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457B1 - Clad inspection method - Google Patents

Clad inspe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457B1
KR102235457B1 KR1020150054388A KR20150054388A KR102235457B1 KR 102235457 B1 KR102235457 B1 KR 102235457B1 KR 1020150054388 A KR1020150054388 A KR 1020150054388A KR 20150054388 A KR20150054388 A KR 20150054388A KR 102235457 B1 KR102235457 B1 KR 102235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d material
electrical conductivity
resistance value
clad
pee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3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24356A (en
Inventor
구준모
신창열
오보라미
백종진
Original Assignee
(주)일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지테크 filed Critical (주)일지테크
Priority to KR102015005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457B1/en
Publication of KR20160124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3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4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1Alloys based on copper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클래드 소재 검사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클래드 소재의 검사방법은: 클래드 소재의 양측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클래드 소재의 전기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클래드 소재에서 측정되는 전기 저항값에 의해 전기 전도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기 전도도가 기준 전기 전도도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클래드 소재의 박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is a method for inspecting a clad material. The method for inspecting a clad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pplying power to both sides of the clad material; Measuring an electrical resistance value of the clad material;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lad material is peeled by calculating electrical conductivity based on an electrical resistance value measured in the clad material,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electrical conductivity falls within a reference electrical conductivity range.

Description

클래드 소재 검사방법{CLAD INSPECTION METHOD}Clad material inspection method {CLAD INSPECTION METHOD}

본 발명은 클래드 소재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래드 소재의 박리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클래드 소재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d material inspec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ad material inspection method capable of easily inspecting the peeling of the clad material.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다양한 전기장치가 설치된다. 차량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기 위해 차량 부품의 경량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차량 부품의 경량화를 위해 필름 커패시터가 사용된다. 필름 커패시터에는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버스바(bus-bar)가 연결된다. 버스바는 우수한 전기 전도성이 유지되면서 경량화될 수 있도록 클래드 소재로 제작된다. 클래드 소재는 복수의 금속 소재를 접합함에 의해 제작된다.In general, various electric devices are installed in vehicles. In order to reduce carbon dioxide generated from vehicles, vehicle parts are being made lighter. Film capacitors are used to reduce the weight of vehicle parts. A bus-bar is connected to the film capaci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The busbar is made of clad material so that it can be lightweight while maintain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The clad material is produced by bonding a plurality of metal materials.

그러나, 종래의 버스바가 클래드 소재로 제작될 경우, 복수의 금속 소재 사이에 박리가 발생되면 전기 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다. 클래드 소재에 국부적으로 박리가 발생될 경우, 필름 커패시터의 버스바에 적용이 곤란할 수 있다.However, when a conventional busbar is made of a clad material, electrical conductivity may be deteriorated when separation occurs between a plurality of metal materials. If peeling occurs locally on the clad material,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it to the busbar of the film capacitor.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01290호(2014. 01. 07 공개, 발명의 명칭: 필름 커패시터용 클래드 메탈 부스바)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4-0001290 (published on Jan. 7, 2014, title of the invention: clad metal busbar for film capacito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래드 소재의 박리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클래드 소재의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nspecting a clad material capable of easily inspecting the peeling of the clad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 소재의 검사방법은: 클래드 소재의 양측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클래드 소재의 전기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클래드 소재에서 측정되는 전기 저항값에 의해 전기 전도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기 전도도가 기준 전기 전도도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클래드 소재의 박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for inspecting a clad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pplying power to both sides of the clad material; Measuring an electrical resistance value of the cladding material;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lad material is peeled by calculating electrical conductivity based on an electrical resistance value measured in the clad material,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electrical conductivity falls within a reference electrical conductivity range.

상기 클래드 소재의 전기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클래드 소재의 양측에서 전압차를 측정하여 전기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measur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of the clad material,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may be measured by measuring a voltage difference at both sides of the clad material.

상기 클래드 소재가 박리되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박리 알림부에 의해 상기 클래드 소재의 박리를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ladding material has been peeled off, the step of notifying the peeling of the clad material by a peeling notification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래드 소재가 박리된 것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으므로, 클래드 소재가 차량용 커패시터의 버스바에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easily inspect that the clad material is peeled off, the clad material can be applied to the busbar of a vehicle capaci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래드 소재가 차량용 버스바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차량용 커패시터가 경량화 되면서도 전기 전도도를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ad material can be used as a vehicle busbar, electric conductivity can be secured while the vehicle capacitor is lightweigh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소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소재의 내부에 박리가 발생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소재를 검사하는 저항 측정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소재 검사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cladd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elamination occurs inside the cladd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sistance measuring apparatus for inspecting a clad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a clad material insp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 소재 검사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클래드 소재 검사방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lad material insp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cladding material inspection method,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소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소재의 내부에 박리가 발생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cladd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elamination occurs inside the clad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소재(10)는 복수의 금속 소재(11,13)를 접합함에 의해 제조된다. 복수의 금속 소재(11,13)가 적층된 후 프레스 장치(미도시)가 복수의 금속 소재(11,13)에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하여 클래드 소재(10)를 제조할 수 있다. 클래드 소재(10)는 이종의 금속 소재(11,13)가 2개 이상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소재(11)의 양측에 구리 합금 소재(13)가 접합됨에 의해 클래드 소재(10)를 제작할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 소재(11)는 강성을 증가시키면서도 클래드 소재(10)를 경량화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리 합금 소재(13)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11)에 비해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다. 1 and 2, a clad materi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bonding a plurality of metal materials 11 and 13 together. After the plurality of metal materials 11 and 13 are stacked, a press device (not shown) may simultaneously apply heat and pressure to the plurality of metal materials 11 and 13 to manufacture the clad material 10. The cladding material 10 is formed by bonding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f metal materials 11 and 13 together. For example, the cladding material 10 can be manufactured by bonding the copper alloy material 13 to both sides of the aluminum alloy material 11. The aluminum alloy material 11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cladding material 10 while increasing the rigidity. In addition, the copper alloy material 13 has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compared to the aluminum alloy material 11.

알루미늄 합금 소재(11)와 구리 합금 소재(13)로 클래드 소재(10)를 제작하면, 클래드 소재(10)를 경량화 시키면서도 전기 전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알루미늄 합금 소재(11)와 구리 합금 소재(13)로 이루어진 클래드 소재(10)는 구리 합금 소재(13)만으로 이루어진 버스바에 비해 30% 정도의 중량이 감소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 차량에서 커패시터의 인버터 스위칭 주파수가 4Khz 이상이므로, 클래드 소재(10)에서 표피 효과를 고려하면 클래드 소재(10)가 구리 함금 소재만으로 이루어진 버스바와 거의 동일한 전기 전도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 소재(11)와 구리 합금 소재(13)로 이루어진 클래드 소재(10)가 구리 합금만으로 이루이진 버스바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차량을 경량화시킬 수 있다.When the cladding material 10 is made of the aluminum alloy material 11 and the copper alloy material 13,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clad material 10. That is, the clad material 10 made of the aluminum alloy material 11 and the copper alloy material 13 has a weight reduction of about 30% compared to the busbar made of only the copper alloy material 13. In addition, in a hybrid vehicle or an electric vehicle, since the inverter switching frequency of the capacitor is 4 kHz or more, considering the skin effect in the clad material 10, the clad material 10 has almost the same electrical conductivity as a bus bar made of only copper alloy material. Therefore, the cladding material 10 made of the aluminum alloy material 11 and the copper alloy material 13 can replace the bus bar made of only copper alloy,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클래드 소재(10)는 전기 전도도 측정 장치(30)에 의해 박리 여부가 측정될 수 있다. 전기 전도도 측정 장치(30)는 클래드 소재(10)의 양측에 연결되는 2가닥의 전원 공급선(31)과 2가닥의 전압 측정선(33)을 포함한다. 전원 공급선(31)과 전압 측정선(33)은 리드부(34)에 연결된 상태로 클래드 소재(10)의 양측에 접속된다. 전원 공급선(31)과 전압 측정선(32)이 리드부(34)에 연결되므로, 리브부(34)의 저항값이 클래드 소재(10)의 저항값 측정시에 보정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클래드 소재(10)의 저항값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Whether the cladding material 10 is peeled off may be measured b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30. The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30 includes a two-stranded power supply line 31 and a two-stranded voltage measuring line 33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ladding material 10. The power supply line 31 and the voltage measurement line 33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ladding material 1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lead part 34. Since the power supply line 31 and the voltage measurement line 32 are connected to the lead portion 34,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ib portion 34 does not need to be corrected when measur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ladding material 10. Therefor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ladding material 10 can be more accurately measured.

또한, 전기 전도도 측정 장치(30)에는 입력부(35), 박리 알림부(37) 등이 설치된다. 입력부(35)를 통해 전기 전도도 측정 장치(30)에 외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박리 알림부(37)는 전기 전도도 측정 장치(30)에서 측정된 값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나 알람부일 수 있다.Furthe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30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35, a peeling notification unit 37, and the like. External data may be input to the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30 through the input unit 35. The peeling notification unit 37 may be a display unit or an alarm unit that displays values measured b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ment device 30.

전원 공급선(31)에 전원이 인가되면, 클래드 소재(10)에 전원이 공급된다. 클래드 소재(10)는 저항으로 작용하므로, 클래드 소재(10)의 양측에는 전압차가 발생된다. 측정된 전압차에 의해 클래드 소재(10)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저항값은 전기 전도도의 역수이므로, 저항값을 이용하여 전기 전도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클래드 소재(10)의 내부에 보이드(15)가 발생된 경우, 박리된 부분에서 저항값이 증가된다. 전기 전도도가 클래드 소재(10)의 기준 전기 전도도 범위에 속하는 경우, 클래드 소재(10)가 박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 전기 전도도 범위는 클래드 소재(10)를 구성하는 소재의 종류, 소재의 적층 개수, 클래드 소재(10)의 두께 등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기준 전기 전도도는 입력부(35)를 통해 전기 전도도 측정 장치(30)에 미리 입력된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power supply line 31, power is supplied to the cladding material 10. Since the clad material 10 acts as a resistance, a voltage difference is generated on both sides of the clad material 10.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ladding material 10 can be measured by the measured voltage difference. Since the resistance value is the reciprocal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can be calculated using the resistance value. At this time, when the void 15 is generated in the clad material 10, the resistance value is increased in the peeled portion. Whe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falls with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lad material 1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lad material 10 is peeled off. The reference electrical conductivity range may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of material constituting the clad material 10, the number of stacked materials, the thickness of the clad material 10, and the like. The reference electrical conductivity is previously input to the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30 through the input unit 35.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소재의 검사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A method for inspecting a clad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소재를 검사하는 저항 측정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소재 검사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sistance measuring apparatus for inspecting a clad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inspecting a clad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클래드 소재(10)의 양측에 전원 공급선(31)과 전압 측정선(33)을 접속한다. 전원 공급선(31)에 전원을 인가하면, 클래드 소재(10)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S11).3 and 4, the power supply line 31 and the voltage measurement line 33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ladding material 10.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power supply line 31, a current flows through the cladding material 10 (S11).

전압 측정선(33)을 통해 클래드 소재(10)의 양측에서 전압차를 측정한다(S12). 이때, 클래드 소재(10)는 저항으로 작용하므로, 클래드 소재(10)의 양측에는 전압차가 발생된다.The voltage difference is measured at both sides of the cladding material 10 through the voltage measuring line 33 (S12). At this time, since the clad material 10 acts as a resistance, a voltage difference occurs on both sides of the clad material 10.

클래드 소재(10)의 양측에서 전압차가 발생되면, 전압차를 연산하여 클래드 소재(10)의 저항값을 측정한다(S13). 이때, 전압값이 측정되면 오옴의 법칙에 의해 저항값이 산출될 수 있다. 클래드 소재(10)의 내부에 보이드(15)가 많이 존재할 경우, 상대적으로 큰 저항값이 측정된다. 또한, 클래드 소재(10)의 내부에 보이드(15)가 거의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저항값이 측정된다.When a voltage difference occurs at both sides of the clad material 10, the voltage difference is calculated to measur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lad material 10 (S13). At this time, when the voltage value is measured, the resistance value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Ohm's law. When there are many voids 15 in the clad material 10, a relatively large resistance value is measured. In addition, when the void 15 is hardly present in the clad material 10, a relatively small resistance value is measured.

저항값을 이용하여 전기 전도도를 산출한다(S14). 저항값은 전기 전도도의 역수이므로, 저항값을 구하면 전기 전도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저항값이 상대적으로 크면 전기 전도도가 작아진다. 저항값이 상대적으로 작으면, 전기 전도도가 커진다. Electrical conductivity is calculated using the resistance value (S14). Since the resistance value is the reciprocal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can be calculated by obtaining the resistance value. When the resistance value is relatively larg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decreases. When the resistance value is relatively small,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ncreases.

산출된 전기 전도도가 기준 전기 전도도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S15). 전기 전도도가 기준 전기 전도도 범위에 속하는 경우, 박리 알림부(37)에서 클래드 소재(10)가 박리되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S16). 클래드 소재(10)의 박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클래드 소재(10)가 박리되었을 때에 클래드 소재(10)의 제조 공정에서 클래드 소재(10)를 제거할 수 있다. 클래드 소재(10)의 박리 여부를 제조 공정에서 검사할 수 있으므로, 박리된 클래드 소재(10)가 버스바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lculated electrical conductivity falls within the reference electrical conductivity range (S15). Whe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falls within the standard electrical conductivity range, the peeling notification unit 37 may notify that the cladding material 10 has been peeled off (S16). Sinc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clad material 10 is peeled off, the clad material 10 can be remov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lad material 10 when the clad material 10 is peeled off. Since it is possible to inspect whether the clad material 10 is peel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eled clad material 10 from being used as a bus bar.

상기와 같이, 클래드 소재(10)가 박리된 것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으므로, 클래드 소재(10)가 차량용 커패시터의 버스바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클래드 소재(10)가 버스바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차량용 커패시터가 경량화 되면서도 전기 전도도를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possible to easily inspect that the clad material 10 is peeled off, the clad material 10 can be applied to the busbar of a vehicle capacitor. In addition, since the cladding material 10 can be used as a bus bar, electric conductivity can be secured while the vehicle capacitor is lightweigh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on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 클래드 소재 11: 알루미늄 합금 소재
13: 구리 합금 소재 15: 보이드
30: 전기 전도도 측정 장치 31: 전원 공급선
33: 전압 측정선 34: 리드부
35: 입력부 37: 디스플레이부
10: clad material 11: aluminum alloy material
13: copper alloy material 15: void
30: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31: power supply line
33: voltage measurement line 34: lead part
35: input unit 37: display unit

Claims (3)

클래드 소재의 양측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클래드 소재의 전기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클래드 소재에서 측정되는 전기 저항값에 의해 전기 전도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기 전도도가 기준 전기 전도도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클래드 소재의 박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클래드 소재가 박리되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박리 알림부에서 상기 클래드 소재의 박리를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 알림부는 산출된 전기 전도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소재 검사방법.
Applying power to both sides of the cladding material;
Measuring an electrical resistance value of the cladding material;
Calculating electrical conductivity based on an electrical resistance value measured in the clad material,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electrical conductivity falls within a reference electrical conductivity rang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lad material is peeled off; And
In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clad material has been peeled off, a step of notifying the peeling of the clad material in a peeling notification unit,
The peeling notif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d material inspection method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alculated electrical conductivit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 소재의 전기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클래드 소재의 양측에서 전압차를 측정하여 전기 저항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소재 검사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of measur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of the clad material,
Clad material insp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by measuring the voltage difference at both sides of the clad material to measure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삭제delete
KR1020150054388A 2015-04-17 2015-04-17 Clad inspection method KR1022354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88A KR102235457B1 (en) 2015-04-17 2015-04-17 Clad inspe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88A KR102235457B1 (en) 2015-04-17 2015-04-17 Clad inspec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356A KR20160124356A (en) 2016-10-27
KR102235457B1 true KR102235457B1 (en) 2021-04-05

Family

ID=5724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388A KR102235457B1 (en) 2015-04-17 2015-04-17 Clad inspe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457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90A (en) * 1992-06-17 1994-01-11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Diagnostic method for deterioration of cable
JPH08233896A (en) * 1995-02-24 1996-09-1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Method for diagnosing deterioration of electric wire/ cable
KR970015167A (en) * 1995-09-19 1997-04-28 정몽원 Leakage prevention device of electric vehicle
CN102917870B (en) * 2010-06-02 2016-04-20 新日铁住金株式会社 Clad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356A (en)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89738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40294045A1 (en) Capacitor module and detection apparatus
JP5926303B2 (en) Motor drive device including DC link voltage detection unit
JP2012531760A (en)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710374B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4515589B (en) The method and system of air conditioner electric device detection
JP2008014941A (en) Wet testing device for power generator stator wiring insulator using cross capacitance and method thereof
KR102235457B1 (en) Clad inspection method
Sun et al. A degradation model of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s for LED drivers
JP2002323526A (en) Insulation resistance deterioration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CN105548660A (en) Sampling resistance correction circuit, current detection circuit and driving circuit
WO2014029751A3 (en) Fuse element
JP2010010327A (e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solar cell module
TWI609187B (en) Insulation monitoring device
JP2015206754A (en) Determination device and determination method
CN105899956A (en) Method for measuring a temperature
JP2015210208A (en) Resistance measurement method and resistance measurement apparatus
JP6512604B2 (en) Voltage detection sensor and measuring device
KR102301002B1 (en) Display assembly, display, terminal, and display disassembly method
JP2006024449A (en) Bus-bar and current supply device
Makdessi et al. Online health monitoring of metallized polymer film capacitors for avionics applications
JP6877238B2 (en) Inspection system
KR20190127013A (en) A current detection resisto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CN105842517B (en) Shunting sheet
TWI650568B (en) Test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n integrated circuit and a circuit board including the integrated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