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403B1 - 무선중계장치에서의 소모전력 절감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중계장치에서의 소모전력 절감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403B1
KR102237403B1 KR1020190132829A KR20190132829A KR102237403B1 KR 102237403 B1 KR102237403 B1 KR 102237403B1 KR 1020190132829 A KR1020190132829 A KR 1020190132829A KR 20190132829 A KR20190132829 A KR 20190132829A KR 102237403 B1 KR102237403 B1 KR 102237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section
period
downlink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오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2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업링크 동작 구간 및 다운링크 동작 구간 내 특정 구간에 대하여 측정된 레벨을 기준으로 중계기 커버리지 내 업링크 경로 혹은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출력수단의 상태정보를 적응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무선 중계기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소모전력을 절감 가능토록 하는 무선중계장치에서의 소모전력 절감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중계장치에서의 소모전력 절감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Repeater}
본 실시예는 무선중계장치에서의 소모전력 절감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소규모 인빌딩 내에서 음영지역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중계장치의 소모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5G 네트워크가 실외에 지속적으로 구축되어 5G 성능이 점차 안정화되고 있지만 건물로 투과되는 신호만으로는 실내에서 안정화된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실내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고 실외의 신호를 내부로 전달해 주는 5G 인빌딩 서비스는 5G 서비스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소규모 인빌딩내에서 음영지역을 개선하기 위해 수많은 RF 중계기들이 사용되어 왔다. 5G에서도 RF 중계기의 사용은 여전히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많은 수의 RF 중계기가 사용되면 자연적으로 소모전력도 증가하게 되어 운용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 RF 중계기에서의 소모전력을 줄이기 위해 적은 전력으로 구동되는 소자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현저한 개선은 여전히 어려운 실정이다.
저전력 소자 개발 측면도 고려해야 하지만 기술적 제약으로 구현이 어렵다면, 기능적인 측면에서 소모전력을 절감하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는 업링크 동작 구간 및 다운링크 동작 구간 내 특정 구간에 대하여 측정된 레벨을 기준으로 중계기 커버리지 내 업링크 경로 혹은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출력수단의 상태정보를 적응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무선 중계기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소모전력을 절감 가능토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업링크(Uplink) 동작 구간 및 다운링크(Downlink) 동작 구간 내 기 설정된 구간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부; 상기 기 설정된 구간에 대하여 측정된 레벨을 기반으로 중계기 커버리지 내 업링크 경로 혹은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출력수단의 상태정보를 조정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무선중계장치의 전력절감 방법에 있어서, 업링크 동작 구간 및 다운링크 동작 구간 내 기 설정된 구간의 레벨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기 설정된 구간에 대해여 측정된 레벨을 기반으로 중계기 커버리지 내 업링크 경로 혹은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 및 상기 판별하는 과정의 판별결과에 따라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출력수단의 상태정보를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절감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는 업링크 동작 구간 및 다운링크 동작 구간 내 특정 구간에 대하여 측정된 레벨을 기준으로 중계기 커버리지 내 업링크 경로 혹은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출력수단의 상태정보를 적응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무선 중계기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소모전력을 절감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빌딩 중계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무선중계장치의 전력절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동작 구간에서의 전력절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동작 구간에서의 전력절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교환국 및 단말국으로 구성된다. 기지국과 단말국은 일정한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며, 각 기지국은 일정한 통화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다수의 기지국을 적절히 배치하여 각 기지국의 통화반경을 서로 겹치게 하여 통화 가능한 지역을 넓힌다. 그러나, 이러한 다수의 기지국의 배치에 의해 도시 전체를 커버하더라도 도서지방이나 대형 건물 지하공간 및 고층 빌딩의 내부에서는 통화가 불가능한 통화 음영 지역이 발생한다. 이러한 통화 음영 지역 발생을 해결하고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기 위한 방안 중 하나가 중계 장치의 설치이다. 이러한 중계 장치는 적용 지역이나 중계 방식에 따라 광 중계장치, RF 중계장치, 마이크로웨이브 중계장치 및 인빌딩(In-building) 중계장치 등이 있다. 외곽 지역 등에는 광 중계 장치가 사용되며, 가시거리가 수 Km인 경우에는 마이크로웨이브 중계장치가 사용되고, 아파트 단지, 대형건물 및 지하 주차장 등에는 인빌딩 중계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인빌딩 중계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빌딩 중계 시스템은 기지국(10), 마스터 중계 유닛(20), 리모트 중계 유닛(30) 및 단말기(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빌딩 중계 시스템에 의하는 경우 마스터 안테나는 기지국(10) 간의 RF 신호를 송수신하며, 마스터 중계 유닛(20)은 마스터 안테나에서 수신한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유선 전송 선로를 통하여 리모트 중계 유닛(30)에 전송한다.
리모트 중계 유닛(30)은 전송 받은 디지털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한 후 리모트 안테나를 통하여 인빌딩 내 음영지역에 위치한 단말기(20)로 송신한다. 업 링크시는 다운링크와 역경로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인빌딩 중계 시스템 내에서는 많은 수의 중계 장치가 사용됨에 따라 자연적으로 소모전력도 증가하게 되며, 이는 곧, 운용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중계 장치의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소모전력 절감 통해 운용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무선중계장치(200)는 기본적으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200)에 연결된 단말기로 하여금 인터넷 회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즉, 무선중계장치(200)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로부터 제공받은 유선 인터넷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시키고, 이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구현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200)는 IEEE 802.11 즉, 흔히 무선랜, 와이파이(Wi-Fi)라고 부르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에서 사용되는 통신규격에 근거하여 무선 네트워크(인터넷)를 제공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은 크게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과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F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이루어진다. T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진다. TDD 방식의 채널 응답은 실질적으로 상호적(Reciprocal)이다. 이는 주어진 주파수 영역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과 상향링크 채널 응답이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은 상향링크 채널 응답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시분할되므로 기지국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과 UE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는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200)의 소모전력 절감방법을 위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무선중계장치(200)가 TDD 방식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200)는 레벨 측정부(210), 판별부(220) 및 출력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2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2의 경우는 무선중계장치(200)가 소모전력 절감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주요 구성요소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무선중계장치(200)는 기본적으로 무선중계 기능 제공을 위한 다양한 구성을 가짐을 인식하여야 한다.
레벨 측정부(210)는 업링크(Uplink) 동작 구간 및 다운링크(Downlink) 동작 구간 내 기 설정된 구간의 레벨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레벨 측정부(210)는 기 설정된 업링크 동작 구간 및 다운링크 동작 구간 각각에 대한 시작 지점 및 끝 지점을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동작 구간 내 특정 구간에 대한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레벨 측정부(210)에서 측정된 레벨은 이후 판별부(220)가 업링크 경로 혹은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데 있어서 판별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레벨 측정부(210)는 업링크 동작 구간 및 다운링크 동작 구간별로 각각 해당 동작 구간 내 서로 다른 특정 구간에 대한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레벨 측정부(210)는 업링크 동작 구간에 대해서는 업링크 동작 구간 내 기 설정된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간은 업링크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된 시점 즉, 업링크 동작 구간의 시작 구간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구간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간은 바람직하게는 단말 UL 신호가 없는 노이즈만 측정 가능한 구간으로서 38.428us에 해당되는 구간일 수 있다.
제2 구간은 제1 구간이 종료된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Timing Advance Offset) 기간이 경과된 시점 즉, 업링크와 관련한 실제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지는 업링크 신호 구간(=업링크 데이터 구간)일 수 있다.
레벨 측정부(210)는 다운링크 동작 구간에 대해서는 다운링크 동작 구간 내 기 설정된 제3 구간을 제외한 다른 구간에서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구간은 다운링크 동작 구간에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되는 SSB 주파수에 대응되는 구간일 수 있다. 즉, 레벨 측정부(210)는 SSB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판별부(220)는 중계 시스템 내 업링크 경로(Uplink Path) 및 다운링크 경로(Downlink Path)의 사용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판별부(220)는 레벨 측정부(210)에서 측정된 기 설정된 구간에 대한 레벨을 기반으로 중계기 커버리지 내 업링크 경로 및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판별한다.
예컨대, 판별부(220)는 업링크 동작 구간에 대해서는 제1 구간에서 측정한 레벨과 제2 구간에서 측정한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각 구간에서 측정된 레벨이 일정 시간 동일한 경우 업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다.
한편, 업링크 신호 구간에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단말 UL 신호에 따라 해당 구간에서의 측정 레벨에 대하여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 점에 기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판별부(220)는 업링크 동작 구간 내 단말 UL 신호가 발생하는 업링크 신호 구간과 단말 UL 신호 없이 노이즈만 측정 가능한 구간에 대해 측정되는 레벨을 비교함으로써 업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판별부(220)는 다운링크 동작 구간에 대해서는 기 설정된 제3 구간을 제외한 다른 구간에서 기본 레벨 이상의 신호가 일정 시간 없다면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다. 이때, 기본 레벨은 열잡음, 중계기 잡음지수, 마진(Margin)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다운링크 신호 구간에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단말 DL 신호에 따라 해당 구간에서의 측정 레벨에 대하여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 점에 기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판별부(220)는 다운링크 동작 구간 내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 되는 SSB 주파수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된 레벨을 확인함으로써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반대로, 판별부(220)는 기 설정된 제3 구간을 제외한 다른 구간에서 기본 레벨 이상의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측정되면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다.
출력 제어부(230)는 판별부(220)의 판별결과에 따라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출력수단의 상태정보를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출력 제어부(230)는 업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응되는 출력수단을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조정한다. 이때, 업링크에 대응되는 출력수단은 업링크 신호를 출력하는 UL AMP일 수 있다.
출력 제어부(230)는 업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응되는 출력수단을 온 상태로 유지하며, 만일 이전 상태에서 출력수단이 오프 상태였다면 이를 다시 온 상태로 조정하여 정상 서비스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출력 제어부(230)는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응되는 출력수단의 전압을 기존 대비 감소시킨다. 이때,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출력수단은 다운링크 신호를 출력하는 DL AMP일 수 있다.
한편, 다운링크 경로의 경우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다운링크 동작 구간 내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 되는 SSB 주파수 등으로 인해 출력수단이 항시 온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출력 제어부(230)는 출력수단의 상태를 오프하는 대신 Bias 전압을 낮추는 방식을 통해 소모전력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출력 제어부(230)는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응되는 출력수단의 전압을 낮추지 않으며, 만일 이전 상태에서 출력수단의 전압이 낮춰진 상태이면 정상 Bias 전압으로 복구하여 정상 서비스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무선중계장치의 전력절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3은 업링크 동작 구간에서 무선중계장치(200)의 소모전력 절감방법을 예시하였다.
도 3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200)는 업링크 동작 구간 내 단말 UL 신호가 없는 노이즈만 측정 가능한 구간(=제1 구간)에서 측정한 레벨과 단말 UL 신호 구간(=제2 구간)에서 측정한 레벨이 일정 시간 동일하다면 중계기 커버리지 내에서 업링크 경로로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업링크 AMP 오프를 통해 소모전력을 절감한다.
무선중계장치(200)는 업링크 동작 구간 내 단말 UL 신호 구간(=제2 구간)에서 측정한 레벨이 단말 UL 신호가 없는 노이즈만 측정 가능한 구간(=제1 구간)에서 측정한 레벨보다 일정 수준 이상 높은 경우 업링크 AMP를 오프하지 않으며 만일, 이전 상태에서 업링크 AMP를 오프하였다면 이를 다시 온하여 정상 서비스로 복귀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동작 구간에서의 전력절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무선중계장치(200)는 업링크 동작 구간 내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의 레벨을 측정한다(S402). 단계 S402에서 제1 구간은 단말 UL 신호가 없는 노이즈만 측정 가능한 구간으로서 38.428us에 해당되는 구간일 수 있다.
제2 구간은 제1 구간이 종료된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Timing Advance Offset) 기간이 경과된 시점 즉, 업링크와 관련한 실제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지는 업링크 신호 구간일 수 있다.
무선중계장치(200)는 단계 S402에서 측정한 제1 구간의 레벨 및 제2 구간의 레벨이 일정 시간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404).
무선중계장치(200)는 단계 S404의 확인결과에 따라 제2 구간의 레벨이 제1 구간의 레벨 보다 일정 수준 이상 높은 경우 업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다(S406).
무선중계장치(200)는 단계 S404의 확인결과에 따라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의 레벨일 일정 시간 동일한 경우 업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미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다(S408).
무선중계장치(200)는 단계 S406 및 단계 S408의 판별결과에 따라 업링크에 대응되는 출력수단을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조정한다(S410). 단계 S410에서 무선중계장치(200)는 업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미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업링크 AMP 오프를 통해 소모전력을 절감한다.
여기서, 단계 S402 내지 S410는 앞서 설명된 무선중계장치(2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응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동작 구간에서의 전력절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무선중계장치(200)는 다운링크 동작 구간 내 제3 구간을 제외한 다른 구간의 레벨을 측정한다(S502). 단계 S502에서 제3 구간을 제외한 다른 구간은 다운링크 동작 구간에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되는 SSB 주파수에 대응되는 구간을 제외한 다른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무선중계장치(200)는 단계 S502에서 측정한 레벨이 기 설정된 기본 레벨 이상의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504).
무선중계장치(200)는 단계 S504의 확인결과에 따라 제3 구간을 제외한 다른 구간에서 기본 레벨 이상의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측정되면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다(S506).
무선중계장치(200)는 단계 S504의 확인결과에 따라 제3 구간을 제외한 다른 구간에서 기본 레벨 이상의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측정되지 않으면,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미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다(S508).
무선중계장치(200)는 단계 S506 및 단계 S508의 판별결과에 따라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출력수단의 전압을 조정한다(S510). 단계 S510에서 무선중계장치(200)는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미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출력수단의 전압을 기존 대비 감소시킨다.
여기서, 단계 S502 내지 S508는 앞서 설명된 무선중계장치(2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응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4 및 도 5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 및 도 5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 및 도 5에 기재된 무선중계장치(200)의 전력절감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무선중계장치 210: 레벨 측정부
220: 판별부 230: 출력 제어부

Claims (9)

  1. 업링크(Uplink) 동작 구간 및 다운링크(Downlink) 동작 구간 내 기 설정된 구간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부;
    상기 기 설정된 구간에 대하여 측정된 레벨을 기반으로 중계기 커버리지 내 업링크 경로 혹은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출력수단의 상태정보를 조정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업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응되는 출력수단을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조정하며,
    상기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출력수단의 전압을 기존 대비 감소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측정부는,
    상기 업링크 동작 구간에 대하여 기 설정된 제1 구간 및 및 제2 구간의 레벨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업링크 동작 구간의 시작 구간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구간이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업링크 동작 구간 내 업링크 신호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제1 구간에서 측정한 레벨과 상기 제2 구간에서 측정한 레벨이 일정 시간 동일한 경우 상기 업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측정부는,
    상기 다운링크 동작 구간에 대해서는 기 설정된 제3 구간을 제외한 다른 구간에서의 레벨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제3 구간은,
    상기 다운링크 동작 구간에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되는 SSB 주파수에 대응되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다른 구간에서 기 설정된 기본 레벨 이상의 신호가 일정 시간 측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장치.
  8. 삭제
  9. 무선중계장치의 전력절감 방법에 있어서,
    업링크 동작 구간 및 다운링크 동작 구간 내 기 설정된 구간의 레벨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기 설정된 구간에 대해여 측정된 레벨을 기반으로 중계기 커버리지 내 업링크 경로 혹은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 및
    상기 판별하는 과정의 판별결과에 따라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출력수단의 상태정보를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출력수단의 상태정보를 조정하는 과정은,
    상기 업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응되는 출력수단을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조정하며,
    상기 다운링크 경로를 사용 중인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출력수단의 전압을 기존 대비 감소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절감 방법.
KR1020190132829A 2019-10-24 2019-10-24 무선중계장치에서의 소모전력 절감방법 및 장치 KR102237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829A KR102237403B1 (ko) 2019-10-24 2019-10-24 무선중계장치에서의 소모전력 절감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829A KR102237403B1 (ko) 2019-10-24 2019-10-24 무선중계장치에서의 소모전력 절감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403B1 true KR102237403B1 (ko) 2021-04-06

Family

ID=7547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829A KR102237403B1 (ko) 2019-10-24 2019-10-24 무선중계장치에서의 소모전력 절감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4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549A (ko) * 2009-11-27 2011-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택적 전달을 수행하는 중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20150136616A (ko) * 2013-04-05 2015-12-0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KR20180105895A (ko) * 2017-03-16 2018-10-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노드 및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549A (ko) * 2009-11-27 2011-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택적 전달을 수행하는 중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20150136616A (ko) * 2013-04-05 2015-12-0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KR20180105895A (ko) * 2017-03-16 2018-10-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노드 및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59957B (zh) 微微小区基站和调节来自其的导频信号的发射功率的方法
US9788361B2 (en) Setting transmission parameters i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CN101553023B (zh) 基站装置
US20110070881A1 (en) Anti-interference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97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emtocell base station
US20150078216A1 (en) Set up and maintenance framework for flexible time division duplex oper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
JP2009302959A (ja) 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端末装置制御方法
CN102804908B (zh) 基站的管理设备、管理方法和终端
US82898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ement of femto base station
US10070368B2 (en) Communication relaying apparatus, communication relay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10059544A (ko) 무선 채널의 주파수 선택적 특성을 증가시키는 중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중계 장치
US201401264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37403B1 (ko) 무선중계장치에서의 소모전력 절감방법 및 장치
JP2010093524A (ja) 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端末なら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
US7853238B1 (en) Powerline base station
WO2010150556A1 (ja) 基地局および基地局の制御方法
JP2010118986A (ja) 小型基地局、設定方法
KR10149440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1117793B1 (ko) 폐쇄 경로 공간의 다중 매질 활용 이동통신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EP2506651A2 (en) Bas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89292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소형 기지국
US20110143795A1 (en) Wireless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3031164A1 (ja) 無線中継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中継装置を制御するプロセッサ
US20100054202A1 (en) Interference control and resource allocation in a localized base station environment
KR101624332B1 (ko) 중계기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