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235B1 - 비-실시간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실시간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235B1
KR102234235B1 KR1020197017000A KR20197017000A KR102234235B1 KR 102234235 B1 KR102234235 B1 KR 102234235B1 KR 1020197017000 A KR1020197017000 A KR 1020197017000A KR 20197017000 A KR20197017000 A KR 20197017000A KR 102234235 B1 KR102234235 B1 KR 102234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ent
intermediary
storage device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494A (ko
Inventor
엘. 노린 존
보가틴 보리스
에스. 레보비츠 존
굴드 케네스
쿤드라 모니쉬
Original Assignee
사이든,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든, 인크. filed Critical 사이든,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086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05Controlling the feeding rate to the network, e.g. by controlling the video pu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콘텐츠 스토리지를 갖는 중개 장치, 중개 장치와 통신하는 사용자 장치, 및 중개 장치로 콘텐츠를 통신하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를 포함한다. 중개 장치는 콘텐츠 스토리지에 콘텐츠를 저장한다. 사용자 장치는 콘텐츠 스토리지에 콘텐츠를 요청한다. 중개 장치는 요청에 응답하여 실시간으로 콘텐츠 스토리지로부터 사용자 장치로 콘텐츠를 통신한다.

Description

비-실시간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11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유틸리티(Utility) 특허출원 제15/811,958호의 우선권을 가지며 또한 2016년 11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22,247호의 이익을 향유한다. 상기 출원의 전체 개시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동영상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위치하는 것(prepositioning)이 특정 서비스의 전반적인 가용성 및 임의의 광역 네트워크의 전체 성능을 향상시키는, 미리 위치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섹션의 내용은 단지 본 개시와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이며, 선행기술을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많은 지역에서 인터넷 서비스는 원하는 콘텐츠 소비량을 따라가지 못한다. 즉, 여러 시골과 전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충분한 초고속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얼 업, DSL 또는 위성은, 적시 또는 경제적 방식으로 고품질의 동영상 콘텐츠 또는 기타 대용량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지원하기 위한 적절한 속도 또는 경제적인 용량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는 서비스의 예이다. OTT(Over-the-top) 동영상 서비스는 미국 시장과 다른 곳에서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OTT 서비스는 전통적인 케이블 번들에 대한 매력적인 대안을 제공한다. 그러나 시골(rural) 지역의 많은 소비자는 실행가능한 OTT 또는 데이터 집약적인 서비스를 지원하기에 충분한 광대역 연결을 가지고 있지 않다. OTT 동영상 및 데이터 전달 대신, 시골 고객을 위한 비용 경쟁력 있는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많은 사람들은 전통적인 케이블 TV 서비스를 버리고 OTT 서비스를 선호하고 있다. 이것이 동영상 시청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양에 기여한다. 미국에서 약 1억 2천 5백만 가구 중 거의 절반이 최소한 1개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독하고 있다. 한 조사에 의하면, Netflix®, Amazon Prime Video® 및 iTunes®와 같이 가장 인기있는 동영상 서비스들로 인해 발생하는 트래픽의 양은 미국 내 인터넷 트래픽 피크(peak)의 40%를 넘게 차지한다. 또다른 18%는 YouTube®가 차지한다. 초고화질(UHD) 콘텐츠도 시장에 출현하기 시작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 트래픽의 증가는 당분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Netflix® 서비스의 경우, HD 콘텐츠에 5 Mbps가 권장된다. 그러나 UHD 콘텐츠의 경우 25 Mbps 연결이 권장된다. UHD 스트림은 시간당 최대 7 GByte를 소모할 수 있다.
시골에 거주하는 미국인들은 인프라가 부족하여 주문형(on-demand) 동영상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된다. 모바일 가입자들은 또한 자신들의 서비스가 TV에 대한 동영상 스트리밍을 적절히 지원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있다. OTT 엔터테인먼트를 소비하는 고객들은 사용자 장치가 필요로 하는 대량의 데이터로 인해 값비싼 고정 광대역 서비스를 사용한다.
시골에 거주하는 많은 소비자들은 OTT TV를 시청할 수 있는 옵션이 거의 없다. 최대 3천 4백만 명의 미국인이 25 Mbps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없다. 이들 중 3분의 2는 시골에 거주한다. 2천만 명의 미국인은 10 Mbps 서비스까지도 이용하지 못한다. 위성 및 장거리(long-loop) DSL 연결은 대용량의 동영상 콘텐츠를 지원하는 데에 대개 부적절하다.
저소득층은 동영상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수단으로서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여 동영상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은 각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데이터 용량 한계(cap)에 의해 제한된다. 동영상 서비스의 높은 데이터 강도로 인해 데이터 용량 한계가 초과되기 쉽다. 즉, 몇개의 HD 영화만으로도 한 가족이 모바일 광대역 데이터 용량 한계를 초과하게 할 수 있다.
다른 데이터 서비스도 데이터 사용 강도가 높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사물인터넷(IoT)도 서비스 제공이 원활하지 않은 사용자가 원하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소비할 수 있다.
본 개시는 통신 네트워크의 저비용 용량, 저사용 용량 또는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콘텐츠로 미리 채워진 중개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장치에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서, 콘텐츠를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은 콘텐츠 스토리지를 갖는 중개(intermediate) 장치, 중개 장치와 통신하는 사용자 장치, 및 통신 시스템을 통해 중개 장치로 콘텐츠를 통신하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를 포함한다. 중개 장치는 콘텐츠 스토리지에 콘텐츠를 저장한다. 사용자 장치는 다른 시점에 콘텐츠 스토리지에 콘텐츠를 요청한다. 중개 장치는 요청에 응답하여, 어떤 다른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콘텐츠 스토리지로부터 사용자 장치로 콘텐츠를 통신한다. 개시된 시스템은, 통신 시스템을 통해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중개 장치를 사용함 없이 사용자 장치로부터의 콘텐츠 요청을 직접적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직접적인, 실시간(live) 소비를 위해 사용자로 콘텐츠를 통신하는 두 경우 모두에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통신 시스템의 잔여 용량을 사용하고, 콘텐츠 스토리지에 콘텐츠를 저장하며, 어떤 다른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른 시점에 콘텐츠 스토리지로부터 사용자 장치로 콘텐츠를 통신할 수 있다. "미리 위치하는(pre-positioning)" 콘텐츠에 대해 본 시스템을 사용하여 통신되는 콘텐츠의 양은, 상기 미리 위치하는 것(pre-positioning)과 "요청에 반응하는 것"과 "직접적인, 실시간 소비" 시스템을 위한 것의 조합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치에 대해 그러한 콘텐츠 전달에 관련된 전체 용량, 처리율(throughput), QoS, 및 비용을 최적화하는 것에 기반한다.
본 개시의 또다른 측면에서, 방법은, 통신 시스템 제공자로부터 콘텐츠 스토리지를 포함하는 중개 장치로, 통신 시스템을 통해 또는 사용자 장치로부터의 콘텐츠 요청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용량을 통해, 콘텐츠를 통신하는 단계, 중개 장치의 콘텐츠 스토리지에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그 이후, 사용자 장치에 의해 콘텐츠 스토리지에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및 요청에 응답하여 중개 장치의 콘텐츠 스토리지로부터 사용자 장치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서, 방법은, 제1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근거리 통신망의 라우터로 제1 속도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라우터로부터 사용자 장치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 제2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1 속도보다 큰 제2 속도에서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콘텐츠 스토리지를 포함하는 중개 장치로 비-실시간으로 콘텐츠를 통신하는 단계, 중개 장치의 콘텐츠 스토리지에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그 이후, 사용자 장치에 의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스토리지에 저장된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및 요청에 응답하여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중개 장치의 콘텐츠 스토리지로부터 사용자 장치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방법은, 통신 시스템을 통해 콘텐츠를 수신하는 데에 중개 장치를 사용함 없이 사용자 장치로부터의 콘텐츠 요청을 직접 제공하거나 또는 직접적인, 실시간 소비를 위해 사용자로 콘텐츠를 통신하는 두 경우 모두에서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통신 시스템의 잔여 용량을 사용할 수 있고, 콘텐츠를 콘텐츠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어떤 다른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른 시점에, 콘텐츠 스토리지로부터 사용자 장치로 콘텐츠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응용가능한 영역들은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도면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예에 대한 고수준(high level)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다 상세한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근거리 통신망 내의 복수의 사용자 장치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LTE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고수준 블록도이다.
도 5는 위성을 사용하는 잔여 용량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사용된 위성 지상국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중개 장치로 콘텐츠를 통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a는 도 1의 실외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8b는 중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요청들을 사용자 장치로부터 중개 장치로 재지정(redirect)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비-실시간 콘텐츠 전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비-실시간 콘텐츠 전달 시스템의 위성 구현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콘텐츠 전달 시스템에 사용되는 3개의 위성 지면 항적선의 도면이다.
도 13은 이와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를 갖는 지면 항적선의 예이다.
도 14a는 4개의 도시(시애틀, 샌디에고, 포틀랜드, 마이애미)에 대한 앙각 대 시간의 그래프이다.
도 14b는 콘텐츠 전달 시스템의 추가 도달 범위(하와이, 앵커리지,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알래스카 및 푸에르토리코)에 대한 앙각 대 시간의 그래프이다.
도 15는 셀 제어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시스템에 따른 동글(dongle)의 블록도이다.
도 17은 캐로셀(carousel)용 컨트롤러 및 캐로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캐로셀로부터 콘텐츠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는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중개 장치를 통해 콘텐츠를 통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통신하는 방법의 보다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중개 장치에서 콘텐츠를 스케줄링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2는 잔여 용량 전달 시스템을 통한 전달을 위해 콘텐츠의 우선순위를 매기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3은 통신 시스템 제공자를 통해 트래픽을 우선순위 지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스포츠 다시보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5a 내지 도 25d는 스포츠 다시보기를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6은 소프트웨어,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7a는 중개 장치에서 가용한 콘텐츠를 사용하여, 중개 장치에 생성된 그리드 가이드로서 구현된 채널 가이드의 제1 표현이다.
도 27b는 중개 장치에서 가용한 콘텐츠를 사용하여, 중개 장치에 생성된 포스터 디스플레이로서 구현된 채널 가이드의 제2 표현이다.
도 28은 채널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9는 콘텐츠의 일부만 브로드캐스팅하고 나머지 콘텐츠를 브로드캐스팅에 후속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 응용 또는 용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명료함을 위해, 도면들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유사한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모듈이라는 용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전자회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공유, 전용 또는 그룹의) 및 메모리, 조합 논리회로, 및/또는 설명된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적절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라는 문구는 비-배타적 논리합을 사용한 논리(A 또는 B 또는 C)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방법 내의 단계들은 본 개시의 원리를 변경하지 않고 상이한 순서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교시는 최종 사용자 또는 사용자 장치로 콘텐츠를 전자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소스 및 사용자 장치 모두는,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를 위한 메모리 또는 다른 데이터 스토리지를 갖는 일반적인 컴퓨팅 장치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는 하드 드라이브, FLASH, RAM, PROM, EEPROM, ROM 상변화 메모리 또는 다른 이산 메모리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범용 컴퓨팅 장치는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대해서도 설명된다. 콘텐츠 제공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는 최종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는 실제 콘텐츠뿐만 아니라 메타데이터와 같은 콘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는 범용 컴퓨팅 장치, 통신 컴포넌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시스템 내의 다양한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관련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동영상(예를 들어, 텔레비전(TV), 영화, 뮤직비디오 등)의 전달에 관해서 설명되지만, 여기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예를 들어, 오디오, 음악, 데이터 파일, 웹페이지, 광고,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IoT 데이터, 날씨,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웹에 최적화된" 콘텐츠, 다양한 재료의 전자적 전달 등 임의의 미디어 콘텐츠 유형의 전달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데이터, 콘텐츠, 정보, 프로그램, 영화 예고편, 영화, 광고, 자산, 동영상 데이터 등에 대해 참조되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용어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동등하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특정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 시스템이 개시되지만,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에 많은 다른 전달 시스템이 쉽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한 시스템은 무선 지상파 분배 시스템, 유선 또는 케이블 분배 시스템, 케이블 TV 분배 시스템, 초고주파수(UHF)/고주파수(VHF) 무선 주파수 시스템 또는 기타 지상파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예를 들어, 다채널 다지점 분배 시스템(MMDS), 지역 다지점 분배 시스템(LMDS) 등), 인터넷 기반 분배 시스템, 셀룰러 또는 모바일 분배 시스템, 전력선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임의의 점대점 및/또는 멀티캐스트 인터넷 프로토콜(IP) 전달 네트워크, 및 광섬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와 중개 장치 사이에 집합적으로 할당된 다른 기능들은 본 개시의 의도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재할당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제한된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거나 심지어 인터넷에 전혀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한된 네트워크에서, 속도 또는 가용한 리소스는 서비스의 품질 수준을 제공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상기 제한된 네트워크보다 제2의 덜 제한된 네트워크의 잔여 용량은 중개 장치에 콘텐츠를 미리 위치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 뒤, 미리 위치된 콘텐츠는 외부의 제한된 네트워크에 의존할 필요없이, 사용자 장치에서 요구될 때 직접적으로 또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 장치 스토리지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잔여 용량(remnant capacity)은 콘텐츠 시스템 제공자가 고객의 정규 사용(regular use) 중에 데이터 또는 콘텐츠를 전송하는 데에 사용하지 않는 리소스 또는 복수의 리소스들이다. 주 고객을 위한 통신 네트워크의 정규 사용은 일차적 사용(primary use)으로 지칭될 수 있다. 잔여 용량은 2차적 사용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자와 통신 시스템 제공자 간의 계약에 따라 관리(govern)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는 잔여 용량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려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콘텐츠가 전달되어 오는 경로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잔여 용량에는 다른 용도로 할당될 수 있는 우선순위가 낮은 리소스도 포함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의미에서, 잔여 용량은 네트워크 사용량의 비-피크 시간(non-peak time) 동안 점점 더 활용되지 않는 데이터 경로 또는 대역폭이다. 반대로, 네트워크 사용량의 피크(peak) 시간 동안에는 가용한 잔여 용량이 제한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네트워크 사용량의 피크 시간은,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대부분이 네트워크의 사용자 또는 직접적인 고객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으로서 특징지어진다. 비-피크 시간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가장 적게 사용하는 시간이다. 예를 들어, LTE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잔여 용량은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요청한 음성 콘텐츠 또는 데이터 콘텐츠를 위해 사용되지는 않는 대역폭일 수 있다. 위성 시스템에서 잔여 용량은 실시간 소비를 위해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데에, 또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요청한 음성 콘텐츠나 데이터 콘텐츠를 위해 사용되지는 않는 대역폭이다. 이 잔여 용량 또는 통신 제공자 네트워크의 미사용되거나 덜 사용된 리소스를 활용하는 데에 드는 추가 비용은 매우 적은데, 이는 그 비용이 이미 고객이 정규 사용하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부담되어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그러한 제공 수단은 매우 비용 효율적인 콘텐츠 분배 수단이다. 본 시스템은 낭비되는 잔여 용량을 활용함으로써 통신 시스템 제공자가 이를 사용하여 고객에게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다른 사업자에게 그 용량을 판매할 수 있게 한다.
잔여 용량은 중개 장치, 통신 시스템 제공자, 및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의 상호 통신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용량의 현재 가용도, 용량의 향후 가용도, 및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통신될 콘텐츠의 우선순위에 대한 쿼리가 형성될 수 있다. eMBMS 품질 등급 식별자를 사용하는 서비스 품질(QoS) 우선순위 지정이 수행될 수 있다. 잔여 용량을 사용한 콘텐츠 전달은 큐(queue)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달될 모든 콘텐츠는 귀속된(attributed) 우선순위 레벨과 함께 큐에 배치된 다음, 어떤 우선순위를 어떤 규칙에 따라 어떤 순서로 제공할지 조정하면서, 잔여 용량 가용도에 따라 큐에서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달될 모든 콘텐츠는 귀속된(attributed) 우선순위 레벨과 함께 큐에 배치된 다음, 어떤 우선순위를 어떤 규칙에 따라 어떤 순서로 제공할지 조정하면서, 잔여 용량 가용도에 따라 큐에서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콘텐츠가 재전송될 수도 있다. 사용자 선호도(큐 배치), 누락된 콘텐츠(오류 수정), 해당 사용자에게 가장 인기있는 콘텐츠, 및 나머지 콘텐츠는 모두 큐 내에서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콘텐츠가 필요한 시각에 콘텐츠 통신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OTT 콘텐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또는 다른 집약적인 데이터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대용량의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로컬 콘텐츠 저장소에 콘텐츠를 캐싱 및 저장하여 사용자에 가깝게 콘텐츠를 미리 위치시킴으로써, 콘텐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초과 용량 또는 잔여 용량의 전략적 사용을 조합하는, 콘텐츠를 미리 위치시키기 위한 대용량 브로드캐스트 전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LTE 시스템, 위성 시스템 또는 디지털 TV 시스템과 같은 모바일 또는 셀룰러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서로 다른 유형의 통신 시스템의 잔여 용량을 사용할 수 있다. 동영상 콘텐츠와 같은 콘텐츠가,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는 중개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콘텐츠를 요청할 때, 콘텐츠 통신 네트워크에 추가 부담을 주어, 저속으로 원격 위치로부터의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콘텐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콘텐츠가 제공될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저장된 또는 캐싱된 콘텐츠 저장소로부터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영화, TV, 쇼, 다큐멘터리 및 뉴스를 포함한 다양한 동영상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즉시 다시보기(replay)와 같은 다른 유형의 동영상 프로그램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중개 장치에 연결된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용 소프트웨어 및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방어 목적 또는 대용량 데이터가 요구되는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그러한 데이터는 콘텐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로컬 콘텐츠 저장소에 미리 배치될 수 있으며, 데이터 소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시골 고객이나, 저속, 저용량 네트워크를 가진 시장의 고객이나, 또는 대량의 데이터, OTT 서비스나 다른 대량 데이터 어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하는 데에 저속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고속 케이블 또는 광섬유 네트워크와 동등한 효과를 제공하려 하는 회사의 고객에게 특히 적합하다. 특히, 상기 시스템은 콘텐츠 수요를 효과적으로 충족하기 위해 고속 케이블 또는 광섬유 네트워크를 추가할 필요 없이, 비-시골(non-rural) 고객 또는 다른 고객이 무선, 위성, TV 또는 DSL 또는 기타 유선 네트워크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저속의 콘텐츠 통신 네트워크는 미리 효과적으로 배치될 수 없는 사용자의 실시간 음성 및 데이터 요청을 최고(peak) 또는 정규 용량을 사용하여 제공하는 동안, 본 시스템에 의해서는 OTT 콘텐츠 동영상,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다른 대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용량 데이터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오프로드(offload)될 수 있고, 따라서 가정 내의 고속 케이블 또는 광섬유 네트워크 제공의 필요성이 제거되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하나의 시스템에서, 미리 배치시킴 및 로컬 콘텐츠 저장소로부터의 후속 사용을 통한 콘텐츠 전달과, 미리 효과적으로 배치될 수 없는 사용자의 실시간/라이브 음성 및 데이터 요청을 최고 또는 정규 용량을 사용하여 제공하는 것을 조합함으로써, 고속 케이블 및 광섬유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전술한 네트워크상에서의 혼잡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시스템은, 콘텐츠의 미리 배치시킴과 로컬 콘텐츠 저장소로부터의 후속 사용을 위한 잔여 용량 및 사용자의 실시간/라이브 음성과 데이터 요청을 제공하기 위한 최고 또는 정규 용량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콘텐츠 통신 네트워크 용량의 훨씬 더 많은 부분 또는 전체를 사용함으로써, 광대역 네트워크의 유효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자에게 다운로드될 가능성이 있는 콘텐츠가 로컬 콘텐츠 저장소 또는 중개 장치에 미리 배치된 다음 중개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경우, 콘텐츠 통신 네트워크를 실시간/라이브로 사용할 필요성이, 특히 피크 시간대에, 감소한다. OTT 동영상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포함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미리 배치하면, 특히 피크 시간 동안에, 다른 실시간 콘텐츠 요청, 실시간 양방향 통신, 또는 기타 실시간 콘텐츠 소비를 위한 모바일 및 고정 광대역 네트워크의 용량에 여유가 생긴다. 미리 배치시키는 잔여 용량 접근 방식과 실시간 음성 및 데이터 요청의 최고 또는 정규 용량 접근 방식을 조합함으로써, 그러한 접근 방식의 조합을 활용하여 임의의 전술된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킴에 따라, 저속 광대역 서비스 제공자는 기존 케이블 또는 광섬유 제공자와 일대일로 경쟁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의 고수준 블록도가 설명된다. 본 예에서, 통신 시스템 제공자(12)는 통신 네트워크(14)와 통신하고, 통신 네트워크(14)의 작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통신 네트워크(14)는 중개 장치(16)와 같은 중개 장치와 통신한다. 통신 시스템 제공자(12)는 통신 네트워크(14)를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통신 네트워크(14)는 통신 제공자 또는 인터넷(18)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 제공자(12)는 통신 네트워크(14)를 통한 콘텐츠의 스케줄 및 배치를 제어한다. 통신 시스템 제공자(12)는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4)는 인터넷(18)과 통신한다. 통신 네트워크(14)는 하나의 독립형(stand-alone) 네트워크일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들의 조합일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의 잔여 용량이 콘텐츠를 중개 장치(16)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4)는 무선일 수 있다. 중개 장치(16)로 콘텐츠를 통신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14)는 그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32)를 내부에 갖는, 위성(3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성(30)은 또한 통신 시스템 제공자의 안테나(36)와 통신하는 수신 안테나(34)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안테나(38)는 중개 장치(16)의 안테나(40)로 콘텐츠를 통신한다. 안테나들(34, 36, 38)은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다수의 유형의 안테나들을 나타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4)는 또한, 안테나(44)(또는 안테나들)가 그 위에 있는 셀 타워(42) 또는 임의의 다른 무선 송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44)는 셀룰러 안테나, WiFi 안테나, 또는 셀 타워(42)의 임의의 다른 무선 송신 안테나를 나타낼 수 있고, 통신 시스템 제공자(12)로부터 안테나(44)를 통해 무선으로 중개 장치(16)로 콘텐츠를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4)는 또한, 안테나(48)를 갖는 TV 타워(46)를 포함할 수 있다. TV 타워(46)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12)로부터 중개 장치(16)로 콘텐츠를 통신할 수 있다.
모든 통신 시스템 경우들에서, 통신 네트워크(14)는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잔여 용량은 사용자의 실시간/라이브 음성 및 데이터 요청과 실시간/라이브 음성 및 데이터 소비를 제공하는 데에 사용되지 않는, 그리고 중개 장치(16)에 콘텐츠를 미리 배치시키는 데에 보다 이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14)는 사용자가 후속 소비를 통신 네트워크(14) 대신에 중개 장치(16)로부터 직접 하도록, 비-실시간으로 콘텐츠를 중개 장치(16)에 효과적으로 분배(미리 배치)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4)는 근거리 통신망(310)과 통신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310)은 최대량의 콘텐츠가 다양한 중개 장치에 제공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접속 시스템을 사용하여, 중개 장치(16)로 콘텐츠를 나누어(in turn) 통신하거나 또는 중개 장치(16)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14)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분할 다중 접속, 공간 분할 다중 접속,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을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의 요구사항 및 제공된 시스템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유형의 접속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또한, 그 위에 배치된 안테나(50)를 가질 수 있다. 안테나(50)는 통신 네트워크(14)의 안테나(44) 및 안테나(48)와 통신할 수 있다. 중개 장치를 휴대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테나(50)는 수신율이 높은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작은 셀로서 동작할 수 있다.
실외 유닛 시스템(52)의 안테나(40)는 위성(30)의 안테나(38)와 통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40)는 편평한 위상배열(phased-array) 안테나일 수 있다. 실외 유닛 시스템(52) 및 중개 장치(16)의 세부사항은 아래에 제공된다.
중개 장치(16)는 또한 콘텐츠 스토리지(6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스토리지(60)는 솔리드 스테이트(solid state) 콘텐츠 스토리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스토리지(60)는 수 테라바이트 이상의 오더(order)의 대량의 데이터를 보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콘텐츠 스토리지(60)는 안테나(40) 또는 안테나(50)를 통해 수신된, 미리 배치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중개 장치(16)는 또한 백홀(back haul) 네트워크(64)와 통신할 수 있다. 백홀 네트워크(64)는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시스템으로 표현되는,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백홀 네트워크(64)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시스템(10)은 유선 네트워크(66)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미리 배치시키는 데에도 적합할 수 있다. 즉, 중개 장치(16)는 또한 유선 네트워크(66)를 통해 인터넷(18)에 연결될 수 있다. 콘텐츠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선 네트워크(66)의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미리 배치될 수 있다. 유선 네트워크는 DSL 네트워크, 케이블 네트워크 또는 광섬유 네트워크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4)는 또한 차량(70)과 통신할 수 있다. 차량(70)은 중개 장치(16)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 중개 장치(16')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70)은 자동차, 선박, 버스, 기차, 비행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탈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차량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50')에 연결된다. 물론, 안테나(50')는 중개 장치(16')에서 차량(7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80)는 중개 장치(16)와 통신한다. 편의상,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나타내는 선이, 사용자 장치(80)와 중개 장치(16) 사이에 표현된다. 사용자 장치(80)는 중개 장치(16),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개 장치(16)의 콘텐츠 스토리지(60)에 콘텐츠를 요청한다. 경기장, 사무실 건물, 호텔 또는 다수의 주거 유닛과 같은 장소(81)는 위성 안테나(38), 셀 타워(42)의 안테나(42) 및/또는 TV 타워의 안테나(48)와 통신하는, 외부 안테나(51)를 가진 중개 장치(16")를 가질 수 있다.
셀 타워(42)는 LTE 기술 또는 다른 셀룰러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셀 타워(42)는 LTE-B 기술을 사용하여 중개 장치(16)와 통신할 수 있다. 유선 접속(82)은 통신 네트워크(14)와, 인터넷(18) 및/또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중개 장치(16)는 셀 타워(42)의 일부일 수 있으며, 따라서 안테나(44)는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WiFi 또는 WiMax 안테나로서 동작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4)와, 인터넷(18) 또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12) 사이의 접속은 잔여 용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잔여 용량은 전술한 잔여 용량과 유사한 방식으로, 미리 배치된 콘텐츠를 통신 네트워크(14) 또는 인터넷(18)에 분배하고, 잔여 용량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그러한 미리 배치된 콘텐츠의 순차(in-turn) 분배가 궁극적으로 중개 장치(16)에 도달하도록, 시스템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 제공자(12)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와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12)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에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 및 통신 시스템 제공자(12)는 사업자일 수 있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12)의 잔여 용량을 구매할 수 있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는 사용자 장치(80)의 사용자에 의해 가입된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다. 그러나,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는 이동전화 서비스 제공자, 케이블 제공자 등과 같은 기존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12)의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콘텐츠가 분배되도록, 통신 시스템 제공자(12)로 다양한 명령들을 통신한다. 이들 시스템 간의 상호 통신에 대한 세부사항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는 광고 소스(210), 제1 콘텐츠 제공자(212A), 제2 콘텐츠 제공자(212B), 소프트웨어/장치/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소스(214) 및 스포츠 다시보기 소스(216)를 포함하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광고 소스(210)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로 광고를 통신할 수 있다. 광고는 동영상, 오디오 및 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는 원하는 타겟을 포함하거나, 또는 어떤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 및 제품 정의를 찾을 것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212A 및 212B)는 또한,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뿐만 아니라 동영상 및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콘텐츠 제목, 배우, 및 장르 등과 같은 다양한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식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는 콘텐츠 제공자들에 요청되거나, 콘텐츠 제공자들에 의해 중개 장치들에 미리 배치되도록 지시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장치/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소스(214)는 사용자 장치를 위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장치 업데이트 및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 및 통신 시스템 제공자(12)를 통해 중개 장치(16)에 제공할 수 있다. 업데이트는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대한 부가적 변경일 수 있는 반면, 새로운 소프트웨어는 현재 사용자 장치 또는 중개 장치(16) 내에 없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 업데이트는 사용자 장치, 소프트웨어 또는 그 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ID(identity)에 따라, 비-실시간 전달을 위해 장치에 의해 요청되거나, 장치의 작동없이 전달되어 중개 장치에 미리 배치될 수 있다.
스포츠 다시보기 소스(216)는 중개 장치(16)로의 분배를 위해 스포츠 서비스 제공자(90)에게 스포츠 다시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스포츠 다시보기 콘텐츠는 게임 또는 경기의 특정한 이벤트 또는 중요한 이벤트의 짧은 동영상 클립일 수 있다. 스포츠 다시보기는 오디오 및 동영상 콘텐츠가 모두 포함된 클립일 수 있다. 스포츠 다시보기는 또한, 팀, 소속 선수, 스포츠, 클립 또는 다시보기 표시제목 등을 식별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 표시제목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 제목이다.
전술한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와 함께 포함된 메타데이터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12)의 제어 하에 통신 네트워크의 잔여 용량을 사용하는 동안, 임의의 다른 콘텐츠 분배 우선순위를 수용하는 적절한 스케줄에 따라 적절한 중개 장치 또는 중개 장치들에 콘텐츠가 분배될 수 있게 한다.
중개 장치(16)는 콘텐츠 스토리지(60) 및 수신기(220)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수신기(22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4)로부터의 통신을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송신기(22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4), 유선 네트워크(64)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66)에 대해 또는 그로부터,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80)는 중개 장치(16)와 직접 또는 유선 연결(224)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중개 장치(16)는 따라서 동글(dongle) 또는 사용자 장치(80)에 직접 연결된 다른 유형의 장치일 수 있다. 유선 연결(224)은 HDMI 또는 USB 연결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중개 장치가 시스템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개 장치(16)는 제2 중개 장치(16')와 통신할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중개 장치(16)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안테나(50)로부터 중개 장치(16')의 안테나(50')로 통신할 수 있다. 중개 장치들(16, 16')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2개 이상의 중개 장치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는 이들 사이에서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통신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중개 장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14)로부터 송신된 콘텐츠의 일부를 누락하면, 상기 중개 장치가 상기 누락된 콘텐츠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쿼리를 다른 중개 장치가 질의 받을 수 있다. 누락된 콘텐츠는 안테나(50 및 50') 사이에서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통신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4)는 또한, "누락된" 방식과 다른 의도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다른 중개 장치들로 통신되는 콘텐츠의 다양한 부분들을 분배할 수 있다. 하나의 중개 장치의 사용자가 콘텐츠를 필요로 하지만 그 중개 장치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의도적 요청을 위한 중개 장치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내의 다른 중개 장치에 상기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중개 장치들(16')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4)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능력을 갖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의도적" 또는 "누락"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오로지 다른 중개 장치들(16 및 16')과 통신할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사용자 장치(80')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80')는 안테나(50")를 통해 중개 장치(16')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80')는 사용자 장치(80)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사용자 장치(80)에 관해 도시된 것 같은 유선 연결이 아니라 무선 장치일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 제공자(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14)를 통해 근거리 통신망(310)과 통신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통신 네트워크(14)만 도시되었다. 도 1 및 도 2에는 근거리 통신망(310)이 도시되지 않았다. 근거리 통신망(310)은 통신 네트워크(14)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12)를 가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312)는 모뎀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310)은 또한 제2 통신 네트워크(14')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14')는 사용자 장치들(332-344)에 대한 주로 양방향의 인터넷 연결일 수 있다. 제2 네트워크(14')는 전화 접속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시스템(10)은 중개 장치(16)에 콘텐츠를 미리 배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콘텐츠의 보완은,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사용자 장치들(332-344)에 정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2 통신 네트워크(14')가 통신 네트워크(14)의 속도보다 느릴 때 특히 유용하다. 근거리 통신망(310)은 통신 시스템을 통해 수신된 미리 배치된 콘텐츠를 제외하고, 양방향 인터넷 연결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망(310)은 또한 라우터(314)를 포함할 수 있다. 라우터(314)는 중개 장치를 근거리 통신망(310) 내의 사용자 장치와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은 유선 네트워크(316) 및 무선 네트워크(318)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장치가 각 통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3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중개 장치(16)와 통신한다. 근거리 통신망(310)은 또한 인터페이스(312) 및 라우터(314)와 함께, 중개 장치(16)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310)은 또한 중개 장치(16), 인터페이스(312) 및 라우터(314)와 함께, 사용자 장치(33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콘텐츠 스토리지(60) 및 안테나(50)를 포함한다. 중개 장치(16')는 근거리 통신망(310)과 통신하고, 근거리 통신망(310)을 통해 중개 장치(16)와 콘텐츠 또는 다른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또한, 사용자 장치(3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330) 또는 중개 장치(16")는 근거리 통신망(310)과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5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통신 네트워크(14)의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330)는 비디오게임 콘솔, 이동전화, 셋톱박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330)는 유선 네트워크(316) 또는 무선 네트워크(318)를 통해 근거리 통신망(310)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332)는 유선 네트워크(316)를 통해 근거리 통신망(310)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334)는 무선 네트워크(318)를 통해 근거리 통신망(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들(332, 334)은 휴대전화 또는 스마트폰, 태블릿, 랩탑, TV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사물인터넷(IoT) 장치(336)는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들(316, 318)을 통해 근거리 통신망(310)에 연결될 수 있다. IoT 장치(336)는 잔여 용량을 통해 적절하게 전달된 소프트웨어 및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필요로 할 수 있다.
TV(338)도, 유선 네트워크(316) 또는 무선 네트워크(318)를 통해 근거리 통신망(310)에 연결될 수 있다. TV(338)는 유선 네트워크(316) 또는 무선 네트워크(318)에 직접 연결하기 위한 스마트 TV일 수 있다. 그러나, TV(338)는 무선 네트워크(318)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동글(340)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동글(340)은 TV(338)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그 내부에 가질 수 있다. 동글(340)은 또한,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글(340)은 또한, 콘텐츠를 수신하고 저장하기 위한 중개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310)에 대해 연결되도록, 스마트폰(342)도 유선 네트워크(316) 및 무선 네트워크(318)와 통신할 수 있다.
머신(344)도, 유선 네트워크(316) 또는 무선 네트워크(318)를 통해 근거리 통신망(310)과 통신할 수 있다.
모든 사용자 장치들(330-344)은 블루투스 및 Wi-Fi를 포함하는 많은 다른 유형의 표준들을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318)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들(330-344) 각각은 중개 장치들(16, 16' 및 16")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근거리 통신망(310)을 통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들(330-344)에 대해 콘텐츠를 검색하고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장치들(330-344) 내에, 중개 장치(16) 내에, 근거리 통신망(310) 내에, 라우터(314) 내에, 또는 인터페이스(312) 내에 있을 수 있다.
콘텐츠 유형은 오디오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운영체제 업데이트, 다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어플리케이션, 날씨 정보, "웹에 최적화된" 콘텐츠, 및 다양한 자료의 전자적 전달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들(330-344)의 사용자들은 각각 중개 장치(16)의 콘텐츠 스토리지(60)로부터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얻을 수 있다. 콘텐츠는 콘텐츠 스토리지(60)로부터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획득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들(330-344)은 근거리 통신망(310)를 통해 통신되고 궁극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 및 통신 시스템 제공자(12)에게 되돌아가는, 인벤토리 목록 또는 원하는 콘텐츠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되돌아가는 통신은 통신 네트워크(14 또는 1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LTE 콘텐츠 전달 시스템(410)이 도시된다. 본 예에서 통신 모듈은 특히, OTT 동영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LTE 시스템으로 지시된다. 그러나, 다른 휴대전화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OTT 주문형비디오(VOD) 파트너 데이터센터(420)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로서 동작하며, 내부에 동영상 원시 서버(422)를 갖는다. 동영상 원시 서버(422)는 도 2에 설명된 소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한다. 파트너 데이터센터(420)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12)와 통신한다. 이 경우, 통신 시스템 제공자(12)는 LTE 무선 데이터센터(430)이다. LTE 무선 데이터센터(430)는 동영상 원시 서버(422)와 통신하는 동영상 서버(432)를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센터(430)는 또한 지능형 엔진/콘텐츠 제어 시스템(434)과 통신한다. 지능형 엔진/콘텐츠 제어 시스템(434)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능형 엔진/콘텐츠 제어 시스템(434)은 LTE 무선 네트워크(440)의 잔여 용량을 포함하는 잔여 용량을 식별하고, LTE 무선 네트워크(440)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중개 장치로의 콘텐츠 전달을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지능형 엔진/콘텐츠 제어 시스템(434)은 또한, 필요한 경우 콘텐츠를 제거함으로써 중개 장치에서 콘텐츠를 관리할 책임이 있을 수 있다. 지능형 엔진/콘텐츠 제어 시스템(434)은 또한, LTE 무선 네트워크(440)에 의해 분배되고 임의의 중개 장치(16)에 분배될 최적의 콘텐츠 양, 콘텐츠 재분배의 빈도 및 서로 다른 콘텐츠의 상대적인 타이밍을 계산할 책임이 있을 수 있다.
무선 데이터센터(430)의 동영상 서버들(432)은 LTE 무선 네트워크(440)와 통신한다. LTE 무선 네트워크(440)는 고객 구내(450)와 통신한다. 고객 구내(450)는 중개 장치(16)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무선 네트워크(440)에서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되는 LTE-B 액세스 포인트(452)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452)는 또한, 무선 네트워크(440)에 동조(tuning)하기 위한 명령들을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시각에 콘텐츠를 동조하기 위해 특정 명령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채널, 주파수 및 시간은 모두 명령 신호 내에 통신될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또한, Wi-Fi 액세스 포인트(454) 및 콘텐츠 스토리지(456)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액세스 포인트(454)는 시스템 내의 다양한 사용자 장치들(458)과 Wi-Fi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Wi-Fi 액세스 포인트는 라우터로 지칭될 수 있다. 콘텐츠 스토리지(456)는 LTE-B 액세스 포인트(452)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다른 무선 기술이 액세스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들(458) 각각은 콘텐츠 스토리지(456) 내의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452)를 통해 수신될 수 있거나, 사용자가 시스템을 구매할 때 콘텐츠 스토리지(456) 내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또한 사용자 장치들(458) 내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위성(30)에 기초한 콘텐츠 제공자 시스템(510)이 설명된다. 본 예에서, 지상국(520)은 송신 안테나(522)로 콘텐츠를 통신한다. 송신 안테나(522)는 업링크(524)를 통해 위성(30)으로 콘텐츠를 통신한다. 다운링크(526)는 고객 구내 또는 다른 사용자에 위치한 위성 수신기(528)로 콘텐츠를 통신한다. 다운링크(526)는 위성(30)의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로부터의 신호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경로 또는 빔이 중개 장치(530) 또는 다수의 중개 장치들로 통신할 수 있다. 물론, 미국 대륙 빔(continental United States beam, ConUS)과 같은 단일 광폭 빔이 사용될 수도 있다. 중개 장치(530)는 위성 수신기(528)와 통신한다. 위성 수신기(528)는 중개 장치(530)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중개 장치(530)는 무선 네트워크(532)를 통해 사용자 장치(534)로 콘텐츠를 통신한다. 지상국으로부터의 콘텐츠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완전히 사용되지 않은 리소스의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통신될 수 있다. 중개 장치는 리턴 링크(542)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540)와 통신한다. 네트워크(540)는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네트워크(540)는 데이터를 제1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550A) 또는 제2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550B)에 제공하는 인터넷(544)과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분석 데이터, 콘텐츠 목록, 선호도 등이 중개 장치(530)로부터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550A, 550B)로 통신될 수 있다.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550A)는 콘텐츠 배포 네트워크(552A)와 통신할 수 있다.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550B)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552B)와 통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552A, 552B)는 서비스의 비즈니스 파트너에 대응할 수 있다.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552A, 552B)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상호연결 위치(554)로 콘텐츠를 통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콘텐츠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556)로 통신된다.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556)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12)의 일부일 수 있는 지상국(520)으로 콘텐츠를 통신한다. 동영상 제공자 저장소(560)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556)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저장소(562)도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소(562)는 동영상 제공자 저장소(560)의 콘텐츠 유형과 다른 유형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대체 동영상, 원본 동영상 콘텐츠, 오디오 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중개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분석 엔진(566)은 지상국(520) 내에 배치된다. 분석 엔진(566)은 시스템에 배치된 복수의 중개 장치(530)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분석 서버는 사용 경향, 문제해결, 선호도, 인구 통계, 광고에 대한 행동 데이터, 가격 책정, 지능형 엔진 성능 및 기타 분석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 중개 장치의 피드백을 해석한다.
저장소(560, 562)는 콘텐츠 파트너 요구사항 및 다양한 계약에 따라 동영상 및 메타데이터의 보호된 스토리지를 제공한다.
콘텐츠 관리자/스케줄러(CMS)(570)는 지상국(52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관리자/스케줄러(570)는 지능형 엔진(572)으로부터 콘텐츠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모든 콘텐츠 및 명령어가 중개 장치에 전송되는 스케줄을 관리하고, 콘텐츠의 브로드캐스팅을 위한 적절한 스케줄을 생성하며, 중개 장치 관리서버로부터 중개 장치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 브로드캐스팅을 위한 적절한 스케줄을 생성하며, 서버로 하여금 콘텐츠 저장소(562)로부터 콘텐츠를 가져오게(pull) 명령하고, 상기 스케줄에 따라 콘텐츠를 브로드캐스팅한다. CMS(570)는 또한, 특정 시간에 특정 튜너를 사용하도록 중개 장치에 지시하는, 중개 장치에 대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자/스케줄러(570)는 또한, 시스템 및 예측된 콘텐츠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콘텐츠에 기초하여, 잔여 용량을 결정한다. 콘텐츠 매니저/스케줄러(570)는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게 한다.
지능형 엔진(572)은 다양한 콘텐츠 파트너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분배 가능한 콘텐츠를 결정하며, 콘텐츠가 저장소(560, 562)에서 분배될 수 있게 한다. 지능형 엔진(572)은 또한, 제거를 위해, 이전에 중개 장치에 전달된 콘텐츠의 제거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지능형 엔진(572)은 또한, 중개 장치를 모니터링하고, 각 중개 장치에서 가용한 콘텐츠 스토리지의 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파트너들이 지상국(520)과 연관될 수 있다. 즉, 콘텐츠가 그에 따라 스케줄링될 수 있도록, 데이터는 파트너마다 중개 장치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지능형 엔진(572)은 또한, 콘텐츠를 브로드캐스팅하고 다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시간 및 주기를 지정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위성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방송하는 데 사용되는 캐로셀(carousel)은 지능형 엔진(572)을 사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지상국(520)은 중개 장치 관리 서버(580)를 포함한다. 중개 장치 관리 서버는 고객 구내에서 중개 장치의 관리를 담당한다. 중개 장치는 중개 장치에 대한 보안 관리 메시지를 생성하고 중개 장치의 사용 및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스토리지의 할당은 다양한 파트너 계약을 기반으로 중개 장치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중개 장치 관리 서버(580)는 또한, 중개 장치에 대한 원격 구성, 인증 및 문제해결을 관리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지상국(520)이 동일한 참조번호로 설명된다. 지상국(520)은 콘텐츠 파트너 구내(610)와 통신할 수 있다. 콘텐츠 파트너 구내(610)는 콘텐츠 파트너 동영상 원시 서버(612) 및 콘텐츠 관리자/스케줄러(6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지상국(520)은 복수의 데이터 캐로셀 서버(62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파트너 구내(610)에 대한 지상국(520)의 동작이 도7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710)에서, 콘텐츠는 스토리지 저장소로 통신되고, 콘텐츠는 콘텐츠 파트너 동영상 원시 서버(612)로부터 스토리지 저장소(560, 562)에서 관리된다. 스토리지 저장소(560, 562)는 그 안에 콘텐츠를 저장한다. 콘텐츠 파트너 구내의 콘텐츠 관리자/스케줄러(614)로부터 지능형 엔진(572)으로 우선순위를 갖고 콘텐츠 전송 명령이 통신된다. 단계(714)에서는, 지능형 엔진(572)에서 전송 명령 및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콘텐츠 분배 스케줄이 결정된다. 우선순위는 파트너 제공자의 지불에 의해 높아질 수 있다. 단계(716)에서는, 저장소 내에 저장된 콘텐츠가 지능형 엔진에 의해 콘텐츠 스케줄 동안 검증된다. 즉, 지능형 엔진(572)은 저장소가 콘텐츠를 포함하는지 스케줄 동안 판단한다. 단계(718)에서, 지능형 엔진(572)으로부터 지상국(520)의 콘텐츠 관리자/스케줄러(CMS)(570)로 스케줄이 통신된다. 단계(720)에서는, 전송 명령이 CMS(570)에서 생성되고 캐로셀 서버(620)로 통신된다. 캐로셀 서버(620)는 단계(722)에서 전송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되고 다수의 경로를 포맷한다. 반복율과, 특정 콘텐츠에 전용되는 서버의 수와, 비트 스트림이 모두 전송 명령으로 설정되어, 캐로셀 서버가 이에 응답하여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724)에서는, 콘텐츠를 분배할 시간이 되면, 캐로셀 서버(620)는 전송 명령, 또는 전송 명령과 관련된 스케줄에 따라 적절한 저장소로부터 콘텐츠를 인출(pull)한다. 단계(726)에서, 중개 장치 관리 서버(580)에 의해 판단된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콘텐츠가 중개 장치로 전송된다.
콘텐츠 파트너 구내 또는 지상국(520)은 사용 경향, 문제해결, 선호도, 인구 통계, 광고에 대한 행동 데이터, 가격 결정, 지능형 엔진 성능 및 다른 분석 기능을 포함하여 개별 중개 장치로부터의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피드백은 궁극적으로 스케줄, 및 다른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광고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콘텐츠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이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실외 유닛 시스템(52)에 대한 중개 장치(16)가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실외 유닛 시스템(52)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조정되는 안테나(810)를 포함한다. 안테나(810)는 45 cm 또는 75 cm의 포물선 접시와 같은 작은 크기일 수 있다. 평평한 평면 안테나가 옥상, 차양 또는 차량 위에 평평하게 설치 및 사용될 수도 있다. 안테나(810)는 예를 들어, 위성을 추적할 수 있도록 단일 편파, 단일 대역 광폭 개구 장치 또는 이중 편파 자기조준 적응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파라볼릭 안테나는 안테나 비행 경로를 추적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움직이도록 모터 연결될 수 있다. 위상배열 안테나가 사용되는 경우, 위상배열 안테나는 위성을 보도록 전자적으로 조종될 수 있다. 안테나는 저잡음 증폭기에 연결된다. 즉, 안테나(810)에서 수신된 위성 신호는, 이를 전자적으로 증폭하기 위해 저잡음 증폭기(812)로 통신된다. 다운 컨버터는 수신된 신호를 동축 케이블을 통한 전송을 위해 L-밴드로 하향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다운 컨버터(814)는 L-밴드 인터페이스(816)로 신호를 통신한다.
실외 유닛(52)은 또한 트랜스폰더 셀렉터(82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폰더 셀렉터(820)는 콘텐츠가 수신될 위성의 적절한 트랜스폰더에 대해 튜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는 지상국의 지능형 엔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신호는 트랜스폰더에서 수신될 수 있고, 트랜스폰더 셀렉터(820)는 그에 응답하여 안테나를 튜닝할 수 있다.
실외 유닛(52)은 실외 유닛(52)에 전력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동축 L-밴드 인터페이스(816)를 포함한다. L-대역 인터페이스(816)는 동축 케이블(818)을 통해 전송된 L-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L-밴드" 신호가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유형의 안테나 및 다양한 주파수에 대한 다양한 다른 유형의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위성 시스템의 외부에서, TV 안테나 또는 LTE 안테나가 사용되어 인터페이스(816)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816)는 LTE-B(eMBNS 또는 MBSFN)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거나, 잔여 용량을 갖는 공중파 TV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LTE-B 수신기(824A) 또는 ATSC 수신기(824B)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ATSC 수신기(824B)는 ATSC 3.0 수신기일 수 있다. 따라서, 중개 장치(16)는 외부 입력 인터페이스(822)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튜닝하고 복조하기 위한 튜너 복조기(830)를 가질 수 있다. 튜너 복조기(830)는 입력 인터페이스(822)를 통해 수신된 L-밴드 신호 또는 ATSC 신호를 동조 및 복조할 수 있다. 튜너 복조기(830)는 또한, 순방향 오류 정정(FEC)과 같은 오류 정정기를 가질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또한, 인터페이스(822)로부터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LTE-B 수신기(832)를 가질 수 있다. LTE-B 수신기는 ATSC 시스템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한다. 유선 수신기(834)는 네트워킹 트래픽을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선 수신기(834)는 USB 또는 HDMI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822)는 또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18) 연결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외부 인터페이스(822)는 중개 장치(16)로 콘텐츠를 통신하기 위한 모뎀(835)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저장 모듈(836)을 포함한다. 저장 모듈(836)은 솔리드 스테이트 장치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킹 및 라우팅 인터페이스(838)는 다양한 네트워크 및 라우팅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액세스 포인트(840)는 라우터(842)와 인터페이스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라우터(842)는 또한, 이더넷/LAN 포트(844)를 사용하는 유선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킹 및 라우팅 인터페이스(838)는 장치로부터 LTE 라디오 신호를 통신하기 위한 LTE 라디오(846)를 포함할 수 있다. LTE-B 수신기(832) 및 LTE 라디오(846)는 신호 유닛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중개 장치(16)는 블루투스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즉,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848)가 네트워크 및 라우팅 인터페이스 모듈(838)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컨트롤러(85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850)는 웹서버(852), 분석 엔진(854) 및 콘텐츠 프로세서(856)와 같은 것을 포함하는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b에는 개별 상호 연결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컨트롤러는 중개 장치 내의 다양한 모듈의 기본(underlying) 타이밍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웹서버(852)는 중개 장치로부터의 콘텐츠를 IP 포맷으로 통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850)는 또한, 타이머(858)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시각들에서 데이터에 동조할 수 있다. 타이머(858)는 GPS 또는 인터넷 기반 시간 표준을 사용하여 시스템 내의 다양한 다른 중개 장치와 동기화될 수 있다. 콘텐츠 프로세서(856)는 미리 결정된 시각에 콘텐츠를 수신하고, 콘텐츠의 저장을 관리하며, 저장된 콘텐츠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하는 매니페스트 파일을 수신 및 조작하도록 제어한다. 분석 엔진(854)은 시스템에 대한 중개 장치 기반의 분석 기능을 처리한다.
인접한 중개 장치도 중개 장치(16)로부터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및 라우팅 인터페이스(838)는 콘텐츠, 콘텐츠 청크(content chunks) 또는 저장 모듈(836)에 누락된 콘텐츠의 수신을 위해, 다른 중개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오류, 하드웨어 오류 또는 날씨로 인해 콘텐츠가 저장 모듈(836)에 수신되는 것이 방해될 때 콘텐츠 누락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중개 장치와의 통신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서버(852)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및 라우팅 인터페이스(838)는 저장 모듈(836)에서 콘텐츠 청크 또는 누락된 콘텐츠를 요청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 제공자(12) 또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로 요청 신호를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 제공자는 요청 중개 장치에 대한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요청된 콘텐츠를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완전한 브로드캐스트 재전송이 수행될 수도 있다. 상당한 수의 중개 장치가 특정 콘텐츠를 요청할 경우 재전송이 발생할 수 있다.
컨트롤러(850) 내에는 인증 모듈(860)도 포함될 수 있다. 인증 모듈(860)은 장치들이 적절히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인증 신호를 통신 시스템 제공자에게 또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를 위해 통신할 수 있다. 미인증된 장치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광고 삽입 모듈(862)은 브로드캐스트 동안의 미리 결정된 시각에 광고를 삽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광고 삽입 모듈(862)은 미리 정의된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광고를 삽입할 수 있다. 광고 삽입 모듈(862)은 저장 모듈(836) 내에 저장될 수 있는 광고를 삽입하기 위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사용 정보 모듈(864)은 통신 시스템 제공자(12) 또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에게 중개 장치(16) 내의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의 사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심있는 콘텐츠가 중개 장치(16)로 통신될 수 있다. 사용 정보는 중개 장치(16)로 신호를 통신하는 네트워크 이용의 모니터링과 관련된 데이터일 수도 있다.
문제 해결 모듈(866)은 소싱 동영상 파일이 가진 문제 또는 중개 장치(16)의 설치가 가진 문제를 식별하기 위한 분석을 위해, 아웃바운드 신호를 통해 분석 엔진에 문제 해결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인벤토리 모듈(868)은 저장 모듈(836) 내에 저장된 콘텐츠의 인벤토리를 저장한다. 인벤토리 모듈(868)은 또한 콘텐츠와 함께 수신된 메타데이터마다 만료된 콘텐츠를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콘텐츠가 만료된 후에, 인벤토리 모듈(868)은 저장 모듈(836) 내의 공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콘텐츠를 제거한다.
과금 모듈(870)은 과금 정보를 중개 장치(16)로부터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과금 모듈(870)은 중개 장치(16)의 소유자에게 과금을 제공하기 위해, 시청된 콘텐츠 및 다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과금 모듈(870)은 또한, 인벤토리 모듈(868)로부터 중개 장치에 대해 인벤토리 데이터를 보고할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내부의 다양한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872)도 포함할 수 있다.
중개 장치(16)는 또한 라이브러리 가이드/채널 모듈(874)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 가이드/채널 모듈(874)은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라이브러리 가이드/채널 모듈(874)은 저장 모듈(836) 내에 저장된 콘텐츠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가이드 또는 가상 채널을 구성(assemble)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라이브러리 가이드/채널 모듈(874)의 동작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중개 장치(16)는 사용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일련의 콘텐츠로서 가상 채널 또는 다수의 가상 채널들을 공식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콘텐츠를 갖는 친숙한 그리드 가이드(grid guide)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채널"에 따라 그룹화된 콘텐츠를 갖는 라이브러리 가이드로부터 포스터 가이드와 같은 다른 유형의 가이드도 형성될 수 있다. 채널은 선형 TV 채널 또는 그와 관련된 콘텐츠를 수신할 능력이 없는 충분히 활용되지 않은 영역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통상적인 방송 네트워크에 대응할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중개 장치에서 요청들을 재지정(redirect)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단계(910)에서, 근거리 통신망(310)을 통해 중개 장치(16)에 연결되거나 또는 중개 장치에 내장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중개 장치에 사용자 장치로부터 요청이 수신된다. 상기 요청은 사용자 장치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나올 수 있다. 단계(912)에서, 중개 장치는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웹서버에 접속하도록 사용자 장치를 재지정한다. 즉, 단계(914)에서, 응답 신호는 중개 장치 웹서버의 IP 주소로 사용자 장치로 통신된다. 단계(916)에서, 콘텐츠에 대한 제2 요청이 중개 장치의 웹서버로 통신된다. 단계(918)에서, 콘텐츠가 중개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된다. 콘텐츠가 중개 장치에 저장된 경우, 콘텐츠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장치로, 또는 중개 장치에서 사용자 장치로의 직접 연결을 통해, 통신된다. 단계(918)에서, 요청된 콘텐츠가 중개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922)는 중개 장치의 포트를 통한 요청을,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로 단계(924)에서 통신할 수 있다. 콘텐츠는 단계(926)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콘텐츠는 거의 실시간으로 또는 중개 장치로 가능한 한 빨리 통신될 수 있다. 중개 장치로 나중에 전달하기 위해 콘텐츠를 큐에 대기시킬 수도 있다. 즉, 콘텐츠에 대한 충분한 요청이 제공될 때까지 콘텐츠는 통신되지 않을 수 있다. 단계(928)에서,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로부터의 응답 신호는 도 2에 도시된다. 단계(928)에서 응답 신호는 또한, 시각, 트랜스폰더(가능한 경우), 및 통신 채널이나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중개 장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로부터 후속 통신된 이러한 콘텐츠를 중개 장치(16)의 콘텐츠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 장치로부터 이러한 콘텐츠에 대한 후속 요청은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로부터 얻어질 필요없이, 중개 장치(16)로부터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지정(directing) 및 재지정(redirecting) 단계(914-922)는 중개 장치의 웹서버와 관련된 도메인 네임 서버(DNS) 및/또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 또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와 관련된 웹서버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단순화된 시스템의 고수준 블록도가 도시된다. 블록(1010)의 콘텐츠는 영화, 동영상, 오디오, 콘텐츠 소스, 웹사이트,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는 또한 시스템 정보, 자동화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패킷화, 시퀀싱 및 스케줄링 규칙 모듈(1012)에는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가 제공된다. 패킷화, 시퀀싱 및 스케줄링 규칙은 복수의 데이터 캐로셀(1014)을 데이터로 채우고, 스케쥴 수행을 위해 콘텐츠를 통신하는 데 사용된다. 스케줄링 규칙은 데이터 캐로셀(1014)에, 다양한 유형의 전달 경로의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시간주기를 제공할 수 있다. 공중의 위성 브로드캐스팅, ATSC 브로드캐스팅, 케이블 브로드캐스팅 등과 같은 복수의 전달 경로(1016)는, 특정 데이터 캐로셀(1014) 또는 데이터 캐로셀(1014) 내 특정 콘텐츠의 전달을 위한 하나의 그러한 전달 경로(1016)의 사용을 다른 데이터 캐로셀(1014) 또는 콘텐츠의 전달을 위한 또다른 그러한 전달 경로(1016)의 사용에 우선하는 것을 포함하여, 콘텐츠를 통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캡처 규칙(1018)은 다양한 수신 장치 또는 중개 장치(1022A-1022N)에서 캡처된 데이터(1020)를 캡처하는 데 사용된다. 캡처 규칙은 블록(1010)으로부터 제어 콘텐츠로서 통신될 수 있다. 즉, 캡처될 콘텐츠, 캡처될 시각, 캡처될 트랜스폰더 및 다른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캡처 규칙이 캡처 규칙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중개 장치(1022A-1022N)는 전술한 바와 같은 중개 장치일 수 있다. 서로 다른 고객들을 위한 중개 장치들(1022A-1022N)은 서로 다르게 프로그램될 수 있다. 즉, 중개 장치들(1022A-1022N)은 서로 다른 캡처 규칙들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중개 장치는 서로 다른 캡처된 데이터(1020)를 캡처할 수 있다.
중개 장치들(1022A-1022N)은 집합적으로, 중개 장치(1022)로 지칭된다. 각각의 중개 장치(1022)는 내부에 프로세서 로직(1032)을 가질 수 있다. 액세스 인터페이스(1034)는 중개 장치(1022)가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게 한다. 데이터 저장 장치(1036)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40)에서의 최종 재생을 위한 수신 장치 내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결(1042)을 사용하여 중개 장치(1022)로 통신될 수 있다. 연결(1042)은 네트워크 연결 또는 지정(direction) 연결일 수 있다. 연결(1042)은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HDMI 케이블, USB 케이블, 블루투스 등일 수 있다.
중개 장치(1022)는 또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90) 또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12)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해, 백 채널(1052)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51)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50)는 원격 제어,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일 수 있다. 백 채널(1052)은 인터넷 경로, 전화 경로 또는 다양한 다른 유형의 유선 또는 무선 경로일 수 있다. 백 채널은 통신 네트워크(14 또는 14') 중 하나에 통할 수 있다. 귀환 위성 경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백 채널은 위에서 설명한 지상파 네트워크 유형 중 하나의 잔여 용량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의 잔여 용량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위성 방송 구현(1110)이 설명된다. 콘텐츠를 위성에 업링크하기 위해 다양한 업링크 사이트들(1112A 및 1112B)이 사용될 수 있다. 업링크 사이트는 업링크 신호(1114A, 1114B)를 생성한다. 업링크 신호들(1114A, 1114B)은 위성(1116)에 의해 제1 수신 안테나(1118A) 및 제2 수신 안테나(1118B)를 통해 수신된다. 제1 안테나(1118A)는 제1 주파수 대역(Band A)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안테나(1118B)는 제2 주파수 대역(Band B)에 대응할 수 있다. 복수의 수신기들(1120A 및 1120B)은 위성(1116)을 통한 전송을 위해 수신기들(1120A 및 1120B)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되는, 업링크 신호들(1114A 및 1114B)을 수신한다. 증폭기(1122)는 신호를 증폭시킨다. 증폭기(1122)는 진행파 튜브 증폭기일 수 있다. 복수의 컴바이너(1124A 및 1124B)는 다운링크 신호들(1126A 및 1126B)을 생성하는 다운링크 안테나들(1125A, 1125B)을 통한 전송을 위해 다양한 증폭기들로부터의 신호들을 결합한다. 다운링크 신호들(1126A 및 1126B)은 주파수 및 지리(geography)에 종속적일 수 있다. 즉, 다운링크 신호들(1126A, 1126B) 사이의 간섭이 형성되지 않도록, 인접한 신호들에서 다양한 주파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중개 장치 또는 다른 사용자 장치(1128A 및 1128B)를 나타내는 다양한 사용자 사이트는 다운링크 안테나(1130A 및 1130B)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다양한 체인을 수신한다. 안테나(1130A, 1130B)는 중저궤도 위성이 사용되는 경우 위성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추적 안테나일 수 있다. 물론, 추적 안테나가 필요 없도록 정지궤도 위성의 잔여 용량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2를 참조하면, 지구(1220)에 대한 시스템의 지면 항적선(ground track)이 보다 상세히 도시된다. 본 예에서, 지면 항적선(1210A)은 제1 위성(위성 1), 제2 위성(위성 2) 및 제3 위성(위성 3)을 갖는다. 제2 지면 항적선(1210B)은 제4 위성(위성 4), 제5 위성(위성 5) 및 제6 위성(위성 6)을 갖는다. 제3 지면 항적선(1210C)은 제7 위성(위성 7), 제8 위성(위성 8) 및 제9 위성(위성 9)을 갖는다. 위성들(1-9)은 위성 시스템의 초기 배치에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의 작동 특성을 추가로 확장하기 위해 위성들(10, 11 및 12)이 추가될 수 있다. 지면 항적선은 경사궤도 위성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다. 위성 시스템은 2개의 남북 지역을 커버할 수 있는 정지주기를 가진 비-정지궤도 위성 시스템이다. 지상 터미널에 더 높은 앙각을 제공함으로써, 위성에 의해 서비스되는 지면에 대해 보다 양호하고 보다 일정한 커버리지가 제공된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Ka 및 Ku 대역의 일부일 수 있다. 우측 원편광(circularly polarized) 안테나 및 좌측 원편광 안테나 모두가, 송신 및 수신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세트의 지면 항적선을 제공함으로써 지구의 서로 다른 3개 지역을 커버할 수 있다. 초기 배치에서는 위성 1 내지 위성 3을 사용하여 북미 및 남미 지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다. 동아시아와 호주는 위성 4 내지 위성 6으로 커버될 수 있다. 아프리카와 유럽은 위성 7 내지 위성 9로 커버될 수 있다. 그러나, 용량 또는 원하는 최대 앙각이 추가의 위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 위성들(10-12)이 시스템에 추가될 수 있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면, 지면 항적선(1210A)이 보다 상세히 도시된다. 다른 위성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시스템을 사용하여 적도의 북쪽과 남쪽으로 15ㅊ의 정지궤도 보호 구역이 제공될 수 있다. 적도의 북쪽 및 남쪽의 2개의 다른 지역은 3개의 위성을 도시된 구성과 같이 배치함으로써 서비스될 수 있다. 원형 궤도에서 궤도 이심률이 0일 때 각도 α는 90ㅊ이다. 적도에서 정지궤도 위성을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이심률은 0이 아니며, 따라서 각도 α는 90ㅊ가 아니다. 이심률이 증가함에 따라, 최적화 커버리지의 각도를 바꾸기 위해 지면 항적선은 북서쪽, 남동쪽 또는 북동-남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적도는 도 13에서 선(1310)으로 표시된다. 위성이 궤도를 지날 때, 한 위성은 상승하고 다른 위성들은 상반구 및 하반구에 각각 세팅된다.
이제 도 14a를 참조하면, 시애틀, 샌디에고, 포틀랜드 및 마이애미와 같은 4개의 서로 다른 도시에 대해 시간 대 앙각(elevation angle)이 설명된다. 시간주기는 500분 이상 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도시 중 어느 곳에서든지 언제든지 앙각은 40ㅊ 이상이다. 도 14b에 도시된 다른 영역에서, 하와이, 앵커리지,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알래스카 및 푸에르토리코는 대부분의 경우 20° 이상의 앙각을 갖는다. 하나가 상승하고 다른 하나가 세팅되는 서로 다른 위성 사이의 전환은, 핸드오버(handover)라고 지칭된다. 핸드오버는 최소 앙각을 유지하기 위해 발생할 수 있다. 제4 위성이 추가되는 경우, 북반구 및 남반구 모두에 대해 최소 앙각이 유지될 수 있다. 이 시스템과 관련된 위성 안테나는 한 위성에서 다른 위성으로 전환하도록 프로그래밍될 것이다. 시스템이 비-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전환은 수신기에 대해서도 문제되지 않아야 한다.
이제 도 15를 참조하면, 셀 타워(42), 안테나(44) 및 이와 관련된 셀 제어 모듈(1510)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안테나(44)는 실제로 복수의 안테나일 수 있다. 안테나(44)는 패널에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공간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방향을 향한다. 안테나(44)는 LTE 시스템용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무선 또는 WiFi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무선 또는 WiFi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또는 WiFi 시스템 하의 신호들은 다양한 중개 장치들로부터의 리턴 신호들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LTE 수신기(1512), 무선 네트워크 또는 WiFi 시스템(1514), 셀 송신기(1516) 및 LTE-B 브로드캐스트 송신기(1518)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송신기(1516)는 또한, 백홀(back haul)(15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백홀(back haul)(1520)은 분석 및 요청 목적을 위해 시스템에 신호를 리턴할 수 있다. 그 뒤, 백홀(1520)은 통신 시스템 제공자 또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로 신호를 통신할 수 있다.
셀 타워(42)도 이와 관련된 중개 장치(1530)를 가질 수 있다. 중개 장치(1530)는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WiFi 시스템(1514)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동시에, 그의 송신 영역 내에 다양한 중개 장치를 갖는 WiFi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중개 장치(1530)는 또한, 콘텐츠 스토리지(1532) 및 전술한 중개 장치의 다른 관련 회로를 가질 수 있다. 콘텐츠 스토리지(1532)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WiFi 시스템(1514)은 WiMax 또는 다른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 16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동글(340)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동글(340)은 연결된 장치의 포트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트 인터페이스(16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포트 인터페이스(1610)는 USB 또는 HDMI와 같은 표준을 사용할 수 있다. 포트 인터페이스(1610)는 컨트롤러(1612)에 연결된다. 컨트롤러(1612)는 동글의 다양한 측면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6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모듈(1614)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모듈(1614)은 포트 인터페이스(1610) 및 부착된 사용자 장치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토리지(161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그래픽을 형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무선 수신기/송신기(1620)는 컨트롤러(1612)에 연결된다. 무선 수신기/송신기(1620)는 동글(340)이 관련된 근거리 통신망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수신기/송신기(1620)는 또한,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시스템 제공자 또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에 피드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된 콘텐츠는 컨트롤러(1612)에 의해 콘텐츠 스토리지(1624)에 저장될 수 있다.
이제 도 17을 참조하면, 캐로셀 서버(620)의 표현이 설명된다. 본 예에서 캐로셀 서버는 캐로셀 1, 캐로셀 2 및 캐로셀 3으로 표시된다. 컨트롤러(1710)는 캐로셀 서버들 각각에 연결된다. 타이밍 모듈(1712)은 캐로셀과 관련된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타이밍은 각 캐로셀 서버들에 대한 반복률(repetition rate) 또는 전송속도(bit rate)일 수 있다. 즉, 캐로셀이 콘텐츠의 특정 부분을 반복하는 양은 타이밍 모듈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캐로셀 1, 캐로셀 2 및 캐로셀 3은 콘텐츠의 반복률이 모두 서로 다를 수 있다. 각 캐로셀 서버의 처리량도 변경될 수 있다. 파라미터 입력(1714)은 타이밍 모듈을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콘텐츠의 사용량 또는 인기도는 타이밍 모듈(1712)을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타이밍 모듈에 기초하여 캐로셀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데, 우선순위와 같은 다양한 다른 파라미터 입력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 경보 알림은 더 높은 우선순위 또는 반복률을 가질 수 있다. 중요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즉시 다시보기도 또한, 높은 우선순위로 인해 높은 반복률을 가질 수 있다. 전체 길이의 영화는 낮은 반복률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복율은 또한, 콘텐츠에 할당된 금전적 가치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컨트롤러(1710)는 또한, 청크 모듈(1716)을 사용하여 캐로셀 2에 다양한 청크(chunk)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청크 모듈(1716)은 복수의 패킷을 포함하는 청크로 콘텐츠를 분해할 수 있다. 각 청크는 크기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콘텐츠의 청크들은 각 캐로셀 서버에 제공된다. 안테나/인터페이스(1720)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로 콘텐츠를 통신하기 위해 캐로셀 서버들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통신 시스템 제공자는 중개 장치로 콘텐츠를 통신할 수 있다.
이제 도 18을 참조하면, 도 17에 도시된 캐로셀 서버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단계(1810)에서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에서, 인기도, 선호도, 인구 통계, 금전적 가치 및 행동 반응과 같은 콘텐츠와 관련된 파라미터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제공자로 통신될 수 있다. 단계(1812)에서는, 상기 파라미터가 사용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캐로셀에 대한 반복률, 전송속도 및 다른 타이밍 파라미터는 단계(1814)에서 결정된다. 단계(1816)에서는, 미리 결정된 반복 속도로 캐로셀로부터 콘텐츠가 통신된다. 상기 통신은 브로드캐스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제 도 19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 제공자의 동작 방법이 설명된다. 단계(1910)에서는, 무선 리소스 또는 가용한 리소스의 양이 식별된다. 가용한 리소스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잔여 용량일 수 있다. 가용한 것으로 식별된 리소스의 양은 현재 가용할 수도 있고 장래에 가용할 것으로 예상될 수도 있다. 사용되는 통신 시스템에 따라 가용한 리소스 유형이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서, 미사용 용량은 가용한 리소스 중 하나이다. 위성에 대한 미사용 리소스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와 관련된 대역폭일 수 있다. 위성에 스폿 빔이 사용되는 경우, 완전히 사용되지는 않는 스폿 빔 리소스도 잔여 용량이 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LTE 피크, 정규 용량이 완전히 사용되지 않는 경우, 잔여 용량 사용을 위해 가용한 대역폭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LTE-B 전송은 잔여 용량 사용에 가용한 LTE 시스템의 일부를 사용하여 스케줄링될 수 있다. ATSC 또는 ATSC 3.0 디지털 TV 시스템의 경우, 채널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데 사용되는 대역폭은 브로드캐스팅을 위해 전체 채널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디지털 채널 내의 초과 용량은 다양한 제공자로 콘텐츠를 통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모든 시스템에서, 가용 주파수, 가용 시간, 방향성 용량(directional capacity) 상에 위치된 가용 공간, 및 가용 코드는 잔여 용량을 형성할 수 있다.
잔여 용량은 피크(peak) 네트워크 사용 중에 점차 증가하는 것과 유사한 유형의 트래픽을 서비스하는 데 필요한 용량 이외의, 그리고 비-피크 네트워크 사용 중에는 적게 서비스되는 용량 이외의, 사용 가능한 용량일 수 있다. 잔여 용량은 또한, 중개 장치 및 그 콘텐츠 스토리지 내에 미리 배치되는 콘텐츠를 위한,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해당 콘텐츠의 후속된 소비가 중개 장치로부터 직접 이루어지기 위한 용량일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의 또는 사용자에 대한 콘텐츠 분배 및 그 즉각적인 소비를 위한, 실시간 음성 및 데이터 요청에 필요한 용량이 아니다. "잔여가 아닌(non-remnant), 기본(primary) 네트워크"의 잔여 용량 사용 패턴을 식별하는 것이 검토될 수 있다. 잔여 용량은 "비-잔여의, 기본" 사용을 위해 소비되지 않는 네트워크의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자동 식별될 수 있다. 식별된 용량은 이에 응답하여 잔여 용량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비-잔여의, 기본" 용량은 "잔여" 용량 사용과 병행하여 동작될 수 있으므로, 둘 다 전체 시간에 걸쳐 전체 리소스에서 동작되지만, 더 낮은 QoS 값 또는 식별자를 잔여 용량 사용에 할당함으로써 잔여 용량은 이러한 리소스가 더 높은 QoS "비-잔여의, 기본" 사용에 의해 사용되지 않을 때만 사용된다.
단계(1912)에서, 콘텐츠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로 통신된다. 콘텐츠는 리소스가 사용 가능하기 전 또는 그 후에,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 또는 콘텐츠 소스로부터 통신 시스템 제공자로 통신될 수 있다. 단계(1914)에서, 콘텐츠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로부터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중개 장치들로 통신된다. 통신된 콘텐츠는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미리 배치되므로, 실시간 소비를 위해 또는 중개 장치로부터의 실시간 음성이나 데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되지는 않는다. 콘텐츠는, 중개 장치로부터 실시간 재생(playback)을 위해 제 시간에 또는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도 있는 여러 청크로 통신될 수 있다.
단계(1916)에서, 콘텐츠는 중개 장치 내에 저장된다. 단계(1920)에서는, 리소스가, 풀(pull) 트래픽에 필요한 것인지, 또는 실시간 소비를 위해 통신되거나, 실시간 음성이나 데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되는 트래픽에 필요한 것인지, 또는 미리 배치시킴 대신에 다른 통신을 위해 필요한 것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단계는, 즉각 사용을 위한 데이터, 음성 또는 기타 통신용 리소스를 요구하는 고객에 대한 것을 포함하여, 리소스가 풀 트래픽에 필요한 경우, 그를 위해 가용해지도록, 주기적 또는 정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리소스가 기본(primary) 서비스 트래픽 또는 풀 트래픽에 필요한 경우, 단계(1922)는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중개 장치로 콘텐츠를 통신하는 것을 중단한다. 단계(1920)에서 리소스가 기본 서비스 트래픽 또는 풀 트래픽에 필요하지 않은 경우, 단계(1924)에서 콘텐츠는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계속 브로드캐스트된다.
이제 도 20을 참조하면, 잔여 용량을 사용하기 위한 보다 상세한 프로세스가 설명된다. 단계(2020)에서, 중개 장치들에 제공될 콘텐츠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결정된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는 즐겨 찾기 목록, 콘텐츠의 인기도, 인구 통계 및 각 중개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의 행동과 같은 선호도를 포함하는 중개 장치로부터의 다양한 유형의 피드백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2022)에서, 콘텐츠는 콘텐츠 제공자 또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통신 시스템으로 통신된다. 이 단계는 언제든지 수행할 수 있다. 단계(2024)에서, 잔여 용량이 가용한지 또는 가용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콘텐츠 시스템 제공자에서 쿼리가 생성된다. 단계(2026)에서, 용량 쿼리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로 통신된다. 단계(2028)에서, 통신 시스템 제공자가 잔여 용량을 갖고 있는지 판단된다. 상기 잔여 용량은 도 19에 설명되어 있다. 가용한 잔여 용량이 없는 경우, 응답 신호가 콘텐츠 시스템 제공자로 통신된다. 상기 응답 신호는 가용한 잔여 용량 또는 용량 부재(no capacity)를 나타낸다.
단계(2028)에서 통신 시스템 제공자가 잔여 용량을 갖고 있는 경우, 단계(2032)에서는 지정된 콘텐츠를 통신 시스템 제공자로 통신하기 위한 콘텐츠 지시 신호가 수행된다. 콘텐츠 지시 신호는, 미리 결정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신호이거나, 또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가 통신하기를 원하는 다음 콘텐츠를 위한 일반 신호일 수 있다. 단계(2034)에서, 콘텐츠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에게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는 프로세스 동안 다양한 시각에 통신될 수 있다. 단계(2036)에서, 콘텐츠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에 저장된다.
단계(2038)에서, 지정된 콘텐츠는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중개 장치로 통신된다. 임의의 미리 결정된 시각에 가용한 잔여 용량이 콘텐츠 전체에는 맞지 않을 수 있다. 즉, 콘텐츠는 잔여 용량 시간대에 배치되는 청크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D 영화는 약 2GB이다. 그러나, 잔여 용량은 킬로바이트 또는 메가바이트 크기의 시간 슬롯 단위로만 가용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는 청크로 분할되어, 전체 콘텐츠를 채워나갈 수 있다.
단계(2040)에서는, 중개 장치에서, 지정된 콘텐츠가 수신되고 저장된다. 일단 콘텐츠가 중개 장치에 저장되면, 중개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장치에 의해 콘텐츠가 선택되거나 요청되는 단계(2042)가 수행된다. 단계(2044)에서, 콘텐츠는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중개 장치로부터 사용자 장치로 통신된다. 콘텐츠는 중개 장치에만 저장되기 때문에, 근거리 통신망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 또는 직접 연결을 통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2046)에서, 콘텐츠는 요청하는 사용자 장치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제 도 21을 참조하면, 중개 장치로 콘텐츠를 통신하는 세부사항이 설명된다. 단계(2110)에서는, 콘텐츠 제공자에서, 중개 장치들에 제공될 콘텐츠가 결정된다. 콘텐츠 제공자는 중개 장치에서의 인기도, 선호도, 인구 통계 및 다양한 사용자의 행동과 같은 전술된 요소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추천 또는 특별 콘텐츠가 선택될 수도 있다.
단계(2112)에서는, 콘텐츠가 콘텐츠 시스템 제공자로 통신된다. 단계(2114)에서는, 잔여 용량이 가용한지 판단된다. 단계(2116)에서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에서, 콘텐츠 가용 여부에 대한 스케줄이 생성된다. 상기 스케줄은 콘텐츠를 통신하는 데 사용될 시간 및 리소스를 판단한다. 상기 시간은 GPS 기반 시간 시스템과 같이 시스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일반적 또는 보편적 시간일 수 있다. 콘텐츠를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리소스는 시스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주파수를 지정하고, 시스템에 관련된 코드를 지정하며, 콘텐츠 통신을 위해 위성 시스템이 사용할, 상기 통신에 관련된 트랜스폰더를 지정할 수 있다.
단계(2116)에서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에서 콘텐츠 가용 여부에 대한 스케줄이 설정된다. 상기 스케줄은 통신 시스템 제공자에서 콘텐츠 가용 여부를 제공한다. 어떤 의미에서, 상기 스케줄은 콘텐츠 목록과, 콘텐츠가 통신되는 시간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전부가 하나의 큰 파일로 통신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콘텐츠는 청크로 분할될 수 있고, 청크 각각에 대한 스케쥴이 제공될 수 있다. 단계(2118)에서는, 콘텐츠 가용 스케줄이 중개 장치로 통신된다. 콘텐츠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시간 및 리소스들을 통신함으로써, 중개 장치는 콘텐츠 수신을 위한 통신 시스템에 쉽게 튜닝(tuned)될 수 있다. 단계(2120)에서, 중개 장치는 스케줄에 따라 저장될 수 있도록 콘텐츠에 대해 튜닝되거나 지정(direct)된다. 그 뒤, 콘텐츠는 중개 장치와 관련된 개별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하게 된다. 단계(2122)에서는, 중개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와 관련된 표시(indicator)가 중개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장치로 통신된다. 표시는 직접 통신되거나 사용자로부터의 쿼리에 응답하여 통신될 수 있다.
이제 도 22를 참조하면, 콘텐츠를 중개 장치로 통신할 때 콘텐츠의 우선순위 지정이 또한, 수행될 수 있다. 단계(2210)에서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에서 콘텐츠 목록이 생성된다. 단계(2212)에서, 콘텐츠 목록은 중개 장치로의 전달을 위해 우선순위가 지정될 수 있다. 콘텐츠 목록은 콘텐츠의 인기, 선호도, 인구 통계, 및 사용자의 행동 반응 및 콘텐츠의 시간 관련성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 따라 우선순위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 콘텐츠는 영화 콘텐츠보다 우선순위가 높을 수 있다. 단계(2214)에서, 콘텐츠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로 통신된다. 단계(2216)에서는, 우선순위가 지정된 목록이 통신될 수 있다. 목록 및 콘텐츠 자체는 도 20에 설명된 것과 같은 쿼리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될 수 있다. 단계(2218)에서는 잔여 용량이 존재하는지 판단된다. 잔여 용량이 없는 경우, 시스템은 잔여 용량을 확인한다. 단계(2218)에서 잔여 용량이 존재하면, 단계(2220)가 수행된다. 단계(2220)에서는, 우선순위가 지정된 목록에 기초하여 중개 장치에 제공될 콘텐츠가 결정된다. 단계(2222)에서는, 우선순위가 지정된 콘텐츠가 중개 장치로 통신된다.
이제 도 2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 트래픽에 대한 우선순위 지정 방법 및 우선순위가 설명된다. 단계(2310)에서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에서 트래픽의 우선순위가 지정된다. 즉, 통신 시스템 제공자는 음성, 데이터, 알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 및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유형의 서비스 및 콘텐츠에는 서로 다른 우선순위 레벨이 지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잔여 용량은 사용되지 않는 용량이다. 그러나, 콘텐츠 통신을 위해, 사용도가 낮은 용량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카테고리의 콘텐츠에 보다 우선하여, 콘텐츠를 통신하기 위해 우선순위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는 우선순위가 지정되고 그에 따라 전달될 콘텐츠에 대해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스튜디오는 특정 영화의 전달을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단계(2312)에서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에서 우선순위 지정된 콘텐츠 목록이 수신될 수 있다. 잔여 용량의 우선순위는 전술한 것과 같을 수 있다. 잔여 용량은 시스템의 기본(primary) 용량보다 낮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개 장치의 스토리지 내의 공간 및 특정 잔여 용량은 콘텐츠 제공자의 지불로 인해 우선순위가 더 높아질 수 있다.
이제 도 24를 참조하면, 스포츠 다시보기를 제공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단계(2410)에서, TV 시청 장치는 스포츠 이벤트로 튜닝된다. TV 시청 장치는 종래의 텔레비전이거나, 또는 인터넷이나 다른 유형의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TV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수 유형의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단계(2412)에서, 스포츠 다시보기 어플리케이션은 TV 시청 장치의 사용자 장치 상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단계(2414)에서는, 활성화 신호가 서비스 제공자로 통신된다. 단계(2416)에서는, 서비스 제공자가 다시보기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2418)에서는, 통신 시스템의 잔여 용량이 판단된다. 단계(2420)에서는, 잔여 용량 동안 다시보기가 스케줄링된다. 특히, 다시보기가 현재 방송 중인 이벤트에 대한 다시보기인 경우, 다시보기 콘텐츠는 높은 레벨로 전달되도록 우선순위가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다시보기가 스케줄링될 수 있고, 중개 장치에는 다시보기가 전달될 시점에 대해 통지될 수 있다. 단계(2422)에서는, 중개 장치가, 통신될 다시보기 콘텐츠를 청취(listen)한다. 단계(2424)에서는, 다시보기 콘텐츠가 중개 장치로 통신된다. 단계(2426)에서는, 다시보기 콘텐츠가 중개 장치에 저장된다.
단계(2428)에서는, 다시보기 콘텐츠가 중개 장치 내에 저장될 때 스포츠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단계(2430)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다시보기가 선택될 수 있다. 단계(2432)에서는, 사용자 장치 또는 TV에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다시보기가 중개 장치로부터 검색(retrieved)된다. 단계(2434)에서는, 다시보기가 사용자 장치 또는 TV 시청 장치에 표시된다.
이제 도 25a를 참조하면, 다시보기에 액세스하기 위한 화면 디스플레이가 설명된다. 화면 디스플레이(2510)는 다시보기를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 다시보기를 요청하기 위해 특정 키가 눌러질 수 있다. 다시보기 요청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상기 요청은 다시보기가 요청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콘텐츠 제공자 또는 다시보기 클립 제공자로 통신된다. 다시보기가 사용자 장치와 관련된 중개 장치로 통신될 수 있도록, 상기 다시보기 요청은 타임 코드 및 프로그램 식별자와 함께 통신될 수 있다. 표시(2512)는 사용자에게 다시보기를 위한 특정 키를 선택하도록 지시한다. 물론, 상기 장치가 터치화면 장치인 경우에는,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화면의 탭일 수 있다.
이제 도 25b를 참조하면, 화면 표시(2514)가 화면 디스플레이(2510) 상에 생성될 수 있다. 화면 디스플레이(2510)는 스포츠 경기 또는 다른 경기를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요청된 다시보기가 중개 장치에 도착하면, 중개 장치는 다시보기를 요청한 사용자 장치에 다시보기 가능 신호를 보낼 수 있다. 표시(2514)는 사용자에게 다시보기를 재생하기 위해 키보드 등을 사용하여 선택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도 25c의 화면 디스플레이(2510)에서, 다시보기는 특정 개인 또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요청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기있는 스포츠 경기에서는, 다양한 플레이들이 중요하며, 중앙 위치는 사용자 입력 없이도 다시보기를 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원격 제어 키 등을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는 다시보기 앱이 제공될 수 있다. 표시(2516)는 사용자에게 상기 앱에 액세스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5d에서, 다시보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앱이 액세스될 수 있다. 다시보기 앱은 도 25b 또는 25C에 도시된 화면 디스플레이 또는 사용자 장치와 관련된 다른 숫자 또는 키패드 조합을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다. 다시보기 앱은 중개 장치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다양한 다시보기를 갖는 목록(2520)을 생성한다. 선택 박스(2522)는 다시보기를 위한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리모콘 상의 화살표 키들로 스크롤 또는 이동될 수 있다. 가능한 다시보기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다른 숫자 또는 문자/숫자의 조합문자들이 리모컨 또는 키패드에 입력될 수 있다.
이제 도 26을 참조하면, 중개 장치에 관련되거나, 또는 중개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장치에 관련된, 장치, 소프트웨어 및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전달하는 데, 잔여 콘텐츠 전달 시스템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단계(2610)에서, 장치, 소프트웨어 및 어플리케이션은 중개 장치 또는 인벤토리 목록을 형성하는 장치와 관련지어진다. 단계(2612)에서는, 인벤토리 목록이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로 통신될 수 있다. 인벤토리 목록에는 장치 식별자, 소프트웨어 식별자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인벤토리 목록에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장치가 나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 단계는 아니다. 단계(2614)에서는, 장치, 소프트웨어 및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우선순위 레벨과 관련시키는 선택적 단계가 수행된다. 우선순위 레벨은 소프트웨어,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의 우선순위를 높거나 낮게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 보안 업데이트의 우선순위는 높은 우선순위로 지정될 수 있다. 단계(2615)에서는, 콘텐츠 제공자 또는 통신 네트워크가, 재전송 또는 누락 콘텐츠 요구사항을 포함하여, 각 중개 장치에 대한 모든 콘텐츠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과, 우선순위 기반 소프트웨어 및 업데이트 요구사항을 결합할 수 있다. 그 뒤, 시스템은 전송될 콘텐츠 및 통신 방법(유니캐스트 대 브로드캐스트)에 대한 개별 요구사항을 비교하여,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 지정 또는 전달 방법 판단은 콘텐츠를 필요로 하는 중개 장치의 개수에 기초할 수도 있다. 그 뒤, 브로드캐스트될 예정인 콘텐츠의 마스터 큐(queue)가 생성(develop)될 수 있다. 콘텐츠는, 브로드캐스트될 예정인 콘텐츠 유형에 관해 중개 장치를 업데이트하는 것과 병행하여,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단계(2616)에서는, 업데이트 데이터가 중개 장치들로 통신된다. 단계(2618)에서는,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가 관련 업데이트를 위해 모니터링된다. 즉, 중개 장치는 브로드캐스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계(2620)에서는, 브로드캐스트가 장치 업데이트에 대응하는 경우, 인벤토리 목록 상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가 중개 장치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2622)에서는, 사용자 장치가 알림을 받을 수 있고, 또는 상기 목록을 가용한 것과 비교함으로써 중개 장치에 대해 가용 업데이트를 체크할 수 있다. 단계(2624)에서는, 업데이트 데이터가 중개 장치로부터 사용자 장치로 통신된다. 단계(2626)에서는, 사용자 장치가 새로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개정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업데이트된다. 동일한 데이터의 통신(인벤토리 업데이트)을 방지하고,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다음 개정을 얻게 하는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업데이트 동안에는, 성공적으로 실행되거나 구현되는 업데이트에 관한 시스템으로의 알림 신호가 중개 장치 또는 콘텐츠 시스템 제공자로 통신될 수 있다.
이제 도 27a를 참조하면, 그리드 가이드(2710)에 대한 화면 디스플레이가 설명된다. 그리드 가이드(2710)는 제1 가상 채널(2712) 및 제2 가상 채널(2714)을 도시한다. 제1 가상 채널(2712)은 제1 콘텐츠 제공자(212A)와 관련되고 제2 가상 채널(2714)은 제2 콘텐츠 제공자(212B)와 관련된다. 제1 콘텐츠 제공자(212A) 및 제2 콘텐츠 제공자(212B)는 가상 채널 가이드에서의 배열을 제어하기 위해, 콘텐츠와 함께 메타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내에서, 채널/콘텐츠 제공자, 채널 디스플레이, 화면 디스플레이 이름 및 시간이 통신될 수 있다. 비록 2개의 가상 채널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양한 개수의 가상 채널이 설정될 수 있다. 가이드(2710)는 정규적으로 제공되는 시간 표시(2716)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는, 매정각이 시간 표시(2716)를 갖는다. 본 예에서, 중개 장치 내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제목은 2개의 채널로 형성된다. 상기 채널들은 채널 컬럼(2718)에서 명명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채널 1"과 "채널 2"가 설정되어 있다.
이제 도 27b를 참조하면, 제1 콘텐츠 제공자와 관련된 가상 채널이 설명된다. 본 예에서는, 복수의 표시, 식별자 또는 포스터(2750)가 일렬로 배열된다. "영화" 행(2752) 및 "TV 쇼" 행(2754)은 제1 콘텐츠 제공자(212A)에 대응하는 채널 1과 관련된 중개 장치에 저장된 TV 쇼 표시 및 영화 표시를 나타내도록 배열된다. 하나 이상의 채널이 콘텐츠 제공자(212A, 212B)와 연관될 수 있다. 각 채널은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콘텐츠와 함께 제공된 메타데이터는 채널 및 콘텐츠 제공자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개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콘텐츠가 즉시 사용 가능해지므로, 사용자는 고객만족도가 높은 저비용 콘텐츠로 바꾸게(directed) 된다.
이제 도 28을 참조하면, 채널 가이드(2710)를 형성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단계(2810)에서, 채널은 채널 표시 및/또는 시간이나 순서 표시를 사용하여 콘텐츠와 관련지어진다. 이러한 단계는 도 8b에 도시된 라이브러리 가이드/채널 모듈(874)에서 중개 장치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채널과의 연관은 채널 식별자로서 각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형성될 수 있다.
단계(2812)에서, 복수의 콘텐츠는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메타데이터 내에 제공된 채널 표시 및 시간 순서 표시와 함께 중개 장치로 통신된다. 단계(2814)에서, 복수의 콘텐츠는 그와 관련된 메타데이터에 따른 시간 경과 순서 및 채널로 구성(organized)된다.
단계(2816)에서, 중개 장치로부터 채널 및 시간 순서로 콘텐츠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이드가 생성된다. 단계(2818)에서, 중개 장치와 관련된 장치에 프로그램 가이드가 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채널에 제공된 모든 또는 대부분의 콘텐츠가 프로그램 가이드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콘텐츠를 갖는 것은 사용자가 콘텐츠에 보다 신속하게 액세스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제 도 29를 참조하면, 초기에 일부만 중개 장치로 통신되는 콘텐츠를 통신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단계(2910)에서, 콘텐츠의 제1 부분은 전술한 잔여 용량 시스템을 사용하여 통신된다. 잔여 용량은 제1 부분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계(2912)에서, 콘텐츠의 나머지 부분은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유니캐스트되거나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시간 "X"는 콘텐츠가 시청될 통계적 우도(likelihood)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단계(2910)에서 콘텐츠의 제1 부분이 중개 장치로 통신된 후, 단계(2912)는 사용자가 콘텐츠에 액세스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콘텐츠가 액세스되지 않는 경우, 시스템은 궁극적으로 단계(2912)에서 나머지 부분을 브로드캐스트하거나, 단계(2912)에서 프로세스를 종료시키고 나머지 부분들을 브로드캐스트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2914)에서, 사용자가 콘텐츠의 제1 부분에 액세스하는 경우, 단계(2916)는 중개 장치로부터 콘텐츠 또는 시스템 제공자로 사용 신호를 통신한다. 단계(2916) 이후에, 시스템 요구사항에 따라 2개의 다른 선택이 형성될 수 있다. 단계(2918)에서는, 나머지 콘텐츠가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유니캐스트될 수 있다. 이는 콘텐츠가 많은 조각의 콘텐츠이고, 콘텐츠의 마지막이 시청되기 전에 잔여 용량이 나머지 부분을 전달할 수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영화의 처음 20%는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방송될 수 있다. 사용자가 콘텐츠를 보기 시작하면, 단계(2916)에서 신호가 생성되고,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신호의 나머지 부분이 유니캐스팅될 수 있다. 누락된 콘텐츠의 브로드캐스팅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단계(2916) 이후에 사용 신호가 중개 장치로부터 콘텐츠 제공자 또는 시스템 제공자 중 하나로 통신되는 경우, 단계(2920)에서 나머지 콘텐츠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될 수 있다. 이는 아마도, 사용자가 느린 인터넷 연결로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추가 콘텐츠는 피어(peer) 중개 장치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즉, 사용이 감지된 이후, 피어 중개 장치가 나머지 콘텐츠를 갖고 있는 지 판단된다. 단계(2930)에서는, 근거리 통신망 또는 인접한 근거리 통신망 내의 피어 중개 장치가 그 콘텐츠를 갖고 있는 지 판단된다. 단계(2932)에서는, 요청 중개 장치에 의해 피어 중개 장치로 콘텐츠가 요청된다. 콘텐츠가 피어 중개 장치로부터 가용하지 않은 경우, 콘텐츠는 통신 시스템 또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계(2934)에서는, 피어 중개 장치로부터 요청 중개 장치로 콘텐츠가 통신된다.
유료 서비스 또는 특정 유형의 보너스 서비스로서 콘텐츠를 장치로 통신하는 셀 또는 모바일 장치 제공자를 포함하여 상기 예들과 함께 다양한 비즈니스 사례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우선순위가 콘텐츠에 할당될 수 있다. 제1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는 제2 콘텐츠 제공자로부터의 콘텐츠보다 우선권을 가질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는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위해 지불할 수 있다. 캐로셀 반복률 또는 기본 전송속도는 금액에 따라 증가 및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공간의 양은 금액에 따라 서로 다른 콘텐츠 제공자에게 할당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가 더 많은 금액을 지불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개시의 넓은 교시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특정한 예를 포함하지만, 도면, 명세서 및 하기 청구범위를 통해 숙련된 기술자에게 다양한 변형이 명백할 것이므로 본 개시의 진정한 범위는 이 예들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Claims (51)

  1. 방법에 있어서,
    제1 시간 동안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 용량의 제1 부분을 사용하여 셀룰러 사용자들에 의한 실시간 소모를 위해 상기 셀룰러 사용자들에게 제1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 - 상기 전체 시스템 용량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분리된 잔여 용량을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소모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데이터를 소모하는 것을 요청할 때와 동시에 발생함 - ;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전체 시스템 용량의 상기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는 제1 장치로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데이터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비-실시간 소모를 위한 것임 -; 및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기 제2 데이터의 비-실시간 소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기 제2 데이터의 비-실시간 소모를 수행하는 단계는,
    제2 데이터를 통신한 후,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제1 장치의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데이터를 저장한 후, 사용자 장치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시간 소모의 제1 시간과 다른 제2 시간에,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에 제2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 데이터를 저장한 후에 상기 제1 장치의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소모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기 제2 데이터의 비-실시간 소모를 수행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위성 시스템을 통해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비-정지궤도 위성 시스템을 통해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정지 동기(geosynchronous) 주기를 갖는 비-정지궤도 위성 시스템을 통해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추적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비-정지궤도 위성 시스템을 추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제1 캐로셀 및 제2 캐로셀을 사용하여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로셀은 상기 제2 캐로셀의 제2 반복률보다 작은 제1 반복률을 갖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제2 데이터를 상기 제1 캐로셀 및 상기 제2 캐로셀로부터 상기 제1 장치로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경로는 위성의 제1 트랜스폰더 및 제2 트랜스폰더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양방향 유니캐스트, 푸시 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모드를 통해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LTE 브로드캐스트 모드를 통해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을 통해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중요도, 상기 제2 데이터를 소모하는 사용자의 수, 가용 용량, 및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성능 특성에 따라 전달 순서를 우선순위 지정하는 우선순위 방식으로,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비디오 콘텐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스포츠 다시보기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브로드캐스팅에 의해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에 상기 제2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솔리드 스테이트 장치에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에 상기 제2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제2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장치에 위치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미사용되거나 덜 사용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미사용되거나 덜 사용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비-실시간 제2 데이터의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의 통신보다 상기 사용자 장치로의 실시간 제1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 또는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는 셀 타워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장치의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셀 타워에서 시작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근거리 통신망 또는 직접 유선 접속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 및 제2 장치의 제2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부터 제2 데이터를 더 통신하는 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요청한 후에, 상기 요청된 데이터가 상기 제1 장치의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된 데이터가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그로부터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통신하고, 상기 요청된 데이터가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의 콘텐츠 제목을 포함하는 채널 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채널 가이드 및 가상 채널에 관련된 상기 콘텐츠 제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6. 시스템에 있어서,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는 제1 장치;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와 통신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제1 시간 동안 전체 시스템 용량의 제1 부분을 사용하여 셀룰러 사용자들에 의한 실시간 소모를 위해 상기 셀룰러 사용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1 데이터를 통신하는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 - 상기 전체 시스템 용량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분리된 잔여 용량을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소모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데이터를 소모하는 것을 요청할 때와 동시에 발생하며,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전체 시스템 용량의 잔여 용량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장치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며,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비-실시간 소모를 위한 것임 -;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 상기 제2 데이터를 통신한 후에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가 상기 제1 장치의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에 상기 제2 데이터를 저장하며;
    사용자 장치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데이터가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에 저장된 후에 실시간 소모의 제1 시간과 다른 제2 시간에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에 제2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가 그 내부에 저장된 제2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통신하며; 그리고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소모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의 비-실시간 소모를 수행하는,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 제공자는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위성 시스템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 통신하는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시스템은 비-정지궤도 위성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시스템은 정지 동기(geosynchronous) 주기를 갖는 비-정지궤도 위성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는 위성 추적 단말기에 연결되는 시스템.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제1 캐로셀 및 제2 캐로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로셀은 상기 제2 캐로셀의 제2 반복률보다 작은 제1 반복률을 갖는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는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캐로셀 및 상기 제2 캐로셀로부터 통신되는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경로는 위성의 제1 트랜스폰더 및 제2 트랜스폰더를 포함하는 시스템.
  34. 제26항에 있어서,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 제공자는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양방향 유니캐스트, 푸시 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모드를 통해 제2 데이터를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 통신하는 시스템.
  35. 제26항에 있어서,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 제공자는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LTE 브로드캐스트 모드를 통해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시스템.
  36. 제26항에 있어서,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 제공자는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을 통해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시스템.
  37. 삭제
  3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2 데이터의 중요도, 상기 제2 데이터를 소모하는 사용자의 수, 가용 용량, 및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성능 특성에 따라 전달 순서를 우선순위 지정하는 우선순위 방식으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시스템.
  3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는 비디오 콘텐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스포츠 다시보기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4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브로드캐스팅에 의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시스템.
  4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는 솔리드 스테이트 장치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시스템.
  4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장치에 위치되는 시스템.
  4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용량은 미사용 리소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4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용량은 덜 사용된 리소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4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는 셀 타워에 배치되고, 상기 셀 타워는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는 상기 셀 타워에서 시작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통신하는 시스템.
  46.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는 근거리 통신망 또는 직접 유선 연결을 통해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시스템.
  4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의 직접 연결을 통해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시스템.
  4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는 상기 요청된 데이터가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재지정(redirect)시키는 시스템.
  4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는 채널 제공자와 관련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2 데이터의 콘텐츠 제목을 갖는 채널 가이드를 생성하고, 상기 채널 가이드를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통신하고, 가상 채널에 관련된 상기 콘텐츠 제목을 표시하는 시스템.
  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2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의 라우터로 제1 속도로 실시간으로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라우터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비-셀룰러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운영되는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으로 제2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상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상기 비-셀룰러 콘텐츠 제공자와는 다른 제2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운영되는 방법.
KR1020197017000A 2016-11-15 2017-11-15 비-실시간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234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22247P 2016-11-15 2016-11-15
US62/422,247 2016-11-15
US15/811,958 US10433022B2 (en) 2016-11-15 2017-11-14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n-real-time content distribution services
US15/811,958 2017-11-14
PCT/US2017/061760 WO2018093869A2 (en) 2016-11-15 2017-11-15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n-real-time content distribution ser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494A KR20190086494A (ko) 2019-07-22
KR102234235B1 true KR102234235B1 (ko) 2021-03-31

Family

ID=6210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000A KR102234235B1 (ko) 2016-11-15 2017-11-15 비-실시간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433022B2 (ko)
EP (1) EP3542535A2 (ko)
JP (1) JP6862571B2 (ko)
KR (1) KR102234235B1 (ko)
CN (1) CN110249632B (ko)
BR (1) BR112019009876B8 (ko)
CA (1) CA3043235C (ko)
MX (1) MX2019005643A (ko)
WO (1) WO201809386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2456B2 (en) 2016-11-15 2022-02-15 Siden,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n-real-time content distribution services
US11115705B2 (en) * 2016-11-15 2021-09-07 Siden,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n-real-time content distribution services
US10403322B2 (en) * 2016-11-22 2019-09-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ving a car within a shuttle complex based upon library string data chunk counts
US10670710B2 (en) * 2016-12-06 2020-06-02 Ursa Space Systems, Inc. High efficiency synthetic aperture radar satellite
US11997527B2 (en) 2017-11-14 2024-05-28 Siden,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use of dormant capacity for distributing data
US10803025B2 (en) 2018-09-06 2020-10-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process for scalable and secure content delivery
CN209692952U (zh) * 2019-04-04 2019-11-2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云游戏的便携设备
US11228923B2 (en) 2019-05-23 2022-01-18 Siden, Inc. Dymnamic wireless broadcas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082736B2 (en) * 2019-11-04 2021-08-03 Dish Wireless L.L.C. Targeted content delivery for in-vehicle over-the-air television broadcasts
KR102297981B1 (ko) * 2020-02-13 2021-09-03 주식회사 엘지헬로비전 스트리밍 서비스를 활용한 타겟 광고 방법 및 시스템
US11533366B2 (en) 2020-10-04 2022-12-20 Siden,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use of dormant capacity for distributing data
WO2022103558A1 (en) * 2020-11-11 2022-05-19 Siden,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n-real-time content distribution services
US11412479B2 (en) 2020-12-09 2022-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nomous fleet handling using broadcast guidance
US11979626B2 (en) 2021-01-22 2024-05-07 Siden, Inc.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real-time content using broadcasting and unicasting
US20220368747A1 (en) * 2021-05-11 2022-11-17 Siden, Inc.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Real-Time Content Using Broadcasting And Unicasting
EP4338419A1 (en) * 2021-05-11 2024-03-20 Siden, Inc.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real-time content using broadcasting and unicasting
US20220400295A1 (en) * 2021-05-31 2022-12-15 Siden, Inc. Method And System For Pre-Positioning And Post Positioning Content In 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11848990B2 (en) 2021-10-15 2023-12-19 Siden,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and storing content using local clouds and network clou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8967A1 (en) 2001-12-28 2003-07-17 Pegasus Development Corporation Wideband direct-to-home broadcasting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0465A1 (en) * 1999-02-18 2000-08-23 ICO Services Ltd.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JP3658277B2 (ja) * 2000-04-28 2005-06-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静止衛星を使用する通信或いは放送の親側システムあるいは子側装置
JP2002152153A (ja) * 2000-11-10 2002-05-24 Jisedai Joho Hoso System Kenkyusho:Kk 蓄積チャネル編成システムと装置
JP3895165B2 (ja) * 2001-12-03 2007-03-2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通信基地局及び移動端末
EP1798934A1 (en) * 2005-12-13 2007-06-20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nodes in a network
US20080244657A1 (en) 2007-04-02 2008-10-02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of retrieving prior broadcasted programming at a user device from a service provider
JP2010027004A (ja) * 2008-07-24 2010-02-04 Fujitsu Ltd コンテンツ配信装置、通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156237B2 (en) * 2008-12-09 2012-04-1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non-real time service and broadcast receiver
US9456247B1 (en) * 2010-05-19 2016-09-27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communication parameters of a content delivery system based on feedback from user devices
CN104541512B (zh) * 2012-08-07 2018-07-13 Lg电子株式会社 用于处理包括交互式广播服务的广播信号的方法和装置
US10116424B2 (en) * 2014-08-29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8967A1 (en) 2001-12-28 2003-07-17 Pegasus Development Corporation Wideband direct-to-home broadcasting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33022B2 (en) 2019-10-01
JP6862571B2 (ja) 2021-04-21
KR20190086494A (ko) 2019-07-22
JP2020502956A (ja) 2020-01-23
CA3043235C (en) 2023-01-24
CN110249632B (zh) 2020-09-04
EP3542535A2 (en) 2019-09-25
CN110249632A (zh) 2019-09-17
CA3043235A1 (en) 2018-05-24
MX2019005643A (es) 2019-07-04
WO2018093869A2 (en) 2018-05-24
WO2018093869A4 (en) 2018-09-07
BR112019009876B8 (pt) 2022-06-14
BR112019009876B1 (pt) 2022-05-24
WO2018093869A3 (en) 2018-06-28
BR112019009876A2 (pt) 2019-08-06
US20180139508A1 (en)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235B1 (ko) 비-실시간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5957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n-real-time content distribution services
US111157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n-real-time content distribution services
US9137302B1 (en)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selector
US20170085328A1 (en) Multichannel content distribution via satellite to broadcast-capable mobile networks
KR20220035878A (ko) 동적 무선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A2721925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mocratic allocation of bandwidth
CN111818352B (zh) 一种广播和双向通信相结合的视频直播系统及方法
EP21536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electronic service guide
EP41797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use of dormant capacity for distributing data
US119975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use of dormant capacity for distributing data
WO20221035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n-real-time content distribution services
EP3560211B1 (en) System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for video and/or audio in a defined area
Beutler et al. Distribution Op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