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481B1 -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481B1
KR102234481B1 KR1020190020058A KR20190020058A KR102234481B1 KR 102234481 B1 KR102234481 B1 KR 102234481B1 KR 1020190020058 A KR1020190020058 A KR 1020190020058A KR 20190020058 A KR20190020058 A KR 20190020058A KR 102234481 B1 KR102234481 B1 KR 102234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unit
separating
fish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1763A (en
Inventor
송호경
Original Assignee
송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호경 filed Critical 송호경
Priority to KR102019002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481B1/en
Publication of KR20200101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7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4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086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vibrating, e.g. ultrasonical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장치는 그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포함하는 분리부와, 간격을 따라 위치한 칼날와, 분리부를 고정하는 본체를 포함한다.A device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is disclosed. The device includes a separating portion including a gap through which the net may pass, a blade positioned along the gap, and a main body fixing the separating portion.

Description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Device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본 발명은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물코에 걸린 물고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a fish caught in a net.

멸치 등과 같이 그물코에 걸린 물고기는 그물을 배로 끌어당기면서 바로 털어내는 방법과 그물을 배에 싣고 항구로 돌아와 항구에서 털어내는 방법이 있다. 어느 방법이든 그물을 털기 위해서는 여러 명이 일정한 간격으로 그물을 잡고 위아래로 흔들어 털어내야 한다. 여러 명이 그물을 일일이 털어야 하므로 시간도 많이 들뿐만 아니라 육체적으로 매우 힘든 작업이다.Fish caught in the net, such as anchovies, can be shaken immediately while pulling the net into the boat, or the method is to load the net on the boat and return to the port to shake off the fish from the port. Either way, in order to shake the net, several people must grab the net at regular intervals and shake it up and down. It takes a lot of time and is very difficult physically because several people have to rob the nets one by one.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3877호 "선상용 멸치그물 털이 장치"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13877 "Anchovy net hair device for ships"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멸치 등과 같이 그물코에 걸린 물고기를 그물에서 용이하게 분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easily separating fish caught in a mesh such as anchovies from a net.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의 일 예는, 그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포함하는 분리부; 상기 간격을 따라 위치한 칼날부; 상기 분리부를 고정하는 본체;를 포함한다.An example of a device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separation unit including a gap through which the net can pass; A blade portion located along the gap; It includes; a main body fixing the separating par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멸치 등과 같이 그물코에 걸린 물고기를 양망과 동시에 분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칼날의 진동이나 움직임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그물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그물에 장력을 가해 팽팽하게 하여 칼날에 의한 그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sh caught in the mesh such as anchovies can be separated at the same time as the sheep net. In another embodiment, the fish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net by using the vibration or movement of the blade, and the net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blade by applying tension to the net to tighten 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물로부터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물로부터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부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부의 상단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칼날부의 연결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부와 본체를 탄성소재를 이용하여 연결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칼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펼침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력부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하부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고기 수거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고기 수거분의 측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찌꺼기 수거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출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펼침부의 길이 조절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verall shape of a device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section viewed from the side of an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n upper end of a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connecting portion of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a vib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vib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ing part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by using an elastic material;
9 and 10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first and second spreading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ten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ower structure of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sh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ide view of a fish collec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ste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charge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prea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물로부터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물로부터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verall shape of an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an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 sec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그물(200)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이하, '장치'라고 함)(100)는 그물코에 걸린 물고기를 절단하는 분리부(120), 그물에 일정 장력을 가하는 장력부(130), 그물을 펼쳐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펼침부(140,150,160,170) 및 본체(110)를 포함한다. 도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한꺼번에 도시하여 표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어느 일부의 구성을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을 부가할 수 있다.1 and 2, the device for separating fish from the net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device') 100 includes a separating unit 120 for cutting fish caught in the net, and a certain tension on the net. It includes a tension part 130 to be applied, at least one spreading part 140, 150, 160, 170 for spreading the net, and the main body 110. In FIG. 1,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various configurations that may be included in a device are shown and displayed at once, but some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or other configurations may be added according to embodiments.

예를 들어, 장치(100)는 제1 실시 예로 본체(110)와 분리부(120)만으로 구성되거나, 제2 실시 예로 본체(110), 분리부(120) 및 장력부(130)로 구성되거나 제3 실시 예로 본체(110), 분리부(1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펼침부(140,150,160,170)로 구성되거나, 제4 실시 예로 본체(110), 분리부(1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펼침부(140,150,160,170)로 구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한꺼번에 도시된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한다.For example, the device 100 is composed of only the main body 110 and the separating unit 120 as a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is composed of the main body 110, the separating unit 120 and the tensioning unit 130, As a third embodiment, the body 110, the separating part 120 and at least one spreading part 140, 150, 160, 170 are configured, or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body 110, the separation part 120 and at least one spreading part 140,150,160,170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can be composed of.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configurations shown in FIGS. 1 and 2 at once.

분리부(120)는 그물이 통과할 수 있는 좁은 간격(300)을 포함한다. 그 간격(300)은 수~수십mm로서 사용하는 그물의 두께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분리부(120)는 좁은 간격(300)을 통과하는 그물(200)에 매달린 물고기를 절단할 수 있는 칼날(340)을 포함한다. 분리부(120)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도 3 내지 도 10에서 다시 설명한다.The separating part 120 includes a narrow gap 300 through which the net can pass. The spacing 300 may be several to several tens of mm,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net used. The separating part 120 includes a knife blade 340 capable of cutting the fish hanging from the net 200 passing through the narrow gap 300.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separating unit 120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0.

장력부(130)는 분리부(120)를 통과하는 그물이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분리부(12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그물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눌러 그물에 장력을 발생한다. 장력부(130)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도 14에서 다시 설명한다.Tension unit 130 generates tension in the net by pressing the net upward or downwar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parating unit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net passing through the separating unit 120 can be kept taut.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tension unit 130 will be described again in FIG. 14.

제1 펼침부(140), 제2 펼침부(150), 제3 펼침부(160) 및 제4 펼침부(170)는 그물을 펼쳐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로, 제1 내지 제3 펼침부(140,150,160)는 그물이 잘 펼쳐질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크기가 증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내지 제3 펼침부(140,150,160)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는 4개의 펼침부(140,150,160,170)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장치(100)는 하나의 펼침부만을 포함하거나 펼침부를 생략하고 구현할 수 있다.The first spreading part 140, the second spreading part 150, the third spreading part 160, and the fourth spreading part 170 serve to spread the net. As an example, the first to third spreading parts 140, 150, and 160 may be implemented to increase in size sequentially so that the net can be well spread.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to third spreading portions 140, 150, and 160 may all have the same size. In this embodiment, four spreading parts 140, 150, 160, and 170 are shown,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evice 100 may include only one spreading part or may be implemented by omitting the spreading part.

제1 및 제2 펼침부(140,150)는 본체(110)에 고정되지 않고 제3 펼침부(160)와 거리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 예로, 제1 및 제2 펼침부(140,150) 모두 본체(110)에 고정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펼침부(140,150)의 일 예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펼침부(140,150)의 길이 조절의 구성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spreading parts 140 and 150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spreading part 160 so that the distance can be adjusted without being fixed to the main body 110. Of course, in another embodiment, both the first and second spreading portions 140 and 150 may be implemented to be fixed to the main body 110. An example of the first and second spreading parts 140 and 150 is shown in FIGS. 11 and 12, and the configuration of length adjust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preading parts 140 and 150 is shown in FIG. 19.

그물(200)의 가장자리에 침자 등의 추가 존재하거나 부자줄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그물이 장치(100)에 걸리지 않고 잘 빠져나갈 수 있도록 'U'자 형태의 이송틀(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틀(180)은 제3 펼침부(160), 분리부(120) 및 제4 펼침부(170)에 끼워 넣어 사용할 수 있다.At the edge of the net 200, there may be additional needles, such as needles, or rich strings. In this case, a'U'-shaped transfer frame 180 may be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net can be easily exited without being caught on the device 100. For example, the transfer frame 180 may be inserted into the third spreading part 160, the separating part 120, and the fourth spreading part 170 and used.

본체(110)는 분리부(120) 등을 고정한다. 본체(110)는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높이조절부(112)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본체(110)는 그물(200)로부터 분리된 물고기를 수거부(도 15 참조)로 배출하는 배출구(도 14의 1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의 배출구와 수거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4 내지 도 18에서 다시 설명한다.The main body 110 fixes the separating part 120 and the like. The body 110 may include a height adjustment unit 112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and the horizontal.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height adjustment unit 112 may be omitted. As an example,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an outlet (1400 of FIG. 14) for discharging the fish separated from the net 200 to a collection unit (see FIG. 15).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port and the collection unit of the main body 110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8.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부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분리부의 상단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칼날부의 연결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진동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진동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분리부와 본체를 탄성소재를 이용하여 연결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epa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ng unit,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connection portion of the blad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brating unit,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brating unit,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separating unit and the main body are connected by using an elastic material.

도 3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분리부(120)는 그물이 통과하는 간격(30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간격(300)의 형태가 곡선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직선 형태 등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분리부(120)는 사각틀 형태로 구현되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3 to 8 together, the separating part 120 includes a gap 300 through which the net passes. The present embodiment shows a case where the shape of the gap 300 is a curved lin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uch as a straight line shape. For example, the separating part 120 may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being implemented in a square frame shape.

분리부(120)는 그물의 추 등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큰 간격(30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분리부(120)는 그물로부터 물고기를 제거하기 위한 좁은 간격(300)과 그물의 추 등이 통과할 수 있는 큰 간격(3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물 추 등이 장치(100)에 걸리지 않고 잘 통과할 수 있도록 이송틀(180)이 큰 간격(302)에 삽입될 수 있다.The separating part 120 may include a large gap 302 through which the weight of the net can easily pass. That is, the separating unit 120 may include a narrow gap 300 for removing fish from the net and a large gap 302 through which the weight of the net can pass.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 the transfer frame 180 may be inserted into a large gap 302 so that a net weight or the like can pass well without being caught in the device 100.

분리부(120)는 그물 통과 간격(300)을 기준으로 위쪽에 존재하는 상단부(310)와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부(320)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단부(310) 및 하단부(320)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본 실시 예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각각 본체(11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eparating part 120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end 310 located above and a lower end 320 located below the net passing distance 30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upper portion 310 and the lower portion 320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nd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그물에 걸린 물고기를 절단하는 칼날부(330)는 그물이 통과하는 간격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그물이 분리부(120)의 좁은 간격(300)을 지날 때 그물코에 걸려 있는 물고기는 칼날(340)에 의해 절단되어 그물로부터 분리된다. The blade portion 330 for cutting the fish caught in the net is disposed along the interval through which the net passes. Therefore, when the net passes through the narrow gap 300 of the separating part 120, the fish hanging in the net is cut by the blade 340 and separated from the net.

칼날부(330)와 상단부(310)를 연결하는 구조의 일 예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고정수단(400)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단부(310)의 고정수단(400)은 칼날부(330)의 원형 파이프와 연결된다. 고정수단(400)은 칼날부(330)의 원형 파이프를 위아래에서 잡아주는 체결수단(410,420)를 포함한다. 고정수단(400)은 칼날부(330)가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하게 체결할 수 있으나, 이후 살펴볼 진동부(380)를 통해 칼날부(330)에 진동이나 움직임을 제공하는 경우에 칼날부(300)가 고정수단(400)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느슨하게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로, 고정수단(400)의 체결수단(410,420)과 칼날부(330) 사이에 윤활제 등이 존재할 수 있다.An example of a structure connecting the blade portion 330 and the upper portion 310 is shown in FIGS. 4 and 5. 5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A' of the fixing means 400 of FIG. 4. 4 and 5, the fixing means 400 of the upper end 310 is connected to the circular pipe of the blade part 330. The fixing means 400 includes fastening means 410 and 420 that hold the circular pipe of the blade portion 330 from above and below. The fixing means 400 may be firmly fastened so that the blade portion 330 does not move, but in the case of providing vibration or movement to the blade portion 330 through a vibration portion 380 that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lade portion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means 400 is loosely fastened to enable movement. As an example, a lubricant or the like may be present between the fastening means 410 and 420 of the fixing means 400 and the blade portion 330.

본 실시 예는 칼날(340)이 그물 통과 간격(300)의 상단에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칼날(340)은 그물 통과 간격(300)의 상단과 하단 모두에 존재하거나 하단에만 존재할 수 있는 등 실시 예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칼날(340)이 그물이 통과하는 간격을 따라 연속하여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 외에도 불연속적으로 존재하거나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등 칼날부(300)의 구현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shows a case where the blade 340 is present at the top of the net passing gap 300, but the blade 340 is present at both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net passing gap 300, or may exist only at the bottom. Etc. It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shows a case where the blade 340 is continuously present along the interval through which the net passes, but in addition to this,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blade portion 300 such as discontinuously present or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칼날부(330)에 의해 물고기의 절단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칼날부에 진동 또는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진동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380)의 위치 및 형태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모터를 이용하여 칼날부(330)에 일정한 움직임을 발생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A vibrating part 380 for generating vibration or movement in the blade part may be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cutting of the fish can be made more easily by the blade part 330.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vibrating unit 380 may vary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is embodiment shows an example of generating a constant movement in the blade portion 330 using a motor.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진동부(380)는 모터(700), 모터(70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610,6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원형판(610)의 일측에 원형판 바깥으로 나온 돌출부(620)를 구비한 형태로 변환부를 구현하고 있으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종래의 다양한 예가 본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진동부(380)는 변환부 없이 단순히 진동만을 발생하는 종래의 다양한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6 and 7, the vibration unit 380 includes a motor 700 and conversion units 610 and 620 for converting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700 into linear motion. Although a conversion unit is implemented in a form having a protrusion 620 protruding out of the circular plate on one side of the circular plate 610 of the present embodiment, various conventional examples of converting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motion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another example, the vibration unit 38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conventional structures that simply generate only vibration without a conversion unit.

분리부(120)의 상단부(310)와 칼날부(330)는 스프링(600) 등과 같은 탄성소재로 연결된다. 모터(700)가 회전하면 변환부(610,620)에 의해 스프링(600)에 왕복 직선 운동이 발생하며, 따라서 스프링(600)에 연결된 칼날부(33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임이 발생하고, 그 결과 칼날(340)이 움직이면서 그물에 걸린 물고기를 그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The upper end 310 and the blade 330 of the separating part 120 are connected with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ring 600 or the like. When the motor 700 rotates, a reciprocating linear motion occurs in the spring 600 by the conversion units 610 and 620, and thus the blade portion 330 connected to the spring 600 moves within a certain range, and as a result As the blade 340 moves, the fish caught in the net can be separated from the net.

그물 사이의 연결매듭 등으로 인해 그물이 분리부(120)의 좁은 간격(300)에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간격(300)의 크기를 늘려 연결매듭 등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분리부(120)의 하단부(320)와 본체(110) 사이는 스프링(350) 등과 같은 탄성소재로 연결된다. 간격조절부(360)의 레버를 움직여 하단부(320)를 아래로 누르면 스프링(250)이 압축되면서 하단부(320)가 아래로 내려오고, 그 결과 칼날부(330)와 하단부(320) 사이의 그물 통과 간격(300)이 넓어진다. 간격조절부(360)의 레버를 원 위치시키면 스프링(350)에 의해 하단부(320)가 다시 위로 밀려 올려져 그물 통과 간격(300)이 이전으로 돌아간다.The net may be caught in the narrow gap 300 of the separating part 120 due to a connection knot between the nets. In this case,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gap 300 may further include a gap adjusting unit 360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knot or the like can pass. Referring to FIG. 8, between the lower end 320 of the separating part 120 and the main body 110 are connected with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ring 350. When the lower part 320 is pressed down by moving the lever of the spacing control part 360, the lower part 320 comes down as the spring 250 is compressed, and as a result, the net between the blade part 330 and the lower part 320 The passing interval 300 is widened. When the lever of the spacing adjustment unit 360 is positioned in its original position, the lower end 320 is pushed up again by the spring 350, and the net passage spacing 300 returns to the previous position.

본 실시 예는 분리부(120)의 하단부(320)를 움직여 그물 통과 간격(300)을 조절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 예로 상단부(310)와 본체(110) 사이를 탄성소재로 연결한 후 상단부(310)를 움직여 그물 통과 간격(300)을 조절할 수도 있다.This embodiment shows an example of adjusting the net passage distance 300 by moving the lower end 320 of the separating unit 120, but in another embodiment, an elastic material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end 310 and the main body 110. After the upper end 310 may be moved to adjust the net passing distance 300.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칼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9 and 10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칼날(340)은 그물(200)이 통과하는 간격의 위쪽에 위치하면 양날로 구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칼날(340)은 단일날로 구성된다. 칼날(340)의 크기나 모양 등은 이 외에도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9, the blade 340 is configured as a double-edged blade when positioned above the gap through which the net 200 passes. Referring to Figure 10, the blade 340 is configured as a single blade. The size or shape of the blade 340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addition to this.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펼침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1 and 12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first and second spreading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펼침부(140)와 제2 펼침부(150)는 곡선 형태로 구현되어 그물이 양쪽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그물(200)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추(202) 등이 아치형의 제1 및 제2 펼침부(140)의 양쪽에 걸쳐지므로 양망시 그물(200)이 자연스럽게 제1 펼침부(140) 및 제2 펼침부(150)에 의해 펼쳐질 수 있다. 이때, 그물이 끌어올려오는 제일 앞쪽에 위치한 제1 펼침부(140)의 크기를 제2 펼침부(150)의 크기보다 작게 하여 그물이 보다 잘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11 and 12, the first spreading part 140 and the second spreading part 150 are implement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net is spread to both sides. Since the weight 202 present at the edge of the net 200 spans both sides of the arcuate first and second spreading parts 140, the net 200 naturally becomes the first spreading part 140 and the second spreading part 140 It can be unfolded by the spreading unit 150.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first spreading part 140 located at the front of the net to be pulled up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spreading part 150 so that the net is more spread out.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력부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en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장력부(130)는 제3 펼침부(160)에 연결고정되는 연결부(1300)와 위아래 움직임이 가능한 누름틀(1310)을 포함한다. 또한, 누름틀(1310)이 아래쪽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누름틀(1310)과 연결부(1320)은 스프링(1320) 등의 탄성소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장력부(130)가 그물을 아래로 누르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그 반대 구조로 구현하여 위쪽으로 그물이 통과하고 장력부(130)가 그물을 위로 누르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tensioning unit 130 includes a connection unit 1300 connected and fixed to the third spreading unit 160 and a pressing frame 1310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In addition, the pressing frame 1310 and the connection part 1320 may be connected with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ring 1320 so that the pressing frame 1310 can apply a force downward. This embodiment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ension unit 130 presses the net downward, but it may be implemented in an opposite structure so that the net passes upward and the tension unit 130 presses the net upward.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하부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체(110)는 그물에서 분리된 물고기를 모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1400)를 포함한다. 양망과정에서 분리부(120)를 통해 분리된 물고기는 펌프로 펌핑된 해수와 함께 배출구(1400)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구(1400)를 통해 배출된 물고기 등을 수거부(도 15의 1500)로 전달하기 위하여 배출구(1400)와 물고기 수거부(1500)의 하단 연결부(1510)를 호스 등으로 연결하고, 물고기 수거부(1500)의 상단 연결부(1512)에 도 18의 배출관(1800)을 연결할 수 있다. 배출관(1800)을 통해 물고기가 물고기 수거부(1500)의 상판으로 배출된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ower structure of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4, the main body 110 includes an outlet 1400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fish separated from the net. The fish separated through the separating unit 120 during the confinement process ar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400 together with the seawater pumped by the pump. In order to deliver the fish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00 to the collection unit (1500 in Fig. 15), the discharge port 1400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1510 of the fish collecting unit 1500 are connected with a hose, etc., and the fish collecting unit The discharge pipe 1800 of FIG. 18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part 1512 of 1500. The fish is discharged to the upper plate of the fish collecting part 1500 through the discharge pipe 1800.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고기 수거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고기 수거분의 측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sh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ide view of a fish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물고기 수거부(1500)는 본체(110)의 배출구(1400)를 통해 배출된 물고기를 담는다. 본체(110)의 배출구(1400)를 통해 물고기의 몸통과 머리뿐만 아니라 비늘이나 부산물 또는 찌꺼기 등도 함께 배출된다. 물고기 수거부(1500)는 물고기의 몸통과 머리만을 저장하고 나머지를 다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1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물고기 수거부(1500)는 비늘 등 쓸모없는 부분만을 걸러 배출할 수 있도록 수거부(1500)의 바닥면에 일정 크기의 구멍을 가진 체를 포함할 수 있다. 15 and 16, the fish collection unit 1500 contains the fish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400 of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outlet 1400 of the main body 110, not only the body and head of the fish, but also scales, by-products, or debris are discharged together. The fish collection unit 1500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1520 for storing only the body and head of the fish and discharging the rest again. At this time, the fish collection unit 1500 may include a sieve having a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unit 1500 so that only useless portions such as scales can be filtered out.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찌꺼기 수거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ste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찌꺼기 수거부(1700)는 물고기 수거부(1500)로부터 배출된 비늘, 부산물, 찌꺼기 등을 저장한다. 물고기 수거부(1500)로부터 해수와 함께 비늘 등의 찌꺼기가 전달되므로, 일정 무게의 찌꺼기는 아래로 가라앉고 해수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찌거기 수거부(1700)는 경사진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remnant collection unit 1700 stores scales, by-products, and debris discharged from the fish collection unit 1500. Since remnants such as scales are transmitted together with seawater from the fish collection unit 1500, the debris collection unit 1700 may be implemented in an inclined form so that the debris of a certain weight sinks down and the sea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출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charge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배출관(1800)은 물고기 수거부(1500)의 상단 연결부(1512)와 연결된다. 배출관(1800)은 회전가능 하도록 구현하여 배출되는 물고기의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the discharge pipe 1800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part 1512 of the fish collecting part 1500. The discharge pipe 1800 may be implemented to be rotatable so that the amount of discharged fish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펼침부의 길이 조절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prea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펼침부(140,150)는 제3 펼침부(160)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결된다. 장치(100)를 사용할 때 제1 및 제2 펼침부(140,150)를 제3 펼침부(160)로부터 꺼내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펼침부(140,150)가 본체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본체(11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한정된 크기를 가진 배에도 본 실시 예의 장치(100)를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19, the first and second spreading parts 140 and 150 are connected in a form fitted to the third spreading part 160. When using the device 100, the first and second spreading parts 140 and 150 may be removed from the third spreading part 160 to adjust the length. Since the first and second spreading parts 140 and 150 are not fixed to the main body, the size of the main body 110 can be reduced, so that the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on a ship having a limited siz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around its preferred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 descrip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10: 본체 120: 분리부
130: 장력부 140,150,160,170: 펼침부
180: 이송틀 340: 칼날
380: 진동부 360: 간격조절부
1500: 물고기수거부 1700: 찌꺼기수거부
110: main body 120: separation unit
130: tension part 140,150,160,170: spreading part
180: transfer frame 340: blade
380: vibration unit 360: interval adjustment unit
1500: fish collection unit 1700: waste collection unit

Claims (9)

그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포함하는 분리부;
상기 간격을 따라 위치한 칼날부;
상기 분리부를 고정하는 본체; 및
상기 칼날부에 움직임을 발생하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와 상기 칼날부는 아치형태의 곡선이고,
상기 진동부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의 상단부와 상기 칼날부는 탄성소재로 연결되고,
상기 상단부는 상기 칼날부의 파이프를 위아래에서 잡아주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직선 운동이 상기 탄성소재에 전달되어 상기 칼날부는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Separation unit including a gap through which the net can pass;
A blade portion located along the gap;
A main body fixing the separating part; And
Including; a vibration unit for generating a motion in the blade portion,
The separating part and the blade part are curved arcuates,
The vibration unit, a motor; And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into linear motion,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ng part and the blade part are connected with an elastic material,
The upper end includes a fastening means for holding the pipe of the blade from above and below,
The device for separating fish from the 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ar motion converted by the conversion unit is transmitted to the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blade unit reciprocates within a certain rang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그물이 통과할 수 있는 제1 간격; 및
그물의 양단에 위치한 추가 통과할 수 있는 제2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unit,
A first gap through which the net can pass; And
Including; a second gap that can be passed through additionally located at both ends of the net,
The device for separating fish from the net, wherein the second gap is greater than the first ga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간격의 위쪽에 위치한 상단부;
상기 간격의 아래쪽에 위치한 하단부;
상기 상단부 또는 상기 하단부와 상기 본체를 탄성소재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탄성소재를 이용하여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unit,
An upper end located above the gap;
A lower end located below the gap;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and the main body with an elastic material; And
A device for separating fish from the net, comprising: a spacing control unit for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using the elastic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분리부를 통과하는 그물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눌러 그물에 장력을 발생하는 장력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device for separating fish from the net, further comprising: a tension unit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parating unit and generating tension in the net by pressing the net passing through the separating unit upward or downwar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물고기를 담는 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device for separating fish from the net, further comprising: a collection unit containing the fish separated by the separat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그물을 펼쳐주는 펼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the net, further comprising: a spreading unit for spreading the ne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parating unit.
KR1020190020058A 2019-02-20 2019-02-20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KR1022344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058A KR102234481B1 (en) 2019-02-20 2019-02-20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058A KR102234481B1 (en) 2019-02-20 2019-02-20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763A KR20200101763A (en) 2020-08-28
KR102234481B1 true KR102234481B1 (en) 2021-03-31

Family

ID=7229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058A KR102234481B1 (en) 2019-02-20 2019-02-20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48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303B1 (en) * 1999-04-29 2001-12-29 계 홍 강 Auto anchovy separator
KR101352022B1 (en) * 2012-12-03 2014-01-23 대한민국 Apparatus for harvest of sprout vegetable
KR101407358B1 (en) * 2012-08-31 2014-06-17 강경택 Crop Harves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70014A (en) * 1991-06-17 1992-12-22 Takashi Choi Seaweed harvesting method in longline-type seaweed culture and system thereof
JPH0668438U (en) * 1992-11-10 1994-09-27 太志 炭崎 Winding and separating device for scallops
KR101952499B1 (en) 2017-04-07 2019-02-26 이원우 Anchovy strip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303B1 (en) * 1999-04-29 2001-12-29 계 홍 강 Auto anchovy separator
KR101407358B1 (en) * 2012-08-31 2014-06-17 강경택 Crop Harvesting Device
KR101352022B1 (en) * 2012-12-03 2014-01-23 대한민국 Apparatus for harvest of sprout vege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763A (en)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8150B2 (en) Polyurethane screen
Tuttle An improved trap for bats
US5037536A (en) Vibratory conveying and separating apparatus and related clamping device
TWI656918B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pre-screening
US1879377A (en) Scree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652823B1 (en) Automatical anchovy strip apparatus
KR930012219A (en) Cutting device of laminate
KR20210104934A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vibratory screening
KR102234481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AU2020227061B2 (en) Polyurethane screen
JP2020121287A (en) Screen for vibration sieve with clogging prevention function and vibration sieve device
DE19852642C1 (en) Ultrasonic cutting device has tool arranged at vibration maximum and end supports at vibration nodes
KR102287887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EP2448726B1 (en) Dry shaver
KR101970655B1 (en) Ultrasonic cutting device
US5160257A (en) Fishing equipment anchor
KR20150139291A (en) Apparatus for removing snow in vinyl house
JP30497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clogging of sieve net in vibrating sieve device
BE1024961A1 (en) Damper to maintain the tension of a rollable fabric of a sunshade and sunshade equipped with it.
JP2017106246A (en) Falling object recovery device
US4341627A (en) Screen separator
KR200328995Y1 (en) Combination tool for insect net
SU1828391A3 (en) Oscillating straw separator
CN211662218U (en) Electric chain saw convenient to adjust saw chain tensioning
US8141715B2 (en) Sifting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