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099B1 - 소음 저감 패드 - Google Patents
소음 저감 패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8099B1 KR102238099B1 KR1020190040661A KR20190040661A KR102238099B1 KR 102238099 B1 KR102238099 B1 KR 102238099B1 KR 1020190040661 A KR1020190040661 A KR 1020190040661A KR 20190040661 A KR20190040661 A KR 20190040661A KR 102238099 B1 KR102238099 B1 KR 1022380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material
- noise reduction
- elastic member
- reduction pad
- adhesive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 저감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 저감 패드는 설정 면적 및 설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구조로 제공되는 모재; 및 상기 모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흡수층을 포함하되; 상기 흡수층은, 상기 모재의 위쪽에 위치되는 흡수 어셈블리; 및 상기 모재의 위쪽 공간에 설정 두께 형성되어, 상기 흡수 어셈블리가 고정되게 하는 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 어셈블리는 원통 형상의 코일 구조로 제공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음 저감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안정한 구조를 가지고 위쪽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소음 저감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 등의 2층 이상 건축물의 통상적인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슬래브(slab)를 건물의 층수에 따라 시공하여 기초공사를 완료한 다음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난방 배관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자갈과 시멘트 몰탈을 소정두께로 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아파트, 고층빌딩 등과 같은 적층식 다층 건물의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slab)는 콘크리트만으로 시공됨에 따라 건물의 해당층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 층간 슬래브를 통하여 바로 아래층으로 전달된다. 또한, 공장 등과 같은 생산 시설에는, 시설 내부공간에 기계 설비 등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기계 설비는 동작 과정에서 진동을 야기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진동을 저감하는 시설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안정한 구조를 가지고 위쪽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소음 저감 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마모 발생이 저감되는 소음 저감 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층과 층 사이의 박리가 저감되는 소음 저감 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정 면적 및 설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구조로 제공되는 모재; 및 상기 모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흡수층을 포함하되; 상기 흡수층은, 상기 모재의 위쪽에 위치되는 흡수 어셈블리; 및 상기 모재의 위쪽 공간에 설정 두께 형성되어, 상기 흡수 어셈블리가 고정되게 하는 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 어셈블리는 원통 형상의 코일 구조로 제공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소음 저감 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길이 방향이 상기 모재의 상면과 나란하게 위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복수가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는 그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끼워지는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재와 상기 흡수층 사이에 위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층은, 상기 흡수 어셈블리의 아래쪽에 위치되고,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는 보조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정한 구조를 가지고 위쪽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소음 저감 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마모 발생이 저감되는 소음 저감 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층과 층 사이의 박리가 저감되는 소음 저감 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 저감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방향에 따른 도 1의 소음 저감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와 수직한 방향에 따른 도 1의 소음 저감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음 저감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방향에 따른 도 1의 소음 저감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와 수직한 방향에 따른 도 1의 소음 저감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음 저감 패드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 저감 패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일 방향에 따른 도 1의 소음 저감 패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와 수직한 방향에 따른 도 1의 소음 저감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소음 저감 패드(10)는 모재(100) 및 흡수층(200)을 포함한다.
모재(100)는 설정 면적 및 설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구조로 제공된다. 모재(100)의 면적은 시공 대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모재(100)는 금속 소재, 합성 수지 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모재(100)는 철강 소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모재(100)는 체결 부재(110)에 의해 소음 저감 패드(10)의 시공 대상이 되는 구조물(F)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모재(100)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구조물(F)에 고정될 수 있다.
흡수층(200)은 모재(100)의 상면에 형성된다. 흡수층(200)은 위쪽에서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의 발생을 저감 시킨다.
흡수층(200)은 흡수 어셈블리(210), 보조 흡수 부재(220) 및 충진부(230)를 포함한다.
흡수 어셈블리(210)는 탄성 부재(211) 및 연결 부재(212)를 포함한다.
이하, 탄성 부재(211)의 길이 방향을 제1 방향(X)이라 하고,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과 수직한 방향을 제2 방향(Y)이라 하고,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수직한 상하 방향을 제3 방향(Z)이라 한다.
탄성 부재(211)는 원통 형상의 코일 구조로 제공된다. 탄성 부재(211)는 길이 방향이 모재(100)의 상면과 나란하게 제1 방향(X)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탄성 부재(211)는 성글게 권선 되어, 외측에 나선 형상의 틈이 형성되게 제공된다. 탄성 부재(211)는 금속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성 부재(211)는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된다. 제2 방향(Y)으로 인접하게 배열된 2개의 탄성 부재(211)는 서로 제2 방향(Y)으로 끼워지는 구조로 배열된다. 하나의 탄성 부재(211)가 다른 하나의 탄성 부재(211) 내측으로 삽입되는 거리는 탄성 부재(211)를 이루는 라인의 두께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탄성 부재(211)가 다른 하나의 탄성 부재(211) 내측으로 삽입되는 거리는 탄성 부재(211)의 권선 반경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방향(X)을 향해 바라보면, 서로 끼워진 탄성 부재(211)의 내측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향(Y)으로 인접하게 배열된 2개의 탄성 부재(211)는 권선 방향이 서로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탄성 부재(211)는 상하 방향으로 링 형상을 갖도록 제공되어, 형상의 변형이 최소화되면서 위쪽에서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충격 흡수 과정에서 발생한 형상 변형이 복원된다.
연결 부재(212)는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어, 서로 끼워진 탄성 부재(211)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탄성 부재(211)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 부재(212)의 두께는 서로 끼워진 탄성 부재(211)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탄성 부재(211)는 인접한 다른 탄성 부재(211)에 대해 제2 방향(Y)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게 연결될 수 있다.
흡수 어셈블리(210)의 아래쪽에는 보조 흡수 부재(220)가 위치될 수 있다. 보조 흡수 부재(220)는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고, 길이 방향이 탄성 부재(21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도록 위치된다. 일 예로, 보조 흡수 부재(220)는 길이 방향이 제2 방향(Y)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보조 흡수 부재(220)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 제공된다. 보조 흡수 부재(220)는 내측이 비어 있는 배관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보조 흡수 부재(220)는 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 수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소음 저감 패드(10)는 모재(100)가 제공되면, 그 상면에 보조 흡수 부재(220)를 위치시키고, 보조 흡수 부재(220)의 상면에 흡수 어셈블리(210)를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보조 흡수 부재(220)는 모재(100)로 전달되는 충격을 추가적으로 흡수한다.
충진부(230)는 모재(100)의 위쪽 공간에 제3 방향(Z)으로 설정 두께 형성된다. 충진부(230)는 탄성을 갖도록 제공되어, 흡수 어셈블리(210)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일 예로, 모재(100)의 상면에 보조 흡수 부재(220), 흡수 어셈블리(210)가 위치된 후, 충진부(230)는 구성 물질이 설정 높이까지 채워 진후,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충진부(230)는 흡수 어셈블리(210)의 하부가 위치된 영역까지 형성되어, 흡수 어셈블리(210)가 설정 위치에 고정되게 한다. 충진부(230)는 흡수 어셈블리(210)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까지 형성되어, 흡수층(200)은 충진부(230)의 상면으로 흡수 어셈블리(210)의 상부가 노출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충진부(230)는 탄성 부재(211)의 상단 내면 높이까지 형성되어, 탄성 부재(211)의 상단은 충진부(230) 밖으로 노출되고, 탄성 부재(211)의 상단 내면은 충진부(230)의 상면에 지지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소음 저감 패드(10)의 위쪽에 물체가 위치될 때, 탄성 부재(211)의 상단에 의해 물체가 충진부(230)와 접하는 것이 방지되어, 충진부(230)의 마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 서로 인접한 탄성 부재(211)는 제2 방향(Y)으로 서로 끼워지는 구조로 제공되어, 탄성 부재(211)들의 상단부는 제2 방향(Y)으로 서로 접하거나, 이격된 거리가 작게 형성된다. 또한, 서로 인접한 탄성 부재(211)는 권선 방향이 반대로 제공되어, 충진부(230)의 위쪽으로 노출된 탄성 부재(211)의 상단부들은 제2 방향(Y)으로 인접한 것들 사이에, 제1 방향(X) 위치가 서로 상이하고, 위쪽에서 바라볼 때 연장 방향이 서로 교차하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211)의 상단부들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균일하게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소음 저감 패드(10)의 위쪽에 물체가 위치될 때, 물체가 충진부(230)와 접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충진부(230)는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재와 규사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예로, 합성 수지재는 우레탄 수지, 고분자 화합물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합성 수지재는 후술할 제2 접착층과 동일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모재(100)와 흡수층(200) 사이에는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소음 저감 패드(10)는 모재(100)의 상면에 접착층을 형성한 후, 접착층의 상면에 보조 흡수 부재(220)를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접착층은 모재(100)와 흡수층(200)을 결합력을 향상시켜, 흡수층(200)이 모재(100)에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접착층은 제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로 제1 접착층은 모재(100)가 상온 이상으로 가열된 상태에서 도포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재(100)로 제공되는 강재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만들어 진 후, 온도가 상온으로 냉각되기 전에 제1 접착층의 도포가 이루어 진다. 제1 접착층은 실리콘, 실리콘 수지 및 아연말을 포함한다. 제1 접착층은 자일렌, 톨루엔, 에틸벤젠, O-크실렌 등과 같은 유기 용매에 용해된 상태로 모재(100)에 도포된 후, 건조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착층은 제1 접착층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2 접착층은 실리콘 수지, 탈크 알루미늄를 포함한다. 제2 접착층은 자일렌, 에틸벤젠 등과 같은 유기 용매에 용해된 상태로 도포된다. 제2 접착층의 도포에 앞서, 제1 접착층은 도포 후 설정 시간 방치되어, 경화된 상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접착층은 모재(100)가 상온인 상태에서 도포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때, 제1 접착층은 우레탄을 포함한다. 제1 접착층은 자일렌, 톨루엔, 탄산 다이메틸 및 아세트산 에틸 등과 같은 유기 용매에 용해된 상태로 모재(100)에 도포된 후, 건조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후, 제2 접착층은 폴리우레탄 수지, 삼산화 이크로뮴, 폴리프로필렌 트리올을 포함하는 것이 도포된다. 제2 접착층은 제올라이트, 자일렌 등과 같은 유기 용매에 용해된 상태로 제1 접착층의 상면에 도포된다. 제2 접착층의 도포에 앞서, 제1 접착층은 설정 시간 방치되어, 경화된 상태일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음 저감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방향(Y)으로 인접하게 배열된 2개의 탄성 부재(211)는 권선 방향이 서로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쪽에서 바라볼 때, 충진부(230)의 위쪽으로 노출된 탄성 부재(211)의 상단부들은 연장 방향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모재 200: 흡수층
210: 흡수 어셈블리 211: 탄성 부재
212: 연결 부재 220: 보조 흡수 부재
230: 충진부
210: 흡수 어셈블리 211: 탄성 부재
212: 연결 부재 220: 보조 흡수 부재
230: 충진부
Claims (5)
- 설정 면적 및 설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구조로 제공되는 모재; 및
상기 모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흡수층을 포함하되;
상기 흡수층은,
상기 모재의 위쪽에 위치되는 흡수 어셈블리; 및
상기 모재의 위쪽 공간에 설정 두께 형성되어, 상기 흡수 어셈블리가 고정되게 하는 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 어셈블리는 원통 형상의 코일 구조로 제공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부재는 길이 방향이 상기 모재의 상면과 나란하게 위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복수가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는 그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끼워지는 구조로 배열되는 소음 저감 패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와 상기 흡수층 사이에 위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소음 저감 패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상기 흡수 어셈블리의 아래쪽에 위치되고,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는 보조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음 저감 패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0661A KR102238099B1 (ko) | 2019-04-08 | 2019-04-08 | 소음 저감 패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0661A KR102238099B1 (ko) | 2019-04-08 | 2019-04-08 | 소음 저감 패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8579A KR20200118579A (ko) | 2020-10-16 |
KR102238099B1 true KR102238099B1 (ko) | 2021-04-07 |
Family
ID=7303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0661A KR102238099B1 (ko) | 2019-04-08 | 2019-04-08 | 소음 저감 패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809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9649Y1 (ko) * | 2006-03-23 | 2006-06-23 | 대륙화학공업 주식회사 | 공동주택 바닥 충격음 차단재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783688B1 (ko) * | 2017-08-09 | 2017-10-10 | 이상억 | 공동주택용 현관 바닥의 소음방지 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3291A (ko) * | 2013-11-30 | 2015-06-09 | 김경중 | 층간 진동 흡수 블록 |
-
2019
- 2019-04-08 KR KR1020190040661A patent/KR1022380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9649Y1 (ko) * | 2006-03-23 | 2006-06-23 | 대륙화학공업 주식회사 | 공동주택 바닥 충격음 차단재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783688B1 (ko) * | 2017-08-09 | 2017-10-10 | 이상억 | 공동주택용 현관 바닥의 소음방지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8579A (ko) | 2020-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1550B1 (ko) |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패널 | |
KR101860050B1 (ko) |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및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설치 공정 | |
CN102027175A (zh) | 用于建造具有改善的隔声性能的地板的模块化隔声复合体及其实施方法 | |
EP3040496B1 (en) | Structure reinforcement system and method | |
KR102238099B1 (ko) | 소음 저감 패드 | |
KR101301143B1 (ko) | 필로티 구조물의 내진보강구조 | |
KR100833656B1 (ko) |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 |
US10480611B2 (en) | Method for improved semiconductor processing equipment tool pedestal / pad vibration isolation and reduction | |
KR101323589B1 (ko) | 진동차단을 위한 일체형 주상복합 전이층 구조 | |
US20220412102A1 (en) | Impact-absorbing device and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by using same | |
JP2013147930A (ja) | 制振建物 | |
KR101323587B1 (ko) | 진동차단을 위한 일체형 주상복합 전이층 구조 | |
KR100739877B1 (ko) |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물 | |
KR100920200B1 (ko) | 제진합판을 사용한 플라이우드패널 방식의 이중바닥 시스템 | |
WO2017103729A1 (en) | Anti-seismic connection joint | |
KR101786165B1 (ko) | 층간 소음 차단 성능이 우수한 다공성 폴리우레탄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물의 바닥 구조 | |
KR101748870B1 (ko) |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 공법 | |
JPH071369Y2 (ja) | 免震装置の耐火被覆構造 | |
US10041267B1 (en) | Seismic damping systems and methods | |
JP6818462B2 (ja) | 耐火構造 | |
KR200495636Y1 (ko) | 콘크리트 및 미장층 균열 방지판 | |
JP2010112013A (ja) | 制振建物 | |
KR102316412B1 (ko) | 댐핑이 추가된 면진시스템 | |
JP6996688B2 (ja) | 免震装置の耐火被覆構造 | |
JP2023082349A (ja) | 間仕切り壁構成体及び間仕切り壁の設置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