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443B1 -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443B1
KR102234443B1 KR1020190089173A KR20190089173A KR102234443B1 KR 102234443 B1 KR102234443 B1 KR 102234443B1 KR 1020190089173 A KR1020190089173 A KR 1020190089173A KR 20190089173 A KR20190089173 A KR 20190089173A KR 102234443 B1 KR102234443 B1 KR 102234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 request
monitoring
data
monitor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815A (ko
Inventor
문성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9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4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23/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G05B23/00
    • G05B2223/06Remote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요청이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으면 모니터링 카운트 값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 또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태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와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은 인터넷, 즉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말한다.
최근 사물 인터넷 기술은 각종 전자 기기들, 예컨대 냉장고, 세탁기, 공기 조화기등의 전자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사용자가 각각의 전자 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각각의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가전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권한을 얻을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를 통해서 전원 온/오프(on/off) 또는 설정 온도 변경과 같은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요청은 서버를 통해서 전자 기기로 전달되고,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전송한 제어 요청에 따라서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되는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데이터, 예컨대 전원 온/오프(on/off) 상태에 대한 데이터나 현재 설정 온도 값과 같은 데이터는 전자 기기에 의해 서버로 전송되고, 서버에 의해서 다시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기기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단말 장치를 통해서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잦은 데이터 송수신으로 인한 서버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통신 주기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서버에 전송되거나, 특정한 이벤트(예컨대, 동작 상태의 변경)가 발생할 때에 한해서만 서버에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신한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통신 주기에 따라서 또는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할 때에 한해서만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입력하는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요청은 서버를 통해서 전자 기기에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서 제어 요청을 수신한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또한 실시간으로 변경된다.
위와 같은 차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빠른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제어 요청을 입력할 경우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와 전자 기기의 실제 동작 상태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입력하는 다수의 제어 요청의 입력 주기가 단말 장치와 서버 간의 통신 주기보다 짧을 경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그대로 표시되면 사용자의 제어 명령과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전자 기기의 상태가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대로 인식할 수 없거나, 사용자가 전자 기기가 오동작하는 것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빠른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제어 요청을 입력할 경우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가 단말 장치에 일시적으로 잘못 표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요청이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으면 모니터링 카운트 값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 또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태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와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으면 모니터링 카운트 값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 또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 또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 또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면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 또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면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으면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서버에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이하이면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이하이면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와 상기 상태 데이터가 일치하면 상기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미리 정해진 통신 주기에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이벤트 드리븐 방식으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요청은 제어 대상 및 제어 값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다수의 제어 요청이 입력될 때,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는 동일한 제어 대상에 대하여 1개의 제어 요청만이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장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전자 기기와 관련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요청이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하고,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으면 모니터링 카운트 값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 또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태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와 동기화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을 때,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게 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게 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 또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면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게 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증가시키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면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게 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으면 타이머를 동작시키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서버에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게 하고, 상기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이하이면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를 결정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이하일 때,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와 상기 상태 데이터가 일치하면 상기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게 하고, 상기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이하일 때,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미리 정해진 통신 주기에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이벤트 드리븐 방식으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요청은 제어 대상 및 제어 값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다수의 제어 요청이 입력될 때,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는 동일한 제어 대상에 대하여 1개의 제어 요청만이 저장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빠른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제어 요청을 입력할 경우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가 단말 장치에 일시적으로 잘못 표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와 서버, 전자 기기 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가 공기 조화기일 때, 제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제어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타이머가 동작할 때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와 서버, 전자 기기 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0)는 제어 대상이 되는 전자 기기(14)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 장치(10)는 사진들, 비디오들, 문자들과 같은 콘텐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장치(10)는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모바일 전화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태블릿 컴퓨터, 넷북, 물리적 머신(physical machine) 또는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일 수 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1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들을 인식할 것이다. 제어 장치(1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및 사용자가 콘텐트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자 기기(14)는 텔레비전, 모니터, 냉장고, 공기 조화기, 세탁기, 건조기와 같이 전기 에너지에 의해 동작하는 임의의 기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전자 기기(14)는 제어 장치(10)의 제어 요청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으나, 사용자는 버튼이나 다이얼과 같이 전자 기기(14)에 구비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자 기기(14)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 장치(10)와 서버(12), 그리고 서버(12)와 전자 기기(14)는 인터넷, 인트라넷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을 위해서 제어 장치(10), 서버(12), 전자 기기(14)는 각각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 장치(10)가 전자 기기(14)와도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표시되거나 제어 장치(10)에 물리적으로 구비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14)에 대한 제어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를 통해서 입력되는 전자 기기(14)에 대한 제어 요청은 서버(12)로 전송되고, 서버(12)는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제어 요청을 전자 기기(14)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어 장치(10)를 통해서 입력한 전자 기기(14)에 대한 제어 요청은 실시간으로 서버(12)로 전송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12)는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제어 요청을 실시간으로 전자 기기(14)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 요청은 전자 기기(14)가 수행할 수 있는 동작 또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요청을 의미한다. 제어 요청의 예시로는 전원 온/오프 요청, 설정 온도 증가/감소 요청, 절전 모드 온/오프 요청 등을 들 수 있다. 서버(12)를 통해서 제어 요청을 수신한 전자 기기(14)는 수신한 제어 요청에 대응되는 동작 또는 기능을 실시간으로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서버(12)를 통해 설정 온도 증가 요청을 수신한 전자 기기(14)는 현재 설정된 온도를 즉시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 요청은 제어 대상 및 제어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 요청이 "전원 온 요청"일 경우, 이 제어 요청의 제어 대상은 "전원"이고 제어 값은 "온"이다. 또 다른 예로, 제어 요청이 "설정 온도를 26도로 증가시키는 요청"일 경우, 이 제어 요청의 제어 대상은 "설정 온도"이고 제어 값은 "26도"이다. 또 다른 예로, 제어 요청이 "바람 세기를 강풍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일 경우, 이 제어 요청의 제어 대상은 "바람 세기"이고 제어 값은 "강풍"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4)는 자신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서버(12)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전자 기기(14)가 서버(12)로 전송하는 자신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모니터링 데이터"로 지칭된다. 전자 기기(14)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면, 서버(12)는 수신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어 장치(1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4)는 미리 정해진 통신 주기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데이터를 서버(12)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12)는 미리 정해진 통신 주기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어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기기(14)와 서버(12) 간의 통신 주기와 서버(12)와 제어 장치(10) 간의 통신 주기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4)는 이벤트 드리븐 방식으로 모니터링 데이터를 서버(12)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자 기기(14)는 전자 기기(14)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에 한해서만 모니터링 데이터를 서버(12)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12)는 이벤트 드리븐 방식으로, 즉 전자 기기(14)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에 한해서만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어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는 제어 장치(10)는 서버(12)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한 후, 후술하는 과정에 따라서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모니터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에는 전자 기기(14)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가 표시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에는 전자 기기(1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요청을 입력하기 위한 제어 인터페이스 및/또는 전자 기기(14)의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 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태 데이터를 서버(12)로부터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동기화함으로써 모니터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0)는 프로세서(102), 디스플레이부(10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6), 메모리(10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8)와 같은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내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해석하고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02)는 명령어들의 실행을 위하여 메모리(108)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의 예시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Micro Processor Unit; MPU)을 들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4)는 사진들, 비디오들, 문자들과 같은 임의의 콘텐트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04)의 예시로 LCD 또는 OLED 패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104)가 터치 패널로 구현될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4)를 터치함으로써 전자 기기(14)에 대한 제어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4)가 터치 패널로 구현되거나 터치 패널로 구현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입력 장치,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버튼 등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14)에 대한 제어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6)는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6)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 NIC)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8)는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특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집합이 모듈 또는 프로그램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08)는 입력 처리 모듈(110), 표시 처리 모듈(112), 모니터링 모듈(114), 제어 모듈(116)을 포함한다.
입력 처리 모듈(110)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요청을 표시 처리 모듈(112) 또는 제어 모듈(116)로 전달하거나,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저장한다.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 요청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메모리(108) 내에 물리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입력 처리 모듈(110)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 요청을 전술한 제어 대상 및 제어 값으로 각각 분리하여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 처리 모듈(110)은 사용자에 의하여 다수의 제어 요청이 입력될 때, 동일한 제어 대상에 대하여 1개의 제어 요청만을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설정 온도를 23도로 증가", "설정 온도를 24도로 증가", "설정 온도를 25도로 증가"의 제어 요청을 각각 1초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입력한 경우, 입력 처리 모듈(110)은 가장 나중에 입력된 "설정 온도를 25도로 증가"의 제어 요청만을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설정 온도를 23도로 증가", "설정 온도를 24도로 증가", "바람 세기를 중풍으로 변경", "설정 온도를 25도로 증가", "바람 세기를 약풍으로 변경", "절전 모드를 오프 상태로 변경"의 제어 요청을 각각 1초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입력한 경우, 입력 처리 모듈(110)은 각각의 제어 요청에 포함된 제어 대상 별로 가장 나중에 입력된 1개의 제어 요청, 즉 "설정 온도를 25도로 증가", "바람 세기를 약풍으로 변경", "절전 모드를 오프 상태로 변경"의 제어 요청을 각각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저장할 수 있다.
표시 처리 모듈(112)은 전자 기기(1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요청을 입력하기 위한 제어 인터페이스 및/또는 전자 기기(14)의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한다.
모니터링 모듈(114)은 서버(12)로부터 전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관리한다. 모니터링 모듈(114)은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 모듈(116)에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신을 통지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114)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신이 통지되면, 제어 모듈(116)은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를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동기화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를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동기화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계속해서 표시된다.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를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동기화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모니터링 데이터로 변경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가 공기 조화기일 때, 제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제어 화면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10)에 의해서 제어되는 전자 기기(14)는 텔레비전, 모니터, 냉장고, 공기 조화기, 세탁기, 건조기와 같이 전기 에너지에 의해 동작하는 임의의 기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기기(14)가 공기 조화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10)에 의한 전자 기기의 제어 과정이 설명된다.
전자 기기(14), 즉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제어 장치(10), 예컨대 스마트폰에 설치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3에는 사용자가 전자 기기(14), 즉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제어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제어 화면(300)이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화면(300)에는 사용자가 전자 기기(1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인터페이스 및 전자 기기(14)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가 표시된다. 제어 화면(300)의 상단에는 전자 기기(14)에 의하여 측정된 전자 기기(14) 주변의 환경 데이터, 예컨대 실내 온도 값(302)이 표시된다. 이러한 환경 데이터는 전자 기기(14)가 서버(12)를 통해서 제어 장치(10)로 전송하는 모니터링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모니터링 데이터와 함께 제어 장치(1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어 화면(300)에는 전자 기기(14)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 예컨대 전자 기기(14)의 설정 온도 값(310), 바람 세기 설정 값(322 내지 326), 공기 청정 모드 온/오프 상태 값(330), 절전 모드 온/오프 상태 값(340), 전원 온/오프 상태 값(350)이 각각 표시된다.
또한 제어 화면(300)에는 사용자가 전자 기기(1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인터페이스, 예컨대 온도 설정 버튼(312, 314), 바람 세기 설정 버튼(322 내지 326), 공기 청정 모드 설정 버튼(330), 절전 모드 설정 버튼(340), 전원 온/오프 버튼(350)이 각각 표시된다. 바람 세기 설정 버튼(322 내지 326), 공기 청정 모드 설정 버튼(330), 절전 모드 설정 버튼(340), 전원 온/오프 버튼(350)은 제어 인터페이스의 기능과 함께 바람 세기 설정 값(322 내지 326), 공기 청정 모드 온/오프 상태 값(330), 절전 모드 온/오프 상태 값(340), 전원 온/오프 상태 값(350)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사용자는 제어 화면(300)에 표시된 제어 인터페이스, 예컨대 온도 설정 버튼(312, 314), 바람 세기 설정 버튼(322 내지 326), 공기 청정 모드 설정 버튼(330), 절전 모드 설정 버튼(340), 전원 온/오프 버튼(350)을 터치하여 전자 기기(14)에 대한 제어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설정 온도 값이 24℃인 상태에서 설정 온도 증가 버튼(312)을 누르면 "설정 온도를 25℃로 증가"의 제어 요청이 제어 장치(10)의 입력 처리 모듈(110)로 입력된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공기 청정 모드가 오프인 상태에서 공기 청정 모드(330) 버튼을 누르면 "공기 청정 모드를 온 상태로 변경"의 제어 요청이 제어 장치(10)의 입력 처리 모듈(110)로 입력된다.
사용자에 의해 제어 요청이 입력되면 입력 처리 모듈(110)은 제어 요청을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저장한다. 이 때 입력 처리 모듈(110)은 새로 입력된 제어 요청의 제어 대상이 기존에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저장되어 있던 제어 요청의 제어 대상과 중복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새로 입력된 제어 요청의 제어 대상이 기존에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저장되어 있던 제어 요청의 제어 대상과 중복되면, 입력 처리 모듈(110)은 기존에 저장된 제어 요청의 제어 값만을 새로 입력된 제어 요청의 제어 값으로 갱신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다수의 제어 요청이 입력될 때,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는 동일한 제어 대상에 대하여 1개의 제어 요청만이 저장된다.
만약 새로 입력된 제어 요청의 제어 대상이 기존에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저장되어 있던 제어 요청의 제어 대상과 중복되지 않으면, 입력 처리 모듈(110)은 새로 입력된 제어 요청의 제어 대상 및 제어 값을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가 제어 화면(300)에 표시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요청을 입력하면, 표시 처리 모듈(112)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대상의 제어 값을 디스플레이부(104)에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현재 설정 온도 값이 24℃로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 온도 증가 버튼(312)을 1회 누르면 표시 처리 모듈(112)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즉시 반영하여 설정 온도 값을 25℃로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어 화면(300)에 표시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요청을 입력하면, 제어 모듈(116)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6)을 통해서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요청을 실시간으로 서버(12)로 전송한다. 제어 요청을 수신한 서버(12)는 수신한 제어 요청을 실시간으로 전자 기기(14)에 전송한다. 제어 요청을 수신한 전자 기기(14)는 수신한 제어 요청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동작 상태를 변경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4)는 미리 정해진 통신 주기에 따라서 또는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할 때에 한해서만 서버(12)를 통해 자신의 동작 상태에 관한 데이터, 즉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어 장치(1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전자 기기(14)는 미리 정해진 통신 주기인 3초 간격으로 모니터링 데이터(예컨대, 설정 온도 값, 공기 청정 모드 온/오프 상태 등)를 서버(12)를 통해 제어 장치(10)로 전송한다. 또 다른 예로, 전자 기기(14)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의해서 동작 상태가 변경되었을 때에만, 예컨대 설정 온도가 1℃ 증가했을 때 모니터링 데이터를 서버(12)를 통해 제어 장치(10)로 전송한다. 이러한 구성은 잦은 통신으로 인한 서버(12)의 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전자 기기(14)가 제어 장치(10)로 모니터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전송하지 않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술한 통신 주기보다 빠른 간격(예컨대, 1초 또는 그 이하)으로 연속적으로 다수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경우, 디스플레이부(104)의 제어 화면(300)에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서 상태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변경된다. 그러나 전자 기기(14)의 실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 데이터는 제어 장치(10)로 실시간으로 전송되지 못하므로, 모니터링 데이터가 뒤늦게 디스플레이부(104)의 제어 화면(300)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과 일치하지 않는 상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04)의 제어 화면(3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전자 기기(14)의 동작 상태를 제대로 인식할 수 없거나, 제어 장치(10) 또는 전자 기기(14)가 오작동하는 것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전자 기기(14)로부터 전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 중 일부 모니터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과 일치하지 않는 상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04)의 제어 화면(300)에 표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서버(12)는 미리 정해진 통신 주기에 따라서 제어 장치(10)에 모니터링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서버(12)가 전송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는 전자 기기(14)로부터 전송되며, 전자 기기(14)의 현재 동작 상태에 관한 모든 데이터, 예컨대 전자 기기(14)의 전원 온/오프(on/off) 상태에 대한 데이터나 현재 설정 온도 값과 같은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0)의 모니터링 모듈(114)은 서버(12)로부터 전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한다(S402). 모니터링 모듈(114)은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제어 모듈(116)에 통지한다.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 모듈(116)은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제어 요청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04). 만약 사용자가 제어 장치(10)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제어 요청을 입력했다면,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는 제어 대상 및 제어 값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요청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제어 요청을 입력하지 않았거나 저장되어 있던 제어 요청이 삭제된 경우,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는 제어 요청이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단계(S404)의 판단 결과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제어 요청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제어 모듈(116)은 디스플레이부(104)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를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동기화한다(S406). 이에 따라서 모니터링 모듈(114)은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표시 처리 모듈(112)로 전달하고, 표시 처리 모듈(112)은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태 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상태 데이터 중 하나인 전자 기기(14)의 설정 온도 값이 24℃로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어 장치(10)가 아닌 전자 기기(14) 본체에 구비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자 기기(14)의 설정 온도 값을 1℃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4)는 서버(12)를 통해 변경된 설정 온도 값(25℃)이 포함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어 장치(1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어 장치(10)를 통해 입력한 제어 요청이 없으므로,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는 제어 요청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계(S406)의 동기화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상태 데이터 중 설정 온도 값은 모니터링 데이터와 동기화되어 25℃로 변경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제어 장치(10)를 통해 입력한 제어 요청이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즉시 동기화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04)의 판단 결과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제어 요청이 저장되어 있다면, 제어 모듈(116)은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08). 본 발명에서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초기값은 0으로 설정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니터링 데이터와 상태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 때마다 1씩 증가한다.
단계(S408)의 판단 결과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제어 모듈(116)은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14).
단계(S414)의 확인 결과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 모듈(116)은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1만큼 증가시키고,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다음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한다(S402).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3의 제어 화면(300)에서 설정 온도 증가 버튼(312)을 서버(12)와 제어 장치(10) 간의 통신 주기(예컨대, 3초)보다 빠른 간격으로(예컨대, 1초 간격) 2회 연속으로 눌렀다면, 제어 화면(300)에 표시되는 설정 온도 값은 즉시 26℃로 변경된다. 또한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는 "설정 온도"를 제어 대상으로 하고 "26℃"를 제어값으로 포함하는 제어 요청이 저장된다. 이 경우 현재 모니터링 카운트 값(예컨대, 1)이 기준값(예컨대, 3)을 초과하지 않고,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에 포함된 설정 온도 값이 25℃로서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의 설정 온도 값인 26℃와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 모듈(116)은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1만큼 증가시키고,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와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동기화하지 않은 상태로 다음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한다(S402).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링 카운트 값, 즉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횟수가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까지,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와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동기화하지 않음으로써, 다시 말해서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무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빠르고 연속적으로 제어 요청을 입력하더라도 제어 장치(10)에 표시되는 상태 데이터가 그대로 유지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14)의 확인 결과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면, 제어 모듈(116)은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저장된 제어 요청을 삭제하고(S410),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0으로 초기화(S412)한다. 이후 다시 단계(S404)가 수행되면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제어 요청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동기화(S406)가 수행된다. 이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는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일치하므로,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08)에서 모니터링 카운트 값, 즉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횟수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어 모듈(116)은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저장된 제어 요청을 삭제하고(S410),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0으로 초기화(S412)한다. 이후 다시 단계(S404)가 수행되면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제어 요청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동기화(S406)가 수행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횟수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의 일치 여부에 대한 확인 없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를 즉시 모니터링 데이터로 변경한다.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은, 일정 시간이 경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자 기기(14)의 동작 상태가 사용자의 제어 요청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거나, 사용자가 전자 기기(14)에 구비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자 기기(14)에 제어 요청을 직접 입력한 것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즉시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제어 방법에 의해서, 사용자가 제어 장치(10)를 통해 제어 요청을 입력하거나 전자 기기(14)에 구비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자 기기(14)에 제어 요청을 직접 입력한 경우 전자 기기(14)의 현재 동작 상태가 제어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04)에 정확하게 표시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서버(12)와 제어 장치(10) 간의 통신 주기보다 빠른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제어 요청을 입력하더라도, 전자 기기(14)의 현재 동작 상태가 제어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04)에 정확하게 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서버(12)는 이벤트 드리븐 방식으로, 즉 전자 기기(14)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가 전송될 때마다, 제어 장치(10)에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전자 기기(14)는 이벤트 드리븐 방식으로, 즉 전자 기기(14)의 동작 상태의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서버(12)에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한다. 서버(12)가 전송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는 전자 기기(14)로부터 전송되며, 전자 기기(14)의 현재 동작 상태에 관한 모든 데이터, 예컨대 전자 기기(14)의 전원 온/오프(on/off) 상태에 대한 데이터나 현재 설정 온도 값과 같은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0)의 모니터링 모듈(114)은 서버(12)로부터 전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한다(S502). 모니터링 모듈(114)은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제어 모듈(116)에 통지한다.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 모듈(116)은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제어 요청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4). 만약 사용자가 제어 장치(10)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제어 요청을 입력했다면,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는 제어 대상 및 제어 값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요청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제어 요청을 입력하지 않았거나 저장되어 있던 제어 요청이 삭제된 경우,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는 제어 요청이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단계(S504)의 판단 결과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제어 요청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제어 모듈(116)은 디스플레이부(104)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를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동기화한다(S506). 이에 따라서 모니터링 모듈(114)은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표시 처리 모듈(112)로 전달하고, 표시 처리 모듈(112)은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태 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이처럼 사용자가 제어 장치(10)를 통해 입력한 제어 요청이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즉시 동기화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504)의 판단 결과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제어 요청이 저장되어 있다면, 제어 모듈(116)은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8).
단계(S508)에서 모니터링 카운트 값, 즉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횟수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어 모듈(116)은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저장된 제어 요청을 삭제하고(S510),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0으로 초기화(S512)한다. 이후 다시 단계(S504)가 수행되면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제어 요청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동기화(S506)가 수행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횟수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의 일치 여부에 대한 확인 없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를 즉시 모니터링 데이터로 변경한다.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은, 일정 시간이 경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자 기기(14)의 동작 상태가 사용자의 제어 요청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거나, 사용자가 전자 기기(14)에 구비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자 기기(14)에 제어 요청을 직접 입력한 것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즉시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어야 한다.
한편, 단계(S508)의 판단 결과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제어 모듈(116)은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14).
단계(S514)의 확인 결과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면, 제어 모듈(116)은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저장된 제어 요청을 삭제하고(S510),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0으로 초기화(S512)한다. 이후 다시 단계(S404)가 수행되면 제어 요청 저장 영역(120)에 제어 요청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동기화(S506)가 수행된다. 이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는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일치하므로,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514)의 확인 결과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 모듈(116)은 타이머를 동작시킨다(S516). 본 발명에서 타이머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타이머가 동작되는 동안에는 도 6에 도시된 추가적인 제어 방법이 수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타이머가 동작할 때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S516)에서 타이머의 동작이 시작되면, 제어 모듈(116)은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02).
단계(S602)에서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지 않았다면, 제어 모듈(116)은 서버(12)로부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04).
단계(S604)의 확인 결과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제어 모듈(116)은 단계(S602)로 복귀한다.
단계(S604)의 확인 결과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면, 제어 모듈(116)은 수신된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06).
단계(S604)의 확인 결과 수신된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 모듈(116)은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무시하고 단계(S602)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서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는 변경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단계(S604)의 확인 결과 수신된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면, 제어 모듈(116)은 타이머를 초기화하고(S608), 도 5에 도시된 단계(S510)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 요청이 삭제되고(S512),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초기화(S512)되며, 단계(S504)를 거쳐 동기화(S506)가 수행된다. 이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그대로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서버(12)로부터 이벤트 드리븐 방식으로 모니터링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서버(12)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전송되더라도, 수신된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 데이터가 계속해서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타이머의 경과 시간은 기준 시간을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단계(S602)의 확인 결과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제어 모듈(116)은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1만큼 증가시키고(S610), 타이머를 초기화하며(S612), 모니터링 모듈(114)을 통해서 서버(12)에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S614).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10)는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상태 데이터와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의 동기화가 수행되지 않으면 전자 기기(14)의 현재 동작 상태를 반영하기 위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와는 관계없이 서버(12)에 모니터링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 이후 제어 모듈(116)은 다시 도 5의 단계(S502)로 복귀하여 서버(12)가 전송하는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상과 같은 제어 방법에 의해서, 사용자가 제어 장치(10)를 통해 제어 요청을 입력하거나 전자 기기(14)에 구비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자 기기(14)에 제어 요청을 직접 입력한 경우 전자 기기(14)의 현재 동작 상태가 제어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04)에 정확하게 표시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서버(12)와 제어 장치(10) 간의 통신 주기보다 빠른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제어 요청을 입력하더라도, 전자 기기(14)의 현재 동작 상태가 제어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04)에 정확하게 표시된다.
전술된 기능 또는 방법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기법들은 하나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들 및 컴퓨터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 내에 포함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들로서 패키지화될 수 있다. 프로세스들 및 논리 흐름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들에 의해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회로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인 및 특별한 목적의 디바이스들 및 저장 디바이스들이 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의 구현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기계-판독(machine-readable) 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대안적으로,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들, 기계-판독 가능 매체들 또는 기계-판독 가능 저장 매체들로서 참조됨) 내에 저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저장 장치 및 메모리와 같은 전자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몇몇의 예시들은 RAM, ROM, 읽기-전용 콤팩트 디스크(CD-ROM)들, 기록 가능한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recordable; CD-R)들, 재기입 가능한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ReWritable; CD-RW)들, 읽기-전용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들(예컨대, DVD-ROM, 듀얼-레이어(dual-layer) DVD-ROM), 여러 가지의(a variety of) 재기록/재기입 가능한 DVD들(예컨대, DVD-RAM, DVD-RW, DVD+RW 등),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보안 디지털(Secure Digital; SD) 카드들, 미니-SD 카드들, 마이크로-SD 카드들 등), 자기 및/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하드 드라이브들, 읽기-전용 및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Blu-Rayㄾ) 디스크들, 초 집적 광 디스크(ultra density optical disc)들, 임의의 다른 광 또는 자기 매체들, 및 플로피 디스크들을 포함한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 가능하고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세트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들 또는 컴퓨터 코드의 예시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되는 것과 같은 기계 코드, 및 해석기(interpreter)를 사용하는 컴퓨터, 전자 구성요소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고-수준(higher-level)의 코드를 포함하는 파일들을 포함한다.
앞선 주된 논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들을 참조하지만, 몇몇의 구현들은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들 또는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에 의해 수행된다. 몇몇의 구현들에서, 이러한 집적 회로들은 회로 자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한다.
본 명세서 및 본 출원의 청구범위 내에서 사용된 것으로서, 용어들 "컴퓨터", "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모든 전자 또는 다른 기술적인 디바이스들을 참조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사람들 또는 사람들의 그룹들을 배제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들을 위해, 용어들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본 출원의 임의의 청구범위 내에서 사용된 것으로서, 용어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는 유형의 물리적인 객체들로 전체적으로 제한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임의의 무선 신호들, 유선의 다운로드 신호들 및 다른 임의의 단속적인 신호들을 배제한다.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상 발명의 구현들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예컨대, 음극선관(CRT)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사용자가 컴퓨터에게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키보드 및 예컨대, 마우스 또는 트랙볼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는 컴퓨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종류들의 디바이스들이 또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은 임의의 형식의 감각 피드백(sensory feedback)(예컨대,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또는 촉각적 피드백)일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청각적인 입력, 말하기 또는 촉각적인 입력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문서들을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디바이스로부터 문서들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로부터 수신된 요청들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의 웹 브라우저로 웹 페이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설명된 대상 발명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 엔드(back end)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예컨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웹 브라우저(사용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본 명세서 내에서 설명된 대상 발명의 구현과 상호작용할 수 있음)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 엔드(front end)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이러한 백 엔드, 미들웨어 또는 프론트 엔트 구성요소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은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임의의 형식 또는 매체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들의 예시들은 지역 네트워크("LAN") 및 광역 네트워크("WAN"), 인터-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및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들(예컨대, 애드 혹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컴퓨팅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들 및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및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원격에 존재하고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한다.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관계는 서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갖고 각각의 컴퓨터들 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에 의해 나타난다. 몇몇의 측면들에서, 서버는 데이터(예컨대,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페이지)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한다(예컨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함께 상호작용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목적들을 위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데이터(예컨대, 사용자 상호작용의 결과)는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개시된 프로세스들 내의 단계들의 임의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은 예시적인 접근법들의 설명인 것으로 이해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반하여, 프로세스들 내의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은 재배열될 수 있거나 모든 설명된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단계들의 몇몇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한 상황들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 있다. 게다가, 전술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분리는 이러한 분리를 요구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지 않아야 하고, 설명된 프로그램 구성요소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한 소프트웨어 제품 내에 함께 통합되거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제품들 내에 패키지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앞선 기재는 본 문서에 설명된 다양한 측면들을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측면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문서에서 정의된 포괄적인 원리들은 다른 측면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본 문서에서 보여지는 측면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표현과 일치되는 전체의 범위인 것으로 의도되고, 단수의 요소에 대한 참조는 특별하게 그렇게 기재되지 않은 한 "하나 및 오직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하나 이상"으로 의도된다. 특별하게 기재되지 않은 한, 용어 "몇몇의"는 "하나 이상의"를 참조한다. 남성의 대명사(예컨대, 그의)는 여성 및 중성(예컨대, 그녀의 및 그것의)을 포함하고 그 역 또한 같다. 제목들 및 부제목들이 만약에 있다면, 제목들 및 부제목들은 오직 편의를 위해서만 사용되고 대상 기술을 제한하지 않는다.
"측면"과 같은 문구는 이러한 측면이 대상 기술에 대해 필수적이거나 이러한 측면이 대상 기술의 모든 구성들에 적용되는 것을 함축하지 않는다. 일 측면과 관련된 개시는 모든 구성들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측면과 같은 문구는 하나 이상의 측면들을 참조할 수 있고 그 역 또한 같다. "구성"과 같은 문구는 이러한 구성이 대상 기술에 필수적이거나 이러한 구성이 대상 기술의 모든 구성들에 적용되는 것을 함축하지 않는다. 일 구성과 관련된 개시는 모든 구성들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일 구성과 같은 문구는 하나 이상의 구성들을 참조할 수 있고 그 역 또한 같다.
단어 "예시적인"은 본 문서에서 "예시 또는 설명으로서의 제공"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예시적인"으로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측면 또는 설계는 다른 측면들 또는 설계들보다 우선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구축되는 것이 필연적이지 않다.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또는 나중에 알려질 본 개시의 전체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측면들의 요소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인 및 기능적인 균등물들은 본 문서에 참조로서 명백하게 통합되고 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여기에서 개시된 어떠한 것도 이러한 개시가 명시적으로 청구범위 내에 기재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공중에게 전용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대상 기술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대상 기술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 기술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대상 기술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대상 기술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20)

  1.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요청이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으면 모니터링 카운트 값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 또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태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와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으면 모니터링 카운트 값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 또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 또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 또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면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 또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면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으면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서버에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이하이면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이하이면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와 상기 상태 데이터가 일치하면 상기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7.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미리 정해진 통신 주기에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이벤트 드리븐 방식으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은
    제어 대상 및 제어 값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다수의 제어 요청이 입력될 때,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는 동일한 제어 대상에 대하여 1개의 제어 요청만이 저장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1.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전자 기기와 관련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요청이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하고;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으면 모니터링 카운트 값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 또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태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와 동기화하게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을 때,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게 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게 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 또는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게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면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게 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증가시키게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면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게 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으면 타이머를 동작시키게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서버에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게 하고;
    상기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이하이면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 요청의 삭제 여부를 결정하게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이하일 때,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와 상기 상태 데이터가 일치하면 상기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어 요청을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서 삭제하고, 상기 모니터링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게 하고;
    상기 타이머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이하일 때,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상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새로운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게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장치.
  17.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미리 정해진 통신 주기에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장치.
  18.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이벤트 드리븐 방식으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은
    제어 대상 및 제어 값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다수의 제어 요청이 입력될 때, 상기 제어 요청 저장 영역에는 동일한 제어 대상에 대하여 1개의 제어 요청만이 저장되는
    전자 기기의 제어 장치.
KR1020190089173A 2019-07-23 2019-07-23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34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173A KR102234443B1 (ko) 2019-07-23 2019-07-23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173A KR102234443B1 (ko) 2019-07-23 2019-07-23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815A KR20210011815A (ko) 2021-02-02
KR102234443B1 true KR102234443B1 (ko) 2021-03-30

Family

ID=7455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173A KR102234443B1 (ko) 2019-07-23 2019-07-23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4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6568A (ja) 2012-11-22 2014-06-09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操作器及び画面パターン情報更新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6568A (ja) 2012-11-22 2014-06-09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操作器及び画面パターン情報更新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815A (ko)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3239B2 (en) Integration of videoconferencing with interactive electronic whiteboard appliances
US10165391B2 (en) Companion application for activity cooperation
CN105765923B (zh) 客户端-服务器远程访问系统中提供客户端到非托管服务的连接的方法
US201700129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cure chat
US9510136B2 (en) Access control in bluetooth® low energy devices
EP3142336B1 (en) Synchronization method for notification messag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O2016078380A1 (zh) 显示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EP3483717A1 (en) Techniques to selectively capture visual media using a single interface element
JP6545824B2 (ja) クライアント・デバイスと第1のスクリーン・デバイスの間の探索および接続プロトコルの相互運用性
US20170070579A1 (en) Mechanism for facilitating proxy user interface-based remote management and control of computing and non-computing devices
JP5976210B2 (ja) 監視システム、設備管理装置、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269129B1 (en) Wireless docking system
US2019002113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JP2017538178A (ja) デバイス間でのアプリケーションの分割提示
TWI647609B (zh) 即時通訊方法、系統及電子裝置與伺服器
TWI612836B (zh) 雲端資料傳輸系統及其動態分流方法
KR20190077474A (ko) 온라인 거래의 성공률 향상
KR102234443B1 (ko)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7920136B (zh) 数据同步控制方法、装置以及服务器
US10481792B2 (en) Secure authenticated connected keyboard
US20150161061A1 (en) Broadcasting communications over an advertising channel
CN104780410A (zh) 教育电视一体机系统及其遥控器的双系统控制方法
US2016023462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WO2016084101A2 (en) A smart drive device
US20160277454A1 (en) Image sharing apparatus, image sharing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