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335B1 -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335B1
KR102238335B1 KR1020190021049A KR20190021049A KR102238335B1 KR 102238335 B1 KR102238335 B1 KR 102238335B1 KR 1020190021049 A KR1020190021049 A KR 1020190021049A KR 20190021049 A KR20190021049 A KR 20190021049A KR 102238335 B1 KR102238335 B1 KR 102238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collection unit
evaluation information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335B9 (ko
KR20200102718A (ko
Inventor
박현태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1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33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335B1/ko
Publication of KR10223833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33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의 강도를 결정하는 라이프로그정보와 신체기본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수집된 라이프로그정보과 신체기본정보에 대응되는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서비스이용대상자의 생활 공간 내에 마련된 사물인터넷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이용대상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시로 치매예방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서비스이용대상자의 활력정보, 근력평가정보, 인지평가정보, 유연성평가정보를 포함하는 라이프로그정보를 수집하는 라이프로그정보수집부; 상기 서비스이용대상자의 나이정보, 성별정보, 신장정보 및 체중정보를 포함하는 신체기본정보를 수집하는 신체기본정보수집부; 상기 서비스이용대상자의 나이정보, 성별정보, 신장정보 및 체중정보를 포함하는 신체기본정보를 수집하는 신체기본정보수집부; 및 상기 라이프로그정보수집부와 상기 신체기본정보수집부를 통해 각각 수집된 상기 라이프로그정보와 상기 신체기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이용대상자가 생활하는 공간 내에 마련된 사물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비스이용대상자에게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운동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Dementia prevention exercise support service device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건강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이용대상자에게 적합한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매는 의학적 정의에 따르면 대뇌 신경 세포의 손상 따위로 말미암아 지능, 의지, 기억 따위가 지속적 및 본질적으로 상실되는 질병인 것을 말한다.
이러한 치매는 주로 노인에게 발병하는 노인성 질환임에 불구하고 고령화 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현재 추세에 따르면 치매 환자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 분명한 현실이다.
일반 가정에서 치매환자가 한 명이라도 발생하게 되면 그 가정의 구성원들은 서로 도와 가정을 꾸려나가야 하는 상황임에도 치매환자를 집중적으로 보호하고 관리해야 하고 치매환자의 다양한 증상과 불확실한 행동에 대처해야 함에 따라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을 수밖에 없다.
노인에게 치매 증상이 한 번 나타나게 되면 치매 치료를 위한 수술, 시술, 약물 따위가 전혀 없어 현실적으로 치유할 수 없다. 치매는 예방을 하기 위한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치매 예방은 노인의 평소 생활습관이나 운동습관을 통해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건강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노인의 건강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평소 생활습관이나 운동습관을 평가하여 노인인구집단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 견해가 그대로 반영될 수 있으므로 노인 개인별로 오차범위가 매우 넓을 수 있고 실효성 있는 평가도 이루어지지 않아 건강정보를 신뢰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최근 유비쿼터스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용자의 도메인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 및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노인의 건강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직접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건강검진을 통해 건강정보를 제공받는 방법과, 건강지원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체크리스트에 직접 건강정보를 입력하거나 문답하는 형식으로 대답하여 대상의 건강상태에 대한 제한적인 콘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이다.
전자는 검사의 결과로 나타난 신체활동 및 신체기능 데이터를 기준으로 건강정보를 제공하므로 건강정보가 실제생활을 반영치 못한다는 점에서 제한적이고 다양한 검사의 추가가 요구됨에 따라 비용부담을 가중시키는 한계가 있다.
후자는 건강지원사이트가 보유한 체질량지수, 일시적인 혈압 수치 등의 획일적인 정보만을 취득하고 체크리스트를 통한 답변만으로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정형화된 건강정보를 제공하므로 개인별로 맞춤화된 건강정보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아울러 전자와 후자는 모두 일시적인 건강상태에 대한 데이터만을 제공할 뿐이고 일상생활에서의 건강상태에 대한 데이터는 전혀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치매 예방을 위한 개인에 맞춤화된 건강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개인에 맞춤화된 치매예방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치매 환자의 증가 추이를 감소시키고 치매 환자로 고통받는 일반 가정의 수를 줄이며 경제적인 부담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7578호, 2009.06.25.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치매 환자의 증가 추이를 감소시키고 치매 환자로 관리 및 조호부담이 가중되는 일반 가정의 수를 줄이며 경제적인 부담을 해소할 수 있도록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치매 예방을 위한 개인의 건강정보를 고려한 맞춤화된 건강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개인에 맞춤화된 치매예방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는 서비스이용대상자의 활력정보, 근력평가정보, 인지평가정보, 유연성평가정보를 포함하는 라이프로그정보를 수집하는 라이프로그정보수집부; 상기 서비스이용대상자의 나이정보, 성별정보, 신장정보 및 체중정보를 포함하는 신체기본정보를 수집하는 신체기본정보수집부; 및 상기 라이프로그정보수집부와 상기 신체기본정보수집부를 통해 각각 수집된 상기 라이프로그정보와 상기 신체기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이용대상자가 생활하는 공간 내에 마련된 사물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비스이용대상자에게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운동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프로그정보수집부는 상기 활력정보를 수집하는 활력정보수집부; 상기 근력평가정보를 수집하는 근력평가정보수집부; 상기 인지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인지평가정보수집부; 및 상기 유연성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유연성평가정보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동서비스제공부는 유산소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유산소운동관리부;하지근력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근력운동관리부; 인지능력강화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인지능력관리부; 및 유연성능력강화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유연성능력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력정보수집부는 상기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현재시점 기준에서의 활력여부에 따라 활력이 있는 '예' 또는 활력이 없는 '아니오'로 구분하여 입력받아 상기 활력정보의 결과값으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서비스이용대상자가 상시 소지하거나 생활하는 장소에 구비된 사물인터넷을 통해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함에 따라 서비스이용대상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시로 치매예방 운동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치매 예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동안 반복하여 수집한 라이프로그정보와 신체기본정보에 기초하여 개인 맞춤화된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함에 따라 치매 예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건강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이용대상자에게 적합한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는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의 강도를 결정하는 라이프로그정보와 신체기본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수집된 라이프로그정보에 대응되는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서비스이용대상자의 생활공간 내에 마련된 사물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큰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프로그정보수집부(10), 신체기본정보수집부(20) 및 운동서비스제공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라이프로그정보수집부(10)는 서비스이용대상자의 활력정보, 근력평가정보, 인지평가정보, 유연성평가정보를 포함하는 라이프로그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라이프로그정보수집부(10)는 서비스이용대상자가 될 수 있는 노인으로부터 활력정보, 근력평가정보, 인지평가정보 및 유연성평가정보를 측정하는 방식 혹은 질의응답하는 방식으로 수집할 수 있다.
라이프로그정보수집부(10)는 신뢰성을 가진 라이프로그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수집기간 동안 반복해서 활력정보, 근력평가정보, 인지평가정보 및 유연성평가정보를 측정 또는 응답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1개월의 수집기간 동안 활력정보, 근력평가정보, 인지평가정보 및 유연성평가정보를 각각 적어도 1주일 간격으로 반복해서 수집하고 반복횟수로 평균하여 산출한 평균 활력정보, 평균 근력평가정보, 평균 인지평가정보 및 평균 유연성평가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라이프로그정보수집부(10)는 활력정보를 수집하는 활력정보수집부(11)와, 근력평가정보를 수집하는 근력평가정보수집부(12)와, 인지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인지평가정보수집부(13)와, 유연성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유연성평가정보수집부(1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활력정보수집부(11)는 질의응답 방식을 통해 서비스이용대상자의 활력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이때 활력정보수집부(11)에서 수집된 서비스이용대상자의 활력정보는 운동서비스제공부(30)에서 제공하는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의 종류와 강도를 설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활력정보수집부(11)는 질의응답문을 통해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현재시점을 기준에서의 활력상태를 입력받음으로써 활력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활력정보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두 개의 결과값으로 수집하는데, 활력이 있는 상태인 경우 활력정보를 '예'로 입력받고 활력이 없는 상태인 경우 활력정보를 '아니오'로 입력받을 수 있다.
복수 개의 세부적인 질의응답문들을 통해 활력상태를 입력받게 되면 활력상태를 판별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이용대상자가 질의응답문에 대한 내용 이해도 쉽지 않으므로 하나의 질의응답문을 통해 활력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활력정보를 반복횟수로 평균한 평균 활력정보의 결과값을 산출할 때 "예"의 빈도수가 "아니오"보다 많으면 "예"가 되고 "아니오"의 빈도수가 "예"보다 "아니오"가 될 수 있다.
상기 근력평가정보수집부(12)는 근력측정도구를 통해 서비스이용대상자의 근력을 측정하여 근력평가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근력평가정보는 운동서비스제공부(30)에서 제공하는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의 종류와 강도를 설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근력측정도구는 서비스이용대상자가 수부로 파지하여 가압하는 악력을 측정하는 악력측정기, 수부로 파지하여 당기는 견인력을 측정하는 견인력측정기, 족부나 수부로 밀어내는 푸시력을 측정하는 푸시력측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력평가정보는 근력 측정 결과에 따라 세 개의 결과값인 "상급", "중급", "하급"으로 구분하여 수집될 수 있다. 근력평가정보를 반복횟수로 평균한 평균 근력평가정보의 결과값을 산출할 때 "상급"의 빈도수가 많으면 "상급"으로 되고 "중급"의 빈도수가 많으면 "중급"으로 되며 "하급"의 빈도수가 많으면 "하급"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인지평가정보수집부(13)는 인지평가문답지를 사용하여 서비스이용대상자의 인지능력에 따른 인지평가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인지평가정보는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의 종류와 강도를 설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인지평가문답지는 형상이나 색상의 차이를 통해 사물의 구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문답지, 시간에 따른 기억 지속력을 확인할 수 있는 문답지, 문제 해결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문답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지평가정보는 문답지의 문답 결과에 따른 배점에 기초화여 세 개의 결과값인 "상", "중", "하"로 구분될 수 있다. 인지평가정보를 반복횟수로 평균한 평균 인지평가정보의 결과값을 산출할 때 "상"의 빈도수가 많으면 "상"으로 되고 "중"의 빈도수가 많으면 "중"으로 되며 "하"의 빈도수가 많으면 "하"로 될 수 있다.
상기 유연성평가정보수집부(14)는 유연성측정도구를 통해 서비스이용대상자의 유연성을 측정하여 유연성평가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유연성평가정보는 운동서비스제공부(30)에서 제공하는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의 종류와 강도를 설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연성측정도구는 좌전골의 유연성을 측정하는 측정기, 목의 유연성을 측정하는 측정기, 어깨의 유연성을 측정하는 측정기, 손목과 발목의 유연성을 측정하는 측정기, 다리의 유연성을 측정하는 측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연성평가정보는 유연성측정도구를 통해 측정된 길이나 각도에 따라 세 개의 결과값인 "좋음", "중간", "나쁨"으로 구분될 수 있다. 유연성평가정보를 반복횟수로 평균한 평균 유연성평가정보의 결과값을 산출할 때 "좋음"의 빈도수가 많으면 "좋음"으로 되고 "중간"의 빈도수가 많으면 "중간"으로 되며 "나쁨"의 빈도수가 많으면 "나쁨"으로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신체기본정보수집부(20)는 서비스이용대상자의 나이정보, 성별정보, 신장정보 및 체중정보를 포함하는 신체기본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신체기본정보수집부(20)는 나이정보, 성별정보, 신장정보 및 체중정보를 서비스이용대상자의 입력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나이정보와 성별정보와 신장정보 및 체중정보는 운동서비스제공부(30)에서 제공하는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의 종류와 강도를 설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운동서비스제공부(30)는 라이프로그정보수집부(10)와 신체기본정보수집부(20)에서 각각 수집된 라이프로그정보와 신체기본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이용대상자에게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사물인터넷은 서비스이용대상자가 일상 생활을 하는 장소에 구비되어 외부적으로는 인터넷에 연결되고 내부적으로는 상호 간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장비로서, 음성을 통해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음성과 영상을 통해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물인터넷은 서비스이용대상자가 소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서비스이용대상자의 생활공간에 구비될 수 있는 컴퓨터와 키오스크와 스마트TV, 셋탑박스, 차량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운동서비스제공부(30)는 유산소운동프로그램을 적어도 3단계의 강도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유산소운동프로그램의 수행여부를 피드백 받아 관리하는 유산소운동관리부(31)와, 하지근력운동프로그램을 적어도 3단계의 강도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하지근력운동프로그램의 수행여부를 피드백 받아 관리하는 근력운동관리부(32)와, 인지능력강화프로그램을 적어도 3단계의 강도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인지능력강화프로그램의 수행여부를 피드백 받아 관리하는 인지능력관리부(33)와, 유연성능력강화프로그램을 적어도 3단계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유연성능력강화프로그램의 실행여부를 피드백 받아 관리하는 유연성능력관리부(34)로 구성될 수 있다.
운동서비스제공부(30)는 서비스이용대상자의 라이프로그정보와 신체기본정보에 기초하여 유산소운동프로그램과 하지근력운동프로그램과 인지능력강화프로그램과 유연성강화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서비스이용자대상자 개인의 건강정보에 고려한 맞춤화된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라이프로그정보를 이루는 근력평가정보, 인지평가정보 및 유연성평가정보의 결과값과, 신체기본정보를 이루는 나이정보, 성별정보, 신장정보 및 체중정보에 기초하여 유산소운동프로그램과 하지근력운동프로그램과 인지능력강화프로그램과 유연성강화프로그램을 모두 선택하고 각각의 운동프로그램의 강도를 조절한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이프로그정보를 이루는 활력정보의 결과값이 "예"인 경우 유산소운동프로그램과 하지근력운동프로그램과 인지능력강화프로그램과 유연성강화프로그램을 모두 선택한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활력정보의 결과값이 "아니오"인 경우 유산소운동프로그램과 하지근력운동프로그램을 제외하고 인지능력강화프로그램과 유연성강화프로그램만을 선택한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라이프로그정보수집부
11: 활력정보수집부
12: 근력평가정보수집부
13: 인지평가정보수집부
14: 유연성평가정보수집부
20: 신체기본정보수집부
30: 운동서비스제공부
31: 유산소운동관리부
32: 근력운동관리부
33: 인지능력관리부
34: 유연성능력관리부
100: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

Claims (4)

  1. 서비스이용대상자의 활력정보, 근력평가정보, 인지평가정보, 유연성평가정보를 포함하는 라이프로그정보를 기설정된 수집기간 동안 반복해서 수집하는 라이프로그정보수집부;
    상기 서비스이용대상자의 나이정보, 성별정보, 신장정보 및 체중정보를 포함하는 신체기본정보를 수집하는 신체기본정보수집부; 및
    상기 라이프로그정보수집부와 상기 신체기본정보수집부를 통해 각각 수집된 상기 라이프로그정보와 상기 신체기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이용대상자가 생활하는 공간 내에 마련된 사물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비스이용대상자에게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운동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프로그정보수집부는
    상기 활력정보를 수집하는 활력정보수집부와, 상기 근력평가정보를 수집하는 근력평가정보수집부와, 상기 인지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인지평가정보수집부와, 상기 유연성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유연성평가정보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활력정보수집부는
    상기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현재시점 기준에서의 활력여부에 따라 활력이 있는 '예' 또는 활력이 없는 '아니오'로 구분하여 입력받아 상기 활력정보의 결과값으로 수집하고,
    상기 근력평가정보수집부는
    상기 서비스이용대상자의 근력을 근력측정도구를 통해 측청한 근력 측정 결과에 따라 세 개의 결과값인 "상급", "중급", "하급"으로 구분하여 입력받아 상기 근력평가정보의 결과값으로 수집하며,
    상기 인지평가정보수집부는
    상기 서비스이용대상자의 인지능력을 인지평가문답지를 통해 수집한 문답 결과에 따른 배점에 기초화여 세 개의 결과값인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입력받아 상기 인지평가정보의 결과값으로 수집하고,
    상기 유연성평가정보수집부는
    상기 서비스이용대상자의 유연성을 유연성측정도구를 통해 측정한 길이나 각도에 따라 세 개의 결과값인 "좋음", "중간", "나쁨"으로 구분하여 입력받아 상기 유연성평가정보의 결과값으로 수집하며,
    상기 운동서비스제공부는
    적어도 3단계의 강도로 구분되는 유산소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상기 유산소운동프로그램의 수행여부를 피드백 받아 관리하는 유산소운동관리부와, 적어도 3단계의 강도로 구분되는 하지근력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상기 하지근력운동프로그램의 수행여부를 피드백 받아 관리하는 근력운동관리부와, 적어도 3단계의 강도로 구분되는 인지능력강화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상기 인지능력강화프로그램의 수행여부를 피드백 받아 관리하는 인지능력관리부와, 적어도 3단계의 강도로 구분되는 유연성강화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서비스이용대상자로부터 상기 유연성강화프로그램의 실행여부를 피드백 받아 관리하는 유연성능력관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운동서비스제공부는
    상기 근력평가정보와 상기 인지평가정보와 상기 유연성평가정보의 결과값과 함께 상기 신체기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활력정보의 결과값이 "예"인 경우 상기 유산소운동프로그램과 상기 하지근력운동프로그램과 상기 인지능력강화프로그램과 상기 유연성강화프로그램이 모두 선택 포함된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상기 활력정보의 결과값이 "아니오"인 경우 인지능력강화프로그램과 유연성강화프로그램만이 선택 포함된 치매예방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21049A 2019-02-22 2019-02-22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 KR102238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49A KR102238335B1 (ko) 2019-02-22 2019-02-22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49A KR102238335B1 (ko) 2019-02-22 2019-02-22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18A KR20200102718A (ko) 2020-09-01
KR102238335B1 true KR102238335B1 (ko) 2021-04-08
KR102238335B9 KR102238335B9 (ko) 2021-07-26

Family

ID=7246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049A KR102238335B1 (ko) 2019-02-22 2019-02-22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3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195B1 (ko) 2019-12-31 2022-09-27 주식회사 에스알파테라퓨틱스 경도 인지 장애와 치매 치료를 위한 디지털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EP4322174A1 (en) * 2021-04-06 2024-02-14 S-Alpha Therapeutics, Inc. Digital apparatus and application for treatment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KR102427137B1 (ko) * 2022-01-05 2022-07-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융합지표 기반의 운동프로그램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578A (ko)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향상 시스템 및 그 방법
US9798860B1 (en) * 2013-05-16 2017-10-24 Carepredic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ly determining levels of healthcare interventions
KR101534811B1 (ko) * 2013-06-18 2015-07-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98934A (ko) * 2017-02-27 2018-09-05 강원대학교병원 치매 환자 훈련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09642B1 (ko) * 2017-05-22 2019-10-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스마트 케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335B9 (ko) 2021-07-26
KR20200102718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blett et al. Quantifying the lumbar flexion–relaxation phenomenon: theory, normative data, and clinical applications
Kuhn A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shoulder instability
Wright et al. A comparison of 3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defining major clinically important improvement of 4 performance measures in patients with hip osteoarthritis
Cleland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selected tests in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Crossley et al. Analysis of outcome measures for persons with patellofemoral pain: which are reliable and valid?
KR102238335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
Valovich McLeod et al. Using disablement models and clinical outcomes assessment to enable evidence-based athletic training practice, part II: clinical outcomes assessment
Tajali et al. Predicting falls among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comparison of patient-reported outcomes and performance-based measures of lower extremity functions
Mannion et al. Predictors of surgical outcome and their assessment
Ostelo et al. 24-item Roland-Morris Disability Questionnaire was preferred out of six functional status questionnaires for post-lumbar disc surgery
Ross et al. Assessment tools for identifying functional limitations associated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Cleland et al. Predictors of short-term outcome in people with a clinical diagnosis of cervical radiculopathy
Peer et al. The Knee Injury and Osteoarthritis Outcome Score (KOOS): a review of its psychometric properties in people undergoing total knee arthroplasty
US67418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degree of neuronal impairment in brain cortex
JP2009541863A (ja) 痴呆および痴呆型障害を分析および評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Rabin et al.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physical examination tests that may predict the outcome or suggest the need for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Olsen et al. Rater agreement on gait assessment during neurologic examination of horses
DeBerardinis et al. Assessing the validity of pressure-measuring insoles in quantifying gait variables
Halvorsen et al. Endurance and fatigue characteristics in the neck muscles during sub-maximal isometric test in patients with cervical radiculopathy
Müller et al. Advantages and problems of nonlinear methods applied to analyze physiological time signals: human balance control as an example
Arch et al. Step count accuracy of StepWatch and FitBit One™ among individuals with a unilateral transtibial amputation
Rose-Dulcina et al. Asymmetry of lumbar muscles fatigability with non-specific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Chiu et al. Assessment of psychometric properties of various balance assessment tools in persons with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Plummer et al. A concise shoulder outcome measure: application of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to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houlder Assessment
Hinton et al. Outcome measures and their everyday use in chiropractic pract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