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034B1 -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034B1
KR102236034B1 KR1020190145537A KR20190145537A KR102236034B1 KR 102236034 B1 KR102236034 B1 KR 102236034B1 KR 1020190145537 A KR1020190145537 A KR 1020190145537A KR 20190145537 A KR20190145537 A KR 20190145537A KR 102236034 B1 KR102236034 B1 KR 102236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display panel
flexible
flexible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462A (ko
Inventor
엄상용
김동섭
김동휘
이미선
이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5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034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집적회로 칩,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집적회로 칩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홈을 형성하고 있는 브라켓,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보호 부재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상기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되고, 상기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서 부분적으로 상기 집적회로 칩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직접 연결된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집적회로 칩에 직접 연결된 제2 인쇄회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휘거나 말아진 형태로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영상 기기나 휴대 전화 등의 기기는,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며,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다. 흔히 'Liquid crystal display(LCD)'라 칭해지는 액정 표시 장치는 평판 형태로 구성되어 텔레비젼 수상기, 컴퓨터나 노트북의 모니터, 휴대용 단말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나 유기 발광다이오드 등의 소자가 개발되면서 얇아지면서 더욱 선명한 화질을 구현하고 있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더 큰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 또한 더 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다. 소형, 경량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확장됨에 따라, 휴대성을 확보하기 위해, 두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가 유연성을 가진다면, 휘거나 접어서 또는 말아서 휴대가 가능하게 될 것이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확장하면서도 휴대성을 확보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을 탑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용화를 위한 연구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종 회로 기판과 집적회로 칩 등을 배치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연성을 가진다 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과 적층되면서 상당한 표면적을 가지는 회로 기판이나 집적회로 칩이 유연성을 가지지 못한다면,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연성을 가지지 못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면, 유연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적층되는 회로 기판 또한 유연성을 가져야 할 것이고, 집적회로 칩들은 충분히 작은 크기로 제작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배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나아가서는,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하게 회로 기판이나 집적회로 칩의 크기와 배치를 설계함에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을 방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휘거나 말아서 변형된 경우, 적층된 구조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회로 기판, 집적회로 칩의 간격은, 펼쳐진 상태보다 서로 좁아지게 될 것임은 자명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 정도에 따라 집적회로 칩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간섭, 접촉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더욱이,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을 고려할 때,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국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국부적인 변형에 의해 집적회로 칩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촉,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두께를 줄여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유연성을 가지면서, 집적회로 칩 등을 배치함에 있어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집적회로 칩,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집적회로 칩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홈을 형성하고 있는 브라켓,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보호 부재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상기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되고, 상기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서 부분적으로 상기 집적회로 칩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직접 연결된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집적회로 칩에 직접 연결된 제2 인쇄회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회로 기판으로서, 유연성을 가진 재질의 기판으로 제작된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집적회로 칩, 및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집적회로 칩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홈을 형성하고 있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타단과 상기 집적회로 칩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되고, 상기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연결되며, 부분적으로 상기 집적회로 칩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집적회로 칩과 직접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직접 연결된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일면에 반대인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연결된 제2 인쇄회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호 부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적층된 집적회로 칩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거나 말아지는 등, 변형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하는 과정 또는 제품의 사용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집적회로 칩이 장착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구성함에 있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양면에 각각 인쇄회로 패턴을 형성한다면, 집적회로 칩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집적회로 칩의 배치에 있어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호 부재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감싸게 제공되는 브라켓에 수용홈을 형성하여 집적회로 칩을 수용하는 홈을 형성한다면, 실질적으로 집적회로 칩에 의한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이는데 용이한 장점이 있다. 휘거나 말아지는 등의 변형에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 감소는 유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된 예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연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위한 구동회로 칩 등의 집적회로 칩이나 주회로 기판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및 보호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유연성을 가지는 것임을 고려한다면, 상기 주회로 기판 또한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될 것임을 자명하다. 이때,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부분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배면에 위치하도록 구부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보호하여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에 장착된 집적회로 칩이나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에 연결된 주회로 기판이 간섭되거나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양면에 각각 인쇄회로 패턴을 형성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연결되는 집적회로 칩들을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어떠한 면에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집적회로 칩들의 배치에 있어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회로 기판(133)의 배치에 있어 차이가 있을 뿐, 서로 유사한 구조이다. 따라서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함에 있어,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함에 유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연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01)로부터 연장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의 일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배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의 일부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 사이에 개재되는 보호 부재(105)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베이스 필름(113)의 일면에 부착되는 발광 필름(111)을 구비한다. 상기 발광 필름(111)은 실질적으로 화면을 출력하는 소자로서, 박막 필름 트랜지스터 등이 배열된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평판형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 필름의 전, 후면에 유리 재질의 기판을 배치하여 발광 필름을 보호하는 구조이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상기 발광 필름(111)의 전, 후면에 고분자 합성수지 재질의 베이스 필름(113)과 TFE(thin film encapsulation) 필름(115)이 각각 배치된 구성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평판형 디스플레이 패널과 다르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휘거나 말아지는 등, 곡면 형태를 이루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며, 변형된 후에도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편광 기능 필름,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117)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PVA 필름(117)을 보호하기 위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oulose; TAC) 필름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구체적인 구조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다소 벗어난 것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연성을 가지는 어떠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해서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터치스크린 기능을 탑재하고자 한다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전면에는 터치스크린 윈도우(10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윈도우(102)는 투명 전극 필름, 예를 들면, 인듐-주석 산화물(Indum-Tin Oxide; ITO) 필름(123)을 윈도우 부재(121)에 부착한 구성으로서, 터치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ITO 필름(123)은 사용자의 입력 동작을 검출하여 별도의 회로 기판(125) 및 집적회로 칩(127)을 통해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터치스크린 기능을 탑재하고 있지 않다면, 상기 ITO 필름(123)이 반드시 배치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상기 ITO 필름(123)은 라미네이팅(laminating)에 의해 상기 PVA 필름(117)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ITO 필름(123)과 PVA 필름(117) 사이에는 라미네이팅 필름(129)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105)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보호 부재(105)는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등을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에 부착되면서도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보호 부재(105)를 탄성체 재질로 제작한다면 외부 충격을 분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보호 부재(105)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배면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이 부분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배면으로 위치하더라도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에 장착되는 집적회로 칩(135) 등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중앙 처리 장치 등 주회로 기판(133)에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구동회로 칩 등 집적회로 칩(135)을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의 양면에 각각 인쇄회로 패턴(133a, 133b)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일면에 형성된 인쇄회로 패턴(이하, '제1 인쇄회로 패턴'이라 함)(133a)과 타면에 형성된 인쇄회로 패턴(이하, '제2 인쇄회로 패턴')(133b)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의 기판 필름(131)을 관통하는 비아 홀(via hole) 또는 금속층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의 양면에 각각 인쇄회로 패턴(133a, 133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집척회로 칩(135)이나 주회로 기판(133)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의 어떠한 면에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집적회로 칩(135)이나 주회로 기판(133)이 배치되는 면이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제2 인쇄회로 패턴(133a, 133b)은 다르게 설계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집적회로 칩(135)이나 주회로 기판(133)의 배치에 있어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회로 패턴(133a)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집적회로 칩(135)은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133b)이 형성된 면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집적회로 칩(135)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배면 상에 위치한다면, 상기 집적회로 칩(135)과 디스플레이 패널(101) 사이에는 상기 보호 부재(105)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이 개재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집적회로 칩(135)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배면 상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직접 대면하지 않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보호 부재(105)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은 상기 집적회로 칩(135)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 더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 필름(131)의 일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배면 상에 부착된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배면 상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과 보호 부재(105) 사이에는 접착층(13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회로 기판(133)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연성을 가지는 기판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회로 기판(133)을 배치함에 있어서, 도 1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의 일면에, 도 2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03)의 타면에 배치된 구성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상기 주회로 기판(133)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03)의 타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주회로 기판(133)과 보호 부재(105) 사이에 접착층(23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회로 기판(133)과 보호 부재(105)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239)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03)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 및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 203) 등을 보호하는 브라켓(10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4)은 적어도 상기 보호 부재(105)를,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배면 및 둘레를 감싸게 제공된다. 상기 집적회로 칩(135)이나 주회로 기판(133), 주회로 기판(133)에 장착된 집적회로 칩(137)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 203) 상에서 돌출된다면, 상기 브라켓(104)에 수용홈(141)을 형성하여 돌출된 집적회로 칩 등을 수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104)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모듈 형태를 가지게 되며, 실제 제품 제작에서도 상기 브라켓(104)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141)을 형성하여 상기 집적회로 칩(135) 등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브라켓(104)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 집적회로 칩(135) 등과 적층하여 배치하면서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보호 부재를 브라켓으로도 활용한 점에서 선행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선행 실시 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선행 실시 예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보호 부재(305)는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마주보는 일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보호 부재(305)에 부착하기 용이하다. 또한, 유연성을 가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평탄한 면에 부착, 고정하게 되므로, 휘어지거나 말아지는 변형에 있어, 균일한 곡률 반경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변형 전, 후에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에 불필요한 굴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보호 부재(305) 사이에는 접착층(339)이 제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상기 보호 부재(305)에 접착, 고정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패널(101)로부터 연장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03)은 상기 보호 부재(305)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03)의 일부분은 상기 보호 부재(305)의 타면에 마주보게 위치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구동회로 칩 등의 집적회로 칩(135)이나 주회로 기판(133)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03)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보호 부재(305)의 타면과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305)의 타면에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03)에 장착된 집적회로 칩(135)이나 주회로 기판(133)을 수용하는 수용홈(35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보호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립하거나 사용 중에 곡면 형상으로 변형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회로 칩 등, 집적회로 칩을 디스플레이 패널과 적층하는 구조로 배치하는 경우, 양면에 각각 인쇄회로 패턴이 형성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배치함으로써, 집적회로 칩의 배치에 있어 설계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집적회로 칩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적층된 구조로 배치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보게 위치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브라켓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집적회로 칩이나 주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홈을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집적회로 칩,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집적회로 칩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홈을 형성하고 있는 브라켓,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보호 부재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상기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되고, 상기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서 부분적으로 상기 집적회로 칩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직접 연결된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집적회로 칩에 직접 연결된 제2 인쇄회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부분적으로 상기 집적회로 칩과 상기 보호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보호 부재의 일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구부러져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보호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접속되고(directly connected),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접속되고(directly connected),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타단에서 상기 제1 인쇄회로 패턴이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유연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분과 상기 보호 부재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분이 상기 접착층에 의해 상기 보호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회로 기판으로서, 유연성을 가진 재질의 기판으로 제작된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집적회로 칩, 및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집적회로 칩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홈을 형성하고 있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타단과 상기 집적회로 칩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되고, 상기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연결되며, 부분적으로 상기 집적회로 칩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집적회로 칩과 직접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직접 연결된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일면에 반대인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연결된 제2 인쇄회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부분적으로 상기 집적회로 칩과 상기 보호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보호 부재, 및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분과 상기 보호 부재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아래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분이 상기 접착층에 의해 상기 보호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부분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보호 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접착층에 의해 상기 보호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101: 디스플레이 패널
102: 터치스크린 윈도우 103: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104: 브라켓 105: 보호 부재

Claims (26)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
    유연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된 제1 회로 기판;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집적회로 칩;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집적회로 칩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홈을 형성하고 있는 브라켓; 및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브라켓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유연성을 가진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되고, 상기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서 상기 집적회로 칩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집적회로 칩에 직접 연결된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연결된 제2 인쇄회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부분적으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보호 부재 사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브라켓과 상기 보호 부재 사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구부러져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보호 부재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에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접속되고(directly connected),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직접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에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접속되고(directly connected),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타단에서 상기 제1 인쇄회로 패턴이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직접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삭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상기 보호 부재에 접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9.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
    유연성을 가진 제1 회로 기판;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집적회로 칩; 및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및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집적회로 칩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홈을 형성하고 있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타단과 상기 집적회로 칩이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되고, 상기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집적회로 칩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집적회로 칩과 직접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직접 연결된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일면에 반대인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연결된 제2 인쇄회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브라켓과 유연성을 가진 상기 보호 부재 사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아래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분이 상기 보호 부재에 접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및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아래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9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에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 인쇄회로 패턴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직접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0 항 및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보호 부재에 접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15.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유연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유연성을 가지는 제1 회로 기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으로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집적회로 칩;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보호 부재로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상기 보호 부재; 및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집적회로 칩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있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되고, 상기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보호 부재의 아래에서 상기 집적회로 칩과 상기 보호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집적회로 칩에 직접 연결된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직접 연결된 제2 인쇄회로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쇄회로 패턴과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브라켓과 상기 보호 부재 사이에 배치된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보호 부재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된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및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보호 부재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된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5 항 내지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접속되고(directly connected),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직접 접속된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5 항 내지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회로 패턴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접속되고(directly connected),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타단에서 상기 제1 인쇄회로 패턴이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직접 접속된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접착층에 의해 상기 보호 부재에 부착된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이 접착층에 의해 상기 보호 부재에 부착된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구부러져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보호 부재에 부착된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및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보호 부재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이 상기 보호 부재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9 항에 있어서,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보호 부재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145537A 2019-11-14 2019-11-14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6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537A KR102236034B1 (ko) 2019-11-14 2019-11-14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537A KR102236034B1 (ko) 2019-11-14 2019-11-14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693A Division KR102046864B1 (ko) 2013-03-13 2013-03-13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462A KR20190131462A (ko) 2019-11-26
KR102236034B1 true KR102236034B1 (ko) 2021-04-05

Family

ID=6873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537A KR102236034B1 (ko) 2019-11-14 2019-11-14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03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2272A1 (en) 2002-09-20 2004-11-11 Takeshi Ashida Solder printing mask, wiring board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050024553A1 (en) 2000-08-28 2005-02-03 Sharp Kabushik Kaisha Semiconductor device, liquid crystal module adopting same,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adopting same
US20050088830A1 (en) 2003-09-19 2005-04-28 Masanori Yumoto Electro-optical apparatus,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60152662A1 (en) 2004-11-26 2006-07-13 Innolux Display Corp.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134383A1 (en) 2005-04-22 2009-05-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de for Organic Transistor, Organic Transistor,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12103438A (ja) 2010-11-09 2012-05-31 Bridgestone Corp 電子ペーパー
US20130016303A1 (en) 2011-07-12 2013-01-17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imit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30016049A1 (en) 2011-07-13 2013-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screen panel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20130242249A1 (en) 2008-02-25 2013-09-19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1270A (en) * 1979-09-19 1984-02-14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de terminal assembly on a multi-layer type liquid crystal panel
JPH0973071A (ja) * 1995-07-03 1997-03-18 Denso Corp 液晶装置
JP4650822B2 (ja) * 2001-05-24 2011-03-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型表示装置
KR101942918B1 (ko) * 2012-05-03 2019-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4553A1 (en) 2000-08-28 2005-02-03 Sharp Kabushik Kaisha Semiconductor device, liquid crystal module adopting same,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adopting same
US20040222272A1 (en) 2002-09-20 2004-11-11 Takeshi Ashida Solder printing mask, wiring board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050088830A1 (en) 2003-09-19 2005-04-28 Masanori Yumoto Electro-optical apparatus,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60152662A1 (en) 2004-11-26 2006-07-13 Innolux Display Corp.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134383A1 (en) 2005-04-22 2009-05-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de for Organic Transistor, Organic Transistor, and Semiconductor Device
US20130242249A1 (en) 2008-02-25 2013-09-19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JP2012103438A (ja) 2010-11-09 2012-05-31 Bridgestone Corp 電子ペーパー
US20130016303A1 (en) 2011-07-12 2013-01-17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imit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30016049A1 (en) 2011-07-13 2013-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screen panel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462A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864B1 (ko)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CN108305564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0863619B2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114632B2 (en) Display pane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81000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손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11175764B2 (en) Touch display device
US9407798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iasing structure
ES2951395T3 (es) Dispositivo electrónico plegable que incluye un miembro protector
US20090256471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odule
WO2021043159A1 (zh) 一种柔性显示屏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CN116745730A (zh) 包括可折叠显示器的电子装置
CN209980671U (zh) 折叠屏及电子装置
US9462686B2 (en) Printed circuit board
KR102236034B1 (ko)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CN112447099B (zh) 一种显示组件、显示组件的组装方法和电子设备
CN108810208B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US20130128445A1 (en) Electronic product with video displ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117116141B (zh) 一种显示模组及电子设备
KR102168236B1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2509460A (zh) 背光模组及显示面板
JP2005099613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