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787B1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 fibe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 fi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787B1
KR102234787B1 KR1020190137102A KR20190137102A KR102234787B1 KR 102234787 B1 KR102234787 B1 KR 102234787B1 KR 1020190137102 A KR1020190137102 A KR 1020190137102A KR 20190137102 A KR20190137102 A KR 20190137102A KR 102234787 B1 KR102234787 B1 KR 102234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fibers
raw material
material solution
nanofiber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1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익수
이호익
타쿠야 호리구치
세이 오타니
카츠마 이노우에
요헤이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투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투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투셀
Priority to KR1020190137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787B1/en
Priority to CN201911259773.0A priority patent/CN1127463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7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2Starting the 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anofi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olution arrangement member capable of disposing a raw material solution, which is a raw material of nanofibers; and a movable member configured to at least one-dimensionally move, so that when disposing the raw material solution on the solution arrangement member, the movable member can stretch the raw material solution to form nanofibers by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olution arrangement member after touching the raw material solution. Nanofibers produced by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covered in a state having orientation,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nanofibers having high tensile strength can be produced.

Description

나노 섬유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 fiber}Nano 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ECHNICAL FIEL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 fiber}

본 발명은 나노 섬유 제조와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배향성을 갖는 상태에서 나노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roduction of nanofibers, and in particular, to an apparatus capable of producing nanofibers in a state having orienta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최근 나노 스케일의 극세 섬유인 나노 섬유에 관심이 쏠리고있다. 일반적으로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실이나 천은 일반 섬유로 이루어진 실이나 천에 비해 비 표면적이 크고, 공극률이 높은 미세한 기공을 갖으면서 얇게 형성되어 촉감이 부드러운 특징이있다. Recently, interest has been focused on nanofibers, which are nanoscale microfibers. In general, threads or fabrics made of nanofibers have a larger specific surface area than threads or fabrics made of ordinary fibers, have fine pores with high porosity, and are formed to be thin and soft to the touch.

따라서, 나노 섬유는 투습 방수 필름, 고성능 필터, 이차 전지 분리막, 전극, 슈퍼 커패시터, 태양 전지, 클린룸용 와이퍼, 방진복, 마스크, 인공 근육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의 응용이 베이스부되고 있으며,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있다. Therefore, nanofibers are being applied to a wide variety of fields, such as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films, high-performance filters, secondary battery separators, electrodes, super capacitors, solar cells, clean room wipers, dustproof clothing, masks, and artificial muscles, and are actively researched. Is in progress.

또한, 본 명세서에서 "나노 섬유"는 섬유 직경이 3000nm 이하(바람직하게는 1000nm 이하)하고, 평균 직경이 1000nm 이하(바람직하게는 500nm 이하)의 섬유를 말한다. 또한 나노 섬유는 섬유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섬유 본체를 구성하는 물질인 폴리머 이외의 물질, 예를 들면, 탄소 나노 튜브와 금속 나노 입자를 함유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nano fiber" refers to a fiber having a fiber diameter of 3000 nm or less (preferably 1000 nm or less) and an average diameter of 1000 nm or less (preferably 500 nm or less). In addition, nanofibers contain materials other than polymers, for example, carbon nanotubes and metal nanoparticles, which are materials constituting the fiber body inside or outside the fiber.

기존 폴리머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으로 용융 방사법 및 전계 방사법(일렉트로 스피닝법)을 사용한 제조 방법 및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 2 참조).Conventional methods and apparatuses using a melt spinning method and an electric field spinning method (electrospinning method) as methods for producing nanofibers made of polymers are known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to 2).

용융 방사법은 용융시킨 폴리머를 고온 기류와 함께 좁은 노즐로부터 토출시켜 나노 섬유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계 방사법은 노즐과 컬렉터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폴리머를 용매에 녹인 원료 용액을 노즐로부터 토출시켜 나노 섬유를 형성하는 것이다.In the melt spinning method, a molten polymer is ejected from a narrow nozzle together with a high-temperature air stream to form nanofibers. In the electrospinning method, a raw material solution in which a polymer is dissolved in a solvent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in a state in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nozzle and the collector to form nanofibers.

(특허문헌 1) US6114017 B (Patent Document 1) US6114017 B

(특허문헌 2) US6673136 B (Patent Document 2) US6673136 B

종래의 용융 방사법 및 전계 방사법을 이용하여 나노 섬유의 제조하게 되면, 나노 섬유 부직포의 상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나노 섬유 부직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필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여도 큰 무리가 없다. When the nanofibers are prepared using a conventional melt spinning method and an electric field spinning method, the nanofibers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In the case of using such a nanofiber nonwoven fabric as it is,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as a filter, it is not too difficult to use a conventional method.

그러나, 나노 섬유에 배향성(섬유의 방향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성질)을 갖게하고 싶은 경우, 예를 들어, 특정 방향에 대한 인장 강도가 필요한 경우 또는 나노 섬유를 전기 배선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제조 방법과 장치로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f you want to give the nanofibers orientation (a property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fibers is arranged in a certain direction), for example, when tensile strength in a specific direction is required, or when a nanofiber is used as an electrical wiring, conventional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with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따라서, 본 발명은 배향성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나노 섬유를 제조할 수있는 나노 섬유의 제조 장치와 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pos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fibers capable of manufacturing nanofibers in a state having orientation.

본 실시예의 나노 섬유 제조 장치는, 나노 섬유의 원료인 원료 용액을 배치할 수 있는 용액 배치 부재와, 상기 용액 배치 부재에 상기 원료 용액을 배치할 때, 상기 원료 용액과 접촉 한 후에 상기 용액 배치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원료 용액을 연신하여 상기 나노 섬유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1차원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olution arrangement member capable of disposing a raw material solution, which is a raw material of nanofibers, and the solution arrangement member after contacting the raw material solution when disposing the raw material solution on the solution arrangement member. And a moving member configured to be movable at least one-dimensionally so as to form the nanofibers by stretching the raw material solution by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또한, 본 실시예의 나노 섬유 제조 방법은, 나노 섬유의 원료인 원료 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원료 용액과 적어도 1 차원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를 접촉시키는 접촉 공정과, 상기 이동 부재를 상기 원료 용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원료 용액을 연신시켜 상기 나노 섬유를 형성하는 나노 섬유 형성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nanofib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act process of preparing a raw material solution, which is a raw material of the nanofiber, and contacting the raw material solution with a moving member movable in at least one dimension, and moving the moving member away from the raw material solu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anofiber forming step of forming the nanofibers by moving in the direction and stretching the raw material solution.

본 실시예의 나노 섬유 제조 장치와 방법에 의해서, 배향성을 갖고 있는 나노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nanofibers having orientation can be manufactured by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나노 섬유를 회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에서 제조된 나노 섬유의 배향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SEM 사진이다.
도 6은 두께 0.12mm의 니들 부재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다.
도 7은 두께 0.5mm의 니들 부재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다.
도 8은 두께 1.02mm의 니들 부재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원료 용액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와 제조 한 나노 섬유의 섬유 직경과의 관계를 니들 부재의 두께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원료 용액의 연신 속도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SEM 사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원료 용액의 연신 거리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SEM 사진이다.
도 12은 본 실시예의 나노 섬유에 대한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탄소 나노 튜브를 함유하는 나노 섬유의 모습을 보여주는 TEM 사진이다.
도 14은 본 실시예의 나노 섬유의 변형-응력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ano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photograph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ano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of recovering nanofiber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SEM photograph showing the orientation of the nanofibers manufactured in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 SEM photograph of nanofiber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ing a needle member having a thickness of 0.12 mm.
7 is an SEM photograph of nanofiber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ing a 0.5mm-thick needle member.
8 is a SEM photograph of nanofiber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using a needle member having a thickness of 1.02 mm.
9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oxide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and the fiber diameter of the prepared nanofiber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needl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0 is a SEM photo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stretching speed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in this Example.
11 is a SEM photo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stretching distance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in this Example.
12 is a graph showing the Raman spectrum of the nanofibers of this example.
13 is a TEM photograph showing the appearance of nanofibers containing carbon nanotubes of the present embodiment.
14 is a graph showing the strain-stress curve of the nanofibers of this examp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1.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 1.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a)는 나노 섬유 제조 장치(1)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나노 섬유 제조 장치(1)의 평면도이다.1(a) is a front view of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1, and FIG. 1(b) is a plan view of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1.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1)는, 도 1과 같이, 용액 배치 부재(10), 이동 부재(20), 접속 부재(30), 동력 기구(40), 가이드 부재(50) 및 베이스부(60)를 포함한다.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is a solution arrangement member 10, a moving member 20, a connection member 30, a power mechanism 40, a guide member 50, and a base. Includes part 60.

용액 배치 부재(10)에는 나노 섬유의 원료인 원료 용액이 수용된다. 실시예에서, 용액 배치 부재(10)는 용액 입구(12)를 포함하고, 나노 섬유를 제조할 때 원료 용액을 상기 용액 입구(12)에 배치한다. 원료 용액의 배치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접하거나 전용 장비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A raw material solution, which is a raw material for nanofibers, is accommodated in the solution arranging member 10. In the embodiment, the solution disposition member 10 includes a solution inlet 12, and a raw material solution is disposed at the solution inlet 12 when manufacturing nanofibers. The batching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by the user himself or by dedicated equipment.

이동 부재(20)는 용액 배치 부재(10)에 원료 용액을 배치했을 때, 원료 용액과 접촉한 후 용액 배치 부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원료 용액을 연신(延伸)시켜 나노 섬유를 형성시키는 부재이다. 이동 부재(20)는 적어도 1 차원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Whe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placed on the solution placing member 10, the moving member 20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olution placing member 10 after contacting the raw material solution to elongate the raw material solution to form nanofibers. It is a member to let you do. The moving member 20 is movable in at least one dimension.

실시예에서, 나노 섬유 제조 장치(1)는 직선 방향으로 배치된 4 개의 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원료 용액과 접촉하게 되는 이동 부재(20)의 단부는 뾰족한 니들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료 용액과 접촉하는 이동 부재(20)의 부분은 그 두께가 5mm 이하로 형성되며, 특히, 두께는 2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1 may include four moving members disposed in a linear direction. The end of the moving member 2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aw material solution may be made of a pointed needle member. For example, the portion of the moving member 20 in contact with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5 mm or less, and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is 2 mm or less.

"원료 용액과 접촉하는 부분의 두께가 5mm 이하"는 "원료 용액과 접촉하는 이동 부재의 단부를 이동 부재의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볼 때 해당 단면이 직경 5mm 이하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다만, 개념적으로 이동 부재(20)의 두께에 하한은 없지만, 실제로 나노 섬유를 형성할 때의 이동 부재(20)의 강도를 고려하면, 상기 두께가 0.0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5mm or less" can also be referred to as "when the end of the movable member in contact with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viewed from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movable member, the cross section is circular with a diameter of 5mm or less" . However, conceptually, there is no lower limit on the thickness of the movable member 20, but considering the strength of the movable member 20 when actually forming the nanofibers, the thickness is preferably 0.05mm or more.

본 명세서에서 "니들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뾰족한 막대 모양의 부재를 말한다. 니들 부재로는 바늘과 침술 용 바늘 같은 널리 시판되고있는 바늘을 사용할 수도 있고, 나노 섬유 제조 장치 용으로 설계된 전용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시되어 있는 니들 부재를 포함한 나노 섬유 제조 장치(1)를 "니들 스피닝 장비(NS 장치)"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needle member" refers to a rod-shaped member having at least one pointed end. As the needle member, widely commercially available needles such as needles and acupuncture needles may be used, or a dedicated one designed for a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may be used.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1 including the illustrated needle member may be referred to as “needle spinning equipment (NS apparatus)”.

상기 접속 부재(30)는 이동 부재(20)와 동력 기구(40)를 연결하는 부재이며, 상기 이동 부재(20)는 접속 부재(30)에 배치된다. The connecting member 30 is a member connecting the moving member 20 and the power mechanism 40, and the moving member 20 is disposed on the connecting member 30.

상기 동력 기구(40)는 이동 부재(20)를 소정의 속도로 반복 이동시킬 수 있는 기구이다. 상기 동력 기구(40)는 직접적으로는 접속 부재(30)를 이동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이동 부재(20)를 이동시킨다. 상기 동력 기구(40)는 상기 이동 부재(2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으로, 예를 들면, 전기 모터, 에어 실린더, 탄성 부재(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power mechanism 40 is a mechanism capable of repeatedly moving the moving member 20 at a predetermined speed. The power mechanism 40 directly moves the connecting member 30 to indirectly move the moving member 20. The power mechanism 40 may use, for example, an electric motor, an air cylinder, or an elastic member (spring, etc.) as a power for moving the moving member 20.

상기 가이드 부재(50)는 접속 부재(30)를 기준으로 상기 동력 기구(40) 쪽과는 반대쪽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상기 가이드 부재(50)는 막대 모양의 부재이며, 상기 접속 부재(30)의 이동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guide member 50 is a member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the power mechanism 40 side based on the connection member 30. The guide member 50 is a rod-shaped member, and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member 30.

상기베이스부(60)는 상기의 각 구성 요소들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base portion 60 serves to support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from the lower side.

2.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2. Manufacturing method of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공정도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ano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S. 2(a) to 2(c) are process diagrams.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은, 접촉 공정(S1), 나노 섬유 형성 공정(S2)을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nano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ntact process (S1) and a nanofiber formation process (S2).

도 1에 도시된 나노 섬유 제조 장치(1)를 이용하여 나노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nanofibers using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1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은 이동 부재(20)로 원료 용액(S)과 접촉해야 측의 단부가 뾰족한 니들 부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anofi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method of using a needle member having a pointed end when the moving member 20 contacts the raw material solution S.

접촉 공정(S1)은 나노 섬유의 원료인 원료 용액(S)를 준비하고(도 2(a) 참조), 원료 용액(S)과 적어도 1 차원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20)를 접촉시킨다(도 2(b) 참조). In the contacting step (S1), a raw material solution S, which is a raw material of nanofibers, is prepared (see Fig. 2(a)), and the raw material solution S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oving member 20 that is movable in at least one dimension (Fig. 2(b)).

원료 용액은 나노 섬유를 구성하는 폴리머에 용매를 첨가한 용액으로서, 고분자는 용매에 용해가능한 다양한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a solution obtained by adding a solvent to a polymer constituting the nanofiber, and various polymers soluble in a solvent may be used as the polymer.

본 실시예에서는 원료 용액에서 직접 연신하여 나노 섬유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원료 용액은 소정의 점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위한 고분자 및 용매의 양과 종류는 제조하는 나노 섬유의 물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nanofibers are formed by directly stretching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aw material solution has a predetermined viscosity. The amount and type of polymers and solvents for preparing the raw material solution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nanofibers to be manufactured.

또한, 원료 용액은 제조하고자 하는 나노 섬유의 성질을 개선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물질, 예를 들면, 나노 스케일의 구조를 갖는 탄소계 물질, 촉매 및 살균제로 금속 입자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은 원료 용액에서 직접 연신하여 나노 섬유를 형성하기 때문에, 나노 섬유에 함유시키는 물질을 다량 함유시키기가 용이하고, 또한 탄소 나노 튜브와 같은 섬유질 물질을 함유하는 나노 섬유를 제조하기가 용이하다. In addition, the raw material solution may contain a material capable of improving or adjusting the properties of the nanofibers to be prepared, for example, a carbon-based material having a nano-scale structure, a metal particle as a catalyst and a bactericide, and the like. In particular, sinc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ms nanofibers by directly stretching in a raw material solution, it is easy to contain a large amount of materials to be contained in the nanofibers, and also contains fibrous materials such as carbon nanotubes. It is easy to manufacture nanofibers.

또한, 원료 용액은 점성과 표면 장력 등의 원료 용액의 성질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 예를 들면, 계면 활성제 및 증점제를 함유한다. In addition, the raw material solution contains a substan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properties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such as 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for example, a surfactant and a thickener.

실시예에서, 원료 용액(S)을 용액 배치 부재(10)의 용액 입구(12)에 배치한 후 이동 부재(20)를 동력 기구(40)를 이용하여 용액 배치 부재(10)에 접근시켜 원료 용액(S)과 이동 부재(20)를 접촉시킨다.In the embodiment, the raw material solution S is disposed at the solution inlet 12 of the solution disposing member 10, and then the moving member 20 is approached to the solution disposing member 10 using the power mechanism 40 to obtain the raw material. The solution S and the moving member 20 are brought into contact.

나노 섬유 형성 공정(S2)은 상기 이동 부재(20)를 원료 용액(S)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료 용액(S)을 연신시켜 나노 섬유(F)를 형성하는 공정이다(도 2(c) 참조).The nanofiber formation process (S2) is a process of forming the nanofibers (F) by moving the moving member 2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aw material solution (S), and stretching the raw material solution (S) (Fig. 2(c)). ) Reference).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한 나노 섬유(F)는, 예를 들어, 섬유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테두리 모양이나 판 모양의 부재를 누르는 것에 의해, 배향성을 갖는 상태 그대로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nanofibers (F)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recovered as they have orientation by pressing, for example, a frame-shaped or plate-shaped memb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fibers.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접촉 공정(S1) 및 나노 섬유 형성 공정(S2) 각각 한 번만해도 좋지만, 결정된 양의 나노 섬유를 얻기 위하여 접촉 공정(S1)과 그 다음의 나노 섬유 형성 공정(S2)의 순서로 여러 번 반복할 수 있다.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acting process (S1) and the nanofiber forming process (S2) may be performed only once, but in order to obtain a determined amount of nanofibers, the contacting process (S1) and subsequent nanofibers It can be repeated several times in the order of the formation process (S2).

상기의 접촉 공정(S1) 및 나노 섬유 형성 공정(S2)을 여러 번 반복하는 경우, 제조된 나노 섬유(F)의 회수는 나노 섬유 형성 공정(S2)이 종료할 때마다 하여도 좋고, 접촉 공정(S1) 및 나노 섬유 형성 공정(S2)을 여러 번 반복한 후 수행할 수 있다. 결정된 양의 나노 섬유(F)를 얻는 것이 목적일 경우에는 접촉 공정(S1) 및 나노 섬유 형성 공정(S2)를 여러 번 반복한 후 나노 섬유(F)를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repeating the above contacting process (S1) and nanofiber forming process (S2) several times, the recovery of the produced nanofibers (F) may be performed whenever the nanofiber forming process (S2) ends, and the contacting process (S1) and nanofiber formation process (S2) may be repeated several times and then performed. When the objective is to obtain a determined amount of nanofibers (F), it is preferable to recover the nanofibers (F) after repeating the contacting process (S1) and the nanofiber forming process (S2) several times.

3.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방법 및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의 효과 3. Effect of the nanofiber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nanofib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방법 및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ffect of the nanofiber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nanofib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1)는 나노 섬유의 원료인 원료 용액을 배치할 수 있는 용액 배치 부재(10)와, 적어도 1차원으로 이동가능한 이동 부재(20)를 구비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배향성을 갖고 있는 상태에서 나노 섬유를 제조 할 수 있는 나노 섬유 제조 장치이다.Since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solution disposing member 10 capable of disposing a raw material solution, which is a raw material of nanofibers, and a moving member 20 that is movable in at least one dimension, it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a nanofiber manufacturing device capable of manufacturing nanofibers in a state of orientation.

또한,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1)에 따르면, 이동 부재(20)에 의해 원료 용액을 연신하여 나노 섬유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구나 높은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나노 섬유를 제조 할 수있게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raw material solution can be stretched by the moving member 20 to form nanofibers, a mechanism for generating a high-temperature airflow or for applying a high voltage It becomes possible to manufacture nanofiber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the use of equipment.

또한,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1)에 따르면, 이동 부재(20)에 의해 원료 용액을 직접 연신하여 나노 섬유를 형성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융 방사법 및 전계 방사법을 실시하는 나노 섬유 제조 장치와 비교하여 나노 섬유에 다양한 물질을 다량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raw material solution can be directly stretched by the moving member 20 to form nanofibers, a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performs a melt spinning method and an electric field spinning method Compared with, it is possible to contain a large amount of various substances in the nanofiber.

또한,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1)에 따르면, 이동 부재(20)는 원료 용액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단부)이 뾰족한 니들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뾰족하면서 짧은 단부에 의해 직경이 얇은 나노 섬유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moving member 20 is composed of a pointed needle member at a portion (end)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aw material solution, the diameter is thin by the pointed and short end. Nanofibers can be stably manufactured.

또한,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1)에 따르면, 이동 부재(20)의 원료 용액과 접촉하는 부분의 두께가 5mm 이하이기 때문에, 이동 부재(20)(니들 부재)를 충분히 세밀하게 하여서 더욱더 얇은 나노 섬유를 제조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of the moving member 20 in contact with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5 mm or less, the moving member 20 (needle member) is sufficiently detailed. It will be possible to manufacture thinner nanofibers.

또한,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1)에 따르면, 이동 부재(20)를 소정의 속도로 반복 이동시킬 수 있는 동력 기구(40)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동 부재(20)를 인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나노 섬유를 반복 제조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moving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power mechanism 40 capable of repeatedly moving the moving member 20 at a predetermined speed, the moving member 20 is moved by manpower. Compared with the case of making it possible to repeatedly manufacture uniform nanofibers.

[실시예][Example]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나노 섬유 제조 장치를 실제로 제조하고, 나노 섬유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 섬유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 섬유의 구조나 물성 등을 조사하였다. In Examples,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ctually manufacture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nanofibers was performed using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In addition, the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nanofibers manufactur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nano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investigated using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 실시예에서 사용한 시약 · 장비 등1. Reagents, equipment, etc. used in the examples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a)는 실시예에서 사용한 이동 부재(20a, 20b, 20c)(니들 부재,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용 바늘)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b)는 실시예에서 사용한 이동 부재(20b), 접속 부재(30a) 및 동력 기구(40a)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3 is a photograph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anofi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3(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moving members 20a, 20b, 20c (needle member, more specifically, a commercial needle) used in the example, and FIG. 3(b) is a photo showing the moving member (20a, 20b, 20c) used in the example ( It is a photograph showing the 20b), the connection member 30a, and the power mechanism 40a.

도 3(b)에서 이동 부재(20b)가 찍혀있는 것은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실시예에서는 이동 부재(20a, 20c)도 이동 부재(20b)와 같이 접속 부재로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우선, 실시예에서 사용한 물질이나 장치 등을 설명한다.It is only an example that the moving member 20b is stamped in FIG. 3(b), and in the embodiment, the moving members 20a and 20c were also set as connection members like the moving member 20b and used. First, the materials and devices used in the examples will be described.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평균 Mv : ~ 8,000,000 또는 15,000 분말)는 시그마 알드리치(Sigma-Aldrich)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Polyethylene oxide (PEO. Average Mv: ~ 8,000,000 or 15,000 powder) was purchased from Sigma-Aldrich.

용매의 증류수는 실험실에서 증류한 것을 사용하였다. 계면 활성제인 로릴황산나트륨(sodium dodecyl sulfonate)은 나카라이테스크(nacalai tesque) 회사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단층 카본 나노 튜브(CNTs)으로는 (7,6) chirality, 90 % carbon basis(≥99 % as carbon nanotubes), 0.83nm 평균 직경의 것을 사용하였다.The distilled water of the solvent was distilled in a laboratory. Sodium dodecyl sulfonate, a surfactant, was purchased from Nacalai Tesque. As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CNTs), (7,6) chirality, 90% carbon basis (≥99% as carbon nanotubes), and 0.83 nm average diameter were used.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에 있어서 용액 배치 부재로 중앙에 용액을 배치하기 위한 오목부가 있는 수지 부재(욕조 형상의 부재)을 사용하였다. In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resin member (tub-shaped member) having a concave portion for disposing a solution in the center was used as a solution disposing member.

이동 부재는 시중에 판매하는 바늘인 니들 부재를 사용하였다(도 3(a) 참조).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는 직경(두께) 1.02mm의 것(도 3(a)의 부호 20a 참조), 직경 0.5mm의 것(도 3(a)의 부호 20b 참조) 및 직경 0.12mm의 것(도 3(a)의 부호 20c 참조)의 3 종류를 사용하였다.As the moving member, a needle member, which is a commercially available needle, was used (see Fig. 3(a)). Specifically, the movable member has a diameter (thickness) of 1.02 mm (see reference numeral 20a in Fig. 3(a)), a diameter of 0.5 mm (see reference numeral 20b in Fig. 3(a)), and a diameter of 0.12 mm (Fig. 3 (refer to 20c in (a)) were used.

직경 0.5mm의 니들 부재 및 직경 1.02mm의 니들 부재로는, 크로스바 주식회사의 니들을 사용하였다. 또한, 직경 0.12mm의 니들 부재는 세이린 주식회사의 니들을 사용하였다.As a needle member having a diameter of 0.5 mm and a needle member having a diameter of 1.02 mm, a needle of Crossbar Co., Ltd. was used. In addition, a needle member having a diameter of 0.12 mm used a needle manufactured by Seirin Co., Ltd.

접속 부재로는 시중에 판매하는 기둥형 아크릴 막대에 이동 부재를 배치하기위한 홀과 가이드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홀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였다(도 3(b)의 부호 30a 참조).As the connection member, a hole for arranging the moving member and a hole for passing the guide member was used in a columnar acrylic rod sold in the market (see reference numeral 30a in FIG. 3(b)).

동력 기구로는 주식회사 미스미의 단축 로봇인 RS-220-R-C1-N-5-500-S를 사용하였다(도 3(b)의 부호 40a 참조). 그리고, 해당 단축 로봇은 이동 대상의 이동 속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최대 이동 속도는 1000mm/sec, 최대 이동 거리는 500mm이다. 실시예에서, 이동 속도는 나노 섬유의 연신 속도를 나타내고, 이동 거리는 나노 섬유의 연신 거리를 나타낸다. 가이드 부재로는 원통형 스테인리스 막대기를 사용하였다. As a power mechanism, the RS-220-R-C1-N-5-500-S, a single axis robot of Misumi Co., Ltd., was used (see reference numeral 40a in Fig. 3(b)). In addition, the single-axis robot can precisely control the mov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the maximum moving speed is 1000mm/sec, and the maximum moving distance is 500mm. In Examples, the moving speed represents the stretching speed of the nanofiber, and the moving distance represents the stretching distance of the nanofiber. As the guide member, a cylindrical stainless steel rod was used.

비교예에서는 나노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전계 방사법을 사용하는 나노 섬유 제조 장치가 사용되었다. 이하, 비교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의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In the comparative exampl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anofibers using an electrospinning method was used to manufacture nanofibers. Hereinafter, components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anofibers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will be described.

고전압 공급 장치(전원 공급 장치)으로는 마츠사다 정밀 주식회사(matsusada precision Inc.)의 Har-100*12를 사용하였다. 방사시의 인가 전압은 12kV로 하였다. As the high voltage supply device (power supply device), a Har-100*12 manufactured by Matsusada Precision Inc. was used. The applied voltage at the time of spinning was 12 kV.

컬렉터로는 알루미늄 호일로 덮은 회전식 드럼 컬렉터를 사용하였다. 시린지(syringe)로는 일반 5mL 플라스틱 시린지를 사용하였다. 시린지에 부착된 모세관 칩의 내경은 0.6mm로 하였다. 원료 용액에 전하를 제공하기 위해, 고전압 공급 장치의 애노드와 접속한 구리선을 사용하였다. 칩 - 컬렉터 사이의 거리는 15cm로 하였다. As a collector, a rotary drum collector covered with aluminum foil was used. As a syringe (syringe), a general 5 mL plastic syringe was used. The inner diameter of the capillary chip attached to the syringe was 0.6 mm. In order to provide an electric charge to the raw material solution, a copper wire connected to the anode of the high voltage supply device was used. The distance between the chip and the collector was 15 cm.

이하, 실시예의 나노 섬유와 비교예의 나노 섬유에 대한 관찰과 실험에 사용한 장비와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equipment and instruments used for observation and experiments of the nanofibers of the examples and the nanofibers of the comparative example will be described.

주사 전자 현미경(SEM :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는 일본 전자 주식회사(JEOL)의 JSM-6010LA를 사용하였다. 샘플에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스퍼터링 장치로는 일본 전자 회사의 JFC를 사용하였다. JSM-6010LA manufactured by JEOL was used a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JFC of a Japanese electronics company was used as a sputtering device for imparting conductivity to the sample.

샘플의 섬유 직경을 산출하기 위하여.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ImageJ를 사용한 섬유 직경의 측정은 여러 나노 섬유가 찍혀있는 SEM 사진에서 임의의 50점을 선택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To calculate the fiber diameter of the sample. For the measurement of the fiber diameter using the image analysis software ImageJ, random 50 points were selected from the SEM image in which several nanofibers were taken, and the average value was calculated.

투과 전자 현미경(TEM :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으로는 일본 전자 회사의 JEM2100을 사용하였다. 라만 분광 장치(Raman spectrophotometer)로, 카이저 광학 시스템의 Hololab 5000을 사용하였다. 인장 강도의 측정을 위한 인장 시험기로는 주식회사 레스카(rhesca)의 실 하나 인장 시험기(극세 섬유 역학 강도 시험기) NFR-1000(FITRON)를 사용하였다.JEM2100 of a Japanese electronics company was used a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s a Raman spectrophotometer, Hololab 5000 of Kaiser optical system was used. As a tensile tester for measuring the tensile strength, a yarn tensile tester (extra-fine fiber mechanical strength tester) NFR-1000 (FITRON) of rhesca Co., Ltd. was used.

2. 실시예의 나노 섬유 제조 장치 및 비교예의 나노 섬유 제조 장치 2.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of Example and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of Comparative Example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로는 전술한 나노 섬유 제조 장치(1)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용액 배치 부재, 이동 부재, 접속 부재, 동력 기구, 가이드 부재 및 베이스부를 조합한 것이다(도 1 참조).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1 described above, and a solution arrangement member, a moving member, a connection member, a power mechanism, a guide member, and a base portion are combined (see FIG. 1 ). ).

비교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로서, 상기 고전압 공급 장치, 컬렉터, 모세관 팁, 시린지 및 구리선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나노 섬유 제조 장치(전계 방사법을 이용하는 장치)는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도시는 생략한다. As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a combination of the high voltage supply device, a collector, a capillary tip, a syringe, and a copper wire was used. In addition, since such a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a device using an electric field spinning method) is widely known, the illustration is omitted.

3.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3. Method for producing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은 기본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며, 접촉 공정 및 나노 섬유 형성 공정을 포함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anofi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anofi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includes a contact process and a nanofiber formation process.

(1) 접촉 공정(1) contact process

실시예에 따른 접촉 공정은 다음과 같이 원료 용액을 제조하였다. 먼저 나노 섬유를 구성하는 폴리머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자량 : ~ 8,000,000)의 분말을 증류수에 투입하고, 마그네틱 교반기로 2시간 이상 교반을 실시하였다. 그 농도가 0.3wt%가 되도록 계면 활성제를 투입하고, 다시 20분 이상 교반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샘플은 소정의 양의 탄소 나노 튜브를 첨가하여 1 시간 이상 교반을 실시하고 원료 용액을 제조하였다.In the contact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raw material solution was prepared as follows. First, a powder of polyethylene oxide (molecular weight: ~ 8,000,000), which is a polymer constituting the nanofiber, was added to distilled water, and stirred for 2 hours or more with a magnetic stirrer. Surfactant was added so that the concentration became 0.3 wt%, and stirring was performed again for 20 minutes or more. Finally, a required sample was stirred for 1 hour or more by add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carbon nanotubes to prepare a raw material solution.

실시예에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의 농도를 2wt%, 2.5wt%, 3wt%로 한 3종류의 원료 용액을 사용하였다.In the exampl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oxide, three kinds of raw material solutions having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oxide at 2 wt%, 2.5 wt%, and 3 wt% were used.

또한, 실시예에서는 탄소 나노 튜브의 첨가량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탄소 나노 튜브의 농도를 0.5wt%, 1.0wt%, 1.5wt%로 한 3종류의 원료 용액을 사용하였다.In addition, in the exampl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mount of carbon nanotubes added, three kinds of raw material solutions having the concentrations of the carbon nanotubes at 0.5 wt%, 1.0 wt%, and 1.5 wt% were used.

상기와 같이하여 제조한 원료 용액을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의 용액 배치 부재에 원료 용액 2mL를 배치하고 이동 부재와 접촉시켰다.In the raw material solu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2 mL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was placed on the solution arrangement member of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contacted with the moving member.

(2) 나노 섬유 형성 공정(2) nanofiber formation process

도 4는 제조된 나노 섬유를 회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에서 부호 F로 나타내는 것은 나노 섬유이며, 부호 W로 나타내는 것은 와이어 걸이다. 4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of recovering the prepared nanofibers. In Fig. 4, the symbol F is a nanofiber, and the symbol W is a wire hook.

연신 속도 및 거리는, 동력 기구에 연결된 PC에서 설정하였다. 나노 섬유의 형성은 원료 용액 2mL에 대해서 5분동안 접촉 공정과 나노 섬유 형성 공정을 반복하였다. The stretching speed and distance were set on a PC connected to the power mechanism. For the formation of nanofibers, the contact process and the nanofiber formation process were repeated for 5 minutes for 2 mL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그 후, 제조된 나노 섬유를 고리 모양으로 변형시킨 와이어 걸이를 이용해 나노 섬유의 연신 방향과는 다른 측면에서 나노 섬유로 밀어 붙이면서 회수하였다(도 4 참조). 회수후, 나노 섬유를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Thereafter, the prepared nanofibers were recovered while being pushed into the nanofibers from a side different from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nanofibers using a wire hanger transformed into a ring shape (see FIG. 4). After recovery, the nanofibers were dri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4. 비교예에 따른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4. Manufacturing method of nanofiber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비교예에 따른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은 전계 방사법에 의한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이며, 일반적인 것이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nanofiber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nanofibers by field spinning, and is a general one.

주로 원료 용액(방사용액)의 점도의 관계에서 전계 방사법으로 분자량이 큰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비교예에 따른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보다 분자량이 작은 분자량이 15,000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이용하여 나노 섬유의 제조를 실시하였다. 원료 용액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는 사전에 최적 조건을 검토하고 5.0wt%로 하였다. 원료 용액에 탄소 나노 튜브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농도를 0.5wt%로하였다.It is difficult to use polyethylene oxide having a large molecular weight by electrospinning mainly in relation to the viscosity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spinning liquid). Therefor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nanofiber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the production of nanofibers was performed using polyethylene oxid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5,000, which is smaller than tha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xample.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oxide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was set to 5.0 wt% after examining the optimum conditions in advance. When adding carbon nanotubes to the raw material solution, the concentration was set to 0.5 wt%.

나노 섬유의 형성(전계 방사)은 온도 20±3℃, 습도 30±5%의 환경하에서 실시하였다. 형성된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는, 잔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컬렉터로부터 박리시켜 회수한 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The formation of nanofibers (field spinning) was carried out in an environment at a temperature of 20±3°C and a humidity of 30±5%. The formed nonwoven fabric made of nanofibers was collected by peeling from the collector to remove residual solvent, and then dri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5. 실시예에서 나노 섬유의 구조 및 물성5.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nanofibers in Examples

이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나노 섬유의 구조 및 물성을 비교예에서 제조된 나노 섬유와 비교하여 본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nanofibers prepared according to the examples are compared with the nanofibers prepared in the comparative example.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에서 제조된 나노 섬유의 배향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SEM 사진이다. 도 5(a)는 비교예에서 제조된 나노 섬유(전계 방사법에 의해 형성 한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고, 도 5(b)는 실시예에서 제조된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다. 또한, 도 5(a)의 'ES'는 전계 방사법(일렉트로 스피닝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을 나타내는 글자이며, 도 5(b)의 "NS"는 본 발명의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니들 스피닝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5 is a SEM photograph showing the orientation of the nanofibers manufactured in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a) is an SEM image of the nanofibers (nanofibers formed by the field spinning method)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and FIG. 5(b) is an SEM image of the nanofibers prepared in Example. In addition,'ES' in FIG. 5(a) is a letter indicating that it was manufactured using an electric field spinning method (electro spinning method), and "NS" in FIG. 5(b)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nanof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le spinning It is a letter indicating that it was manufactured using method).

도 6은 두께 0.12mm의 니들 부재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다. 도 6(a)는 원료 용액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가 2.0wt% 일 때의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고, 도 6(b)는 원료 용액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가 2.5wt% 일 때의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고, 도 6(c)는 원료 용액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가 3.0wt% 일 때의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다. 6 is a SEM photograph of nanofiber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ing a needle member having a thickness of 0.12 mm. 6(a) is an SEM photograph of nanofibers when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oxide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2.0wt%, and FIG.6(b) is an SEM photograph of the nanofibers when the polyethylene oxide concentration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2.5wt%. It is an SEM photograph, and FIG. 6(c) is an SEM photograph of nanofibers when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oxide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3.0 wt%.

또한, 도 6(a) 내지 도 6(c)의 각 SEM 사진의 왼쪽 상단에 표시되는 숫자는 SEM 사진에 찍혀있는 나노 섬유의 원료 용액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단위 : wt%)를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c)와, 도 8(a) 내지 도 8(c)의 각 SEM 사진의 왼쪽 상단에 표시되는 숫자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the numbers displayed on the upper left of each SEM picture of FIGS. 6(a) to 6(c) represent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oxide (unit: wt%)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of nanofibers taken in the SEM picture. Figures 7 (a) to 7 (c) and Figures 8 (a) to 8 (c) of each of the SEM pictures shown in the upper left of the number is the same.

도 7은 두께 0.5mm의 니들 부재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다. 도 7(a)는 원료 용액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가 2.0wt% 일 때의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고, 도 7(b)는 원료 용액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가 2.5wt% 일 때의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고, 도 7(c)는 원료 용액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가 3.0wt% 일 때의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다.7 is a SEM photograph of nanofiber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ing a needle member having a thickness of 0.5 mm. 7(a) is an SEM photograph of nanofibers when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oxide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2.0wt%, and FIG.7(b) is an SEM photograph of the nanofibers when the polyethylene oxide concentration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2.5wt%. This is an SEM photograph, and FIG. 7(c) is an SEM photograph of nanofibers when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oxide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3.0 wt%.

도 8은 두께 1.02mm의 니들 부재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다. 도 8(a)는 원료 용액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가 2.0wt% 일 때의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고, 도 8(b)는 원료 용액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가 2.5wt% 일 때의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고, 도 8(c)는 원료 용액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가 3.0wt% 일 때의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다.8 is a SEM photograph of nanofiber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using a needle member having a thickness of 1.02 mm. Figure 8(a) is a SEM photograph of the nanofibers when the polyethylene oxide concentration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2.0wt%, and Figure 8(b) is the nanofibers when the polyethylene oxide concentration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2.5wt%. It is an SEM photograph, and FIG. 8(c) is an SEM photograph of nanofibers when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oxide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3.0 wt%.

도 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원료 용액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와 제조 한 나노 섬유의 섬유 직경과의 관계를 니들 부재의 두께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9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oxide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and the fiber diameter of the prepared nanofiber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needl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9의 그래프의 가로축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섬유 직경을 나타낸다. 도 9의 그래프에서 20a로 나타내는 것은 직경 1.02mm의 이동 부재에 대한 결과이며, 20b에 나타내는 것은 직경 0.5mm의 이동 부재에 대한 결과이며, 20c로 나타내는 것은 직경 0.12mm의 이동 부재에 대한 결과이다.In the graph of Fig. 9,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oxid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fiber diameter. In the graph of Fig. 9, 20a is a result for a moving member having a diameter of 1.02 mm, 20b is a result for a moving member having a diameter of 0.5 mm, and 20c is a result for a moving member having a diameter of 0.12 mm.

첫째, SEM을 이용하여 제조 방법의 차이에 따라 나노 섬유의 배향성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의 나노 섬유는 방향성이 보이지 않지만(나노 섬유의 방향이 무작위), 실시예의 나노 섬유는 배향성을 보였다(나노 섬유의 방향이 어느 일방향으로 향하고 있었다). First,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orientation of the nanofibe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using SEM. As a result, the nanofibers of the comparative example did not show directionality (the direction of the nanofibers was random), but the nanofibers of the example showed orientation (the direction of the nanofibers was oriented in any one direction).

또한, 도 5(a)에서 나노 섬유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가 5.0wt%, 연신 속도가 1000mm/sec, 연신 거리가 500mm 인 경우이며, 도 5(b)에서 나노 섬유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2.0wt % 일 때이다. In addition, in Figure 5 (a), the nanofiber has a polyethylene oxide concentration of 5.0 wt%, a stretching speed of 1000 mm/sec, and a stretching distance of 500 mm, and in Figure 5 (b), the nanofiber has a polyethylene glycol concentration of 2.0 This is the case in wt %.

다음은 SEM을 이용하여 이동 부재 두께의 영향과, 원료 용액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나노 섬유는 연신 속도 1000mm/sec와, 연신 거리를 500mm로 제조한 것이다. Next, the influence of the thickness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oxide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were investigated using SEM. The nanofibers shown in FIGS. 6, 7 and 8 are manufactured with a drawing speed of 1000 mm/sec and a drawing distance of 500 mm.

그 결과, 도 6(a) 내지 도 8(c)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농도가 높을수록 섬유 직경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용매의 양이 많을수록 원료 용액을 연신한 후 용매(증류수)의 증발에 따라 나노 섬유의 섬유 직경이 크게 수축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6(a) to 8(c) and 9,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oxide, the larger the fiber diameter tends to be. This is because, as the amount of the solvent increases, the fiber diameter of the nanofibers tends to shrink greatly due to evaporation of the solvent (distilled water) after drawing the raw material solution.

또한, 이동 부재의 굵기가 굵을수록 섬유 직경이 굵어지는 경향이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larger the thickness of the moving member, the larger the fiber diameter tends to be.

이후의 실험에서는 특별히 개별 조건을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농도 2.0wt%, 이동 부재 두께 0.12mm, 연신 속도 1000mm/sec, 연신 거리 500mm의 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한 것이다. In the subsequent experiments, when no specific conditions are specifi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s of a polyethylene oxide concentration of 2.0 wt%, a moving member thickness of 0.12 mm, a stretching speed of 1000 mm/sec, and a stretching distance of 500 mm.

다음으로, 연신 속도 및 연신 거리의 영향을 조사하였다.Next, the influence of the drawing speed and the drawing distance was investigated.

도 10은 실시예에 있어서 원료 용액의 연신 속도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SEM 사진이다. 도 10(a)는 연신 속도가 1000mm/sec 일 때의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고, 도 10(b)는 연신 속도가 500mm/sec 일 때의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고, 도 10(c)는 연신 속도가 250mm/sec 일 때의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다.Fig. 10 is an SEM photo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stretching speed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in Examples. Fig. 10(a) is an SEM picture of the nanofibers when the drawing speed is 1000mm/sec, Fig. 10(b) is a SEM picture of the nanofibers when the drawing speed is 500mm/sec, and Fig. 10(c) is It is an SEM photograph of nanofibers when the stretching speed is 250 mm/sec.

도 11은 실시예에 있어서 원료 용액의 연신 거리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SEM 사진이다. 도 11(a)는 연신 거리가 500mm 일 때의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고, 도 11(b)는 연신 거리가 250mm 일 때의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며, 도 11(c)는 연신 거리가 100mm 일 때의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이다.11 is a SEM photo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stretching distance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in Examples. FIG. 11(a) is an SEM image of the nanofibers when the stretching distance is 500mm, FIG. 11(b) is an SEM image of the nanofibers when the stretching distance is 250mm, and FIG. 11(c) is a stretching distance of 100mm It is an SEM photograph of the nanofiber at the time of.

우선, 연신 속도 1000mm/sec, 500mm/sec 및 250mm/sec로 나노 섬유를 제조 하였다. 이때, 연신 거리는 모두 500mm로 하였다. 그 결과, 도 10(a) 내지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신 속도가 늦을수록 나노 섬유의 배향성이 낮아지고, 섬유 직경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rst, nanofibers were prepared at a stretching speed of 1000mm/sec, 500mm/sec, and 250mm/sec. At this time, the stretching distances were all 500 mm.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10(a) to 10(c),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drawing speed was slow, the orientation of the nanofibers decreased and the fiber diameter tended to increase.

다음은 연신 거리를 500mm, 250mm 및 100mm로 나노 섬유를 제조하였다. 이때, 연신 속도는 모두 1000mm/sec로 하였다. Next, nanofibers were prepared with stretching distances of 500mm, 250mm, and 100mm. At this time, the stretching speed was all 1000 mm/sec.

그 결과,도 11(a) 내지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신 거리가 짧아 질수록 나노 섬유의 배향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지만, 나노 섬유 중에 구슬 모양의 구조가 발생하고, 섬유 직경이 굵어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s. 11(a) to 11(c), the orientation of the nanofibers tends to increase as the stretching distance decreases, but a bead-like structure occurs in the nanofibers, and the fiber diameter is larg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tendency to lose.

다음으로, 탄소 나노 튜브를 함유한 나노 섬유를 제조하고, 라만 산란법에 의한 분석(분자 구조 해석)을 실시하였다.Next, nanofibers containing carbon nanotubes were prepared, and analysis (molecular structure analysis) by the Raman scattering method was performed.

도 12은 실시예의 나노 섬유에 대한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2 is a graph showing the Raman spectrum of the nanofibers of the example.

도 12의 그래프에서 부호 e1 ~ e3는 실시예들에 따른 나노 섬유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고, 부호 r로 나타내는 것은 비교예의 나노 섬유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In the graph of FIG. 12, symbols e1 to e3 denote results for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xamples, and r denotes results for nanofibers of the comparative example.

부호 e1로 나타내는 것은 원료 용액에 탄소 나노 튜브의 농도가 0.5wt% 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부호 e2로 나타내는 것은 원료 용액에 탄소 나노 튜브의 농도가 1.0wt% 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부호 e3에서 나타내는 것은 원료 용액에 탄소 나노 튜브의 농도가 1.5wt% 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다.Symbol e1 indicates the result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nanotubes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0.5 wt%, and symbol e2 indicates the result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nanotubes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1.0 wt%, and the symbol e3 Shown in is the result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nanotubes is 1.5 wt%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실시예에서, 하나의 샘플 3 회 측정을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실험 결과로하였다.In Examples, one sample was measured three times, and the average value was taken as the experimental result.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590 cm-1 부근에서 발견되는 G band, 1350 cm-1 부근에서 발견되는 D band 단글링 본드(dangling bond)를 갖는 탄소 원자에 기인하는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탄소 나노 튜브의 함량이 많을수록 피크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나노 섬유는 탄소 나노 튜브를 함유하는 것과, 원료 용액의 탄소 나노 튜브의 함량(농도)을 증가시켜 제조하는 나노 섬유가 함유한 탄소 나노 튜브의 양을 늘릴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2, a peak due to a carbon atom having a dangling bond of a G band found near 1590 cm -1 and a D band dangling bond found near 1350 cm -1 could be confirmed as shown in FIG. 12. .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content of the carbon nanotubes, the larger the peak. Therefore, in the examp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arbon nanotubes contained in the nanofibers produced by increasing the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carbon nanotubes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and that the nanofibers contain carbon nanotubes can be increased. .

다음으로, TEM을 이용하여 섬유의 관찰을 실시하였다.Next, the fiber was observed using TEM.

도 13은 실시예의 탄소 나노 튜브를 함유하는 나노 섬유의 모습을 보여주는 TEM(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13 is a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showing the appearance of nanofibers containing carbon nanotubes of the example.

도 13(a)는 비교예의 나노 섬유의 TEM 사진이고, 도 13(b)는 원료 용액에 탄소 나노 튜브의 농도가 0.5wt% 일 때의 실시예의 나노 섬유의 TEM 이미지이며, 도 13(c)는 원료 용액에 탄소 나노 튜브의 농도가 1.0wt% 일 때의 실시예의 나노 섬유의 TEM 사진이고, 도 13(d)는 원료 용액에 탄소 나노 튜브의 농도가 1.5wt% 일 때의 실시예의 나노 섬유의 TEM 이미지이다.13(a) is a TEM image of a nanofiber of a comparative example, and FIG. 13(b) is a TEM image of a nanofiber of an Example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nanotubes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0.5wt%, and FIG. 13(c) Is a TEM photograph of the nanofibers of the embodimen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carbon nanotubes is 1.0wt%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and FIG.13(d) is the nanofibers of the embodimen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carbon nanotubes is 1.5wt%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a TEM image of.

확인 결과, 비교예의 나노 섬유, 즉 전계 방사법을 실시하는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 섬유는 탄소 나노 튜브가 응집되어 버리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3(a)의 혹처럼 뭉쳐진 부분).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bon nanotubes were aggregated in the nanofibers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at is, the nanofibers prepared b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nanofibers performing an electric field spinning method (a part that was agglomerated like a hump in FIG. 13(a)).

반면, 실시예에의 나노 섬유는 탄소 나노 튜브가 분산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3(b) 내지 도 13(d)의 나노 섬유에 짙은 검은 색으로 표시되는 부분을 참조).On the other hand, in the nanofibers of the example,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bon nanotubes were dispersed (refer to the parts indicated in dark black on the nanofibers of FIGS. 13(b) to 13(d)).

다음으로, 인장 강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Next, the tensile strength was measured.

도 14은 실시예의 나노 섬유의 변형-응력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4 is a graph showing the strain-stress curve of the nanofibers of the example.

도 14의 그래프의 가로축은 변형(단위 : %)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응력(단위 : MPa)을 나타낸다. In the graph of FIG. 14,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strain (unit: %),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stress (unit: MPa).

도 14의 그래프에서 부호 e1 ~ e3는 각 실시예의 나노 섬유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고, 부호 r로 나타내는 것은 비교예의 나노 섬유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In the graph of FIG. 14, symbols e1 to e3 denote results for the nanofibers of each example, and reference numeral r denotes the results for the nanofibers of the comparative example.

부호 e1로 나타내는 것은 원료 용액에 탄소 나노 튜브의 농도가 0.5wt% 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부호 e2로 나타내는 것은 원료 용액에 탄소 나노 튜브의 농도가 1.0wt% 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부호 e3에서 나타내는 것은 원료 용액에 탄소 나노 튜브의 농도가 1.5wt% 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다.Symbol e1 indicates the result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nanotubes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0.5 wt%, and symbol e2 indicates the result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nanotubes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1.0 wt%, and the symbol e3 Shown in is the result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nanotubes is 1.5 wt%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인장 강도의 측정에서는 크게 속도는 150μm/sec로하였다. 측정은 각 샘플 당 5 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최종값으로 하였다. In the measurement of the tensile strength, the speed was largely set to 150 μm/sec.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5 times for each sample, and the average value was taken as the final value.

그 결과,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의 나노 섬유의 파단 강도는 11.0865MPa 이지만, 실시예의 나노 섬유는 탄소 나노 튜브의 함유율이 낮은 것부터 21.3485MPa, 21.7280MPa, 23.0083MPa 로 나타난 것처럼, 실시예의 나노 섬유는 비교예의 나노 섬유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은 강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4,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nanofibers of the comparative example is 11.0865 MPa, but the nanofibers of the examples are 21.3485 MPa, 21.7280 MPa, and 23.0083 MPa from the low content of the carbon nanotubes. It was confirmed that the fiber has a strength that is nearly twice as high as that of the nanofiber of the comparative example.

이것은 원료 용액을 연신하여 나노 섬유를 형성하기 위해 고분자 사슬이 배열하고 결정도가 높아진 것에 기인한 것이다. 또한, 탄소 나노 튜브의 함량이 높을수록 성장률이 낮고 파단 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is is due to the high crystallinity and the arrangement of polymer chains to form nanofibers by stretching the raw material solu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content of the carbon nanotubes, the lower the growth rate and the higher the breaking strength.

상기 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 및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조건에서 배향성을 가지고있는 상태에서 나노 섬유를 제조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 섬유 제조 장치 및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은 탄소 나노 튜브와 같은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나노 섬유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according to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nanofib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anofibers can be manufactured in a state having orientation under various condition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nanofib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uitable for manufacturing nanofibers containing a material such as carbon nanotubes.

1 : 나노 섬유 제조 장치 10 : 용액 배치 부재
12 : 용액 입구 20,20a,20b,20c : 이동 부재
30,30a : 연결 부재 40,40a : 동력 기구
50 : 가이드 부재 60 : 베이스부
F : 나노 섬유 S : 원료 용액
W : 와이어 걸이
1: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10: solution arrangement member
12: solution inlet 20,20a, 20b, 20c: moving member
30,30a: connection member 40,40a: power mechanism
50: guide member 60: base portion
F: Nanofiber S: Raw material solution
W: wire hanger

Claims (6)

나노 섬유의 원료인 원료 용액을 배치할 수 있는 용액 배치 부재와,
상기 용액 배치 부재에 상기 원료 용액을 배치할 때, 상기 원료 용액과 접촉 한 후에 상기 용액 배치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원료 용액을 연신하여 상기 나노 섬유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1차원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 용액과 접촉하게 되는 상기 이동 부재는 단부는 뾰족한 모양을 갖는 니들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니들 부재는 상기 원료 용액과 접촉하는 부분의 두께는 0.05mm 이상 5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섬유 제조 장치.
A solution arrangement member capable of disposing a raw material solution, which is a raw material for nanofibers,
When disposing the raw material solution on the solution disposing member, i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olution disposing member after contact with the raw material solution, so that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stretched to form the nanofibers at least one-dimensionally. It includes a moving member configured to be possible,
The moving membe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composed of a needle member having a pointed end,
The needle member is a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formed to be 0.05mm or more and 5mm or les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를 소정 속도로 반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섬유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wer mechanism for providing power to repeatedly move the moving member at a predetermined speed.
나노 섬유의 원료인 원료 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원료 용액과 적어도 1 차원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를 접촉시키는 접촉 공정과,
상기 이동 부재를 상기 원료 용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원료 용액을 연신시켜 상기 나노 섬유를 형성하는 나노 섬유 형성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공정과, 나노 섬유 형성 공정은 순차적으로 복수회 수행되고, 그 다음 상기 나노 섬유를 회수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단부는 뾰족한 모양을 갖는 니들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니들 부재는 상기 원료 용액과 접촉하는 부분의 두께는 0.05mm이상 5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A contact step of preparing a raw material solution, which is a raw material for nanofibers, and contacting the raw material solution with a moving member movable in at least one dimension,
And a nanofiber forming process of forming the nanofibers by stretching the raw material solution by moving the moving memb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aw material solution,
The contacting process and the nanofiber formation process are sequentially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and then the nanofibers are recovered,
The movable member is composed of a needle member having a pointed end, the needle membe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anofi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formed to be 0.05mm or more and 5mm or less.
삭제delete
KR1020190137102A 2019-10-31 2019-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 fiber KR1022347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102A KR102234787B1 (en) 2019-10-31 2019-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 fiber
CN201911259773.0A CN112746338A (en) 2019-10-31 2019-12-10 Nanofiber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102A KR102234787B1 (en) 2019-10-31 2019-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 fi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787B1 true KR102234787B1 (en) 2021-04-01

Family

ID=7544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102A KR102234787B1 (en) 2019-10-31 2019-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 fib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4787B1 (en)
CN (1) CN11274633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4174A (en) * 2010-03-31 2011-10-27 Shinshu Univ Method for producing nanofiber, apparatus for producing nano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yarn comprising nanofib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06914D0 (en) * 1986-03-20 1986-04-23 Mackley M R Polymer forming process
US5545371A (en) * 1994-12-15 1996-08-13 Ason Engineering, Inc. Process for producing non-woven webs
US8132611B2 (en) * 2007-06-01 2012-03-13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Metallic nanostructures self-assembly, and testing methods
JP5161133B2 (en) * 2009-02-16 2013-03-13 株式会社レスカ Ultrafine fiber gripping device, gripping method, and ultrafine fiber testing device
KR101883935B1 (en) * 2017-07-14 2018-07-3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US11174570B2 (en) * 2018-02-05 2021-11-16 Fermi Research Allianc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spinning using low power voltage conver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4174A (en) * 2010-03-31 2011-10-27 Shinshu Univ Method for producing nanofiber, apparatus for producing nano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yarn comprising nanofi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46338A (en)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 et al. Subtle regulation of the micro-and nanostructures of electrospun polystyrene fibers and their application in oil absorption
Theron et al. Electrostatic field-assisted alignment of electrospun nanofibres
Tomaszewski et al. Investigation of electrospinning with the use of a multi-jet electrospinning head
Mohammadzadehmoghadam et al. Electrospinning: Current status and future trends
Nazemi et al. Near-field electrospinning: crucial parameters, challenges, and applications
Samatham et al. Electric current as a control variable in the electrospinning process
Boubée de Gramont et al. Highly stretchable electrospun conducting polymer nanofibers
Gong et al. Flexible and wearable strain sensor based on electrospun carbon sponge/polydimethylsiloxane composite for human motion detection
Varnaitė-Žuravliova et al. Electrospinning of chitosan biopolymer and polyethylene oxide blends
WO2012007943A1 (en) Electrospun nanofibres doped with alkali salt,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KR1022347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 fiber
Lee et al. Continuous nanofibers manufactured by electrospinning technique
Ren PAN nanofibers and nanofiber reinforced composites
Zhang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electrospun nanofibers
JP7076734B2 (en) Nanofibe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nanofiber manufacturing method
Aljehani et al. Effect of electrospinning parameters on nanofiber diameter made of poly (vinyl alcohol) as determined by Atomic Force Microscopy
Das et al. Electrospinning: the state of art technique for the production of nanofibers and nanofibrous membranes for advanced engineering applications
Yang et al. Morphological comparison of aligned poly (vinyl alcohol) nanofibers fabricated by modified electrospinning and centrifugal jet spinning techniques
Ali et al. Needleless electrospinning using a flat wheel spinneret
Purabgola et al.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electrospun fibers
Yalcinkaya Experimental study on electrospun polyvinyl butyral nanofibers using a non-solvent system
Yeum et al. Fabrication of highly aligned poly (vinyl alcohol) nanofibers and its yarn by electrospinning
Chiţanu et al. Study of electrospun cellulose acetate fibers
Chen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llagen (shell)/thermoplastic polyurethane (core) composite nanofibers by coaxial electrospinning
A Hosseini Ravandi et al.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individual polyacrylonitrile nanofi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