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262B1 -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262B1
KR102233262B1 KR1020190042546A KR20190042546A KR102233262B1 KR 102233262 B1 KR102233262 B1 KR 102233262B1 KR 1020190042546 A KR1020190042546 A KR 1020190042546A KR 20190042546 A KR20190042546 A KR 20190042546A KR 102233262 B1 KR102233262 B1 KR 102233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crops
solar
rainwater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101A (ko
Inventor
도기일
임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든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든솔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든솔라
Priority to KR1020190042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26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지 상에 다수의 수직프레임(10)을 일정 간격으로 직립고정하고, 다수의 수평프레임(11)을 클램프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0) 서로 간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프레임의 하부에는 농작물이 경작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게 하고 상부에는 태양광패널(20)을 고정결합하되,
태양광패널(20)은 가로방향 대비 세로방향 길이가 더 긴 형태가 되게 하여 좌우로 이격되게 배열하며 전후로 위치하는 태양광패널(20) 서로 간에는 엇갈리는 위치에 배열하여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가 되게 결합하여,
태양이 지나는 낮 동안 태양광패널(20)에 의한 농작물의 음영 지속부분 발생의 억제와 태양광패널(20) 하부에서 자라는 농작물이 골고루 광포화점에 해당하는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부의 태양광패널(20)에 의해 일시적 태양의 강한 직사광선을 피하도록 하여 농작물의 생육에 좋은 영향을 줌과 더불어 전력의 생산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AGRO-PHOTOVOLTAIC SYSTEM}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태양광발전 시설을 설치함에 농지를 이용하되 농지에 심겨지는 농작물의 일조량에 방해를 가하지 않도록 하는 태양광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경문제와 에너지 고갈에 대한 우려로 태양전지에 대한 연구의 결과 상용화가 많이 이루어졌다. 태양전지는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태양빛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빛을 흡수하여 전자와 정공을 생성함으로써 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태양전지를 설치하기 위한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건물의 옥상에 많이 설치가 되는데 최근에는 양지 바른 산에 태양전지를 설치하는 곳이 많이 생겼다. 그런데 산에 설치를 할 경우에는 심겨진 나무를 베어야 되기 때문에 적지 않은 산림의 훼손이 동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설치 공간의 확보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농작물이 심겨지는 농지를 이용하여 태양전지를 설치하여 농작물의 경작과 동시에 전력을 생산하여 잉여 전력을 이용하여 부가적인 소득을 창출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농지와 병행한 태양광발전을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혹은 솔라 셰어링(Solar Sharing)이라고 한다.
영농형 태양광시스템은 풍압과 우수의 낙하 문제로 인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길게 배치하는 방식(가로배치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가로배치 방식은 이웃하는 모듈 간의 간격이 가로길이에 비해 간격이 매우 좁고 이웃하는 모듈 간에 나란하게 배치함에 따라 햇빛이 비치는 하루 종일토록 그 모듈에 의하여 하부에 그늘지는 음영지속부를 만들게 되며 이 음영지속부에 위치하는 농작물의 생육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음영지속부는 사계절 중에서도 태양의 고도가 높은 여름철이 다른 계절에 비하여 더 강하게 나타나는데 대부분의 농작물이 햇빛의 고도가 높은 여름철을 지내야 한다는 점에서 음영지속부의 문제는 크다 할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731551호“태양광 패널의 빗물받이”
따라서 본 발명은 농지 상에 태양광패널을 설치하되 심겨진 농작물의 생육과 결실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모듈 하단에 우수가 모여 일정 부분에 집중적으로 낙하하여 토양이 파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과 태풍과 같이 큰 풍압이 발생하여 설치된 모듈과 시스템에 큰 압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농지 상에 다수의 수직프레임(10)을 일정 간격으로 직립고정하고, 다수의 수평프레임(11)을 클램프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0) 서로 간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프레임의 하부에는 농작물이 경작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게 하고 상부에는 태양광패널(20)을 고정결합하되,
태양광패널(20)은 가로방향 대비 세로방향 길이가 더 긴 형태가 되게 하여 좌우로 이격되게 배열하며 전후로 위치하는 태양광패널(20) 서로 간에는 엇갈리는 위치에 배열하여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가 되게 결합하여,
태양이 지나는 낮 동안 태양광패널(20)에 의한 농작물의 음영 지속부분 발생의 억제와 태양광패널(20) 하부에서 자라는 농작물이 골고루 광포화점에 해당하는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부의 태양광패널(20)에 의해 일시적 태양의 강한 직사광선을 피하도록 하여 농작물의 생육에 좋은 영향을 줌과 더불어 전력의 생산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태양광패널을 설치함에 있어서, 가로방향 보다 세로방향이 더 긴 형태가 되게 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좌우로 배열하고 전후 간에는 지그재그로 형태로 배열되게 하여 태양광패널 하부에 자라는 농작물 모두가 광포화점에 해당하는 햇빛을 골고루 받을 수 있도록 하여 농작물의 생육에 지장이 없어 좋은 결실을 기대할 수 있어 농작물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농지를 전력생산의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태양광패널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플리터에 의해 빗물이 흩어지게 되어 태양광패널의 하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떨어져 특정 부분만이 파헤쳐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태양광패널의 하부에도 빗물이 공급되어 균형 있는 빗물의 공급이 이는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존 일반적으로 배열되는 태양광패널의 설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기존 태양광패널과 본 발명의 태양광패널에 의한 태양광패널의 하단 부분 기준 흘러내리는 빗물의 양 비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플리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태양광패널의 모습,
도 6은 태양광패널의 외곽부에 설치한 방풍막의 구성 및 단면도7,
도 7a 및 도 7b는 태양광패널의 외곽부에 펜스형 그물망을 설치한 상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농지 상에 농작물의 경작과 더불어 태양광발전을 동시에 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특히 상부에 위치하는 태양광패널에 의한 농작물의 자람에도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2)은 다수의 수직프레임(10)을 일정 간격으로 직립고정하고, 다수의 수평프레임(11)을 클램프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0) 서로 간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프레임의 하부에는 농작물이 경작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게 하고 상부에는 태양광패널(20)을 고정결합되게 한다.
수직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11) 간에 클램프를 이용한 고정방법은 이미 공지의 기술로서 이에 대한 도면의 표시 및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태양광패널(20)(이하 간단히 ‘모듈’이라고도 함)은 가로방향 대비 세로방향 길이가 더 긴 형태가 되게 하여 좌우로 이격되게 배열한다. 이때 서로 좌우로 이웃하는 태양광패널(20) 간의 이격 간격(L)은 태양광패널(20)의 가로폭(D) 이상으로 설정하되 최대 이격 간격(L)은 태양광패널(20)의 가로폭(D)의 2배를 넘지 않는 것이 효율적 배치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패널(20)은 전후 방향으로도 이격시켜 배열하는데 이때 전후로 위치하는 태양광패널(20) 서로 간에는 엇갈리는 위치에 배열하여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가 되게 결합한다.
이러한 배치는 일정한 면적을 기준으로 정해진 갯 수의 태양광패널(20)을 설치 한다고 가정할 때, 태양광패널(20) 간에 이격 거리를 최대한 멀게 할 수 있어 하부의 농작물이 전체적으로 햇빛을 골고루 잘 받도록 하는데 유리하다.
그리고 가로방향 대비 세로방향 길이가 더 길게 배열을 하면 설치된 모듈(20) 간의 좌우 간격(L)을 보다 더 많이 띄워 줄 수 있게 되며, 이 간격(L)에 의해서 그림자의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설치된 모듈(20)의 가로폭(D)과 동일한 간격으로 하면 50% 수준의 그림자를 형성시켜주고 가로폭(D)의 2배 간격으로 하면 33% 수준의 그림자를 형성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하부에 자라는 농작물의 광포화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간격을 조정해 준다. 통상의 경우 약 50% 수준을 기준으로 하므로 모듈(20) 간의 간격은 가로폭(D)과 같은 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한다.
상기 태양광패널은 농지의 지면으로부터 3m 이상 되는 위치에 결합하여야 농기계의 원활한 진출입을 보장할 수 있고 작업자가 농사를 짓기에도 좋다.
특히 상기와 같은 태양광패널(20)의 배열과 높이에 의하며 태양이 지나는 낮 동안 태양광패널(20)에 의한 농작물의 음영 지속부분을 줄여주어 태양광패널(20) 하부에서 자라는 농작물이 골고루 광포화점에 해당하는 햇빛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광포화점은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빛의 세기가 어느 정도 이르면 더 이상 광합성량이 증가하지 않게 되는 것으로서, 식물이 흡수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빛의 세기가 강해짐에 따라 계속 증가하다가 어느 한계에 도달하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패널(20)의 구조에 의하면 농지가 태양광패널(20)의 의해 그늘이 지는 부분이 발생되기는 하나 이는 일시적으로 것으로서 태양이 지나는 낮 동안 모든 농작물이 태양광을 충분히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하기의 <참고 1>은 지상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쾌청한 날 기준으로 그 밝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참고 1>
Figure 112019037272667-pat00001
상기 <참고 1>에서 상부 그림과 같이 쾌청할 때의 노지의 빛 상태는 태양 방향의 조도는 거의 일정하며 약 10만 룩스(lux)이다. 이는 상당한 세기로서 식물이 광합성에 필요한 광포화점을 넘어 장시간 노출되는 식물이 경우 오히려 성장에 좋지 않는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에 비하여 하부그림과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배열에 따라 태양광패널(20)이 설치된 상태의 농지의 특정지점은 태양광패널(20)의 배열에 따라 생긴 그림자가 이동하여 간헐적으로 그림자 밑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런데 태양광패널(20)의 배열에 따라 생긴 그림자가 태양의 이동에 따라 같이 이동하여 간헐적으로 그늘을 지워주는 것은 태양의 강한 직사광선을 피하도록 하여 오히려 농작물에는 적당한 휴식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농작물의 생육에 좋은 점으로 작용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비가 내릴 경우 빗물은 태양광패널(20)(200)의 경사면을 타고 하단에 빗물이 모여 하부의 일정 부분에 집중적으로 낙하하여 농지(토양)을 파이게 한다.
도 3은 기존 태양광패널(200)과 본 발명의 태양광패널(20)에 의한 태양광패널의 하단 부분 기준 흘러내리는 빗물의 양을 비교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태양광패널(20)은 상하로 길게 구성함에 따라 비가 내릴 시 더 많은 양의 빗물이 태양광패널(20)의 경사면을 타고 하단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하단에서 수직으로 떨어지는 빗물의 양은 기존 태양광패널(200)에 비하여 더 많고 더 강한 힘으로 떨어지게 되며 일정 부분의 땅이 계속 파이게 되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태양광패널(20)의 하단에는 양측 브라켓(30)을 결합하고, 양측 브라켓(30) 간에는 좌우로 길게 연장되는 축봉(32)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축봉(32)에는 스플리터(40)를 자유회전 가능토록 축결합하여, 태양광패널(20) 상에 떨어지는 빗물이 하단으로 이동하여 떨어질 때 스플리터(40)의 회전에 의하여 빗물이 여러 방향으로 흩뿌려지도록 하여 태양광패널(20)의 하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떨어져 특정 부분만이 파헤쳐지는 현상이 방지되게 한다.
스플리터(40)에 의하면 빗물이 떨어질 때 흩어지게 되어 태양광패널(20) 하부에도 물이 공급되게 하여 빗물의 균형공급이 되게 하는 효과도 발생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스플리터(40)는 본 발명에 한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태양광패널(20)에만 한정되어야 할 사항은 아니며 자연환경이나 기타 여러 조건에 의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가로로 길게배열한 모듈 등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스플리터(40)이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소재를 사용하여 빗물이나 약한 바람에도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플리터(40a)(40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의 스플리터(40a)는 태양광패널(20)의 가로폭(D)에 대하여 하나의 전폭으로 구성하지 않고 다 수개의 짧은 스플리터(40a) 여러 개를 연속적으로 축봉(32)게 끼움 결합한 구성이며 회전날개의 형상도 나선형으로 구성되며, 도 4의 (b)는 태양광패널(20)의 가로폭(D)에 대하여 하나의 전폭으로 구성되게 하되 회전날개의 형상도 전폭으로 나선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스플리터(40)를 전폭으로 하지 않고 다 수개의 스플리터(40a)로 분할하여 구성할 경우 태양광패널(20)의 가로폭(D)에 대한 구간별로 스플리터(40a)의 회전이 이루어져 빗물 낙하시 보다 더 효과적으로 흩어지게 하며, 이와 더불어 회전날개의 형상을 나선형으로 할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로 스플리터(40b)의 회전시 빗물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흩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플리터(40)(40a)(40b)는 축봉(32)에 축결합되어 자유 회전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스플리터(40)(40a)(40b)는 전기적인 연결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만약 전기적으로 결합하면 다양한 회전속도 변화를 줄 수 있게 되어 더욱더 빗물의 흩어짐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감속 및 가속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태양광패널(2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가로길이는 1m, 세로길이는 2m로 된 크기를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기존의 태양광패널(200)에 2개를 합한 크기에 비유가 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생산되는 상용모듈에 해당되어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크기의 태양광패널(20)을 세로방향으로 길게 하여 수평프레임(11)에 결합하게 되면 면적이 다소 넓어 풍압에 대하여 취약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강한 바람에 풍압을 저감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즉 도 6을 참고하면, 태양광패널(20)의 최 외곽부에는 한 면 이상 방풍막(50)을 설치하며 지역별 바람이 방향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치한다.
방풍막(50)을 최외곽에 설치하는 이유는 바람에 외부에서 불어올 때 최 외곽에 위치하는 태양광패널(20)이 가장 많은 풍압을 받게 되며 그 안쪽에 위치하는 태양광패널(20)에 대하여는 방패 역할을 하는데 기인한다.
상기 방풍막(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두 개로 단위막(52)으로 구성되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 수로 넓어지는 형태로 하여 외측에서 부는 바람이 태양광패널(20)쪽으로 향하지 않고 상하로 퍼지도록 하여 보호한다.
방풍막(50)은 내측 상하부에 각각 파이프(60)를 배치하고 그 외측으로 하나의 파이프(60)를 배치 고정한 후 비닐 등을 이용하여 외측에 있는 파이프(60)를 경유되게 하여 그 단부는 상하부 파이프(60)에 고정클립(62)으로 결착시키는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2)은 방풍막(50)과 더불어 외곽으로 펜스형 그물망(70)을 설치하여 방풍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는 태양광패널(20)이 지상으로부터 3m 이상에 설치되는바 강풍의 방향이 바닥에서부터 상부를 상할 경우에도 태양광패널(20)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한다. 생각하건대 구멍이 많이 뚫린 형태의 그물망은 그 구멍으로 인하여 바람을 막아주는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을 거라 생각한다. 그러나 잔잔하게 부는 바람일 경우 효과가 미비하다고 할 수는 있겠으나 강풍이 불 때는 구멍이 뚫린 그물망이라도 태양광패널(20)에 가는 바람을 적잖게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사실은 골프장에 설치된 지지대들이 강풍에 휘어지거나 넘어지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는 골프공이 걸리도록 지지대 간에 설치되는 그물망에 의한 요인이 크다 할 것인바 역으로 생각하면 구멍이 뚫린 그물망이라 할지라고 강풍에 대하여 그만큰 많은 부분들을 막아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펜스형 그물망(70)은 강한 바람이 불 때 유격 범위 내에서 출렁이게 될 것이며 그러한 출렁임은 더욱이 태양광패널(20)에 직접적으로 가는 바람의 강도를 완화시키기에 많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펜스형 그물망(70)을 설치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서 지면을 향할 때 수직선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각(θ)을 형성하면 수직으로 내리는 것에 비하여 더욱 효과적이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강풍의 방향이 바닥에서부터 상부를 상할 경우 효과적인 것으로서 펜스형 그물망(70)에 의해서 많은 양의 바람을 막아줌과 동시에 바람의 방향을 상부로 유도시켜 빠져나가도록 한다. 상기 각(θ)은 10∼40°내외로 설정하면 되며 바람직하게는 25°내외로 하면 적당하다.
상기 펜스형 그물망(70) 설치시 별도의 프레임을 설치할 수도 있으나, 그물망(70)의 상단은 상기 방풍막(50)을 설치에 관여한 파이프(60)에 고정클립(62)으로 고정하거나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하단은 지주핀(72)을 이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땅에 박음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지에서 농작물의 재배와 병행한 태양광발전 구조(2)는 태양광패널(20) 하부에 자라는 농작물 모두가 광포화점에 해당하는 햇빛을 골고루 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태양광패널(20)의 간헐적 그늘에 의하여 농작물에는 적당한 휴식처를 제공하여 좋은 결실에 관여하게 되고, 태양광패널(20)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플리터(40)에 의해 빗물이 흩어지게 되어 태양광패널의 하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떨어져 특정 부분만이 파헤쳐지는 형상이 방지되고 태양광패널의 하부에도 빗물이 공급되어 균형 있는 빗물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10)--수직프레임 (11)--수평프레임
(20)--태양광패널 (30)--브라켓
(32)--축봉 (40)(40a)(40b)--스플리터
(50)--방풍막 (52)--단위막
(60)--파이프 (62)--고정클립
(70)--펜스형 그물막 (72)--지주핀

Claims (5)

  1. 농지 상에 다수의 수직프레임(10)을 일정 간격으로 직립고정하고, 다수의 수평프레임(11)을 클램프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0) 서로 간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프레임의 하부에는 농작물이 경작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게 하고 상부에는 태양광패널(20)을 좌우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게 고정결합하되,
    태양광패널(20)은 가로방향 대비 세로방향 길이가 더 긴 형태가 되게 하여 좌우로 이격되게 배열하며 전후로 위치하는 태양광패널(20) 서로 간에는 엇갈리는 위치에 배열하여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가 되게 결합하며, 좌우로 이웃하는 태양광패널(20) 간의 간격(L)은 태양광패널(20)의 가로폭(D) 길이 이상으로 하며 최대 이격 간격(L)은 태양광패널(20)의 가로폭(D)의 2배를 넘지 않도록 하여, 태양이 지나는 낮 동안 태양광패널(20)에 의한 농작물의 음영 지속부분 발생의 억제와 태양광패널(20) 하부에서 자라는 농작물이 골고루 광포화점에 해당하는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부의 태양광패널(20)에 의해 일시적 태양의 강한 직사광선을 피하도록 하여 농작물의 생육에 좋은 영향을 줌과 더불어 전력의 생산이 원활하도록 하며,
    하나 이상의 태양광패널(20)의 하단에는 양측 브라켓(30)을 결합하고 양측 브라켓(30) 간에는 좌우로 연장되는 축봉(32)을 결합하며 상기 축봉(32)에는 스플리터(40)를 자유회전 가능토록 축결합하되, 스플리터(40)는 태양광패널(20)의 가로폭(D)에 대하여 다 수개의 짧은 스플리터(40a) 여러 개를 연속적으로 축봉(32)에 끼움 결합하여, 태양광패널(20) 상에 떨어지는 빗물이 하단으로 이동하여 떨어질 때 스플리터(40)의 회전에 의하여 빗물이 흩어져 태양광패널(20) 하부에도 물이 공급되게 하여 빗물의 균형공급이 되게 하고 아울러 태양광패널(20)의 하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떨어져 특정 부분만이 파헤쳐지는 현상이 방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태양광패널(20)의 최 외곽부에는 한 면 이상 방풍막(50)을 설치하여 강한 풍압을 저감시키거나 바람의 방향을 변경시켜 주도록 하되,
    방풍막(50)은 상하 두 개로 단위막(52)을 이용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 수로 넓어지는 형태로 하여 외측에서 부는 바람이 태양광패널(20)쪽으로 향하지 않고 상하로 퍼지도록 하여 보호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태양광패널(20)의 외곽으로 펜스형 그물망(70)을 설치하여 방풍효과를 높이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KR1020190042546A 2019-04-11 2019-04-11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KR102233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546A KR102233262B1 (ko) 2019-04-11 2019-04-11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546A KR102233262B1 (ko) 2019-04-11 2019-04-11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101A KR20200120101A (ko) 2020-10-21
KR102233262B1 true KR102233262B1 (ko) 2021-03-29

Family

ID=73034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546A KR102233262B1 (ko) 2019-04-11 2019-04-11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676B1 (ko) 2020-12-10 2021-10-27 김종일 음영해소를 위한 태양전지모듈 구조
KR102369011B1 (ko) 2020-12-10 2022-02-28 김종일 음영완화를 위한 태양전지모듈 구조
ES2946558R1 (es) * 2020-12-11 2024-04-15 Gamechange Solar Corp Placa cortavientos para conjuntos de paneles solares
KR102272160B1 (ko) * 2021-02-18 2021-07-07 주식회사 모든솔라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용 방풍장치
KR102468256B1 (ko) * 2021-11-30 2022-11-21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수직형 영농 태양광발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7489A (ja) * 2013-06-12 2015-01-29 三八 小掠 農場兼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6214063A (ja) * 2015-04-30 2016-12-15 大成建設株式会社 太陽電池アレイ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5047A (ko) * 2008-08-04 2010-02-12 김상훈 빗물 발전기
KR101731551B1 (ko) 2016-05-16 2017-05-08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태양광 패널의 빗물받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7489A (ja) * 2013-06-12 2015-01-29 三八 小掠 農場兼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6214063A (ja) * 2015-04-30 2016-12-15 大成建設株式会社 太陽電池アレイ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101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262B1 (ko) 영농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KR100740364B1 (ko) 태양 추적 패널을 갖는 모듈형 차양 시스템
JP5683733B2 (ja) 農場兼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206791172U (zh) 一种可分区调整遮光的太阳能大棚
KR102355370B1 (ko) 지향성 태양광 패널 조립체
WO2020250261A1 (en) Greenhouse with photovoltaic system
CN114556778A (zh) 执行果树作物种植棚功能的太阳能发电系统
KR101094972B1 (ko) 태양전지모듈을 구비한 온실
KR101859171B1 (ko) 어류 건조 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2276938B1 (ko) 케이블 지지식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572188B1 (ko) 솔라 박스 및 솔라 박스 어레이
US20220151163A1 (en) Photovoltaic structures for use in agriculture farms
KR20100123130A (ko) 태양전지를 구비한 음지식물 재배용 햇빛 차단 구조
JP2011129852A (ja) 太陽光発電設備
KR20140030645A (ko) 태양광 발전판을 이용한 인삼밭 해가림시설
KR20140029031A (ko) 인삼재배용 차광막 시설
CN210157738U (zh) 基于平单轴跟踪支架的防虫网式连栋农业大棚
KR20190049312A (ko) 조림수에서 조림용 에너지 포집장치
KR102209539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어류 양식 및 버섯 재배설비
CN206273090U (zh) 果树整形架及光伏电站
CN210157737U (zh) 基于平单轴跟踪支架的网式农业大棚
US11980146B2 (en) Agricultural photovoltaic structure with controlled cooling
KR102318676B1 (ko) 음영해소를 위한 태양전지모듈 구조
TWI730902B (zh) 綠能農業種植系統
JP5834352B2 (ja) 農業用ハ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