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043B1 - Air Handling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it - Google Patents

Air Handling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043B1
KR102233043B1 KR1020140047645A KR20140047645A KR102233043B1 KR 102233043 B1 KR102233043 B1 KR 102233043B1 KR 1020140047645 A KR1020140047645 A KR 1020140047645A KR 20140047645 A KR20140047645 A KR 20140047645A KR 102233043 B1 KR102233043 B1 KR 102233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handling unit
frame
air handling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6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7073A (en
Inventor
손상육
김대혁
이경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520,708 priority Critical patent/US9857093B2/en
Priority to EP14189949.2A priority patent/EP2884191B1/en
Priority to CN201410575029.2A priority patent/CN104566687B/en
Publication of KR2015004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0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24F3/0442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with volume control at a constant temperature
    • F24F3/04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with volume control at a constant temperature in which two airstreams are conducted from the central station via independent conduits to the space to be treated, of which one has a constant volume and a season-adapted temperature, while the other one is always cold and varies in volu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24F3/048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with temperature control at constant rate of air-flow
    • F24F3/052Multiple duct systems, e.g. systems in which hot and cold air are supplied by separate circuits from the central station to mixing chambers in the spaces to be conditio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 및 그 조립방법은, 특히, 복수개의 모듈프레임에 매우 간단하고도 기밀성이 좋은 슬라이딩 결합 방식을 통하여 케이스 패널을 조립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여 제작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조립 공수를 줄여 조립 시간을 현저히 단축함으로써 노동비를 절약하고, 공조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air handling unit and its assembl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by assembling the case panel to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through a very simple and highly airtight sliding coupling method,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as well as By reducing the assembly man-hours, the assembly time is remarkably shortened, thereby saving labor costs and improving air conditioning efficiency.

Description

에어 핸들링 유닛 및 그 조립방법{Air Handling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it} Air Handling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it}

본 발명은 에어 핸들링 유닛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으로의 물류 이송 및 현장에서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공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핸들링 유닛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handling unit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handling unit capable of improving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as well as easy distribution and installation at the site, and an assembly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 한 후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공조대상공간을 냉방, 난방 또는 환기시키는 시스템으로써, 압축기, 팽창기구, 제1열교환기(응축기 또는 증발기) 및 제2열교환기(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이루어진 냉매의 냉동사이클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system that cools, heats, or ventilates a space to be air-conditioned by repeatedly inhaling air in the room, exchanging heat with a low-temperature or high-temperature refrigerant, and then discharging it to the room. It consists of a refrigerant refrigeration cycle consisting of 1 heat exchanger (condenser or evaporator) and second heat exchanger (evaporator or condenser).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 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실내열교환기)에는 증발기기 설치된다.Such air conditioners are mainly outdoor units installed outdoors (sometimes referred to as'outdoor' or'heat radiating side'), and indoor units mainly installed inside buildings (sometimes referred to as'indoor' or'heat absorbing side') A condenser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are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and an evaporator is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indoor heat exchanger).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뉘고, 용량의 크기에 따라서 소용량의 공기조화기와 대용량의 공기조화기로 나뉠 수 있다.And, as is well known, air conditioners are largely divided into separate air conditioners in which the outdoor and indoor units are installed separately, and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outdoor and indoor units are installed integrally. It can be divided into air conditioners.

특히, 대용량의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덕트 등에 의해 공기조화가 필요한 다수의 공조대상공간으로 조화된 공기의 고급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particular, a large-capacity air conditioner may have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as an integral type, and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high-quality air conditioned with a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target spaces requiring air conditioning by ducts or the like.

또한, 대용량의 공기조화기 중, 목표대상공간의 온도, 습도 및 청정도 상황에 따른 목표 부하량에 맞추어 외부 공기(외기)와 실내 공기와 적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공조감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것을 '에어 핸들링 유닛(Air Handling Unit)으로 분류하기도 한다.In addition, among the large-capacity air conditioners, it is configured to give the user an optimal sense of air conditioning by mixing the external air (outdoor air) and indoor air in an appropriate ratio according to the target load amou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leanliness of the target space. It is also classified as'Air Handling Unit.

이와 같은 에어 핸들링 유닛은, 목표대상공간의 부하 용량에 따라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동되도록, 각 기능에 따라 모듈별로 구성될 수 있다.Such an air handling unit may be configured for each module according to each function so as to efficiently drive the system according to the load capacity of the target target space.

대표적으로, 등록특허 제10-1294097호와 공개특허 제10-2011-0056109호에 에어 핸들링 유닛이 잘 나타나 있다.Representatively, the air handling unit is well shown in Patent No. 10-1294097 and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56109.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은, 전체적인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수의 패널에 의해 외형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모듈들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air handling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form an outer shape by a frame forming an overall skeleton and a plurality of panels coupled to the frame, and a plurality of modules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mutually coupl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은,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에 다수의 패널을 결합할 때, 공조 공기의 누기 차단을 위하여 소정의 결합력을 가지도록 결합되어야 하는 바, 프레임과 패널 사이에 결합력이 우수한 다수의 스크류 결합을 이용하는 실정이어서 조립자의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ir handling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coupling a plurality of panels to the frame forming the skeleton, must be coupled to have a predetermined coupling force to block leakage of air-conditioning air, and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rame and the panel is Due to the fact that a plurality of excellent screw couplings are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ssembly man-hours of the assembler increase.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은, 프레임과 패널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공조 공기가 누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 절연 테이프를 1차적으로 감은 후 상술한 바와 같은 복잡한 공정으로 프레임에 결합시킨 다음, 2차적으로 프레임과 패널 사이의 결합 정도에 따라 누기가 우려되는 부분에 실링재의 일종인 실리콘을 도포하는 공정을 추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in the air handling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order to prevent air-conditioning air from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rame and the panel, the insulating tape is primarily wound around the outer edge of the panel, and then a complicated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used. After bonding to the fra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add a process of applying silicon, a type of sealing material, to a portion where leakage is a concern depending on the degree of bonding between the frame and the panel.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은, 모듈을 구성하는 모든 부품을 설치장소인 현장으로 모두 물류 이송하여 현장에서 완성 조립하는 바, 각 부품의 관리 및 운반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물류 이송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handling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ll parts constituting the module are transferred to the site, which is the installation site, to be completed and assembled at the site. There is an increasing problem.

상술한 바와 같은 복잡한 설치 공정 및 이송 방식은 설치 시간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The complex installation process and transfer method as described above not only delays the installation time, but also has a problem leading to an increase in installation cost.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듈프레임에 대한 케이스 패널의 결합 시 복잡한 스크류 체결 공정을 최소화하면서도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에어 핸들링 유닛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an air handling unit capable of improving airtightness and reinforcing overall strength while minimizing a complicated screw fastening process when a case panel is coupled to a module frame, and an assembly method thereof Its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구성을 삭제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모듈 단위로 배송 및 운송 또는 조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에어 핸들링 유닛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handling unit capable of reducing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by eliminating the complicated configuration and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enabling delivery and transportation or assembly in module units, and an assembly method thereof. do.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소정 형상을 가진 모듈의 외관 골격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리브가 형성된 복수개의 모듈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모듈프레임에 의하여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듈의 외관면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케이스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케이스 패널은, 상기 모듈의 내부면을 형성하는 내판과, 상기 내판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외측에 평행 배치되어 외부면을 형성하는 외판과, 상기 내판과 외판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단부를 마감시키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모듈프레임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모듈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조인트 부재 및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를 포함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form an external skeleton of a modul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in which at least one sliding rib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And a plurality of case panels forming an exterior surface of the module, the sliding rail groove being slidably coupled by the module frames, wherein the plurality of case panels include an inner plate forming an inner surface of the module, and the The outer plate is arranged parallel to the out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late to form an outer surface, and the outer plate is disposed to close the ends along the rims of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so as to be supported against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and the module It includes a joint member blocking heat transfe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ed between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모듈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커넥팅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또한, 상기 복수개의 모듈프레임은, 상기 모듈의 외관 중 모서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모서리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모서리 프레임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되, 상기 모듈의 꼭지점에 연결되지 않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rner frames forming corners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module, and a middle frame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rner frames, but not connected to a vertex of the module. I can.

또한, 상기 커넥팅 부재는, 상호 직교되게 배치된 3개의 단부에 상기 복수의 모서리 프레임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모듈의 꼭지점을 형성하는 코너 커넥터와, 일직선상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모서리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양단부에 직교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단부에 상기 미들 프레임이 상기 모서리 프레임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미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corner connector for forming a vertex of the module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rner frames to three ends arranged to be mutually orthogonal, and connecting the corner frames to both ends of a straight line, respectively, and the both ends At least one insertion end orthogonal to the middle frame may include a middle connector for connect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rner frame.

또한, 상기 커넥팅 부재는, 상기 모듈프레임과의 사이에 개재된 실링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ad interposed between the module frame.

또한, 상기 실링 패드는, 상기 조인트 부재의 각 삽입 단부에 끼워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pad may be fitted to each insertion end of the joint member.

또한, 상기 삽입 단부는 상기 모듈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된 후, 상기 조인트 부재 및 상기 모듈프레임의 단부를 동시에 관통하는 스크류에 의하여 스크류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end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module frame, and then screwed through the joint member and the end of the module frame by a screw penetrating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조인트 부재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t member may be made of a non-metal material.

또한,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내판 및 외판에 비하여 열전도율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t membe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또한, 상기 조인트 부재에는, 상기 모듈프레임에 대한 슬라이딩 결합시 상기 모듈프레임과의 사이에 누기를 차단하는 실링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t member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sealing part that blocks leakage between the module frame and the module frame when slidingly coupled to the module frame.

또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조인트 부재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sliding rail groove, and may be injection-molded integrally with the joint member.

또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조인트 부재에 비하여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portion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compared to the joint member.

또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동일한 길이만큼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되, 각각 돌출된 상기 실링부의 선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두께보다 작게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unit may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by the same length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ing rail groov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ding ends of the sealing unit is the sliding rib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groove. It may protrud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또한,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은, 개구 단부의 개구 길이보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의 일측면 및 타측면 사이의 거리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동일한 길이만큼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되, 각각 돌출된 상기 실링부의 선단 사이의 거리는 슬라이딩 레일홈의 개구 단부의 개구 길이보다 작게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rail groove has a distance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ing rail groove larger than the opening length of the opening end, and the sealing portion is formed by the same length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ing rail groove. Each of the protruding directions may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ding ends of the sealing portions may protrude smaller than the opening length of the opening end of the sliding rail groove.

또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동일한 길이만큼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되, 각각 돌출된 상기 실링부의 선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두께보다 작게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unit may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by the same length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ing rail groov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ding ends of the sealing unit is the sliding rib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groove. It may protrud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복수개의 모듈프레임, 복수개의 케이스 패널 및 복수개의 조인트 부재의 상호 결합에 의하여 각각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와,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커버 및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로 이루어진 모듈과, 상기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듈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베이스 프레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개구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모듈의 하버 커버와 조립된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cover forming a bottom surface by mutual coupling of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a plurality of case panels, and a plurality of joint members, and a side surface forming a side surface. A module consisting of a cover and an upper cover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a base disposed under the module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module, wherein the base is formed in a plurality of elongated forms to have a "c"-shaped cross-section. It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two base frames, the open portion is arranged to face outward, and is assembled with the harbor cover of the module.

여기서,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 상단에는, 상기 하부 커버의 테두리와 스크류 결합을 매개하는 복수개의 마운팅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Here, at the upper edge of the base, a plurality of mounting brackets may be provided to mediate screw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lower cover.

또한, 상기 복수개의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하부 커버의 테두리 경사면에 면착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ounting brackets may be formed to be bent to fac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dge of the lower cover.

또한,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프레임의 양단에는 인접하는 모듈의 베이스 프레임과 면접되게 볼트 결합되도록 상기 개구된 부분 내측으로 관통되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연결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ion flange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penetrating into the opened portion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base frames so as to be bolted to the base frame of an adjacent module.

또한, 상기 미들 프레임에는, 상기 모듈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열전달 차단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ddle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heat transfer blocking unit that blocks heat transfer from the inside of the module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미들 프레임은, 상기 모듈의 내부 공간 측에 인접되게 배치되되 폐단면을 갖는 제1중공부를 형성하는 제1골격부와, 상기 제1골격부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모듈의 외측에 인접되게 배치되되 폐단면을 갖는 제2중공부를 형성하는 제2골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 차단부는, 상기 제1골격부와 상기 제2골격부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iddle fram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space side of the module, a first skeleton portion forming a first hollow portion having a closed cross-section,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keleton portion, the outer side of the module A second skeleton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forming a second hollow portion having a closed cross-section, and the heat transfer blocking portion may interconnect the first skeleton portion and the second skeleton portion.

또한, 상기 열전달 차단부는, 상기 제1골격부와 상기 제2골격부 사이에 폐단면을 갖는 제3중공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골격부 및 상기 제2골격부를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blocking portion may connect the first skeleton portion and the second skeleton portion to form a third hollow portion having a closed cross-section between the first skeleton portion and the second skeleton portion.

또한, 상기 제1골격부 및 상기 제2골격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 돌출부는, 폴리 아미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keleton portion and the second skeleton portion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insulating protrusion may be made of a polyamide material.

또한, 상기 제1골격부 및 상기 제2골격부에는, 상기 열전달 차단부의 단부가 결합되는 리테이닝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taining portion to which an end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blocking portion is coupled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skeleton portion and the second skeleton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의 조립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복수개의 베이스 프레임을 조립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베이스 형성 단계, 상기 베이스 형성 단계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복수개의 모듈프레임을 조립하여 모듈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조립 단계 및 상기 프레임 조립 단계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모듈의 골격에 케이스 패널을 슬라이딩 삽입하여 상기 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패널 조립 단계를 포함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air handl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forming step of assembling a plurality of base frames to form a base, and assembling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on top of the base formed by the base forming step. And assembling a frame to form a frame of the module and assembling a case panel to form an exterior of the module by slidingly inserting the case panel into the frame of the module formed by the frame assembling step.

여기서, 상기 프레임 조립 단계 전, 상기 모듈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구성품을 선 조립하는 내부 구성품 조립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before the frame assembling step, an internal component assembly step of pre-assembling the internal components mounted inside the module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케이스 패널 조립 단계는,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구되게 조립된 상기 복수개의 모듈프레임에 일단부 또는 양단부가 끼워져 폐쇄된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ssembling of the case panel, one end or both ends may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assembled such that at least one side is opened, and slidably coupled to the other closed side.

또한, 상기 내부 구성품 조립 단계는, 상기 모듈의 내부를 완전히 구획하는 내부 구성품은 상기 케이스 패널의 상기 모듈프레임에 대한 결합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모듈프레임 중 미들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ep of assembling the internal components, the internal components that completely partition the interior of the module may be coupled to the middle frame of the module frames in the same manner as the coupling method of the case panel to the module fram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 및 그 조립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ir handling unit and the assembl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achieve the following various effects.

첫째, 모듈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프레임과 모듈의 외관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패널을 슬라이딩 조립 방식으로 조립함으로써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irst,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forming the skeleton of the module and the case panel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odule in a sliding assembly method, it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assembly time.

둘째, 복수개의 모듈프레임에 대한 케이스 패널의 슬라이딩 결합시, 열전달 차단부 및 실링부에 의한 열 및 공기의 누출이 차단되므로 모듈 내부와 외부의 기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Second, when the case panels are slidingly coupled to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heat and air leakage by the heat transfer blocking unit and the sealing unit are blocked, so that the airtightnes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odule is improved.

셋째, 복수개의 모듈프레임 및 케이스 패널 사이의 슬라이딩 조립만으로 모듈 내부의 공기 및 열의 누출이 방지되는 바, 별도의 실링 작업을 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ird, leakage of air and heat inside the module is prevented only by sliding assembly between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and case panels, and since a separate sealing operation is not require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넷째, 종래 공조 공기가 유동되는 내부와 외부의 기밀성 확보를 위해 사용되었던 다수의 스크류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조립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전체 모듈의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ourth, by minimizing the number of screws used for securing internal and external airtightness through which air-conditioning air flows in the related art, assembling time is shortened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entire module can be reduced.

다섯째, 공조 사이클을 구성하는 각 기능별로 모듈을 현장 또는 공장에서 조립한 후 개별 모듈을 결합하여 완성된 에어 핸들링 유닛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전체 부품의 운반이 용이함은 물론 물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ifth, it is possible to install a completed air handling unit by assembling each module for each function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ing cycle on-site or at a factory, and then combining individual modules to make it easy to transport all parts as well as reduce logistics costs. Have.

여섯째, 모듈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프레임과 케이스 패널을 상호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도록 각각 소정의 절곡된 단면부를 가짐으로써 모듈의 전체적인 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Sixth,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overall rigidity of the module by having a predetermined bent cross-sec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and the case panel forming the skeleton of the module can b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각 모듈별 공통적인 조립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구성 중 모듈프레임의 연결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모듈프레임 중 모서리 프레임과 코너 커넥터 간 연결 관계 및 도 5의 모듈프레임 중 모서리 프레임과 미들 커넥터 간 연결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모듈프레임 중 미들 프레임에 대한 케이스 패널의 연결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도 7b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미들프레임 중 모서리 프레임과 케이스 패널 사이의 다양한 실링부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각 모듈별 공통적으로 구성된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베이스와 하부 커버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의 각 모듈별 베이스를 이용한 결합 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의 각 모듈 프레임을 이용한 결합 모습을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며,
도 14는 도 1의 구성 중 팬모듈이 공통적으로 수용되는 흡기모듈과 배기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베이스에 팬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팬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8은 팬모듈의 구성 중 박스프레임과 박스프레임 커넥터 및 안전망의 설치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팬 모듈의 하부 커버 상부에 대한 결합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0은 분리격벽에 의하여 흡입챔버 및 원심챔버로 구획된 흡기모듈 및 배기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고,
도 21은 팬모듈의 적층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2는 팬모듈의 구성 중 원심팬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원심팬의 구성 중 블레이드의 수직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4는 도 1의 구성 중 혼합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5는 혼합모듈에 필터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6은 필터 클램프에 의한 필터의 고정 원리를 설명하는 설치도이고,
도 27은 도 1의 구성 중 열교환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8은 도 27의 열교환모듈의 조립도이며,
도 29는 도 27의 열교환기와 배출격벽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hand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mon assembly state for each module of FIG. 1,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module frame in the configuration of Figure 3,
6A and 6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corner frame and a corner connector of the module frame of FIG. 5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corner frame and a middle connector of the module frame of FIG. 5,
7A to 7C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case panel to the middle frame among the module frames,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A,
9A and 9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of FIG. 7B an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examples of various sealing portions between the corner frame and the case panel among the middle frames,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commonly configured for each module of FIG. 1,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and the lower cover of FIG. 10 are coupled,
1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coupling using a base for each module of FIG. 1,
13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coupling using each module frame of FIG. 1,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ake module and an exhaust module in which a fan module is commonly accommodate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paration work for installing the fan module on the bas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an module of FIG. 14,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6,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relationship between a box frame, a box frame connector, and a safety net in the configuration of a fan module,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fan module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over,
2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intake module and the exhaust module divided into a suction chamber and a centrifugal chamber by a separation partition wall,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cked installation of fan modules,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ntrifugal fa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an module,
2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rtical section of a blad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ifugal fan of FIG. 22,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xing modul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installed in the mixing module,
26 is an installation diagram explaining the principle of fixing a filter by a filter clamp,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exchange modul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28 is an assembly view of the heat exchange module of FIG. 27,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t exchanger and the discharge partition of FIG. 27,
30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assembling an air handl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knowledgeabl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각 모듈별 공통적인 조립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구성 중 모듈프레임의 연결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모듈프레임 중 모서리 프레임과 코너 커넥터 간 연결 관계 및 도 5의 모듈프레임 중 모서리 프레임과 미들 커넥터 간 연결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모듈프레임 중 미들 프레임에 대한 케이스 패널의 연결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도 7b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미들프레임 중 모서리 프레임과 케이스 패널 사이의 다양한 실링부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handl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mon assembly state for each module of FIG. 1,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module frame in the configuration of Figure 3, Figures 6a and 6b is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rner frame and the corner connector of the module frame of Figure 5 and Figure 5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corner frame and a middle connector among module frames, FIGS. 7A to 7C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case panel to a middle frame among module frames, and FIG. 8 is FIG. 7A 9A and 9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of FIG. 7B an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examples of various sealing portions between the corner frame and the case panel of the middle frame.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대형 공기조화기의 유형 중 특히 목표대상공간의 온도, 습도, 청정도 등의 공조 조건(목표 부하량)에 따라 실내 공기와 외부 공기를 흡입 및 혼합하여 설정된 조건으로 공조시킨 후 다시 목표대상공간을 공조시키는 에어 핸들링 유닛으로 축소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mong the types of large air conditioners, indoor air and outside air according to air conditioning conditions (target load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cleanliness of a target target space. After inhaling and mixing the air conditioner under the set conditions, the description will be reduced to an air handling unit that air-conditions the target target space.

그러나, 본 발명의 명칭 여하에 불구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대형 공기조화기, 나아가 공기조화기 전체에 걸쳐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한 바, 권리범위를 축소 해석하여서는 아니될 것이다.However, regardless of the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n equal range over the large air conditioner, and furthermore, the entire air conditioner, and thus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reduced and interpreted.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공조 사이클에 따른 기능별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가 형성되고, 흡입된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모듈(101)이 내부에 설치되는 흡기모듈(100)과, 흡기모듈(100)과 연통되게 결합되되, 흡기모듈(100)로부터 공급된 실내 공기와 외부로부터 흡입된 외부 공기를 혼합하는 혼합모듈(200)과, 혼합모듈(200)과 연통되게 결합되되, 혼합모듈(200)로부터 공급된 혼합 공기와 열에너지를 교환하는 열교환모듈(300) 및 열교환모듈(300)과 연통되게 결합되되, 열교환모듈(300)에 의하여 공조된 공기를 실내로 배기시키는 팬모듈(401)이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for each function according to an air conditioning cycle, an inlet 3 for inhaling indoor air is formed, and The fan module 101 for flowing indoor air is coupl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ake module 100 and the intake module 100 installed therein, and the indoor air supplied from the intake module 100 and the external air sucked from the outside The mixing module 200 and the mixing module 200 are coupl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mixing module 200, and communicated with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and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for exchanging heat energy with the mixed air supplied from the mixing module 200. It is coupled, the fan module 401 for exhausting the air conditioned by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to the room may include an exhaust module 400 installed therein.

여기서, 흡기모듈(100)은, 미도시의 공조대상공간과 연통시키는 미도시의 흡기덕트를 통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흡기모듈(100)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일측의 혼합모듈(200)로 공급한다.Here, the intake module 100 performs a function of inhaling indoor air through an intake duct (not shown) that communicates with an air conditioning target space (not shown). The intake module 100 sucks indoor air and supplies it to the mixing module 200 on one side.

혼합모듈(200)은, 흡기모듈(100)로부터 실내 공기를 공급받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대상공간의 청정도 등에 따라 실내 공기와 외부 공기의 혼합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The mixing module 200 receives indoor air from the intake module 100 and at the same time sucks external air from the outside to adjust the mixing amount of the indoor air and the external air according to the cleanliness of the air-conditioning target space.

혼합모듈(200)은, 흡기모듈(100)로부터 공급받은 실내 공기를 0 내지 100%를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외부로부터 외부 공기를 0 내지 100% 공급받을 수 있다.The mixing module 200 may discharge 0 to 100% of the indoor air supplied from the intake module 100 as well as receive 0 to 100% of external air from the outside.

바람직하게는, 혼합모듈(200)은 외부로 공기를 배출한만큼 흡기모듈(100)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 30%의 공기를 흡기모듈(100)로부터 공급받는다. 이 경우, 혼합모듈(200)은 흡기모듈(10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와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7:3의 비율로 혼합하게 된다.Preferably, the mixing module 200 may suck air from the intake module 100 as much as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when 30% of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30% of air is supplied from the intake module 100. In this case, the mixing module 200 mixes the air supplied from the intake module 100 and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a ratio of 7:3.

혼합비율은 공기의 청정도나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변경 조절될 수 있다.The mixing ratio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nd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air cleanliness or energy efficiency.

열교환모듈(300)은, 혼합모듈(200)로부터 공급받은 혼합 공기를 열에너지와 열교환하여 공조대상공간의 목표 부하량 조건에 상응하도록 유동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난방운전 및 냉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heat exchange module 300 heats the mixed air supplied from the mixing module 200 with thermal energy to heat or cool the flowing air to correspond to the target load condition of the air-conditioning target space to perform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s. .

배기모듈(400)은, 열교환모듈(300)에 의하여 공조된 공기를 공급받아, 다시 공조대상공간인 실내로 배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xhaust module 400 receives air conditioned by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and exhausts the air to an indoor space, which is an air conditioning target space.

이와 같은, 흡기모듈(100), 혼합모듈(200), 열교환모듈(300) 및 배기모듈(400)의 내부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내부 구성품(50)이 적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In the interior of the intake module 100, the mixing module 200,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and the exhaust module 400, internal components 50 for performing respective functions may be installed at appropriate positions. Details 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기능별로 4개의 모듈(100,200,300,400)로 분류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은 후술하는 복수개의 모듈프레임 및 케이스 패널과 내부 구성품의 조합에 의하여 모듈 단위로 조립되어 운반이 가능하고, 조립된 각 모듈이 결합되어 정상 운전이 가능한 하나의 에어 핸들링 유닛이 완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assified into four modules 100, 200, 300, and 400 for each function, as referenced in FIG. 2. Each module can be assembled and transported in a module unit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case panels and internal components described later, and each assembled module can be combined to complete a single air handling unit capable of normal operation. hav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숙련된 조립자가 아니더라도 일반인도 설치 매뉴얼만 보고도 각 모듈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모듈을 조합하여 에어 핸들링 유닛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하고, 부품수를 줄여 최소의 조립 공수만으로도 조립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조립 공수의 축소로 전체 조립 시간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모듈화된 에어 핸들링 유닛(1)을 제공하고자 한다.In particula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l person can assemble each module simply by looking at the installation manual, even if not an experienced assembler, but also combines each module to create an air handling unit. Modularized air handling unit to prevent delays in the overall assembly time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ing the number of assembly man-hours due to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parts. We want to provide 1).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10), 베이스(10)의 상측에 결합되어 소정 형상을 가진 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에 결합되어 각 모듈의 외관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패널(30) 및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을 상호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커넥팅 부재(40)를 포함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ppearance of a modul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by being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and the base 10 to support the load,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forming a,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that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to interconnect the case panel 30 and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to form the outer surface of each module It includes (40).

한편,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모듈의 골격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은, 하나의 커넥팅 부재(40)에 2 이상의 모듈프레임(20)이 연결되어 소정의 형상을 가진 모듈의 골격을 형성하되, 직육면체 형상의 모듈이 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form a skeleton of a module, as shown in FIG. 4. In more detail,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re connected to one connecting member 40 to form a skeleton of a modul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by connecting two or more module frames 20, so that the module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Can be assembled.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은, 모듈의 외관 중 모서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모서리 프레임(20A)과, 복수의 모서리 프레임(20A)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되, 모듈의 꼭지점에 연결되지 않는 미들 프레임(2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은, 알루미늄 압출 또는 steel mold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Thermal break재를 사용하여 열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includes a plurality of corner frames 20A forming corners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module, and a middle frame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rner frames 20A, but not connected to the vertices of the module. (20B) may be included. Such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may be manufactured in an aluminum extrusion or steel mold method, and a thermal break material may be used to increase the heat shielding effect.

복수개의 모서리 프레임(20A)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모듈의 각 모서리를 형성하거나, 각 모서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rner frames 20A may form respective corners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shaped module, or may form a part of each corner, as shown in FIG. 4.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코너 커넥터(40A)는 3개의 모서리 프레임(20A)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모듈의 각 꼭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one corner connector 40A may form each vertex of the module by interconnecting the three corner frames 20A.

미들 프레임(20B)은, 적어도 2개의 케이스 패널(30) 사이에 배치되어,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30A)나, 모듈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커버(30B) 및 모듈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30C)의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middle frame 20B is disposed between the at least two case panels 30, the lower cover 30A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odule, the side cover 30B forming the side surface of the modul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The area of the upper cover 30C forming the can be improved.

아울러, 미들 프레임(20B)은, 비교적 길이가 긴 모서리 프레임(20A)의 중간 부분을 둘로 나누어 줌으로써, 상대적으로 긴 모서리 프레임(20A)으로 조립된 경우보다, 모듈의 전체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middle frame 20B serves to increase the overall rigidity of the module by divid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relatively long edge frame 20A into two, compared to the case assembled with the relatively long edge frame 20A. .

커넥팅 부재(40)는, 도 5 내지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호 직교되게 배치된 3개의 삽입 단부(41A,42A,43A)에 복수의 모서리 프레임(20A)을 각각 연결하여 모듈의 꼭지점을 형성하는 코너 커넥터(40A)와, 일직선상의 양단부에 모서리 프레임(20A)을 연결하고, 상기 양단부에 직교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미들 프레임(20B)이 모서리 프레임(20A)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미들 커넥터(40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40 connects a plurality of corner frames 20A to the three insertion ends 41A, 42A, and 43A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5 to 6B, thereby connecting the vertices of the module. The corner connector 40A to be formed and the corner frame 20A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a straight line, and the middle frame 20B is connec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rner frame 20A at at least one end that is orthogonal to the both ends. It may include a middle connector (40B).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은, 모듈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위별로, 상술한 바와 같이, 모서리 프레임(20A)과 미들 프레임(20B)으로 분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may be classified into a corner frame 20A and a middle frame 20B, as described above, for each part forming the skeleton of the module.

모서리 프레임(20A)은, 도 5 내지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너 커넥터(40A) 및 미들 커넥터(40B)에 의하여 연결되어 모듈의 모서리를 형성하고, 미들 프레임(20B)는, 도 7a 내지 도 7c에 참조된 바와 같이, 2개의 케이스 패널(30)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에 각각 미들 커넥터(40B)가 결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강성 확보를 위하여 비교적 길게 형성된 하나의 모서리 프레임(20A)을 2개로 분할하거나, 면적이 넓은 하나의 케이스 패널(30)을 2개로 분할할 수 있다. The corner frame 20A is connected by one or more corner connectors 40A and middle connectors 40B to form corners of the module, as shown in FIGS. 5 to 6B, and the middle frame 20B is 7A to 7C, disposed between the two case panels 30, each middle connector 40B is coupled to both ends, as described above, one corner formed relatively long to secure rigidity The frame 20A may be divided into two, or one case panel 30 having a large area may be divided into two.

코너 커넥터(40A)에는, 도 5 및 도 6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삽입단부(41A)가 2개의 삽입 단부(42A,42A)에 대하여 수직되게 돌출되는 3개의 삽입 단부(41A,42A,43A)가 형성되고, 3개의 삽입 단부(41A,42A,43A)는 각각 코너 커넥터(40A)에 모듈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결합된 모서리 프레임(20A)의 단부에 형성된 중공부(23)에 삽입되어 설치된다.In the corner connector 40A, as shown in Figs. 5 and 6A, one inserting end 41A has three inserting ends 41A and 42A protruding perpendicular to the two inserting ends 42A and 42A. ,43A) is formed, and the three insertion ends 41A, 42A, and 43A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23 formed at the end of the corner frame 20A, which is coupled to the corner connector 40A to form the corner of the module. Is installed.

모서리 프레임(20A)의 단부에는, 외측에서 중공부(23)로 관통되는 제1스크류 체결홀(25)이 형성되고, 코너 커넥터(40A)의 삽입 단부(42)에는 제1스크류 체결홀(25)에 대응되는 제2스크류 체결홀(45)이 형성되어, 코너 커넥터(40A)의 삽입 단부(42)가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S)가 제1스크류 체결홀(25) 및 제2스크류 체결홀(45)를 관통하도록 체결됨으로써, 모듈의 골격이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At the end of the corner frame 20A, a first screw fastening hole 25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to the hollow part 23 is formed, and a first screw fastening hole 25 is formed at the insertion end 42 of the corner connector 40A. A second screw fastening hole 45 corresponding to) is formed so that the screw (S) fastens the first screw fastening hole 25 and the second screw while the insertion end 42 of the corner connector 40A is inserted. By fastening to pass through the hole 45, the skeleton of the module may be formed to be firm.

미들 커넥터(40B)에는, 도 5 및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삽입 단부(43B)(이하, '제3삽입 단부(43B)'라 칭한다)가 2개의 삽입 단부(41B,42B)(이하, '제1삽입 단부(41B)' 및 '제2삽입 단부(42B)'라 칭한다)에 대하여 수직되게 돌출되되, 제1삽입 단부(41B) 및 제2삽입 단부(42B)는 상호 동일 직선상으로 돌출되는 3개의 삽입 단부(41B,42B,43B)가 형성되고, 제3삽입 단부(43B)는 미들 프레임(20B)에 형성된 중공부(미도시)에 삽입되고, 제1삽입 단부(41B) 및 제2삽입 단부(42B)는 모서리 프레임(20A)에 형성된 중공부(23)에 삽입되어 설치된다.In the middle connector 40B, as shown in Figs. 5 and 6B, one insertion end 43B (hereinafter, referred to as'third insertion end 43B') is provided with two insertion ends 41B and 42B. ) (Hereinafter referred to as'first insertion end 41B' and'second insertion end 42B'), but the first insertion end 41B and the second insertion end 42B are mutually Three insertion ends 41B, 42B, and 43B protruding in the same straight line are formed, and the third insertion end 43B is inserted into a hollow portion (not shown) formed in the middle frame 20B, and the first insertion end 41B and the second insertion end 42B ar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hollow portion 23 formed in the corner frame 20A.

미들 커넥터(40B)의 제3삽입 단부(43B)에도, 모서리 프레임(20A)의 제1스크류 체결홀(25)에 대응되는 미도시의 스크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미들 프레임(20B)에도 이 스크류 체결홀에 대응되는 미도시의 스크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미들 커넥터(40B)의 제1삽입 단부(41B) 및 제2삽입 단부(42B)에는 모서리 프레임(20A)의 제1스크류 체결홀(25)에 대응되는 제2스크류 체결홀(4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미들 커넥터(40B)의 제1삽입 단부(41B) 및 제2삽입 단부(42B)는 양측의 모서리 프레임(20A)의 중공부(23)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고, 미들 커넥터(40B)의 제3삽입 단부(43B)는 미들 프레임(20B)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A screw fastening hol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rew fastening hole 25 of the corner frame 20A may also be formed in the third insertion end 43B of the middle connector 40B, as well as the middle frame 20B. ) May also have a screw fastening hol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screw fastening hole, and the first inserting end 41B and the second inserting end 42B of the middle connector 40B have a second edge frame 20A. Second screw fastening holes 45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rew fastening holes 25 may be formed, respectively. The first insertion end 41B and the second insertion end 42B of the middle connector 40B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hollow part 23 of the corner frame 20A on both sides, and the third part of the middle connector 40B The insertion end 43B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middle frame 20B.

한편,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리브(21',21")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리브(21',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패널(30)의 테두리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홈(31)에 끼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슬라이딩 리브(21',21")는, 연결되는 케이스 패널(30)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t least one sliding rib 21 ′ and 21 ″ protruding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The sliding ribs 21 ′ and 21 ″ may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t may be fitted into the sliding rail groove 31 formed on the edge of the case panel 30. To this end, the sliding ribs 21 ′ and 21 ″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ase panels 30 to be connected.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6a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 중 베이스(10)의 바로 상측에 배치되는 모서리 프레임(20A)에는,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패널(30) 중 하부 커버(30A)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홈(31)에 삽입되는 하나의 슬라이딩 리브(21',21")와, 모듈의 측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패널(30) 중 측면 커버(30B)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홈(31)에 삽입되는 다른 하나의 슬라이딩 리브(21',21")를 포함하여 2개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A, the edge frame 20A disposed directly above the base 10 among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includes a case panel 30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module. ) One sliding rib (21', 21")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groove (31) formed in the rim of the lower cover (30A), and the side cover (30B) of the case panel (30) forming the side of the module Two may be formed including the other sliding ribs 21 ′ and 21 ″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groove 31 formed at the lower rim of ).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7a 및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패널(30) 중 하부 커버(30A)의 중간 부분을 가로지르는 미들 프레임(20B)의 수평방향 일측과 타측의 케이스 패널(3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홈(31)에 삽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21',21")가 형성됨과 아울러, 미들 프레임(20B)의 상측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케이스 패널(30)이 수직되게 결합될 경우, 이 케이스 패널(3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홈(31)에 삽입되는 하나의 슬라이딩 리브(21',21")로써 총 3개의 슬라이딩 리브(21',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하부 커버(30A)의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미들 프레임(20B)이 측면 커버(30B)에 구비되거나, 상부 커버(30C)에 구비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middle frame 20B cross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lower cover 30A among the case panels 30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odule A pair of sliding ribs 21 ′ and 21 ″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groove 31 formed in the rim of the case panel 30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formed, as well as on the upper side of the middle frame 20B. When the case panel 30 (not shown) is vertically coupled, a total of three sliding ribs 21 ′, 21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groove 31 formed in the rim of the case panel 30 Sliding ribs 21', 21" may be formed. Here, the case of the lower cover 30A has been described, but the middle frame 20B is provided on the side cover 30B or the upper cover 30C. It is natural that the same can be applied even in the case of a problem.

한편,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의 단부와 코너 커넥터(40A)의 삽입 단부(41A,42A,43A) 사이에는, 도 6a 및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실링 패드(47)가 개재될 수 있다.Meanwhile, between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nd the insertion ends 41A, 42A, and 43A of the corner connector 40A, as shown in FIGS. 6A and 6B, a sealing pad 47 may be interposed. have.

실링 패드(47)는,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과 코너 커넥터(40A)의 결합시 각각에 밀착되어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과 코너 커넥터(40A) 사이의 틈새를 막아 모듈 내부의 공기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aling pads 47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nd the corner connectors 40A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nd the corner connectors 40A, thereby leaking air inside the module. It serves to prevent.

실링 패드(47)는, 도 6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코너 커넥터(40A)의 삽입 단부(41A,42A,43A)가 관통하는 단부 관통홀(48A)이 형성되어 삽입 단부(41A,42A,43A)를 제외하고, 모듈프레임(20)과 코너 커넥터(40A) 사이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고, 모듈프레임(20)의 단부에 형성된 중공부(23)와 동일한 형상의 관통홀(48)이 형성되어 모듈프레임(20)의 단부와 코너 커넥터(40A) 사이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aling pad 47 is formed with end through-holes 48A through which the insertion ends 41A, 42A, and 43A of the corner connector 40A pass through, as shown in FIG. 6A, and the insertion ends 41A, 42A, and 43A are formed. ),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hield between the module frame 20 and the corner connector 40A, and a through hole 48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hollow part 23 formed at the end of the module frame 20 is 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such that the end of the module frame 20 and the corner connector 40A do not directly contact each other.

실링 패드(47)는, 모듈프레임(20)과 코너 커넥터(40A)가 각각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때, 금속과 금속간의 높은 열전도율을 낮추어 에너지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The sealing pad 47 also serves to prevent energy leakage by lower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between the metal and the metal when the module frame 20 and the corner connector 40A are each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실링 패드(47)는, 코너 커넥터(40A) 뿐만 아니라 미들 커넥터(40B)와 미들 프레임(20B) 또는 미들 커넥터(40B)와 모서리 프레임(20A) 사이에 개재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실링 패드(47)는, 커넥팅 부재(40)의 각 삽입 단부(41A,42A,43A)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커넥팅 부재(40)의 삽입 단부(41A,42A,43A)가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의 단부에 삽입될 때 자연적으로 실링되도록 한다.It is natural that the sealing pad 47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rner connector 40A as well as the middle connector 40B and the middle frame 20B or the middle connector 40B and the corner frame 20A. The sealing pad 47 is arranged so as to be fitted to each of the insertion ends 41A, 42A, and 43A of the connecting member 40, so that the insertion ends 41A, 42A, and 43A of the connecting member 4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 When inserted into the end of 20), it should be naturally sealed.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과 케이스 패널(30) 및 커넥팅 부재(40)를 조합하여 모듈이 조립되는 모습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brief description of a state in which a module is assembled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the case panel 30, and the connecting member 40 is as follows.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모듈을 구성 중 하부 커버(30A)를 형성하는 조립 과정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only the assembly process of forming the lower cover 30A of configuring the modu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7a 및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30A)의 테두리 부분의 골격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 및 커넥팅 부재(40)를 조립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은 오로지 모서리 프레임(20A) 및 코너 커넥터(40A)만을 이용하여 단순한 사각형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미들 프레임(20B) 및 미들 커넥터(40B)를 이용하여 사각형 형상의 골격을 둘로 나뉘어지도록 조립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미들 프레임(20B)을 이용하여 비교적 길게 형성된 모서리 프레임(20A)을 2개의 부재로 나누어줌으로써 전체적인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A and 7B,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nd connecting members 40 are assembled to form a skeleton of an edge portion of the lower cover 30A. Here,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can be assembled in a simple square shape using only the corner frame 20A and the corner connector 40A, but in some cases, the middle frame 20B and the middle connector 40B are It can be assembled so that the square-shaped skeleton is divided into two. In particula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rigidity can be supplemented by dividing the edge frame 20A formed relatively long using the middle frame 20B into two members.

여기서, 상술한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 골격은, 하부 커버(30A)를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홈(31)과 모듈프레임(20)의 슬라이딩 리브(21',21")가 상호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게 어느 하나의 모서리 프레임(20A)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일측의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하부 커버(30A)를 슬라이딩시켜 슬라이딩 레일홈(31)에 슬라이딩 리브(21',21")가 삽입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Here, in the skeleton of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described above, the sliding rail groove 31 formed in the rim of the lower cover 30A and the sliding ribs 21 ′ and 21 ”of the module frame 20 are mutually slidingly coupled.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one edge frame (20A) is not installed so that one side is opened so that the lower cover (30A) is sli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opened portion on one side, so that the sliding rail groove (31). It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sliding ribs 21 ′ and 21 ″ are inserted.

즉,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구되게 조립된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의 슬라이딩 리브(21',21")에 케이스 패널(3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홈(31)이 끼워지도록 하여 폐쇄된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sliding rail grooves 31 formed a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case panel 30 are inserted into the sliding ribs 21 ′ and 21 ″ of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ssembled with at least one side open. It is a sliding conn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closed side.

그러나, 반드시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에 케이스 패널(30)을 슬라이딩 결합시킬 필요는 없고, 반대로 케이스 패널(30)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홈(31)에 모듈프레임(20)의 슬라이딩 리브(21',21")가 끼움되도록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necessary to slide the case panel 30 to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nd on the contrary, the sliding rib 21 ′ of the module frame 20 to the sliding rail groove 31 formed in the case panel 30 It would be natural that it is possible to slide-couple so that ,21") is fit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은, 상술한 2가지 방식의 슬라이딩 결합을 혼용하여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되, 조립 현장의 조립 환경이나, 조립자의 성향에 따라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조립의 다양성을 제공한다.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ssembling by mixing the two types of sliding coupling described above, but the assembling property is improved according to the assembly environment of the assembly site or the propensity of the assembler. It offers a variety of assembly so you can choose the best way to be.

종래에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비교적 큰 구조물인 에어 핸들링 유닛을 설치함에 있어서, 전체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프레임과 케이스 패널 사이에 수많은 스크류를 체결이 필수적이었다. 이와 같은 스크류 체결은, 개별 스크류의 결합을 위한 조립 공수의 증가를 의미하고, 에어 핸들링 유닛의 작동시 내부의 공기압 변화에 따라 스크류 체결 부위의 유격 현상에 의하여 전체 강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으로 이어졌다.Conventionally, in installing an air handling unit, which is a relatively large structure installed inside a building, it was necessary to fasten a number of screws between the frame and the case panel in order to firmly install the frame forming the entire skeleton. Such screw fastening mean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ssembly man-hours for the combination of individual screws, and leads to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rigidity is lowered due to the clearance phenomenon of the screw fastening part according to the internal air pressure chang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handl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과 커넥팅 부재(40) 사이의 결합을 위한 스크류 결합 공정을 제외하고,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 및 케이스 패널(30) 사이에 스크류 결합 공정이 전혀 없는 슬라이딩 결합 방식으로 채용하여 개별 스크류 조립 공정수를 대폭 감소시킴은 물론 스크류 체결 부위에 대한 강성 취약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screw coupling process for coupling between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nd the connecting member 40, a plurality of modules By adopting a sliding coupling method without any screw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frame 20 and the case panel 30, the number of individual screw assembly processe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s well as the problem of weak rigidity to the screw fastening portion.

한편, 에어 핸들링 유닛은, 공조 공기가 유동되는 내부와 외부 사이의 누기 방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는 공조 공기가 누기되면, 에어 핸들링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면서 압력 손실이 발생되고, 전체적인 공조 성능이 저하되는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air handling unit,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leakag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rough which air-conditioning air flows. This is because when the air-conditioning air leaks, the pressure inside the air handling decreases, resulting in a pressure loss, which leads to a deterioration in the overall air-conditioning performance.

종래에는, 다수의 프레임을 스크류(S) 결합 및 용접 결합 방식을 통해서 결합시켜 전체 골격을 형성하되, 복수의 케이스 패널의 형상에 대응하는 개구부에 케이스 패널을 끼워 맞춤시킨 후 내부와 외부가 차단되도록 실링 작업을 별도로 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는, 1차적인 실링을 위해, 케이스 패널의 개구부에 대한 결합 전에 절연 테이프를 이용하여 케이스 패널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고, 2차적인 실링을 위해, 개구부에 결합된 케이스 패널과의 사이에 생긴 틈새를 실리콘과 같은 별도의 실링재를 도포하였다.Conventionally, a plurality of frames are combined through screw (S) coupling and welding to form an entire skeleton, but after fitting the case panel into the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case panels, the inside and the outside are blocked.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do the sealing work separately. More specifically, in the prior art, for primary sealing, an insulating tape is used to wrap the edge of the case panel before bonding to the opening of the case panel, and for secondary sealing, the case panel and the case panel are bonded to the opening. A separate sealing material such as silicone was applied to the gap created between the two.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과 케이스 패널(30) 사이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에, 모듈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공조 공기의 누기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모듈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실링 구조를 제안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ing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nd the case panel 30, as well as blocking leakage of air conditioning air from the inside of the module to the outside. Rather, it proposes a sealing structure that can block heat transfer from the inside of the module to the outside.

케이스 패널(30)은, 도 9a 및 도 9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모듈의 내부면을 형성하는 내판(32A)과, 내판(32A)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외측에 평행 배치되어 모듈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외판(32B)과, 내판(32A)과 외판(32B)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단부를 마감시키는 조인트 부재(34) 및 내판(32A)과 외판(32B)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33)로 구성될 수 있다.The case panel 30, as shown in FIGS. 9A and 9B,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outer 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inner plate 32A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and the inner plate 32A, so as to prevent the outer surface of the module. The outer plate 32B to be formed, the joint member 34 closing the ends along the rims of the inner plate 32A and the outer plate 32B, and an insulating material 33 filled between the inner plate 32A and the outer plate 32B. Can be configured.

내판(32A)과 외판(32B)은 모듈 전체의 강성을 위하여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판(32A)과 외판(32B)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33)는, 공조 공기의 외부로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판(32A)과 외판(32B) 사이에 발포 성형되는 PU발포 단열재일 수 있다.The inner plate 32A and the outer plate 32B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rigidity of the entire module. The insulating material 33 filled between the inner plate 32A and the outer plate 32B is a PU foamed insulating material that is foam-molded between the inner plate 32A and the outer plate 32B, as for blocking heat transfer of air-conditioning air to the outside. I can.

내판(32A)과 외판(32B) 사이에 해당하는 케이스 패널(30)의 두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전체 부피 및 단열재(33)에 의한 단열 효과를 고려하여 적정한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case panel 30 corresponding between the inner plate 32A and the outer plate 32B is a size of an appropriate degree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volume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eat insulation effect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3 It is preferably formed of.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복잡한 스크류 체결 및 용접 결합 방식에서 벗어나, 간단하게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과 케이스 패널(30) 사이의 슬라이딩 결합만으로 각 모듈의 조립이 완성되고, 상술한 별도의 실링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적은 인원의 조립자로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 공수를 절감하는 이점을 창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 sliding conn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nd the case panel 30 is removed from the conventional complicated screw fastening and welding method. Since the assembly of each module is completed an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eal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even with a small number of assemblers, as well as to create an advantage of reducing assembly man-hours.

특히,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과 케이스 패널(30) 사이의 슬라이딩 결합을 제외하고는 별도의 실링 작업을 요하지 않는다.In particular, as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sliding coupling between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nd the case panel 30 described above No separate sealing work is required.

미들 프레임(20B)에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모듈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열전달 차단부(26)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의 열전달 차단부(26)는, 열전달을 차단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케이스 패널(30)의 슬라이딩 레일홈(31)의 외부에 해당하는 외측 단부면에 밀착됨으로써 누기를 방지할 수 있는 전체적인 실링 기능을 수행한다.The middle frame 20B may be provided with a heat transfer blocker 26 that blocks heat transfer from the inside of the module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8. Here, the heat transfer blocker 26 not only blocks heat transfer, but also provides an overall sealing function that can prevent leakage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en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liding rail groove 31 of the case panel 30. Carry out.

보다 상세하게는, 미들 프레임(20B)은,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모듈의 내부 공간 측에 인접되게 배치되되 폐단면을 갖는 제1중공부(23A)를 형성하는 제1골격부(20B')와, 제1골격부(20B')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모듈의 외측에 인접되게 배치되되 폐단면을 갖는 제2중공부(23B)를 형성하는 제2골격부(20B")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middle frame (20B)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space side of the module, as shown in FIG. 8, the first skeleton portion (20B) forming a first hollow portion (23A) having a closed cross-section '),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keleton portion (20B'),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including a second skeleton portion (20B") forming a second hollow portion (23B) having a closed cross-section do.

여기서, 열전달 차단부(26)는, 제1골격부(20B')와 제2골격부(20B")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일 수 있다.Here, the heat transfer blocking portion 26 may be a connection portion for interconnecting the first skeleton portion 20B' and the second skeleton portion 20B'.

한편, 슬라이딩 리브(21',21")는 제2중공부(23B)가 형성된 제2골격부(23B)에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제1골격부(23A)에는 필요에 따라 모듈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케이스 패널(30)의 슬라이딩 레일홈(31)에 대응되도록 상술한 슬라이딩 리브와 대응되는 슬라이딩 리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ribs 21 ′ and 21 ″ are preferably provided in the second skeleton portion 23B in which the second hollow portion 23B is formed, and the first skeleton portion 23A has an internal space of the module as necessary. A sliding rib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sliding rib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liding rail groove 31 of the case panel 30 disposed to cross

여기서, 열전달 차단부(26)은, 제1골격부(20B')와 제2골격부(20B") 사이에 폐단면을 갖는 제3중공부(23C)를 형성하도록 제1골격부(20B') 및 제2골격부(20B")를 상호 연결시키는 한 쌍의 연결부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heat transfer blocking portion 26 is a first skeleton portion 20B' to form a third hollow portion 23C having a closed cross-section between the first skeleton portion 20B' and the second skeleton portion 20B". ) And the second skeleton part 20B" may be provided as a pair of connecting parts for interconnecting each other.

미들 프레임(20B)의 제1골격부(20B') 및 제2골격부(20B")는 모듈 골격의 강성을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 또는 철재를 포함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열전달 차단부(26)는, 폴리 아미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는 절연 재질로서, 케이스 패널(30)과 미들 프레임(20B)이 상호 슬라이딩 결합될 때 금속 재질의 케이스 패널(30)과 금속 재질의 미들 프레임(20B)이 직접적으로 맞닿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물리적인 열전달 구조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frame part 20B' and the second frame part 20B" of the middle frame 20B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including aluminum or iron for the rigidity of the module frame, and the heat transfer blocking part 26 is As is well known, polyamide is an insulating material, and when the case panel 30 and the middle frame 20B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case panel 30 and the metal material are made of metal. It serves to minimize the physical heat transfer structure by blocking the middle frame (20B) of the direct contact in advance.

일반적으로, 대류가 일어나지 않는 얇은 공기층은 매우 우수한 단열층으로서 잘 알려져 있다. 제1 내지 제3중공부(23A,23B,23C)는, 미들 프레임(20B)의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공기의 대류가 최소한으로 이루어지는 단열층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중공부(23A,23B,23C)는 미들 프레임(20B)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미들 프레임(20B)에 절곡 부위를 제공하여 전체 둘레 면적을 크게 해줌으로써, 횡방향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a thin air layer in which convection does not occur is well known as a very good heat insulating layer. The first to third hollow portions 23A, 23B, and 23C are formed inside the middle frame 20B, and may serve as a heat insulating layer in which air convection is minimized unless there is special circumstances.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hollow portions 23A, 23B, and 23C not only reduce the weight of the middle frame 20B, but also provide a bent portion to the middle frame 20B to increase the total circumferential area. As a result, it serves to increase the lateral stiffness.

특히, 제1 내지 제3중공부(23A,23B,23C)는, 하나의 미들 프레임(20B)에 모듈의 내측에서 외측까지 순차적으로 구비됨으로써 모듈 내부와 모듈 외부의 열전달을 극히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In particular, the first to third hollow parts 23A, 23B, and 23C are sequentially provided in one middle frame 20B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thereby extremely minimizing heat transfer inside the module and outside the module. .

열전달 차단부(26)는 모듈 내부 공간 측 및 모듈의 외측에 각각 구비된 금속재질의 제1골격부(20B') 및 제2골격부(20B") 사이에 구비되어, 양자를 연결시킴과 아울러 열전달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heat transfer blocking portion 26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keleton portion 20B' and the second skeleton portion 20B' of a metal material provided on the inner space side of the module and on the outer side of the module, respectively, and connects both. It serves to minimize heat transfer.

제1골격부(20B')와 제2골격부(20B")에는, 열전달 차단부(26)의 단부가 결합되는 리테이닝부(2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달 차단부(26)의 양단부는 각각 제1골격부(20B') 및 제2골격부(20B")의 마주보는 양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되, 일면이 면접촉되는 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리테이닝부(27)는 열전달 차단부(26)의 각 단부를 감싸도록 양측에 배치되어 열전달 차단부(26)의 단부를 잡아주어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골격부(20B') 및 제2골격부(20B")에 대한 열전달 차단부(26)의 결합 방식은 끼움 결합 방식은 물론 용접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그 결합 방식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A retaining portion 27 to which an end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blocking portion 26 is coupled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first skeleton portion 20B' and the second skeleton portion 20B". More specifically, heat transfer blocking portion 20B" may be formed to protrude. Both ends of the portion 26 ar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rst skeleton portion 20B' and the second skeleton portion 20B", respectively, and are formed to have a triangular cross-section with one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retaining The portions 27 are disposed on both sides so as to surround each end of the heat transfer blocker 26 to hold the end of the heat transfer blocker 26 to securely fix it. The coupling method of the heat transfer blocking portion 26 to the first skeleton portion 20B' and the second skeleton portion 20B" may be a fitting coupling method as well as a welding coupling method, but the coupl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케이스 패널(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써 모듈의 내부면을 형성하는 내판(32A)과, 내판(32A)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외측에 평행되게 배치되고, 금속 재질로써 모듈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외판(32B)과, 내판(32A)과 외판(32B)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단부를 마감시키는 조인트 부재(34) 및 내판(32A)과 외판(32B)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33)로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panel 30 includes an inner plate 32A forming an inner surface of the modul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inner plate 32A, as described above. A joint member 34 which is arranged parallel to the outsid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nd ends with a metal material that forms the outer surface of the module along the rim of the outer plate 32B and the inner plate 32A and the outer plate 32B. And it may be compos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33 filled between the inner plate (32A) and the outer plate (32B).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에 형성된 슬라이딩 리브(21',21")가 슬라이딩 끼움되는 슬라이딩 레일홈(31)은 케이스 패널(30)의 구성 중 조인트 부재(34)에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 부재(34)는, 열전도율이 작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성형이 용이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sliding rail groove 31 into which the sliding ribs 21 ′ and 21 ”formed in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re slidably fitted may be formed in the joint member 34 of the case panel 30. Joint member (34) is preferably formed of a non-metallic material having a small thermal conductivity, and more preferably,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lastic which is easy to mold.

슬라이딩 레일홈(31)은, 케이스 패널(30)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상술한 모듈프레임(20)의 슬라이딩 리브(21',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되게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liding rail groove 31 is formed over the entire rim of the case panel 30, and is approximately "c" to be recessed inward so that the sliding ribs 21', 21" of the module frame 20 described above can be inserted. It can be formed to have a "shaped cross section.

또한, 케이스 패널(30)은, 도 9a 및 도 9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모듈프레임(20), 특히 모서리 프레임(20A)에 대한 슬라이딩 결합시 모서리 프레임(20A)과의 사이에 누기를 차단하도록 형성된 실링부(35A,3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panel 30 is, as shown in Figs. 9A and 9B, to block leakage between the module frame 20, particularly the corner frame 20A when slidingly coupled to the corner frame 20A. It may further include formed sealing parts (35A, 35B).

실링부(35A,35B)는, 슬라이딩 레일홈(31) 내부에 형성되되, 조인트 부재(34)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s 35A and 35B are formed in the sliding rail groove 31 and may be integrally injection-molded with the joint member 34.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레일홈(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서리 프레임(20A)의 슬라이딩 리브(21',21")가 삽입되는 부분이 개구되게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실링부(35A)는 개구된 부분에 인접하는 슬라이딩 레일홈(31)의 일측면(31A)과 타측면(31B)에서 각각 대향되는 면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referred to in FIG. 11A, the sliding rail groove 31 is "c" so that the part into which the sliding ribs 21' and 21" of the corner frame 20A are inserted are opened as described above. It is formed to have a shaped cross section, and the sealing portion 35A is a surface opposite to each of the one side 31A and the other side 31B of the sliding rail groove 31 adjacent to the opened portion, and is determined by the same length. The length may be formed to protrude.

모서리 프레임(20A)의 슬라이딩 리브(21',21")의 두께(D1')는 케이스 패널(30)의 슬라이딩 레일홈(31)의 폭(D2')보다 작게 형성되되, 적어도 슬라이딩 레일홈(31)의 대향되는 면에서 각각 돌출된 실링부(35A)의 선단 사이의 거리(D3')보다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모서리 프레임(20A)의 슬라이딩 리브(21',21")가 케이스 패널(30)의 슬라이딩 레일홈(31)에 삽입되면, 슬라이딩 레일홈(31)과 슬라이딩 리브(21',21")가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도록 결합되되, 실링부(35A)가 슬라이딩 리브(21',21")의 외측면에 기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실링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The thickness (D1') of the sliding ribs (21', 21") of the corner frame (20A) is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D2') of the sliding rail groove (31) of the case panel (30), at least the sliding rail groove ( 31) is preferably formed larger than the distance D3' between the tips of the sealing portions 35A protruding from the opposing surfaces of 31). In this state, the sliding ribs 21' and 21" of the corner frame 20A When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groove 31 of the case panel 30, the sliding rail groove 31 and the sliding ribs 21', 21" are coupled so that they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the sealing part 35A is the sliding rib Sealing function can be improved by tightl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21',21").

즉, 실링부(35A)는, 슬라이딩 레일홈(31)의 일측면(31A)과 타측면(31B)에서 동일한 길이만큼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되, 각각 돌출된 상기 실링부(35A)의 선단 사이의 거리(D3')는 슬라이딩 레일홈(31)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21',21")의 두께(D1')보다 작게 돌출된다.That is, the sealing portion 35A is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by the same length from one side 31A and the other side 31B of the sliding rail groove 31, and the sealing portions 35A respectively protruding. The distance (D3') between the tips of the slides protrudes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D1') of the sliding ribs (21', 21")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groove (31).

한편, 슬라이딩 레일홈(31)은, 도 11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모서리 프레임(20A)의 슬라이딩 리브(21',21")가 삽입되는 부분이 개구되게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개구 단부(34A)의 개구 길이(D2")는 내부의 일측면(31A) 및 타측면(31b) 사이의 거리(D4)보다 작도록 형성되고(도 11b의 도면부호 "가" 참조), 실링부(35B)는, 개구 단부(34A)에 인접하는 슬라이딩 레일홈(31)의 일측면(31A)과 타측면(31B)에서 각각 대향되는 면을 향하여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되, 각각 돌출된 실링부(35B) 사이의 거리(D3")가 개구 단부(34A)의 개구 길이(D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rail groove 31, as shown in FIG. 11B, so that the portion of the corner frame 20A into which the sliding ribs 21 ′ and 21 ”are inserted has a “C”-shaped cross-section so that the portion thereof is opened. Is formed, the opening length (D2") of the opening end (34A)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D4) between one side (31A) and the other side (31b) of the inside (see reference numeral "A" in Fig. 11B) ), the sealing part 35B protrudes with the same length from one side 31A and the other side 31B of the sliding rail groove 31 adjacent to the opening end 34A toward the opposite side, respectively, The distance D3" between the sealed portions 35B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pening length D2" of the opening end 34A.

즉, 실링부(35B)는, 슬라이딩 레일홈(31)의 일측면(31A)과 타측면(31B)에서 동일한 길이만큼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되, 각각 돌출된 실링부(35B)의 선단 사이의 거리(D3")는 슬라이딩 레일홈(31)의 개구 단부(34A)의 개구 길이(D2")보다 작게 돌출될 수 있다.That is, the sealing portion 35B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by the same length from one side 31A and the other side 31B of the sliding rail groove 31, The distance D3" between the tips may protrude smaller than the opening length D2" of the opening end 34A of the sliding rail groove 31.

바람직하게는, 실링부(35B)는, 슬라이딩 레일홈(31)의 일측면(31A)과 타측면(31B)에서 동일한 길이만큼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되, 각각 돌출된 실링부(35B)의 선단 사이의 거리(D3")는 슬라이딩 레일홈(31)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리브(21',21")의 두께(D1")보다 작게 돌출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ealing portion 35B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by the same length from one side 31A and the other side 31B of the sliding rail groove 31, respectively, the protruding sealing portions 35B The distance D3" between the tip ends of) may protrude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D1" of the sliding ribs 21 ′ and 21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groove 31.

한편, 실링부(35A,35B)는 조인트 부재(34)의 슬라이딩 레일홈(31)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조인트 부재(34)의 슬라이딩 레일홈(31)을 형성하는 부분은 모듈의 강성을 유지하도록 경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실링부(35A,35B)는 모서리 프레임(20A)의 슬라이딩 리브(21',21")가 삽입될 때 어느 정도 형상이 변형되면서 슬라이딩 리브(21',21")의 면에 밀착되도록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aling portions 35A and 35B may be injection-molded integrally with the sliding rail groove 31 of the joint member 34. The portion forming the sliding rail groove 31 of the joint member 34 is made of a hard material to maintain the rigidity of the module, and the sealing portions 35A and 35B are the sliding ribs 21 ′ and 21 of the corner frame 20A. When ") is inserted, the shape is deformed to some extent and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s of the sliding ribs 21 ′ and 21 ”.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프레임(20)과 케이스 패널(30)의 슬라이딩 결합시, 1차적으로 케이스 패널(30)의 금속 재질의 내판(32A) 및 외판(32B) 사이에 구비된 단열재(33)에 의하여 단열 성능이 향상되고, 2차적으로 케이스 패널(30)에 형성된 실링부(35A,35B)에 의하여 누기가 차단되는 기밀 성능이 향상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dule frame 20 and the case panel 30 are slidingly coupled, the case panel 30 is primarily made of a metal material. Airtight performance in which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3 provided between the inner plate 32A and the outer plate 32B, and leakage is blocked by the sealing parts 35A and 35B formed in the case panel 30 secondary This is improved.

도 10은 도 1의 각 모듈별 공통적으로 구성된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베이스와 하부 커버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의 각 모듈별 베이스를 이용한 결합 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의 각 모듈 프레임을 이용한 결합 모습을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commonly configured for each module of FIG. 1,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base and the lower cover of FIG. 10, and FIG. 12 is a combination using a base for each module of FIG. 1 It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and FIG. 13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using each module frame of FIG. 1.

베이스(10)는, 모듈의 가장 하부에 위치되어, 모듈 전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10)는, 복수개의 베이스 프레임(11A,11B,15)의 조합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1A,11B,15)은,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의 개구된 부분(12)이 외측을 향하도록 복수개의 베이스 프레임(11A,11B,15)이 배치되어 스크류(S) 조립될 수 있다.The base 1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odule and serves to support the load of the entire module. The base 10 i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base frames 11A, 11B, 15, and the base frames 11A, 11B, 15 have a "c"-shaped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base frames 11A, 11B, and 15 are dispos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pened portion 12 on one side faces the outside, so that the screw (S) may be assembled.

베이스(10)는, 직육면체의 모듈이 상측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대략 4각형으로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가운데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이스 프레임(11A,11B,15)이 나란히 배치되어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하중을 가진 모듈을 하부에서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base 10 i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quadrangular shape so that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module can be stably arranged on the upper side, and if necessary, one or more base frames 11A, 11B, 15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various sizes. An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ort the module having various loads from the bottom.

베이스(10)는,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A,11B,15)의 개구된 부분(12)이 모두 외측을 향하도록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후술하겠지만, 다른 모듈과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base 10 is preferably assembled so that the open portions 12 of the base frames 11A, 11B, and 15 are all facing outward, as will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This is to facilitate assembly.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프레임(11A,11B,15)의 양단부에는, 스크류(S) 결합을 위한 스크류 체결공(14)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11A,11B,15)의 개구된 부분(12)의 단부 측에도 베이스 프레임(11A,11B,15)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스크류 체결공(14)에 대응되는 제2스크류 체결공(13, 도 12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t both ends of the base frame (11A, 11B, 15), screw fastening holes 14 for screw (S) coupling may be formed, respectively, the opening of the base frame (11A, 11B, 15) A second screw fastening hole 13 (refer to FIG. 12)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rew fastening hole 14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se frame 11A, 11B, 15 may also be formed at the end side of the portion 12.

베이스 프레임(11A,11B,15)은 베이스(10)를 어느 한 변이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조립될 경우, 긴 변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 프레임(11A)과, 짧은 변을 형성하는 제2베이스 프레임(15)을 포함할 수 있고, 강성 보강을 위하여 일측 및 타측의 짧은 변을 형성하는 제2베이스 프레임(15)을 상호 연결시키는 미들 베이스 프레임(1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frames 11A, 11B, 15 include a first base frame 11A forming a long side and a second base frame forming a short side when the base 10 is assembled into a rectangular shape with one side long. 15, and may further include a middle base frame 11B interconnecting the second base frame 15 forming short sid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or reinforcing rigidity.

이와 같은 베이스 프레임(11A,11B,15)의 상호 조합에 의하여 바람직하게는 4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10)의 테두리 상단에는,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모듈의 하부 커버(30A)의 테두리와 스크류(S) 결합을 매개하는 복수개의 마운팅 브라켓(17)이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마운팅 브라켓(17)에는 각각 하부 커버(30A)와 베이스(10)에의 스크류(S) 결합을 위한 스크류 체결공(18)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By the mutual combination of the base frames 11A, 11B, 15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dge of the base 10 preferably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11, the frame of the lower cover 30A of the module A plurality of mounting brackets 17 mediating the coupling of the screw (S) with the screw (S)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natural that the mounting bracket 17 may be provided with a screw fastening hole 18 for coupling the screw (S) to the lower cover (30A) and the base (10), respectively.

여기서, 복수개의 마운팅 브라켓(17)은 하부 커버의 테두리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될 경우 이 경사면에 대하여 면착되도록 상단부가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when the plurality of mounting brackets 17 have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rim of the lower cover, the upper end may be bent so as to face the inclined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조 사이클을 구성하는 기능별 모듈을 간단히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과 케이스 패널(30) 사이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하여 완성한 후,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흡기모듈(100), 혼합모듈(200), 열교환모듈(300) 및 배기모듈(400)이 상호 연통되되, 누기가 생기지 않도록 기밀 결합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module for each function constituting an air conditioning cycle is simply combined by sliding between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nd the case panel 30. After comple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intake module 100, the mixing module 200,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and the exhaust module 400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ut they can be hermetically coupled to prevent leakage. have.

보다 상세하게는, 도 1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베이스(10)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1A,11B,15)은 일측에 개구된 부분(12)이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베이스 프레임(11A,11B,15)의 양단부에는 각 모듈의 베이스(10)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플랜지(16)가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2, the base frames 11A, 11B, and 15 constituting the base 10 have a "c"-shaped cross section in which an opening part 12 is formed on one side. , Connection flanges 16 for interconnecting the base 10 of each module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se frames 11A, 11B, 15.

각 모듈의 연결 플랜지(16)에는 베이스 프레임(11A,11B,15)의 개구된 공간(12)이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 볼트 체결공(16a)이 형성될 수 있고, 각 모듈의 연결 플랜지(16)가 상호 면접된 상태에서 볼트 체결공(16a)을 관통하는 볼트(B)및 이에 체결되는 너트(N)에 의하여 각 모듈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볼트 체결공(16a)은 상술한 스크류 체결공(14)으로 대체할 수 있으나, 스크류 체결공(14)과는 별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nection flange 16 of each module may have a bolt fastening hole 16a formed in which the open space 12 of the base frame 11A, 11B, 15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flange 16 of each module Each module may be interconnected by a bolt (B) penetrating through the bolt fastening hole (16a) and a nut (N) fastened thereto in a state in which the are inter-interviewed. Here, the bolt fastening hole 16a may be replaced with the screw fastening hole 14 described above, but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screw fastening hole 14.

이처럼, 각 기능별로 조립된 복수개의 모듈(100,200,300,400)을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각 모듈의 베이스(10)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공조 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forming one air conditioning cycle by sequentially arranging a plurality of modules 100, 200, 300, 400 assembled for each function, and combining the base 10 of each module with each other. You will be able to complete i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별 조립 후, 각 모듈을 연결시키는 것인 바, 모듈과 모듈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누기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each module after assembly for each module, and leakage may occur through a gap between the module and the module.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은, 도 1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단이 일측 모듈(100)의 모듈프레임(바람직하게는 모서리 프레임(20A))에 연결되고, 타단이 타측 모듈(200)의 모듈프레임(바람직하게는 모서리 프레임(20A))에 연결되며, 일측 모듈(100) 및 타측 모듈(200) 사이의 틈새를 방지하는 누기 방지 클램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3,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module frame (preferably corner frame 20A) of one module 100, and the other end It is connected to the module frame (preferably the corner frame 20A) of the other module 200, and further includes a leak prevention clamp 60 for preventing a gap between the one module 100 and the other module 200. I can.

누기 방지 클램프(60)의 일단(61) 및 타단(63)은 각각의 모듈프레임(20)에 고정되고, 누기 방지 클램프(60)는, 일단(61) 및 타단(63)을 연결시키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조절 너트(65)의 일방향 회전 및 타방향 회전에 의하여 일단(61) 및 타단(63)의 간격을 조절하는 동작으로 모듈간 틈새를 차단시킬 수 있다.One end 61 and the other end 63 of the leakage prevention clamp 60 are fixed to each module frame 20, and the leakage prevention clamp 60 connects one end 61 and the other end 63, but is rotatable. The gaps between the modules can be blocked by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one end 61 and the other end 63 by the rotation of the adjusting nut 65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보다 상세하게는, 누기 방지 클램프(60)의 일단(61)은 일측 모듈(100)의 모서리 프레임(20A)에 스크류(S) 고정되고, 누기 방지 클램프(60)의 타단(63)은 타측 모듈(200)의 모서리 프레임(20A)에 스크류(S) 고정된다.In more detail, one end 61 of the leak prevention clamp 60 is fixed with a screw (S) to the corner frame 20A of one module 100, and the other end 63 of the leak prevention clamp 60 is the other module The screw (S) is fixed to the corner frame (20A) of (200).

한편, 누기 방지 클램프(60)의 일단(61)과 타단(6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 수나사산이 가공 형성되고, 수나사산이 가공 형성된 부분이 각각 조절 너트(65)의 일단(61)과 타단(63) 사이로 삽입되며, 조절 너트(65)에는 누기 방지 클램프(60)의 일단(61)과 타단(63)이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된 단부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one end 61 and the other end 63 of the leakage preventing clamp 60, although not shown, each male thread is formed, and the male thread is formed at one end 61 of the adjustment nut 65, respectively. It is inserted between the and the other end 63, the adjustment nut 65 may be formed with an end coupling hole formed with a female thread so that one end 61 and the other end 63 of the leakage preventing clamp 60 are screwed.

누기 방지 클램프(60)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된 수나사산 및 조절 너트(65)에 형성된 암나사산은, 조절 너트(6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누기 방지 클램프(60)의 일단(61)과 타단(63)이 상호 가까워지고, 조절 너트(65)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누기 방지 클램프(60)의 일단(61)과 타단(63)이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ale thread formed 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eak prevention clamp 60 and the female thread formed on the adjustment nut 65 are, when the adjustment nut 65 is rotated in one direction, one end 61 and the other end of the leakage prevention clamp 60 When (63) is close to each other and the adjustment nut 65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one end 61 and the other end 63 of the leakage preventing clamp 6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누기 방지 클램프(60)는, 각 모듈의 내부 공간에 모듈간 인접되는 테두리 부분을 따라 복수 개소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임력으로 누기를 방지할 수 있다.The leakage preventing clamp 6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n edge portion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inner space of each module to prevent leakage with a uniform tightening force as a whole.

도 14는 도 1의 구성 중 팬모듈이 공통적으로 수용되는 흡기모듈과 배기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베이스에 팬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팬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8은 팬모듈의 구성 중 박스프레임과 박스프레임 커넥터 및 안전망의 설치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팬 모듈의 하부 커버 상부에 대한 결합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0은 분리격벽에 의하여 흡입챔버 및 원심챔버로 구획된 흡기모듈 및 배기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고, 도 21은 팬모듈의 적층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ake module and an exhaust module in which a fan module is commonly accommodate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an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paration work for installing the fan module on the base, and FIG. 16 is a fan of FIG.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e, FIG.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6,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relationship between a box frame, a box frame connector, and a safety net among the configuration of a fan module, and FIG. 19 is an upper part of the lower cover of the fan module. Fig. 2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n intake module and an exhaust module divided into a suction chamber and a centrifugal chamber by a separation partition wall, and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cked installation of a fan module. .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가 형성되고, 흡입된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모듈(101,401)이 내부에 설치되는 흡기모듈(100)과, 흡기모듈(100)과 연통되게 결합되되, 흡기모듈(100)로부터 공급된 실내공기와 외부로부터 흡입된 외부 공기를 혼합하는 혼합모듈(200)과, 혼합모듈(200)과 연통되게 결합되되, 혼합모듈(200)로부터 공급된 혼합공기와 열에너지를 교환하는 열교환모듈(300) 및 열교환모듈(300)과 연통되게 결합되되, 열교환모듈(300)에 의하여 공조된 공기를 실내로 배기시키는 팬모듈(101,401)이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모듈(400)을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as described above, has an intake port 3 for inhaling indoor air, and fan modules 101 and 401 for flowing the inhaled indoor air. The intake module 100 installed therein and a mixing module 200 coupl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ake module 100 and mixing indoor air supplied from the intake module 100 and external air sucked from the outside, It is coupl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mixing module 200, and is coup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and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for exchanging heat energy with the mixed air supplied from the mixing module 200, by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The fan modules 101 and 401 for exhausting the air-conditioned air into the room include an exhaust module 400 installed therein.

각 모듈의 내부 공간에는, 각 기능별 구성품(50)이 내장될 수 있다. 각 기능별 구성품(50)은, 모듈식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모듈의 내부 공간에 가장 효율적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the inner space of each module, a component 50 for each function may be embed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nents 50 for each function are most efficient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odule, which is uniformly formed in a modular manner.

먼저, 도 14 내지 도 20에 참조된 바와 같이, 흡기모듈(100) 및 배기모듈(4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irst, as shown in FIGS. 14 to 20, the intake module 100 and the exhaust module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흡기모듈(100) 및 배기모듈(400)은, 도 14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챔버(C1)와, 분리격벽(107)에 의하여 흡입챔버(C1)와 구획되고, 팬모듈(101,401)이 내부에 설치되는 원심챔버(C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intake module 100 and the exhaust module 400 are partitioned from the intake chamber C1 by the intake chamber C1 for inhaling air and the separation partition 107, and the fan module It may include a centrifugal chamber (C2) in which (101,401) is installed therein.

분리격벽(107)은, 케이스 패널(30)과 동일한 방식으로 미들 프레임(20B)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케이스 패널(30)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격벽(107)은, 모듈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에 양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흡입챔버(C1) 및 원심챔버(C2)를 구획하도록 결합되는 케이스 패널(30) 중 하나일 수 있다.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may be one of the case panels 30 slidingly coupled to the middle frame 20B in the same manner as the case panel 30. In more detail,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i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forming a skeleton of the module by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ction chamber (C1) and the centrifugal chamber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t may be one of the case panels 30 coupled to partition (C2).

여기서, 분리격벽(107)은,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 중 2개의 케이스 패널(30) 사이에 배치된 미들 프레임(20B)에 의하여 모듈의 바닥면이 2개로 구획되어 형성된 하부 커버(30A)의 상측의 미들 프레임(20B) 및 미들 프레임(20B)의 양단에 구비된 미들 커넥터(41B)에 의하여 수직되게 상부로 연장된 복수개의 미들 프레임(20B) 사이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된다.Here,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is a lower cover 30A formed by partition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odule into two by the middle frame 20B disposed between the two case panels 30 of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The upper middle frame 20B and the middle connector 41B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iddle frame 20B are slid and coupled between the plurality of middle frames 20B extending vertically upwards.

분리격벽(107)에는, 일측의 흡입챔버(C1)와 타측의 원심챔버(C2)를 상호 연통시키는 4각형 형상의 연통구(107A)가 형성될 수 있다. 연통구(107A)는 4각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a communication port 107A of a quadrangular shape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the suction chamber C1 of one side and the centrifugal chamber C2 of the other side. The communication port 107A is not limited to a quadrangular shap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분리격벽(107)은, 흡기모듈(100) 및 배기모듈(4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30A)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커버(30A)는, 중간 부분을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미들 프레임(20B)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일측과 타측의 2개의 케이스 패널(30)로 이루어지고, 분리격벽(107)은 하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홈(31)이 하부 커버(30A)의 미들 프레임(20B)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슬라이딩 리브(21',21")가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아울러, 분리격벽(107)의 측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홈(31)은 각각 하부 커버(30A)의 미들 프레임(20B)의 양단에 미들 커넥터(40B)에 의하여 상측으로 연결된 다른 미들 프레임(20B)의 슬라이딩 리브(21',21")가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ver 30A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ake module 100 and the exhaust module 400. In more detail, the lower cover 30A has two case panels 30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oup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middle frame 20B arranged to cross the middle portion perpendicularly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is coupled so that the sliding rail groove 31 formed at the lower end is inserted so that the sliding ribs 21 ′ and 21 ″ protruding upward to the middle frame 20B of the lower cover 30A are inserted. In addition, the sliding rail groove 31 formed on the side end of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by the middle connector 40B at both ends of the middle frame 20B of the lower cover 30A, respectively. The sliding ribs 21 ′ and 21 ″ of 20B) may be slidably coupled to be inserted.

한편, 원심챔버(C2)의 내부에는, 연통구(107A)와 연통되게 분리격벽(107)에 팬모듈(101,401)이 연결될 수 있다. 팬모듈(101,401)은, 분리격벽(107)에 연결되되, 원심챔버(C2)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챔버(C1)로부터 원심챔버(C2)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력을 형성하고, 일측의 다른 모듈(혼합모듈(200)이 이에 해당될 수 있음) 또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inside the centrifugal chamber C2, the fan modules 101 and 401 may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artition 107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port 107A. The fan modules 101 and 401 ar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and installed inside the centrifugal chamber C2, and form a centrifugal force by sucking air from the suction chamber C1 to the centrifugal chamber C2, and It serves to discharge the module (the mixed module 200 may correspond to this) or to the outside.

팬모듈(101,401)은, 도 16 및 도 1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흡입력 및 원심력을 형성하는 원심팬(140)과, 원심팬(14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팬 모터(150)와, 원심팬(140) 및 팬 모터(150)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을 가지는 팬박스(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n modules 101 and 401 include a centrifugal fan 140 for forming the above-described suction force and centrifugal force, and a fan motor 150 for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centrifugal fan 140, as shown in FIGS. 16 and 17, It may include a fan box 60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centrifugal fan 140 and the fan motor 150 are installed.

팬박스(60)는, 원심챔버(C2) 내부에 배치되되, 분리격벽(107)의 일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외관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20)과,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20)에 설치되어 외관면을 형성하면서, 원심팬(140)의 회전을 보호하는 안전망(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n box 60 is disposed inside the centrifugal chamber C2,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separation partition 107, and forms an external skeleton, a plurality of box frames 120, and a plurality of box frames 120 ) Is installed to form an exterior surface, and may include a safety net 130 that protects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fan 140.

여기서, 분리격벽(107)과 팬박스(60)는, 연통구(107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원심팬(140)으로 유동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팬박스(60)는, 흡입챔버(C1) 내부의 공기가 원심챔버(C2)의 팬박스(60) 내부에 구비된 원심팬(140)을 전부 통과하도록 분리격벽(107)의 연결구(107A)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Here,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and the fan box 60 may be connected so that air suck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107A flows to the centrifugal fan 140. That is, the fan box 60 is a connector of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so that the air inside the suction chamber C1 passes through the centrifugal fan 140 provided inside the fan box 60 of the centrifugal chamber C2. 107A) can be combin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팬박스(60)는, 2 이상의 박스프레임(120)을 모서리 부분에서 연결하는 박스프레임 커넥터(125)에 의하여 소정 형상의 외관 골격이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팬박스(60)는, 내부에 원심팬(140) 및 팬모터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설치 공간을 가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박스프레임 커넥터(125)는 직육면체 형상의 각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어 3개의 박스프레임(120)을 상호 수직되게 연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an box 60 has an external skelet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by a box frame connector 125 connecting two or more box frames 120 at a corner portion. More preferably, the fan box 6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space so that the centrifugal fan 140 and the fan motor are installed therein, and the box frame connector 125 is formed at each corner portion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t is located at and may serve to connect the three box frames 120 vertically to each other.

박스프레임(120)은, 도 1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철재로 이루어지되, 삼각형 형상의 중공 단면(122)을 가지며, 팬박스(60)의 각각의 면에 평행되게 연장된 연장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삼각형의 중공 단면(122)에는 박스프레임 커넥터(125)의 일부(126)가 삽입되고, 박스프레임(120) 내부에 오버랩되게 삽입된 박스프레임 커넥터(125)의 일부(126)에 각각 구비된 스크류 체결홀(124,127)을 관통하는 스크류(S)에 의하여 상호 조립될 수 있다.The box frame 120, as shown in FIG. 18, is made of steel, has a triangular hollow cross section 122, and an extension 121 extending parallel to each side of the fan box 60 It may include. A part 126 of the box frame connector 125 is inserted into the triangular hollow cross-section 122, and screws provided on a part 126 of the box frame connector 125 inserte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box frame 120 It can be mutually assembled by a screw (S)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s (124, 127).

박스프레임 커넥터(125)에는, 팬모듈(101,401)이 하나의 원심챔버(C2) 내부에 복수개가 적층되거나 나란히 배치될 때, 인접하는 팬모듈(101,401)을 연결시키도록 외측으로 연장된 팬박스 연결단부(128)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box frame connector 125, when a plurality of fan modules 101 and 401 are stacked or arranged side by side in one centrifugal chamber C2, a fan box extending outward is connected to connect adjacent fan modules 101 and 401. Ends 128 may be formed.

팬박스 연결단부(128)는, 일측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팬모듈(101,401)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측으로 적층되게 배치된 팬모듈(101,401)과 모두 연결될 수 있도록 팬박스(60)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ㄱ"자 형상 또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팬박스 연결단부(128)에는, 인접하는 팬박스 연결단부(128)와 스크류(S) 체결되기 위한 스크류 체결공(129)이 형성될 수 있다.The fan box connection end 128 is connected to the fan modules 101 and 401 arranged parallel to one side,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fan box 60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all of the fan modules 101 and 401 arranged to be stacked upward. , It may be formed to be bent in a "b" shape or a "b" shap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an box connection end 128 may be provided with a screw fastening hole 129 for fastening the adjacent fan box connection end 128 and the screw (S).

여기서, 팬박스 연결단부(128)는, 박스프레임 커넥터(125)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박스프레임 커넥터(125)와는 별개로 제작되어 박스프레임 커넥터(125) 또는 박스프레임(120)에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fan box connection end 128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x frame connector 125, as well a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box frame connector 125, so that the box frame connector 125 or the box frame 120 It can be connected detachably as needed.

한편, 안전망(130)은, 복수개의 철재 와이어가 용접 결합되거나 매듭 방식으로 엮어져 결합되되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술한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20)에 의하여 형성된 외관 골격에 결합되어 외관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afety net 130,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welded or woven in a knot manner, but formed in a mesh shape, and combined with an exterior skeleton formed by the plurality of box frames 120 described above to form an exterior surface. Plays a role.

안전망(130)은, 팬박스(60) 내부에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되는 원심팬(140)의 회전을 보호함으로써, 반사적으로 사용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안전망(130)은, 원심팬(140)을 감싸는 별도의 팬 하우징 대신 원심챔버(C2)의 내부면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케이스 패널(30)이 원심팬(140)의 회전 작동에 의하여 발생시키는 정압에 따른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유동 공기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원심챔버(C2)에 유동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정압이 형성되는 원리이다. 여기서, 안전망(130)은 원심팬(14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통과시키고, 실질적으로 원심챔버(C2)를 구성하는 모듈의 케이스 패널(30)에 의하여 유동 공기의 흐름이 안내되는 바, 팬 하우징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The safety net 130 protects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fan 140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fan box 60 and rotates at high speed, thereby reflexively protecting a user. In addition, the safety net 130, instead of a separate fan housing surrounding the centrifugal fan 140, a plurality of case panels 30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entrifugal chamber C2 are generated b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centrifugal fan 140 It plays a role of passing the flowing air to guide the flow of air according to the static pressure. This is the principle that a predetermined static pressure is formed when the flow air is filled in the centrifugal chamber C2. Here, the safety net 130 passes the air sucked by the centrifugal fan 140, and the flow of air is guided by the case panel 30 of the module constituting the centrifugal chamber C2.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housing.

안전망(130)은, 직육면체 형상의 팬박스(60)의 외관면 중 분리격벽(107)에 인접하는 외관면 및 하부면을 제외하고, 나머지 외관면을 형성하도록 박스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afety net 130 may be coupled to the box frame 120 to form the remaining exterior surface, excluding the exterio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djacent to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among the exterior surfaces of the rectangular fan box 60. have.

분리격벽(107)에 인접하는 외관면에는 후술하는 팬쉴드(191)가 결합되고, 하부면에는 별도로 원심팬(140)의 회전을 보호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fan shield 191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adjacent to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and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tect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fan 140 on the lower surface.

안전망(130)은, 도 1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박스프레임(120)의 연장부(121)에 형성된 스크류 홀(123)에 체결되도록 테두리를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개가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링(131)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링(131)은 복수개의 철재 와이어 중 일부를 라운드지게 밴딩시켜 형성된 것일 수 있고,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 안전망(130)의 테두리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the safety ne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rings extending outward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long the rim so as to be fastened to the screw hole 123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 121 of the box frame 120 (131) may be included. The connecting ring 131 may be formed by bending some of the plurality of iron wires to be rounded, and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member and attached to the rim of the safety net 130.

연결링(131)은, 박스프레임(120)의 스크류 홀(123)에 스크류(S) 체결됨으로써 안전망(130)의 박스프레임(120)에 대한 설치를 매개한다.The connecting ring 131 is a screw (S) fastened to the screw hole 123 of the box frame 120 to mediate the installation of the safety net 130 to the box frame 120.

박스프레임(120)에 안전망(130)이 설치된 후에는, 팬박스(60)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모서리 형상의 서포트 부재(180)가 결합될 수 있다.After the safety net 130 is installed on the box frame 120, the support member 180 having a corner shape for support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fan box 60 may be coupl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팬모듈(101,401)은, 도 1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상측에 배치된 하부 커버(30A)와, 하부 커버(30A)의 상측에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평행되게 결합된 한 쌍의 팬모듈브래킷(110)의 상측에 설치된다.The fan modules 101 and 40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parallel to the lower cover 30A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and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30A, as shown in FIG. 15.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ined pair of fan module brackets (110).

팬모듈브래킷(110)은, 팬모듈(101,401)이 직접적으로 하부 커버(30A)의 상측에 접하면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9에 참조된 바와 같이, 팬박스(60)의 하부에 해당하는 박스프레임 커넥터(125)의 팬박스 연결단부(128)와 팬모듈브래킷(110) 사이에 개재된 진동 흡수 블럭(105)을 매개로 설치되어 팬모듈(101,401)의 원심팬(140) 작동으로 인한 진동이 직접적으로 하부 커버(30A)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an module bracket 110 is for preventing the fan modules 101 and 401 from being installed while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30A. The centrifugal fan 140 of the fan modules 101 and 401 is installed via a vibration absorbing block 105 interposed between the fan box connection end 128 of the corresponding box frame connector 125 and the fan module bracket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bration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lower cover 30A.

도 22는 팬모듈의 구성 중 원심팬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원심팬의 구성 중 블레이드의 수직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ntrifugal fa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an module, and 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rtical section of a blad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ifugal fan in FIG. 22.

일반적으로, 원심팬(140)은 팬쉬라우드(1120)를 통해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가속시켜 블레이드(1130)들 사이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원심력을 형성하여 토출시키는 팬의 일종이다. 원심팬(140)의 성능은 마찰손실, 충격손실 등은 물론 여러 형상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In general, the centrifugal fan 140 is a type of fan that accelerates air introduced in the axial direction through the fan shroud 1120 to form and discharge a centrifugal force in the radial direction through the blades 1130. The performance of the centrifugal fan 140 is affected by various shape factors as well as friction loss and impact loss.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팬모듈(101,401)을 구성하는 일 구성인 원심팬(140)은, 블레이드(1130)의 상부에는 회전축(O) 쪽으로는 오목한 구간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회전축(O)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구간을 형성함으로써 블레이드(1130)의 하부에서의 유동을 강화시킴은 물론 블레이드(1130)의 상하부간의 유동을 균일화시켜 소음을 저감함과 아울러, 종래와 동일한 크기 또는 부피 대비 팬의 성능이 크게 향상된 원심팬(140)을 채용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ifugal fan 140, which is one component constituting the fan modules 101 and 401, has a concave section toward the rotation axis O at the top of the blade 1130. In addition, by forming a convex section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on axis (O) in the lower part, the flow in the lower part of the blade 1130 is strengthened, as well as the flow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lade 1130 is equalized to reduce noise. , A centrifugal fan 140 having the same size or volume compared to that of the prior art is greatly improved.

보다 상세하게는, 원심팬(140)은, 도 22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전축(O)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주판(1110)과,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1121)이 형성된 팬쉬라우드(1120) 및 한 쌍의 주판(1110)과 팬쉬라우드(1120) 사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흡입홀(1121)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유동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1130)들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centrifugal fan 140 is a fan having a pair of abacus 1110 rotating around a rotation axis O and a suction hole 1121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s shown in FIG. 22. A plurality of blades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shroud 1120 and the pair of abacus 1110 and the fan shroud 1120,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1121 flow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 1130).

여기서, 블레이드(1130)들은, 도 2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레이어들(Layer1 내지 Layer4) 상에서 팬쉬라우드(1120) 측에서 주판(1110) 측으로 차례로 제1단면(S(L1)), 제2단면(S(L2)), 제3단면(S(L3)) 및 제4단면(S(L4))으로 정의할 때, 제1단면(S(L1))의 전단은 제4단면(S(L4))의 전단보다 회전축(O)으로부터 멀고, 제1단면(S(L1))의 후단은 제4단면(S(L4))의 후단보다 회전축(O)과 가깝고, 각 단면의 후단들 중 제2단면(S(L2))의 후단이 회전축(O)으로부터 가장 멀고, 제3단면(S(L3))의 후단이 회전축(O)과 가장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blades 1130 are, as shown in FIG. 23, in order from the fan shroud 1120 side to the abacus 1110 side on the layers (Layer1 to Layer4), the first cross-section (S(L1)), the second When defined as the section (S(L2)), the third section (S(L3)), and the fourth section (S(L4)), the front end of the first section (S(L1)) is the fourth section (S( It is farther from the rotation axis (O) than the front end of L4)),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section (S(L1)) is closer to the rotation axis (O) than the rear end of the fourth section (S(L4)), among the rear ends of each section. The rear end of the second end surface S(L2) may be the farthest from the rotation axis O, and the rear end of the third end surface S(L3) may be formed closest to the rotation axis O.

이와 같은 블레이드(1130)들은, 도 22에 참조된 바와 같이, 3D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3D형상의 블레이드(1130)라 함은, 회전축(O)과 직교하는 소정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소정의 레이어(layer)들 상에서의 블레이드(1130)의 단면들을 회전축(O) 방향으로 소정의 투영면 상에 투영할 때, 투영면 상에서 각 단면의 전단(FE)과 후단(RE)을 연결한 선들 중 둘 이상이 동선 상에 위치되지 않는 것으로 정의한다.Such blades 1130 may have a 3D shape, as shown in FIG. 22. Here, the 3D-shaped blade 1130 refers to a predetermined projection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 on the cross sections of the blade 1130 on predetermined layers made of a predetermined plane orthogonal to the rotation axis O. When projecting onto the image, it is defined that at least two of the lines connecting the front end (FE) and the rear end (RE) of each section on the projection plane are not located on the moving line.

상기와 같은 3D형상의 블레이드(1130)들에 의하면, 동일한 풍량이라고 가정할 때, 종래의 원심팬(140)에 비해 정압이 상승되었을 뿐만 아니라, 효율 또한 향상되었음이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특히, 원심팬(140)의 효율은 대략 82%에 이르며, 이는 대략 70%였던 종래에 비하여 비약적인 개선을 이룬 것으로서, 이러한 팬 성능의 향상은 동일 풍량을 발생시키기 위해 저속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저속 구동이 가능하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동일한 고속 구동시 작은 부하의 팬 모터(150)의 구동으로도 충분히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구동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According to the 3D-shaped blades 1130 as described above, it was confirmed through an experiment that not only the static pressure was increased but also the efficiency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entrifugal fan 140, assuming the same air volume. In particular, the efficiency of the centrifugal fan 140 reaches approximately 82%, which is a remarkable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rior art, which was approximately 70%, and the improvement of the fan performance enables low-speed operation to generate the same air volume. It is logically possible to drive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riving the fan motor 150 having a small load when driving at the same high speed logically.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팬모듈(101,401)은 단수개가 원심챔버(C2)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지속적으로 가변되는 공조대상공간의 목표 요구 부하에 상응할 수 있도록 원심챔버(C2) 내부에 복수개의 팬모듈(101,401)이 나란하거나 적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팬 모터(150)의 부피가 줄어듬과 아울러, 3D형상의 원심팬(140)의 부피가 줄어들어 구태여 설치 및 운송이 불편한 큰 사이즈의 팬모듈(101,401)을 구축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fan modules 101 and 401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entrifugal chamber C2, and correspond to the target required load of the air-conditioning target space which is continuously variable. A plurality of fan modules 101 and 401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or stacked in the centrifugal chamber C2 so as to be able to do so. This is because, as the volume of the fan motor 150 is reduced, the volume of the 3D-shaped centrifugal fan 140 is reduced, and there is no need to construct the large-sized fan modules 101 and 401 that are inconvenient to install and transpor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만이 가지는 특유의 3D형상의 원심팬(140)을 고려하여, 본 발명만이 가지는 특유의 모듈화된 팬모듈(101,401)의 조립 구조를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consideration of the unique 3D-shaped centrifugal fan 140 of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ing the unique modular fan modules 101 and 40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팬모듈(101,401)은, 도 16 및 도 17에 참조된 바와 같이, 흡입챔버(C1) 내의 공기를 회전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수직되게 배치된 한 쌍의 주판(1110) 내부로 흡입하여 한 쌍의 주판(1110) 사이를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130)를 통하여 원심챔버(C2)에 방사상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140)과, 원심팬(140)에 회전력을 제공하되, 원심팬(140)의 회전축과 직선의 동축을 가지는 팬 모터(150)와, 원심팬(140) 및 팬 모터(150)가 설치되도록 설치 공간을 가지는 팬박스(60)와, 팬박스(60) 내부에 배치되어, 원심팬(140)의 한 쌍의 주판(1110) 내부로 흡입챔버(C1)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n modules 101 and 401, as shown in FIGS. 16 and 17, suck air in the suction chamber C1 into the inside of a pair of abacus 1110 spaced apart and vertically disposed along the rotation axis direction.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the centrifugal fan 140 and the centrifugal fan 140 radially discharged to the centrifugal chamber C2 through a plurality of blades 1130 connecting between the abacus 1110, The fan motor 150 having a linear coaxial with the rotating shaft, the fan box 60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so that the centrifugal fan 140 and the fan motor 150 are installed, and the fan box 60 are disposed inside the centrifugal The fan 140 may include a guide part 190 forming an inlet path through which air from the suction chamber C1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pair of main plates 1110.

여기서, 원심팬(140)은, 동일 풍량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 또는 작은 부피가 요구되는 상술한 3D형상의 원심팬(140)이 채용된다. 이와 같은 원심팬(140)은 팬모듈(101,401)을 구성하는 팬박스(60) 내부에서 회전 구동되어 원심챔버(C2) 내부에 흡입챔버(C1)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면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유동력을 형성하게 된다.Here, as the centrifugal fan 140, the above-described 3D-shaped centrifugal fan 140, which requires a relatively small size or a small volume to generate the same air volume, is employed. Such a centrifugal fan 140 is rotationally driven inside the fan box 60 constituting the fan modules 101 and 401 to draw air from the suction chamber C1 inside the centrifugal chamber C2 and discharge the air to the outside. It creates a flow force.

한편, 팬모듈(101,401)은, 원심팬(140)의 상하 높이보다 작은 상하 높이를 가진 팬 모터(150)를 팬박스(60) 내부에 팬 모터(150)의 회전축(150C)과 원심팬(140)의 회전 중심이 수평방향으로 직선의 동축을 이루도록 팬박스(60) 내부에의 설치를 매개하는 모터브래킷(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an modules 101 and 401 include a fan motor 150 having an upper and lower height smaller than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centrifugal fan 140, and a rotation shaft 150C and a centrifugal fan of the fan motor 150 inside the fan box 60. It may further include a motor bracket 170 that mediates the installation in the fan box 60 so th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140) forms a linear coaxi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여기서, 모터브래킷(170)은, 도 17에 참조된 바와 같이, 팬박스(60) 내부에 한 쌍이 이격되게 배치되고, 팬모듈(101,401)은, 양단부가 한 쌍의 모터브래킷(170)에 각각 연결되어 팬 모터(15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판(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17, a pair of motor brackets 17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an box 60, and both ends of the fan modules 101 and 401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a pair of motor brackets 170.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160 connected to support the fan motor 150 from the bottom.

모터브래킷(170)은, 팬박스(6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면에 인접한 양측면에 공기의 수평되게 길게 동일 높이에 결합되고, 지지판(160)은 한 쌍의 모터브래킷(170)의 상면에 좌우 양단의 하부면이 지지되도록 결합된다.The motor bracket 170 is coupled to both sides adjacent to the side where air is sucked into the fan box 60 to be horizontally elongated and at the same height, and the support plate 160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motor brackets 170. It is combined so that the lower surfaces of both ends are supported.

지지판(160)의 상부에는 팬 모터(150)의 회전축(150C)이 원심팬(140)의 회전 중심과 직선상의 동축을 이루도록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판(160)은, 팬 모터(150) 뿐만 아니라 팬 모터(150)에 동축으로 연결된 원심팬(140)의 중량을 포함한 하중을 전부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The rotation shaft 150C of the fan motor 150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60 so as to form a linear coaxial axis with the rotation center of the centrifugal fan 140. The support plate 160 should be designed to support not only the fan motor 150 but also the load including the weight of the centrifugal fan 140 coaxially connected to the fan motor 150.

한편, 안전망(130) 중 팬 모터(150)에 인접하는 안전망(130)에는 팬 모터(15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팬 모터(150)가 관통되는 크기의 모터끼움홀(135)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팬 모터(150)의 고장 수리 또는 교체시 구태여 안전망(130)을 분리하지 않아도 되는 수리상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반드시 안전망(130)에 모터끼움홀(135)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afety net 130 adjacent to the fan motor 150 among the safety nets 130, a motor fitting hole 135 having a size through which the fan motor 150 penetrates is formed to facilitate installation of the fan motor 150 Can be. This is to provide convenience in repairing or replacing the fan motor 150 with no need to remove the safety net 130 due to the problem of repairing or replacing the fan motor 150.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otor fitting hole 135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in the safety net 130.

가이드부(190)는, 원심팬(140)의 흡입부 측에 형성된 팬쉬라우드(1120)와 연결되고, 한 쌍의 주판(1110) 내부로 공기의 흡입을 유도하는 벨마우스(193)와, 팬박스(6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벨마우스(193)와 연통하는 마우스 홀(191A)이 형성된 팬쉴드(191)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part 190 is connected to the fan shroud 1120 formed on the suction part side of the centrifugal fan 140, and a bell mouse 193 for inducing suction of air into the pair of abacus 1110, A fan shield 191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fan box 60 and having a mouse hole 191A communicating with the bell mouse 193 may be included.

여기서, 팬쉬라우드(1120)는 원심팬(140)에 일체로 형성되되, 한 쌍의 주판(1110) 중 공기가 흡입되는 측의 주판(1110) 외측에 형성된 원형의 흡입홀(1121)의 테두리를 따라 흡입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an shroud 11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entrifugal fan 140, the edge of the circular suction hole 1121 formed outside the abacus 1110 on the side of the abacus 1110 in which air is sucked.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uction part along the.

벨마우스(193)는, 원심팬(140)의 회전을 위하여 흡입부 측으로 돌출된 팬쉬라우드(1120)의 단부와 직접적인 연결은 되지 않으나, 흡입챔버(C1) 내의 공기를 원심팬(140)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벨마우스(193)는, 상술한 팬쉴드(191)에 고정되되, 마우스 홀(191A)과 연통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The bell mouse 193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an shroud 1120 protruding toward the suction part for rotation of the centrifugal fan 140, but the air in the suction chamber C1 is transferred to the centrifugal fan 140. It acts as a natural induction. The bell mouse 193 may be fixed to the fan shield 191 described above, and may be fixed to communicate with the mouse hole 191A.

팬쉴드(191)는, 팬박스(60)의 외관면 중 안전망(130)이 설치되지 않은 면에 안전망(130) 대신 설치되어 원심팬(140)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벨마우스(193)의 설치 장소를 제공함은 물론, 흡입되는 공기가 흡입챔버(C1)에서 팬박스(60) 이외의 원심챔버(C2) 공간으로 누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an shield 191 is installed instead of the safety net 130 on a surface of the fan box 60 on which the safety net 130 is not installed to protect the centrifugal fan 140 and, as described above, the bell mouse In addition to providing an installation place of the 193, it serves to prevent the intake air from leaking from the suction chamber C1 to the space of the centrifugal chamber C2 other than the fan box 60.

한편, 가이드부(190)는, 상술한 분리격벽(107)의 연통구(107A)와 팬박스(60) 사이를 연결하는 미도시의 에어 가이드 터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 터널부는, 분리격벽(107)과 팬모듈(101,401)(특히, 팬쉴드(191))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분리격벽(107)의 연통구(107A)를 통하여 공기가 원심팬(140)에 의하여 원심챔버(C2)로 누기 없이 유동되도록 외부와 차폐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원심팬(140)으로부터 분리격벽(107)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동시에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guide unit 190 may be provided with an air guide tunnel unit (not shown) connecting between the communication port 107A of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and the fan box 60. The air guide tunnel part allows air to flow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107A of the separation partition 107 between the separation partition 107 and the fan modules 101 and 401 (in particular, the fan shield 191). ) Is installed to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so that it flows into the centrifugal chamber C2 without leakage, and simultaneously absorbs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centrifugal fan 140 to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 핸들링 유닛(1)이 설치되는 건물의 공조대상공간의 목표 부하량 조건이 건물마다 상이할 수 있는 바, 흡기모듈(100) 및 배기모듈(400)에 배치되는 팬모듈(101,401)의 개수는 공기조화 설계자에 의하여 요구되는 목표 부하량 조건 및 공조 설계 조건 등을 반영하여 도 2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팬모듈(Ⅰ,Ⅱ,Ⅲ,Ⅳ)을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1은, 팬박스 연결단부(128)에 의하여 복수개의 팬박스(60)가 적층 또는 나란히 배치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측 또는 일측으로 더 많은 개수의 팬박스(60)가 적층 또는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원심챔버(C2)의 한정된 공간에 의하여 목표 부하량 조건에 따른 팬박스(60)의 구비가 어려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프레임(20) 중 미들 프레임(20B)을 이용하여 전체 모듈의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target load condition of the air conditioning target space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air handling unit 1 is installed may be different for each building, The number of fan modules 101 and 401 disposed in the intake module 100 and the exhaust module 400 reflects the target load condition and air conditioning design condition required by the air conditioning designer, as shown in FIG. It is natural that fan modules (I, II, III, IV) can be provided. 2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fan boxes 60 are stacked or arranged side by side by the fan box connection end 128,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arger number of fan boxes ( 60) may be stacked or arranged side by side, and when it is difficult to provide the fan box 60 according to the target load condition due to the limited space of the centrifugal chamber C2, the middle frame ( 20B) can be used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entire module.

종래에는, 대용량의 원심팬과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비교적 중량이 큰 팬 모터가 구비되었고, 팬 모터의 중량이 큰 관계로 안정적인 팬 모터의 설치 및 팬 모터로부터 안정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 전달 방식으로 벨트 및 풀리 구동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이러한 벨트 및 풀리 구동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발생되는 동력 손실을 만회하기 위하여 원심팬을 둘러싸는 팬 하우징을 통하여 원심팬으로부터 발생된 풍량을 집중적으로 일정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기류를 유도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원심팬 및 팬 모터의 설치 및 구동 방식은, 단위 원심팬의 중량 및 크기 등 전체적인 팬 효율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점에서 비롯된 것이며, 모터 회전축 직결 구동 방식에 비하여 원심팬과 팬 모터의 설치 공간이 더 필요함은 물론, 원심팬의 구동에 따른 일정한 정압을 확보하지 못하여 팬 하우징이 필요하게 되었고, 팬 하우징은 공기의 흡입 구조에 따라 양방향 흡입 및 단방향 흡입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단방향 흡입 방식의 경우 팬 하우징의 내부 설계가 복잡해짐은 물론, 양방향 흡입 방식의 경우 벨트 및 풀리의 결합 부분에 의한 기류 손실이 예상되어 팬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a large-capacity centrifugal fan and a fan motor having a relatively large weight for driving the fan motor were provided, and a stable fan motor was installed due to the large weight of the fan motor and a power transmission method for stably provid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fan motor. The belt and pulley driving method is adopted, and the air volume generated from the centrifugal fan is intensively discharged through a certain discharge port through the fan housing surrounding the centrifugal fa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power loss caused by adopting the belt and pulley driving method. Adopted the airflow induction method. Such a conventional method of installing and driving a centrifugal fan and a fan motor stems from the problem that the overall fan efficiency such as the weight and size of a unit centrifugal fan cannot be guaranteed. In addition to requiring more installation space, a fan housing was required because a constant static pressure due to the drive of the centrifugal fan could not be secured, and the fan housing can be applied with a two-way suction and one-way suction method depending on the air suction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fan housing, the internal design of the fan housing becomes complicated, and in the case of the bidirectional suction method, airflow loss due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elt and the pulley is expected, resulting in a problem of greatly lowering the fan efficiency.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경우, 3D형상의 원심팬(140)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대용량의 원심팬(140)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중량이 큰 팬 모터(150)의 설치의 어려움 및 원심팬(140)의 구동에 따라 일정방향으로의 토출을 위한 팬 하우징의 삭제가 가능하므로,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전체적인 팬모듈(101,401)의 사이즈를 축소시켜 공조대상공간의 목표 부하량 조건에 따라 필요한 경우 복수개의 팬모듈(101,401)을 설치하여 가변되게 운용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공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mploying a 3D-shaped centrifugal fan 140, the fan motor 150 having a large weight required to drive the conventional large-capacity centrifugal fan 140 ), it is possible to delete the fan housing for discharging in a certain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installation and the drive of the centrifugal fan 140, thus reducing the overall size of the fan modules 101 and 401 to reduce the size of the air conditioning target space. If necessary according to the target load condition, a plurality of fan modules 101 and 401 are installed and operated in a variable manner, thereby creating an advantage of creating a more comfortable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팬모듈(101,401)의 조립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fan modules 101 and 401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팬모듈 조립방법의 일실시예는, 모듈의 내부 공간을 일측의 흡입챔버(C1) 및 타측의 원심챔버(C2)로 구획되도록 배치된 분리격벽(107)을 조립하는 분리격벽 조립 단계와, 분리격벽 조립 단계에 의하여 조립된 분리격벽(107)의 일측에 해당하는 원심챔버(C2)에 원심팬(140)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팬모듈(101,401)을 설치 조립하는 팬모듈 조립 단계와, 팬모듈 조립 단계에 의하여 조립된 팬모듈(101,401) 내부에 원심팬(140) 및 팬 모터(150)를 설치하는 원심팬 설치 단계 및 원심팬 설치 단계 후, 흡입챔버(C1)으로부터 원심팬(140)으로의 공기가 누기 없이 유동되도록 분리격벽(107)과 팬모듈(101,401)을 연결시키는 팬모듈 연결 단계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fan module assembly method includes a separation partition assembly step of assembling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arranged to divide the inner space of the module into a suction chamber C1 on one side and a centrifugal chamber C2 on the other side, and separation. A fan module assembly step of installing and assembling fan modules 101 and 401 in which the centrifugal fan 140 is rotatably accommodated in a centrifugal chamber (C2)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separation partition 107 assembled by the partition wall assembly step, and a fan After the centrifugal fan installation step and the centrifugal fan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centrifugal fan 140 and the fan motor 150 in the fan modules 101 and 401 assembled by the module assembly step, the centrifugal fan 140 from the suction chamber C1 And a fan module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and the fan modules 101 and 401 so that air to the air flows without leakage.

여기서, 분리격벽 조립 단계는, 복수개의 케이스 패널(30) 중 하나의 양단부가 모듈의 내부 공간이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흡입챔버(C1) 및 원심챔버(C2)로 구획되도록 모듈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조립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분리격벽(107)은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케이스 패널(30) 중 하나일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assembling the separation partition, the frame of the module is such that both ends of one of the plurality of case panels 30 are sequentially divided into the suction chamber C1 and the centrifugal chamber C2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t may be a step of assembling by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to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forming a. That is,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member and combined, but may be one of the case panels 30.

팬박스 조립 단계는,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30A)의 상면에 한 쌍의 팬모듈브래킷(110)을 설치하는 팬모듈브래킷 설치 공정과, 팬모듈브래킷 설치 공정 후,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20) 및 박스프레임 커넥터(125)를 이용하여 외관 골격을 형성하고, 복수개의 안전망(130)을 외관 골격에 결합시켜 팬박스(60)를 형성하는 팬박스 형성 공정과, 팬박스 형성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팬박스(60)를 팬모듈브래킷(110)의 상부에 결합시키는 팬박스 설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n box assembly step includes a fan module bracket installation process of installing a pair of fan module brackets 1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30A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odule, and after the fan module bracket installation process, a plurality of boxes A fan box forming process and a fan box forming process in which an external skeleton is formed using the frame 120 and the box frame connector 125, and a plurality of safety nets 130 are coupled to the external skeleton to form the fan box 60 The fan box installation process of coupling the fan box 60 formed by the fan box 60 to the upper part of the fan module bracket 110 may be included.

팬박스 형성 공정에서, 팬박스(60)의 골격은, 팬박스(60)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고, 각각 수직되게 돌출된 3개의 연결단부(126)가 팬박스(60)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박스프레임(120)의 양단부에 형성된 중공 단면(12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동작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fan box formation process, the skeleton of the fan box 60 is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fan box 60, and three connection ends 126 protruding vertically respectively form the corners of the fan box 60. The box frame 120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hollow end surface 122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x frame 120.

한편, 팬박스 형성 공정에서, 안전망(130)은, 박스프레임(120)에 팬박스(60)의 외관면에 대하여 평행되게 연장된 연장부(121)에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an box forming process, the safety net 130 may be fixed to the extension portion 121 extending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an box 60 to the box frame 120.

아울러, 원심팬 설치 단계는, 팬박스(60)의 내부에 한 쌍의 모터브래킷(170)을 설치하는 모터브래킷 설치 공정과, 한 쌍의 모터브래킷(170)에 양단부가 지지되도록 지지판(160)을 설치하는 지지판 설치 공정과, 지지판 설치 공정 후, 지지판(160)에 팬 모터(150)를 결합시키는 팬모터 설치 공정 및, 팬모터 설치 공정에 의하여 결합된 팬 모터(150)와, 원심팬(140)의 회전 중심이 직선상의 동축을 이루도록 원심팬(140)을 설치하는 원심팬 설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ifugal fan installation step includes a motor bracket installation process of installing a pair of motor brackets 170 inside the fan box 60, and the support plate 160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pair of motor brackets 170. After the support plate installation process and the support plate installation process, the fan motor installation process of coupling the fan motor 150 to the support plate 160, and the fan motor 150 coupled by the fan motor installation process, and the centrifugal fan ( It may include a centrifugal fan installation process of installing the centrifugal fan 140 so that the rotation center of 140) forms a linear coaxial.

한편, 팬박스 연결 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팬박스(60)의 외관면 중 흡입챔버(C1) 측에 마우스 홀(191A)이 형성된 팬쉴드(191)를 설치하여 외관면 일부를 형성하는 팬쉴드 설치 공정과, 팬쉴드 설치 공정 후, 일단이 마우스 홀(191A)과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이 원심팬(140)에 흡입챔버(C1) 측으로 돌출 형성된 팬쉬라우드(1120) 측으로 연장된 벨마우스(193)를 이용하여 팬박스(60)의 외부와 원심팬(140)을 연통시키는 벨마우스 설치 공정 및 분리격벽(107)에 형성된 연결구(107A)와 팬쉴드(191) 사이의 공간을 에어 가이드 터널부를 이용하여 외부와 차폐시키는 공기 유로 형성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an box connection step, as described above, a fan shield 191 having a mouth hole 191A formed on the suction chamber C1 side of the fan box 60 is installed to form a part of the outer surface. After the fan shield installation process and the fan shield installation process, one end is coupl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mouth hole 191A, and the other end extends toward the fan shroud 1120 formed protruding toward the suction chamber C1 by the centrifugal fan 140. The bell mouse installation process of communicating the centrifugal fan 140 with the outside of the fan box 60 using the bell mouse 193, and the space between the connector 107A formed on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and the fan shield 191 It may include a process of forming an air flow path for shielding from the outside by using an air guide tunnel.

도 24는 도 1의 구성 중 혼합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5는 혼합모듈에 필터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6은 필터 클램프에 의한 필터의 고정 원리를 설명하는 설치도이다.FIG.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xing modul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is installed in the mixing module, and FIG. 26 is an installation view explaining the principle of fixing a filter by a filter clamp.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혼합모듈(200)은, 도 24 내지 도 26에 참조된 바와 같이, 흡기모듈(100)과 연통하는 환기챔버(211)와, 환기챔버(211)와 댐퍼 쉴드(230)에 의하여 구획되되, 열교환모듈(300)과 연통되는 보상챔버(221)를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ing module 200 includes, as shown in FIGS. 24 to 26, a ventilation chamber 211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ake module 100, It is partitioned by the ventilation chamber 211 and the damper shield 230, and may include a compensation chamber 221 communicating with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여기서, 댐퍼 쉴드(230)는, 상술한 흡기모듈(100) 및 배기모듈(400)의 분리격벽(107)과 같이, 미들 프레임(20B)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케이스 패널(30) 중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damper shield 230 may be one of the case panels 30 slidingly coupled to the middle frame 20B, such as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of the intake module 100 and the exhaust module 400 described above. .

혼합모듈(200)은, 일측의 흡기모듈(100) 및 타측의 열교환모듈(300)과 정확히 모듈 맞춤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모듈의 베이스(10)의 연결 구조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모듈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mixing module 200 is preferably formed in a size that is exactly module-fit with the intake module 100 on one side and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on the other side, and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se 10 of each module By being connected by, the function of each module can be performed.

혼합모듈(200) 중, 흡기모듈(100)에 인접하는 측을 흡기단이라 칭하고, 열교환모듈(300)에 인접하는 측을 토출단이라 칭할 때, 혼합모듈(200)은, 토출단에 케이스 패널(30)과 동일한 방식으로 모서리 프레임(20A)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필터 쉴드(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Of the mixing module 200, when the side adjacent to the intake module 100 is referred to as an intake end, and the side adjacent to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is referred to as a discharge end, the mixing module 200 has a case panel at the discharge end. 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shield 251 slidingly coupled to the corner frame (20A) in the same manner as (30).

필터 쉴드(251)는, 후술하는 필터(257), 필터 카트리지(253A,253B)가 설치되는 설치 장소를 제공하고, 열교환모듈(300)로 공기가 흡입되기 전에 실내로 흡입된 실내 공기 및 외부로부터 흡입된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하기 위한 필터(257)의 설치 부분이다.The filter shield 251 provides an installation place in which a filter 257 and filter cartridges 253A and 253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installed, and from indoor air and outside air sucked into the room before air is sucked into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It is an installation part of the filter 257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haled outdoor air.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 쉴드(251)에는, 도 2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필터 카트리지(253A,253B)가 구획되어 설치되도록 다수의 설치구(255)를 구비한 필터 카트리지(253A,253B)가 혼합모듈(200)과 열교환모듈(300)이 구획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filter shield 251, as shown in FIG. 24, filter cartridges 253A and 253B having a plurality of installation ports 255 so that a plurality of filter cartridges 253A and 253B are partitioned and installed. ) May be mounted so that the mixing module 200 and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are partitioned.

도 24에는 3개의 필터(257)가 설치되는 3개의 설치구(255)를 구비한 필터 카트리지(253A,253B)가 2개 구비되고, 이 필터 카트리지(253A,253B)가 필터 쉴드(251)에 상하로 적층 배치되어 스크류(S) 체결 등을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되고, 각 설치구에는 필터(257)가 틈을 형성하지 않도록 개별 설치된다.In FIG. 24, two filter cartridges 253A and 253B having three mounting holes 255 in which three filters 257 are installed are provided, and the filter cartridges 253A and 253B are attached to the filter shield 251. They are stacked up and down and fixed firmly through screw (S) fastening, and the filters 257 are individually installed so as not to form gaps at each installation port.

필터(257)는, 보상챔버(221) 내부에서 열교환모듈(300) 측으로 설치구(255)에 맞도록 설치되며, 도 2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설치구(255)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필터 카트리지(253A,253B)에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다수의 필터 클램프(258)가 구비되어, 필터 클램프(258)가 회전되는 동작으로 설치구(255)에 설치된 필터(257)의 테두리를 조여줌으로써 필터(257)를 고정시킨다.The filter 257 is installed to fit the installation hole 255 toward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inside the compensation chamber 221, and as shown in FIG. 26, a filter cartridge corresponding to the rim of the installation hole 255 (253A, 253B)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lter clamps 258 that are rotatably disposed, and by tightening the rim of the filter 257 installed in the mounting hole 255 by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filter clamp 258, the filter ( 257).

도 26의 (a)는 필터 클램프(258)의 구비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도 26의 (b)는 필터(257)를 해정시키기 위한 필터 클램프(258)의 해정 위치를 나타내며, 도 26의 (c)는 필터(257)를 잠금시키기 위한 필터 클램프(258)의 잠금 위치를 나타낸다.Fig. 26(a) show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ilter clamp 258, Fig. 26(b) shows the disengaging position of the filter clamp 258 for disengaging the filter 257, and Fig. 26(c) ) Indicates the locked position of the filter clamp 258 for locking the filter 257.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24 내지 도 26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필터(257)를 설치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253A,253B)를 완성된 모듈 내부에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모서리 프레임(20A)에 케이스 패널(30)이 설치되는 것과 같이, 열교환모듈(300)에 인접하는 케이스 패널(30) 하나를 완전히 필터 쉴드(251)로 대체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4 to 26, filter cartridges 253A and 253B for installing the filter 257 are separately installed inside the completed module. Rather than installing, as the case panel 30 is installed on the corner frame 20A, one case panel 30 adjacent to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is completely replaced with the filter shield 251 to improve assembly performance.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letting go.

한편, 혼합모듈(200)의 환기챔버(211) 및 보상챔버(221)에는 각각 상측으로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환기구(도면부호 미표기) 및 보상구(도면부호 미표기)가 형성되고, 환기구에는 환기댐퍼(210)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며, 보상구에는 보상댐퍼(220)가 구비되어 보상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Meanwhile, in the ventilation chamber 211 and the compensation chamber 221 of the mixing module 200, a ventilation opening (not shown) and a compensation opening (not shown) are formed upwardly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respectively, and ventilation is provided in the ventilation opening. A damper 210 is provided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 compensation damper 220 is provided at the compensation port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compensation port.

댐퍼 쉴드(230)는 환기챔버(211)와 보상챔버(221)가 상호 연통되도록 연통구가 형성될 수 있고, 연통구에는 환기챔버(211)와 보상챔버(221)간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연결댐퍼(240)가 구비될 수 있다.The damper shield 230 may have a communication port so that the ventilation chamber 211 and the compensation chamber 22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communication port controls the amount of air flow between the ventilation chamber 211 and the compensation chamber 221. A connection damper 240 may be provided.

환기댐퍼(210), 보상댐퍼(220) 및 연결댐퍼(240)는, 각각에 구비된 환기구, 보상구 및 연결구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여, 목표대상공간의 오염도에 따른 청정도를 개선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damper 210, the compensation damper 220, and the connection damper 240 control the amount of air flow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s of the ventilation ports, the compensation ports, and the connecting ports provided in each, so that the degree of cleanliness according to the pollution level of the target target space is controlled. It can be operated to improve.

흡기모듈(100)에 구비된 팬모듈(101,401)에 의하여 환기챔버(211) 내부에 소정의 정압이 형성되면 환기댐퍼(210)의 개도 조절에 의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의 환기구를 통한 외부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When a predetermined static pressure is formed in the ventilation chamber 211 by the fan modules 101 and 401 provided in the intake module 100, the external discharge amount through the ventilation port of the contaminated indoor air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ventilation damper 210 Can be.

아울러, 배기모듈(400)에 구비된 팬모듈(101,401)에 의하여 보상챔버(221) 내부에 소정의 부압이 형성되면 보상댐퍼(220)의 개도 조절에 의하여 외부 공기의 보상구를 통한 내부 유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보상구는, 환기구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배출될 때 혼합모듈(200) 내부의 기압저하를 보상하기 위하여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compensation chamber 221 by the fan modules 101 and 401 provided in the exhaust module 400, the amount of internal inflow through the compensation port of external air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compensation damper 220. Can be adjusted. Here, the compensation port may simultaneously perform a role of allowing external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in order to compensate for a decrease in atmospheric pressure inside the mixing module 200 when indoor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ilation port.

실내 공기의 오염도 및 외기의 온도 등 적정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외부 공기와 실내 공기를 혼합하는 점에서 본 발명은 대형 공기조화기의 분류 중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고, 에어 핸들링 유닛(1)의 최대 장점은 외기와의 혼합에 따른 공조 성능의 향상이라고 할 것인 바, 이와 같은 외기와의 혼합 구조가 모듈식으로 매우 간명하게 이루어져 있어 비용을 절감하는 이점을 창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category of the air handling unit 1 among the classification of large air conditioners in that the outside air and indoor air are mixed so as to satisfy appropriate conditions such as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outside air temperature, etc. The biggest advantage of (1) is the improvement of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by mixing with the outside air, and the mixing structure with the outside air is very simple in a modular way, creating an advantage of reducing costs.

도 27은 도 1의 구성 중 열교환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열교환모듈의 조립도이며, 도 29는 도 27의 열교환기와 배출격벽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exchange modul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28 is an assembly view of the heat exchange module of FIG. 27, and FIG.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t exchanger and the discharge partition wall of FIG. 27.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열교환모듈(300)은, 도 27 내지 도 29에 참조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상부에 결합된 드레인팬(210)과, 드레인팬(210)의 상부에 배치되고, 혼합모듈(200)로부터 유동되는 혼합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as shown in Figs. 27 to 29, the drain pan 21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0 and , It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210 disposed above the drain pan 210 and heat-exchanging the mixed air flowing from the mixing module 200.

드레인팬(210)은, 베이스(10)의 상측에 하부 커버(30A)의 골격(즉,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의 조합에 일부는 상술한 하부 커버(30A)를 결합시키고, 나머지 부분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30A)를 대체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drain pan 210 i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for forming a skeleton (ie, an edge portion) of the lower cover 30A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and some of the lower cover 30A described above And may be combined to replace the lower cover 30A that is coupled to the remaining part.

드레인팬(210)은, 열교환기(210)로부터 낙수되는 응축수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열교환모듈(300) 내부에 응축수에 의한 침수 및 응축수의 비산에 따른 내부 기기의 고장을 예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드레인팬(210)은, 적어도 열교환기(210)의 전장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교환기(210)로부터 낙수되는 응축수가 드레인팬(210) 외의 장소로 낙수되지 않는 넓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drain pan 210 collects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heat exchanger 210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failure of internal devices due to immersion by condensate and scattering of the condensed water inside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do. To this end, the drain pan 210 is preferably formed to be at least long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heat exchanger 210, and more preferably, th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heat exchanger 210 falls to a place other than the drain pan 210 It is better to be formed in an area that does not work.

드레인팬(210)의 상부에는 열교환기(210)의 하부가 거치되는 거치대(311)가 구비될 수 있다. 거치대(311)는 열교환기(2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cradle 311 o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 exchanger 210 is mounted may be provided on the drain pan 210. The cradle 311 serves to support the load of the heat exchanger 210.

한편, 베이스(10)의 일측에는 드레인팬(210)에 의하여 집수된 응축수가 배출되는 응축수 배출홀(10h)이 형성되고, 드레인팬(210)의 바닥면은 열교환기(210)로부터 낙수된 응축수가 자연적으로 응축수 배출홀(10h)이 형성된 일측으로 흘러내리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팬(210)의 일측에는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홀(10h)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응축수 배출홀(10h)을 관통되게 형성된 드레인 관(30h)이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관(30h)은 베이스(10)의 상측에 드레인팬(210)을 설치할 때 응축수 배출홀(10h)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t one side of the base 10, a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10h through which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by the drain pan 210 is discharged is form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pan 210 is condensed water dripping from the heat exchanger 21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naturally flow down to one side where the condensate discharge hole 10h is formed. One side of the drain pan 210 may have a drain pipe 30h formed to pass through the condensate discharge hole 10h so that condensat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condensate discharge hole 10h. When the drain pan 2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the drain pipe 30h passes through the condensate discharge hole 10h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작동시, 열교환모듈(300) 내부와 외부 사이에는 소정의 압력차가 형성되고, 이와 같은 압력차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드레인 관(30h)을 통해 내부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드레인 관(30h)에는 미도시의 트랩장치가 구비되어, 압력차가 최소인 경우 또는 압력차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만 드레인 관(30h)을 개방하여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트랩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During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pressure difference is formed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and the outside air flows through the drain pipe 30h by the pressure difference. There is a risk of inflow into the interior through. To prevent this, a trap device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drain pipe (30h), and the drain pipe (30h) is opened only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is minimal or when external air does not flow in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The trap device can be controlled so that it is discharged.

열교환기(210)는 미도시의 압축기에 의하여 유동되는 냉매를 흡기모듈(100) 또는 혼합모듈(200)로부터 유동되는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heat exchanger 210 performs a function of exchanging heat with air flowing from the intake module 100 or the mixing module 200 of the refrigerant flowing by a compressor (not shown).

열교환기(210)는, 흡기모듈(100) 또는 혼합모듈(200)로부터 유동되는 공기가 전부 통과되도록 열교환모듈(300) 내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The heat exchanger 210 is preferably disposed inside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so that all air flowing from the intake module 100 or the mixing module 200 passes.

한편, 열교환기(210)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외부에 구비된 미도시의 실외기 또는 칠러로부터 냉매를 공급하거나 다시 실외기 또는 칠러로 회수하는 냉매 순환 배관(325)이 구비되고, 냉매 순환 배관(325)은 케이스 패널(30)의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냉매관 관통홀을 통하여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exchanger 210 is provided with a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325 for supplying refrigerant from an outdoor unit or chiller, not shown, provided outside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recovering it back to the outdoor unit or chiller. In additio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325 may be installed to pass through a refrigerant pipe through hol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n one side of the case panel 30.

열교환모듈(300)은, 도 29의 (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모듈을 적어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흡기모듈(100) 및 배기모듈(400)의 분리격벽(107) 또는 혼합모듈(200)의 댐퍼 쉴드(230)와 같이 열교환모듈(300)의 내부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윈드 쉴드(340)가 구비될 수 있다. 윈드 쉴드(340)는, 분리격벽(107) 및 댐퍼 쉴드(230)와 같이 미들 프레임(20B)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케이스 패널(30)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케이스 패널(30) 중 하나일 필요는 없으며, 열교환기(210) 측으로 유동 공기를 안내하는 구성이라면 본 발명에서의 윈드 쉴드(340)로 정의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The heat exchange module 300 is a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or a mixing module of the intake module 100 and the exhaust module 400 that divides one module into at least two spaces, as shown in FIG. 29B. Like the damper shield 230 of 200, a wind shield 340 that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into two spaces may be provided. The windshield 340 may be one of the case panels 30 that are slidably coupled to the middle frame 20B, such as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and the damper shield 230.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not necessarily one of the case panels 30 and may be defined as the windshield 340 in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a configuration that guides flowing air toward the heat exchanger 210.

윈드 쉴드(340)는, 열교환기(2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열교환기(210)와 열교환모듈(300) 내부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유동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열교환기(210)로 유동 공기 전부가 자연스럽게 유동되도록 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윈드 쉴드(340)에는, 분리격벽(107)의 연통구(107A) 및 댐퍼 쉴드(230)의 연통구와 동일한 연통구(미도시)가 형성되되, 윈드 쉴드(340)의 연통구는 대략 일측에 설치되는 열교환기(21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210)는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상하로 적층 배열될 수 있다.The windshield 34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r 210 to prevent flowing air from escap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heat exchanger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and the heat exchanger 210 ), it serves to guide all of the air flowing naturally. To this end, in the windshield 340, the communication port 107A of the separating partition 107 and the communication port (not shown) identical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damper shield 230 are formed, but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windshield 340 is approximately It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heat exchanger 210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heat exchanger 210 may be arranged in a single or multiple stacked up and down.

열교환기(210)는 열교환모듈(300) 내부에 유동하는 공기가 순차적으로 복수의 열교환기(210)와 열교환되도록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210)가 직렬로 배치될 경우, 열교환모듈(3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복수의 열교환기(210) 중 어느 하나와 열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210 may be arranged in series so that air flowing inside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is sequentially heat-exchanged with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rs 210. When the heat exchangers 210 are arranged in series, the air flowing inside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may be configured to heat exchange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rs 210.

공조 공기의 온도를 빠르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직렬연결이 유리하지만, 열교환하는 공기의 양을 빠르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병렬연결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210)는 열교환모듈(300) 내부에 유동하는 공기가 선택적으로 복수의 열교환기(210)와 열교환되도록 병렬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A series connection is advantageous to quick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ing air, but a parallel connection may be advantageous to quickly control the amount of heat exchanged air. Accordingly, the heat exchanger 21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the air flowing in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selectively heat exchange with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rs 210.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assembling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조립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30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베이스 프레임(11A,11B,15)을 조립하여 베이스(10)를 형성하는 베이스 형성 단계와, 베이스 형성 단계에 의하여 형성된 베이스(10)의 상부에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을 조립하여 모듈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조립 단계 및 프레임 조립 단계에 의하여 형성된 모듈의 골격에 케이스 패널(30)을 슬라이딩 삽입하여 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패널 조립 단계를 포함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for forming a base 10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base frames 11A, 11B, 15, as shown in FIG. 30 A frame assembly step in which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re assembled on top of the base 10 formed by the forming step and the base forming step to form the skeleton of the module and the case panel ( 30) by sliding and inserting the case panel to form the exterior of the module.

여기서, 각 모듈의 내부에 위치되어 각 모듈별 기능을 수행하는 내부 구성품(50)은 상술한 프레임 조립 단계 후에 조립하여도 무방하나, 조립시 조립자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부 구성품(50)은 프레임 조립 단계 전에 조립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조립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내부 구성품 조립 단계라 칭하고, 본 발명은, 프레임 조립 단계 전, 모듈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구성품(50)을 선조립하는 내부 구성품 조립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ternal components 50 that are located inside each module and perform a function for each module may be assembled after the above-described frame assembly step, but in order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assembler during assembly, the internal components 50 ) Can be assembled prior to the frame assembly step. This is referred to as an internal component assembly step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pre-assembles the internal component 50 mounted inside the module before the frame assembly step.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assembling the internal components.

케이스 패널 조립 단계는,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구되게 조립된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에 일단부 또는 양단부가 끼워져 폐쇄된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단계이다.The case panel assembling step is a step in which one end or both ends ar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ssembled to have at least one side open, and are slidably coupl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closed side.

그러나, 반드시 이미 구축된 모듈프레임(20)을 기준으로 케이스 패널(30)이 조립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케이스 패널(30)의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모듈프레임(20)을 케이스 패널(30)에 대하여 조립한 후, 일체의 조립체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조립 방법은 비교적 중량이 커서 많은 수의 조립자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는 바, 1명 또는 2명의 조립자만으로도 충분히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을 조립할 수 있는 전자의 조립방법이 더 바람직하다.However, the case panel 3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ssembled based on the already constructed module frame 20, but the module frame 20 is assembled with respect to the case panel 30 so as to form the rim of the case panel 30. After that,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integral assemblies. The latter assembly method is relatively heavy and has a problem that a large number of assemblers are required.The former assembling method is more preferable to assemble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ly with only one or two assemblers. Do.

한편, 내부 구성품 조립 단계는, 각 모듈별 기능이 상이하여 모듈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품(50)이 상이하기는 하지만, 적어도 모듈의 내부를 완전히 구획하는 내부 구성품(50)(예를 들면, 상술한 흡기모듈(100) 및 배기모듈(400)의 분리격벽(107), 혼합모듈(200)의 댐퍼 쉴드(230) 및 열교환모듈(300)의 윈드 쉴드(340))은 케이스 패널(30)의 모듈프레임(20)에 대한 결합 방식인 슬라이딩 결합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모듈프레임(20) 중 미들 프레임(20B)에 결합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ep of assembling the internal components, the components 50 disposed inside the modules are different due to different functions for each module, but at least the internal components 50 (e.g., the above-described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07 of the intake module 100 and the exhaust module 400, the damper shield 230 of the mixing module 200, and the wind shield 340 of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are modules of the case panel 30. It may be a step of coupling to the middle frame 20B of the module frame 20 in the same manner as the sliding coupling method, which is a coupling method for the frame 2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의 조립방법을 첨부된 도면(특히, 도 30)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ssembly method of the air handl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particular, FIG. 30).

먼저, 복수개의 베이스 프레임(11A,11B,15)을 이용하여 각 모듈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10)를 조립한다. 이때, 인접하는 모듈과의 간편한 결합을 위하여 베이스(10)의 개구된 부분(12)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First, the base 10 supporting the load of each module is assembled using a plurality of base frames 11A, 11B, 15.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 portion 12 of the base 10 is disposed to face the outside for easy coupling with adjacent modules.

다음으로, 베이스(10)의 상부에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 및 케이스 패널(30)에 의하여 기 조립된 하부 커버(30A)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Next, the lower cover 30A, which is pre-assembled by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and the case panel 30, is firmly fix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10.

그리고,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을 이용하여 모듈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조립 단계 전에 각 모듈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구성품(5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8에 참조된 바와 같이, 흡기모듈(100) 및 배기모듈(400)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내부 구성품(50)인 팬모듈(101,401)을 원심챔버(C2)에 해당하는 위치에 먼저 조립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internal components 50 disposed inside each module before the frame assembly step of forming the skeleton of the module using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28, the fan modules 101 and 401, which are internal components 50 commonly included in the intake module 100 and the exhaust module 400, ar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centrifugal chamber C2. Assemble it first.

다음으로, 적어도 2개의 모듈프레임(20)을 미들 프레임(20B)의 양단에 배치된 미들 커넥터(40B)를 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시킨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의 내부를 적어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성품(50)(분리격벽(107), 댐퍼 쉴드(230), 윈드 쉴드(340))을 케이스 패널(30)의 결합 방식과 마찬가지의 결합 방식으로 양측의 미들 프레임(20B)에 양단부가 끼움되도록 슬라이딩 결합시킨다.Next, at least two module frames 20 are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middle connectors 40B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middle frame 20B, and then, as described above, the inside of the module is connected to at least two spaces. The partitioning component 50 (separation partition 107, damper shield 230, windshield 340) is connected to the middle frame 20B on both sides in the same way as the case panel 30. Sliding to fit.

그리고,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을 이용하여 나머지 골격을 형성한 후, 순차적으로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구되게 조립된 복수개의 모듈프레임(20)에 일단부 또는 양단부가 끼워져 폐쇄된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케이스 패널(30)을 맞춤 결합시켜 모듈의 외관을 완성시키게 된다.And, after forming the rest of the skeleton using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one end or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20, which are sequentially assembled with at least one side open, and slide in the closed direction of the other side. The case panel 30 is fitted and coupled as possible to complete the appearance of the module.

이와 같이 완성된 각 모듈은,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흡기모듈(100), 혼합모듈(200), 열교환모듈(300) 및 배기모듈(400)의 순서대로 배치한 후, 각 베이스(10)의 결합 부분 및 누기 방지 클램프(60)를 이용하여 공조 공기가 유동되는 모듈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누기가 차단되도록 견고하게 고정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Each module thus completed is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intake module 100, the mixing module 200, the heat exchange module 300, and the exhaust module 400, as shown in FIGS. The assembly is completed by firmly fix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ase 10 and the leakage preventing clamp 60 so that leakag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dule through which air-conditioning air flows is blocked.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 및 그 조립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handling unit and the assembl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in an equivalent rang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possible. something to do. Therefore, it will be said that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 에어 핸들링 유닛 10: 베이스
20: 모듈프레임 30: 케이스 패널
50: 내부 구성품 100: 흡기모듈
200: 혼합모듈 300: 열교환모듈
400: 배기모듈
1: air handling unit 10: base
20: module frame 30: case panel
50: internal components 100: intake module
200: mixing module 300: heat exchange module
400: exhaust module

Claims (28)

소정 형상을 가진 모듈의 외관 골격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모듈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모듈프레임에 의하여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듈의 외관면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케이스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케이스 패널은,
상기 모듈의 내부면을 형성하는 내판과;
상기 내판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외측에 평행 배치되어 외부면을 형성하는 외판과,
상기 내판과 외판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단부를 마감시키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모듈프레임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모듈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조인트 부재; 및,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각각 대향되는 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모듈프레임에 대한 슬라이딩 결합시 상기 모듈프레임과의 사이에 누기를 차단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forming an external skeleton of a modul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having at least one sliding rib protru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sliding rail groove that is slidably coupled by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is forme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ase panels forming an exterior surface of the module,
The plurality of case panels,
An inner plate forming an inner surface of the module;
An outer plate disposed in parallel on the outside to form an outer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joint member disposed to close an end portion along an edge portion of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and to block heat transfer from the inside of the module to the outside; And,
Including an insulating material filled between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An air handl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ing rail groove to opposite surfaces, and blocking leakage between the module frame and the module frame when slidingly coupled to the module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모듈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커넥팅 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ir handl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모듈프레임은,
상기 모듈의 외관 중 모서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모서리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모서리 프레임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되, 상기 모듈의 꼭지점에 연결되지 않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A plurality of corner frames forming corners of the exterior of the module;
An air handling unit comprising a middle frame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rner frames and not connected to a vertex of the modul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모듈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커넥팅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부재는,
상호 직교되게 배치된 3개의 삽입 단부에 상기 복수의 모서리 프레임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모듈의 꼭지점을 형성하는 코너 커넥터와;
일직선상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모서리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양단부에 직교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단부에 상기 미들 프레임이 상기 모서리 프레임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미들 커넥터를 포함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The connecting member,
A corner connector for forming a vertex of the module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rner frames to the three insertion ends arranged to be mutually orthogonal;
An air handling unit comprising a middle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orner frame to each of both ends of a straight line, and connecting the middle frame to at least one insertion end orthogonal to the both 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rner fram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부재는, 상기 모듈프레임과의 사이에 개재된 실링 패드를 더 포함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nect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 sealing pad interposed between the module frame and the air handling uni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링 패드는, 상기 커넥팅 부재의 각 삽입 단부에 끼워지는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of claim 5,
The sealing pad is an air handling unit fitted to each insertion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 단부는 상기 모듈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된 후, 상기 모듈프레임의 단부를 동시에 관통하는 스크류에 의하여 스크류 고정되는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of claim 4,
The insertion end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module frame, and then screw-fixed by a screw passing through the end of the module frame at the same ti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joint member is an air handling unit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내판 및 외판에 비하여 열전도율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진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joint member is an air handling unit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조인트 부재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part,
An air handling unit formed inside the sliding rail groove and integrally injection-molded with the joint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조인트 부재에 비하여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handling unit made of a softer material than the joint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동일한 길이만큼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되, 각각 돌출된 상기 실링부의 선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두께보다 작게 돌출되는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part,
A predetermined length protrudes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ing rail groov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by the same length,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ding ends of the sealing portions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iding rib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groove. Air handling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은,
개구 단부의 개구 길이보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의 일측면 및 타측면 사이의 거리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동일한 길이만큼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되, 각각 돌출된 상기 실링부의 선단 사이의 거리는 슬라이딩 레일홈의 개구 단부의 개구 길이보다 작게 돌출되는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iding rail groove,
The distance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ing rail groove is formed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opening of the opening end,
The sealing part,
An air handling unit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by the same length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ing rail groov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ding ends of the sealing portions is smaller than the opening length of the opening end of the sliding rail groove.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동일한 길이만큼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되, 각각 돌출된 상기 실링부의 선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두께보다 작게 돌출되는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aling part,
A predetermined length protrudes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ing rail groov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by the same length,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ding ends of the sealing portions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iding rib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groove. Air handling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듈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베이스 프레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개구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모듈의 하부 커버와 조립되는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ase disposed under the module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module,
The base,
An air handling unit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base frames that are elongated to have a "C"-shaped cross section, and the open portion is disposed to face the outside, and is assembled with the lower cover of the modul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 상단에는,
상기 하부 커버의 테두리와 스크류 결합을 매개하는 복수개의 마운팅 브라켓이 구비된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of claim 16,
At the top of the rim of the base,
An air handling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brackets that mediate screw coupling with the rim of the lower cover.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하부 커버의 테두리 경사면에 면착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of claim 17,
The air handling unit is form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mounting brackets are bent to fac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im of the lower cover.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프레임의 양단에는 인접하는 모듈의 베이스 프레임과 면접되게 볼트 결합되도록 상기 개구된 부분 내측으로 관통되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연결 플랜지가 구비된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of claim 16,
An air handling unit having a connection flang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base frames with bolt fastening holes penetrating into the opened portion so as to be bolted to the base frame of an adjacent modul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프레임에는, 상기 모듈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열전달 차단부가 구비된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An air handling unit provided with a heat transfer blocker configured to block heat transfer from the inside of the module to the outside of the middle frame.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프레임은, 상기 모듈의 내부 공간 측에 인접되게 배치되되 폐단면을 갖는 제1중공부를 형성하는 제1골격부와, 상기 제1골격부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모듈의 외측에 인접되게 배치되되 폐단면을 갖는 제2중공부를 형성하는 제2골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 차단부는,
상기 제1골격부와 상기 제2골격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인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of claim 20,
The middle fram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space side of the module, a first skeleton portion forming a first hollow portion having a closed cross-section,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first skeleton portion, and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module. It includes a second skeleton portion that is disposed to form a second hollow portion having a closed cross-section,
The heat transfer blocking unit,
An air handling unit that is a connecting portion for interconnecting the first skeleton portion and the second skeleton portion.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차단부는,
상기 제1골격부와 상기 제2골격부 사이에 폐단면을 갖는 제3중공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골격부 및 상기 제2골격부를 연결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of claim 21,
The heat transfer blocking unit,
An air handling unit that connects the first skeleton portion and the second skeleton portion to form a third hollow portion having a closed cross-section between the first skeleton portion and the second skeleton portion.
청구항 21 또는 청구항 22에 있어서,상기 제1골격부 및 상기 제2골격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전달 차단부는, 폴리 아미드 재질로 이루어진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1 or 22, wherein the first skeleton and the second skeleton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heat transfer blocking unit is an air handling unit made of a polyamide material.
청구항 21 또는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1골격부 및 상기 제2골격부에는, 상기 열전달 차단부의 단부가 결합되는 리테이닝부가 돌출 형성된 에어 핸들링 유닛.
The method of claim 21 or 22,
An air handling unit having a retain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skeleton portion and the second skeleton portion to which an end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blocking portion is coupled.
복수개의 베이스 프레임을 조립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베이스 형성 단계;
상기 베이스 형성 단계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복수개의 모듈프레임을 조립하여 모듈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조립 단계; 및
상기 프레임 조립 단계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모듈의 골격에 케이스 패널을 슬라이딩 삽입하여 상기 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패널 조립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패널 조립 단계는,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구되게 조립된 상기 복수개의 모듈프레임에 상기 케이스 패널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가 끼워져 폐쇄된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하되,
상기 케이스 패널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홈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각각 대향되는 면으로 실링부가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에 상기 모듈프레임에서 돌출된 슬라이딩 리브가 삽입되는 에어 핸들링 유닛의 모듈 조립방법.
A base forming step of assembling a plurality of base frames to form a base;
A frame assembly step of assembling a plurality of module frames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ormed by the base forming step to form a skeleton of the module; And
A case panel assembly step of forming an exterior of the module by sliding a case panel into the frame of the module formed by the frame assembling step,
The case panel assembly step,
One end or both ends of the case panel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module frames assembled to have at least one side open, and slid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closed,
The sealing portion protrudes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ing rail groove formed on the case panel to each of the opposite sides,
A module assembly method of an air handling unit in which a sliding rib protruding from the module frame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groove.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조립 단계 전, 상기 모듈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구성품을 선 조립하는 내부 구성품 조립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의 모듈 조립방법.
The method of claim 25,
Before the frame assembly step, the module assembly method of the air handling uni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ssembling an internal component pre-assembled internal components mounted inside the module.
삭제delete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내부 구성품 조립 단계는,
상기 모듈의 내부를 완전히 구획하는 내부 구성품은 상기 케이스 패널의 상기 모듈프레임에 대한 결합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모듈프레임 중 미들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조립식 에어 핸들링 유닛의 모듈 조립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The step of assembling the internal components,
The module assembly method of the prefabricated air handling unit in which the internal components completely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module are coupled to the middle frame of the module frames in the same manner as the coupling method of the case panel to the module frame.
KR1020140047645A 2013-10-23 2014-04-21 Air Handling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it KR1022330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20,708 US9857093B2 (en) 2013-10-23 2014-10-22 Air handler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air handler
EP14189949.2A EP2884191B1 (en) 2013-10-23 2014-10-22 Air handler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air handler
CN201410575029.2A CN104566687B (en) 2013-10-23 2014-10-23 Air processor and the method for assembling air proc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283 2013-10-23
KR20130126283 2013-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073A KR20150047073A (en) 2015-05-04
KR102233043B1 true KR102233043B1 (en) 2021-03-29

Family

ID=53386212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645A KR102233043B1 (en) 2013-10-23 2014-04-21 Air Handling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it
KR1020140047648A KR102184539B1 (en) 2013-10-23 2014-04-21 Air Handling Unit
KR1020140047642A KR102184542B1 (en) 2013-10-23 2014-04-21 Air Handling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a fan module
KR1020140047644A KR102184541B1 (en) 2013-10-23 2014-04-21 Air Handling Unit
KR1020140047647A KR102184540B1 (en) 2013-10-23 2014-04-21 Air Handling Unit
KR1020140057395A KR101663509B1 (en) 2013-10-23 2014-05-13 Air Handling Unit
KR1020160056402A KR102058040B1 (en) 2013-10-23 2016-05-09 Air Handling Unit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648A KR102184539B1 (en) 2013-10-23 2014-04-21 Air Handling Unit
KR1020140047642A KR102184542B1 (en) 2013-10-23 2014-04-21 Air Handling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a fan module
KR1020140047644A KR102184541B1 (en) 2013-10-23 2014-04-21 Air Handling Unit
KR1020140047647A KR102184540B1 (en) 2013-10-23 2014-04-21 Air Handling Unit
KR1020140057395A KR101663509B1 (en) 2013-10-23 2014-05-13 Air Handling Unit
KR1020160056402A KR102058040B1 (en) 2013-10-23 2016-05-09 Air Handling Uni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7) KR102233043B1 (en)
ES (1) ES2663294T3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914B1 (en) * 2015-07-28 2016-08-11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modul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module
KR102522061B1 (en) * 2016-09-28 202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unit
KR102594728B1 (en) * 2016-09-28 2023-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102128462B1 (en) * 2018-05-04 2020-06-30 주식회사 참에스엠피 Casing for industrial air conditions
CN109028311A (en) * 2018-09-20 2018-12-18 中国扬子集团滁州扬子空调器有限公司 A kind of cabinet type fan coiler unit
CN109040879A (en) * 2018-10-11 2018-12-18 深圳库森科技贸易有限公司 A kind of dust-proof sound equipment
KR102231863B1 (en) * 2019-06-25 2021-03-24 박문조 Prefabricated block frame for air cleaner
KR102334042B1 (en) * 2020-02-25 2021-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0495412Y1 (en) * 2020-07-10 2022-05-18 이재복 Insulation bar
KR102383729B1 (en) * 2020-08-31 2022-04-05 문명호 Impeller exhaust system with improved assembly
KR102256310B1 (en) * 2020-11-06 2021-05-25 이준엽 Power management type air conditioner
KR102445333B1 (en) * 2021-09-13 2022-10-07 휴미텍코리아(주) Frame assembly for damper and corner block theref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1141A (en) * 2006-03-31 2007-10-18 Kubota Corp Air-conditioner
KR100857094B1 (en) * 2008-01-11 2008-09-05 주식회사 세원기연 Energy saving air-conditioner with function of cut-off dewdropping and humidity
KR100860369B1 (en) * 2007-07-11 2008-09-25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vc frame structure of preventing dew condensation for air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4232A1 (en) * 1989-03-08 1990-09-14 Thermic Froid REFRIGERATION SYSTEM AND LARGE AREA STORE ARRANGEMENT
JPH06281194A (en) * 1993-03-31 1994-10-07 Toupure Kk Air blowing device
JP3267850B2 (en) * 1996-01-26 2002-03-25 クボタ空調株式会社 Air conditioner
KR20010093368A (en) * 2000-03-28 2001-10-29 구자홍 Net steel assembly of air conditioner
KR100461742B1 (en) * 2000-09-05 2004-12-14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Dew-congestion restraint apparatus of the case for airconditioner
US6658904B2 (en) * 2001-07-13 2003-12-09 Carrier Corporation Panel retention mechanism for air handler cabinet
US6626017B2 (en) * 2001-07-13 2003-09-30 Carrier Corporation Locking mechanism for air handler (AHU) cabinet
US20050055917A1 (en) 2003-08-14 2005-03-17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Corner assembly construction for an air handling unit
KR20050049040A (en) * 2003-11-21 2005-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100949776B1 (en) * 2008-02-13 2010-03-30 제이앤텍 주식회사 Wet dust eliminator with multistage collection layer
JP2010151399A (en) * 2008-12-26 2010-07-08 Kubota Corp Fan device support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KR100906326B1 (en) * 2009-04-17 2009-07-06 씨에이엔지니어링(주) Environment-friendly air-conditioner for preventing of dew phenomenon
KR20100010888U (en) * 2009-04-28 2010-11-05 에이스냉동공조 주식회사 Hood Assembly for Protecting Vibraton of Air Handling Unit
KR101114215B1 (en) * 2009-12-28 2012-03-05 주식회사 세원공업 Net frame for air vent head of ship
US9091280B2 (en) * 2010-04-15 2015-07-28 Nortek Air Solu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ctive sound attenuation in an air handling unit
JP5269156B2 (en) * 2011-07-22 2013-08-21 三洋電機株式会社 Wind direction guide unit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21938B1 (en) * 2012-08-27 2013-01-15 에이스공조(주) An air conditioning equipment for environmental-friendly energy saving
KR101294097B1 (en) * 2013-04-26 2013-08-08 주식회사 세원기연 Energy saving air-conditioner with multi pan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1141A (en) * 2006-03-31 2007-10-18 Kubota Corp Air-conditioner
KR100860369B1 (en) * 2007-07-11 2008-09-25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vc frame structure of preventing dew condensation for airconditioner
KR100857094B1 (en) * 2008-01-11 2008-09-05 주식회사 세원기연 Energy saving air-conditioner with function of cut-off dewdropping and humid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542B1 (en) 2020-11-30
KR20150047075A (en) 2015-05-04
KR102184539B1 (en) 2020-11-30
KR20160055775A (en) 2016-05-18
KR20150047072A (en) 2015-05-04
KR102058040B1 (en) 2019-12-20
KR102184540B1 (en) 2020-11-30
KR20150047071A (en) 2015-05-04
KR20150047074A (en) 2015-05-04
KR20150047073A (en) 2015-05-04
ES2663294T3 (en) 2018-04-11
KR101663509B1 (en) 2016-10-07
KR102184541B1 (en) 2020-11-30
KR20150047079A (en)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043B1 (en) Air Handling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it
US9964330B2 (en) Air handler
EP2884191B1 (en) Air handler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air handler
EP2884196B1 (en) Air händler
EP2884192B1 (en) Air handling unit
KR102201562B1 (en)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342074Y1 (en) Built-in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AU2016340533A1 (en) Air conditioner
KR102594728B1 (en) Air conditioner
WO2009133909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20090170420A1 (en) Air handling unit
KR20180034980A (en) Air conditioner
JP2012117755A (en) Air conditioner
US11774133B2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having a plenum for make-up air
KR20180034979A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