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698B1 -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 - Google Patents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698B1
KR102238698B1 KR1020190060798A KR20190060798A KR102238698B1 KR 102238698 B1 KR102238698 B1 KR 102238698B1 KR 1020190060798 A KR1020190060798 A KR 1020190060798A KR 20190060798 A KR20190060798 A KR 20190060798A KR 102238698 B1 KR102238698 B1 KR 102238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uoyancy
float
wings
fishing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117A (ko
Inventor
김원근
Original Assignee
김원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근 filed Critical 김원근
Priority to KR102019006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69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찌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밑밥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한번 부착된 집어용 밑밥은 투척시와 수중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아 밑밥의 손실을 줄이고 집어효과를 상승시키며, 탈부착되는 무게추에 의해 낚시채비를 변경하거나 담수에 의한 부력조절시 봉돌의 가감 없이 사용됨에 따라 한개의 낚시찌만으로 어떠한 기법이거나 낚시채비에 대응할 수 있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를 제공하기 위해, 기둥(20)을 중심으로 위에는 상부바디(10)와 아래에는 하부바디(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으로 통로(40)가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기둥(20)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날개(22)들과, 상기 하부바디(30)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부에 선택적으로 무게추(34)를 조립하게 된다.

Description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mult function a fishing float}
본 발명은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무게추를 가지고 또한 집어를 위한 밑밥을 수용할 수 있게 되면서 낚시의 효율을 크게 상승시킬 수 있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어용 낚시찌는 낚시찌에 밑밥(떡밥)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부착된 밑밥이 수중에서 점차적으로 떨어지면서 물고기를 유인하게 된다.
이러한 낚시찌의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77988호의 '입질표시 기능을 구비한 낚시용 밑밥찌'와,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16643호의 '밑밥수납부가 구비된 낚시찌'가 있다.
위의 선행기술에는 낚시찌의 하부공간에 가이드망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부착된 밑밥은 투척시나 수중에서 아래로 너무 빨리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어 밑밥의 소비가 큰 문제점이 있으며, 그물로 된 가이드 망 내부로 떡밥을 밀어서 채워 넣기가 쉽지 않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 제20-0477988호 (등록일자 2015.08.06) 등록특허공보 등록 제10-1216643호 (등록일자 2012.12.2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낚시찌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밑밥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한번 부착된 집어용 밑밥은 투척시와 수중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아 밑밥의 손실을 줄이며, 오랜 시간동안 수중에서 흘러 내리므로 최대의 집어 효과를 볼 수 있고, 탈부착되는 무게추에 의해 낚시채비를 변경하거나 담수에 의한 부력조절시 봉돌의 가감 없이 사용됨에 따라 한개의 낚시찌만으로 어떠한 상태의 낚시채비에 대응할 수 있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는, 기둥(20)을 중심으로 위에는 상부바디(10)와 아래에는 하부바디(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으로 통로(40)가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기둥(20)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날개(22)들과, 상기 하부바디(30)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부에 선택적으로 무게추(34)를 조립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22)들의 각 끝부분에 구멍(24)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으로 연결줄(26)이 끼워져 둘레를 따라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34)의 끝에는 탈부착을 쉽게 한 구멍(37)을 가진 헤드(36)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는 밑밥이 부착되는 위치가 낚시찌 본체의 중간부분에 위치하고 방사상으로 배치된 날개들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투척시나 조류에 의해 쉽게 떨어지지 않아 밑밥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망 속으로 밑밥을 끼워넣는 것이 아니라 날개 주위에 밑밥을 부착하는 형식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밑밥을 장착시키 수 있으며, 무게추의 탈부착으로 채비방식에 따라 일일이 봉돌을 장착하는 불편함이 없이 부력을 조절할 수 있어 다수의 낚시찌를 준비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의 중앙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의 중앙부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의 중앙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의 외부와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서 사용되고 있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의 참고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는 기둥(20)을 중심으로 위에는 상부바디(10)와 아래에는 하부바디(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으로 통로(40)가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기둥(20)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날개(22)들과, 상기 하부바디(30)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부에 선택적으로 무게추(34)를 조립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22)들의 각 끝부분에 구멍(24)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으로 연결줄(26)이 끼워져 둘레를 따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무게추(34)의 끝에는 탈부착을 쉽게 한 구멍(37)을 가진 헤드(36)가 구비되어 있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추형으로 된 상부바디(10)와 하부바디(30) 사이에 기둥(20)이 연결되면서 낚시찌의 몸체(100)를 구성한다.
상기 몸체(100)는 부력을 가진 소재로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5에서와 같이 중앙으로 낚시줄(50)이 끼워지는 통로(40)가 형성된다.
다음, 상기 기둥(20)을 중심하여 외측으로 향하면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날개(22)들이 구비된다. 상기 날개(22)들은 역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일정한 넓이를 가지면서 다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날개(22)들은 도 5에서와 같이 겔상태의 밑밥이 쉽게 부착될 수 있게 하고 부착력을 높여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날개(22)들의 각 끝부분에는 구멍(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24)들을 따라 연결줄(26)이 끼워져 다단으로 혹은 코일식으로 둘레를 따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줄(26)은 역시 밑밥의 부착력을 더욱 강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30)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부(3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공간부(32)에는 납, 금속, 세라믹과 같은 중량의 소재로 된 무게추(34)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무게추(34)는 낚시찌 몸체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장착되는 숫자에 따라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무게추(34) 도 1, 도 2에서와 같이 구멍(37)을 가진 헤드(36)를 가지게 됨에 따라 손으로 잡고 탈부착시키거나 핀 등의 뾰족한 것으로 구멍(37)에 끼워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수납공간부(33)는 아래로 부터 뚫게 됨에 따라 무게추(34a)를 아래에서 위로 편하게 장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는 도 5에서와 같이 낚시줄(50)에 끼워져 중통찌로서 사용된다.
즉, 낚시줄(50)에 끼워진 낚시찌 몸체(100)는 위 아래로 움직이는 유동찌로서 위/아래로 낚시바늘(52)을 장착하고 있고 날개(22)의 외측으로 겔상태의 밑밥(60)을 부착하여 수중에 침투된다.
이때의 밑밥(60)은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단의 각 날개(22)들에 의해 강한 부착력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둘레를 따라 형성된 연결줄(26)이 부착된 밑밥을 떨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10: 상부바디 20: 기둥 22: 날개
30: 하부바디 32: 수납공간부 34,34a: 무게추
40: 통로 60: 밑밥 100: 몸체

Claims (3)

  1.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에 있어서;
    기둥(20)을 중심으로 위에는 상부바디(10)와 아래에는 하부바디(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으로 통로(40)가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기둥(20)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날개(22)들과;
    상기 날개(22)들의 각 끝부분에 구멍(24)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으로 끼워져 둘레를 따라 연결되는 연결줄(26)과;
    상기 하부바디(30)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부에 선택적으로 무게추(34)를 조립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34)의 끝에는 탈부착을 쉽게 한 구멍(37)을 가진 헤드(3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
KR1020190060798A 2019-05-21 2019-05-21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 KR102238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798A KR102238698B1 (ko) 2019-05-21 2019-05-21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798A KR102238698B1 (ko) 2019-05-21 2019-05-21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117A KR20200134117A (ko) 2020-12-01
KR102238698B1 true KR102238698B1 (ko) 2021-04-08

Family

ID=7379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798A KR102238698B1 (ko) 2019-05-21 2019-05-21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6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7508A (ja) * 2002-12-09 2004-07-08 Akihiro Kako 釣り用浮き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76223Y1 (ko) * 2014-08-28 2015-02-23 조형균 낚싯줄에 관통되어 낚싯줄을 타고 상하 유동하는, 부력구, 밑밥 부착구 및 무게 추 일체형 유동식 집어 봉돌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727U (ko) * 1997-10-09 1999-05-06 이정갑 낚시 미끼용 고형물
KR20000008731U (ko) * 1998-10-27 2000-05-25 윤진업 릴 낚시용 채비
KR101216643B1 (ko) 2010-11-17 2012-12-31 김청규 밑밥수납부가 구비된 낚시찌
KR20150058656A (ko) * 2013-11-19 2015-05-29 김주호 밑밥환이 낚시줄에 고정되는 낚시 도구
KR200477988Y1 (ko) 2014-02-10 2015-08-21 서문호 입질표시 기능을 구비한 낚시용 밑밥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7508A (ja) * 2002-12-09 2004-07-08 Akihiro Kako 釣り用浮き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76223Y1 (ko) * 2014-08-28 2015-02-23 조형균 낚싯줄에 관통되어 낚싯줄을 타고 상하 유동하는, 부력구, 밑밥 부착구 및 무게 추 일체형 유동식 집어 봉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117A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9836A (en) Fishing float
KR200476223Y1 (ko) 낚싯줄에 관통되어 낚싯줄을 타고 상하 유동하는, 부력구, 밑밥 부착구 및 무게 추 일체형 유동식 집어 봉돌
KR102238698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집어용 낚시찌
KR200477988Y1 (ko) 입질표시 기능을 구비한 낚시용 밑밥찌
US5033227A (en) Fishing device
CN218789966U (zh) 一种不挂底铅坠
US20090077858A1 (en) Bobber and sinker for fishing
CN207151678U (zh) 一种自动钓鱼浮漂
US2817923A (en) Fishing bobber
CN211607936U (zh) 一种带有便于安装钓鱼铅坠的渔具
KR200494458Y1 (ko) 부력부재가 마련된 루어낚시용 인공미끼
CN209463171U (zh) 一种可自动弹起的钓鱼器
CN207461236U (zh) 一种灯光诱鱼捕鱼船
CN106857438A (zh) 一种鱼竿扬杆拉力套筒
CN205658225U (zh) 一种进水排气式入水后开始计时的定时定位打窝器
KR101009511B1 (ko)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KR20180024087A (ko) 낚시찌
CN220936363U (zh) 一种浮钓水下监控装置
CN108651403B (zh) 一种钓鱼用钓坠
CN203369262U (zh) 一种垂钓器
CN102783465A (zh) 一种新型鱼竿
CN212753879U (zh) 新型爆炸钩
CN210248059U (zh) 一种不用剪线就可调节浮力的浮漂及钓组
CN209403349U (zh) 一种新型子母钓鱼钩
CN207653348U (zh) 一种多功能炸弹钓鱼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