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874B1 -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 - Google Patents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874B1
KR102238874B1 KR1020200085979A KR20200085979A KR102238874B1 KR 102238874 B1 KR102238874 B1 KR 102238874B1 KR 1020200085979 A KR1020200085979 A KR 1020200085979A KR 20200085979 A KR20200085979 A KR 20200085979A KR 102238874 B1 KR102238874 B1 KR 102238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underground transmission
cable
support body
jun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경옥
Original Assignee
황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경옥 filed Critical 황경옥
Priority to KR102020008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 전력구 내 지중송전케이블을 포설함과 더불어 케이블간 또는 케이블과 전력보호기기간 연결 접속을 실시하여 지중송전라인을 구축하기 위한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있어서, (A) 지하 전력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지하 전력구 내에 전력 송전에 사용하기 위한 지중송전케이블을 포설하는 단계; (C) 상기 지하 전력구 내에 포설되는 지중송전케이블을 중간 지점에서 케이블 상호간에 연결 접속하되 중간접속함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단계; (D) 상기 지하 전력구 내에 포설되는 지중송전케이블을 종단 지점에서 케이블과 전력보호기기간에 연결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지중송전케이블을 포설시, 지중송전케이블을 안정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위치 고정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대를 사용하여 시공하며, 상기 지지대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3단 적층형 몸체로 구비 및 2단과 3단에 대해 회동(回動) 가능한 구조로 하여 1단 내지 3단 지지몸체부로 구성하되, 상기 1단 지지몸체부에는 상면에 1개 또는 2개의 케이블을 안착 배치 및 지지하도록 오목형 제1케이블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2단 지지몸체부에는 1단 지지몸체부의 일측단에서 힌지 결합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과 더불어 하면에 제1케이블안착홈에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볼록형 제1케이블가압홈을 형성하고 상면에 1개 또는 2개의 케이블을 안착 배치 및 지지하도록 오목형 제2케이블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3단 지지몸체부에는 2단 지지몸체부의 일측단에 힌지 결합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과 더불어 하면에 제2케이블안착홈에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볼록형 제2케이블가압홈을 형성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송전케이블의 지하 전력구 내 포설 및 시공에 따른 전기공사시 작업 효율성 및 작업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지중송전케이블의 지하 전력구 내 시공시 안전성과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지중송전라인 구축에 따른 절연성 및 안전성을 강화하는 시공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ELECTRIC WORK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POWER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지하 전력구 내에 지중송전라인을 구축하기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송전케이블의 지하 전력구 내 포설 및 시공에 따른 전기공사시 그 효율성 및 작업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지중송전라인 구축에 따른 절연성 및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만들어지는 765∼154㎸의 초고압 전력은 송전철탑을 통하여 각 지역 변전소로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데, 도시지역에서는 도시 미관을 해치고 자연재해에 노출된 송전철탑의 설치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지하 전력구를 통하여 지중송전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송전선로의 지중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지중화는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지중송전 시스템에서는 전력 송전을 위해 지중송전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는데, 동심중성선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차수형 비닐시스 케이블을 비롯하여 다양한 비닐시스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고, 실제 국내에서는 CNCV 케이블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케이블 내부의 절연체로는 가교폴리에틸렌을 재료로 하는 XLPE 케이블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XLPE 케이블은 OF 케이블에 비해 유전체의 손실이 덜 발생하고 절연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시공 및 유지보수 등의 장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OF 케이블 보다 환경오염성이 적은 장점으로 최근에는 XLPE 케이블로 바뀌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지하 전력구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사고, 절연내력 저하, 부품의 노화 또는 자연재해 등에 의하여 지중송전케이블 측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부연하여, 지중송전케이블에서의 부분방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열화 뿐만 아니라 접속함과의 현장 조립과정 및 매설환경 등을 비롯하여 이물질 유입이나 수분 침투 등 아주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도 열화현상이 초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요인 중 지중송전케이블 및 접속함 등지에서 발생되는 부분방전은 초기단계에서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오랜 시간 지속 시 절연성능을 저하시키고 방전전하량이 증가되면서 절연파괴로 이어지며,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최근 도심지의 확대 및 경제발전에 따른 전력수요의 증대로 인해 지중송전선로 시공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는데, 이로 인해 지하 전력구에 수용되어 있는 회선규모 및 운전기간에 따라 지하 전력구 측 내부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송전용량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지중송전케이블의 고장 및 송전 중단에 의한 막대한 피해 및 경제적 손실 등 대형 전력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밖에도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시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존재하는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37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63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988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송전케이블의 지하 전력구 내 포설 및 시공에 따른 전기공사시 그 효율성 및 작업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중송전케이블의 지하 전력구 내 설치시 안전성과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먼지나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함으로써 절연성능의 저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에 비해 지중송전라인 구축에 따른 절연성 및 안정성을 강화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은, (A) 지하 전력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지하 전력구 내에 전력 송전에 사용하기 위한 지중송전케이블을 포설하는 단계; (C) 상기 지하 전력구 내에 포설하는 중에 지중송전케이블을 이음 연결하여 접속하되 중간접속함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단계; (D) 상기 지하 전력구 내에 포설되는 지중송전케이블 측 포설이 끝나는 종단 부분을 전력보호기기에 연결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지중송전케이블을 포설시, 지중송전케이블을 안정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위치 고정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대를 사용하여 시공하며, 상기 지지대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3단 적층형 몸체로 구비 및 2단과 3단에 대해 회동(回動) 가능한 구조로 하여 1단 내지 3단 지지몸체부로 구성하되, 상기 1단 지지몸체부에는 상면에 1개 또는 2개의 케이블을 안착 배치 및 지지하도록 오목형 제1케이블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2단 지지몸체부에는 1단 지지몸체부의 일측단에서 힌지 결합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과 더불어 하면에 제1케이블안착홈에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볼록형 제1케이블가압홈을 형성하고 상면에 1개 또는 2개의 케이블을 안착 배치 및 지지하도록 오목형 제2케이블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3단 지지몸체부에는 2단 지지몸체부의 일측단에 힌지 결합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과 더불어 하면에 제2케이블안착홈에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볼록형 제2케이블가압홈을 형성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1단 지지몸체부의 하면에는 체결홀을 갖는 체결부를 좌우측면을 향해 연장 형성하여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1단 지지몸체부와 2단 지지몸체부의 서로 마주하는 타단부를 비롯하여 상기 2단 지지몸체부와 3단 지지몸체부의 서로 마주하는 타단부에는 각각 자성체를 고정 배치하여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보유 및 지중송전케이블을 지지하도록 구비하며, 상기 2단 지지몸체부와 3단 지지몸체부 각각의 타측면 상에는 손잡이부를 고정 배치하여 지지대의 용이한 사용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지중송전케이블을 포설시, 상기 지지대의 안착 배치 및 전후(前後)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부재로서 지하 전력구 측 바닥면 또는 벽면에 체결 고정된 행거에 체결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를 서포트함과 더불어 이동성을 부여하는 받침대를 함께 사용하여 시공하며, 상기 받침대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간격 배치 및 평형 배열되고, 상면에 숯형 레일 구조를 갖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연결하여주는 연결부; 상기 레일부 상에 레일 결합되어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면에 암형 레일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대를 삽입 끼움하여 안착 배치 및 고정 지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대결합부; 상기 받침대를 지하 전력구 측 바닥면 또는 벽면에 체결 고정된 행거에 체결 고정하기 위해 레일부 측에 돌출 형성시킨 체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중간접속함에 대해 제1보통접속함과 제2보통접속함을 단위구간으로 하는 보통접속함 및, 상기 단위구간을 형성하는 제1보통접속함과 제2보통접속함 사이에 삽입 연결되는 절연접속함을 사용하여 지중송전케이블간 연결 접속을 수행하며, 상기 제1보통접속함과 제1보통접속함에 대해 일정거리 간격 배치하여 단위구간으로 구비하되 각각 A상, B상, C상을 갖도록 상하 배열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통접속함의 사이에 각 상마다 절연접속함 2개씩을 직렬 연결 형태로 삽입 배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보통접속함은 각각 직접 접지 처리하고, 상기 절연접속함은 크로스본딩 처리하여 접지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중간접속함 측 제1 및 제2 보통접속함과 절연접속함 각각은, 양측단부를 통해 지중송전케이블의 단부가 삽입 배치되고, 내부로 삽입 배치된 지중송전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면에 손잡이가 마련된 이분 몸체로 구비되며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원통보호관; 상기 원통보호관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지중송전케이블 측 도체간을 서로 접속 연결하여주는 도체슬리브; 상기 도체슬리브와 원통보호관의 사이에 개재되어 지중송전케이블을 고정하여주는 기능과 더불어 절연체로서 기능하는 절연층; 상기 원통보호관의 내부 표면 측에 위치되고 절연층과 지중송전케이블을 커버하여 기밀성을 부여하는 절연혼화물층; 상기 이분 몸체로 구비되는 원통보호관의 외면에 위치하여 결속하여주는 결속부재; 상기 원통보호관의 양측단면에 밀착 배치되는 한쌍의 고정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원통보호관의 양측단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에는 연장리브가 삽입 배치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결합홀을 형성함으로써 원통보호관에 고정구를 조립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원통보호관에는 외면 한 개소 이상에 벨마우스를 구비하되, 내부와 연통되게 구비하여 상기 벨마우스를 이용한 충진 작업 및 경화를 통해 절연혼화물층을 형성하도록 시공하며; 상기 절연혼화물층은, 접착 친화성 및 경화성을 제공하기 위한 에폭시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열안정성과 내충격성 및 탄성에 의한 완충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우레탄수지 30~60중량부, 내열성 및 절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알루미나 50~80중량부, 내열성과 절연성 및 접착성을 보강하기 위한 변성실리콘수지 20~4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송전케이블의 지하 전력구 내 포설 및 시공에 따른 전기공사시 작업 효율성 및 작업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지중송전케이블의 지하 전력구 내 전기공사시 안전성과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지중송전라인 시공 및 구축에 따른 절연성 및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접속함 측 먼지나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함으로써 절연성능의 저하를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하 전력구 내 지중송전케이블 측 절연성능의 저하 및 절연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전용량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송전선로의 지중화 및 시공에 따른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공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따라 구축되는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사용되는 지지대 및 받침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사용되는 지지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사용되는 중간접속함을 나타낸 개략적 배치 구성 및 접지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있어 보통접속함 측 케이블 연결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있어 절연접속함 측 케이블 연결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있어 중간접속함 측 원통보호관의 결속에 사용되는 결속부재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하 전력구 내 지중송전케이블을 포설함과 더불어 케이블간 또는 케이블과 전력보호기기간 연결 접속을 실시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중송전라인을 구축하기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 전력구 형성단계(S10), 지중송전케이블 포설단계(S20), 지중송전케이블간 중간 연결단계(S30), 및 지중송전케이블 종단 연결단계(S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하 전력구 형성단계(S10)는 지중에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터널형 구조의 지하 전력구를 형성하는 기초단계이다.
상기 지중송전케이블 포설단계(S20)는 상기 지하 전력구 내에 전력 송전에 사용하기 위한 지중송전케이블을 유입하여 포설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지중송전케이블은 공간 활용성을 위해 지하 전력구 내에 다단으로 배열하여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지중송전케이블 포설단계(S20)에서는 상기 지중송전케이블을 지하 전력구 내에 포설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중송전케이블(10)을 안정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위치 고정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대(100)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대(100)는 3단 적층형 몸체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게 구비할 수 있는 것으로서, 1단 지지몸체부(110)와 2단 지지몸체부(120) 및 3단 지지몸체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이되, 상기 2단 지지몸체부(120)와 3단 지지몸체부(130)에 대해 각각 회동(回動) 가능한 구조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1단 지지몸체부(110)는 상면에 1개 또는 2개의 지중송전케이블(10)을 안착 배치 및 지지하도록 오목형 제1케이블안착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2단 지지몸체부(120)는 상기 1단 지지몸체부(110)의 일측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면에 제1케이블안착홈(111)에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볼록형 제1케이블가압홈(121)이 형성되고, 상면에 1개 또는 2개의 지중송전케이블(10)을 안착 배치 및 지지하도록 오목형 제2케이블안착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3단 지지몸체부(130)는 상기 2단 지지몸체부(120)의 일측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면에 제2케이블안착홈(122)에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볼록형 제2케이블가압홈(13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1단 지지몸체부(110)의 하면에는 체결홀을 갖는 체결부(112)를 좌우 양측면에서 연장시켜 일체로 구비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설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지하 전력구의 바닥면이나 벽면 상에 고정 설치되는 행거 등에 체결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1단 지지몸체부(110)와 2단 지지몸체부(120)의 서로 마주하는 타측면부, 상기 2단 지지몸체부(120)와 3단 지지몸체부(130)의 서로 마주하는 타측면부에는 각각 서로 당김 작용력을 발휘하는 자성체(101)를 상하에 고정 및 대응 배치함으로써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제공함과 더불어 지중송전케이블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2단 지지몸체부(120)와 3단 지지몸체부(130) 각각에는 타측면 상에 손잡이부(123)(132)가 고정 구비되며, 이를 통해 지지대(100)의 용이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0)는 설명의 편의 및 가장 바람직한 예시를 위해 3단 적층형 몸체로 구비하는 형태만을 기재하였으나, 2단 이상의 적층형 몸체로 구비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지중송전케이블 포설단계(S20)에서는 상술한 지지대(100)와 더불어 이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받침대(200)를 더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200)를 통해서는 상기 지지대(100)를 서포트함과 더불어 이동성에 의한 간격 배치 및 간격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받침대(200)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지지대(100)의 안착 배치 및 전후(前後)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부재로서, 지하 전력구 측 바닥면 또는 벽면에 체결 고정된 행거 등에 체결 고정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200)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간격 배치 및 평형 배열되고 상면에 숯형 레일 구조를 갖는 레일부(210)와, 상기 레일부(210)를 연결하여주는 연결부(220)와, 상기 레일부(210) 상에 레일 결합되어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면에 암형 레일 구조를 갖는 지지대결합부(230), 및 상기 받침대를 지하 전력구 측 바닥면 또는 벽면에 체결 고정된 행거에 체결 고정하기 위해 레일부 측에 돌출 형성시킨 체결부(240)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대결합부(230)는 상기 지지대(100)를 삽입 끼움하여 안착 배치 및 고정 지지 가능하게 구비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중송전케이블 포설단계(S20)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지지대(100)를 비롯하여 받침대(200)를 활용함으로써 지하 전력구 내 지중송전케이블(10)을 포설시 시공에 따른 효율성 및 작업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안정감 있는 시공과 더불어 내구성 있게 포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중송전케이블간 중간 연결단계(S30)는 상기 지하 전력구 내에 지중송전케이블(10)을 포설하는 중에 지중송전케이블의 길이가 짧아 지하 전력구 내에서 케이블 상호간을 이음 연결하여 접속하는 단계로서, 중간접속함(20)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중간접속함(20)에 대해서는 제1보통접속함(310)과 제2보통접속함(320)을 구비하여 단위구간으로 사용하는 보통접속함(300) 및, 상기 단위구간을 형성하는 제1보통접속함(310)과 제2보통접속함(320) 사이에 삽입 연결되는 절연접속함(4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중송전케이블(10)간 연결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중송전케이블간 중간 연결단계(S30)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보통접속함(310)과 제1보통접속함(320)에 대해 일정거리 간격 배치하여 단위구간으로 구비하되 각각 A상, B상, C상을 갖도록 상하 배열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통접속함(310)(320)의 사이에 각 상마다 절연접속함(400) 2개씩을 직렬 연결 형태로 삽입 배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보통접속함(310)(320)은 각각 직접 접지 처리하고, 상기 절연접속함(400)은 크로스본딩 처리하는 방식으로 접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중간접속함(20) 측 제1 및 제2 보통접속함(310)(320)과 절연접속함(400) 각각은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보호관(301), 도체슬리브(302), 절연층(303), 절연혼화물(304), 결속부재(305), 및 고정구(30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절연접속함(400)은 보통접속함과는 다르게 도체와 금속시스를 절연하도록 하는 절연통(401)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할 수 있다.
상기 원통보호관(301)은 양측단부를 통해 지중송전케이블(10)의 단부가 삽입 배치되고, 내부로 삽입 배치된 지중송전케이블(10)을 보호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원통보호관(301)은 작업 편의성 및 내부 구조 형성을 위해 이분형 몸체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외면에 손잡이(301a)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원통보호관(301)은 내부에 삽입 배치되는 지중송전케이블(10) 측에서 발생되는 열의 외부 배출 및 중량 절감을 위해 알루미늄합금 또는 열전도성 강화프라스틱 소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체슬리브(302)는 상기 원통보호관(301)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지중송전케이블(10) 측 도체간을 서로 접속되게 연결 및 지지하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층(303)은 상기 도체슬리브(302)와 원통보호관(301)의 사이에 개재되어 지중송전케이블(10)의 연결부분을 고정하여주는 기능과 더불어 절연체로서 기능한다.
상기 절연혼화물층(304)은 상기 원통보호관(301)의 내부 표면 측에 위치되고 절연층(303)과 지중송전케이블(10)을 커버하여 절연성을 발휘함과 더불어 기밀성을 부여하여주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절연혼화물층(304)은 접착 친화성 및 경화성을 제공하기 위한 에폭시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열안정성과 내충격성 및 탄성에 의한 완충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우레탄수지 30~60중량부와, 내열성 및 절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알루미나 50~80중량부와, 내열성과 절연성 및 접착성을 보강하기 위한 변성실리콘수지 20~4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화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절연혼화물층(304)을 위한 혼화물은 접착성 및 밀폐력을 위해 밀도 1.2~1.42g/㎤, 점도 280~320(Pas/23℃)로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혼화물은 에폭시수지, 우레탄수지, 알루미나, 변성실리콘수지를 중합시 극성 작용기를 부가함에 의해 친수화 개질에 의한 향상된 접착성을 갖도록 극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극성 작용기는 카르복실기(-COOH), 설프히드릴기(-SH), 아미노기(-NH2), 수산기(-OH), 인산기(-OPO3), 알데히드기(-CHO)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시킨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알루미나는 내열성 및 절연성과 더불어 지중송전케이블(10) 측 절연내력 저감시 화재 발생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절연혼화물층(304)은 외부로의 열전달에 의한 열방출을 함께 수행하도록 PC, LCP, PPS, PBT, PE, PP, SPS 중에서 적어도 1종이 사용되는 열전도성플라스틱이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에폭시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30~80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을 갖는 절연혼화물층(304)을 위한 혼화물은 상기 절연층(303)을 구성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할 것이다.
상기 결속부재(305)는 상기 이분 몸체로 구비되는 원통보호관(301)의 외면에 위치하여 결속하여줌으로써 하나의 몸체를 형성되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속부재(305)는 고무패드(500)와 결속부(600)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무패드(500)는 원통보호관(301) 측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내측면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으로 일자형이나 사선형 또는 브이자형 구조의 미끄럼방지홈을 간격 배열하여 연속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홈을 통해 결속 처리시 뒤로 밀려가지 않도록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무패드(500)는 내유성, 내약품성, 내마모성, 연성 등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니트릴부타디엔고무, 클로로프렌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실리콘고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고무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무패드(500)는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제조시 합성고무에 대해 열적 안정성을 유지하여주기 위한 열안정제와, 합성고무의 유리전이온도를 낮추고 결정화도를 감소시켜 연성을 갖게 하기 위한 가소제와, 합성고무의 자연 산화를 방지하여 합성고무가 분해 및 개질되는 것을 방지하여주기 위한 산화방지제, 및 생산성과 가공성을 증가시킴은 물론 열안정제의 안정화 효율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위한 활제를 첨가하여 포함하는 고무혼합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조성을 갖는 고무혼합물을 혼련 공정 및 압연 공정을 수행하여 패드 형태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무패드(500)는 합성고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열안정제 0.1~2중량부, 가소제 10~20중량부, 산화방지제 0.1~2중량부, 활제 0.5~5중량부로 조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안정제는 삼염기성황산연, 이염기성스테아린산연, 이염기성아인산연, 노말헥소익산연, Ba-Zn계 안정제, Ca-Zn계 안정제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이소프로필레이트 페닐 인산염(Triisopropylated phenyl phosphate), 에폭시 콩기름(Epoxidized Soyabean Oil), LGflex BET, LGflex EBN, LGflex ESO 등의 친환경 가소제, 다이옥틸프탈레이트. 다이옥틸테레프탈레이트, 다이옥틸아디페이트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트리페닐 아인산염(Triphenyl phosphite), Tetrakis(methylene(3.5-di-t-butyl-4-hydroxyhydrocinnamate))methane, 이소데실 디페닐 인산염(Isodecyl Diphenyl phosphate), n-Octadecyl-3-(4-hydroxy-3,5-di-t-butyl phenyl) propionate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에틸렌 비스 스테아마이드(Ethylene Bis Stearamide)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패드(500)는 원통보호관(301) 측 표면 부착력 및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용도로 자성분말을 고무원료에 첨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자성분말은 철 함량이 70% 이상인 철계, 페라이트계, 상기 철계와 페라이트계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1군을 사용하되, 누출방지 목적을 위해 상기 고무패드 내에 치밀한 조직밀도를 갖도록 1~100㎛의 입자크기 및 판상형 입자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무패드(500)는 내면에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원통보호관 측 표면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뒤로 밀려나가는 등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결속부(600)는 상기 고무패드(500)의 양측단부에 구비되고, 체결을 통해 고무패드(500)에 대해 원통보호관 측 결속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600)는 제1체결고정부재(610)와 제2체결고정부재(620) 및 조임결속구(6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고정부재(610)는 상기 고무패드(500)의 일측단부 외면에 리벳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함에 의해 고정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서, 선단부에 제1관통공(612)을 갖는 절곡부(611)가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고정부재(620)는 상기 고무패드(500)의 타측단부 외면에 리벳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함에 의해 고정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서, 선단부에 제2관통공(622)을 갖는 대향절곡부(621)를 형성하되 제2관통공(622)의 하면에 후측방향을 향해 일정 각도로 경사 배치된 걸림턱(623)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조임결속구(630)는 상기 제1체결고정부재(610) 측 제1관통공(612) 및 제2체결고정부재(620) 측 제2관통공(622)에 삽입되어 결속력을 갖게 하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되 고무패드(500) 측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밴드형 플레이트로 구비되며, 후단에 절곡부(611) 측 제1관통공(612)에 걸림 형성되는 확장형 몸체의 걸림부(631)가 형성되고 하면에 제2체결고정부재(620) 측 걸림턱(623)에 매칭되어 결속력을 제공하기 위한 걸림돌기(632)가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 배치되어 간격 배열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즉, 상기 결속부(600)는 상기 원통보호관(301)의 표면으로 고무패드(500)를 밀착 배치한 상태에 조임결속구(630)를 제1체결고정부재(610) 측 제1관통공(612)을 관통하여 삽입 처리하되 후단 확장형 몸체의 걸림부(631)가 걸림 형성되게 한 상태에 선단부를 제2체결고정부재(620) 측 제2관통공(622)에 삽입 처리하여 앞쪽으로 당겨 조임에 의한 결속력이 고무패드(500)에 작용되게 하고, 조임결속구(630) 측 걸림돌기(632)가 제2체결고정부재(620) 측 걸림턱(623)에 걸림 형성되게 함으로써 고무패드(100) 측 결속력이 유지되게 하며, 고무패드(500)가 뒤로 밀려나가지 않게 하는 등 안정된 결속력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결속부재(305)는 상술한 구성에 극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다양한 형태의 결속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고정구(306)는 상기 원통보호관(301)의 양측단면에 밀착 배치시켜 원통보호관(301)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한쌍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원통보호관(301)의 양측단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리브(301b)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306)에는 연장리브(301b)가 삽입 배치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결합홀(306a)을 형성하여 원통보호관(301)과 고정구(306)를 상호간에 조립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보호관(301)의 외면에는 한 개소 이상에 벨마우스(308)를 연결 구비하되, 내부와 연통되게 구비하여 상기 벨마우스(308)를 이용한 충진 작업 및 경화를 통해 절연혼화물층(304)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절연혼화물층(304)을 형성하는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내열성을 갖는 커버재(307)가 배치될 수 있는데, 외부로의 열방출에 대한 효율성을 갖도록 알루미늄 소재로 구비할 수 있으며, 때로는 열전도성플라스틱 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중송전케이블 종단 연결단계(S40)는 상기 지하 전력구 내에 포설되는 지중송전케이블(10)에 있어 포설이 끝나는 종단 부분을 전력보호기기에 연결 접속하여 마무리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시공단계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을 통해서는 지중송전케이블의 지하 전력구 내 포설 및 시공에 따른 효율성 및 작업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지중송전케이블의 지하 전력구 내 시공시 안전성과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지중송전라인 시공 및 구축에 따른 절연성 및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지하 전력구 내 지중송전케이블을 설치한 후 사용시 절연성능의 저하 및 절연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전용량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송전선로의 지중화에 따른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단계의 치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지중송전케이블 20: 중간접속함
100: 지지대 110: 1단 지지몸체부
111: 오목형 제1케이블안착홈 120: 2단 지지몸체부
121: 볼록형 제1케이블가압홈 122: 오목형 제2케이블안착홈
130: 3단 지지몸체부 131: 볼록형 제2케이블가압홈
200: 받침대 210: 레일부
220: 연결부 230: 지지대결합부
300: 보통접속함 310: 제1보통접속함
320: 제2보통접속함 400: 절연접속함

Claims (7)

  1. (A) 지하 전력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지하 전력구 내에 전력 송전에 사용하기 위한 지중송전케이블을 포설하는 단계; (C) 상기 지하 전력구 내에 포설하는 중에 지중송전케이블을 이음 연결하여 접속하되 중간접속함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단계; (D) 상기 지하 전력구 내에 포설되는 지중송전케이블 측 포설이 끝나는 종단 부분을 전력보호기기에 연결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지중송전케이블을 포설시, 지중송전케이블을 안정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위치 고정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대를 사용하여 시공하며,
    상기 지지대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3단 적층형 몸체로 구비 및 2단과 3단에 대해 회동(回動) 가능한 구조로 하여 1단 내지 3단 지지몸체부로 구성하되, 상기 1단 지지몸체부에는 상면에 1개 또는 2개의 케이블을 안착 배치 및 지지하도록 오목형 제1케이블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2단 지지몸체부에는 1단 지지몸체부의 일측단에서 힌지 결합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과 더불어 하면에 제1케이블안착홈에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볼록형 제1케이블가압홈을 형성하고 상면에 1개 또는 2개의 케이블을 안착 배치 및 지지하도록 오목형 제2케이블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3단 지지몸체부에는 2단 지지몸체부의 일측단에 힌지 결합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과 더불어 하면에 제2케이블안착홈에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볼록형 제2케이블가압홈을 형성하며,
    상기 1단 지지몸체부의 하면에는 체결홀을 갖는 체결부를 좌우측면을 향해 연장 형성하여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1단 지지몸체부와 2단 지지몸체부의 서로 마주하는 타단부를 비롯하여 상기 2단 지지몸체부와 3단 지지몸체부의 서로 마주하는 타단부에는 각각 자성체를 고정 배치하여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보유 및 지중송전케이블을 지지하도록 구비하며, 상기 2단 지지몸체부와 3단 지지몸체부 각각의 타측면 상에는 손잡이부를 고정 배치하여 지지대의 용이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지중송전케이블을 포설시, 상기 지지대의 안착 배치 및 전후(前後)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부재로서 지하 전력구 측 바닥면 또는 벽면에 체결 고정된 행거에 체결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를 서포트함과 더불어 이동성을 부여하는 받침대를 함께 사용하여 시공하며,
    상기 받침대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간격 배치 및 평형 배열되고, 상면에 숯형 레일 구조를 갖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연결하여주는 연결부;
    상기 레일부 상에 레일 결합되어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면에 암형 레일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대를 삽입 끼움하여 안착 배치 및 고정 지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대결합부;
    상기 받침대를 지하 전력구 측 바닥면 또는 벽면에 체결 고정된 행거에 체결 고정하기 위해 레일부 측에 돌출 형성시킨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중간접속함에 대해 제1보통접속함과 제2보통접속함을 단위구간으로 하는 보통접속함 및, 상기 단위구간을 형성하는 제1보통접속함과 제2보통접속함 사이에 삽입 연결되는 절연접속함을 사용하여 지중송전케이블간 연결 접속을 수행하며,
    상기 제1보통접속함과 제1보통접속함에 대해 일정거리 간격 배치하여 단위구간으로 구비하되 각각 A상, B상, C상을 갖도록 상하 배열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통접속함의 사이에 각 상마다 절연접속함 2개씩을 직렬 연결 형태로 삽입 배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보통접속함은 각각 직접 접지 처리하고, 상기 절연접속함은 크로스본딩 처리하여 접지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접속함 측 제1 및 제2 보통접속함과 절연접속함 각각은,
    양측단부를 통해 지중송전케이블의 단부가 삽입 배치되고, 내부로 삽입 배치된 지중송전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면에 손잡이가 마련된 이분 몸체로 구비되며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원통보호관;
    상기 원통보호관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지중송전케이블 측 도체간을 서로 접속 연결하여주는 도체슬리브;
    상기 도체슬리브와 원통보호관의 사이에 개재되어 지중송전케이블을 고정하여주는 기능과 더불어 절연체로서 기능하는 절연층;
    상기 원통보호관의 내부 표면 측에 위치되고 절연층과 지중송전케이블을 커버하여 기밀성을 부여하는 절연혼화물층;
    상기 이분 몸체로 구비되는 원통보호관의 외면에 위치하여 결속하여주는 결속부재;
    상기 원통보호관의 양측단면에 밀착 배치되는 한쌍의 고정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보호관의 양측단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에는 연장리브가 삽입 배치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결합홀을 형성함으로써 원통보호관에 고정구를 조립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보호관에는 외면 한 개소 이상에 벨마우스를 구비하되, 내부와 연통되게 구비하여 상기 벨마우스를 이용한 충진 작업 및 경화를 통해 절연혼화물층을 형성하도록 시공하며;
    상기 절연혼화물층은,
    접착 친화성 및 경화성을 제공하기 위한 에폭시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열안정성과 내충격성 및 탄성에 의한 완충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우레탄수지 30~60중량부, 내열성 및 절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알루미나 50~80중량부, 내열성과 절연성 및 접착성을 보강하기 위한 변성실리콘수지 20~4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
KR1020200085979A 2020-07-13 2020-07-13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 KR102238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979A KR102238874B1 (ko) 2020-07-13 2020-07-13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979A KR102238874B1 (ko) 2020-07-13 2020-07-13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874B1 true KR102238874B1 (ko) 2021-04-12

Family

ID=75439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979A KR102238874B1 (ko) 2020-07-13 2020-07-13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8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242A (ja) * 2000-03-24 2001-10-05 Hitachi Cable Ltd 三条一括型クリート
KR101046399B1 (ko) 2011-05-20 2011-07-05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지중송전선 지중배치를 위한 고정관
KR20150012683A (ko) * 2013-07-26 2015-02-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633795B1 (ko) 2016-02-15 2016-06-27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이탈 방지용 거치대
KR102029881B1 (ko) 2019-07-12 2019-10-08 티엘엔지니어링(주) 지중송전라인 안정적 연결용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242A (ja) * 2000-03-24 2001-10-05 Hitachi Cable Ltd 三条一括型クリート
KR101046399B1 (ko) 2011-05-20 2011-07-05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지중송전선 지중배치를 위한 고정관
KR20150012683A (ko) * 2013-07-26 2015-02-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633795B1 (ko) 2016-02-15 2016-06-27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이탈 방지용 거치대
KR102029881B1 (ko) 2019-07-12 2019-10-08 티엘엔지니어링(주) 지중송전라인 안정적 연결용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rton History of underground power cables
US20140076604A1 (en) Power Transmission Line Covers and Methods and Assemblies Using Same
US10410766B2 (en) Jointed power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515741B2 (en) Fire resistant electric cable
US10554034B2 (en) Cold shrinkable cable terminal, cold shrinkable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of terminating cable
KR102183193B1 (ko) 종단접속부를 구비한 전력케이블
KR102238874B1 (ko) 지중송전라인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
KR100876417B1 (ko) 송전선로의 점퍼지지대 겸용 아킹혼 장치
JP2017060241A (ja) 電力ケーブル用ポリマー接続部
KR102362763B1 (ko)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
US3099504A (en) Electricity distributing conduit apparatus
KR101134222B1 (ko) 초고압케이블 중간접속함의 에폭시유니트 전극과 도체 슬리브의 연결구조
CN109378605B (zh) 插接式电缆连接头
CN109546609B (zh) 双锁紧快插式电磁兼容接头
CN1113094A (zh) 刚性预敷导线管道
CN106057323B (zh) 一种电缆护罩
US20210249151A1 (en) Electric power cable
WO2016012049A1 (en) High voltage power transmission line
WO2015129968A1 (ko) 종단접속부를 구비한 전력케이블
CN205900150U (zh) 一种电缆护罩
CN105144524A (zh) 管状绝缘设备、高压电力装置和用于提供绝缘高压电力电缆的方法
CN220627443U (zh) 一种聚氯乙烯绝缘保护电缆
KR102304368B1 (ko) 접속함용 슬리브 삽입 장치 및 방법
US20240221972A1 (en) Charging cable with optimized manageability
KR102432404B1 (ko) 케이블 접속재 및 그 시공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