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481B1 - 화면 제어 방법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면 제어 방법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3481B1 KR102233481B1 KR1020180124606A KR20180124606A KR102233481B1 KR 102233481 B1 KR102233481 B1 KR 102233481B1 KR 1020180124606 A KR1020180124606 A KR 1020180124606A KR 20180124606 A KR20180124606 A KR 20180124606A KR 102233481 B1 KR102233481 B1 KR 1022334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user
- gaze
- face
- display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08 edge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7181 Sturn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443 Unconsci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 G06K9/00597—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04N13/117—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the virtual viewpoint locations being selected by the viewers or determined by viewer track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이용되는 원본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처리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모듈에 의해 감지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사용자(USER)의 얼굴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표시 모듈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USER)의 얼굴 방향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표시 모듈에 의해 사용자(USER)의 얼굴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사용자(USER)의 눈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표시 모듈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USER)의 눈 방향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표시 모듈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USER)의 시선 방향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시선 방향의 산출에 이용되는 조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사용자(USER)의 시선 방향에 따라 도 1의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표시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의해 변화되는 표시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면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방법에 의해 시선 방향이 산출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면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10: 표시 모듈
120: 카메라 모듈
130: 처리 모듈
410: 검출부
420: 시선 결정부
430: 영상 처리부
440: 이벤트 생성부
Claims (9)
- 곡면형 표시면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모듈의 전면 공간을 촬영하여 감지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감지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얼굴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결정하며, 상기 시선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영상 중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표시되는 부분 영상을 결정하는 윈도우를 상기 제1 영상 상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윈도우에 의해 선택된 상기 부분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얼굴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얼굴의 전체가 지향하는 제1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얼굴 영상으로부터 눈 영상을 검출하며,
상기 눈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응시하는 제2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시선 방향을 산출하되,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방향이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제1 기준 벡터와 상기 제2 방향에 대한 제2 기준 벡터를 합산하여 상기 시선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제1 방향이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1 방향을 상기 시선 방향으로 결정하는 표시 장치.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시선 방향을 추적하고,
상기 시선 방향의 변화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유지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유지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상기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객체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부분 영상을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객체 영상을 상기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응시 지점을 중심으로 확대시키는 표시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객체 영상을 상기 제1 영상의 면적 중심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객체 영상이 상기 제1 영상의 면적 중심에 인접할수록 상기 객체 영상을 확대시키는 표시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시선 방향의 변화가 오차 범위 이내이고, 상기 제1 방향의 변화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부분 영상의 상기 변화를 중지시키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은 360도 영상이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시선 방향의 변화각만큼 이동되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응시되는 상기 제1 영상 내 응시 지점은 상기 변화각의 2배만큼 이동되는 표시 장치. -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의 일측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면 제어 방법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모듈의 전면 공간을 촬영하여 감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감지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얼굴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선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영상 중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표시되는 부분 영상을 결정하는 윈도우를 상기 제1 영상 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윈도우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영상의 상기 부분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얼굴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선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영상 중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표시되는 부분 영상을 결정하는 윈도우를 상기 제1 영상 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윈도우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영상의 상기 부분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처리 모듈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얼굴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얼굴의 전체가 지향하는 제1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얼굴 영상으로부터 눈 영상을 검출하며,
상기 눈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응시하는 제2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시선 방향을 산출하되,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방향이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제1 기준 벡터와 상기 제2 방향에 대한 제2 기준 벡터를 합산하여 상기 시선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제1 방향이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1 방향을 상기 시선 방향으로 결정하는 화면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4606A KR102233481B1 (ko) | 2018-10-18 | 2018-10-18 | 화면 제어 방법 및 표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4606A KR102233481B1 (ko) | 2018-10-18 | 2018-10-18 | 화면 제어 방법 및 표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3786A KR20200043786A (ko) | 2020-04-28 |
KR102233481B1 true KR102233481B1 (ko) | 2021-03-29 |
Family
ID=7045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4606A Active KR102233481B1 (ko) | 2018-10-18 | 2018-10-18 | 화면 제어 방법 및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348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73479A (zh) * | 2021-09-03 | 2021-11-19 | 济南大学 | 基于视觉关注点识别物体的方法 |
KR102665453B1 (ko) * | 2022-01-17 | 2024-05-10 |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 시선인식 기반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2506037B1 (ko) * | 2022-08-12 | 2023-03-06 | 주식회사 아이트 | 스테레오 카메라 기반의 시선 추적을 이용한 포인팅 방법 및 시스템 |
WO2024058405A1 (ko) * | 2022-09-15 | 2024-03-2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0526B1 (ko) * | 2009-07-10 | 2014-01-10 | 페킹 유니버시티 | 추적된 시선 움직임에 기초한 이미지 조작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87824A (ja) * | 2013-10-28 | 2015-05-07 | オムロン株式会社 | 画面操作装置および画面操作方法 |
KR102719606B1 (ko) * | 2016-09-09 | 2024-10-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미지 표시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
-
2018
- 2018-10-18 KR KR1020180124606A patent/KR10223348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0526B1 (ko) * | 2009-07-10 | 2014-01-10 | 페킹 유니버시티 | 추적된 시선 움직임에 기초한 이미지 조작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3786A (ko) | 2020-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3481B1 (ko) | 화면 제어 방법 및 표시 장치 | |
US9652047B2 (en) | Visual gestures for a head mounted device | |
CN110162167B (zh) | 用于校准可穿戴装置中的图像传感器的系统和方法 | |
US1114509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interaction | |
US1159563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peripheral vision in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xR) applications | |
US10643548B2 (en) | Selective dimming of ambient lighting in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xR) applications | |
US20190385372A1 (en) | Positioning a virtual reality passthrough region at a known distance | |
KR102165444B1 (ko) | 증강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US8933882B2 (en) | User centric interface for interaction with visual display that recognizes user intentions | |
KR102391860B1 (ko) |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 |
TWI516093B (zh) | 影像互動系統、手指位置的偵測方法、立體顯示系統以及立體顯示器的控制方法 | |
US8884928B1 (en) | Correcting for parallax in electronic displays | |
US20160180595A1 (en) |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navigating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 |
US11907417B2 (en) | Glance and reveal within a virtual environment | |
US20150348322A1 (en) | Dynamically Composited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ugmented Reality at a Primary Display | |
JP5655674B2 (ja) |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 |
JP4491604B2 (ja) | 瞳孔検出装置 | |
US12182391B2 (en)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 |
CN106094202A (zh) | 显示系统和头戴式显示器 | |
KR20210102210A (ko) | 상호 작용을 위한 물리적 인터페이스로서의 모바일 플랫폼 | |
US9563344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 |
Schmieder et al. | Thumbs up: 3D gesture input on mobile phones using the front facing camera | |
JP2012104070A (ja) | 情報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
CN115004129A (zh) | 基于眼睛的激活和工具选择系统及方法 | |
JP7661048B2 (ja) |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