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803B1 - 통신 장애 지역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장애 지역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803B1
KR102241803B1 KR1020190085204A KR20190085204A KR102241803B1 KR 102241803 B1 KR102241803 B1 KR 102241803B1 KR 1020190085204 A KR1020190085204 A KR 1020190085204A KR 20190085204 A KR20190085204 A KR 20190085204A KR 102241803 B1 KR102241803 B1 KR 102241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termining
area
aircraf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710A (ko
Inventor
유태준
김동수
원정상
김희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인즈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인즈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인즈랩
Priority to KR102019008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8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8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17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36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or carrier-to-interference ratio [C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를 알고 있는 대상체와의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을 이용하여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대상체와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에서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경로 상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체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대상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애 지역이 표시된 지도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장애 지역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AREAS OF COMMUNICATION DISRU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 경로를 알고 있는 대상체와의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을 이용하여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공 관제 시스템과 같이 조종 주체와 관제 주체 간의 긴밀한 통신이 이루어져야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교신은 중요성은 매우 높다.
특히 항공기의 경우 잘못된 관제나 늦은 관제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경우 승객들의 생존률이 높지 않다는 점에서 정확한 음성 교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것이다.
한편 음성 교신에 있어서 지리적 특성 등에 의한 노이즈가 교신에 포함되어 정확한 메시지의 전달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노이즈는 동일한 장소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에, 종래기술에 따르면 해당 위치들을 개별적으로 기록하여 관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개별적으로 위치를 기록하는 것은 번거로울뿐만 아니라, 사후적으로 노이즈 발생 위치를 기록하는데 그칠 뿐이라서 그 활용 면에서 한계점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대상체와의 음성 교신 이력과 대상체의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통신 장애 지역을 자동으로 결정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대상체로부터 결정된 통신 장애 지역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장애 상황에 미리 대처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체와 관련된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를 알고 있는 대상체와의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을 이용하여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대상체와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에서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경로 상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체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대상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애 지역이 표시된 지도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 중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노이즈를 포함하는 음성 교신 이력을 상기 노이즈 이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 각각의 수신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경로 상에서 상기 확인된 수신 시간에서의 상기 대상체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는 복수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방법은 상기 복수의 대상체 각각에 대해서 상기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대상체 각각에 대해서 추출된 위치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도를 제공하는 단계는 표시 대상 공간에 대한 지리적 정보를 나타내는 지도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애 지역에 대응되는 도형이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체와의 음성 교신 이력과 대상체의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통신 장애 지역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대상체로부터 결정된 통신 장애 지역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장애 상황에 미리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와 관련된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 관리 시스템의 예시로써 항공기 관제 시스템(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에 구비되는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항공기(400)와의 음성 교신 이력을 지도상에 대응시켜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복수의 항공기로부터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화면(600)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 장애 지역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 관리 시스템의 예시로써 항공기 관제 시스템(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관제 시스템(10)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관제탑(310), 송수신 장치(320), 통신망(330) 및 항공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 관리 시스템은 이동 경로를 알고 있는 대상체와의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을 이용하여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체'는 사람에 의해 조종되어 이동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에서 대상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400)를 의미할 수도 있고, 선박, 자동차, 특수장비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상체가 항공기(400)임을 전제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대상체의 '이동 경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대상체의 위치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대상체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400)인 경우, 이동 경로는 항공기(400)의 항로 또는 비행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대상체가 항공기(400)인 경우 이동 경로는 항공기(400)에 의해 수집될 수도 있고, 항공기(400)를 관제하는 관제 시스템에 의해 수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음성 교신'은 대상체의 조종 주체와 대상체를 관제하는 관제 주체 간의 음성을 통한 정보의 송수신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대상체가 항공기(400)인 경우 음성 교신은 항공기(400)의 조종사와 공항의 관제사 간의 음성을 통한 정보의 송수신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통신 장애 지역'은 상술한 음성 교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공간상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뿐만 아니라, 통신은 가능하지만 노이즈 등으로 인해 방해받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소정의 원인으로 의해 발생된 노이즈에 의해 항공기 조종사가 수신한 음성 교신 내용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상태가 음성 교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로부터 항공기 관제 시스템(10) 주변의 통신 장애 지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200)은 관제사의 조작에 따라, 공항 근처의 통신 장애 지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관제사에게 제공(또는 표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
바꾸어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서버(100)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서버(100)를 매개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201, 202, 203)을 의미할 수도 있고, 컴퓨터(204)를 의미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콘텐츠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이러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입력수단 및 표시수단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입력수단은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버튼,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탑(310), 송수신 장치(320) 및 통신망(330)은 항공기 관제 시스템(10)의 예시적인 구성으로 도시된것으로, 대상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대상체 관리 시스템은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것 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대상체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가 병합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더욱 세분화된 형태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관제탑(310)은 전술한 사용자 단말(200)과 그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로써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가령 관제탑(310)은 항공기(400)의 관제를 위한 관제사가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관제 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320)는 항공기(400)와 음성 교신을 비롯한 다양한 통신을 위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통신망(330)은 대상체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통신망(330)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대상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결과로부터 분석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이동 경로를 알고 있는 대상체와의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을 이용하여 항공기 관제 시스템(10) 주변의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대상체인 항공기(400)와의 음성 교신 이력을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도 있고, 이때 항공기(400)의 운항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서버(100)의 역할은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에 구비되는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대상체의 이동 경로 및 대상체와의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을 이용하여 항공기 관제 시스템(10) 주변의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통신부(111), 제어부(112) 및 메모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입/출력부, 프로그램 저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1)는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가 사용자 단말(200)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112)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13)는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메모리(113)는 항공기(400)의 이동 경로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고, 항공기(400)와의 음성 교신 이력을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의 제어부(112)가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항공기(400)와의 음성 교신 이력을 지도상에 대응시켜 표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항공기(400)가 도 3의 좌측에서부터 도 3의 우측에 위치하는 항공기 관제 시스템(1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도상에 표시된 각 지점(PA1 내지 PA28)에서 음성을 항공기 관제 시스템(10)으로 송신하였음을 전제로 설명한다. 또한 일부 지점(PA1 내지 PA5 및 PA12 내지 PA15)에서 항공기(400)가 송신한 음성에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음을 전제로 설명한다.
상술한 전제 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항공기(400)와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에서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12)는 전술한 전제에 따라, 지점(PA1 내지 PA5 및 PA12 내지 PA15)에서 항공기(400)가 송신한 음성 교신 이력을 노이즈 이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 중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노이즈를 포함하는 음성 교신 이력을 '노이즈 이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조건은 교신 내용에 대응되는 신호(또는 음성에 대응되는 신호)의 세기에 대한 노이즈에 대응되는 신호의 세기의 비율이 소정의 임계 비율 이상인 조건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조건은 노이즈에 대응되는 신호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와 유사한 조건이거나, 노이즈에 대응되는 신호가 특정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조건일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조건들은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항공기(400)의 이동 경로 상에서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 각각에 대응되는 항공기(400)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항공기(400)의 음성 교신 이력을 지도상에 대응시켜 표시한 것으로, 실제 항공기(400)와의 음성 교신 이력은 음성 내용과 수신 시점만을 포함할 뿐, 해당 음성의 송신 위치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어있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항공기(400)의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특정 시각에서의 항공기(400)의 위치를 확인하여 노이즈 이력 각각에 대응되는 항공기(400)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바꾸어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 각각의 수신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수신 시간에서의 항공기(400)의 위치를 이동 경로상에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항공기(400)의 이동 경로는 실시간으로 수신될 수도 있고, 항공기(400)의 운항이 완료된 이후에 사후적으로 획득될 수도 있다. 항공기(400)의 이동 경로가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예시에서, 제어부(112)는 항공기(400)로부터 그 위치를 수신할 수도 있고, 항공기 관제 시스템(10)에 구비되는 별도의 감지 장비(예를 들어 레이더)로부터 항공기(400)의 위치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복수의 항공기에 대해서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바꾸어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복수의 항공기 각각에 대해서 상술한 과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위치'는 때때로 항공기(400)가 노이즈 이력을 송신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기초하여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장애 지역 결정의 기초가 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는 단일 항공기로부터 결정된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복수의 항공기로부터 결정된 것, 즉 복수의 항공기 각각에 대해서 추출된 위치들을 모두 합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4는 복수의 항공기로부터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항공기(400)의 음성 교신 이력으로부터 결정된 위치(PA12 내지 PA15)에 인접하여 다른 항공기에 의해 결정된 위치(PB6, PC7 내지 PC9 및 PD12)가 기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복수의 항공기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위치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규칙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가령 소정의 규칙은 위치의 유사성에 따라 복수의 위치를 그룹화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임계 거리 이내인 위치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결정하는 규칙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규칙은 전술한 예시와 같이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임계 거리 이내인 위치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결정하되, 해당 장소의 지형지물을 고려하여 위치들을 그룹화 하는 규칙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령 특정 지점이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임계 거리 이내에 있더라도, 해당 특정 지점과 중심 지점 사이에 두 지점을 구분하는 지형이나 물체가 있는 경우 해당 특정 지점이 중심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그룹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규칙은 대상체의 경로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해당 위치가 추출된 이유(즉 노이즈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에서, 제어부(112)는 중심 위치(PA14)를 중심으로 나머지 위치(PA12, PA13, PA15, PB6, PC7 내지 PC9 및 PD12)가 소정의 임계 거리 이내인 것으로 판단하여, 위치(PA12 내지 PA15, PB6, PC7 내지 PC9 및 PD12)를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을 각각의 그룹에 대응되는 통신 장애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12)는 위치(PA12 내지 PA15, PB6, PC7 내지 PC9 및 PD12)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해서, 모든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510)을 해당 그룹에 대응되는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12)는 각 그룹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위치들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중심 위치에서 가장 멀리 존재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에 대응되는 영역을 통신 장애 지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방식은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서 결정된 통신 장애 지역이 표시된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12)는 사용자 단말(200)에 통신 장애 지역에 대응되는 영역이 표시된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표시 대상 공간에 대한 지리적 정보를 나타내는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각각의 그룹에 대응되는 통신 장애 지역이 먼저 제공된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화면(600)의 예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표시 대상 공간에 대한 지리적 정보를 나타내는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각 그룹에 대응되는 통신 장애 지역을 나타내는 도형(610, 620, 630)을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2)는 지도에서의 각 그룹의 위치를 고려하여, 각 도형(610, 620, 630)이 적절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표시된 지도 상의 어느 하나의 항공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해당 항공기에 대한 세부 정보가 더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화면(600)의 중앙에 있는 항공기(410)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12)는 해당 항공기의 세부 정부가 표시되는 윈도우(7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윈도우(710)에는 선택된 항공기의 편명, 노선 정보, 상태정보 및 교신 이력이 표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항공기와의 음성 교신 이력을 텍스트화 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시되도록(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 장애 지역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하되,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항공기(400)와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에서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을 결정할 수 있다. (S61) 가령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전술한 도 3에서의 전제에 따라, 지점(PA1 내지 PA5 및 PA12 내지 PA15)에서 항공기(400)가 송신한 음성 교신 이력을 노이즈 이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 중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노이즈를 포함하는 음성 교신 이력을 '노이즈 이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조건은 교신 내용에 대응되는 신호(또는 음성에 대응되는 신호)의 세기에 대한 노이즈에 대응되는 신호의 세기의 비율이 소정의 임계 비율 이상인 조건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조건은 노이즈에 대응되는 신호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와 유사한 조건이거나, 노이즈에 대응되는 신호가 특정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조건일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조건들은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항공기(400)의 이동 경로 상에서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 각각에 대응되는 항공기(400)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S62)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항공기(400)의 음성 교신 이력을 지도상에 대응시켜 표시한 것으로, 실제 항공기(400)와의 음성 교신 이력은 음성 내용과 수신 시점만을 포함할 뿐, 해당 음성의 송신 위치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어있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항공기(400)의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특정 시각에서의 항공기(400)의 위치를 확인하여 노이즈 이력 각각에 대응되는 항공기(400)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바꾸어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 각각의 수신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수신 시간에서의 항공기(400)의 위치를 이동 경로상에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항공기(400)의 이동 경로는 실시간으로 수신될 수도 있고, 항공기(400)의 운항이 완료된 이후에 사후적으로 획득될 수도 있다. 항공기(400)의 이동 경로가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예시에서,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항공기(400)로부터 그 위치를 수신할 수도 있고, 항공기 관제 시스템(10)에 구비되는 별도의 감지 장비(예를 들어 레이더)로부터 항공기(400)의 위치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복수의 항공기에 대해서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바꾸어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복수의 항공기 각각에 대해서 상술한 과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위치'는 때때로 항공기(400)가 노이즈 이력을 송신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기초하여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S63) 이때 통신 장애 지역 결정의 기초가 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는 단일 항공기로부터 결정된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복수의 항공기로부터 결정된 것, 즉 복수의 항공기 각각에 대해서 추출된 위치들을 모두 합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4는 복수의 항공기로부터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항공기(400)의 음성 교신 이력으로부터 결정된 위치(PA12 내지 PA15)에 인접하여 다른 항공기에 의해 결정된 위치(PB6, PC7 내지 PC9 및 PD12)가 기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복수의 항공기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위치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규칙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가령 소정의 규칙은 위치의 유사성에 따라 복수의 위치를 그룹화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임계 거리 이내인 위치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결정하는 규칙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규칙은 전술한 예시와 같이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임계 거리 이내인 위치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결정하되, 해당 장소의 지형지물을 고려하여 위치들을 그룹화 하는 규칙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령 특정 지점이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임계 거리 이내에 있더라도, 해당 특정 지점과 중심 지점 사이에 두 지점을 구분하는 지형이나 물체가 있는 경우 해당 특정 지점이 중심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그룹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규칙은 대상체의 경로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해당 위치가 추출된 이유(즉 노이즈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에서,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중심 위치(PA14)를 중심으로 나머지 위치(PA12, PA13, PA15, PB6, PC7 내지 PC9 및 PD12)가 소정의 임계 거리 이내인 것으로 판단하여, 위치(PA12 내지 PA15, PB6, PC7 내지 PC9 및 PD12)를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을 각각의 그룹에 대응되는 통신 장애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가령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위치(PA12 내지 PA15, PB6, PC7 내지 PC9 및 PD12)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해서, 모든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510)을 해당 그룹에 대응되는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각 그룹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위치들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중심 위치에서 가장 멀리 존재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에 대응되는 영역을 통신 장애 지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방식은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서 결정된 통신 장애 지역이 표시된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S64) 가령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200)에 통신 장애 지역에 대응되는 영역이 표시된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표시 대상 공간에 대한 지리적 정보를 나타내는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각각의 그룹에 대응되는 통신 장애 지역이 먼저 제공된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화면(600)의 예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표시 대상 공간에 대한 지리적 정보를 나타내는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각 그룹에 대응되는 통신 장애 지역을 나타내는 도형(610, 620, 630)을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지도에서의 각 그룹의 위치를 고려하여, 각 도형(610, 620, 630)이 적절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표시된 지도 상의 어느 하나의 항공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해당 항공기에 대한 세부 정보가 더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화면(600)의 중앙에 있는 항공기(410)를 선택한 경우,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해당 항공기의 세부 정부가 표시되는 윈도우(7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윈도우(710)에는 선택된 항공기의 편명, 노선 정보, 상태정보 및 교신 이력이 표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110)는 항공기와의 음성 교신 이력을 텍스트화 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시되도록(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항공기 관제 시스템
100: 서버
110: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
111: 통신부
112: 제어부
113: 메모리
200: 사용자 단말
310: 관제탑
320: 송수신 장치
330: 통신망
400: 항공기

Claims (7)

  1. 통신 장애 지역 결정 장치가, 이동 경로를 알고 있는 복수의 대상체와의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을 이용하여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상체와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에서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경로 상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대상체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복수의 대상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애 지역이 표시된 지도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대상체 각각에 대해서 추출된 위치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 하는 단계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 중 제1 그룹은 제1 대상체의 이동 경로로부터 추출된 제1 위치와 제2 대상체의 이동 경로로부터 추출된 제2 위치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장애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장애 지역 결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음성 교신 이력 중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노이즈를 포함하는 음성 교신 이력을 상기 노이즈 이력으로 결정하는, 통신 장애 지역 결정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노이즈 이력 각각의 수신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경로 상에서 상기 확인된 수신 시간에서의 상기 대상체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장애 지역 결정 방법.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도를 제공하는 단계는
    표시 대상 공간에 대한 지리적 정보를 나타내는 지도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애 지역에 대응되는 도형이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장애 지역 결정 방법.
  7. 컴퓨터를 이용하여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85204A 2019-07-15 2019-07-15 통신 장애 지역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41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204A KR102241803B1 (ko) 2019-07-15 2019-07-15 통신 장애 지역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204A KR102241803B1 (ko) 2019-07-15 2019-07-15 통신 장애 지역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710A KR20210008710A (ko) 2021-01-25
KR102241803B1 true KR102241803B1 (ko) 2021-04-19

Family

ID=7423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204A KR102241803B1 (ko) 2019-07-15 2019-07-15 통신 장애 지역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8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855B1 (ko) * 2007-11-13 2008-10-2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음영지역 분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5190945A (ja) 2014-03-28 2015-11-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生成装置、通信装置、情報生成方法、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78657A (ja) * 2015-10-21 2017-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支援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704B1 (ko) * 1998-08-19 2000-12-01 윤종용 음영지도 작성을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4771A (ko) * 2010-08-10 2012-02-20 (주)와이드넷 엔지니어링 무선 단말기의 통신 이상 및 오류 시 애프터 서비스 방법
KR101220527B1 (ko) * 2011-03-02 2013-01-21 한국과학기술원 센서 시스템, 이를 이용하는 환경 지도 작성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855B1 (ko) * 2007-11-13 2008-10-2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음영지역 분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5190945A (ja) 2014-03-28 2015-11-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生成装置、通信装置、情報生成方法、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78657A (ja) * 2015-10-21 2017-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支援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支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710A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96507A1 (en) Path plan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fligh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7835825B2 (en) Method for improving route and 4D prediction calculations by FMS for ATC tactical instructions
JP3479275B2 (ja) 航空経路設定装置及び記録媒体
CN111406278A (zh) 自主车辆模拟系统
US20190041233A1 (en) Optimized flight plan ensuring an available landing location within glide range
CN106373434A (zh) 无人机管制装置及管制方法
US7937191B2 (en) Termination secured route planning
KR102211292B1 (ko) 그리드 기반 지오펜싱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79135A1 (en) Autonomous Driving System and Method of Vehicle Using V2x Communication
CN109284522B (zh) 用于提供可视化帮助的系统和方法
US20190164433A1 (en) System for distributed flight management capability
US10147327B2 (en) Method for integrating a constrained route(s) optimization application into an avionics onboard system with open architecture of client server type
US11590970B2 (en) Deadlock detec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eadlock dete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2241803B1 (ko) 통신 장애 지역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10190529A1 (en) Adaptive, imitative navigational assistance
KR102467475B1 (ko) 상용 드론에 대한 무선 통신 성능을 평가하는 평가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20184316A (ja) 都市航空ビークルの航法性能
EP3489783A1 (en) System for distributed flight management capability
CN115583254A (zh) 路径规划方法、装置、设备以及自动驾驶车辆
CN114299758A (zh) 车辆控制方法及装置、设备、介质和产品
KR20190111613A (ko) 무인비행장치 운용가능 공역 결정 방법
CN114630269A (zh) 信号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84182A (ko) 사고 발생패턴 분석을 통한 사고 취약지 분석 장치 및 방법
JP2020150513A (ja) 携帯端末制御方法、携帯端末制御装置、プログラム
KR102541625B1 (ko) 통신 셀의 커버리지를 판정하는 판정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