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615B1 - 장애인용으로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 Google Patents

장애인용으로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615B1
KR102234615B1 KR1020207017857A KR20207017857A KR102234615B1 KR 102234615 B1 KR102234615 B1 KR 102234615B1 KR 1020207017857 A KR1020207017857 A KR 1020207017857A KR 20207017857 A KR20207017857 A KR 20207017857A KR 102234615 B1 KR102234615 B1 KR 10223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user
discharge
upper handle
pivo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322A (ko
Inventor
키이쓰 할러웨이
Original Assignee
어 셰퍼즈 프로텍션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 셰퍼즈 프로텍션 엘엘씨 filed Critical 어 셰퍼즈 프로텍션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80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Abstract

어떤 이유에서든 표준 휴대용 소화기를 다루기 위해 효율적으로 양손 및 팔을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용으로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가 개시된다. 소화기는 휴대용 소화기용 표준 주요 구성요소, 즉, 가스 실린더, 배출 잠금 밀봉 및 핀, 배출 밸브 및 작동 레버 및 배출 호스/노즐; 및 사용자가 손 및/또는 팔을 하나만 사용할 수 있을 때 개선된 소화기를 입고 사용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는 다수의 하드웨어 인핸스먼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드웨어 인핸스먼트는 대형 종방향 몸통 체결 영역을 갖는 상부 핸들 액추에이터 연장 부재, 피봇 가능한 스태빌라이저 암, 실린더 장착된 유지 스트랩/칼라, 넥-스트랩-앵커 및 넥 스트랩, 피봇 가능한 배출 호스/튜브 슬리브 및 의도치 않은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피봇 가능한 스탑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애인용으로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발명은 2017년 11월 24일자로 제출된 미국 특허 출원 제 62/590, 524 호 "장애인용으로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와 공동 발명자를 가지며 이 출원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또한, 본 특허 출원은 이로써 모든 목적으로 미국 특허 출원 제 62/590,524를 참조에 의해 통합시킨다. 본 특허 출원과 미국 특허 출원 제 62/590, 524의 공개 간의 임의의 타협 불가한 충돌이 존재할 경우, 본 특허 출원의 공개가 적용될 것이다.
4,300만 명 이상의 미국인이 어떤 종류의 신체장애를 가지고 있다. NFPA(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는 오랫동안 장애인에게 협조하기 위한 화재 안전 교육 자료 및 전략 개발에 참여해 왔다. 미국 연방 응급 관리 기관(FEMA)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매년 약 700명이 장애인과 관련된 주택 건물 화재가 보고되었다. 이 보고서 중 화재 피해를 입은 주거용 건물의 약 8%만이 전체 또는 최소한 부분적인 자동 화재 억제 시스템(주로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었다. “신체장애가 있는 개인과 관련된 주거용 건물 화재”, 주제별 화재 보고서 시리즈(Vol. 12, 2011년 6월, 6호)를 참조.
NFPA(National Fire-Protection Association) 표준 10은 휴대용 소화기가 제한된 크기의 화재에 대한 첫 번째 방어선을 제공하기 위해 의도한 대로 작동하도록 휴대용 소화기에 대한 요구 사항을 설정한다. 그러나 NFPA-10 표준은 ADA(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에 의해 규정된 요구 사항에 미치지 못한다. 예를 들어, NFPA 표준에 따라 핸들에서 측정한 휴대용 소화기의 설치 높이 제한은 18kg(40lb)보다 큰 소화기의 경우 1.5m(60인치)이다. 그러나 ADA를 준수하기 위해 설치 높이 제한은 1.2 인치(40인치)이다. 마찬가지로, 소화기 설치는 NFPA 표준에 따라 시력이 낮거나/맹인인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인접한 이동 경로로 4인치 이하로 돌출되도록 제한되어 있고, 이것에 대한 ADA 규칙은 휠체어를 탄 사람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도록 48인치를 규정하되, 또한, 다른 장애인을 돕는 것에도 관련된다.
다뤄지지 않은 채로 유지되고 있는 장애인을 위한 편의 시설 중 하나는 일반적인 휴대용 소화기가 사용자가 소화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두 손을 사용해야 한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NFPA에 따르면 화재 위험을 평가할 때 어린이, 노인 및 장애인을 포함한 취약한 그룹이나 개인을 식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불행히도 NFPA와 ADA가 정한 표준은 휠체어를 타거나 시각 장애인/맹인인 사람들의 요건만을 충족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조차도 휴대용 소화기를 효과적으로 작동시키는 것과 관련된 물리적 문제를 완전히 다루지 못한다.
일반적인 휴대용 소화기는 사용하기 위해 두 손과 적당한 강도의 힘이 있어야 안전핀을 당기고 짚-락 타이(zip-lock tie)를 끊고 한 손으로 노즐을 홀드하고 다른 손으로 조작 핸들을 꽉 쥘 것이 요구된다. 불행하게도, 팔 또는 손을 잃은 사람, 절단, 신경 손상, 탈구 및/또는 사용자의 팔 또는 손 중 하나의 사용을 방해하는 기타 부상/병을 앓은 일부 장애인은 표준 휴대용 소화기를 사용하여 화재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수 없을 것이다.
한 팔만을 사용하는 사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는 재설계된 휴대용 소화기 및/또는 기존의 표준 휴대용 소화기가 한 팔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보강 키트(retrofit kit)가 요구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개시는 어떤 이유로든 표준 휴대용 소화기를 다루기 위해 두 개의 팔과 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용으로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는 휴대용 소화기의 표준 주요 구성 요소; 즉, 가스 실린더, 배출 잠금 밀봉 및 핀, 배출 밸브 및 작동 레버, 배출 호스 및 노즐; 사용자가 한 손 및 한 팔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를 쉽게 입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가지 하드웨어 인핸스먼트(enhancement)가 추가되었다.
이들 하드웨어 구성 요소는 일 단부에서 전술한 작동 레버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몸통과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 비교적 큰 종방향 표면적을 갖는 세장형 상부 핸들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소화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작동 레버와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해 종방향으로 경사진 핸들 표면을 "껴안고" 그리고/또는 이로부터 몸을 땔 수 있다. 종방향으로 경사진 핸들이 길수록 사용자가 레버를 사용하여 소화기를 더 쉽게 작동할 수 있다. 변형 예에서, 상부 핸들의 유효 몸통 체결 표면적은 2개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에 의해 향상된다. 많은 실시 예에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는 실린더의 상부로부터 대략 6-8인치인 실린더에 볼트 연결/클램핑되는 유지 스트랩/칼라를 포함한다. 이 유지 스트랩/칼라는 상부 핸들의 내부 종방향 표면과 피봇 가능하게 체결될 때 사용자가 상부 핸들에 기대어 의도치 않은 소화기 작동을 방지하는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을 포함하는 다른 여러 구성 요소의 앵커 또는 유지 포인트로 사용된다. 변형 예에서, 유지 스트랩/칼라에 부착된 다른 구성 요소는 한 쌍의 사용자-넥-스트랩 부착 부재/링이며, 하나는 유지 스트랩/칼라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사용자-넥-스트랩에 안전하게 분리 가능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며, 팔이나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소화기를 잡을 수 있도록 넥 스트랩을 통해 머리를 삽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른 변형에서, 유지 스트랩/칼라는 또한 소화기의 배출 호스가 공급되는 배출 호스/튜브 슬리브에 결합된다. 배출 호스/튜브 슬리브는 유지 스트랩/칼라에 피봇 결합되어 사용자는 배출 튜브 또는 노즐을 유지하지 않고도 배출을 지시하도록 슬리브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의 변형에서, 하드웨어 개선은 보강 키트에 통합되어 임의의 기존 휴대용 소화기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간단한 요약은 본 특허 출원 전반에 걸쳐 기술된 본 발명의 개시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첨부된 임의의 청구 범위 및 도면을 포함하여 본 특허 출원의 균형에 걸쳐 포함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 1a은 장애인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의 우측 정면 등축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며, 적재된(확장되지 않은) 위치에서 상부 핸들의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 및 연장된 피봇 가능한 배출 호스 슬리브를 도시한다.
도 1b는 장애인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의 우측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며, 세장형 상부 핸들 상의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 및 피봇 가능한 배출 호스 슬리브가 연장된 것을 도시한다.
도 1c는 장애인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의 좌측 정면 등각 투영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며, 적재된(확장되지 않은) 위치의 상부 핸들의 몸통 체결 안정화 막대와 적재되되 확장되지 않은 위치의 회전 가능한 배출 호스 슬리브를 도시한다.
도 1d는 장애인이 사용하기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의 좌측 정면 등각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며, 세장형 상부 핸들상의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 및 연장된 피봇 가능한 배출 호스 슬리브가 도시된다.
도 1e는 장애인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의 후면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며, 세장형 상부 핸들상의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를 도시한다.
도 1f는 장애인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의 절개부의 좌측 정면 등각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며, 연장된 피봇 가능한 배출 호스 슬리브를 도시한다.
도 1g-1, 도 1g-2 및 도 1g-3는 일반적인 소화기를 보강하는 것과 관련된 주요 구성 요소를 집합적으로 도시하여 소화기가 장애인이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게 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g-1은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가 부착된 특수한 상부 핸들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g-2는 사용자-넥-스트랩 부착 부재/링,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핸들 잠금 장치 및 피봇 가능한 배출 호스 슬리브 에 부착하기 위한 힌지를 갖는 특수한 유지 스트랩/칼라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g-3은 피봇 가능한 배출 호스 슬리브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h-1, 도 1h-2, 도 1h-3 및 도 1h-4는 장애인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를 위한 유지 스트랩/칼라의 대안적인 실시 예를 집합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h-1은 피봇 가능한 배출 호스/튜브 슬리브 및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핸들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유지 스트랩/칼라의 상부 등각도를 도시하며, 각각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와 관련된, 관련 오목한 딤플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는 디텐트의 형태인 위치-잠금 특징부를 갖는다. 도 1h-2는 도 1h-1과 동일한 유지 스트랩/칼라의 밑면도를 도시한다. 도 1h-3은 피봇 가능한 배출 호스 슬리브의 힌지 및 위치 잠금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도 1h-4는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핸들 잠금의 힌지 및 위치 잠금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팔을 하나만 가진 사람이 입고 사용하는, 도 1a 내지 도 1h-4에 도시된 개선된 소화기의 일 실시예를도시한다.
I. 개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개시는 어떤 이유로든 표준 휴대용 소화기를 다루기 위해 두 개의 팔과 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에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는 휴대용 소화기의 표준 주요 구성 요소; 즉, 가스 실린더, 배출 잠금 밀봉 및 핀, 배출 밸브 및 작동 레버, 배출 호스 및 노즐; 사용자가 오직 한 손 및 팔을 사용할 때 사용자가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를 입고 사용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는 다수의 하드웨어 인핸스먼트로 구성된다.
이들 하드웨어 구성 요소는 일 단부에서 전술한 작동 레버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몸통과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 비교적 큰 종방향 표면적을 갖는 세장형 상부 핸들을 포함하여, 사용자는 소화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작동 레버 및 밸브를 움직이기 위해 종방향으로 경사진 핸들 표면을 껴안고 그리고/또는 이로부터 몸을 땔 수 있다. 종방향으로 경사진 핸들이 길수록 사용자가 레버를 사용하여 소화기를 더 쉽게 작동할 수 있다. 변형 예에서, 상부 핸들의 효과적인 몸통 체결 표면적은 2개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에 의해 향상된다. 많은 실시 예에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는 실린더의 상부로부터 대략 6-8인치인 실린더에 볼트 연결/클램핑되는 유지 스트랩/칼라를 포함한다. 이 유지 스트랩/칼라는 상부 핸들의 내부 종방향 표면과 피봇 가능하게 체결될 때 사용자가 상부 핸들에 기대어 의도치 않은 소화기 작동을 방지하는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을 포함하는 다른 여러 구성 요소의 앵커 또는 유지 포인트로 사용된다. 변형 예에서, 유지 스트랩/칼라에 부착된 다른 구성 요소는 한 쌍의 사용자-넥-스트랩 부착 부재/링이며, 하나는 유지 스트랩/칼라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사용자 넥 스트렙에 안전하게 분리 가능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며, 팔이나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소화기를 잡을 수 있도록 넥 스트랩을 통해 머리를 삽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른 변형에서, 유지 스트랩/칼라는 또한 소화기의 배출 호스가 공급되는 배출 호스/튜브 슬리브에 결합된다. 배출 호스/튜브 슬리브는 유지 스트랩/칼라에 피봇 결합되어 사용자는 배출 튜브 또는 노즐을 유지하지 않고도 배출을 지시하도록 슬리브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의 변형에서, 하드웨어 개선은 보강 키트에 통합되어 임의의 기존 휴대용 소화기에 설치될 수 있다.
Ⅱ. 용어
이 섹션에서 인용 부호(“”)로 표시된 용어와 문구는 문맥상 달리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는 한, 청구 범위를 포함하여 이 문서 전체에 적용되는 이 용어 섹션에서 해당 용어와 문구에 적용되는 의미를 갖도록 의도되었다. 또한, 적용 가능한 경우, 언급된 정의는 단어 또는 구의 경우에 관계없이 정의된 단어 또는 구의 단수 및 복수의 변형에 적용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도면 및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 "또는(or)"은 독점적인 의미를 갖기 보다는, 이 용어는 "둘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 예", "실시 예", " 바람직한 실시 예", "대안적인 실시 예", "변형", "일 변형" 및 실시 예와 관련되어 기재된 특정 특징부, 구조 또는 특성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예에 포함된다. 상세한 설명의 다양한 부분에서 "일 실시 예에서" 및/또는 "일 변형에서"와 같은 구 및 유사한 구가 기재되는 것은 항상 동일한 실시 예를 지칭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도면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용어 "결합" 또는 "결합된"은 식별된 소자, 구성 요소 또는 객체 사이의 간접적 또는 직접적 연결을 뜻한다. 종종, 결합 방식은 두 결합된 요소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과 구체적으로 관련이 있다.
본 명세서, 도면 및 임의의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용어 "제거 가능한",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즉시 제거 가능한", "즉시 탈착 가능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및 유사한 용어는, (즉, 비파괴적으로 그리고 복잡하거나 시간이 소모되는 공정 없이) 인접한 구조로부터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그리고 상기 인접 구조에 즉각적으로 다시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지칭한다.
좌, 우, 최하점(nadir), 정점(apex), 상, 하, 수직, 수평, 후면, 전면, 측면, 근위 및 원위와 같은 방향 및/또는 관계형 용어는 서로 관련이 있으며, 적용 가능한 요소 또는 물품의 특정 배향에 따르며, 다양한 실시 예의 설명을 돕기 위해 사용되며, 본 명세서, 도면 및 임의의 첨부된 청구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반드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적용 가능한 경우,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약", "대략" 또는 "일반적으로"는 +-20%의 오차범위(margin)을 의미한다. 또한, 적용 가능한 경우,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실질적으로"는 +-10%의 오차범위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의 모든 용도가 참조 가능한 범위가 적용될 수 있도록 정량화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Ⅲ. 장애인용으로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섹션 Ⅲ은 일반적으로 표준 휴대용 소화기를 다루기 위해 어떤 이유로 두 팔과 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용으로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h-4 및 도 2가 참조된다.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1)는 휴대용 소화기의 표준 주요 구성 요소; 즉, 가스/난연제 함유 실린더(30), 배출 잠금 밀봉 및 핀, 배출 밸브 및 작동 레버(50), 배출 호스 및 노즐(35); 사용자가 한 손과 팔만 사용할 수 있을 때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1)를 더 쉽게 입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가지 하드웨어 인핸스먼트(hardware enhancement)가 추가되었다.
이들 하드웨어 구성 요소는 일 단부에서 전술한 작동 레버(50)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몸통과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 비교적 큰 종방향 표면적을 갖는 세장형 상부 핸들(10)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소화기(1)를 배출하기 위해 작동 레버와 밸브(50)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용가능한 레버(leverage)를 증대시켜서 (또는, 일부 경우에, 더 큰 핸들(10)은 기존 상부 핸들(50)을 대신하여 고정(예를 들어, 볼트 연결)됨) 소화기(1)에 부착된 종방향으로 경사진 핸들 표면(10)을 "껴안고" 그리고/또는 이로부터 몸을 땔 수 있다. 종방향으로 경사진 핸들(10)이 길수록 사용자가 레버를 사용하여 소화기(1)를 더 쉽게 작동할 수 있다. 변형 예에서, 상부 핸들(10)의 유효 몸통 체결 표면적은 2개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에 의해 향상된다. 많은 실시 예에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는 상부 핸들(10)의 수직 표면을 따라 그 적재된 위치로부터 약 90°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는 표적 화재를 향해 소화기를 배출시키도록 소화기(1)를 사용자가 "끌어안고" 그리고/또는 이것으로부터 몸을 땔 때 소화기(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많은 실시 예에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1)는 실린더(30)의 상부로부터 대략 6 내지 8인치인 실린더(30)에 볼트 연결/클램핑되거나 또는 고정식으로 부착되는 유지 스트랩/칼라(25)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지 스트랩/칼라(25)는 상부 핸들(10)의 내부 수직 표면과 피봇 가능하게 체결될 때, 상부 핸들(10)을 향해 힘을 가하는 사용자에 의한 의도치 않은 소화기(1)의 작동을 방지하는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핸들 잠금이라고도 함)(20)을 포함하는 몇몇 다른 구성 요소의 앵커 또는 유지 지점으로서 사용된다.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핸들 잠금 장치(20)는 다수의 장애인이 소화기를 활성화하기 위해 제거/파손하기 힘든, 통상적인 소화기를 잠그도록 사용되는 통상적인 안전 핀 및/또는 집-락 타이(zip-lock tie)를 대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화기(1)의 사용자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부 핸들(10)로부터 분리되도록 회전 가능한 작동 스탑/핸들 잠금 장치(20)를 아래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회전 가능한 작동 스탑/핸들 잠금 장치(20)는 도 1h-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조립체(70) 내의 디텐트(detent)(80) 및 딤플(dimple) 또는 구멍(75)을 짝지음으로써 고정된 위치로 잠궈질 수 있다.
변형 예에서, 유지 스트랩/칼라에 부착된 다른 구성 요소는 한 쌍의 사용자-목-스트랩 부착 부재/링(40)이며, 하나는 사용자-넥-스트랩(45)에 대한 안전한 탈착 가능한 결합을 허용하는 유지 스트랩/칼라(25)의 각 측 상에 배치되고, 이는, 사용자는 넥 스트랩(45)을 통해 사용자의 손을 삽입할 수 있어서, 손 또는 팔의 사용 없이 소화기(1)를 홀드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에서, 유지 스트랩/칼라(25)는 또한 소화기(1)의 배출 호스(35)가 공급되는 배출 호스/튜브 슬리브(5)에 결합된다. 배출 호스/튜브 홀더 슬리브(5)는 힌지(55)를 통해 보유 스트랩/칼라(25)에 피봇 가능하고 견고하게 결합되어,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으로 배출 튜브 또는 노즐(35)을 실제로 홀드할 필요 없이 배출을 지시하도록 홀더 슬리브(5)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슬리브(5)는 정 위치에 유지될 것이다. 다른 변형에서, 배출 호스/튜브 홀더 슬리브(5)는 일반적으로 업계에 알려진 다른 잠금 수단도 사용될 수 있지만 나사식 패스너(미도시)를 통해 힌지(55)에서 사용자 지정 고정 위치로 "잠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예에서, 배출 호스/튜브 홀더 슬리브(5)는 도 1h-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조립체(55)의 딤플 또는 구멍(65)과 디텐트(65)를 짝지어서 고정된 위치에(예를 들어, 45도 또는 90도로) 잠금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의 변형에서, 상술된 하드웨어 개선은 임의의 기존 휴대용 소화기 상에 설치되도록 보강 키트(도 1g-1 내지 도 1g-3 참조)에 통합될 수 있다.
도 2는 팔을 하나만 가진 사람이 입고 사용하는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Ⅳ. 장애인용으로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이러한 섹션 은 일반적으로 표준 휴대용 소화기를 다루기 위해 어떤 이유로 두 팔과 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용으로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h-4 및 도 2가 참조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1)는 난연제 및/또는 가스를 함유하는 실린더(30); 작동 레버(50)를 갖는 배출 밸브;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35); 및 상기 배출 밸브 작동 레버(50)에 결합되는 종방향으로 경사진 표면을 갖는 세장형 상부 핸들(10)을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은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상체와 접촉시키게끔 되어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소화기(1)가 작동된다.
변형에서,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은 상기 작동 레버(50) 대신 상기 방출 밸브(50)에 직접적으로 고정된다.
다른 변형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는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는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에 대략 직각으로 회전되어서 유효 표면적을 증가시키므로,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작동 레버 및 배출 밸브(5)를 움직여서 상기 소화기를 배출시키도록 종방향으로 경사진 핸들(10) 표면을 "껴안고" 그리고/또는 이것으로부터 몸을 땔 때 사용자의 상체와 접촉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는 실제로 2개의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이고,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의 각 측에 노출된다.
실시 예에 대한 추가의 개선에서, 개선된 소화기(1)는 상기 실린더(30)의 상반부에 상기 실린더(30)에 고정 부착된 유지 칼라(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 칼라(25)는 또한 상기 소화기(1)를 홀드하기 위한 사용자가 입는 스트랩(45)의 탈착 가능한 결합을 위한 적어도 2개의 사용자 목 스트랩 부착 부재(40)로 구성된다. 변형에서, 상기 유지 칼라(25)는 회전 가능한 작동 스탑(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가능한 작동 스탑(20)은 상기 유지 칼라(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핸들(10)에 적절히 배치되며;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20)은 상기 소화기(1)의 의도치 않은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을 향하여 포지셔닝된다. 일부 변형에서,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핸들 잠금 장치(20)는 도 1h-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조립체(70)에서 딤플 또는 구멍(75) 및 디텐트(80)를 짝지어서 고정된 위치 내로 "잠금"될 수 있다. 더 많은 변형 예에서, 배출 호스 슬리브(5) 및 힌지(55)는 상기 배출 호스 슬리브(5)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유지 칼라(25)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35)는 상기 배출 호스 슬리브(5)를 통해 공급되며, 상기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35)는 작동될 때 사용자가 상기 소화기(1)의 배출을 조준하도록 상기 소화기(1)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에서, 상기 배출 호스 슬리브(5) 위치는 사용자-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예에서, 배출 호스 슬리브(5)는 도 1h-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조립체(55)의 딤플 또는 구멍(65)과 디텐트(65)를 짝지어서 고정된 위치에(예를 들어, 45도 또는 90도로) "잠금"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변형들에서, 사용자-넥-스트랩(45)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사용자-넥-스트랩 부착 부재(40)를 통해 상기 소화기(1)에 부착된다.
V. 장애인용으로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를 사용하는 방법
이러한 섹션 V는 일반적으로 어떤 이유든 표준 휴대용 소화기를 다루기 위해 두 팔과 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에게 적합한 상기 섹션 Ⅲ 또는 섹션 Ⅳ에 따라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h-4 및 도 2를 참조.
일 실시에에서, 방법은:
Figure 112020063369744-pct0000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섹션 Ⅲ 또는 섹션 Ⅳ에 기재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1)를 획득하는 단계;
Figure 112020063369744-pct00002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넥-스트랩(45)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를 넣는 단계;
Figure 112020063369744-pct00003
사용자에 의해, 상기 소화기(1)를 배출하도록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에 힘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변형에서, 상기 방법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은 상기 작동 레버(50)를 대신하여 상기 배출 밸브(50)에 직접적으로 고정된다.
다른 변형에서, 상기 방법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1)는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5)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는 유효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에 대략 수직이 되게 회전되어서, 상기 작동 레버 및 배출 밸브(50)를 움직여서(exercise) 상기 소화기(1)를 배출하도록 사용자가 상기 종방향으로 경사진 핸들(10) 표면을 끌어안고 그리고/또는 이로부터 몸을 땔 때,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이 사용자의 상체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Figure 112020063369744-pct00004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의 몸통과 접촉하는 표면적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에 대략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를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련 변형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는 2개의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이며,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의 각 측 상에 노출되어 있다.
추가 변형 예에서, 상기 유지 칼라(25)는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20)은 상기 유지 칼라(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에 적절하게 배치되고;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20)은 상기 소화기(1)의 의도치 않은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을 향하도록 포지셔닝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의 몸통-가압을 더는 방지하지 않도록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을 위 또는 아래로 회전시켜서 상기 소화기의 배출 능력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변형에서,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핸들 잠금 장치(20)는 도 1h-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조립체(70)에서 딤플 또는 구멍(75) 및 디텐트(80)를 짝지어서 고정된 위치내로 "잠금"될 수 있다.
추가 변형 예에서, 상기 방법은 추가로 향상될 수 있고, 상기 유지 칼라(25)는 상기 유지 칼라(55) 상에 배치된 힌지(55) 및 배출 호스 슬리브(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35)는 상기 배출 호스 슬리브(5)를 통해 공급되며, 상기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35)는 작동될 때 사용자가 상기 소화기(1)의 배출을 조준하는 것을 돕도록 상기 소화기(1)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
Figure 112020063369744-pct00005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특정된 위치로 상기 배출-호스 슬리브를 위 또는 아래로 회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변형에서, 상기 방법이 추가로 향상될 수 있고, 상기 배출 호스 슬리브(5) 위치가 사용자-특정 위치에 잠금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출 호스 슬리브를 사용자-특정 위치에 잠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 변형에서, 배출 호스 슬리브(5)는 도 1h-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조립체(55)의 딤플 또는 구멍(65)과 디텐트(65)를 짝지어서 고정된 위치에(예를 들어, 45도 또는 90도로) "잠금"될 수 있다.
Ⅵ. 장애인에게 더 유용하도록 휴대용 소화기를 보강하기 위한 키트
이러한 섹션 난연제 및/또는 가스를 함유하는 실린더, 작동 레버를 갖는 배출 밸브 및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를 갖는 기존 휴대용 소화기를 보강하여, 적어도 하나의 팔/손을 갖는 장애인이 보강된 소화기를 더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h-4 및 도 2를, 도 1g-1 내지 도 1g-3를 중심으로 참조.
일 실시예에서, 소화기 보강 키트는 소화기의 배출 밸브 작동 레버(50)에 결합될 수 있는 종방향으로 경사진 표면을 갖는 세장형 상부 핸들(10)을 포함하고, 세장형 상부 핸들(10)은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상체와 접촉시키게끔 되어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 소화기(1)가 작동된다.
변형에서,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은 상기 작동 레버(50)를 대신하여 상기 방출 밸브(50)에 직접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추가 변형에서,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은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는 유효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에 대략 수직이 되게 회전되어서, 상기 작동 레버(50) 및 배출 밸브(50)를 움직여서 상기 소화기(1)를 배출하도록 사용자가 상기 종방향으로 경사진 핸들(10) 표면을 끌어안고 그리고/또는 이로부터 몸을 땔 때,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이 사용자의 상체에 접촉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는 2개의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15)이고,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의 각 측에 노출된다.
다른 변형에서, 키트는 상기 실린더(30)의 상반부에서 상기 실린더(30)에 고정 부착될 수 있는 유지 칼라(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 칼라(25)는 또한 상기 소화기(1)를 홀드하기 위한 사용자가 입는 스트랩(45)의 탈착가능한 결합을 위해 적어도 2개의 사용자 목 스트랩 부착 부재(40)로 구성된다.
특정 변형에서, 키트의 유지 칼라(25)는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20)은 상기 유지 칼라(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지 칼라(25)가 상기 실린더(30)에 설치될 때,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20)은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에 적절히 배치되고;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20)은 상기 소화기(1)의 의도치 않은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10)을 향하도록 포지셔닝될 수 있다.
추가 변형에서, 키트는 상기 유지 칼라(25)에 결합될 수 있는 배출 호스 슬리브(5) 및 힌지(55)를 더 포함하며, 소화기의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35)는 상기 배출 호스 슬리브(5)를 통해 공급될 수 있고, 상기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35)는 작동될 때 상기 소화기(1)의 배출을 조준하는 것을 돕기 위해 부착된 소화기(1)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다. 변형 예에서, 상기 배출 호스 슬리브(5) 위치는 사용자-특정 위치에 잠금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배출 호스 슬리브(5)는 상기 배출 호스 슬리브(5)에 배치되며 힌지 브라켓(55)의 미리 포지셔닝된 딤플(50) 또는 구멍에 일치하도록 포지셔닝되고 크기가 정해진 디텐트(65)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예를 들어, 45도 또는 90도 각도로) "잠금"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른 변형에서, 키트는 상기 유지 칼라(25) 상에 배치되는 상기 사용자-넥-스트랩 부착 부재(40)에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넥-스트랩(45)을 더 포함한다.
Ⅶ. 대안적인 실시 예 및 다른 변형
첨부된 청구 범위의 설명 및/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 예 및 변형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이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수의 변형이 고려되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무수한 명백한 변형 및 개선을 고안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며, 이들 모두는 본 명세서의 설명, 도면 및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8)

  1.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로서,
    난연제 및/또는 가스를 함유하는 실린더로서, 상부 및 하부와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사이에 배치된 종방향 표면을 갖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기 상부에 배치된 배출 밸브;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 및
    상기 배출 밸브에 부착된 배출-밸브 작동 레버에 결합되거나 상기 배출 밸브에 직접 결합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경사진 표면을 갖는 세장형(elongated) 상부 핸들로서, 상기 수직으로 경사진 표면은 상기 실린더의 상기 종방향 표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상체와 접촉시키게끔 되어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을 끌어안을 때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은 상기 실린더에 대해 피봇하여 상기 소화기의 상기 배출 밸브가 열리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로부터 몸을 뺄 때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이 상기 실린더에 대해 피봇하여 상기 배출 밸브가 닫히도록 하는 세장형 상부 핸들; 및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torso-engagement stabilizer bar)를 포함하며,
    상기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는 유효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에 대략 수직이 되게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작동 레버 및 배출 밸브를 움직여서(exercise) 상기 소화기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수직으로 경사진 표면을 끌어안고 그리고/또는 상기 수직으로 경사진 표면으로부터 몸을 땔 때,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이 사용자의 상체에 접촉할 수 있는,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는 2개의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이며,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가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의 각 측 상에 노출되어 있는,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상반부에서 실린더에 고정되어 부착되는 유지 칼라(retaining colla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 칼라는 또한 상기 소화기를 홀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는 스트랩(user-donned strap)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사용자-넥-스트랩-부착 부재로 구성되는,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지 칼라는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은 상기 유지 칼라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의 일 위치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은 상기 소화기의 의도치 않은 작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을 향하도록 포지셔닝될 수 있는,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배출-호스 슬리브 및 상기 배출-호스 슬리브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유지 칼라 상에 배치되는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는 상기 배출-호스 슬리브를 통해 공급되며,
    상기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는 작동될 때 사용자가 상기 소화기의 배출을 조준하는 것을 돕도록 상기 소화기의 길이방향(longitudinal) 축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는,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스 슬리브 위치는 사용자-특정 위치로 잠금될 수 있는,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스 슬리브 회전 위치의 잠금은 상기 배출-호스 슬리브에 배치되며 상기 힌지의 힌지 브라켓의 미리 포지셔닝된 딤플(dimple) 또는 구멍과 일치하도록 포지셔닝되고 크기가 정해지는 디텐트(detent)에 의해 성취되는,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사용자-넥-스트랩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한 팔 또는 한 손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소화기를 붙잡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상기 넥 스트랩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를 넣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11. 청구항 10에 기재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청구항 10에 기재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넥-스트랩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를 넣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몸통과 접촉하는 표면적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를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에 대략 수직이 되게 회전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을 끌어안을 때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이 상기 실린더에 대해 피봇하여 상기 소화기의 상기 배출 밸브가 열리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로부터 몸을 뺄 때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이 상기 실린더에 대해 피봇하여 상기 배출 밸브가 닫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상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몸통-체결 스태빌라이저 바는 2개의 몸통-체결 스태빌라이저 바이며, 몸통-체결 스태빌라이저 바가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의 각 측 상에 노출되어 있는, 사용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지 칼라는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은 상기 유지 칼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의 일 위치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은 상기 소화기의 의도하지 않은 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을 향하도록 포지셔닝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의 몸통-가압을 더는 방지하지 않도록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을 위 또는 아래로 회전시켜서 상기 소화기의 배출 능력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지 칼라는 배출-호스 슬리브 및 상기 유지 칼라 상에 배치된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는 상기 배출-호스 슬리브를 통해 공급되고,
    상기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는 작동될 때 사용자가 상기 소화기의 배출을 조준하는 것을 돕도록 상기 소화기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특정된 위치로 상기 배출-호스 슬리브를 위 또는 아래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스 슬리브 위치는 사용자-특정 위치 내로 잠금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특정 위치로 상기 배출-호스 슬리브를 잠그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스 슬리브 회전 위치의 잠금은 상기 배출-호스 슬리브에 배치되며 상기 힌지의 힌지 브라켓의 미리 포지셔닝된 딤플 또는 구멍과 일치하도록 포지셔닝되고 크기가 정해지는 디텐트에 의해 성취되는, 사용 방법.
  19. 장애인에게 더 유용하도록 휴대용 소화기를 보강하기 위한 키트로서,
    상기 소화기는, 상부 및 하부와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사이에 배치된 종방향 표면을 가지며 난연제 및/또는 가스를 함유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기 상부에 배치된 배출 밸브; 및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를 갖고; 상기 키트는:
    상기 배출 밸브에 부착된 배출-밸브 작동 레버에 결합되거나 상기 배출 밸브에 직접 결합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경사진 표면을 갖는 세장형 상부 핸들로서, 상기 수직으로 경사진 표면은 상기 실린더의 상기 종방향 표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은, 상기 소화기 상에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상체와 접촉시키게끔 되어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을 끌어안을 때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은 상기 실린더에 대해 피봇하여 상기 소화기의 상기 배출 밸브가 열리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로부터 몸을 뺄 때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이 상기 실린더에 대해 피봇하여 상기 배출 밸브가 닫히도록 하는 세장형 상부 핸들; 및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를 포함하며,
    상기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는 유효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에 대략 수직이 되게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작동 레버 및 배출 밸브를 움직여서 상기 소화기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수직으로 경사진 표면을 끌어안고 그리고/또는 상기 수직으로 경사진 표면으로부터 몸을 땔 때,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이 사용자의 상체에 접촉할 수 있는, 키트.
  20. 삭제
  21. 삭제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는 2개의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이며, 몸통 체결 스태빌라이저 바가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의 각 측 상에 노출되어 있는, 키트.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상반부에서 실린더에 고정 부착될 수 있는 유지 칼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 칼라는 또한 상기 소화기를 홀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는 스트랩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사용자-넥-스트랩-부착 부재로 구성되는, 키트.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유지 칼라는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은 상기 유지 칼라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지 칼라가 상기 실린더 상에 설치될 때,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은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의 일 지점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피봇 가능한 작동 스탑은 상기 소화기의 의도치 않은 작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세장형 상부 핸들을 향하도록 포지셔닝될 수 있는, 키트.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배출 호스 슬리브 및 유지 칼라에 결합될 수 있는 힌지를 더 포함하고,
    소화기의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는 상기 배출 호스 슬리브를 통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 호스 및 노즐 조립체는 작동될 때 사용자가 상기 소화기의 배출을 조준하는 것을 돕도록 부착된 소화기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는, 키트.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스 슬리브 위치는 사용자-특정 위치로 잠금될 수 있는, 키트.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스 슬리브 회전 위치의 잠금은 상기 배출-호스 슬리브에 배치되며 상기 힌지의 힌지 브라켓의 미리 포지셔닝된 딤플 또는 구멍과 일치하도록 포지셔닝되고 크기가 정해지는 디텐트에 의해 성취되는, 키트.
  28.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유지 칼라 상에 배치된 사용자-넥-스트랩-부착 부재에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넥-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키트.
KR1020207017857A 2017-11-24 2018-09-04 장애인용으로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KR102234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90524P 2017-11-24 2017-11-24
US62/590,524 2017-11-24
PCT/US2018/049376 WO2019103779A1 (en) 2017-11-24 2018-09-04 Improved portable fire extinguisher adapted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322A KR20200080322A (ko) 2020-07-06
KR102234615B1 true KR102234615B1 (ko) 2021-04-01

Family

ID=6663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857A KR102234615B1 (ko) 2017-11-24 2018-09-04 장애인용으로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702727B2 (ko)
EP (1) EP3713648A4 (ko)
KR (1) KR102234615B1 (ko)
PH (1) PH12020550605A1 (ko)
WO (1) WO2019103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628B1 (ko) * 2020-12-04 2021-09-07 주식회사 일신이앤드씨 화재 진압용 소화기
CN115569329B (zh) * 2022-09-11 2023-07-07 浙江华神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灭火器的喷头机构
USD1020110S1 (en) * 2023-10-11 2024-03-26 Ningxiang He Fire extinguish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5832A1 (en) * 2004-06-09 2008-10-09 Matthew Stephen Willman Fire Extinguisher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6074A (en) * 1946-11-07 1950-05-02 Cardox Corp Valve and handle mechanism for portable fir extinguishers
US6279664B1 (en) * 2000-04-03 2001-08-28 Vladislav Yanovsky Signaling fire extinguisher system
US6340103B1 (en) * 2000-07-18 2002-01-22 Advanced Packaging Corp. Dispensing mechanism for pressurized container
US6981555B2 (en) * 2002-02-11 2006-01-03 Smith Bradley W Modular fire detection and extinguishing system
US20040188473A1 (en) * 2003-03-25 2004-09-30 Groh David M. Hand-held product dispensers having pressurized delivery
WO2011121889A1 (ja) * 2010-03-30 2011-10-06 Yoshida Hideo 消火ガス噴射器
WO2012050566A1 (en) 2010-10-12 2012-04-19 Utc Fire & Security Corporation Fire extinguisher harness
JP2015024919A (ja) 2013-07-25 2015-02-05 和穂 山口 消火器肩掛運搬ベルト
US9604082B2 (en) * 2014-12-18 2017-03-28 Mpact Mpower, Llc. Fore-grip handled fire-extinguisher
US10105561B2 (en) * 2015-06-30 2018-10-23 Kronebusch Industries, Llc Nozzle cap for fire extinguisher
US9841659B2 (en) 2016-03-17 2017-12-12 Kevin Tipson Wearable stabilizing assembly for an optical device
US20180200549A1 (en) * 2017-01-19 2018-07-19 Michael Fishman Aerosol Fire Extinguisher with Trigger Spray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5832A1 (en) * 2004-06-09 2008-10-09 Matthew Stephen Willman Fire Extinguisher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69984A1 (en) 2020-03-05
EP3713648A4 (en) 2021-09-01
US11383113B2 (en) 2022-07-12
WO2019103779A1 (en) 2019-05-31
KR20200080322A (ko) 2020-07-06
EP3713648A1 (en) 2020-09-30
PH12020550605A1 (en) 2021-03-01
US10702727B2 (en) 2020-07-07
US20200282245A1 (en)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615B1 (ko) 장애인용으로 적합한 개선된 휴대용 소화기
US7726713B2 (en) Multi-use tool for firefighters
KR200484218Y1 (ko) 소방용 손도끼
US9662518B1 (en) Remotely operable personal fall arrestment device and apparatus
US11375760B2 (en) Safety garment system
US20110089356A1 (en) Locking Y-Valve
US20110023873A1 (en) Protective hood
US11192229B1 (en) Multi-tool holding apparatus
KR20130041450A (ko) 소방용 방수압조절 연결관창
US2919071A (en) Hose and nozzle attachment
US7334775B2 (en) Device for opening, by means of force, doors, windows and other types of openings, with a remote control
KR102134913B1 (ko) 소방용 방수총 안전 차단장치
US20190350278A1 (en) Safety garment system
KR200480960Y1 (ko) 소방호스 소방수 분사 테스트용 받침대
GB2255015A (en) Fire extinguisher valve and siphon assembly
CN216295078U (zh) 一种消防救援车
DE102015118638B4 (de) Vorrichtung zum sicheren und geordneten Nachführen der Schlauchreserve bei der Brandbekämpfung und Verwendung einer zur Vorrichtung gehörenden Tasche
JP3001620U (ja) 墜落防止用カラビナ
CA3099576C (en) Safety garment system
US115785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window safety
CN214105604U (zh) 一种消防用云梯
KR101908883B1 (ko)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US7251841B2 (en) Integrated facemask firefighting hood packing system
CN210879771U (zh) 一种建筑消防用消防斧
KR101993042B1 (ko) 비상탈출용 손도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