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320B1 - Method for evaluating the objective masticatory func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evaluating the objective masticatory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320B1
KR102239320B1 KR1020190017659A KR20190017659A KR102239320B1 KR 102239320 B1 KR102239320 B1 KR 102239320B1 KR 1020190017659 A KR1020190017659 A KR 1020190017659A KR 20190017659 A KR20190017659 A KR 20190017659A KR 102239320 B1 KR102239320 B1 KR 102239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ication
function
unit
fluorescent dye
evalu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6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9723A (en
Inventor
윤홍철
김백일
강시묵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320B1/en
Publication of KR2020009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7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3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8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masticatory organs, e.g. detecting dental for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 색소를 포함하는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를 이용하여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치아의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구체적으로는 (a) 형광 색소를 포함하는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를 저작하는 단계; 및 (b) 정량적 광-유도 형광법(QLF)을 이용하여 저작된 단위체의 형광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a tooth using a masticatory function evaluation unit containing a fluorescent dye, specifically (a) authoring a masticatory function evaluation unit containing a fluorescent dye ; And (b) measuring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masticated unit using a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method (QLF).

Description

치아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Method for evaluating the objective masticatory function}Method for evaluating the objective masticatory function

본 발명은 치아의 저작 기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capable of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a tooth.

저작 기능(Masticatory function)이란 치아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씹는 능력을 말하며, 사람은 저작 기능을 통하여 음식물을 구강 내에서 잘게 씹어 소화액과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하고, 타액과 잘 섞이게 하여 소화관에서의 소화 흡수를 돕는 일련의 행위를 한다. 사람은 출생 후 이유식기를 통하여 조금씩 고형물을 먹는 훈련을 개시하고, 저작을 학습해 간다. 이러한 저작 행위에는 치아, 혀, 입술, 목, 목구멍, 턱관절, 타액선 등 구강 내의 대부분의 기관이 관여하며,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상기 기관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 장애로 인하여 저작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저작 기능 장애가 일어나면 음식물을 제대로 씹을 수 없기 때문에 영양소의 흡수 저해, 소화 장애 등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Masticatory function refers to the ability to chew food using teeth, and a person chews food finely in the oral cavity through the mastication function to increas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digestive fluid, mix it well with saliva, and absorb it in the digestive tract. Do a series of actions to help you. After birth, people start training to eat solids little by little through the weaning machine and learn writing. Most of the organs in the oral cavity, such as teeth, tongue, lips, throat, throat, jaw joints, and salivary glands, are involved in these chewing behaviors, and learning is not done properly, or mastication dysfunction is caused by one or more dysfunctions of the organs. I can. When masticatory dysfunction occurs, food cannot be chewed properly, which can lead to various diseases such as inhibition of absorption of nutrients and digestive problems.

이와 같이, 사람에게 있어서 저작 기능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기 때문에, 이를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은 치과 의료에 있어서 기본적인 과제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별히, 저작 기능 평가를 위한 재료로서 저작 기능 평가용 기능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인공 식품 덩어리(일본 특허공보 제2900947호; 국내 특허출원 제10-2009-7002763)에 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를 이용하여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은 주관적이기 때문에 정확성이 떨어지거나,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비율을 계량하는 과정들은 고가의 기기를 필요로 하거나, 유기 용매 등을 사용하는 복잡한 단계의 실험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이 용이하지 못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uthoring function has very important significance for humans, it is a basic task in dental care to evaluate it objectively and accurately. Accordingly, methods for evaluating authoring functions are being developed using various methods. In particular, as a material for mastication function evaluati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food mass containing functional fine particles for mastication function evaluation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900947; Domestic Patent Application No. 10-2009-7002763) is actively being developed. However, since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authoring function using these materials is subjective, the accuracy is inferior, or the processes of measuring the ratio for objective evaluation require expensive equipment, or complex experiments using organic solvents. It is not easy to use because it needs to be heard.

이와 같이, 객관적으로 저작 기능을 평가하여 정확성 및 민감도가 높고, 평가 시간이 짧으며 평가 및 이해가 용이하며, 자동화가 가능한 효과적인 객관적 저작 기능 평가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effective objective authoring function evaluation method that has high accuracy and sensitivity, short evaluation time, easy evaluation and understanding, and automation by objectively evaluating authoring functions.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치아의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a tooth.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작 기능 장애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etermining masticatory dysfunction.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하,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various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forms, compositions, and processes, are set forth. However, certain embodiments may be practiced without one or more of these specific details, or with other known methods and forms. In other instances, well-known processe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have not been described in specific details in order not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o “one embodiment” or “an embodiment”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form, composition, or characteristic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 is included 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context of “in one embodiment” or “an embodiment” expressed in various place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does not necessarily represent the sam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particular features, forms, compositions, or properties may be combined in one or more embodiments in any suitable manner.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저작 기능(masticatory function)"이란 치아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씹는 능력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음식물을 구강 내에서 잘게 씹어 소화액과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하고, 타액과 잘 섞이게 하여 소화관에서의 소화흡수를 돕는 일련의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저작에는 치아, 혀, 입술, 목, 목구멍, 턱관절, 타액선 등 구강 내의 대부분의 기관이 관여하며, 이러한 기관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 장애로 인해 나타나는 질환으로 인하여 음식물을 씹는 능력이 감소된 것을 "저작 기능 장애"라 한다. 상기 질환은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지각과민, 치아파절, 구강건조증, 턱얼굴 근력장애 턱관절 장애, 안면 신경 장애 및 치아 부정 교합 등일 수 있으며, 음식물을 씹는 능력과 관련되어 있다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sticatory function" refers to a concept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 ability to chew food using teeth. Specifically, it refers to a series of actions that help digestion and absorption in the digestive tract by chewing food finely in the oral cavity to increase the area in contact with digestive juice, and to mix well with saliva. Chewing involves most organs in the oral cavity, such as teeth, tongue, lips, throat, throat, jaw joints, and salivary glands. It is called "disability". The disease may be dental caries, periodontal disease, hypersensitivity, tooth fracture, dry mouth, jaw facial muscle strength disorder, jaw joint disorder, facial nerve disorder, and tooth malocclusion, and the lik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is related to the ability to chew food.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a) 형광 색소를 포함하는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를 저작하는 단계; 및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authoring a unit for evaluating a mastication function comprising a fluorescent dye; And

(b) 광을 조사하여 저작된 단위체의 형광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의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b) It relates to a method of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teeth, comprising the step of measuring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masticated unit by irradiating light.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왁스(wax) 또는 껌(gum)의 재질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unit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material of wax or gum.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형광 색소가 포함된 형태라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블록 형상의 껌 기지층 내부에 형광 색소가 충전된 형태; 튜브 형상의 껌 기지층 내부에 형광 색소가 충전된 형태; 두 겹의 껌 기지층 사이에 형광 색소가 개재된 형태; 껌 기지층과 형광 색소가 격자 형태로 배치된 형태; 다면체 형상의 껌 기지층 내부에 다면체 형상의 형광 색소가 포함된 형태; 또는 형광 색소가 코어이며 껌 기지층이 상기 코어를 둘러싸 쉘 형상으로 감싸고 있는 코어/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unit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f a fluorescent dye is included, it may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a fluorescent dye is filled inside a block-shaped gum base layer. ; A form in which a fluorescent dye is filled inside the tube-shaped gum base layer; A form in which a fluorescent dye is interposed between the two layers of the gum base layer; A form in which a gum base layer and a fluorescent dye are arranged in a lattice form; A polyhedral shape including a polyhedral fluorescent dye inside the polyhedral gum base layer; Alternatively, a fluorescent dye may be a core and a gum base layer may be in the form of a core/shell surrounding the core in a shel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도 1과 같이 블록 형상의 껌 기지층(10) 내부에 형광 색소(20)가 충전된 형태일 수 있고, 또는 도 2와 같이 튜브 형상의 껌 기지층(10) 내부에 형광 색소(20)가 충전된 형태일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두 겹의 껌 기지층(10) 사이에 시트 형상으로 형광 색소(20)가 개재된 형상일 수 있고, 또는 도 4와 같이 껌 기지층(10)과 형광 색소(20)가 격자 형태로 배치된 형태일 수 있으며, 또는 도 5의 사시도와 같이 육면체의 껌 기지층(10) 내부에 형광 색소(20)가 복수개의 육면체가 결합된 복합 다면체로 배치되어 있고, 또는 도 6의 단면 구조와 같이 형광 색소(20)가 코어이며 껌 기지층(10)이 상기 코어를 둘러싸 쉘 형상으로 감싸고 있는 코어/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to 6 show the shape of the unit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 form in which a fluorescent dye 20 is filled inside the block-shaped gum base layer 10 as shown in FIG. 1.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 the fluorescent dye 20 may be filled inside the tube-shaped gum base layer 10, and as shown in FIG. 3, the fluorescent dye 20 may be formed in a sheet shape between the two layers of gum base layer 10. The pigment 20 may be interposed, or the gum base layer 10 and the fluorescent dye 20 may be arranged in a grid as shown in FIG. 4, or a hexahedral gum as shown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 5. In the base layer 10, the fluorescent dye 20 is arranged as a complex polyhedron in which a plurality of hexahedrons are combined, or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FIG. 6, the fluorescent dye 20 is a core and the gum base layer 10 is It may have a core/shell shape surrounding the core in a shel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 껌 기지층은 껌 베이스를 포함하고, 그 외에 당알코올, 당류, 유화제, 향료 또는 그 외에 기능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성분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m base layer includes a gum base, and may include sugar alcohol, sugars, emulsifiers, flavors, or other functional ingredients, but specific ingredient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발명에서 상기 껌 베이스는 아세틸리시놀산메틸, 에스테르검, 초산비닐수지,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트리아세틴, 탄산칼슘, 인산칼슘류, 분말펄프 등의 섬유류(식물성), 탈크 등의 무기질(광물성), 식물성고무 함유 수지(구타카츄라(gutta katiau), 구타항캉(gutta hang kang), 구타페르카(gutta percha), 치클(chicle), 발라타(balata), 베네주엘라 치클, 마사랜드바 초콜렛(massaranduba chocolate), 마사랜드바 발라타(massaranduba balata), 로지딘하(rosindinha), 구아유레, 젤루통(jelutong), 소르바(sorva), 소르빈하, 투누(tunu), 니거구타(niger gutta), 레체데바카(leche de vaca),고무, 칠테(Chilte) 등), 식물성고무 비함유 수지(매스틱(mastic), 벤조인검(benzoin gum), 엘레미(Elemi)수지, 유향, 몰약(沒藥, commiphora myrrha ENGL),오포파낙스(Opopanax) 수지, 구아야크(Guaiac) 수지, 담마르(Dammar) 수지, 카우리검, 코팔수지, 산다라크(sandarak) 수지, 발삼전나무, 송진,코파이바 발삼(copaiba balsam) 등), 동물성수지(쉐락(shellac) 등), 식물성왁스(미강왁스, 사탕수수왁스, 옻납(urushi wax), 목납, 칸델리라 왁스(candelilla wax), 호호바왁스, 오우리쿠리(ouricury) 왁스, 카나우바왁스(carnauba wax), 유량종자납 등), 동물성왁스(쉐락납, 경랍, 밀납, 라놀린 등), 광물성왁스(오조케라이트, 파라핀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몬탄(montan)왁스 등) 등을 원재료로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m base is fiber (vegetable) such as methyl acetylricinolate, ester gum, vinyl acetate resin, polyisobutylene, polybutene, glycerin fatty acid ester, triacetin, calcium carbonate, calcium phosphate, powder pulp, etc. Inorganic materials such as talc (mineral), vegetable rubber-containing resins (gutta katiau, gutta hang kang, gutta percha, chicle, balata, venezuela chicle , Massaranduba chocolate, massaranduba balata, rosindinha, guayure, jelutong, sorva, sorbinha, tunu, Niger gutta, leche de vaca, rubber, Chilte, etc.), vegetable rubber-free resin (mastic, benzoin gum, Elemi resin) , Frankincense, Myrrh (Commiphora myrrha ENGL), Opopanax resin, Guaiac resin, Dammar resin, Kauri gum, Copal resin, Sandarak resin, Balsam Fir tree , Rosin, copaiba balsam, etc.), animal resin (shellac, etc.), vegetable wax (rice bran wax, sugarcane wax, urushi wax, wood wax, candelilla wax), Jojoba wax, ouricury wax, carnauba wax, oil seed wax, etc.), animal wax (sherak wax, spermaceti wax, beeswax, lanolin, etc.), mineral wax (ozokerite, paraffin wax, micro Crystalline wax, montan wax, etc.) may be used as raw materia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 형광 색소는 클로로필(chlorophyll),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또는 커큐민(curcumin)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orescent dye may be chlorophyll, flavonoids, or curcum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 "클로로필(chlorophyll)"은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독립 생장(autotropic) 및 화학적 자급 영양(chemoautotrophic) 식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녹색 색소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식물들의 녹색 부분으로부터 10 종류의 클로로필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클로로필로 가장 풍부하게는 클로로필 a가 있고, 그 다음으로는 클로로필 b, 클로로필 c1 및 c2, 클로로필 d, 프로토클로로필, 박테리오클로로필 및 클로로비움클로로필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클로로필로는 생두(green beans), 완두(peas), 강낭콩(wax beans),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브로콜리, 케일, 파슬리, 미나리, 대파, 쑥갓 또는 새싹보리 등의 녹색 채소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lorophyll" is a green pigment that can be extracted from autotropic and chemoautotrophic plants using an organic solvent. In general, 10 kinds of chlorophyll can be separated from the green part of various plants. The most abundant chlorophyll is chlorophyll a, followed by chlorophyll b, chlorophyll c1 and c2, chlorophyll d, protochlorophyll, bacteriochlorophyll and chlorobium chlorophyl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lorophyll is derived from green vegetables such as green beans, peas, wax beans, spinach, asparagus, broccoli, kale, parsley, parsley, leek, garland chrysanthemum, or sprout barley. However,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발명에서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흔히 식물의 밝고 아름다운 색상을 나타내는 도처에 존재하는 천연 폴리페놀 화합물이다. 다수의 과일, 식물, 베리, 곡류, 뿌리, 줄기뿐만 아니라 차, 커피, 맥주 및 와인과 같은 음료에 집중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예로는 퀘르세틴 디하이드레이트 또는 캄프페롤 등의 플라보놀; 아피제닌, 루테올린 또는 디오스민 등의 플라본; 나린제닌 또는 헤스페리딘(헤스페리틴의 람노글루코시드) 등의 플라바논; 갈로카테킨 또는 에피카테킨 등의 카테킨; 게니스테인 등의 이소플라본; 또는 페라고니딘 클로라이드 등의 안토시아니딘 화합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vonoid" is a ubiquitous natural polyphenol compound that often exhibits the bright and beautiful color of plants. It is concentrated in a number of fruits, plants, berries, grains, roots, stems, as well as beverages such as tea, coffee, beer and wine. Examples of the flavonoid compounds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flavonols such as quercetin dihydrate or campferol; Flavones such as apigenin, luteolin, or diosmin; Flavanones such as naringenin or hesperidin (rhamnoglucoside of hesperitin); Catechins such as gallocatechin or epicatechin; Isoflavones such as genistein; Or anthocyanidin compounds such as peragonidine chlorid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는 형광 색소와 껌 기지층을 1 : 0.1 ~ 1 : 10의 중량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may include a fluorescent dye and a gum base layer in a weight ratio of 1: 0.1 to 1: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는 목적하는 개체가 상기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를 저작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of interest may perform the step of authoring the unit for evaluating the authoring func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목적하는 개체"란, 구강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저작 능력이 저하되었거나, 혹은 저하 능력이 저하된 것으로 의심이 되는 개체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of interest" refers to an individual whose chewing ability has decreas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oral cavity, or is suspected to have decreased ability to decrease.

본 발명에서 상기 목적하는 개체가 본 발명에 따른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를 저작하는 횟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1회 내지 50회, 1회 내지 30회, 1회 내지 20회, 1회 내지 15회, 또는 1회 내지 10회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저작 기능을 판단할 수만 있다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imes the object of interest authors the unit for evaluating the auth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1 to 50 times, 1 to 30 times, 1 to 20 times, 1 time It may be performed 15 times, or 1 to 10 tim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as long as the authoring function can be judged,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작 후 저작된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를 분류 방법에 따른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류 방법은 각 저작 횟수에 따라 저작된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를 분류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회 내지 50회, 1회 내지 30회, 1회 내지 20회, 1회 내지 15회, 또는 1회 내지 10회의 각각의 횟수별로 저작된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를 분류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lassifying the authoring function evaluation unit authored after the authoring according to a classification method. At this time, the classification method is to classify the authored authoring function evaluation unit according to the number of authorings, and in more detail, 1 to 50 times, 1 to 30 times, 1 to 20 times, 1 to 15 times, Alternatively, a unit for evaluating the authoring function may be classified for each number of times from 1 to 10 times.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작 후에 광을 조사하여 저작된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에서의 형광 색소의 분포를 시각화 하여 형광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tep of measuring the fluorescence intensity by visualizing the distribution of the fluorescent dye in the unit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by irradiating light after the mastic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광의 스펙트럼이나 광원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상기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에 포함된 형광 색소의 종류에 따라 형광 측정 파장을 달리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300 내지 550 nm 파장의 여기광(light of excitation)을 조사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trum of the light or the light sour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fluorescence measurement wavelength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luorescent dye included in the unit for evaluating the authoring function, but, for example, excitation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300 to 550 nm ( light of excitation) can be investigated.

본 발명의 일 예시로서 상기 형광 색소로 클로로필(chlorophyll)을 사용하는 경우 440 내지 460 nm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필 a를 사용하는 경우 440 nm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고, 클로로필 b를 사용하는 경우 460 nm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hlorophyll is used as the fluorescent dye,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40 to 460 nm may be irradiated, and preferably, when using chlorophyll a,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40 nm may be irradiated. , In the case of using chlorophyll b,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60 nm may be irradi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다른 예시로서 상기 형광 색소로 플라보노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520 nm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lavonoids are used as the fluorescent dye,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20 nm may be irradi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다른 예시로서 상기 형광 색소로 커큐민을 사용하는 경우 368 내지 404 nm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68 nm 파장의 여기광, 또는 404 nm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urcumin is used as the fluorescent dye,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368 to 404 nm may be irradiated, and preferably, excitation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368 nm or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4 nm may be irradiated,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 광 조사는 정량적 광-유도 형광(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irradiation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본 발명에서 상기 형광 세기는 하기 식 (1)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orescence intensity can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식 (1)][Equation (1)]

형광 세기 = (형광 영역의 면적) / (전체 투사 영역의 면적) x 100Fluorescence intensity = (area of fluorescence area) / (area of total projection area) x 100

상기 식 (1)에서 '전체 투사 영역의 면적'은 저작되어 형태가 변환된 단위체의 평면 넓이를 의미하며, '형광 영역의 면적'은 저작에 의하여 단위체에서 형광 색이 섞인 면적을 의미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Equation (1), the'area of the entire projection area' refers to the area of the plane of the unit that has been authored and transformed, and the'area of the fluorescent area' refers to the area where fluorescent colors are mixed in the unit by the authoring. Not limited.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치아의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저작 기능 장애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termining a mastication function disorder by using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a 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작 기능 장애는 구강 일측에 장애가 있어 편측 저작을 하는 것을 포함하고, 혹은 구강 양측 또는 전체적으로 저작 기능이 저하된 것 또한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ication dysfunction includes unilateral chewing because there is a disorder on one side of the oral cavity, or the mastication function is deteriorated on both sides of the oral cavity or as a whole.

본 발명에서는 목적하는 개체의 구강 일측으로 본 발명의 저작 기능용 단위체를 일정 횟수 저작 후 선택적으로 정량적 광-유도 형광(QLF)을 이용하여 광을 조사해 저작된 단위체의 형광 세기를 측정하고, 동일 개체의 구강 타측으로 동일 형상의 저작 기능용 단위체를 동일 횟수를 저작한 후 정량적 광-유도 형광(QLF)을 이용하여 저작된 단위체의 형광 세기를 측정한 뒤 구강 일측에서의 형광 세기와 비교하여 편측 저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certain number of mastication of the masticatory functiona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ne side of the oral cavity of the object of interest, the same subject is selectively irradiated with light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to measure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masticated unit. After masticating the unit for the same shape to the other side of the oral cavity of the mouth the same number of times, measuring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chewed unit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and comparing it with the fluorescence intensity at one side of the oral cavity It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or not.

본 발명에서 상기 구강 일측은 구강 우측 또는 좌측일 수 있고, 구강 타측은 구강 좌측 또는 우측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oral cavity may be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oral cavity, and the other side of the oral cavity may be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oral cavity,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작 기능은, 특정 개체의 구강 일측에 있어서 일정 횟수로 단위체를 저작했을 때에 형광 색소가 혼입된 정도를 측정하고, 동일 개체의 구강 타측에 있어서 동일 횟수로 단위체를 저작했을 때에 형광 색소가 혼입된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ication function is to measure the degree to which a fluorescent dye is incorporated when a unit is chewed at a certain number of times on one side of the oral cavity of a specific individual, and a fluorescent dye when the unit is chewed at the same number of times on the other side of the oral cavity of the same subject. It can be expressed by comparing the degree to which is incorpora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목적하는 개체에서 본 발명의 저작 기능용 단위체를 저작 후 선택적으로 정량적 광-유도 형광(QLF)을 이용하여 광을 조사해 저작된 단위체의 형광 세기를 측정하고, 정상 대조군에서 동일한 형상의 저작 기능용 단위체를 동일 횟수로 저작한 후 저작된 단위체에 대하여 측정된 형광 세기를 비교하여 목적하는 개체의 저작 기능 장애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asticating the unit for the mastic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bject of interest,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masticated unit is measured by selectively irradiating light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and the same shape in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mastication function of the unit may be authored the same number of times, and then comparing the measured fluorescence intensity for the authored unit to determine a mastication function disorder of the object of interest.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작 기능은, 특정 개체가 일정 횟수로 단위체를 저작했을 때에 형광 색소가 혼입된 정도를 측정하고, 건강한 유치악자 개체가 동일 횟수로 단위체를 저작했을 때에 형광 색소가 혼입된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ication function is to measure the degree to which a fluorescent dye is mixed when a specific individual chews the unit a certain number of times, and compare the degree of the fluorescent dye when a healthy primary malignant individual chews the unit the same number of times. It can be represented by

본 발명에 따른 저작 기능 평가 방법은 빠르고 정확하며 객관적으로 저작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저작 기능 평가 방법은 기존에 유색 색소를 포함하는 저작 기능 평가체를 이용하여 저작 후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 보다 정확성 및 민감도가 현저히 증가되었다. The authoring function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ccurately and objectively evaluate the authoring function. Moreover,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ignificantly increased accuracy and sensitivity compared to the method of performing image analysis after mastication using a mastication function evaluator containing a colored pigment.

본 발명에 따른 저작 기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저작 기능 장애 여부를 진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구강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도록 한다. The mastication function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diagnose whether masticatory function is impaired, and through this, various oral diseases can be prevented, improved, or tre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구조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구조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구조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구조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구조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구조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 제작된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서 제작된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실시예 3에서 제작된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4에서 제작된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1의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를 1회 내지 10회 저작 후 정량적 광-유도 형광(QLF)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실험예 1에서 실시예 2의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를 1회 내지 10회 저작 후 정량적 광-유도 형광(QLF)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3의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를 1회 내지 10회 저작 후 정량적 광-유도 형광(QLF)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실험예 1에서 실시예 4의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를 1회 내지 10회 저작 후 정량적 광-유도 형광(QLF)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실험예 2에서 실시예 4의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저작 횟수 별 형광 세기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 unit for evaluating authoring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 unit for evaluating authoring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 unit for evaluating authoring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 unit for evaluating authoring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 unit for evaluating authoring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 unit for evaluating authoring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photograph of the unit for evaluating the authoring function produced in Example 1.
8 shows a photograph of the unit for evaluating the authoring function produced in Example 2.
9 shows a photograph of the unit for evaluating the authoring function produced in Example 3.
10 shows a photograph of the unit for evaluating the authoring function produced in Example 4.
FIG. 11 shows an image photographed by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after 1 to 10 mastication of the unit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Example 1 in Experimental Example 1. FIG.
12 shows an image photographed with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after 1 to 10 mastication of the unit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Example 2 in Experimental Example 1. FIG.
13 shows an image photographed with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after 1 to 10 mastication of the unit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Example 3 in Experimental Example 1. FIG.
14 shows an image photographed with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after 1 to 10 mastication of the unit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Example 4 in Experimental Example 1. FIG.
1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fluorescence intensity for each mastication number of the unit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Example 4 in Experimental Example 2;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according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실시예 Example

[실시예 1]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제작[Example 1] Preparation of a unit for evaluating authoring function

저작 기능 평가를 위하여, 아라비아 껌 베이스에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시트 형상의 껌 기지층을 준비하고, 두 겹의 껌 기지층 사이에 시금치 유래 클로로필 형광 색소를 이용한 형광 시트 층을 개재시켜 저작 평가용 단위체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인 형상은 도 7에 나타내었다. For the mastication function evaluation, a sheet-shaped gum base layer containing xylitol was prepared on the gum arabic base, and a fluorescent sheet layer using a spinach-derived chlorophyll fluorescent dye was interposed between the two gum base layers to obtain a unit for mastication evaluation. Was produced. The specific shape is shown in FIG. 7.

[실시예 2]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제작[Example 2] Preparation of a unit for evaluating authoring function

저작 기능 평가를 위하여, 아라비아 껌 베이스에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튜브 형상의 껌 기지층을 준비하고, 껌 기지층의 가운데에 관통홀을 형성시킨 뒤 시금치 유래 클로로필 형광 색소를 충진시켜 저작 평가용 단위체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인 형상은 도 8에 나타내었다. To evaluate the mastication function, a tube-shaped gum base layer containing xylitol was prepared in the gum base layer of gum, a through hole wa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gum base layer, and then a chlorophyll fluorescent dye derived from spinach was filled to prepare a unit for mastication evaluation. I did. The specific shape is shown in FIG. 8.

[실시예 3]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제작[Example 3] Preparation of a unit for evaluating authoring function

저작 기능 평가를 위하여, 아라비아 껌 베이스에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튜브 형상의 껌 기지층을 준비하고, 껌 기지층의 가운데에 관통홀을 형성시킨 뒤 시금치 유래 클로로필 형광 색소를 충진시키고 상부 및 하부를 아라비아 껌 베이스로 봉하여 저작 평가용 단위체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인 형상은 도 9에 나타내었다. For the evaluation of mastication function, a tube-shaped gum base layer containing xylitol was prepared in the gum base layer, a through hole wa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gum base layer, and then a spinach-derived chlorophyll fluorescent dye was filled,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gum arabic gum The unit for mastication evaluation was produced by sealing with a base. The specific shape is shown in FIG. 9.

[실시예 4]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제작[Example 4] Fabrication of a unit for evaluating authoring function

저작 기능 평가를 위하여, 아라비아 껌 베이스에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튜브 형상의 껌 기지층을 준비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형상으로 저작 평가용 단위체를 제작하되, 형광 색소의 양을 상기 실시예 3의 반 용량만 충진시켜 제작하였다. 구체적인 형상은 도 10에 나타내었다. For the mastication function evaluation, a tube-shaped gum base layer containing xylitol was prepared on the gum arabic base, and a unit for mastication evalua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shape as in Example 3, but the amount of the fluorescent dye was half of that of Example 3. It was produced by filling only the capacity. The specific shape is shown in FIG. 10.

[실험예 1] 저작 기능 평가[Experimental Example 1] Evaluation of authoring function

저작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신적으로 건강한 성인 남녀 중에서 사랑니를 제외한 28개의 모든 자연치아가 존재하는 사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에서 치통, 턱관절 질환, 심한 부정교합, 저작장애, 심한 치아우식, 고정성 또는 가철성 의치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연구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이렇게 하여 추려진 총 4명의 대상자들에게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작된 단위체를 각각 10개씩 나누어 준 후, 각각 1회부터 10회까지 평소 씹는 방법으로 저작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횟수만큼 저작된 단위체를 흐르는 물에 세척 및 건조시켜 저작 횟수에 따른 단위체를 준비하였다. QLF-D Biluminator™2þ system (Inspector Research Systems BV, Amsterdam, The Netherlands)를 이용하여 440 nm 파장의 광을 조사해 저작 횟수 별 각 단위체의 형광 이미지를 촬영하여 그 결과를 도 11 내지 14에 나타내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mastication fun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ose who had all 28 natural teeth except wisdom teeth among men and women who were healthy whole body. Those with toothache, jaw joint disease, severe malocclusion, mastication disorder, severe dental caries, and fixed or removable denture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After distributing 10 units each prepared in Examples 1 to 4 to a total of 4 subjects selected in this way, each of them was chewed by the usual chewing method from 1 to 10 times. Then, the unit body chewed for each number of times was washed and dried in running water to prepare a uni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ewing times. Using the QLF-D Biluminator™2þ system (Inspector Research Systems BV, Amsterdam, The Netherlands), a fluorescence image of each unit was photographed by irradiating light with a wavelength of 440 nm,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11 to 14.

도 11 내지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작 횟수가 증가할 수록 형광 색소가 껌 기지층에 고르게 혼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도 13과 14를 비교할 때 형광 색소를 반만 충진한 도 14의 경우 도 13에 비하여 저작된 단위체로부터 측정되는 형광 밝기 또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FIGS. 11 to 14, it was confirmed that the fluorescent dye was evenly mixed in the gum base layer as the number of mastications increased. In particular, when comparing FIGS. 13 and 14, in the case of FIG. 14 filled with only half of the fluorescent dye, FIG. 13 Compared to that, it was confirmed that the fluorescence brightness measured from the chewed unit was also decreased.

[실험예 2] 형광 세기의 평가[Experimental Example 2] Evaluation of fluorescence intensity

형광 세기를 평가하기 위하여, 산출에 필수적인 변수들인 전체 투사 영역의 면적(total projection area, AH)과, 형광 영역의 면적(fluorescence area, FA)을 산출하였다. 형광 세기는 이러한 변수를 이용하여 하기 식 (1)에 따라 측정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fluorescence intensity, the total projection area (AH) and the fluorescence area (FA), which are essential variables for calculation, were calculated. Fluorescence intens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using these variables.

[식 (1)][Equation (1)]

형광 세기 = (형광 영역의 면적) / (전체 투사 영역의 면적) x 100Fluorescence intensity = (area of fluorescence area) / (area of total projection area) x 100

상기 식 (1)에서 형광 세기는 전체 투사 영역의 면적에 대한 형광 영역의 면적 비율을 의미하며, 결과값으로부터 저작 기능을 용이하게 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0부터 100 사이에 존재하는 값이 되도록 한다.In Equation (1), the fluorescence intensity means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fluorescence area to the area of the entire projection area, and is set to a value between 0 and 100 in order to easily determine the authoring function from the result value.

상기 실험예 1에서 실시예 4의 단위체를 이용한 저작 평가 결과로 1회 내지 10회의 각 저작 횟수 별 전체 투사 영역의 면적(total projection area, AH) 및 형광 영역의 면적(fluorescence area, FA)과 그에 따라 상기 식 (1)을 이용하여 측정된 형광 세기를 하기 표 1 및 도 15에 나타내었다.As a result of the mastication evaluation using the unit body of Example 4 in Experimental Example 1, the total projection area (AH) and the fluorescence area (fluorescence area, FA) for each number of writings 1 to 10 times, and the corresponding Accordingly, the fluorescence intensity measured using Equation (1) is shown in Table 1 and FIG. 15 below.

저작 횟수Authoring count 전체 투사 영역의 면적 [px]Area of the entire projection area [px] 형광 영역의 면적[px]Area of fluorescence area [px] 형광 세기 (%)Fluorescence intensity (%) 00 9707497074 82488248 8.4966118.496611 1One 196739196739 2396623966 12.1816212.18162 22 103877103877 3585835858 34.5196734.51967 33 119847119847 4805248052 40.0944540.09445 44 6145761457 3982139821 64.794964.7949 55 128257128257 9809798097 76.4847176.48471 66 111156111156 9905699056 89.114489.1144 77 118075118075 113738113738 96.3269196.32691 88 7958479584 7767877678 97.6050597.60505 99 7925679256 7828578285 98.7748698.77486

상기 표 1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작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형광 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1 and FIG. 15, it was confirmed that the fluorescence intensity increased as the number of mastications increas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Claims (20)

목적하는 개체에서 저작된 형광 색소를 포함하는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에 광을 조사하여 저작된 단위체의 형광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 세기는 하기 식 (1)에 의해 측정되는, 치아의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
[식 (1)]
형광 세기 = (형광 면적의 넓이) / (전체 투사 면적의 넓이) x 100
상기 식 (1)에서 '전체 투사 면적'은 저작되어 형태가 변환된 단위체의 평면 넓이를 의미하며, '형광 면적'은 저작에 의하여 단위체에서 형광 색이 섞인 면적을 의미한다.
Including the step of measuring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masticated unit by irradiating light to the unit for evaluation of the mastication function comprising a fluorescent dye authored in the object of interest,
The fluorescence intensity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 method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the tooth:
[Equation (1)]
Fluorescence intensity = (Area of fluorescence area) / (Area of total projection area) x 100
In Equation (1), the'total projection area' refers to the area of the plane of the unit whose shape has been converted by authoring, and the'fluorescent area' refers to the area where fluorescent colors are mixed in the unit by the 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는 왁스(wax) 또는 껌(gum)의 재질인, 치아의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astication function evaluation unit is a material of wax or gum, a method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a too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는 블록 형상의 껌 기지층 내부에 형광 색소가 충전된 형태; 튜브 형상의 껌 기지층 내부에 형광 색소가 충전된 형태; 두 겹의 껌 기지층 사이에 형광 색소가 개재된 형태; 껌 기지층과 형광 색소가 격자 형태로 배치된 형태; 다면체 형상의 껌 기지층 내부에 다면체 형상의 형광 색소가 포함된 형태; 또는 형광 색소가 코어이며 껌 기지층이 상기 코어를 둘러싸 쉘 형상으로 감싸고 있는 코어/쉘 형태인, 치아의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is a form in which a fluorescent dye is filled inside a block-shaped gum base layer; A form in which a fluorescent dye is filled inside the tube-shaped gum base layer; A form in which a fluorescent dye is interposed between the two layers of the gum base layer; A form in which a gum base layer and a fluorescent dye are arranged in a lattice form; A polyhedral shape including a polyhedral fluorescent dye inside the polyhedral gum base layer; Or a core/shell form in which a fluorescent dye is a core and a gum base layer surrounds the core in a shel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색소는 클로로필(chlorophyll),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또는 커큐민(curcumin)인, 치아의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luorescent dye is chlorophyll, flavonoids, or curcumin, a method for evaluating the masticatory function of tee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은 1회 내지 50회 수행된 것인, 치아의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hewing is performed once to 50 times,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chewing function of the tee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300 내지 550 nm 파장의 광인, 치아의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is a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300 to 550 nm, a method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a too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조사는 정량적 광-유도 형광(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치아의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irradiation is performed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a method for evaluating the masticatory function of a tooth.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하는 개체에서 저작된 형광 색소를 포함하는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를 분류 방법에 따른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the tooth,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lassifying the mastication function evaluation unit containing the fluorescent dye authored in the objec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방법은 각 저작 횟수에 따라 저작된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를 분류하는 것인, 치아의 저작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classification method is to classify the masticated function evaluation unit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stication,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of the tooth.
목적하는 개체에서 저작된 형광 색소를 포함하는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에 광을 조사하여 저작된 단위체의 형광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 세기는 하기 식 (1)에 의해 측정되는, 저작 기능 장애를 판단하는 방법:
[식 (1)]
형광 세기 = (형광 면적의 넓이) / (전체 투사 면적의 넓이) x 100
상기 식 (1)에서 '전체 투사 면적'은 저작되어 형태가 변환된 단위체의 평면 넓이를 의미하며, '형광 면적'은 저작에 의하여 단위체에서 형광 색이 섞인 면적을 의미한다.
Including the step of measuring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masticated unit by irradiating light to the unit for evaluation of the mastication function comprising a fluorescent dye authored in the object of interest,
The fluorescence intensity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 method of determining masticatory dysfunction:
[Equation (1)]
Fluorescence intensity = (Area of fluorescence area) / (Area of total projection area) x 100
In Equation (1), the'total projection area' refers to the area of the plane of the unit whose shape has been converted by authoring, and the'fluorescent area' refers to the area where fluorescent colors are mixed in the unit by the work.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는 왁스(wax) 또는 껌(gum)의 재질인, 저작 기능 장애를 판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unit for evaluating mastication function is a material of wax or gum, a method of determining mastication function disord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는 블록 형상의 껌 기지층 내부에 형광 색소가 충전된 형태; 튜브 형상의 껌 기지층 내부에 형광 색소가 충전된 형태; 두 겹의 껌 기지층 사이에 형광 색소가 개재된 형태; 껌 기지층과 형광 색소가 격자 형태로 배치된 형태; 다면체 형상의 껌 기지층 내부에 다면체 형상의 형광 색소가 포함된 형태; 또는 형광 색소가 코어이며 껌 기지층이 상기 코어를 둘러싸 쉘 형상으로 감싸고 있는 코어/쉘 형태인, 저작 기능 장애를 판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unit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is a form in which a fluorescent dye is filled inside a block-shaped gum base layer; A form in which a fluorescent dye is filled inside the tube-shaped gum base layer; A form in which a fluorescent dye is interposed between the two layers of the gum base layer; A form in which a gum base layer and a fluorescent dye are arranged in a lattice form; A polyhedral shape including a polyhedral fluorescent dye inside the polyhedral gum base layer; Or a core/shell form in which a fluorescent dye is a core and a gum base layer surrounds the core in a shell shap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색소는 클로로필(chlorophyll),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또는 커큐민(curcumin)인, 저작 기능 장애를 판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fluorescent dye is chlorophyll, flavonoids, or curcumin, a method for determining masticatory dysfun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은 1회 내지 50회 수행된 것인, 저작 기능 장애를 판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chewing is performed once to 50 times, the method of determining mastication dysfun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는 목적하는 개체의 구강 일측에서 저작된 것인, 저작 기능 장애를 판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chewing function evaluation unit is chewing on one side of the oral cavity of the object of interest, the method of determining mastication dysfun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300 내지 550 nm 파장의 광인, 저작 기능 장애를 판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light is a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300 to 550 nm, a method of determining mastication dysfun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조사는 정량적 광-유도 형광(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저작 기능 장애를 판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light irradiation is performed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에 후속적으로,
목적하는 개체의 구강 타측에 대하여 동일 횟수로 저작된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에 광을 조사하여 저작된 단위체의 형광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강 일측에서의 저작된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형광 세기와 상기 구강 타측에서의 저작된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의 형광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작 기능 장애를 판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Subsequent to the step of measuring the fluorescence intensity,
Measuring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masticated unit by irradiating light to the unit for evaluating the mastication function that has been masticated with respect to the other side of the oral cavity of the target object the same number of times; And
Comprising the step of comparing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chewed chewing function evaluation unit on one side of the oral cavity and the chewed chewing function evaluation unit on the other side of the oral cavit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mastication dysfunc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형광 세기를, 정상 대조군에서 동일 횟수로 저작 후 저작된 저작 기능 평가용 단위체에 대하여 측정된 형광 세기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작 기능 장애를 판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Comprising the step of comparing the fluorescence intensity measured in the step of measuring the fluorescence intensity with the fluorescence intensity measured for the masticatory function evaluation unit chewed after the same number of times in the normal control group, determining mastication dysfunction Way.
KR1020190017659A 2019-02-15 2019-02-15 Method for evaluating the objective masticatory function KR1022393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659A KR102239320B1 (en) 2019-02-15 2019-02-15 Method for evaluating the objective masticatory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659A KR102239320B1 (en) 2019-02-15 2019-02-15 Method for evaluating the objective masticatory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723A KR20200099723A (en) 2020-08-25
KR102239320B1 true KR102239320B1 (en) 2021-04-12

Family

ID=72242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659A KR102239320B1 (en) 2019-02-15 2019-02-15 Method for evaluating the objective masticatory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32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55B1 (en) * 2014-04-17 2015-08-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Unit for evaluating objective masticatory fun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675429B1 (en) * 2015-06-02 2016-11-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evaluating objective endodontic infe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1960B2 (en) * 1992-12-01 1997-12-17 昭和歯材化工株式会社 Test agent for determining masticatory effect
JP2750988B2 (en) * 1993-03-09 1998-05-18 昭和歯材化工株式会社 Chewing efficiency test agent
JP5843567B2 (en) * 2011-10-26 2016-01-13 株式会社ロッテ Color scale for judging chewing ability of xylitol gu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55B1 (en) * 2014-04-17 2015-08-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Unit for evaluating objective masticatory fun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675429B1 (en) * 2015-06-02 2016-11-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evaluating objective endodontic inf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723A (en)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0194C2 (en) Composition of chewing gum and confectioneries, containing colorant eliminating complex,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CN103732075B (en) Tobacco chewing gum preparation
EP0593764B1 (en) Dental testing composition
US20230145271A1 (en) Color indicating formulations
US9801409B1 (en) Moist snuff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RU2683680C2 (en) Edible pet chew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20253232A1 (en) Method for creating color scale for determination of masticatory performance
US20110229539A1 (en) Chewing gum possessing tooth cleaning effect and a teeth cleaning method
CN105596253B (en) Edible toothpaste which is prepared from olive extracts and does not contain fluori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BRPI0621974B1 (en) resin encapsulated high intensity sweetener.
CN107897551A (en) Treat the composition and method of tooth disorder
CN107708444A (en) Contain the edible composition for stabilizing natural colorant
KR102239320B1 (en) Method for evaluating the objective masticatory function
JP5216978B2 (en) Chewing function test method
KR101985771B1 (en) Foaming solid formulation for mouthwash and preperation method thereof
Huxley The cariogenicity of dietary sucrose at various levels in two strains of rat under unrestricted and controlled-frequency feeding conditions
Geraldine et al. Modification of fast release fluoride varnish by addition of plant-based extracts as antibacterial agents
JPH02308759A (en) Chewing gum for judging mastication ability
JP2020198857A (en) Gum for chewing training and chewing training using the same
Kishen et al. Broccoli and its anti cariogenic effect-review
CN109195450A (en) Anti-coloring preparation
KR20240102822A (en) Composition for disclosing agent and Screening Method for Composition of disclosing agent
JP2023500457A (en) Confectionery products for instant light whitening of teeth
CN106572679A (en) Improved chewing gum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for
Nabil et al. The effect of two different types of mouthwashes on the color stability of a nano-hybrid CAD-CAM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