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015B1 - Connector using coupler for f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ile using that - Google Patents

Connector using coupler for f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ile using th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015B1
KR102241015B1 KR1020200070858A KR20200070858A KR102241015B1 KR 102241015 B1 KR102241015 B1 KR 102241015B1 KR 1020200070858 A KR1020200070858 A KR 1020200070858A KR 20200070858 A KR20200070858 A KR 20200070858A KR 102241015 B1 KR102241015 B1 KR 102241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connection
pile
coupl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8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린디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린디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린디앤씨
Priority to KR1020200070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0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0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which is a device connecting a first pile and a second pile, comprises: a connection module disposed in the first pile and forming a connection space; and an insertion module disposed in the second pile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The connection module comprises: a cover unit forming the connection space and integrated with concrete of the first pile; a coupler disposed in the connection space, having an insertion space where the insertion module is inserted, and fastened with the insertion module; and a fastening plate disposed in an end part of the first pile for preventing the coupl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space.

Description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CONNECTOR USING COUPLER FOR F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ILE USING THAT}A p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and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ONNECTOR USING COUPLER FOR F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ILE USING THAT}

본 발명은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파일과 제2 파일 간의 연결을 구현하는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and a f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that implements a connection between a first file and a second file, and a f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일반적으로 지반에 토목공사나 건축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지반의 보강을 위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박고 그 위에 기초공사를 시공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civil works or construction works on the ground, concrete piles are installed for reinforcement of the ground and foundation works are constructed on top of them.

이와 같은 콘크리트 파일은 비교적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수직방향 하중에 높은 저항을 하기 때문에 주로 건축물의 기초공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Such concrete piles are widely used mainly for foundation construction of buildings because they are relatively inexpensive to manufacture and have high resistance to vertical loads.

그리고 콘크리트 파일은 지반조건에 따라 박혀 들어가야 하는 깊이가 다르며 파일의 시공길이가 긴 경우 2개 이상의 파일을 이어서 박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concrete piles have different depths to be embedded according to the ground conditions, and if the construction length of the piles is long, two or more piles may be put in succession.

즉 종래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은 콘크리트 파일의 끝단 부에 철강재의 좌판을 설치하여 이를 용접으로 잇는 방식을 채용한다.That is, the joint of the conventional concrete pile employs a method of installing a seat plate of steel material at the end of the concrete pile and connecting it by welding.

이와 같은 용접에 의한 이음방식은 철강재의 좌판을 미리 콘크리트 파일의 끝단부에 부착하게 만들어 지며, 좌판의 유무 및 위치에 따라 상부, 중부 및 하부 연결콘크리트 파일과, 일반 콘크리트 파일과 같은 많은 종류의 파일을 제작, 적재하여야 한다.This welding method is made to attach the steel seat plate to the end of the concrete pile in advance, and depending on the presence and location of the seat plate, there are many types of piles such as concrete piles connected to the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and general concrete pile Must be manufactured and loaded.

상부 연결콘크리트 파일은 하단에 좌판을 설치하여야 하고, 중부 연결콘크리트 파일은 상단과 하단에 좌판을 설치하여야 하며, 하부 연결콘크리트 파일은 상단에 좌판을 연결하여야 하고, 이음을 하지 않는 일반콘크리트 파일은 좌판이 없다.For the upper connected concrete pile, a seat plate should be installed at the bottom, and for the middle connected concrete pile, a seat plate should be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and for the lower connected concrete pile, the seat plate should b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There is no.

그러나 이러한 많은 종류의 콘크리트 파일은 파일제작 공장 및 현장에서 별도의 보관공간 확보가 필요하게 되고, 좌판의 불필요한 재고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for these many types of concrete piles,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eparate storage space at the pile manufacturing plant and sit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ncreases due to unnecessary inventory of the seat plate.

또한 용접에 의한 이음방식은 시공현장에서 용접을 하여야 하므로 이음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시공현장 주변 환경이 열악하므로 완벽한 이음을 기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joint method by welding requires welding at the construction site, it takes a lot of time to connect and the environment around the construction site is poor, so there is a problem that a perfect joint cannot be expected.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6036호(2004.10.19. 등록)에서는 콘크리트 파일용 조인트를 공지하고 있다.Meanwhile,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66036 (registered on October 19, 2004) discloses joints for concrete piles.

그러나, 결속 볼트(50)가 너트(20)의 중심선에 일치하도록 결속해야 하는 시공상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re is a difficulty in construction that the binding bolt 50 must be bound to match the center line of the nut 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일을 이음할 수 있는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to provide a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that allows an operator to easily connect files, and a f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는 제1 파일과 제2 파일 간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파일에 배치되며,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제2 파일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모듈에 연결되는 삽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연결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파일의 콘크리트와 일체화되는 커버부, 상기 연결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삽입모듈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모듈과 체결되는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가 상기 연결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파일의 단부에 배치되는 체결판을 구비할 수 있다.A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onnecting a first file and a second file, comprising: a connection module disposed in the first file and forming a connection space; And an insertion module disposed in the second fil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wherein the connection module forms the connection space and is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of the first pile, A coupler disposed on the connection space and form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insertion module is inserted, and a coupler fastened to the insertion module, and a fastening plate disposed at an end of the first fil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coupler from the connection space. Can be equipp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에 의하면, 시공자가 용이하게 파일을 이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connecting a pile us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builder can easily connect the pile.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1 파일과 제2 파일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의 연결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의 삽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의 볼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의 삽입모듈이 연결모듈에 체결된 것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file and a second file for explaining a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module of a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insertion module of a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description of a bolt portion of a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chematic front view.
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insertion module of the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connection modul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hange, or delete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는 제1 파일과 제2 파일 간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파일에 배치되며,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제2 파일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모듈에 연결되는 삽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연결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파일의 콘크리트와 일체화되는 커버부, 상기 연결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삽입모듈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모듈과 체결되는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가 상기 연결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파일의 단부에 배치되는 체결판을 구비할 수 있다.A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onnecting a first file and a second file, comprising: a connection module disposed in the first file and forming a connection space; And an insertion module disposed in the second fil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wherein the connection module forms the connection space and is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of the first pile, A coupler disposed on the connection space and form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insertion module is inserted, and a coupler fastened to the insertion module, and a fastening plate disposed at an end of the first fil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coupler from the connection space. Can be equipped.

또, 상기 삽입모듈은 상기 제2 파일의 콘크리트와 일체화되며 체결공간을 형성하는 너트부 및 상기 체결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부와 체결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와 체결되는 볼트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module is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of the second pile and includes a nut part forming a fastening space, and a bolt part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pace and fastened to the nut par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fastened to the coupler. I can.

또, 상기 커플러는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볼트부와 체결되는 웨지부, 상기 웨지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가 상기 삽입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er may include a body portion forming the insertion space, a wedge portion fastened to the bolt portion, an elastic portion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wedge portion, and a cover portion preventing the elastic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space. have.

또, 상기 커플러는 상기 연결공간 상에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Further, the coupler may be moved in position by an external force on the connection space.

또,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연결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커플러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커버부로 전달하며, 외력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unit disposed on the connection space to receive an external force from the coupler and transfer it to the cover unit, and buffer the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방법은 제1 파일과 제2 파일 간의 연결을 구현하여 파일을 지반에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지반에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홀 시공 단계; 상기 제1 파일에 일체화된 상기 연결모듈에 상기 제2 파일에 배치된 상기 삽입모듈을 체결하여 상기 제1 파일과 상기 제2 파일을 연결하는 파일 연결 단계; 및 상기 제1 파일과 상기 제2 파일을 상기 천공홀 상에 시공하는 파일 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le on the ground by implementing a connection between a first pile and a second pile, comprising: a drilling hole construction step of forming a drilled hole in the ground; A file linking step of connecting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by fastening the insertion module disposed in the second file to the linking module integrated with the first file; And a pile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the first pile and the second pile on the perforated hole.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1 파일과 제2 파일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file and a second file for explaining a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의 연결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module of a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의 삽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의 볼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3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sertion module of a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description of a bolt portion of a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front view fo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의 삽입모듈이 연결모듈에 체결된 것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insertion module of the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is fastened to the conn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more clearly expres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inferior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simplified or omitt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10)는 제1 파일(P1)과 제2 파일(P2) 간을 연결하는 장치일 수 있다.1 to 4, the file connection device 10 us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evice that connects a first file P1 and a second file P2. .

즉,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10)는 상기 제1 파일(P1)과 상기 제2 파일(P2)을 이음하여 상기 제1 파일(P1)과 상기 제2 파일(P2) 간의 하중 전달을 구현하는 장치일 수 있다.That is, the pile connection device 10 using the coupler connects the first pile P1 and the second pile P2 to transfer the load between the first pile P1 and the second pile P2. It may be a device to implement.

일례로, 상기 제1 파일(P1)과 상기 제2 파일(P2)은 PHC 파일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파일(P1)은 상대적으로 상측에, 상기 제2 파일(P2)은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파일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file P1 and the second file P2 may be PHC files, the first file P1 is relatively upper, and the second file P2 is relatively lower. It may be a file to be placed.

다만, 상기 제1 파일(P1)과 상기 제2 파일(P2)의 배치 위치는 상기 제1 파일(P1)이 상대적으로 하측에, 상기 제2 파일(P2)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파일(P1)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상기 제2 파일(P2)이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겠다.However, the first file P1 and the second file P2 may be disposed at a relatively lower side, and the second file P2 may be disposed at a relatively upper side.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file P1 is disposed at a relatively upper side, and the second file P2 is disposed at a relatively lower side.

일례로,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10)는 상기 제1 파일(P1)과 상기 제2 파일(P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파일(P1)과 상기 제2 파일(P2)을 이음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le connection device 10 using the coupl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e P1 and the second file P2 to connect the first file P1 and the second file P2. can do.

즉,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10)는 상기 제1 파일(P1)의 하단부와 상기 제2 파일(P2)의 상단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파일(P1)과 상기 제2 파일(P2)을 이음하는 구성일 수 있다.That is, the file connection device 10 using the coupler is disposed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file P1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ile P2 to provide the first file P1 and the second file P2. ) May be connected.

일례로,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10)는 상기 제1 파일(P1)에 배치되며, 연결공간(S1)을 형성하는 연결모듈(100) 및 상기 제2 파일(P2)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공간(S1)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모듈(100)에 연결되는 삽입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le connection device 10 using the coupler is disposed in the first file P1, the connection module 100 forming a connection space S1 and the second file P2, The insertion module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S1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100.

즉, 상기 삽입모듈(200)은 상기 연결공간(S1) 상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모듈(100)과 체결됨으로 인해 상기 제1 파일(P1)과 상기 제2 파일(P2)을 이음할 수 있다.That is, the insertion module 200 may connect the first file P1 and the second file P2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S1 and fastened with the connection module 100.

상기 연결모듈(100)은 상기 제1 파일(P1) 상에 복수 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모듈(200)은 상기 연결모듈(10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 파일(P2) 상에 복수 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nection modules 1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irst file P1, and the insertion module 200 may be provided with the second file P2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module 100.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arranged.

여기서, 일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모듈(100)은 상기 연결공간(S1)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파일(P1)의 콘크리트와 일체화되는 커버부(100), 상기 연결공간(S1) 상에 배치되며 상기 삽입모듈(20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S2)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모듈(200)과 체결되는 커플러(120) 및 상기 커플러(120)가 상기 연결공간(S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파일(P1)의 단부에 배치되는 체결판(140)을 구비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connection module 100 forms the connection space S1, and the cover part 100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of the first pile P1, the connection space The coupler 120 and the coupler 120 are disposed on (S1) and form an insertion space S2 into which the insertion module 200 is inserted, and the coupler 120 and the coupler 120 are fastened to the insertion module 200 are the connection space S1 A fastening plate 140 disposed at an end of the first file P1 may be provided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first file P1.

일례로, 상기 커버부(100)는 거푸집 내에 상기 제1 파일(P1)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거푸집 내에 배치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에 의해 상기 제1 파일(P1)의 콘크리트와 일체화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crete forming the first pile P1 is poured into the formwork, the cover part 100 is disposed in the formwork and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of the first pile P1 by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Can be.

일례로, 상기 커버부(100)는 상기 연결공간(S1)을 형성하되, 상기 연결공간(S1) 형성으로 인해 상기 제1 파일(P1)의 단면 손실을 보강하도록 강도가 큰 금속재질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ver part 1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strength to reinforce the cross-sectional loss of the first pile P1 due to the formation of the connection space S1, but the connection space S1 is formed. .

일례로, 상기 커버부(100)는 상기 연결공간(S1)을 형성하는 슬리브(111) 및 상기 연결공간(S1) 상에 상기 제1 파일(P1)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공간(S1)을 커버하는 캡(113)을 구비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ver part 100 prevents the sleeve 111 forming the connection space S1 and the concrete forming the first pile P1 from being poured on the connection space S1. A cap 113 covering the connection space S1 may be provided.

상기 슬리브(111)와 상기 캡(113)은 상호 나사 결합되거나 용접에 의해 일체화 될 수 있다.The sleeve 111 and the cap 113 may be screwed to each other or integrated by welding.

일례로, 상기 커버부(10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ver part 1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여기서, 일례로, 상기 커플러(120)는 상기 삽입모듈(200)과 체결을 구현하는 구성일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coupler 120 may be a component that implements fastening with the insertion module 200.

일례로, 상기 커플러(120)는 상기 연결공간(S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모듈(200)이 삽입/체결되는 삽입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upler 120 may be disposed on the connection space S1, and may form an insertion space S2 into which the insertion module 200 is inserted/fastened.

일례로, 상기 커플러(120)는 상기 삽입공간(S2)을 형성하는 본체부(121), 아래에서 설명될 볼트부(220)와 체결되는 웨지부(123), 상기 웨지부(123)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124) 및 상기 탄성부(124)가 상기 삽입공간(S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upler 120 has an elastic force on the body portion 121 forming the insertion space S2, the wedge portion 123 fastened to the bolt portion 220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wedge portion 123 An elastic part 124 to apply the elastic part 124 and a cover part 122 for preventing the elastic part 12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space S2 may be provided.

일례로, 상기 본체부(121)는 상기 웨지부(123) 및 상기 탄성부(124)가 배치되는 상기 삽입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dy part 121 may form the insertion space S2 in which the wedge part 123 and the elastic part 124 are disposed.

일례로, 상기 본체부(121)는 상기 웨지부(123)가 상기 볼트부(220)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광하협 형상의 상기 삽입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body 121 may form the insertion space S2 having an upper optical lower narrow shape so that the wedge part 123 can be fastened to the bolt part 220.

일례로, 상기 덮개부(122)는 상기 본체부(121)와 나사 결합되거나 용접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ver part 122 may be screwed with the body part 121 or integrated by welding.

일례로, 상기 웨지부(123)는 상기 삽입공간(S2) 상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간(S2) 상으로 삽입되는 상기 볼트부(220)와 체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edge part 123 may be disposed on the insertion space S2 and fastened with the bolt part 22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2.

일례로, 상기 웨지부(123)는 복수 개가 협동하여 하나의 원을 형성하여 볼트부(220)를 체결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wedge portions 123 may cooperate to form one circle to fasten the bolt portion 220.

일례로, 상기 탄성부(124)는 상기 웨지부(123)에 대해 하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구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elastic part 124 may be configur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wedge part 123 in a downward direction.

일례로, 상기 탄성부(124)의 일단은 상기 덮개부(122)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웨지부(123)에 접촉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end of the elastic part 124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ver part 122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art 124 may be in contact with the wedge part 123.

일례로, 상기 탄성부(124)는 스프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elastic part 124 may be a spring.

따라서, 상기 웨지부(123)는 상기 삽입공간(S2) 상에서 하측 방향으로 항시 외력을 받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wedge part 123 may always receive an external force in a downward direction on the insertion space S2.

또한, 일례로, 상기 커플러(120)는 상기 볼트부(220)가 상기 웨지부(123) 내의 상기 삽입공간(S2)에 삽입되기 전, 복수의 상기 웨지부(123)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웨지부(123)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편(125)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before the bolt part 2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2 in the wedge part 123, the coupler 120 may have a plurality of wedge parts 12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xing piece 125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wedge portions 123 may be further provided.

일례로, 상기 고정편(125)은 복수의 상기 웨지부(12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볼트부(220)가 상기 웨지부(123) 상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공간(S2)을 확보하되, 상기 볼트부(220)가 상기 웨지부(123) 상에 삽입되면서 상측 방향으로 밀려 올라감에 따라 상기 웨지부(123)의 상측으로 이탈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xing piece 125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wedge portions 123 to secure the insertion space S2 so that the bolt portion 220 is easily inserted onto the wedge portion 123, As the bolt part 220 is pushed upward while being inserted on the wedge part 123, it may be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wedge part 123.

여기서, 일례로, 상기 체결판(140)은 상기 제1 파일(P1)의 하측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플러(120)가 상기 연결공간(S1)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fastening plate 14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le P1, and the coupler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space S1.

일례로, 상기 체결판(140)은 상기 볼트부(2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H1)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astening plate 140 may form an insertion hole H1 into which the bolt part 220 can be inserted.

일례로, 상기 삽입공(H1)의 크기는 상기 볼트부(220)가 삽입될 수 있되, 상기 커플러(120)가 이탈될 수 없는 크기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ize of the insertion hole H1 may be a size in which the bolt part 220 may be inserted, but the coupler 120 cannot be separated.

일례로, 상기 연결모듈(100)은 상기 제1 파일(P1)의 하측 단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1 보강링(1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on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inforcing ring 150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le P1.

일례로, 상기 제1 보강링(150)은 상기 제1 파일(P1)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와의 정착력이 극대화되도록 요철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reinforcing ring 150 may be provided with irregularities to maximize fixing power with concrete forming the first pile P1.

일례로, 상기 제1 보강링(150)과 상기 체결판(140)은 용접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reinforcing ring 150 and the fastening plate 140 may be integrated by welding.

또한, 일례로, 상기 제1 보강링(150)과 상기 체결판(140)은 거푸집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파일(P1)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first reinforcing ring 150 and the fastening plate 140 may be disposed in a formwork to be integrated by pouring and curing concrete forming the first pile P1.

그 결과, 상기 커플러(120)에 가해지는 외력은 상기 체결판(140) 및 상기 제1 보강링(150)으로 전달될 수 있다.As a result,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upler 120 may be transmitted to the fastening plate 140 and the first reinforcing ring 150.

여기서, 일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모듈(200)은 상기 제2 파일(P2)의 상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insertion module 200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file P2.

일례로, 상기 삽입모듈(200)은 상기 제2 파일(P2)의 콘크리트와 일체화되며 체결공간을 형성하는 너트부(210) 및 상기 체결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부(210)와 체결되며 상기 삽입공간(S2)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120)와 체결되는 볼트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insertion module 200 is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of the second pile (P2) and is inserted into the nut part 210 forming a fastening space and the fastening space to be fastened with the nut part 210, and the insertion A bolt portion 220 inserted into the space S2 and fastened to the coupler 120 may be provided.

일례로, 상기 삽입모듈(200)은 상기 너트부(210)가 상기 제2 파일(P2)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강선(230) 및 상기 제2 파일(P2)의 상측 단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2 보강링(2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insertion module 200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steel wire 2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ile P2 to prevent the nut part 2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pile (P2). A second reinforcing ring 240 may be further provided.

일례로, 상기 강선(230)의 일단은 상기 너트부(21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파일(P2)의 하측단에 정착되어 상기 너트부(210)가 상기 제2 파일(P2)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one end of the steel wire 230 is fastened to the nut part 21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ile P2, so that the nut part 210 is attached to the second pile P2. It can be prevented from deviating to the upper side.

일례로, 상기 제2 보강링(240)은 상기 제2 파일(P2)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와의 정착력이 극대화되도록 요철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reinforcing ring 240 may be provided with irregularities to maximize fixing power with concrete forming the second pile P2.

일례로, 너트부(210), 상기 강선(230) 및 상기 제2 보강링(240)은 거푸집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파일(P2)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nut part 210, the steel wire 230, and the second reinforcing ring 240 may be disposed in a formwork and integrated by pouring and curing concrete forming the second pile P2.

일례로, 상기 볼트부(220)는 상기 너트부(2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lt part 220 may be screwed to the nut part 210.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볼트부(220)에 외력을 가해 상기 볼트부(220)를 상기 너트부(210)에 체결할 수도 있고 상기 너트부(210)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operator may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bolt part 220 to fasten the bolt part 220 to the nut part 210 or separate from the nut part 210.

일례로, 상기 볼트부(220)는 상기 너트부(210)의 상기 체결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너트부(210)와 나사 결합되는 볼트몸체(221), 상기 볼트몸체(22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웨지부(123)와 체결되는 볼트 체결부(222) 및 상기 볼트 체결부(222)로부터 연장되며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지는 볼트머리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bolt part 220 is disposed on the fastening space of the nut part 210 and is a bolt body 221 screwed to the nut part 210, and extends from the bolt body 221, and the A bolt fastening part 222 fastened to the wedge part 123 and a bolt head part 223 extending from the bolt fastening part 222 and having a shape of an upper narrow light may be provided.

일례로, 상기 볼트몸체(221)는 상대적으로 상기 볼트 체결부(222) 및 상기 볼트머리부(223)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For example, the bolt body 221 may have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bolt fastening part 222 and the bolt head 223.

일례로, 상기 볼트머리부(223)는 상대적으로 상기 볼트 연장부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bolt head portion 223 may have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bolt extension portion.

일례로, 볼트머리부(223)는 상기 삽입공간(S2) 상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라운드진 외형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lt head 223 may have a rounded outer shape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2.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삽입모듈(200)이 상기 연결모듈(100)에 체결되는 것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at the insertion module 200 is fastened to the connection module 100.

일례로, 작업자는 상기 볼트부(220)가 상기 삽입공간(S2) 상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웨지부(123)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operator may allow the bolt part 220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2 to be fastened to the wedge part 123.

이 때, 상기 커플러(120)는 상기 연결공간(S1) 상에서 상기 볼트부(220)의 중심선에 대응되도록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upler 120 may be moved in position by an external for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enter line of the bolt part 220 on the connection space S1.

즉, 상기 제1 파일(P1)의 제조 과정에서 상기 커버부(100)와 상기 볼트부(220)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상기 커플러(120)가 상기 연결공간(S1) 상에서 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자는 용이하게 상기 볼트부(220)를 상기 커플러(120)에 삽입시킬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center line of the cover part 100 and the bolt part 220 do not coincid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rst pile P1, the coupler 120 is position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connection space S1. In that it can be moved, the operator can easily insert the bolt part 220 into the coupler 120.

일례로, 상기 커플러(120)는 상기 연결공간(S1) 상에서 외력에 의해 좌우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도 있고, 상하측 방향으로도 위치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upler 120 may be moved in a left-right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on the connection space S1, or may be moved in a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볼트부(220)가 상기 삽입공간(S2) 상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웨지부(123)의 나사산과 상기 볼트 체결부(222)의 나사산이 맞물림에 따라 상기 볼트부(220)는 상기 웨지부(123)와 체결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when the bolt part 2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2, the bolt part ( 220 may be fastened with the wedge part 123.

상기 연결모듈(100)은 상기 연결공간(S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커플러(120)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커버부(100)로 전달하며, 외력을 완충하는 완충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odule 100 is disposed on the connection space S1 to receive an external force from the coupler 120 and transmit it to the cover unit 100, further comprising a buffer unit 130 for buffering the external force. I can.

일례로, 상기 완충부(130)는 고무 패드와 같은 탄성재질 일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100)와 상기 커플러(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ffer unit 13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rubber pad,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ver unit 100 and the coupler 120.

일례로, 상기 완충부(130)는 상기 커플러(120)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커버부(100)로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커플러(120)에 아무런 외력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커플러(120)가 상기 연결공간(S1) 상에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buffer unit 130 receives an external force from the coupler 120 and transmits it to the cover unit 100, and at the same time, when no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oupler 120, the coupler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oscillation on the connection space S1.

또한, 일례로,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10)는 상기 제1 파일(P1)과 상기 제2 파일(P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파일(P1)과 상기 제2 파일(P2)의 부딪힘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패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file connection device 10 using the coupl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e P1 and the second file P2 to provide the first file P1 and the second file P2. 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pad 300 to prevent damage due to the collision of.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10)는 현장에서 별도의 용접 작업 없이 상기 볼트부(220)를 상기 삽입공간(S2) 상에 삽입시키는 한 번의 작업을 통해 용이하게 상기 제1 파일(P1)과 상기 제2 파일(P2)을 이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le connection device 10 us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one-time operation of inserting the bolt part 220 into the insertion space S2 without a separate welding operation in the field.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connect the first file P1 and the second file P2 through the metho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인 파일 시공 방법은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10)를 이용하여 파일을 천공홀에 시공하는 시공 방법일 수 있다.Meanwhile,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struction method of constructing a pile in a perforated hole using the pile connection device 10 using the coupler.

일례로, 상기 파일 시공 방법은 지반에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홀 시공 단계; 상기 제1 파일(P1)에 일체화된 상기 연결모듈(100)에 상기 제2 파일(P2)에 배치된 상기 삽입모듈(200)을 체결하여 상기 제1 파일(P1)과 상기 제2 파일(P2)을 연결하는 파일 연결 단계; 및 상기 제1 파일(P1)과 상기 제2 파일(P2)을 상기 천공홀 상에 시공하는 파일 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includes a perforation hole construction step of forming a perforation hole in the ground; The first file P1 and the second file P2 are connected by fastening the insertion module 200 disposed in the second file P2 to the connection module 100 integrated with the first file P1. A file linking step of linking); And a pile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the first pile P1 and the second pile P2 on the perforated hol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found to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100: 연결모듈
200: 삽입모듈
300: 완충패드
100: connection module
200: insertion module
300: buffer pad

Claims (6)

제1 파일과 제2 파일 간을 연결하는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에 배치되며,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제2 파일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모듈에 연결되는 삽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연결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파일의 콘크리트와 일체화되는 커버부,
상기 연결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삽입모듈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모듈과 체결되는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가 상기 연결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파일의 단부에 배치되는 체결판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모듈은,
상기 제2 파일의 콘크리트와 일체화되며 체결공간을 형성하는 너트부 및
상기 체결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부와 체결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와 체결되는 볼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볼트부가 상기 삽입공간 상으로 삽입될 때 상기 볼트부의 중심선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결공간 상에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볼트부와 체결되는 웨지부,
상기 웨지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가 상기 삽입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는,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
In the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that connects between a first file and a second file,
A connection module disposed in the first file and forming a connection space; And
Includes; an insertion module disposed in the second fil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The connection module,
A cover part that forms the connection space and is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of the first pile,
A coupler disposed on the connection space, form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insertion module is inserted, and fastened with the insertion module; and
A fastening plate disposed at an end of the first pile to prevent the coupl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space,
The insertion module,
A nut part that is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of the second pile and forms a fastening space, and
A bolt part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pace and fastened to the nut part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o be fastened with the coupler,
The coupler,
When the bolt pa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he position is moved by an external force on the connection spa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enter line of the bolt part,
The coupler,
A body portion forming the insertion space,
A wedge portion fastened with the bolt portion,
An elastic portion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wedge portion, and
Having a cover portion preventing the elastic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space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연결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커플러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커버부로 전달하며, 외력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하는,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연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module,
It is disposed on the connection space and receives an external force from the coupler and transmits it to the cover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buffer portion for buffering the external force,
File connection device using a coupler.
제1 파일과 제2 파일 간의 연결을 구현하여 파일을 지반에 시공하는 파일 시공 방법에 있어서,
지반에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홀 시공 단계;
상기 제1 파일에 일체화된 제1항의 연결모듈에 상기 제2 파일에 배치된 제1항의 삽입모듈을 체결하여 상기 제1 파일과 상기 제2 파일을 연결하는 파일 연결 단계; 및
상기 제1 파일과 상기 제2 파일을 상기 천공홀 상에 시공하는 파일 시공 단계;를 포함하는,
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
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of constructing the pile on the ground by implemen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ile and the second pile,
A perforation hole construction step of forming a perforation hole in the ground;
A file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by fastening the insertion module of claim 1 arranged in the second file to the connection module of claim 1 integrated with the first file; And
Including; a pile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the first pile and the second pile on the perforated hol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upler.
KR1020200070858A 2020-06-11 2020-06-11 Connector using coupler for f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ile using that KR1022410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858A KR102241015B1 (en) 2020-06-11 2020-06-11 Connector using coupler for f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ile using th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858A KR102241015B1 (en) 2020-06-11 2020-06-11 Connector using coupler for f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ile using th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015B1 true KR102241015B1 (en) 2021-04-16

Family

ID=7574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858A KR102241015B1 (en) 2020-06-11 2020-06-11 Connector using coupler for f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ile using th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0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666A (en) * 2021-06-03 2022-12-12 케이에이치건설 주식회사 Pipe connecting structure and phc pile structure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620Y1 (en) * 2004-07-07 2004-10-08 이원만 Joint for concrete pile
JP2006291553A (en) * 2005-04-11 2006-10-26 Fujita Corp Joint structure between pile and footing
CN108532591A (en) * 2015-06-09 2018-09-14 周兆弟 Connector and the prefabricated components connected with the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620Y1 (en) * 2004-07-07 2004-10-08 이원만 Joint for concrete pile
JP2006291553A (en) * 2005-04-11 2006-10-26 Fujita Corp Joint structure between pile and footing
CN108532591A (en) * 2015-06-09 2018-09-14 周兆弟 Connector and the prefabricated components connected with the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666A (en) * 2021-06-03 2022-12-12 케이에이치건설 주식회사 Pipe connecting structure and phc pile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503767B1 (en) 2021-06-03 2023-02-27 케이에이치건설 주식회사 Pipe connecting structure and phc pile structur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946B1 (en) Composit pile combined steel tubular pile and concrete pile reinforced with connecting structure
KR102241015B1 (en) Connector using coupler for f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ile using that
JP5860576B2 (en) Precast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JP5064245B2 (en) Joining method of PC beam and steel beam
KR101720744B1 (en) Pile anchoring apparatus attached sheet and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therewith
JP2009293349A (en) Joint structure between pile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joint method of pile to foundation
KR102069419B1 (en) Composite pile internally reinforced by steel tube
KR100991341B1 (en) Precast Foundation and Pil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Foundation and Pile
KR200454162Y1 (en)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for temporary structure
KR100900045B1 (en) Hybrid Composite Pretentioned Pile for Concrete Pile Reinforcement
KR101803830B1 (en) Coping connecting apparatus and a pie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1773434B1 (en) Coupling device for concrete and steel File
JP5232601B2 (en) 1 pillar 1 pile type found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120132660A (en) Pile cap structure
CN105696548A (en) Pile head reinforcing device for foundation pile
KR101844757B1 (en) PHC pile connection device for non welded joint
KR100720065B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pile and column of building having member for length adjustment
JP7304248B2 (en) Pile head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ile head connection structure
JP5008683B2 (en) Pile head reinforcement member and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it
KR100803658B1 (en) Concrete pile using in complex pile
KR102086526B1 (en) PHC pile connection device for non welded joint
KR100507291B1 (en) Reinforced Method of Head in a Steel Pipe Pile
KR102121804B1 (en) Weldless PHC file connection structure with improved ease of installation
KR100545398B1 (e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102268140B1 (en) Connector for f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ile using t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