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083B1 - Vacuum rice container - Google Patents

Vacuum ric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083B1
KR102238083B1 KR1020200146733A KR20200146733A KR102238083B1 KR 102238083 B1 KR102238083 B1 KR 102238083B1 KR 1020200146733 A KR1020200146733 A KR 1020200146733A KR 20200146733 A KR20200146733 A KR 20200146733A KR 102238083 B1 KR102238083 B1 KR 102238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vacuum
control module
main body
ri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송구
Original Assignee
엠지엠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지엠씨(주) filed Critical 엠지엠씨(주)
Priority to KR1020200146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0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0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rice container, wherein a storage space is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and thus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various grains, including r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he vacuum rice container comprises: a body which has a storage space for receiving contents and has an open top; a lid which has a handle covering the open top, wherein the handle couples the body and the lid for vacuum or releases the coupling with the lid for vacuum release; and a control module which includes a vacuum motor for vacuuming the storage space. The lid is provided with an opening means for lifting the lid from the body by elasticity when the vacuum state of the storage space is released. Accordingly, the usage inconvenience of conventional vacuum rice containers can be relieved.

Description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VACUUM RICE CONTAINER}Vacuum rice container with improved ease of use{VACUUM RICE CONTAINER}

본 발명은 저장 공간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여 쌀을 포함한 저정 공간에 보관되는 다양한 곡식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진공쌀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 진공쌀통들이 가지고 있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한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rice container that maintains a storage space in a vacuum state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various grains stored in a storage space including rice. It relates to the improved vacuum rice container.

일반적으로 쌀이나 잡곡 등과 같은 곡식은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신선한 곳에 보관해야 하는데, 보통 해당 장소에 쌀이 포장되었던 쌀 포대 그대로를 두고 사용하거나 별도의 페트병이나 항아리에 쌀을 이동 저장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벌레나 곰팡이가쉽게 생기거나 변색/변질 등이 빠르게 일어날 수 있는 여름에는 냉장고에 쌀을 넣어 보관하기도 한다.In general, grains such as rice or miscellaneous grains should be stored in a shady and airy fresh place. Usually, the rice bag in which the rice was packaged is left as it is, or the rice is moved and stored in a separate plastic bottle or jar. In the summer, when insects or mold are easily formed, or when discoloration/deterioration occurs rapidly, rice is stored in the refrigerator.

쌀 개개의 종류에 따라 밥맛이 달라질 수도 있으나, 쌀 보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갓 도정한 쌀이 순식간에 묵은 쌀로 변질될 수 있을 정도로 쌀을 어떻게 보관하여 사용하느냐 또한 밥맛을 결정하는 하나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Rice tast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rice, but if the rice is not stored properly, how the rice is stored and used so that freshly milled rice can quickly turn into old rice is also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taste of rice. do.

이러한 이유로 최근 쌀을 진공 상태로 보관하도록 하는 진공쌀통이 소개되고 있는데, 특히 코로나로 인해 가정에서 쌀 소비가 증가하면서 쌀 보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진공쌀통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For this reason, recently, a vacuum rice container has been introduced to store rice in a vacuum state.In particular, as the consumption of rice at home increases due to coronavirus, interest in storing rice is increasing, and consumers' interest in the vacuum rice container is also increasing.

쌀을 진공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쌀에 있는 과도한 수분증발을 억제하여 적정 수분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보관 중 쌀벌레/날파리 등의 벌레가 생기지 않으며 그리고 곰팡이를 걱정할 필요도 없어, 쌀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f the rice is stored in a vacuum stat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roper moisture state by suppressing excessive moisture evaporation in the rice, and insects such as rice bugs/flying flies do not occur during storage, and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mold,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the ri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ore it for a long time while doing it.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진공쌀통은, 대체적으로 쌀이 수용되는 본체와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외관이 갖추어지고, 진공모터를 작동시켜 본체 내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게 된다.A vacuum rice container developed for this purpose is generally equipped with a main body in which rice is accommodated and a lid covering the main body, and a vacuum motor is operated to suck air in the main body to mak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 a vacuum state.

그리고 사용자가 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진공 상태를 해제시킨 후 뚜껑을 열고 쌀을 꺼내게 된다.And in order for the user to use rice, after releasing the vacuum state, the lid is opened and the rice is taken out.

그런데 진공 상태를 해제시키는 데에도 일정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사용자는 진공 상태가 완전히 해제되었는지를 쉽게 확인하기 어렵다.However, it takes a certain amount of time to release the vacuum state, bu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easily check whether the vacuum state is completely released.

이에 진공 상태 해제가 완벽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뚜껑을 열려고 하다보면 압에 의해 쉽게 뚜껑이 열리지 않으며, 뚜껑을 열기 위해 적지 않은 힘을 주어야 한다는 사용상의 불편이 있었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tries to open the lid in a state in which the vacuum state is not completely released, the lid is not easily opened by pressure, and there is inconvenience in use that a considerable force must be applied to open the lid.

물론 진공상태가 해제되었다 하더라도 본체와 뚜껑간의 기밀한 결합력이 그대로 유지되고있어 이로 인해 쉽게 뚜껑을 들어올리지 못하고 일정의 힘을 주어야만 한다. Of course, even if the vacuum state is released, the tight coupling for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lid is maintained as it is, so the lid cannot be lifted easily and a certain force must be applied.

다음으로 진공쌀통에 구비된 진공모터는 쌀통 아랫 부분에 구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진공모터 만이 아니라 진공쌀통 작동에 필요한 배터리 등 각종 전자 부품들이 쌀통 아랫 부분에 구비되어 있다.Next, in most cases, the vacuum motor provided in the vacuum rice container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rice container, and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batterie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vacuum rice container as well as the vacuum motor ar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rice container.

주방 용품의 상품성은, 주방용품 각각에 요구되는 기능이 최대한 잘 구현되어야하는 것은 물론 주방 용품이라는 특성상 청결을 위하여 항시 물세척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서도 판단된다.The marketability of kitchen utensils is judged not only by the fact that the functions required for each kitchen utensil should be implemented as well as possible, but also by whether it is always possible to wash with water for cleanliness due to the nature of kitchen utensils.

그런데 위 언급된 바와 같이 진공모터 등의 각종 전자 부품들이 쌀통 하부에 위치되고 쌀통 본체와 일체화되는 구조라면 물세척에 제한을 받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청결성 면에서도 한계가 있어 소비자 입장에서는 당연히 상품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if various electronic parts such as vacuum motors are located under the rice container and integrated with the rice container body, water washing is restricted, so not only convenience of use is reduced, but also there is a limit in terms of cleanliness. Of course, the marketability has to be poor.

따라서 본 발명자가 기존 진공쌀통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진공쌀통에 반영하고자 한 개선 방향은, Therefor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that the inventors have tried to reflect in the vacuum ric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vacuum rice container,

첫째는 진공 해제시 사용자가 쉽게 본체로부터 뚜껑을 분리할 수 있는 진공쌀통이어야 한다는 점이었고, 둘째로는 필요시 사용자가 언제든지 제한을 받지 않고 물세척이 가능한 진공쌀통이어야 한다는 점이었다.The first was that it should be a vacuum rice container in which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lid from the main body when the vacuum is released, and the second is that it should be a vacuum rice container that the user can wash with water without being restricted at any time when necessary.

참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7530호(2020년 8월 18일 등록)「진공쌀통」를 살펴보면, 위 언급된 기존 진공쌀통의 문제점을 그래로 확인할 수 있다.For reference, if you look at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47530 (registered on August 18, 2020) ``Vacuum Rice Bucket'',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blem of the existing vacuum rice container mentioned above.

즉 등록특허 제10-2147530호 진공쌀통의 경우, 진공해제밸브를 통해 진공상태가 해제되더라도 본체와 뚜껑간 기밀한 결합은 그대로 유지되기에 사용자는 힘을 줘 뚜껑을 들어올려야 한다는 불편이 그대로 있고, 그리고 진공모터 등의 전자부품이 쌀통 하부에 구비되어 쌀통 자체의 물세척이 용이하지 않다 사용상의 불편을 그래로 확인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registered patent No. 10-2147530, even if the vacuum state is released through the vacuum release valve, the airtight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lid is maintained as it is, so the user has to apply force to lift the lid. In addition, since electronic parts such as a vacuum motor are provided under the rice container, it is not easy to wash the rice container itself. Inconvenience in use can be confirmed as such.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 진공쌀통이 가지고 있던 불편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gned to solve the inconveniences of the existing vacuum rice container,

진공해제 후 사용자가 쉽게 뚜껑을 들어올릴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된 진공쌀통을 제안하고자 한 것은 목적으로 하며, 그리고 물세척이 가능한 진공쌀통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The purpose is to propose a vacuum rice container equipped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can easily lift the lid after vacuum release, and the purpose is to propose a vacuum rice container capable of washing with water,

종국적으로는 기존 진공쌀통에 비해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진공쌀통을 제공하고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vacuum rice container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compared to the existing vacuum rice container.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진공쌀통은, The vacuum ric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내용물 수용을 위한 저장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개방된 상부를 덮는 것으로 진공을 위해 본체와 뚜껑을 결합시키거나 진공 해제를 위해 뚜껑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뚜껑과, 상기 저장 공간의 진공을 위한 진공모터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A lid provided with a body that forms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contents and has an open top, and a handle that combines the body and the lid for vacuum by covering the open top or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lid for vacuum release; and And a control module including a vacuum motor for vacuum of the storage space,

상기 뚜껑에는 저장 공간의 진공 상태가 해제된 경우 탄성에 의해 본체로부터 뚜껑을 들어올리는 열림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means for lifting the lid from the main body by elasticity when the vacuum state of the storage space is released.

그리고 상기 열림수단은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가압돌기, 상기 가압돌기의 상하 이동을 위해 뚜껑 내측으로 형성된 공간으로 걸림턱 이동의 상한 제어를 위해 내주면으로 대응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이동로, 상기 가압돌기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걸림턱 이동의 하한 제어를 위해 이동로 단부에 결합되는 걸림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opening means is a pressing protrusion having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pace formed inside the lid for vertical movement of the pressing protrusion, a moving path in which a corresponding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upper limit control of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protrusion, the pressing protrus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and a locking plate coupled to the end of the movement path for controlling the lower limit of the movement of the locking jaw.

그리고 상기 뚜껑에는 기울기센서가 구비되어, 열림수단에 의해 뚜껑이 들어올려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뚜껑열림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ilt sensor is provided on the lid, and a lid opening signal is provided to a user by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lifted by the opening means.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진공살통의 상기 뚜껑에는 제어모듈의 장착을 위한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뚜껑에서 탈착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면서 장착홈에 구비된 석션노즐과 진공모터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mounting groove for mounting a control module is formed in the lid of the vacuum mea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 module is detached from the lid, and the suction nozzle provided in the mounting groove communicates with the vacuum motor while being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살통의 상기 본체와 뚜껑은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와 뚜껑을 결합시키는 힌지핀의 헤드는 사용자가 잡고 돌릴 수 있는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힌지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and the lid of the vacuum salto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hinged, and the head of the hinge pin coupling the main body and the lid is provided with a handle that the user can hold and rotate so that the user can release the hinge connection. It is done.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진공쌀통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vacuum ric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 configuration,

본체내 진공이 해제되면 열림수단인 가압돌기에 탄성력이 작용하여 가압돌기가 본체를 누르면서 뚜껑이 들어올려지기에, 사용자는 힘을 들이지 않고도 뚜껑을 들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뚜껑이 들어올려진 상태가 센싱되어 사용자에게 신호가 제공되기에 사용자가 열림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When the vacuum in the main body is released, an elastic force acts on the pressing protrusion, which is the opening means, so that the cap is lifted while the pressing protrusion presses the main body, so that the user can lift the cap without exerting force. In addition, since the state in which the lid is lifted is sensed and a signal is provided to the user,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open state.

다음으로 진공모터, 배터리 등 진공쌀통 작동을 위한 전자부품들이 모듈화되어 뚜껑에 탈착되는 구조이기에, 제어모듈을 뚜껑에서 분리시킨 후 진공쌀통의 물세척이 가능하여 항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Next, since the electronic components for the operation of the vacuum rice container such as the vacuum motor and the battery are modularized and detached from the lid, the control module can be removed from the lid and washed with water, so that cleanliness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또한 제어모듈의 탈착구조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쉽게 뚜껑과 결합시키면서도 안정된 결합상태 유지가 가능하고, 분리시에도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제어모듈을 잡고서 뚜껑으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는바, 사용편의가 기존 진공쌀통보다 우수해졌다.In addition, in the detachable structure of the control module, the user can easily combine it with the lid while maintaining a stable connection state, and even when detaching, the user can stably hold the control module and easily separate it from the lid. It became better.

나아가 본체와 뚜껑 또한 사용자가 쉽게 분리 가능하도록 하였는바, 진공쌀통의 사용 환경 내지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뚜껑을 제외한 본체만 분리하여 물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였는바, 역시 사용편의가 기존 진공쌀통에 비해 우수해졌다.Furthermore, the main body and the lid are also easily separated by the user, and the user can wash with water by separating only the main body except the li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r degree of use of the vacuum rice container. Also, the convenience of use is superior to that of the existing vacuum rice container. Bec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쌀통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쌀통에 있어 뚜껑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뚜껑의 닫힘/열림 상태에서의 열림수단 작동상태 도시를 위한 도면.
도 4는 뚜껑의 장착홈과 제어모듈 및 힌지결합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장착홈에 제어모듈이 안착되는 과정을 도시를 위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vacuum ric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in the vacuum ric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 means in the closed / open state of the lid.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mounting groove of the lid, the control module and the hinged state of separation.
Figure 5 is a view for showing the process of seating the control module in the mounting groov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진공쌀통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vacuum ric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본 발명을 칭함에 있어 진공쌀통이라고 표현을 하였으나, 본 발명에 저장/보관되는 내용물을 쌀에 한정하지 않는다. 쌀이나 잡곡 등의 다양한 곡식을 비롯하여 진공 보관이 가능한/필요한 식품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진공쌀통의 보관대상이 됨을 밝힌다.First, in the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ressed as a vacuum rice container, but the contents stored/stor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rice. It is revealed that the vacuum ric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bject to storage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possible/necessary for vacuum storage, including various grains such as rice or grain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쌀통은, 기존 진공쌀통처럼 내용물 수용을 위한 저장 공간(S)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10)와,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20)으로 외관이 갖추어진다. 그리고 본체(10)와 뚜껑(20)은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힌지축(힌지핀(60))을 기준으로 뚜껑 일측이 회동되면서 열리고 닫힌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vacuum ric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torage space (S) for accommodating contents like a conventional vacuum rice container, and has an open upper body 10 and an open upper part of the body. The appearance is provided with a covering lid 20.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and the lid 20 are hinged, and one side of the lid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hinge pin 60) to open and close.

뚜껑(20)에는 진공 진행시 본체와 뚜껑을 결합시키거나 진공 해제를 위해 뚜껑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손잡이(30)가 구비되는데, The lid 20 is provided with a handle 30 for coupling the main body and the lid during vacuum or releasing the coupling with the lid to release the vacuum,

뚜껑을 덮고 손잡이(30)를 돌리면 손잡이와 연결된 레버(35)가 연동되어 손잡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때 레버 상면이 본체 상단쪽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경사부(15)의 하면(15A)과 접하면서 경사부의 경사구조로 인해 본체(10)와 뚜껑(20)은 기밀하게 결합된다.When the lid is closed and the handle 30 is turned, the lever 35 connected to the handle is interlocked and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andle, and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contacts the lower surface 15A of the inclined portion 15 protruding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body While, due to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inclined portion, the main body 10 and the lid 20 are airtightly coupled.

그리고 손잡이가 돌아가면 이를 감지하여 진공모터가 작동되어 본체 저장 공간내의 공기가 흡입된다. 저장 공간내 압력이 진공상태 내지 진공상태에 준하는 일정 압력으로 떨어지면 진공모터의 작동이 중지되고 저장 공간은 진공상태로 유지된다.And when the handle rotates, the vacuum motor is operated to detect this and the air in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is sucked. When the pressure in the storage space drops to a vacuum state or a constant pressure equivalent to the vacuum state, the operation of the vacuum motor is stopped and the storage space is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이후 해당 손잡이(30)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손잡이와 연결된 레버(35) 또한 손잡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본체와 뚜껑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때 저장 공간 내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진공 상태가 해제된다.Thereafter, when the handle 3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lever 35 connected to the handle is also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andle, thereby disengaging the main body and the lid. At this time, the vacuum state is released as air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참고로, 위 설명에서는 손잡이의 회전과 연동되어 진공모터가 작동하거나 저장 공간 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진공쌀통의 진공 및 진공 해제에 관한 작동 구조는 이미 다양한 구조들이 공지되어있는바 위 언급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진공 및 진공 해제 메카니즘 역시 공지된 기술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vacuum motor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or air in the storage space is introduced to the outside, but various structures are already known for the operation structure of vacuum and vacuum release of the vacuum rice container. The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a vacuum and vacuum release mechanism is also a known techniqu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런데 전술된 바와 같이 기존 진공쌀통의 경우 진공 상태가 해제되더라도 본체(10)와 뚜껑(20)간의 기밀한 결합 상태가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상당의 힘을 줘서 뚜껑을 들어올려야만 하는 사용상 불편이 있어 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진공 해제 이후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뚜껑을 열 수 있도록 하는 열림수단(50)을 구비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existing vacuum rice container, even if the vacuum state is released, the airtight coupling state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lid 20 is maintained, so the user has to apply a considerable force to lift the lid. .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 means 50 is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open the lid without exerting force after the vacuum is released.

상기 열림수단(50)은 뚜껑(20)에 구비되는 것으로, 본체 저장 공간의 진공 상태가 해제된 경우 탄성에 의해 본체로부터 뚜껑이 들어올려지도록하여 사용자가 쉽게 뚜껑을 열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뚜껑 개폐가 가능한 타임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opening means 50 is provided in the lid 20, and when the vacuum state of the main body storage space is released, the lid is lifted from the main body by elasticit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n the lid as well as open and close the lid. Allows the user to visually recognize the possible time.

이러한 열림수단(50)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외주면에 걸럼턱(51a)이 형성된 가압돌기(51)와, 상기 가압돌기의 상하 이동을 위해 제공된 공간으로 뚜껑 내측으로 형성된 이동로(52)와, 상기 가압돌기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53)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는 가압돌기와 이동로 내부의 공간 사이에 개재된다.These opening means 50, referring to Figs. 2 and 3, a pressing protrusion 51 having a gurum chin 51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moving path formed inside the lid with a space provided for vertical movement of the pressing protrusion. It consists of (52), and an elastic member (53)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ing protrusion. The elastic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pressure protrusion and the space inside the moving path.

그리고 상기 이동로(52)에는 가압돌기 걸림턱(51a)의 상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내주면으로 대응걸림턱(52a)이 돌출 형성되고, 걸림턱의 하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동로의 단부에는 걸림판(54)이 체결된다.In addition, in the movement path 52, a corresponding locking jaw 52a protrudes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control the upward movement of the pressing protrusion locking projection 51a, and is locked at the end of the movement path to control downward movement of the locking projection. The plate 54 is fastened.

따라서 본체(10)에 뚜껑(2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가압돌기(51)가 이동로(52)의 상부로 이동되고 이동로 내부 공간과 가입돌기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53)는 가압돌기의 상부이동으로 인해 압착된다. 이 때 가압돌기의 걸림턱(51a)이 이동로의 대응걸림턱(52a)에 걸려 이동의 상한이 제어된다.Therefore, when the lid 20 is closed on the main body 10, the pressing protrusion 51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ath 52, and the elastic member 53 interposed between the moving path inner space and the joining protrusion is a pressing protrusion. Squeezed due to the upper movement of the At this time, the locking projection 51a of the pressing protrusion is caught by the corresponding locking projection 52a of the moving path, and the upper limit of the movement is controlled.

이 상태에서 본체 저장 공간의 진공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탄성부재(53)의 탄성 복원력이 외부 압력에 의해 뚜껑을 누루는 힘보다 크게 작용하는 시점이 오게 되고 이 때 탄성부재(53)의 복원력으로 인해 가압돌기(51)가 아래로 이동되어 본체를 가압하면서 뚜껑(20)이 들어올려지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vacuum state of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is release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3 acts greater than the force pressing the lid by external pressure, and at this time,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3 Due to this, the pressing protrusion 51 is moved downward and the lid 20 is lifted while pressing the main body.

그리고 뚜껑(20)에는 뚜껑이 들어올려진 정도 즉, 기울기(각도)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진공 상태가 해제되면서 가압돌기가 작동하여 뚜껑이 들어올려진 경우 이 상태(뚜껑이 들어올려진 각도)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뚜껑열림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참고로 사용자에게 뚜껑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는 뚜껑열림신호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소리나 램프의 깜빡임 등을 고려할 수 있다.And the lid 20 is provided with a tilt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the degree that the lid is lifted, that is, the tilt (angle), when the vacuum state is released and the pressure protrusion operates and the lid is lifted, in this state (the lid is The lifted angle) is sensed and the lid open signal is provided to the user. For reference, a lid open signal indicating that the lid is ope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nd sound or flickering of a lamp may be consider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쌀통의 경우, 사용자의 필요시 언제든지 물세척이 가능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한다.Next, in the case of the vacuum ric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washed with water at any time when the user needs it.

이를 위해 진공모터, 배터리 등을 포함한 진공쌀통 작동에 필요한 각종 전자 부품을 하나의 케이스 내에 구비하여 모듈화시키고, 이를 뚜껑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다. To this end,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necessary for operation of a vacuum rice container, including a vacuum motor and a battery, are provided in a single case to be modularized, and this can be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lid.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모터(M)를 포함한 각종 전자 부품이 구비된 제어모듈(40)은 뚜껑에 설치되되 필요시 사용자가 제어모듈(40)을 뚜껑(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제어모듈이 제거된 상태이기에 사용자는 진공쌀통을 물이나 각종 세제를 사용하여 세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뚜껑에는 제어모듈 삽입/장착을 위한 장착홈(21)이 형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control module 40 provided wit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cluding the vacuum motor M is installed on the lid, but if necessary, the user can remove the control module 40 from the lid 20. It can be separated, and since the control module has been removed, the user can wash the vacuum rice container with water or various detergents. In addition, a mounting groove 21 for inserting/installing the control module is formed on the lid.

상기 장착홈(21)은 뚜껑 일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된 공간으로, 제어모듈(40)의 장착시에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측면 개방공간(21S)을 제공한다.The mounting groove 21 is a space formed while being depressed inward from one end of the lid, and provides a side open space 21S for sliding movement when the control module 40 is mounted.

장착홈(21)에는 석션노즐(23)이 구비되어, 장착홈에 제어모듈이 삽입/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석션노즐(23)과 제어모듈의 진공모터(M)가 연통된다.A suction nozzle 23 is provided in the mounting groove 21, and the suction nozzle 23 communicates with the vacuum motor M of the control module in the process of inserting/mounting the control module into the mounting groove.

그리고 뚜껑 저면에는 진공 작동시 저장 공간 내의 공기 흡입을 위한 석션홀(25)이 형성되고, 상기 석션홀(25)은 진공호스(H)를 통해 석션노즐(23)과 연통되어, And at the bottom of the lid, a suction hole 25 for suctioning air in the storage space during vacuum operation is formed, and the suction hole 25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nozzle 23 through a vacuum hose (H),

진공모터(M)가 작동되면 저장 공간 내의 공기가 석션홀(23)을 통해 흡입되어 진공호스(H) 및 석션노즐(25)을 거쳐 진공모터(M) 쪽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When the vacuum motor (M) is operated, the air in the storage space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23) and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of the vacuum motor (M) through the vacuum hose (H) and the suction nozzle (25).

본 발명의 진공쌀통은 이하 설명되는 구조를 통하여 장착홈(21)에 제어모듈(40)을 쉽고 그리고 안정적으로 탈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vacuum ric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trol module 40 to be easily and stably detached from the mounting groove 21 through the structure described below.

즉 장착홈의 바닥에는 바닥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부(211a)와 상기 지지부 단부에서 일측(도면에서는 바깥측이다)으로 절곡되어 연결형성된 걸림부(211b)로 이루어진 'ㄱ'자 형태의 턱(211)이 형성되고, That is, at the bottom of the mounting groove, a'A'-shaped jaw 211 consisting of a supporting portion 211a protruding from the bottom and a locking portion 211b bent to one side (outer side in the drawing) at the end of the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제어모듈의 저면에는 상기 턱(211)이 삽입되는 제1 수용공(41)과, 상기 제1 수용공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제2 수용공(42)이 상기 제1 수용공에서 연결 형성된다.A first receiving hole 41 into which the jaw 211 is inserted and a second receiving hole 42 having a width narrower than that of the first receiving hole are connected to the first receiving hole on the bottom of the control module.

이에 제1 수용공(41)에 턱(211)을 삽입하면서 장착홈에 제어모듈을 안치시키고, 안치된 제어모듈을 장착홈의 안쪽으로 밀어줌으로서 지지부(211a)가 제2 수용공(42)을 통하여 슬라이딩되면서 걸림부(211b)가 제어모듈의 저면에 걸쳐져 제어모듈이 장착홈에 장착된다.Accordingly, while inserting the jaw 211 into the first receiving hole 41, the control module is placed in the mounting groove, and by pushing the placed control module into the mounting groove, the support part 211a becomes the second receiving hole 42 While sliding through, the locking part 211b span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rol module so that the control module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그리고 상기 장착홈의 측면으로는 리브(213)가 세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어모듈 측면으로는 상기 리브가 수용되는 수용홈(43)이 대응 형성된다. 제2 수용공(42)을 통해 지지부(211a)가 슬라이딩되고 걸림부(211b)가 제어모듈의 저면에 걸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리브(213)가 수용홈(43)에 삽입 안착되기에, 장착홈에 삽입된 제어모듈이 장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In addition, a rib 213 protru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mounting groove, and a receiving groove 43 in which the rib is accommodate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trol module. Since the rib 213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43 while the support part 211a is slid through the second receiving hole 42 and the locking part 211b spans the bottom of the control module, the mounting groove The control module inserted in the device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groove.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쌀통은, 원활한 물 세척이 가능하도록 제어모듈(40)이 뚜껑으로부터 완전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데, 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ric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module 40 is completely detachable from the lid to enable smooth water washing, and can be installed and used when in use,

상기 제어모듈에는 사용자가 쉽게 제어모듈을 뚜껑의 장착홈으로 장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용 공간이 제공된다.The control module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a handle allowing the user to easily mount and remove the control module in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lid.

즉, 제어모듈(40)이 뚜껑(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쉽게 제어모듈을 잡아서 뚜껑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제어모듈의 후방으로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44)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잡이용 공간을 마련한다.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control module 40 is coupled to the lid 20, the user should be able to easily grab the control module and separate it from the lid. Provide a space for the handl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몰부(44)는, 제어모듈 후방의 하부쪽에서 내측으로 요입되는 제1 함몰부(441)와, 상기 제1 함몰부로부터 상부쪽으로 추가 요입되는 제2 함몰부(442)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depression 44 includes a first depression 441 that is concave i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rear of the control module, and a second depression that is additionally concave upward from the first depression ( 442).

이에 사용자는 제1 함몰부(441)를 거쳐 제2 함몰부(442)까지 손을 집어넣어 안정적으로 제어모듈을 잡아서 제어모듈을 뚜껑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stably hold the control module by inserting his hand to the second depression 442 through the first depression 441 and separate the control module from the lid.

제어모듈을 뚜껑에 장착할 때에도 해당 함몰부(44)를 통해서 제어모듈을 잡은 상태에서 제어모듈의 제1 수용공(41)에 장착홈 바닥에서 돌출 형성된 턱(211)을 끼운 후 전방으로 제어모듈을 슬라이딩시켜 제어모듈을 뚜껑에 장착시킨다.Even when the control module is mounted on the lid, while holding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corresponding depression 44, insert the jaw 211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mounting groove into the first receiving hole 41 of the control module, and then move the control module forward. Sliding the control module on the lid.

진공쌀통의 경우, 일반적으로 뚜껑에 비해서 본체의 오염도가 빈번하고 본체에 대한 세척이 필요한 상황이 상대적으로 뚜껑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In the case of a vacuum rice container, in general, the contamination of the main body is more frequent than that of the lid,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main body needs to be cleaned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lid.

이에 본 발명의 진공쌀통에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본체와 뚜껑이 완전 분리가 가능한 구조가 채용되었는바, 상기 본체와 뚜껑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핀(60)의 헤드에 사용자가 힌지핀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60A)를 형성한다.Accordingly, in the vacuum ric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lid can be completely separa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is adop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hinge pin on the head of the hinge pin 60 that hinges the main body and the lid. To form a handle portion (60A) to be.

상기 손잡이부(60A)는 힌지핀의 헤드로부터 돌출 형성된 구조로, 사용자가 해당 손잡이부를 잡고서 힌지핀을 돌릴 수 있도록 하였는바, 원하는 때에 본체와 뚜껑간 힌지결합을 해제시켜 본체로부터 뚜겅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The handle part 60A has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head of the hinge pin, and allows the user to rotate the hinge pin while holding the handle part. When desired, the hing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lid is released so that the li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I can.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changed, and substitu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belo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5: 경사부 S: 저장공간
20: 뚜껑
21: 장착홈 23: 석션노즐 25: 석션홀
211: 턱 211a: 지지부 211b: 걸림부
213: 리브
30: 손잡이 35: 레버
40: 제어모듈
41: 제1 수용공 42: 제2 수용공 43: 수용홈
44: 함몰부 441: 제1 함몰부 442: 제2 함몰부
50: 열림수단
51: 가압돌기 51a: 걸림턱
52: 이동로 52a: 대응걸림턱
53: 탄성부재 54: 걸림판
60: 힌지핀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main body 15: slope S: storage space
20: lid
21: mounting groove 23: suction nozzle 25: suction hole
211: jaw 211a: support portion 211b: locking portion
213: rib
30: handle 35: lever
40: control module
41: first receiving hole 42: second receiving hole 43: receiving groove
44: depression 441: first depression 442: second depression
50: opening means
51: pressure projection 51a: locking jaw
52: moving path 52a: response jamming
53: elastic member 54: locking plate
60: hinge pin

Claims (9)

내용물 수용을 위한 저장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개방된 상부를 덮는 것으로, 진공을 위해 본체와 뚜껑을 결합시키거나 진공 해제를 위해 뚜껑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뚜껑과,
상기 저장 공간의 진공을 위한 진공모터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에는 저장 공간의 진공 상태가 해제된 경우 탄성에 의해 본체로부터 뚜껑을 들어올리는 열림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열림수단은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가압돌기, 상기 가압돌기의 상하 이동을 위해 뚜껑 내측으로 형성된 공간으로 걸림턱 이동의 상한 제어를 위해 내주면으로 대응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이동로,
상기 가압돌기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걸림턱 이동의 하한 제어를 위해 이동로 단부에 결합되는 걸림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
A main body that forms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contents and has an open top,
Covering the open upper part, a lid provided with a handle for coupling the main body and the lid for vacuum or releasing the coupling with the lid for vacuum release,
Including a control module including a vacuum motor for vacuum of the storage space,
The li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means for lifting the lid from the main body by elasticity when the vacuum state of the storage space is released,
The opening means
A pressing protrusion having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pace formed inside the lid for vertical movement of the pressing protrusion, and a moving path in which a corresponding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upper limit control of the movement of the locking protrusion,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ing protrusion, and
A vacuum rice container with improved ease of us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ocking plate coupled to an end of a movement path for controlling a lower limit of movement of the locking jaw.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기울기센서가 구비되어, 열림수단에 의해 뚜껑이 들어올려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뚜껑열림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
The method of claim 1,
The lid is provided with a tilt sensor, the lid is lifted by the opening means to detect the state of the lid opening to provide a user with a lid opening signal, the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vacuum rice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제어모듈의 장착을 위한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뚜껑에서 탈착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면서 장착홈에 구비된 석션노즐과 진공모터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
The method of claim 1,
The lid has a mounting groove for mounting the control module,
The control module is detachable from the lid, and while being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the suction nozzle provided in the mounting groove and the vacuum moto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저면에는 진공 작동시 저장 공간 내의 공기 흡입을 위한 석션홀이 형성되고, 상기 석션홀은 상기 석션노즐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
The method of claim 4,
A suction hole for suctioning air in the storage spac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id, and the suction hole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nozz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의 바닥에는 바닥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단부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결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진 ‘ㄱ'자 형태의 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의 저면에는 상기 턱이 삽입되는 제1 수용공과 상기 제1 수용공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제2 수용공이 제1 수용공에 연결 형성되어 형성되어,
제1 수용공으로 삽입된 턱이 제2 수용공을 통하여 지지부가 슬라이딩되면서 걸림부가 제어모듈 저면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
The method of claim 4,
The bottom of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with a'a' shaped jaw consisting of a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bottom and a locking part bent to one side at the end of the support part to form a connection,
On the bottom of the control module, a first receiving hole into which the jaw is inserted and a second receiving hole having a width narrower than that of the first receiving hole are formed connected to the first receiving hole,
A vacuum rice container with improved ease of use, characterized in that while the jaw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hole slides through the second receiving hole and the support part slides o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rol modu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 측면으로는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 측면으로는 상기 리브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장착홈에 슬라이딩 결합된 제어모듈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
The method of claim 5,
A rib is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mounting groove, and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rib is accommodate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trol modul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control module slidingly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A bucket of r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의 후방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제어모듈의 탈착을 위한 사용자의 손잡이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
The method of claim 4,
A vacuum rice container with improved ease of use, characterized in that a recessed portion recessed inward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control module to provide a user's handle space for detachment of the control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뚜껑은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와 뚜껑을 결합시키는 힌지핀의 헤드는 사용자가 잡고 돌릴 수 있는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힌지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and the lid are hinged to each other,
The head of the hinge pin coupling the main body and the lid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that can be held and rotated by the user, and the user can release the hinge connection.
KR1020200146733A 2020-11-05 2020-11-05 Vacuum rice container KR1022380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733A KR102238083B1 (en) 2020-11-05 2020-11-05 Vacuum ric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733A KR102238083B1 (en) 2020-11-05 2020-11-05 Vacuum rice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083B1 true KR102238083B1 (en) 2021-04-08

Family

ID=7548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733A KR102238083B1 (en) 2020-11-05 2020-11-05 Vacuum rice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08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936A (en) * 2008-09-11 2010-03-19 신준철 Portable vacuum packing machine and the method of vacuum packing using the same
CN104555113A (en) * 2015-01-15 2015-04-29 曾爱华 Vacuum type rice barrel with pest killing function
KR20200092697A (en) * 2019-01-25 2020-08-04 안중근 Vacuum blender
KR102147530B1 (en) * 2019-08-16 2020-08-24 (주)서흥메가텍 Vacuum rice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936A (en) * 2008-09-11 2010-03-19 신준철 Portable vacuum packing machine and the method of vacuum packing using the same
CN104555113A (en) * 2015-01-15 2015-04-29 曾爱华 Vacuum type rice barrel with pest killing function
KR20200092697A (en) * 2019-01-25 2020-08-04 안중근 Vacuum blender
KR102147530B1 (en) * 2019-08-16 2020-08-24 (주)서흥메가텍 Vacuum ric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6467B2 (en) Water cleaning device and cleaner having the same
US6256834B1 (en) Vacuum cleaner with detachable dust container
EP1506120B1 (en) Hose direct canister lid
JP2907865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5333614B2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US10004371B2 (en) Cleaner
KR102238084B1 (en) Vacuum rice container
US20120047858A1 (en) Dust-collecting apparatus with a packing member
KR102238083B1 (en) Vacuum rice container
US20070056971A1 (en) Vacuum type food container
US20060227492A1 (en) Food storage container
EP1252853B1 (en) Vacuum cleaner
KR200393731Y1 (en) Vacuum vessel with sub-vessel
JP4565675B2 (en) Container lid attachment / detachment structure
JP3724440B2 (en) Garbage reduction container
JP2000102500A (en) Vacuum cleaner
JP3579183B2 (en) Airtight container
KR100607543B1 (en) Vacuum container cover of improved valve structure
KR200240733Y1 (en) Vacuum vessel
CN111067417B (en) Suction cleaning device with a chamber cover closing a filter chamber
KR102288691B1 (en) Rice canister
JPH0392122A (en) Electric suction cleaner
JPH075791Y2 (en) Liquid container
JP3540620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4161315A (en) Hybrid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