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789B1 - 탈착 응축액을 이용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탈착 응축액을 이용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789B1
KR102239789B1 KR1020200185495A KR20200185495A KR102239789B1 KR 102239789 B1 KR102239789 B1 KR 102239789B1 KR 1020200185495 A KR1020200185495 A KR 1020200185495A KR 20200185495 A KR20200185495 A KR 20200185495A KR 102239789 B1 KR102239789 B1 KR 102239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waste activated
combustion
water treatmen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문조
홍성오
이성우
박민철
강신욱
손두정
엄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185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54After-treatment
    • C01B32/36Reactivation or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83Regenerating or reactivating by thermal treatment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441 - B01J20/3475, e.g. by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개시되는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은, 제1 열 가스를 유입시켜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에 흡착된 제1 오염물질을 탈착시켜, 제1 재생 활성탄을 생성하고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를 배출하는, 탈착 장치, 탈착 장치에서 배출되는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를 응축 및 액화하여 액상 연료로서 저장하는, 응축기, 수처리용 폐활성탄과 함께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미세 기공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화제가 투입되며, 응축기로부터 액상 연료를 제공받아 연소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액상 연료 연소 열을 이용하여 수처리용 폐활성탄에 흡착된 제2 오염물질을 탈착시켜,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활성화시키고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연소 및 반응기, 연소 및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를 제공받아 열 교환하여, 연소 가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을 보유하는 제1 열 가스 및 제2 열 가스를 생성하는, 열 교환기, 연소 및 반응기에 의해 활성화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에 포함된 활성화제를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로 세척하여 탈수시키고, 제2 열 가스를 이용하여 세척 및 탈수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건조시켜 제2 재생 활성탄을 생성하는, 탈수 및 건조기, 그리고, 탈수 및 건조기에서 증류수로 세척 및 탈수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탈리액을 증발 및 농축시켜 활성화제를 회수하는, 증발농축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착 응축액을 이용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COMBINED REGENERATING SYSTEM USING DESORPTED CONDENSATE}
본 발명은 탈착 응축액을 이용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에서 탈착된 오염물질을 액화시켜 응축액으로 변환한 후 이를 연료로 사용하여 연소로에서 연소시켜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재생 과정에 재사용하는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활성탄(activated carbon)은 기체 또는 용액 중의 용질 등에 대해 강한 흡착성을 나타내는 탄소질 물질이나 목탄 등을 활성화시켜서 제조되는 것으로서, 원료로 목재, 톱밥, 야자열매 껍질, 리그닌, 소의 뼈, 혈액, 아탄, 갈탄, 토탄, 또는 활성화 석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활성탄의 제법은, 원료를 고온으로 탄화하여 활성화한 후 정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제품 형태로서는 분말 활성탄과 입자 활성탄으로 구분된다. 활성탄은 활성화 과정을 통해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고 그 내부 표면적이 매우 큰 흡착제가 된다. 활성탄은 대기용(또는 대기처리용), 수처리용, 공업용정제용, 공기정화용, 및 담배필터용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처에 따라 활성탄 피흡착물질은 다양하다.
대체로,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의 경우 약 60% 정도가 활성탄이고 30% 정도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톨루엔, 벤젠, 자일렌 등)이며, 나머지는 수분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경우 활성탄이 약 64% 정도이고, 유기오염물질(BOD, COD, TOC 관련), 페놀류, 부식산 및 카바마이트 등의 비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약 6% 정도를 이루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활성탄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나 활성탄 원료의 부족으로 인해 단가는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으므로 비용 절감을 위해 폐활성탄(한 번 사용하고 난 뒤의 활성탄)을 재생하여 이를 활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폐활성탄의 처리 문제에 있어서도, 폐활성탄을 재생하여 반복 사용하지 않으면 폐활성탄의 폐기처리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될 수 있으므로, 폐활성탄을 재생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폐활성탄의 재생이란, 폐활성탄에 대하여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처리를 가하여 활성탄의 표면에 축적된 각종 오염물질들을 제거하여 활성탄 본연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활성탄의 재생 기술로서, 종래에는 고온(약 850℃)으로 가열되는 회전식 반응기에 폐활성탄이 투입되어 재생되는 방식 또는 다단로 반응기에서 투입된 폐활성탄이 가열되는 방식 등이 사용되어 왔고 고온의 스팀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폐활성탄 재생 기술은 탈착 공정의 진행을 위해 고온의 열을 생성하기 위한 버너와 연소로를 필요로 하며, 고온의 열 생성을 위해 연소로에서 많은 연료를 소모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재생과정에 있어서 기존의 방식은,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의 경우 약 150℃ ~ 200℃의 조건에서 열탈착된 후 연소되어 재생 활성탄으로 생산되고,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경우 약 100℃ 정도에서 건조된 후 약 750℃ ~ 950℃의 온도 조건에서 탄화된 후 스팀 활성화되어 최종적으로 재생 활성탄으로 탄생하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과정이나 그에 따른 비용 상승으로 인해, 폐활성탄을 재생하여 사용하기보다는 새로운 제품의 활성탄을 구입하여 사용하기도 하고, 비용 부담을 줄이고자 상대적으로 품질이 좋지못한 값싼 중국산 활성탄을 구입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폐활성탄을 재생함에 있어서 연료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폐활성탄으로부터 고품질의 재생 활성탄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이 계속해서 연구 및 소개된 바 있으며, 본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175095(2020년 10월 30일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폐활성탄을 재생시킬 때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연료로서 연소로에 공급하고 연소로에서 이를 연소함에 따라 발생된 열을 활용하여 재생 과정에 필요한 열로 사용하고, 잔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연료의 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폐활성탄 재생기를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조차 불가능한 폐활성탄을 활성화 반응을 통해서 새롭고 고품질인 활성탄을 생산하는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문헌에 소개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는,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의 재생과정에서 나오는 연소가스(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연소 가스)를 기체 상태 그대로 연소로 측으로 제공하여 연소로에서 연료로서 사용함으로 인해 몇 가지 단점들이 있다. 즉, 기체 상태의 연소가스는 부피 대비 에너지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연소로에서 태우기 위해서는 많은 가스량이 요구되고, 대기처리용 폐활성탄도 사용처에 따라 흡착된 오염물질들이 다양하여 재생과정에서 나오는 연소가스량이 불균일한 결과, 기체 상태의 연소가스는 에너지량을 예측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에너지량을 예측하는 것이 어려워 연소로의 용량을 설계하기에도 어려움이 따르고, 계속적인 작업 중 에너지량이 적어 버너가 꺼지는 경우 또는 화력이 너무 강하여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재생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이 기술 분야에서 요구되는 실정이다.
종래기술 1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175095(2020년 10월 30일 등록) 종래기술 2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30493호(2019년 10월 02일 등록) 종래기술 3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10561(2014년 06월 16일 등록) 종래기술 4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72665(2007년 10월 26일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이 갖는 단점, 즉, 기체 상태의 연소가스는 부피 대비 에너지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연소로에서 태우기 위해서는 많은 가스량이 요구되고, 대기처리용 폐활성탄도 사용처에 따라 흡착된 오염물질들이 다양하여 재생과정에서 나오는 연소가스량이 불균일한 결과, 기체 상태의 연소가스는 에너지량을 예측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점, 그리고 에너지량을 예측하는 것이 어려워 적절한 용량의 연소로 설계에도 어려움이 따르고 계속적인 작업 중 에너지량이 적어 연소로가 꺼지는 경우 또는 화력이 너무 강하여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재생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을 해결하고자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의 재생과정에서 나오는 탈착가스를 응축시켜 액상 연료로 전환하여 연소로 내의 연소 원료로 사용하는 개선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은, 대기처리용 폐활성탄과 상기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하나의 통합 플랜트 내에서 재생하기 위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으로서, 제1 열 가스를 유입시켜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에 흡착된 제1 오염물질을 탈착시켜, 제1 재생 활성탄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를 배출하는, 탈착 장치; 상기 탈착 장치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를 응축 및 액화하여 액상 연료로서 저장하는, 응축기; 수처리용 폐활성탄과 함께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미세 기공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화제가 투입되며, 상기 응축기로부터 액상 연료를 제공받아 연소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액상 연료 연소 열을 이용하여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에 흡착된 제2 오염물질을 탈착시켜,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활성화시키고 고온의 연소 가스를 생성하며 휘발된 오염물질 가스를 배출하는, 연소 및 반응기; 상기 연소 및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소 가스를 제공받아 열 교환하여, 상기 연소 가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을 보유하는 상기 제1 열 가스 및 제2 열 가스를 생성하는, 열 교환기; 상기 연소 및 반응기에 의해 활성화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에 포함된 상기 활성화제를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로 세척하여 탈수시키고, 상기 제2 열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 및 탈수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건조시켜 제2 재생 활성탄을 생성하는, 탈수 및 건조기; 및 상기 탈수 및 건조기에서 증류수로 세척 및 탈수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탈리액을 증발 및 농축시켜 상기 활성화제를 회수 - 회수된 상기 활성화제는 상기 연소 및 반응기에 재투입됨 - 하는, 증발농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탈착 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탈착 장치로 유입되는 총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제1 THC 센서; 상기 탈착 장치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 내의 총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탈착 장치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2 THC 센서; 및 상기 탈착 장치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열 가스의 원활한 흐름을 돕기 위해 상기 탈착 장치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배치되는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탈착 장치는, 내부에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이 충전된 하나의 활성탄 카트리지의 장착을 허용하는 복수 개의 압력 용기들 - 상기 압력 용기들은 제1 세트와 제2 세트로 구분됨 -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트의 압력 용기들에 상기 제1 열 가스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1 댐퍼 및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2 세트의 압력 용기들에 상기 제1 열 가스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2 댐퍼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은,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투입을 허용하는 수처리용 폐활성탄 투입 호퍼;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 투입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투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투입 로터리 밸브; 및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 투입 호퍼를 통해 투입된 후 연소 및 반응기의 내부로 이송되는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투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투입 스크류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소 및 반응기는, 상기 응축기로부터 액상 연료를 제공받아 연소시켜 상기 액상 연료 연소 열을 발생시키는 연소로와, 상기 연소로 내부의 열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키며 연소열 가스 배출구를 통해 상기 연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메인 가열 챔버와, 투입단은 상기 메인 가열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배출단은 상기 메인 가열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여 내부에서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에 흡착된 제2 오염물질을 탈착시켜 내부의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활성화하는 반응기와, 상기 반응기의 상기 투입단의 전단과 상기 투입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투입 스크류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상기 투입단 측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반응기에서 연소되어 배출되는 불순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송 및 배출부와, 상기 투입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및 배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및 배출부의 기밀을 유지시키고 상기 이송 및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불순물을 배기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투입 기밀 챔버와, 상기 반응기의 상기 배출단에 연결되어 상기 반응기의 기밀을 유지한 채로 활성화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기밀 챔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출 기밀 챔버는, 활성화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배출을 단속하는 게이트웨이 밸브와 외부에서 상기 반응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점검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의 재생과정에서 나오는 연소 가스를 응축시켜 액상 연료로 전환하여 연소기의 연소 원료로 사용하는 개선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이 갖는 단점, 즉, 기체 상태의 연소가스는 부피 대비 에너지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연소로에서 태우기 위해서는 많은 가스량이 요구되고, 대기처리용 폐활성탄도 사용처에 따라 흡착된 오염물질들이 다양하여 재생과정에서 나오는 연소 가스의 양이 불균일한 결과, 기체 상태의 연소 가스는 에너지량을 예측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점, 그리고 에너지량을 예측하는 것이 어려워 적절한 용량을 갖는 연소로 설계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따르고 계속적인 작업 중 에너지량이 적어 연소로가 꺼지는 경우 또는 화력이 너무 강하여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재생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은,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를 응축기를 이용하여 응축 및 액화시키 저장함으로써, 연소 및 반응기에서의 온도 및 반응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100)에서 탈착 장치(101)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대응되는 탈착 장치(101)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100)에서 수처리용 폐활성탄 투입부(108)와 연소 및 반응기(103)의 구체적인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반응기(103)에서 가열 챔버(103a), 반응기(103b) 및 연소로(103c) 간의 결합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100)에서 탈착 장치(101)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대응되는 탈착 장치(101)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100)에서 수처리용 폐활성탄 투입부(108)와 연소 및 반응기(103)의 구체적인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반응기(103)에서 가열 챔버(103a), 반응기(103b) 및 연소로(103c) 간의 결합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100)은 대기처리용 폐활성탄(WAC1)과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을 하나의 통합 플랜트 내에서 재생하기 위한 재생 시스템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 환경에 따라 약간씩 편차는 있으나 대체로, 대기처리용 폐활성탄(WAC1)에 비해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은 상대적으로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에서 본 발명은 특히 연소 및 반응기(103)에서의 연료로서, 대기처리용 폐활성탄(WAC1)에서 탈착된 오염물질(본 명세서 내에서는 '제1 오염물질'로 일컬어짐)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를 응축 및 액화시킨 응축액, 즉 액상 연료를 사용하여 연소하여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연소 및 반응기 내에서의 온도 및 반응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100)은,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를 응축액으로 전환하여 액상 연료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에서의 기체 상태의 연소 가스가 갖는 단점인 부피 대비 에너지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연소로에서 태우기 위해서는 많은 가스량이 요구되고, 대기처리용 폐활성탄도 사용처에 따라 흡착된 오염물질들이 다양하여 재생과정에서 나오는 연소 가스량이 불균일한 결과, 기체 상태의 연소 가스가 에너지량을 예측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점, 그리고 에너지량을 예측하는 것이 어려워 적절한 용량을 갖는 연소로 설계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따르고 계속적인 작업 중 에너지량이 적어 연소로가 꺼지는 경우 또는 화력이 너무 강하여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재생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들을 모두 극복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기존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이 갖는 장점들인,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에 대한 고도활성화 과정에서의 잔열을 회수하여, 대기처리용 폐활성탄(WAC1)의 탈착 과정에서 재사용하고,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에 대한 증발 농축 과정에서도 사용함으로써,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재생 활성탄을 생산하여 고 부가가치를 창출해 내고, 수질 오염발생 물질이나 대기 오염물질의 배출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활성탄으로부터 탈착된 오염물질들을 연소로에서의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활성탄 재생시 소모되는 에너지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도 아울러 갖는다.
본 발명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100)은 탈착 장치(101), 응축기(102), 연소 및 반응기(103), 탈수 및 건조기(104), 열 교환기(105), 증발농축기(106)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100)은 대기오염 방지시설(107) 및 수처리용 폐활성탄 투입부(108)를 더 포함한다. 도 1에서 ① ~ ⑬으로 표시된 부호는, 재생 시스템 내의 전체 프로세스에서 활성탄의 흐름 또는 열 가스, 탈착 가스, 및 탈리액 등의 흐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편의상 이들 참조부호들을 활성탄, 열 가스, 탈착 가스, 및 탈리액을 나타내는 부호로서도 사용한다.
탈착 장치(101)는 제1 열 가스(⑨)를 유입시켜 대기처리용 폐활성탄(WAC1, ①)에 흡착된 제1 오염물질을 탈착시킴으로써 제1 재생 활성탄(②)을 생성하고, 이와 함께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⑥)를 배출한다. 탈착 가스(⑥)에 포함된 제1 오염물질은 대기처리용 폐활성탄(WAC1)에 흡착되어 있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이 주를 이룬다. 제1 열 가스(⑨)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소 및 반응기(103)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⑧)를 제공받아 대기 중의 공기와 간접 접촉하게 하여 감온된 가스이다. 이와 같이 탈착 장치(101)에서의 대기처리용 폐활성탄(WAC1)에 대한 처리는 도 1에서 P1으로 표시되어 있다. 탈착 장치(101)에 관한 구체적인 구현 예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된다.
응축기(102)는 대기처리용 폐활성탄(WAC1)에서 탈착된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⑥)를 응축 및 액화하여 액상 연료로서 저장한다. 응축기(102)는 액상 연료로서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포함한다.
연소 및 반응기(103)에는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 ③)이 투입되며, 이와 함께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의 미세 기공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화제(⑬)가 투입된다. 활성화제(⑬)로서는 수산화칼륨(KOH)이 사용될 수 있다. 활성화제(⑬)가 첨가된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에 대하여, 응축기(102)로부터 액상 연료를 제공받아 연소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액상 연소 열을 이용하여,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에 흡착되어 있는 제2 오염물질을 탈착시킴으로써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고온의 연소 가스(⑧)를 배출한다.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의 활성화 과정은 850℃ 이상의 고온에서 이뤄지므로 연소 가스(⑧)의 온도도 또한 850℃ 이상이다. 연소 및 반응기(103)에 관한 구체적인 구현 예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된다.
열 교환기(105)는 연소 및 반응기(103)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 가스(⑧)를 제공받아 대기 중의 공기와 간접 접촉하게 하여 감온하여 제1 열 가스(⑨) 및 제2 열 가스(⑩)를 생성한다. 제1 열 가스(⑨)는 탈착 장치(101)로 제공되어 대기처리용 폐활성탄(WAC1)의 재생에 사용되는 열 가스로서, 연소 가스(⑧)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을 보유한다. 제1 열 가스(⑨)의 온도는 대체로 250℃ 정도이다. 제2 열 가스(⑩)는 탈수 및 건조기(104), 그리고 증발농축기(106)로 제공되어, 활성화 이후의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건조 및 활성화제의 증발농축에 사용된다. 제2 열 가스(⑩)의 온도는 제1 열 가스(⑨)의 온도보다는 높은 온도로서, 대체로 350℃ 정도이다. 연소 및 반응기(103)로부터 제공되는 연소 가스(⑧)는 열 교환되어 제1 열 가스(⑨)와 제2 열 가스(⑩)를 생성한 이후에는 대기오염 방지시설(107)을 거쳐 처리된 후 대기로 방출된다.
탈수 및 건조기(104)는 연소 및 반응기(103)에 의해 활성화된 수처리용 폐활성탄(④)에 포함된 활성화제를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로 세척하여 탈수하고, 제2 열 가스(⑩)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 및 탈수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건조시켜 제2 재생 활성탄(⑤)을 생성한다.
증발농축기(106)는 탈수 및 건조기(105)에서 증류수로 세척 및 탈수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탈리액(⑫)을 유입시켜 이 탈리액(⑫)을 증발 및 농축시킴으로써 활성화제를 다시 회수한다. 회수된 활성화제는 연소 및 반응기(103) 측으로 재투입된다(⑬).
도 1에서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의 재생 과정은 P1으로 나타내었고,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의 활성화 및 재생 과정은 P2로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100)은 연소 및 반응기(103)에서의 연료로서, 대기처리용 폐활성탄(WAC1)에서 탈착된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를 응축 및 액화시킨 액상 연료를 사용하여 연소하여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기존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예컨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175095호)이 갖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탈착 장치(101)는 카트리지 형상, 즉 내부에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이 충전된 원통형의 활성탄 카트리지가 하나씩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압력 용기들(101a ~ 101l)을 포함하며, 이들 복수 개의 압력 용기들(101a ~ 101l)은 제1 세트(g1) 및 제2 세트(g2)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탈착 장치(101)는 제1 세트의 압력 용기들(g1)에 상기 제1 열 가스(⑨)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1 댐퍼(D1) 및 제1 솔레노이드 밸브(SV1, SV2, SV3)와, 제2 세트의 압력 용기들(g2)에 상기 제1 열 가스(⑨)의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2 댐퍼(D2)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SV4, SV5, SV6)를 포함한다. 제1 세트(g1) 내에서도 압력 용기들(101a ~ 101f)은 두 개씩 하나의 유로에 연결되어 차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세트(g2) 내에서도 압력 용기들(101g ~ 101l)은 두 개씩 하나의 유로에 연결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한 쌍씩 짝지어진 압력 용기들의 전단에 하나씩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장치(100)는 탈착 장치(101)의 전단과 후단 각각에 배치된 THC 센서(TS1, TS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THC 센서(TS1)는 열교환기(105)와 탈착 장치(101) 사이에 배치되어 탈착 장치(101)로 유입되는 총 유기탄소(또는 총 탄화수소, Total Hydro Carbon, THC)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2 THC 센서(TS2)는 탈착 장치(101)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⑥) 내의 총 유기탄소(THC)를 측정하기 위해 탈착 장치(101)와 응축기(102)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THC 센서들(TS1, TS2)은 탈착 장치(101)로 유입 및 유출되는 가스에서 총 유기탄소(THC)를 측정함으로써 탈착 장치(101)의 가동 시간 즉,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에 대한 탈착 시간을 결정하고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해 준다.
전체적인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열 교환기(105)에 의해 약 250℃ 정도로 온도가 조절된 제1 열 가스(⑨)가 유로를 따라서 유입되고, 댐퍼들(D1, D2)은 각각에 대응되는 압력 용기들로 제1 열 가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온 또는 오프되어 경로를 변경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댐퍼(D1)와 제2 댐퍼(D2)가 모두 온되면 모든 제1 세트(g1)와 제2 세트(g2) 모두에 제1 열 가스가 제공되고, 제1 댐퍼(D1)만 온되면 제1 세트(g1)에만 제1 열 가스가 제공되고, 제2 댐퍼(D2)만 온되면 제2 세트(g2)에만 제1 열 가스가 제공되고, 두 개의 댐퍼들(D1, D2) 모두가 오프되면 제1 열 가스가 후속 유로로 전달되지 않는다. 제1 댐퍼(D1)를 온시키고 제2 댐퍼(D2)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탈착 작업 진행 후, 제2 댐퍼(D2)를 온시키고 제1 댐퍼(D1)를 오프시킨 경우 제1 열 가스의 경로가 바뀌게 되므로, 댐퍼들(D1, D2)은 제1 열 가스의 경로를 변경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댐퍼들(D1, D2)은 제1 열 가스를 1차적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하고, 솔레노이드 밸브들(SV1 ~ SV6)은 1차적으로 분배된 제1 열 가스를 2차적으로 골고루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댐퍼(D1)가 온된 경우에도,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이용하여 제1 댐퍼를 통해 유입된 제1 열 가스를 압력 용기들 내부로 분배한다. 즉, 제1 댐퍼(D1)가 온된 상태에서 제1 세트(g1)의 압력 용기들(101a ~ 101f)의 전단에 위치한 솔레노이드 밸브들(SV1, SV2, SV3)을 적절히 조작하게 되면 1번 세트의 압력 용기에 제1 열 가스가 동시에 공급되게 된다. 제2 댐퍼(D1)와 제2 세트(g2)의 압력 용기들(101g ~ 101l)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댐퍼들(D1, D2)과 솔레노이드 밸브들(SV1 ~ SV6)의 조작을 통해 각각의 세트의 압력 용기들에 제1 열 가스가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댐퍼(D1)를 온시키고 제2 댐퍼(D2)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밸브들(SV1, SV2, SV3)을 조작하여 1번 세트의 압력 용기들 각각에 장착된 활성탄 카트리지를 제1 열 가스가 통과하도록 하여 활성탄 재생이 완료되면, 제1 댐퍼(D1)를 오프시키고 제2 댐퍼(D2)를 온시킨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밸브들(SV4, SV5, SV6)을 조작하여 2번 세트의 압력 용기들 각각에 장착된 활성탄 카트리지를 제1 열 가스가 통과하도록 하여 활성탄 재생을 완료하는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탈착 장치(101)는 제1 열 가스가 압력 용기들을 통과하여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에서 탈착된 제1 오염물질을 바로 대기오염 방지시설(107)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밸브들(BV1, BV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장치(100)는 탈착 장치(101)의 내부에서 제1 열 가스의 원활한 흐름을 돕기 위해 탈착 장치(101)와 응축기(102) 사이에 배치되는 송풍기(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송풍기(110)는 제1 열 가스가 압력 용기들의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 발생되는 차압에 의해 제1 열 가스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송풍기(110)를 배치하여 응축기(102)로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100)에서 수처리용 폐활성탄 투입부(180)는,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의 투입을 허용하는 수처리용 폐활성탄 투입 호퍼(108a), 수처리용 폐활성탄 투입 호퍼(108a)를 통해 투입되는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의 투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투입 로터리 밸브(108b), 그리고 수처리용 폐활성탄 투입 호퍼(108a)를 통해 투입된 후 연소 및 반응기(103)의 내부로 이송되는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의 투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투입 스크류 컨베이어(108c)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100)에서 연소 및 반응기(103)는, 연소로(103c), 메인 가열 챔버(103a), 반응기(103b), 이송 및 배출부(103f), 투입 기밀 챔버(103e), 및 배출 기밀 챔버(103h)를 포함한다.
연소로(103c)는 응축기(102)로부터 액상 연료를 제공받아 연소시켜 액상 연료 연소 열을 발생시킨다. 액상 연료 연소 열은 대체로 850℃ 이상의 고온이다.
메인 가열 챔버(103a)는 연소로(103c) 내부의 열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며, 연소열 가스 배출구(103g)를 통해 연소 가스(도 1의 ⑧)를 배출시킨다. 메인 가열 챔버(103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3a1), 제1 세라믹 보드(103a2) 및 제1 세라믹 보드(103a2)보다 내부에 위치한 제2 세라믹 보드(103a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세라믹 보드(103a2)는 제2 세라믹 보드(103a3)보다 약 1200℃의 고열에 견딜 수 있는 세라믹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세라믹 보드(103a3)는 제1 세라믹 보드(103a2)보다 내부에 위치하므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온도인 약 1400℃의 고열에도 견딜 수 있는 세라믹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103c1는 메인 가열 챔버(103a)에서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연소부이다.
반응기(103b)는, 수처리용 폐활성탄 투입부(180) 측과 가까운 투입단(103b1)은 메인 가열 챔버(103a)의 내부에 위치하고 활성화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이 배출되는 배출단(103b2)은 메인 가열 챔버(103b)의 외부에 위치하여, 내부에서 수처리용 폐활성탄(WAC2)에 흡착되어 있는 제2 오염물질을 탈착시켜 내부에 위치한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활성화한다. 반응기(103b)의 속도를 조절하고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103k)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송 및 배출부(103f)는 반응기(103b)의 투입단(103b1)의 전단과 투입 스크류 컨베이어(108c) 사이에 위치하여 투입 스크류 컨베이어(108c)를 통해 전달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투입단(103b1) 측으로 이송시키며 반응기(103b)에서 연소되어 배출되는 불순물을 투입 기밀 챔버(103e) 측으로 배출시킨다.
투입 기밀 챔버(103d)는 투입 스크류 컨베이어(108c)와 이송 및 배출부(103f) 사이에 위치하여 투입 스크류 컨베이어(108c)와 이송 및 배출부(103f)의 기밀을 유지시키고 이송 및 배출부(103f)에서 배출되는 불순물을 배기 파이프(103e)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출된 불순물은 대기오염 방지시설(107; 도 1) 측으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배출 기밀 챔버(103h)는 반응기(103b)의 배출단(103b2)에 연결되어 반응기(103b)의 기밀을 유지한 채로 활성화된 수처리용 폐활성탄(도 1의 ④)을 배출구(103l)를 통해 배출시킨다. 배출되는 활성화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은 탈수 및 건조기(도 1의 104)로 제공된다. 배출 기밀 챔버(103h)는 활성화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배출을 단속하는 게이트웨이 밸브(103i)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출 기밀 챔버(103h)는 반응기(103b)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점검구(103j)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00 : 본 발명의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
101 : 탈착 장치
102 : 응축기
103 : 연소 및 반응기
104 : 탈수 및 건조기
105 : 열 교환기
106 : 증발농축기
107 : 대기오염 방지시설
108 : 수처리용 폐활성탄 투입부

Claims (6)

  1. 삭제
  2. 대기처리용 폐활성탄과 상기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하나의 통합 플랜트 내에서 재생하기 위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으로서,
    제1 열 가스를 유입시켜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에 흡착된 제1 오염물질을 탈착시켜, 제1 재생 활성탄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를 배출하는, 탈착 장치;
    상기 탈착 장치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를 응축 및 액화하여 액상 연료로서 저장하는, 응축기;
    수처리용 폐활성탄과 함께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미세 기공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화제가 투입되며, 상기 응축기로부터 액상 연료를 제공받아 연소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액상 연료 연소 열을 이용하여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에 흡착된 제2 오염물질을 탈착시켜,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활성화시키고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연소 및 반응기;
    상기 연소 및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소 가스를 제공받아 열 교환하여, 상기 연소 가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을 보유하는 상기 제1 열 가스 및 제2 열 가스를 생성하는, 열 교환기;
    상기 연소 및 반응기에 의해 활성화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에 포함된 상기 활성화제를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로 세척하여 탈수시키고, 상기 제2 열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 및 탈수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건조시켜 제2 재생 활성탄을 생성하는, 탈수 및 건조기;
    상기 탈수 및 건조기에서 증류수로 세척 및 탈수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탈리액을 증발 및 농축시켜 상기 활성화제를 회수 - 회수된 상기 활성화제는 상기 연소 및 반응기에 재투입됨 - 하는, 증발농축기;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탈착 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탈착 장치로 유입되는 총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제1 THC 센서;
    상기 탈착 장치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 내의 총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탈착 장치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2 THC 센서; 및
    상기 탈착 장치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열 가스의 원활한 흐름을 돕기 위해 상기 탈착 장치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배치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
  3. 대기처리용 폐활성탄과 상기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하나의 통합 플랜트 내에서 재생하기 위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으로서,
    제1 열 가스를 유입시켜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에 흡착된 제1 오염물질을 탈착시켜, 제1 재생 활성탄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를 배출하는, 탈착 장치;
    상기 탈착 장치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를 응축 및 액화하여 액상 연료로서 저장하는, 응축기;
    수처리용 폐활성탄과 함께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미세 기공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화제가 투입되며, 상기 응축기로부터 액상 연료를 제공받아 연소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액상 연료 연소 열을 이용하여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에 흡착된 제2 오염물질을 탈착시켜,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활성화시키고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연소 및 반응기;
    상기 연소 및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소 가스를 제공받아 열 교환하여, 상기 연소 가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을 보유하는 상기 제1 열 가스 및 제2 열 가스를 생성하는, 열 교환기;
    상기 연소 및 반응기에 의해 활성화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에 포함된 상기 활성화제를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로 세척하여 탈수시키고, 상기 제2 열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 및 탈수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건조시켜 제2 재생 활성탄을 생성하는, 탈수 및 건조기; 및
    상기 탈수 및 건조기에서 증류수로 세척 및 탈수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탈리액을 증발 및 농축시켜 상기 활성화제를 회수 - 회수된 상기 활성화제는 상기 연소 및 반응기에 재투입됨 - 하는, 증발농축기;를 포함하되,
    상기 탈착 장치는,
    내부에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이 충전된 하나의 활성탄 카트리지의 장착을 허용하는 복수 개의 압력 용기들 - 상기 압력 용기들은 제1 세트와 제2 세트로 구분됨 - 과, 상기 제1 세트의 압력 용기들에 상기 제1 열 가스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1 댐퍼 및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2 세트의 압력 용기들에 상기 제1 열 가스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2 댐퍼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
  4. 삭제
  5. 대기처리용 폐활성탄과 상기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하나의 통합 플랜트 내에서 재생하기 위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으로서,
    제1 열 가스를 유입시켜 대기처리용 폐활성탄에 흡착된 제1 오염물질을 탈착시켜, 제1 재생 활성탄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를 배출하는, 탈착 장치;
    상기 탈착 장치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탈착 가스를 응축 및 액화하여 액상 연료로서 저장하는, 응축기;
    수처리용 폐활성탄과 함께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미세 기공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화제가 투입되며, 상기 응축기로부터 액상 연료를 제공받아 연소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액상 연료 연소 열을 이용하여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에 흡착된 제2 오염물질을 탈착시켜,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활성화시키고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연소 및 반응기;
    상기 연소 및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소 가스를 제공받아 열 교환하여, 상기 연소 가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을 보유하는 상기 제1 열 가스 및 제2 열 가스를 생성하는, 열 교환기;
    상기 연소 및 반응기에 의해 활성화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에 포함된 상기 활성화제를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로 세척하여 탈수시키고, 상기 제2 열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 및 탈수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건조시켜 제2 재생 활성탄을 생성하는, 탈수 및 건조기;
    상기 탈수 및 건조기에서 증류수로 세척 및 탈수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탈리액을 증발 및 농축시켜 상기 활성화제를 회수 - 회수된 상기 활성화제는 상기 연소 및 반응기에 재투입됨 - 하는, 증발농축기;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투입을 허용하는 수처리용 폐활성탄 투입 호퍼;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 투입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투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투입 로터리 밸브; 및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 투입 호퍼를 통해 투입된 후 연소 및 반응기의 내부로 이송되는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투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투입 스크류 컨베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연소 및 반응기는, 상기 응축기로부터 액상 연료를 제공받아 연소시켜 상기 액상 연료 연소 열을 발생시키는 연소로와, 상기 연소로 내부의 열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키며 연소열 가스 배출구를 통해 상기 연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메인 가열 챔버와, 투입단은 상기 메인 가열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배출단은 상기 메인 가열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여 내부에서 상기 수처리용 폐활성탄에 흡착된 제2 오염물질을 탈착시켜 내부의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활성화하는 반응기와, 상기 반응기의 상기 투입단의 전단과 상기 투입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투입 스크류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상기 투입단 측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반응기에서 연소되어 배출되는 불순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송 및 배출부와, 상기 투입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및 배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및 배출부의 기밀을 유지시키고 상기 이송 및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불순물을 배기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투입 기밀 챔버와, 상기 반응기의 상기 배출단에 연결되어 상기 반응기의 기밀을 유지한 채로 활성화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기밀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출 기밀 챔버는, 활성화된 수처리용 폐활성탄의 배출을 단속하는 게이트웨이 밸브와 외부에서 상기 반응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점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
KR1020200185495A 2020-12-29 2020-12-29 탈착 응축액을 이용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 KR102239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495A KR102239789B1 (ko) 2020-12-29 2020-12-29 탈착 응축액을 이용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495A KR102239789B1 (ko) 2020-12-29 2020-12-29 탈착 응축액을 이용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789B1 true KR102239789B1 (ko) 2021-04-13

Family

ID=7548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495A KR102239789B1 (ko) 2020-12-29 2020-12-29 탈착 응축액을 이용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78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665B1 (ko) 2007-04-03 2007-11-02 주식회사일산기업 활성탄의 재생방법 및 그의 재생시스템
KR101276139B1 (ko) * 2011-04-06 2013-06-19 (주) 바로젠테크 연속 투입식 필터용 활성탄의 직화식 재생장치
KR101410561B1 (ko) 2012-11-21 2014-06-20 문두찬 열풍 탈착식 폐활성탄 재생장치
KR101981169B1 (ko) * 2019-02-28 2019-05-22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여과기와 커넥팅 구조를 이루는 연속식 열수가압 활성탄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식 활성탄 재생 방법
KR102030493B1 (ko) 2019-08-14 2019-10-10 황석율 폐활성탄 재생장치
KR102092541B1 (ko) * 2019-04-25 2020-03-24 주식회사 윈텍글로비스 활성탄 자동 재생장치
KR102092542B1 (ko) * 2019-04-25 2020-03-24 주식회사 윈텍글로비스 활성탄 재생 및 수처리 통합 시스템
KR102175095B1 (ko) 2019-11-13 2020-11-05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폐활성탄 탈착가스를 이용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665B1 (ko) 2007-04-03 2007-11-02 주식회사일산기업 활성탄의 재생방법 및 그의 재생시스템
KR101276139B1 (ko) * 2011-04-06 2013-06-19 (주) 바로젠테크 연속 투입식 필터용 활성탄의 직화식 재생장치
KR101410561B1 (ko) 2012-11-21 2014-06-20 문두찬 열풍 탈착식 폐활성탄 재생장치
KR101981169B1 (ko) * 2019-02-28 2019-05-22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여과기와 커넥팅 구조를 이루는 연속식 열수가압 활성탄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식 활성탄 재생 방법
KR102092541B1 (ko) * 2019-04-25 2020-03-24 주식회사 윈텍글로비스 활성탄 자동 재생장치
KR102092542B1 (ko) * 2019-04-25 2020-03-24 주식회사 윈텍글로비스 활성탄 재생 및 수처리 통합 시스템
KR102030493B1 (ko) 2019-08-14 2019-10-10 황석율 폐활성탄 재생장치
KR102175095B1 (ko) 2019-11-13 2020-11-05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폐활성탄 탈착가스를 이용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63428B (zh) 固体吸附剂的再生装置及应用该再生装置的吸附装置
CN101362076B (zh) 一种活性炭吸附剂的再生方法
KR102175095B1 (ko) 폐활성탄 탈착가스를 이용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방법 및 시스템
US4966611A (en) Removal and destruc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gas streams
CN109589955A (zh) 一种有机饱和活性炭活化再生工艺
CN206500151U (zh) 固体吸附剂的再生装置及应用该再生装置的吸附装置
CN102512902B (zh) 一种油墨车间有机废气净化及余热利用方法与装置
CN106622121A (zh) 一种低能耗饱和活性炭再生系统及其方法
CN106439843B (zh) 石油化工不可回收废弃物无害化处理工艺
CN110882681A (zh) 一种废粉状活性炭连续化再生方法与系统装备
KR20020032743A (ko) 간접가열식 폐활성탄 열재생방법과 장치
KR102239789B1 (ko) 탈착 응축액을 이용한 통합형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
CN215138426U (zh) 一种用于浓度变化大的VOCs废气处理装置
CN101244821A (zh) 利用糠醛渣生产活性炭工艺
CN207394892U (zh) 一种吸附与RTO联合VOCs脱除装置
KR102405176B1 (ko) 폐활성탄 재생 시스템 및 폐활성탄 재생 방법
KR10033747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N210729078U (zh) 用于处理含VOCs的废活性炭的水蒸气集中脱附系统
KR100375079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응축식 회수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RU2414282C1 (ru)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биогаза метантенков
KR20020010384A (ko) 흡착제의 연속 진공 가온 재생 및 흡착물질의 분리 회수방법 및 장치
JP2004036523A (ja) 排気処理装置
CN110129077A (zh) 热解工艺
CN209093032U (zh) 余热利用型有机废气回收系统
KR101561857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이동식 전력 전환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