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464B1 - 심층 구조를 이용한 전력 수요 예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심층 구조를 이용한 전력 수요 예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9464B1 KR102239464B1 KR1020190018115A KR20190018115A KR102239464B1 KR 102239464 B1 KR102239464 B1 KR 102239464B1 KR 1020190018115 A KR1020190018115 A KR 1020190018115A KR 20190018115 A KR20190018115 A KR 20190018115A KR 102239464 B1 KR102239464 B1 KR 1022394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rnel function
- gaussian kernel
- power demand
- time series
- equ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사용되는 일일 최대 전력 수요 예측을 위한 평탄 측도 그래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우스 커널 함수 네트워크의 심층 구조(deep structur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일 최대 전력 수요 데이터의 교육, 검증 및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층 구조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의 학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층 구조를 이용한 전력 수요 예측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9는 k-NN, SVR-RBF 및 GKFN 예측 모델을 사용한 예측 성능의 비교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심층 구조의 GKFN(DGKFN) 예측모델과 GKFN 예측모델을 사용한 예측성능 비교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10: 메모리
220: 프로세서
Claims (21)
- 전력 수요 예측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 수요 예측 방법에 있어서,
전력 수요 데이터의 위상 공간 분석(Phase space analysis)을 이용하여 시계열 예측 모델의 입력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시계열 예측 모델의 입력 구조에 따른 시계열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커널 함수(Kernel function)를 갖는 복수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Gaussian kernel function network)를 각각 학습하는 단계;
상기 학습된 복수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결합하여 상위 계층의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상기 전력 수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된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계열 예측 모델의 입력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는, 예측 단계(prediction step)에 대한 임베딩 차원(Embedding dimension)과 지연 시간이 포함된 임베딩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상기 시계열 예측 모델의 입력 구조를 결정하고, 상기 시계열 예측 모델의 평탄 측도(smoothness measure)를 사용하여 임베딩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상기 생성된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학습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된 복수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대표 입력 위치와 예측 값이 포함되어 하기 [수학식 16]과 같이 정의된 단일 벡터를 조합하여 비선형 모델인 상위 계층의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상기 평탄 측도는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되고,
[수학식 4]
,
여기서, 는 목표 함수 의 평탄 측도, 는 지연 시간, 는 임베딩 차원을 나타내고,
상기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의 커널 함수의 입력 패턴과 중심점 간의 평균 거리는 하기의 [수학식 13]과 같이 대표 입력 위치로 정의되고,
[수학식 13]
는 대표 입력 위치, 와 는 각각 커널 함수의 수와 번째 예측 모델의 평균을 나타내고,
[수학식 16]
는 단일 벡터, 는 대표 입력 위치, 는 예측 값인 벡터를 나타내는, 전력 수요 예측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 예측 모델의 입력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계열 예측 모델에서 평탄 측도가 양의 값을 갖는 최소 임베딩 차원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소 임베딩 차원에 대해 평탄 측도가 최대 값을 가질 때의 지연 시간을 산출하는, 전력 수요 예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각각 학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시계열 예측 모델의 입력 구조에 따른 시계열 입력 데이터를 복수의 학습 데이터 세트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복수의 학습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각각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Gaussian kernel function network)를 학습하는, 전력 수요 예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각각 학습하는 단계는,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의 잡음 분산을 추정하여 커널 함수의 수를 산출하는, 전력 수요 예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각각 학습하는 단계는,
목표 값과 예측 값 사이의 기대위험인 평균 제곱 오류(MSE, Mean squared error)가 최소가 되는 커널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전력 수요 예측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학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에서 산출된 각 시계열 입력 데이터의 예측 값과, 각 시계열 입력 데이터와 전체 커널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학습하는, 전력 수요 예측 방법. -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력 수요 데이터의 위상 공간 분석(Phase space analysis)을 이용하여 시계열 예측 모델의 입력 구조를 결정하되, 예측 단계(prediction step)에 대한 임베딩 차원(Embedding dimension)과 지연 시간이 포함된 임베딩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상기 시계열 예측 모델의 입력 구조를 결정하고, 상기 시계열 예측 모델의 평탄 측도(smoothness measure)를 사용하여 임베딩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상기 결정된 시계열 예측 모델의 입력 구조에 따른 시계열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커널 함수(Kernel function)를 갖는 복수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Gaussian kernel function network)를 각각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복수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결합하여 상위 계층의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생성하되, 상기 학습된 복수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대표 입력 위치와 예측 값이 포함되어 하기 [수학식 16]과 같이 정의된 단일 벡터를 조합하여 비선형 모델인 상위 계층의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상기 전력 수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상기 평탄 측도는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되고,
[수학식 4]
,
여기서, 는 목표 함수 의 평탄 측도, 는 지연 시간, 는 임베딩 차원을 나타내고,
상기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의 커널 함수의 입력 패턴과 중심점 간의 평균 거리는 하기의 [수학식 13]과 같이 대표 입력 위치로 정의되고,
[수학식 13]
는 대표 입력 위치, 와 는 각각 커널 함수의 수와 번째 예측 모델의 평균을 나타내고,
[수학식 16]
는 단일 벡터, 는 대표 입력 위치, 는 예측 값인 벡터를 나타내는, 전력 수요 예측 장치. - 삭제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계열 예측 모델에서 평탄 측도가 양의 값을 갖는 최소 임베딩 차원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소 임베딩 차원에 대해 평탄 측도가 최대 값을 가질 때의 지연 시간을 산출하는, 전력 수요 예측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시계열 예측 모델의 입력 구조에 따른 시계열 입력 데이터를 복수의 학습 데이터 세트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복수의 학습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각각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Gaussian kernel function network)를 학습하는, 전력 수요 예측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의 잡음 분산을 추정하여 커널 함수의 수를 산출하는, 전력 수요 예측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목표 값과 예측 값 사이의 기대위험인 평균 제곱 오류(MSE, Mean squared error)가 최소가 되는 커널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전력 수요 예측 장치. - 삭제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에서 산출된 각 시계열 입력 데이터의 예측 값과, 각 시계열 입력 데이터와 전체 커널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학습하는, 전력 수요 예측 장치. -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전력 수요 데이터의 위상 공간 분석(Phase space analysis)을 이용하여 시계열 예측 모델의 입력 구조를 결정하되, 예측 단계(prediction step)에 대한 임베딩 차원(Embedding dimension)과 지연 시간이 포함된 임베딩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상기 시계열 예측 모델의 입력 구조를 결정하고, 상기 시계열 예측 모델의 평탄 측도(smoothness measure)를 사용하여 임베딩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상기 결정된 시계열 예측 모델의 입력 구조에 따른 시계열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커널 함수(Kernel function)를 갖는 복수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Gaussian kernel function network)를 각각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복수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결합하여 상위 계층의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생성하되, 상기 학습된 복수의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대표 입력 위치와 예측 값이 포함되어 하기 [수학식 16]과 같이 정의된 단일 벡터를 조합하여 비선형 모델인 상위 계층의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상기 전력 수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심층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력 수요를 예측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 측도는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되고,
[수학식 4]
,
여기서, 는 목표 함수 의 평탄 측도, 는 지연 시간, 는 임베딩 차원을 나타내고,
상기 가우시안 커널 함수 네트워크의 커널 함수의 입력 패턴과 중심점 간의 평균 거리는 하기의 [수학식 13]과 같이 대표 입력 위치로 정의되고,
[수학식 13]
는 대표 입력 위치, 와 는 각각 커널 함수의 수와 번째 예측 모델의 평균을 나타내고,
[수학식 16]
는 단일 벡터, 는 대표 입력 위치, 는 예측 값인 벡터를 나타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8115A KR102239464B1 (ko) | 2019-02-15 | 2019-02-15 | 심층 구조를 이용한 전력 수요 예측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8115A KR102239464B1 (ko) | 2019-02-15 | 2019-02-15 | 심층 구조를 이용한 전력 수요 예측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3193A KR20200103193A (ko) | 2020-09-02 |
KR102239464B1 true KR102239464B1 (ko) | 2021-04-13 |
Family
ID=7246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8115A Active KR102239464B1 (ko) | 2019-02-15 | 2019-02-15 | 심층 구조를 이용한 전력 수요 예측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946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10131A1 (ko) * | 2022-07-06 | 2024-01-11 |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 디지털트윈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9807B1 (ko) * | 2021-02-23 | 2024-02-22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계열 데이터에 기반한 알츠하이머병 진행감지를 위한 멀티모드 멀티테스크 딥 러닝 모델 |
CN113485848B (zh) * | 2021-09-08 | 2021-12-17 | 深圳思谋信息科技有限公司 | 深度神经网络部署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
CN114118530B (zh) * | 2021-11-04 | 2025-01-10 | 杭州经纬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多户电力消耗预测模型的预测方法及装置 |
WO2023096471A1 (ko) * | 2021-11-29 | 2023-06-01 |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 공유 공동체에 대한 전력 공급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CN115952878A (zh) * | 2022-07-29 | 2023-04-11 | 上海玫克生储能科技有限公司 | 用电负荷预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CN117077871B (zh) * | 2023-10-17 | 2024-02-02 | 山东理工昊明新能源有限公司 | 基于大数据的能源需求预测模型的构建方法及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43184A (ko) * | 2012-09-28 | 2014-04-0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에너지 소비량 예측 장치 및 방법 |
KR20180060317A (ko) * | 2016-11-28 | 2018-06-07 | 한국전력공사 | 심층 신경망 기반 수용가 전력 수요 예측 장치 및 방법 |
-
2019
- 2019-02-15 KR KR1020190018115A patent/KR102239464B1/ko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10131A1 (ko) * | 2022-07-06 | 2024-01-11 |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 디지털트윈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3193A (ko) | 2020-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9464B1 (ko) | 심층 구조를 이용한 전력 수요 예측 방법 및 장치 | |
Jiang et al. | Short-term wind speed prediction: Hybrid of ensembl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feature selection and error correction | |
JP6849915B2 (ja) | 比較プログラム、比較方法および比較装置 | |
KR102042165B1 (ko) | 미세먼지의 농도 예측 방법 및 장치 | |
KR102656115B1 (ko) | 연료전지 시스템의 잔여 수명 예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트윈 장치 | |
CN107102969A (zh) | 一种时间序列数据的预测方法和系统 | |
Jurado et al. | An improved encoder-decoder-based CNN model for probabilistic short-term load and PV forecasting | |
CN113887916A (zh) | 一种配电网线损动态量化评估方法及系统 | |
Alfred | A genetic-based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for forecasting in time-series data | |
CN112396231B (zh) | 针对时空数据的建模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 |
CN117556753A (zh) | 存储芯片的能耗分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CN113111572A (zh) | 航空发动机剩余寿命预测方法及系统 | |
CN119739534B (zh) | 基于计算引擎模型驱动算子链动态优化方法及系统 | |
CN119401452A (zh) | 基于多源异构数据特征融合的电力负荷预测方法、系统设备及介质 | |
Lin et al. | Hurricane risk assessment for residential buildings in the southeastern US coastal region in changing climate condition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
CN119378733A (zh) | 一种基于深度强化学习的电力调度优化方法和系统 | |
Hounie et al. | Loss shaping constraints for long-term time series forecasting | |
CN115423170A (zh) | 一种面向边缘计算的配电网自适应集成负荷预测方法 | |
CN114330485A (zh) | 基于pls-svm-ga算法的电网投资能力预测方法 | |
Li et al. | LSTM-based ensemble learning for time-dependent reliability analysis | |
CN119204755B (zh) | 对抗体系效能评估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 |
CN119292795B (zh) | 一种云边协同体系下的算力硬件资源自适应调度方法以及系统 | |
Tong et al. | Interval Prediction of Tobacco Tax Profit Based on a Hybrid Holt-SVR Model | |
Mahdavi et al. | A variable structure neural network model for mid-term load forecasting of Iran national power system | |
CN119903386A (zh) | 一种计及误差修正的多极端天气场景下负荷预测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7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9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3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9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