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935B1 -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disintegration and storage stability of tablet containing finger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Google Patents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disintegration and storage stability of tablet containing finger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935B1
KR102240935B1 KR1020190066267A KR20190066267A KR102240935B1 KR 102240935 B1 KR102240935 B1 KR 102240935B1 KR 1020190066267 A KR1020190066267 A KR 1020190066267A KR 20190066267 A KR20190066267 A KR 20190066267A KR 102240935 B1 KR102240935 B1 KR 102240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present
minutes
extract
tab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9585A (en
Inventor
권석형
이정래
김계호
이철재
손승현
김성
윤성우
정희철
Original Assignee
(주) 노바렉스
(주)뉴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노바렉스, (주)뉴트리 filed Critical (주) 노바렉스
Priority to KR102019006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935B1/en
Publication of KR20200139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5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935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핑거루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약리성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특유의 정제는 핑거루트 추출물(판두라틴 계열 화합물)성분을 고함유하면서도, 제제학적으로 요구되는 적절한 붕해성, 약물 안정성, 경시 안정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나타낼 뿐만아니라, 타정성 및 취급 용이성(경도 및 마손률 관련 물리적 강도 등)등 효율적인 제조 공정/유통 측면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보유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t containing a finger 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pharmacological component, main component), and the unique table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high component of finger root extract (panduratin-based compound), It not only exhibit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required appropriate disintegration, drug stability, and aging stability, but also has excellent properties in terms of efficient manufacturing process/distribution, such as tabletting and handling ease (hardness and friability-related physical strength, etc.).

Description

핑거루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의 붕해성 및 저장안정성 향상을 위한 기술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disintegration and storage stability of tablet containing finger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Techniques for improving the disintegration and storage stability of tablet containing finger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핑거루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약리성분, 주성분)으로 포함하면서도 타정성, 붕해성 및 경시안정성 등의 여러 측면에서 우수한 물성을 지니는 본 발명 특유의 정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t peculiar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contains a finger 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pharmacological component, main component) and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in various aspects such as tabletting property, disintegrating property, and aging stability.

제약 및 건강기능식품 산업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정제(tablet)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각 성분 분말을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압축 및 타정을 하게 되는데, 주성분(약리성분)의 물성에 따라 각각의 정제를 구성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정제는 일반적으로 주성분 물질에 첨가제를 가하여 제조되는데, 첨가제와 함께 제제화함으로써 제제의 안정성, 안전성 또는 균질성을 유지하면서 품질과 경제성을 높이고자 한다. 즉 첨가제는 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을 제제화 할 때 안정성, 안전성 및 품질 등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을 말한다.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ablet product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harmaceutical and health functional food industries, each component powder is mixed and then compressed and tableted using a tablet press, depending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in ingredient (pharmacological ingredien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the tablets. Tablets are generally manufactured by adding an additive to the main component material, and by formulating with the additive, it is intended to increase the quality and economy while maintaining the stability, safety or homogeneity of the formulation. That is, additives are substances that are additionally used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stability, safety and quality when formulating pharmaceuticals or health functional foods.

주성분과 각 정제에 포함되는 첨가제 조성에 따라서, 개별 정제의 물성 등에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이들 정제 조성 기술은 세밀하게 제어되어진다. 첨가제로는 필요에 따라 부형제, 안정화제, 보존제, 완충제, 교미제, 현탁화제, 유화제, 방향제, 용해보조제, 착색제, 점증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사용하는 첨가제는 그 제제의 투여량에서 직접적인 약리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안전하며, 그 제제의 치료효과를 변하게 하거나 시험에 지장을 주지 않아야한다. 주성분에 따라서 첨가제의 선택은 고품질 제제(정제)의 설계에 매우 중요하다. 첨가제는 제제의 안정성 향상, 생체이용률 향상, 보존 또는 사용 중 제제의 품질 유지, 의약품의 물리적인 성상을 조절하여 약물경제성 증진에 영향을 준다. 특히, 주성분(특히, 약물)과 첨가제의 비양립성(incompatibility)이 문제되는 경우가 많은데, 즉 약물 제제(또는 제형)에 대해 물리적, 화학적 또는 치료적인 특성 등을 변화시키는 바람직하지 않은 상호작용이 주성분과 첨가제 간에 발생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main component and the composition of the additives contained in each tablet,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individual tablets, and so on, these tablet composition techniques are closely controlled. As an additive, it is used for the purposes of excipi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buffers, flavoring agents, suspending agents, emulsifying agents, fragrances, solubilizing aids, coloring agents, thickeners, and the like, if necessary. The additives used do not show direct pharmacological action at the dosage of the formulation and are safe, and should not alter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formulation or interfere with the test. The choice of additives depending on the active ingredient is very important in the design of high-quality formulations (tablets). Additives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improve the bioavailability, maintain the quality of the formulation during storage or use, and control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drug to improve drug economy. In particular, incompatibility between the active ingredient (especially a drug) and an additive is often a problem, i.e., an undesirable interaction that changes the physical, chemical or therapeutic properties of the drug formulation (or formulation) is the main ingredient. It can occur between the drug and the additive.

일례로, crosscarmellose sodium은 정제 주성분과 다른 여러 가지 부형제(충진제) 및 결합제들이 복합된 형태의 정제에서 소량 첨가되는 방식으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데,‘Huang WX et al. 2006(비특허문헌 1)’에서는 croscarmellose sodium이 Metformin 약물 방출에 영향을 주어 이에 Metformin과 같은 성분의 제제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For example, crosscarmellose sodium is previously used in a way that a small amount is added in tablets in which the main component of the tablet, various excipients (fillers), and binders are combined.'Huang WX et al. 2006 (Non-Patent Literature 1)' reported that croscarmellose sodium had an effect on the release of Metformin drugs, and thus was not suitable for formulations of components such as Metformin.

또한 과량의 붕해제를 사용하는 경우 정제의 용출은 빨라질 수 있으나, 공기중의 수분을 끌어들여 정제의 안정성에 영향을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져, 이에 저장 기간이 길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즉, 붕해제는 공기 중의 수분을 끌어들이는 등의 방식을 통해 정제 안정성(특히, 저장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52700(특허문헌 1)에서는 과량의 붕해제를 포함한 정제를 캡슐제의 내부에 함입시켜 제공하는 특별한 제공형식을 채택하기도 하였다. In addition, when an excessive amount of disintegrant is used, the dissolution of the tablet may be accelerated, but the possibility of negatively affecting the stability of the tablet by attracting moisture in the air increases, which may cause the storage period to be shortened. That is, the disintegrant may negatively affect tablet stability (especially, storage stability) through a method such as attracting moisture in the air. Accordingl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52700 (Patent Document 1) adopted a special form of provision in which a tablet containing an excessive amount of disintegrant is incorporated into the capsule.

또한 정제의 제조 시에는 뛰어난 성형성 뿐만아니라, 적당한 경도 및 낮은 취쇄성(脆碎性) 등의 제형적 특성을 만족할 것이 요구되는데, 경도와 붕해성은 서로 반대되는 성질로, 일반적으로 경도를 크게 하기 위해 성형압을 크게 하면 붕해 시간은 길어지나, 반대로 붕해 시간을 짧게 하기 위해 성형압을 작게 하면 경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In addition, in the manufacture of tablets, it is required to satisfy not only excellent moldability, but also formul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moderate hardness and low brittleness.The hardness and disintegration properties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in general, the hardness is increased. In order to do so, if the molding pressure is increased, the disintegration time becomes longer. On the contrary, if the molding pressure is decreased to shorten the disintegration time, the hardness tends to decrease.

따라서 정제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정제의 우수한 특성을 위하여 부형제, 안정화제, 보존제, 완충제, 현탁화제, 유화제, 용해보조제, 점증제 등의 다양한 첨가제들을 조금씩 각각의 목적을 위해 여러가지 배합하여 제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물질 가짓수가 많아질수록 제품 제조상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아니라 제제 이용시 특정 상황에서 예측하지 못한 변수 발생의 요인이 된다. Therefore, in providing tablets, various additives such as excipi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buffers, suspending agents, emulsifiers, solubilizers, and thickeners are mixed for each purpose little by little for the excellent characteristics of the tablet. to be. However, as the number of substances actually increases, not only the economic feasibility of manufacturing a product decreases, but also becomes a factor of occurrence of unpredictable variables in certain situations when using a formulation.

한편,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삶의 질(Quality of Life)과 웰빙(wellness)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다양한 신규 건강기능 식품 소재들의 발굴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대표적 일례로서, 핑거루트(fingerroot)가 각광 받고 있으며, 이의 추출물에는 판두라틴 계열 화합물이 다량 포함되어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판두라틴 계열 화합물, 즉 핑거루트 추출물은 운동능력 향상, 혈중 지방 감소, 항피로, 근육증강, 혈당 감소, 콜레스테롤 감소, 체중 감소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Meanwhile, as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and wellness increases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various new health functional food materials are being discover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fingerroot is in the spotlight, and its extract is known to contain a large amount of panduratin-based compounds. These panduratin compounds, that is, fingerroot extract, are known to have various functions such as improving exercise capacity, reducing blood fat, anti-fatigue, strengthening muscles, reducing blood sugar, reducing cholesterol, and reducing weight.

이에 따라 섭취가 간편하도록 핑거루트 추출물(즉, 판두라틴 계열 화합물)을 정제 형태로 제공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제제학적으로 요구되는 붕해성, 약물 안정성, 경시 안정성, 타정성, 뿐만아니라 대규모 생산을 위한 취급(보관, 포장, 유통 등) 용이성, 일정한 경도, 마손률 등의 제조적 특성 측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According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vide a fingerroot extract (i.e., panduratin-based compound) in tablet form to facilitate ingestion, but disintegration, drug stability, stability over time, tabletting ability, and large-scale production required by 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 Research on the aspects of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such as ease of handling (storage, packaging, distribution, etc.), constant hardness, and wear rate are insufficient.

판두라틴 계열 화합물의 경우 물에서는 잘 용해되지 않아, 바람직한 물성을 가진 정제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른 첨가물질들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정밀한 제어가 요구되고 있다. 기존에 선행 연구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95443(특허문헌 2)에서는 L-아르기닌을 붕해제로서 사용하여 판두라틴 정제를 제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L-아르기닌을 붕해제로 사용하여도 붕해속도는 40분~55분 정도 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는 한국 건강기능식품공전 일반시험법 중 붕해시험법에서 정하고 있는 기준이 30분 정도인 것을 감안하였을 때, 여전히 개선이 요구되는 수준이다. 뿐만아니라 L-아르기닌을 사용하는 경우 경시 안정성 등의 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본 명세서 실험예 1 참조). Panduratin-based compounds do not dissolve well in water, and thus precis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s and contents of other additives is required in order to produce tablets having desirable physical properties. As a prior stud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95443 (Patent Document 2) has attempted to manufacture panduratin tablets using L-arginine as a disintegrant, but the disintegration rate is also used when L-arginine is used as a disintegrant. Was reported to be about 40 to 55 minutes. This is a level that still requires improvement, considering that the standard set by the disintegration test method among the general test methods of the Korean Health Functional Food Code is about 30 minut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tability over time were poor when L-arginine was used (see Experimental Example 1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처럼 핑거루트 추출물 정제(tablet)에 관하여 상기 제제학적으로 요구되는 특성과 제조적인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며, 이에 여전히 우수한 물성의 정제가 요구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satisfy both the pharmaceutical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properties required for the fingerroot extract tablet, and thus, purification of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is still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52700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75270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95443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695443

Huang WX et al, Elimination of metformin-croscarmellose sodium interaction by competition. Int J Pharm. 2006 Mar 27;311(1-2):33-9. Huang WX et al, Elimination of metformin-croscarmellose sodium interaction by competition. Int J Pharm. 2006 Mar 27;311(1-2):33-9.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여, 핑거루트 추출물(판두라틴 계열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정제에 특이적으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가 경시안정성 향상제(24개월 이상의 경시 안정성을 나타냄)로서의 특별한 용도를 가짐을 최초로 규명하였으며, 이에 핑거루트 추출물(판두라틴 계열 화합물)성분을 포함하면서도(특히 고함량으로 포함) 제제학적으로 요구되는 적절한 붕해성, 약물 안정성, 경시 안정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나타낼 뿐만아니라, 타정성 및 취급 용이성(경도 및 마손률 관련 물리적 강도 등)등 효율적인 제조공정/유통 측면에서도 우수한 정제를 제작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nd specifically 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for tablets containing fingerroot extract (panduratin-based compound) as a main component, is used as an agent for improving aging stability (stability over 24 months or longer). It was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that it has a special use as a), and thus it contains a fingerroot extract (panduratin-based compound) component (especially in a high content), and provides adequate disintegration properties, drug stability, and aging stability, etc. In addition to exhibit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producing excellent tablets in terms of efficient manufacturing process/distribution, such as tabletting properties and ease of handling (hardness and wear-related physical strength, etc.).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핑거루트(fingerroot)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에 있어서,In the tablet containing fingerroot (finger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정제는 경시 안정성 향상제 및 붕해제로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ablet is to provide a tablet comprising 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as an agent for improving stability over time and a disintegra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핑거루트(fingerroot)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경시 안정성 향상제 및 붕해제로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tablet containing a fingerroot (finger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tablet includes 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as a stability improver and disintegrant over time It provides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용어‘핑거루트(fingerroot)’는 생강과(Zingiberaceae family)의 식물의 일종으로서,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Boesenbergia pandurata), 카엠페리아 판두라타(Kaempferia pandurata) 등의 근경(rhizome)을 의미한다. The term "finger root (fingerroot)"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 type of plant of ginger (Zingiberaceae family), beam Essen suberic hunger plate dura other (Boesenbergia pandurata), rhizome, such kaem Feria plate dura other (Kaempferia pandurata) (rhizome Means).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핑거루트 추출물(특히, 판두라틴 계열 화합물)은 건조시킨 핑거루트를 식품가공에 적합한 정제수, 알코올(바람직하게, C1-C6 알코올), 아임계 또는 초임계 유체,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 정제하여 얻을 수 있거나, 또는 핑거루트 전체 식물을 직접 압착하여 얻은 오일로부터 분리 정제하여 얻을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finger root extract (particularly, panduratin-based compou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urified water suitable for food processing, alcohol (preferably, C1-C6 alcohol), subcritical or super It can be obtained by extraction and purification using any one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ritical fluid and a mixed solvent thereof, or can be obtained by separating and purifying the whole fingerroot plant from oil obtained by directly pressing.

일례로, 본 발명의 제제에 포함되는 판두라틴 계열 화합물을 (고)함유하는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추출 용매로서,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석유에테르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s an extraction solvent, ethanol, m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acetone, ether, benzene, chloroform, ethyl acetate, Various solvents, such as methylene chloride, hexane, cyclohexane, and petroleum ether,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에서 핑거루트 추출물은 통상의 엑스제 제조 방법에 따라 건조 엑스, 연조 엑스, 유동 엑스, 틴크제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gerroot extrac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dry X, soft X, liquid X, tincture, or the lik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X preparation method.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에서 핑거루트 추출물은 건조 엑스(solid extract)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finger root ex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o use a dry extract (solid extract).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핑거루트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판두라틴 계열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nger root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mean a panduratin-based compound.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판두라틴 계열 화합물만의 혼합물을 정제 제조에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판두라틴 계열 화합물이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학식 1), 이소판두라틴 A(isopanduratin A, 화학식 2), 4-히드록시판두라틴 에이(4-hydroxypaduratin A, 화학식 3) 등을 의미한다.In yet another embodiment, a mixture of only panduratin-based compounds may be used for preparing tablet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nduratin-based compound is, but is not limited to, panduratin A (formula 1), isopanduratin A (formula 2), and 4-hydroxypaduratin A. , Chemical formula 3) and the like.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19057552693-pat00001
Figure 112019057552693-pat00001

<화학식 2><Formula 2>

Figure 112019057552693-pat00002
Figure 112019057552693-pat00002

<화학식 3><Formula 3>

Figure 112019057552693-pat00003
Figure 112019057552693-pat00003

핑거루트 추출물로부터 판두라틴 계열 화합물의 개별적 분리 및 정제는 실리카겔(silica gel)이나 활성 알루미나(alumina)등의 각종 합성수지를 충진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라피(HPLC) 등을 단독으로 혹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판두라틴 유도체의 추출 및 분리정제 방법이 반드시 상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dividual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panduratin-based compounds from fingerroot extracts can be performed by using column chromatography filled with various synthetic resins such as silica gel or activated alumina,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lone or in parallel. Although it can be used, the method of extraction and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panduratin derivativ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method.

본 발명자들은 핑거루트 추출물을 함유(특히, 고함유)하는 정제를 제공함에 있어서, 붕해제로서 뿐만아니라 가교-CMC(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가 핑거루트 추출물 정제 특이적으로 경시안정성 향상제로서 특별한 효과를 가짐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즉, 주성분 이외에 단일 첨가제로서 가교-CMC(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만 배합하여 정제를 제조하여 제공하는 경우에도, 정제가 제제학적으로 요구되는 붕해성을 만족할 뿐만아니라, 부형성, 약물 안정성, 경시 안정성(특히, 저장안정성), 적정 경도 및 마손도, 낮은 취쇄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고 타정성 및 취급 용이성 등 효율적인 제조 공정/유통 측면에서도 우수하다. 이와 같은 본원 발명의 특징은 기존에 제공되는 정제들에서 부형제 성분이 첨가제에서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과는 대비된다. 일반적으로 부형제의 역할이 정제의 적절한 크기와 경도를 부여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붕해제만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 정제의 크기 형성이 적절하게 되지 않으며, 적절한 경도를 나타내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기존에 정제 제조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붕해제를 이용했을 경우 핑거루트추출물 정제의 경시 안정성이 안 좋았던 것과 대비하면, 본원 발명의 특유의 효과는 현저한 기술적 특이성을 가진다. In providing a tablet containing (especially, high content) finger root extract, 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CMC) as well as a disintegrant has a special effect as a finger root extract tablet-specifically, as a aging stability enhancer. It was the first to be identified as having. In other words, even when a tablet is prepared and provided by mixing only 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CMC) as a single additive in addition to the main component, the tablet not only satisfies the disintegration property required for 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 but also forms formability, drug stability, and stability over time. It exhibit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especially storage stability), appropriate hardness and friability, and low friability, and is also excellent in terms of efficient manufacturing process/distribution such as tabletting property and ease of handling. This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asted with the fact that the excipient component occupies a large proportion in the additive in the tablets provided previously. In general, since the role of the excipient is to impart the proper size and hardness of the tablet, it is known that when only the disintegrant is used alone, the size of the tablet is not properly formed, and it is difficult to show the appropriate hardness. In addition, when using a disintegrant general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tablets in the past, compared to the poor stability over time of the finger root extract tablet, the uniqu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remarkable technical specificity.

특히, 종래에 정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경도, 저장 안정성 등의 물성과 붕해성의 양립' 또는 '경도, 저장 안정성 등의 물성과 붕해성 간의 최적의 밸런스'를 달성하는 데에 기술적 어려움이 있음이 알려진 것과 대비하여, 본원 발명에 의하면 30분 대 이내로 붕해가 이루어질 뿐만아니라, 취급(제조, 포장, 보관, 유통 등의 과정)시에도 정제가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는 정도로 경도 및 마손도 특성을 보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뿐만아니라 본원 발명의 정제는 동시에 우수한 경시 안정성(저장 안정성)을 보유한다. In particular, in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of tablets, there is a technical difficulty in achieving'combination of disintegration properties with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ardness and storage stability' or'optimal balance between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ardness and storage stability' and disintegration properties. Contrary to this kn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disintegration occurs within 30 minutes, but also has hardness and abrasion characteristics to the extent that tablets maintain a certain quality during handling (processes of manufacturing, packaging, storage, distribution, etc.) It is characterized by doing. In addition, the table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same time have excellent aging stability (storage stability).

특히, 가교-CMC가 붕해성 뿐만아니라 핑거루트 추출물 정제(판두라틴 계열 화합물 정제)에 대해 경시 안정성 증진제(향상제)로 사용될 수 있음은 본원 발명에서 최조로 공개되는 것이다. 이는 기존에 정제 제조 분야에서 가교-CMC가 단일 첨가제로서 사용되지 못했던 것과 대조되며, 현저한 기술적 의의를 가진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정제에는 별도의 부형제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또는 당업자가 목적하는 공정상 물질 흐름 또는/및 타정성을 더욱 좋게 하기 위하여 소량의 부형제가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In particular, cross-linked-CMC can be used as a stability enhancer (enhancer) over time for not only disintegration but also finger root extract tablets (panduratin-based compound tablets), it is the earlies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cross-linked-CMC was not used as a single additive in the field of tablet manufacturing, and has remarkable technical significance. Substantially, a separate excipient may not be required in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small amount of excipien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order to improve material flow or/and tabletting properties in the process desi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에 본 발명은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핑거루트(fingerroot)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에 있어서,In the tablet containing fingerroot (finger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정제는 경시 안정성 향상제 및 붕해제로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The tablet provides a tablet comprising 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as an agent for improving stability over time and a disintegrant.

즉 본 발명은,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핑거루트 추출물; 및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Fingerroot extract; And it provides an oral tablet composition comprising a 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본 발명에서 상기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는, 이의 공지된 염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염의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 양태(embodiment)에서, 본 발명에서는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known salt thereof, and the type of the sal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one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may be used.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정제는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2 내지 7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첨가량이 상기 비율 중 1: 2 보다 크면 정제의 타정성이 떨어져 좋지 않고,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첨가량이 상기 비율 중 1:7 보다 작으면 붕해가 되지 않아 좋지 않다. Preferably,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chnically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ratio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fingerroot extract is 1: 2 to 7. If the addition amount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is greater than 1:2 in the ratio, tablet tabletability is poor, and if the amount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is less than 1:7 in the ratio, disintegration does not occur.

일례로, 본 발명의 정제에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는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또는 1:7.0일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ratio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fingerroot extract is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 :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 It may be :6.5, 1:6.6, 1:6.7, 1:6.8, 1:6.9 or 1:7.0.

더욱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상기 정제는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3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ratio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fingerroot extract is 1: 3 to 7.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상기 정제는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4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ratio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fingerroot extract is 1: 4 to 7.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정제는,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5 내지 6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most preferably,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ratio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fingerroot extract is 1: 5 to 6.

본 발명의 정제는, 전술한 기술적 특징을 만족하는 한 핑거루트 추출물의 함량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본 발명의 정제는 핑거루트 추출물의 함량이 정제의 총 중량 대비 10 내지 90 %(w/w)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정제에는 핑거루트 추출물이 정제 총 중량 대비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또는 90 %(w/w)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content of the finger root extract as long as it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haracteristics. For example, in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fingerroot extract may be 10 to 90%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Specifically, in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gerroot extract is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or 90% of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It may be included as (w/w).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정제는 핑거루트 추출물의 함량이 정제의 총 중량 대비 30 내지 80%(w/w)인 것일 수 있다. Preferably, in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fingerroot extract may be 30 to 80%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하나의 실시 양태(embodiment)에서, 일례로 핑거루트 추출물은 정제의 총 중량대비 30 내지 50 %(w/w)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fingerroot extrac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30 to 50%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정제는 핑거루트 추출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바람직한 일례로, 핑거루트 추출물은 정제의 총 중량 대비 50 내지 80 %(w/w)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high content of fingerroot extract. In this embodiment, as a preferred example, the fingerroot extrac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50 to 80%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더욱 바람직한 일례로, 핑거루트 추출물은 정제의 총 중량 대비 60 내지 80 %(w/w)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In a more preferred example, the fingerroot extrac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60 to 80%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은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핑거루트 추출물; 및Fingerroot extract; And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또는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It provides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r consists essentially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본 발명의 정제는, 전술한 특성을 만족하는 한 추가의 첨가제들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The table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tionally contain additional additives as long as the above-described properties are satisfied.

일례로 본 발명 정제의 붕해성, 경시 안정성, 경도, 취쇄성 및 타정성 등의 유리한 특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활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타정 시에 분말 원료가 타정기 내에서 잘 흘러가게 하고 펀치등의 장비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정제에 광택을 주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 정제의 유리한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및 스테아린산칼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As an example, a lubricant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a range that does not negatively affect advantageous properties such as disintegration, stability over time, hardness, friability, and tabletability of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ubricant is used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powder material flow well in the tablet press, preventing sticking to equipment such as punches, and giving gloss to the tablet, as long as it does not affect the advantageous properties of the tablets of the present invention. , Although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earic acid, magnesium stearate, and calcium stearate may be used.

활택제는 정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w/w)로 포함될 수 있으며, 1%(w/w) 보다 적게 포함되면 타정 시에 기기 마찰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좋지 못하며, 2%(w/w) 초과로 사용될 경우 타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The lubrica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2%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and if it is contained less than 1% (w/w), it is not good becaus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device increases during tableting, and 2% (w/w) is not good. w) Excessive use may negatively affect tabletting.

또 다른 일례로 본 발명의 정제는 부형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형제는 주로 정제의 적절한 크기를 부여하고 타정 시에 흐름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유리한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추가적으로 경도를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 부형제는 본 발명 정제의 붕해성, 경시 안정성, 경도, 취쇄성 및 타정성 등의 유리한 특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는 범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유리한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결정셀룰로오스, 말토덱스트린, 유당, 전분, 치커리뿌리추출분말,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및 이소말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n excipient. In the present invention, excipients are mainly used to impart an appropriate size of the tablet and facilitate flowability during tableting, and may additionally impart hardnes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advantageous proper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cipient is used in a category that does not negatively affect the advantageous properties such as disintegration, stability over time, hardness, friability, and tabletability of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rystalline cellulose, maltodextrin, lactose, starch, chicory root extract powder, indigestible maltodextrin and isomalt may be used.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일례로 본 발명의 정제에서는 부형제로서 결정셀룰로오스를 사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rystalline cellulose may be used as an excipient.

또 다른 실시 양태에서, 일례로 본 발명의 정제에서는 부형제로서 결정셀룰로오스 및 말토덱스트린을 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원료의 성상에 따라 공정 중에 적합한 흐름성과 타정성을 나타내도록 당업자가 두 물질을 적당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합은 당업계에 주지로서, 목적하는 흐름성에 따라 당업자가 상기 부형제 배합 정도를 임의적으로 조절 가능하다.In another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rystalline cellulose and maltodextrin may be used in combination as excipients. In this cas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appropriately mix and use the two substances so as to show appropriate flowability and tabletability during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main raw material.This combination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determines the degree of mixing the excipients according to the desired flowability. Can be arbitrarily adjusted.

상기 부형제는 본 발명 정제 총 중량에 대하여, 필수 성분들의 함량(%(w/w))를 제외한 잔량으로 포함된다. 따라서 부형제의 함량은 사용되는 원료 성상에 따라 조성물 내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0.1 내지 99%를 함유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특징부에 따라 그 함량을 조정한다. The excipient is included in the remaining amount excluding the content (% (w/w)) of essential ingredient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content of the excipient may not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the raw material used, or may contain 0.1 to 99%, but the content is prefera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일례로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핑거루트 추출물; Fingerroot extract;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And

선택적으로 활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로 (필수적으로)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Optionally, there is provided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essentially) a lubricant, an excipient, or a mixture thereof.

본 발명에서 용어 ‘선택적으로 ~을 포함하는/구성되는’은 당업자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지시되는 물질을 조성물(본 발명의 정제 조성물) 내에 포함시키는 것 뿐만아니라, 지시된 물질이 조성물 내에 존재하지 않는(즉, 포함하고 있지 않은) 구성을 선택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optionally comprising/consisting of' means not only including the indicated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the table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i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ut also the indicated substance not present in the composition. This means that you can select a configuration (that is, it does not contain).

달리 표현하여, 하나의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은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핑거루트 추출물; Fingerroot extract;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And

선택적으로 활택제, 부형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Optionally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ubricants, excipients and mixtures thereof

으로 (필수적으로)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It provides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essentially).

또 다른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은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핑거루트 추출물, 부형제, 활택제 및 붕해제를 포함하는 정제에 있어서,In the tablet containing finger root extract, excipient, lubricant and disintegrant,

상기 정제는 경시 안정성 향상제 및 붕해제로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The tablet provides a tablet comprising 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as an agent for improving stability over time and a disintegrant.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핑거루트 추출물, 부형제, 활택제 및 붕해제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정제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경시 안정성 향상제 및 붕해제로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In the tablet consisting of fingerroot extract, excipient, lubricant and disintegrant (essentially), the tablet comprises 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as a stability improver and disintegrant over time. Provides.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 양태에서, 본 발명은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핑거루트 추출물 및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또는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활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정제에 있어서, In a tablet comprising (or consisting essentially of) fingerroot extract and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optionally further comprising a lubricant, excipient or mixture thereof,

상기 핑거루트 추출물은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80%(w/w)로 포함되고,The finger root extract is contained in 30 to 80% (w / 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상기 정제에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2 내지 7(더욱 바람직하게 1: 3 내지 7, 더욱더 바람직하게 1:4 내지 7)에 해당하는 함량으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또는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In the tablet, the weight ratio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fingerroot extract is 1: 2 to 7 (more preferably 1: 3 to 7, even more preferably 1: 4 to 7), including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It provides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or consisting essentially of).

더욱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As one more specifically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핑거루트 추출물을 30 내지 80%(w/w);30 to 80% (w/w) fingerroot extract;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2 내지 7(더욱 바람직하게 1: 3 내지 7, 더욱더 바람직하게 1:4 내지 7) 에 해당하는 함량의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ratio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fingerroot extract is 1: 2 to 7 (more preferably 1: 3 to 7, even more preferably 1: 4 to 7) ;

활택제 1 내지 2%(w/w); 및1 to 2% (w/w) lubricant; And

잔량의 부형제로 (필수적으로)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It provides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essentially) the balance of excipients.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핑거루트 추출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필수 성분으로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가 핑거루트 추출물을 정제화 하는데 적합할 뿐만아니라, 정제의 붕해는 물론 경시 안정성의 향상 효과를 동시에 달성하는 특이한 발견에 기초한다.A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blet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finger root ex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as an essential component is not only suitable for tabletting fingerroot extract, but also on the basis of a unique discovery that simultaneously achiev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over time as well as disintegration of the tablet.

이러한 정제의 일례로서, 본 발명은As an example of such a tablet, the present invention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핑거루트 추출물을 60 내지 80%(w/w); 및60 to 80% (w/w) fingerroot extract; And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4 내지 7(더 바람직하게는 1: 5 내지 6)에 해당하는 함량으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또는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r consists essentially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ratio of the finger root extract 1: 4 to 7 (more preferably 1: 5 to 6) Provide tablets.

핑거루트 추출물 고함량 정제에 대한 또 다른 일례로서, 본 발명은As another example for the purification of the high content of finger root extract, the present invention

핑거루트 추출물 및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또는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활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정제에 있어서, In a tablet comprising (or consisting essentially of) fingerroot extract and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optionally further comprising a lubricant, excipient or mixture thereof,

상기 핑거루트 추출물은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80%(w/w)로 포함되고,The finger root extrac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60 to 80%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상기 정제에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4 내지 7(더욱 바람직하게 1: 5 내지 6)에 해당하는 함량으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또는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In the tablet, the weight ratio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fingerroot extract is 1: 4 to 7 (more preferably 1: 5 to 6)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or consists essentially of) It provides a tablet made of.

핑거루트 추출물 고함량 정제에 대한 또 다른 일례로서, 본 발명은As another example for the purification of the high content of finger root extract, the present invention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핑거루트 추출물을 60 내지 80%(w/w);60 to 80% (w/w) fingerroot extract;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4 내지 7(더 바람직하게는 1: 5 내지 6)에 해당하는 함량의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ratio of the fingerroot extract of 1: 4 to 7 (more preferably 1: 5 to 6);

활택제 1 내지 2%(w/w); 및1 to 2% (w/w) lubricant; And

잔량의 부형제로 (필수적으로)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It provides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essentially) the balance of excipients.

핑거루트 추출물 함유 정제에 대한 또 다른 일례로서, 본 발명은As another example for a tablet containing finger root extract, the present invention

핑거루트 추출물; Fingerroot extract;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And

선택적으로 활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정제로서, 상기 부형제는 정제에 포함되지 않거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부형제의 함량이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함량 이하(바람직하게,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Optionally, it is a tablet comprising a lubricant, an excipient, or a mixture thereof, wherein the excipient is not included in the tablet, or the content of the excipient is less than (preferably, less than) the content of the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based on the weight. A tablet (tablet composition) is provided.

핑거루트 추출물 고함량 정제에 대한 또 다른 일례로서, 본 발명은As another example for the purification of the high content of finger root extract, the present invention

핑거루트 추출물 및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또는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활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정제에 있어서,In a tablet comprising (or consisting essentially of) fingerroot extract and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and optionally further comprising a lubricant, an excipient, or a mixture thereof,

상기 핑거루트 추출물은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80%(w/w)(더욱 바람직하게 75 내지 80%(w/w))로 포함되고,The fingerroot extract is contained in 60 to 80% (w/w) (more preferably 75 to 80%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상기 정제에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4 내지 7(더욱 바람직하게 1: 5 내지 6)이며,In the tablet, the weight ratio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fingerroot extract is 1: 4 to 7 (more preferably 1: 5 to 6),

상기 부형제는 정제에 포함되지 않거나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중량 이하(바람직하게 미만)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excipient is not included in the tablet or provides a tablet (tablet)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in the weight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or less (preferably less than).

핑거루트 추출물 고함량 정제에 대한 또 다른 일례로서, 본 발명은As another example for the purification of the high content of finger root extract, the present invention

핑거루트 추출물,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활택제를 포함하고(또는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제에 있어서,In a tablet comprising (or consisting essentially of) a fingerroot extract, a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and a lubricant, and optionally further comprising an excipient,

상기 핑거루트 추출물은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80%(w/w)(더욱 바람직하게 75 내지 80%(w/w))로 포함되고,The fingerroot extract is contained in 60 to 80% (w/w) (more preferably 75 to 80%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상기 정제에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4 내지 7(바람직하게 1: 5 내지 6)이며,In the tablet, the weight ratio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fingerroot extract is 1: 4 to 7 (preferably 1: 5 to 6),

상기 부형제는 정제에 포함되지 않거나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중량 이하(바람직하게 미만)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례에서 상기 정제에서 활택제는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w/w)로 포함될 수 있으나, 상기 특징부를 만족하는 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The excipient is not included in the tablet or provides a tablet (tablet)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in the weight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or less (preferably less than). In a preferred example, the lubricant in the table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2%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but may not be limited as long as the features are satisfied.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정제는 나정(Uncoated tablet)일 수 있다.Although not limited thereto, in one embodiment, the table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coated tablets.

더욱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정제는 직접 압축법( direct compression)에 의해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In one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table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ose produced by direct compression.

추가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정제는 바람직하게 건식 조립법(건식 과립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In a further embodiment, the table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ose prepared by a dry granulation method (dry granulation method).

또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정제는 코팅정(coated tablet)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In another embodiment, the table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ated tablets. In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 및A coating layer containing a hydrophilic polymer; And

핑거루트 추출물 및 가교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코어(cor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re (core) comprising a finger root extract and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상기 정제의 코어에는, 본 발명 정제의 유리한 특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추가의 첨가제들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형제 및 활택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체적 종류 및 함량은 전술한 바를 참조로 하여 이해된다. In the core of the tablet, additional additives may be optionally includ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negatively affect the advantageous properties of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t may additionall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xcipients and lubricants, and specific types and contents thereof ar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foregoing.

상기 정제의 코팅층에서 친수성 고분자는 주(主)제피제로서 사용된다. 코팅 정제에 적합한 친수성 고분자 종류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 적합한 친수성 고분자는 바람직하게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다.In the coating layer of the tablet, the hydrophilic polymer is used as the main coating agent. Hydrophilic polymer types suitable for coating tablet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are not limited thereto, but the hydrophilic polymer 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and ethylcellulose. Can be.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당업계에서 정제 코팅에 사용하는 함량이라면 그 사용량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본 발명의 정제 총 중량 대비 3 내지 5%(w/w)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The amount of the hydrophilic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used in tablet coating in the art, and as an example, it may be used in an amount of 3 to 5%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정제는 바람직하게 친수성 고분자로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3.5 내지 5%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가 3.5% 보다 낮을 경우에는 코팅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 코팅성이 떨어져 코팅을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5%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 조성물의 점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코팅기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be one using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as a hydrophilic polymer. For example,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3.5 to 5%, and when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is less than 3.5%,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is low, resulting in poor coating properties, which takes a long time to coat In this case, when it exceeds 5%,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increases rapidly, so that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a coater.

본 발명의 정제에서, 상기 코팅층은 주 제피제로서 친수성 고분자 이외에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 적합한 유화제는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acetylated monoglycerides), 마이바세트(Myvacet),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글리세롤(glycerol), 트리아세틴(triacetin) 및 스테아린산(stearic acid)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다.In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layer may additionally contain an emulsifier in addition to the hydrophilic polymer as the main coating agent.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suitable emulsifiers fo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cetylated monoglycerides, Myvacet, polyethylene glycol, glycerol, triacetin, and stearic acid. )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유화제는, 당업계에서 정제 코팅에 사용하는 함량이라면 그 사용량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본 발명의 정제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w/w)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유화제를 첨가하지 않을 경우 코팅 조성물의 층분리가 발생할 수 있으며, 1%이상 첨가할 경우 코팅 시에 필름막 형성이 잘 일어나지 않을 수 있어 좋지 않다.The amount of the emulsifi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used for coating tablets in the art, and as an example,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01 to 1%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mulsifier is not added, layer separation of the coating composition may occur, and if more than 1% is added, film film formation may not occur well during coating, which is not good.

코팅 정제에 대한 하나의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은As one embodiment for coated tablets, the present invention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친수성 분자 3 내지 5%(w/w) 및 유화제 0.01 내지 1%(w/w)를 포함하는 코팅층; 및A coating layer comprising 3 to 5% (w/w) of hydrophilic molecules and 0.01 to 1% (w/w) of an emulsifi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And

핑거루트 추출물 및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또는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활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코어(core)로 이루어지는 정제로서, 상기 핑거루트 추출물은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80%(w/w)로 포함되고, 상기 정제에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2 내지 7(더욱 바람직하게 1: 3 내지 7, 더욱더 바람직하게 1:4 내지 7)에 해당하는 함량의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A tablet comprising (or consisting essentially of) a fingerroot extract and a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and optionally comprising a lubricant, an excipient, or a mixture thereof, wherein the fingerroot extract comprises a total weight of the tablet. I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30 to 80% (w/w) based on, and the weight ratio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fingerroot extract in the tablet is 1: 2 to 7 (more preferably 1: 3 to 7, even more preferably 1: 4) It provides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7).

코팅 정제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한 정제의 일례로서, 본 발명은 In the coated tablet, as an example of a more preferred tablet, the present invention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친수성 분자 3 내지 5%(w/w) 및 유화제 0.01 내지 1%(w/w)를 포함하는 코팅층; 및A coating layer comprising 3 to 5% (w/w) of hydrophilic molecules and 0.01 to 1% (w/w) of an emulsifi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And

핑거루트 추출물 30 내지 80%(w/w),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2 내지 7(바람직하게 1: 3 내지 7, 더욱더 바람직하게 1:4 내지 7)에 해당하는 함량의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활택제 1 내지 2%(w/w), 및 잔량의 부형제로 (필수적으로)구성되는 코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Fingerroot extract 30 to 80% (w / w),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the weight ratio of the finger root extract 1: 2 to 7 (preferably 1: 3 to 7, even more preferably 1: 4 to 7) It provides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ore composed of a content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a lubricant 1 to 2% (w/w), and a residual amount of excipients (essentially).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핑거루트 추출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코팅 정제를 제공한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핑거루트 추출물 고함량 코팅 정제에 대한 하나의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은A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ated tablet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finger root extract.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as one embodiment for the finger root extract high content coated tablet, the present invention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친수성 분자 3 내지 5%(w/w) 및 유화제 0.01 내지 1%(w/w)를 포함하는 코팅층; 및A coating layer comprising 3 to 5% (w/w) of hydrophilic molecules and 0.01 to 1% (w/w) of an emulsifi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And

핑거루트 추출물 및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또는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활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코어(core)로 이루어지는 정제로서,A tablet comprising (or consisting essentially of) a fingerroot extract and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and optionally comprising a lubricant, an excipient or a mixture thereof, and further comprising a core,

상기 핑거루트 추출물은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80%(w/w)로 포함되고, 상기 정제에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4 내지 7(더욱 바람직하게 1: 5 내지 6)에 해당하는 함량으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The fingerroot extrac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60 to 80%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and the weight ratio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fingerroot extract in the tablet is 1: 4 to 7 (more preferably 1: 5 to It provides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6).

핑거루트 추출물 고함량 코팅 정제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한 정제의 일례로서, 본 발명은In the finger root extract high content coated tablet, as an example of a more preferred tablet, the present invention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친수성 분자 3 내지 5%(w/w) 및 유화제 0.01 내지 1%(w/w)를 포함하는 코팅층; 및A coating layer comprising 3 to 5% (w/w) of hydrophilic molecules and 0.01 to 1% (w/w) of an emulsifi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And

핑거루트 추출물 60 내지 80%(w/w),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4 내지 7(더 바람직하게는 1: 5 내지 6)에 해당하는 함량의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활택제 1 내지 2%(w/w), 및 잔량의 부형제로 (필수적으로)구성되는 코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Fingerroot extract 60 to 80% (w/w),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a weight ratio of fingerroot extract of 1: 4 to 7 (more preferably 1: 5 to 6), It provides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ore composed of 1 to 2% (w/w) of a lubricant and (essentially) the balance of excipients.

또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코팅 정제는In another embodiment, the coated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 및A coating layer containing a hydrophilic polymer; And

핑거루트 추출물,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선택적으로 활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코어(cor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로서, A tablet comprising a core comprising a fingerroot extract,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and optionally a lubricant, an excipient, or a mixture thereof,

상기 부형제는 정제에 포함되지 않거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부형제의 함량이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함량 이하(바람직하게,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excipient is not included in the tablet, or a tablet (tablet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of the excipient is less than (preferably, less than) the content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based on the weight.

상기 실시 양태의 바람직한 일례의 하나로서, 본 발명의 코팅 정제는As one of the preferred examples of the above embodiment, the coated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친수성 분자 3 내지 5%(w/w) 및 유화제 0.01 내지 1%(w/w)를 포함하는 코팅층; 및A coating layer comprising 3 to 5% (w/w) of hydrophilic molecules and 0.01 to 1% (w/w) of an emulsifi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And

핑거루트 추출물 및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또는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활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코어(core)로 이루어지는 정제로서,A tablet comprising (or consisting essentially of) a fingerroot extract and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and optionally comprising a lubricant, an excipient or a mixture thereof, and further comprising a core,

상기 핑거루트 추출물은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80%(w/w)(더욱 바람직하게 75 내지 80%(w/w))로 포함되고, 상기 정제에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4 내지 7(더욱 바람직하게 1: 5 내지 6)이며, 상기 부형제는 정제에 포함되지 않거나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중량 이하(바람직하게 미만)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fingerroot extrac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60 to 80% (w/w) (more preferably 75 to 80%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and in the tablet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weight ratio of finger root extract A 1: 4 to 7 (more preferably 1: 5 to 6), and the excipient is not included in the tablet or is included in the weight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or less (preferably less than). to provide.

상기 실시 양태의 바람직한 일례의 하나로서, 본 발명의 코팅 정제는As one of the preferred examples of the above embodiment, the coated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친수성 분자 3 내지 5%(w/w) 및 유화제 0.01 내지 1%(w/w)를 포함하는 코팅층; 및A coating layer comprising 3 to 5% (w/w) of hydrophilic molecules and 0.01 to 1% (w/w) of an emulsifi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And

핑거루트 추출물,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활택제를 포함하고(또는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코어(core)로 이루어지는 정제로서,A tablet comprising (or consisting essentially of) a fingerroot extract, a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and a lubricant, and optionally comprising a core further comprising an excipient,

상기 핑거루트 추출물은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80%(w/w)(더욱 바람직하게 75 내지 80%(w/w))로 포함되고, 상기 정제에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4 내지 7(더욱 바람직하게 1: 5 내지 6)이며, 상기 부형제는 정제에 포함되지 않거나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중량 이하(바람직하게 미만)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례에서 상기 정제에서 활택제는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w/w)로 포함될 수 있으나, 상기 특징부를 만족하는 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The fingerroot extrac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60 to 80% (w/w) (more preferably 75 to 80%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and in the tablet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weight ratio of finger root extract A 1: 4 to 7 (more preferably 1: 5 to 6), and the excipient is not included in the tablet or is included in the weight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or less (preferably less than). to provide. In a preferred example, the lubricant in the table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2%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but may not be limited as long as the features are satisfied.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정제들은 경구투여용 제제이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tablet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본 발명의 정제는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정제 규격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200mg 내지 2000mg 단위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The table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general health functional food tablet standar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provided in units of 200mg to 2000mg.

전술한 본 발명 특유의 조성을 가지는 정제는, 나정(uncoated tablet) 기준 30분 이내(이하를 의미)에 붕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나정은 5 내지 30분의 붕해시간을 나타낸다. 일례로, 본 발명의 나정은 5분, 6분, 7분, 8분, 9분, 10분, 11분, 12분, 13분, 14분, 15분, 16분, 17분, 18분, 19분, 20분, 21분, 22분, 23분, 24분, 25분, 26분, 27분, 28분, 29분 또는 30분의 붕해 시간을 가질 수 있다. The tablet having a composition peculiar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isintegrates within 30 minutes (meaning hereinafter) based on an uncoated tablet. The uncoated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disintegration time of 5 to 30 minutes. For example, the uncoated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5 minutes, 6 minutes, 7 minutes, 8 minutes, 9 minutes, 10 minutes, 11 minutes, 12 minutes, 13 minutes, 14 minutes, 15 minutes, 16 minutes, 17 minutes, 18 minutes, It may have a disintegration time of 19 minutes, 20 minutes, 21 minutes, 22 minutes, 23 minutes, 24 minutes, 25 minutes, 26 minutes, 27 minutes, 28 minutes, 29 minutes or 30 minutes.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전술한 본 발명 특유의 조성을 가지는 정제는 코팅정(coated tablet) 기준 60분 이내(이하를 의미)에 붕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팅정은 20분 내지 60분의 붕해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코팅정은 20분, 21분, 22분, 23분, 24분, 25분, 26분, 27분, 28분, 29분, 30분, 31분, 32분, 33분, 34분, 35분, 36분, 37분, 38분, 39분 40분, 45분, 50분, 55분, 또는 60분의 붕해 시간을 가질 수 있다.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tablet having a composition specific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isintegrates within 60 minutes (meaning hereinafter) based on a coated tablet. The coated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hibit a disintegration time of 20 minutes to 60 minutes. For example, the coated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0 minutes, 21 minutes, 22 minutes, 23 minutes, 24 minutes, 25 minutes, 26 minutes, 27 minutes, 28 minutes, 29 minutes, 30 minutes, 31 minutes, 32 minutes, 33 minutes, 34 It may have a disintegration time of minutes, 35 minutes, 36 minutes, 37 minutes, 38 minutes, 39 minutes 40 minutes, 45 minutes, 50 minutes, 55 minutes, or 60 minutes.

본 발명에서 용어‘경시 안정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제제의 안정성이 손상되지 않고 지속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저장 안정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ability over time" means that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is not impaired over time and lasts, and may preferably mean storage stability.

본 발명의 정제는 24개월 이상의 경시 안정성(저장 안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기준으로 최대 24개월이 고시되어있기 때문에 24개월이 기준점으로 설정된 것일뿐, 실질적으로 본원 발명의 정제가 최대 24개월의 경시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제한되는 의미는 아니다. 본 발명의 정제는 120일 내지 36개월 동안 안정적으로 보관 가능하다. 현재 고시된 유통기한 기준을 고려하면,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정제는 120일 내지 24개월 동안 안정적으로 보관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보관 또는 저장은 온도 20~25℃, 상대습도 40~50%RH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aging stability (storage stability) of 24 months or more. Currently, since a maximum of 24 months is announced as a shelf life of health functional foods, only 24 months are set as the reference point, and practically,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having a aging stability of up to 24 months. The table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bly stored for 120 days to 36 months. Considering the currently announced shelf life criteria, more preferably the table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bly stored for 120 days to 24 months. In one embodiment,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or storage may be preferab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20 to 25°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40 to 50%RH.

또한 본 발명은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핑거루트 추출물 정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In the finger root extract tablet manufacturing method,

핑거루트 추출물에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첨가(혼합)하는 것(또는 이러한 첨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시 안정성이 향상된 핑거루트 추출물 정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finger root extract tablet having improved stability over time, characterized by adding (mixing)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to the finger root extract (or including the step of adding this).

본 발명의 상기 제조방법에 관한 특징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정제 조성물에 대한 기술적 특징에 준하여 이해된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nderstoo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tablet composi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정제는 핑거루트 추출물(특히, 판두라틴 계열 화합물)을 (고)함유하면서도, 제제학적으로 요구되는 적절한 붕해성, 약물 안정성, 경시 안정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나타낼 뿐만아니라, 타정성 및 취급 용이성(경도 및 마손률 관련 물리적 강도 등)등 효율적인 제조 공정/유통 측면에서도 우수하다.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high) contains a finger root extract (especially a panduratin-based compound), and exhibit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appropriate disintegration properties, drug stability, and aging stability, as well as tabletting properties and handling. It is excellent in terms of efficient manufacturing process/distribution such as ease (hardness and physical strength related to wear rate, etc.).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정제제조 방법Tablet manufacturing method

1) 핑거루트 추출물(판두라틴 계열 화합물 추출물)의 제조1) Preparation of finger root extract (panduratin-based compound extract)

먼저 건조시킨 핑거루트(Boesenbergia pandurata)를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핑거루트 시료 100g을 에탄올 500mL에 넣고, 50℃에서 30분간 교반하면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한 후, 동결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핑거루트 추출물(분말)을 얻었다. First, the dried finger root ( Boesenbergia pandurata ) was pulverized with a mixer, and then 100 g of the pulverized finger root sample was added to 500 mL of ethanol, and an extract was prepared while stirring at 50° C. for 30 minutes. The extracted sample was filtered through Whatman No. 2 filter paper, and the filtered extract was concentrated with a vacuum rotary concentrator to remove the solvent component, and then freeze-dried to remove moisture to obtain a fingerroot extract (powder).

2) 비교예 및 실시예의 나정(Uncoated tablet) 제조방법2)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of Uncoated Tablet Manufacturing Method

각각의 비교예 및 실시예의 나정들은, 각각의 표에 기입된 종류의 성분 및 함량으로 배합된 후, 타정되었다. 정제 총 중량은 600mg으로 하였다. 먼저 활택제(대표적으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를 제외한 모든 원료를 10분간 혼합한 후, 타정 전에 활택제를 첨가하여 5분간 혼합하고 타정하여 나정을 제조하였다.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SEJONG(한국)사 KDIT-200모델의 정제 타정기를 이용하여 제조되었다.The uncoated tablets of each of the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were blended with the types of components and contents indicated in each table, and then tableted.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was 600 mg. First, all raw materials except for a lubricant (typically, magnesium stearate, etc.) were mixed for 10 minutes, and then a lubricant was added before tableting, mixed for 5 minutes, and tableted to prepare uncoated tablets. All were prepared using a tablet tablet press of SEJONG (Korea) KDIT-200 model in the same manner.

3) 비교예 및 실시예의 코팅정(coated tablet) 제조방법3)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of Coated Tablet Manufacturing Method

각각의 비교예 및 실시예의 코딩정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나정상태로 타정된 후에,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및 미바셋(Myvacet)을 이용하여 코팅함으로써 제조되었다.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를 주 제피제로 사용하였고, 코팅 보조제로 미바셋을 사용하였다. Coated tablets of each of the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were prepared by coating them with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and Myvacet after tableting in an uncoated state as described above.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was used as the main coating agent, and Mibaset was used as a coating aid.

구체적으로, 먼저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및 미바셋을 정제수와 주정의 혼합물에 용해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혼합물을 나정에 도포하여 코팅을 실시하였다. 이때 정제의 코팅에는 SEJONG(한국) 8FC-130FS를 이용하였다. Specifically, first,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and mibaset were dissolved in a mixture of purified water and alcohol. The mixture thus obtained was applied to the uncoated tablet and coated. At this time, SEJONG (Korea) 8FC-130FS was used for the coating of the tablet.

4) 타정성 평가4) Competency evaluation

타정성은 라미네이션(lamination, 정제가 층상으로 박리되는 현상), 캡핑(capping, 정제의 상부가 모자 모양으로 박리되는 현상), 스티킹(sticking, 정제표면에 홈이 생기는 현상), 중량 편차 등을 기반으로 판단하였다. 라미네이션, 캡핑, 스티킹은 제조된 정제를 기술자가 육안으로 검토하여 판단하였으며 이상이 없을 경우 양호로, 그렇지 않을 경우 불량으로 판단하였다. 중량 편차는 미량 저울을 통해 중량 편차가 3% 이하인 경우 양호, 3% 초과 중량편차가 발생하면 불량으로 판단하였다. The tabletting properties include lamination (a phenomenon in which the tablet is peeled in layers), capp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tablet is peeled in a hat shape), sticking (a phenomenon in which a groove is formed on the tablet surface), and weight deviation. It was judged on the basis of. Lamination, capping, and sticking were judged by a technician visually reviewing the manufactured tablet, and if there was no abnormality, it was judged as good, otherwise it was judged as bad. The weight deviation was judged as good if the weight deviation was 3% or less through the micro scale, and bad if the weight deviation exceeded 3%.

5) 경도 측정5) Hardness measurement

정제의 경도는 ERWEKA GmbH(독일)사 D-63150 Heusenstamm모델의 디지털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으며, 10분 단위로 10개의 시료(제조된 정제)를 측정한 평균값으로 하였다. The hardness of the tablets was measured using a digital hardness tester of the D-63150 Heusenstamm model of ERWEKA GmbH (Germany), and was taken as an average value of 10 samples (manufactured tablets) measured every 10 minutes.

6) 붕해도(붕해 시간 측정)6) Disintegration (measurement of disintegration time)

건강기능식품공전 일반시험법 중 붕해시험법에 따라, 정제의 붕해 속도를 측정하였다. 37±2℃의 물에서 시험하였으며, 시료로서 정제 6정을 취하여 붕해시험기(KUK JE ENG Co.(국산) KDIT-200모델)에 넣고 분당 30회 상하운동을 실시하여 검체가 완전히 붕해될 때까지 관찰하여 붕해시간을 측정하였다. The disintegration rate of tablets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disintegration test method among general test methods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de. It was tested in water at 37±2℃. Take 6 tablets as a sample, put it in a disintegration tester (KUK JE ENG Co. (domestic) KDIT-200 model), and perform vertical motion 30 times per minute until the sample is completely disintegrated. Observation and disintegration time were measured.

상기 건강기능식품공전 붕해시험법에 따르면, 결과 판정은, 나정일 경우 30분간 상하운동을 시킨 다음 관찰할 때, 시료의 잔류물이 유리관 내에 없거나 있더라도 해면상(海綿狀, 잔구멍이 송송 배게 뚫리어 해면처럼 된 모양)의 물질 형태일 때에는 적합한 것으로 한다. 코팅정제일 경우 60분간 상하운동을 시킨 다음 관찰할 때, 시료의 잔류물이 유리관 내에 없거나 있더라도 피막일 때에는 적합한 것으로 한다. 이러한 붕해 적합기준에 의거하여 잔류물이 없는 단계 또는 해면상 단계를 최종 붕해시간 완료 시점으로 판단하여 측정하여 분단위로 기록하였다. 6개 시료의 붕해 시간을 평균값으로 하였다.According to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de disintegration test method, the result is determined by performing vertical motion for 30 minutes in the case of uncoated tablets and then observing, even if the residue of the sample is not in the glass tube, the sea surface is If it is in the form of a material of the same shape), it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In the case of coated tablets, when observed after moving up and down for 60 minutes, it is considered suitable if the sample remains in the glass tube or is a film. Based on this disintegration conformity criterion, the stage without residues or the stage on the sea level was determined as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final disintegration time, measured and recorded in minutes. The disintegration time of the six samples was taken as the average value.

7) 경시변화 측정7) Measurement of change over time

정제를 페트리디쉬(petri dish)에 넣은 후 뚜껑을 덮지 않고, 온도 20~25℃, 상대습도 40~50%RH 조건에 보관하며 경시변화를 확인하였다. After putting the tablets in a petri dish, the lid was not covered, and the tablets were stored in a temperature of 20 to 25°C and a relative humidity of 40 to 50% RH, and changes with time were observed.

8) 마손도 측정8) Measurement of friability

마손도는 KUK JE(한국)사의 마손도 시험기 FRIABILATOR KTF-25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0개의 시료(정제)를 상기 시험기에 넣고 5분간 회전 시킨 후, 시료(정제)를 시험기에 넣기 전과 비교하여 무게의 변화 비율로 마손도를 측정하였다. The fri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KUK JE (Korea) friability tester FRIABILATOR KTF-25. Ten samples (tablets) were placed in the tester and rotated for 5 minutes, and then the degree of friability was measured as a ratio of change in weight compared to before putting the samples (tablets) into the tester.

실험예 1 : 우수한 타정성 및 정제 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정제 제조를 위한 물질 구성, 및 이에 따른 제조품의 특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1: Material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tablets that simultaneously satisfy excellent tabletting properties and tablet properties, and evaluation of properties of manufactured products accordingly

1-1. 나정의 제조 1-1. Manufacture of uncoated tablets

일반적으로 정제의 섭취 및 체내 흡수 측면에서 유리한 특성과 제조, 취급, 유통 및 보관 시에 유리한 특성(물성)들을 두루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주성분 이외에 다른 첨가제 성분들과의 작용을 고려하여 세심한 제어가 필요하다. In general, in order to satisfy the beneficial properties in terms of ingestion and absorption in the body and advantageous properties (physical properties) during manufacture, handling, distribution, and storage, careful control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the action of other additives in addition to the main component. .

본 발명자들은 핑거루트 추출물(활성성분)을 제공하기 위한 보다 적합한 첨가제 조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첨가제들 조성을 시험하였다. 하기 표 1에 대표적으로 중요한 예들을 비교적으로 도시하였다. L-아르기닌, Calcium carboxymethyl cellulose, 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등의 주요 실험 대상 물질의 핑거루트 추출물 정제에 대한 물성 영향 평가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부형제를 선택하여, 결정셀룰로오스 또는/및 말토덱스트린을 사용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tested the composition of various additives in order to identify a more suitable additive composition for providing a fingerroot extract (active ingredient). Representatively important examples are comparatively shown in Table 1 below. Use crystalline cellulose or/and maltodextrin by selecting an excipient that does not affect the evalu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in substance of the test object, such as L-arginine, Calcium carboxymethyl cellulose, and 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on the tablet of the fingerroot extract. I did.

분류Classification 원재료명Raw material name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One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비교예
7
Comparative example
7
실시예
1
Example
One
실시예
2
Example
2
주성분chief ingredient 핑거루트 추출물Fingerroot extract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부형제Excipient 결정셀룰로오즈Crystalline cellulose 4545 3535 2020 3535 2020 4545 4545 4545 4545 부형제Excipient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2424 1919 1919 1919 1919 1919 99 1919 1414 활택제Lubricant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1One 1One 1One 1One 1One 1One 1One 1One 1One 붕해제Disintegrant L- 아르기닌L-Arginine -- 1515 3030 -- -- -- -- -- -- 붕해제Disintegrant L-아르기닌 가수처리물L-arginine hydrolyzed product -- -- -- 1515 3030 -- -- -- -- 붕해제Disintegrant Calcium carboxymethyl cellulose Calcium carboxymethyl cellulose -- -- -- -- -- 55 1515 -- -- 붕해제Disintegrant 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 -- -- -- -- -- -- 55 1010 붕해제: 핑거루트 추출물
중량비
Disintegrant: Fingerroot extract
Weight ratio
-- 1:21:2 1:11:1 1:21:2 1:11:1 1:61:6 1:21:2 1:61:6 1:31:3
합계Sum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상기 표에서 각 수치의 단위는 % w/w 임(비율 표기 제외)* In the table above, the unit of each value is% w/w (except for ratio display)

상기 표 1에서 L-아르기닌 가수처리물(비교예 4 및 5에 해당)은, L-아르기닌 원료에 정제수 12 %(w/w)를 가하여 혼합 한 후 건조한 원료를 의미한다. In Table 1, the hydrolyzed L-arginine (corresponding to Comparative Examples 4 and 5) refers to a raw material dried after adding 12% (w/w) of purified water to the L-arginine raw material and mixing.

1-2. 타정성 및 정제 특성 평가 1-2. Evaluation of tabletting and tableting properties

상기 정제 제조물들에 대한 타정성, 경도, 붕해 시험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경시변화 시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The tabletting properties, hardness, and disintegration test results for the tablet preparations are shown in Table 2 below, and the results of the aging change test are shown in Table 3 below.

구분division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One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
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
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
5
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비교예
7
Comparative example
7
실시예
1
Example
One
실시예
2
Example
2
타정성Tabletting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경도
(kg/cm2)
Hardness
(kg/cm 2 )
17~1817-18 17~1917-19 18~2018-20 19~2119~21 19~2119~21 21~2221~22 21~2221~22 19~2019-20 18~2018-20
붕해시간Disintegration time 60분
이상
60 minutes
More than
60분
이상
60 minutes
More than
60분
이상
60 minutes
More than
60분60 minutes 46분46 minutes 60분
이상
60 minutes
More than
55분55 minutes 29분29 minutes 23분23 minutes

1일차Day 1 7일차Day 7 14일차Day 14 30일차Day 30 60일차Day 60 120일차Day 12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 -- -- -- -- --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 -- -- -- -- --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 -- 정제갈라짐 Tablet splitting 정제터짐Tablet burst 정제터짐Tablet burst 정제터짐Tablet burst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 -- -- -- -- 정제갈라짐Tablet splitting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 정제갈라짐Tablet splitting 정제터짐Tablet burst 정제터짐Tablet burst 정제터짐Tablet burst 정제터짐Tablet burst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 -- -- -- -- --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 -- -- -- -- -- 실시예 1Example 1 -- -- -- -- -- -- 실시예 2Example 2 -- -- -- -- -- --

상기 도시된 예들(모두 나정)에서 경도 및 타정성이 양호한 수준으로 정제 제조가 가능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세 특성을 대비하면 다음과 같다. In the examples shown above (all uncoated tablets), it was possible to manufacture tablets with good levels of hardness and tabletting properties. Specifically,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비교예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적인 정제 제조방식으로서 부형제만을 첨가하여 정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타정성, 경도 등이 적절한 물성을 나타내었으나 붕해시간이 60분 이상이 소요되어, 유효성분(핑거루트 추출물)의 체내 흡수에 불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shown in Comparative Example 1,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tablet by adding only an excipient as a basic tablet manufacturing method, tabletting properties, hardness, etc. showed appropriate physical properties, but the disintegration time was 60 minutes or more, and the active ingredient (fingerroot Extract) was found to be unfavorable for absorption in the body.

이에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L-아르기닌을 붕해제로서 첨가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L-아르기닌을 처리해도 여전히 정제 붕해시간이 60분 이상 소요되는 붕해지연 문제가 있었고, 특히 L-아르기닌 처리 함량이 높아질수록 보관 시 정제 갈라짐 및 터짐 현상이 발생하여 경시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us, as shown in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3, a tablet was prepared by adding L-arginine as a disintegrant. As shown in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3, there was a disintegration delay problem that still took more than 60 minutes of tablet disintegration time even after treatment with L-arginine.In particular, as the L-arginine treatment content increased, the tablet cracked and burst during storage. This occurr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ability over time was low.

또한 L-아르기닌 가수처리물을 붕해제로서 첨가한 예로서 비교예 4 및 비교예 5에서는, L-아르기닌 원료를 그대로 사용한 정제(비교예 2 및 비교예 3)보다는 붕해지연 문제가 다소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여전히 붕해시험범 기준(나정 기준 30분)을 충족하지는 못하였고, L-아르기닌 가수분해물 처리 함량이 높아질수록 보관 시 정제 갈라짐 및 터짐 현상이 발생하여 경시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addition, as an example in which the hydrolyzed L-arginine product was added as a disintegrant, in Comparative Examples 4 and 5, the disintegration delay problem was somewhat improved rather than tablets using the L-arginine raw material as it is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Although it was confirmed, it still did not meet the criteria for disintegration test (30 minutes undecided), and as the content of L-arginine hydrolyzate increased, the tablet cracking and bursting occurred during storage, and the stability over time was confirmed to be low.

상기 비교예 2 및 비교예 4를 대비하고, 비교예 3 및 비교예 5를 대비할 때 각각 실질적으로 L-아르기닌 함량은 동일하지만 타정 전에 원료의 가공 상태(예를들어, 가수처리)에 따라 붕해도와 정제의 경시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맥락에서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5 등을 비롯한 실험결과로 미루어보아도, 즉 L-아르기닌이 첨가될 시의 원료 가공상태를 고려한다고 하여도, L-아르기닌은 붕해지연 및 정제 안정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When comparing Comparative Examples 2 and 4, and Comparative Examples 3 and 5, respectively, the L-arginine cont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but disintegration depending on the processing state (e.g., hydrotreating) of the raw materials before tabletting. It was confirmed that it affects the stability over time of and tablets. However, in this context, even when conside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including Comparative Examples 2 to 5, that is, considering the raw material processing state when L-arginine is added, L-arginine simultaneously causes disintegration delay and purification stability problems. It was confirmed that it has a limit that cannot be solved.

비교예 6 및 비교예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Calcium carboxymethyl cellulose)을 붕해제로 첨가하여 정제를 제조할 시에는 여전히 붕해시험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여 붕해지연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Comparative Example 6 and Comparative Example 7, when preparing tablets by adding calcium carboxymethyl cellulose as a disintegrant, there is still a limit to solving the disintegration delay problem because the disintegration test method criteria are still not met. Confirmed that there is.

이에 반해 본 발명자들은 가교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가교-CMC로 표기)를 붕해제로 첨가하는 경우, 붕해시험법 기준을 충족할 뿐만아니라 경시 안정성 면에서도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대비되는 바와 같이, 다른 비교예들에서 사용된 붕해제 함량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정제에서 가교-CMC는 더욱 적은 량으로 포함됨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붕해 특성 및 경시안정성 특성을 동시에 나타낸다. 특히, 이러한 정제 특성은 핑거루트 추출물과 가교-CMC만으로 구성된 정제에서도 나타났으며, 기존에 다른 정제 제조 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붕해제를 이용했을 경우 핑거루트추출물 정제는 경시안정성이 안 좋은 데 반하여 핑거루트 추출물 정제에 있어서 특이적으로 가교-CMC가 우수한 경시 안정성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정제 제조에 있어서 부형제의 역할이 정제의 적절한 크기와 경도를 부여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붕해제만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 정제의 크기 형성이 적절하게 되지 않으며, 적절한 경도를 나타내기 어려운 것과 대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when 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represented as 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cross-linked-CMC) is added as a disintegrant, it not only satisfies the criteria of the disintegration test method, but also remarkably excellent in terms of stability over time. In particular, as compared in Examples 1 and 2, compared with the content of the disintegrant used in the other comparative examples, the cross-linked-CMC in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a smaller amount, but the disintegration properties and stability over time are appropriate. The characteristics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these tablet characteristics were also found in tablets consisting only of finger root extract and cross-linked-CMC. When using a disintegrant commonly used in manufacturing other tablets, finger root extract tablets have poor aging stability, whereas finger root extract tablets have poor aging stability. In the purification of the root extract, it was specifically confirmed that cross-linked-CMC can impart excellent aging stability characteristics. In general, since the role of the excipient in tablet manufacturing is to impart the proper size and hardness of the tablet, when only the disintegrant is used alone, the size of the tablet is not properly formed, and it is difficult to show the appropriate hardness.

붕해성(및 방출 효과) 뿐만아니라, 가교-CMC와 복합적으로 제공될 때 핑거루트 추출물 정제의 경시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됨은 최초로 공개되는 것이며, 특히 유사한 물질인 CMC 염(즉,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을 사용한 예)을 사용했을 때와는 달리 장기간의 경시안정성, 유리한 붕해성 및 경도를 동시에 달성 가능하여 전혀 다른 수준의 효과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물질 구성이 예기치 못한 발명임을 입증한다. Not only the disintegration (and release effect), but also the stability over time of the fingerroot extract tablet is remarkably improved when provided in combination with crosslinked-CMC.It is the first to be disclosed, and in particular, a similar substance, CMC salt (i.e., the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The materi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es to be an unexpected invention in that it gives a completely different level of effect by simultaneously achieving long-term stability stability, advantageous disintegration, and hardness unlike the case of using Example).

실험예 2: 물질 조성비에 따른 정제 특성 비교Experimental Example 2: Comparison of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aterial composition ratio

2-1. 나정 및 코팅정의 제조2-1. Preparation of uncoated and coated tablets

상기 실험예 1에서 규명한 정제 구성에 기반하여, 경시 안정제 및 붕해제로서 가교-CMC(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를 첨가한 핑거루트 추출물 정제들을 제작하였다. 이들 조성을 달리한 다양한 정제(나정 및 코팅정 등)들을 제조하였으며, 하기 표 4에 대표적으로 중요한 예들을 비교적으로 도시하였다.Based on the tablet composition identified in Experimental Example 1, fingerroot extract tablets were prepared to which 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CMC) was added as a stabilizer and disintegrant over time. Various tablet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uncoated tablets and coated tablets, etc.) were prepared, and representatively important examples are comparatively shown in Table 4 below.

구분division 원재료명Raw material name 실시예
3
Example
3
실시예
4
Example
4
실시예
5
Example
5
실시예
6
Example
6
비교예 8Comparative Example 8 비교예 9Comparative Example 9 비교예 10Comparative Example 10
주성분chief ingredient 핑거루트 추출물Fingerroot extract 1010 3030 1010 3030 3030 6060 6060 부형제Excipient 결정셀룰로오즈Crystalline cellulose 4040 4040 4040 4040 4545 2525 2525 부형제Excipient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4444 2424 43.143.1 23.123.1 2323 99 8.18.1 활택제Lubricant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1One 1One 1One 1One 1One 1One 1One 붕해제Disintegrant 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가교-CMC)
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Bridge-CMC)
55 55 55 55 1One 55 55
가교-CMC : 핑거루트 추출물 중량비Cross-linked-CMC: finger root extract weight ratio 1:21:2 1:61:6 1:21:2 1:61:6 1:301:30 1:121:12 1:121:12 코팅제Coating agent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 0.80.8 0.80.8 -- -- 0.80.8 코팅제Coating agent *미바셋 * Mibasset -- -- 0.10.1 0.10.1 -- -- 0.10.1 합계Sum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미바셋 : acetylated monoglycerides` * Mibasset: acetylated monoglycerides

*상기 표 에서 각 수치의 단위는 % w/w 임(비율 표기 제외)* In the table above, the unit of each value is% w/w (except for ratio display)

2-2. 타정성 및 정제 특성 평가 2-2. Evaluation of tabletting and tableting properties

상기 정제 제조물들에 대한 타정성, 경도, 마손도, 붕해 시험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으며, 경시변화 시험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The tabletting properties, hardness, friability, and disintegration test results for the tablet preparations are shown in Table 5 below, and the results of the aging change test are shown in Table 6 below.

구분division 실시예
3
Example
3
실시예
4
Example
4
실시예
5
Example
5
실시예
6
Example
6
비교예
8
Comparative example
8
비교예
9
Comparative example
9
비교예
10
Comparative example
10
타정성Tabletting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경도(kg/cm2)Hardness (kg/cm 2 ) 17~1817-18 17~1817-18 18~2018-20 18~2018-20 19~2019-20 15~1715~17 15~1715~17 마손도(%)Friction degree (%) 0.0770.077 0.0940.094 0.0810.081 0.0920.092 0.1310.131 0.1340.134 나정
붕해시간
Najeong
Disintegration time
6분6 minutes 27분27 minutes -- -- 52분52 minutes 60분
이상
60 minutes
More than
--
코팅정
붕해시간
Coated tablet
Disintegration time
-- -- 7분7 minutes 27분27 minutes -- -- 60분
초과
60 minutes
Excess

1일차Day 1 7일차Day 7 14일차Day 14 30일차Day 30 60일차Day 60 120일차Day 120 실시예 3Example 3 -- -- -- -- -- -- 실시예 4Example 4 -- -- -- -- -- -- 실시예 5Example 5 -- -- -- -- -- -- 실시예 6Example 6 -- -- -- -- -- -- 비교예 8Comparative Example 8 -- -- -- -- -- -- 비교예 9Comparative Example 9 -- -- -- -- -- -- 비교예 10Comparative Example 10 -- -- -- -- -- --

여러 가지 예들에 대한 비교 실험 결과, 본 발명 특유의 정제는 가교-CMC 대비 핑거루트 추출물 중량비(즉, 가교-CMC : 핑거루트 추출물 중량비)가 1: 2 내지 7인 경우에 특이적으로 타정성 뿐만아니라, 경도, 마손도, 붕해속도 및 경시 안정성 등에 관해 현저히 유리한 정제 특성이 동시에 달성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함량의 핑거루트 추출물 함유 정제에 대해서, 가교-CMC : 핑거루트 추출물 중량비가 1:3 내지 7 정도를 아우르는 범주일 때, 더욱 바람직한 정제 특성이 달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experiment for various examples, the tablets peculiar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only tabletting properties specifically when the weight ratio of finger root extract to cross-linked-CMC (ie, cross-linked-CMC: finger root extract weight ratio) is 1: 2 to 7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remarkably advantageous refining properties can be achieved simultaneously with respect to hardness, friability, disintegration rate, and stability over time. Additionally, for tablet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finger root extract, it was confirmed that more desirable tablet characteristics were achieved when the cross-linked-CMC: finger root extract weight ratio was in the range encompassing about 1:3 to 7.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6의 나정 및 코팅정들에 대한 실험 결과에 잘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제들은 경도 , 마손도 및 타정성이 양호(이상 없음) 상태로 정제 제조가 가능하였다. 또한 오랜 기간이 지나도 정제가 갈라지거나 터지는 현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아니라 특히, 붕해 속도가 붕해시험법 기준(특히, 나정 기준 30여 분 내)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붕해 특성은 정제의 코팅 유무에 의해 실질적으로 큰 영향을 받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상기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나정과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의 코팅정을 대비한 결과에서 잘 나타난다. 특히, 본 발명의 정제 특성은 핑거루트 추출물과 가교-CMC만으로 구성된 정제에서도 나타났다(각 비율 조건은 표 4 및 전술한 바와 동일).This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ell shown i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uncoated and coated tablets of Examples 3 to 6. Specifically, the tab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capable of producing tablets with good hardness, friability, and tabletability (no abnormali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cracking or bursting of the tablet even after a long period of time, and it was found to have excellent stability over time. In addi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disintegration rate satisfies the criteria for the disintegration test method (especially within 30 minutes of the uncoated standard). It was confirmed that such disintegration properties were not substantially affect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ating of the tablet, which was well compared to the uncoated tablets of Examples 3 and 4 and the coated tablets of Examples 5 and 6. appear. In particular, the tablet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also found in the tablet consisting of only fingerroot extract and crosslinked-CMC (each ratio condition is the same as in Table 4 and above).

비교예 8 내지 비교예 10은, 본 발명에 비해 경도가 조금 낮고 마손도는 조금 높았다. 이러한 수준은 제품에 품질적으로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타정성도 양호했지만, 본 발명과는 달리, 붕해 시간이 붕해시험법 기준 시간을 전혀 충족하지 못하고 시간이 오래 걸렸다. Comparative Examples 8 to 10 had slightly lower hardness and slightly higher friability compar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judged that this level was not an abnormality in the quality of the product. The tabletting property was also good, but unlike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integration time did not meet the disintegration test method reference time at all and took a long time.

이로써 본 발명 특유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정제가 붕해 지연 및 정제 안정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 가능한 형태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뿐만아니라 본 발명은 정제 특성 및 타정성이 두루 우수하여 생산성 면에서도 이점이 있으며, 취급이 용이하여 유통 과정 등에서도 우수한 품질을 유지가능하다.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ablet made of the uniqu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 capable of simultaneously solving the problems of disintegration delay and tablet stabilit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productivity due to excellent tablet characteristics and tabletting properties, and is easy to handle. Therefore, excellent quality can be maintained even in the distribution process.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핑거루트 추출물 고함량 정제의 제조 및 정제 우수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3: Preparation of tablets with high content of fingerroot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valuation of excellence in purification

3-1. 나정 및 코팅정의 제조3-1. Preparation of uncoated and coated tablets

상기 실험예 2에서 규명한 본 발명의 정제 구성에 기반하여, 핑거루트 추출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정제들을 제작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정제(나정 및 코팅정 등)들을 제조하였으며, 하기 표 7에 대표적으로 중요한 예들을 도시하였다.Based on the table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d in Experimental Example 2, tablets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fingerroot extract were produced. Various tablets (uncoated tablets and coated tablets, etc.)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resentatively important examples are shown in Table 7 below.

구분division 원재료명Raw material name 실시예
7
Example
7
실시예
8
Example
8
실시예
9
Example
9
실시예
10
Example
10
실시예
11
Example
11
실시예
12
Example
12
실시예
13
Example
13
실시예
14
Example
14
주성분chief ingredient 핑거루트 추출물Fingerroot extract 6060 7070 7575 8080 6060 7070 7575 8080 부형제Excipient 결정셀룰로오즈Crystalline cellulose 2020 1010 55 3.13.1 2020 1010 55 3.13.1 부형제Excipient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8.18.1 8.18.1 3.13.1 -- 8.18.1 8.18.1 3.13.1 -- 활택제Lubricant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1One 1One 1One 1One 1One 1One 1One 1One 붕해제Disintegrant 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1010 1010 1515 1515 1010 1010 1515 1515 가교-CMC: 핑거루트 추출물 중량비Cross-linked-CMC: finger root extract weight ratio 1:61:6 1:71:7 1:51:5 1:5.331:5.33 1:61:6 1:71:7 1:51:5 1:5.331:5.33 코팅제Coating agent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0.80.8 0.80.8 0.80.8 0.80.8 코팅제Coating agent *미바셋 * Mibasset 0.10.1 0.10.1 0.10.1 0.10.1 합계Sum 99.199.1 99.199.1 99.199.1 99.199.1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상기 표 에서 각 수치의 단위는 % w/w 임(비율 표기 제외)* In the table above, the unit of each value is% w/w (except for ratio display)

3-2. 타정성 및 정제 특성 평가 3-2. Evaluation of tabletting and tableting properties

상기 정제 제조물들에 대한 타정성, 경도, 마손도, 붕해 시험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으며, 경시변화 시험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The tabletting properties, hardness, friability, and disintegration test results for the tablet preparations are shown in Table 8 below, and the results of the change with time are shown in Table 9 below.

구분division 실시예 7/
실시예 11
Example 7/
Example 11
실시예 8/
실시예 12
Example 8/
Example 12
실시예 9/
실시예 13
Example 9/
Example 13
실시예 10/
실시예 14
Example 10/
Example 14
타정성Tabletting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경도(kg/cm2)Hardness (kg/cm 2 ) 15 ~ 1715 to 17 14 ~ 1714 to 17 14 ~ 1614 to 16 13 ~ 1513 to 15 마손도(%)Friction degree (%) 0.1350.135 0.1410.141 0.1400.140 0.1420.142 붕해시간 (나정)Disintegration time (najeong) 32분32 minutes 35분35 minutes 25분25 minutes 29분29 minutes 붕해시간 (코팅정)Disintegration time (coated tablet) 34분34 minutes 36분36 minutes 25분25 minutes 31분31 minutes

1일차Day 1 7일차Day 7 14일차Day 14 30일차Day 30 60일차Day 60 120일차Day 120 실시예7Example 7 -- -- -- -- -- -- 실시예8Example 8 -- -- -- -- -- -- 실시예9Example 9 -- -- -- -- -- -- 실시예10Example 10 -- -- -- -- -- -- 실시예11Example 11 -- -- -- -- -- -- 실시예12Example 12 -- -- -- -- -- -- 실시예13Example 13 -- -- -- -- -- -- 실시예14Example 14 -- -- -- -- -- --

본 발명에 따른 핑거루트 추출물 고함량 정제들의 특성을 대표적으로 상기 표들에 도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제들(나정 및 코팅정)은 경도, 마손도 및 타정성이 양호(이상 없음)할 뿐만아니라,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최대로 하여도 30분 대(즉, 40분 미만)로 모두 붕해되어 붕해속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content of the fingerroot extract tab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typically shown in the above tables. As shown in Examples 7 to 14, the tablets (uncoated tablets and coated tab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ave good hardness, friability, and tabletting properties (no abnormality), but also have excellent stability over time and maximize Even in this case,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integration rate was excellent by disintegrating all in the 30 minutes (that is, less than 40 minutes).

상기 실험 결과 핑거루트 추출물이 고함량으로 포함되는 경우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가교-CMC: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4 내지 7 범주에 있을 때, 기존에 공지된 핑거루트 추출물(판두라틴계열 화합물) 정제들 보다도 우수한 붕해성을 가지고 경시안정성 특성이 만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As a result of the above experiment, when the finger root extract is contained in a high content, usually when the weight ratio of cross-linked-CMC: finger root extract is in the range of 1: 4 to 7, a previously known finger root extract (panduratin-based compound ) It was confirmed that it has better disintegration than tablets and satisfies the aging stability characteristics.

특히, 가교-CMC: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5:7.5(1:5)인 실시예 9와 1.5:8(1:5.33)인 실시예 10의 경우, 20 분대(즉, 30분 이하)로 붕해시간이 단축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이는 핑거루트추출물의 함량에 따라 가교-CMC의 첨가 비율이 매우 중요하다는 결과이며, 이러한 결과는 정제의 코팅에 대해 크게 영향받지 않았다. 즉, 핑거루트 추출물이 고함량(60%(w/w) 내지 80%(w/w))으로 포함될 때에는 가교-CMC 대비 핑거루트 추출물 중량비(즉, 가교-CMC : 핑거루트 추출물 중량비)가 1: 5 내지 6 인 경우에, 타정성, 경도, 마손도 및 경시 안정성 등의 유리한 특성을 더욱 만족할 뿐만아니라, 30분 이내(이하)로 붕해되어 더욱 우수한 정제의 생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제의 코팅 유무와 관계없이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3 및 실시예 14 등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3 및 실시예 14에서는 부형제의 함량이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함량보다 적게 포함되었다는 조성적 특징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xample 9 in which the weight ratio of crosslinked-CMC: fingerroot extract was 1.5:7.5 (1:5) and Example 10 in which 1.5:8 (1:5.33) was used, in 20 minutes (i.e., 30 minutes or l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integration time was shortened. This is a result that the addition ratio of crosslinked-CMC is very important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fingerroot extract, and this result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coating of the tablet. That is, when the finger root extract is included in a high content (60% (w/w) to 80% (w/w)), the weight ratio of finger root extract to cross-linked-CMC (ie, cross-linked-CMC: finger root extract weight ratio) is 1 : In the case of 5 to 6, it was confirmed that advantageous properties such as tabletting property, hardness, friability, and stability with time were more satisfied, as well as disintegration within 30 minutes (hereinafter), enabling the production of more excellent tablets. These results were the same regardless of whether the tablet was coated or no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Examples 9, 10, 13, 14, and the like. In addition, in Examples 9, 10, 13, and 14, there is a compositional characteristic that the content of the excipient is less than the content of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또한 추가의 실험에서 본 발명 정제의 최대 경시안정 기간을 실험한 결과, 24개월 이상 동안 본 발명의 정제는 안정적으로 보관가능 하였다. In addition, as a result of testing the maximum duration of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dditional experiment, th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ld be stably stored for more than 24 months.

특히, 전술한 본 발명의 정제 특성은 핑거루트 추출물과 가교-CMC만으로 구성된 정제에서도 나타났다(각 비율 조건은 표 7 및 전술한 바와 동일).In particular, the above-described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also found in tablets consisting only of fingerroot extract and crosslinked-CMC (each ratio condition is the same as in Table 7 and abov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핑거루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약리성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특유의 정제는 핑거루트 추출물(판두라틴 계열 화합물)성분을 고함유하면서도, 제제학적으로 요구되는 적절한 붕해성, 약물 안정성, 경시 안정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나타낼 뿐만아니라, 타정성 및 취급 용이성(경도 및 마손률 관련 물리적 강도 등)등 효율적인 제조 공정/유통 측면에서도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t containing a finger 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pharmacological ingredient, main ingredient), and the unique table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high content of finger root extract (panduratin-based compound). In addition, not only exhibit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appropriate disintegration, drug stability, and aging stability required by the formulation, but also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in terms of efficient manufacturing process/distribution such as tabletting and handling ease (physical strength related to hardness and wear rate) As a result, it has high industrial applicability.

Claims (8)

핑거루트(fingerroot)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경시 안정성 향상제 및 붕해제로서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를 포함하며,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핑거루트 추출물의 중량비가 1: 2 내지 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In a tablet containing finger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tablet contains 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as a stability improving agent and disintegrant over time,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finger root extract is 1: 2 to 7.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핑거루트 추출물의 함량이 정제의 총 중량 대비 30 내지 80%(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The tab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of the fingerroot extract is 30 to 80% (w/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ab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나정(uncoated tablet) 기준 30분 이내에 붕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The tab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blet disintegrates within 30 minutes based on an uncoated tab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24개월 이상의 경시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제.
The tab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blet exhibits a aging stability of 24 months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는
가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is
Tabl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 및
핑거루트 추출물 및 가교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코어(cor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ablet
A coating layer containing a hydrophilic polymer; And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re (core) comprising a finger root extract and 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코팅정으로서 60분 이하의 붕해시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The table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tablet has a disintegration time of 60 minutes or less as a coated tablet.
KR1020190066267A 2019-06-04 2019-06-04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disintegration and storage stability of tablet containing finger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2409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267A KR102240935B1 (en) 2019-06-04 2019-06-04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disintegration and storage stability of tablet containing finger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267A KR102240935B1 (en) 2019-06-04 2019-06-04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disintegration and storage stability of tablet containing finger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585A KR20200139585A (en) 2020-12-14
KR102240935B1 true KR102240935B1 (en) 2021-04-15

Family

ID=7377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267A KR102240935B1 (en) 2019-06-04 2019-06-04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disintegration and storage stability of tablet containing finger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935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3143B2 (en) * 2008-10-09 2014-02-18 Newtree Co., Ltd. Use of panduratin derivative or Boesenbergia pandurata extract
KR101695443B1 (en) * 2013-11-29 2017-01-11 (주) 네추럴웨이 Tablet containing pandurat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52700B1 (en) 2014-08-13 2017-07-03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omega-3 fatty acid ester and statins
KR101965804B1 (en) * 2016-09-09 2019-04-05 김영훈 Microbe Fermenting Agent for Improving Properties of Pill & Manufacturing Method of Pill for Absorption after Digestion Us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994. Vol.54, pp.1879-1885.
Pharmaceutic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2016. Vol.21, No.6, pp.763-77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585A (en)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1489B2 (en)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fesoterodine
BG110060A (en) Pregelatinized starch in a controlled release preparation
TW518224B (en) Trovafloxacin mesylate tablet
CN105919962B (en) A kind of dabigatran etcxilate tabl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502421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JP2016183138A (en) Solid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H06206833A (en) Pharmaceutical drug
JP2019516706A (en) Novel crystalline form of dapagliflozin and method for producing and use thereof
KR102240935B1 (en)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disintegration and storage stability of tablet containing finger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JP2022544167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nitroxoline, nitroxoline oral solid tablet,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KR102111115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natural extracts with improved stability
JPWO2016163460A1 (en) Tablet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disintegration and dissolution of tablet composition
JP7085527B2 (en) Erythritol granul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as well as tablet manufacturing methods and tablets using them.
KR101269665B1 (en) Film coated tablet comprising cardus marianus extract and curcuma xanthorhiza extract, and a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CN106580899B (en) Method for preparing imidafenacin tablets
CN113456639A (en) Anti-arrhythmi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0016471B2 (en) Soli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brown algae
RU2599020C1 (en) Tableted drug based on the extract of alchemilla vulgaris
WO2019131411A1 (en) Erythritol granules for orally disintegrating tablet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orally disintegrating tablets prepared using same
JP7381799B1 (en) Method for producing tablets containing long life herb and turmeric
KR102515460B1 (en) Method For Preparing Tablet Comprising Arginine And Ginseng
JP7370224B2 (en) Enteric-coated preparation containing lactoferrin
CN108143722A (en) A kind of paroxetine hydrochloride enteric-coated sustained-release tabl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WO2016163463A1 (en) Tablet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disintegration and dissolution of tablet composition
JP6927763B2 (en) Tablets containing Seihaito extract pow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