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280B1 - Rotary storage device for tractor - Google Patents

Rotary storage device for tr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280B1
KR102240280B1 KR1020190032548A KR20190032548A KR102240280B1 KR 102240280 B1 KR102240280 B1 KR 102240280B1 KR 1020190032548 A KR1020190032548 A KR 1020190032548A KR 20190032548 A KR20190032548 A KR 20190032548A KR 102240280 B1 KR102240280 B1 KR 102240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frame
fixed
suspension fram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5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2290A (en
Inventor
정재학
Original Assignee
정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학 filed Critical 정재학
Priority to KR1020190032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280B1/en
Publication of KR2020011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2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2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10Lifting or clean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를 보관시 복잡하거나 번거로움 없이 간단한 거치작업을 통하여 로터리의 수평을 조절하여 현수(懸垂)시켜 고정함과 아울러 좌우 불균형 없이 안정적이면서 전복 또한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게 보관하고자 하는 로터리를 현수시켜 보관하도록 그 로터리의 고정샤프트 양측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고정샤프트의 밑면을 받쳐 지지하면서 수평조절부에 의해 로터리의 전후 수평을 조절한 후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현수 프레임; 상기 현수 프레임의 전방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현수 프레임과 같은 방향으로 그 현수 프레임 보다 더 긴 길이로 마련되는 받침 프레임;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로터리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로터리의 로터날이 손상은 물론 전복에 따라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전복됨을 방지함에 따라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tore the rotary so that it can be safely stored so that it is stable and does not overturn without any imbalance in the left and right while adjusting the horizontal level of the rotary through a simple mounting operation without complicated or hassle. A suspension fram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shaft of the rotary so as to suspend and store the rotary, and including a fixing part fixed afte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of the rotary by a horizontal adjusting part while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fixed shaft; A vertical frame provided vertically in front of the suspension frame; And a support fram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with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suspension fram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uspension frame.
Accordingly,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rotary blade of the rotary from being damaged by overturning as well as damage, and by preventing overturning by pressure or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thereby securing high safety.

Description

트랙터용 로터리 보관장치{Rotary storage device for tractor} Rotary storage device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로터리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트랙터에 연결하여 로터리 작업 후 로터리를 보관시 복잡하거나 번거로움 없이 간단한 거치작업을 통하여 로터리의 수평을 조절하여 현수(懸垂)시켜 고정함과 아울러 좌우 불균형 없이 안정적이면서 전복 또한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로터리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storage device for a tractor, and more particularly, when storing the rotary after the rotary operation by connecting to the tractor, the horizontal of the rotary is adjusted and suspended and fixed through a simple mounting operation without complicated or hassle. In addition, it relates to a rotary storage device for a tractor that can be safely stored so as not to cause overturning while being stable without left-right imbalance.

일반적으로 트랙터는 농경지(農耕地)를 개간시 후방에 쟁기, 써레, 배토기 또는 로터리 등과 같은 작업기와 같은 농기계를 장착하여 필요로 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In general, a tractor performs the required work by installing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a plow, a harrow, a clay pot or a rotary machine at the rear when clearing agricultural land.

특히 로터리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로터리는 트랙터로부터 분리한 후 창고나 헛간 또는 마당 등과 같은 보관장소에 별도의 보관수단을 구비하지 못하고 바닥에 놓고 고임목 등을 통하여 받쳐 지지하도록 보관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In particular, it is a reality that the rotary after the rotary work is completed is not equipped with a separate storage means in a storage place such as a warehouse, barn, or yard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tractor, but is placed on the floor and stored so as to be supported and supported through a tree. .

그에 따라 바닥에 로터리를 놓는 과정에서 로터날이 손상이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함은 물론 고임목이 제대로 지탱하지 못할 경우, 쉽게 전복되어 로터리 자체가 손상이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tor blade is damaged or damaged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rotary on the floor, as well as the problem that the rotary itself is damaged or damaged because it is easily overturned if the wood is not properly supported.

또한, 보관시 고임목에 의해서만 받쳐진 상태이므로 통행이나 왕래에 따른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전복되어 통행자에게도 위험한 상황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In addition, since it was supported only by a tree during storage, it was easily overturned by a small impact caused by traffic or traffic, providing a cause for causing a dangerous situation to passers-by.

한편, 종래 농기계인 각종 작업기를 보관 용도보다는 받쳐 지지하면서 트랙터에 각종 작업기를 탈부착하기 위한 여러 장비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various equipment for attaching and attaching various working machines to a tractor while supporting and supporting various working machines, which are conventional agricultural machines, rather than for storage purposes, has been proposed and used.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8529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용 배토기를 지면에 지지한 채로 로터리에 탈부착하기 위한 배토기 프레임에 상부가 고정축으로 고정되는 수직지지대, 전단과 후단에 캐스터가 설치된 수평지지대를 포하는 캐스터 지지대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First, as publish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78529 (hereinafter referred to as'prior technical document 1'), the top is a fixed shaft on the earthenware fram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earther to the rotary while supporting the earthenware for the tractor on the ground. Technologies such as a fixed vertical support and a caster support including a horizontal support with caster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have been proposed.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0333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 프레임 및 캐스터의 설치로 힘을 들이지 않고도 써레를 이동시킬 수 있어 써레의 탈부착 작업이 용이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구성되는 캐스터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에 구비되는 캐스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트렉턱용 써레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publish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60333 (hereinafter referred to as'prior technical document 2'), the installation of caster frames and casters allows the harrow to be moved without any effort, making it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harrow. Techniques such as a caster frame constituting a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and a trek tuck harrow including a caster frame provided in the horizontal frame have been proposed.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1219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써레를 지지하며 하부에 바퀴를 구비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써레의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수직 방향에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하나 이상의 바퀴로 구성되는 써레용 받침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published i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41219 (hereinafter referred to as'prior technical document 3'), the harrow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support frame of the harrow by providing a wheel at the bottom to facilitate movement. Techniques such as a fixing part, a support part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a support part formed under the support part, and a support device for harrows composed of one or more wheels in the support part have also been proposed.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4581호(이하 '선행기술문헌 4'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써레 등의 농기계에 신속하고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편리하고, 탈부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부재나 고정핀 등의 분실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농기계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브래킷, 상기 연결브래킷에 구비되는 받침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2개 이상의 캐스터를 포함하는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publish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74581 (hereinafter referred to as'prior technical literature 4'), it is convenient and easy to attach and detach to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harrows. A connection bracket including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an agricultural machine frame to fundamentally block the risk of loss of members or fixing pins, a support part provided on the connection bracket, a support frame composed of a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Technologies such as a detachable agricultural machinery support device including two or more casters have also been propos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852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37852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0333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46033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121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4121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458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74581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4는 다 같이 농기계 중 각종 작업기에 해당되는 써레를 이동시 또는 트렉터에 탈착시 받침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농기계인 로터리를 사용한 직후 보관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을 가진다. However, prior art documents 1 to 4 are all used as a support when moving a harrow corresponding to various working machines among agricultural machines or detaching from a tractor, and have disadvantages that are not suitable for storage immediately after using a rotary, which is an agricultural machine.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트랙터에 연결하여 로터리 작업 후 로터리를 보관시 복잡하거나 번거로움 없이 간단한 거치작업을 통하여 로터리의 수평을 조절하여 현수(懸垂)시켜 고정함과 아울러 좌우 불균형 없이 안정적이면서 전복 또한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로터리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 specific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adjust the horizontal level of the rotary through a simple mounting operation without complicated or hassle when storing the rotary after the rotary operation by connecting it to the tractor and suspending i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otary storage device for tractors that can be securely stored so that it is secured and secured without any imbalance on the left and right, and also prevents overturning.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로터리를 더욱더 견고하고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specific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rotary more robust, safe and stably fixed.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보관과 함께 이동 또한 용이하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specific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movement as well as storage.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보관을 위한 보관장치를 조립식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specific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rage device for storage in a prefabricated manner.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트랙터에 연결하여 로터리 작업 후 사용이 끝난 로터리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로서, 상기 보관장치는 보관하고자 하는 로터리를 현수시켜 보관하도록 그 로터리의 고정샤프트 양측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고정샤프트의 밑면을 받쳐 지지하면서 수평조절부에 의해 로터리의 전후 수평을 조절한 후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현수 프레임; 상기 현수 프레임의 전방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현수 프레임과 같은 방향으로 그 현수 프레임 보다 더 긴 길이로 마련되는 받침 프레임;을 포함한다. A specific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 used rotary after the rotary operation by connecting to a tractor, and the storage device is a storage device for suspending and storing the rotary to be stored. A suspension frame tha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shaft of the rotary, and includes a fixed portion fixed afte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of the rotary by a horizontal adjusting unit while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fixed shaft; A vertical frame provided vertically in front of the suspension frame; And a supporting fram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uspension frame and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suspension frame.

상기 수평조절부는 현수 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는 플랜지의 전후에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로터리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조절볼트를 포함한다.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includes each adjustment bolt provided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by being screwed before and after the flang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spension frame by a screw connection method.

상기 고정부는 현수 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플랜지에 로터리의 고정샤프트를 감사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볼트를 포함한다. The fix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U-bolt for auditing and fixing the fixing shaft of the rotary to each flange provid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suspension frame.

상기 받침 프레임에는 이동을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캐스터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The support frame further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casters for movement.

상기 고정부는 고정샤프트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볼트, 상기 유볼트의 하단이 체결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밑면에 고정되어 상기 현수 프레임을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착관부재를 포함한다. The fix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U-bolt surrounding the fixing shaft, a fixing plate to which a lower end of the U-bolt is fastened and fixed, and a detachable pipe member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late so as to detach the suspension frame.

상기 현수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은 분할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현수 프레임의 끝단에 마련되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에 수직 프레임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The suspension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dividedly formed to be detachably provided, and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tube provided at an end of the suspension frame, and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tube and fixed by a fixing means.

상기 고정부는 현수 프레임으로부터 분할된 탈착 프레임, 상기 탈착 프레임의 끝단에 구비되어 고정샤프트의 일면을 감싸는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과 대응되는 형태로 고정샤프트의 타면을 감싸 복수 개의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탈착 블록을 포함한다. The fixing unit is a detachable frame divided from the suspension frame, a fixed block provided at an end of the detachable frame and enclosing one surface of the fixed shaft, and a detachable fixing fixed by wrapp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xed shaf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xed block with a plurality of bolts. Includes blocks.

본 발명은 트랙터에 연결하여 로터리 작업 후 로터리를 보관시 복잡하거나 번거로움 없이 간단한 거치작업을 통하여 로터리의 수평을 조절하여 현수(懸垂)시켜 고정함과 아울러 좌우 불균형 없이 안정적이면서 전복 또한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로터리의 로터날이 손상은 물론 전복에 따라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전복됨을 방지함에 따라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tractor, and when storing the rotary after rotary work, the horizontal of the rotary is adjusted and suspended through a simple mounting operation without any complexity or hassle. By allowing the storage to take plac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rotary blade from being damaged by overturning as well as damage, and the effect of ensuring high safety by preventing overturning by external pressure or impact. Have.

또한, 로터리를 더욱더 견고하고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된 상태에서의 로터리의 유동성을 극소화하여 더욱더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rotary to be fixed more sturdily, securely and stably,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fluidity of the rotary in the stored state and securing even higher safety.

또, 보관과 함께 이동 또한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보관장소로의 이동이 편리하여 보관의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트랙터로의 장착이나 분리 또한 더욱더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addition, by making it easy to move along with storage, it is easy to move to a desired storage location, thereby increasing storage efficiency, as well as mounting or detaching to a tractor more conveniently.

또, 보관을 위한 보관장치를 조립식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장치의 자체적인 보관과 같은 물류도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storage device for storage to be provided in a prefabricated manner, logistics such as self-storage of the storage device also has a convenient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수평조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horizontal adjustment state according to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수평조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horizontal adjustment state according to FIG. 2.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로터리는 농경지 경작을 위해 경운기나 트랙터 등과 농기계의 후방에 장착되어 로터리 작업을 행하는 작업기이다. As shown, a conventional rotary is a working machine that is mounted at the rear of an agricultural machine such as a cultivator or a tractor for cultivating agricultural land to perform rotary work.

이러한 로터리는 로터리 작업이 끝난 후에는 농기계인 트랙터 등으로부터 분리한 후 창고나 헛간 또는 마당 등과 같은 보관장소에 별도의 보관수단을 구비하지 못하고 바닥에 놓고 고임목 등을 통하여 받쳐 지지하도록 보관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After the rotary work is completed, the rotary is separated from the tractor, which is an agricultural machine, and is not equipped with a separate storage means in a storage place such as a warehouse, barn, or yard. It's Jeong.

그에 따라 바닥에 로터리를 놓는 과정에서 로터날이 손상이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함은 물론 고임목이 제대로 지탱하지 못할 경우, 쉽게 전복되어 로터리 자체가 손상이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tor blade is damaged or damaged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rotary on the floor, as well as the problem that the rotary itself is damaged or damaged because it is easily overturned if the wood is not properly supported.

또한, 보관시 고임목에 의해서만 받쳐진 상태이므로 통행이나 왕래에 따른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전복되어 통행자에게도 위험한 상황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In addition, since it was supported only by a tree during storage, it was easily overturned by a small impact caused by traffic or traffic, providing a cause for causing a dangerous situation to passers-by.

본 발명은 트랙터에 연결하여 로터리 작업 후 로터리를 보관시 복잡하거나 번거로움 없이 간단한 거치작업을 통하여 로터리의 수평을 조절하여 현수(懸垂)시켜 고정함과 아울러 좌우 불균형 없이 안정적이면서 전복 또한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tractor, and when storing the rotary after rotary work, the horizontal of the rotary is adjusted and suspended through a simple mounting operation without any complexity or hassle. It is to ensure that storage can take place.

본 발명에 따른 보관장치(1)는 보관하고자 하는 로터리를 바닥면 등으로 닿지 않도록 현수시켜 보관하도록 그 로터리(100)의 고정샤프트(110) 양측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고정샤프트(110)의 밑면을 받쳐 지지하면서 수평조절부(12)에 의해 로터리(100)의 전후 수평을 조절한 후 고정되는 고정부(14)를 포함하는 현수 프레임(10)을 포함한다. The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shaft 110 of the rotary 100 so that the rotary to be stored is suspended so as not to touch the floor, etc.,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shaft 110 It includes a suspension frame 10 including a fixing portion 14 that is fixed afte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of the rotary 100 by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12 while supporting and supporting.

또한, 상기 현수 프레임(10)의 전방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수직 프레임(20); 및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하부에 현수 프레임(10)과 같은 방향으로 그 현수 프레임(10) 보다 더 긴 길이로 마련되어 바닥면에 놓이는 받침 프레임(30);을 포함한다. In addition, a vertical frame 20 provided vertically in front of the suspension frame 10; And a support frame 30 disposed below the vertical frame 20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suspension frame 1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uspension frame 10 and placed on the floor surface.

상기에서, 바닥면에 놓이는 받침 프레임(30)은 현수 프레임(10) 보다 길게 형성되어 바닥면으로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 현수 프레임(10)에 구비되는 고정부(14)는 받침 프레임()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현수되는 로터리의 무게 중심이 받침 프레임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로터리가 현수되어 보관된 상태에서 안정적이면서 전복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the above, the support frame 30 placed on the floor surface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suspension frame 10 so that it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floor surface, and in particular, the fixing portion 14 provided on the suspension frame 10 It is preferable to position it in the middle of the support frame ()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spended rotary can b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upport frame. This is to minimize the overturning while being stable while the rotary is suspended and stored.

또한, 상기 현수 프레임은 수직 프레임과 직교되게 수평방향으로 도시하였으나, 도시하지 않은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지게, 즉 현수되는 로터리의 하중을 감안하여 완만한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lthough the suspension frame is illust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fra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spension fram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a vertical frame (not shown), that is, to be inclined gently upward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of the suspended rotary frame.

아울러, 상기 현수 프레임, 수직 프레임 및 받침 프레임은 전체적인 형상이 한글 자음의 디귿("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현수 프레임과 받침 프레임 사이에 로터리가 현수되어 바닥면으로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spension frame, vertical frame and support frame have an overall shape in the form of a Hangul consonant digut ("c"), so that a rotary is suspended between the suspension frame and the support frame so that they do not touch the floor surface. .

그리고 상기 현수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이 접하는 부분에는 보강을 위한 통상적인 보강 브래킷이 고정됨은 물론 수직 프레임과 받침 프레임이 접하는 부분에도 보강을 위한 통상적인 보강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general reinforcing bracket for reinforcement is fixed to a portion where the suspension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in contact, as well as a conventional reinforcement for reinforcement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vertical frame and the supporting frame are in contact.

수평조절부(12)는 현수 프레임(10)의 측면에 구비되는 플랜지(10A)의 전후에 통상적인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로터리(100)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조절볼트(12A)를 포함한다.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12 is screwed before and after the flange 10A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spension frame 10 by a conventional screwing method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100. 12A).

다시 말해서, 로터리의 고정샤프트에 고정부를 통하여 로터리를 임시 고정한 상태에서 수평조절부인 조절볼트를 조절하여 로터리가 전후방향으로 편중됨 없이 수평을 조절한 고정부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그로 인해 로터리의 무게 중심이 전후로 편중되지 않아 현수 후에도 전복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ile the rotary is temporarily fixed to the fixed shaft of the rotary, the adjusting bolt, which is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is adjusted using the horizontally adjusted fixing unit without being bia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s a resul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otary is not biased back and forth,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overturning even after suspension.

고정부(14)는 현수 프레임(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플랜지(10A)에 로터리의 고정샤프트(110)를 감사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볼트(14A)를 포함한다. The fixing part 14 includes at least one U-bolt 14A for auditing and fixing the fixing shaft 110 of the rotary to each flange 10A provid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suspension frame 10.

즉, 상기 고정부의 유볼트는 로터리의 고정샤프트에 임시로 가고정한 상태에서 수평조절부에 의해 로터리의 전후 수평을 조절한 후 유볼트를 최종적으로 고정함으로써, 높은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That is, the U-bolt of the fixing part is temporarily fixed to the fixing shaft of the rotary, and afte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ity of the rotary by the horizontal adjustment part, the U-bolt is finally fixed, thereby securing a high fixing force.

여기서, 상기 수평조절부에 구비되는 플랜지는 고정부에 구비되는 어느 하나의 플랜지가 적용된다. 즉, 수평조절부의 조절볼트는 고정부의 일측 플랜지에 마련되는 것이다. Here, the flange provided in the horizontal adjustment part is applied to any one flange provided in the fixing part. That is, the adjusting bolt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flange of the fixing unit.

아울러, 도 4에서와같이 고정부(14)를 구성함에 있어, 양측에 플랜지(10A)를 형성하여 한 쌍의 유볼트(14A)를 체결할 경우, 로터리의 고정샤프트(110)로의 고정력을 더욱더 높일 수 있어, 보관장치에서 로터리의 유동성을 방지한다. In addition, in configuring the fixing part 14 as in FIG. 4, when the flanges 10A are formed on both sides to fasten a pair of U-bolts 14A, the fixing force of the rotary to the fixing shaft 110 is further increased. Can be increased, preventing the fluidity of the rotary in the storage device.

이로써, 본 발명의 보관장치는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로터리 작업이 완료된 로터리를 간단한 거치작업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현수시켜 고정하여 보관함으로써, 종래 바닥면에 놓여 로터리의 로터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Accordingly, the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complicated technical configuration, but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suspended from the floor to a predetermined height by a simple mounting operation and fixed and sto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tor blade from being damaged, as well as to prevent it from overturning, so that it can be safely stored.

특히, 현수되어 보관된 상태에서 외부에서의 물리적인 충돌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전복됨을 방지하여 더욱더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suspended and stored state, it is possible to secure even higher safety by preventing overturning even by a physical collision or impact from the outside.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받침장치는 바닥면으로 놓고 사용하는 고정식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로터리를 보관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 또한 용이한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As shown,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upporting device has been described as a fixed type that is used by placing it on the floor surface, but it also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is easy to move to a desired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otary is stored if necessary.

받침 프레임(30)에는 이동을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캐스터(32)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The support frame 30 further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casters 32 for movement.

상기 캐스터(32)는 받침 프레임(30)의 밑면에 통상적인 플랜지 결합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aster 32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30 by a conventional flange coupling method.

다시 말해서, 받침 프레임의 밑면 전후에 탈착 가능한 캐스터를 구비함에 따라 로터리를 거치시켜 보관한 상태에서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편리성도 제공한다. In other words, since the casters that are detachable before and after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are provided, it is convenient to move to a desired place easily while the rotary is mounted and stored.

아울러, 캐스터에 의해 이동 가능한 조건을 가짐에 따라 트랙터 등과 같은 작업기에 로터리를 부착시나 분리시에도 더욱더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편리성도 제공한다. In addition, as it has a condition that can be moved by a caster, it provides convenience that can be more conveniently attached and detached even when attaching or detaching the rotary to a work machine such as a tractor.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6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고정부를 현수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현수 프레임을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As illustrat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art is fixed to the suspension frame has been described, but a technical configuration is also provided that enables the suspension frame to be detached if necessary.

고정부(14)는 로터리의 고정샤프트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볼트(14A)와, 상기 유볼트(14A)의 하단이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4B)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4B)의 밑면에 통상적인 용접 또는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현수 프레임을 슬라이딩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착관부재(14C)를 포함한다. The fixing part 14 includes at least one U-bolt 14A surrounding the fixing shaft of the rotary, a fixing plate 14B in which a lower end of the U-bolt 14A is fastened and fixed by a conventional method, and the fixing plate ( It includes a detachable pipe member (14C) that is fixed to the bottom of 14B) by conventional welding or bolting, so that the suspension frame can be inserted or removed by sliding.

상기에서, 탈착관부재에는 삽입된 현수 프레임을 볼트 등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고정공(14C-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o form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4C-1 through which the inserted suspension frame can be fixed by bolts or the like in the detachable pipe member.

그에 따라 로터리 고정샤프트에 미리 고정부, 즉 유볼트에 의해 고정샤프트를 고정시켜 놓고, 보관이 요구될 때에는 상기 고정부의 탈착관부재로 현수 프레임을 삽입시킴에 따라 간단하게 보관할 수 있는 편리성도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fixed shaft is fixed to the rotary fixed shaft in advance by means of a U-bolt, and when storage is required, convenience is provided for simple storage by inserting the suspension frame into the detachable pipe member of the fixed part. do.

아울러, 사용 중 혹여 현수 프레임이나 수직 프레임 또는 받침 프레임 등이 손상되었을 경우, 이 또한 유지보수가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구비한다. In addition, if the suspension frame, the vertical frame or the supporting frame is damaged during use, this also provides a condition that allows simple and convenient maintenance.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본 발명 보관장치의 보관이나 물류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As shown in the above configuration,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storage or distribution of the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is also provided.

현수 프레임(10)과 수직 프레임(20)은 분할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현수 프레임(10)의 끝단에 마련되는 삽입관(15)과, 상기 삽입관(15)에 수직 프레임(20)의 상단이 삽입되어 통상적인 볼트나 또는 공지된 볼 플런저 방식 등이 적용되는 고정수단(15A)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The suspension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are dividedly formed to be detachably provided, and an insertion tube 15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spension frame 10 and a vertical frame 20 on the insertion tube 15 It further includes that the top of the) is inserted and fixed by a fixing means 15A to which a conventional bolt or a known ball plunger method is applied.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전체적인 형상이 한글 자음이 디귿 자 형태로 형성된 것에서, 현수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분할 형성함으로써, 바 형태의 현수 프레임과, 한글 자음의 니은 자 형태인 수직 프레임과 받침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In other words, the overall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Hangul consonants are formed in the form of a Digut character, and by dividing the hanging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he suspension frame in the form of a bar, the vertical frame in the form of a Hangul consonant, and a support frame do.

그로 인해 본 발명의 보관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현수 프레임을 분리시켜 보관함에 따라 보관의 편리성은 물류도 편리한 조건을 가진다. Therefore, when the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 use, the suspension frame is separated and stor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storage and the logistics are convenient.

아울러, 이 또한 현수 프레임 또는 수직 프레임이나 받침 프레임의 이상 시 그 이상이 발생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는 편리성도 제공한다. In addition, this also provides the convenience of replacing only the part in which the abnormality occurred when the suspension frame or the vertical frame or the supporting frame is abnormal.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8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로터리의 고정샤프트에 고정하는 방식을 유볼트 방식에서 더욱더 높은 고정력을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As shown,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a higher fixing force can be fixed in the U-bolt method for fixing to the fixing shaft of the rotary.

고정부(14)는 현수 프레임(10)으로부터 분할된 관 형태의 탈착 프레임(16)과, 상기 탈착 프레임(16)의 끝단에 구비되어 고정샤프트의 일면을 감싸는 고정 블록(17A)과, 상기 고정 블록(17A)과 대응되는 형태로 고정샤프트의 타면을 감싸 복수 개의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탈착 블록(17B)을 포함한다. The fixing part 14 includes a tube-shaped detachable frame 16 divided from the suspension frame 10, a fixed block 17A provided at the end of the detachable frame 16 to surround one surface of the fixed shaft, and the fixing It includes a detachable block 17B that wraps the other surface of the fixed shaf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lock 17A and is fastened and fixed with a plurality of bolts.

상기에서, 탈착 프레임은 현수 프레임에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는 관 형태로, 삽입 후 고정을 위한 통상적인 볼트 등에 의해 고정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In the above, the detachable frame is in the form of a tube that is slid and inserted into the suspension frame, and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fixed by using a conventional bolt for fixing after insertion.

다시 말해서, 로터리의 고정샤프트를 유볼트 고정방식에 비하여 더욱더 높은 고정력을 갖도록 고정 블록과 탈착 블록에 의해 고정함에 따라 더욱더 뛰어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다. In other words, as the fixed shaft of the rotary is fixed by the fixing block and the detachable block so as to have a higher fixing force than the U-bolt fixing method, it is possible to have more excellent fixing power.

아울러, 고정 블록이 구비된 탈착 프레임 또한 현수 프레임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가짐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since the detachable frame provided with the fixed block is also detachably provided from the suspension fram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it has the same effect as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보관장치
10 : 현수 프레임 10A : 플랜지
12 : 수평조절부 12A : 조절볼트
14 : 고정부 14A : 유볼트
14B : 고정 플레이트 14C : 탈착관부재
14C-1 : 고정공 15 : 삽입관
15A : 고정수단 16 : 탈착 프레임
17A : 고정 블록 17B : 탈착 블록
20 : 수직 프레임 30 : 받침 프레임
32 : 캐스터
100 : 로터리 110 : 고정 샤프트
1: storage device
10: suspension frame 10A: flange
12: horizontal adjustment unit 12A: adjustment bolt
14: fixed part 14A: U-bolt
14B: fixed plate 14C: detachable pipe member
14C-1: fixed hole 15: insertion tube
15A: fixing means 16: detachable frame
17A: fixed block 17B: detachable block
20: vertical frame 30: support frame
32: caster
100: rotary 110: fixed shaft

Claims (7)

트랙터에 연결하여 로터리 작업 후 사용이 끝난 로터리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로서,
상기 보관장치는 보관하고자 하는 로터리를 현수시켜 보관하도록 그 로터리의 고정샤프트 양측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고정샤프트의 밑면을 받쳐 지지하면서 수평조절부에 의해 로터리의 전후 수평을 조절한 후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현수 프레임;
상기 현수 프레임의 전방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현수 프레임과 같은 방향으로 그 현수 프레임 보다 더 긴 길이로 마련되어 바닥면에서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하면서 상기 현수 프레임의 고정부가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현수되는 로터리의 무게 중심이 중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받침 프레임;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한글 자음의 디귿("ㄷ")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조절부는 현수 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는 플랜지의 전후에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로터리의 상면을 지지하면서 로터리가 전후방향으로 편중됨 없이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로터리 보관장치.
It is a storage device to store the used rotary after rotary work by connecting it to the tractor.
The storage devic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shaft of the rotary so as to suspend and store the rotary to be stored, while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shaft while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of the rotary by a horizontal adjusting unit, and then fixed. Suspension frame including a;
A vertical frame provided vertically in front of the suspension frame; And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is provided with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suspension fram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uspension frame, stably supported on the floor surface, and the fixed part of the suspension frame is located in the middle,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spended rotary is located in the middle. The overall shape, including a support frame formed to be able to do so,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gut ("ㄷ") of Hangul consonants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includes each adjustment bolt provided to adjust the horizontal without being bia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ile being screwed in front and rear of the flang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spension frame by a screw connection method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Rotary storage device for tractor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
상기 고정부는 현수 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플랜지에 로터리의 고정샤프트를 감사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볼트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로터리 보관장치.
In claim 1,
The rotary storage device for a tractor comprising at least one U-bolt for fixing the fixing shaft of the rotary to each flange provid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suspension fram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
상기 받침 프레임에는 이동을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캐스터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트랙터용 로터리 보관장치.
In claim 1 or 3,
Rotary storage device for a tractor further comprising at least two or more casters for movement is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제1항에 있어,
상기 고정부는 고정샤프트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볼트, 상기 유볼트의 하단이 체결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밑면에 고정되어 상기 현수 프레임을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착관부재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로터리 보관장치.
In claim 1,
The fixing unit for a tractor comprising at least one U-bolt surrounding the fixing shaft, a fixing plate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U-bolt is fastened and fixed, and a detachable pipe member fixed to the bottom of the fixing plate to detachably provide the suspension frame Rotary storage device.
제1항에 있어,
상기 현수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은 분할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현수 프레임의 끝단에 마련되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에 수직 프레임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트랙터용 로터리 보관장치.
In claim 1,
The suspension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dividedly formed to be detachably provided, and an insertion tube provided at an end of the suspension frame, and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tube and fixed by a fixing means. Rotary storage device.
제1항에 있어,
상기 고정부는 현수 프레임으로부터 분할된 탈착 프레임, 상기 탈착 프레임의 끝단에 구비되어 고정샤프트의 일면을 감싸는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과 대응되는 형태로 고정샤프트의 타면을 감싸 복수 개의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탈착 블록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로터리 보관장치.
In claim 1,
The fixing part is a detachable frame divided from the suspension frame, a fixed block provided at the end of the detachable frame and enclosing one surface of the fixed shaft, and a detachable fixing fixed with a plurality of bolts surround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xed shaf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xed block Rotary storage for tractors with blocks.
KR1020190032548A 2019-03-21 2019-03-21 Rotary storage device for tractor KR1022402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48A KR102240280B1 (en) 2019-03-21 2019-03-21 Rotary storage device for tr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48A KR102240280B1 (en) 2019-03-21 2019-03-21 Rotary storage device for tr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290A KR20200112290A (en) 2020-10-05
KR102240280B1 true KR102240280B1 (en) 2021-04-15

Family

ID=7280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548A KR102240280B1 (en) 2019-03-21 2019-03-21 Rotary storage device for tr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28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408A (en) 2000-10-24 2002-05-08 Kobashi Kogyo Co Ltd Stand apparatus for foldable implement
JP2004236540A (en) 2003-02-04 2004-08-26 Shinji Nunohata Carrier for rotary of agricultural tractor
JP2005052115A (en) * 2003-08-07 2005-03-03 Shinji Nunohata Carrying tool for rotary of agricultural trac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0884B2 (en) * 1996-12-30 2005-08-10 徹 五十嵐 Agricultural tractor support section
KR101180727B1 (en) * 2010-11-22 2012-09-07 김명수 Harrow for tractor
KR101378529B1 (en) 2013-01-28 2014-04-04 제트스타 주식회사 Ridging plow for tractor
KR101460333B1 (en) 2013-04-01 2014-11-13 제트스타 주식회사 A harrow for tractor
KR20160041219A (en) 2014-10-07 2016-04-18 정미영 Support apparatus for Harrow
KR101874581B1 (en) 2016-07-07 2018-07-04 제트스타 주식회사 A detachable supporting apparatus for farm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408A (en) 2000-10-24 2002-05-08 Kobashi Kogyo Co Ltd Stand apparatus for foldable implement
JP2004236540A (en) 2003-02-04 2004-08-26 Shinji Nunohata Carrier for rotary of agricultural tractor
JP2005052115A (en) * 2003-08-07 2005-03-03 Shinji Nunohata Carrying tool for rotary of agricultural 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290A (en)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280B1 (en) Rotary storage device for tractor
KR101254568B1 (en) The multi-funtion support frame for a plant cutter apparatus
KR20130081110A (en) A harrow for tractor
US8220560B1 (en) Tractor-mounted plow blade
WO2002011518A2 (en) Harrow for tractor
KR101460333B1 (en) A harrow for tractor
KR101492612B1 (en) Ridging plow for tractor
US2931525A (en) Mounting apparatus for tractor attachments
CN204796056U (en) Cantilever vertical lift system
WO2011100357A1 (en) Tractor lift arm stabilizer
ITUA20163912A1 (en) ATTACK DEVICE, PARTICULARLY FOR OPERATING MACHINES FOR AGRICULTURAL OR SIMILAR USE, AND OPERATING MACHINE INCLUDING THIS DEVICE.
CN210840622U (en) Cutter head supporting device of large-diameter disc ditcher
CN108496488B (en)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CN209846713U (en) Goods shelf and supporting unit thereof
JP5248448B2 (en) Support device for transport of upper swing body and transport method of upper swing body
CN216736116U (en) Agricultural implement linkage
EP3071509B1 (en) A jack
KR101398593B1 (en) Safety device for tiller
US1363978A (en) Tractor
CN212705233U (en) Installation and positioning device for long steel protective cylinder
CN110258707B (en) Bulldozer and ripper beam thereof
CN212076151U (en) Simple plug-in mounting hoisting frame
JP5102342B2 (en) Crop cultivation shelf and crop harvest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0280331Y1 (en) A harrow connection structure
KR102247272B1 (en) Rail mobile work chair for agricul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