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446B1 - Water cuture block - Google Patents

Water cuture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446B1
KR102236446B1 KR1020200120453A KR20200120453A KR102236446B1 KR 102236446 B1 KR102236446 B1 KR 102236446B1 KR 1020200120453 A KR1020200120453 A KR 1020200120453A KR 20200120453 A KR20200120453 A KR 20200120453A KR 102236446 B1 KR102236446 B1 KR 102236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bottom plate
presen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4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효찬
전종현
Original Assignee
전효찬
전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효찬, 전종현 filed Critical 전효찬
Priority to CN202080058663.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269150B/en
Priority to JP2022505470A priority patent/JP7345627B2/en
Priority to EP20870247.2A priority patent/EP3987920A4/en
Priority to PCT/KR2020/012683 priority patent/WO2021060781A1/en
Priority to AU2020354808A priority patent/AU202035480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446B1/en
Priority to US17/586,009 priority patent/US2022014207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culture block capable of growing aquatic plants. The water cultur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lock body including a bottom plate and a plurality of side plate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and having openings in which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n overflow partition wall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block body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rough the bottom plate for the fluid overflown to the block body to be evenly discharged into a plurality of holes.

Description

수경 재배 블록{Water cuture block}Hydroponic cultivation block {Water cuture block}

본 발명은 수경 재배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생 식물을 생육할 수 있는 수경 재배 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capable of growing aquatic plants.

일반적으로 수경 재배(water culture)는 흙과 같은 토양을 사용하지 않고 물과 수용성 영양분을 포함하는 배양액 속에서 식물을 키우는 재배 방법을 의미한다.In general, water culture refers to a cultivation method in which plants are grown in a culture medium containing water and water-soluble nutrients without using soil such as soil.

수경 재배는 물 또는 배양액이 수납된 용기 내에 수경 재배에 적합한 식물을 생육하기 때문에 식물의 성장 과정, 식물의 뿌리 발육 상태 등을 관찰하기 쉽고, 집안에서 쉽고 청청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Hydroponic cultivation has the advantage of growing plants suitable for hydroponic cultivation in a container in which water or culture medium is stored, so that it is easy to observe the plant growth process and the state of plant root development, and can grow plants easily and cleanly in the house. .

수경 재배를 위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0160호,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 재배 및 정화 장치를 들 수 있다.As a prior art for hydroponic cultivation, Korean Patent No. 10-0250160, hydroponic cultiv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n ornamental fish tank may be mentioned.

관상어 수조를 이용한 수경 재배 및 정화 장치는 관상어 수조의 물을 수중 펌프에 의해 재배조로 제공하여 식물을 수경 재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재배조의 물을 필터를 통해 다시 관상어 수조로 제공하여 공기 정화와 함께 실내 가습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hydroponic cultiv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using the aquarium fish tank provides water from the aquarium fish tank to the cultivation tank by an underwater pump so that plants can be hydroponic cultiv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water from the cultivation tank is supplied back to the aquarium fish tank through a filter to purify air Allow indoor humidification.

관상어 수조를 이용한 수경 재배 및 정화 장치는 식물 지지대를 통해 식물을 지지하고 식물의 성장과 함께 식물 지지대를 연장함으로써 식물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hydroponic cultiv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n ornamental fish tank can prevent sagging of plants by supporting the plants through the plant support and extending the plant support along with the growth of the plant.

그러나, 상기 관상어 수조를 이용한 수경 재배 및 정화 장치는 거실 또는 방의 벽면을 장식하기 위한 아트월(artwall)로서 이용하기 어렵고, 서로 다른 식물들을 층층히 적층하여 독립적으로 생육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However, the hydroponic cultiv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the aquarium fish tank is difficult to use as an artwall for decorating the wall of a living room or room, and it is difficult to grow independently by stacking different plants layer by lay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생 식물을 생육할 수 있는 수경 재배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capable of growing aquatic plants.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은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과 수직하게 형성되며 개구가 형성된 복수의 측면판을 포함하여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의 내부 공간에 상기 바닥판과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홀을 수용하여, 상기 블록 몸체에 오버플로우된 유체를 상기 복수의 홀로 균등하게 배출하도록 하는 오버플로우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late and a plurality of side plate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and formed with openings, a block body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the bottom pl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block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rtically formed, and accommodate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rough the bottom plate, and includes an overflow partition wall for evenly discharging the fluid overflowed in the block body to the plurality of holes.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하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경 재배 블록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at least one other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에 있어서, 기 바닥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복수의 홀로부터 연장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하부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분배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llow extending from the plurality of holes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each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배관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경 재배 블록에 오버플로우된 유체를 분배하는 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ip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to distribute the overflowed fluid to at least one other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면판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가림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anking plate cover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ide plates.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은 전면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jections uniform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이미지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image blocks sel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격벽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오버플로우 격벽의 상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오버플로우 격벽으로 오버플로우되는 유체의 간섭을 방지하는 복수의 간섭 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flow partition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overflow partition while being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interferences that prevent interference of fluid overflowing to the overflow partition wal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하나의 관으로 배출하는 보조 분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distribution pipe for discharging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to one pipe.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은 수생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경 재배를 보다 쉽고 청정하게 하며, 다단으로 적층 가능하며 특히 벽면에 이용되는 아트월 또는 벽에 적용하거나, 입체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다단으로 적층된 각 블록에 식물을 개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aquatic plants can grow, makes hydroponic cultivation easier and cleaner, and can be stacked in multiple stages. It can be implemented in a shape, and plants can be individually provided for each block stacked in multiple stag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은 바닥판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수용하는 오버플로우 격벽을 포함하여, 수납 공간에 오버플로우된 유체가 복수의 홀을 통해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verflow partition wall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fluid overflowed in the storage space is uniformly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은 블록 몸체의 측면에 결합되는 가림판과, 가림판에 결합되는 이미지 블록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가림판에 글씨, 로고, 그림 등을 자유 자제로 형성하여, 식물과 조화하여 미려함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anking plate coupled to the side of the block body and an image block coupled to the blanking plate, so that the user can freely form letters, logos, pictures, etc. on the blanking plate. In harmony with it, you can secure beau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분배관이 수경 재배 블록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에 가림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수경 재배 블록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distribution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late is coupled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ank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dest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blank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lan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par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without distract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is appropriate as a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as such.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and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을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수경 재배 블록(100)은 블록 몸체(110) 및 오버플로우 격벽(120)을 포함한다.1 to 5,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100 includes a block body 110 and an overflow partition wall 120.

블록 몸체(110)는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된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블록 몸체(110)는 수납 공간에는 유체가 구비되며, 유체에 식물이 생육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물 또는 배양액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블록 몸체(110)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블록 몸체(110)는 투강한 내구성을 갖고 쉽게 부식되지 않는 금속 소재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The block body 110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 top surface. The block body 110 is provided with a fluid in the storage space, and plants can grow in the fluid. Here, the fluid may be water or a culture solution. In addition, the block body 11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lock body 1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has strong durability and is not easily corroded.

블록 몸체(110)는 여러 개로 제조된 조각들을 상호 조립하여 제작하여도 무방하고, 사출 공정 등에 의하여 일체로 제작하거나 금속 플레이트를 접어 용접하여 제작하여도 무방하다.The block body 110 may be manufactured by assembling several pieces of each other, or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by an injection process or the like, or may be manufactured by folding and welding a metal plate.

또한 블록 몸체(110)는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물 또는 배양액이 누설되지 않도록 방수 처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 body 110 may be waterproofed so that water or culture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space does not lea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몸체(110)는 상면이 개방된 다수개의 측면판(112)들 및 바닥판(111)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The block body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xahedral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side plates 112 and a bottom plate 111 with an open top surface.

예를 들어, 블록 몸체(110)는 4 개의 측면판(112)들 및 1 개의 바닥판(111)을 포함한다. 블록 몸체(110)의 4 개의 측면판(112)들 및 1 개의 바닥판(111)은 상호 조립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lock body 110 includes four side plates 112 and one bottom plate 111. The four side plates 112 and one bottom plate 111 of the block body 110 may be mutually assembled or formed integrally.

복수의 측면판(112)들은 개구(112a)가 개별적으로 형성되며, 개구(112a)를 통해 식물이 블록 몸체(110)의 내부로 제공 또는 식물의 일부가 블록 몸체(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ide plates 112 are individually formed with an opening 112a, and through the opening 112a, a plant is provided to the inside of the block body 110 or a part of the pla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lock body 110. I ca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구(112a)는 측면판(112)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112)의 하단은 블록 몸체(110)에 물 또는 배양액이 채워지기에 적합한 위치에 형성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112a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112, and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112 is formed at a position suitable for filling the block body 110 with water or a culture solution.

측면판(112) 중 개구(112a)의 모서리 각각에는 관통홀(112b)이 형성되는데, 측면판(112)에 형성된 관통홀(112b)들은 상호 마주하게 형성된다.A through hole 112b is formed at each edge of the opening 112a of the side plate 112, and the through holes 112b formed in the side plate 112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이러한 관통홀(112b)은 고정 부재를 통해 블록 몸체(110)를 벽에 고정하는데 사용되거나, 후술할 가림판(140)의 결합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관통홀(112b)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인접한 블록 몸체 간에 결합을 위해 사용된다.These through holes 112b are used to fix the block body 110 to the wall through a fixing member, or are used for coupling the shielding plate 14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112b is used for coupling between adjacent block bodies through a separate fixing member.

바닥판(111)은 블록 몸체(1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으로 하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경 재배 블록의 상부가 결합되거나, 받침대(200)이 결합되는 결합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111 is a plate that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block body 110, and the upper portion of at least one other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r a coupling portion 111a to which the pedestal 200 is coupled may be formed. have.

또한 바닥판(111)은 중심부에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홀은 후술할 오버플로우 격벽(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은 바닥판(111)을 관통하며, 수납 공간에서 오버플로우 격벽(120)을 통해 오버플로우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111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center. Here,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overflow partition wall 120 to be described later. The plurality of holes penetrate through the bottom plate 111 and may serve to discharge the overflowed flui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verflow partition wall 120 in the storage space.

또한 바닥판(111)은 하부면에 상기 복수의 홀로부터 연장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하부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분배관(111b)이 형성될 수 있다. 분배관(111b)은 복수의 홀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배관(111c)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111 may have a hollow extending from the plurality of holes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111b protruding downward,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pipe 111b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and the pipe 111c may be coupled.

여기서 배관(111c)은 복수의 분배관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경 재배 블록이나, 수조(300)에 수납 공간에서 오버플로우된 유체를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배관(111c)은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111c)은 하부에 있는 다른 수경 재배 블록의 수납 공간으로 연결되거나, 대각선 하부 방향에 배치된 다른 수경 재배 블록의 수납 공간에 연결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pipe 111c may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to distribute the fluid overflowed in the storage space to at least one other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or the water tank 300. These pipes 111c may be formed in various lengths. For example, the pipe 111c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being connected to a storage space of another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underneath, or connected to a storage space of another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disposed in a diagonal lower direction.

또한 바닥판(111)은 수납 공간에 저장된 유체보다 높게 형성되며, 바닥판(111)을 관통하여 역배관(도 14의 320)의 배치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113)가 형성될 수 있다. 통로(113)는 오버플로우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버플로우 격벽(121)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판(111)을 관통하여 역배관을 수용하는 통로(113)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수경 재배 블록(100)을 용이하게 적층하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역배관(320)은 최하부에 위치한 수조(300)로부터 최상부에 위치한 수경 재배 블록(110)으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배관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111 is formed higher than the fluid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nd at least one passage 113 may be formed through the bottom plate 111 to form a space for arranging the reverse pipe (320 in FIG. 14). have. The passage 113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overflow partition 121 to prevent the overflowed fluid from flowing in. In this way, by forming the passage 113 for accommodating the reverse pipe through the bottom plate 111, a plurality of hydroponic cultivation blocks 100 can be easily stacked and configured in various ways. At this time, the reverse pipe 320 refers to a pipe for transferring fluid from the water tank 300 located at the bottom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110 located at the top.

오버플로우 격벽(120)은 블록 몸체(110)의 내부 공간에 바닥판(111)과 수직하게 형성되며, 바닥판(11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홀을 모두 수용하여, 블록 몸체(110)에 오버플로우된 유체를 복수의 홀로 균등하게 배출하도록 한다. 즉 오버플로우 격벽(120)의 내부에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overflow partition wall 120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111 in the inner space of the block body 110, and accommodates all of 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through the bottom plate 111, and the block body 110 The fluid that has overflowed in is evenly discharged to a plurality of holes. That is,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overflow partition wall 120.

이러한 오버플로우 격벽(120)은 복수의 격벽(121) 및 간섭 방지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격벽(121)은 수납 공간의 유체가 오버플로우되어 복수의 홀로 균등하게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수납 공간의 유체가 블록 몸체(110)의 개구(112a)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verflow partition wall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21 and an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122. Here,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21 allow the fluid in the storage space to overflow and evenly discharge into the plurality of holes,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 fluid in the storage space from overflowing into the opening 112a of the block body 110. have.

한편 수납 공간의 유체를 복수의 홀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우 격벽(120)이 각 복수의 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관 형태로 형성될 경우, 블록 몸체(110)의 기울어짐 등의 요인에 따라 일부 홀로만 오버플로우된 물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verflow partition wall 120 for discharging the fluid in the storage space to a plurality of holes is formed in a tube shape extending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only some of the holes are overrun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inclination of the block body 1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wed water is discharg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격벽(12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복수의 홀로 균등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간섭 방지부(122)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의 격벽(121)의 상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복수의 격벽(121)으로 오버플로우되는 유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간섭 방지부(122)는 수납 공간에 수납된 식물의 뿌리가 자라면서 격벽(121)을 막거나, 바닥판(111)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간섭하여 유체의 흐름을 막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21 can be evenly discharged to a plurality of holes. The interference preventing unit 122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21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event interference of fluid overflowing to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21. That is, the interference preventing unit 122 may solve the problem of blocking the partition wall 121 as the roots of the plant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grow, or interfering wit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bottom plate 111 to prevent the flow of fluid. .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분배관이 수경 재배 블록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Meanwhile,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distribution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100)은 보조 분배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분배관(130)은 복수의 분배관(111b)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하나의 관으로 배출할 수 있다.Hydroponic cultivation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uxiliary distribution pipe (130). The auxiliary distribution pipe 130 may discharge fluid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111b into one pipe.

즉 보조 분배관(130)은 복수의 분배관(111b)의 유체를 하나로 모으는 집합부(131)와, 집합부(131)로부터 연장되어 하부에 있는 수경 재배 블록의 수납 공간으로 유체를 전달하는 관(13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에 있는 다른 수경 재배 블록으로 유체가 모두 내려가도록 구성할 경우, 각 분배관(111b)에 맞는 배관(111c)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유체를 전달할 수 있다.That is, the auxiliary distribution pipe 130 includes an assembly portion 131 that collects the fluids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111b into one, and a pipe extending from the assembly portion 131 to deliver the fluid to the storage space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located below. It may be formed as (132). Accordingly, when the fluid is configured so that all of the fluid goes down to the other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in the lower part, the fluid can be easily transferred even if the pipe 111c suitable for each distribution pipe 111b is not us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에 가림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late is coupled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100)은 복수의 측면판(112)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가림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creening plate 140 cover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ide plates 112.

가림판(140)은 측면판(112)을 모두 덮도록 결합되거나, 서로 다른 수경 재배 블록을 밀착 결합하도록 배치하였을때, 서로 다른 수경 재배 블록의 양 측면판의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림판(140)의 후면에는 블록 몸체(110)의 관통홀(112b)에 결합되는 돌출부(140a)가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shielding plate 140 is coupled to cover all of the side plates 112 or arranged to closely couple different hydroponic cultivation blocks, it may be coupled to be positioned in the middle of both side plates of different hydroponic cultivation blocks. To this end, a protrusion 140a coupled to the through hole 112b of the block body 110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hielding plate 140.

또한 가림판(140)은 전면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1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돌기(141)는 이미지 블록(142)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이미지 블록(142)의 후면에는 복수의 돌기(141)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될 수 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복수의 돌기(141)가 균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이미지 블록(142)을 자유 자제로 배치하여, 그림이나, 글자, 로고 등을 만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ing plate 140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1 uniform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41 allow the image blocks 142 to be coupled. Here, a groove into whic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41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mage block 142,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41 are uniformly formed, thereby freeing the image block 142. By arranging yourself, you can create pictures, letters, and logos.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ank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240)은 측면판(112)의 개구(112a)를 일부 노출하는 노출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출홀(241)은 수납 공간에 생육하는 식물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140)과 혼용하여 자유 자제로 스타일링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hielding plate 2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xposed hole 241 partially exposing the opening 112a of the side plate 112. Here, the exposure hole 241 allows a part of the plant growing in the storage space to be exposed, so that the user can freely style it by mixing it with the shielding plate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수경 재배 블록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받침대(200)는 블록 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수조(300)가 배치될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받침대(200)의 상면에는 블록 몸체(110)의 바닥판(111)의 하면에 구비된 결합부(111a)와 대응되는 제1 결합홈(210)이 형성되어, 블록 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9 to 12, the pedestal 2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lock body 110,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water tank 300 is to be placed. A first coupling groove 21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111a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1 of the block body 1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20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lock body 110 Can be combined with

또한 받침대(200)는 측면 및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홈(220) 및 제3 결합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홈(220) 및 제3 결합홈(230)은 도 11에 도시된 연결구(a, b)을 통해 다른 받침대와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destal 200 may have at least one second coupling groove 220 and a third coupling groove 230 formed on side and bottom surfaces. The second coupling groove 220 and the third coupling groove 230 may be coupled to another pedestal through the connector (a, b) shown in FIG. 11.

여기서 연결구(a, b)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받침대(200)의 배치에 따라 적절하게 제2 결함홈(220) 또는 제3 결합홈(230)에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or (a, b)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nd may be appropriately coupled to the second defect groove 220 or the third coupling groove 23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pedestal 200.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Meanwhile,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dest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200a)는 블록 몸체(100)의 결합부(111a)에 결합되는 제4 결합홈(210a)이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하부면 각 모서리에는 지지 기둥(2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200a)는 수경 재재 블록(100)이 하나로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지지 기둥(220a)의 길이에 따라 최하부에 위치한 수경 재배 블록(100)에 결합하여 수조(300)가 배치될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in a pedestal 2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urth coupling groove 210a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1a of the block body 1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pport pillars 220a may be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surface. The pedestal 2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ydroponic material block 100 used alone, or coupled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100 located at the bottom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upport column 220a, It is possible to prepare a space where 300) will be placed.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장치(400)는 수경 재배 블록(100), 받침대(200) 및 수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경 재배 블록(100)은 받침대(200)를 통해 4 열로 구성하고, 수직하게 적층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상부로 갈수록 적은 개수로 적층되는 피라미드 형태, 지그재그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가운데가 비어 있는 형태 등 수경 재배 블록(100)을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100, a pedestal 200 and a water tank 300. Here,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100 is configured in four rows through the pedestal 200, and is configured in a vertically stacked for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1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pyramid shape or a zigzag shape that is stacked in a smaller number as it goes upward.

수조(300)에 구비된 유체는 모터(310)를 통해 역배관(320)을 따라 최상부에 위치한 수경 재배 블록(100)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1 보조관(330)을 통해 최상부에 위치한 각 수경 재배 블록(100)으로 분배될 수 있다.The fluid provided in the water tank 300 may be delivered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100 located at the top along the reverse pipe 320 through the motor 310, and each It may be distributed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100.

최상부에 위치한 각 수경 재배 블록(100)의 수납 공간에 유체가 공급되게 되고, 공급된 유체는 상술한 오버플로우 격벽(120)을 통해 바닥판을 관통하여 하부에 있는 수경 재배 블록으로 전달된다. 이때 배관(도 5의 111c)을 통해 대각선 방향에 있는 수경 재배 블록으로 유체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고, 보조 분배관(130)을 통해 하부에 있는 수경 재배 블록으로 유체가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최하부에 위치한 수경 재배 블록에는 제2 보조관(340)을 통해 수조(30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조관은 "ㄴ"형태, "ㅗ"형태, "ㅡ"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fluid is supplied to the storage space of each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100 located at the top, and the supplied fluid passes through the bottom plate through the overflow partition wall 120 and is transferred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t the bottom. At this time, the fluid may be transferred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in the diagonal direction through the pipe (111c of FIG. 5), and the fluid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ferred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in the lower part through the auxiliary distribution pipe 130. In addi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located at the bottom may be transferred to the water tank 300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pipe 340. Here, the first auxiliary pipe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b" form, a "ㅗ" form, and a "-" form, and may be configured to extend by being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16의 (a)는 연결 부재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연결 부재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Meanwhile, FIGS. 15 to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blank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a) of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b) is a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140)은 받침판(200)에 결합되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300) 영역을 가리면서 추가적으로 디자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가림판(140)의 크기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15 to 17, the shielding plate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200 and, as shown in FIG. 17, may be used for additional design while covering the area of the water tank 300. have.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covering plate 14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개의 가림판(140)은 연결 부재(143)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143)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143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143a)는 가림판(140)의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림판(140)의 후면에 생성된 홈들은 기람판(140)에 형성된 돌기(141)들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5, two adjacent shielding plates 14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member 143. Here, as shown in FIG. 16, the connection member 143 may have protrusions 143a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Here, the protrusion 143a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groov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ing plate 140. In this case, the grooves gener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lanking plate 140 may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rotrusions 141 formed on the flag plate 140.

이와 같이, 연결 부재(143)를 통해 복수의 가림판(140)들을 서로 연결하여 받침판(120)에 결합함으로써,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영역을 가리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In this way,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hielding plates 140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143 and bonding to the base plate 120, as shown in FIG. 17, it may be used in a form to cover a desired area.

그리고 가림판(140)을 수경 재배 블록(100) 또는 받침판(200)에 디자인하고, 이후 이미지 블록(143)을 가림판(140)에 결합함으로써, 원하는 형태로 이미지나 텍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esigning the screening plate 140 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100 or the base plate 200, and then combining the image block 143 to the screening plate 140, an image or text may be formed in a desired shap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장치(400)는 수생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경 재배를 보다 쉽고 청정하게 하며, 다단으로 적층 가능하며 특히 벽면에 이용되는 아트월 또는 벽에 적용하거나, 입체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다단으로 적층된 각 블록에 식물을 개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aquatic plants can grow, makes hydroponic cultivation easier and cleaner, can be stacked in multiple stages, and is especially used on walls. It can be applied to a wall or wall, or implement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plants can be individually provided for each block stacked in multiple stag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장치(400)는 바닥판(111)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수용하는 오버플로우 격벽(210)을 포함하여, 수납 공간에 오버플로우된 유체가 복수의 홀을 통해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verflow partition wall 210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bottom plate 111, so that the fluid overflowing in the storage space can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It can be evenly discharged through.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장치(400)는 블록 몸체의 측면에 결합되는 가림판(140)과, 가림판(140)에 결합되는 이미지 블록(141)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가림판(140)에 글씨, 로고, 그림 등을 자유 자제로 형성하여, 식물과 조화하여 미려함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eening plate 140 coupled to the side of the block body, and an image block 141 coupled to the screening plate 14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screening plate. By forming letters, logos, pictures, etc. in (140) freely, it is possible to secure beauty by harmonizing with plants.

한편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Meanwhile, FIG. 1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plan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과, 식물 지지봉(150) 및 식물 지지대(160)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18 and 19,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support rod 150 and the plant support 160 It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nfiguration.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블록은 바닥판(11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식물 지지봉(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식물 지지봉(150)은 원통형으로 바닥판(111)의 각 꼭지점과 이웃하게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18 and 19, th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lant support rod 150 protruding from the bottom plate 111. The plant support rod 15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formed in plural adjacent to each vertex of the bottom plate 111.

식물 지지대(160)는 양끝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홀(16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홀(160a)이 식물 지지봉(15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식물 지지대(160)는 블록 몸체(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식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식물 지지대(160)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는 재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물 지지대(160)는 탄성력을 통해 식물 지지봉(150)에 고정될 수 있다.The plant support 160 may have at least one hole 160a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hole 160a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plant support rod 150. The plant support 160 may serve to support plant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lock body 110. Here, the plant support 160 may be a material that can have elasticity.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rubber or silicone. Accordingly, the plant support 160 may be fixed to the plant support rod 150 through an elastic forc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presented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수경 재배 블록 110 : 블록 몸체
111 : 바닥판 111a : 결합부
111b : 분배관 111c : 배관
112 : 측면판 112a : 개구
112b : 관통홀 120 : 오버플로우 격벽
121 : 격벽 122 : 간섭 방지부
130 : 보조 분배관 131 : 집합부
132 : 관 140, 240 : 가림판
140a : 돌출부 141 : 돌기
142 : 이미지 블록 200, 200a : 받침대
210 : 제1 결합홈 220 : 제2 결합홈
230 : 제3 결합홈 210a : 제4 결합홈
220a : 지지 기둥 300 : 수조
310 : 모터 320 : 역배관
330 : 제1 보조관 400 : 수경 재배 장치
100: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110: block body
111: bottom plate 111a: coupling portion
111b: distribution pipe 111c: piping
112: side plate 112a: opening
112b: through hole 120: overflow bulkhead
121: bulkhead 122: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130: auxiliary distribution pipe 131: assembly unit
132: pipe 140, 240: blanking plate
140a: protrusion 141: protrusion
142: image block 200, 200a: pedestal
210: first coupling groove 220: second coupling groove
230: third coupling groove 210a: fourth coupling groove
220a: support pillar 300: water tank
310: motor 320: reverse piping
330: first auxiliary pipe 400: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Claims (9)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과 수직하게 형성되며 개구가 형성된 복수의 측면판을 포함하여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의 내부 공간에 상기 바닥판과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홀을 수용하여, 상기 블록 몸체에 오버플로우된 유체를 상기 복수의 홀로 균등하게 배출하도록 하는 오버플로우 격벽; 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복수의 홀로부터 연장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하부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분배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분배관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경 재배 블록에 오버플로우된 유체를 분배하는 배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블록.
A block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including a bottom plate and a plurality of side plate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and having openings;
An overflow that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bottom pl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block body and accommodate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rough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fluid overflowed in the block body is evenly discharged to the plurality of holes. Flow bulkhead; Including,
Hollows extending from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each protruding downward are formed,
A pip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to distribute the overflowed fluid to at least one other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하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경 재배 블록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at least one other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면판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가림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A blanking plate cover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ide plates;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은 전면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블록.
The method of claim 5,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elding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uniform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이미지 블록;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블록.
The method of claim 6,
A plurality of image blocks sel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격벽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오버플로우 격벽의 상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오버플로우 격벽으로 오버플로우되는 유체의 간섭을 방지하는 복수의 간섭 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overflow partition wall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overflow partition in a stat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interference prevention units are formed to prevent interference of the fluid overflowing to the overflow partition wall.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하나의 관으로 배출하는 보조 분배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An auxiliary distribution pipe for discharging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to one pipe;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200120453A 2019-09-27 2020-09-18 Water cuture block KR1022364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58663.2A CN114269150B (en) 2019-09-27 2020-09-21 Water planting piece
JP2022505470A JP7345627B2 (en) 2019-09-27 2020-09-21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EP20870247.2A EP3987920A4 (en) 2019-09-27 2020-09-21 Water culture block
PCT/KR2020/012683 WO2021060781A1 (en) 2019-09-27 2020-09-21 Water culture block
AU2020354808A AU2020354808B2 (en) 2019-09-27 2020-09-21 Water culture block
US17/586,009 US20220142072A1 (en) 2019-09-27 2022-01-27 Water culture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95 2019-09-27
KR20190119695 2019-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446B1 true KR102236446B1 (en) 2021-04-06

Family

ID=754618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454A KR102235843B1 (en) 2019-09-27 2020-09-18 Water cuture apparatus
KR1020200120453A KR102236446B1 (en) 2019-09-27 2020-09-18 Water cuture block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454A KR102235843B1 (en) 2019-09-27 2020-09-18 Water cutur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3584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613A (en) * 2001-05-28 2002-12-03 Mazaran:Kk Flowerpot housing body
KR101336153B1 (en) * 2011-12-16 2013-12-03 성신웅 Prefabricated electronic circuit block
KR101635799B1 (en) * 2015-11-11 2016-07-04 전효찬 Water culture block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70116207A (en) * 2009-07-06 2017-10-18 하우징 앤드 디벨로프먼트 보드 A plant tra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661A (en) * 2015-03-12 2016-09-21 박서형 GreenPile System
KR101856472B1 (en) * 2017-06-15 2018-05-10 박요성 Laminated plant cultivation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613A (en) * 2001-05-28 2002-12-03 Mazaran:Kk Flowerpot housing body
KR20170116207A (en) * 2009-07-06 2017-10-18 하우징 앤드 디벨로프먼트 보드 A plant tray
KR101336153B1 (en) * 2011-12-16 2013-12-03 성신웅 Prefabricated electronic circuit block
KR101635799B1 (en) * 2015-11-11 2016-07-04 전효찬 Water culture block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843B1 (en)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5395B (en) Hydroponic block and hydrop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7080482B1 (en) Modular plant growing apparatus
US20150282444A1 (en) Hydroponic flood table
US4147131A (en) Elevated aquarium tank
KR20180109870A (en) Hydroponic cultivation units and systems
CA2121227C (en) Article anchoring accessory for use with aquariums
WO2018047625A1 (en) Device for raising seedlings, and supporting unit and cell plugs to be used in device for raising seedling
JP7345627B2 (en) hydroponic cultivation block
KR102236446B1 (en) Water cuture block
US7685771B2 (en) Conservation plant pot
KR101635799B1 (en) Water culture block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4154084A (en) Method for cultivating plant,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lant
WO2021060782A1 (en)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US11516995B2 (en) Egg tray for supporting eggs in an incubation chamber
EP1108354A1 (en) Systems comprising a plate-shaped support that can be positioned in a reservoir
RU109368U1 (en) MODULE FOR PLANT GROWING
CA2608655C (en) Hydroponic growing system
CN213404274U (en) Assembled planting box base
US20220046874A1 (en) Microgreens grow tray and kit
KR20240070434A (en) Block type wall hydroponics and interior decoration apparatus
JP3109784U (en) Vase
JPH0638642A (en) Method for culturing plant and culture apparatus
JPH0514766Y2 (en)
JP2024017704A (en) Hydroponic cultivation panel and hydroponic cultivation equipment
TWM631559U (en) Diversity cultiv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