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031B1 - 시야 가림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장치, 이동식 단말기,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시스템, 그리고 휴대용 장치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시야 가림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장치, 이동식 단말기,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시스템, 그리고 휴대용 장치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031B1
KR102239031B1 KR1020140092778A KR20140092778A KR102239031B1 KR 102239031 B1 KR102239031 B1 KR 102239031B1 KR 1020140092778 A KR1020140092778 A KR 1020140092778A KR 20140092778 A KR20140092778 A KR 20140092778A KR 102239031 B1 KR102239031 B1 KR 102239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ing
view
portable device
fiel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3042A (ko
Inventor
모하메드 유세프
앤디 자쿠피
브루스 맥컬러프
스티븐 그로네메이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1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8Special types of queries, e.g. statistical queries, fuzzy queries or distributed queries
    • G06F16/2471Distributed qu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5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aiding data
    • G01S19/06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aiding data employing an initial estimate of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as aiding data or in generating aiding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01S19/28Satellite se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4Power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zzy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야 가림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의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장치 작동 방법은 휴대용 장치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시야 가림 정보에 기초하여 시야 가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GNSS 수신기의 획득 및 추적 방법이 최적화될 수 있고, GNSS 수신기의 전력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야 가림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장치, 이동식 단말기,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시스템, 그리고 휴대용 장치의 작동 방법{PORTABLE DEVICE, MOBILE TERMINAL, DATABASE SERVER, AND SYSTEM USING VISIBILITY MASK INFORMATION, AND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전역 항법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이하 GNS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GNSS 수신기를 갖는 휴대용 장치에서 휴대용 장치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신호 획득(Acquisition) 시간 및 필요한 추적(Tracking) 채널의 수를 최소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성 항법 시스템은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지상의 수신기로 제공한다. 위성 항법 시스템 각각은 지구 주위를 도는 고유의 위성들을 갖는다. 위성 항법 시스템 각각은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각 시스템의 가시 영역에 있는(즉, 하늘 위에 있는) 위성을 사용하는 수신기를 갖는다. GNSS는, 정확히 "전역적"이지 않은 시스템(예컨대, 지역적이거나 증강된(Augmented) 시스템)을 포함하는 항법 위성 시스템일지라도, 항법을 위한 위성 시스템을 지칭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종종 사용된다. 이 명세서에서, "GNSS"라는 용어는, 달리 지칭하는 것으로 설명되지 않은 이상, 전역적인 것, 지역적인 것, 증강된 것, 또는 그 외 다른 모든 형태의 항법 위성 시스템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현재 작동하고 있는, 그리고 향후 작동 예정에 있는 GNSS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널리 알려진, 널리 사용되는, 그리고 정확히 전역적인 미국의 위치 파악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은 러시아의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와 같은 다른 전역 시스템에 결합하였고, 유럽의 GALILEO나 중국의 COMPASS와 같이, 지구 주위를 도는 고유의 위성들을 갖는, 또는 갖게 될, 시스템에 결합하고 있다. 지역 시스템(즉, 전역적이지 않고, 지구상의 특정 지역만을 탐색하기 위한 시스템)은 일본의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와 현재 개발 중인 인도의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를 포함한다. 증강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지역적이지만, 지상의 송신국으로부터의 신호 및/또는 다른 항법용 요소 등에 의해 증강되는 시스템이다. 증강 시스템은 WAAS(Wide Area Augmentation System), EGNOS(European Geostationary Navigation Overlay Service), MSAS(Multi-functional Satellite Augmentation System), 그리고 GAGAN(GPS Aided Geo Augmented Navigation)을 포함한다. QZSS와 같은 지역 시스템은 증강 시스템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나아가, 어떤 종류의 시스템 또는 장치이든 GNSS를 활용하는 데에 제한이 없다. GNSS 수신기는 이동식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 카메라, 휴대용 음악 재생 기기, 및 그 외 무수히 많은 휴대용 및/또는 이동식 개인용 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GNSS 수신기는 자동차와 같이 더 큰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GNSS 수신기"라는 용어는 GNSS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 모든 장치 또는 시스템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넓게 보면, GNSS 신호의 처리는 신호 획득, 추적, 및 위치 계산(또는, 항법 연산)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신호 획득은 현재 가시 영역에 있는 위성을 파악하거나 식별하는 것이다. 가시 영역에 있는 위성은 상공에 보이는 영역에 위치해 있어서 GNSS 수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위성을 의미한다. 분명히, 전역적인 GNSS에 포함되는 위성 가운데 어림잡아 절반 가량의 위성은 특정 시각에 지구의 반대편을 돌고 있을 것이다. 신호 획득 단계에서, 현재 가시 영역에 있는 위성을 파악하기 위해, 위성의 공전 정보, 가장 최근에 수행된 GNSS 수신기의 위치 계산, 지상에서 전달된 지역 정보에 관한 보조 정보, 신호 처리(특히, 알려진 신호 패턴의 상관 관계를 통해 위성 신호를 발견하는 것),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른 수단들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된다. 신호 획득은 가시 영역에 있는 위성을 발견하는 것을 의미한다. 추적은 획득된 가시 영역에 있는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적절히 조정하고 획득된 가시 영역에 있는 위성을 지속적으로 좇는 것을 의미한다. 가시 영역에 있는 위성이 일단 획득되고 충분히 추적되면, 위성 신호가 처리되어 위성 신호에 포함되는 항법 데이터, 위치 데이터, 시간 데이터, 및 그 외 다른 데이터가 추출된다. 그리고, 가시 영역에 있는 모든 추적되는 위성들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사용하여 GNSS 수신기의 위치가 계산된다. 물론, GNSS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실제 과정에서, 예컨대, 데이터의 보정 및 조절을 위해 신호 획득, 추적, 및 위치 계산의 세 단계 사이에서 정보를 피드백하는 과정과 같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복잡한 과정들이 더 수행된다.
GNSS 수신기가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휴대용 및/또는 이동식 장치에 구비되는 경우, GNSS 신호의 수신, 신호 처리, 및 위치 계산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는 작동 중 상당히 많은 양의 전력을 소모한다. 특히, 움직이는 자동차 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지역에서 항법이 이루어지는 경우와 같이 위치 정보의 지속적인 갱신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GNSS 기능이 사용되면, 배터리의 소모량은 급격히 증가한다. 더 나아가, GNSS 수신기의 "시야"가 상공의 넓은 영역에 대해 완전히 차단되어 있는 환경에서, 절대 획득될 수 없는 위성을 획득하기 위한 시도 및 추적될 수 없는 위성을 추적하기 위한 시도 때문에 배터리가 낭비된다.
매 밀리암페어(mA)마다 휴대용 장치의 배터리 수명이 줄어들기 때문에, 위 낭비는 사소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절대 완료될 수 없는 작업에 대해 배터리를 소모하는 것은 심각한 낭비이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휴대용 장치에 구비된 GNSS 수신기에서 환경 조건에 의해 차단된 위성을 획득 및/또는 추적하는 데에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또는 장치가 필요하다.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부터 제공받은 시야 가림 정보(Visibility Mask Information)를 이용하여 GNSS 신호의 획득 시간 및 추적 채널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시야 가림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은 휴대용 장치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시야 가림 정보에 기초하여 시야 가림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 작동 방법에서, 시야 가림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휴대용 장치의 현재 위치 및 이동 궤적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 작동 방법에서, 시야 가림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휴대용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요청을 전송한 후,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시야 가림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 작동 방법은 휴대용 장치에 의해 휴대용 장치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획득 및 추적 정보를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전송하는 단계는 휴대용 장치에 의해 휴대용 장치의 현재 위치 및 이동 궤적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획득 및 추적 정보를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이 실시 예에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휴대용 장치의 현재 위치에 따라 전송된 획득 및 추적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 작동 방법에서, 시야 가림 정보는 시야 가림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는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비일시적으로 컴퓨터에 의해 읽히는 프로그램 명령을 기록한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프로그램 명령은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시야 가림 정보에 기초하여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에 대한 시야 가림을 설정하는 단계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단말기는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이동 통신망의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이동 통신망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비일시적으로 컴퓨터에 의해 읽히는 프로그램 명령을 기록한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프로그램 명령은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요청을 전송한 후,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시야 가림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및 제공받은 시야 가림 정보에 기초하여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에 대한 시야 가림을 설정하는 단계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비일시적으로 컴퓨터에 의해 읽히는 프로그램 명령을 기록한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프로그램 명령은 선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정보에 관한 요청을 휴대용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하나 이상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에서 시야 가림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시야 가림 정보를 휴대용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프로그램 명령은 휴대용 장치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획득 및 추적 정보를 휴대용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단계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프로그램 명령은 휴대용 장치의 현재 위치에 따라 제공받은 획득 및 추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이 실시 예에서, 제공받은 획득 및 추적 정보는 휴대용 장치의 현재 위치에 대한 시야 가림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프로그램 명령은 시야 가림 정보에 대응하는 타일에 따라 시야 가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타일 각각은 하나의 지역 내의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고, 시야 가림 정보는 휴대용 장치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타일에 따라 검색될 수 있다. 나아가, 이 실시 예에서, 프로그램 명령은, 타일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정보가 현재 저장되어 있지 않고 타일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정보에 관한 요청이 휴대용 장치로부터 제공된 경우, 타일에 따라 저장될 시야 가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실시 예에서, 타일에 따라 저장될 시야 가림 정보는 타일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정보에 관한 요청을 전송한 휴대용 장치에 의해 제공된 정보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로 시야 가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대응하는 영역에 따라 시야 가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각각 적어도 하나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휴대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복수의 휴대용 장치 각각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비일시적으로 컴퓨터에 의해 읽히는 프로그램 명령을 기록한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이 실시 예에서, 프로그램 명령은 복수의 휴대용 장치 각각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복수의 휴대용 장치 각각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적어도 하나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요청을 전송한 후, 하나 이상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복수의 휴대용 장치 각각의 현재 위치가 포함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및 제공받은 시야 가림 정보에 기초하여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에 대한 시야 가림을 설정하는 단계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시 영역 위성의 신호를 가로막는 환경 조건에 관한 정보가 시간에 따라 추출, 학습, 및/또는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시 영역이 가로막힌 것으로 알려진 또는 가로막혔을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 대한 획득 및 추적의 수행 빈도를 줄일 수 있다. 이로써, GNSS 수신기는 획득 및 추적 방법을 최적화할 수 있고, GNSS 수신기의 전력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 가림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와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이의 정보 전송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b 및 도 4c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와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이의 정보 전송을 변형시킨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야 가림 정보를 탐색하거나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야 가림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특성 및 이하 상세한 설명은 모두 본 발명의 설명 및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사항이다. 즉,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다음 실시 형태들은 단지 본 발명을 완전히 개시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본 발명을 전달하기 위한 설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이 여럿 있는 경우에는, 이들 방법 중 특정한 것 또는 이와 동일성 있는 것 가운데 어떠한 것으로든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함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특정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언급이 있는 경우, 또는 어떤 과정이 특정 단계들을 포함한다는 언급이 있는 경우는, 그 외 다른 요소 또는 다른 단계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특정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개념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나아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한 예시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를 갖는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맥락에 따라 일관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그 의미가 명확히 정의된 경우가 아니라면, 지나치게 이상적이거나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전역 항법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이하 GNSS)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 휴대용 장치의 전력 소모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환경 조건에 의해 가로막힌 가시 영역 위성에 대한 GNSS 자원의 소모를 줄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가시 영역 위성의 신호를 가로막는 환경 조건에 관한 정보가 시간에 따라 추출, 학습, 및/또는 저장될 수 있다. 가시 영역 위성의 신호를 가로막는 환경 조건에 관한 정보는, 예컨대, 3차원 지도나 LiDAR(Laser-based Radar)로부터 장애물 및/또는 장애 지형을 인지하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직접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는, 가시 영역 위성의 신호를 가로막는 환경 조건에 관한 정보는 특정 지역을 지나가는 한 명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저장하고, 예컨대, 상공의 하나 이상의 구역에 획득 및 추적된 가시 영역 위성이 없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간접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가시 영역 위성의 신호를 가로막는 환경 조건에 관한 정보는 휴대용 장치 내부 또는 네트워크상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휴대용 장치는 가시 영역 위성의 신호를 가로막는 환경 조건에 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가시 영역이 가로막힌 것으로 알려진 또는 가로막혔을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 대한 획득 및 추적의 수행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시야 가림(Visibility Mask)에 관한 정보는 가시 영역이 가로막힌 것으로 알려진 또는 가로막혔을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 대한 획득 및/또는 추적에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한 주요 수단이다. 시야 가림은 GNSS의 기능으로부터 상공의 일부분을 "가리기 위한 수단"이다. 즉, 상공의 가려진 일부분에 가시 영역 위성이 위치해 있다는 내용의 다른 정보가 있더라도, GNSS 수신기는 상공의 가려진 일부분에 위치한 가시 영역 위성의 신호를 획득 및/또는 추적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GNSS 수신기는 지평선으로부터 고도각 10°의 고도까지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 시야 가림을 적용하여 그 영역에 위치한 가시 영역 위성의 획득 및 추적을 수행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지평선으로부터 고도각 10°의 고도까지에 대응하는 영역의 시야는 일반적으로 지형 또는 인공 구조물에 의해 가로막히기 때문이다. 시야 가림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도 3a 내지 도 3f에 대한 설명에서 더 언급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이 가질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휴대용 장치(100)는, 예컨대, 자동차와 같이 움직이는 수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장치로서, 예컨대, 이동식 단말기, 카메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노트북 컴퓨터, 랩톱 컴퓨터, 휴대용 항법 기기, 또는 항법 기기 등의 어떠한 장치든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120)의 기능은 휴대용 장치(100)에 포함되는 부분과 휴대용 장치(100)의 외부에 놓이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장치(100)는 수신기/송수신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송수신기(110)는 GNSS 수신기, 셀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 송수신기, IEEE 802.11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송수신기와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송수신기, IEEE 802.3(이더넷, Ethernet)과 같은 LAN(Local Area Network) 송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송수신기(110)는 각각 별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수신기/송수신기(110) 각각은 안테나나 수신 체인과 같은 구성 요소를 공유할 수 있다. 물론, 수신기/송수신기(110)는 위에 언급된 것 외에 다른 종류의 수신기 또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것과 같이, 프로세서의 수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구현되는 휴대용 장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로서, 이동식 단말기는 랩톱 컴퓨터보다 적은 수의 더 또는 덜 특성화된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에 관하여 이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몇몇 기능들은 이동식 단말기보다 랩톱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프로세서에 더 적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실시 예에 따라, 수신기/송수신기(110)와 같은 구성 요소는 하드웨어 형태의 독립적인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그 독립적인 컨트롤러의 직접적인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반면, 별개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이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분석 및 처리의 대부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장치(100)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모듈(120)의 일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와 중첩되어 있고,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모듈(120)의 다른 일부는 휴대용 장치(100)의 외부로 확장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와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모듈(120)이 중첩되는 부분은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모듈(120)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휴대용 장치(100) 내부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와 중첩되지 않은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모듈(120)의 다른 부분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사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다소 지엽적인 것이다.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모듈(1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 가림 정보에 대한 접근, 시야 가림 정보의 분석 및 저장을 제어하고 구동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시야 가림 정보는 특정 위치에 놓여 있거나 특정 지역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GNSS 수신기에 적합한 전체 및/또는 부분 시야 가림, GNSS 수신기가 특정 위치에 놓여 있거나 특정 지역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시 영역 위성을 획득/추적할 수 있는 가능성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특정 위치에 놓여 있거나 특정 지역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GNSS 수신기에 대한 시야가 가로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는 상공의 영역에 관하여 하나 이상의 정보원(예컨대, 맵핑(Mapping) 데이터, 조사 데이터, 지형 데이터 등)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위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따라,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모듈(120)은 시야 가림 정보에 접근하고, 시야 가림 정보를 저장, 분석, 또는 이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시야 가림 정보는 휴대용 장치(100), 연결 가능한 데이터 저장 유닛, 로컬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및/또는 네트워크상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에 저장될 수 있다.
휴대용 장치(100)에 저장된 시야 가림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중앙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부터 다운로드 되거나, 중앙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휴대용 장치(100)는 가장 최근에 필요했던 시야 가림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다. 거의 모든 시야 가림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장치(100)로 정보를 전송하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부터 전달되고,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여러 개의 중앙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시야 가림 정보의 일부를 캐싱(Caching)하기 위한 중간의 로컬 서버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로컬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는, 예컨대, 단독으로 수행되는 서비스 형태 및/또는 하나 이상의 맵핑, 항법, 및/또는 GNSS 서비스로 증강되는 로컬 서비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장치(100)가 특정 위치에 놓여 있거나 특정 지역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모듈(120)은 가시 영역 위성의 획득 및/또는 추적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기록된 데이터는 가시 영역 위성이 거의 발견되지 않은 상공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식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장치(100)로부터 제공되거나 휴대용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미가공 획득/추적 데이터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모듈(120)에 의해 저장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에 의해 처리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기록된 데이터의 저장 및 분석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로서, 일 실시 예에서, 휴대용 장치(100)는 직접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용 장치(100)는 정확도가 계속 향상되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프로파일(Profile)을 제공할 수 있다.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프로파일은 휴대용 장치(100), 연결 가능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 유닛, 및/또는 연결 가능하지만 휴대용 장치(100)의 사용자가 가장 자주 머무르는 장소에 거의 장착되어 사용되는 데이터 저장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프로파일은 사용자의 집에 있는 저장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기록된 데이터는 인터넷 및/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집에 있는 저장 유닛으로 계속 전송되거나 주기적으로, 예컨대, 휴대용 장치(100)가 사용자의 집에 설치된 WLAN을 통해 저장 유닛으로 연결될 수 있을 때마다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모듈(120)은 많은 사용자 사이에서 공유되는 지역적인 또는 네트워크상의 서비스의 일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업로드 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휴대용 장치(100)가 특정 위치에 놓여 있거나 특정 지역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시 영역 위성의 획득 및/또는 추적에 관한 데이터가 많은 휴대용 장치(100)들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같은 위치에 놓여 있거나 같은 지역에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다른 휴대용 장치로 시야 가림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모듈(120)에 관하여 언급된 기능에 하드웨어 요소가 관여될 수 있겠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듯이, 언급된 기능은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의 구현에 따라 다른 기능과 결합되거나 부(Sub) 기능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단말기(200A, 200B, 200C)를 각각 포함하는 시스템(2000A, 2000B, 2000C)이 가질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휴대용 장치(100)와 같이, 이동식 단말기(200A, 200B, 200C) 각각은 GNSS 기능을 갖는 장치로서, 예컨대, 휴대 전화기, 카메라, 멀티미디어 재생기, 노트북 컴퓨터, 랩톱 컴퓨터, 휴대용 항법 기기, 또는 개인용 전자 기기 등의 어떠한 장치든 될 수 있다. 도 2a에서, 이동식 단말기(200A)를 포함하는 시스템(2000A)은 네트워크 기반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2000A)은 이동식 단말기(200A)의 현재 위치 및/또는 이동 경로의 파악을 위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시야 가림 정보를 이동식 단말기(200A)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b에서, 이동식 단말기(200B)는 시야 가림 정보를 저장하고, 현재 위치 및/또는 이동 경로의 파악을 위해 장치 내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시야 가림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야 가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들 및 이동식 단말기(200C)의 데이터 업로드/다운로드를 위한 통신 연결을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각각의 실시 예에서, 다른 위치 및/또는 이동 경로에서 비교적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획득 및/또는 추적에 관하여 이동식 단말기(200A, 200B, 200C)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는 다른 위치 및/또는 이동 경로에 대한 시야 가림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저장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이동식 단말기(200A)를 나타낸다. 도 2a의 이동식 단말기(200A)를 위한 통신 수단으로서 GNSS 수신기(210) 및 셀 송수신기(212)의 두 가지 통신 수단이 나타나 있으나, 이동식 단말기(200A)는 더 많은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GNSS 수신기(210)는 안테나(201)를 통해, 예컨대, GPS, Galileo, GLONASS, 및/또는 COMPASS 등의 GNSS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GNSS 위성(211)으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셀 송수신기(212)는, 예컨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널리 알려진 다양한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표준과 같은 하나 이상의 이동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안테나(202)를 통해 하나 이상의 셀 중계 기지(213)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GNSS 수신기(210) 및 셀 송수신기(212)는 별개의 안테나 및 수신 체인을 가질 수도 있고, 안테나나 신호 수신 및/또는 처리를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공유할 수도 있다.
셀 중계 기지(213)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250)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250)는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 셀 중계 기지(213)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250)를 통해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와 연결될 수 있다. 위 연결들이 이루어지면, 이동식 단말기(200A)는 셀 중계 기지(213)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로 데이터를 업로드 하거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동식 단말기(200A)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의 수, 형태, 위치 등은 이동식 단말기(200A)의 구현, 이동식 단말기(200A)가 휴대 전화기인지 노트북 컴퓨터인지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30)는 GNSS 수신기(210) 및 셀 송수신기(212)와 단방향 및/또는 양방향으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이동식 단말기(200A)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30)에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220)가 실행될 수 있다.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220)는 셀 중계 기지(213)를 통해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로 시야 가림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시야 가림 정보는 이동식 단말기(200A)의 현재 위치 및/또는 특정 지역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이동 경로에 관한 것이다.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220)는 다른 위치 및/또는 이동 경로에서 비교적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획득 및/또는 추적에 관한 데이터를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로 업로드 할 수 있다.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는 이동식 단말기(200A) 및 다른 휴대용 장치로부터 업로드 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 및/또는 이동 경로에 대한 시야 가림 정보를 계속하여 갱신 및 개선할 수 있다. 도 2a에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가 단일 개체로 나타나 있지만, 대부분의 실시 예에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의 기능은 복수의 소프트웨어 요소 및/또는 직접 연결되거나 하나 이상의 개인용/공용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는 하드웨어 요소로 분배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용 장치의 요청을 처리하는 것과 휴대용 장치로 시야 가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반면, 휴대용 장치에서 업로드 된 획득/추적 데이터를 제공받고 처리하는 것은 또 다른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시야 가림 정보 및 업로드 된 획득/추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 군 및/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Cloud Storage) 형태의 영역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도 2a에서, 모든 시야 가림 정보 및 획득/추적 데이터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에서 다운로드 되거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로 업로드 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많은 이동식 단말기(200A)가 시야 가림 정보를 공유 및 이용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2b의 이동식 단말기(200B)는 자기 고유의 시야 가림 정보 및 획득/추적 데이터를 저장 및 사용할 수 있다.
도 2b에서, 이동식 단말기(200B)는 장치 내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내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24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및 이동식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다른 저장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내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240)는 다른 종류의 데이터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는 것 외에도, 이동식 단말기(200B)의 복수의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로 분배될 수도 있다.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220) 및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장치 내부 서버(221B)의 적어도 한 부분은 이동식 단말기(200B)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3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와 유사하게,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장치 내부 서버(221B)는 이동식 단말기(200B)의 현재 위치 및/또는 이동 경로를 위한 시야 가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장치 내부 서버(221B)는 이동식 단말기(200B)의 현재 위치 및/또는 이동 경로에서 비교적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획득 및/또는 추적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색인(Index)을 만들 수 있다. 도 2b에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220)는 이동식 단말기(200B)의 현재 위치 및/또는 이동 경로에서 비교적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획득 및/또는 추적에 관한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 지시, 또는 구현할 수 있다.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장치 내부 서버(221B)를 통해 저장되는 기록된 데이터는 시간에 따라 시야 가림 정보를 조정/수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야 가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들 및 이동식 단말기(200C)의 데이터 업로드/다운로드를 위한 통신 연결을 나타낸다. 도 2c의 실시 예는 도 2a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 및 도 2b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장치 내부 서버(221B)의 수정된 형태를 포함한다.
이동식 단말기(200C)는 GNSS 수신기(210)와 셀 송수신기(212)에 더하여 WLAN 송수신기(214) 및 LAN 모듈(216)을 포함할 수 있다. WLAN 송수신기(214)는 IEEE 802.11 표준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WLAN 중계 기지(215)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LAN 모듈(216)은 IEEE 802.3과 같은 LAN 표준을 이용할 수 있는 LAN(217)에 연결되어 있을 때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동식 단말기(200C)는 도 2c에 나타낸 것 외의 다른 통신 수단 및/또는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단말기(200C)는 두 개의 물리적 연결부(261, 26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61)는 LAN(217)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연결부(263)는 장치 내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240)로의 데이터 업로드 및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240)로부터의 데이터 다운로드를 위한 거의 직접적인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연결부(263)는, 예컨대, 데스크톱 컴퓨터에서 분리 가능한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부(263)는 도 2c의 장치 외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245)와의 분리 가능한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장치 외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245)는 어떤 유형의 휴대용 메모리든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를 활용하는 실시 예에 있어서, 장치 내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획득/추적 데이터는 장치 외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245)로 업로드 될 수 있고, 장치 외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245)에 저장된 시야 가림 정보는 장치 내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240)로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장치 외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245)는 이동식 단말기(200C)를 위한 실시간 접근 및 저장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식 단말기(200C)에 연결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장치 외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245)가 단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실시 예에서, 장치 외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245)는 연결부(265)를 통해 LAN(217), 데스크톱 컴퓨터, 및/또는 다른 데이터 소스와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소스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도 2c에서, LAN(217)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250)를 통해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WLAN/LAN 서버(223) 및/또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연결부(261)는 이동식 단말기(200C)를 LAN(217)으로 직접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로써 데이터의 업로드 및/또는 다운로드를 위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WLAN/LAN 서버(223) 및/또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220) 및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장치 내부/연결 가능 서버(221C)의 적어도 한 부분은 이동식 단말기(200C)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30)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2b와 유사하게,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장치 내부/연결 가능 서버(221C)는 시야 가림 정보를 제공하고 획득/추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런데,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장치 내부/연결 가능 서버(221C)는 다른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시야 가림 정보를 다운로드 하거나 다른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로 획득/추적 데이터를 업로드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c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장치 내부/연결 가능 서버(221C)는 외부의 하나 이상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시야 가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획득/추적 데이터를 외부의 하나 이상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로 주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상당히 많은 양의 데이터가, 예컨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하나 이상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계속 제공되는 동안,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장치 내부/연결 가능 서버(221C)는 기본적으로 로컬 캐시(Cache) 메모리로 작동할 수 있다.
도 2c는 다양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 통신 연결, 및 이동식 단말기(200C)를 포함하는 시스템(2000C)을 나타낸다.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셀/WAN 서버(225),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WLAN/LAN 서버(223), 및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장치 내부/연결 가능 서버(221C)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일부 또는 전부는 계속되는 데이터 분석, 업로드, 다운로드, 저장, 및 캐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셀/WAN 서버(225)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WLAN/LAN 서버(223)와 함께 작동하거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WLAN/LAN 서버(223)에 포함될 수 있다. 이동 통신망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실시 예에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셀/WAN 서버(225)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특정 위치 및/또는 특정 이동 경로에 관한 획득/추적 데이터가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WLAN/LAN 서버(223)로 업로드 되고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동안, 이동식 단말기(200C)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셀/WAN 서버(225)로부터 시야 가림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때,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227)는 갱신된 시야 가림 정보를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셀/WAN 서버(225)로 제공하는 데에 필요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같이, 도 2c의 통신 연결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2c의 통신 연결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 가림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 내지 도 3f는 극 좌표를 이용하여 GNSS 수신기 위의 상공을 표현한 평면도이다. 도 3a에서, 원형 평면(300)의 둘레는 지평선(305)을 나타내고, 원형 평면(300)의 중심은 GNSS 수신기 바로 위의 상공인 천정(Zenith, 310)을 나타낸다. 지평선(305)부터 천정(310)은 고도각 0°부터 90°에 대응한다. 도 3a의 "X" 표시는 가시 영역 위성(321, 323, 325, 327, 329)을 나타낸다. 도 3a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원은 시야 가림(330)을 나타낸다. 시야 가림(330)은 약 10°의 고도각 위치에 대응한다. 즉, 지평선(305)과 10°의 고도각 사이에 위치하는 모든 것들은 시야에서 가로막힌 것으로 본다. 시야 가림(330)에 의해 가로막힌 영역에 있는 가시 영역 위성에 대한 획득 및 추적은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3a에서, 가시 영역 위성(329)은 GNSS 수신기에 의해 획득/추적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이동식 단말기로 제공된 시야 가림 정보는 시야 가림 각도나 그 외 다른 시야 가림 차원, 및/또는 미리 설정된 시야 가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된 시야 가림 정보는 단순히 증가된 시야 가림 각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반적인 시야 가림 각도는 10°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획득/추적 데이터 및/또는 다른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3b에 나타낸 고도각 35°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330B)이 이동식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또는 이동 경로에 더 적합하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동식 단말기에 포함되는 GNSS의 구성 요소는 도 3b에 나타낸 시야 가림(330B)을 이용하여 고도각 35° 아래의 가시 영역 위성에 대한 획득/추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이동식 단말기로 제공된 시야 가림 정보는 이동식 단말기의 현재 이동 경로에 관한 시야 가림의 형태를 지시할 수 있다. 예로서, 이동식 단말기가 도 3c에 나타낸 이동 궤적(340)을 갖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시야 가림 정보는 시야 가림(330C)이 이용되어야 함을 지시할 수 있다. 시야 가림(330C)은 이동식 단말기의 사용자가 도시의 거리를 걷고 있어서(사용자의 이동 방향이 어느 쪽인지는 무관) 사용자 양측의 상공은 대부분 가로막혀 있지만 사용자의 앞과 뒤는 가로막혀 있지 않은 경우에 적합할 수 있다.
도 3d는 이동 궤적(340)을 따르는 방향(AT) 또는 이동 궤적(340)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CT)으로 상공의 영역을 다루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3d에서, 시야 가림(330D)은 상공의 영역이 이동 궤적(340)을 따르는 방향(AT)인지 또는 이동 궤적(340)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CT)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다른 고도를 가질 수 있다.
도 3e 및 도 3f는 사용자가 거의 일정한 영역에 위치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 궤적/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시야 가림 각도를 갖는 시야 가림을 다루는 방법을 나타낸다. GNSS 수신기가 특정 영역에 있는 동안 이동 궤적(340E)을 검출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시야 가림(330E)을 제공(더 정확히는, 시야 가림(330E)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각도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GNSS 수신기가 같은 특정 영역에 있는 동안 이동 궤적(340F)을 검출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시야 가림(330F)을 제공(더 정확히는, 시야 가림(330F)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각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 예는 GNSS 수신기가 이동하고 있는 거리(예컨대, 도시의 격자 구획)의 추정에 기초를 둔다. 다시 말해, GNSS 수신기의 정확한 위치를 반드시 검출할 필요가 없고, 특정 영역에서 GNSS 수신기가 이동하는 방향에 의해 GNSS 수신기가 위치한 경로/도로가 지시된다. 예컨대, GNSS 수신기가 뉴욕 시의 북쪽과 남쪽을 잇는 매디슨 거리, 그리고 동쪽과 서쪽을 잇는 44번 길의 영역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매디슨 거리에서 북쪽을 향하는 경우에 대한 시야 가림 정보를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c 내지 도 3f의 실시 예에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는 이동 궤적을 따르는 방향과 이동 궤적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시야 가림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도 3c 내지 도 3f의 실시 예에서, GNSS 수신기는 획득 및 추적 방법을 최적화할 수 있고, GNSS 수신기의 전력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한 거리에서 다른 거리로 회전하는 경우와 같이 신호의 가용성에 영향을 주는 갑작스러운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새로운 이동 궤적과 같은 새로운 조건에 특정된 시야 가림 정보가 GNSS 수신기로 제공되고 GNSS 수신기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새로운 조건에 특정된 시야 가림 정보는 GNSS 수신기가 특정 가시 영역 위성에 대한 획득 및/또는 추적 채널을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한 최적의 시간/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와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이의 정보 전송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b 및 도 4c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와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이의 정보 전송을 변형시킨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a에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420A)는 휴대 전화기(400A)에서 실행될 수 있다.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427A)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420A)와 연결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420A)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427A)로 보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보조 정보는 휴대 전화기(400A)의 현재 위치 및/또는 특정 지역에서의 특정 방향으로의 이동 경로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시야 가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예는 보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준비를 미리 하고 있는 증강된 GNSS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427A)는 요청에 응답하여 시야 가림 정보를 포함하는 보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될 것과 같이, 이 실시 예에서 제공되는 시야 가림 정보는 타일(Tile) 기록 데이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타일 레코드 데이터는 이동 궤적을 따르는 방향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각도 및 이동 궤적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420A)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427A)에 저장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것과 같이,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와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는 정보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도 4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이동식 단말기(400B)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420B)는 이동식 단말기(400B)의 대략적인 위치를 판단하고, 결정된 위치와 지원 요청을 지원 서버(427B)로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지원 서버(427B)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같이 작동할 수 있다. 지원 서버(427B)는 이동식 단말기(400B)의 대략적인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타일 레코드 데이터베이스(429B)에서 적절한 타일 레코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지원 서버(427B)는 검색된 타일 레코드 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이동식 단말기(400B)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4c에 나타난 것과 같이, 지원 서버(427C)는 지원 요청을 받은 후, 이동식 단말기(400C)가 위치한 셀의 식별자(Identifier)나 WiFi 위치 정보와 같은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식 단말기(400C)의 대략적인 위치를 직접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보여준다.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500)는 복수의 타일 레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타일 레코드는 지역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타일은 경계로 구분되는 지리적 구역이고, 타일 레코드는 시야 가림 정보(예컨대, 대응하는 타일에 관한 이동 궤적을 따르는 방향에 대한 시야 가림 각도나 이동 궤적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시야 가림 각도)를 포함하여 대응하는 타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지역은 지리적 구역에 관한 타일 레코드들의 집합이다. 그리고, 이 실시 예에서, 하나의 지도는 더 큰 지리적 구역에 관한 지역들의 집합이다. 이동식 단말기의 이동에 관하여 "이동 궤적을 따르는 방향"과 "이동 궤적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이 정의되었는데,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500)의 타일 레코드에 저장된 이동 궤적 기반의 시야 가림 각도 데이터는 하나의 완전한 참조 구획과 연관되어야 한다.
예컨대,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500)의 타일 레코드는 동쪽에서 서쪽으로의 궤적에 관한 시야 가림 각도 데이터 및 북쪽에서 남쪽으로의 궤적에 관한 시야 가림 각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를 내장하는 이동식 단말기가 주어진 타일의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가 보내 오면,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500)에서 적절한 타일 레코드를 검색하고, 이동 궤적을 따르는 방향의 시야 가림 정보로서 동쪽에서 서쪽으로의 궤적에 관한 시야 가림 각도 데이터를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이동 궤적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시야 가림 정보로서 북쪽에서 남쪽으로의 궤적에 관한 시야 가림 각도 데이터를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것이다. 다른 실시 예로서, 각각의 타일 레코드는 더 많은 이동 궤적 눈금(즉, 일반적인 동, 서, 남, 북이 아닌 더 많은 방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타일 레코드에 저장된 이동 궤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식 단말기의 특정 이동 궤적에 대한 데이터를 채워 넣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야 가림 정보를 탐색하거나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S210 단계에서, GNSS 수신기에 관한 현재 정보(예컨대, 위치, 위치 불확실성, 이동 방향/궤적, 가시 영역 위성 고도 등)가 추출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데이터베이스(600)에서 GNSS 수신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이 탐색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대응하는 지역이 발견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대응하는 지역이 발견된 경우, S240 단계에서, S220 단계에서 발견된 대응하는 지역 내에서 GNSS 수신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타일 레코드가 탐색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지역은 구분에 적합하도록 미리 선택된 지리적 구역에 대응하는 타일 레코드의 미리 설정된 선택이다.
S250 단계에서, 발견된 대응하는 지역 내에 GNSS 수신기의 위치에 대한 타일 레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타일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S260 단계에서 새로운 타일 레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S260 단계에서 새로운 타일 레코드가 생성되거나 S250 단계에서 타일 레코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S270 단계에서, 새로운 시야 가림 각도의 값과 같은 새로운 시야 가림 정보를 이용하여 타일 레코드가 갱신될 수 있다. S270 단계의 갱신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에 대한 설명과 함께 언급된다. S270 단계의 갱신 후, S280 단계에서, 타일 레코드가 반환되고 반환된 타일 레코드의 타일에 대한 시야 가림 정보(예컨대, 하나 이상의 시야 가림 각도)가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로 전송될 수 있다. 타일 레코드가 반환되거나 S230 단계에서 대응하는 지역이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 6의 방법은 종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야 가림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S310 단계에서, 현재 추적되고 있는 가시 영역 위성의 목록이 생성될 수 있다. S320 단계에서, 각각의 가시 영역 위성에 관한 시야 각(고도 각 및 방위(Azimuth) 각)의 방향이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GNSS 수신기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타일 레코드를 이용하여, 증가된 방위 범위 내에서 새롭게 제공된 시야 각의 방향이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시야 각의 방향보다 낮은 고도를 갖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증가된 방위 범위는 방위 구역으로서, 도 3a 내지 도 3f에 나타낸 것처럼, 섹터(Sector), 부채꼴 영역, 또는 방위 면(Azimuth Plane) 내의 다른 단위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새롭게 제공된 시야 각의 방향이 더 낮은 고도를 갖는 경우, S340 단계에서, 증가된 방위 범위의 고도 각은 새롭게 제공된 고도 각을 이용하여 갱신될 수 있다. 위 과정은 새롭게 제공된 시야 각의 방향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가시 영역 위성 각각에 대해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S350 단계 참조). 위 과정은 모든 시야 각의 방향의 데이터가 처리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블록도에 도시된 장치 구성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블록은 기능에 따라 더 작은 단위의 블록들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블록들은 기능에 따라 더 큰 단위의 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블록도에 도시된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이 설명되었다. 다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특성상,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면서도 위 실시 예들과 다른 형태로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설명적인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면서 본 발명과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또는 변형된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이 청구하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위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휴대용 장치 110 : 수신기/송수신기
120 :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모듈 130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200A, 200B, 200C : 이동식 단말기 201, 202, 204 : 안테나
210 : GNSS 수신기 211 : GNSS 위성
212 : 셀 송수신기 213 : 셀 중계 기지
214 : WLAN 송수신기 215 : WLAN 중계 기지
216 : LAN 모듈 217 : LAN
220 :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
221B :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장치 내부 서버
221C :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장치 내부/연결 가능 서버
223 :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WLAN/LAN 서버
225 :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셀/WAN 서버
227 :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
230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240 : 장치 내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
245 : 장치 외부 메모리/데이터 스토리지
250 :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261, 263, 265 : 연결부
300 : 원형 평면 305 : 지평선
310 : 천정
321, 323, 325, 327, 329 : 가시 영역 위성
330, 330B, 330C, 330D, 330E, 330F : 시야 가림
340, 340E, 340F : 이동 궤적
400A : 휴대 전화기 400B, 400C : 이동식 단말기
420A, 420B, 420C :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
427A :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
427B, 427C : 지원 서버 429B : 타일 레코드 데이터베이스
500 :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1000 : 휴대용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2000A, 2000B, 2000C : 이동식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Claims (10)

  1. 시야 가림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를 수신하는 휴대용 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장치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시야 가림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장치의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검색된 시야 가림 정보에 기초하여 시야 가림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야 가림에 의해서 가로막히지 않은 것으로 가리켜진 상공의 일부분에만 상기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의 획득 및 추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의 작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 가림 정보는 상기 휴대용 장치의 이동 궤적에도 대응하는 휴대용 장치의 작동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 가림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장치의 상기 현재 위치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시야 가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의 작동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장치에 의해, 상기 휴대용 장치의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획득 및 추적 정보를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의 작동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전송된 획득 및 추적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장치의 작동 방법.
  6. 적어도 하나의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그램 명령을 기록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으로 컴퓨터에 의해 읽히는 매체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프로그램 명령이 수행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휴대용 장치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장치의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검색된 시야 가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에 대한 시야 가림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야 가림에 의해서 가로막히지 않은 것으로 가리켜진 상공의 일부분에만 상기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의 획득 및 추적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장치.
  7. 적어도 하나의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이동 통신망의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이동 통신망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그램 명령을 기록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으로 컴퓨터에 의해 읽히는 매체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프로그램 명령이 수행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시야 가림 정보에 대한 요청은 이동식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시야 가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식 단말기의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수신된 시야 가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에 대한 시야 가림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야 가림에 의해서 가로막히지 않은 것으로 가리켜진 상공의 일부분에만 상기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의 획득 및 추적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이동식 단말기.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그램 명령을 기록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으로 컴퓨터에 의해 읽히는 매체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프로그램 명령이 수행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시야 가림 정보에 관한 요청을 휴대용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시야 가림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시야 가림 정보를 상기 휴대용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휴대용 장치는:
    상기 전송된 시야 가림 정보에 기초하여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에 대한 시야 가림을 설정하고,
    상기 시야 가림에 의해서 가로막히지 않은 것으로 가리켜진 상공의 일부분에만 상기 위성 항법 시스템 신호의 획득 및 추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시야 가림 정보에 대응하는 타일에 따라 상기 시야 가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타일 각각은 하나의 지역 내의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시야 가림 정보는 상기 휴대용 장치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타일에 따라 검색되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타일에 대응하는 상기 시야 가림 정보가 현재 저장되어 있지 않고 상기 타일에 대응하는 상기 시야 가림 정보에 관한 요청이 상기 휴대용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타일에 따라 저장될 상기 시야 가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시야 가림 데이터베이스 서버.
KR1020140092778A 2013-07-25 2014-07-22 시야 가림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장치, 이동식 단말기,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시스템, 그리고 휴대용 장치의 작동 방법 KR102239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58281P 2013-07-25 2013-07-25
US61/858,281 2013-07-25
US14/071,242 2013-11-04
US14/071,242 US9262487B2 (en) 2013-07-25 2013-11-04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ed acquisition and tracking in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receiv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042A KR20150013042A (ko) 2015-02-04
KR102239031B1 true KR102239031B1 (ko) 2021-04-12

Family

ID=5239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778A KR102239031B1 (ko) 2013-07-25 2014-07-22 시야 가림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장치, 이동식 단말기,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시스템, 그리고 휴대용 장치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62487B2 (ko)
KR (1) KR102239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1328B (zh) * 2015-05-04 2018-11-16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US9804270B2 (en) * 2015-08-31 2017-10-31 Qualcomm Incorporated Sensor-based GNSS view zone selection
EP3344514B1 (en) 2015-09-04 2020-11-11 Gatekeeper Systems, Inc. Estimating motion of wheeled carts
US10232869B2 (en) 2017-03-08 2019-03-19 Gatekeeper Systems, Inc. Navigation systems for wheeled carts
US11423623B2 (en) 2020-06-10 2022-08-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ojecting virtual presences along a moving trajecto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9332A1 (en) * 2008-09-26 2010-04-01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database information for urban navigation
US20110057833A1 (en) * 2009-01-14 2011-03-10 Peter France Selecting raw measurements for use in position compu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7621A (en) * 1991-10-28 2000-12-05 Teledesic Llc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S5736959A (en) * 1991-10-28 1998-04-07 Teledesic Corporation Earth-fixed cell beam management for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sing dielectic lens-focused scanning beam antennas
AU3176893A (en) * 1991-11-08 1993-06-07 Calling Communications Corporation Beam compensation methods for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S5587715A (en) * 1993-03-19 1996-12-24 Gps Mobi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 moving object
US6147644A (en) * 1996-12-30 2000-11-14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Autonomous geolocation and messag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6157896A (en) * 1996-12-30 2000-12-05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Geolocation communications method during visibility between an earth-orbit satellite and a transmitter and receiver
US6850732B2 (en) * 2001-03-30 2005-02-01 Wengen Wireless Llc Scalable satellite data communication system that provides incremental global broadband service using earth-fixed cells
US6647340B1 (en) * 2002-03-13 2003-11-11 Garmin Ltd. Space based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ionospheric bounding data to determine geographical correction source
US6580390B1 (en) * 2002-05-30 2003-06-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lobal positioning system mask angle optimization
US7825855B1 (en) * 2004-02-20 2010-11-02 Andrew Llc Assisted global positioning system location determination
FR2880693B1 (fr) * 2005-01-11 2007-06-29 Pole Star Sarl Procede et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US7362265B2 (en) * 2005-04-12 2008-04-22 Magellan Systems Japan Inc. Process for accurate location determination in GPS positioning system
US7991362B2 (en) * 2005-07-20 2011-08-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iming and/or frequency correc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120528B2 (en) * 2008-05-14 2012-02-21 Thomas Ronald Tessier Apparatus for satellite telecommunications
US8217832B2 (en) * 2009-09-23 2012-07-10 Andrew, Llc Enhancing location accuracy using multiple satellite measurements based on environment
US8645060B2 (en) * 2010-09-07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network availability and reliability based routing
US9116231B2 (en) * 2011-03-11 2015-08-25 Trimble Navigation Limited Indicating quality of GNSS position fixes
US9121937B2 (en) * 2011-12-29 2015-09-0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within the constraints of an indoor facility
EP2972481A1 (en) * 2013-03-15 2016-01-20 Nextnav,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time synchroniz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9332A1 (en) * 2008-09-26 2010-04-01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database information for urban navigation
US20110057833A1 (en) * 2009-01-14 2011-03-10 Peter France Selecting raw measurements for use in position compu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62487B2 (en) 2016-02-16
KR20150013042A (ko) 2015-02-04
US20150032371A1 (en)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0371B (zh) 给移动站的位置估计辅助信息
US9140776B2 (en) Assisted positioning systems
KR101553493B1 (ko) 예상되는 루트에 기초한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무선 송신기 알마낙 정보 제공
KR102239031B1 (ko) 시야 가림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장치, 이동식 단말기,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시스템, 그리고 휴대용 장치의 작동 방법
US201102013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hysical map-assisted wireless access point locating
US8700049B2 (en) System and/or method for reducing initial position uncertainty in SPS operation
US88182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location for a RF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its proximity to a mobile device
US83507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pagating GNSS assistance data among communication devices in a GNSS group
US106981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assistance with personal area network devices
JP5572713B2 (ja) 疎なネットワークアルマナック
US90205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uploading of location data for location based services
US20220256631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switch between wireless networks
US20220357464A1 (en) Determining position information of mobile devices
US11818626B2 (en) Precise positioning services with an Internet of Things network
US20220046383A1 (en) Validating and using map data for positioning
KR102452605B1 (ko)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 수신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것의 적응형 통합적 위치판별 방법
WO2022173715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switch between wireless networks
CN116888907A (zh) 用于在无线网络之间进行切换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