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814B1 -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bridge applying it - Google Patents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bridge apply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814B1
KR102232814B1 KR1020200058790A KR20200058790A KR102232814B1 KR 102232814 B1 KR102232814 B1 KR 102232814B1 KR 1020200058790 A KR1020200058790 A KR 1020200058790A KR 20200058790 A KR20200058790 A KR 20200058790A KR 102232814 B1 KR102232814 B1 KR 102232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nnection
bridge
fast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
정해용
Original Assignee
김성
(주)리튼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 (주)리튼브릿지 filed Critical 김성
Priority to KR1020200058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8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8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comprises: a first steel pipe provided at a preset diameter; a second steel pipe provided at least the diameter of the first steel pipe; a first connection unit provided to the first steel pipe;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provided to the second steel pipe, having one side of which the diameter corresponds to the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to be connected to the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having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second steel pipe.

Description

강관 연결 구조 및 이를 적용한 교량{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BRIDGE APPLYING IT}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bridge applying it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BRIDGE APPLYING IT}

본 발명은 강관 연결 구조 및 이를 적용한 교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경이 상이한 강관을 연결하고 연결된 강관의 중심축이 상이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응력에 대비하기 위해 강관의 내부에 속강관을 마련하는 강관 연결 구조 및 이를 적용한 교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a bridge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and more particularly, a fast steel pipe is provided inside the steel pipe to prepare for stress that may occur due to the connection of steel pipes with different diameters and different central axes of the connected steel pipes. It relates to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a bridge to which it is applied.

강관은 교량과 같은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강관은 운반의 편의를 위해 일정한 길이로 마련되고 현장에서는 대상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 강관을 연결하여 사용한다.Steel pipe i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constructing structures such as bridges. Steel pipes are provided in a certain length for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steel pipes are connected and used in the field to apply to the target structure.

도 1a와 같이, 종래 강관 연결방법은 제1 강관(1)과 제2 강관(2)을 서로 마주하게 한 후 내부에 연결체(3,4,5)를 마련하고 이들을 용접하는 방법을 취하였다.As shown in FIG. 1A,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necting steel pipes took a method of making the first steel pipe 1 and the second steel pipe 2 face each other, and then providing connecting bodies 3, 4, and 5 therein, and welding them. .

그러나 이러한 연결방법은 용접부가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하고 진동에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is connection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welding part is structurally very weak and is disadvantageous to vibration.

이에 따라 도 1b와 같이 정모멘트 최대, 부모멘트 최대에 해당하는 구조적으로 불리한 부분을 피하여야 했으므로 강관연결 계획 및 현장여건에 맞는 강관연결에 어려움이 많았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해 과다설계가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b, structurally unfavorable parts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positive moment and maximum positive moment had to be avoided, so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the steel pipe connection plan and the steel pipe connection suitable for the site conditions, as well as excessive design to ensure structural safety.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inevitable.

등록특허 제10-0945049호(2010.03.05.)Registered Patent No. 10-0945049 (2010.03.0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직경이 다른 강관을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구조적 취약부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직경이 다른 강관을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연결부의 배치 및 형상과 편심 모멘트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강관 내부를 보강함으로써 현장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시공할 수 있고 구조적인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강관 연결 구조 및 이를 적용한 교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nect steel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nect steel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structural weak part, and the arrangement of the connection and It is to provide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a bridge to which it can be properly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by appropriately reinforcing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in response to the shape and eccentric moment, and to ensure structural safe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를 적용한 교량은, 교량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정모멘트 최대 또는 부모멘트 최대에 해당하는 영역과 무관한 부분에 마련되는 제1 강관부; 상기 제1 강관부와 직경이 상이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강관부와 중심축이 상이하도록 결합하고 정모멘트 최대 또는 상기 부모멘트 최대에 해당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제2 강관부; 및 상기 제1 강관부와 상기 제2 강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강관부에 마련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강관부에 마련되되 일측은 상기 제1 연결부의 타측과 직경이 대응되어 상기 제1 연결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2 강관부에 결합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연결본체와 대응하는 직경으로 마련되는 연결본체; 제2 강관부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원형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상기 연결본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2 연결부의 연결본체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전체적으로 'ㄱ'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연결부를 향하는 부분은 곡선형과 직선형의 조합으로 마련되어, 제2 체결부에서 원형의 결합부로 갈수록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가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강관부와 상기 제2 강관부 내부에는 제1 강관부와 제2 강관부의 직경이 다름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편심 모멘트 혹은 편심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고 제1 및 제2 강관부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속강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ridge to which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s applied is provided in a portion irrelevant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positive moment or the maximum negative moment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bridge. Steel pipe section; A second steel pipe portion provided to have a different diameter from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to have a different central axis, and provid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maximum positive moment or a maximum negative momen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steel pipe part and the second steel pipe part, wherein the connection part comprises: a first connection part provided in the first steel pipe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provided on the second steel pipe part, wherei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eel pipe part, and the The second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provided with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body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A circular coupling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And a reinforcing part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and the connection body, the reinforcing part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connection body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wherein the reinforcing part is formed in an'A' shape as a whole, and faces the first connection part. The portion is provided in a combination of a curved type and a straight type, and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to the circular connect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fast steel pipe is provided to resist an additional eccentric moment or an eccentric torsional moment that may occur due to the difference in diameter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portions, an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portions.

상기 속강관은 상기 제1 강관부 또는 제2 강관부와 동심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 steel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oncentric shaft with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or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상기 속강관과 상기 제1 또는 제2 강관부를 연결하는 십자형의 내부 연결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a cross-shaped internal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ast steel pipe and the first or second steel pipe portion is provided.

상기 속강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강관부의 내주면에 연결되는 '+'형 또는 'X'형의 내부 연결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ype or'X'-type internal connection part is provided through the fast steel pipe and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steel pipe part.

상기 속강관은 상기 제1 또는 제2 강관부와 동심축으로 마련되지 않고 상기 제1 또는 제2 강관부의 상하방향 축과 횡방향 축 중심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 steel pipe is not provided with a concentric shaft with the first or second steel pipe part, but is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vertical axis and the transverse axis of the first or second steel pipe par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 속강관은 상기 제1 또는 제2 강관부의 내측 상부 또는 내측 하부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 steel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come into contact with an inner upper portion or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first or second steel pipe portion.

상기 속강관은 상기 제1 또는 제2 강관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1 또는 제2 강관의 중심축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 steel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steel pipe and a central axis of the first or second steel pipe.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적 취약부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직경이 다른 강관을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부의 배치 및 형상과 편심 모멘트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강관 내부를 보강함으로써 현장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시공할 수 있고 구조적인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nect steel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structurally weak part, and by appropriately reinforcing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in response to the arrangement and shape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eccentric moment, it can be properly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And structural safety can be guaranteed.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강관 연결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따라 연결된 강관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가 적용된 교량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가 적용된 교량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가 적용된 교량의 제1 실시예 측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가 적용된 교량의 제2 실시예 측면도,
도 6a는 도 5a의 A2-A2에서 본 교량의 단면도,
도 6b는 도 5a의 B2-B2에서 본 교량의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k는 도 5a의 C2-C2에서 본 교량의 단면도이다.
Figure 1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1B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steel pipe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eel pipe connected according to Figure 2a,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ridge to which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5A is a plan view of a bridge to which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5B is a sid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bridge to which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5C is an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bridge to which the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example is applied,
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idge viewed from A2-A2 of Figure 5a,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idge viewed from B2-B2 of FIG. 5A,
7A to 7K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bridge viewed from C2-C2 of FIG. 5A.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따라 연결된 강관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가 적용된 교량의 단면도이다.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pipe connected according to FIG. 2A, and FIGS. 3A and 3B are a steel pip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and FIGS. 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ridge to which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는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마련되는 제1 강관(20), 제1 강관(20)의 직경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2 강관(10), 제1 강관(20)에 마련된 제1 연결부(40), 및 제2 강관(10)에 마련되는 제2 연결부(30)를 포함한다.The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steel pipe 20 provided with a preset diameter, the second steel pipe 10 provided with a diameter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steel pipe 20, and the first steel pipe 20. The provided first connection part 4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0 provided in the second steel pipe 10 are included.

제1 강관(20)은 그 단면이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단면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steel pipe 20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but the cross-sectional shape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shape and may be provided in a polygonal shape if necessary.

제1 강관(20)의 일측에는 제1 연결부(40)이 결합된다. 제1 연결부(40)와 제1 강관(20)은 용접 혹은 볼트나 너트와 같은 체결장치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결합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 first connection part 4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teel pipe 20.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0 and the first steel pipe 20 may be coupled by welding or a fastening device such as a bolt or a nut, but the coupling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연결부(40)는 단면이 원형으로 마련되는 제1 연결본체(41), 제1 연결본체(41)의 타측에 마련되며 제1 강관(20)의 일측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제1 결합부(45), 제1 연결본체(41)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2 연결부(3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 체결부(37)와 결합하는 제1 체결부(47)을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ion part 4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41 and the first connection body 41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teel pipe 20. 45, and a first fastening portion 47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41 and coupled with a second fastening portion 37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제2 연결부(30)는 제1 연결부(40)의 제1 연결본체(341)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마련되는 제2 연결본체(31), 제2 강관(10)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원형의 결합부(35), 결합부(35)와 제2 연결본체(31)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되 제2 연결부(30)의 제2 연결본체(31)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33)를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30 i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connection body 31 and the second steel pipe 10 provided with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341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40 It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circular coupling portion 35, the coupling portion 35 and the second connection body 31 having a reinforcing portion that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second connection body 31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0 ( 33).

제1 강관(20)과 제2 강관(10)은 중심축이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하며, 제1 및 제2 연결부의 연결본체(41, 31)은 서로 대응되는 직경으로 연결된다.The first steel pipe 20 and the second steel pipe 10 are coupled so that their central ax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bodies 41 and 31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rresponding diameters.

제1 체결부(47)와 제2 체결부(37)은 서로 맞댐된 후, 볼트나 너트와 같은 체결장치에 의해 체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art 47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37 may be provided to be fastened by a fastening device such as a bolt or nut after being abutted to each other.

도 4a는 제2 강관(10) 측을 바라본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2 연결본체(31)의 외주면은 제2 강관(1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마련되고 제2 연결본체(31)와 제2 강관(1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다수 개의 보강부(39a, 39b)가 마련된다.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steel pipe 10 as viewed from the side. 4A,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31 is provided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teel pipe 10, and a plurality of Four reinforcing portions 39a and 39b are provided.

여기서 보강부(39a)는 보강부(33)과 동일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ㄱ'자형으로 형성되되 제1 연결부(40)를 향하는 부분은 곡선형과 직선형의 조합으로 마련되어, 제2 체결부(37)에서 원형의 결합부(35)로 갈수록 교량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가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된다.Here, the reinforcement part 39a is the same as the reinforcement part 33 and is formed in a'b' shape as a whole, but the portion fac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40 is provided in a combination of a curved shape and a straight shape, and in the second fastening part 37 It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circular coupling part 35.

보강부(33)는 제1 연결본체의 강성을 보강함은 물론 제1 연결부의 타측에서부터 제2 강관의 일측 단부까지 제2 연결부의 중립축이 급격한 선형적 변화를 겪지 않고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부의 구조적 안전성을 제고시킨다.The reinforcing part 33 not only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but also allows the neutral axis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to be connected naturally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one end of the second steel pipe without experiencing a sudden linear change. Improve safety.

도 4b는 제1 강관(20)에 제1 연결본체(41)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며, 도 4c는 제1 체결부(47)와 제2 체결부(37)가 체결장치에 의해 결합한 것을 나타낸다.4B shows that the first connection body 41 is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pipe 20, and FIG. 4C shows that the first fastening part 47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37 are connected by a fasten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직경이 상이한 강관이라도 연결부에 의해 강관의 상측부가 단차없이 연결될 수 있으며, 보강부에 의해 강관들의 중립축의 상이함으로 인한 구조적 불안전성을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steel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eel pipe without a step by the connecting portion, and structural instabilit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neutral axis of the steel pipes can be eliminated by the reinforcing por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가 적용된 교량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가 적용된 교량의 제1 실시예 측면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가 적용된 교량의 제2 실시예 측면도이고, 도 6a는 도 5a의 A2-A2에서 본 교량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5a의 B2-B2에서 본 교량의 단면도이며, 도 7a 내지 도 7k는 도 5a의 C2-C2에서 본 교량의 단면도이다.5A is a plan view of a bridge to which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5B is a sid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bridge to which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A sid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bridge to which the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pplied, FIG. 6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idge viewed from A2-A2 of FIG. 5A, and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idge viewed from B2-B2 of FIG. 5A, 7A to 7K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bridge viewed from C2-C2 of FIG. 5A.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 구조가 적용된 교량에서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는 지점부(200)가 마련된 적어도 3경간 연속 지점을 가진 교량을 예시하고 있다. 5A and 5B, in a bridge to which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exemplify a bridge having at least three consecutive points provided with a branch 200.

그러나, 도 1b와 같은 2 경간 연속보를 가진 교량을 고려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도 5c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강간거더들의 직경이 모두 동일한 직경의 강관으로 마련되는 것도 도 5b와 균등한 범주이다.However, it is of course possible to consider a bridge having two spans of continuous beams as shown in FIG. 1B, and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5C, all the diameters of the rape girders are provided with steel pipes of the same diameter, which is equivalent to that of FIG. 5B.

이 경우, 교량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정모멘트 최대 또는 부모멘트 최대에 해당하는 영역은 지점부 및 지점부 근처와 경간의 중앙부에 해당한다.In this case,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positive moment or the maximum negative moment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bridge corresponds to the point, near the point, and the center of the span.

따라서, 교량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정모멘트 최대 또는 부모멘트 최대에 해당하는 영역과 무관한 영역은 부모멘트 최대부와 정모멘트 최대부 사이인 도 5a에서 C2-C2 부근의 영역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바로 이 영역이 제1 강관부가 마련되는 곳이며, 이에 따라 제1 강관부의 강관의 직경은 정모멘트 최대 또는 상기 부모멘트 최대에 해당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제2 강관부의 직경 이하에 해당한다. 제2 강관부는 제1 강관부와 직경이 상이하게 마련되며 제1 강관부와 중심축이 상이하도록 결합하고, 정모멘트 최대 또는 상기 부모멘트 최대에 해당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강관부이다.Accordingly, the region irrelevant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positive moment or the maximum positive moment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bridge may correspond to the region near C2-C2 in FIG. 5A, which is between the maximum positive moment and the maximum positive moment. . This region is where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is provided, and accordingly, the diameter of the steel pipe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provid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positive moment or the maximum negative moment.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is a steel pipe portion that is provided in a different diameter from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is coupled to have a different central axis from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and is provid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positive moment or the maximum negative moment.

연결부는 제1 강관부와 제2 강관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도 2a 내지 도 3b와 같은 연결부와 동일한 것으로 마련된다.The connection part connects the first steel pipe part and the second steel pipe part, and is provided in the same way as the connection part shown in FIGS. 2A to 3B.

연결부는 도 5a 및 도 5b에서 F.S에 해당하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C2-C2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에 연결부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The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in a part corresponding to F.S in FIGS. 5A and 5B,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illustrated that the connection part is provided in a part corresponding to part C2-C2.

제1 강관부와 제2 강관부는 단일 강관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제1 강관부와 제2 강관부의 직경이 다름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응력(비틀림, 휨 등)에 대비하기 위해 제1 강관부와 제2 강관부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 강관부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속강관(130a, 130b, 130c)이 마련된다.The first steel pipe part and the second steel pipe part may be provided as a single steel pipe, but in order to prepare for additional stresses (torsion, warpage, etc.) that may occur due to the difference in diameter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parts, the first steel pipe part Fast steel pipes 130a, 130b, and 130c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portions are provided inside the and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도 6a를 참조하면, 도 5a에서 A2-A2에 해당하는 최대 정모멘트부에 해당하는 부분인 제2 강관부가 마련되며, 여기서는 강관(120a), 강관(120a)의 내부에 마련되는 속강관(130a)이 배치되며, 강관(120a)과 속강관(130a)를 연결하는 내부 연결부(141)이 마련된다.6A, a second steel pipe portion, which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positive moment portion corresponding to A2-A2 in FIG. 5A, is provided, and here, a steel pipe 120a, a fast steel pipe 130a provided inside the steel pipe 120a ) Is disposed, and an internal connection part 141 connecting the steel pipe 120a and the fast steel pipe 130a is provided.

강관(120a)과 속강관(130a)은 동심축으로 마련되며, 내부 연결부(141)는 다수 개의 부분에서 강관(120a)과 속강관(130a)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 연결부(141)는 미도시하였지만 속강관(130a)을 관통하여 강관(120a)의 내주면에 결합하면서 '+'형 또는 'X'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steel pipe 120a and the fast steel pipe 130a are provided with a concentric shaft, and the internal connection part 141 may be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steel pipe 120a and the fast steel pipe 130a in a plurality of portion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ternal connection part 141 may be provided in a'+' type or'X' type while passing through the fast steel pipe 130a and being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20a.

도 6b를 참조하면, 도 5a에서 단면 B2-B2에 해당하는 최대 부보멘트부 부근에 해당하는 제2 강관부가 마련되며, 여기서는 강관(120b), 강관(120b)의 내부에 마련되는 속강관(130b)이 배치되며, 강관(120b)과 속강관(130b)를 연결하는 내부 연결부(143)이 마련된다.Referring to FIG. 6B, in FIG. 5A, a second steel pip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icinity of the maximum minor momen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B2-B2 is provided, and here, the steel pipe 120b, the fast steel pipe 130b provided inside the steel pipe 120b ) Is disposed, and an internal connection part 143 connecting the steel pipe 120b and the fast steel pipe 130b is provided.

내부 연결부(143)는 다수 개의 부분에서 강관(120b)과 속강관(130b)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 연결부(143)는 미도시하였지만 속강관(130b)을 관통하여 강관(120b)의 내주면에 결합하면서 '+'형 또는 'X'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internal connection part 143 may be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steel pipe 120b and the fast steel pipe 130b in a plurality of portion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ternal connection part 143 may be provided in a'+' type or'X' type while passing through the fast steel pipe 130b and being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20b.

도 7a 내지 도 7k는 도 5a의 C2-C2에서 본 교량의 단면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C2-C2 부분에서 B2-B2 방향을 본 단면도로서 연결부 자체에 대한 단면도는 아니고 B2-B2 방향의 강관 내부에 대한 강관과 속강관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7A to 7K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bridge viewed from C2-C2 of FIG. 5A. More specifically, it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portion C2-C2 in the direction B2-B2, and is not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part itself, but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teel pipe and the fast steel pipe in the steel pipe in the direction B2-B2.

도 7a는 속강관(130c)과 강관(120b)가 동심축으로 마련되는 것을 나타내며, 강관(120b)와 속강관(130c) 사이에는 속강관(130c)과 강관(120b)을 연결하는 십자형의 내부 연결부(140c)가 마련될 수 있다. 강관(120b)의 내주면에는 콘크리트와 결합할 수 있는 전단 연결부(t)가 마련될 수 있다.Figure 7a shows that the fast steel pipe (130c) and the steel pipe (120b) are provided with a concentric shaft, and between the steel pipe (120b) and the fast steel pipe (130c), a cross-shaped interior connecting the fast steel pipe (130c) and the steel pipe (120b) The connection part 140c may be provided. A shear connection part t capable of being combined with concret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20b.

도 7b와 같이 내부 연결부(140g1, 140g2)는 속강관(130c)을 관통하여 '+'형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B, the internal connection portions 140g1 and 140g2 may b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ast steel pipe 130c to form a'+' shape.

도 7c와 같이 내부 연결부(140h1, 140h2, 140h3)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연결부(140h1)는 상하 방향으로 속강관(130c)을 관통하고 내부 연결부(140h2, 140h3)는 각각 속강관(130c)의 상부 및 하부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c와 비슷하게 도 7f에서 내부 연결부(140k1)은 속강관(130c)을 상하방향으로 양측에서 접하도록 마련되며, 내부 연결부(140k2)는 횡방향으로 속강관(130c)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c, any one of the internal connection parts 140h1, 140h2, and 140h3 passes through the fast steel pipe 130c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ternal connection parts 140h2 and 140h3 are the upper portions of the fast steel pipe 130c, respectively. And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Similar to FIG. 7C, the inner connection part 140k1 in FIG. 7F is provided to contact the fast steel pipe 130c from both s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ternal connection part 140k2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fast steel pipe 130c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또한, 도 7d와 같이 내부 연결부(140i1, 140i2)는 속강관(130c)를 관통하되 'X'자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7e와 같이 내부 연결부(140j1, 140j2)는 'X'자형으로 마련되되 한 쌍으로 마련되어 속강관(130c)을 관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D, the internal connection parts 140i1 and 140i2 penetrate through the fast steel pipe 130c, but may be provided in an'X' shape, and the internal connection parts 140j1 and 140j2 are provided in an'X' shape as shown in FIG. 7E. Doedoe provided in a pair can pass through the fast steel pipe (130c).

도 7a 내지 도 7f는 속강관(130c)과 강관(120b)이 동심축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교량에 곡선(종단곡선, 횡단곡선)과 같은 경사가 바뀌는 영역이 발생하지 않고 편심에 의한 비틀림이 예상되지 않는 곳에 마련된다.7A to 7F show that the fast steel pipe 130c and the steel pipe 120b are provided as concentric shafts, and there is no area in which the slope such as a curve (longitudinal curve, transverse curve) changes, and torsion due to eccentricity is expected. It is prepared where it is not possible.

도 7g는 연결부가 지나치게 강관(120b)의 중심축에 대하여 하향으로 마련된 경우이며, 이에 따른 편심에 의한 구조적 불안전성을 해소하기 위해 속강관(130c)은 상하방향 축에서 상부 측으로 치우쳐 마련된다.7G is a cas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downward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teel pipe 120b, and in order to eliminate structural instability due to eccentricity accordingly, the fast steel pipe 130c is provided skewed from the vertical axis toward the upper side.

이 때 내부 연결부(140d1, 140d2, 140d3)는 단지 강관(120b)과 속강관(130c) 사이에만 마련될 수 있으나, 속강관(130c)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rnal connection portions 140d1, 140d2, and 140d3 may be provided only between the steel pipe 120b and the fast steel pipe 130c, but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fast steel pipe 130c.

도 7h는 도 7g와 반대로 연결부가 지나치게 강관(120b)의 중심축에 대하여 상향으로 마련된 경우이며, 이에 따른 편심에 의한 구조적 불안전성을 해소하기 위해 속강관(130c)은 상하방향 축에서 하부 측으로 치우쳐 마련된다.7H is a case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provid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teel pipe 120b, contrary to FIG. 7G, and the fast steel pipe 130c is provided to be skewed from the vertical axis to the lower side in order to eliminate structural instability due to eccentricity. do.

도 7i는 속강관(130c)이 강관(120b)의 내주면 상부에 접하도록 마련된 경우이며, 미도시하였지만 속강관(130c)가 강관(120b)의 내주면 하부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7I is a case where the fast steel pipe 130c is provided to contact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20b, and although not shown, the fast steel pipe 130c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20b.

한편 도 7g의 경우 속강관(130c)이 상부로 치우쳐 배치됨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부모멘트 구간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이고, 도 7h의 경우 속강관(130c)이 하부로 치우쳐 배치됨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정모멘트 구간을 보강하기 위해 적합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IG. 7G, as the fast steel pipe 130c is arranged skewed upward, it is preferably a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negative moment section, and in the case of FIG. 7H, as the fast steel pipe 130c is skewed downward, preferably It is suitable to reinforce the moment s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가 상하방향 축과 횡방향 축의 중심에 대하여 편향된 간격 만큼 배치된다면, 속강관(130c) 역시 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하방향 축과 횡방향 축의 중심에 대하여 편향된 간격 만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곡선(종단곡선, 횡단곡선)에서 상하방향 축과 횡방향 축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 모멘트 혹은 편심 비틀림 모멘트의 발생이 예상되는 구조에 대하여, 속강관(130c)은 이러한 모멘트에 따른 응력발생이 감소하도록 배치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nection portion is arranged at a deflect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vertical axis and the transverse axis, the fast steel pipe 130c may also be arranged at a deflect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vertical axis and the transverse axis to compensate for this. .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 structure in which an eccentric moment or an eccentric torsional moment is expected to be generat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vertical axis and the transverse axis in a curve (longitudinal curve, transverse curve), the fast steel pipe 130c is It is arranged to reduce the occurrence of stress.

도 7j 및 도 7k가 이러한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x축이 횡방향 축에 해당하며, y축은 상하방향 축에 해당한다. 또한 큰 원은 강관(120b)를 나타내며, 작은 원은 속강관(130c)을 나타낸다. 도 7k의 경우 제2사분면에 속강관(130c)가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속강관(130c)의 중심은 각 축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분면의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7J and 7K illustrate this example. Here, the x-axis corresponds to the horizontal axis, and the y-axis corresponds to the vertical axis. In addition, the large circle represents the steel pipe (120b), the small circle represents the fast steel pipe (130c). In the case of FIG. 7K, it is shown that the fast steel pipe 130c is disposed in the second quadrant, but the center of the fast steel pipe 130c may be disposed on each axis, and of course, it is possible to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quadrants.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구조적 취약부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직경이 다른 강관을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부의 배치 및 형상과 편심 모멘트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강관 내부를 보강함으로써 현장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시공할 수 있고 구조적인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connect steel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structurally weakened part, and appropriately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by appropriately reinforcing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in response to the arrangement and shape of the connection and the eccentric moment. Can be done and structural safety can be guarante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제2 강관
20: 제1 강관
30: 제2 연결부
40: 제1 연결부
120a: 강관
120b: 강관
130a: 속강관
130b: 속강관
130c: 속강관
10: second steel pipe
20: first steel pipe
30: second connection
40: first connection
120a: steel pipe
120b: steel pipe
130a: fast steel pipe
130b: fast steel pipe
130c: fast steel pipe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교량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정모멘트 최대 또는 부모멘트 최대에 해당하는 영역과 무관한 부분에 마련되는 제1 강관부; 상기 제1 강관부와 직경이 상이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강관부와 중심축이 상이하도록 결합하고 정모멘트 최대 또는 상기 부모멘트 최대에 해당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제2 강관부; 및 상기 제1 강관부와 상기 제2 강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강관부에 마련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강관부에 마련되되 일측은 상기 제1 연결부의 타측과 직경이 대응되어 상기 제1 연결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2 강관부에 결합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연결본체와 대응하는 직경으로 마련되는 연결본체; 제2 강관부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원형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상기 연결본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2 연결부의 연결본체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전체적으로 'ㄱ'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연결부를 향하는 부분은 곡선형과 직선형의 조합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 체결부에서 원형의 결합부로 갈수록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가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강관부와 상기 제2 강관부 내부에는 제1 강관부와 제2 강관부의 직경이 다름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편심 모멘트 혹은 편심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고 제1 및 제2 강관부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속강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구조를 적용한 교량.
A first steel pipe portion provided in a portion irrelevant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positive moment or the maximum negative moment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bridge; A second steel pipe portion provided to have a different diameter from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to have a different central axis, and provid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positive moment or the maximum negative momen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steel pipe part and the second steel pipe part,
The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provided in the first steel pipe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provided on the second steel pipe part, wherei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second steel pipe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provided with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body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A circular coupling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And a reinforcing part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and the connection body, the reinforcing part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connection body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wherein the reinforcing part is formed in an'A' shape as a whole, and faces the first connection part. The portion is provided in a combination of a curved type and a straight type, and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to the circular connecting portion,
Resisting an eccentric moment or an eccentric torsional moment that may additionally occur due to the difference in diameter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s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s, and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s. A bridge applying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fast steel pipe is provided for this purpo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속강관은 상기 제1 강관부 또는 제2 강관부와 동심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구조를 적용한 교량.
The method of claim 4,
The fast steel pipe is a bridge to which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is applied, wherein the first steel pipe part or the second steel pipe part and the concentric shaft are provid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속강관과 상기 제1 또는 제2 강관부를 연결하는 십자형의 내부 연결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구조를 적용한 교량.
The method of claim 5,
A bridge to which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a cross-shaped internal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ast steel pipe and the first or second steel pipe part is provid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속강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강관부의 내주면에 연결되는 '+'형 또는 'X'형의 내부 연결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구조를 적용한 교량.
The method of claim 5,
A bridge to which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a'+' type or'X' type internal connection part is provided through the fast steel pipe and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steel pipe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속강관은 상기 제1 또는 제2 강관부와 동심축으로 마련되지 않고 상기 제1 또는 제2 강관부의 상하방향 축과 횡방향 축 중심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구조를 적용한 교량.
The method of claim 4,
The fast steel pipe is not provided with a concentric shaft with the first or second steel pipe part, but is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vertical axis and the transverse axis of the first or second steel pipe par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ridge with connection structure appli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속강관은 상기 제1 또는 제2 강관부의 내측 상부 또는 내측 하부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구조를 적용한 교량.
The method of claim 8,
The fast steel pipe is a bridge to which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is applied, wherein the fast steel pipe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n inner upper portion or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first or second steel pipe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속강관은 상기 제1 또는 제2 강관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1 또는 제2 강관의 중심축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구조를 적용한 교량.
The method of claim 8,
The fast steel pipe is a bridge with a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steel pipe and a central axis of the first or second steel pipe.
KR1020200058790A 2020-05-18 2020-05-18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bridge applying it KR1022328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790A KR102232814B1 (en) 2020-05-18 2020-05-18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bridge apply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790A KR102232814B1 (en) 2020-05-18 2020-05-18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bridge apply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814B1 true KR102232814B1 (en) 2021-03-25

Family

ID=7522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790A KR102232814B1 (en) 2020-05-18 2020-05-18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bridge apply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8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166B1 (en) * 2021-10-15 2023-02-23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Steel Pipe Girder Structure,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730B1 (en) * 2006-03-23 2007-05-21 승화프랜트산업 (주) Concrete filled composite double tube and method connecting the tube with the other
KR100945049B1 (en) 2009-06-11 2010-03-05 (주)리튼브릿지 Structure for steel pipe and concrete
KR100964067B1 (en) * 2009-11-09 2010-06-16 한우물중공업(주) Steel girder for b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09989B1 (en) * 2016-07-22 2017-03-08 김재민 Smart steel pipe girder for composition pipe
KR20190050112A (en) * 2017-11-02 2019-05-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teel pipe structure for truss bridge and truss bridg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730B1 (en) * 2006-03-23 2007-05-21 승화프랜트산업 (주) Concrete filled composite double tube and method connecting the tube with the other
KR100945049B1 (en) 2009-06-11 2010-03-05 (주)리튼브릿지 Structure for steel pipe and concrete
KR100964067B1 (en) * 2009-11-09 2010-06-16 한우물중공업(주) Steel girder for b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09989B1 (en) * 2016-07-22 2017-03-08 김재민 Smart steel pipe girder for composition pipe
KR20190050112A (en) * 2017-11-02 2019-05-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teel pipe structure for truss bridge and truss bridge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166B1 (en) * 2021-10-15 2023-02-23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Steel Pipe Girder Structure,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814B1 (en)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bridge applying it
JP2018009410A (en) Pillar beam joint structure
JP2017223071A (en) Joining method for and joined structure of steel member
JP7243007B2 (en) Wooden beam joint structure
KR20090016547A (en) Dislocation preventing bolt, and longitudinal rib composite floor panel having the dislocation preventing bolt
KR102083115B1 (en) Circular connecting device and concrete hunch equipped PSC beam
JP3796984B2 (en) Beam joint structure of H-shaped steel column
KR101579269B1 (en) Attachabl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Structure Using the Same
JP2018091081A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beam-column joint
JP6954222B2 (en) Construction method of beam end joint structure and beam end joint structure
KR102373168B1 (en) Composite column
JP2022164551A (en) Building member
JP3129682B2 (en) Open section column and beam joining device
JP6125169B2 (en) Beam-column joint structure
JP5185183B2 (en) Beam structure
JP2022175652A (en) Joint structure for column and beam
JP2022052974A (en) Beam joint structure and design method for beam joint structure
JP6888696B2 (en) Joint structure of steel members
JP2024086136A (en) Foundation structure
JP2007063953A (en) Brace installing structure
JP7572180B2 (e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JP7392251B2 (en) Column beam joint structure
JP7108766B1 (en) load bearing member
JP6410866B2 (en) Beam-column joint structure and building
KR20110136933A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welded part between plain member and colum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