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360B1 - 광섬유 블록 - Google Patents

광섬유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360B1
KR102233360B1 KR1020200104699A KR20200104699A KR102233360B1 KR 102233360 B1 KR102233360 B1 KR 102233360B1 KR 1020200104699 A KR1020200104699 A KR 1020200104699A KR 20200104699 A KR20200104699 A KR 20200104699A KR 102233360 B1 KR102233360 B1 KR 102233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ocket
coupled
housing
extens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재
Original Assignee
노경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경재 filed Critical 노경재
Priority to KR1020200104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6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 G02B6/383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comprising a keying element on the plug or adapter, e.g. to forbid wrong conn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블록에 관한 것으로, 일측 내주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광섬유가 연결되는 제1 소켓; 상기 제1 소켓의 하부에 결합되고, 전방 양측으로 돌출되고 각 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된 제1 하부 전방 연장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하부 전방 연장편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제1 하부 전방 결합편이 형성된 제1 하부 하우징; 상기 제1 소켓의 상부에 결합되고, 양측에 제1 상부 전방 연장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상부 전방 연장편의 각 외측에는 상기 제1 하부 전방 결합편에 결합되도록 제1 상부 전방 돌기편이 형성된 제1 상부 하우징;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소켓에 암수 결합되고 다른 광섬유가 연결되는 제2 소켓; 상기 제2 소켓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단 전방에 상기 제1 소켓이 안내되도록 하부 안내편이 형성되며, 양측에 제2 하부 전방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 전방 연장편의 각 외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2 하부 전방 결합편이 형성된 제2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제2 소켓의 상부에 결합되고, 하단 전방에 상기 제1 소켓이 안내되도록 상부 안내편이 형성되며, 양측에 제2 상부 전방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상부 전방 연장편의 각 외측에는 상기 제2 하부 전방 결합편에 결합되도록 제2 상부 전방 돌기편이 형성된 제2 상부 하우징;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암수로 형성된 제1 소켓 및 제2 소켓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경사를 따라 안내되며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소켓이 서로 결합될 때 경사를 따라 안내되어 매끄럽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블록{OPTICAL FIBER ARRAY BLOCK}
본 발명은 광섬유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광섬유를 연결할 때 사용되는 광섬유 블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통신의 대용량화, 다채널화를 위해 파장 다중소자 및 다채널 광접속 부품에 대한 요구와 사용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채널 평면 광도파로 소자와 광섬유 간의 접속을 위해 광섬유 블록 등이 사용되고 있다. 광통신 시스템의 대용량, 다채널에 대한 요구특성은 서비스의 저렴화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저가의 다채널 접속부품을 요구하고 있으며, 기존이 실리콘이나 유리기판으로 된 고가의 광 접속부품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광통신 시스템에서 요구되고 있는 대용량, 다채널화에 따라 광접속 부품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특히 파장 다중화 소자 등 평면 광도파로 소자를 선로와 접속시키는 접속 부품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파장 다중화 소자 등 다채널 평면 광도파로 소자와 광섬유의 접속에는 광섬유 블록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광섬유 접속 부품은 실리콘 기판이나 유리 기판을 V홈으로 가공하여 얻어진다. 가공된 V홈에는 광섬유가 장착된다.
그러나, 가공함에 있어서 각 V-홈을 동시에 제작하여 단차 없이 조립하기 어려우며, 제작시 단차가 발생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광섬유의 특성상 광섬유가 파손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광섬유 블록은 암수 결합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때 암수 형상에 의해 형성된 단차로 인해 부드럽게 연결되지 않고 단차에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8-006151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13955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8-001481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9-00679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암수로 형성된 광섬유 블록이 서로 연결될 때 매끄럽게 결합되어 접속되도록 하는 광섬유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블록은, 일측 내주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광섬유가 연결되는 제1 소켓; 상기 제1 소켓의 하부에 결합되고, 전방 양측으로 돌출되고 각 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된 제1 하부 전방 연장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하부 전방 연장편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제1 하부 전방 결합편이 형성된 제1 하부 하우징; 상기 제1 소켓의 상부에 결합되고, 양측에 제1 상부 전방 연장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상부 전방 연장편의 각 외측에는 상기 제1 하부 전방 결합편에 결합되도록 제1 상부 전방 돌기편이 형성된 제1 상부 하우징;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소켓에 암수 결합되고 다른 광섬유가 연결되는 제2 소켓; 상기 제2 소켓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단 전방에 상기 제1 소켓이 안내되도록 하부 안내편이 형성되며, 양측에 제2 하부 전방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 전방 연장편의 각 외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2 하부 전방 결합편이 형성된 제2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제2 소켓의 상부에 결합되고, 하단 전방에 상기 제1 소켓이 안내되도록 상부 안내편이 형성되며, 양측에 제2 상부 전방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상부 전방 연장편의 각 외측에는 상기 제2 하부 전방 결합편에 결합되도록 제2 상부 전방 돌기편이 형성된 제2 상부 하우징;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하부 하우징의 상단 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1 하부 후방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 후방 연장편은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제1 하부 후방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상부 하우징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제1 하부 후방 연장편이 삽입 가능하도록 제1 상부 후방 절개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후방 절개편 각 외측에는 상기 제1 하부 후방 결합편에 결합되는 제1 상부 후방 돌기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하부 하징의 상단 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2 하부 후방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 후방 연장편은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제2 하부 후방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상부 하우징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제2 하부 후방 연장편이 삽입 가능하도록 제2 상부 후방 절개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후방 절개편 각 외측에는 상기 제2 하부 후방 결합편에 결합되는 제2 상부 후방 돌기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후방 절개편 및 상기 제2 상부 후방 절개편은 후방이 개방되고, 상기 제1 하부 전방 결합편, 상기 제1 하부 후방 결합편, 상기 제2 하부 전방 결합편, 상기 제2 하부 후방 결합편 각각은 전방이 개방되며, 상기 제1 상부 하우징 및 제2 상부 하우징 각각은 상기 제1 소켓 및 제2 소켓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하부 하우징 및 제2 하부 하우징에 결합 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하부 하우징 및 제1 상부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소켓이 결합되는 제1 하부 관통편 및 제1 상부 관통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 관통편 및 제1 상부 관통편에는 상기 제1 소켓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걸림턱이 고정되는 제1 하부 고정편 및 제1 상부 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하부 하우징 및 제2 상부 하우징에는 상기 제2 소켓이 결합되는 제2 하부 관통편 및 제2 상부 관통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 관통편 및 제2 상부 관통편에는 상기 제2 소켓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걸림턱이 고정되는 제2 하부 고정편 및 제2 상부 고정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상부 하우징 및 제2 상부 하우징이 각각이 상기 제1 소켓 및 제2 소켓이 결합된 제1 하부 하우징 및 제2 하부 하우징에 결합 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소켓 및 제2 소켓 각각은 상기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외주면을 따라 반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상부 하우징 및 제2 상부 하우징 각각은 상기 제1 상부 고정편 및 제2 상부 고정편이 전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1 상부 하우징 및 제2 상부 하우징은 상기 제1 소켓 및 제2 소켓의 회동 시 상기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고정편과 제1 상부 고정편 및, 상기 제2 하부 고정편과 제2 상부 고정편에 동시에 위치 시 고정되거나, 상기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상기 제1 상부 고정편 및 제2 상부 고정편과 일치되도록 위치 시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블록에 따르면, 암수로 형성된 제1 소켓 및 제2 소켓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경사를 따라 안내되며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소켓이 서로 결합될 때 경사를 따라 안내되어 매끄럽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소켓에 상하 방향에서 암수로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이 구비되고, 소켓을 사이에 두고 결합 시 소켓을 고정시키고, 소켓이 없는 상태에서 결합 시 슬라이딩되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암수로 형성되어 소켓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은 물론, 소켓이 없는 상태에서 압수 결합 시 분리가 용이하여 암수를 별로도 보관 및 취급하지 않고 암수 짝끼리 결합하여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소켓 및 제2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본체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본체의 동작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소켓 및 제2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본체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광섬유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소켓 및 제2 소켓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의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본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본체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본체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블록은 암수로 결합되어 소켓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암수로 구비된 소켓이 서로 매끄럽게 결합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블록(100)은 제1 소켓(110), 제1 본체(120), 제2 소켓(130) 및 제2 본체(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소켓(110)은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광섬유가 결합되고, 일측 내주면에 경사면(1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113)은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소켓(110)은 외주면 중 전방에 둘레를 따라 제1 걸림턱(111)이 형성되고, 후방에 직경이 좁아짐에 따라 형성된 제1 단턱(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본체(120)는 제1 하부 하우징(121) 및 제1 상부 하우징(12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하부 하우징(121)은 상기 제1 소켓(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에 상기 제1 소켓(110)이 결합되는 제1 하부 관통편(12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하부 관통편(121a)의 전방에는 상기 제1 걸림턱(111)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1 하부 고정편(121b)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 고정편(121b)에는 상기 제1 걸림턱(111)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하부 관통편(121a)의 후방에는 상기 제1 단턱(112)이 고정되는 제1 하부 걸림편(121c)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관통편(121a)에 상기 제1 소켓(110)이 안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하부 하우징(121)의 전방 양측에는 각 외측으로 돌출되고 각 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된 제1 하부 전방 연장편(121d)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하부 전방 연장편(121d)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제1 하부 전방 결합편(121e)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하부 전방 결합편(121e)은 횡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하부 하우징(121)의 상단 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1 하부 후방 연장편(121f)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하부 후방 연장편(121f)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제1 하부 후방 결합편(121g)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하부 후방 결합편(121g)은 횡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상부 하우징(122)은 상기 제1 소켓(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하부 하우징(121)과 결합되는 것으로, 하면에 상기 제1 소켓(110)이 결합되는 제1 상부 관통편(122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상부 관통편(122a)의 전방에는 상기 제1 걸림턱(111)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1 상부 고정편(122b)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상부 고정편(122b)에는 상기 제1 걸림턱(111)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상부 관통편(122a)의 후방에는 상기 제1 단턱(112)이 고정되는 제1 상부 걸림편(122c)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상부 하우징(122)이 상기 제1 소켓(110)이 안착된 제1 하부 하우징(121)에 결합 시 상기 제1 소켓(110)을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하우징(122)의 전방 양측에는 각 외측으로 돌출된 제1 상부 전방 연장편(122d)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상부 전방 연장편(122d)의 각 외측에는 상기 제1 하부 전방 결합편(121e)에 결합되는 제1 상부 전방 돌기편(122e)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상부 전방 돌기편(122e)은 횡 방향의 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전방 연장편(122d)은 상기 제1 하부 하우징(121)과 마주보는 위치의 하단이 라운딩 처리되어 결합 시 스무스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하우징(122)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제1 하부 후방 연장편(121f)이 삽입 가능하도록 제1 상부 후방 절개편(122f)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상부 후방 절개편(122f)의 각 외측에는 상기 제1 하부 후방 결합편(121g)에 고정되는 제1 상부 후방 돌기편(122g)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상부 후방 돌기편(122g)은 횡 방향의 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후방 절개편(122f)은 상기 제1 하부 하우징(121)과 마주보는 위치의 하단이 라운딩 처리되어 결합 시 스무스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상부 하우징(122)은 상기 제1 하부 하우징(121)의 상방에서 결합 시 상기 제1 하부 전방 연장편(121d) 및 제1 하부 후방 연장편(121f)이 탄성에 의해 밀리면서 고정되며, 상기 제1 소켓(110)이 없는 상태의 제1 하부 하우징(121)에 결합 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분리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1 소켓(110)이 안착된 제1 하부 하우징(121)에 결합 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 소켓(130)은 상기 제1 소켓(110)과 연결되는 것으로,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광섬유가 결합되고, 외주면 중 전방에 둘레를 따라 제2 걸림턱(131)이 형성되고, 후방에 직경이 좁아짐에 따라 형성된 제2 단턱(13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소켓(130)은 상기 제1 소켓(110) 중 상기 경사면(113)이 형성된 부분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소켓(110)의 경사면(113)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제1 소켓(110)에 삽입된다.
상기 제2 본체(140)는 제2 하부 하우징(141) 및 제2 상부 하우징(14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하부 하우징(141)은 상기 제2 소켓(13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에 상기 제2 소켓(130)이 결합되는 제2 하부 관통편(14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 관통편(141a)의 전단부에 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하부 안내편(141h)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하부 관통편(141a)의 전방에는 상기 제2 걸림턱(131)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2 하부 고정편(141b)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 고정편(141b)에는 상기 제2 걸림턱(131)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하부 관통편(141a)의 후방에는 상기 제2 단턱(132)이 고정되는 제2 하부 걸림편(141c)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하부 관통편(141a)에 상기 제2 소켓(130)이 안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 하부 하우징(141)의 전방 양측에는 각 외측으로 돌출되고 각 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된 제2 하부 전방 연장편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하부 전방 연장편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제2 하부 전방 결합편(141e)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하부 전방 결합편(141e)은 횡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하부 하우징(141)의 상단 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2 하부 후방 연장편(141f)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하부 후방 연장편(141f)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제2 하부 후방 결합편(141g)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하부 후방 결합편(141g)은 횡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상부 하우징(142)은 상기 제2 소켓(1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하부 하우징(141)과 결합되는 것으로, 하면에 상기 제2 소켓(130)이 결합되는 제2 상부 관통편(14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상부 관통편(142a)의 전단부에 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상부 안내편(142h)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상부 관통편(142a)의 전방에는 상기 제2 걸림턱(131)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2 상부 고정편(142b)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상부 고정편(142b)에는 상기 제2 걸림턱(131)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상부 관통편(142a)의 후방에는 상기 제2 단턱(132)이 고정되는 제2 상부 걸림편(142c)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상부 하우징(142)이 상기 제2 소켓(130)이 안착된 제2 하부 하우징(141)에 결합 시 상기 제2 소켓(130)을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제2 상부 하우징(142)의 전방 양측에는 각 외측으로 돌출된 제2 상부 전방 연장편(142d)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상부 전방 연장편(142d)의 각 외측에는 상기 제2 하부 전방 결합편(141e)에 결합되는 제2 상부 전방 돌기편(142e)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상부 전방 돌기편(142e)은 횡 방향의 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2 상부 전방 연장편(142d)은 상기 제2 하부 하우징(141)과 마주보는 위치의 하단이 라운딩 처리되어 결합 시 스무스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부 하우징(142)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제2 하부 후방 연장편(141f)이 삽입 가능하도록 제2 상부 후방 절개편(142f)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상부 후방 절개편(142f)의 각 외측에는 상기 제2 하부 후방 결합편(141g)에 고정되는 제2 상부 후방 돌기편(142g)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상부 후방 돌기편(142g)은 횡 방향의 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2 상부 후방 절개편(142f)은 상기 제2 하부 하우징(141)과 마주보는 위치의 하단이 라운딩 처리되어 결합 시 스무스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상부 하우징(142)은 상기 제2 하부 하우징(141)의 상방에서 결합 시 상기 제2 하부 전방 연장편 및 제2 하부 후방 연장편(141f)이 탄성에 의해 밀리면서 고정되며, 상기 제2 소켓(130)이 없는 상태의 제2 하부 하우징(141)에 결합 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분리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2 소켓(130)이 안착된 제2 하부 하우징(141)에 결합 시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블록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소켓 및 제2 소켓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의 분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본체의 분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블록(200)은 제1 소켓(210), 제1 본체(220), 제2 소켓(230) 및 제2 본체(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소켓(210)은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광섬유가 결합되고, 일측 내주면에 경사면(2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213)은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소켓(210)은 외주면 중 전방에 둘레를 따라 제1 걸림턱(211)이 형성되고, 후방에 직경이 좁아짐에 따라 형성된 제1 단턱(2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걸림턱(211)은 상기 제1 소켓(210)의 둘레를 따라 반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본체(220)는 제1 하부 하우징(221) 및 제1 상부 하우징(22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하부 하우징(221)은 상기 제1 소켓(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에 상기 제1 소켓(210)이 결합되는 제1 하부 관통편(22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하부 관통편(221a)의 전방에는 상기 제1 걸림턱(211)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1 하부 고정편(221b)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 고정편(221b)에는 상기 제1 걸림턱(211)이 고정된다.
상기 제1 상부 하우징(222)은 상기 제1 소켓(2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하부 하우징(221)과 결합되는 것으로, 하면에 상기 제1 소켓(210)이 결합되는 제1 상부 관통편(222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상부 관통편(222a)의 전방에는 상기 제1 걸림턱(211)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1 상부 고정편(222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상부 고정편(222b)은 상기 제1 상부 하우징(222)의 전방까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상부 하우징(222)은 상기 제1 소켓(210)의 회전 시 상기 제1 걸림턱(21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걸림턱(211)이 상기 제1 하부 고정편(221b) 및 제1 상부 고정편(222b)에 동시에 위치 시 고정되거나, 상기 제1 걸림턱(211)이 상기 제1 상부 고정편(222b)에 일치되도록 위치 시 분리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소켓(230)은 상기 제1 소켓(210)과 연결되는 것으로,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광섬유가 결합되고, 외주면 중 전방에 둘레를 따라 제2 걸림턱(231)이 형성되고, 후방에 직경이 좁아짐에 따라 형성된 제2 단턱(23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소켓(230)은 상기 제1 소켓(210) 중 상기 경사면(213)이 형성된 부분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소켓(210)의 경사면(213)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제1 소켓(21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2 걸림턱(231)은 상기 제2 소켓(230)의 둘레를 따라 반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 본체(240)는 제2 하부 하우징(241) 및 제2 상부 하우징(24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하부 하우징(241)은 상기 제2 소켓(23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에 상기 제2 소켓(230)이 결합되는 제2 하부 관통편(241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하부 관통편(241a)의 전방에는 상기 제2 걸림턱(231)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2 하부 고정편(241b)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 고정편(241b)에는 상기 제2 걸림턱(231)이 고정된다.
상기 제2 상부 하우징(242)은 상기 제2 소켓(2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하부 하우징(241)과 결합되는 것으로, 하면에 상기 제2 소켓(230)이 결합되는 제2 상부 관통편(242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상부 관통편(242a)의 전방에는 상기 제2 걸림턱(231)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2 상부 고정편(242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상부 고정편(242b)은 상기 제2 상부 하우징(242)의 전방까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상부 하우징(242)은 상기 제2 소켓(230)의 회전 시 상기 제2 걸림턱(23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걸림턱(231)이 상기 제2 하부 고정편(241b) 및 제2 상부 고정편(242b)에 동시에 위치 시 고정되거나, 상기 제2 걸림턱(231)이 상기 제2 상부 고정편(242b)에 일치되도록 위치 시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블록에 따르면, 암수로 형성된 제1 소켓 및 제2 소켓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경사를 따라 안내되며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소켓이 서로 결합될 때 경사를 따라 안내되어 매끄럽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소켓에 상하 방향에서 암수로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이 구비되고, 소켓을 사이에 두고 결합 시 소켓을 고정시키고, 소켓이 없는 상태에서 결합 시 슬라이딩되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암수로 형성되어 소켓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은 물론, 소켓이 없는 상태에서 압수 결합 시 분리가 용이하여 암수를 별로도 보관 및 취급하지 않고 암수 짝끼리 결합하여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광섬유 블록 110: 제1 소켓
111: 제1 걸림턱 112: 제1 단턱
113: 경사면 120: 제1 본체
121: 제1 하부 하우징 121a: 제1 하부 관통편
121b: 제1 하부 고정편 121c: 제1 하부 걸림편
121d: 제1 하부 전방 연장편 121e: 제1 하부 전방 결합편
121f: 제1 하부 후방 연장편 121g: 제1 하부 후방 결합편
122: 제1 상부 하우징 122a: 제1 상부 관통편
122b: 제1 상부 고정편 122c: 제1 상부 걸림편
122d: 제1 상부 전방 연장편 122e: 제1 상부 전방 돌기편
122f: 제1 상부 후방 절개편 122g: 제1 상부 후방 돌기편
130: 제2 소켓 131: 제2 걸림턱
132: 제2 단턱 140: 제2 본체
141: 제2 하부 하우징 141a: 제2 하부 관통편
141b: 제2 하부 고정편 141c: 제2 하부 걸림편
141d: 제2 하부 전방 연장편 141e: 제2 하부 전방 결합편
141f: 제2 하부 후방 연장편 141g: 제2 하부 후방 결합편
141h: 하부 안내편 142: 제2 상부 하우징
142a: 제2 상부 관통편 142b: 제2 상부 고정편
142c: 제2 상부 걸림편 142d: 제2 상부 전방 연장편
142e: 제2 상부 전방 돌기편 142f: 제2 상부 후방 절개편
142g: 제2 상부 후방 돌기편 142h: 상부 안내편

Claims (5)

  1. 일측 내주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광섬유가 연결되는 제1 소켓;
    상기 제1 소켓의 하부에 결합되고, 전방 양측으로 돌출되고 각 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된 제1 하부 전방 연장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하부 전방 연장편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제1 하부 전방 결합편이 형성된 제1 하부 하우징;
    상기 제1 소켓의 상부에 결합되고, 양측에 제1 상부 전방 연장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상부 전방 연장편의 각 외측에는 상기 제1 하부 전방 결합편에 결합되도록 제1 상부 전방 돌기편이 형성된 제1 상부 하우징;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소켓에 암수 결합되고 다른 광섬유가 연결되는 제2 소켓;
    상기 제2 소켓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단 전방에 상기 제1 소켓이 안내되도록 하부 안내편이 형성되며, 양측에 제2 하부 전방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 전방 연장편의 각 외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2 하부 전방 결합편이 형성된 제2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제2 소켓의 상부에 결합되고, 하단 전방에 상기 제1 소켓이 안내되도록 상부 안내편이 형성되며, 양측에 제2 상부 전방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상부 전방 연장편의 각 외측에는 상기 제2 하부 전방 결합편에 결합되도록 제2 상부 전방 돌기편이 형성된 제2 상부 하우징;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하우징의 상단 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1 하부 후방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 후방 연장편은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제1 하부 후방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상부 하우징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제1 하부 후방 연장편이 삽입 가능하도록 제1 상부 후방 절개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후방 절개편 각 외측에는 상기 제1 하부 후방 결합편에 결합되는 제1 상부 후방 돌기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하부 하징의 상단 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2 하부 후방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 후방 연장편은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제2 하부 후방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상부 하우징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제2 하부 후방 연장편이 삽입 가능하도록 제2 상부 후방 절개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후방 절개편 각 외측에는 상기 제2 하부 후방 결합편에 결합되는 제2 상부 후방 돌기편이 형성되되고,
    상기 제1 상부 후방 절개편 및 상기 제2 상부 후방 절개편은 후방이 개방되고,
    상기 제1 하부 전방 결합편, 상기 제1 하부 후방 결합편, 상기 제2 하부 전방 결합편, 상기 제2 하부 후방 결합편 각각은 전방이 개방되며,
    상기 제1 상부 하우징 및 제2 상부 하우징 각각은 상기 제1 소켓 및 제2 소켓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하부 하우징 및 제2 하부 하우징에 결합 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블록.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하우징 및 제1 상부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소켓이 결합되는 제1 하부 관통편 및 제1 상부 관통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 관통편 및 제1 상부 관통편에는 상기 제1 소켓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걸림턱이 고정되는 제1 하부 고정편 및 제1 상부 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하부 하우징 및 제2 상부 하우징에는 상기 제2 소켓이 결합되는 제2 하부 관통편 및 제2 상부 관통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 관통편 및 제2 상부 관통편에는 상기 제2 소켓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걸림턱이 고정되는 제2 하부 고정편 및 제2 상부 고정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상부 하우징 및 제2 상부 하우징이 각각이 상기 제1 소켓 및 제2 소켓이 결합된 제1 하부 하우징 및 제2 하부 하우징에 결합 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블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켓 및 제2 소켓 각각은 상기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외주면을 따라 반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상부 하우징 및 제2 상부 하우징 각각은 상기 제1 상부 고정편 및 제2 상부 고정편이 전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1 상부 하우징 및 제2 상부 하우징은 상기 제1 소켓 및 제2 소켓의 회동 시 상기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고정편과 제1 상부 고정편 및, 상기 제2 하부 고정편과 제2 상부 고정편에 동시에 위치 시 고정되거나, 상기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상기 제1 상부 고정편 및 제2 상부 고정편과 일치되도록 위치 시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블록.
KR1020200104699A 2020-08-20 2020-08-20 광섬유 블록 KR102233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99A KR102233360B1 (ko) 2020-08-20 2020-08-20 광섬유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99A KR102233360B1 (ko) 2020-08-20 2020-08-20 광섬유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360B1 true KR102233360B1 (ko) 2021-03-29

Family

ID=7525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699A KR102233360B1 (ko) 2020-08-20 2020-08-20 광섬유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36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4496A (en) * 1977-09-26 1979-05-15 Bunker Ramo Corporation Coupling assembly for resilient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s
KR19980061515A (ko) 1996-12-31 1998-10-07 이우복 휴대전화기의 비밀누설 방지를 위한 톤 발생음 제어방법
KR19990067944A (ko) 1998-01-23 1999-08-25 이데이 노부유끼 이동국 송수신기
JP2005165181A (ja) * 2003-12-05 2005-06-23 Yazaki Corp 光導波路部材の製造方法及び光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
US7452138B2 (en) * 2006-09-27 2008-11-18 Fujikura Ltd. Optical connector
KR101445965B1 (ko) * 2013-03-12 2014-09-2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제어용 광케이블 커넥터
KR101984127B1 (ko) * 2019-01-21 2019-05-30 노경재 광섬유 블록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4496A (en) * 1977-09-26 1979-05-15 Bunker Ramo Corporation Coupling assembly for resilient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s
KR19980061515A (ko) 1996-12-31 1998-10-07 이우복 휴대전화기의 비밀누설 방지를 위한 톤 발생음 제어방법
KR19990067944A (ko) 1998-01-23 1999-08-25 이데이 노부유끼 이동국 송수신기
JP2005165181A (ja) * 2003-12-05 2005-06-23 Yazaki Corp 光導波路部材の製造方法及び光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
US7452138B2 (en) * 2006-09-27 2008-11-18 Fujikura Ltd. Optical connector
KR101445965B1 (ko) * 2013-03-12 2014-09-2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제어용 광케이블 커넥터
KR101984127B1 (ko) * 2019-01-21 2019-05-30 노경재 광섬유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3582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11914198B2 (en) Compact fiber optic connectors having multiple connector footprints, along with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635574B2 (en) Fiber optic ferrule and a guide pin clamp with field changeable guide pins
JP5283722B2 (ja) プッシュ−プッシュ式の挿入/引抜き機構、シャッターモジュラーコネクタおよびシャッターアダプタを有する超小型フォームファクターの単芯光ファイバ相互接続システム、並びにその使用方法
US9046660B2 (en) Fiber optic connector
US10114179B2 (en) Optical connector, pin keeper, pin insertion jig, expansion member, and pin insertion tool
US9817194B2 (en) Fiber optic ferrule with rear holes to align a guide pin clamp with field changeable guide pins
US10012801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20130216189A1 (en) Multi-channel optical insert
US10416394B2 (en) Fiber optic receptacle with integrated device therein
CN208953732U (zh) 用于多光纤光学连接器的套圈、光纤连接器和光纤电缆组件
US20170227720A1 (en) Fiber optic connector with dual multi-fiber ferrules, and cable assemblies and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20230400642A1 (en) Small form factor connector and adapter
US20180364421A1 (en) Fiber optic connector
FR3100619A1 (fr) Ensemble pour l’assemblage de fibre optique avec au moins deux couple de contacts MPO
KR102233360B1 (ko) 광섬유 블록
KR101984127B1 (ko) 광섬유 블록
US11385428B2 (en) Cassette assembly for a plural of fiber optic receptacles
KR101984126B1 (ko) 광섬유 블록
CN112505839A (zh) 一种光纤连接组件
TWI780089B (zh) 連接器
EP1193516A2 (en) Adapter for coupling used with fiber optic connectors
US11988879B2 (en) Stepped ferrule seating in an MTP inner housing
TW201520624A (zh) 光纖耦合連接器組件
JP7410332B2 (ja) 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