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234B1 - 윈도우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234B1
KR102236234B1 KR1020190090858A KR20190090858A KR102236234B1 KR 102236234 B1 KR102236234 B1 KR 102236234B1 KR 1020190090858 A KR1020190090858 A KR 1020190090858A KR 20190090858 A KR20190090858 A KR 20190090858A KR 102236234 B1 KR102236234 B1 KR 10223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ixing
fixed
panel
fixe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2698A (ko
Inventor
유대일
한규용
전은수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190090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234B1/ko
Priority to CN202010734585.5A priority patent/CN112311919A/zh
Publication of KR20210012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 F16B11/006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by glu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윈도우가 고정되는 고정면을 포함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면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가 배치된 회로기판; 및 상기 윈도우를 상기 고정면에 고정시키는 흡입 장치를 포함하는 윈도우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윈도우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WINDOW HOLDING MODULE AND LAMIN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실시 예는 윈도우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영상을 보다 실감나도록 표현하기 위해 곡면형 표시장치(curved display device)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다.
이러한 곡면형 디스플레이는 투명 접착체(OCR, Optical Clear Resin)를 패널의 전면에 도포하여 윈도우에 접합할 수 있다.
그러나 투명 접착제가 가경화된 상태에서 패널이 윈도우에 접합되므로 접착력이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제조 작업 중에 곡면 부분에서 윈도우와 패널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실시 예는 윈도우와 패널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윈도우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고정모듈은 윈도우가 고정되는 고정면을 포함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면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가 배치된 회로기판; 및 상기 윈도우를 상기 고정면에 고정시키는 흡입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자외선 광이 조사되는 자외선 조사 채널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록은 서로 이격 가능한 제1 고정블록 및 제2 고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블록은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윈도우의 폭방향으로 이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블록은 상기 제2 고정블록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블록은 상기 제1 고정블록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블록과 상기 제2 고정블록이 이격될 때,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중에서 상기 제1 고정블록과 상기 제2 고정블록의 이격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발광소자의 발광강도는 나머지 발광소자의 발광강도보다 낮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고정면은 곡률 영역과 평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중에서 상기 곡률 영역에 배치되는 발광소자의 간격은 상기 평면 영역에 배치되는 발광소자의 간격보다 좁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와 패널의 접착력이 증가하므로 패널이 윈도우에서 박리되는 문제가 개선된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모듈과 가압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고정모듈의 개념도이고,
도 3은 패널의 일부분을 윈도우와 접촉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패널을 전체적으로 윈도우에 접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윈도우와 패널의 정렬 여부를 검사하는 검출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고정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7은 고정모듈이 좌우로 이동하여 면적이 조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고정모듈의 제1 변형예이고,
도 9는 고정모듈의 제2 변형예이고,
도 10은 고정모듈의 제3 변형예이고,
도 11은 가압패드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가압패드의 제1 변형예이고,
도 13은 가압패드의 제2 변형예이고,
도 14는 가압패드의 제3 변형예이고,
도 15는 홀더가 분할되어 면적이 조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고정모듈과 가압패드가 각각 분할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변형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모듈과 가압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고정모듈의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는 윈도우(11)를 고정하는 고정모듈(130)과 패널(13)을 윈도우(11)에 가압하여 부착하는 가압모듈(120)을 포함한다.
윈도우(11)는 모바일 폰의 커버 글라스일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11)는 측면(11a)에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곡률이 형성된 영역은 보조 표시 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측면(11a)은 다양한 이유에 의해 곡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윈도우(11)의 측면(11a)에 대응되도록 패널(13)의 측면(13a)에도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11)와 패널(13)은 접착층(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패널(13)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또는 터치 패널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접착층(12)은 패널(13)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12)이 패널(13)의 전면에 형성되면 접착층(12)이 패널(13) 사이에 에어갭이 최소화되어 광 반사율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접착층(12)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다양한 레진이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접착층(12)은 아크릴(acrylic)과 같은 레진(resin)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다양한 레진이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실리콘계 또는 우레탄계 레진이 선택될 수도 있다.
접착층(12)은 미리 패널(13) 또는 윈도우(11)에 도포될 수 있다. 접착층(12)을 패널(13) 또는 윈도우(11)에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접착층(12)은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패널(13)에 균일한 두께 또는 3D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접착층(12)은 패널(13) 또는 윈도우(11)에 도포된 상태에서 1차 가경화될 수 있다. 가경화란 레진이 경화가 진행되었으나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1차 가경화는 완전 경화 100%를 기준으로 60% 내지 80%로 경화된 상태일 수 있다.
고정모듈(130)은 윈도우(11)에 패널(13)이 접착된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층을 2차 가경화시킬 수 있다. 2차 가경화는 1차 가경화보다는 경화도가 높고 완전 경화보다는 경화도가 낮은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11)와 패널(13)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정도로 접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기포를 제거할 정도로 가경화될 수 있다. 접착층이 완전히 경화되면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윈도우(11)와 패널(13)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완전 경화 전에 패널(13)이 박리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고정모듈(130)은 고정블록(131) 상에 회로기판(135)이 배치되고 회로기판(135)에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133)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발광소자(133)는 고정블록(131)에 형성된 자외선 조사 채널(134)이 각각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발광소자(133)와 고정 블록(131)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그 사이에는 확산필름(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 채널(134)에는 자외선 발광소자(133)가 배치되어 윈도우(11)로 자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자외선 발광소자(133)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자외선 램프일 수 있다. 이때, 고정면(130-1)에는 자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투광성 부재(예: 쿼츠)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자외선 발광소자(133)는 제1 발광 파장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자외선 발광소자(133), 제2 발광 파장을 갖는 복수 개의 제2 자외선 발광소자(133), 제3 발광 파장을 갖는 복수 개의 제3 자외선 발광소자(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 파장은 300nm 내지 320nm일 수 있고, 제2 발광 파장은 355nm 내지 375nm일 수 있고, 제3 발광 파장은 395nm 내지 415nm일 수 있다. 레진은 종류에 따라 경과가 빠르게 진행되는 파장이 다르므로 복수 개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조사함으로써 레진을 빠르게 경화시킬 수 있다.
전원부(220)는 복수 개의 자외선 발광소자(133)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전원부(220)는 복수 개의 자외선 발광소자(133)에 전체적으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순차적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조도 센서(미도시)는 복수 개의 자외선 발광소자(133)에서 출사되는 광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자외선 발광소자(133)에서 출사되는 광의 조도가 낮아지는 경우 불량으로 판정하여 교체 알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일부 자외선 발광소자(133)의 조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발광소자(133)의 전류값을 상승시켜 전체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온도 센서(미도시)에 의해 고정모듈(130)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작동 정지 알람을 외부로 출력하고, 발광소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안전을 위한 보호 프로그램은 예시적으로 냉각수를 강제로 순환시키거나 또는 일정 시간 재가동을 금지하는 알고리즘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라미네이팅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패널의 일부분을 윈도우와 접촉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패널을 전체적으로 윈도우에 접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윈도우와 패널의 정렬 여부를 검사하는 검출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윈도우(11)는 고정모듈(130)의 고정면(130-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블록(131)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입 채널(132)을 통해 흡입 장치(210)로 공기가 흡입되므로 윈도우(11)는 고정블록(131)의 고정면(130-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방식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흡입 채널에 이외에 기계식 고정 구조(예: 고정 지그)가 구비될 수도 있다.
패널 클램프(140)는 패널(13)의 측면을 가압하여 패널(13)이 윈도우(11)를 향해 볼록해지도록 구부릴 수 있다. 이때, 패널 클램프(140)에 의해서만 패널(13)이 구부러질 수도 있고 패널 클램프(140)가 패널(13)을 구부리는 동시에 가압패드가 상부로 밀어 패널(13)을 구부릴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압모듈의 가압패드(121)가 상승하면서 패널(13)의 볼록한 지점이 윈도우(11)에 접촉할 수 있다. 처음부터 윈도우(11)와 패널(13)이 전체적으로 접촉하면 기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접촉시에는 패널(13)의 볼록한 지점이 윈도우(11)에 먼저 접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기포 발생을 억제하는 면에서 유리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압패드(121)가 가압에 의해 퍼지면서 윈도우(11)와 패널(13)을 전체적으로 접합시킬 수 있다. 패널(13)의 볼록한 지점이 윈도우(11)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패드(121)가 가압하므로 윈도우(11)와 패널(13) 사이의 공기는 패널(13)의 볼록한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배출되어 기포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가압패드(121)가 윈도우(11)와 패널(13)이 전체적으로 접합되도록 가압하므로 윈도우(11)의 곡면 부분과 패널(13)의 곡면 부분도 가압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층(12)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다면 윈도우(11)의 곡면 부분과 패널(13)의 곡면 부분은 다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는 가압패드(121)에 의해 윈도우(11)와 패널(13)이 전체적으로 접합된 후에 자외선 발광소자(133)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접착층(12)을 2차 가경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접착층(12)의 접착력이 증가하여 윈도우(11)와 패널(13)이 떨어지지 않도록 충분히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12)이 완전하게 경화되기 이전에 윈도우(11)와 패널(13)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접착층(12)은 전체 면적이 2차 가경화될 수도 있고 일부 영역(예: 곡면 영역)만이 2차 가경화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2차 가경화는 100% 경화를 기준으로 81% 내지 98% 정도 가경화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2차 가경화의 경화도는 제1차 가경화의 경화도 101% 내지 141%일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11)와 패널(13)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정도로 접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기포를 제거할 정도로 가경화될 수 있다. 접착층이 완전히 경화되면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윈도우(11)와 패널(13)의 접합이 완료되면 윈도우와 패널의 조립체는 별도의 이송 부재(예: 로봇암)에 의해 이송되어 기포 제거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아직까지 접착층(12)은 가경화 단계이므로 기포 제거 공정을 통해 내부에 잔존하는 미세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광 반사율 및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기포 제거 공정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후, 윈도우(11)와 패널(13)이 정렬 접착되고 기포가 제거되었다고 판단되면 접착층(12)을 완전히 경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고정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7은 고정모듈이 좌우로 이동하여 면적이 조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모듈(130)은 서로 분리 가능한 제1 고정모듈(131a)과 제2 고정모듈(131b) 및 구동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라 윈도우(11)의 폭은 다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11)가 곡률을 갖고 있으므로 곡률에 맞는 고정모듈(130)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고정모듈(130)을 제작하는 비용이 상승하고 윈도우(11) 모델이 교체될 때마다 고정모듈(130)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고정모듈(131a)과 제2 고정모듈(131b)이 서로 제1 방향으로 이격됨에 따라 윈도우(11)를 고정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 방향은 윈도우의 폭 방향일 수 있다.
제1 고정모듈(131a)은 제2 고정모듈(131b)을 향하는 제1 방향(X1축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136a) 및 제1 방향과 반대인 방향(X2축 방향)으로 오목한 복수 개의 오목부(13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모듈(131b)은 제1 방향과 반대인 방향(X2축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136c) 및 제1 방향으(X1축 방향)로 오목한 복수 개의 오목부(136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고정모듈(131a)과 제2 고정모듈(131b)이 지그재그로 구성되므로 제1 고정모듈(131a)과 제2 고정모듈(131b)이 제1 간격(d1)만큼 이격되어도 광 균일도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만약 제1 고정모듈(131a)과 제2 고정모듈(131b)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 서로 이격될 때 중간 지점에서 광이 거의 조사되지 않으므로 광 균일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영역은 경화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고정모듈(131a)과 제2 고정모듈(131b)이 제1 간격(d1)만큼 이격되면 제1 고정모듈(131a)의 돌출부(136a)와 제2 고정모듈(131b)의 오목부(136d) 사이에 이격부(G1)가 형성되고, 제1 고정모듈(131a)의 오목부(136b)와 제2 고정모듈(316b)의 돌출부(136c) 사이에 이격부(G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고정모듈의 제1 변형예이고, 도 9는 고정모듈의 제2 변형예이고, 도 10은 고정모듈의 제3 변형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모듈(130)은 서로 이격 가능한 제1 고정블록(131a)과 제2 고정블록(131b), 제1 고정블록(131a) 상에 배치되는 제1 회로기판(135a) 및 제2 고정블록(131b) 상에 배치되는 제2 회로기판(135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블록(131a)과 제2 고정블록(131b)이 이격될 때 제1 회로기판(135a)과 제2 회로기판(135b)도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블록(131a)의 측면에는 제3 회로기판(135c) 및 발광소자(133-1)가 배치되고, 제2 고정블록(131b)의 측면에는 제4 회로기판(135d) 및 발광소자(133-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윈도우의 곡면 영역에 균일하게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모듈(130)은 자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제1 고정블록(131a)과 제2 고정블록(131b) 상에 회로 기판(135)이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고정블록(131a)과 제2 고정블록(131b)은 쿼츠 기판일 수 있으나 자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채널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고정블록(131a)과 제2 고정블록(131b) 내에서 광이 반사 및 굴절되면서 고정면(130-1)에 균일하게 자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정블록(131)에는 흡입 채널이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블록(131a)과 제2 고정블록(131b)이 이격될 때, 복수 개의 발광소자(133) 중에서 제1 고정블록(131a)과 제2 고정블록(131b)의 이격 영역(d1)에 배치되는 제1 발광소자(133a)는 그대로 윈도우에 자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격 영역(d1)에 배치된 윈도우의 일부 영역은 완전히 경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고정블록(131a)과 제2 고정블록(131b)이 이격될 때 제1 발광소자(133a)의 발광강도는 나머지 발광소자(133)의 발광강도보다 낮게 제어될 수 있다. 제1 고정블록(131a)과 제2 고정블록(131b)이 이격되지 않은 때에는 제1 발광소자(133a)의 발광강도는 나머지 발광소자(133)의 발광강도와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격 영역(d1)에 배치된 윈도우의 일부 영역도 2차 가경화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격 영역(d1)에 별도의 차광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블록은 제1, 제2, 및 제3 고정블록(131a, 131b, 131c)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즉, 고정블록은 면적을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개수로 분할될 수 있다.
고정블록(131)은 고정면의 곡면 영역(130-1b)에 대응되는 제1 영역(EA) 및 고정면의 평면 영역(130-1a)에 대응되는 제2 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EA)에 배치된 발광소자(133) 사이의 간격(d12)은 제2 영역(PA)에 배치된 발광소자 사이의 간격(d11)보다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의 곡면 영역(또는 고정면의 곡면 영역)은 상대적으로 균일한 광이 조사되기 어렵고 회로 기판(135)의 외측면은 상대적으로 광량이 적으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 발광소자(133)를 더 조밀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윈도우의 곡면 영역에도 균일한 자외선 광이 조사될 수 있으므로 균일한 2차 가경화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때, 조사된 광이 고정면 이외의 면으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블록의 외측면 및 하면에는 반사막(137)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막(137)은 자외선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알루미늄 반사막일 수 있다.
도 11은 가압패드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가압패드의 제1 변형예이고, 도 13은 가압패드의 제2 변형예이고, 도 14는 가압패드의 제3 변형예이고, 도 15는 홀더가 분할되어 면적이 조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고정모듈과 가압패드가 각각 분할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변형예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가압모듈(120)은 패드를 가압하는 가압패드(121) 및 가압패드(121)를 고정하는 홀더(127)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패드(121)의 상부면(121a)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부면(121a)의 곡률은 밴딩된 패널(13)의 곡률과 실질적인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가압패드(121)는 가압이 완료되면 상부면(121a)의 면적이 패널(13)의 폭 및/또는 길이보다 커질 수 있다.
가압패드(121)는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체적조절부재(122a 내지 122e)가 배치될 수 있다. 체적조절부재(122a 내지 122e)는 내부가 빈 에어갭(Air GaP)일 수도 있다. 이때, 에어갭의 내부로 체적조절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가압패드(121)는 수축 팽창의 방향성이 매우 중요한 공정 수단으로 가압패드(121)의 수축 팽창 방향성 및 팽창량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축(128a, 128b) 또는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체적조절부재(122a 내지 122e)는 소정의 탄성부재가 삽입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때, 각 체적조절부재(122a 내지 122e)에 삽입된 탄성부재는 탄성률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와 패널이 접촉한 후에는 가압패드(121)가 신속하게 퍼져 윈도우와 패널이 전체적으로 접합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면 부분이 신속하게 퍼지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체적조절부재(122a 내지 122e)는 중심 영역에 배치된 제1 체적조절부재(122c)가 가압시 가장 빠르게 퍼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체적조절부재(122a 내지 122e)가 에어갭인 경우 제1 체적조절부재(122c)의 직경을 가장 크게 형성함으로써 쉽게 퍼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때, 초음파 발생 장치(123) 또는 진동 장치를 구비하여 윈도우와 패널 접촉시 초음파 또는 진동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접착력을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가압패드(121)가 신속하게 퍼질 수 있도록 라인 형상의 체적조절부재(124)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홀더(127)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는 제1 홀더(127a)와 제2 홀더(127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홀더(127a)와 제2 홀더(127b)에는 구동축(128a, 128b)이 연결되어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11)의 길이가 긴 모델의 경우에도 별도로 가압모듈(120)을 교체하지 않고 제1 홀더(127ㅁ)와 제2 홀더(127ㅠ)를 이격시켜 라미네이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고정모듈(131a)과 제2 고정모듈(131b)은 제1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1 홀더(127a)와 제2 홀더(127b)는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11)의 폭이 커지거나 윈도우(11)의 길이가 길어져도 고정모듈(130) 또는 가압모듈의 교체 없이 바로 작업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때, 가압패드(121)는 탄성력이 있으므로, 제1 홀더(127a)와 제2 홀더(127b)는 가압패드(121)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만약 제1 홀더(127a)와 제2 홀더(127b)의 이격 간격이 가압패드(121)의 연신력보다 큰 경우에는 사이즈가 큰 가압패드(121)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가압패드(121)는 제1 홀더(127a) 상에 배치되는 제1 가압패드(121a)와 제2 홀더(127b) 상에 배치되는 제2 가압패드(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패드의 교체 없이 윈도우의 간격에 따라 자유롭게 제1 가압패드(121a)와 제2 가압패드(121b)를 이격시켜 라미네이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양 측면에 곡면이 형성된 윈도우가 고정되는 고정모듈;
    1차 가경화된 접착제가 도포된 패널이 배치되는 가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윈도우가 고정되는 고정면을 포함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면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가 배치된 회로기판; 및
    상기 윈도우를 상기 고정면에 고정시키는 흡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윈도우의 곡면에 상기 패널이 상기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면 상기 접착제를 2차 가경화시키고,
    상기 2차 가경화는 상기 1차 가경화보다 경화도가 높고 완전 경화보다는 경화도가 낮고,
    상기 1차 가경화의 경화도는 상기 완전 경화의 60% 내지 80%인 라미네이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자외선 광이 조사되는 자외선 조사 채널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채널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서로 이격 가능한 제1 고정블록 및 제2 고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블록은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윈도우의 폭방향으로 이격 가능한 라미네이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블록은 상기 제2 고정블록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블록은 상기 제1 고정블록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블록과 상기 제2 고정블록이 이격될 때,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중에서 상기 제1 고정블록과 상기 제2 고정블록의 이격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발광소자의 발광강도는 나머지 발광소자의 발광강도보다 낮게 조절되는 라미네이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은 곡률 영역과 평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중에서 상기 곡률 영역에 배치되는 발광소자의 간격은 상기 평면 영역에 배치되는 발광소자의 간격보다 좁은 라미네이팅 장치.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모듈은 상기 윈도우에 패널을 부착시키는 가압패드 및 상기 가압패드를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서로 이격 가능한 제1 홀더 및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더 및 제2 홀더를 관통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블록과 상기 제2 고정블록의 이격 방향과 상기 제1 홀더 및 제2 홀더의 이격 방향은 서로 수직한 라미네이팅 장치.
KR1020190090858A 2019-07-26 2019-07-26 윈도우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KR102236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858A KR102236234B1 (ko) 2019-07-26 2019-07-26 윈도우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CN202010734585.5A CN112311919A (zh) 2019-07-26 2020-07-27 窗固定模块及包括其的层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858A KR102236234B1 (ko) 2019-07-26 2019-07-26 윈도우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698A KR20210012698A (ko) 2021-02-03
KR102236234B1 true KR102236234B1 (ko) 2021-04-05

Family

ID=74483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858A KR102236234B1 (ko) 2019-07-26 2019-07-26 윈도우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6234B1 (ko)
CN (1) CN11231191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445B1 (ko) * 2013-09-13 2014-12-08 유버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를 위한 패널 본딩장치
KR101653597B1 (ko) * 2016-04-06 2016-09-09 주식회사 톱텍 체적가변 가압패드를 구비한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KR101974813B1 (ko) * 2018-11-30 2019-05-15 주식회사 이노티에스 곡면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177B1 (ko) * 2004-12-17 2007-11-16 주식회사 디이엔티 평판 표시패널 검사장치용 워크 테이블
KR20170014484A (ko) * 2015-07-30 2017-02-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광원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445B1 (ko) * 2013-09-13 2014-12-08 유버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를 위한 패널 본딩장치
KR101653597B1 (ko) * 2016-04-06 2016-09-09 주식회사 톱텍 체적가변 가압패드를 구비한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KR101974813B1 (ko) * 2018-11-30 2019-05-15 주식회사 이노티에스 곡면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698A (ko) 2021-02-03
CN112311919A (zh)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03661A (zh) 侧入式背光模块及液晶显示器
US20150234307A1 (en) Optical writ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303773B2 (ja) 面光源装置の製造方法、面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302569A (ja) 導光板
KR102236234B1 (ko) 윈도우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KR102079066B1 (ko) 개선된 곡면형 기판 합착장치
KR102237967B1 (ko) 진공 흡착 패드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US7252426B2 (en) Light guide devic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WO2006103803A1 (ja) 面状照明装置
US20190016105A1 (en) Edge cure for display assemblies having a masked transparent adhesive
JP5529367B2 (ja) 一体型導光板と、それを備える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一体型導光板の製造方法
KR102066666B1 (ko) 광학 필름, 다층 패턴 도광판, 및 다층 패턴 도광판의 제조 방법
KR102250076B1 (ko) 라미네이팅 시스템
KR102250824B1 (ko)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KR100862553B1 (ko) 휘도 향상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14005370B (zh) 贴合装置和贴合方法
KR102240337B1 (ko) 하이브리드 압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KR20110079216A (ko) Led 백라이트 유닛 제조장치,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백라이트 유닛
JP6266804B2 (ja) 表示装置
JP2005038755A (ja) 面光源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7120365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31048A (ja) 照明装置、液晶装置及び導光板の製造方法
JP2001076521A (ja) 面光源素子
JP2009018461A (ja) 液晶ディスプレイ機器
JP6820190B2 (ja) 面状ライト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