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360B1 - 리니어 압축기 - Google Patents

리니어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360B1
KR102238360B1 KR1020200006510A KR20200006510A KR102238360B1 KR 102238360 B1 KR102238360 B1 KR 102238360B1 KR 1020200006510 A KR1020200006510 A KR 1020200006510A KR 20200006510 A KR20200006510 A KR 20200006510A KR 102238360 B1 KR102238360 B1 KR 102238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tator
frame
press
inner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완
임재연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creating "anti-noise"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는 피스톤이 왕복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접하는 이너 스테이터가 구비되어, 상기 이너 스테이터의 외경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Linear compressor}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왕복동식 압축기는, 피스톤(Piston)과 실린더(Cylinder) 사이에 작동가스의 압축을 위한 압축공간이 형성되고,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압축공간 내로 유입된 냉매를 압축시킨다.
최근에는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 중에서 특히 피스톤이 왕복 직선 운동하는 구동모터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할 때 발생하는 기계적인 손실이 없이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리니어 압축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니어 압축기는, 밀폐된 쉘 내부에서 피스톤이 리니어 모터에 의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선행문헌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6-0011009 (2016년01월29일)에는 리니어 압축기가 개시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리니어 압축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실린더의 외주면에 리니어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리니어 모터의 외경이 커지고, 이에 따라 리니어 모터의 재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리니어 모터의 외경이 커짐에 따라 압축기의 전체 부피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압축기가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므로 압축기의 설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6-0011009 (2016년01월29일), 발명의 명칭 : 리니어 압축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실린더의 축방향 길이를 줄이고 실린더의 단부에 리니어 모터가 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리니어 모터의 외경을 줄일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린더의 축방향 길이를 줄일 때 이너 스테이터의 지지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상기 리니어 모터에 구비되는 이너 스테이터에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가 실린더 또는 프레임에 압입되도록 함으로써, 리니어 모터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는 피스톤이 왕복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접하는 이너 스테이터가 구비되어, 상기 이너 스테이터의 외경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실린더의 단부와 상기 이너 스테이터의 단부는 서로 접하여 접촉면을 형성하고, 실린더와 이너 스테이터는 반경방향으로 서로 오버랩 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실린더의 외주면에 이너 스테이터가 구비되는 구조와 비교할 때 실린더의 두께만큼 리니어 모터의 외경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리니어 모터의 자속이 이너 스테이터로부터 실린더로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스테이터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는 프레임 또는 실린더에 압입됨으로써, 리니어 모터는 프레임 또는 실린더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프레임과 실린더의 사이 공간에 압입됨으로써, 리니어 모터는 프레임과 실린더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냉매의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운동하여 상기 압축공간 내의 냉매를 압축시키고 후방으로 운동하여 상기 압축공간을 확장시키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피스톤에 구동력을 부여하며, 이너 스테이터와, 아우터 스테이터 및 상기 상기 이너 스테이터와 아우터 스테이터의 사이에 구비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 스테이터는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구비되는 스테이터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는 상기 이너 스테이터의 중심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단부와, 상기 스테이터 본체의 단부는 서로 면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스테이터 본체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 본체에는 상기 실린더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접촉면을 연장시킨 제 1 연장선은, 상기 이너 스테이터 본체의 중심(C1)을 반경방향으로 지나는 제 2 연장선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스테이터는, 상기 스테이터 본체의 단부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실린더에 압입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압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실린더압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프레임압입부에 압입되고, 상기 스테이터 본체는 상기 실린더압입부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압입부는 상기 이너스테이터의 돌기부와 상기 실린더압입부의 사이에 압입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실린더의 사이 공간에 압입되는 리니어 압축기.
상기 피스톤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흡입유로를 형성하는 흡입 머플러; 및 상기 흡입 머플러를 상기 피스톤에 연결하는 연결 바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흡입 머플러에 결합되는 마그넷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마그넷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본체가 상기 프레임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스테이터 본체의 단부에는 상기 프레임을 바라보는 위치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실린더의 축방향 길이를 줄이고 실린더의 단부가 리니어 모터에 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리니어 모터의 외경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너 스테이터의 돌기부가 실린더 또는 프레임에 압입되거나, 실린더와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압입됨으로써 리니어 모터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와 이너 스테이터가 반경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리니어 모터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실린더를 통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이너 스테이터 및 실린더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너 스테이터와, 프레임 및 실린더의 압입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종래의 리니어 압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10)는, 압축기 쉘의 내부에 제공되는 실린더(120)와,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130) 및 상기 피스톤(130)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리니어 모터로서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가 구동하면, 상기 피스톤(130)은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10)는 상기 피스톤(130)에 결합되며, 압축기로 흡입되는 냉매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흡입 머플러(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흡입 머플러(140)는 압축기로 흡입된 냉매가 유입되는 머플러 흡입공(141a)을 형성하며, 상기 머플러 흡입공(141a)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는 상기 흡입 머플러(140)를 거쳐 상기 피스톤(130)의 내부로 유동한다.
상기 흡입 머플러(140)는 다수의 머플러(141,145)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머플러(141,145)는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제 1 머플러(141) 및 제 2 머플러(145)를 포함된다.
상기 제 1 머플러(141)는 마그넷 프레임(165)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머플러(145)는 상기 마그넷 프레임(16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머플러(141)에는, 상기 머플러 흡입공(141a)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머플러(145)는 상기 제 1 머플러(141)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130)을 향하여 연장되며, 연결 바아(148)를 통하여 피스톤(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바아(148)는 상기 제 2 머플러(145)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13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130)이 왕복 운동할 때, 상기 제 1,2 머플러(141,145) 및 연결 바아(148)는 함께 왕복운동 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머플러(140)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흡입유로(145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머플러(141)의 흡입유로와, 상기 제 2 머플러(145)의 흡입유로는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로 흡입된 냉매는 상기 제 1 머플러(141) 및 상기 제 2 머플러(145)를 경유하여 전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피스톤(130)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축 방향"이라 함은, 상기 피스톤(130)이 왕복운동 하는 방향, 즉 도 1에서 가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 방향" 중에서, 상기 흡입 머플러(140)로부터 실린더(120)의 압축공간(P)을 향하는 방향, 즉 냉매가 유동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상기 피스톤(13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압축공간(P)은 축소되며,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압축공간(P)은 확장될 수 있다.
반면에, "반경 방향"이라 함은 상기 피스톤(130)이 왕복운동 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서, 도 1의 세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130)에 의하여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공간(P)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30)의 전면부에는, 상기 압축 공간(P)으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흡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의 전방에는 상기 흡입공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흡입 밸브(138)가 제공된다.
상기 압축 공간(P)의 전방에는, 상기 압축 공간(P)에서 배출된 냉매의 토출공간을 형성하는 토출커버 어셈블리(190)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커버 어셈블리(190)는 토출커버와, 토출밸브 및 밸브 스프링등을 포함한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10)는 프레임(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실린더(120)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압입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실린더(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커버 어셈블리(190)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아우터 스테이터(150)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너 스테이터(170) 및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50)와 이너 스테이터(17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마그넷(160)이 포함된다.
상기 마그넷(160)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50) 및 이너 스테이터(170)와의 상호 전자기력에 의하여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160)은 마그넷 프레임(13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프레임(165)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이너 스테이터(148)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넷 프레임(165)에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143)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그넷 프레임(165)은 상기 프레임 연결부(143)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146)은 상기 마그넷 프레임(165)의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160)이 왕복 운동할 때, 상기 피스톤(130)은 상기 마그넷(160)과 함께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50)는 스테이터 코어(151, 도 4 참조) 및 코일 권선체(154,155)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 권선체(154,155)는 보빈(154) 및 상기 보빈(154)의 원주 방향으로 권선된 코일(155)을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50)의 축방향 측면에는 스테이터 커버(180)가 제공된다.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는 상기 실린더(120) 또는 상기 프레임(110)에 압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는 상기 실린더(120)와 상기 프레임 (110) 사이의 공간에 압입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는 상기 실린더(120) 또는 상기 프레임(110)에 압입되는 돌기부(175)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부(175)는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의 단부에서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돌기부(175)는 상기 실린더(120)와 상기 프레임(110) 사이의 공간에 압입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75)는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의 전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의 전단부의 면은 상기 실린더(120)의 면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의 단부와 상기 실린더(120)의 단부는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와 상기 실린더(120)는 전후 방향으로 정렬되며,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는 상기 실린더(120)의 외면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지 않으므로, 실린더(120)의 두께만큼 압축기의 반경방향 중심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니어 모터의 외경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스테이터(170)와 실린더(120)의 접촉면적이 작으므로, 리니어 모터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실린더(120)를 통하여 누설되는 것이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린더(120)는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스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실린더(120)는 자속누설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비철금속인 알루미늄(알루미늄 합금)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이너 스테이터 및 실린더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3-3'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너 스테이터와, 프레임 및 실린더의 압입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의 (a)는 종래의 리니어 압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10)과, 실린더(120) 및 이너 스테이터(170)는 압입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압입되고,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의 내측에 압입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토출커버 어셈블리(190)에 결합되는 커버 결합부(111)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커버 결합부(111)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지며, 원주 방향으로 구비되는 커버 체결공(112)이 형성된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커버 체결공(112)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커버 어셈블리(190)와 상기 프레임(110)을 체결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커버 결합부(111)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120)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실린더 수용부(1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수용부(113)는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 수용부(113)의 내측에는 실린더(12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수용부(113)는 상기 실린더(120)의 외면에 접촉하는 프레임압입부(1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프레임압입부(115)의 내면에 압입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20)는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토출커버 어셈블리(190)에 지지되는 커버연결부(121) 및 상기 프레임(120)에 압입되는 실린더압입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연결부(121)의 외경은 상기 실린더압입부(123)의 외경보다 조금 더 크게 헝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는 상기 프레임(110)에 압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는 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는 스테이터 본체(171) 및 상기 스테이터 본체(171)의 단부에서 돌출하는 돌기부(175)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돌기부(175)는 상기 스테이터 본체(171)의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며, 링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본체(171)의 전단부는 상기 실린더(120)의 단부에 면접촉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테이터 본체(171)의 전단부에는 제 1 접촉면(172)이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120)의 후단부에는 제 2 접촉면(1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접촉면(172,125)은 서로 접촉하여,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와 상기 실린더(120)의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2 접촉면(172,125)이 서로 접촉하는 방향은 반경 방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접촉면(172,125)을 연장시킨 제 1 연장선(ℓ1)은 상기 스테이터 본체(171)의 축방향 중심(C1)을 반경방향으로 지나는 제 2 연장선(ℓ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와 상기 실린더(120)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오버랩 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실린더(120)의 외주면에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가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120)와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가 반경방향으로 오버랩 된다면, 상기 실린더(120)의 두께만큼 이너 스테이터(170)의 외경이 증가하게 된다. 결국, 리니어 모터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리니어 모터의 재조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상세히, 도 6의 (a)는 종래의 이너 스테이터(I)와 실린더(C)의 배치모습을 보여준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실린더(C)가 이너 스테이터(I)의 내부에 삽입되므로 상기 이너 스테이터(I)가 압축기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멀리 위치된다. 따라서, 그만큼 리니어 모터의 외경이 커질 수 있다.
반면에,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120)의 후측에 이너 스테이터(170)가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120)와 이너 스테이터(170)가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으므로,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가 압축기의 중심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a) 구조에 대비하여, 리니어 모터의 외경이 소정크기(△Wa+△Wb)만큼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a) 구조에 의하면, 실린더(120)와 이너 스테이터(170)의 오버랩 되는 부분을 통하여, 리니어 모터의 자속(fL)이 실린더(120)를 통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도 6의 (b) 구조에 따른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본체(171)에는 홈(173)이 형성된다. 상기 홈(173)은 상기 스테이터 본체(171)의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함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홈(173)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터 본체(171)의 전단부는 상기 프레임(11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니어 모터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스테이터 본체(171)로부터 프레임(110)으로 누설되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75)는 상기 프레임(110)에 압입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돌기부(175)는 상기 프레임압입부(115)의 외면에 압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린더압입부(123)는 상기 프레임압입부(115)의 내측면에 압입되고, 상기 프레임압입부(115)는 이너 스테이터(170)의 돌기부(175)에 압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압입부(115)는 상기 실린더압입부(123)와 상기 돌기부(175)의 사이에서 압입되어 면접촉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10a)는, 이너 스테이터(170)의 돌기부(175a)가 실린더(120)와 프레임(11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실린더(120a)는 이너 스테이터(170a)의 돌기부(175a)가 압입되는 실린더 압입부(128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20a)에는 상기 돌기부(175a)가 놓여지는 단차부(127a)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27a)는 링 형상의 돌기부(175a)가 놓여질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120a)의 후방부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압입부(128a)는 상기 단차부(127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75a)는 상기 실린더 압입부(128a)와 상기 프레임(110)의 프레임압입부(115a)의 사이에 압입되며, 면접촉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스테이터(170)는 상기 프레임(110)과 실린더(120)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 리니어 압축기 110 : 프레임
115 : 프레임압입부 120 : 실린더
123 : 실린더압입부 130 : 피스톤
140 : 흡입 머플러 150 : 아우터 스테이터
160 : 마그넷 170 : 이너 스테이터
171 : 스테이터 본체 175 : 돌기부

Claims (12)

  1. 냉매의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운동하여 상기 압축공간 내의 냉매를 압축시키고 후방으로 운동하여 상기 압축공간을 확장시키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피스톤에 구동력을 부여하며, 이너 스테이터와, 아우터 스테이터 및 상기 이너 스테이터와 아우터 스테이터의 사이에 구비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스테이터는,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구비되는 스테이터 본체와,
    상기 스테이터 본체의 단부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실린더에 압입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압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실린더압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압입부는 상기 이너스테이터의 돌기부와 상기 실린더압입부의 사이에 압입되는 리니어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이너 스테이터의 중심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리니어 압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단부와, 상기 스테이터 본체의 단부는 서로 면 접촉하는 리니어 압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스테이터 본체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 본체에는 상기 실린더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 1,2 접촉면을 연장시킨 제 1 연장선은, 상기 이너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본체의 중심(C1)을 반경방향으로 지나는 제 2 연장선의 전방에 위치하는 리니어 압축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프레임압입부에 압입되고, 상기 스테이터 본체는 상기 실린더압입부에 접촉하는 리니어 압축기.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흡입유로를 형성하는 흡입 머플러; 및
    상기 흡입 머플러를 상기 피스톤에 연결하는 연결 바아를 더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머플러에 결합되는 마그넷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마그넷 프레임에 구비되는 리니어 압축기.
  11. 냉매의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운동하여 상기 압축공간 내의 냉매를 압축시키고 후방으로 운동하여 상기 압축공간을 확장시키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피스톤에 구동력을 부여하며, 이너 스테이터와, 아우터 스테이터 및 상기 이너 스테이터와 아우터 스테이터의 사이에 구비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스테이터는,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구비되는 스테이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의 단부와, 상기 스테이터 본체의 단부는 서로 면 접촉하고,
    상기 스테이터 본체가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스테이터 본체의 단부에는 상기 프레임을 바라보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는 리니어 압축기.
  12. 삭제
KR1020200006510A 2020-01-17 2020-01-17 리니어 압축기 KR102238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510A KR102238360B1 (ko) 2020-01-17 2020-01-17 리니어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510A KR102238360B1 (ko) 2020-01-17 2020-01-17 리니어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360B1 true KR102238360B1 (ko) 2021-04-12

Family

ID=75440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510A KR102238360B1 (ko) 2020-01-17 2020-01-17 리니어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3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2483A (ko) * 2009-04-09 2010-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JP2016500413A (ja) * 2012-12-18 2016-01-12 ワールプール・エシ・ア リニアモータ圧縮機用の吸入マフラーおよびリニアモータ圧縮機
KR20160011009A (ko) 2014-07-21 2016-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CN106150969A (zh) * 2015-03-31 2016-11-23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直线式压缩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2483A (ko) * 2009-04-09 2010-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JP2016500413A (ja) * 2012-12-18 2016-01-12 ワールプール・エシ・ア リニアモータ圧縮機用の吸入マフラーおよびリニアモータ圧縮機
KR20160011009A (ko) 2014-07-21 2016-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CN106150969A (zh) * 2015-03-31 2016-11-23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直线式压缩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3729B1 (en) Spring support structure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US6666662B2 (en) Stator supporting apparatus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EP3128173B1 (en) Linear compressor
US20060091735A1 (en) Linear compressor
US20050175474A1 (en) Vibration reduction structure of reciprocating compressor
US6860725B2 (en) Suction gas guiding system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US20060210411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CN111490661A (zh) 设置有马达的压缩机
KR102238360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067096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300205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0511327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실린더 지지 구조
KR20000040150A (ko) 압축기의 머플러 결합구조
KR20150040052A (ko) 리니어 압축기
KR20030029767A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0246428B1 (ko) 리니어 모터의 내측고정자 고정구조
US7061145B2 (en) Apparatus for fixing stator of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2217342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1978964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0480087B1 (ko)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고정구조
US11512693B2 (en) Linear compressor
KR20040021453A (ko) 왕복동식 압축기
US11781540B2 (en) Linear compressor
KR100284429B1 (ko) 밸브 조립체
KR100202571B1 (ko) 리니어 압축기의 모터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