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366B1 -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366B1
KR102239366B1 KR1020200035694A KR20200035694A KR102239366B1 KR 102239366 B1 KR102239366 B1 KR 102239366B1 KR 1020200035694 A KR1020200035694 A KR 1020200035694A KR 20200035694 A KR20200035694 A KR 20200035694A KR 102239366 B1 KR102239366 B1 KR 102239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mage
event
participa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준
최윤선
Original Assignee
최원준
최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준, 최윤선 filed Critical 최원준
Priority to KR1020200035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며,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은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들 각각의 참석자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집하는 통신부,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저장부에 수집된 영상을 포함하는 공개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참석자들에게 상기 공개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참석자들에게 표시된 상기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평가정보를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공유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공유콘텐츠를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IMAGE}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벤트 장소에 참석한 복수의 참석자가 보유한 단말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복수의 참석자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와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용자의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사용자의 일상을 촬영하여 기록하고 있다.
특히, 콘서트, 팬 미팅, 결혼식 등과 같은 이벤트에 참석하는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벤트를 촬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벤트에 참석한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를 기준으로 이벤트를 촬영하므로 이벤트를 촬영하는 범위가 제한적이다. 이에 사용자는 이벤트에 자신과 함께 참석한 타 사용자와 개별적으로 영상을 공유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타 사용자의 수가 전체 이벤트에 참석한 사용자들의 수에 비해 일부이며 영상을 공유하는 방법 역시 참석자 간 직접적인 전송방법이 일반적이어서 참석자 간 원활한 영상의 공유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89494호에서는 자동 가이드식 영상 캡쳐 및 프레젠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아이템의 영상을 캡쳐하여 영상 프레임의 배경을 자동으로 제거하고, 수동 마스크 편집을 수행하여 아이템 리스트를 생성하고,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아이템 정보를 추론하여 아이템 정보를 아이템 리스트 폼에 자동으로 적용한 프레젠테이션을 제공할 뿐, 상술된 바와 같이 이벤트에 참석한 사용자들 간 제한적 영상 공유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이벤트에 참석한 복수의 참석자로부터 각 참석자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여 해당 이벤트에 참석한 복수의 참석자 간 공유하는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복수의 참석자로부터 획득한 영상 중 이벤트와 관련된 영상만 공유되도록 필터링을 수행하는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복수의 참석자에게 공유된 영상에 대한 평가정보를 획득하여 선별된 영상으로 구성된 공유콘텐츠를 생성하는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영상에서 이벤트와 관련된 주요영역만을 선택하여 복수의 참석자에게 공유되도록 하는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들 각각의 참석자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집하는 통신부,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저장부에 수집된 영상을 포함하는 공개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참석자들에게 상기 공개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참석자들에게 표시된 상기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평가정보를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공유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공유콘텐츠를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공유시스템이 영상을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들 각각의 참석자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수집된 영상을 포함하는 공개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참석자들에게 상기 공개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참석자들에게 표시된 상기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평가정보를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공유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콘텐츠를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공유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상기 영상공유방법은,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들 각각의 참석자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수집된 영상을 포함하는 공개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참석자들에게 상기 공개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참석자들에게 표시된 상기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평가정보를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공유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콘텐츠를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공유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며 영상공유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상기 영상공유방법은,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들 각각의 참석자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수집된 영상을 포함하는 공개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참석자들에게 상기 공개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참석자들에게 표시된 상기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평가정보를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공유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콘텐츠를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이벤트에 참석한 복수의 참석자로부터 각 참석자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여 해당 이벤트에 참석한 복수의 참석자 간 실시간으로 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참석자로부터 획득한 영상 중 이벤트와 관련된 영상만 필터링하여 이벤트와 관련된 적합한 영상이 복수의 참석자에게 공유되도록 하는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참석자에게 공유된 영상에 대한 평가정보를 획득하여 선별된 영상으로 구성된 공유콘텐츠를 생성하여 이벤트 참석자의 평가가 반영된 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영상에서 이벤트와 관련된 주요영역만을 선택하여 복수의 참석자에게 공유되도록 하는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다른 영상공유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8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이벤트’는 복수의 사람이 동일한 목적으로 오프라인상의 특정 장소 또는 온라인 상의 특정된 가상의 공간에 모이는 것으로 예를 들어 연수, 워크샵, 학술대회, 돌잔치, 팬미팅, 콘서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영상’은 이벤트에 참석한 적어도 한 명의 참석자가 이벤트와 관련하여 촬영하였거나 기 저장된 데이터로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음성녹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미리보기콘텐츠’는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단말로부터 수집된 영상으로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에게 표시되기 전에 진행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이다. 이러한 미리보기콘텐츠는 수집된 각각의 영상을 썸네일 형태로 나열한 콘텐츠이거나, 수집된 영상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공개콘텐츠’는 미리보기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 중 진행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으로 구성되어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에게 임시적으로 표시되는 콘텐츠이다. 예를 들어, 공개콘텐츠는 진행자에 의해 미리보기콘텐츠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이벤트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나 프로젝터로 출력되거나 참석자단말을 통해 참석자에게 임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개콘텐츠는 진행자단말 또는 참석자단말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거나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공유콘텐츠’는 참석자에게 표시된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중 참석자의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상으로 구성되어 참석자에게 공유되는 콘텐츠이다. 예를 들어, 공유콘텐츠의 공유는 참석자단말에 영구적으로 저장 가능한 형태의 파일로 참석자단말에 공유거나 또는 제 3 의 서버에 저장되어 참석자단말이 접근할 수 있는 URL형태로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을 포함하는 미리보기콘텐츠, 공개콘텐츠 또는 공유콘텐츠는 참석자단말 또는 진행자단말에 저장되거나 후술할 영상공유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표에 이용하는 파일 형식, 예를 들어 PDF, PPT, KEY 등의 확장자로 저장되는 프레젠테이션 파일이거나 또는 미디어 파일 형식, 예를 들어 JPG, MP4, GIF, AVI 등의 확장자로 저장되는 미디어 파일 형태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는 파일일 수 있다.
‘평가정보’는 공개콘텐츠를 통해 참석자에게 표시된 영상에 대해 참석자가 공유콘텐츠에 포함 여부에 대한 의사표시로 예를 들어, 영상에 대한 점수, ‘좋아요’와 같은 추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영상공유시스템(100)은 이벤트에 참석한 적어도 한 명의 참석자 각각으로부터 영상을 수집하여 수집된 영상을 참석자에게 표시하고, 수집된 영상에 대한 참석자의 평가정보에 따라 선택된 영상으로 구성된 공유콘텐츠를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영상공유시스템(100)은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공유시스템(100)은 웹을 통해 영상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버-클라이언트에 각각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영상공유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은 네트워크(N)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공유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사용자단말(10)은 진행자단말(11)과 참석자단말(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1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우선, 진행자단말(11)은 이벤트를 진행하는 진행자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단말(10)이다. 진행자단말(11)은 영상공유서버(20)로 적어도 하나의 참석자단말(12)로부터의 영상 수집을 요청할 수 있고, 수집된 영상을 참석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참석자단말(12)은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단말(10)이다. 참석자단말(12)은 이벤트가 촬영된 영상 또는 기 저장된 영상을 영상공유서버(20)에 제공할 수 있고, 진행자단말(11)에 의해 표시된 영상에 대한 참석자의 평가를 입력받아 영상공유서버(2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참석자단말(12)은 공유콘텐츠를 영상공유서버(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진행자단말(11) 및 참석자단말(12)의 구분은 구성상의 구분이 아닌 사용주체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그리고 영상공유서버(20)는 단일의 컴퓨터로 구현되거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우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N)를 통해 사용자단말(10)과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공유서버(20)는 진행자단말(11)과 참석자단말(12)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공유서버(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웹호스팅 서버, 밸런싱 서버 등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영상공유서버(20)는 진행자단말(11)과 참석자단말(12)을 매칭시켜 참석자단말(12)로부터 수집된 영상이 진행자단말(11)에 의해 참석자에게 표시되도록 진행자단말(11)과 참석자단말(12)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공유서버(20)는 수집된 영상에 대한 참석자의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참석자단말(12)로 공유할 공유콘텐츠를 생성하여 참석자단말(12)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시스템(100)은, 진행자단말(11), 참석자단말(12) 및 영상공유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공유서버(20)는 통상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서버 측 구성으로서, 제어부(210), 통신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영상공유서버(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영상공유서버(2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하거나 진행자단말(11) 및 참석자단말(12)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부(23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210)는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접속한 진행자단말(11) 또는 참석자단말(12)로부터 로그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로그인이 완료된 진행자단말(11) 또는 참석자단말(12)로부터 이벤트에 대한 정보인 이벤트 명칭, 이벤트 장소, 이벤트 참석자의 식별정보 등을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참석자단말(12)을 이벤트 또는 진행자단말(11)과 매칭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단말(12)로부터 매칭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매칭정보에 기초하여 진행자단말(11) 또는 이벤트에 매칭된 타 참석자단말(12)과 매칭할 수 있다.
이때, 매칭정보는 진행자의 식별정보, 이벤트 장소 또는 이벤트에 대해 할당된 고유정보일 수 있으며, 이러한 매칭정보는 QR코드, 바코드 등과 같은 이미지코드 형태이거나 또는 임의의 문자열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10)는 진행자단말(11)을 식별할 수 있는 매칭정보를 참석자단말(12)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매칭정보에 대응되는 진행자단말(11)을 참석자단말(12)과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참석자단말(12)로부터 진행자의 이메일 주소를 매칭정보로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이메일 주소에 대응되는 진행자단말(11)과 참석자단말(12)을 매칭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10)는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는 매칭정보를 참석자단말(12)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매칭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에 기 매칭된 타 참석자단말을 참석자단말(12)에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는 이벤트 장소인 ‘코엑스 C홀’을 매칭정보로 제 1 참석자단말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코엑스 C홀’에 대응되는 이벤트인 ‘팬미팅’ 에 기 매칭된 제 2 참석자단말을 제 1 참석자단말과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단말(12)에 대해 실제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적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참석자단말(12)과 매칭된 진행자단말(11)이 등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이벤트의 장소와 참석자단말(12)로부터 획득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위치가 동일한지를 식별하여 참석자단말(12)에 대한 추가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10)는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들 각각의 참석자단말(12)로부터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10)는 진행자단말(11)의 영상 수집요청에 대응하여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각각의 참석자단말(12)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참석자단말(12)에 저장된 영상을 편집하거나 또는 참석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영상공유서버(20)로 업로드시키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참석자단말(12)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참석자단말(12)로 제공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의 주요영역을 선택하여 편집하는 편집기능을 참석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이 선택되면, 제어부(210)는 참석자단말(12)로 제공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의 주요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주요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잘라내는 편집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10)는 머신러닝을 통해 촬영시 초점을 맞춘 영상 상의 객체의 특징을 학습할 수 있고, 학습결과에 따라 영상 내에서 초점이 맞추어진 객체를 식별하여 식별된 객체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이 주요영역으로 설정되는 기능을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참석자가 직접 영상의 주요영역을 설정하여 편집할 수 있는 편집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영상의 주요영역을 중심으로 편집된 영상을 참석자단말(12)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영상을 포함하는 미리보기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영상의 화질을 열화시켜 저용량의 썸네일 형태로 영상을 제공하는 미리보기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10)는 참석자단말(12)로부터 획득된 영상 각각을 슬라이드 형식으로 제공하는 미리보기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진행자단말(11)로 미리보기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미리보기콘텐츠에 포함된 영상을 선택적으로 삭제, 분할 등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편집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참석자단말(12)로부터 수집된 영상을 기초로 생성된 미리보기콘텐츠를 진행자단말(11)로 제공한 편집툴을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미리보기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중 공개콘텐츠에 포함될 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 체크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진행자가 선택한 영상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공개콘텐츠에서 영상이 제공되는 단위인 슬라이드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영상의 표시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사이즈가 720 X 1080이고, 공개콘텐츠의 슬라이드의 사이즈가 1920X 1080인 경우, 제어부(210)는 영상을 가로로 반복하여 슬라이드에 배치되도록 하는 반복표시와 슬라이드 중앙에 배치하는 중앙배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진행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표시방법을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진행자단말(11)로부터 진행자가 미리보기콘텐츠에서 진행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포함하는 공개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진행자단말(11)로부터 진행자가 선택한 영상에 대한 정보와 함께 선택된 영상이 공개콘텐츠의 슬라이드에서 표시되는 방법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진행자가 선택한 영상을 슬라이드화시켜 공개콘텐츠를 생성하되, 공개콘텐츠의 각 슬라이드에서 영상의 표시를 반복하여 바둑판처럼 표시하거나 또는 슬라이드 중앙에 표시하여 슬라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10)는 진행자단말(11)로부터 공개콘텐츠의 표시방식을 선택 받을 수 있고, 선택된 표시방식에 따라 진행자단말(11)로 공개콘텐츠를 제공하거나 각각의 참석자단말(12)에 공개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여 공개콘텐츠가 참석자들에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10)는 진행자단말(11)로 공개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진행자단말(11)을 통해 공개콘텐츠가 참석자들에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진행자단말(11)로부터 공개콘텐츠의 제공을 요청받을 수 있고, 진행자단말(11)로 공개콘텐츠를 제공하여 진행자단말(11)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이 참석자들에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10)는 공개콘텐츠를 각각의 참석자단말(12)로 제공하여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이 각각의 참석자단말(12)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각각의 참석자단말(12)로 공개콘텐츠에 대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참석자단말(12)에 공개콘텐츠가 영구히 저장되지 않도록 공개콘텐츠를 스트리밍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참석자들에게 표시된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평가정보를 각각의 참석자단말(12)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참석자단말(12)을 통해 영상을 평가할 수 있도록 입력수단이 구비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진행자단말(11)을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해 1부터 100점 중 하나의 점수를 참석자단말(12)에서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참석자단말(12)로부터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각 영상에 대한 ‘좋아요’ 를 획득할 수 있고, 각 영상 별로 참석자단말(12)로부터 획득된 ‘좋아요’의 수를 기초로 영상에 대한 평가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참석자가 ‘좋아요’를 누를 수 있는 영상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진행자단말(11)에 의해 영상이 참석자들에게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210)는 진행자단말(11)에 의해 참석자들에게 표시되는 영상과 참석자단말(12)을 통해 참석자로부터 평가정보를 입력받는 대상이 동일하도록 진행자단말(11)과 참석자단말(12)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진행자단말(11)로부터 공개콘텐츠의 표시를 제어하는 진행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진행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참석자단말(12)에 제공된 사용자인터페이스상에서 참석자가 평가정보를 입력하는 대상인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10)는 각 영상에 대한 참석자의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공유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공유콘텐츠를 각각의 참석자단말(12)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각각에 대한 참석자들의 추천수를 기초로 기 설정된 추천수를 초과하는 영상만을 추출하여 공유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각각에 대한 참석자들의 점수를 합산한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영상을 정렬할 수 있고, 상위 20위 내의 영상만을 추출하여 공유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생성된 공유콘텐츠를 각각의 참석자단말(12)이 다운로드 또는 열람할 수 있도록 공유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URL을 제공하거나 또는 공유콘텐츠 파일을 직접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공유콘텐츠를 제공할 참석자단말(12)을 추가적으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공유콘텐츠를 제공할 시점에 참석자단말(12)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참석자단말(12)이 이벤트 장소에 계속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이벤트 장소에 계속 위치한 참석자단말(12)에 대해서 공유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벤트 참석자들은 각 참석자가 보유한 영상을 함께 시청하여 평가를 하고, 평가에 기초하여 선정된 영상을 이벤트 참석자들간에 공유하여 소유함으로써 이벤트에 대한 다양한 영상을 보유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2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20)는 제어부(210)의 요청에 따라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들 각각의 참석자단말(12)과 통신하여 각각의 참석자단말(12)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20)는 수신된 영상을 포함하는 미리보기콘텐츠를 진행자단말(11)로 전송하고, 미리보기콘텐츠에 대한 진행자의 편집정보를 진행자단말(1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공개콘텐츠를 진행자단말(11) 또는 참석자단말(12)에 스트리밍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진행자단말(11)의 제어에 따라 전환되는 영상과 참석자단말(12)에서 평가점수를 입력할 대상인 영상이 동기화되도록 영상의 표시정보를 진행자단말(11)과 참석자단말(12)간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20)는 참석자단말(12)로부터 영상에 대한 평가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평가정보에 따라 생성된 공유콘텐츠를 참석자단말(12)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230)에는 파일,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저장부(23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장부(230)에는 영상공유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진행자단말(11) 또는 참석자단말(12) 각각에 대한 로그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로그인이 완료된 진행자단말(11) 또는 참석자단말(12)로부터 수신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참석자단말(12)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210)에 의해 생성되는 미리보기콘텐츠, 공개콘텐츠 또는 공유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공유콘텐츠가 참석자단말(12)로 제공되면, 저장부(230)는 공유콘텐츠가 제공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미리보기콘텐츠, 공개콘텐츠 또는 공유콘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방법은 도 1 에 도시된 영상공유시스템(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에 도시된 영상공유시스템(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 은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된다. 도 5 내지 도 8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영상공유시스템(100)의 구성인 진행자단말(11) 또는 참석자단말(12)이 구현되는 사용자단말의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은 영상공유시스템(100)이 영상을 공유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영상공유시스템(100)의 영상공유서버(20)는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들 각각의 참석자단말(12)과 통신하여 각각의 참석자단말(12)로부터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S3001).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이벤트에 참석한 각각의 참석자단말(12)로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참석자로부터 참석자단말(12)에 저장된 영상을 선택받을 수 있고, 선택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영상공유서버(20)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을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공유서버(20)는 참석자단말(12)에서 참석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에서 주요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제거된 영상을 참석자단말(12)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영상공유서버(20)는 획득된 영상을 포함하는 공개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3002).
실시예에 따라, 영상공유서버(20)는 S3001단계에서 참석자단말(12)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공개콘텐츠를 생성하되, 공개콘텐츠의 슬라이드 크기에 대응되도록 영상의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개콘텐츠가 제공되는 단위인 슬라이드 크기가 영상보다 큰 경우, 영상공유서버(20)는 슬라이드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영상의 픽셀을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하여 영상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또는 영상을 바둑판 형태로 반복 표시하여 슬라이드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공유서버(20)는 S3002단계에서 생성된 공개콘텐츠를 참석자에게 표시되도록 하고, 참석자들로부터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평가정보를 참석자단말(12)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S3003).
즉, 영상공유서버(20)는 생성된 공개콘텐츠가 진행자단말(11) 또는 참석자단말(12)을 통해 임시로 참석자에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공개콘텐츠를 진행자단말(11)로 제공하여 진행자단말(11)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공개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이 참석자에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공개콘텐츠를 각각의 참석자단말(12)로 제공하여 공개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이 참석자단말(12)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공유서버(20)는 참석자에게 표시된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각각에 대한 참석자의 평가정보를 참석자단말(12)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참석자단말(12)로 영상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에 대한 참석자의 평가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영상공유서버(20)는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공유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3004).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S3003단계에서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각각에 대한 참석자들의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점수를 초과하는 영상만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영상만을 포함하는 공유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각각에 대한 평가점수에 따라 영상을 정렬한 공유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공유서버(20)는 공유콘텐츠를 각각의 참석자단말(12)로 제공할 수 있다(S3005).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S3004단계에서 생성된 공유콘텐츠를 제 3 의 서버에 저장할 수 있고, 참석자단말(12)이 제 3 의 서버에 접근하여 공유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도록 URL을 참석자단말(12)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S3004단계에서 생성된 공유콘텐츠를 참석자단말(12)이 직접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공유콘텐츠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영상공유서버(20)는 실시예에 따라, 참석자단말(12)이 공유콘텐츠를 제공할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하여 공유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참석자단말(12)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에 참석 중인 참석자의 참석자단말(12)인지 인증하여 공유콘텐츠의 제공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영상을 공유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영상공유시스템(100)의 영상공유서버(20)는 이벤트를 진행하는 진행자를 로그인 처리하거나(S4001), 또는 이벤트에 참석하는 참석자를 로그인 처리할 수 있다(S4002).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이벤트를 진행하는 진행자의 진행자단말(11)로부터 로그인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이벤트에 대응되는 진행자를 식별하는 매칭정보를 진행자단말(11)로부터 획득하면 진행자를 로그인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공유서버(20)는 실시예에 따라, 진행자단말(11)과 참석자단말(12)을 매칭할 수 있다(S4003).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S4001단계를 통해 로그인된 진행자단말(11)로부터 획득된 매칭정보와 동일한 매칭정보를 입력한 참석자단말(12)을 진행자단말(11)과 매칭시킬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진행자단말(11)의 위치정보와 참석자단말(12)의 위치정보를 각각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위치정보를 갖는 진행자단말(11)과 참석자단말(12)을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공유서버(20)는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에 참석하는 참석자단말(12)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참석자가 실제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인지 여부를 추가로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참석자단말(12)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위치정보와 이벤트의 오프라인 장소가 동일한 장소인지 여부를 식별하여 참석자에 대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공유서버(20)는 영상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참석자단말(12)로 제공할 수 있고(S4004), 영상공유시스템(100)의 참석자단말(12)은 참석자로부터 저장된 영상 중 업로드할 영상을 선택받을 수 있다(S4005)
도 5 는 참석자단말(12)로 제공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영상공유서버(20)는 참석자단말(12)로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501)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참석자단말(12)은 영상공유서버(2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인터페이스(501)를 참석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참석자단말(12)에 저장된 이미지(502, 503, 504)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502)를 참석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참석자단말(12)은 S4005단계에서 선택된 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S4006).
예를 들어, 참석자단말(12)은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의 주요영역을 참석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으며, 선택된 주요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참석자가 영상에서 주요영역으로 선택하는 영역의 특징을 학습할 수 있고 학습에 기초하여 영상의 주요영역을 선택하는 기능이 사용자인터페이스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참석자단말(12)은 학습결과가 반영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편집기능을 통해 참석자가 선택한 영상에서 일 영역을 주요영역으로 예측하여 참석자에게 추천할 수 있으며, 추천된 주요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도 6 은 영상을 편집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참석자단말(12)은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참석자가 선택한 영상(601)에서 주요영역(602)을 참석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이후, 영상공유서버(20)는 참석자단말(12)로부터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S4007), 각 참석자단말(12)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포함한 미리보기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4008).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참석자단말(12)로부터 S4006단계에서 영상 중 주요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제거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영상을 열화시켜 영상의 사이즈를 줄인 썸네일을 생성하여 미리보기콘텐츠를 생성하거나 또는 영상을 슬라이드화하여 미리보기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공유서버(20)는 S4008단계에서 생성된 미리보기콘텐츠를 진행자단말(11)로 제공할 수 있고(S4009), 진행자단말(11)로부터 미리보기콘텐츠의 편집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S4010).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썸네일 형태의 미리보기콘텐츠를 진행자단말(11)로 제공할 수 있고, 진행자단말(11)에 표시된 미리보기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중 진행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 은 진행자단말(11)에 표시된 미리보기콘텐츠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진행자단말(11)은 S4009를 통해 영상공유서버(20)로부터 획득된 미리보기콘텐츠(701)를 표시할 수 있고, 진행자로부터 미리보기콘텐츠에서 제외되어야 하는 이미지인 학술대회와 무관한 이미지(702, 703, 704)를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진행자단말(11)은 영상공유서버(20)로 진행자가 선택한 영상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영상공유서버(20)는 S4010단계를 통해 진행자단말(11)로부터 미리보기콘텐츠에 대한 편집요청에 따라 진행자가 선택한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을 포함하는 공개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4011).
그리고 영상공유서버(20)는 진행자단말(11)로부터 공개콘텐츠의 표시방식을 선택받을 수 있다(S4013).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공개콘텐츠의 표시 주체로 진행자단말(11)이 선택되면, 영상공유서버(20)는 공개콘텐츠를 진행자단말(11)로 제공할 수 있고(S4014), 영상공유서버(20)로부터 공개콘텐츠를 획득한 진행자단말(11)은 공개콘텐츠를 참석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S4015).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가 진행자단말(11)로부터 공개콘텐츠의 제공을 요청받으면, 영상공유서버(20)는 공개콘텐츠를 진행자단말(11)로 제공할 수 있고, 진행자단말(11)에 의해 이벤트 장소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참석자에게 공개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 은 공개콘텐츠를 표시하는 진행자단말(11)의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진행자단말(11)은 이벤트 장소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공유서버(20)로부터 획득된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801)을 참석자에게 표시할 수 있고, 진행자 인터페이스(802)를 통해 입력되는 진행자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을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S4013단계에서 공개콘텐츠의 표시 주체로 참석자단말(12)이 선택되면, 영상공유서버(20)는 공개콘텐츠를 참석자단말(12)로 제공할 수 있고(S4016), 영상공유서버(20)로부터 공개콘텐츠를 획득한 참석자단말(12)이 공개콘텐츠를 참석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S4017).
S4015단계 또는 S4017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통해 공개콘텐츠가 참석자에게 표시되면, 영상공유서버(20)는 참석자단말(12)로부터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별로 평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018).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별로 1 내지 10 사이의 평가점수를 참석자단말(12)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별로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공유서버(20)는 S4018단계에서 획득된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공유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4019).
예를 들어, 영상공유서버(20)는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각 영상에 대한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일부를 선택하여 선택된 영상만 포함되도록 공유콘텐츠를 생성하거나 또는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각 영상에 대한 평가점수를 기준으로 영상의 나열 순서를 정렬하여 공유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영상공유서버(20)는 S4019단계에서 생성된 공유콘텐츠를 참석자단말(12)로 제공할 수 있다(S4020).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4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4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영상공유시스템
11: 진행자단말
12: 참석자단말
20: 영상공유서버
210: 제어부
220: 통신부
230: 저장부

Claims (12)

  1. 영상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이벤트의 진행자의 진행자단말 그리고 상기 이벤트의 참석자들 각각의 참석자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이벤트의 진행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매칭함으로써 상기 진행자에 매칭된 사용자를 상기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로 구분하고, 상기 저장부에 수집된 상기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포함하는 공개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참석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상기 공개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참석자들에게 표시된 상기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평가정보를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중 공유콘텐츠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선정하여, 선정된 영상을 포함하는 공유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공유콘텐츠를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공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참석자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참석자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참석자의 상기 이벤트로의 참석을 인증하는, 영상공유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행자단말로 상기 저장부에 수집된 상기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포함하는 미리보기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진행자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미리보기콘텐츠를 편집하여 상기 공개콘텐츠를 생성하는, 영상공유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행자단말로부터 상기 공개콘텐츠의 표시방식을 선택 받고, 선택된 표시방식에 따라 상기 진행자단말에 상기 공개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에 상기 공개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는, 영상공유시스템.
  5. 삭제
  6. 영상공유시스템이 영상을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의 진행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매칭함으로써, 상기 진행자에 매칭된 사용자를 상기 이벤트에 참석한 참석자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의 참석자들 각각의 참석자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포함하는 공개콘텐츠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참석자들에게 상기 공개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참석자들에게 표시된 상기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평가정보를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개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중에서 공유콘텐츠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선정하여, 선정된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공유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콘텐츠를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공유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공유방법은,
    상기 참석자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참석자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참석자의 상기 이벤트로의 참석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공유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공유방법은,
    수집된 상기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포함하는 미리보기콘텐츠를 진행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진행자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미리보기콘텐츠를 편집하여 상기 공개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공유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공유방법은,
    상기 진행자단말로부터 상기 공개콘텐츠의 표시방식을 선택 받는 단계; 및
    선택된 표시방식에 따라 상기 진행자단말로 상기 공개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상기 각각의 참석자단말에 상기 공개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공유방법.
  10. 삭제
  11. 제 6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영상공유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며, 제 6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35694A 2020-03-24 2020-03-24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239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694A KR102239366B1 (ko) 2020-03-24 2020-03-24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694A KR102239366B1 (ko) 2020-03-24 2020-03-24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366B1 true KR102239366B1 (ko) 2021-04-12

Family

ID=7543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694A KR102239366B1 (ko) 2020-03-24 2020-03-24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663B1 (ko) * 2022-01-25 2023-05-17 모성환 실시간으로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동기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590A (ko) * 2010-07-15 2012-01-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경기장 영상 공유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 경기장 영상 공유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054871A (ko) * 2011-11-17 2013-05-2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스마트 실시간 공연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590A (ko) * 2010-07-15 2012-01-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경기장 영상 공유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 경기장 영상 공유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054871A (ko) * 2011-11-17 2013-05-2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스마트 실시간 공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663B1 (ko) * 2022-01-25 2023-05-17 모성환 실시간으로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동기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114738A (ko) * 2022-01-25 2023-08-01 모성환 실시간으로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동기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09728B1 (ko) 2022-01-25 2023-12-05 모성환 실시간으로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동기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8556B2 (ja) メディアアイテムを選択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3494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capture of two video streams
US201800322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ed broadcasting
US106162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ed broadcasting
US113498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
US201800415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ed broadcasting
KR102108849B1 (ko) 다수의 사진 공급 스토리용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25518A (ko) 디지털 비디오 컨텐트를 대화방식의 관점에서 저작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US1120623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rfacing content
US201801527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multiple streams in a broadcast
US20140123028A1 (en) Comprehensive multimedia management platform
US113473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hared content
US201503318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content items and generating multimedia content
US11750680B2 (en) Systems and methods to selectively combine video streams
CN108702481B (zh) 创建复合视频的系统和方法
US201801890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
US1152830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ed broadcasting
KR102121327B1 (ko) 이미지 획득 방법, 피제어 기기 및 서버
JP2013171373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2239366B1 (ko) 영상 공유 방법 및 시스템
US10783319B2 (en) Methods and systems of creation and review of media annotations
JP2021068346A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データ共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2643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based media composition
KR102166656B1 (ko)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US97678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bining drawings and videos prior to buffer sto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