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801B1 -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801B1
KR102235801B1 KR1020200174978A KR20200174978A KR102235801B1 KR 102235801 B1 KR102235801 B1 KR 102235801B1 KR 1020200174978 A KR1020200174978 A KR 1020200174978A KR 20200174978 A KR20200174978 A KR 20200174978A KR 102235801 B1 KR102235801 B1 KR 102235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plate
spher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계영
Original Assignee
박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계영 filed Critical 박계영
Priority to KR1020200174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양 등 전시기간이 끝나면 전시되었던 물품들을 해체시킨 뒤 다른 현장에 재사용하거나 폐기하게 되는데 해당 전시물품들을 리싸이클링할 수 있도록 구현한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모델 하우스에서 사용된 전시물품을 적재해 두기 위한 적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NON-FACE-TO-FACE RECYCLING SYSTEM FOR MODEL HOUSE EXHIBITS}
본 발명은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양 등 전시기간이 끝나면 전시되었던 물품들을 해체시킨 뒤 다른 현장에 재사용하거나 폐기하게 되는데 해당 전시물품들을 리싸이클링할 수 있도록 구현한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델하우스 디스플레이란 가구(식탁, 옷장, 책상, 침대, 의자) 가전, 홈웨어(침구류, 쿠션, 커튼), 주방용품, 데코레이션물품(그림, 사진, 장식물) 등 우리가 가정에서 생활할 때 필요한 물품을 예쁘게 구성하여 소비자에게 집이 아름답게 보이도록 만드는 방법이다.
전시 물품들은 최신상품으로 요즘의 트랜드를 반영하고 있어 모양은 좋으나 원가절감 때문에 견고하지 않거나 기능이 부족한(예를 들어, 서랍이 열리지 않는 등) 상태이므로, 이를 실생활에서 직접 사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다른 현장에 사용하는 일부물품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폐기하는데 이 때문에 많은 환경쓰레기가 발생되고 심각한 자원낭비가 일어나게 된다
전시 물품들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기능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교체 또는 보강하여야 하는 기술과 작업공간, 인력이 필요하고 이를 보관하고 판매하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6532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359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품의 리싸이클링이 수행되는 동안 임시적으로 전시물품이 적재되도록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야외 적재에 따른 전시물품의 부식이나 파손의 발생을 방지하고, 전시물품(P)의 효율적인 분류 및 적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리싸이클링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도록 구현한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분양 등 전시기간이 끝나면 전시되었던 물품들을 해체시킨 뒤 다른 현장에 재사용하거나 폐기하게 되는데 해당 전시물품들을 리싸이클링할 수 있도록 구현한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은, 모델 하우스에서 사용된 전시물품을 적재해 두기 위한 적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은, 상기 적재부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창고부; 전시물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어 있는 전시물품 마다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식별하는 식별 단말기부; 상기 식별 단말기부로부터 전시물품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전시물품을 완제품으로 평가하여 1차 견적을 진행하고, 1차 견적에 따른 거래가 성사되지 않을 경우 해당 전시물품을 고철, 폐기물, 업사이클(Upcycle) 및 리폼(Reform) 제품 중 어느 하나의 물품 상태로 변경하여 2차 견적을 진행하는 리사이클링 서버; 및 전시물품들을 식별정보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과 직각이 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수평 프레임; 및 전시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는 적재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 선반은, 저면이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저면의 각 테두리를 따라 직립 설치되는 4 개의 측면이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전시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 측면 및 다른 일측 측면의 각 내측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ㄷ" 형상의 슬라이딩 레일에 일측 및 다른 일측이 각각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
Figure 112020135860560-pat00001
" 형상의 유로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유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지 롤러;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의 전단 상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 그리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의 후단 상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안착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휠;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 휠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휠 체결 프레임; 상기 휠 체결 프레임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휠 체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는 설치 박스; 유체(Fluid)가 충진되어 있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 박스의 상부에 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 안착 공간에 상부 일부가 상기 설치 박스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안착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뒤 내측면의 하측에 안착되며, 상기 휠 체결 프레임에 의한 상기 지지 휠의 지지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안착 공간에서 회동되는 완충 구체; 및 상기 완충 구체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걸쇄와 상기 상부 안착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단차지도록 함몰 형성되는 보조홈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 걸쇄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완충 구체가 상기 상부 안착 공간에서 회동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완충 구체를 잡아당겨 주는 구체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완충 구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완충 구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관통홀의 상측 및 하측에 안착되는 체결 너트에 의해 상기 완충 구체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구체는, 상기 지지 프레임이 체결된 상측이 구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후 복귀됨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기 휠 체결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휠 체결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휠 체결 프레임의 하측에 상기 휠 체결 프레임과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완충 구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외주면을 따라 상기 체결 너트가 설치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완충 구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에 상부가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측에 설치되는 완충 스프링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는 제2 프레임; 및 각각의 상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서로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연장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완충 구체의 내측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제3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턱이 안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을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프레임; 상기 회동 프레임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바아 안착홈; 상기 바아 안착홈의 상측에 설치되는 프레임 지지체; 상부가 상기 바아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프레임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바아 안착홈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안착 프레임; 및 상기 완충 구체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에 상기 안착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품의 리싸이클링이 수행되는 동안 임시적으로 전시물품이 적재되도록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야외 적재에 따른 전시물품의 부식이나 파손의 발생을 방지하고, 전시물품(P)의 효율적인 분류 및 적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리싸이클링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분양 등 전시기간이 끝나면 전시되었던 물품들을 해체시킨 뒤 다른 현장에 재사용하거나 폐기하게 되는데 해당 전시물품들을 리싸이클링함으로써, 불필요한 쓰레기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적재 선반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5의 플레이트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4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8의 제3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1)은, 적재부(100)를 포함한다.
적재부(100)는, 창고부(200)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모델 하우스에서 사용된 전시물품(P)을 적재해 둔다.
일 실시예에서, 적재부(100)는,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110), 다수 개의 수평 프레임(120) 및 적재 선반(13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10)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수 개가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수평 프레임(120)에 의해 다른 수직 프레임(110)들과 연결 설치되어 지지된다.
수평 프레임(120)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110)과 직각이 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 프레임(110)과 함께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공간에 하측에 적재 선반(130)이 안착된다.
적재 선반(130)은, 전시물품(P)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품(P)의 리싸이클링이 수행되는 동안 임시적으로 전시물품(P)이 적재되도록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야외 적재에 따른 전시물품(P)의 부식이나 파손의 발생을 방지하고, 전시물품(P)의 효율적인 분류 및 적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리싸이클링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2)은, 적재부(100), 창고부(200), 식별 단말기부(300), 리사이클링 서버(400) 및 데이터베이스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적재부(1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창고부(200)는, 적재부(10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식별 단말기부(300)는, 전시물품(P)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적재부(100)에 적재되어 있는 전시물품(P) 마다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Q)를 식별하며, 식별된 식별정보를 네트워크(N)를 통해 리사이클링 서버(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네트워크(N)라 함은,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 단말기부(3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2)을 수행하기 위해 구현된 프로그램인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하도록 구현되거나 웹 페이지를 통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리사이클링 서버(4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식별 단말기부(300)로부터 전시물품(P)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전시물품(P)을 완제품으로 평가하여 1차 견적을 진행하고, 1차 견적에 따른 거래가 성사되지 않을 경우 해당 전시물품(P)을 고철, 폐기물, 업사이클(Upcycle) 및 리폼(Reform) 제품 중 어느 하나의 물품 상태로 변경하여 2차 견적을 진행한다.
데이터베이스부(500)는, 전시물품(P)들을 식별정보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2)은, 분양 등 전시기간이 끝나면 전시되었던 물품들을 해체시킨 뒤 다른 현장에 재사용하거나 폐기하게 되는데 해당 전시물품들을 리싸이클링함으로써, 불필요한 쓰레기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적재 선반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적재 선반(130)은, 하부 플레이트(131), 상부 플레이트(132), 지지 롤러(133) 및 플레이트 지지부(134)를 포함한다.
하부 플레이트(131)는, 저면(131f)이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되며, 저면(131f)의 각 테두리를 따라 직립 설치되는 4 개의 측면(131g)이 형성되며, 상측에 상부 플레이트(132)가 연결 설치된다.
상부 플레이트(132)는, 전시물품(P)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부 플레이트(131)의 저면(131f)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플레이트(131)의 일측 측면 및 다른 일측 측면의 각 내측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ㄷ" 형상의 슬라이딩 레일(131c, 131d)에 일측 및 다른 일측이 각각 안착되고 하측이 플레이트 지지부(134)에 의해 지지되어 상측에 전시물품(P)이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레일(131c, 131d)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하측에 지지 롤러(133)가 설치된다.
지지 롤러(133)는, 상부 플레이트(132)의 하측 중앙에 설치되며, 하부 플레이트(131)의 저면(131f)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
Figure 112020135860560-pat00002
" 형상의 유로 레일에 안착되어 상부 플레이트(13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유로 레일(131d)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플레이트 지지부(1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131)의 저면(131f)의 전단 상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 그리고 하부 플레이트(131)의 저면(131f)의 후단 상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부 플레이트(132)의 하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적재 선반(130)은, 전시물품(P)을 적재함에 있어 전시물품(P)을 적재하거나 꺼내는 경우에 있어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은 깊숙한 곳에 위치하는 전시물품(P)의 경우에도 상부 플레이트(132)를 외측으로 잡아당겨 상부 플레이트(132)에 적재되어 있는 전시물품(P)을 손쉽게 꺼낼 수 있어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플레이트(132)의 슬라이딩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선반의 전반적인 내구성 역시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지지부(600)는, 휠 체결 프레임(610), 지지 프레임(620), 설치 박스(630), 완충 구체(640), 지지 휠(650) 및 구체 지지 스프링(660)을 포함한다.
지지 휠(650)은, 휠 체결 프레임(610)에 의해 지지되어 상부 플레이트(132)의 하측에 안착되며, 회전하면서 상부 플레이트(132)를 따라 이동한다.
휠 체결 프레임(610)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지지 휠(650)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지지 프레임(620)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 프레임(620)은, 휠 체결 프레임(610)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휠 체결 프레임(610)을 지지하며, 하부가 완충 구체(640)의 내측에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620)은, 완충 구체(640)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고 완충 구체(64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의 상측 및 하측에 안착되는 체결 너트(N1, N2)에 의해 완충 구체(640)에 체결될 수 있다.
설치 박스(630)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플레이트(131)의 저면(131f)에 설치된다.
완충 구체(640)는, 유체(Fluid)가 충진되어 있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설치 박스(630)의 상부에 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 안착 공간(631)에 상부 일부가 설치 박스(63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안착되며, 지지 프레임(620)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뒤 내측면의 하측에 안착되며, 휠 체결 프레임(610)에 의한 지지 휠(650)의 지지 위치에 대응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안착 공간(631)에서 회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 구체(6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620)이 체결된 상측이 구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후 복귀됨에 따라 지지 프레임(620)의 상측에 설치되는 휠 체결 프레임(6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켜 줄 수 있다.
구체 지지 스프링(660)은, 완충 구체(64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걸쇄(B1)와 상부 안착 공간(63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단차지도록 함몰 형성되는 보조홈(63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 걸쇄(B2)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완충 구체(640)가 상부 안착 공간(631)에서 회동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완충 구체(640)를 잡아당겨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지지부(600)는, 상부 플레이트(13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휠(650)이 상부 플레이트(132)의 하측을 따라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상부 플레이트(132)의 슬라이딩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선반의 전반적인 내구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5의 지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620)은, 제1 프레임(621), 제2 프레임(622), 및 다수 개의 제3 프레임(623-1, 623-2, 623-3)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621)은, 휠 체결 프레임(6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휠 체결 프레임(610)의 하측에 휠 체결 프레임(610)과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며, 하부가 완충 구체(64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외주면을 따라 체결 너트(N1, N2)가 설치되기 위한 나사산(6213)을 형성한다.
제2 프레임(622)은, 완충 구체(64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제1 프레임(621)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6211)에 상부가 안착되어 슬라이딩(6211)홈의 상측에 설치되는 완충 스프링(6212)에 의해 상측이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622)은, 제1 프레임(621)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턱(S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S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621)이 하강되어 하부턱(S1)이 지지턱(S2)과 밀착되면 지지턱(S2)이 설치되어 있는 제2 프레임(622)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제3 프레임(623-1, 623-2, 623-3)은, 각각의 상부가 제2 프레임(622)의 하부에 서로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다수 개가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연장 형성(즉, 카메라 삼각대와 같은 형태로)되며, 하측이 완충 구체(640)의 내측면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2 프레임(622)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 프레임(620)은, 완충 구체(64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항상 휠 체결 프레임(610)을 수직이 되도록 지지함으로써, 휠 체결 프레임(6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직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감쇄시켜 줄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제3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프레임(623)은, 회동 프레임(6231), 바아 안착홈(6232), 프레임 지지체(6233), 안착 프레임(6234) 및 고정편(6235)을 포함한다.
회동 프레임(6231)은, 제2 프레임(622)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H)되며, 하측에 바아 안착홈(6232)이 형성되며, 안착 프레임(6234)에 의해 지지된다.
바아 안착홈(6232)은, 회동 프레임(6231)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측에 프레임 지지체(6233)가 설치된다.
프레임 지지체(6233)는, 바아 안착홈(6232)의 상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착 프레임(6234)의 상측을 지지한다.
안착 프레임(6234)은, 상부가 바아 안착홈(6232)에 안착되어 프레임 지지체(6233)에 의해 지지되며, 제2 프레임(622)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바아 안착홈(6232)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고정편(6235)의 상측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고정편(6235)은, 완충 구체(64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 프레임(6234)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3 프레임(623)은, 프레임 지지체(6233)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제1 프레임(621) 및 제2 프레임(622) 등을 통해 전달되는 길이 방향의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상부 플레이트(132)의 슬라이딩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다단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선반의 전반적인 내구성 역시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
100: 적재부
200: 창고부
300: 식별 단말기부
400: 리사이클링 서버
500: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2)

  1. 모델 하우스에서 사용된 전시물품을 적재해 두기 위한 적재부;
    상기 적재부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창고부;
    전시물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어 있는 전시물품 마다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식별하는 식별 단말기부;
    상기 식별 단말기부로부터 전시물품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전시물품을 완제품으로 평가하여 1차 견적을 진행하고, 1차 견적에 따른 거래가 성사되지 않을 경우 해당 전시물품을 고철, 폐기물, 업사이클(Upcycle) 및 리폼(Reform) 제품 중 어느 하나의 물품 상태로 변경하여 2차 견적을 진행하는 리사이클링 서버; 및
    전시물품들을 식별정보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과 직각이 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수평 프레임; 및
    전시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는 적재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 선반은,
    저면이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저면의 각 테두리를 따라 직립 설치되는 4 개의 측면이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전시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 측면 및 다른 일측 측면의 각 내측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ㄷ" 형상의 슬라이딩 레일에 일측 및 다른 일측이 각각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
    Figure 112021017480872-pat00003
    " 형상의 유로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유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지 롤러;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의 전단 상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 그리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의 후단 상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안착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휠;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 휠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휠 체결 프레임;
    상기 휠 체결 프레임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휠 체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는 설치 박스;
    유체(Fluid)가 충진되어 있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 박스의 상부에 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 안착 공간에 상부 일부가 상기 설치 박스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안착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뒤 내측면의 하측에 안착되며, 상기 휠 체결 프레임에 의한 상기 지지 휠의 지지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안착 공간에서 회동되는 완충 구체; 및
    상기 완충 구체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걸쇄와 상기 상부 안착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단차지도록 함몰 형성되는 보조홈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 걸쇄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완충 구체가 상기 상부 안착 공간에서 회동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완충 구체를 잡아당겨 주는 구체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완충 구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완충 구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관통홀의 상측 및 하측에 안착되는 체결 너트에 의해 상기 완충 구체에 체결되며,
    상기 완충 구체는,
    상기 지지 프레임이 체결된 상측이 구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후 복귀됨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기 휠 체결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켜 주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휠 체결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휠 체결 프레임의 하측에 상기 휠 체결 프레임과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완충 구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외주면을 따라 상기 체결 너트가 설치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완충 구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에 상부가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측에 설치되는 완충 스프링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는 제2 프레임; 및
    각각의 상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서로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연장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완충 구체의 내측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제3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턱이 안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을 형성되는,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
  2. 삭제
KR1020200174978A 2020-12-15 2020-12-15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 KR102235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978A KR102235801B1 (ko) 2020-12-15 2020-12-15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978A KR102235801B1 (ko) 2020-12-15 2020-12-15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801B1 true KR102235801B1 (ko) 2021-04-01

Family

ID=7544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978A KR102235801B1 (ko) 2020-12-15 2020-12-15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8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437A (ja) * 1993-07-14 1995-01-27 Hitachi Ltd 使用済み製品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90003594U (ko) 2007-10-12 2009-04-16 이진석 높이조절 적재선반
KR200446532Y1 (ko) 2009-07-28 2009-11-05 이규홍 확장 가능한 볼트 적재 선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437A (ja) * 1993-07-14 1995-01-27 Hitachi Ltd 使用済み製品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90003594U (ko) 2007-10-12 2009-04-16 이진석 높이조절 적재선반
KR200446532Y1 (ko) 2009-07-28 2009-11-05 이규홍 확장 가능한 볼트 적재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827B1 (ko) 창고 관리 시스템
US20160183682A1 (en) Frame structure of storage basket
KR102235801B1 (ko) 모델 하우스 전시물품 비대면 리싸이클링 시스템
KR102034467B1 (ko) 창고 관리 시스템
CN108741657A (zh) 一种多功能办公桌
KR102497098B1 (ko) 재고량을 고려한 제품 주문 시스템
KR200482736Y1 (ko) 모니터의 높낮이를 가변할 수 있는 모니터 받침대
Insch et al. Causes and consequences of declining early departures from foreign assignments
CN105077981A (zh) 一种折叠桌
CN214525276U (zh) 一种稳定性佳的木质包装箱
CN202421979U (zh) 一种计算机机箱
KR102376331B1 (ko) 주방용품 유통 판매 시스템
CN204561613U (zh) 一种装载装置
KR102419657B1 (ko) 반도체 부품 보관 및 실시간 재고 관리 시스템
CN209899231U (zh) 一种用于酒店或者家居生活的置物架
CN215015687U (zh) 一种书画展示贩卖摊车
US9302690B1 (en) Hand cart supplemental shelf device
CN210140070U (zh) 一种零售批发用包装箱
CN213216231U (zh) 一种超市用食品储放柜
CN215738074U (zh) 一种防震酒水展示柜
KR102545203B1 (ko) 욕실자재 재고 관리 시스템
CN220477339U (zh) 一种手机展示柜
CN209799809U (zh) 一种五金构件
CN209235534U (zh) 一种便于伸缩的多层货架
CN220403648U (zh) 一种壁挂式货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