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940B1 - Push-pull electronic cigarette - Google Patents

Push-pull electronic cigaret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940B1
KR102233940B1 KR1020180166353A KR20180166353A KR102233940B1 KR 102233940 B1 KR102233940 B1 KR 102233940B1 KR 1020180166353 A KR1020180166353 A KR 1020180166353A KR 20180166353 A KR20180166353 A KR 20180166353A KR 102233940 B1 KR102233940 B1 KR 10223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outlet
plunger
mouthpiece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3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2665A (en
Inventor
지준 카이
젠밍 통
차오 첸
후이 장
지아준 왕
Original Assignee
상하이 뉴 토바코 프로덕트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상하이 토바코 그룹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003021.7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984384A/en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574519.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558614A/en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뉴 토바코 프로덕트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상하이 토바코 그룹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상하이 뉴 토바코 프로덕트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82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6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9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8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카트리지 및 전자 담배에 관한 것이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캐비티를 가지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단에 마련되는 마우스피스와, 출액구를 가지는 저액부 및 에어로졸 통로를 구비하고, 마우스피스는 플런저와 삽입단이 마련되고, 플런저는 저액부 내에 삽설되고, 에어로졸 통로는 마우스피스에 연통한다. 제1 상태에서는, 마우스피스의 삽입단은 저액부의 외벽에 맞닿아져 에어로졸 통로를 닫고, 또한 플런저는 출액구에 맞닿아져 저액부 내의 유체의 출액구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한다. 제2 상태에서는, 마우스피스의 삽입단은 저액부의 외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에어로졸 통로를 열고, 또한 플런저와 출액구가 분리되어 저액부 내의 유체가 출액구로부터 유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플런저와 출액구와의 맞닿음으로부터 분리에 의해 저액 캐비티 내의 액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자 담배의 분액과 유체의 무화량에 대한 제어를 실현하여, 유저가 보다 안전하고 또한 간편하게 들이마실 수 있어, 뛰어난 흡연 익스피리언스를 준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 cartridge, and an electronic cigarette, wherein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having a cavity, a mouthpiec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using, a reservoir having an outlet, and an aerosol passage, and the mouthpiece The plunger and the insertion end are provided, the plunger is inserted into the reservoir, and the aerosol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mouthpiece. In the first state, the insertion end of the mouthpiece abuts against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to close the aerosol passage, and the plunger abuts against the outlet to prevent the fluid in the reservoir from flowing out of the outlet. In the second state, the insertion end of the mouthpiece is separat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to open the aerosol passage, and the plunger and the outlet are separated so that the fluid in the reservoir can flow out from the outle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leakage of liquid in the reservoir cavity by separating the plunger from the contact with the outlet, and realizes control over the amount of liquid fraction of the electronic cigarette and the atomization amount of the fluid, It is safer and easier for users to inhale, giving excellent smoking experience.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장치, 카트리지 및 전자 담배{PUSH-PULL ELECTRONIC CIGARETTE}Aerosol generator, cartridge and electronic cigarette {PUSH-PULL ELECTRONIC CIGARETTE}

본 발명은 담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카트리지 및 전자 담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echnical field of tobacco, and in particular,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 cartridge and an electronic cigarette.

건강에 나날이 주위를 기울임에 따라, 종래의 궐련(종이에 감은 담배)가 일정한 건강상의 위험을 안고 있다는 것을 의식해 왔다. 따라서, 전자 담배라고 호칭되는 제품이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궐련의 대용품으로서, 전자 담배는 본질적으로 니코틴을 함유하는 액체 물질을 가열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이다. 전자 담배의 내부에 저액(貯液)부, 무화(霧化)부 및 에어로졸 통로가 마련되고, 무화부는 액체 물질을 무화시키는 가열 부재, 저액부는 액체를 저장하는 부재, 에어로졸 통로는 무화부에 생긴 에어로졸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With day-to-day attention to health, it has been conscious that conventional cigarettes (paper-wound cigarettes) pose certain health risks. Therefore, a product called electronic cigarette has been developed. As a substitute for conventional cigarettes, electronic cigarettes are essentially aerosol-generating devices that heat a liquid substance containing nicotine. A storage liquid, atomization, and aerosol passage are provided inside the electronic cigarette, the atomization part is a heating member that atomizes a liquid substance, the liquid storage part is a member that stores liquid, and the aerosol passage is created in the atomization part. It is to derive an aerosol.

종래 기술에서는, 저액부는 직접 무화부에 연통하여, 저액부 내의 액체는 직접 무화부에 접촉되고, 무화부는 액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에어로졸은 전자 담배 내의 에어로졸 통로를 통해서 도출되어 유저에 의해 들이마셔진다. 이러한 구조는, 저액부의 개폐를 실현할 수 없으므로, 저액부를 직접 무화부에 연통시켜, 외부 기압이 저하되었을 때, 과량(過量)의 저액부 내의 액체가 무화부 내로 흐르고, 또한 에어로졸 통로 내로 누설되어, 흡연 도구를 오염시켜, 유저의 사용에 불편함을 가져온다. In the prior art, the low liquid portion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atomizing portion, the liquid in the low liquid portion directly contacts the atomizing portion, the atomizing portion heats the liquid to generate an aerosol, and the aerosol is led out through the aerosol passage in the electronic cigarette and is It is breathed. Since this structure cannot realiz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reservoir liquid section, the reservoir liquid section is directly communicated to the atomization section, and when the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decreases, an excess of liquid in the reservoir liquid section flows into the atomization section and leaks into the aerosol passage. Contaminates smoking tools,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s use.

또한, 종래, 시판품에서는, 리퀴드를 무화하는 방법은, 리퀴드를 함침(含浸)한 오일 가이드 로프를 가열선으로 직접 가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오일 가이드 로프는 항상 리퀴드 함침 상태이다. 발열량의 증대에 따라서, 오일 가이드 로프의 오일 가이드 속도가 부족하게 되어, 전열선 유닛의 온도가 높아져, 소정 온도에 도달하면, 오일 가이드 로프는 고온에 의해 열화되고, 리퀴드는 고온에서 연소되어, 탄 맛을 방출한다. 사용 후기에 오일 가이드 로프의 탄화(炭化) 리스크가 있어, 한층 더 오일 가이드 로프의 급유와 흡연 익스피리언스에 악영향을 준다. 또, 리퀴드는 항상 오일 가이드 로프에 함침되어 있기 때문에, 리퀴드의 무화량을 제어할 수 없어서, 소비자의 흡연 익스피리언스에 영향을 미친다. In addition, conventionally, in a commercial product, as a method of atomizing liquid, it is common to directly heat an oil guide rope impregnated with liquid with a heating wire. The oil guide rope is always liquid impregnated. As the calorific value increases, the oil guide speed of the oil guide rope becomes insufficient,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ire unit increases. When it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oil guide rope is deteriorated by high temperature, and the liquid is burnt at high temperature. Emits. There is a risk of carbonization of the oil guide rope at the end of use, further adversely affecting the oil guide rope's lubrication and smoking experience. In addition, since the liquid is always impregnated with the oil guide rope, the amount of atomization of the liquid cannot be controlled, thereby affecting the smoking experience of the consumer.

본 발명의 목적은 리퀴드가 누설되거나, 리퀴드의 무화량을 제어할 수 없다고 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solves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that liquid leaks or the amount of atomization of the liquid cannot be controll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캐비티를 가지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단에 마련되고, 캐비티의 연신(延伸) 방향을 따라서 플런저(plunger)와 삽입단이 마련되는 마우스피스와, 출액구를 가지고, 내부에 플런저가 삽설(揷設)되는 저액부와,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마우스피스에 연통하는 에어로졸 통로를 구비하고,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using having a cavity, a mouthpiec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using and provided with a plunger and an insertion 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avity, and a discharge port. , A storage liquid portion in which a plunger is inserted therein, and an aerosol passage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mouthpiece,

제1 상태에서는, 마우스피스의 삽입단은 저액부의 외벽(外壁)에 연신 방향을 따라서 맞닿아져 에어로졸 통로를 닫고, 또한 플런저는 출액구에 맞닿아져 저액부 내의 유체의 출액구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하고,In the first state, the insertion end of the mouthpiece contacts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to close the aerosol passage, and the plunger abuts against the outlet to prevent the fluid in the reservoir from flowing out from the outlet. Stop,

제2 상태에서는, 마우스피스의 삽입단은 연신 방향을 따라서 저액부의 외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에어로졸 통로를 열고, 또한 플런저는 출액구로부터 분리되어 저액부 내의 유체가 출액구로부터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In the second state, the insertion end of the mouthpiece is separat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to open the aerosol passage, and the plunger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to allow the fluid in the reservoir to flow out from the outlet. Provides.

바람직하게는, 플런저는 삽입부를 가지고, 삽입부는 출액구에 삽입 가능하고, 또한 출액구에 지름 방향으로 맞닿는다. Preferably, the plunger has an insertion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is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outlet, and abuts against the outlet in a radial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출액구는 등단면체(等斷面體)이고, 출액구로부터 플런저까지의 방향에 있어서, 삽입부의 외경(外俓)이 서서히 커지고, 출액구의 내경(內徑)이 삽입부의 최소 외경과 최대 외경의 사이에 있다. Preferably, the outlet port is an equal cross-section, and in the direction from the outlet port to the plunger,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gradually increases,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let port is equal to the minimum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It is in the middle of the maximum outer diameter.

바람직하게는, 삽입부는 보스(boss) 구조이고, 삽입부의 보스는 출액구에 삽입되어, 출액구의 내벽에 맞닿는다. Preferably, the insertion portion has a boss structure, and the boss of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outlet and abuts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outlet.

바람직하게는, 마우스피스는 걸림 부재가 마련되고, 플런저는 걸림 홈이 마련되고, 걸림 부재는 걸림 홈에 걸린다. Preferably, the mouthpiece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the plunger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and the locking member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바람직하게는, 저액부의 삽입단을 향하고 있는 부분에 관통공이 마련되고, 관통공 내에 씰 부재가 마련되고, 플런저는 씰 부재와 조여 끼우도록 씰 부재를 관통한다. Preferably, a through hole is provided in a portion facing the insertion end of the storage liquid portion, a seal member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and the plunger penetrates the seal member so as to be tightened with the seal member.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추가로 무화부를 구비하고, 저액부의 출액구는 무화부를 향해 설치된다. Preferabl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n atomizing part, and the outlet of the liquid storage part is installed toward the atomizing part.

바람직하게는, 무화부는 가열체와 무화 캐비티를 포함하고, 가열체는 출액구의 하방에 위치하고, 출액구로부터 도출되는 액체는 가열체로 무화되어 무화 캐비티를 경유하여 에어로졸 통로에 들어간다. Preferably, the atomization unit includes a heating body and an atomization cavity, the heating body is located below the discharge port, and the liq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atomized by the heating body and enters the aerosol passage through the atomization cavity.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통로는 저액부와 무화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무화 캐비티에 연통한다. Preferably, the aerosol passage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reservoir and the atomization unit, and communicates with the atomization cavity.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통로는 연신 방향을 따라서 무화부의 에어로졸 유출측에 마련되고, 무화 캐비티에 연통하는 제1 에어로졸 통로와, 연신 방향을 따라서 저액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저액부를 관통하는 제2 에어로졸 통로를 포함하고, 제1 에어로졸 통로는 쉴드 튜브를 통해서 제2 에어로졸 통로에 연통한다. Preferably, the aerosol passage is provided on the aerosol outlet side of the atomizing portion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a first aerosol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atomizing cavity, and a second aerosol passage passing through the reservoir liquid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servoir liquid portion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And the first aerosol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aerosol passage through the shield tube.

바람직하게는, 무화 캐비티는 흡기공과 에어로졸 출구가 마련되고, 에어로졸 출구는 제1 에어로졸 통로에 연통한다. Preferably, the atomization cavity is provided with an intake hole and an aerosol outlet, and the aerosol outle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erosol passage.

바람직하게는, 가열체는 다공질 세라믹 가열체이다. Preferably, the heating body is a porous ceramic heating body.

바람직하게는, 마우스피스는 흡입구가 마련되고, 제2 상태에서는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통로를 통과하여 흡입구로 들이마셔진다.Preferably, the mouthpiece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and in the second state, the aerosol passes through the aerosol passage and is inhaled through the suction port.

바람직하게는, 하우징과 마우스피스는 일체 구조이다. Preferably, the housing and the mouthpiece are of an integral structure.

바람직하게는, 저액부, 무화부 및 에어로졸 통로가 모두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하우징은 연신 방향을 따라서 저액부, 무화부 및 에어로졸 통로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다. Preferably, all of the reservoir, atomization and aerosol passages are provided in the housing, and the housing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reservoir, atomization and aerosol passages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저액부의 외표면(外表面)에 제한 돌기부가 마련되고, 하우징은 슬라이딩 홈이 마련되고, 제한 돌기부는 슬라이딩 홈 내에 위치하여, 하우징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Preferably, a limit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servoir,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sliding groove, and the limiting protrusion is located in the sliding groove, so as to limit the moving distanc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ousing. .

바람직하게는, 플런저에 탄성 부품이 마련되고, 탄성 부품은 씰 부재와 삽입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탄성 부품은 씰 부재와 마우스피스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출액구의 밀봉을 회복 또는 유지하도록 삽입부를 구동하는 것에 이용된다. Preferably, the plung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component, the elastic component is located between the seal member and the insertion portion, or, the elastic component is located between the seal member and the mouthpiece, to restore the sealing of the outlet or It is used to drive the insert to hold.

본 발명은 전자 담배를 제공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내부에 장착부가 마련되는 메인 하우징을 포함하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무화부는 장착부 내에 마련되고, 저액부는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cigarette, and includes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 main housing having a mounting portion therein, wherein the atomizing por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liquid storage portion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바람직하게는, 전자 담배는 추가로 트리거 센서를 포함하고, 트리거 센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에어로졸 출구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1 에어로졸 통로와의 접합부에 마련되고, 트리거 센서는 에어로졸 통로 내의 기압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Preferably, the electronic cigarette further includes a trigger sensor, the trigger sensor is provided at a junction between the aerosol outle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 first aerosol passag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 trigger sensor detects a change in atmospheric pressure in the aerosol passage. It is to do.

바람직하게는, 메인 하우징 내에 추가로 전원과 제어 회로 기판이 마련되고, 전원은 무화부에 급전(給電)하기 위한 것이고, 제어 회로 기판은 무화부에 의한 유체의 무화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Preferably, a power source and a control circuit board ar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the power source is for supplying power to the atomizing unit, and the control circuit board is for controlling the atomization of fluid by the atomizing unit.

본 발명은 캐비티를 가지는 카트리지 케이스와, 에어로졸 통로를 가지고, 캐비티의 일단에 이동 가능하게 삽설되고, 삽입단에 캐비티의 연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플런저가 마련되는 마우스피스와, 출액구를 가지고, 플런저가 내부에 삽설되는 저액부를 구비하고,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rtridge case having a cavity, a mouthpiece having an aerosol passage, movably inserted at one end of the cavity, and provided with a plunger extending along the elongation direction of the cavity at the insertion end, and an outlet, The plunger is provided with a liquid storage portion inserted therein,

제1 상태에서는, 마우스피스의 삽입단은 저액부의 외벽에 연신 방향을 따라서 맞닿아져 에어로졸 통로를 닫고, 또한 플런저는 출액구에 맞닿아져 저액부 내의 유체의 출액구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하고,In the first state, the insertion end of the mouthpiece abuts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to close the aerosol passage, and the plunger abuts against the outlet to prevent the fluid in the reservoir from flowing out of the outlet,

제2 상태에서는, 마우스피스의 삽입단은 연신 방향을 따라서 저액부의 외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에어로졸 통로를 열고, 또한 플런저는 출액구로부터 분리되어 저액부 내의 유체가 출액구로부터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In the second state, the insertion end of the mouthpiece is separat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to open the aerosol passage, and the plunger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to provide a cartridge that allows the fluid in the reservoir to flow out from the outlet. do.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는 일단이 삽입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외벽에 접속되거나, 또는 일단이 저액부의 내벽에 접속되고, 타단이 플런저에 접속되는 탄성 부품을 추가로 구비한다. Preferably, the cartridge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component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e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er wall, or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liquid storage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lunger.

바람직하게는, 마우스피스는 협지부(挾持部)를 포함하고, 협지부는 카트리지 케이스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마련되고, 협지부와 카트리지 케이스의 외주면의 사이에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clearance)가 존재한다. Preferably, the mouthpiece includes a holding portion, the holding portion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and a radial clearance exists between the holding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바람직하게는, 마우스피스는 협지부를 포함하고, 협지부는 카트리지 케이스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된다. Preferably, the mouthpiece includes a clamping portion, and the clamping portion is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바람직하게는, 삽입단과 카트리지 케이스의 내주면의 사이에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가 존재한다. Preferably, there is a radial clearance between the insertion end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바람직하게는, 삽입단은 카트리지 케이스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된다. Preferably, the insertion end is screw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바람직하게는,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는 0.1mm-0.5mm이다. Preferably, the radial clearance is 0.1 mm-0.5 mm.

바람직하게는, 협지부는 지름 방향을 따라서 움푹 패인 오목부 및/또는 지름 방향을 따라서 밖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가진다. Preferably, the holding portion has a concave portion recess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and/or a convex portion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오목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전주(全周)를 둘러싸거나, 또는, 오목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또는, 오목부는 복수이고, 또한 원주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및/또는, 볼록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전주를 둘러싸거나, 또는, 볼록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또는, 볼록부는 복수이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Preferably, the concave portion surrounds the entire circumfere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the concave portion partially surround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re provid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or, the convex portion surrounds the electric po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the convex portion partially surround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the convex portion is plural and is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저액부의 내벽에 대향 설치되는 제1 지름 방향 돌출부와 제2 지름 방향 돌출부가 마련되고, 제1 지름 방향 돌출부와 제2 지름 방향 돌출부는 제한부를 형성하고, 플런저는 협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설되고, 협지부는 플런저의 지름 방향으로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Preferably, a first radial protrusion and a second radial protrusion installed opposite to the inner wall of the reservoir are provided, the first radial protrusion and the second radial protrusion form a limiting portion, and the plunger is movable to the clamping portion. And the clamping portion is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plunger in the radial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플런저는 삽입부를 가지고, 삽입부는 출액구에 삽입 가능하고, 또한 출액구에 지름 방향으로 맞닿는다. Preferably, the plunger has an insertion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is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outlet, and abuts against the outlet in a radial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출액구는 등단면체이고, 출액구로부터 플런저까지의 방향에 있어서, 삽입부의 외경이 서서히 커지고, 출액구의 내경이 삽입부의 최소 외경과 최대 외경의 사이에 있다. Preferably, the outlet port is an equi-sectional shape, and in the direction from the outlet port to the plunger,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gradually increases,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let port is between the minimum outer diameter and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바람직하게는, 저액부의 삽입단을 향하고 있는 부분에 관통공이 마련되고, 관통공 내에 씰 부재가 마련되고, 플런저는 씰 부재와 조여 끼우도록 씰 부재에 삽설된다. Preferably, a through hole is provided in a portion facing the insertion end of the storage liquid portion, a seal member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and the plunger is inserted into the seal member so as to be tightened with the seal member.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는 추가로 무화부를 포함하고, 저액부의 출액구가 무화부를 향해 설치된다. Preferably, the cartridge further includes an atomizing part, and an outlet of the liquid storage part is installed toward the atomizing part.

바람직하게는, 무화부는 볼록한 모양 연장부를 가지고, 볼록한 모양 연장부의 외주면에 씰링이 마련되고, 볼록한 모양 연장부는 출액구 내에 삽설되고, 씰링은 출액구의 내주면과 조여 끼운다. Preferably, the atomizing portion has a convex extension, a sealing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vex extension, the convex extension is inserted into the outlet, and the sealing is fitted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let.

바람직하게는, 볼록한 모양 연장부의 외주면에 단열부가 투설(套設)되고, 씰링은 단열부에 투설된다. Preferably, the heat insulating portion is throw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vex extension portion, and the sealing portion is thrown to the heat insulating portion.

바람직하게는, 저액부의 외주면과 캐비티의 사이에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를 가지고, 유체가 무화부를 통과하여 무화되어 생긴 에어로졸은 외부의 공기와 함께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를 통해서 에어로졸 통로에 유입되어, 에어로졸 통로로부터 유출되어 들이마셔진다. Preferably, there is a radial clearan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servoir and the cavity, and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atomizing unit is introduced into the aerosol passage through the radial clearance together with external air, and is discharged from the aerosol passage. It is breathed.

본 발명은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술안에 있어서의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전자 담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cigarette provided with a cartridge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any one of the above.

바람직하게는, 전자 담배는 추가로 담배 로드를 구비하고, 담배 로드 내에, 카트리지 내의 무화부에 급전하기 위한 전원이 마련된다. Preferably, the electronic cigarette further includes a cigarette rod, and in the cigarette rod, a power source for feeding power to the atomizing portion in the cartridge is provided.

바람직하게는, 담배 로드 내에, 에어로졸 통로가 도통 상태라고 검출되었을 때, 전원을 제어하여 무화부에 급전시키기 위한 연기 통로 센서가 마련된다. Preferably, in the tobacco ro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aerosol passage is in a conductive state, a smoke passage sensor is provided to control power and supply power to the atomizing uni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플런저가 마련되고, 플런저는 출액구에 맞닿아져 저액부 내의 유체의 출액구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함으로써, 저액부 내의 액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저액부와 무화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에어로졸 통로를 독립하여 설치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보다 순조롭게 통과시켜, 응고하기 어렵게 한다. 또, 플런저와 출액구와의 맞닿음 및 분리에 의해서 전자 담배의 분액(噴液)을 제어하여, 유체의 무화량을 제어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유저가 보다 안전하고 또한 간편하게 들이마실 수 있어, 양호한 흡연 익스피리언스를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nger is provided, and the plunger is in contact with the outlet to prevent leakage of the fluid in the reservoir portion from the outlet, so that leakage of the liquid in the reservoir port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In addition, by separately installing an aerosol passage located on one side of the reservoir and the atomization unit, the aerosol passes more smoothly, making it difficult to coagulate.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liquid separation of the electronic cigarette by contacting and separating the plunger and the outlet, the amount of atomization of the fluid can be controlled. Thus, the user can inhale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Have a good smoking experience.

본 발명의 상기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이하, 적합한 실시예를 예로 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order to make the abov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asier to understan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y taking a preferred embodiment as an example.

본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명세서의 도면은 본 발명으로의 깊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부적당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전자 담배의 외부 구조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전자 담배의 내부 구조의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전자 담배의 내부의 부분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전자 담배에 적용했을 때의 부분 구조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저액부와 에어로졸 통로의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무화부의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삽입부가 출액구와 밀착되었을 때의 구조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저액부를 하우징 내에 설치했을 때의 구조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단면도 1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단면도 2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단면도 3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단면도 4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단면도 5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와 담배 로드와의 접속 모식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The drawings in the specification constituting a par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provided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emplary embodiments and descrip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pret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improperly limit the present invention.
Out of the drawing
1 schematically shows an external structure diagram of an electronic cigarette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lectronic cigarette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3 schematically show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ide of the electronic cigarette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chematically shows a partial structure diagram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lectronic cigarette.
5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servoir and an aerosol passage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6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tomizing section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7 schematically shows a structural diagram when the insertion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le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chematically shows a structural diagram when a storage liquid portion is installed in a housing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9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view 1 of a cartridge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view 2 of a cartridge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view 3 of a cartridge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12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view 4 of a cartridge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13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view 5 of a cartridge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schematically shows a connection schematic diagram of a cartridge and a cigarette rod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특정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함으로써,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효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 적합한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실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본 발명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유도 가능한 다른 선택 또는 개량을 포함하기 위해서, 실시 형태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다수의 자세한 내용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자세한 내용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초점을 혼란시키거나 또는 애매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몇가지 특정 자세한 내용은 설명으로부터 생략된다. Hereinafter, by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pecific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grasp other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nt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On the contrary, in order to include other choices or improvements that can be derived based o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is mad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o illustrate the invention in detail, a number of details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se details. Further, in order to avoid confusing or obscuring the focus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specific details ar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또한, 본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은, 모순되지 않는 경우,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eatures of the embodiment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provided they do not contradict.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combining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도 2 및 도 4, 도 8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를 제공하며,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캐비티(11)를 가지는 하우징(10)과, 마우스피스(20)와, 저액부(30) 및 에어로졸 통로(22)를 구비한다. 마우스피스(20)는 에어로졸 통로(22)에 연통하고,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통로(22)를 통해서 유출되어 유저에 의해 들이마셔진다. 마우스피스(20)는 하우징(10)의 일단에 마련되고, 마우스피스(20)는 캐비티(11)의 연신 방향(도 8의 X방향으로 도시됨)을 따라서 플런저(25)와 삽입단(21)이 마련된다. 저액부(30)는 출액구(32)를 가지고, 저액부(30) 내의 유체는 출액구(32)로부터 유출되어 무화부(50)로 흐르고, 유체가 무화부(50)에서 무화되어 생긴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통로(22)로 유입되고, 에어로졸 통로(22)로부터 유출되어 들이마셔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우스피스(20)의 삽입단(21)이 에어로졸 통로(22)에 삽입되면, 플런저(25)는 출액구(32)에 맞닿아져 저액부(30) 내의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하고, 에어로졸 통로(22)와 출액구(32)를 동시에 밀폐시킨다. 2, 4 and 8,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erosol-generating device 1, wherein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includes a housing 10 having a cavity 11, and a mouthpiece 20. Wow, it is provided with a reservoir (30) and an aerosol passage (22). The mouthpiece 20 communicates with the aerosol passage 22, and the aerosol flows out through the aerosol passage 22 and is inhaled by the user. The mouthpiece 2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using 10, and the mouthpiece 20 has the plunger 25 and the insertion end 21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avity 11 (shown in the X direction in FIG. 8). ) Is provided. The reservoir 30 has an outlet 32, and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flows out from the outlet 32 and flows to the atomization unit 50, and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fluid atomization at the atomization unit 50 Silv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aerosol passage 22, and discharged from the aerosol passage 22 to be inhal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nsertion end 21 of the mouthpiece 20 is inserted into the aerosol passage 22, the plunger 25 abuts against the outlet 32 to discharge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The outflow from (32) is prevented, and the aerosol passage (22) and the outlet (32) are sealed at the same time.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2종의 상태를 가지고, 도 3, 도 4에 도시되는 것처럼, 제1 상태에서는, 마우스피스(20)의 삽입단(21)은 연신 방향(도 8 중의 X방향으로 도시됨)에 따라서 맞닿아져 에어로졸 통로(22)를 닫고, 또한 플런저(25)는 출액구(32)에 맞닿아져 저액부(30) 내의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한다. 이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에어로졸 통로(22)는 닫히고, 무화부(50)의 가동을 트리거하지 않으며, 동시에, 저액부(30) 내의 유체는 무화부(50)에 흐르지 않고, 그것에 의해, 에어로졸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것처럼, 제2 상태에서는, 마우스피스(20)의 삽입단(21)은 연신 방향을 따라서 저액부(30)의 외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에어로졸 통로(22)를 열고, 또한 플런저(25)는 출액구(32)로부터 분리되어 저액부(30) 내의 유체가 출액구(32)로부터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에어로졸 통로(22)는 열리고, 무화부(50)의 가동을 트리거하고, 동시에, 저액부(30) 내의 유체는 무화부(50)에 흐르고, 무화부(50)는 유체를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 this embodiment has two types of states, and as shown in Figs. 3 and 4, in the first state, the insertion end 21 of the mouthpiece 20 is in the stretching direction ( 8), the aerosol passage 22 is closed, and the plunger 25 abuts against the outlet 32 so that the fluid outlet 32 in the reservoir 30 Prevent spillage from At this time, the aerosol passage 22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s closed and does not trigger the operation of the atomizing unit 50, and at the same time,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does not flow to the atomizing unit 50, thereby , Does not generate aerosol. 3, 4, and 5, in the second state, the insertion end 21 of the mouthpiece 2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30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to open the aerosol passage 22. Open, and the plunger 25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32 so that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can flow out from the outlet 32. At this time, the aerosol passage 22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s opened, triggering the operation of the atomizing unit 50, and at the same time, the fluid in the liquid storage unit 30 flows to the atomizing unit 50, and the atomizing unit 50 ) Atomizes the fluid to generate an aerosol.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플런저(25)가 마련되고, 플런저(25)는 출액구(32)에 맞닿아져 저액부(30) 내의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하고, 이와 같이, 저액부(30) 내의 액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플런저(25)와 출액구(32)와의 맞닿음으로부터 분리에 의해 전자 담배(6)의 분액에 대한 제어를 실현할 수 있어, 유체의 무화량이 제어됨으로써, 유저는 보다 안전하고 또한 간편하게 들이마실 수 있어, 양호한 흡연 익스피리언스를 갖는다.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 this embodiment, a plunger 25 is provided, and the plunger 25 abuts against the outlet 32 so that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32. The leakage is prevented, and thus, leakage of the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unit 3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In addition, by separating from the contact between the plunger 25 and the outlet 32, it is possible to realize control over the liquid separation of the electronic cigarette 6, an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atomization of the fluid, the user can inhale more safely and easily. And have a good smoking experien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플런저(25)와 출액구(32)의 맞닿음 방식에 대해 제한이 없고, 플런저(25)와 출액구(32)가 맞닿아진 후에 저액부(30) 내의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3, 도 4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플런저(25)는 삽입부(26)를 가지고, 삽입부(26)는 출액구(32)에 삽입 가능하며, 또한 출액구(32)에 지름 방향으로 맞닿는다. 그 중에서 출액구(32)는 등단면체이고, 출액구(32)로부터 플런저(25)까지의 방향에 있어서, 삽입부(26)의 외경이 서서히 커지고, 출액구(32)의 내경이 삽입부(26)의 최소 외경과 최대 외경과의 사이에 있으며, 예를 들어, 삽입부(26)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밀봉 캐비티(320)여도 된다.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플런저(25)의 삽입부(26)는 출액구(32)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후에 출액구(32)에 지름 방향으로 맞닿아져, 출액구(32)를 밀봉하는 작용을 달성하여,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을 방지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contact method between the plunger 25 and the outlet 32, and after the plunger 25 and the outlet 32 abut,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is discharg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be able to prevent the outflow from the sphere (32).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and 3, 4, in this embodiment, the plunger 25 has an insertion portion 26, the insertion portion 26 can be inserted into the outlet 32, and , In addition, it abuts against the outlet 32 in the radial direction. Among them, the outlet port 32 is an iso-sectional shape, and in the direction from the outlet port 32 to the plunger 25,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26 gradually increases,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let port 32 becomes the insertion portion ( It is between the minimum outer diameter of 26) and the maximum outer diameter, and may be, for example, a sealing cavity 32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ertion portion 26. By designing in this way, the insertion portion 26 of the plunger 25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outlet 32 and the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let 32 in the radial direction, thereby sealing the outlet 32. To achieve this, the outflow of the fluid from the outlet 32 is prevented.

도 7 및 도 4, 도 5에 도시되는 것처럼, 다른 실시예에서는, 삽입부(26)는 보스 구조이며, 삽입부(26)의 보스(260)는 출액구(32)에 삽입되어, 출액구(32)에 긴밀하게 결합되고, 그것에 의해서도, 출액구(32)의 밀봉이 실현된다. As shown in FIGS. 7 and 4 and 5, in another embodiment, the insertion portion 26 has a boss structure, and the boss 260 of the insertion portion 26 is inserted into the outlet 32, and It is tightly coupled to (32), thereby also realizing the sealing of the outlet (32).

또, 삽입부(26)의 보스(260)가 플런저(25)에 접속되어, 삽입부(26)이 출액구(32)에 긴밀하게 맞닿아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밀봉을 하여, 누설 방지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boss 260 of the insertion portion 26 is connected to the plunger 25 and the insertion portion 2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let 32, it is sealed to prevent leakage. It can also be achieved.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피스(20)와 플런저(25)와의 사이의 접속 방식에 대해 제한이 없고, 마우스피스(20)와 플런저(25)를 확실히 접속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마우스피스(20)는 걸림 부재(23)가 마련되고, 플런저(25)는 걸림 홈(250)이 마련되어, 걸림 부재(23)와 걸림 홈(250)과의 걸림에 의해, 마우스피스(20)와 플런저(25)와의 접속이 실현되어, 구성이 간단하고, 접속이 확실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mouthpiece 20 and the plunger 25, and it is sufficient that the mouthpiece 20 and the plunger 25 can be reliably connec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thpiece 20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23, the plunger 25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250, and the locking member 23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uthpiece 20 and the plunger 25 is realized by engaging the locking groove 250,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e connection is secure.

도 3 및 도 5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저액부(30)의 삽입단(21)을 향하고 있는 부분에 관통공(33)이 마련되고, 관통공(33) 내에 씰 부재(34)가 마련되며, 플런저(25)는 씰 부재(34)와 조여 끼우도록 씰 부재(34)를 관통한다. 빼내는 과정에 있어서, 플런저(25)에 있어서의 유체가 씰 부재(34)에 의해 긁어 취해지기 때문에, 분리 키트(kit)의 누설을 더 방지한다. 씰 부재(34)의 구체적인 타입에 대해 특별히 제한이 없고, 본 실시예에서는, 씰 부재(34)는 실리카겔 플러그이다. As shown in FIGS. 3 and 5, in the present embodiment, a through hole 33 is provided in a portion facing the insertion end 21 of the liquid storage unit 30, and a seal member 34 in the through hole 33. ) Is provided, and the plunger 25 passes through the seal member 34 so as to be tightened with the seal member 34. In the process of pulling out, since the fluid in the plunger 25 is scraped off by the seal member 34, leakage of the separation kit is further prevente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pecific type of the seal member 34, and in this embodiment, the seal member 34 is a silica gel plug.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추가로 무화부(50)를 포함하고, 저액부(30)의 출액구(32)는 무화부(50)를 향해 설치된다. 무화부(50)의 구체적인 타입에 대해 특별히 제한이 없고, 출액구(32)로부터 무화부(50)로 흐른 유체를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것이면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tomizing unit 50, and the outlet 32 of the reservoir 30 is an atomizing unit ( It is installed toward 50).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pecific type of the atomizing unit 50, and any fluid flowing from the outlet 32 to the atomizing unit 50 may be atomized to generate an aerosol.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4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무화부(50)는 무화 하우징(56), 전극(55), 가열체(51) 및 무화 캐비티(52)를 포함하고, 가열체(51)는 출액구(32)로부터의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것이고, 무화 하우징(56)에 마련되며, 무화 캐비티(52)의 상방에 위치하고, 출액구(32)에 대응하며, 무화 캐비티(52)는 가열체(51)에서 무화되어 생긴 에어로졸을 저장하여 토출하기 위한 것이다. 전극(55)은 무화 하우징(56)에 마련되고, 무화 캐비티(52)의 하방에 위치하며, 가열체(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가열체(51)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가열체(51)는 출액구(32)의 하방에 위치하고, 출액구(32)로부터의 액체는 가열체(51)에서 무화된 후에 무화 캐비티(52)를 통해서 에어로졸 통로(22)로 들어간다. 가열체(51)의 구체적인 타입에 대해 특별히 제한이 없고, 출액구(32)로부터 무화부(50)로 흐른 유체를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어, 무화부(50)는 전열선, 적외 가열체, 마이크로파 가열체, 전자 전환 가열체 및 다공질 세라믹 가열체 중 1종이어도 되고, 유리 섬유 로프와 전기 가열선을 조합한 구조 또는 다른 타입의 가열 구조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체(31)는 다공질 세라믹 가열체이며, 다공질 세라믹 가열체는 액체를 흡수하여 저장할 수 있고, 내고온성을 가지고, 클린하기 쉽고, 내용연수(耐用年數)가 없다고 하는 특징을 가진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6 and 4, in this embodiment, the atomization unit 50 includes an atomization housing 56, an electrode 55, a heating element 51, and an atomization cavity 52. , The heating element 51 is for heating the liquid from the outlet 32, is provided in the atomization housing 56, is located above the atomization cavity 52, corresponds to the outlet 32, and atomization The cavity 52 is for storing and discharging the aerosol generated by atomization in the heating element 51. The electrode 55 is provided in the atomization housing 56, is located under the atomization cavity 5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ing body 51 to provide electric energy to the heating body 51. The heating element 51 is located below the outlet 32, and the liquid from the outlet 32 enters the aerosol passage 22 through the atomizing cavity 52 after being atomized in the heating element 51.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pecific type of the heating element 51, and the fluid flowing from the outlet 32 to the atomizing unit 50 may be atomized to generate an aerosol. For example, the atomization unit 50 may be one of an electric heating wire, an infrared heating body, a microwave heating body, an electron conversion heating body, and a porous ceramic heating body, and a structure in which a glass fiber rope and an electric heating wire are combined, or other types of It may be a heating structure. In this embodiment, the heating body 31 is a porous ceramic heating body, and the porous ceramic heating body can absorb and store liquid, has high temperature resistance, is easy to clean, and has no useful life. Hav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4에 도시되는 것처럼, 무화 캐비티(52)는 흡기공(53)과 에어로졸 출구(54)를 포함하고, 에어로졸 출구(54)는 에어로졸 통로(22)에 연통한다. 흡기공(53)과 에어로졸 출구(54)는 무화 하우징(56)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제2 상태에서는, 공기가 흡기구(32)로부터 무화 캐비티(30)로 들어가, 가열체(31)에서 무화되어 생긴 에어로졸과 함께 무화 캐비티(30) 내에서 충분히 혼합된 후, 에어로졸 출구(33)로부터 에어로졸 통로(22)에 들어가, 에어로졸 통로(22)를 통해서 마우스피스(20)에 들어가, 마지막에 마우스피스(20)에 의해 유저에게 들이마셔진다. 흡기공(53)과 에어로졸 출구(54)를 설치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보다 순조롭게 운동시켜, 유저에 의한 흡연을 용이하게 한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6 and 4, the atomization cavity 52 includes an intake hole 53 and an aerosol outlet 54, and the aerosol outlet 54 is in the aerosol passage 22. Communicate. The intake hole 53 and the aerosol outlet 54 are installed opposite to the atomization housing 56, and in the second state, air enters the atomization cavity 30 from the intake port 32, and is atomized by the heating element 31. After being sufficiently mixed in the atomization cavity 30 with the resulting aerosol, it enters the aerosol passage 22 from the aerosol outlet 33, enters the mouthpiece 20 through the aerosol passage 22, and finally the mouthpiece. It is breathed in by a user by (20). By providing the intake hole 53 and the aerosol outlet 54, the aerosol is more smoothly exercised and smoking is facilitated by the user.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것처럼, 에어로졸 통로(22)는 저액부(30)와 무화부(50)의 일측에 위치하고, 무화 캐비티(52)에 연통하는 것은, 에어로졸 통로(22)가 연신 방향(도 8 중의 X방향으로 도시됨)을 따라서 저액부(30)와 무화부(50)의 일측에 마련되고, 무화 캐비티(52)에 연통하여 무화 캐비티(52) 내의 에어로졸을 도출하기 위한 것인 것을 의미한다. 또, 가열체(51)는 출액구(32)의 하방에 위치하고, 출액구(3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해도 되고, 출액구(32)의 경사 하방에 위치해도 되며, 출액구(32)로부터 도출된 액체가 모두 가열체(51)에 의해 받게 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으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체(51)가 도출된 액체를 용이하게 수취하기 위해서, 가열체(51)는 출액구(3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aerosol passage 22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reservoir 30 and the atomizing unit 50,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atomizing cavity 52, the aerosol passage 22 is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quid storage unit 30 and the atomization unit 50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shown in the X direction in FIG. 8), and communicates with the atomization cavity 52 to derive the aerosol in the atomization cavity 52. Means to be. In addition, the heating element 51 may be located under the outlet 32, may be located directly under the outlet 32, or may be located under the slope of the outlet 32, from the outlet 32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be able to ensure that all the extracted liquid is received by the heating element 51.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easily receive the liquid from which the heating body 51 is drawn out, the heating body 51 is located directly under the outlet 32.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4, 도 3에 도시되는 것처럼, 저액부(30)는 추가로 저액 하우징(31)과 저액 하우징 커버(35)를 포함하고, 저액 하우징(31)과 저액 하우징 커버(35)는 일체 성형되어도 되고, 밀봉하도록 접속되어 일체로 조립되어도 된다. 저액 하우징(31)과 저액 하우징 커버(35)가 둘러싼 캐비티는, 무화 대상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액 캐비티(300)가 된다. 저액 하우징 커버(35)에 출액구(32)가 마련되고, 출액구(32)는 저액 캐비티(300)에 연통하여, 저액 캐비티(300) 내의 액체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액 하우징(31)과 저액 커버(35)는 조립함으로써 접속되며, 저액 하우징(31)과 저액 커버(835)와의 사이에 개스킷(gasket, 36)이 마련된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5, 4, and 3, the reservoir 30 further includes a reservoir 31 and a reservoir cover 35, and the reservoir 31 and the reservoir housing The cover 35 may be integrally molded or may be connected so as to be sealed and assembled integrally. The cavity surrounded by the storage liquid housing 31 and the storage liquid housing cover 35 becomes a storage liquid cavity 300 for storing the liquid to be atomized. The liquid storage housing cover 35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32, and the discharge port 32 communicates with the liquid storage cavity 300 to draw out the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300. In this embodiment, the storage liquid housing 31 and the storage liquid cover 35 are connected by assembling, and a gasket 36 is provided between the storage liquid housing 31 and the storage liquid cover 835.

상기 구조에서는, 에어로졸 통로(22)는 저액부(30)와 무화부(50)의 일측에 마련되고, 무화부(50)의 무화 캐비티(52)에 연통함으로써,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통로(22)를 따라서 유출되어, 들이마실 때, 에어로졸은 보다 순조롭게 도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에어로졸과 에어로졸 통로(22)의 내벽과의 접촉 면적이 에어로졸과 하우징(10)의 내벽 및 저액부(30)의 외벽과의 접촉 면적보다 훨씬 더 작아, 응고하기 어려워, 이와 같이, 유저에게 양호한 사용 익스피리언스를 준다. In the above structure, the aerosol passage 2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quid reservoir 30 and the atomization unit 50, and communicates with the atomization cavity 52 of the atomization unit 50, so that the aerosol passes through the aerosol passage 22. Therefore, when flowing out and inhaling, the aerosol can be drawn out more smoothly,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erosol and the inner wall of the aerosol passage 22 is between the aerosol and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 and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30 It is much smaller than the contact area of and is difficult to solidify, thus giving the user a good use experience.

도 5 및 도 3, 도 4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에어로졸 통로(22)는 제1 에어로졸 통로(220)와 제2 에어로졸 통로(221)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 제1 에어로졸 통로(220)는 캐비티(11)의 연신 방향을 따라서 무화부(50)의 에어로졸 유출측에 마련되고, 무화 캐비티(52)에 연통하며, 제2 에어로졸 통로(221)는 캐비티(11)의 연신 방향을 따라서 저액부(30)의 일측에 마련되고, 저액부(30)를 관통하며, 제1 에어로졸 통로(220)와 제2 에어로졸 통로(221)는 밀봉 파이프(222)를 통해서 연통한다. 에어로졸 통로(22)의 설계와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에어로졸 통로(22)의 구조를 콤팩트하게 하여, 장착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에어로졸 통로(22)는 제1 에어로졸 통로(220)와 제2 에어로졸 통로(221)로 구분되어, 밀봉 파이프(222)를 통해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3, 도 4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에어로졸 통로(220)는 공기 관로(管路)가 되며, 제1 에어로졸 통로(220)는 일단이 저액 하우징 커버(35)에 삽설되고, 타단이 무화부(50)의 에어로졸 유출 일측까지 연장되며, 무화 캐비티(52)의 에어로졸 출구(54)에 연통되어 무화 캐비티(52) 내의 에어로졸을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장착하기 쉽다. 제2 에어로졸 통로(221)는 캐비티(11)의 연신 방향을 따라서 저액부(30)의 일측에 마련되고, 저액부(30)를 관통하며, 제2 에어로졸 통로(221)는 저액부(30) 내에 마련되고, 저액 캐비티(300)의 일측에 위치해도 되고, 저액부(30)에 접근하도록 저액부(30) 외부의 일측에 마련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에어로졸 통로(221)는 저액 하우징(31) 내에 마련되고, 저액 캐비티(3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저액 하우징(31)의 연신 방향을 따라서 저액 하우징(31)을 관통하고, 저액 하우징(31)과 일체 성형하도록 구성되어, 가공, 제작하기 쉽고, 구조가 컴팩트하다. 제1 에어로졸 통로(220)와 제2 에어로졸 통로(221)는 밀봉 파이프(222)를 통해서 연통하고, 밀봉 파이프(222)는 일단이 제2 에어로졸 통로(221)에 삽입되고, 타단이 저액 하우징 커버(35)에 삽입되어 제1 에어로졸 통로(220)에 연통하고, 이와 같이, 제1 에어로졸 통로(220)와 제2 에어로졸 통로(221)를 긴밀하게 접속하여, 기체의 밀봉을 실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저액 캐비티(300) 내의 액체의 제2 에어로졸 통로(221)로의 침입을 방지하여, 유저에게 양호한 흡연 익스피리언스를 주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5 and 3 and 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erosol passage 22 includes a first aerosol passage 220 and a second aerosol passage 221. Among them, the first aerosol passage 220 is provided on the aerosol outlet side of the atomizing unit 50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cavity 11, communicates with the atomizing cavity 52, and the second aerosol passage 221 is a cavity The first aerosol passage 220 and the second aerosol passage 221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servoir 30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of 11 and pass through the reservoir 30, and the first aerosol passage 220 and the second aerosol passage 221 form a sealing pipe 222. Communicate through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sign and installation of the aerosol passage 22, and to make the structure of the aerosol passage 22 compact and easy to mount, the aerosol passage 22 includes the first aerosol passage 220 and the second aerosol passage. It is divided into 221 and is connected through a sealing pipe 222.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5, 3, and 4,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erosol passage 220 becomes an air passage, and the first aerosol passage 220 has one end of a low-liquid housing. It is inserted in the cover 35, the other end extends to one side of the aerosol outflow of the atomization unit 50,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erosol outlet 54 of the atomization cavity 52 to derive the aerosol in the atomization cavity 52,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The second aerosol passage 22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servoir 30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avity 11, penetrates the reservoir 30, and the second aerosol passage 221 is the reservoir 30 It is provided inside,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liquid storage cavity 3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utside the liquid storage unit 30 to access the liquid storage unit 30.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aerosol passage 221 is provided in the storage liquid housing 31,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liquid cavity 300, and penetrates the storage liquid housing 31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torage liquid housing 31 And, it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molded with the low-liquid housing 31, it is easy to process and manufacture, and the structure is compact. The first aerosol passage 220 and the second aerosol passage 221 communicate through the sealing pipe 222, and the sealing pipe 222 has one end inserted into the second aerosol passage 221, and the other end is a low-liquid housing cover. It is inserted into 35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erosol passage 220, and in this way, the first aerosol passage 220 and the second aerosol passage 221 are closely connected to realize gas sealing. , By preventing the liquid in the low-liquid cavity 300 from entering the second aerosol passage 221,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a user has a good smoking experience.

도 3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마우스피스(20)에는 흡입구(24)가 마련되고, 제2 상태에서는,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통로(22)를 통과한 후에 흡입구(24)로부터 들이마셔진다. 흡입구(24)는 마우스피스(20)의 상단의 일측에 설치되어도 되고, 마우스피스(20)의 상단의 중앙부에 설치되어도 되며, 유저가 에어로졸 통로(22) 내의 에어로졸을 용이하게 들이마시는 것을 확보할 수 있으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가 흡입구(24)에 용이하게 접촉하여, 간편하게 들이마시게 하기 위해서, 흡입구(24)는 마우스피스(20)의 상단의 일측에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3, in this embodiment, the mouthpiece 20 is provided with an inlet 24, and in the second state, the aerosol is inhaled from the inlet 24 after passing through the aerosol passage 22. . The suction port 24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mouthpiece 20, or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mouthpiece 20, to ensure that the user easily inhales the aerosol in the aerosol passage 22. If you can. In this embodiment, in order for the user to easily contact the suction port 24 and inhale easily, the suction port 2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mouthpiece 20.

도 2 및 도 3, 도 4에 도시되는 것처럼, 하우징(10)과 마우스피스(20)의 접속 형식에 대해 특별히 제한이 없고, 용도에 따라 설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과 마우스피스(20)는 일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마우스피스(20)는 하우징(10)의 상단에 위치하고, 하우징(10)과 일체 성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과 마우스피스(20)는 조립됨으로써 접속되어도 되며, 예를 들어 나사결합 또는 걸림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As shown in FIGS. 2, 3, and 4,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connection type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mouthpiece 20, and may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purpose.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10 and the mouthpiece 20 are made of an integral structure. The mouthpiece 20 is located o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0 and is integrally molded with the housing 10. In another embodiment, the housing 10 and the mouthpiece 20 may be connected by being assembled, for example, they may be connected by screwing or locking.

도 2 및 도 3, 도 4, 도 8에 도시되는 것처럼, 하우징(10)과 마우스피스(20)가 일체 구조인 경우, 저액부(30), 무화부(50) 및 에어로졸 통로(22)의 모두는 하우징(10) 내에 마련되고, 하우징(10)은 연신 방향을 따라서 저액부(30), 무화부(50) 및 에어로졸 통로(22)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다. 하우징(10)과 마우스피스(20)를 일체로 설계함으로써, 하우징(10)과 마우스피스(20)와의 동기 이동을 실현 가능하여, 조작하기 쉬워진다. 하우징(10)을 이동시키면, 마우스피스(20)는 하우징(10)에 따라 동기하여 이동하고, 동시에, 마우스피스(20)는 플런저(25)를 연동하여 이동시키고, 이와 같이 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와의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유저가 하우징(10)을 눌러 이동시키는데 편리성을 가져와, 사용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하우징(10)의 외부에 추가로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경사 모양(13)이 설치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4, and 8, when the housing 10 and the mouthpiece 20 have an integral structure, the liquid storage unit 30, the atomizing unit 50, and the aerosol passage 22 All are provided in the housing 10, and the housing 10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liquid storage unit 30, the atomization unit 50, and the aerosol passage 22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By integrally designing the housing 10 and the mouthpiece 20, synchronous movement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mouthpiece 20 can be realized, and operation becomes easy. When the housing 10 is moved, the mouthpiece 20 moves synchronously according to the housing 10, and at the same time, the mouthpiece 20 moves by interlocking the plunger 25, and in this wa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can easily realize switching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In addition, in order to bring convenience for the user to press and move the housing 10 and to make it easier to use, an inclined shape 13 is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10 to further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또한, 하우징(1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하우징(10)의 이동거리가 너무 길어서, 플런저(25)의 파손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하우징(10) 내의 저액부(30), 무화부(50) 및 에어로졸 통로(22)가 노출됨으로써 오염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과 저액부(30)와의 사이에 제한 기구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4, 도 5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저액부(30)의 외표면에 제한 돌기부(37)가 마련되고, 하우징(10)은 슬라이딩 홈(12)이 마련되고, 제한 돌기부(37)는 슬라이딩 홈(12) 내에 위치한다. 제1 상태에서는, 플런저(25)는 출액구(32)에 맞닿아지고, 이때, 제한 돌기부(37)는 슬라이딩 홈(12)의 일단에 위치한다. 제1 상태를 제2 상태로 변경하는 과정에 있어서, 하우징(10)을 누르고, 제한 돌기부(37)와 슬라이딩 홈(12)에 상대 이동시켜, 제한 돌기부(37)를 슬라이딩 홈(12)의 타단에 대해서 이동시킨다. 제2 상태가 되었을 때, 플런저(25)는 출액구(32)로부터 분리되어, 제한 돌기부(37)는 슬라이딩 홈(12)의 타단에 위치한다. 하우징(10)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홈(12)과 저액부(30)에 있어서의 제한 돌기부(37)와의 조합에 의해 하우징(10)의 연신 방향을 따르는 이동거리가 한정되어, 하우징(10)의 이동거리가 너무 긴 것을 방지하여, 제한 보호 작용을 달성한다. In addition, by limi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housing 10, the moving distance of the housing 10 is too long to prevent damage to the plunger 25, and at the same time, the liquid storage portion 30 in the housing 10 and atomization In order to avoid contamination by exposure of the portion 50 and the aerosol passage 22,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stricting mechanism is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storage liquid portion 3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8 and 4 and 5, in this embodiment, a limiting protrusion 37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quid storage unit 30, and the housing 10 has a sliding groove 12. Is provided, and the limiting protrusion 37 is located in the sliding groove 12. In the first state, the plunger 25 abuts against the outlet 32, and at this time, the limiting protrusion 37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sliding groove 12.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housing 10 is pressed and the limiting protrusion 37 and the sliding groove 12 are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to move the limiting protrusion 37 to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groove 12. Move about. When the second state is reached, the plunger 25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32 and the limiting protrusion 37 is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groove 12. The moving distanc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ousing 10 is limi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liding groove 12 in the housing 10 and the limiting protrusion 37 in the reservoir 30, By preventing the travel distance from being too long, limiting protection is achieved.

도 5 및 도 3, 도 4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플런저(25)에 탄성 부품(40)이 마련되고, 탄성 부품(40)은 씰 부재(34)와 삽입부(26)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탄성 부품(40)의 구체적인 타입에 대해 특별히 제한이 없고,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품(40)은 스프링이며, 스프링은 플런저(25)에 투설(套設)되어, 씰 부재(34)와 삽입부(26)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외부로부터 플런저(25)를 빼내면, 탄성 부품(40)은 압축되어, 플런저(25)는 삽입부(26)와 함께 출액구(32)로부터 분리되어, 액체를 출액구(32)로부터 유출시킨다. 외부로부터의 힘이 없어지면, 탄성 부품(40)은 플런저(25)를 구동하여 삽입부(26)와 함께 밀봉 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다. 또한, 플런저(25)에 있어서, 삽입부(26)와 씰 부재(34)와의 사이에 탄성 부품(40)이 마련됨으로써, 삽입부(26)를 더 눌러 조여, 삽입부(26)와 출액구(32)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고, 출액구(32)를 보다 긴밀하게 밀봉하여, 액 누설 방지의 효과를 보다 좋게 달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품(40)은 씰 부재(34)와 마우스피스(20)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출액구(32)의 밀봉을 회복 또는 유지하도록 삽입부(26)를 구동할 수 있다. 5, 3 and 4, in this embodiment, the plunger 25 is provided with an elastic component 40, and the elastic component 40 is formed between the seal member 34 and the insertion part 26. It is located betwee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pecific type of the elastic component 40, and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component 40 is a spring, and the spring is thrown into the plunger 25, and is inserted with the seal member 34. It is located between the part 26 and. When the plunger 25 is removed from the outside, the elastic component 40 is compressed, and the plunger 25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32 together with the insertion portion 26, and the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32. . When there is no force from the outside, the elastic component 40 can drive the plunger 25 to return to the sealed state together with the insert 26. In addition, in the plunger 25, by providing an elastic component 40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26 and the seal member 34, the insertion portion 26 is further pressed and tightened, and the insertion portion 26 and the outlet port It maintains the state of close contact with (32), seals the outlet port 32 more tightly, and achieves the effect of preventing liquid leakage better. In another embodiment, the elastic component 40 is located between the seal member 34 and the mouthpiece 20, it is possible to drive the insertion portion 26 to restore or maintain the sealing of the outlet 32. .

또한, 도 4 및 도 3, 도 5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로졸 통로(22)의 횡단면은 원형이며, 즉 제1 에어로졸 통로(220), 제2 에어로졸 통로(221) 및 밀봉 파이프(222) 모두는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튜브 구조이다. 튜브 구조의 내벽 면적이 작기 때문에, 흐르고 있는 에어로졸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고, 에어로졸이 더욱 순조롭게 유동하며, 에어로졸 입자(10)가 응고되기 어려워, 유저의 흡연 요구를 보다 좋게 만족시켜, 유저의 흡연 익스피리언스를 개선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에어로졸 통로(22)의 단면 형상은 다른 형상, 예를 들어 다각형, 반달형 등이어도 되며, 에어로졸이 순조롭게 통과하는 것을 확보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이 없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and 3 and 5, in this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aerosol passage 22 is circular, that is, the first aerosol passage 220, the second aerosol passage 221 and the sealing pipe (222) All are tube structures with circular cross-sections. Because the inner wall area of the tube structure is small, the flowing aerosol can easily pass through, the aerosol flows more smoothly, and the aerosol particles 10 are difficult to coagulate, better satisfying the user's smoking demand, and the user's smoking You can improve your experience. In other embodiment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erosol passage 22 may be a different shape, for example, a polygonal shape, a half moon shape, or the like,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ensure that the aerosol passes smoothly.

상기 사용 과정에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플런저(25)가 출액구(32)에 맞닿아져 저액부(30) 내의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함으로써, 저액부(30) 내의 액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플런저(25)와 출액구(32)와의 맞닿음으로부터 분리에 의해 전자 담배(6)의 분액으로의 제어가 실현 가능하여, 유체의 무화량이 제어됨으로써, 유저는 보다 안전하고 또한 간편하게 들이마셔, 양호한 흡연 익스피리언스를 가진다. 동시에, 저액 캐비티(300)와 무화부(50)의 일측에 위치하는 에어로졸 통로(22)를 독립하여 설치함으로써, 에어로졸은 보다 순조롭게 통과하여, 또한 에어로졸 입자가 응고되기 어렵다. In the above use process, the plunger 25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let 32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from the outlet 32, thereby preventing the reservoir 30 ) I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leakage of liquid inside. In addition, by separating from the contact between the plunger 25 and the outlet 3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iquid fraction of the electronic cigarette 6, an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atomization of the fluid, the user can inhale more safely and easily. , Have good smoking experience. At the same time, by independently installing the low-liquid cavity 300 and the aerosol passage 22 located at one side of the atomizing unit 50, the aerosol passes more smoothly and the aerosol particles are difficult to coagulate.

도 2 및 도 1, 도 4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와, 내부에 장착부(61)가 마련되는 메인 하우징(60)을 구비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무화부(50)가 장착부(61) 내에 마련되며,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저액부(30)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자 담배(6)를 제공한다. As shown in FIGS. 2 and 1 and 4,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 of any one of the above embodiments, and a main housing 60 in which a mounting part 61 is provided, An electronic cigarette 6 is provided in which the atomizing part 50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art 61, and the liquid-reserving part 30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part.

도 2 및 도 1, 도 4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담배(60)는 추가로 트리거 센서(62)를 포함하고, 트리거 센서(62)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에어로졸 출구(54)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제1 에어로졸 통로(220)와의 접합부에 마련되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에어로졸 통로(22) 내의 기압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유저가 들이마실 때, 에어로졸 통로(22) 내의 기체가 유저에 의해 들이마셔져 부압(負壓)을 형성하여, 무화 캐비티(52)의 기압과 에어로졸 통로(22) 내의 기압과의 사이에 기압차가 형성되고, 트리거 센서(62)는 기압차를 검출하면, 트리거 신호를 송신하여, 가열체(51)를 가열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를 트리거 센서(62)로 하며, 트리거 센서(62)는 에어로졸 출구(54)와 제1 에어로졸 통로(220)와의 접합부에 마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트리거 센서(62)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도 되고, 자동적으로 가열체(51)를 트리거할 수 있으면 된다. 트리거 센서(62)에 의해 가열체(51)를 트리거하는 것은, 트리거 방식이 간단하고 확실하여, 사용하기 쉽다. 2 and 1, 4,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nic cigarette 60 further includes a trigger sensor 62, and the trigger sensor 62 is an aerosol outle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t is provided at the junction of 54 and the 1st aerosol passage 220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 and is for detecting a change in atmospheric pressure in the aerosol passage 22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 When the user inhales, the gas in the aerosol passage 22 is inhaled by the user to form a negative pressure, so that the ai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pressure in the atomizing cavity 52 and the air pressure in the aerosol passage 22 It is formed, and when the trigger sensor 62 detects the difference in atmospheric pressure, it transmits a trigger signal to heat the heating element 51 to generate an aerosol. In this embodiment, the microphone is used as the trigger sensor 62, and the trigger sensor 62 is provided at a junction between the aerosol outlet 54 and the first aerosol passage 220. In another embodiment, the trigger sensor 62 may be installed in a different position, as long as it can automatically trigger the heating element 51. Triggering the heating element 51 by the trigger sensor 62 is easy to use because the trigger method is simple and reliable.

도 2 및 도 1, 도 4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하우징(60) 내에 추가로 전원(63)과 제어 회로 기판(64)이 마련되고, 전원(63)은 무화부(50)에 급전하기 위한 것이고, 제어 회로 기판(64)은 무화부(50)에 의한 유체의 무화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63)과 제어 회로 기판(64)은 메인 하우징(60) 내에 고정되어 장착되고, 제어 회로 기판(64)은 전원(63), 트리거 센서(62) 및 전극(55)에 접속되고, 전원(63)은 전극(55)에 접속된다. 트리거 센서(62)는 트리거 신호를 검출하면, 회로 기판(64)에 전송하고, 제어 회로 기판(64)이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전원(63)이 전극(55)에 의해 가열체(51)에 급전하도록 하여, 가열체(51)에 의한 액체로의 가열 무화 기능을 실현한다. As shown in FIGS. 2 and 1 and 4, in this embodiment, a power source 63 and a control circuit board 64 ar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60, and the power source 63 is an atomizing unit 50. ), and the control circuit board 64 is for controlling the atomization of the fluid by the atomization unit 50. The power supply 63 and the control circuit board 64 are fixedly mounted in the main housing 60, and the control circuit board 64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63, the trigger sensor 62 and the electrode 55, and 63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55. When the trigger sensor 62 detects the trigger signal, it transmits it to the circuit board 64, and the control circuit board 64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power source 63 is transferred to the heating element 51 by the electrode 55. Power is supplied to the liquid, thereby realizing the function of heating and atomizing the liquid by the heating element 51.

실시예 2Example 2

도 9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발명은 캐비티(11)를 가지는 카트리지 케이스(10), 마우스피스(20) 및 저액부(30)를 구비하는 카트리지(1)를 제공한다. 마우스피스(20)는 에어로졸 통로(22)를 가지고,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통로(22)를 통해서 유출되어 유저에게 들이마셔질 수 있다. 마우스피스(20)는 카트리지 케이스(10)의 캐비티(11)의 일단에 이동 가능하게 삽설되고, 마우스피스(20)의 삽입단(21)에는, 카트리지 케이스(10)의 캐비티(11)의 연신 방향(도 9 중의 X방향으로 도시됨)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플런저(25)가 마련된다. 저액부(30)는 출액구(32)를 가지고, 저액부(30) 내의 유체가 출액구(32)로부터 유출되어 무화부(50)로 흐르고, 저액부(30)의 외주면과 캐비티(11)는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 A를 가지고, 유체가 무화부(50)에서 무화되어 생긴 에어로졸은, 외부의 공기와 함께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 A를 통해서 에어로졸 통로(22)로 유입되고, 에어로졸 통로(22)로부터 유출되어 들이마셔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우스피스(20)의 삽입단(21)이 카트리지 케이스(10)의 캐비티(11)에 삽입되면, 플런저(25)는 저액부(30) 내에 삽설된다. As shown in Fig. 9,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tridge 1 having a cartridge case 10 having a cavity 11, a mouthpiece 20, and a liquid storage unit 30. The mouthpiece 20 has an aerosol passage 22, and the aerosol may flow out through the aerosol passage 22 and be inhaled by the user. The mouthpiece 20 is movab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avity 11 of the cartridge case 10, and at the insertion end 21 of the mouthpiece 20, the cavity 11 of the cartridge case 10 is elongated. A plunger 25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shown in the X direction in Fig. 9) is provided. The reservoir 30 has an outlet 32, and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flows out from the outlet 32 and flows to the atomizing unit 5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servoir 30 and the cavity 11 Has a radial clearance A, and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fluid atomization in the atomization unit 50 flows into the aerosol passage 22 through the radial clearance A together with external air, and flows out from the aerosol passage 22. It is breathed. In this embodiment, when the insertion end 21 of the mouthpiece 20 is inserted into the cavity 11 of the cartridge case 10, the plunger 25 is inserted into the reservoir 30.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1)는 2종의 상태를 가지며, 도 9에 도시되는 것처럼, 제1 상태에서는, 마우스피스(20)의 삽입단(21)은 저액부(30)의 외벽에 연신 방향(도 9 중의 X방향으로 도시됨)을 따라서 맞닿아져 에어로졸 통로(22)를 닫고, 또한 플런저(25)는 출액구(32)에 맞닿아져 저액부(30) 내의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한다. 이때, 카트리지(1)의 에어로졸 통로(22)는 닫히고, 무화부(50)의 가동을 트리거하지 않으며, 동시에, 저액부(30) 내의 유체가 무화부(50)로 흐르지 않고, 그것에 의해 에어로졸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되는 것처럼, 제2 상태에서는, 마우스피스(20)의 삽입단(21)은 연신 방향을 따라서 저액부(30)의 외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에어로졸 통로(22)를 열고, 또한 플런저(25)는 출액구(32)로부터 분리되어 저액부(30) 내의 유체가 출액구(32)로부터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카트리지(1)의 에어로졸 통로(22)는 열리고, 무화부(50)의 가동을 트리거하고, 동시에, 저액부(30) 내의 유체가 무화부(50)로 흐르고, 무화부(50)는 유체를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도 10 중 파선 화살표는 유체의 유동 방향, 실선 화살표는 에어로졸과 외부 공기의 유동 방향이다. The cartridge 1 of this embodiment has two types of states, and as shown in FIG. 9, in the first state, the insertion end 21 of the mouthpiece 20 is stret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liquid reservoir 30 ( 9) in contact with the aerosol passage 22 to close the aerosol passage 22, and the plunger 25 abuts against the outlet 32 so that the fluid outlet 32 in the reservoir 30 Prevent spillage from At this time, the aerosol passage 22 of the cartridge 1 is closed, does not trigger the operation of the atomizing unit 50, and at the same time, the fluid in the liquid storage unit 30 does not flow to the atomizing unit 50, thereby causing the aerosol to flow. Does not occur. As shown in Fig. 10, in the second state, the insertion end 21 of the mouthpiece 2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30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to open the aerosol passage 22, and the plunger 25 )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32 so that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can be discharged from the outlet 32. At this time, the aerosol passage 22 of the cartridge 1 is opened, triggering the operation of the atomizing unit 50, and at the same time, the fluid in the liquid storage unit 30 flows to the atomizing unit 50, and the atomizing unit 50 is It atomizes the fluid to generate an aerosol. In FIG. 10, a broken arrow indicates a flow direction of a fluid, and a solid arrow indicates a flow direction of an aerosol and external air.

상기 구조로 됨으로써, 전자 담배의 분액으로의 제어가 실현되어, 유체의 무화량이 제어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흡연 익스피리언스가 좋아진다. With the above structure, control of the liquid fraction of the electronic cigarette is realized, and the amount of atomization of the fluid is controlled, so that the smoking experience of the consumer is improved.

또한, 도 9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케이스(10)의 캐비티(11)는 추가로 탄성 부품(40)을 포함하고, 탄성 부품(40)은 일단이 저액부(30)의 내벽에 접속되고, 타단이 플런저(25)에 접속된다. 탄성 부품(40)의 구체적인 타입에 대해 특별히 제한이 없고,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품(40)은 스프링이며, 스프링은 플런저(25)에 투설된다. 유저가 들이마시지 않을 때, 마우스피스(20)는 운동하지 않고, 탄성 부품(40)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25)는 출액구(32)에 맞닿아져 저액부(30) 내의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한다. 유저가 들이마실 때, 마우스피스(20)를 끌어올려, 마우스피스(20)의 삽입단(21)은 연신 방향을 따라서 저액부(30)의 외벽으로부터 분리되고, 그것에 의해, 플런저(25)는 마우스피스(20)에 따라 동기 운동하고, 탄성 부품(40)은 압축되며, 플런저(25)는 출액구(32)로부터 분리되어 저액부(30) 내의 유체가 출액구(32)로부터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유저의 사용이 종료된 후, 탄성 부품(40)은 압축되어 탄성력을 발생시켜, 플런저(25)가 자동적으로 출액구(32)로 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플런저(25)는 출액구(32)에 맞닿아져 저액부(30) 내의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in this embodiment, the cavity 11 of the cartridge case 10 further includes an elastic component 40, and the elastic component 40 has one end of the storage liquid portion 30. It is connected to the inner wall,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lunger 25.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pecific type of the elastic component 40, and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component 40 is a spring, and the spring is thrown into the plunger 25. When the user does not breathe, the mouthpiece 20 does not move, and the plunger 2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let 32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40, so that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is discharged. Prevent spills from (32). When the user inhales, the mouthpiece 20 is pulled up, and the insertion end 21 of the mouthpiece 2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30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whereby the plunger 25 is Synchronous motion according to the mouthpiece 20, the elastic part 40 is compressed, the plunger 25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32 so that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can flow out from the outlet 32. To be there. After the end of the user's use, the elastic component 40 is compressed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and the plunger 25 is automatically driven to move to the outlet 32, so that the plunger 25 is connected to the outlet 32. They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from flowing out of the outlet 32.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되는 것처럼, 탄성 부품(40)은 일단이 삽입단(21)에 접속되고, 타단이 저액부(30)의 외벽에 접속된다. 탄성 부품(40)은 인장(引張) 스프링이며, 유저가 들이마시지 않을 때, 마우스피스(20)는 운동하지 않고, 탄성 부품(40)의 탄성력에 의한 구동하에서, 플런저(25)는 출액구(32)에 맞닿아져 저액부(30) 내의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한다. 유저가 들이마실 때, 마우스피스(20)를 끌어올려, 마우스피스(20)의 삽입단(21)은 연신 방향을 따라서 저액부(30)의 외벽으로부터 분리되고, 플런저(25)는 마우스피스(20)에 따라 동기 운동하여, 탄성 부품(40)은 당겨지고, 플런저(25)는 출액구(32)로부터 분리되어 저액부(30) 내의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한다. 유저에 의한 사용이 완료된 후, 탄성 부품(40)은 당겨져 탄성력을 발생시켜, 플런저(25)가 자동적으로 출액구(32)로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플런저(25)는 출액구(32)에 맞닿아져 저액부(30) 내의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한다.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the elastic component 4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insertion end 2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uter wall of the storage liquid portion 30. The elastic component 40 is a tension spring, and when the user does not breathe, the mouthpiece 20 does not move, and under the driv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component 40, the plunger 25 is the outlet ( 32) to prevent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from flowing out of the outlet 32. When the user inhales, the mouthpiece 20 is pulled up, and the insertion end 21 of the mouthpiece 2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30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and the plunger 25 is separated from the mouthpiece ( In accordance with 20), the elastic component 40 is pulled, and the plunger 25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32 to prevent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from flowing out of the outlet 32. After the use by the user is completed, the elastic component 40 is pulled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and the plunger 25 is driven to automatically move to the outlet 32, so that the plunger 25 fits into the outlet 32. It touches and prevents the outflow of the fluid in the storage liquid part 30 from the outlet 32.

또한, 도 9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마우스피스(20)는 협지부(23)를 포함하고, 협지부(23)는 카트리지 케이스(10)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마련되고, 협지부(23)와 카트리지 케이스(10)의 외주면의 사이에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가 존재하며,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해 특별히 제한이 없고, 본 실시예에서는,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는 0.1mm-0.5mm(0.1mm와 0.5mm를 포함함)이며, 예를 들어 0.3mm, 0.44mm 또는 0.48mm 등이다.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는 협지부(23)가 설치되면, 협지부(23)가 가이드 작용을 달성하여, 플런저(25)가 연신 방향으로부터 어긋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충족시킨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9,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thpiece 20 includes a clamping portion 23, the holding portion 23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10, the holding portion There is a radial clearance between 23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10,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pecific value of the radial clearance, and in this embodiment, the radial clearance is 0.1 mm-0.5 mm (0.1 mm and 0.5mm), for example 0.3mm, 0.44mm or 0.48mm. The radial clearance satisfies that when the clamping part 23 is provided, the clamping part 23 achieves a guide action and prevents the plunger 25 from shifting away from the stretching direction.

플런저(25)가 연신 방향으로 출액구(32)로부터 분리되어, 재차 출액구(32)로 운동할 때, 협지부(23)는 가이드와 제한의 작용을 달성하고, 플런저(25)가 연신 방향으로부터 어긋나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것에 의해, 플런저(25)는 정확하게 출액구(32)에 맞닿아져 저액부(30) 내의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하여 액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플런저(25)가 출액구(32)에 대해서 이동할 때, 연신 방향으로부터 어긋나 이동하는 리스크가 있어, 출액구(32)에 맞닿아져 있지만, 출액구(32)를 완전하게 밀봉하지 못하여, 저액부(30) 내의 유체가 출액구(32)로부터 유출되어, 액이 누설되는 현상이 있다. When the plunger 25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32 in the stretching direction and moves to the outlet 32 again, the clamping portion 23 achieves the action of a guide and a limit, and the plunger 25 is in the stretching direction The plunger 25 accurately abuts the outlet 32 to prevent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from flowing out of the outlet 32, thereby preventing liquid leakage. I can. Otherwise, when the plunger 25 moves with respect to the outlet 32, there is a risk of shifting away from the stretching direction, and abuts against the outlet 32, but the outlet 32 cannot be completely sealed. , Ther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fluid in the storage liquid part 30 flows out from the outlet 32, and the liquid leaks.

또한, 협지부(23)가 카트리지 케이스(1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도록 설계되어도 되고, 이 경우, 협지부(23)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마우스피스(20)의 삽입단(21)과 저액부(30)의 외벽과의 연신 방향을 따르는 분리를 실현함과 아울러, 추가로 가이드와 제한의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ding portion 23 may be designed to be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10, in this case, by loosening the holding portion 23, the insertion end 21 and the liquid storage portion 30 of the mouthpiece 20 In addition to realizing the separation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with the outer wall of ),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achieve the action of guides and restrictions.

도 12에 도시되는 것처럼, 다른 실시예에서는, 마우스피스(20)는 협지부(23)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고, 삽입단(21)과 카트리지 케이스(10)의 내주면의 사이에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가 존재하고,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해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는 0.1mm-0.5mm(0.1mm와 0.5mm를 포함함)이며, 예를 들어, 0.3mm, 0.44mm 또는 0.48mm 등이다.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는, 플런저(25)가 연신 방향으로부터 어긋나 운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연신 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충족시킨다. 또, 삽입단(21)이 카트리지 케이스(10)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도록 설계되어도 되고, 삽입단(21)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마우스피스(20)의 삽입단(21)과 저액부(30)의 외벽과의 연신 방향을 따르는 분리를 실현함과 동시에, 추가로 가이드와 제한의 작용을 달성한다. As shown in FIG. 12, in another embodiment, the mouthpiece 20 does not have to include the clamping portion 23, and there is a radial clearance between the insertion end 2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10.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pecific value of the radial cl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radial clearance is 0.1mm-0.5mm (including 0.1mm and 0.5mm), for example, 0.3mm, 0.44mm Or 0.48mm, etc. The radial clearance satisfies that the plunger 25 can stably move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without shifting from the stretching direction. In addition, the insertion end 21 may be designed to be screw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10, and by loosening the insertion end 21, the insertion end 21 of the mouthpiece 20 and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30 It realizes the separation along the direction of stretching of the and, at the same time, additionally achieves the action of guiding and limiting.

마우스피스(20)와 저액부(30)의 외벽과의 분리 또는 맞닿음 방식에 대해서, 상기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카트리지(1)는 상기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가지는 것이면 된다. The separation or contact method between the mouthpiece 20 and the outer wall of the liquid storage unit 3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cartridge 1 may have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도 13에 도시되는 것처럼, 다른 실시예에서는, 저액부(30)의 내벽에 대향 설치된 제1 지름 방향 돌출부(35)와 제2 지름 방향 돌출부(36)가 설치되고, 제1 지름 방향 돌출부(35)와 제2 지름 방향 돌출부(36)는 제한부를 형성하고, 플런저(25)는 협지부(23)에 이동 가능하게 삽설되며, 협지부(23)는 플런저(25)의 지름 방향으로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플런저(25)는 연신 방향으로부터 어긋나 운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연신 방향으로 운동함으로써, 플런저(25)는 정확하게 출액구(32)에 맞닿아져 저액부(30) 내의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하여, 기름 누설을 방지한다. As shown in FIG. 13, in another embodiment, a first radial protrusion 35 and a second radial protrusion 36 provided opposite to the inner wall of the reservoir 30 are provided, and the first radial protrusion 35 ) And the second radial protrusion 36 form a limiting part, the plunger 25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clamping part 23, and the clamping part 23 allows the movement of the plunger 25 in the radial direction. To limit. In this way, the plunger 25 does not move away from the stretching direction, but stably moves in the stretching direction, so that the plunger 25 accurately abuts the outlet 32 so that the fluid outlet ( 32) and prevent oil leakage.

또한, 도 9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협지부(23)는 지름 방향을 따라서 움푹 패인 오목부(24) 및/또는 지름 방향을 따라서 밖으로 돌출되는 볼록부(13)를 가지고, 이와 같이, 유저는 마우스피스(20)를 보다 용이하게 빼내어, 플런저(25)의 끌어 올림 또는 끌어 내림을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협지부(23)에 오목부(24)가 마련되고, 오목부(24)는 원주 방향 전주(全周)를 둘러싸서 마련되거나, 또는, 오목부(24)는 원주 방향을 둘러싸서 부분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오목부(24)는 복수이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협지부(23)에 볼록부가 마련되고, 볼록부는 원주 방향 전주를 둘러싸서 마련되거나, 또는 볼록부는 원주 방향을 둘러싸서 부분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볼록부는 복수이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협지부(23)에 오목부(24)와 볼록부 양쪽이 설치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ing portion 23 has a concave portion 24 recess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and/or a convex portion 13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 The user can more easily pull out the mouthpiece 20 and control the pulling up or pulling down of the plunger 25 more easily. In this embodiment, the concave portion 24 is provided in the clamping portion 23, and the concave portion 24 is provided to surround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the concave portion 24 is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surrounds and is partially installed, or the concave portion 24 is provided in plural and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nother embodiment, a convex portion is provided in the holding portion 23, and the convex portion is provid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electric pole, or the convex portion is partially install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the convex portion is plural,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installed at intervals. Alternatively, in another embodiment, both the concave portion 24 and the convex portion are provided in the holding portion 23.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플런저(25)와 출액구(32)의 맞닿음 방식에 대해 특별히 제한이 없고, 플런저(25)와 출액구(32)가 맞닿아지면, 저액부(30) 내의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이 저지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플런저(25)는 삽입부(26)를 가지고, 삽입부(26)는 출액구(32)에 삽입되고, 또한 출액구(32)에 지름 방향으로 맞닿는다. 출액구(32)는 등단면체이고, 출액구(32)로부터 플런저(25)까지의 방향에 있어서, 삽입부(26)의 외경이 서서히 커지고, 출액구(32)의 내경이 삽입부(26)의 최소 외경과 최대 외경의 사이에 있다. 이와 같이 설계됨으로써, 플런저(25)의 삽입부(26)는 부분적으로 출액구(32)에 삽입되면, 지름 방향으로 출액구(32)에 맞닿아져, 출액구(32)를 밀봉하는 작용을 달성하여, 유체의 출액구(32)로부터의 유출을 방지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contact method between the plunger 25 and the outlet 32, and when the plunger 25 and the outlet 32 abut, the fluid in the reservoir 30 The outflow from the outlet 32 may be preven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in this embodiment, the plunger 25 has an insertion portion 26, the insertion portion 26 is inserted into the outlet 32, and the outlet 32 It abuts in the radial direction. The outlet 32 is an iso-sectional shape, and in the direction from the outlet 32 to the plunger 25,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26 gradually increases,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let 32 becomes the insertion portion 26 It is between the minimum outer diameter and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By designing in this way, when the insertion portion 26 of the plunger 25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outlet 32, it contacts the outlet 32 in the radial direction, thereby sealing the outlet 32. To achieve this, the outflow of the fluid from the outlet 32 is prevented.

또한, 도 9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저액부(30)의 삽입단(21)을 향하고 있는 부분에 관통공이 마련되고, 관통공 내에 씰 부재(34)가 마련되며, 플런저(25)는 씰 부재(34)와 조여 끼우도록 씰 부재(34)에 삽설된다. 빼내는 과정에 있어서, 플런저(25)에 있어서의 유체가 씰 부재(34)에 의해 긁어 취해지기 때문에, 기름 누설이 더 방지된다. 씰 부재(34)의 구체적인 타입에 대해 특별히 제한이 없고, 본 실시예에서는, 씰 부재(34)는 실리카겔 플러그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in the present embodiment, a through hole is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liquid storage portion 30 facing the insertion end 21, a seal member 34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and the plunger 25 ) Is inserted into the seal member 34 so as to fit tightly with the seal member 34. In the process of pulling out, since the fluid in the plunger 25 is scraped off by the seal member 34, oil leakage is further prevente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pecific type of the seal member 34, and in this embodiment, the seal member 34 is a silica gel plug.

이 외, 도 9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카트리지(1)는 추가로 무화부(50)를 포함하고, 저액부(30)의 출액구(32)는 무화부(50)를 향해 설치된다. 무화부(50)의 구체적인 타입에 대해 특별히 제한이 없고, 출액구(32)로부터 무화부(50)로 흐르는 유체가 무화되어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무화부(50)는 다공질 세라믹 가열체, 또는 유리 섬유 로프와 전기 가열선을 조합한 구조 또는 다른 타입의 가열 구조여도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tridge 1 additionally includes an atomizing part 50, and the outlet 32 of the storage liquid part 30 is installed toward the atomizing part 50. do.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pecific type of the atomizing unit 50, and the fluid flowing from the outlet 32 to the atomizing unit 50 may be atomized to generate an aerosol. For example, the atomization part 50 may be a porous ceramic heating body, a structure in which a glass fiber rope and an electric heating wire are combined, or a heating structure of another type.

또한, 도 9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무화부(50)는 볼록한 모양 연장부를 가지고, 볼록한 모양 연장부의 외주면에 씰링(33)이 마련되고, 볼록한 모양 연장부는 출액구(32) 내에 삽설되고, 씰링(33)은 출액구(32)의 내주면과 조여 끼운다. 볼록한 모양 연장부의 외주면에 단열부(51)가 투설되고, 씰링(33)은 단열부(51)에 투설된다. 단열부(51)는 단열 작용을 달성하고, 무화부(50)에 의한 열량의 씰링(33)으로의 전송을 피한다. 단열부(51)의 구체적인 타입에 대해 특별히 제한이 없고, 본 실시예에서는, 단열부(51)는 유리 섬유관이어도 되고, 면이어도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열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in this embodiment, the atomizing portion 50 has a convex extension, a sealing 33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vex extension, and the convex extension is in the outlet 32 It is inserted, and the sealing 33 is tightened and fitt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let 32. The heat insulation part 51 is throw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vex shape extension part, and the sealing 33 is thrown on the heat insulation part 51. The heat-insulating portion 51 achieves a heat-insulating action, and avoids the transfer of heat by the atomizing portion 50 to the sealing 33. There is no restriction|limiting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type of the heat insulating part 51, In this embodiment, the heat insulating part 51 may be a glass fiber tube, and may be cotton. In other embodiments,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heat insulation.

도 14 및 도 9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트리지(1)를 구비하는 전자 담배를 제공하며, 카트리지(1)에는, 마우스피스(20)의 일단과 반대단에 접속 부재(60)가 삽설되고, 접속 부재(60)는 일단이 무화부(5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타단이 전자 담배의 담배 로드(2)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담배 로드(2) 내에 전원(미도시)이 마련되고, 전원은 카트리지(1) 내의 무화부(50)에 급전하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Figs. 14 and 9,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onic cigarette provided with the cartridge 1 in any of the above embodiments, wherein the cartridge 1 includes one end of the mouthpiece 20 The connecting member 60 is inserted at the opposite end, and the connecting member 60 has one end for supporting the atomizing part 50, and the other end for connecting to the tobacco rod 2 of the electronic cigarette. A power source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cigarette rod 2, and the power is for supplying power to the atomizing unit 50 in the cartridge 1.

본 발명에서는, 담배 로드(2)와 카트리지(1)의 접속 방식에 대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1)는 접속 부재(60)에 의해 담배 로드(2)에 나사결합된다. 접속 부재(60) 내에 전극(70)이 마련되고, 접속 부재(60)가 담배 로드(2)에 접속되면, 담배 로드(2) 내의 전원은 전극(70)에 의해 무화부(50)에 급전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tobacco rod 2 and the cartridge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 this embodiment, the cartridge 1 is screwed to the tobacco rod 2 by the connection member 60. . When the electrode 70 is provided in the connecting member 60 and the connecting member 60 is connected to the tobacco rod 2, the power in the tobacco rod 2 is supplied to the atomizing unit 50 by the electrode 70. do.

또한, 도 14에 도시되는 것처럼, 담배 로드(2) 내에, 에어로졸 통로(22)가 도통 상태라고 검출되었을 때, 전원을 제어하여 무화부(50)에 급전시키기 위한 연기 통로 센서(2a)가 마련된다. 에어로졸 통로(22)가 닫힘 상태일 때, 전원은 무화부(50)에 급전하지 않기 때문에, 무화부(50)의 액체가 없는 상태로 가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4,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aerosol passage 22 is in a conductive state in the tobacco rod 2, a smoke passage sensor 2a is provided to control power and supply power to the atomizing unit 50. do. When the aerosol passage 22 is in the closed state, since the power does not energize the atomizing unit 50, heating of the atomizing unit 50 in a liquid-free state can be prevent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효과를 설명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상기 실시예에 대해 변형 또는 변화를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가 본 발명에 개시된 정신이나 기술적 구상에 기초하여 실시하는 모든 등가 변형 또는 변화는 본 발명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incipl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or changes to the above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all equivalent modifications or change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spirit or technical concep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0)

캐비티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마련되는 마우스피스와,
출액구(出液口)를 가지고, 내부에 플런저가 삽설(揷設)되는 저액(貯液)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마우스피스에 연통하는 에어로졸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마우스피스에 접속되는 상기 플런저는 상기 캐비티의 연신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며,
상기 에어로졸 통로에 삽입되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삽입단은 상기 캐비티의 연신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삽입단은 상기 저액부의 외벽에 상기 연신 방향을 따라서 맞닿아져 상기 에어로졸 통로를 닫고, 또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출액구에 맞닿아져 저액부 내의 유체의 상기 출액구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하고,
제2 상태에서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삽입단은 상기 연신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저액부의 외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에어로졸 통로를 열고, 또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출액구로부터 분리되어 저액부 내의 유체가 상기 출액구로부터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 housing having a cavity,
A mouthpiec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using,
A reservoir portion having a discharge port, and in which a plunger is inserted,
It is provided in the housing and has an aerosol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mouthpiece,
The plunger connected to the mouthpiece is provided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cavity,
The insertion end of the mouthpiece inserted into the aerosol passage is provided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cavity,
In the first state, the insertion end of the mouthpie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storage liquid portion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to close the aerosol passage, and the plunger is in contact with the liquid outlet to the outlet of the fluid in the storage liquid portion. Stop spills from
In the second state, the insertion end of the mouthpiece is separat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to open the aerosol passage, and the plunger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so that the fluid in the reservoir flows out from the outlet. Aerosol-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ena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삽입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출액구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출액구에 지름 방향으로 맞닿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nger has an insertion portion,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outlet and is capable of contacting the outlet in a radial dir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액구는 등단면체(等斷面體)이고, 상기 출액구로부터 상기 플런저까지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외경이 서서히 커지고, 상기 출액구의 내경이 상기 삽입부의 최소 외경과 최대 외경과의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outlet is an equal cross-sectional body, and in the direction from the outlet to the plunger,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gradually increases,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let is between the minimum outer diameter and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보스(boss) 구조이고, 상기 삽입부의 보스는 상기 출액구에 삽입되어, 상기 출액구의 내벽에 맞닿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insertion part has a boss structure, and the boss of the inser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and abuts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discharge po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걸림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플런저는 걸림 홈이 마련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걸림 홈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thpiece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the plunger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mber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액부의 상기 삽입단을 향하고 있는 부분에 관통공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공 내에 씰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씰 부재와 조여 끼우도록 상기 씰 부재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through hole is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liquid storage portion facing the insertion end, a seal member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and the plunger passes through the seal member so as to be tightened with the seal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로 무화(霧化)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액부의 출액구는 상기 무화부를 향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tomizing unit, wherein the outlet of the liquid storage unit is installed toward the atomizing uni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는 가열체와 무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체는 상기 출액구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출액구로부터 도출되는 액체는 상기 가열체에 의해 무화된 후에 상기 무화 캐비티를 경유하여 상기 에어로졸 통로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atomization unit includes a heating body and an atomization cavity, the heating body is located below the discharge port, and the liq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atomized by the heating body and then enters the aerosol passage through the atomization cavity.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통로는 상기 저액부와 무화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무화 캐비티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aerosol passage i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at one side of the liquid reservoir and the atomization unit,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atomization cavity.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통로는,
상기 연신 방향을 따라서 상기 무화부 에어로졸의 유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무화 캐비티에 연통하는 제1 에어로졸 통로와,
상기 연신 방향을 따라서 저액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저액부를 관통하는 제2 에어로졸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로졸 통로와 상기 제2 에어로졸 통로는 밀봉 파이프를 통해서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aerosol passage,
A first aerosol passage provided on an outlet side of the atomizing part aerosol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atomizing cavity,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liquid portion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and includes a second aerosol passage passing through the storage liquid por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erosol passage and the second aerosol passage communicate through a sealing pip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무화 캐비티에는 흡기공과 에어로졸 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에어로졸 출구는 상기 제1 에어로졸 통로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intake hole and an aerosol outlet are provided in the atomization cavity, and the aerosol outle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erosol passag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열체는 다공질 세라믹 가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body is a porous ceramic heating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에는 흡입구가 마련되고, 제2 상태에서는, 에어로졸은 상기 에어로졸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흡입구로부터 들이마셔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thpiece is provided with an inlet, and in the second state, the aerosol passes through the aerosol passage and is inhaled from the inle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마우스피스는 일체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and the mouthpiece have an integral structur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저액부, 상기 무화부 및 상기 에어로졸 통로가 모두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신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저액부, 상기 무화부 및 상기 에어로졸 통로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liquid storage unit, the atomization unit, and the aerosol passage are all provided in the housing, and the housing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storage liquid unit, the atomization unit, and the aerosol passage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저액부의 외표면에 제한 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은 슬라이딩 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한 돌기부는 상기 슬라이딩 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것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A limit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iquid storage unit,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sliding groove, and the limiting protrusion is located in the sliding groove, and is used to limit a moving distance of the housing in the stretching direc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탄성 부품이 마련되고, 상기 탄성 부품은 상기 씰 부재와 상기 삽입부의 사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탄성 부품은 상기 씰 부재와 상기 마우스피스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출액구의 밀봉을 회복 또는 유지하도록 상기 삽입부를 구동하는 것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 elastic component is provided on the plunger, and the elastic component is located between the seal member and the insertion part, or the elastic component is located between the seal member and the mouthpiece, and the sealing of the outlet is restored. 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sed to drive the insert to hol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내부에 장착부가 마련되는 메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무화부는 상기 장착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저액부는 상기 장착부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담배.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7,
It includes a main housing in which a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An electronic cigarette, characterized in that the atomizing par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art, and the liquid storage par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part.
청구항 18에 있어서,
추가로 트리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센서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에어로졸 출구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1 에어로졸 통로와의 접합부에 마련되고, 상기 트리거 센서는 상기 에어로졸 통로 내의 기압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담배.
The method of claim 18,
In addition, it includes a trigger sensor,
The trigger sensor is provided at a junction between the aerosol outle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 first aerosol passag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 trigger sensor is for detecting a change in atmospheric pressure in the aerosol passage.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 내에 추가로 전원과 제어 회로 기판이 마련되고,
상기 전원은 상기 무화부에 급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어 회로 기판은 상기 무화부에 의한 유체의 무화를 제어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담배.
The method of claim 18,
A power source and a control circuit board ar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The power supply is for supplying power to the atomizing unit,
The control circuit board is an electronic cigarett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atomization of the fluid by the atomization unit.
캐비티를 가지는 카트리지 케이스와,
에어로졸 통로를 가지고,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일단에 이동 가능하게 삽설되는 마우스피스와,
출액구를 가지고, 플런저가 내부에 삽설되는 저액부를 구비하고,
상기 캐비티에 삽입되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삽입단에, 상기 플런저는 상기 캐비티의 연신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삽입단은 상기 저액부의 외벽에 상기 연신 방향을 따라서 맞닿아져 상기 에어로졸 통로를 닫고, 또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출액구에 맞닿아져 저액부 내의 유체의 상기 출액구로부터의 유출을 저지하고,
제2 상태에서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삽입단은 상기 연신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저액부의 외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에어로졸 통로를 열고, 또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출액구로부터 분리되어 저액부 내의 유체가 상기 출액구로부터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With a cartridge case having a cavity,
A mouthpiece that has an aerosol passage and is movably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cartridge case,
It has a discharge port, and a plunger is provided with a reservoir to be inserted inside,
At the insertion end of the mouthpiece inserted into the cavity, the plunger is provided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cavity,
In the first state, the insertion end of the mouthpie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storage liquid portion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to close the aerosol passage, and the plunger is in contact with the liquid outlet to the outlet of the fluid in the storage liquid portion. Stop spills from
In the second state, the insertion end of the mouthpiece is separat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to open the aerosol passage, and the plunger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so that the fluid in the reservoir flows out from the outlet.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to enable.
청구항 21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삽입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외벽에 접속되거나, 또는 일단이 상기 저액부의 내벽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플런저에 접속되는 탄성 부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21,
The cartridge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componen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sertion e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uter wall, or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liquid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lunger.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협지부(挾持部)를 포함하고, 상기 협지부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외주면(外周面)을 둘러싸서 마련되고, 상기 협지부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외주면의 사이에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22,
The mouthpiece includes a clamping part, the clamping part is provid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and a radial clearance exists between the clamping part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협지부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21,
The mouthpiece includes a clamping part, wherein the clamping part is screw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과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내주면(內周面)과의 사이에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22,
A cartridge, wherein a radial clearance exists between the insertion end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21,
The insertion end is a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screw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는 0.1mm-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23 or 25,
The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al clearance is 0.1mm-0.5mm.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는 지름 방향을 따라서 움푹 패인 오목부 및/또는 지름 방향을 따라서 밖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23 or 24,
The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portion has a concave portion recessed along a radial direction and/or a convex portion protruding outward along a radial direction.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원주 방향 전주(全周)를 둘러싸서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오목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오목부는 복수이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및/또는 상기 볼록부는 원주 방향 전주를 둘러싸서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볼록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볼록부는 복수이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28,
The concave portion is provided to surround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the concave portion is partially encl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the concave portion is plural, and is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Or the convex portion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electric po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the convex portion is partially encl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the convex portion is plural and is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저액부의 내벽에 대향 설치되는 제1 지름 방향 돌출부와 제2 지름 방향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지름 방향 돌출부와 상기 제2 지름 방향 돌출부는 제한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협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설되고, 상기 협지부는 상기 플런저의 지름 방향으로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23,
A first radial protrusion and a second radial protrusion are installed opposite to the inner wall of the liquid reservoir, the first radial protrusion and the second radial protrusion form a limiting part, and the plunger moves to the holding part. The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to be possible, the holding portion is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plunger in the radial direction.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삽입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출액구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출액구에 지름 방향에 맞닿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21,
The plunger has an insertion portion,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outlet and abuts against the outlet in a radial direction.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출액구는 등단면체이고, 상기 출액구로부터 상기 플런저까지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외경이 서서히 커지고, 상기 출액구의 내경이 상기 삽입부의 최소 외경과 최대 외경과의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31,
The outlet is an iso-sectional shape,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gradually increases in the direction from the outlet to the plunger,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let is between the minimum outer diameter and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저액부의 상기 삽입단을 향하고 있는 부분에 관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 내에 씰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씰 부재와 조여 끼우도록 상기 씰 부재에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21,
A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is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liquid storage portion facing the insertion end, a seal member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and the plunger is inserted into the seal member so as to fit tightly with the seal member.
청구항 21에 있어서,
무화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저액부의 출액구가 상기 무화부를 향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21,
Further provided with an atomization unit,
A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of the liquid storage portion is installed toward the atomizing portion.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는 볼록한 모양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볼록한 모양 연장부의 외주면에 씰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볼록한 모양 연장부는 상기 출액구 내에 삽설되고, 상기 씰 부재는 상기 출액구의 내주면과 조여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34,
The atomizing portion has a convex extension, a seal member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vex extension, the convex extension is inserted into the outlet, and the seal member is tightened and fitted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let. .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볼록한 모양 연장부의 외주면에 단열부가 투설(套設)되고, 상기 씰 부재는 상기 단열부에 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35,
A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a heat insulation portion is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vex extension portion, and the seal member is disposed on the heat insulation portion.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저액부의 외주면과 상기 캐비티의 사이에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를 가지고, 유체가 상기 무화부를 통과하여 무화되어 생긴 에어로졸은 외부의 공기와 함께 상기 지름 방향 클리어런스를 통해서 상기 에어로졸 통로에 유입되어, 상기 에어로졸 통로로부터 유출되어 들이마셔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34,
It has a radial clearan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servoir and the cavity, and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atomizing part is introduced into the aerosol passage through the radial clearance together with external air, from the aerosol passage. A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spills out and is breathed in.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6, 청구항 30 내지 청구항 3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담배.An electronic cigarette comprising the cartridg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6 and 30 to 37. 청구항 38에 있어서,
추가로 담배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담배 로드 내에 카트리지 내의 무화부에 급전하기 위한 전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담배.
The method of claim 38,
Further provided with a tobacco rod,
An electronic cigarette, characterized in that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atomizing unit in the cartridge is provided in the tobacco rod.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담배 로드 내에, 상기 에어로졸 통로가 도통 상태라고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무화부에 급전하기 위한 연기 통로 센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담배.
The method of claim 39,
In the cigarette rod, when the aerosol passage is detected to be in a conductive state, a smoke passage sensor is provided to control the power to supply power to the atomizing unit.
KR1020180166353A 2018-01-02 2018-12-20 Push-pull electronic cigarette KR10223394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003021.7A CN109984384A (en) 2018-01-02 2018-01-02 A kind of smoke grenade and electronic cigarette
CN201810003021.7 2018-01-02
CN201810574519.9A CN110558614A (en) 2018-06-06 2018-06-06 Aerial fog generating device, cigarette bullet and electron cigarette
CN201810574519.9 2018-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665A KR20190082665A (en) 2019-07-10
KR102233940B1 true KR102233940B1 (en) 2021-03-29

Family

ID=67254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353A KR102233940B1 (en) 2018-01-02 2018-12-20 Push-pull electronic cigarett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768772B2 (en)
KR (1) KR10223394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809B1 (en) 2019-10-17 2021-11-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preheating method thereof
KR102351158B1 (en) * 2019-10-30 2022-01-13 (주)인터플렉스 Cartridge pulverizer for electronic cigarette
EP4248772A3 (en) * 2020-04-23 2024-01-17 Japan Tobacco Inc. Heating unit for flavor inhaler and flavor inhaler
KR102501160B1 (en) * 2020-11-24 2023-02-1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WO2023283961A1 (en) * 2021-07-16 2023-01-19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Electronic atomization apparatus, and atomizer and atomization assembly thereof
WO2023141736A1 (en) * 2022-01-25 2023-08-03 海南摩尔兄弟科技有限公司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and liquid path mechanism thereof
WO2024065823A1 (en) * 2022-09-30 2024-04-04 深圳市卓力能技术有限公司 Atomization assembly and atomiza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512B1 (en) 2009-09-08 2010-01-28 조여찬 Electronic cigarette
KR200454965Y1 (en) 2011-05-20 2011-08-08 김충민 E-cigarette cartridges
WO2017137554A1 (en) 2016-02-12 2017-08-17 Fontem Holdings 1 B.V. Filling system for electronic smoking devices
US10426196B2 (en) 2015-06-09 2019-10-01 Gofire, Inc. Portable vaporizer for dosing concentrat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67079Y (en) * 2006-05-16 2008-06-04 韩力 Simulation aerosol inhaler
KR20150025289A (en) * 2013-08-28 2015-03-10 주식회사 제씨테크 a electronic cicarette
US9197726B2 (en) * 2014-01-29 2015-11-24 Vaportronix, LLC Combination mobile phone case and electronic cigarette
US11357259B2 (en) * 2015-12-03 2022-06-14 Jt International S.A. Reservoir assembly for a personal vaporize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512B1 (en) 2009-09-08 2010-01-28 조여찬 Electronic cigarette
KR200454965Y1 (en) 2011-05-20 2011-08-08 김충민 E-cigarette cartridges
US10426196B2 (en) 2015-06-09 2019-10-01 Gofire, Inc. Portable vaporizer for dosing concentrate material
WO2017137554A1 (en) 2016-02-12 2017-08-17 Fontem Holdings 1 B.V. Filling system for electronic smok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68772B2 (en) 2020-10-14
KR20190082665A (en) 2019-07-10
JP2019118344A (en)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940B1 (en) Push-pull electronic cigarette
WO2017211137A1 (en)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EP2949226B1 (en) Electronic cigarette
CN205196997U (en) A reservoir and atomizer and electron cigarette for electron cigarette
WO2018024004A1 (en) Disposable cigarette cartridge,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CN108208935B (en)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thereof
EP3560360A1 (en) Cigarette cartridge, atomizing assembly and electronic cigarette
JP2019520793A (en) Cartridge, battery unit and electronic cigarette
WO2017035720A1 (en) E-cigarette
CN107072305A (en) Disposable electric cigarette
CN210782916U (en)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WO2016000206A1 (en) Electronic cigarette
CN106470562A (en) Atomizing component and electronic cigarette
KR20180136534A (en) Ultrasonic electronic cigarette dispenser and electronic cigarette
WO2016065926A1 (en) Electronic cigarette
WO2015143662A1 (en) Electronic cigarette
CN106793830A (en) Atomizing component and electronic cigarette
CA3062588A1 (en) Atomizer and atomization core of an electronic cigarette
KR200493437Y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cigarette
CN210492615U (en) Push away electron smog spinning disk atomiser of formula of covering oiling
CN112956744B (en)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WO2018112769A1 (en) Atomizer
CN109330038B (en)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CN111407000A (en) Atomization component of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CN210695958U (en) Condensate recovery structure of electronic cigarette atom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