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762B1 -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및 변위식별이 간편한 적층고무받침 - Google Patents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및 변위식별이 간편한 적층고무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762B1
KR102233762B1 KR1020200111986A KR20200111986A KR102233762B1 KR 102233762 B1 KR102233762 B1 KR 102233762B1 KR 1020200111986 A KR1020200111986 A KR 1020200111986A KR 20200111986 A KR20200111986 A KR 20200111986A KR 102233762 B1 KR102233762 B1 KR 102233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laminated rubber
superstructure
indicator
ident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최정수
이광훈
장대영
Original Assignee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1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5/04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5/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위지시구, 변위식별구를 포함하는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및 변위식별이 간편한 적층고무받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및 변위식별이 간편한 적층고무받침{Displacement identification device of superstructure and laminated rubber bearings for easy identification of displacemen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상부구조물 또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상하변위, 수평변위 등을 간편하게 식별할 수 있는 변위식별장치와 변위식별이 간편한 적층고무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상부구조물 또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적층고무받침에 부착하여, 상부구조물에 변위가 얼마나 발생하였는지를 직관적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변위식별장치와 이러한 변위식별장치를 부착한 적층고무받침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경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면서 지진 발생시 면진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상부구조물과 기초 사이를 이격시키고, 납면진받침(LRB, Lead Rubber Bearing) 또는 탄성받침을 설치하며, 교량의 경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교각, 교대) 사이에 납면진받침 또는 탄성받침을 많이 설치한다.
납면진받침(LRB)과 탄성받침을 포괄하여 적층고무받침이라 하는데, 적층고무받침은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온도변화, 크리프, 건조수축 및 처짐 등에 의해 발생되는 건축물의 상부구조물 또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신축변위와 이동을 자체 탄성을 통해 수용하고, 하중, 진동, 충격을 흡수하여 지진에 대비하는 면진, 내진설계로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적층고무받침(납면진받침 또는 탄성받침)(300)이 건축물 또는 교량의 상부구조물(100)과 하부구조물(20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부구조물(100)에, 상부베이스플레이트(120)가 앵커(110)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하부구조물(200)에는 베이스판(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판(210) 위로 베드블록(220)이 고정되어 있다. 베드블록은 경우에 따라 사용하지 않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베이스플레이트(120)와 베드블록(220)의 사이에(베드블록이 없는 경우에는 상부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판 사이에) 적층고무받침(300)이 설치된다.
적층고무받침(300)은, 상부판(310), 하부판(320) 및 상기 상부판(310)과 하부판(320)의 사이에 고정되는 적층고무패드(33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부판(310) 및 하부판(320)과 적층고무패드(330)의 고정은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도 1에는, 상기 적층고무패드(330)의 내부에 내부보강판이 구비되고 그 외부를 가황고무가 둘러싸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납면진받침의 경우에는 적층고무패드의 내부에 납봉이 삽입된다.
탄성을 가진 적층고무패드의 변형에 의해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흡수하게 되며, 납면진받침은 지진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상부구조물에는 수평방향으로의 변위(수평변위)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의 변위가 항상 발생한다.
적층고무받침은 이러한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흡수하면서 상부구조물을 안전하게 지지하는데, 경우에 따라 과도한 변위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상부구조물의 파손, 붕괴, 탈락 등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상부구조물의 변위에 대해 상시적으로 관찰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관찰하기 위해 적층고무받침의 일정 위치에 눈금자를 부착하여 변위가 발생하였을 때 눈금의 변화를 읽어 변위를 관측하고 기록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부착구조가 복잡하여 설치가 어렵고, 변위가 안전한 범위 인지 또는 위험범위 인지 등을 직관적으로 빠르고 간편하게 확인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8-0013341호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작과 설치가 간편한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및 변위식별이 간편한 적층고무받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관찰만으로도 상부구조물의 변위가 안전한 범위 이내인지 또는 위험한 수준인지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변위식별이 간편한 적층고무받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기 설치되어 사용중인 적층고무받침에도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변위식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식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변위지시구(10)를 포함하되, 상기 변위지시구(10)는, 상부고정부(11); 하부고정부(12); 상기 상부고정부(11)와 하부고정부(12) 사이에 구비되는 지시봉(13)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봉(13)의 경사와 길이 변화를 통해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시봉(13)은, 외부지시봉(130); 상기 외부지시봉(130)에 그 일부가 수납되는 내부지시봉(140)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지시봉(130) 내부에 수납되는 상기 내부지시봉(140)의 수납 정도에 따라 상기 지시봉(13)의 길이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고정부(11)에는 볼수용홈(111)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고정부(12)에는 볼수용홈(121)이 구비되며, 상기 외부지시봉(130)의 일측 끝에는 볼핀(132)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지시봉(140)의 타측 끝에는 볼핀(142)이 구비되어, 상기 볼수용홈(111)에 상기 볼핀(132)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볼수용홈(121)에 상기 볼핀(142)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고정부(11)에는 자석(113)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고정부(12)에는 자석(123)이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각각 상부판(31)과 하부판(3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지시봉(130)의 내부에는 스프링(1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위식별장치는 변위식별구(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변위식별구(20)는, 상기 변위식별구(20)를 상부판(31) 또는 하부판(32)에 고정하는 고정부;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식별하도록 하는 식별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부(23)는, 안전표시부(231); 경고표시부(232); 위험표시부(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부(23)는 눈금표시부(3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부판(31); 하부판(32); 상기 상부판(31)과 하부판(32) 사이에 구비되는 적층고무패드(33)를 포함하는 적층고무받침; 상기 적층고무받침에 부착되는 상기 변위식별장치를 포함하는 변위식별이 간편한 적층고무받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및 변위식별이 간편한 구조물 적층고무받침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부구조물의 변위에 따라 변위지시구가 기울어지는 정도나 길이가 줄어드는 정도를 관찰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수평변위, 상하변위를 손쉽게 관찰할 수 있다.
둘째, 기존 적층고무받침에도 변위지시구와 변위식별구를 부착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기존 상부구조물의 상하변위와 수평변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적용성이 크다.
셋째, 변위지시구의 지시봉의 길이가 줄어든 양 또는 늘어난 양을 확인하면, 상부구조물의 상하변위를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수평변위에 의해 기울어지는 지시봉이 식별부의 어느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면, 수평변위가 안전범위인지 위험범위인지 등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변위식별구 제1실시예가 설치된 적층고무받침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변위식별구 제2실시예가 설치된 적층고무받침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납면진받침에 변위지시구와 변위식별구가 설치되고, 변위가 발생하기 전의 모습이다.
도 5는 탄성받침에 변위지시구와 변위식별구가 설치되고, 변위가 발생하기 전의 모습이다.
도 6은 변위지시구이다.
도 7은 변위지시구의 분해도이다.
도 8 (a)는 상부고정부, (b)는 하부고정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변위식별구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10은 변위식별구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11은 변위가 발생하기 전 적층고무받침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상하변위가 발생한 적층고무받침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상하변위와 수평변위가 발생한 적층고무받침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상하변위와 수평변위가 발생한 납면진받침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15는 상부고정부를 이동시켜서 상하변위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16 및 17은 변위식별장치의 설치위치를 설명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3에는 본 발명의 변위식별장치가 설치된 적층고무받침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적층고무받침(30)은, 납면진받침(LRB, Lead Rubber Bearing)과 탄성받침이 될 수 있고, 건축물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기초판, 기초, 지하구조물) 사이 및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교각, 교대) 사이에 설치된다.
도 2,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적층고무받침(30)은, 상부판(31)과 하부판(32)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판(31) 및 하부판(32)의 사이에는 적층고무패드(33)가 고정된다.
적층고무받침(30)으로 납면진받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적층고무패드(33)는 그 내부에 내부보강판과 납봉(34)이 구비되고 그 외부를 가황고무가 둘러싸는 형태이고(도 4 참조), 적층고무받침(30)으로 탄성받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적층고무패드(33)는 그 내부에 내부보강판이 구비되고 그 외부를 가황고무가 둘러싸는 형태(도 5 참조)가 된다.
도 2, 3에는 변위지시구(10)와 변위식별구(20)가 적층고무받침(3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2에는 변위식별구(20)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변위식별구(20)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제1실시예는 변위지시구(10)가 안쪽에 위치하고, 변위식별구(20)가 바깥쪽에 위치하는 형태로 부착되는 것이고, 도 3의 제2실시예는 변위지시구(10)가 바깥쪽에 위치하고, 변위식별구(20)가 안쪽에 위치하는 형태로 부착된다.
상부구조물에 변위가 발생하여 적층고무받침의 상부판(31)이 이동하게 되면, 상기 변위지시구(10)가 이러한 이동을 지시하게 되고, 변위지시구가 지시하는 변위를 상기 변위식별구(20)를 통해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변위식별장치에서는, 변위지시구(10)만을 적층고무받침에 설치하여 상하변위와 수평변위를 관찰할 수 있고, 변위지시구(10)에 변위식별구(20)를 더하면 보다 더 간편하고 정확하게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변위지시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변위지시구(10)는, 상부고정부(11), 하부고정부(12), 상기 상부고정부(11)와 하부고정부(12) 사이에 구비되는 지시봉(13)을 포함한다.
상기 지시봉(13)은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외부지시봉(130)과 상기 외부지시봉(130)에 그 일부가 수납되는 내부지시봉(140)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지시봉(130)은 내부지시봉(140)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는 삽입관(131)과 볼핀(132)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지시봉(140)은 상기 삽입관(131)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봉(141)과 볼핀(142)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상부고정부(11)에는 볼수용홈(111)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고정부(12)에는 볼수용홈(121)이 구비되어, 상기 볼수용홈(111)에 상기 볼핀(132)이 삽입되고, 상기 볼수용홈(121)에 상기 볼핀(142)이 삽입된다.
상기 상부고정부(11)와 하부고정부(12)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볼수용홈(111) 및 볼수용홈(121)의 입구 직경이 상기 볼핀(132) 및 볼핀(142)의 직경보다 조금 작게 하여, 상기 볼핀(132) 및 볼핀(142)이 억지끼움에 의해 상기 볼수용홈(111) 및 볼수용홈(1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볼핀(132) 및 볼핀(142)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볼핀은 구의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볼수용홈(111) 및 볼수용홈(121)의 내면 형상은 볼핀(132) 및 볼핀(142)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고정부(11)는 상부판(31)에, 하부고정부(12)는 하부판(32)에 부착할 수 있는데, 부착방식은 자석을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자력을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고정부(11)에 자석수용홈(112)을 구비하고, 자석(113)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하부고정부(12)에는 자석수용홈(122)을 구비하고, 자석(123)을 삽입할 수 있다.
자력에 의해 상부고정부와 하부고정부를 탈부착할 경우에는 기 설치되어 사용중인 적층고무받침에도 간단하게 부착하여 변위를 식별할 수 있고, 보수나 교체가 쉬워지며, 적층고무받침의 물성 저하에 따라 변위지시구를 교체해야 할 경우 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지시봉(140)의 출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외부지시봉(130)의 내부에 스프링(1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부지시봉(130) 내부에 수납되는 상기 내부지시봉(140)의 수납 정도에 따라 상기 지시봉(13)의 전체 길이가 변할 수 있게 되고, 그 변하는 양에 따라 변위를 식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봉(141)의 외면에는 상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을 구비하여(미도시), 삽입관(131) 속으로 삽입봉(141)이 삽입된 정도를 측정할 수 있고, 압축한계선(143)을 표시하여(도 6, 7 참조) 적층고무받침이 수용할 수 있는 압축변위의 한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압축한계선을 표시할 경우, 삽입관(131)의 끝이 압축한계선에 닿는지를 관찰함으로써 압축변위가 한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외부지시봉과 내부지시봉은 금속,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는 변위식별구(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제1실시예인 1자형의 변위식별구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제2실시예인 ㄴ자형의 변위식별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1자형의 변위식별구는, 상부판(31) 또는 하부판(32)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고정부(211)(도면에는 변위식별구가 하부판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변위식별구를 상부판에 부착할 수도 있다)와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식별하도록 해주는 식별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부의 위치와 식별범위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211)와 식별부(23) 사이에 연결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자형의 변위식별구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판(32)의 측면에 고정부(211)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데, 자석을 이용하여 탈부착식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식별부(23)는, 수평변위가 안전범위 이내인 것을 표시하는 안전표시부(231), 경고범위인 것을 표시하는 경고표시부(232), 위험한 수준이어서 즉각적인 보수조치를 필요로 하는 위험표시부(233)를 포함한다.
이때 직관적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색상을 부여할 수 있는데, 상기 경고표시부(232)는 노란색, 상기 위험표시부(233)는 붉은색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표시부(231)의 중앙에는 눈금표시부(234)를 두어 상하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1자형의 제1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변위지시구(10)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있어, 변위식별구(20)가 변위지시구(10)의 하부를 가리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투명한 합성수지, 아크릴 소재로 변위식별구(20)를 제작하면, 변위식별구 뒤에 있는 변위지시구가 쉽게 관측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변위식별구의 안전표시부(231)는 투명한 형태이므로, 뒤에 있는 변위지시구(10)가 바깥쪽에서도 쉽게 관측되고, 눈금표시부를 통해 상하변위가 쉽게 측정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ㄴ자형의 변위식별구는, 하부판(32)의 일측 상면에 부착되는 고정부(212)(도면에는 변위식별구가 하부판(32)의 일측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변위식별구를 상부판(31)의 일측 하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와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식별하도록 해주는 식별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부의 위치와 식별범위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212)와 식별부(23) 사이에 연결부(2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ㄴ자형의 변위식별구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판(32)의 일측 상면에 고정부(212)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데, 자석을 이용하여 탈부착식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212)에는 수용홈(2121)을 구비하여 하부고정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부(23)의 구성은 상기 1자형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ㄴ자형의 제2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식별부(23)가 변위지시구(10)보다 뒤쪽에 위치하고 있어, 꼭 투명한 소재로 만들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앞쪽에 있는 삽입봉(141)이 눈금표시부(234)를 가릴 수 있으므로, 삽입봉(141)의 두께를 눈금표시부(234)의 폭보다 작게 하여 뒤쪽에 있는 눈금이 바깥쪽에서도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부구조물의 변위 식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위식별장치가 적층고무받침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정면도이고, 아직 변위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다.
도 11의 상태에서 하향 변위가 발생하여 적층고무받침이 압축되면 도 12와 같이 적층고무받침이 아래로 수축되고, 외부지시봉(130) 속으로 내부지시봉(140)이 더 깊이 삽입되어, 지시봉(13)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그 짧아진 만큼 외부지시봉의 끝이 눈금표시부에 표시된다.
구조물의 관리자는 이러한 지시봉의 길이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상하변위를 쉽게 측정하게 된다.
도 13, 14는 상하변위와 수평변위가 함께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상부구조물의 수평변위에 따라 상부판이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판에 부착되어 있는 상부고정부가 함께 이동함에 따라 지시봉이 경사지게 된다.
이때 지시봉이 상기 안전표시부(231)에 오버랩 되는지, 경고표시부(232)에 오버랩 되는지, 위험표시부(233)에 오버랩 되는지를 관찰하여 수평변위의 양에 대해 직관적으로 쉽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3, 14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지시봉의 하단 끝이 눈금표시부를 가리키는 것을 확인하면 상하변위도 측정이 가능하다. 다만 이때는 지시봉이 기울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오차가 없는 정확한 상하변위를 측정하고자 할때에는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고정부를 이동시켜 지시봉이 하부판과 수직이 되도록 한 후 눈금을 읽어 상하변위량을 측정하면 된다.
위에서 설명한 변위식별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적층고무받침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6과 같이 적층고무패드의 평면형상이 원형인 경우, 도 17과 같이 적층고무패드의 평면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 도 16, 17과 같이 상부판과 하부판의 인접한 두 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
즉, 건축물에 적용하는 경우, 건축물의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관측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변위식별장치가 변위를 가리킬 수 있도록 설치하고, 교량에 적용하는 경우, 교축방향의 변위를 관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교축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하고, 교직방향(교축방향과 직각)의 변위를 관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교직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한다. 통상 두 방향 모두의 변위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 16, 17과 같이 두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한 곳에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고무받침은 평면 형상이 사각형인 적층고무받침에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원형 등 다른 형상의 적층고무받침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변위지시구
11. 상부고정부 12. 하부고정부
13. 지시봉
130. 외부지시봉 140. 내부지시봉
15. 스프링
111. 볼핀수용홈 121. 볼핀수용홈
112. 자석수용홈 122. 자석수용홈
113. 자석 123. 자석
131. 삽입관 132. 볼핀
141. 삽입봉 142. 볼핀
143. 압축한계선
20. 변위식별구
211, 212. 고정부 22. 연결부
23. 식별부
231. 안전표시부 232. 경고표시부
233. 위험표시부 234. 눈금표시부
2121. 수용홈
30. 적층고무받침 31. 상부판
32. 하부판 33. 적층고무패드
34. 납봉

Claims (10)

  1.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식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변위지시구(10)를 포함하되, 상기 변위지시구(10)는, 상부고정부(11); 하부고정부(12); 상기 상부고정부(11)와 하부고정부(12) 사이에 구비되는 지시봉(13)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봉(13)은, 외부지시봉(130); 상기 외부지시봉(130)에 그 일부가 수납되는 내부지시봉(14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지시봉(130) 내부에 수납되는 상기 내부지시봉(140)의 수납 정도에 따라 상기 지시봉(13)의 길이가 변하고,
    상기 상부고정부(11)에는 볼수용홈(111)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고정부(12)에는 볼수용홈(121)이 구비되며,
    상기 외부지시봉(130)의 일측 끝에는 볼핀(132)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지시봉(140)의 타측 끝에는 볼핀(142)이 구비되어,
    상기 볼수용홈(111)에 상기 볼핀(132)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볼수용홈(121)에 상기 볼핀(142)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상기 지시봉(13)의 경사와 길이 변화를 통해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11)에는 자석(113)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고정부(12)에는 자석(123)이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각각 상부판(31)과 하부판(3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지시봉(130)의 내부에는 스프링(1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식별장치는 변위식별구(20)를 더 포함하는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식별구(20)는,
    상기 변위식별구(20)를 상부판(31) 또는 하부판(32)에 고정하는 고정부;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식별하도록 하는 식별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23)는, 안전표시부(231); 경고표시부(232); 위험표시부(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23)는 눈금표시부(2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10. 상부판(31); 하부판(32); 상기 상부판(31)과 하부판(32) 사이에 구비되는 적층고무패드(33)를 포함하는 적층고무받침;
    상기 적층고무받침에 부착되는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변위식별장치를 포함하는
    변위식별이 간편한 적층고무받침.












KR1020200111986A 2020-09-03 2020-09-03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및 변위식별이 간편한 적층고무받침 KR102233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986A KR102233762B1 (ko) 2020-09-03 2020-09-03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및 변위식별이 간편한 적층고무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986A KR102233762B1 (ko) 2020-09-03 2020-09-03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및 변위식별이 간편한 적층고무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762B1 true KR102233762B1 (ko) 2021-03-31

Family

ID=75237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986A KR102233762B1 (ko) 2020-09-03 2020-09-03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및 변위식별이 간편한 적층고무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773A (ko) * 2021-08-20 2023-02-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계 변위 측정 장치
KR102602852B1 (ko) * 2023-04-19 2023-11-16 (주)한림이앤지 건축물 안전진단용 균열 측정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001A (ja) * 2000-03-21 2001-09-26 Kumagai Gumi Co Ltd 構造物部材間の変形記録装置
KR101618229B1 (ko) * 2016-01-27 2016-05-04 진충한 교량받침용 이동량 게이지 및 이를 구비한 교량받침
KR20180013341A (ko)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다축 방향의 변위측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측정자를 구비한 받침장치
KR102167016B1 (ko) * 2020-04-22 2020-10-19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회전변위 및 수평변위 식별이 용이한 탄성받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001A (ja) * 2000-03-21 2001-09-26 Kumagai Gumi Co Ltd 構造物部材間の変形記録装置
KR101618229B1 (ko) * 2016-01-27 2016-05-04 진충한 교량받침용 이동량 게이지 및 이를 구비한 교량받침
KR20180013341A (ko)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다축 방향의 변위측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측정자를 구비한 받침장치
KR102167016B1 (ko) * 2020-04-22 2020-10-19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회전변위 및 수평변위 식별이 용이한 탄성받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773A (ko) * 2021-08-20 2023-02-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계 변위 측정 장치
KR102643917B1 (ko) * 2021-08-20 2024-03-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계 변위 측정 장치
KR102602852B1 (ko) * 2023-04-19 2023-11-16 (주)한림이앤지 건축물 안전진단용 균열 측정 지그
KR102613895B1 (ko) * 2023-04-19 2023-12-14 (주)한림이앤지 건축물 안전진단용 균열 측정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762B1 (ko)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및 변위식별이 간편한 적층고무받침
KR101618229B1 (ko) 교량받침용 이동량 게이지 및 이를 구비한 교량받침
WO2019093966A1 (en) Soil displacement measurement device
KR101344228B1 (ko) 시설물의 비대칭 형상을 고려한 지진계측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진 감시 시스템
CN106679559A (zh) 一种超高土石坝内部三维变形实测装置及方法
JP2020519798A (ja) トンネル用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ならびにそのような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を作製および監視する方法
KR10204495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변위량 측정기
KR102167016B1 (ko) 회전변위 및 수평변위 식별이 용이한 탄성받침
CN110849527A (zh) 针对混凝土支撑轴力的实时检测方法
CN212620737U (zh) 一种基坑变形监测装置
CN116697983B (zh) 一种混凝土桥梁沉降检测装置
KR102046508B1 (ko) 면진장치 동적거동 기록시스템
KR20090105555A (ko) 스타프가 장착된 침하봉을 갖는 침하량 계측장치 및 그계측장치를 이용한 지반 침하량 1인 계측방법
KR102475829B1 (ko) 가속도와 변위 신호를 이용한 지진감시 진단장치가 적용된 내진 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2417776B1 (ko) 3축 콘크리트 균열 게이지
KR20180013341A (ko) 다축 방향의 변위측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측정자를 구비한 받침장치
CN106595590A (zh) 一种基于平衡杆原理的双向测斜仪
KR102123816B1 (ko) 지진 및 위험지역 구조물을 위한 스마트 재난방지 시스템
CN212301162U (zh) 一种用于现场直接剪切试验的剪切装置
CN110332960B (zh) 一种支模安全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112782724A (zh) 基于北斗定位系统的边坡安全三维监测装置
CN206670544U (zh) 一种岩土工程边坡地表变形监测装置
KR101268359B1 (ko) 교량 및 터널 안전진단용 경사도 측정계
JP4248724B2 (ja) 光ファイバセンサの設置方法
CN208296815U (zh) 一种高精度测量结构竖向变形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