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040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040B1
KR102241040B1 KR1020190116495A KR20190116495A KR102241040B1 KR 102241040 B1 KR102241040 B1 KR 102241040B1 KR 1020190116495 A KR1020190116495 A KR 1020190116495A KR 20190116495 A KR20190116495 A KR 20190116495A KR 102241040 B1 KR102241040 B1 KR 102241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ck
cylinder
ro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780A (ko
Inventor
윤수민
이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6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040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8Terminal board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케이블 커넥터는,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커버의 외면에 형성된 후크; 그리고,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한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한 실린더; 그리고, 상기 커버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와 함께 회전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고,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는 로드; 그리고,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락(lock)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개시는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V, 냉장고, 셋톱박스, 모니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과 같은 다양한 여러 전자장치들은 이들 간에 데이터(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이 존재한다. 케이블의 일단 및 타단이 한 쌍의 케이블 커넥터에 연결됨으로써 케이블 커넥터간에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는 전자장치에 케이블을 연결 및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케이블이 전자장치에 연결된 후에는 견고하게 케이블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들은 케이블을 전자장치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면, 케이블과 전자장치의 결합이 쉽게 해제되는 문제가 있거나, 케이블과 전자장치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면 케이블과 전자장치의 연결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최근, 케이블과 전자장치의 연결이 쉽게 이루어지면서도 이들 간의 연결을 단단히 유지하는 케이블 커넥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착탈이 용이한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커버의 외면에 형성된 후크; 그리고,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한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한 실린더; 그리고, 상기 커버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와 함께 회전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고,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는 로드; 그리고,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락(lock)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락은, 상기 로드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락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락들은 상기 로드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락은: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기 로드의 직경방향에서 벽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슬라이딩면;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딩면과 예각인 벽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가이딩면;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면에 대하여 상기 로드의 축방향에서 벽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스토핑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와 마주하는 터미널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는: 길게 연장된 평판부; 상기 평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걸림홀; 그리고, 상기 평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가 삽입되는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홀은: 상기 평판부의 일면에 대하여 둔각을 형성하는 가이드면; 상기 가이드면에 대하여 둔각을 형성하는 삽입면; 그리고, 상기 평판부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평판부의 일면과 나란한 걸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상기 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가 회전하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은, 상기 가이딩면이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의 상기 가이드면을 미끌어지면서 상기 헤드 및 실린더가 회전하여 상기 헤드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딩면이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의 상기 삽입면을 지난후 상기 슬라이딩면이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의 상기 걸림면과 마주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락의 슬라이딩면과 상기 고정홀의 걸림면은 1.4mm 이상이 중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락의 슬라이딩면과 상기 고정홀의 걸림면은 1.7mm 이상이 중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후크와 상기 걸림홀의 물림량은 1.2mm 이상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착탈이 용이한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8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넥터(1)는 하우징(10), 그리고 커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일면이 개방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케이블홀(11)을 구비할 수 있고, 케이블(CA)은 케이블홀(11)을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커버(20)는 슬릿(21)을 구비할 수 있고, 케이블(C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팅핀들(미도시)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커버(20)의 슬릿(2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터미널 플레이트(30)는 슬릿(31)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CA)은 터미널 플레이트(30)와 결합되면, 커넥팅핀들(미도시)은 터미널 플레이트(30)의 슬릿(31)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커넥터(1)는 후크(22), 그리고 커플러(40,50)를 구비할 수 있다. 후크(22)는 커버(2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22)는 커버(20)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커넥터(1)의 외측방향으로 굽어질 수 있다.
커플러(40,50)는 실린더(50)와 헤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50)는 바디(51)와 레버(5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51)는 중공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레버(52)는 바디(51)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헤드(40)는 실린더(50)와 연결될 수 있고, 커버(20)를 관통하여 커버(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헤드(40)는 커버(20)에 대하여 실린더(51)와 대향할 수 있다. 커플러(40,50)는 커버(20)에서 회전할 수 있다.
실린더(50)는 고리(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리(53)는 바디(51)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굽어질 수 있다. 고정바(23)는 커버(20)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60)는 고정바(23)와 바디(51)의 고리(53)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60)는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60)는 실린더(51)의 회전에 대하여 원복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헤드(40)는 로드(41), 그리고 락(lock, 42)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41)는 길게 연장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락(42)은 로드(4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락(42)은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로드(4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락(42)은 로드(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로드(4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락(42)은 가이드(43), 슬라이더(44), 그리고 스토퍼(4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43)는 로드(41)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43)는 로드(41)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각도(theta1)를 지닐 수 있다. 각도(theta1)는 예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각도(theta1)는 20도 내지 90도 사이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각도(theta1)는 45도일 수 있다.
슬라이더(44)는 가이드(43)에 대하여 각도(theta2)를 지니며 로드(41)의 직경방향으로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도(theta2)는 예각일 수 있다. 가이드(43)와 슬라이더(44)가 라운딩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운딩 부분(R)은 0.2 mm 일 수 있다. 스토퍼(45)는 슬라이더(44)와 교차하면서 로드(4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더(44)에 대하여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45)는 슬라이더(44)와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43)는 가이딩면(guiding surface, 43)으로, 슬라이더(44)는 슬라이딩면(sliding surface, 44)으로, 스토퍼(45)는 스토핑면(stopping surface, 45) 또는 벽(wall, 45)으로 칭할 수 있다.
락(42)은 제1 락(42a)과 제2 락(4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락(42a)과 제2 락(42b)은 한쌍을 이룰 수 있다. 제1 락(42a)은 제2 락(42b)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제1 락(42a)은 로드(41)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제2 락(42b)과 좌우반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드(41)의 외주면을 따라 움직이는 방향에서, 제1 락(42a)의 가이드(43), 제1 락(42a)의 슬라이더(44), 제1 락(42a)의 스토퍼(45), 제2 락(42b)의 가이드(미도시), 제2 락(42b)의 슬라이더(미도시), 그리고 제2락(42b)의 스토퍼(미도시)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터미널 플레이트(30)는 평판부(32), 걸림부(33), 걸림홀(34), 그리고 고정홀(35)을 포함할 수 있다. 평판부(32)는 길게 연장된 판일 수 있고, 커넥터(10)의 커버(20)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걸림부(33)는 평판부(32)의 일단에서 굽어질 수 있다. 걸림부(33)는 커넥터(10)의 일측 또는 커버(20)의 일단이 걸릴 수 있다.
걸림홀(34)은 걸림부(33)에 인접하여 평판부(3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35)은 평판부(32)의 타단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후크(22)는 걸림홀(34)을 통해 터미널 플레이트(30)에 걸림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크(22)와 터미널 플레이트(30)의 물림량(D1)은 1.2mm일 수 있다.
고정홀(35)은 헤드(40)의 직경방향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고정홀(35)은 가이드면(36), 삽입면(37), 그리고 걸림면(38)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면(36)은 평판부(32)에 대하여 경사를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면(36)은 평판부(32)에 대하여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면(37)은 가이드면(36)에 대하여 경사를 지닐 수 있다. 삽입면(37)은 가이드면(36)에 대하여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걸림면(38)은 삽입면(37)과 연결되면서 평판부(32)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헤드(40)가 고정홀(35)을 통해 삽입되면, 락(42)의 가이드(43)와 고정홀(35)의 가이드면(36)이 맞닿을 수 있다. 락(42)의 가이드(43)가 고정홀(35)의 가이드면(36)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헤드(40)는 회전할 수 있다. 헤드(40)가 회전되면서 실린더(50)가 회전하는데, 탄성부재(60)는 실린더(50)에 원복력을 제공할 수 있다.
락(42)의 가이드(43)가 삽입면(37)을 타고 미끌어지면서 고정홀(35)을 관통할 수 있고, 락(42)의 슬라이더(44)는 고정홀(35)의 걸림면(38) 상에서 미끌어질 수 있다. 이때, 실린더(50) 및 헤드(40)는 반대로 회전하면서 원복될 수 있다. 고정홀(35)의 삽입면(37)이 락(42)의 스토퍼(45)에 닿으면서 실린더(50) 및 헤드(40)의 원복 회전은 멈출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60)는 실린더(50)의 회전을 억제하는 원복력을 제공하고 있어 커넥터(10)는 터미널 플레이트(3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44)와 걸림면(38)의 물림량은 1.4mm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슬러이더(44)와 걸림면(38)의 물림량은 1.7mm일 수 있다.
레버(52, 도 2 참조)에 외력을 가하여 실린더(50)를 회전시켜 커넥터(10)와 터미널 플레이트(3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0)

  1.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커버;
    상기 커버의 외면에 형성된 후크;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한 커플러; 그리고,
    상기 커버와 마주하는 터미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한 실린더; 그리고,
    상기 커버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와 함께 회전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고,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는 로드; 그리고,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락(lock)을 포함하고,
    상기 락은: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기 로드의 직경방향에서 벽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슬라이딩면;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딩면과 예각인 벽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가이딩면;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면에 대하여 상기 로드의 축방향에서 벽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스토핑면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는:
    길게 연장된 평판부
    상기 평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걸림홀; 그리고,
    상기 평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가 삽입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락은,
    상기 로드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락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락들은 상기 로드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는 커넥터.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평판부의 일면에 대하여 둔각을 형성하는 가이드면;
    상기 가이드면에 대하여 둔각을 형성하는 삽입면; 그리고,
    상기 평판부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평판부의 일면과 나란한 걸림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상기 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가 회전하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은,
    상기 가이딩면이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의 상기 가이드면을 미끌어지면서 상기 헤드 및 실린더가 회전하여 상기 헤드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딩면이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의 상기 삽입면을 지난후 상기 슬라이딩면이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의 상기 걸림면과 마주하는 커넥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락의 슬라이딩면과 상기 고정홀의 걸림면은 1.4mm 이상이 중첩되는 커넥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락의 슬라이딩면과 상기 고정홀의 걸림면은 1.7mm 이상이 중첩되는 커넥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와 상기 걸림홀의 물림량은 1.2mm 이상인 커넥터.


KR1020190116495A 2019-09-23 2019-09-23 커넥터 KR102241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495A KR102241040B1 (ko) 2019-09-23 2019-09-23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495A KR102241040B1 (ko) 2019-09-23 2019-09-23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780A KR20210034780A (ko) 2021-03-31
KR102241040B1 true KR102241040B1 (ko) 2021-04-15

Family

ID=7523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495A KR102241040B1 (ko) 2019-09-23 2019-09-23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0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71B1 (ko) * 2010-09-16 2012-01-1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도어트림의 커넥터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36720B (zh) * 2011-12-26 2014-05-01 Acer Inc 電子裝置及其連接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71B1 (ko) * 2010-09-16 2012-01-1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도어트림의 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780A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8569B2 (en) Wire-to-board connector assembly and board-end connector thereof
DK2636105T3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ARTH ELEMENT
US6454592B2 (en) Connector with an improved guide portion for guiding connection the connector and an object to be connected thereto
US10141688B2 (en) Plug connector with resilient engagement element and seal
US9287665B2 (en) Incorrect insertion prevention structure of connector and the connector
US20100233901A1 (en) Co-axial push-pull plug-in connector
US9437953B2 (e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CN109155493B (zh) 连接器
US20170155211A1 (en) Float plate for blind matable electrical cable connectors
US9859652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9553395B2 (en) Connector having a barrel and an end bell
US20180159275A1 (en) Plug connection and set of plug connections
CN108808314A (zh) 连接器组件
CN108072937A (zh) 光学连接器
US9733437B2 (en) Connector comprising a locking device
KR102241040B1 (ko) 커넥터
US3358266A (en) Positive retention disconnectable wire splice
KR101230978B1 (ko) 결합위치 보상용 커넥터
JP7289404B2 (ja) 電気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
JP2016518686A (ja) プラグコネクタ
US7862368B1 (en) Socket assembly
CN105299019A (zh) 锥形保持环
JP4082512B2 (ja) 垂直嵌合コネクタ
KR20220030559A (ko) 레버 타입 커넥터
KR20070006002A (ko) 커넥터의 잠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