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091B1 - Techniques for manufacturing tape containing self extinguishing material - Google Patents

Techniques for manufacturing tape containing self extinguishing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091B1
KR102233091B1 KR1020190151528A KR20190151528A KR102233091B1 KR 102233091 B1 KR102233091 B1 KR 102233091B1 KR 1020190151528 A KR1020190151528 A KR 1020190151528A KR 20190151528 A KR20190151528 A KR 20190151528A KR 102233091 B1 KR102233091 B1 KR 102233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self
extinguishing
pressure
sen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세윤
박서규
공두철
신승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켐코
Priority to KR1020190151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09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0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8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using foamed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adhesive tape, which suppresses the risk of fire or explos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adhesive tape,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n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a self-extinguishing capsule encapsulat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to an adhesive resin; applying the adhesive composition on a release film; and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applied on the release film to form an adhesive layer.

Description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테이프 제조 기법{TECHNIQUES FOR MANUFACTURING TAPE CONTAINING SELF EXTINGUISHING MATERIAL}Self-extinguishing tape manufacturing technique {TECHNIQUES FOR MANUFACTURING TAPE CONTAINING SELF EXTINGUISHING MATERIAL}

본 개시내용은 점착성을 가진 테이프(tape)의 제조 기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점착 테이프(adhesive tape)의 제조 기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anufacturing technique of an adhesive ta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nufacturing technique of an adhesive tape contain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점착 테이프는 점착의 대상이 되는 피착체에 점착되어 피착체에 고정될 수 있는 테이프로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및 고무계 점착제 등 다양한 형태의 점착제들이 점착 테이프에 사용될 수 있다. 점착층이 단면에만 존재하는 경우 단면 점착 테이프로 지칭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점착층이 양면에 존재하는 경우 양면 점착 테이프로 지칭될 수 있다.The adhesive tape is a tape that can be adhered to an adherend to be adhered and fixed to the adherend, and various types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s such as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silico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may be us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hen the adhesive layer is present only on one side, it may be referred to as a single-sided adhesive tape, and when the adhesive layer is present on both sides, it may be referred to a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이러한 점착 테이프는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산업에 점착 테이프가 적용되면서, 점착 테이프가 산업분야에 적용되는 양태에 따라 점착 테이프의 성능 및 기능에 대한 개선사항과 관련된 요구가 계속적으로 이어져 왔다.These adhesive tapes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As adhesive tapes have been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demands related to improvements in performance and functions of adhesive tapes have been continually followed according to the aspect in which the adhesive tapes are applied to the industrial field.

일례로, 전기차 등과 같은 새로운 산업분야의 성장에 따라 전기차에 구비되는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안전과 직결되는 배터리의 발화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논의 뿐만 아니라 발화시 화재가 전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For example, with the growth of new industrial fields such as electric vehicles, the demand for batteries provided in electric vehicles is increasing, but not only discussions to prevent ignition of batterie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safety, but also to prevent fires from spreading during ignition. There is not enough discussion.

특히, 점착 테이프가 난연성과 관련된 기능을 구비한다고 하더라도 피착체에서 발생되는 화재 발생의 전이를 억제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화재의 근본적인 예방 또는 억제가 이루어질 수는 없다.In particular, even if the adhesive tape has a function related to flame retardancy, it is not sufficient to suppress the transition of fire occurrence occurring in the adherend, and fundamental prevention or suppression of fire cannot be achiev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7441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027441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의 목적은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을 억제하는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기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It is an object of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provide a technique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that suppresses the risk of fire or explosion.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점착 테이프(adhesive tape)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자기소화성 물질(self extinguishing material)을 캡슐화한 자기소화성 캡슐을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도포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is disclosed. The method includes: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a self-extinguishing capsule encapsulat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a release film; And forming an adhesive layer by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applied on the release film.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점착층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내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기재층을 합지하는 단계 - 상기 기재층이 합지되는 상기 점착층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하부면은 상기 이형 필름이 합지된 면과 대향하는 면임 -;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점착층은, 배터리를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battery cell)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 간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includes laminating a base layer including a heat-resistant material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on which the base layer is laminated is the release film. A surface facing the laminated surface may further include -, and the adhesive layer may be positioned betwee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stituting a battery to maintain coupling betwe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또한, 상기 자기소화성 물질을 캡슐화한 자기소화성 캡슐을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분산제를 이용하여 상기 자기소화성 물질을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분산된 자기소화성 물질에 녹는점이 사전 설정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쉘 수지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산된 소화성 물질 및 상기 캡슐 쉘 수지가 교반된 제 1 혼합물에 개시제를 투입하여,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a self-extinguishing capsule encapsulating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may include dispersing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using a dispersant; Adding and stirring a capsule shell resin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with a melting point preset to the dispersed self-extinguishing material; And forming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by adding an initiator to the first mixture in which the dispersed extinguishing material and the capsule shell resin are stirred.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감온성 물질을 캡슐화한 감온성 캡슐 및 기 설정된 온도에 따라 발포되는 발포성 물질을 캡슐화한 발포성 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encapsulating a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whose color changes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a foamable capsule encapsulating a foamable material that is foamed according to a preset temperature,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It may include;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또한,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감온성 물질을 캡슐화한 감온성 캡슐 및 기 설정된 온도에 따라 발포되는 발포성 물질을 캡슐화한 발포성 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분산제를 이용하여 상기 감온성 물질 및 상기 발포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분산된 상기 감온성 물질 및 상기 발포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에 녹는점이 사전 설정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쉘 수지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산된 상기 감온성 물질 및 상기 발포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캡슐 쉘 수지가 교반된 제 2 혼합물에 개시제를 투입하여, 상기 감온성 캡슐 및 상기 발포성 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encapsulating a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that changes color depending on temperature and a foamable capsule encapsulating a foamable material that is foamed according to a preset temperature,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to the adhesive resin. The forming of may include dispersing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and the foamable material using a dispersing agent; Adding and stirring a capsule shell resin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predetermined melting point in at least one of the dispersed heat-sensitive material and the foamable material; And forming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and the foamable capsule by injecting an initiator into a second mixtur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dispersed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and the foamable material and the capsule shell resin are stirred, to form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and the foamable capsule. have.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자외선(UV) 경화 물질을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도포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이 경화 단계에서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경화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 물질이 첨가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s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an ultraviolet (UV) curable material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and includes, and is applied on the release film. 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for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include 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which the ultraviolet-curing material is added using an ultraviolet curing method in order to prevent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from bursting in the curing step. Can include.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감온성 캡슐, 발포성 캡슐 및 열 전도성을 상승시키기 위한 열 전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a foamable capsule, and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for increasing thermal conductivity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점착층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코폴리머(copolymer)를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교반 될 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s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a copolymer for forming an air layer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and The air layer may be formed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stirred.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점착성 수지에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을 첨가한 후, 세라믹 파우더를 더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dding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and then adding ceramic powder and stirring.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산화 방지 물질 또는 금속 부식 방지 물질을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an anti-oxidation material or a metal corrosion-preventing material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는 단계는, 제 1 서브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점착층 상에 쿠션층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쿠션 비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쿠션층 상에 제 2 서브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the release film may include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the release film to form a first sub-adhesive layer; Applying a plurality of cushion beads to form a cushion layer on the first sub adhesive layer; And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form a second sub-adhesive layer on the cushion layer.

또한,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은: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의 외면을 정의하는 캡슐 쉘; 및 상기 캡슐 쉘 내부에 포함되는 자기소화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캡슐 쉘은,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우레탄 수지(urethane resin) 및 건식 실리카(fumed sili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자기소화성 물질은, 플루오르화케톤(Fluoroketone, Dedecafluoro-2 methylpentan-3-one), 이산화탄소(CO2) 및 클로로플루오로카본(ChloroFluoroCarbon, CF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includes: a capsule shell defining an outer surface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And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included in the capsule shell, wherein the capsule shell include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lamine resin, urethane resin, and fumed silica And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uorine ketones (Fluoroketone, Dedecafluoro-2 methylpentan-3-one), carbon dioxide (CO 2 ), and chlorofluorocarbons (ChloroFluoroCarbon, CFC). It may contain substances.

또한,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의 캡슐 쉘은, 열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Al), 텅스텐(W),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전달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sule shell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is coated with at least one heat transfer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tungsten (W), nickel (Ni), and copper (Cu) in order to improve thermal conductivity. Can be.

또한,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은: 열 전도성을 상승시키기 위한 알루미늄(Al), 텅스텐(W),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전도성 물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 전도성 물질은 상기 캡슐 쉘 내부에서 상기 자기소화성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tungsten (W), nickel (Ni), and copper (Cu) to increase thermal conductivity; ,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mixed with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inside the capsule shell.

또한, 상기 감온성 캡슐은: 상기 감온성 캡슐의 외면을 정의하는 캡슐 쉘; 및 상기 캡슐 쉘 내부에 포함되는 상기 감온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감온성 물질은: 전자 공여체(electro donor) 및 전자 수용체(electro acceptor)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공여체와 상기 전자 수용체 간의 결합 여부에 기초하여 색을 변화시키는 제 1 방식; 또는 온도에 따라 분자의 배열을 달리하여 색을 변화시키는 제 2 방식;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includes: a capsule shell defining an outer surface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And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included in the capsule shell, wherein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includes: an electron donor and an electron acceptor, based on whether the electron donor and the electron acceptor are bound to each other. A first way of changing color; Alternatively, the operation may be based on a second method of changing color by varying the arrangement of molecules according to temperature.

또한, 상기 발포성 캡슐은: 상기 발포성 캡슐의 외면을 정의하는 캡슐 쉘; 및 상기 캡슐 쉘 내부에 포함되는 상기 발포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 쉘은: 아조디카본아마이드, 징크디벤젠설피네이트, 징크디톨루엔설피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성 물질은: 2-메틸부탄 또는 2-메틸프로판을 포함하는 액상탄화수소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amable capsule includes: a capsule shell defining an outer surface of the foamable capsule; And the foamable material included in the capsule shell. The capsule shell includes: azodicarbonamide, zinc dibenzene sulfinate, zinc ditoluene sulfinate, or a mixture thereof, and the foamable material includes: liquid hydrocarbon including 2-methylbutane or 2-methylpropane can do.

또한, 상기 열 전도성 물질은, 파우더(powder) 형태이고, 열 전도성을 상승시키기 위한 알루미늄(Al), 텅스텐(W),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is in the form of a powder, a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tungsten (W), nickel (Ni), and copper (Cu) to increase thermal conductivity. have.

또한, 상기 열 전도성 물질은, 내부식성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금(Au), 백금(Pt) 및 은(Ag)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식성 물질로 코팅된 상태로 혼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mixed in a state coated with at least one corrosion-resistant material of gold (Au), platinum (Pt), and silver (Ag) in order to increase corrosion resistance.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solutions obtain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olutions, and other solutions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andable.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을 억제하는 점착 테이프의 제조 기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technique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that suppresses the risk of fire or explosion may be provided.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화성 캡슐 및 감온성 캡슐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화성 물질 및 열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화성 물질 및 발포성 물질이 포함된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단면도이다.
Various aspects are now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bers are used collectively to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examples that follow, for illustrative purposes, a number of specific details are present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includ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n adhesive tape includ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n adhesive tape includ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of a self-extinguishing capsule and a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of an adhesive tape having an adhesive layer made of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of an adhesive tape having an adhesive layer made of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of an adhesive tape having an adhesive layer made of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n adhesive tape includ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and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n adhesive tape includ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and a foamable materi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tter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illustrative purposes, a number of specific details are disclosed to aid in an overal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is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the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sed, and the descriptions described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Specifically, as used herein, “a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ample”, and the like are not construed as having any aspect or design being better or advantageous than other aspects or designs. May not.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devices or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devices or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device or component from another device o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device or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a second device or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term “or” is intended to mean an inclusive “or” rather than an exclusive “or”. That is, unless specified otherwise or is not clear from the context, "X employs A or B" is intended to mean one of the natural inclusive substitutions. That is, X uses A; X uses B; Or when X uses both A and B, "X uses A or B" can be applied to either of these cases. In addition, the term “and/or” as used herein should be understood to refer to and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related items.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to or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on” or “on” of another component or layer, it is not only above the other component or layer, but also the other layer or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Includes all intervening cases.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directly on", it means that no other component or layer is interposed therebetwee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 or a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direc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For example, if a component shown in a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I can.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present disclosure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includ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점착제 조성물은 자기소화성 물질(self extinguishing material)을 캡슐화한 자기소화성 캡슐을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S110). 또한, 점착제 조성물은 이형필름 상에 도포될 수 있다(S120). 그리고, 이형 필름 상에 도포된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되어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S130).Referring to FIG. 1,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ormed by adding a self-extinguishing capsule encapsulat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to an adhesive resin (S110). In add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on the release film (S120). In addition, the adhesive composition applied on the release film may be cured to form an adhesive layer (S130).

여기서, 점착성 수지는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러버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adhesive resin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silicone resin, an acrylic resin, a urethane resin, and a rubber resin.

이하, 점착성 수지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adhesive resi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소화성 캡슐은 자기소화성 캡슐을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기 이전에, 자기소화성 물질 및 캡슐 쉘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efore adding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to for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may be formed us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and a capsule shell resin.

구체적으로, 자기소화성 물질은 분산제를 이용하여 분산될 수 있다. 분산된 자기소화성 물질은 녹는점이 사전 설정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쉘 수지와 함께 교반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소화성 캡슐은 분산된 자기소화성 물질 및 캡슐 쉘 수지가 교반된 제 1 혼합물에 개시제가 투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열가소성 수지의 녹는점은 80 내지 200℃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may be dispersed using a dispersant. The dispersed self-extinguishing material may be stirred together with a capsule shell resin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with a melting point set in advance. In addition,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may be formed by introducing an initiator into the first mixture in which the dispersed self-extinguishing material and the capsule shell resin are stirred. Here, the predetermined melting poi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80 to 200°C.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자기소화성 캡슐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110)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감온성 물질을 캡슐화한 감온성 캡슐 및 기 설정된 온도에 따라 발포되는 발포성 물질을 캡슐화한 발포성 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step S11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encapsulating a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whose color changes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a foamable capsule encapsulating a foamable material that is foamed according to a preset temperature. May be formed by adding to the adhesive resin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여기서, 감온성 캡슐은 감온성 물질 및 캡슐 쉘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온성 물질은 분산제를 이용하여 분산될 수 있다. 분산된 감온성 물질은 녹는점이 사전 설정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쉘 수지와 함께 교반될 수 있다. 그리고, 감온성 캡슐은 분산된 감온성 물질 및 캡슐 쉘 수지가 교반된 제 2 혼합물에 개시제가 투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열가소성 수지의 녹는점은 80 내지 200℃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may be formed using a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and a capsule shell resin. Specifically,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may be dispersed using a dispersant. The dispersed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may be stirred with a capsule shell resin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with a melting point set in advance. In addition,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may be formed by introducing an initiator into a second mixture in which the dispersed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and the capsule shell resin are stirred. Here, the predetermined melting poi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80 to 200°C.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감온성 캡슐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한편, 발포성 캡슐은 발포성 물질 및 캡슐 쉘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포성 물질은 분산제를 이용하여 분산될 수 있다. 분산된 발포성 물질은 녹는점이 사전 설정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쉘 수지와 함께 교반될 수 있다. 그리고, 발포성 캡슐은 분산된 발포성 물질 및 캡슐 쉘 수지가 교반된 제 3 혼합물에 개시제가 투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포성 캡슐의 캡슐 쉘을 이루는 사전 설정된 열가소성 수지의 제 1 녹는점은 자기소화성 캡슐의 캡슐 쉘을 이루는 사전 설정된 열가소성 수지의 제 2 녹는점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녹는점은 70 내지 200℃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foamable capsule may be formed using a foamable material and a capsule shell resin. Specifically, the foamable material may be dispersed using a dispersant. The dispersed foamable material may be stirred together with a capsule shell resin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with a melting point set in advance. In addition, the foamable capsule may be formed by introducing an initiator into a third mixture in which the dispersed foamable material and the capsule shell resin are stirred. Here, the first melting point of the preset thermoplastic resin constituting the capsule shell of the expandable capsule may be lower than the second melting point of the preset thermoplastic resin constituting the capsule shell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For example, the first melting point may be 70 to 200°C.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발포성 캡슐에 대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foamable capsul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110)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복수 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착제 조성물은 제 1 점착제 조성물 및 제 2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step S110, there may be a plurality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Specifical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여기서, 제 1 점착제 조성물은 자기소화성 캡슐 및 발포성 캡슐을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점착제 조성물은 감온성 캡슐을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ormed by adding a self-extinguishing capsule and a foamable capsul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ormed by adding a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한편, 점착제 조성물은 이형필름 상에 도포될 수 있다(S120).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on the release film (S120).

구체적으로, 점착제 조성물이 이형필름 상에 도포될 때, 자기소화성 캡슐 및 발포성 캡슐을 포함하는 제 1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 테이프가 대상체에 점착될 때 제거되는 이형 필름 상에 도포되어 제 1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감온성 캡슐을 포함하는 제 2 점착제 조성물은 제 1 점착층 상에 도포되어 제 2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on the release film,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ing a self-extinguishing capsule and a foamable capsule is applied on a release film that is removed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is adhered to the object to form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do. In addition,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ing a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may be applied on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form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이하, 복수의 점착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에 대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한여 후술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adhesive tape having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110)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UV) 경화 물질을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이형 필름 상에 도포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step S11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ormed by adding an ultraviolet (UV) curable material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on the release film to for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한편, 이형 필름 상에 도포된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되어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S130).Meanwhile, the adhesive composition applied on the release film may be cured to form an adhesive layer (S130).

구체적으로, 자외선 경화 물질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이형 필름 상에 도포된 상태에서 자외선 경화 방식을 사용하여 경화될 수 있다. 자외선 경화 방식을 사용하여 점착제 조성물이 경화될 경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된 자기소화성 캡슐이 경화 단계에서 터지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ing an ultraviolet curing material may be cured using an ultraviolet curing method in a state applied on a release film.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cured using an ultraviolet curing method,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includ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prevented from bursting in the curing step.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110)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감온성 캡슐, 발포성 캡슐 및 열 전도성을 상승시키기 위한 열 전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step S11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formed by add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a foamable capsule, and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for increasing thermal conductivity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together with a self-extinguishing capsule. I can.

즉, 열 전도성 물질은 외부에서 발생된 열을 자기소화성 캡슐, 감온성 캡슐 및 발포성 캡슐 중 적어도 하나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That is,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can rapidly transfer heat generated from the outside to at least one of a self-extinguishing capsule, a temperature sensitive capsule, and a foam capsule.

이하, 열 전도성 물질에 대한 설명은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8.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110)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성 수지에 자기소화성 캡슐을 첨가한 후, 세라믹 파우더를 더 첨가하여 교반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step S11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stirred by adding a self-extinguishing capsul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and then adding ceramic powder.

이 경우, 세라믹 파우더는 점착성 수지와 자기소화성 캡슐이 잘 섞이도록 야기시킬 수 있다. 즉, 세라믹 파우더는 점착성 수지 내에서 자기소화성 캡슐이 고르게 펴지도록 야기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ceramic powder may cause the adhesive resin and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to be well mixed. That is, the ceramic powder may cause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to be evenly spread in the adhesive resin.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는 점착 대상체에 대한 자기소화 기능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hesive tape may include various functions as well as a self-extinguishing function for an adhesive object.

이하의 도 1의 설명에서, 점착 테이프가 자기소화 기능 외 추가적인 기능을 갖는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of FIG. 1 below,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having an additional function in addition to the self-extinguishing function is described.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110)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층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코폴리머(copolymer)를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층은 점착제 조성물이 교반 될 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step S11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ormed by adding a copolymer for forming an air layer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Here, the air layer may be formed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stirred.

이 경우, 공기층은 점착층의 연성을 높여, 휘어지거나 각진 곳에도 점착 테이프가 용이 점착되도록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 테이프가 점착된 대상체가 구부러지더라도 점착층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air layer may increase the ductility of the adhesive layer and cause the adhesive tape to be easily adhered even to bent or angular places. In addition, even if the object to which the adhesive tape is adhered is b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cracks from occurring in the adhesive lay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110)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산화 방지 물질 또는 금속 부식 방지 물질을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step S11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ormed by adding an antioxidant material or a metal corrosion-preventing material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together with a self-extinguishing capsule.

이 경우, 산화 방지 물질 또는 금속 부식 방지 물질은 점착 테이프가 점착되는 대상체가 금속 등의 산화 가능한 물질인 경우, 대상체의 산화를 방지하거나, 금속인 대상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when the object to which the adhesive tape is adhered is an oxidizable material such as metal, the oxidation preventing material or the metal corrosion preventing material may prevent oxidation of the object or corrosion of the metal objec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120)에서,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할 때, 제 1 서브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점착제 조성물이 이형 필름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제 1 서브 점착층 상에 쿠션층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쿠션 비드를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쿠션층 상에 제 2 서브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쿠션 비드는 구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그리고, 쿠션 비드는 탄성도가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 비드는 폴리스티렌 비드, 폴리우레탄 비드 및 폴레에틸렌 비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the release film in step S12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on the release film to form the first sub-adhesive layer. A plurality of cushion beads may be applied to form a cushion layer on the first sub adhesive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to form the second sub-adhesive layer on the cushion layer. Here, the cushion bead may be spherical or elliptical. In addition, the cushion bea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elasticity. For example, the cushion beads may be at least one of polystyrene beads, polyurethane beads, and polyethylene bead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즉, 점착 테이프의 점착층은, 제 1 서브 점착층, 제 2 서브 점착층 및 제 1 서브 점착층과 제 2 서브 점착층 사이에 형성된 쿠션층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adhesive layer of the adhesive tape may include a first sub adhesive layer, a second sub adhesive layer, and a cushion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sub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sub adhesive layer.

이 경우, 쿠션층은 점착 테이프가 점착되는 대상체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대상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cushion layer may absorb an impact applied to an object to which the adhesive tape is adhered or a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objec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120)에서,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한 후, 요철 형상을 갖는 몰드를 사용하여 이형 필름 상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된 도포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층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은, 요철 형상에 대응하는 공기 터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addition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step S120, after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the release fil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on the release film using a mold having an uneven shape to press the applied surface formed. I can. In this case,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n air tunnel corresponding to the uneven shape.

이 경우, 공기 터널은 점착 테이프가 점착되는 대상체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대상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air tunnel may absorb an impact applied to an object to which the adhesive tape is adhered or a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objec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130) 이후, 점착층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내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기재층이 합지될 수 있다. 여기서, 기재층이 합지되는 점착층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은 상기 이형 필름이 합지된 면과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fter step S130, a base layer including a heat-resistant material may be laminat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Here,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on which the base layer is laminated may be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release film is laminated.

이하, 기재층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base laye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n adhesive tape includ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점착 테이프(100)는 이형필름(10) 및 점착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층(20)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점착 테이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점착 테이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dhesive tape 100 may include a release film 10 and an adhesive layer 20.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20 may include a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 the adhesive tape 100, so the adhesive tape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ntains more or less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I can have i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는 임의의 형태의 피착체에 부착될 수 있다. 일례로, 점착 테이프(100)는 배터리를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battery sell)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100)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 간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attached to any type of adherend. For example,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positioned betwee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stituting a battery. Accordingly, the adhesive tape 100 may maintain bonding betwee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의 이형필름(10)은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점착층(20)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lease film 10 of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to protect the adhesive surface.

이형필름(10)은 투습 방지 기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이형제가 처리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형필름(10)은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이형제(Silicon or Fluorine release agent)가 처리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필름, PE(폴리에틸렌)필름 등의 합성수지 필름 또는 종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release film 1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treated with a silicone-based or fluorine-based release agent in order to have a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function. Specifically, the release film 10 may be a synthetic resin film or paper such as a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or a PE (polyethylene) film treated with a silicone or fluorine release agent.

이형필름(10)은 점착층(20)과 관련된 액상의 구성물질이 도포되어 건조로를 통과하는 과정을 도와주는 운반체 역할과 점탄성체로 이루어진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을 사용 전까지 지지해 주는 지지체 역할을 한다.The release film 10 serves as a carrier to assist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drying furnace by applying a liquid constituent material related to the adhesive layer 20 and supports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adhesive tape 100 made of viscoelastic material until use. The state acts as a support.

또한, 점착 테이프(100) 제작 시, 이형필름(10)은 점착층(20)을 이루는 도포액이 건조된 후 최종 사용 시점까지 점착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형필름(10)은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이형제가 도포되어 있어 점착 테이프(100)를 사용할 때 점착층(20)이 손상되지 않고 자연스러운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dhesive tape 100 is manufactured, the release film 10 may serve to protect the adhesive surface until the point of final use after the coating liquid forming the adhesive layer 20 is dried. In addition, since the release film 10 is coated with a silicone-based or fluorine-based release agent, when the adhesive tape 100 is used, the adhesive layer 20 is not damaged and natural peeling may occur.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이형필름(10)의 적용가능 두께는 10㎛ 내지 200㎛ 일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pplicable thickness of the release film 10 may be 10 μm to 200 μm.

한편, 이형필름(10)은 두께가 10㎛ 이하인 경우, 너무 얇아 실제 사용되는 중간 점착 테이프(100)를 지지하여 보존하기 힘든 단점이 발생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이형필름(10)은 두께가 200㎛ 이상일 경우, 권취하는데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점착 테이프(100)의 모양을 변형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film 10 is 10 μm or less, it is too thin to support and preserve the intermediate adhesive tape 100 that is actually u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film 10 is 200 μm or more, it may interfere with winding, and may cause a problem in that the shape of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deformed.

이형필름(10)이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이형제(Silicon or Fluorine release agent)가 처리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필름 또는, PE(폴리에틸렌)필름인 경우, 탈응력화되거나 하나 이상의 선택적 방향을 가질 수 있고, 선택적 방향은 하나의 방향 또는 두 개의 방향으로 드로잉(drawing)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When the release film 10 is a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or PE (polyethylene) film treated with a silicone or fluorine release agent, it may be destressed or have one or more selective directions, The optional direction can be obtained by drawing in one or two directions.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10)에 처리되는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이형제(Silicon or Fluorine release agent)에 있어서, 실리콘계 이형제는 우수한 윤활성과 이형성이 좋은 특징이 있다. In the silicone or fluorine release agent treated on the release film 1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ilicone release agent has excellent lubricity and good releasability.

한편, 불소계 이형제는 불소 화합물의 우수한 비점착성을 이용하여 윤활성을 부여함으로써 우수한 이형성을 가진다. 또한, 불소계 이형제는 이형제 도포막의 표면에서 이형하는 계면 이형이기 때문에 성형품으로의 전이가 작고, 이형성도 우수하다. 또한, 불소계 이형제는 얇은 도포(0.1 ~1.0㎛)만으로 이형이 가능하므로 성형재료가 금형에 남거나 축적이 적어 금형오염이 크게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불소계 이형제는 오일형이 아니라 건성 도포막이므로 성형품에 달라붙지 않고, 수치정밀도가 높은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통전불량의 원인은 실리콘계가 아닌 논실리콘계이므로 전기부품의 성형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uorine-based release agent has excellent releasability by imparting lubricity using the excellent non-adhesiveness of the fluorine compound. Further, since the fluorine-based mold release agent is an interface mold release that is released from the surface of the mold release agent coating film, the transition to the molded article is small and the mold release property is also excellent. In addition, since the fluorine-based release agent can be released with only a thin coating (0.1 ~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mold contamination is greatly reduced due to the fact that the molding material remains in the mold or there is little accumulation. In addition, since the fluorine-based release agent is not an oil type, but a dry coating film, it does not stick to the molded product, and a molded product with high numerical precision can be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e cause of the power failure is non-silicone rather than silicon-ba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safely used in the molding of electrical parts.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은 점착 대상체에 점착 테이프(100)를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점착층(20)은 점착 대상체와 맞닿는 면(점착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층(20)은 자기소화성 물질(self extinguishing material)을 캡슐화한 자기소화성 캡슐(21)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for adhering the adhesive tape 100 to an adhesive object. That is,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formed on a surface (adhesiv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object.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20 may include a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encapsulat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점착층(20)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러버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2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silicone resin, an acrylic resin, a urethane resin, and a rubber resin.

여기서, 점착층(20)의 점착력은 미국재료시험협회(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의 점착력 테스트(ASTM D 3330)에 의해 1,000gf/inch 임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점착층(20)의 점착력의 수준은 최소 500gf/inch ~ 최대 5,000gf/inch까지 적용 가능할 수도 있다.Her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preferably 1,000 gf/inch according to the adhesive strength test (ASTM D 3330) of the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vel of adhesion of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applicable to a minimum of 500 gf/inch to a maximum of 5,000 gf/inch.

한편, 점착층(20)의 점착력의 수준이 500gf/inch 이하일 경우, 부착 시간을 장시간 유지하기 힘든 단점이 발생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점착층(20)의 점착력의 수준이 5,000gf/inch 이상일 경우, 초기 점착 테이프(100) 부착 공정에서 다루기가 어렵고 점착제 자체의 단가가 너무 높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vel of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20 is 500 gf/inch or less,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the adhesion time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vel of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20 is 5,000 gf/inch or more, it may be difficult to handle in the initial adhesive tape 100 attaching process and the unit price of the adhesive itself may be formed too high.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층(20)의 적용가능 두게는 1㎛ 내지 150㎛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착층(20)은 두께가 10㎛ 미만인 초박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pplicabl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1 μm to 150 μm. Specifically,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ultra-th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less than 10 μm.

한편, 점착층(20)의 두께가 150㎛ 이상일 경우 부착부분 양 옆으로 점착층 구성용액이 밀려나와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며, 공정에 적용할 때 다루기가 매우 어려워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20 is 150 μm or more, the adhesive layer constituent solution is pushed out to both sides of the attachment portion, causing product defects, and it may be very difficult to handle when applied to a process.

점착층(20)을 형성할 수 있는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러버계 수지에 있어서, 실리콘계 수지는 분자 사슬(분자쇄) 말단에 관능성 실라놀(silanol(SiOH))기를 갖는 고분자량의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혹은 폴리디메틸 디페닐실록산(polydimethyl diphenyl siloxane)으로 되어있는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계 수지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넓은 범위의 재료에 점착되고 내후성, 내수성, 내열성, 전기특성 등이 뛰어날 수 있다.In silicone resins, acrylic resins, urethane resins, and rubber resins capable of forming the adhesive layer 20, the silicone resin has a high molecular weight having a functional silanol (SiOH) group at the end of the molecular chain (molecular chain). It may be a resin made of polydimethyl siloxane or polydimethyl diphenyl siloxane. These silicone-based resins adhere to a wide range of materials in a wide temperature range, and may have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wat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electrical properties.

아크릴계 수지는 고무계 수지를 대체하여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수지이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등 점착제로서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 물질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는 용제형, 수계형, 핫 멜트형, 100% 고체 반응형 점착제 등 폭넓은 형태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계 수지는 예를 들어, 코폴리머, 에틸아크릴레이드, 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크립톤산, 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아크릴로니트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Acrylic resins are resins that are rapidly increasing in place of rubber resins, and any materials known in the art as adhesives such as acrylic polymer resins can be used. In addition, the acrylic resin can be used in a wide variety of forms, such as a solvent type, an aqueous type, a hot melt type, and a 100% solid reactive adhesive. Such acrylic resins are, for example, copolymer,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hexyl acrylate, n-octyl acrylate, isooc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isobornyl acrylate, acryl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itaconic acid, kryptonic acid, acrylamide, N-vinyl pyrrolidone, N-vinyl caprolactam, acrylonitrile, 2-hydroxyethylacrylate, 2-hydroxypropylacrylate, 2-hydroxybutylacrylic It may be at least one of the rates.

우레탄계 수지는 주성분이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합성된 우레탄 프리폴리머이며, 습기 경화성을 조절하기 위해 경화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Urethane-based resins are urethane prepolymers synthesized from polyols and polyisocyanates as main components, and a curing catalyst may be used to control moisture curability.

러버계 수지는 이소프렌계 또는 브타디엔계의 레진들로써, 천연고무, 합성고무(IR, SR, SBS, SEBS, BR 등)가 주성분이 될 수 있다.Rubber-based resins are isoprene-based or butadiene-based resins, and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IR, SR, SBS, SEBS, BR, etc.) may be a main componen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은 자외선(UV) 경화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adhesive tape 100 may further include an ultraviolet (UV) curing material.

일반적으로, 점착 테이프(100)에 사용되는 점착층(20)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러버계 수지 등을 열경화(즉, 열을 가하여 수지를 경화)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이 경우, 자기소화성 캡슐(21)이 경화 단계에서 유입되는 외부의 열에 의해 열 분해될 수 있다.In general, the adhesive layer 20 used in the adhesive tape 100 is made by thermosetting a silicone resin, an acrylic resin, a urethane resin, a rubber resin, etc. (ie, curing the resin by applying heat). In this case,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be thermally decomposed by external heat introduced in the curing step.

따라서, 점착층(20)은 점착층(20)에 포함된 자기소화성 캡슐(21)이 경화 단계에서 열에 의해 터지는 것(열 분해)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경화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formed using an ultraviolet curing method in order to prevent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20 from bursting by heat (thermal decomposition) in the curing step.

즉, 자기소화성 캡슐(21), 자외선 경화 물질 그리고, 점착층(20)을 이루는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러버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는 함께 UV 바인더에 첨가되어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으로 형성(즉, 자외선 경화)될 수 있다.That is,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the ultraviolet curing material, and at least one of the silicone resin, acrylic resin, urethane resin, and rubber resin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20 are added together to the UV binder to adhere to the adhesive tape 100. The layer 20 may be formed (ie, UV cured).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는 기재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재층은 점착 테이프(100)의 기재가 되는 층으로, 점착층(2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기재층은 점착층(20)이 복수개의 층들로 이루어질 때, 상기 복수개의 층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hesive tape 100 may further include a base layer (not shown). Specifically, the base layer is a layer that becomes the base of the adhesive tape 100 and may be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More specifically, when the adhesive layer 2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the base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layers.

그리고, 기재층은 내열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재층은 내열성 수지 및 난연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layer may include a heat-resistant material. That is, the base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heat-resistant resin and a flame-retardant resin.

일례로, 기재층은 내열성 수지로서 불소 함유 수지를 합침시킨 유리 섬유 직물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유리 섬유 직물에 합침되는 불소 함유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퍼플루오로알콕시알칸(PFA),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펜 공중합체(FEP),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base layer may be a glass fiber fabric impregnated with a fluorine-containing resin as a heat-resistant resin. Here, the fluorine-containing resin impregnated into the glass fiber fabric i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erfluoroalkoxyalkane (PFA), perfluoroethylene-propene copolymer (FEP), and ethylene-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It may be at least one of coalescence (ETFE)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다른 일례로,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필름일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로는 폴리나프탈렌테레프탈레이트계 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중합체일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base layer may include a polyester-based polymer. Specifically, the base layer may be a film containing a polyester-based polymer. Here, the polyester-based polymer may be a polynaphthalene terephthalate-based polymer or a polyethylene terephthalate-based polymer.

이러한 기재층은 점착 테이프(100)에 내열 특성을 부가할 수 있다.Such a base layer may add heat resistance to the adhesive tape 100.

추가적으로, 기재층은 열전달 효율을 증가시키기 이하여 양면이 요철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된 요철을 통해 일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타측으로 전달하는 표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양면에 요철구조를 갖는 기재층은 열전도율을 높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base layer may have a concave-convex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layer to increase heat transfer efficiency. Specifically, the surface area for transferring heat transferred to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rough irregulariti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layer may be increased. Therefore, the substrate layer having the uneven structure on both sides can increase the thermal conductivity.

그리고, 기재층은 양면에 요철구조를 갖는 경우, 기재층과 점착층(20)이 서로 다른 화학적 성질의 재료라 하더라도 높은 밀착성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양면에 요철구조를 갖는 기재층은 계면의 박리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se layer has an uneven structure on both sides, even if the bas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20 a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emical properties, they can be firmly bonded through high adhesion. Therefore, the substrate layer having the uneven structure on both side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peeling of the interface.

한편, 기재층은 난연성 수지로서, 삼산화안티몬(Sb2O3) 및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이 혼합된 아크릴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base layer is a flame-retardant resin, and an acrylic resin in which antimony trioxide (Sb2O3) and decabromodiphenylethane (DBDPE) are mixed may be used.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소화성 물질을 캡슐화한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점착층(20)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외면을 정의하는 캡슐 쉘 및 상기 캡슐 쉘 내부에 포함되는 자기소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encapsulat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may be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20. In addition,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include a capsule shell defining an outer surface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nd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included in the capsule shell.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외부의 온도 변화 또는 외부 압력에 의해 파괴 또는 파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외부의 온도 변화 또는 외부 압력에 의해 터질 수 있다. 이 경우, 자기소화성 캡슐(21)에 포함된 자기소화성 물질이 캡슐 외부로 방출되어 소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점착 테이프(100)가 감싸는 점착 대상체의 완전 연소를 방지할 수 있다.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destroyed or ruptured by an external temperature change or external pressure. In other words,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burst due to an external temperature change or external pressure. In this case,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contained in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be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capsule to exhibit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Accordingly,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prevent complete combustion of the adhesive object wrapped by the adhesive tape 100.

한편,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직경(h1)은 점착층(20)의 두께(h2) 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층(20)의 두께가 10㎛ 이하인 경우,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직경은 1㎛ 내지 10㎛ 일 수 있다. 즉,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점착층(20)의 두께(h2)가 10㎛ 이하가 되도록, 1㎛ 내지 10㎛의 직경(h1)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diameter h1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 h2 of the adhesive layer 20.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20 is 10 μm or less, the diameter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be 1 μm to 10 μm. That is,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have a diameter h1 of 1 μm to 10 μm so that the thickness h2 of the adhesive layer 20 is 10 μm or less.

상술한 자기소화성 캡슐(21)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온도 변화에 따라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파괴됨(즉, 열 분해됨)에 따라 내부의 자기소화성 물질을 자기소화성 캡슐(21)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기소화성 캡슐(21)이 포함된 점착 테이프(100)는 특정한 온도에서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내 존재하는 자기소화성 물질이 방출되어 소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expose the internal self-extinguishing material to the outside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s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destroyed (ie, thermally decomposed) according to a temperature change. Accordingly,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of the adhesive tape 100 including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be released at a specific temperature to exhibit a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의 설명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3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n adhesive tape includ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escription of FIG. 3,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will not be described again, and a description will be made focusing on the differences.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는 이형필름(10) 및 점착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층(20)은 자기소화성 캡슐(21) 및 감온성 캡슐(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점착 테이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점착 테이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hesive tape 100 may include a release film 10 and an adhesive layer 20.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20 may include a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nd a temperature sensitive capsule 22.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 the adhesive tape 100, so the adhesive tape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ntains more or less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I can have it.

먼저, 점착 테이프(100)의 이형필름(10)은 점착층(20)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점착층(20)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층(20)은 점착 대상체에 점착 테이프(100)를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점착층(20)은 점착 대상체(즉, 피착체)와 맞닿는 면(점착면)에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release film 10 of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to protec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for attaching the adhesive tape 100 to the adhesive object. That is,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formed on a surface (adhesive surface) in contact with an adhesive object (ie, an adherend).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00)는 하나의 점착층(20)에 자기소화성 캡슐(21)뿐만 아니라, 감온성 캡슐(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온성 캡슐(22)은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감온성 물질을 캡슐화한 캡슐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s shown, the adhesive tape 100 may include a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s well as a temperature sensitive capsule 22 in one adhesive layer 20. Here,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may be a capsule encapsulating a thermosensitive material whose color changes according to temperature.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감온성 캡슐(22)은 특정한 온도에서 발색 물질이 반응하여 색깔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온성 캡슐(22)은 기설정된 온도 간격마다 색상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감온성 캡슐(22)은 점착 테이프(100)가 감싸는 점착 대상체의 온도 변화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cause color change by reacting a color developing material at a specific temperature. Specifically, the color of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may be changed at each preset temperature interval. Accordingly,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can intuitively show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adhesive object wrapped by the adhesive tape 100 to the user.

한편, 감온성 캡슐(22)의 직경(h3)은 점착층(20)의 두께(h2) 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층(20)의 두께가 10㎛ 이하인 경우, 감온성 캡슐(22)의 직경은 1㎛ 내지 10㎛ 일 수 있다. 즉, 감온성 캡슐(22)은 점착층(20)의 두께(h2)가 10㎛ 이하가 되도록, 1㎛ 내지 10㎛의 직경(h3)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diameter h3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 h2 of the adhesive layer 20.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20 is 10 μm or less, the diameter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may be 1 μm to 10 μm. That is,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may have a diameter h3 of 1 μm to 10 μm so that the thickness h2 of the adhesive layer 20 is 10 μm or less.

즉, 감온성 캡슐(22)의 직경(h3)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직경(h1)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감온성 캡슐(22)의 직경(h3) 및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직경(h1) 각각은 점착층(20)의 두께(h2) 보다 같거나 작은 범위 내에서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That is, the diameter h3 of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may be the same as the diameter h1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of the diameter (h3) of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and the diameter (h1)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different within a rang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 (h2) of the adhesive layer 20 It can also have a diameter.

상술한 감온성 캡슐(2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thermosensitive capsule 22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온도 변화에 따라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파괴됨에 따라 내부의 자기소화성 물질을 자기소화성 캡슐(21)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감온성 캡슐(22)은 특정한 온도에서 발색 물질이 반응하여 색깔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자기소화성 캡슐(21) 및 감온성 캡슐(22)이 포함된 점착 테이프(100)는 특정한 온도에서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내 존재하는 자기소화성 물질이 방출되어 소화성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점착 테이프(100)가 감싸는 점착 대상체의 온도 변화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expose the internal self-extinguishing material to the outside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s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destroyed according to a temperature change. In addition,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may cause a color change by reacting a color developing material at a specific temperature. Accordingly, the adhesive tape 100 including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nd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releases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present in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adhesive tape 100 at a specific temperature to exhibit extinguishing performance. In addition,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adhesive object wrapped by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intuitively shown to the user.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화성 캡슐 및 감온성 캡슐의 단면 구조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of a self-extinguishing capsule and a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의 (a)를 참조하면, 자기소화성 캡슐(21)의 단면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외곽을 형성하는 캡슐 쉘(21a) 및 자기소화성 물질(21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shown.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include a capsule shell 21a form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nd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21b.

구체적으로, 자기소화성 캡슐(21)은 내부에 폐공간이 형성된 마이크로 크기의 캡슐 쉘(21a)과, 캡슐 쉘(21a)의 폐공간에 자기소화성 물질(2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소화성 물질(21b)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의 내부 부피(즉, 캡슐 쉘(21a)의 폐공간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그 양이 충진 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include a micro-sized capsule shell 21a having a closed space therein, and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21b in the closed space of the capsule shell 21a. Here, the amount of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21b may be variably filled according to the internal volume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e, the size of the closed space of the capsule shell 21a).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캡슐 쉘(21a)은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우레탄 수지(urethane resin) 및 건식 실리카(fumed sili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psule shell 21a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be made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lamine resin, urethane resin, and fumed silica.

그리고,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캡슐 쉘(21a)은 열 전도성을 향상시기키 위하여 알루미늄(Al), 텅스텐(W),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전달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sule shell 21a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tungsten (W), nickel (Ni), and copper (Cu) in order to improve thermal conductivity. It can be coated with a heat transfer material.

한편,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자기소화성 물질(21b)은 플루오르화케톤(Fluoroketone, Dodecafluoro-2 methylpentan-3-one), 이산화탄소(CO2) 및 클로로플루오로카본(ChloroFluoroCarbon, CF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21b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uoroketone (Dodecafluoro-2 methylpentan-3-one), carbon dioxide (CO2), and chlorofluorocarbon (CFC). It may contain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추가적으로, 자기소화성 물질(21b)은, 상술한 플루오르화케톤(Fluoroketone, Dodecafluoro-2 methylpentan-3-one), 이산화탄소(CO2) 및 클로로플루오로카본(ChloroFluoroCarbon, CF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 뿐만 아니라, 디브로모테트라플루오로에탄(BrCF2BrCF2), 도데카플루오르-2-메틸펜탄-3-원(CF3CF2C(O)CF(CF3)2), 트리플루오르메탄(CHF3), 펜타플루오르메탄(CHF2CF3) 및 헵타플루오로프로판(CF3CHFCH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21b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above-described fluoroketone (Fluoroketone, Dodecafluoro-2 methylpentan-3-one), carbon dioxide (CO2), and chlorofluorocarbon (CFC). As well as substances, dibromotetrafluoroethane (BrCF2BrCF2), dodecafluoro-2-methylpentane-3-one (CF3CF2C(O)CF(CF3)2), trifluoromethane (CHF3), pentafluoromethane ( CHF2CF3) and heptafluoropropane (CF3CHFCH3) may further include a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추가적으로, 자기소화성 물질(21b)은 3M사의 Novec 1230 Fluid (F-K-5-1-12)TM, 듀퐁사의 FM-200(HFC 227ea) TM, FE-25(HFC-125)TM 등과 같은 상용화된 물질이 자기소화성 물질(21b)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21b is a commercially available material such as 3M's Novec 1230 Fluid (FK-5-1-12) TM, DuPont's FM-200 (HFC 227ea) TM, FE-25 (HFC-125) TM, etc. It may be utilized as this self-extinguishing material 21b.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외부의 온도 변화 또는 외부 압력에 의해 파괴 또는 파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소화성 캡슐(21)은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발화 온도 또는, 발화점)에 도달했을 때 파괴 또는 파열될 수 있다. 또한, 자기소화성 캡슐(21)은 기 설정된 크기의 압력이 가해질 때, 파괴 또는 파열될 수 있다.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destroyed or ruptured by an external temperature change or external pressure. Specifically,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be destroyed or ruptured when it reaches a preset temperature (eg, an ignition temperature or an ignition point). In addition,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be destroyed or ruptured when a pressure of a preset size is applied.

이 경우,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캡슐 쉘(21a) 내부에 있는 자기소화성 물질(21b)이 자기소화성 캡슐(21) 외부로 노출되어 소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점착 테이프(100)가 감싸는 점착 대상체의 완전 연소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21b inside the capsule shell 21a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to exhibit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Accordingly,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prevent complete combustion of the adhesive object wrapped by the adhesive tape 100.

도 1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소화성 캡슐(21)은 분산제를 이용하여 자기소화성 물질을 분산시키고, 분산된 자기소화성 물질에 녹는점이 사전 설정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쉘 수지를 투입하여 교반하고, 분산된 자기소화성 물질 및 캡슐 쉘 수지가 교반된 제 1 혼합물에 개시제를 투입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FIG. 1,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disperses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using a dispersant, and a capsule shell resin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preset in the dispersed self-extinguishing material is added and stirred. , The dispersed self-extinguishing material and the capsule shell resin may be formed by adding an initiator to the stirred first mixture.

여기서, 분산제는 PVA(Polyvinyl alcohol)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산제는 물 50ml에 PVA 1g을 혼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개시제는 AIBN(Azobisisobutylnitrile)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시제는 물 10ml에 AIBN 5g을 혼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dispersant may contain polyvinyl alcohol (PVA). Specifically, the dispersant may be obtained by mixing 1 g of PVA in 50 ml of wat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initiator may contain AIBN (Azobisisobutylnitrile). Specifically, the initiator may be obtained by mixing 5 g of AIBN in 10 ml of wat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열 전도성을 상승시키기 위한 알루미늄(Al), 텅스텐(W),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전도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열 전도성 물질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캡슐 쉘(21a) 내에서 자기소화성 물질(21b)과 혼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addition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tungsten (W), nickel (Ni), and copper (Cu) to increase thermal conductivity. It may further include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his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mixed with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21b in the capsule shell 21a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여기서, 열 전도성 물질은 파우더(powde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열 전도성 물질은 내부식성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금(Au), 백금(Pt) 및 은(Ag)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식성 물질로 코팅된 상태로 자기소화성 물질(21b)과 혼합될 수 있다.Here,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have a powder form. In addition,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mixed with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21b in a state coated with at least one of gold (Au), platinum (Pt), and silver (Ag) in order to increase corrosion resistance.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 전도성 물질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캡슐 쉘(21a)과 혼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캡슐 쉘(21a)은 열 전도성 물질과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우레탄 수지(urethane resin) 및 건식 실리카(fumed sili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과 혼합된 혼합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mixed with the capsule shell 21a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Specifically, the capsule shell 21a may be made of a mixed material mixed with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and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lamine resin, urethane resin, and fumed silica. have.

따라서, 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외부 온도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외부 온도에 빠르게 반응하여 신속하게 소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ncluding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can quickly recognize the external temperature. In addition,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ncluding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react quickly to an external temperature and quickly exhibit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도 4의 (b)를 참조하면, 감온성 캡슐(22)의 단면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감온성 캡슐(22)은 감온성 캡슐(22)의 외곽을 형성하는 캡슐 쉘(22a) 및 감온성 물질(22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is shown.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may include a capsule shell 22a and a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22b form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구체적으로, 감온성 캡슐(22)은 내부에 폐공간이 형성된 마이크로 크기의 캡슐 쉘(22a)과, 캡슐 쉘(22a)의 폐공간에 감온성 물질(2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온성 물질(22b)은 감온성 캡슐(22)의 내부 부피(즉, 캡슐 쉘(22a)의 폐공간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그 양이 충진 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may include a micro-sized capsule shell 22a having a closed space therein, and a thermosensitive material 22b in the closed space of the capsule shell 22a. Here, the amount of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22b may be variably filled according to the internal volume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ie, the size of the closed space of the capsule shell 22a).

감온성 캡슐(22)의 캡슐 쉘(22a)은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우레탄 수지(urethane resin) 및 건식 실리카(fumed sili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psule shell 22a of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may be made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lamine resin, urethane resin, and fumed silica.

그리고, 감온성 캡슐(22)의 캡슐 쉘(22a)은 열 전도성을 향상시기키 위하여 알루미늄(Al), 텅스텐(W),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전달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sule shell 22a of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is at least one hea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tungsten (W), nickel (Ni), and copper (Cu) in order to improve thermal conductivity. It can be coated with a transfer material.

한편, 감온성 캡슐(22)의 캡슐 쉘(22a)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캡슐 쉘(21a)보다 내열성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감온성 캡슐(22)의 캡슐 쉘(22a)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캡슐 쉘(21a)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캡슐 쉘(21a)이 외부의 열 또는 외부의 압력으로 인해 파괴되더라도, 감온성 캡슐(22)의 캡슐 쉘(22a)은 파괴되지 않을 수 있다.Meanwhile, the capsule shell 22a of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er heat resistance than the capsule shell 21a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n addition, the capsule shell 22a of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may be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capsule shell 21a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Therefore, even if the capsule shell 21a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destroyed due to external heat or external pressure, the capsule shell 22a of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may not be destroyed.

한편, 감온성 캡슐(22)의 감온성 물질(22b)은 전자 공여체(electro donor) 및 전자 수용체(electro acceptor)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공여체와 상기 전자 수용체 간의 결합 여부에 기초하여 색을 변화시키는 방식(제 1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ermosensitive material 22b of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includes an electron donor and an electron acceptor, and changes color based on whether the electron donor and the electron acceptor are bonded to each other. 1) can be operated.

이 경우, 감온성 물질(22b)은 전자 공여체인 방향족 고리에 부착되어 고리 내의 불포화 부분과 공액 결합(켤레 이중 결합)을 이룬 탄소-탄소 결합물을 포함하고, 전자 수용체로서, 말레이미드, 아크릴레이트, 푸마레이트 또는 말레에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22b includes a carbon-carbon bond that is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as an electron donor to form a conjugated bond (conjugated double bond) with an unsaturated portion in the ring, and as an electron acceptor, maleimide, acrylate, It may contain at least one of fumarate or maleate.

다른 한편, 감온성 캡슐(22)의 감온성 물질(22b)은 온도에 따라 분자의 배열을 달리하여 색을 변화시키는 방식(제 2 방식)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22b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may be operated based on a method of changing the color by varying the arrangement of molecules according to temperature (the second method).

이 경우, 감온성 물질(22b)은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색을 가역적으로 또는 비가역적으로 변화시키는 감온성 색소 물질(thermochromic)로서 유기계 감온 변색성 색소인 디페닐 아미노페놀(Diphenyl aminophenol), 테레프탈로일 아세타닐리드(Terephthaloyl acetanilide), 트리페닐계 메탄, 플로란계 및 로이다민락탐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22b is a thermochromic material that reversibly or irreversibly changes its color in response to a temperature change, and is diphenyl aminophenol and terephthaloyl alkene, which are organic thermochromic dyes. It may contain at least one of cetanilide (Terephthaloyl acetanilide), triphenyl-based methane, floran-based, and rhoidaminlactam-based materials.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감온성 캡슐(22)은 특정한 온도에서 발색 물질이 반응하여 색깔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온성 캡슐(22)은 외부의 열을 전달받아, 기 설정된 온도 간격으로 색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감온성 캡슐(22)의 색상에 기초하여, 점착 테이프(100)가 감싸는 점착 대상체의 온도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점착 대상체의 온도에 대한 이상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cause color change by reacting a color developing material at a specific temperatu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may receive external heat and change its color at preset temperature intervals. In this case, the user may intuitively recognize the temperature of the adhesive object wrapped by the adhesive tape 100 based on the color of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In addition,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temperature of the adherent object.

따라서, 감온성 캡슐(22)은 점착 테이프(100)가 감싸는 점착 대상체의 정상 상태가 유지되도록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온성 캡슐(22)은 점착 테이프(100)가 감싸는 점착 대상체가 발화되지 않도록 야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may cause the adhesive object wrapped by the adhesive tape 100 to be maintained in a normal state, and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prevents the adhesive object wrapped by the adhesive tape 100 from being ignited. can do.

도 1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감온성 캡슐(22)은 분산제를 이용하여 감온성 물질을 분산시키고, 분산된 감온성 물질에 녹는점이 사전 설정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쉘 수지를 투입하여 교반하고, 분산된 감온성 물질 및 캡슐 쉘 수지가 교반된 제 2 혼합물에 개시제를 투입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FIG. 1,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disperses a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using a dispersant, and a capsule shell resin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set in advance is added to the dispersed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and stirred, and the dispersed It may be formed by adding an initiator to the second mixture in which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and the capsule shell resin are stirred.

여기서, 분산제는 PVA(Polyvinyl alcohol)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산제는 물 50ml에 PVA 1g을 혼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개시제는 AIBN(Azobisisobutylnitrile)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시제는 물 10ml에 AIBN 5g을 혼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dispersant may contain polyvinyl alcohol (PVA). Specifically, the dispersant may be obtained by mixing 1 g of PVA in 50 ml of wat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initiator may contain AIBN (Azobisisobutylnitrile). Specifically, the initiator may be obtained by mixing 5 g of AIBN in 10 ml of wat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감온성 캡슐(22)은 열 전도성을 상승시키기 위한 알루미늄(Al), 텅스텐(W),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전도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열 전도성 물질은 감온성 캡슐(22)의 캡슐 쉘(22a) 내에서 감온성 물질(22b)과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열 전도성 물질은 파우더(powde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열 전도성 물질은 내부식성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금(Au), 백금(Pt) 및 은(Ag)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식성 물질로 코팅된 상태로 감온성 물질(22b)과 혼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addition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tungsten (W), nickel (Ni), and copper (Cu) to increase thermal conductivity. It may further include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his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mixed with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22b in the capsule shell 22a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Here,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have a powder form. In addition,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mixed with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22b in a state coated with at least one corrosion-resistant material of gold (Au), platinum (Pt), and silver (Ag) in order to increase corrosion resistance.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 전도성 물질은 감온성 캡슐(22)의 캡슐 쉘(22a)과 혼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캡슐 쉘(22a)은 열 전도성 물질과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우레탄 수지(urethane resin) 및 건식 실리카(fumed sili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과 혼합된 혼합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mixed with the capsule shell 22a of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Specifically, the capsule shell 22a may be made of a mixed material mixed with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and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lamine resin, urethane resin, and fumed silica. have.

따라서, 본 개시의 감온성 캡슐(22)은 외부 온도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감온성 캡슐(22)은 외부 온도에 빠르게 반응하여 신속하게 색상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Therefore,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quickly recognize the external temperature. In addition,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may react quickly to an external temperature to rapidly change color.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5의 설명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5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of an adhesive tape having an adhesive layer made of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escription of FIG. 5,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will not be described again, and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는 이형필름(10) 및 복수개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20)은 제 1 점착층(20a) 및 제 2 점착층(2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점착층(20a)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을 포함하고, 제 2 점착층(20b)은 감온성 캡슐(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점착 테이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점착 테이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hesive tape 100 may include a release film 10 and an adhesive layer 20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Here, the adhesive layer 20 made of a plurality of layers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layer 20a and a second adhesive layer 20b. In addition,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may include a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may include a thermosensitive capsule 22.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5 are not essential in implementing the adhesive tape 100, so the adhesive tape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more or less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I can have it.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00)의 이형필름(10)은 점착층(20)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점착층(20)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층(20)은 점착 대상체에 점착 테이프(100)를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점착층(20)은 점착 대상체와 맞닿는 면(점착면)에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FIG. 2, the release film 10 of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to protec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for attaching the adhesive tape 100 to the adhesive object. That is,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formed on a surface (adhesiv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object.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점착층(20a)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직경(h1)은 제 1 점착층(20a)의 두께(h2) 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점착층(20a)의 두께가 10㎛ 이하인 경우,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직경은 1㎛ 내지 10㎛ 일 수 있다. 즉,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제 1 점착층(20a)의 두께(h2)가 10㎛ 이하가 되도록, 1㎛ 내지 10㎛의 직경(h1)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s shown,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may include a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Here, the diameter h1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 h2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is 10 μm or less, the diameter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be 1 μm to 10 μm. That is,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have a diameter h1 of 1 μm to 10 μm so that the thickness h2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is 10 μm or less.

그리고, 제 2 점착층(20b)은 감온성 캡슐(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온성 캡슐(22)의 직경(h3)은 제 2 점착층(20b)의 두께(h4) 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점착층(20b)의 두께가 10㎛ 이하인 경우, 감온성 캡슐(22)의 직경은 1㎛ 내지 10㎛ 일 수 있다. 즉, 감온성 캡슐(22)은 제 2 점착층(20b)의 두께(h4)가 10㎛ 이하가 되도록, 1㎛ 내지 10㎛의 직경(h3)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may include a thermosensitive capsule 22. Here, the diameter h3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 h4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is 10 μm or less, the diameter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may be 1 μm to 10 μm. That is,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may have a diameter h3 of 1 μm to 10 μm so that the thickness h4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is 10 μm or less.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점착층(20a)의 두께(h2)는 제 2 점착층(20b)의 두께(h4)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점착층(20a)의 두께(h2)는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직경(h1)과 같거나 크고, 제 2 점착층(20b)의 두께(h4)는 감온성 캡슐(22)의 직경(h3)과 같거나 큰 범위 내에서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hickness h2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h4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ckness h2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h1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nd the thickness h4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is It may have a different thickness within a rang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h3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가 점착 대상체에 점착되는 경우, 제 2 점착층(20b)은 제 1 점착층(20a)에 비해 점착 대상체(즉, 피착체)의 원위(distal)에 존재할 수 있다. 즉, 제 1 점착층(20a)은 점착 대상체와 직접 맞닿는 면인 근위(proximal)에 이 존재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adhesive tape 100 is adhered to the adhesive object,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is compared to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distal). That is,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may exist on a proximal surface that directly contacts the object to be adhered.

본 개시 내용에서 점착 대상체와 점착층(20)의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원위와 근위는 상대적인 의미로 표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점착 대상체의 원위에 존재하는 제 2 점착층(20b)은 점착 대상체의 근위에 존재하는 제 1 점착층(20a) 보다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distal and proximal indicating a degree of closeness between the adhesive object and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expressed in a relative meaning. In other words, it may mean that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existing on the distal side of the adhesive object is present at a position relatively farther than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present in the proximal of the adhesive object.

일반적으로, 점착 테이프(100)가 점착 대상체에 부착될 때, 점착 테이프(100)의 이형필름(10)은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점착 대상체는 점착 테이프(100)의 이형필름(10)이 제거된 위치에 점착될 수 있다.In general, when the adhesive tape 100 is attached to an adhesive object, the release film 10 of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removed. In addition, the adhesive object may be adhered to the position where the release film 10 of the adhesive tape 100 is removed.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점착 테이프(100)는 점착 대상체와 제 1 점착층(20a)의 제 1 면이 직접 맞닿는 형태로 형성되고, 제 1 점착층(20a)의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2 면이 제 2 점착층(20b)과 맞닿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점착층(20a)의 제 1 면은 도 5에 도시된 이형필름(10)과 제 1 점착층(20a)이 맞닿아 있는 계면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면은 도 5에 도시된 제 1 점착층(20a)과 제 2 점착층(20b)이 맞닿아 있는 계면을 의미할 수 있다.The adhesive tape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object to be adhered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directly contact each other, and that faces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The second surface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Here,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may mean an interface in which the release film 10 shown in FIG. 5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contact each other. In addition, the second surface may mean an interface in which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shown in FIG. 5 contact each other.

즉, 점착 테이프(100)가 점착 대상체에 점착되는 경우, 점착 테이프(100)를 형성하는 복수의 층들 중 제 1 점착층(20a)이 점착 대상체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 테이프(100)에 포함된 자기소화성 캡슐(21) 또한 점착 대상체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adhesive tape 100 is adhered to the adhesive object,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among the plurality of layers forming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located at the closest distance to the adhesive object. In this case,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ncluded in the adhesive tape 100 may also be located at the closest distance to the adhesive object.

따라서,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외부의 온도 변화 또는 외부 압력에 의해 파괴 또는 파열될 때, 점착 대상체에 즉시 자기소화성 물질을 유출시켜 소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점착 테이프(100)는 점착 대상체의 발화를 빠르게 소화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destroyed or ruptured by an external temperature change or external pressure,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may be immediately leaked to the adherend to exhibit extinguishing performance. That is, the adhesive tape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apidly digest the ignition of the adhesive obje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 1 점착층(20a) 및 제 2 점착층(20b) 사이에 기재층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기재층은 열전달 효율을 증가시키기 이하여 양면이 요철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재층은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된 요철을 통해 일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타측으로 전달하는 표면적이 증가되어 높은 열 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base layer may exist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described above. Here, the base layer may have a concave-convex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layer to increase heat transfer efficiency. Specifically, the substrate layer may have a high thermal conductivity by increasing a surface area for transferring heat transferred to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rough irregulariti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layer.

따라서, 기재층은 제 1 점착층(20a)으로 전달되는 열을 제 2 점착층(20b)으로 빠르게 전달하여, 제 2 점착층(20b)에 포함된 감온성 캡슐(22)이 기설정된 온도 간격마다 색상이 변화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Therefore, the base layer rapidly transfers the heat transferred to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to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so that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included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is It can cause the color to change.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6의 설명에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6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of an adhesive tape having an adhesive layer made of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escription of FIG. 6,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will not be described again, and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는 이형필름(10) 및 복수개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20)은 제 1 점착층(20a) 및 제 2 점착층(2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점착층(20a) 및 제 2 점착층(20b) 각각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점착 테이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점착 테이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hesive tape 100 may include a release film 10 and an adhesive layer 20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Here, the adhesive layer 20 made of a plurality of layers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layer 20a and a second adhesive layer 20b.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may include a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6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 the adhesive tape 100, so the adhesive tape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ntains more or less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I can have it.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00)의 이형필름(10)은 점착층(20)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점착층(20)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층(20)은 점착 대상체에 점착 테이프(100)를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점착층(20)은 점착 대상체와 맞닿는 면(점착면)에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FIG. 2, the release film 10 of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to protec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for attaching the adhesive tape 100 to the adhesive object. That is,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formed on a surface (adhesiv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object.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00)는 자기소화성 캡슐(21)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점착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 테이프(100)가 자기소화성 캡슐(21)을 포함하는 점착층(20)이 하나만 포함할 때 보다 많은 수의 자기소화성 캡슐(2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s shown, the adhesive tap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20 including a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n this case, the adhesive tape 100 may include a larger number of self-extinguishing capsules 21 than when only one adhesive layer 20 including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included.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점착 테이프(100)는 자기소화성 캡슐(21)이 외부의 온도 변화 또는 외부 압력에 의해 파괴 또는 파열될 때, 점착 대상체에 더 많은 양의 자기소화성 물질을 유출시켜 더 높은 소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destroyed or ruptured by an external temperature change or external pressure, the adhesive tape 100 illustrated in FIG. 6 leaks a larger amount of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to the adhesive object. It can exhibit digestive performance.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점착층(20a) 및 제 2 점착층(20b) 사이에 기재층이 존재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base layer may exist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상기 기재층과 관련된 설명은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바 도 6의 설명에서 기재층과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base layer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5, and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e base layer is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FIG. 6.

도 6에 도시된 복수개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2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층들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점착 테이프(100)는 정상적인 사용에 제한이 없는 점착층(20)의 두께 범위(예를 들어, 150㎛ 미만) 내에서 더 많은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20 made of a plurality of layers shown in FIG. 6 is illustrated as two layer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dhesive tape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normal use. It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20 made of more layers within the thickness range of the layer 20 (eg, less than 150 μm).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7의 설명에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7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of an adhesive tape having an adhesive layer made of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escription of FIG. 7,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will not be described again, and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는 이형필름(10) 및 복수개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20)은 제 1 점착층(20a), 제 2 점착층(20b) 및 제 3 점착층(20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점착층(20a) 및 제 2 점착층(20b) 각각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을 포함하고, 제 3 점착층(20c)은 감온성 캡슐(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점착 테이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점착 테이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hesive tape 100 may include a release film 10 and an adhesive layer 20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Here, the adhesive layer 20 made of a plurality of layers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layer 20a, a second adhesive layer 20b, and a third adhesive layer 20c.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may include a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nd the third adhesive layer 20c may include a thermosensitive capsule 22.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7 are not essential in implementing the adhesive tape 100, so the adhesive tape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I can have it.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00)의 이형필름(10)은 점착층(20)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점착층(20)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층(20)은 점착 대상체에 점착 테이프(100)를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점착층(20)은 점착 대상체와 맞닿는 면(점착면)에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FIG. 2, the release film 10 of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to protec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for attaching the adhesive tape 100 to the adhesive object. That is,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formed on a surface (adhesiv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object.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감온성 캡슐(22)이 포함된 제 3 점착층(20c)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이 포함된 제 1 점착층(20a) 및 제 2 점착층(20b)에 비해 점착 대상체의 원위(distal)에 존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s shown, the third adhesive layer 20c including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includes a first adhesive layer 20a and a second adhesive layer 20b including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 May be present in the distal (distal) of the adherent obje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는 자기소화성 캡슐(21)을 포함하는 점착층(20)을 복수개의 층으로 구비함에 따라 소화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adhesive tape 100 includes the adhesive layer 20 including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s a plurality of layers, extinguishing performance may be further improved.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21)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점착층(20)과 관련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바 도 7의 설명에서 자기소화성 캡슐(21)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점착층(20)과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 description of the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20 including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In the description of FIG. 7,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20 including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Detailed descriptions related to are omitted.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추가적으로, 점착 테이프(100)는 점착 대상체의 원위에 감온성 캡슐(22)이 포함된 제 3 점착층(20c)을 구비하여,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착 테이프(100)는 기 설정된 온도 간격으로 색상이 변화되는 감온성 캡슐(22)을 통해 점착 대상체의 온도 변화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형태(색상 변화)로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7, additionally, the adhesive tape 100 includes a third adhesive layer 20c including a thermosensitive capsule 22 on a distal portion of the adhesive object, thereby improving user experience (UX). I can. Specifically, the adhesive tape 100 may provide an intuitive form (color change) of a temperature change of an object to be adhered to a user through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whose color changes at preset temperature intervals.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기재층은 제 1 점착층(20a) 및 제 2 점착층(20b)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재층은 제 2 점착층(20b) 및 제 3 점착층(20c)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ase layer may exist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20a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Additionally, the base layer may exist between the second adhesive layer 20b and the third adhesive layer 20c.

상기 기재층과 관련된 설명은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바 도 7의 설명에서 기재층과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base layer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5, and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e base layer is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FIG. 7.

도 7에 도시된 복수개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2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층들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점착 테이프(100)는 정상적인 사용에 제한이 없는 점착층(20)의 두께 범위(예를 들어, 150㎛ 미만) 내에서 더 많은 층들로 이루어지는 점착층(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20 made of a plurality of layers shown in FIG. 7 is illustrated as three layer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dhesive tape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normal use. It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20 made of more layers within the thickness range of the layer 20 (eg, less than 150 μm).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화성 물질 및 열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의 설명에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8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n adhesive tape includ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and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escription of FIG. 8,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will not be described again, and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below.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는 이형필름(10) 및 점착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층(20)은 자기소화성 캡슐(21) 및 제 1 열 전도성 물질(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점착 테이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점착 테이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hesive tape 100 may include a release film 10 and an adhesive layer 20.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20 may include a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nd a first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23.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8 are not essential in implementing the adhesive tape 100, so the adhesive tape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ntains more or less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I can have it.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00)의 이형필름(10)은 점착층(20)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점착층(20)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층(20)은 점착 대상체에 점착 테이프(100)를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점착층(20)은 점착 대상체와 맞닿는 면(점착면)에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FIG. 2, the release film 10 of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to protec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for attaching the adhesive tape 100 to the adhesive object. That is,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formed on a surface (adhesiv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object.

도 8의 (a)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은 열 전도성을 상승시키기 위한 알루미늄(Al), 텅스텐(W),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열 전도성 물질(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열 전도성 물질(23)은 점착층(20) 내에서 자기소화성 캡슐(21)과 혼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열 전도성 물질(23)은 자기소화성 캡슐(21)과 함께 UV 바인더에 첨가되어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as shown,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adhesive tape 100 includes aluminum (Al), tungsten (W), nickel (Ni), and copper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23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Here, the first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23 may be mixed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n the adhesive layer 20. Specifically, the first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23 may be added to the UV binder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to form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adhesive tape 100.

한편, 제 1 열 전도성 물질(23)은 파우더(powde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열 전도성 물질(23)은 내부식성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금(Au), 백금(Pt) 및 은(Ag)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식성 물질로 코팅된 상태로 점착층(20) 내에서 자기소화성 캡슐(21)과 혼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23 may have a powder form. In addition, the first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23 is coated with at least one of gold (Au), platinum (Pt), and silver (Ag) in the adhesive layer 20 in order to increase the corrosion resistance. It may be mixed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이러한 열 전도성이 향상된 점착층(20)은 자기소화성 캡슐(21)에 외부의 온도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착층(20)은 점착 대상물로부터 전달받는 열을 자기소화성 캡슐(21)에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층(20)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이 자기소화성 물질을 배출해야 하는 상황(예를 들어, 점착 대상체의 발화가 발생한 상황)에서 보다 빠르게 자기소화성 캡슐(21)이 파괴 또는 파열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20 having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can quickly transfer external temperature to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Specifically, the adhesive layer 20 can quickly transfer heat received from the adhesive object to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n this case,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destroyed or ruptured more quickly in a situation in whic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needs to discharge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for example, when the sticky object is ignited). Can cause it to be.

따라서, 점착층(20) 내에 제 1 열 전도성 물질(23)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100)는, 자기소화성 캡슐(21)이 열에 빠르게 반응하도록 야기함으로써, 열에 의한 점착 대상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adhesive tape 100 including the first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23 in the adhesive layer 20 causes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to react quickly to heat,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adhesive object due to heat. have.

본 개시의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열 전도성을 상승시키기 위한 알루미늄(Al), 텅스텐(W),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열 전도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열 전도성 물질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캡슐 쉘(21a) 내에서 자기소화성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열 전도성 물질은 파우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열 전도성 물질은 내부식성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금(Au), 백금(Pt) 및 은(Ag)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식성 물질로 코팅된 상태로 자기소화성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addition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tungsten (W), nickel (Ni), and copper (Cu) to increase thermal conductivity.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his second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mixed with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in the capsule shell 21a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Here, the second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have a powder form. In addition, the second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mixed with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in a state coated with at least one of gold (Au), platinum (Pt), and silver (Ag) in order to increase corrosion resistance.

따라서, 제 2 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외부 온도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기소화성 캡슐(21)은 외부 온도에 빠르게 반응하여 신속하게 소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ncluding the second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can quickly recognize the external temperature. In addition,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ncluding the second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reacts quickly to an external temperature, thereby rapidly exerting a extinguishing performance.

도 8의 (b)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은 제 1 열 전도성 물질(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 전도성 물질(23)에 대한 설명은 도 8의 (a)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 바, 도 8의 (b)의 설명에서 제 1 열 전도성 물질(23)과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8B, as shown,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adhesive tape 100 may include a first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23.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23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A, and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e first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23 is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FIG. 8B. .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열 전도성 물질(23)은 점착층(20) 내에서 감온성 캡슐(22)과 혼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열 전도성 물질(23)은 감온성 캡슐(22)과 함께 UV 바인더에 첨가되어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23 may be mixed with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in the adhesive layer 20. Specifically, the first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23 may be added to the UV binder together with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to form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adhesive tape 100.

이러한 열 전도성이 향상된 점착층(20)은 감온성 캡슐(22)에 외부의 온도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착층(20)은 점착 대상물로부터 전달받는 열을 감온성 캡슐(22)에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온성 캡슐(22)은 외부 온도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감온성 캡슐(22)은 외부 온도에 빠르게 반응하여 신속하게 색상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20 having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can quickly transfer external temperature to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Specifically, the adhesive layer 20 can quickly transfer heat received from the adhesive object to the thermosensitive capsule 22. In this case,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can quickly recognize the external temperature. In addition,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may react quickly to an external temperature to rapidly change color.

따라서, 점착층(20) 내에 제 1 열 전도성 물질(23)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100)는, 감온성 캡슐(22)이 열에 빠르게 반응하도록 야기함으로써, 열에 의한 점착 대상체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Therefore, the adhesive tape 100 including the first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23 in the adhesive layer 20 causes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to react quickly to heat,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adhesive object due to heat. I can.

즉, 사용자는 열에 빠르게 반응하는 감온성 캡슐(22)을 확인하여, 점착 대상체에 대한 대응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That is, a user can quickly process a response to an adherent object by checking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that responds quickly to heat.

본 개시의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감온성 캡슐(22)은 열 전도성을 상승시키기 위한 알루미늄(Al), 텅스텐(W),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열 전도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열 전도성 물질은 감온성 캡슐(22)의 캡슐 쉘(22a) 내에서 감온성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열 전도성 물질은 파우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열 전도성 물질은 내부식성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금(Au), 백금(Pt) 및 은(Ag)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식성 물질로 코팅된 상태로 감온성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addition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tungsten (W), nickel (Ni), and copper (Cu) to increase thermal conductivity.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his second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mixed with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in the capsule shell 22a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Here, the second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have a powder form. In addition, the second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mixed with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while being coated with at least one corrosion-resistant material of gold (Au), platinum (Pt), and silver (Ag) in order to increase corrosion resistance.

따라서, 제 2 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감온성 캡슐(22)은 외부 온도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감온성 캡슐(22)은 외부 온도에 빠르게 반응하여 색상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ly,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including the second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can quickly recognize the external temperature. In addition,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22 including the second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react quickly to an external temperature to exhibit a color change.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화성 물질 및 발포성 물질이 포함된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9의 설명에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9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of an adhesive tape includ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and a foamable materi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escription of FIG. 9,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will not be described again,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focus on differences.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는 이형필름(10) 및 점착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층(20)은 자기소화성 캡슐(21) 및 발포성 캡슐(2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점착 테이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점착 테이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hesive tape 100 may include a release film 10 and an adhesive layer 20.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20 may include a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nd a foamable capsule 24.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9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 the adhesive tape 100, so the adhesive tape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ntains more or less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I can have it.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00)의 이형필름(10)은 점착층(20)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점착층(20)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층(20)은 점착 대상체에 점착 테이프(100)를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점착층(20)은 점착 대상체와 맞닿는 면(점착면)에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FIG. 2, the release film 10 of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to protec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for attaching the adhesive tape 100 to the adhesive object. That is,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formed on a surface (adhesiv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object.

도 9의 (a)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00)는 점착층(20)에 자기소화성 캡슐(21)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는 발포성 캡슐(2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발포성 캡슐(24)은 예비 발포체일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9, as shown, the adhesive tape 100 includes not only a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n the adhesive layer 20, but also a foamable capsule 24 whose volume expands according to a temperature change. Can include. That is, the foamable capsule 24 may be a pre-foam.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은 자외선(UV) 경화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adhesive tape 100 may further include an ultraviolet (UV) curing material.

일반적으로, 점착 테이프(100)에 사용되는 점착층(20)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러버계 수지 등을 열경화(즉, 열을 가하여 수지를 경화)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이 경우, 경화 단계에서 유입되는 외부의 열에 의해 자기소화성 캡슐(21)이 열 분해되거나, 발포성 캡슐(24)의 부피가 팽창될 수 있다.In general, the adhesive layer 20 used in the adhesive tape 100 is made by thermosetting a silicone resin, an acrylic resin, a urethane resin, a rubber resin, etc. (ie, curing the resin by applying heat). In this case,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be thermally decomposed by external heat introduced in the curing step, or the volume of the foamable capsule 24 may be expanded.

따라서, 점착층(20)은 점착층(20)에 포함된 자기소화성 캡슐(21)이 경화 단계에서 열에 의해 터지는 것(열 분해)을 방지하고, 발포성 캡슐(24)의 부피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경화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adhesive layer 20 prevents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20 from exploding (thermal decomposition) by heat in the curing step, and prevents the expansion of the volume of the foamable capsule 24 In order to do so, it may be formed using an ultraviolet curing method.

즉, 자기소화성 캡슐(21) 및 발포성 캡슐(24) 각각은 점착층(20)을 이루는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러버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UV 바인더에 첨가되어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으로 형성(즉, 자외선 경화)될 수 있다.That is, each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nd the foamable capsule 24 is added to the UV binder together with at least one of a silicone resin, an acrylic resin, a urethane resin, and a rubber resin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20, and the adhesive tape 100 It may be formed of the adhesive layer 20 (that is, ultraviolet curing).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발포성 캡슐(24)은 발포성 캡슐(24)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 고분자 쉘(24a) 및 발포성 물질(24b)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oamable capsule 24 may include an outer polymer shell 24a and a foamable material 24b form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foamable capsule 24.

구체적으로, 발포성 캡슐(24)은 내부에 폐공간이 형성된 마이크로 크기의 외곽 고분자 쉘(24a)과, 외곽 고분자 쉘(24a)의 폐공간에 발포성 물질(24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포성 물질(24b)은 발포성 캡슐(24)의 내부 부피(즉, 외곽 고분자 쉘(24a)의 폐공간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그 양이 충진 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oamable capsule 24 may include a micro-sized outer polymer shell 24a having a closed space therein, and a foamable material 24b in the closed space of the outer polymer shell 24a. Here, the amount of the foamable material 24b may be variably filled according to the inner volume of the foamable capsule 24 (ie, the size of the closed space of the outer polymer shell 24a).

발포성 캡슐(24)의 외곽 고분자 쉘(24a)은, 아조디카본아마이드, 징크디벤젠설피네이트, 징크디톨루엔설피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polymer shell 24a of the expandable capsule 24 may include azodicarbonamide, zinc dibenzene sulfinate, zinc ditoluene sulfinate, or a mixture thereof.

그리고, 발포성 캡슐(24)의 발포성 물질(24b)은, 액상탄화수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상탄화수소는 2-메틸부탄 또는 2-메틸프로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amable material 24b of the foamable capsule 24 may contain liquid hydrocarbon. Here, the liquid hydrocarbon may include 2-methylbutane or 2-methylpropane.

한편, 발포성 캡슐(24)은 활성화(즉, 발포)되기 이전에 1㎛ 내지 10㎛의 직경을 가지고 그리고 활성화되는 경우에 3㎛ 내지 100㎛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포성 캡슐(24)이 활성화되기 이전의 직경은 점착층(20)의 두께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발포성 캡슐(24)이 활성화된 이후의 직경은 자기소화성 캡슐(21)에 기 설정된 크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기 설정된 임계 크기와 같거나 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amable capsule 24 may have a diameter of 1 μm to 10 μm before activation (ie, foaming), and may have a diameter of 3 μm to 100 μm when activ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ameter before the foamable capsule 24 is activated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20. In addition, the diameter after the foamable capsule 24 is activated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critical size capable of applying a pressure of a preset size to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성 캡슐(24)은 온도 변화에 따라서 부피가 팽창함에 따라 자기소화성 캡슐(21)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9, the foamable capsule 24 may apply pressure to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s the volume expands according to a temperature change.

즉, 발포성 캡슐(24)은 부피가 팽창할 경우, 자기소화성 캡슐(21)에 압력을 가하여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캡슐 쉘(21a)을 파괴할 수 있다. 따라서, 발포성 캡슐(24)은 자기소화성 캡슐(21)의 자기소화성 물질(21b)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volume of the foamable capsule 24 expands, pressure is applied to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to destroy the capsule shell 21a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ccordingly, the foamable capsule 24 may cause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21b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점착 테이프(100)는 점착 대상체의 발화가 발생한 상황에 자기소화성 캡슐(21)이 온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발포성 캡슐(24)을 통해 자기소화성 캡슐(21)에 압력을 가하여 자기소화성 캡슐(21)을 파괴 또는 파열시킬 수 있다. 즉, 점착 테이프(100)는 자기소화성 캡슐(21) 및 발포성 캡슐(24) 각각이 온도 변화를 감지 및 반응하도록 이루어져, 보다 완벽하게 점착 대상체의 온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In the adhesive tape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even i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does not properly recognize the temperature when the adhesive object is ignited,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formed through the foamable capsule 24.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may be destroyed or ruptured by applying pressure to. That is, the adhesive tape 100 is made so that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and the foamable capsule 24 each sense and react to a temperature change, so that the adhesive tape 100 may more completely respond to a temperature change of the adhesive object.

도 1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발포성 캡슐(24)은 분산제를 이용하여 발포성 물질을 분산시키고, 분산된 발포성 물질에 녹는점이 사전 설정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쉘 수지를 투입하여 교반하고, 분산된 발포성 물질 및 캡슐 쉘 수지가 교반된 제 3 혼합물에 개시제를 투입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FIG. 1, the foamable capsule 24 disperses a foamable material using a dispersant, and a capsule shell resin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preset in the dispersed foamable material is added and stirred, and the dispersed It may be formed by adding an initiator to the third mixture in which the foamable material and the capsule shell resin are stirred.

여기서, 분산제는 PVA(Polyvinyl alcohol)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산제는 물 50ml에 PVA 1g을 혼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개시제는 AIBN(Azobisisobutylnitrile)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시제는 물 10ml에 AIBN 5g을 혼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dispersant may contain polyvinyl alcohol (PVA). Specifically, the dispersant may be obtained by mixing 1 g of PVA in 50 ml of wat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initiator may contain AIBN (Azobisisobutylnitrile). Specifically, the initiator may be obtained by mixing 5 g of AIBN in 10 ml of wat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tter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는 배터리(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battery sell)(210)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100)는 복수의 배터리 셀(210)들 간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positioned betwee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210 constituting the battery 200. Accordingly, the adhesive tape 100 may maintain bonding betwe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10.

구체적으로, 점착 테이프(100)의 이형필름(10)이 제거된 후, 점착층(20)은 복수의 배터리 셀(210)들 사이에 점착되어,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210)들 간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after the release film 10 of the adhesive tape 100 is removed, the adhesive layer 20 is adhered betwe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10 to prevent bonding betwe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10. Can be maintained.

도 10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배터리(200)는 복수의 배터리 셀(210) 및 복수의 배터리 셀(210)을 수납하는 배터리 케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배터리 셀(210)은 결합된 형태로 배터리 케이스(220)에 수납된다.Referring to FIG. 10, in general, the battery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210 and a battery case 220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10. Here,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10 are accommodated in the battery case 220 in a combined form.

즉,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은 배터리 셀(210)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at is,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adhesive tape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used to couple the battery cells 210.

일반적으로, 배터리 셀(210)은 사용될 때 열이 발생된다. 한편, 배터리(200)의 부적절한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배터리(200)의 고장 등이 발생되는 경우, 배터리 셀(210)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배터리 셀(210)의 발화 및 폭발이 발생할 수도 있다.Generally, when the battery cell 210 is used, heat is generated. Meanwhile, when the battery 200 is used in an inappropriate manner, or when a failure of the battery 200 occurs, ignition and explosion of the battery cell 210 may occur due to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cell 210.

특히, 리튬 이온 배터리는, 수용액으로 전해액을 사용하는 Ni-MH 전지, Ni-Cd 전지, 황산-납 전지 등의 재래식 배터리에 비해 작동 전압이 높고 에너지 밀도가 월등히 높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현재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리튬 이온 배터리는 유기 전해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발화 및 폭발의 위험이 존재한다.In particular, lithium-ion batteries are currently in the spotlight due to advantages such as higher operating voltage and significantly higher energy density compared to conventional batteries such as Ni-MH batteries, Ni-Cd batteries, and sulfuric acid-lead batteries that use an electrolyte as an aqueous solution. Are receiving. However, since the lithium ion battery uses an organic electrolyte, there is a risk of ignition and explosion.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은 복수의 배터리 셀(210)들 사이에 위치하여, 복수의 배터리 셀(210)들을 감싸고, 배터리 셀(210)들 간의 결합을 유지시킴으로써 이러한 사고(발화 및 폭발)를 막을 수 있다.Meanwhile,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adhesive tape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10 to surround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10, and the battery cell 210 These accidents (ignitions and explosions) can be prevented by maintaining the bonds between them.

구체적으로, 복수의 배터리 셀(210)들을 감싸는 하나 이상의 점착층(20)은 자기소화성 캡슐(21)과 함께 감온성 캡슐(22) 및/또는 발포성 캡슐(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점착층(20)에 포함된 자기소화성 캡슐(21)은 특정한 온도에서 자기소화성 물질을 방출시켜 소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Specifically, one or more adhesive layers 20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10 may include a thermosensitive capsule 22 and/or a foamable capsule 24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n addition,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ncluded in the one or more adhesive layers 20 may exhibit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by releasing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at a specific temperature.

따라서,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은 배터리 셀(210)로부터 전달된 온도가 특정한 온도(예를 들어, 발화 온도 또는, 발화점)에 도달했을 때, 자기소화성 캡슐(21)이 방출시키는 자기소화성 물질을 통해 배터리 셀(210)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다. 또한, 점착 테이프(100)의 점착층(20)은 배터리 셀(210)에서 발생된 화재를 초기에 진화함으로써, 배터리 셀(210)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transferred from the battery cell 210 reaches a specific temperature (eg, ignition temperature or ignition point),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21 is released. Fire that may occur in the battery cell 210 may be extinguished at an early stage through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adhesive tape 100 may prevent the explosion of the battery cell 210 by initially extinguishing the fire generated in the battery cell 210.

도 10에 도시된 점착 테이프(100)가 이용되는 배터리(2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로 구성된 배터리(200)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점착 테이프(100)는 전기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하여 사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 셀을 이용하는 어떠한 배터리(200)에도 이용될 수 있다.The battery 200 using the adhesive tape 100 shown in FIG. 10 is illustrated as a battery 200 composed of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dhesive tape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 May be used in any battery 200 using various types of battery cells that can be used by charging and discharging electrical energy.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점착 테이프(100)는 발열로 인한 화재 및/또는 폭발 위험이 존재하는 어떠한 물체에도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점착 테이프(100)는 이러한 화재 및/또는 폭발 위험이 존재하는 물체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신속한 진화를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dhesive tape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ttached to any object that has a risk of fire and/or explosion due to heat generation. In addition, the adhesive tape 100 can quickly extinguish a fire in the event of a fire in an object with such a risk of fire and/or explosion.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점착 테이프(100)는 자체적으로 진동이 발생하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물체에도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점착 테이프(100)는 쿠션층 및/또는 공기터널을 통해 이러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점착 테이프(100)는 공기층을 통해 점착 대상체의 진동, 충격 및 휘어짐 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dhesive tape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ttached to an object to which vibration or impact is applied by itself. In addition, the adhesive tape 100 may absorb such vibrations and shocks through a cushion layer and/or an air tunnel. In addition, the adhesive tape 100 may prevent cracks that may occur due to vibration, impact, and bending of the adhesive object through the air layer.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disclosur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us,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Claims (20)

점착 테이프(adhesive tape)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자기소화성 물질(self extinguishing material)을 캡슐화한 자기소화성 캡슐 및 기 설정된 온도에 따라 발포되는 발포성 물질을 캡슐화한 발포성 캡슐을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도포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dhesive tape (adhesive tape),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a self-extinguishing capsule encapsulating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and a foamable capsule encapsulating a foamable material foamed according to a preset temperature to the adhesive resin;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a release film; And
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pplied on the release film to form an adhesive layer;
Containing,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내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기재층을 합지하는 단계 - 상기 기재층이 합지되는 상기 점착층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하부면은 상기 이형 필름이 합지된 면과 대향하는 면임 -;
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점착층은,
배터리를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battery cell)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 간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Laminating a substrate layer containing a heat-resistant material on an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on which the base layer is laminated faces the surface on which the release film is laminated. Dismissal -;
Including more, and
The adhesive layer,
Located betwee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stituting a battery to maintain coupling betwe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소화성 물질을 캡슐화한 자기소화성 캡슐을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분산제를 이용하여 상기 자기소화성 물질을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분산된 자기소화성 물질에 녹는점이 사전 설정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쉘 수지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산된 자기소화성 물질 및 상기 캡슐 쉘 수지가 교반된 제 1 혼합물에 개시제를 투입하여,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a self-extinguishing capsule encapsulating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to an adhesive resin,
Dispersing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using a dispersant;
Adding and stirring a capsule shell resin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with a melting point preset to the dispersed self-extinguishing material; And
Forming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by adding an initiator to the first mixture in which the dispersed self-extinguishing material and the capsule shell resin are stirred;
Containing,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감온성 물질을 캡슐화한 감온성 캡슐을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 및 상기 발포성 캡슐과 함께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a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encapsulating a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whose color changes according to temperatur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and the foamable capsule;
Containing,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4 항에 있어서,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감온성 물질을 캡슐화한 감온성 캡슐 및 기 설정된 온도에 따라 발포되는 발포성 물질을 캡슐화한 발포성 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분산제를 이용하여 상기 감온성 물질 및 상기 발포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분산된 상기 감온성 물질 및 상기 발포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에 녹는점이 사전 설정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쉘 수지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산된 상기 감온성 물질 및 상기 발포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캡슐 쉘 수지가 교반된 제 2 혼합물에 개시제를 투입하여, 상기 감온성 캡슐 및 상기 발포성 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formed by add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encapsulating a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that changes color depending on temperature and a foamable capsule encapsulating a foamable material that is foamed according to a preset temperature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The steps to do are,
Dispersing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and the foamable material using a dispersing agent;
Adding and stirring a capsule shell resin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predetermined melting point in at least one of the dispersed heat-sensitive material and the foamable material; And
Forming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and the foamable capsule by adding an initiator to a second mixtur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dispersed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and the foamable material and the capsule shell resin are stirred;
Containing,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 및 상기 발포성 캡슐을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제 1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감온성 캡슐을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제 2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ming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and the foamable capsul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And
Forming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Containing,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점착 테이프가 대상체에 점착될 때 제거되는 상기 이형 필름 상에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 및 상기 발포성 캡슐을 포함하는 제 1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 1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점착층 상에 상기 감온성 캡슐을 포함하는 제 2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 2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a release film,
Forming a first adhesive layer by applying a first adhesive composition including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and the foamable capsule on the release film that is removed when the adhesive tape is adhered to the object; And
Forming a second adhesive layer by applying a second adhesive composition including the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on the first adhesive layer;
Containing,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자외선(UV) 경화 물질을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도포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이 경화 단계에서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경화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 물질이 첨가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an ultraviolet (UV) cured material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Including,
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pplied on the release film to form an adhesive layer,
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which the ultraviolet curing material is added using an ultraviolet curing method in order to prevent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from bursting in the curing step;
Containing,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감온성 캡슐, 발포성 캡슐 및 열 전도성을 상승시키기 위한 열 전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sensitive capsule, a foamable capsule, and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for increasing thermal conductivity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Containing,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점착층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코폴리머(copolymer)를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교반 될 때 형성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a copolymer for forming an air layer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Including,
The air layer,
Formed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stirred,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점착성 수지에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을 첨가한 후, 세라믹 파우더를 더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fter adding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to the adhesive resin, further adding ceramic powder and stirring;
Containing,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산화 방지 물질 또는 금속 부식 방지 물질을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과 함께 상기 점착성 수지에 첨가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ding an antioxidant material or a metal corrosion-preventing material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together with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Containing,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는 단계는,
제 1 서브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점착층 상에 쿠션층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쿠션 비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쿠션층 상에 제 2 서브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a release film,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the release film to form a first sub-adhesive layer;
Applying a plurality of cushion beads to form a cushion layer on the first sub adhesive layer; And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form a second sub-adhesive layer on the cushion layer;
Containing,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은: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의 외면을 정의하는 캡슐 쉘; 및
상기 캡슐 쉘 내부에 포함되는 자기소화성 물질;
을 포함하며,
상기 캡슐 쉘은,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우레탄 수지(urethane resin) 및 건식 실리카(fumed sili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자기소화성 물질은, 플루오르화케톤(Fluoroketone, Dedecafluoro-2 methylpentan-3-one), 이산화탄소(CO2) 및 클로로플루오로카본(ChloroFluoroCarbon, CF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A capsule shell defining an outer surface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And
A self-extinguishing material contained in the capsule shell;
Including,
The capsule shell is made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lamine resin, urethane resin, and fumed silica, and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include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uorine ketones (Fluoroketone, Dedecafluoro-2 methylpentan-3-one), carbon dioxide (CO 2 ), and chlorofluorocarbons (ChloroFluoroCarbon, CFC),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의 캡슐 쉘은,
열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Al), 텅스텐(W),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전달 물질로 코팅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capsule shell of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In order to improve thermal conductivity, coated with at least one heat transfer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tungsten (W), nickel (Ni) and copper (Cu),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소화성 캡슐은:
열 전도성을 상승시키기 위한 알루미늄(Al), 텅스텐(W),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전도성 물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 전도성 물질은 상기 캡슐 쉘 내부에서 상기 자기소화성 물질과 혼합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lf-extinguishing capsule:
At least on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tungsten (W), nickel (Ni), and copper (Cu) for increasing thermal conductivity;
Including more,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is mixed with the self-extinguishing material inside the capsule shell,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온성 캡슐은:
상기 감온성 캡슐의 외면을 정의하는 캡슐 쉘; 및
상기 캡슐 쉘 내부에 포함되는 상기 감온성 물질;
을 포함하고,
상기 감온성 물질은:
전자 공여체(electro donor) 및 전자 수용체(electro acceptor)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공여체와 상기 전자 수용체 간의 결합 여부에 기초하여 색을 변화시키는 제 1 방식; 또는
온도에 따라 분자의 배열을 달리하여 색을 변화시키는 제 2 방식;
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thermosensitive capsule is:
A capsule shell defining an outer surface of the thermosensitive capsule; And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contained in the capsule shell;
Including,
The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is:
A first method including an electron donor and an electron acceptor and changing color based on whether the electron donor and the electron acceptor are bound to each other; or
A second method of changing color by varying the arrangement of molecules according to temperature;
Operates on the basis of,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캡슐은:
상기 발포성 캡슐의 외면을 정의하는 캡슐 쉘; 및
상기 캡슐 쉘 내부에 포함되는 상기 발포성 물질;
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 쉘은:
아조디카본아마이드, 징크디벤젠설피네이트, 징크디톨루엔설피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성 물질은:
2-메틸부탄 또는 2-메틸프로판을 포함하는 액상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effervescent capsule is:
A capsule shell defining an outer surface of the foamable capsule; And
The foamable material contained in the capsule shell;
Including,
The capsule shell is:
Azodicarbonamide, zincdibenzenesulfinate, zincditoluenesulfinate or mixtures thereof,
The foamable material is:
Containing liquid hydrocarbons including 2-methylbutane or 2-methylpropane,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9 항 및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성 물질은,
파우더(powder) 형태이고,
열 전도성을 상승시키기 위한 알루미늄(Al), 텅스텐(W),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and 16,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It is in the form of a powder,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tungsten (W), nickel (Ni) and copper (Cu) for increasing thermal conductivity,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제 9 항 및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성 물질은,
내부식성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금(Au), 백금(Pt) 및 은(Ag)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식성 물질로 코팅된 상태로 혼합되는,
점착 테이프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and 16,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It is mixed in a state coated with at least one corrosion-resistant material of gold (Au), platinum (Pt) and silver (Ag) in order to increase the corrosion resistance,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KR1020190151528A 2019-11-22 2019-11-22 Techniques for manufacturing tape containing self extinguishing material KR1022330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528A KR102233091B1 (en) 2019-11-22 2019-11-22 Techniques for manufacturing tape containing self extinguishing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528A KR102233091B1 (en) 2019-11-22 2019-11-22 Techniques for manufacturing tape containing self extinguishing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091B1 true KR102233091B1 (en) 2021-03-29

Family

ID=7525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528A KR102233091B1 (en) 2019-11-22 2019-11-22 Techniques for manufacturing tape containing self extinguishing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091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5128A (en) * 1981-05-25 1982-11-30 Hochiki Corp Foamed plastic releasing fire-extinguishing gas
JP2009167311A (en) * 2008-01-17 2009-07-30 Soken Chem & Eng Co Ltd Fire extinguish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fire extinguish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ing the same
KR101243386B1 (en) * 2012-07-09 2013-03-15 진경화 Door knob having function for sensing rising temperatures
KR20160027441A (en) 2014-08-29 2016-03-1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of catheter-assisted laser treatment
KR20170011442A (en) * 2015-07-23 2017-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anufacturing method of insulation panel having capsule with fire extinguisher chemical
KR101835022B1 (en) * 2016-07-05 2018-03-07 주식회사 영우 Double-sided adhesive tape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and waterproof
KR20180097867A (en) * 2017-02-24 2018-09-03 정형진 Self-extinguishing adhesive tape
KR20180120630A (en) * 2018-10-15 2018-11-06 주식회사 소룩스 lighting apparatus with fire extinguisher sticker
KR20190036399A (en) * 2017-09-27 2019-04-04 자동차부품연구원 Thermally expandable microcapsul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polymer resin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5128A (en) * 1981-05-25 1982-11-30 Hochiki Corp Foamed plastic releasing fire-extinguishing gas
JP2009167311A (en) * 2008-01-17 2009-07-30 Soken Chem & Eng Co Ltd Fire extinguish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fire extinguish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ing the same
KR101243386B1 (en) * 2012-07-09 2013-03-15 진경화 Door knob having function for sensing rising temperatures
KR20160027441A (en) 2014-08-29 2016-03-1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of catheter-assisted laser treatment
KR20170011442A (en) * 2015-07-23 2017-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anufacturing method of insulation panel having capsule with fire extinguisher chemical
KR101835022B1 (en) * 2016-07-05 2018-03-07 주식회사 영우 Double-sided adhesive tape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and waterproof
KR20180097867A (en) * 2017-02-24 2018-09-03 정형진 Self-extinguishing adhesive tape
KR20190036399A (en) * 2017-09-27 2019-04-04 자동차부품연구원 Thermally expandable microcapsul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polymer resin using the same
KR20180120630A (en) * 2018-10-15 2018-11-06 주식회사 소룩스 lighting apparatus with fire extinguisher stic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439B1 (en) Battery pack equipped with fire extiguishing film containing fire extiguishing micro―capsule
KR102235143B1 (en) Tape with self extinguishing material
KR101994813B1 (en) Self-extinguishing adhesive tape
CN101740352B (en) Dicing die-bonding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US10008702B2 (en) Pouch cell
US2016028512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uel-cell membrane electrode assembly
KR102123659B1 (en) Fire extinguishing sheet comprising a microcapsule for fire extinguishing
TW201641641A (en) Remov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trip
KR102518866B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vent portion
US20130009105A1 (en) Condu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KR102152823B1 (en) Fire extinguishing control system based on fire extinguishing products utilizing fire extinguishing micro capsule
JP2007184238A (en) Electrode assembly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is
JP6322469B2 (en) Substrate processing method
JP7080343B2 (en) Heat storage sheet, heat storage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KR102233091B1 (en) Techniques for manufacturing tape containing self extinguishing material
JP5074715B2 (en) Adhesive sheet
JP2007095477A (en)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4584439B2 (en) Heat dissipation resin sheet
JP2017200998A (en) Adhesive sheet
KR101488058B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safety
CA3211840A1 (en) Materials, systems, and methods for encapsulating thermal barrier materials
KR10027840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ouble sided adhesive tape
CN210057243U (en) Temperature sensing self-starting microparticle capsule extinguishing device
JP6660978B2 (en) Adhesive sheet for battery and lithium ion battery
WO2021070562A1 (en) Layered body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