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088B1 - 화염 제초기 - Google Patents

화염 제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088B1
KR102238088B1 KR1020200027375A KR20200027375A KR102238088B1 KR 102238088 B1 KR102238088 B1 KR 102238088B1 KR 1020200027375 A KR1020200027375 A KR 1020200027375A KR 20200027375 A KR20200027375 A KR 20200027375A KR 102238088 B1 KR102238088 B1 KR 102238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heat transfer
gas
gas cylinder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남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랭
Priority to KR102020002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1/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unwanted vegetation, e.g. weeds
    • A01M21/04Apparatus for destruction by steam, chemicals, burning, or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5/00Flame-throwers specially adapted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화염 제초기가 개시되며, 상기 화염 제초기는, 가스통이 거치되고,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프레임 구조체;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통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화염을 분사하는 복수의 화염분사기; 상기 가스통 내의 가스가 상기 복수의 화염분사기 각각으로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가스 이동 유로 형성부; 상기 복수의 화염분사기의 하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복수의 화염분사기를 감싸되, 상면에 상기 복수의 화염분사기의 화염에 의해 가열된 기체의 적어도 일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 구조체; 열 전달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 상측을 지나는 가열 부분, 상기 가스통을 감싸는 열 전달 부분, 상기 가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 전달 부분으로 연장되는 유입 부분 및 상기 열 전달 부분으로부터 상기 가열 부분으로 연장되는 배출 부분을 포함하는 유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열 전달 유체는 상기 가열 부분을 통과하며 가열되어, 상기 가스통에 열이 전달되도록 상기 열 전달 부분을 지나, 상기 유입 부분을 통해 상기 가열 부분으로 유입된다.

Description

화염 제초기{FLAME WEEDER}
본원은 화염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 또는 농로에 불필요한 잡초가 자라게 되면 작물의 생장에 방해가 되며, 사람의 이동에도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잡초들을 제거하는 것이 경작에 유리한데, 종래에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하여 화학적 화합물인 독성이 강한 액체성분의 제초제를 물에 희석시켜 잡초가 무성하게 자란 토양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뿌림으로써 잡초를 제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제초제는 인체 및 농작물에 매우 치명적인 것으로 인체에 닿을 경우 피부에 극심한 손상을 입히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생명의 위협까지 초래할 뿐만 아니라, 농작물에 닿을 경우 농작물이 썩거나 말라 죽어버릴 뿐만 아니라, 토양에 뿌려진 제초제가 토양 속으로 스며들어 토양의 황폐화 및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열제초기'가 등록실용신안 제20-0214117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화열제초기'는, 동체의 상부면의 적정위치에 메인밸브를 용접하여 형성하되, 메인밸브의 양측으로는 엘피지가스를 주입하는 주입구와 엘피지가스를 송출할 수 있는 송출구를 형성하며 상부로는 메인잠금레버를 형성하고; 상기의 송출구에는 엘피지 가스를 이송하는 이송관을 결합하여, 이송관의 일측단부에는 분사부재를 연결하여 결합하되, 분사부재는 손잡이와 가스량조절레버와 자동불꽃점화장치를 형성하고 손잡이의 일측으로 가스분사관과 통공이 형성된 화구를 연설하여 형성하며; 상기의 동체의 전방 상부의 중앙부와 하부의 양측으로 상,하부걸림 고리를 형성하여 멜빵을 걸어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은 화구를 통해 분사되는 불꽃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잡초 및 풀씨, 병충해의 근원인 해충이나 해충알을 박멸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별도의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고도 제초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불필요한 보호구의 착용으로부터 번거로움을 없애주어 제초작업의 시간과 노동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사용자가 동체를 어깨에 메고, 분사부재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화구 방향을 일일이 옮겨가며 제초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동체를 어깨에 메야 해 사용이 불편하고, 온도가 낮은 겨울에 가스가 냉각되는 측면이 있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낮은 온도에서 가스통 속의 가스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염 제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화염 제초기는, 가스통이 거치되고,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프레임 구조체;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통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화염을 분사하는 복수의 화염분사기; 상기 가스통 내의 가스가 상기 복수의 화염분사기 각각으로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가스 이동 유로 형성부; 상기 복수의 화염분사기의 하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복수의 화염분사기를 감싸되, 상면에 상기 복수의 화염분사기의 화염에 의해 가열된 기체의 적어도 일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 구조체; 열 전달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 상측을 지나는 가열 부분, 상기 가스통을 감싸는 열 전달 부분, 상기 가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 전달 부분으로 연장되는 유입 부분 및 상기 열 전달 부분으로부터 상기 가열 부분으로 연장되는 배출 부분을 포함하는 유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열 전달 유체는 상기 가열 부분을 통과하며 가열되어, 상기 가스통에 열이 전달되도록 상기 열 전달 부분을 지나, 상기 유입 부분을 통해 상기 가열 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가스통이 거치되는 프레임 구조체가 바퀴의 구름운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시키며 간단하게 제초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화염 제초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화염분사기에 의해 가열되는 기체를 배출구로 배출시키고,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에 열 전달 유체가 흐르는 유로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하여, 열 전달 유체를 화염분사기에 의해 가열되는 기체로 가열하여 가스통에 열을 전달하게 함으로써, 가스통 내의 가스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가스사용량이 많아질수록 가스 특성상 냉각이 진행된다. 특히, 저온에서는 냉각되는 시간이 급속히 빨라지므로 가스 압력이 저하되어 화염이 약해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스 효율이 좋아지고, 사용성이 증가되는 화염 제초기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가스통덮개가 개방된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제2 관 부재에 의한 화염분사기의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높이조절부에 의한 프레임 구조체의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 측면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회동판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 측면도이다.
도 8은 일부 구성의 도시가 생략된 전동 구동형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회동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일부 구성의 도시가 생략된 전동 구동형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를 예시적으로 개략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0 및 도 11는 일부 구성의 도시가 생략된 전동 구동형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부, 상단, 하측, 하부, 하단, 전방, 전단, 후방 후단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6 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상단,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하단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전단,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후단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화염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제초 분야, 소독/방역 분야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먼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이하 '본 화염 제초기'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가스통덮개가 개방된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제2 관 부재에 의한 화염분사기의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높이조절부에 의한 프레임 구조체의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 측면도이며,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회동판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화염 제초기는 프레임 구조체를 포함한다. 프레임 구조체(100)에는 가스통(30)이 거치되고, 프레임 구조체(100)의 하부에는 바퀴(10)가 구비된다. 바퀴(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3개 또는 4개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100)은 가스통(30)이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사용자 끌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하부에 바퀴(1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프레임 구조체(100)는 한 쌍의 길이 방향 프레임(110)(이를 테면, 한 쌍의 길이 방향 프레임(110)은 가스통(30)의 두께(넓이) 이하만큼 이격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음), 수평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길이 방향 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20)(참고로, 수평프레임(120)은 후술하는 보조바퀴(20)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길이 방향 프레임(110)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되, 후단이 전단보다 높도록 비스듬하게 배치, 다시 말해, 상부가 하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 프레임(110)의 상단(후단)에는 사용자가 프레임 구조체(100)을 끌고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 구조체(100)는 한 쌍의 길이 방향 프레임(110) 사이에 구비되어, 가스통(30)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가스통(30)이 안착되는 안착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구조체(100)는 한 쌍의 길이 방향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안착프레임(140)의 하부에 구비되되, 안착프레임(140)과 대향되도록 위치하여 가스통(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프레임(140)과 이탈방지프레임(150)은 가스통(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가스통(30)의 외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 구조체(100)는 길이 방향 프레임(110)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후술하는 화염덮개(500)가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6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160)에는 복수의 화염분사기(300)의 상부 및 지지프레임(400)을 감싸며 위치하여 화염분사기(300)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바람막이 기능을 수행하는 커버 구조체(5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 구조체(100)는 후술하는 가스 이동 유로 형성부의 제2 관 부재(200)가 거치되고 고정되는 거치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18)는 길이 방향 프레임(11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거치대(180)에는 각각이 거치대(18)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함몰되는 제1거치홈(181)과 제2거치홈(182)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 부재(200)은 거치대(180)로부터 분리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 후, 제1거치홈(181) 또는 제2거치홈(182)에 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스 이동 유로 형성부와 연결되는 화염분사기(30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부에는 가스통(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가스통덮개(90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스통덮개(900)는 가스통(30)의 전방을 향하는 부분을 감싸며 한 쌍의 길이 방향 프레임(110)에 고정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스통덮개(900)의 상부와 가스통덮개(900)의 하부는 힌지(9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을 참조하면, 가스통덮개(900)의 상부는 가스통덮개(900)의 하부에 대해 힌지(910)에 의해 회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가스통(30)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는 도시가 생략되었지만,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길이 방향 프레임(110)에는 화염분사기(300)를 통해 화염을 분사하는 과정에서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소화기(4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화염 제초기는 복수의 화염분사기(300)를 포함한다. 복수의 화염분사기(300)는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방에 구비되어 가스통(30)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화염을 분사한다.
본 화염 제초기는 가스통(30) 내의 가스가 복수의 화염분사기(300) 각각으로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가스 이동 유로 형성부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스 이동 유로 형성부는 프레임 구조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화염분사기(300)가 구비되는 제1 관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 부재(400)는 후술하는 제2 관 부재(200)의 끝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화염분사기(30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2 관 부재(200)을 통해 이동하는 가스가 다수의 화염분사기(300) 각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가스분기관(41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화염분사기(300)는 제1 관 부재(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제1 관 부재(400)의 통로를 통해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화염 제초기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1 관 부재(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화염분사기(300)에 의해 화염 분사가 이루어져 제초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넓은 범위가 한번에 커버되며 간단하게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가스 이동 유로 형성부는 가스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가스통(30)과 제1 관 부재(400)를 연통시키는 제2 관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 부재(200)는 가스통(30)과 연결되며, 가스통(30)에 충진된 가스가 제1 관 부재(400)로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관 부재(20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가스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절레버(210)가 구비된다. 조절레버(210)에 의한 조절에 따라 제1 관 부재(400)로 유입되는 가스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2 관 부재(200)는 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비스듬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관 부재(200)의 상단(후단)은 거치대(18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관 부재(200)의 상부를 거치대(180)로부터 분리(탈거)하여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움직인) 후, 제1거치홈(181) 또는 제2거치홈(182)에 거치시킴으로써, 화염분사기(300)의 각도(화염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관 부재(200)가 제1거치홈(181)에 거치된 상태에서 제2 관 부재(200)을 거치대(180)로부터 분리하여 상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2거치홈(182)에 거치하는 경우, 제1거치홈(181)과 제2거치홈(182)의 이격된 거리만큼 화염분사기(300)의 각도가 변화하게 되어 사용자 필요에 따라 화염분사기(300)가 조절될 수 있고, 이러한 각도 조절에 따라, 제초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염분사기(300)는 제1 관 부재(400)에 고정된 상태로 제2 관 부재(200)와 연결 설치되며, 조절레버(210)의 조작에 의해 화염을 분사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본 화염 제초기를 끌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초 범위가 넓게 형성되도록, 다시 말해, 본 화염 제초기의 화염분사기(300)가 넓은 범위를 한번에 커버하며 간단하게 제초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다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1 관 부재(4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화염분사기(30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관 부재(200)의 일단(후단)이 거치대(180)로부터 분리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 제2 관 부재(200)의 끝단에 결합된 제1 관 부재(400)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제1 관 부재(400)에 고정 설치된 다수의 화염분사기(300)가 함께 회전하며 각도 변화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또한, 화염분사기(300)의 끝단에는 화염의 정상적인 분사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확인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에 작업을 하는 경우, 화염이 정상적으로 분사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데, 화염분사기(300)의 끝단에 위치하는 확인부(310)가 빨갛게 달아오르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화염의 정상 분사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한편, 화염분사기(300)의 불꽃 점화에 의해 화염을 분사시키는 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화염 제초기는 복수의 화염분사기(300)의 하측이 개방되도록 복수의 화염분사기(300)를 감싸되, 상면에 복수의 화염분사기(300)의 화염에 의해 가열된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690)가 형성되는 커버 구조체(50)를 포함한다. 커버 구조체(50)는 화염분사기(300)의 열 손실을 방지하고 바람막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 구조체(50)는 고정프레임(160)에 결합(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커버 구조체(50)는 후방 커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커버부(500)는 하측이 개방되도록, 제1 관 부재(400)와 복수의 화염분사기(300)의 상부를 감싸고, 상면에는 제2 관부재(200)가 통과하는 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홀(510)은 전술한 제2 관 부재(200)의 각도 조절시(제2 관 부재(200)의 후단의 높이 조절시) 제2 관 부재(200)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형태(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51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 커버부(500)는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단부와 연결(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커버부(500)는 프레임 구조체(100)의 고정프레임(16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커버부(500)의 내부(후방 커버부(500)의 상면의 하측)에는 제1 관 부재(400)가 위치할 수 있는데, 제1 관 부재(400)로부터 가스통으로 연결되는 제2 관 부재(200)는 홀(510)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후방 커버부(500)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본 화염 제초기를 끌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바닥면에 접촉되며 제초 작업을 진행한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52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화염 제초기의 이동시 표시부(520)는 바닥면에 접촉되어 본 화염 제초기의 이동에 따라 바닥면을 따라 끌리면서 바닥면에 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5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덮개(500)의 내부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몸체(521), 몸체(521)에 삽입되며 스프링(S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탄성지지체(5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면에 접촉되는 탄성지지체(522)는 스프링(S1)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염 제초기를 끌고 전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표시부(520)에 가해지는 상향 압력에 따라 스프링(S1)의 탄성 거동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520)는 탄성지지체(522)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대비 본 화염 제초기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표시를 할 수 있다. 이를 테면, 표시부(520)는 스프링(S1)에 의해 작용되는 외력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표시부(520)와 바닥면의 간섭(이를 테면, 표시부(520)가 바닥면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며 바닥면에 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체(522)는 바닥면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그 중앙부가 제2스프링(S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테면, 탄성지지체(522)는 두 개의 유닛으로 구분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두 개의 탄성지지체(522) 사이에 제2스프링(S2)이 구비되며, 두 개의 탄성지지체(522)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커버 구조체(50)는 전방 커버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커버부(600)는 후방 커버부(500)의 상면과 간격을 두고 후방 커버부(500)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면, 상면의 전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면 및 상면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커버부(600)의 한 쌍의 측면 각각은 후방 커버부(500)의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전방 커버부(600)의 양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후방 커버부(500)의 양 측면(530) 각각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커버부(600)의 한 쌍의 측면 각각은 후방 커버부(500)의 한 쌍의 측면 각각과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테면, 도 1을 참조하면, 후방 커버부(500)의 양측면(530) 각각에는 전방 커버부(600)의 양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1결합홀(5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커버부(600)의 양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후방 커버부(500)의 양 측면(530) 각각과 대향할 수 있는데(예를 들어, 전방 커버부(600)의 양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후방 커버부(500)의 양 측면(530)의 외측 상에 위치할 수 있음), 전방 커버부(600)의 양 측면에는 제1 결합홀(531)과 대향하며 제1 결합홀(531)과 연통되는 제2 결합홀(6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부가 제2 결합홀(620)에 결합되는 핀은 제1 결합홀(531)을 통과하며 배치되어 제1 결합홀(531)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핀의 제1 결합홀(531)에 대한 회전에 의해 전방 커버부(600)는 후방 커버부(5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커버부(500)의 한 쌍의 측면 각각 및 전방 커버부(600)의 한 쌍의 측면 각각에는 전방 커버부(600)의 후방 커버부(500)에 대한 상대적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홀(532) 및 제2 가이드 홀(6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홀(532)은 장공 형상일 수 있다. 또한, ,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홀(532) 및 제2 가이드 홀(620)에는 핀 부재(이를 테면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데, 핀 부재는 제1 가이드 홀(532) 또는 제2 가이드 홀(6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이를 테면, 핀 부재는 제2 가이드 홀(620)에 고정되고, 전방 커버부(600)의 후방 커버부(500)에 대한 상대적 회전시 장공 형상인 제1 가이드 홀(53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 커버부(600)의 후방 커버부(500)에 대한 상대적 회전에 대한 가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후방 커버부(500)의 한 쌍의 측면 각각은, 본 화염 제초기의 이동 중 바닥면과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선단부의 하부 및 말단부의 하부 각각이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방 커버부(600)에 의해 화염분사기(300)의 양측면이 폐쇄될 수 있기 때문에, 화염이 측면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제초 작업 과정에서 화염이 커버 구조체 내의 잡초에만 집중적으로 분사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어, 효율적인 제초 작업 진행이 가능하다.
또한, 전방 커버부(600)의 상면과 후방 커버부(500)의 상면 사이에 배출구(69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 커버부(600)의 상면은 후방 커버부(500)의 상면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는데, 간격이 배출구(690)일 수 있다. 화염분사기(300)의 열기(화염분사기(300)가 분사한 화염에 의해 가열된 기체)의 적어도 일부는 배출구(69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화염 제초기는 유로 부재(60)를 포함한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로부재(60)는 배출구(690) 상측을 지나는 가열 부분(61), 가스통(30)을 감싸는 열 전달 부분(62), 상기 가열 부분(6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 전달 부분(62)으로 연장되는 유입 부분(64) 및 열 전달 부분(62)으로부터 가열 부분(61)으로 연장되는 배출 부분(63)을 포함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열 전달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열 전달 유체는 가열 부분(61)을 통과하며 가열되어, 유입 부분(64)을 지나 열 전달 부분(62)으로 유입되고, 가스통(30)에 열이 전달되도록 열 전달 부분(62)을 지나, 유입 부분(63)을 통해 가열 부분(6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열 전달 유체는 가열 부분(61), 유입 부분(64), 열 전달 부분(62) 및 배출 부분(63)을 따라 이동하며 유로 부재(60)를 순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 전달 유체는 가열 부분(61)을 통과할 때, 배출구(690)를 통해 배출되는 화염분사기(30)에 의해 가열된 기체에 의해 가열될 수 있고, 이후 열 전달 부분(62)으로 이동하여 가스통(30)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가스통(30)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열 전달 유체는 냉각(온도 저하)될 수 있는데, 배출 부분(63)을 통해 가열 부분(61)으로 다시 유입되어 가열될 수 있고,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종래의 화염 제초기 사용시, 가스사용량이 많아 가스가 빠르게 냉각되는 경우(겨울철과 같은 저온 환경에서는 특히 냉각이 빨리 됨), 화염분사기(300)로의 가스의 이동성이 저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염 분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본 화염 제초기는 화염분사기(300)에 의해 가열되는 기체를 배출구(690)로 배출시키되, 배출되는 가열된 기체를 이용하여 열 전달 유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열 전달 유체의 열기로 가스통의 가스 냉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겨울철에는 특히 냉각이 빨리 되므로, 가스통(30) 내의 높낮이 조절 방식 관련하여, 스크류 방식과 핀 방식(수동식), 그리고 유압실린더 방식(예를 들면 전동구동식) 중 사용이 보다 편리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열 전달 부분(62)이 감싸는 가스통(30)의 영역은 가스통(30)의 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열 전달 부분(62)은 적어도 가스통(30)의 하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감쌀 수 있다. 가스통(30) 내의 가스 충진율이 낮을 수록, 가스통(30) 내의 가스의 냉각이 심해질 수 있고, 가스 이동성이 더욱 낮을 수 있다. 또한, 가스통(30) 내의 가스 충진율이 낮을 때, 잔여하는 가스?z 가스통(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화염 제초기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가스통(30)의 하부에 잔여된 가스의 이동성이 증가되도록, 열 전달 부분(62)이 가스통(30)의 하부를 감싸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입 부분(64)은 가열 부분(61)으로부터 연장되어 열 전달 부분(62) 중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연결될 수 있고, 배출 부분(63)은 열 전달 부분(62) 중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 부분(61)에서 가열되어 상승하려는 경향을 갖게 된 열 전달 유체는 상승하려는 경향에 의해 유입 부분(64)을 따라 이동하여 열 전달 부분(62) 중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통해 열 전달 부분(62)에 유입될 수 있고, 이후, 열 전달 부분(62)을 따라 이동하여 열을 전달하며 냉각되어 하향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질 수 있고, 하향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전달 부분(62)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후, 뒤따라 오는 열 전달 유체에 의해 밀려서 배출 부분(63)을 통과해 가열 부분(6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화염 제초기는 열 전달 유체의 경향을 이용해 열 전달 유체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참고로, 열 전달 유체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화염 제초기는, 유로 부재 내에서의 열 전달 유체의 순환을 가이드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로 부재(60)에는 압력 안전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화염 제초기는 서머스텟(thermostat)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머스텟부는 열 전달 부분(62)을 통과하는 열 전달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열 전달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열 전달 유체의 열 전달 부분(62)으로의 유입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머스텟부는 열 전달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열 전달 유체의 순환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온도(이를 테면, 여름) 본 화염 제초기를 사용하는 경우, 가스통(30)에 열이 과도하게 전달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화염 제초기는 열 전달 부분(62)을 통과하는 열 전달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가스통(30)에 대한 열 전달을 중단하기 위해 열 전달 유체의 열 전달 부분(62)으로의 유입을 중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 전달 부분(62)의 통로의 일부에는 열 전달 부분(62)을 통과하는 열 전달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서머스텟부는 외부의 온도(이를 테면, 가스통(30)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외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열 전달 유체의 열 전달 부분(62)으로의 유입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구조체(100)는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높도록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구조체(100)의 후단부는 프레임 구조체(100)의 기울어지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스통(30)에 잔여하는 가스량에 따라, 가스가 가스 이동 유로 형성부로 더 잘 유입되도록, 가스통(30)의 기울기가 조절될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프레임 구조체(100)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화염 제초기는 프레임 구조체(100)의 후단부의 높이 즉, 수직프레임(110)의 기울어지는 정도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700)는 뒷바퀴를 지지하는 바퀴지지판(170)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관(710), 고정관(710)의 상부에 결합되며 그 내주면에 제1나사산(721)이 형성되는 승하강가이드관(720), 승하강가이드관(720)에 삽입되며 나사결합에 의해 승하강가이드관(720)을 승하강시키도록 그 외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721)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730)이 형성되는 높이조절관(730), 높이조절관(730)의 상부에 결합되어 높이조절관(730)을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레버(740) 및 수평프레임(120)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레버(74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7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레버(74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레버(740)와 결합된 높이조절관(730)이 회전함에 따라 높이조절관(730)과 나사 결합된 승하강가이드관(720)이 높이조절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며 상승될 수 있고, 승하강가이드관(720)이 상승함에 따라 그 하부에 결합된 고정관(710)이 높이조절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며 상승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승하강가이드관(720)이 높이조절관(7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프레임 구조체(100)의 후단부의 높이는 낮아질 수 있다.
또한, 회전레버(74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레버(740)와 결합된 높이조절관(730)이 회전함에 따라 높이조절관(730)과 나사 결합된 승하강가이드관(720)이 높이조절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며 하강될 수 있고, 승하강가이드관(720)이 상승함에 따라 그 하부에 결합된 고정관(710)이 높이조절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며 하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승하강가이드관(720)이 높이조절관(730)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함에 따라, 프레임 구조체(100)의 후단부의 높이는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회전레버(740)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직프레임(110)의 기울어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방 커버부(600)는, 프레임 구조체(100)의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전방 커버부(600)의 지면에 대한 간섭이 줄어들도록, 후방 커버부((5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전방 커버부(600)의 후방 커버부(500)에 대한 상대적 회전은 전방 커버부(600)의 한 쌍의 측면 각각이 후방 커버부(500)의 한 쌍의 측면(520) 각각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배출구(690)의 폭(전후 방향으로의 폭)은 후방 커버부(5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인 전방 커버부((600)에 의해 배출구(690)가 폐쇄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전방 커버부(600)의 후방 커버부(500)에 대한 회전시, 전방 커버부(600)의 상면의 후단부는 배출구(690)의 영역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구(690)의 폭이 작으면, 전방 커버부(600)의 회전시 상면의 후단부가 후방 커버부(500)의 상면에 간섭되거나, 또는, 배출구(690)가 전방 커버부(6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구(690)의 폭은 후방 커버부(5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인 전방 커버부((600)에 의해 배출구(690)가 폐쇄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커버 구조체는, 분사되는 화염이 작업자가 위치하는 방향(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측으로 연장되어 방열판부(80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판부(800)은 후방 커버부(500)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판(810), 본 화염 제초기를 끌고 이동하며 제초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바닥면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연결판(8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판(820)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판(8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초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바닥면과 접촉시 상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바닥면과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 커버부(600)는 후방 커버부(500)의 측면('결합부'라 할 수 있음)(530)에 결합되며, 후방 커버부(500)의 양 측면 및 후방 커버부(500)의 양 측면의 하측 부분을 폐쇄한 상태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화염분사기(300)를 통해 분사되는 화염이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화염분사기(300)를 통해 분사되는 화염이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초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전방 커버부(6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잡초에만 집중적으로 화염이 분사되도록 가이드함에 따라, 효율적인 제초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화염 제초기는 바닥면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설치된 다수의 화염분사기(300)를 구성함으로써, 기기를 끌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넓은 범위를 한번에 커버하며 간단하게 제초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염분사기(300)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제초작업을 진행하는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화염 제초기는 후방 커버부(500)의 양측면을 폐쇄한 상태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방 커버부(600)를 통해 화염분사기(300)로부터 분사되는 화염이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전방 커버부(6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잡초에만 집중적으로 화염이 분사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효율적인 제초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후방 커버부(500)의 방열판부(800)을 통해 화염분사기(300)에 의해 분사되는 화염이 작업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방열판부(800)의 힌지구조에 의해 화염 제초기를 끌고 이동하며 제초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바닥면과 접촉시 회동판(820)이 고정되지 않고, 작용하는 외력에 따라 상방향으로 회동하며 바닥면과의 간섭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잡이부(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힘을 가해 바퀴가 회전하며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바퀴의 구동축에 모터를 연결하여 모터 구동방식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일부 구성의 도시가 생략된 전동 구동형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의 회동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화염 제초기는, 바퀴(10)의 구름 운동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제공부는 모터(93), 배터리(9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화염 제초기는 전동 구동형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본 화염 제초기는 운전 스위치(91), 브레이크, 비상 스위치(92)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리모컨 컨트롤에 의해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바퀴(10)가 3개 구비되는 경우, 본 화염 제초기는 전륜 구동이 가능하고, 바퀴(10)가 4개 구비되는 경우, 전륜 구동 또는 후륜 구동이 가능하다. 이때 조향 장치가 바퀴(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프레임 구조체(100)에는 보조 바퀴(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 화염 제초기가 전동 구동형 타입인 경우, 프레임 구조체(100) 상에는 가스통(30)이 거치되고 가스통(3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화염 제초기는, 산소통, 산소 밸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화염 제초기에 있어서, 화염분사기(300), 가스 이동 유로 형성부, 유로 부재 등은 프레임 구조체(100)로부터 탈거 가능하다. 이에 따라, 화염분사기(300), 가스 이동 유로 형성부, 유로 부재 등은 프레임 구조체(100)로부터 탈거되어 트랙터에 부착하여 사용 가능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랙터에 대한 거치가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구조체(100)는, 화염분사기(300), 가스 이동 유로 형성부, 유로 부재 등이 제거되면 구루마(수레)로 사용 가능하다.
도 9는 일부 구성의 도시가 생략된 전동 구동형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를 예시적으로 개략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앞바퀴(10)와 뒷바퀴(20) 중 적어도 하나는 조향이 가능한 바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앞바퀴(10)와 뒷바퀴(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바퀴의 구동을 위한 구동 모터(1500)가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동 모터(1500)는 배터리(16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동 모터 타입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500)는 뒷바퀴(20)에 연결되어 후륜 구동을 구현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퀴의 조향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유닛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바퀴의 조향을 제어하기 위한 조향스위치(1400) 및 제어부 또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동 구동형인 회염 제초기의 프레임 뒤쪽에는 사람(작업자)이 올라설 수 있는 발판(13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발판(1300)에 작업자가 올라선 상태로 화염 제초기가 이동될 수 있다. 이렇게 작업자가 발판(1300)에 올라선 상태에서는 무게 중심의 불균형으로 인해 화염 제초기가 전복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화염 제초기의 앞쪽의 무게를 조정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화염분사기(300)의 화염이 분사되는 단부가 향하는 방향이 위쪽으로 들어올려지거나 아래쪽으로 내려지는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화염분사기(300)를 틸팅(횡 방향을 축으로 회전)시키거나 회염분사기(300)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구동 유닛(1700)이 구비될 수 있다. 예씨적으로 구동 유닛(1700)에는 실린더(예를 들면 유압실린더), 기어 등과 같이 기계기구 분야에서 기알려지거나 향후 개발될 다양한 구동력 전달 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화염분사기(300)의 틸팅의 구현을 위해 화염분사기(100)는 횡 방향으로 연장된 틸팅 부재에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틸팅 부재는 횡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화염 제초기의 프레임에 힌지 연결될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는 일부 구성의 도시가 생략된 전동 구동형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제초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회염 제초기에는 제초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등의 안전사고에 대한 긴급한 조치를 위해 물통(1100)이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물통(110) 내부에 충진된 물은 수중 펌프 등의 펌핑 유닛에 의해 펌핑될 수 있고, 길게 연장되는 호스 등의 분사기(1200)에 의해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물통(1100)은 횡 방향 일측에 단일하게 구비(도 10 참조)될 수도 있고, 횡 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도 11 참조)될 수도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전동 구동형인 본 화염 제초기의 화염분사기(화구)의 개수는 7개 또는 8개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화염 제초기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앞바퀴
20: 뒷바퀴
30: 가스통
40: 소화기
100: 프레임 구조체
110: 수직프레임
120: 수평프레임
130: 손잡이부
140: 안착프레임
150: 이탈방지프레임
160: 고정프레임
170: 바퀴지지판
180: 거치대
181: 제1거치홈
182: 제2거치홈
200: 1 관 부재
210: 조절레버
300: 화염분사기
310: 확인부
400: 지지프레임
410: 가스분기관
500: 후방 커버부
510: 관통홀
520: 표시부
521: 몸체
522: 탄성지지체
530: 결합부
531: 제1결합홀
532: 제1간섭방지홀
60: 유로 부재
61: 가열 부분
62: 열 전달 부분
63: 배출 부분
64: 유입 부분
600: 전방 커버부
610: 제2결합홀
620: 제2간섭방지홀
690: 배출구
700: 높이조절부
710: 고정관
720: 승하강가이드관
721: 제1나사산
730: 높이조절관
731: 제2나사산
740: 회전레버
750: 지지부재
800: 방열판
810: 연결판
820: 회동판
900: 가스통덮개
910: 힌지
1100: 물통
1200: 분사기
1300: 발판
1400: 조향스위치
1500: 구동모터
1600: 배터리
1700: 구동 유닛

Claims (5)

  1. 화염을 방사하여 제초 작업을 진행하는 화염 제초기에 있어서,
    가스통이 거치되고,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프레임 구조체;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통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지면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복수의 화염분사기;
    상기 가스통 내의 가스가 상기 복수의 화염분사기 각각으로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가스 이동 유로 형성부;
    상기 복수의 화염분사기의 하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복수의 화염분사기를 감싸되, 상면에 상기 복수의 화염분사기의 화염에 의해 가열된 기체의 적어도 일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 구조체;
    열 전달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 상측을 지나도록 배치되되 상기 배출구에 대하여 후방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가열 부분, 상기 가스통을 감싸는 열 전달 부분, 상기 가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 전달 부분으로 연장되는 유입 부분 및 상기 열 전달 부분으로부터 상기 가열 부분으로 연장되는 배출 부분을 포함하는 유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열 전달 유체는 물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 부분을 통과하며 가열되어, 상기 가스통에 열이 전달되도록 상기 열 전달 부분을 지나, 상기 유입 부분을 통해 상기 가열 부분으로 유입되고,
    상기 커버 구조체는,
    하측이 개방되도록 제1 관 부재와 상기 복수의 화염분사기의 상부를 감싸고, 상면에는 제2 관 부재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전단부와 연결되는 후방 커버부; 및
    상기 후방 커버부의 상면과 간격을 두고 상기 후방 커버부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면, 상기 상면의 전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면 및 상기 상면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을 포함하는 전방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 커버부의 한 쌍의 측면 각각은 상기 후방 커버부의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 커버부의 상면과 상기 전방 커버부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 커버부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전방 커버부의 지면에 대한 간섭이 줄어들도록, 그의 한 쌍의 측면 각각이 상기 후방 커버부의 한 쌍의 측면 각각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후방 커버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배출구의 전후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전방 커버부의 상기 후방 커버부에 대해 최대로 회전된 상태에서도 상기 배출구가 폐쇄되지 않도록 상기 가열 부분의 전방 측이 개구되게 설정되고,
    상기 열 전달 부분을 통과하는 열 전달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열 전달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열 전달 유체의 상기 열 전달 부분으로의 유입을 중단시키는 서머스텟부를 더 포함하는, 화염 제초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가스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염분사기가 구비되는 상기 제1 관 부재; 및
    가스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가스통과 상기 제1 관 부재를 연통시키는 상기 제2 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화염분사기는 상기 제1 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제1 관 부재의 통로를 통해 상기 가스를 공급받는 것인, 화염 제초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는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높도록 기울어져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후단부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기울어지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인, 화염 제초기.
KR1020200027375A 2020-03-04 2020-03-04 화염 제초기 KR102238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375A KR102238088B1 (ko) 2020-03-04 2020-03-04 화염 제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375A KR102238088B1 (ko) 2020-03-04 2020-03-04 화염 제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088B1 true KR102238088B1 (ko) 2021-04-09

Family

ID=75444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375A KR102238088B1 (ko) 2020-03-04 2020-03-04 화염 제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08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461A (ko) * 1996-07-05 2000-04-25 안소니 리차드 우드 개량된 열집중형의 농업용 화염재배장치
KR20040064433A (ko) * 2003-01-13 2004-07-19 김정용 휴대형 가스버너용 보온장치
JP2006187250A (ja) * 2005-01-07 2006-07-20 Yanmar Co Ltd ロータリ耕耘機
JP2006271246A (ja) * 2005-03-29 2006-10-12 Minoru Industrial Co Ltd 火炎式防除機
KR20170084989A (ko) * 2015-12-29 2017-07-21 가부시키가이샤 푸즈-아이 바비큐 그릴 및 바비큐 그릴을 이용한 조리방법
KR20180082792A (ko) * 2017-01-11 2018-07-19 박준혁 약제 연막 살포기의 발화용 가스통 냉각방지수단
KR102069372B1 (ko) * 2019-05-14 2020-01-22 박경범 화염을 이용한 잡초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461A (ko) * 1996-07-05 2000-04-25 안소니 리차드 우드 개량된 열집중형의 농업용 화염재배장치
KR20040064433A (ko) * 2003-01-13 2004-07-19 김정용 휴대형 가스버너용 보온장치
JP2006187250A (ja) * 2005-01-07 2006-07-20 Yanmar Co Ltd ロータリ耕耘機
JP2006271246A (ja) * 2005-03-29 2006-10-12 Minoru Industrial Co Ltd 火炎式防除機
KR20170084989A (ko) * 2015-12-29 2017-07-21 가부시키가이샤 푸즈-아이 바비큐 그릴 및 바비큐 그릴을 이용한 조리방법
KR20180082792A (ko) * 2017-01-11 2018-07-19 박준혁 약제 연막 살포기의 발화용 가스통 냉각방지수단
KR102069372B1 (ko) * 2019-05-14 2020-01-22 박경범 화염을 이용한 잡초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7878B2 (en) Fire ant suppression system
US8677680B2 (en) Fire ant suppression system
HUE025095T2 (en) Herbicide device
US6257875B1 (en) Torches and burners for flame cultivation and flaming
KR20100093761A (ko) 무인 자동화 농약살포장치
KR102238088B1 (ko) 화염 제초기
KR20110049228A (ko) 이송수단에 장착되는 복합 방제기
KR102164688B1 (ko) 화염 제초기
KR102069372B1 (ko) 화염을 이용한 잡초 제거 장치
KR102053187B1 (ko) 폭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농약살포장치
KR102272811B1 (ko) 화염 제초기
KR102269180B1 (ko) 차량형 화염 분사기
KR102589358B1 (ko) 가스통 냉각 방지를 위한 열통로를 갖는 화염 분사기
KR101399256B1 (ko) 화염제초기
JP6821123B2 (ja) 防除作業車
US4464862A (en) Chemical applicator
KR20240078768A (ko) 제초 후 잔여 화염 제거가 가능한 화염 분사기
JP2007000083A (ja) 液体散布装置
KR200214117Y1 (ko) 화열제초기
KR200304127Y1 (ko) 농약살포기
US11477948B2 (en) Manually controlled and operable self-propelled seed bed 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to prevent weeds
KR102275386B1 (ko) 스팀을 이용한 제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무인 방제 시스템
KR20220040132A (ko) 승용 예초기용 약액 분사시스템
US3534725A (en) Oil-fired weevil control burner
CN212116807U (zh) 一种防虫害喷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