |
EP3695339A1 (en) | Method and system for asynchronous traceable data shar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 |
RU2576495C2 (ru) |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глобальной службы каталогов | |
CN102576425A (zh) | 信息更新系统 | |
WO2009090858A1 (ja) |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 |
US11516196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entities | |
DE102021205259A1 (de) | Erstellung von beschränkten mobilen konten | |
KR20210110597A (ko) | 디지털 식별성 관리 장치 | |
CN109325366A (zh) | 基于联盟链的业务处理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EP394872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irectory decentralization | |
CA312133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identity creation and assertion | |
KR20150010644A (ko) | 명함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 플랫폼 | |
US892452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updated information with known users | |
KR102569561B1 (ko) | 전자명함 생성 및 관리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 |
CN104243597A (zh) | 一种基于wlan环境下的名片发放收集系统及方法 | |
Darnell et al. | 3 stages of a pan-african identity framework for establishing self-sovereign identity with blockchain | |
US7242927B2 (en) | Establishing special relationships between mobile devi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