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702B1 - A smart bowl for pet animal using iot - Google Patents

A smart bowl for pet animal using i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702B1
KR102236702B1 KR1020200129621A KR20200129621A KR102236702B1 KR 102236702 B1 KR102236702 B1 KR 102236702B1 KR 1020200129621 A KR1020200129621 A KR 1020200129621A KR 20200129621 A KR20200129621 A KR 20200129621A KR 102236702 B1 KR102236702 B1 KR 102236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mpanion animal
feed
receiving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6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광우
오원석
박진
이예지
박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글몬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글몬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글몬스터
Priority to KR1020200129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7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7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Bird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piece of IOT smart tableware for pets. The IOT smart tableware comprises: a body part having an inner space and including a first receiving part recessed inward; a support part supported by the first receiving part and including a second receiving part recessed inward; a bowl part supported by the second receiving part and including a third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 companion animal feed or water; a weight sensor unit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support part, the bowl part, and the companion animal feed or water received in the bowl part; a user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a companion animal feed or water supplied to a companion animal or the amount of a feed or water consumed by a companion animal from weigh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unit,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user terminal. The second receiving part is support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ceiving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water leaked from the bowl part can be received inside the first receiving part.

Description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A SMART BOWL FOR PET ANIMAL USING IOT}Smart tableware for IOT pets{A SMART BOWL FOR PET ANIMAL USING IOT}

본 발명은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에 수용되는 반려동물용 사료와 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식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mart tableware for IOT companion anim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tableware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feed and water for companion animals accommodated in the tableware.

근래에, 반려동물은 단순한 애완동물이 아니라 반려인과 함께 생활하고 교감을 나누는 가족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반려동물을 기르는 반려인 또한 늘어나고 반려동물의 건강과 미용에 많은 관심 및 투자를 아끼지 않지 않은 상황이며, 이러한 반려 동물을 키우는 주인들의 사육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제품들이 제공되고 있다.In recent years, companion animals are not just pets, but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family members who live and share sympathy with their companions, and the number of companions raising companion animals has increased, and they have not spared much interest and investment in the health and beauty of companion animals. And, a variety of products are provid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breeding for owners who raise such companion animals.

이러한 제품들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97521호에서는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으로서, 반려 동물의 음식료 급여를 위해 하나 이상의 식기 본체가 배치되는 급식대; 상기 급식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식기 본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기 장치; 일부가 상기 급식대와 마주보도록 구성된 지지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급식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식기 장치 중 어느 하나에 미리 저장된 음식료를 공급하며 근거리 통신을 통해 미리 설정된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공급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상기 공급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 장치 각각에 대해 음식료의 공급 패턴을 요청하기 위한 상기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수신된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패턴 정보에 대응되는 공급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메인 장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In relation to these product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20-0097521 discloses a companion animal feed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feeding table in which one or more tableware main bodies are disposed for food and beverage feeding of companion animals; A tableware device including any one of the one or more tableware main bodie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feeding table; 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a supporter, some of which face the feeder, and supplies food and beverages stored in advance to any one of one or more tableware devices disposed on the feeder according to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 supply device that transmits preset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supply devic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generating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questing a supply pattern of food and beverage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supply device to communicate short-range Companion animal food management including a main device that transmits to a user termi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es and transmits the control information to a suppl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system is starting up.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식기장치에 제 1 근거리 통신부, 센서부, 제1제어부 및 무선 충전부를 마련하여,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여 건강 상태에 이상 발생시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건강 이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a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a sensor unit, a first control unit, and a wireless charging unit are provided in the dishwasher to check the health status of a companion animal, an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health state, a health abnormal stat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Is notifying the user.

다만, 선행기술 1 과 같이 식음료가 배급되는 식기장치에 제 1 근거리 통신부, 센서부, 제1제어부 및 무선 충전부를 함께 마련하는 경우, 반려동물의 식음료 섭취시 식기장치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에 의해 각종 센서 및 전자부품들이 쉽게 고장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f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he sensor unit,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wireless charging unit are provided together in a tableware device in which food and beverages are distributed, as in the prior ar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electronic components can easily break down.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식기장치 전체에 방수처리를 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는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경쟁력이 하락한다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ase of waterproofing the entire dishwasher can be considered,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price and thus competitiveness decrease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97521호 (2020년08월19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97521 (August 19, 202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내부에 구비된 센서 등의 전자부품을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수명이 향상된 스마트 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tableware with improved life by stably protect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sensors provided therein through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 1 수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제 1 수용부에 지지되며,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 2 수용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제 2 수용부에 지지되며,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이 수용되는 제 3 수용부를 포함하는 보울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 상기 보울부 및 상기 보울부에 수용되는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부;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을 제공하는 유저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무게센서부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로부터 반려동물에게 제공된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의 양 또는 반려동물이 섭취한 사료 또는 물의 양을 산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유저의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울부에서 유출된 물이 상기 제 1 수용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제 1 수용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를 제공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portion that forms an inner space and includes a first receiving portion that is depressed inward; A support part supported by the first receiving part and including a second receiving part recessed inward; A bowl part supported by the second receiving part and including a third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feed or water for a companion animal; A weight sensor part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nd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upport part, the bowl part, and the feed or water for a companion animal accommodated in the bowl part;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of a user providing feed or water for companion animals; And a control unit calculating the amount of feed or water for companion animals or the amount of feed or water consumed by the companion animal from the weigh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unit 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amount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is supported by being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bowl portion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 smart tablewar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의 하단에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용부의 하단에는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돌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protruding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Can b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게센서부는 상기 돌출홈과 결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ight sensor unit may be coupled to the protruding groov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2 수용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홈을 폐쇄하는 돌출홈커버; 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a protruding groove cover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o close the protruding groove; It may includ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본체부 외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 1 수용부에는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는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drain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to pass through the main body so that water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flows outside the main bod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는,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1 격벽; 상기 제 1 수용부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하는 제 2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protruding upwardly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It may include a second partition wall protruding upward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에서 유출된 물이 상기 제 1 수용부 내부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 2 격벽의 외주면 둘레에는 관통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through passage may be forme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bowl part flows into the first receiving par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 상기 제 2 수용부 및 상기 제 3 수용부는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제 1 수용부의 최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이 투입되기 전의 무게 정보,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이 투입된 후의 무게 정보, 및 반려동물이 섭취를 마치고 나서의 무게 정보를 비교하여, 반려동물에게 제공된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의 양 또는 반려동물이 섭취한 사료 또는 물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ain hole may be form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unit, before feeding or water for a companion animal is added. By comparing the weight information, the weight information after the pet food or water is added, and the weight information after the pet finishes ingesting, the amount of pet food or water provided to the pet or the amount of food or water consumed by the pet You can calculate the quantit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격벽, 제 2격벽 및 배수구에 따라,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 사이에 물이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 1 수용부를 따라 흘러내려오는 물이 본체부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본체부 외측으로 배수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partition wall,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the drain hol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through which water can flow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receiving part, and flowing down along the first receiving part. It prevents the com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body and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즉, 간단한 구조를 통해 본체부에 구비된 센서 등의 전자부품을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수명이 향상된 스마트 식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rough a simple structure,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sensors provided in the main body can be stably protected to provide smart dishes with improved lif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B-B' 선은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 및 무게센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tableware for IOT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support part and a weight senso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와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해당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만 해석되어야 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first' or'second'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or steps, but the corresponding elements or step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ordinal number. .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hould be constru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or step from other components or step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1 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며, 도 4 는 도 1 의 B-B' 선은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 및 무게센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tableware for an IOT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and FIGS.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support part and a weight senso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100)는 본체부(10), 지지부(20) 및 보울부(30)를 포함한다.Smart tableware 100 for an IOT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0, a support portion 20, and a bowl portion 30.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100)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본체프레임(10a)과 이와 결합되어 사이에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본체커버(10b)로 이루어진다. 구조 안정성을 위하여 본체부(10)의 내부공간(S)은 격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main body 10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10a forming the frame of the smart tableware 100 for IOT companion animals to form an internal space (S) therebetween. It consists of a body cover (10b). For structural stability, the internal space S of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in a grid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체부(10)의 중심부는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본체부(10)의 양측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본체프레임(10a)의 양측단 저면에는 지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의 받침대가 적용될 수 있다.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both side ends of the body portion 10 may have a structure supported by the ground. In this case, a rubber base may b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main frame 10a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본체부(10)의 중심부에는 반구형상으로 내측으로 함몰되는 복수개의 제 1 수용부(11)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용부(11)가 본체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을 수용하는 보울부(30)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accommodating portions 11 recessed inwardly in a hemispherical shape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10. For example, as show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based o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10, and in this case, the bowl portion 30 for accommodating feed or water for a companion animal is provided. Each can support.

본체프레임(10a)은 본체커버(10b)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며 본체커버(10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100)에서는 반려동물에 급여되는 사료 또는 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부(40)가 본체부(10)의 내부공간(S)에 마련되는 바, 제 1 수용부(11)에서는 본체부(10) 내부공간(S)을 충분히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a)은 제 1 수용부(11) 근처에서 지면과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다만, 본체프레임(10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게센서부(40)가 본체부(10) 내부공간(S)에 배치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든 적용될 수 있다.The body frame (10a)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cover (10b) by a certain distance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dy cover (10b), but as will be described later, smart for IOT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ableware 100, a weight sensor unit 40 for measuring the weight of feed or water supplied to a companion animal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S of the main body 10, and in the first receiving unit 11, the main body unit 40 (10) It is desira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inner space (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main body frame 10a may extend parallel to the ground near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However, the shape of the main frame 10a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hape may be applied as long as the weight sensor unit 40 can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S of the main unit 10.

한편, 지지부(20)는 상술한 제 1 수용부(11)에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제 1 수용부(11)와 마찬가지로 반구형상으로 함몰되는 제 2 수용부(21)를 포함한다. 아울러, 보울부(30)는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이 수용되는 식기로서, 제 2 수용부(21)와 마찬가지로 반구형상으로 함몰되는 제 3 수용부(31)를 포함하며, 제 2 수용부(21)에 지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art 20 is a structure supported by the first accommodation part 11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second accommodation part 21 that is recessed in a hemispherical shape like the first accommodation part 11. In addition, the bowl part 30 is a tableware in which feed or water for a companion animal is accommodated, and, like the second accommodation part 21, includes a third accommodation part 31 that is recess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part ( 21).

제 3 수용부(31)의 내주면이 각지도록 형성되면 반려동물용 사료가 각진 모서리에 끼워질 수 있으므로, 제 3 수용부(31)는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 2 수용부(21) 및 제 1 수용부(11)도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receiving unit 31 is formed to be angled, the feed for companion animals can be fitted to the angled corners, so the third receiving unit 31 is preferably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correspondingly, the second receiving unit (21) and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is also preferably made of a hemisphe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바람직하게는, 제 1 수용부(11), 제 2 수용부(21) 및 제 3 수용부(31) 각각의 내주면 일측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 stepped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ortion 31.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100)는 무게센서부(40)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smart tableware 100 for an IOT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ight sensor unit 40.

상세하게는, 무게센서부(40)는 보울부(30)에 수용된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4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측정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수단 및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증폭 수단과 같은 전자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Specifically, the weight sensor unit 40 may be composed of a load cell 41 that measures the weight of feed or water for companion animals accommodated in the bowl unit 30, and in addition, a signal conversion that converts the measur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It is possible to include electronic means such as means and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the signal.

로드셀(41)은 브라켓(42)에 의해 본체부(10)의 내부공간(S)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로드셀(41)은 지지부(20)에 결합되어, 지지부(20), 보울부(30) 및 보울부(30)의 수용된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의 무게를 측정한다.The load cell 41 may be fixed to the inner space S of the main body 10 by the bracket 42. In addition, the load cell 41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20 and measures the weight of feed or water for pets accommodated in the support part 20, the bowl part 30, and the bowl part 30.

이를 위해, 제 1 수용부(11)의 하단에는 본체부(10) 내부공간(S)과 연통하는 개구(12)가 형성되고, 제 2 수용부(21)의 하단에는 상기 개구(12)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10)의 내부공간(S)과 연통하는 돌출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부(10)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본체커버(10b)에 개구(12)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12)에 제 2 수용부(21)의 돌출홈(22)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To this end, an opening 12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S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 and the opening 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1. A protruding groove 22 that penetrates and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S of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That is, the opening 12 is formed in the body cover 10b forming the inner space S of the body 10, and passes through the protruding groove 22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1 in the opening 12. It is to let you do.

이어서, 도 5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홈(22)과 로드셀(41)은 각각에 구비된 나사홀을 통하여 나사결합할 수 있으며, 로드셀(41)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돌출홈(22)의 둘레에는 'ㄷ' 자 모양의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protruding groove 22 and the load cell 41 can be screwed through a screw hole provided in each, and protrude to support the load cell 41 more stably. A partition wall having a'C' shape may be formed around the groove 22.

한편, 제 2 수용부(21)는 무게센서부(40)가 배치되는 본체부(10)의 내부공간(S)과 연통되는 바, 제 2 수용부(21)를 따라 물이 흐르는 경우 무게센서부(40)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pace (S) of the body portion 10 in which the weight sensor portion 40 is disposed, and when water flows along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1, the weight sensor It may cause a failure of the part 40.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100)는 본체부(10)의 내부공간(S)과 연통하는 돌출홈(22)을 폐쇄하도록 상기 제 2 수용부(21)의 하단에 배치되는 돌출홈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mart tableware 100 for an IOT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cond receiving part 21 to close the protruding groove 22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S of the main body 10. It may include a protruding groove cover 23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이 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돌출홈커버(23)는 제 2 수용부(21) 하단에 밀착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more preferably, the protruding groove cover 23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100)는 디스플레이부(50) 및 버튼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0) 및 버튼부(51)는 각각의 제 1 수용부(11)에 대응하여 본체커버(10b) 상면 일측에 마련된다. The smart tableware 100 for an IOT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unit 50 and a button unit 51. 1 to 4, the display unit 50 and the button unit 51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ver 10b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units 11.

상세하게는, 무게센서부(40)에 의해 측정된 무게를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으며, 버튼부(51)를 누르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수치가 초기화될 수 있다.In detail, the weight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unit 4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and when the button unit 51 is pressed, a value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be initialized.

한편,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100)는 그 내부에 각종 센서 및 전자부품 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반려동물이 식음료 섭취시 식기로부터 유출된 물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mart tableware 100 for an IOT companion animal has various sensors and electronic components there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vulnerable to water leaked from the tableware when eating or drinking.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보울부(30)에서 유출된 물을 본체부(10)의 구조를 따라 본체부(10) 외측으로 안전하게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bowl part 30 is safely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 along the structure of the body part 10.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보울부(30)에서 유출된 물이 제 1 수용부(11)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제 2 수용부(21)는 제 1 수용부(1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지지된다. 제 1 수용부(11)와 제 2 수용부(21)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여, 보울부(30)에서 유출된 물을 제 1 수용부(11)의 내주면을 따라 제 1 수용부(11) 하단으로 흘려보내는 것이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1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bowl portion 30 can be accommodated in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Is supported. By provid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1,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bowl portion 3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It flows to the bottom.

이를 위해, 제 1 수용부(11)의 상단부 둘레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2 격벽(14)이 마련되며, 제 2 수용부(21)는 제 2 격벽(14)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제 2 수용부(21)가 제 2 격벽(14)에 지지됨에 따라, 제 1 수용부(11)와 제 2 수용부(21)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To this end, a second partition wall 14 protruding upward is provid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receiving part 11, and the second receiving part 21 may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4. . As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1 is supported by the second partition 14, a space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1 can be easily secured.

이 때, 제 2 수용부(21)가 제 2 격벽(14)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제 2 수용부(21)의 상단부 둘레는 제 2 격벽(14)을 감싸도록 절곡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1 may be bent to surround the second barrier rib 14 so that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1 may be more stably supported on the second barrier rib 14. .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격벽(14)의 외주면 둘레 하단부에는 복수개의 관통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울부(30)에서 유출된 물이 제 2 격벽(14)의 둘레 하단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유로를 통하여, 제 1 수용부(11) 내부로 흐를 수 있다. More preferably, a plurality of through passages (not shown)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14. In this case, water flowing out of the bowl part 30 may flow into the first accommodation part 11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passages formed at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4.

즉, 제 2 격벽(14)에 의해 제 2 수용부(21)를 제 1 수용부(11)로부터 이격지지함과 동시에 물이 제 1 수용부(11)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ile support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1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by the second partition wall 14, water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한편, 제 1 수용부(11)의 하단에는 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12)는 무게센서부(40)가 마련되는 본체부(10) 내부와 연통되는 바, 물이 제 1 수용부(11)의 내주면을 따라 본체부(10) 내부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수용부(11)는 상기 개구(12)의 둘레를 따라 상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격벽(13)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n opening 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 and the opening 12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 where the weight sensor part 40 is provided, so that water is removed. 1 It can flow into the body part 10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1. To prevent th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further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13 protruding upward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12.

이 때, 제 2 수용부(21)는 제 2 격벽(14)뿐만 아니라 제 1 격벽(13)의 상면에도 지지될 수 있고, 이 경우 지지부(20) 및 보울부(3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1 may be supported not only on the second partition 14 but also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13, and in this case, the support 20 and the bowl 30 are more stably supported. can do.

아울러, 제 1 수용부(11)의 하단에는 배수구(1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용부(11) 하단에 본체프레임(10a)과 본체커버(10b)를 모두 관통하는 배수구(15)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수구(15)를 따라 본체부(10) 외측으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in hole 15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4, it is possible to form a drain hole 15 penetrating both the body frame 10a and the body cover 10b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in this case, the drain hole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along (15).

바람직하게는, 배수구(15) 하단에서 배수구(15)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집하는 물 수집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a water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15 at the bottom of the drain 15 may be further included.

즉, 상술한 제 1 격벽(13), 제 2 격벽(14) 및 배수구(15)에 의하여, 제 1 수용부(11)와 제 2 수용부(21) 사이에 물이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물이 제 1 수용부(11)를 따라 본체부(10)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본체부(10) 외측으로 배수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 space through which water can flow is secured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1 by the above-described first partition wall 13, the second partition wall 14 and the drain hole 15.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body portion 10 along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and drainage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0.

즉, 간단한 구조를 통해 본체부(10)에 구비된 센서 등의 전자부품을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수명이 향상된 스마트 식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rough a simple structure,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sensor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can be stably protected, thereby providing smart dishes with improved life.

한편, 반려동물이 사료 또는 물을 보다 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제 1 수용부(11), 제 2 수용부(21) 및 제 3수용부(31)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 배수구(15)는 제 1 수용부(11)의 최하단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companion animal to more conveniently consume feed or water, the first receiving unit 11, the second receiving unit 21 and the third receiving unit 31 will be arrang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ground. In this case, the drain hole 15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이 경우 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경사를 따라 제 1 수용부(11)의 최하단으로 흐르게 되어, 배수가 보다 용이해진다.In this case, the water flows along the slope to the lowermost end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by the action of gravity, and drainage becomes easi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100)는 제어부, 통신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mart tableware 100 for an IOT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60.

본 발명의 유저라 함은 반려동물에게 음식을 제공 및 공급해주는 주체로 반려동물을 기르는 반려인, 동물 병원, 펫 유치원, 펫 호텔 등의 직원 등의 반려동물에게 식사 및 식수를 공급하는 모든 대상이 될 수 있다.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ject that provides and supplies food to companion animals, and all subjects who supply food and water to companion animals, such as employees of animal hospitals, pet kindergartens, pet hotels, etc. Can be.

이러한 유저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저 단말을 통하여 무게측정부에서 측정된 무게 또는 과거의 측정 무게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유저 단말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등일 수 있다.Such a user can easily check the weight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ing unit or information on the measured weight in the past through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a display.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may be, for example, a smartphone, a tablet PC, or a computer.

여기서, 통신부(60)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유선 통신의 경우 후술할 유저 단말에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어 유저 및 수의사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의 경우 와이파이, 블루투스, 비콘과 같은 근거리통신수단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를 매개로 무선 방식으로 유저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물론 무선 방식의 통신부(60)는 이러한 근거리통신수단 이외에 공지의 원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원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communication unit 60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 the case of wired communication, it is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to be described later via a cable to communicate with a user and a veterinarian, and in the cas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Fi, Bluetooth,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a user terminal in a wireless manner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 beacon. Of cour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0 may perform long-distance communication including a known long-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to such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즉, 본 발명의 통신부(60)는 유무선 통신 수단 중 특정 통신수단에 한정되지 않으나, 제작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가성비와 기본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블루투스나 비콘과 같은 근거리통신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통신부(60)는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부(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mmunication means amo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but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or beacon that can guarantee cost-effectiveness and basic performance while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6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한편, 제어부는 무게센서부(40)에 의해 측정된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이 보울부(30)로 투입되기 전 보울부(30), 지지부(20)의 무게와 투입된 후의 보울부(30), 지지부(20)의 무게 또는 반려동물이 섭취를 마치고 나서의 보울부(30), 지지부(20)의 무게를 비교하여, 반려동물에게 제공된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의 양 또는 반려동물이 섭취한 사료 또는 물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is the weight of the bowl part 30, the support part 20 before the feed or water for the companion animal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part 40 is injected into the bowl part 30, and the bowl part 30 after the input. , By comparing the weight of the support part 20 or the weight of the bowl part 30 and the support part 20 after the companion animal finishes ingesting, the amount of feed or water for the companion animal provided to the companion animal, or the food consumed by the companion animal Or you can calculate the amount of water.

그 후, 제어부는 반려동물에게 제공된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의 양 또는 반려동물이 섭취한 사료 또는 물의 양 등에 관한 데이터를 통신부(60)를 통해 유저의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transmits data on the amount of feed or water for the companion animal provided to the companion animal or the amount of feed or water consumed by the companion animal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0.

이에, 사용자의 반려 동물의 건강 관리와 식사 관리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ensuring the user's convenience in managing the health of the user's companion animal and managing the meal.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are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
10 본체부
10a 본체프레임
10b 본체커버
11 제 1 수용부
12 개구
13 제 1 격벽
14 제 2 격벽
15 배수구
20 지지부
21 제 2 수용부
22 돌출홈
23 돌출홈커버
30 보울부
31 제 3 수용부
40 무게센서부
41 로드셀
42 브라켓
50 디스플레이부
51 버튼부
60 통신부
S 내부공간
100 IOT Smart Tableware for Pets
10 Main body
10a body frame
10b body cover
11 No. 1 Receptacle
12 openings
13 first bulkhead
14 second bulkhead
15 drain
20 support
21 2nd receptacle
22 Protruding groove
23 Protruding groove cover
30 bowl
31 3rd receptacle
40 Weight sensor part
41 load cell
42 bracket
50 Display
51 button part
60 Ministry of Communications
S inner space

Claims (10)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 1 수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제 1 수용부에 지지되며,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 2 수용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제 2 수용부에 지지되며,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이 수용되는 제 3 수용부를 포함하는 보울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 상기 보울부 및 상기 보울부에 수용되는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부;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을 제공하는 유저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무게센서부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로부터 반려동물에게 제공된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의 양 또는 반려동물이 섭취한 사료 또는 물의 양을 산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유저의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울부에서 유출된 물이 상기 제 1 수용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제 1 수용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 1 수용부의 하단에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1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용부의 하단에는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돌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무게센서부는 상기 돌출홈과 결합하고,
상기 제 1 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본체부 외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 1 수용부에는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용부는, 그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하는 제 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보울부에서 유출된 물이 상기 제 1 수용부 내부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 2 격벽의 외주면 둘레에는 관통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
A body portion defining an inner space and including a first receiving portion recessed inward;
A support part supported by the first receiving part and including a second receiving part recessed inward;
A bowl part supported by the second receiving part and including a third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feed or water for a companion animal;
A weight sensor unit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unit and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upport unit, the bowl unit, and the feed or water for a companion animal accommodated in the bowl unit;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of a user providing feed or water for companion animals; And
A control unit that calculates the amount of feed or water for a companion animal or the amount of feed or water consumed by the companion animal from the weigh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s supported by being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bowl portion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 first partition wall protruding upward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is formed,
A protruding groov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o pass through the opening and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part,
The weight sensor unit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groove,
A drain hole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is formed in the first receiving part so that water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art flows outside the main body,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partition wall protruding upward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thereof,
Smart tableware for IOT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passage is forme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bowl part flows into the first receiving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2 수용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홈을 폐쇄하는 돌출홈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a protruding groove cover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o close the protruding groov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mart tableware for IOT companion animal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 상기 제 2 수용부 및 상기 제 3 수용부는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ortion are arrang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Smart tableware for IOT companion animal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제 1 수용부의 최하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drain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wermost end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smart tableware for IOT companion anim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이 투입되기 전의 무게 정보,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이 투입된 후의 무게 정보, 및 반려동물이 섭취를 마치고 나서의 무게 정보를 비교하여, 반려동물에게 제공된 반려동물용 사료 또는 물의 양 또는 반려동물이 섭취한 사료 또는 물의 양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unit, the weight information before the feed for the companion animal or water is added, the weight information after the feed for the companion animal or water is added, and the weight information after the companion animal finishes ingesting. In comparison, smart tableware for IOT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to calculate the amount of feed or water for the companion animal provided to the companion animal or the amount of feed or water consumed by the companion animal.
KR1020200129621A 2020-10-07 2020-10-07 A smart bowl for pet animal using iot KR1022367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621A KR102236702B1 (en) 2020-10-07 2020-10-07 A smart bowl for pet animal using i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621A KR102236702B1 (en) 2020-10-07 2020-10-07 A smart bowl for pet animal using i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702B1 true KR102236702B1 (en) 2021-04-06

Family

ID=7547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621A KR102236702B1 (en) 2020-10-07 2020-10-07 A smart bowl for pet animal using i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7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507A (en) 2021-07-26 2023-02-02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tableware stand for pe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414A (en) * 2000-06-09 2001-12-19 이현빈 Apparatus for supplying doggy meal
KR20130047141A (en) * 2011-10-31 2013-05-08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Food container for pet
KR20200097521A (en) 2019-02-08 2020-08-19 신종섭 Management system for feeding companion anim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414A (en) * 2000-06-09 2001-12-19 이현빈 Apparatus for supplying doggy meal
KR20130047141A (en) * 2011-10-31 2013-05-08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Food container for pet
KR20200097521A (en) 2019-02-08 2020-08-19 신종섭 Management system for feeding companion anim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507A (en) 2021-07-26 2023-02-02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tableware stand for pe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8136B2 (en) Monitoring device for animals
TWI574614B (en) A smart basin for pet
Goh et al. Voluntary wheel running in mice
KR101756360B1 (en) Smart feeding device for pet and smart feeding system using the same
US8866605B2 (en) Animal monitoring system
CN108471730A (en) Body weigher and animal toilet
KR102236702B1 (en) A smart bowl for pet animal using iot
KR101365476B1 (en) Medication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for
KR20180067107A (en) Health Care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
KR20170000956A (en)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companion animal
ES2854926T3 (en) RF beacon proximity determination enhancement
KR101965544B1 (en) Drinking water volume training training dish of companion animals
EP2058016A1 (en)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serum bag levels
US20170143864A1 (en) Smart diffuser
KR102036973B1 (en) Animal feeding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 fodder residual quantity of the aninal feed system
US11252932B2 (en) Animal litter box
KR20210032087A (en) Food feeder and food feeding system for pets health care
JP2014239713A (en) Rice chest
CN110022793A (en) Thermointegrator tool
TWI517819B (en) Intelligent drinking water metering device
KR200460790Y1 (en) The cat house
CN209432173U (en) Novel rice cylinder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209788125U (en) Mouse cage capable of being remotely positioned and used for breeding experimental mice
US20190125267A1 (en)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apparatus
KR102015629B1 (en) Beverag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