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150B1 -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150B1
KR101503150B1 KR1020130099384A KR20130099384A KR101503150B1 KR 101503150 B1 KR101503150 B1 KR 101503150B1 KR 1020130099384 A KR1020130099384 A KR 1020130099384A KR 20130099384 A KR20130099384 A KR 20130099384A KR 101503150 B1 KR101503150 B1 KR 101503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rrelation information
pass point
graphic
absolute coord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3963A (ko
Inventor
양기철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99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1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3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등록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를 분석하며, 분석된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둘 이상의 그래픽 패스포인트들 간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여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GRAPHICAL PASS POINTS}
본 발명은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 간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들은 전자 디바이스들(이동 통신 단말기, ATM, PDA, 데스크탑 디바이스들)에 개인 금융 정보, 보안 문서 및 외부에 노출하기 민감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들은 저장된 데이터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 인증을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접근을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키로킹(key logging) 해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넷 사용자의 아이디와 텍스트 기반인 패스워드를 추출하여 금융 사기 및 보안 문서 노출 등을 일으키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전자 디바이스들의 보안 인증 기법으로는 텍스트를 기반하여 인증하는 기법과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반하여 인증하는 기법으로 나뉘어 진다.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인증 기법은 전자 기기의 이미지 및 사진이 삽입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패스포인트를 순서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패스포인트와 전자 기기의 시스템상에 저장된 참조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기법이다.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반하여 인증하는 기법은 텍스트를 기반하여 인증하는 기법에 비해 키로킹에 의한 사고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들이 쉽게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패턴을 기억할 수 있고, 보안 인증을 알아내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기존 패스포인트의 인증 기법은 보안 인증을 수행할 때, 정확한 절대 좌표 지정이 어려워 에러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존재하고, 절대 좌표 정보만 이용하기 때문에 훔쳐보기에 의한 도용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그래픽 패스포인트들 간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고,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정확한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절대 좌표 지정을 하지 않아도 인증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상기 둘 이상의 그래픽 패스포인트들 간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상기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상기 단계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 또는 상기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상기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상기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상기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상기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 및 상기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 각각에 대한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순서가 고려된 상관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상기 단계는 제1 그래픽 패스 포인트 내지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임계 영역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 및 상기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을 처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등록된 인증 정보와, 상기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 및 상기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을 처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인증이 성공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상기 절대 좌표 정보를 재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상기 단계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 별로 적어도 둘 이상의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은 적어도 둘 이상의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된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상기 둘 이상의 그래픽 패스포인트들 간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상기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부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 또는 상기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상기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그래픽 패스포인트들 간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고,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보안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확한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절대 좌표 지정을 하지 않아도 보안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을 통하여 배치 상관 관계 정보가 일치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을 통하여 배치 상관 관계 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을 통하여 임계 영역을 선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패스포인트"라 함은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 물리적 입력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로 이루어진 터치 스크린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특정 부분을 선택한 픽셀 또는 상기 선택한 픽셀에 대한 실제 좌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이동 통신 단말기"라 함은 이동 통신 단말 제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TM,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디스플레이"라 함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외부 디스플레이와 내부 디스플레이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10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등록한다. 적어도 둘 이상의 참조 포인트들은 절대 좌표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배치 상관 관계를 표시하는 상대적 위치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절대 좌표 정보 및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을 참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단계 110에서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터치패드 기반인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 제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TM,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단계 110은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입력 장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디지타이저(digitizer) 및 스타일러스펜(stylus pen)이 될 수 있다.
단계 110에서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 별로 적어도 둘 이상의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일 수 있고, 상기 식별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User ID)일 수 있다.
이후, 단계 120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를 분석한다.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는 터치패드-기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상기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단계 120은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이 입력되는 장치는 전술한 참조 포인트들이 입력되는 장치일 수 있다.
단계 130에서 분석된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둘 이상의 그래픽 패스포인트들 간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한다.
상기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로서,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 및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연산되는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일 수 있고,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 또는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연산되는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의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131에서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 또는 상대적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단계 132에서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 또는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한다.
일측에 따르면,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 및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 각각에 대한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순서가 고려된 상관 관계 정보일 수 있다.
단계 131 및 단계 132에서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방법은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배치 상관 관계를 표시하는 상대적 위치 정보를 연산하는 방법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30에서 제1 그래픽 패스 포인트 내지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임계 영역을 고려하여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 및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계 140에서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한다.
일측에 따르면, 단계 140은 등록된 인증 정보와,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 및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인증이 성공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를 재입력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300)은 등록부(310), 분석부(320), 연산부(330) 및 인증 처리부(340)를 포함한다.
등록부(3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등록한다. 적어도 둘 이상의 참조 포인트들은 절대 좌표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배치 상관 관계를 표시하는 상대적 위치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절대 좌표 정보 및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을 참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등록부(310)는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터치패드 기반인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고, 등록부(310)는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등록부(130)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 별로 적어도 둘 이상의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등록할 수 있고, 상기 식별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User ID)일 수 있다.
분석부(3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를 분석한다.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는 이미지 및 사진이 삽입된 터치패드 기반인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픽셀의 위치값이 입력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는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픽셀의 위치값이 입력될 수 있으며, 절대 좌표 정보는 입력된 픽셀의 위치값을 기반하여 절대 좌표로 변환한다.
분석부(3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전처리일 수 있다.
연산부(330)는 분석된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둘 이상의 그래픽 패스포인트들 간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한다.
상기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로서,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 및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연산되는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일 수 있고,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 또는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연산되는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연산부(330)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 또는 상대적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연산부(330)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 또는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 또는 상대적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 및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 각각에 대한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순서가 고려된 상관 관계 정보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을 통하여 배치 상관 관계 정보가 일치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는 등록된 3개의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인증 정보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b)는 등록된 3개의 참조 포인트에 대응하는 3개의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터치패드-기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3개의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3개의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절대 좌표 정보를 기반하여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이 입력되는 장치는 전술한 참조 포인트들이 입력되는 장치일 수 있다.
도시된 도 4에서는 3개의 참조 포인트 및 3개의 그래픽 패스포인트인 경우를 기재하였으나, 이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의 참조 포인트 및 3개 이상의 그래픽 패스포인트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은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은 등록된 인증 정보와 입력되는 3개의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배치 상관 관계를 비교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처리한다.
도 4의 (b) 를 참조하면,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은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한다.
상기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로서,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 및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연산되는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일 수 있고,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 또는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연산되는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410)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이고, 상기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410)는 우측 하단 방향 정보(Right Down, RD)일 수 있다.
또한,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420)는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이고, 상기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420)는 좌측 하단 방향 정보(Left Down, LD)일 수 있다.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430)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이고, 상기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430)는 좌측 하단 방향 정보(Left Down, LD)일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된 인증 정보의 참조 포인트들의 절대 좌표 정보 및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의 절대 좌표 정보는 서로 상이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은 배치 상관 관계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분석하여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을 통하여 배치 상관 관계 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는 등록된 3개의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인증 정보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의 (b)는 등록된 3개의 참조 포인트에 대응하는 3개의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터치패드-기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3개의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3개의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절대 좌표 정보를 기반하여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도시된 도 5에서는 3개의 참조 포인트 및 3개의 그래픽 패스포인트인 경우를 기재하였으나, 이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의 참조 포인트 및 3개 이상의 그래픽 패스포인트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a) 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은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일 수 있다.
도 5의 (b)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은 등록된 인증 정보와 입력되는 3개의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배치 상관 관계를 비교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은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한다.
도 5의 (b) 에 도시된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510)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이고, 상기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510)는 우측 상단 방향 정보(Right Up, RU)일 수 있다.
또한,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520)는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이고, 상기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520)는 좌측 하단 방향 정보(Left Down, LD)일 수 있다.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530)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이고, 상기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530)는 좌측 하단 방향 정보(Left Down, L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은 등록된 인증 정보와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510)가 상이한 것으로 분석하여 인증이 성공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을 통하여 배치 상관 관계 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b) 에 도시된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610)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이고, 상기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610)는 우측 상단 방향 정보(Right Down, RD)일 수 있다.
또한,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620)는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이고, 상기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620)는 좌측 하단 방향 정보(Left Down, LD)일 수 있다.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630)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이고, 상기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630)는 좌측 하단 방향 정보(Right Down, RD)일 수 있다.
도 6은 도 5와 같이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고,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은 등록된 인증 정보와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630)가 상이한 것으로 분석하여 인증이 성공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을 통하여 임계 영역을 선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등록된 3개의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인증 정보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은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일 수 있다.
도 7의 (b)는 등록된 3개의 참조 포인트에 대응하는 3개의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터치패드-기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3개의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3개의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절대 좌표 정보를 기반하여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도시된 도 7에서는 3개의 참조 포인트 및 3개의 그래픽 패스포인트인 경우를 기재하였으나, 이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의 참조 포인트 및 3개 이상의 그래픽 패스포인트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고하면,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은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한다.
상기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로서,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 및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 및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가 동일선상의 위치 또는 불분명한 위치에 존재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은 제1 그래픽 패스 포인트 내지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임계 영역(710)을 고려하여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 및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에 대한 경계를 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710: 임계 영역
310: 등록부
320: 분석부
330: 연산부
340: 인증 처리부

Claims (12)

  1. 적어도 둘 이상의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의해 형성되는 선정된 패턴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상기 둘 이상의 그래픽 패스포인트들 간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상기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는 이미지가 삽입된 터치패드 기반인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시되는 픽셀의 위치값이고,
    상기 절대 좌표 정보는 상기 삽입된 이미지에서 상기 표시된 픽셀의 위치값에 대응하는 절대 좌표를 포함하며,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상기 단계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 또는 상기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상기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상기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상기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상관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는
    상기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 및 상기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 각각에 대한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에 대한 순서가 고려된 상관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상기 단계는
    제1 그래픽 패스 포인트 내지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임계 영역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 및 상기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인증을 처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등록된 인증 정보와, 상기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 및 상기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인증을 처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인증이 성공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대한 상기 절대 좌표 정보를 재입력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상기 단계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 별로 적어도 둘 이상의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10.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적어도 둘 이상의 참조 포인트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들에 의해 형성되는 선정된 패턴에 대한 절대 좌표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된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상기 둘 이상의 그래픽 패스포인트들 간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상기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처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는 이미지가 삽입된 터치패드 기반인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시되는 픽셀의 위치값이고,
    상기 절대 좌표 정보는 상기 삽입된 이미지에서 상기 표시된 픽셀의 위치값에 대응하는 절대 좌표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제1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제1 그래픽 패스포인트 또는 상기 제2 그래픽 패스포인트의 상기 절대 좌표 정보로부터 제3 그래픽 패스포인트에 대한 제2 배치 상관 관계 정보를 연산하는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
  12. 삭제
KR1020130099384A 2013-08-22 2013-08-22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503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384A KR101503150B1 (ko) 2013-08-22 2013-08-22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384A KR101503150B1 (ko) 2013-08-22 2013-08-22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963A KR20150023963A (ko) 2015-03-06
KR101503150B1 true KR101503150B1 (ko) 2015-03-17

Family

ID=5302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384A KR101503150B1 (ko) 2013-08-22 2013-08-22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1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649B1 (ko) * 2017-09-28 2019-10-0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교차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2232597B1 (ko) * 2019-09-24 2021-03-2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교차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766A (ko) * 2007-12-18 2009-06-23 엔에이치엔(주)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
JP2012048281A (ja) * 2010-08-24 2012-03-08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手書き認証システム及び手書き認証プログラム
KR20120107610A (ko) * 2011-03-22 2012-10-04 김경연 휴대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766A (ko) * 2007-12-18 2009-06-23 엔에이치엔(주)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
JP2012048281A (ja) * 2010-08-24 2012-03-08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手書き認証システム及び手書き認証プログラム
KR20120107610A (ko) * 2011-03-22 2012-10-04 김경연 휴대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963A (ko) 2015-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84502B (zh) 一种截取屏幕内容的方法及便携式终端
US940518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2173123B1 (ko) 전자장치에서 이미지 내의 특정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925072B2 (en) Unlocking schemes
KR20160117207A (ko) 화상 해석 장치 및 화상 해석 방법
US2012013147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tecting privacy of content
JP2017539032A (ja) タッチセンサのデータを使用する指紋登録
US10445605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of electronic signatures
CN105528576A (zh) 一种录入指纹的方法及装置
US20140115725A1 (en) File using restriction method, user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WO2018184255A1 (zh) 图像校正的方法和装置
US11893836B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remote product inspection
KR101503150B1 (ko) 그래픽 패스포인트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20140047561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program
CN105094611A (zh) 显示装置、显示方法
CN106778131B (zh) 一种隐藏信息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11079119B (zh) 验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30325488A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via mixed reality
KR20200127928A (ko) 전자장치에서 이미지 내의 특정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3796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input panel
CN109753217B (zh) 动态键盘操作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0619597A (zh) 一种半透明水印去除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40231523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object
WO2022105120A1 (zh) 图片文字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140103021A (ko) 객체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