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597B1 - 교차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차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597B1
KR102232597B1 KR1020190117403A KR20190117403A KR102232597B1 KR 102232597 B1 KR102232597 B1 KR 102232597B1 KR 1020190117403 A KR1020190117403 A KR 1020190117403A KR 20190117403 A KR20190117403 A KR 20190117403A KR 102232597 B1 KR102232597 B1 KR 102232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eneration
cross
intersection
informa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985A (ko
Inventor
양기철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59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외부 입력장치 상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가 중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교차점에서 발생하는 교차점 신호들에 대한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교차점 신호 생성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교차점 신호들 간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한다.

Description

교차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RELATIVE POSITION OF CROSS POINTS}
본 발명은 교차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장치(터치기반 입력장치 포함)에 그리는 선(들)이 교차 할 때 생성되는 교차점들 간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들은 전자 디바이스들(이동 통신 단말기, ATM, PDA, 데스크탑 디바이스들)에 개인 금융 정보, 보안 문서 및 외부에 노출하기 민감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들은 저장된 데이터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 인증을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접근을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억하여야 할 패스워드가 많아지고 있어 사용자의 아이디와 텍스트 기반인 패스워드를 관리하고 사용하기 어려워지고 있고, 금융사기 및 보안 문서 노출 등을 일으키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전자 디바이스들의 보안 인증 기법으로는 텍스트를 기반하여 인증하는 기법과 그래픽 접촉 포인트를 기반하여 인증하는 기법으로 나뉘어 진다. 그래픽 접촉 포인트의 인증 기법은 전자 기기의 이미지 및 사진이 삽입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접촉 포인트를 순서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접촉 포인트와 전자 기기의 시스템 상에 저장된 참조 접촉 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기법이다.
그래픽 터치 포인트를 기반하여 인증하는 기법은 텍스트를 기반하여 인증하는 기법에 비해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쉬우나, 접촉 포인트의 선택 정확도가 떨어지고 그래픽 접촉 포인트의 패턴을 쉽게 기억할 수 있어 타인에게 보안 인증이 도용되기 쉬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입력면에 그려지는 선들의 교차에 의해 생성되는 교차점들의 위치 정보로부터 교차점들 간 상대적 위치 정보를 연산하고, 상대적 위치를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교차점들을 정확히 같은 위치에 생성 하지 않아도 인증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차점들 간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은 전자 기기의 외부 입력장치 상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가 중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교차점에서 발생하는 교차점 신호들에 대한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교차점 신호 생성 위치 정보로부터 교차점 신호들 간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를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는, 교차점 신호들 사이의 발생 위치 정보의 상대적 차이에 기초하여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는 제1 교차점 신호의 발생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되는 제2 교차점 신호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를 나타낸다.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는, 제1 교차점 신호의 제1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부터 제2 교차점 신호의 제2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간의 상대적 위치 차이 정보를 고려하여 제1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 및 제2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 입력장치 상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가 중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교차점에서 발생하는 교차점 신호들에 대한 절대 또는 상대 위치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절대 또는 상대 위치 정보로부터 둘 이상의 교차점 신호들 간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연산하고,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점 발생 위치 정보로 부터 교차점 발생 위치들 간 상대적 위치 차이 정보를 연산하고, 교차점 발생 위치들 간 상대적 위치 차이 정보를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보안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신호의 시간적 발생 위치에 대한 정보 없이도 보안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차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교차점"이라 함은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 물리적 입력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로 이루어진 터치스크린의 입력 장치(손가락 같은 인체 부위 포함)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특정 부분을 접촉할 때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가 중복되는 특정 위치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차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에서 인증 정보 등록을 위하여 입력장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에 의한 선을 생성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교차점을 생성한다. 적어도 둘 이상의 교차점 신호들은 접촉이 중복되는 위치에서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단계 (1)과 (4)에서 교차점 신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터치패드 기반인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단계 (1)은 교차점 신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입력 장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디지타이저(digitizer) 및 스타일러스펜(stylus pen)이 될 수 있다.
단계 (1)에서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 별로 적어도 둘 이상의 교차점 신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일 수 있고, 상기 식별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User ID) 또는 비밀번호(Password)일 수 있다.
이후, 단계 (2)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교차점 신호들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를 분석한다.
둘 이상의 입력되는 교차점 신호는 터치패드-기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교차점 신호에 대한 절대 위치 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상기 교차점 신호에 대한 절대 위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단계 (2)는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교차점 신호들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교차점 신호들이 입력되는 장치는 전술한 접촉 신호들이 입력되는 장치일 수 있다.
단계 (3)에서 분석된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둘 이상의 교차점 신호들 간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관계 정보를 연산한다.
상기 위치 차이 관계 정보는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교차점 신호들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로서, 제1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정보 및 제2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는 제1 교차점 신호의 발생 위치 정보로부터 연산되는 제2 교차점 신호의 발생 위치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일 수 있고, 제2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는 제2 교차점 신호의 발생 위치 정보로부터 연산되는 제3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정보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이후, 단계 (4),(5),(6),(7)에서는 단계 (1),(2),(3)에서와 같이 인증을 위하여 입력된 선(들)로부터 연산된 교차점들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한다.
일측에 따르면, 단계 (4)는 등록된 인증 정보와, 인증을 위하여 입력하는 교차점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인증이 성공하지 않을 경우에는 교차점 신호들에 대한 교차점 정보를 재입력 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교차점에서 발생하는 교차점 신호들에 대한 신호 발생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교차점 신호들 간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점은 전자 기기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선 모양의 연속적인 접촉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가 서로 중복되는 특정 위치를 의미하고,
    상기 교차점 신호는 상기 전기적 신호가 서로 중복되는 특정 위치에서 발생하는,
    교차점 신호들간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교차점 신호들 사이의 발생 위치 정보의 상대적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차점 신호들간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는 제1 교차점 신호의 발생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되는 제2 교차점 신호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를 나타내는, 교차점 신호들간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교차점 신호의 제1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부터 상기 제2 교차점 신호의 제2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간의 상대적 위치 차이 정보를 고려하여 제1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 및 제2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차점 신호들간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6.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교차점에서 발생하는 교차점 신호들에 대한 신호 발생 위치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교차점 신호들 간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교차점 신호 발생 위치 차이 정보를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고,
    상기 교차점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선 모양의 연속적인 접촉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가 서로 중복되는 특정 위치를 의미하고,
    상기 교차점 신호는 상기 전기적 신호가 서로 중복되는 특정 위치에서 발생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90117403A 2019-09-24 2019-09-24 교차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2232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403A KR102232597B1 (ko) 2019-09-24 2019-09-24 교차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403A KR102232597B1 (ko) 2019-09-24 2019-09-24 교차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977A Division KR102027649B1 (ko) 2017-09-28 2017-09-28 교차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985A KR20190110985A (ko) 2019-10-01
KR102232597B1 true KR102232597B1 (ko) 2021-03-25

Family

ID=6820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403A KR102232597B1 (ko) 2019-09-24 2019-09-24 교차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5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796B1 (ko) * 2009-10-22 2012-05-08 이병철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암호입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150B1 (ko) * 2013-08-22 2015-03-1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796B1 (ko) * 2009-10-22 2012-05-08 이병철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암호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985A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4095B2 (en) Unlocking electronic devices using touchscreen input gestures
US9922188B2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a picture password for relatively smaller displays
KR102387568B1 (ko) 지문 인식 기반 인증 방법 및 장치
US86835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graphical passcode security
US9357391B1 (en) Unlocking electronic devices with touchscreen input gestures
US20110302649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secure sign-in on a touch screen device
US9300659B2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a picture password for relatively smaller displays
US10503960B2 (en) Segment-based handwritten signatur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JP5480889B2 (ja) ゲームを用いたパスワード入力装置および方法
CN105706100A (zh) 用于电子设备的方向性触摸解锁
JP5913593B2 (ja) ゲームを用いたパスワード入力方法及び装置
US11727096B1 (en) User interface competence based authentication
KR102232597B1 (ko) 교차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2027649B1 (ko) 교차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10902153B2 (en) Operating a mobile device in a limited access mode
US10237736B2 (en) Unlocking of a mobile device by a code received via a stencil on a touchscreen
KR20180127739A (ko) 사용자 디바이스 및 이의 보안 패턴 제공 방법
KR101983904B1 (ko) 격자와 이미지의 투명 이동 방식을 이용한 훔쳐보기 어려운 그래픽 보안 인증 방법및 시스템
Alsuhibany et al. Impact of using different-sized touch keyboards on free-text keystroke dynamics authentication in the Arabic language
KR20150029251A (ko) 전자 장치 내의 객체를 보안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691833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ctiva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KR101968677B1 (ko)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Ponnusamy et al. Keystroke Dynamics in Mobile Platform
JP2015153338A (ja) 電子機器、認証方法、及び認証プログラム
WO201207693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lementing graphical authent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