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400B1 - 상태 정보에 따라 카드 컨텐츠의 표시 방식을 변경시키는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상태 정보에 따라 카드 컨텐츠의 표시 방식을 변경시키는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400B1
KR102241400B1 KR1020140006629A KR20140006629A KR102241400B1 KR 102241400 B1 KR102241400 B1 KR 102241400B1 KR 1020140006629 A KR1020140006629 A KR 1020140006629A KR 20140006629 A KR20140006629 A KR 20140006629A KR 102241400 B1 KR102241400 B1 KR 102241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card
terminal device
content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676A (ko
Inventor
주종필
신민교
차동욱
박경서
박혜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400B1/ko
Publication of KR2015008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태 정보에 따라 카드 컨텐츠의 표시 방식을 변경시킬 수 있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 장치의 상태를 인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생성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카드 형상의 컨텐츠(Contents)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1상태인 경우에는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제2상태인 경우에는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태 정보에 따라 카드 컨텐츠의 표시 방식을 변경시키는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TERMINAL DEVICE FOR CONVERTING DISPLAY MODE OF CARD CONTENS IN ACCORDANCE WITH STATE INFORM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태 정보에 따라 카드 컨텐츠의 표시 방식을 변경시킬 수 있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싱(Sensing)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 장치가 가로 보기 상태인지 또는 세로 보기 상태인지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한 상태에 따라 카드 컨텐츠의 표시 방식을 변경할 수 있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SNS 컨텐츠(사진, 동영상, 텍스트, 댓글 등), 온라인 커머스(Commerce) 관련 컨텐츠는, 특정 웹페이지 상에서 시간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나열'되는 방식으로 표시되었다. 따라서, 컨텐츠의 양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웹 페이지의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었고, 컨텐츠가 시간 순서로 나열되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오래된 컨텐츠들이 새로운 컨텐츠들에 밀려서 접근성을 상실하게 되었다. 또한, 작성된 컨텐츠들을 작성 시간 순서 이외의 방식으로 관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이에 따라, 카드 형상 프레임(Frame)을 이용하여, 독립적이고 완결된 형태로 SNS 컨텐츠, 온라인 커머스 컨텐츠 등을 제공하는 소위 '소셜 카드(Social Card)'가 제안되었다. 여기서 상기 '소셜 카드'란,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 및 뒷면에 컨텐츠들을 매핑(Mapping, 프레임 상의 일정 영역에 대응시켜 표시하는 의미로 사용함)시킨 뒤에, 상기 카드 형상 프레임을 매개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소셜 카드의 예시를 살펴볼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특히 카드 형상 프레임의 뒷면에 컨텐츠를 매핑시키는 기술이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상기 소셜 카드를 단말 장치상에서 적절하게 표시하는 기술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소셜 카드 표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상태 정보에 따라 카드 형상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의 상태를 인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생성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카드 형상의 컨텐츠(Contents)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1상태인 경우에는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제2상태인 경우에는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상기 제1상태가 세로 보기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가 가로 보기 상태이거나, 또는 상기 제1상태가 가로 보기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가 세로 보기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단말 장치가 제2상태인 경우, 병렬적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Frame)을 이용하여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단말 장치가 제2상태인 경우,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매핑되는 컨텐츠들을 재배치한 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단말 장치가 제2상태인 경우,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를 추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단말 장치가 제1상태인 경우, 단일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장치는, 단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에 따라 제1 UI(User Interface) 또는 제2 UI를 구현하는 UI 데이터가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되도록 하는 UI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UI는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UI는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단말 장치의 상태에 따라 카드 컨텐츠의 표시 방법을 변경시키는 UI(User Interface) 데이터를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관리 장치; 및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UI를 구현하고, 제2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UI를 구현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표시 방법은, (a) 단말 장치가 센싱(Sensing)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말 장치가 인식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카드 형상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장치는, 제1상태인 경우에는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제2상태인 경우에는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관리 방법은, (a) 관리 장치가 카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데이터를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말 장치가 전송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UI를 구현하고, 제2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UI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상에 살핀 상기 '카드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상기 '카드 컨텐츠 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된 뒤에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거나, 프로그램 다운로드 관리 장치(서버 등)를 통해 배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상태 정보에 따라 소셜 카드의 표시 방식을 전환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단말 장치가 세로 보기 상태인 경우에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가로 보기 상태인 경우에는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단말 장치의 상태에 최적화된 형태로 '카드의 뒷면에 매핑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셜 카드에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s)를 추가로 매핑시킬 수도 있으며, 단말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히든 컨텐츠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드 형상 프레임(Frame)을 이용하여 독립적이고 완결된 형태로 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카드 형상 프레임의 공간상의 제약에서 벗어나 추가적인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카드 컨텐츠의 예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가 세로 보기 상태에서 카드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가 가로 보기 상태에서 카드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 관리 장치, 카드 컨텐츠 관리 시스템, 카드 컨텐츠 표시 방법, 카드 컨텐츠 관리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를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상기 단말 장치(100)의 상태에 따라 카드 형상의 컨텐츠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100)의 상태가 '가로 보기 상태'인지 또는 '세로 보기 상태'인지에 따라 '카드 형상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식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IT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카드 컨텐츠', '카드 형상의 컨텐츠', '카드 형상 프레임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 등의 표현은,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구현되는 카드 형상 프레임(Frame, 기본골격, 기본구조)을 이용하여 사진, 텍스트, 동영상, 댓글, 링크 정보 등을 표시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카드 형상 프레임(Frame)의 '앞면' 및 '뒷면'에 다양한 정보들을 매핑(Mapping)한 뒤에 표시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또한, '세로 보기 상태'란, 도 2와 같이 단말 장치(100)의 길이 방향(예컨대,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는 장변과 평행한 방향, 타원 형상인 경우는 장축의 방향 등)을 컨텐츠 표시의 상하측 방향으로 설정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세로 보기 상태는, 단말 장치(100)의 길이 방향(예컨대,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는 장변과 평행한 방향, 타원형상인 경우는 장축의 방향 등)이 중력 방향으로 놓였는지 여부를 조사하거나, 사용자의 안구를 인식한 정보를 바탕으로 판별될 수 있다.
또한, '가로 보기 상태'란, 도 3 또는 4와 같이 단말 장치(1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예컨대,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에는 단변과 평행한 방향, 타원 형상인 경우에는 단축의 방향 등)을 컨텐츠 표시의 상하측 방향으로 설정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가로 보기 상태 역시 중력 방향을 조사하거나 사용자의 안구를 인식한 정보를 바탕으로 판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단말 장치(100)가 세로 보기 상태에서 카드 형상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단말 장치(100)는 세로 보기 상태에서 단일의 카드 형상 프레임만을 이용하여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뿐 아니라 뒷면에도 정보들이 매핑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말 장치(100)는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장치(100)로 입력되는 입력 정보에 따라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 또는 뒷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일정 주기로 카드 형상 프레임이 회전시켜 앞면 또는 뒷면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상기 단말 장치(100)가 가로 보기 상태에서 카드 형상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먼저,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단말 장치(100)는 가로 보기 상태에서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100)는, '병렬적으로 나열(좌우 나열)되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직사각형(일반적으로 세로가 가로보다 긴 직사각형)과 유사한 카드 형상 프레임의 특성상, 세로 보기 상태에서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가시적인 크기로 나열하기가 어려웠지만, 가로 보기 상태에서는 프레임의 크기를 살짝 줄이기만 하면 복수의 프레임을 나열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100)는, 가로 보기 상태에서 카드 형상 프레임을 해체하고,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되어 있던 컨텐츠들을 재배치한 뒤에 표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100)는, 가로 보기 상태에서 카드 형상 프레임을 제거하고,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추출한 뒤에, 기 설정된 규칙 또는 랜덤한 방식에 따라 컨텐츠들을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 장치(100)가 가로 보기 상태에서 카드 형상 프레임을 해체한 뒤에 컨텐츠들을 재배치한 예시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100)는, 가로 보기 상태에서, 세로 보기 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 않던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s)를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100)는,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 또는 뒷면 상에는 표시되지 않지만, 카드 자체에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히든 컨텐츠를 상대적으로 공간 확보가 용이한 가로 보기 상태에서만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히든 컨텐츠는, 1) '병렬적으로 나열(좌우로 나열)되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컨텐츠들을 표시하는 예시(도 3)에서는, 프레임들 외부의 빈 공간상에 표시(미도시)될 수 있으며, 2) 카드 형상 프레임을 해체한 뒤에 컨텐츠들을 표시하는 예시(도 4)에서는, 다른 컨텐츠 들과 함께 재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1) 상대적으로 공간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일반적으로 카드 형상 프레임은 세로측이 가로측보다 더 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세로 보기 상태에서는 단일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통해 앞면 또는 뒷면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2) 상대적으로 공간 확보가 용이한 가로 보기 상태에서는, '병렬적으로 나열(좌우로 나열)되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거나 '카드 형상 프레임 자체를 해체'하여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들을 통해,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뿐 아니라 '뒷면'을 활용하여 컨텐츠를 표시하되, 단말기의 상태 변화와 연계하여 카드에 매핑되어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컨텐츠들 이외에도 소위 '히든 컨텐츠'를 추가로 카드의 식별 정보에 매핑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공간 확보가 용이한 가로 보기 상태에서 이러한 히든 컨텐츠를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카드 형상 프레임의 공간적인 제약에 구속되지 않으면서, 단말 장치(100)의 상태 정보와 연계하여 추가적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는 카드 형상 프레임이 '가로측이 세로측보다 더 긴 직사각형 형상' 또는 '가로측이 장변인 타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반대로 1) '세로 보기 상태'에서, 병렬적으로 나열(상하로 나열)되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거나 또는 카드 형상 프레임을 해체한 뒤에 컨텐츠들을 재배치하여, 카드의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동시에 표시하고, 2) '가로 보기 상태'에서 단일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앞면 또는 뒷면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예시적인 구성부들을 살펴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10), 단말 장치의 상태를 인식하는 센서부(120),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130), 상기 센서부 및 입력부가 생성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카드 형상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 단말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저장부(150),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부(110)는, 다른 단말 장치(100), 관리 장치(서버 등)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을 기초로 카드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통신부(110)는,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규격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10)는, ITU, IEEE, ISO, IEC 등에서 규정하는 다양한 표준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준 통신 모듈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는, 단말 장치(100)의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단말 장치(100)가 '가로 보기 상태'인지 또는 '세로 보기 상태'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120)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안구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회전, 가속도, 속도, 위치, 중력 방향, 사용자의 시각 방향 등을 인식한 뒤에 관련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입력부(130)는, 키패드,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 장치 이외에도 다양한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와 일체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센서부(120) 및 상기 입력부(130)가 생성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카드 형상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단말 장치(100)가 '가로 보기 상태'인지 또는 '세로 보기 상태'인지에 따라,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 또는 뒷면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거나, 카드형상 프레임의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LCD, LE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카드 형상 프레임이 일반적인 형태(세로측이 가로측보다 긴 형태)'인 경우, 1) 세로 보기 상태에서는, 도 2와 같이 단일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2) 가로 보기 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이 병렬적으로 나열(좌우로 나열)되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 4와 같이 카드 형상 프레임을 해체한 뒤에 컨텐츠들을 재배치하여, 카드의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로 보기 상태에서는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히든 컨텐츠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카드 형상 프레임이 '가로측이 세로측보다 더 긴 직사각형 형상' 또는 '가로측이 장변인 타원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반대로 1) 세로 보기 상태에서, 병렬적으로 나열(상하로 나열)되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거나 또는 카드 형상 프레임을 해체한 뒤에 컨텐츠들을 재배치하여, 카드의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동시에 표시하고, 2) 가로 보기 상태에서 단일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컨텐츠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단말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50)는, '카드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UI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부(110)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50)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통신부(110), 상기 센서부(120), 상기 입력부(130),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상기 저장부(150)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다른 전자 장치들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 등의 관리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관리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관리 시스템을 살펴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단말 장치의 상태에 따라 카드 컨텐츠의 표시 방법을 변경시키는 UI(User Interface)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에 전송하는 관리 장치(200), 상기 관리 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UI를 구현하고, 제2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UI를 구현하는 단말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100)는, 상기 관리 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UI를 구현하고, 제2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UI를 구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단말 장치(100)는, 1) 상기 관리 장치(200)와의 최초 연결을 통해 UI 구현을 위한 데이터를 라이브러리 형태로 구축하여, 최초 연결 이후에는 상기 관리 장치(200)와 별도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UI를 자유롭게 구현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2) 상기 관리 장치(200)로부터 실시간으로 UI 구현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상기 관리 장치(200)와 연결된 상태에서만 UI를 구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말 장치(100)는, 위에서 살펴 보았듯이, 입력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등의 구성을 통해 카드 컨텐츠 표시를 위한 UI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100)와 관련된 세부적인 내용들은 위에서 자세하게 살펴보았으므로, 중복 기재를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관리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의 상태에 따라 카드 컨텐츠의 표시 방법을 변경시키는 UI(User Interface)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에 전송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UI 데이터란, 위에서 자세히 살펴본 '카드 컨텐츠 표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기 관리 장치(200)는, 1)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어서 상기 단말 장치(100)에 UI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2) 실시간 서비스 제공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어서 상기 단말 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접속한 상태에서만 UI 구현을 위한 데이터들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 이외에도 상기 단말 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제어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기기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관리 장치(200)가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구성부들을 살펴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 장치(200)는, 단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210),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에 따라 제1 UI 또는 제2 UI를 구현하는 UI 데이터가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되도록 하는 UI 관리부(210), 상기 관리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230), 상기 관리 장치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단말 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단말 장치(100)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을 기초로 UI 구현을 위한 UI 데이터, 다양한 카드 컨텐츠 등의 데이터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규격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210)는, ITU, IEEE, ISO, IEC 등에서 규정하는 다양한 표준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준 통신 모듈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UI 관리부(220)는, 단말 장치(100)의 상태에 따라 카드 컨텐츠가 표시되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UI를 구현하는, UI 데이터(UI 구현을 위한 기초 데이터)가 단말 장치(100)에 전송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UI 관리부(220)는, UI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100)에 전송하여, 상기 단말 장치(100)로 하여금 제1상태에서는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UI를 구현하고, 제2상태에서는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UI를 구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결국, 상기 UI 관리부(220)는, 위에서 자세히 살펴본 '상기 단말 장치(100)의 카드 컨텐츠 표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들을 상기 단말 장치(100)에 전송하는 구성이다.
상기 저장부(230)는, 카드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230)는, 다양한 종류의 카드 컨텐츠 데이터(카드의 식별 정보,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된 정보 등), 카드 컨텐츠를 표시하는 UI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히스토리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230)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통신부(210), 상기 UI 관리부(220), 상기 저장부(230)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장치(2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표시 방법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표시 방법은, 단말 장치가 센싱(Sensing)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a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 이후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인식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카드 형상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b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1상태인 경우에는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제2상태인 경우에는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이러한 카드 컨텐츠 표시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카드 형상 프레임이 '세로측이 가로측보다 더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는 센서부들이 생성하는 센싱(Sensing) 정보를 인식(S10)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가로 보기 상태인지 또는 세로 보기 상태인지를 인식한다.
상기 단말 장치가 세로 보기 상태인 경우(S11-예)에는, 상기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가로 보기 상태인 경우(S11-아니오)에는, 상기 단말 장치는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한다.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표시 방법'은, 카테고리는 상이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세히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단말 장치(100)'와 관련하여 상술한 기술적 특징들은 상기 '카드 컨텐츠 표시 방법'에도 당연히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표시 방법'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전자 장치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거나, 프로그램 제공 서버를 통해 배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관리 방법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관리 방법은, 관리 장치(200)가 카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UI 데이터를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a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 이후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전송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UI를 구현하고, 제2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UI를 구현하는 단계(b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이러한 카드 컨텐츠 관리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카드 형상 프레임이 '세로측이 가로측보다 더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관리 장치는 카드 컨텐츠 표시를 위한 UI 데이터를 단말 장치에 전송(S20)한다.
상기 S20 단계를 통해 UI 데이터를 전송받은 단말 장치는, 센서부들이 생성하는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 장치의 상태를 인식(S21)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가 가로 보기 상태인지 또는 세로 보기 상태인지 여부를 인식한다.
상기 S21 단계를 통해 자신의 상태를 인식한 단말 장치는, 각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는, 세로 보기 상태와 가로 보기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카드 컨텐츠를 표시하는 UI를 구현(S22)한다.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관리 방법'은, 카테고리는 상이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관리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세히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카드 컨텐츠 관리 시스템'과 관련하여 상술한 기술적 특징들은 상기 '카드 컨텐츠 관리 방법'에도 당연히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전자 장치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거나, 프로그램 제공 서버를 통해 배포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단말 장치(PC, 스마트폰, 태블릿, PDA, 노트북 등)를 활용하는 IT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 특히, 컨텐츠의 표시가 필요한 온라인 커머스(Commerce) 분야, 소셜 네트워크(SNS) 분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
100 : 단말 장치 110 : 통신부
120 : 센서부 130 : 입력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200 : 관리 장치
210 : 통신부 220 : UI 관리부
230 : 저장부 240 : 제어부

Claims (12)

  1. 단말 장치의 상태를 인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생성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카드 형상의 컨텐츠(Contents)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1상태인 경우에는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제2상태인 경우에는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 방식으로 동작하며,
    상기 제1상태가 세로 보기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가 가로 보기 상태이거나, 또는 상기 제1상태가 가로 보기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가 세로 보기 상태이며,
    상기 제1상태 및 제2상태 중 상기 센서부를 통해 인식된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 방식이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가로 보기 상태인 경우,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를 추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2상태인 경우, 병렬적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Frame)을 이용하여,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단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에 따라 제1 UI(User Interface) 또는 제2 UI를 구현하는 UI 데이터가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되도록 하는 UI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UI는 제1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2 UI는 제2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며,
    상기 제1상태가 세로 보기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가 가로 보기 상태이거나, 또는 상기 제1상태가 가로 보기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가 세로 보기 상태이며,
    상기 UI 데이터는 상기 제1상태 및 제2상태 중 상기 단말 장치에서 인식된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UI 및 제2 UI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표시 방식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가로 보기 상태인 경우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가 추가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8. 삭제
  9. (a) 단말 장치가 센싱(Sensing)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말 장치가 인식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카드 형상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장치는, 제1상태인 경우에는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제2상태인 경우에는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 방식으로 동작하며,
    상기 제1상태가 세로 보기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가 가로 보기 상태이거나, 또는 상기 제1상태가 가로 보기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가 세로 보기 상태이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상태 및 제2상태 중 상기 센싱 정보를 기초로 인식된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 방식이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가로 보기 상태인 경우,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를 추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카드 컨텐츠 표시 방법.
  10. 삭제
  11. (a) 관리 장치가 카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데이터를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말 장치가 전송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UI를 구현하고, 제2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UI를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태가 세로 보기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가 가로 보기 상태이거나, 또는 상기 제1상태가 가로 보기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가 세로 보기 상태이며,
    상기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제1상태 및 제2상태 중 상기 단말 장치에서 인식된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UI에 따른 표시 방식이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가로 보기 상태에서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를 추가로 표시하는 UI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컨텐츠 관리 방법.
  12. 삭제
KR1020140006629A 2014-01-20 2014-01-20 상태 정보에 따라 카드 컨텐츠의 표시 방식을 변경시키는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241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629A KR102241400B1 (ko) 2014-01-20 2014-01-20 상태 정보에 따라 카드 컨텐츠의 표시 방식을 변경시키는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629A KR102241400B1 (ko) 2014-01-20 2014-01-20 상태 정보에 따라 카드 컨텐츠의 표시 방식을 변경시키는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676A KR20150086676A (ko) 2015-07-29
KR102241400B1 true KR102241400B1 (ko) 2021-04-16

Family

ID=5387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629A KR102241400B1 (ko) 2014-01-20 2014-01-20 상태 정보에 따라 카드 컨텐츠의 표시 방식을 변경시키는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4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076B1 (ko) 2005-04-19 2006-01-24 스미스앤모바일 주식회사 전자책 뷰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KR101045589B1 (ko) 2010-09-15 2011-07-01 주식회사 유비온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컨텐츠의 표시장치 및 그 방법
US20130086480A1 (en) 2011-09-27 2013-04-04 Z124 Calendar application views in portrait dual mod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658B1 (ko) * 2008-11-19 2015-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076B1 (ko) 2005-04-19 2006-01-24 스미스앤모바일 주식회사 전자책 뷰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KR101045589B1 (ko) 2010-09-15 2011-07-01 주식회사 유비온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컨텐츠의 표시장치 및 그 방법
US20130086480A1 (en) 2011-09-27 2013-04-04 Z124 Calendar application views in portrait dual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676A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14138B2 (en)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 dynamic table gauges in collaborative work systems
US10269033B2 (en) Expanded overlay state for campaign performance data snapshot cards
CN104885426A (zh) 触觉信息
WO2013106234A3 (en) Combine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and touch input for a touch screen
CN105573694B (zh) 数字内容的多个显示渲染
US9275398B1 (en) Obtaining metrics for client-side display of content
US20140365873A1 (en) Computing devices for generating content layout
WO20191020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uthenticity of an object
CN108108417A (zh) 跨平台自适应控制的交互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2241400B1 (ko) 상태 정보에 따라 카드 컨텐츠의 표시 방식을 변경시키는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09753198A (zh) 界面访问方法、显示方法、设备、介质
US1083199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ontent developed for access via a network
US10366125B2 (en) Object display system for relationship graph
CN108052677A (zh) 页面处理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03605599B (zh) 云文档的传输状态展示方法及装置
US20160328870A1 (en) Human-machine interface system
CN110347890A (zh) 界面显示方法、设备及存储介质
JP6029843B2 (ja) 地図表示装置
CN108282353A (zh) 浏览信息量统计方法、装置及电子终端
KR102219887B1 (ko)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
CN109844692A (zh) 基于客户端压力配置呈现网络页面的网络服务器
CN105488831A (zh) 一种电子秤票据设计引擎
KR20230171786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3059673A1 (en) Mobile application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on
CN106533983A (zh) 用于数据带宽优化的设备、方法及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