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305B1 -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305B1
KR102232305B1 KR1020180171441A KR20180171441A KR102232305B1 KR 102232305 B1 KR102232305 B1 KR 102232305B1 KR 1020180171441 A KR1020180171441 A KR 1020180171441A KR 20180171441 A KR20180171441 A KR 20180171441A KR 102232305 B1 KR102232305 B1 KR 102232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stment
mileage
virtual currency
request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3693A (ko
Inventor
김인규
권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핀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핀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핀업
Priority to KR102018017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3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3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 G06Q30/0216Investment accou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은, 특정 사용자가 보유한 마일리지에 대한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체인 상에서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상기 전환 요청에 해당하는 가상 화폐가 이체되는 단계; 상기 가상 화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투자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보유된 가상 화폐 중 상기 투자 요청에 상응하는 가상 화폐가 실물 화폐로 환전되어 투자 운용사로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투자 운용사의 운용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OF MILEAGE INVESTMENT USING BLOCK-CHAIN TECHNOLOGY}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용카드 회사(이하, 편의상 '카드사'라 칭함)는 고객들에게 일정 사용액 초과 등을 조건으로 할인이나 적립 등 다양한 혜택을 통해 고객들의 카드 발급 및 사용을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혜택 중 대표적인 것으로 마일리지를 들 수 있다. 마일리지는 건당 결제액의 일정 비율이 적립되는 형태로 운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현금 전환이 불가하며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나 물품으로 교환만 가능한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적립되는 마일리지는 대부분 소액에 머무르며, 이로 인해 재화 구매시 장기간의 적립이 필요할 뿐 아니라 이자도 기대할 수 없으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소멸되기도 한다. 이러한 마일리지는 고객에게 큰 혜택이 되기 어려울뿐더러, 카드사 입장에도 재무 관리상 부채로 취급되므로 소멸/사용되지 않고 잔존한 마일리지는 부담이 된다.
한편, 최근 암호화폐가 화제가 되면서, 암호화폐의 기반 기술인 블록체인(Block-Chain)도 함께 주목받고 있다. 블록체인은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어 누구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이다.
블록에는 해당 블록이 발견되기 이전에 사용자들에게 전파되었던 모든 거래 내역이 기록되어 있고, 이것은 P2P 방식으로 모든 사용자에게 똑같이 전송되므로 거래 내역을 임의로 수정하거나 누락시킬 수 없다. 블록은 발견된 날짜와 이전 블록에 대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블록들의 집합을 블록체인이라 칭한다. 기존에 전자화폐로 거래할 때 중앙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는 것과는 달리, 블록체인은 모든 사용자에게 변동 기록을 보여주며 서로 비교해 위조를 막는다.
따라서,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이 마일리지와 접목될 경우, 보다 신뢰성 있는 부가수익 창출이 기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카드사 마일리지를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신뢰성있고 부가 수익 창출도 가능한 마일리지 투자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은, 특정 사용자가 보유한 마일리지에 대한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체인 상에서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상기 전환 요청에 해당하는 가상 화폐가 이체되는 단계; 상기 가상 화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투자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보유된 가상 화폐 중 상기 투자 요청에 상응하는 가상 화폐가 실물 화폐로 환전되어 투자 운용사로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투자 운용사의 운용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은 회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회수 요청에 상응하는 투자액이 상기 투자 운용사에서 회수되는 단계; 및 상기 회수된 투자액이 가상 화폐로 환전되어 상기 사용자의 계정으로 이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은 환전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서 상기 환전 요청에 해당하는 가상 화폐가 실물 화폐로 환전되어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 이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인을 구성하는 블록 각각은, 헤더 및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는, 계정 상태, 계정 이체 기록, 투자 상품 정보 및 투자 상품 수익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체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마일리지 대 가상 화폐 전환 비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상 화폐는, 상기 실물 화폐와 기 설정된 비율로 환전되며, 가격 변동성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구매를 원하는 재화가 없거나 활용되지 못하는 마일리지를 투자상품에 이용함으로써 부가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카드사들은 부채로 취급되는 마일리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고객 만족과 함께 재무적인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블록체인에 담기는 데이터는 변조가 불가능하고 투명하게 조회를 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있는 데이터가 안전하게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투자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블록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카드사 등에서 고객 명의로 적립된 마일리지를 가상 화폐로 전환하고, 전환된 가상 화폐를 기반으로 금융 상품에 투자하여 부가 수익이 창출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이때, 가상 화폐 자체는 가격 변동성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가상 화폐는 마일리지에 대한 전환 비율은 카드사가 설정할 수 있되, 가상 화폐와 국가별 실물 화폐와의 교환 비율은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가상화폐의 1단위는 항상 1원(KRW)으로 환전되도록 하되, 1단위의 가상 화폐는 카드사 정책에 따라 1마일리지로 교환될 수도 있고, 3마일리지로 교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과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과정은 가상화폐 환전(S110), 투자(S120), 회수(S130) 및 원화 환전(S14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가상화폐 환전(S110) 단계는 카드사 등에서 특정 고객(이하, "사용자"라 칭함) 명의로 적립된 마일리지를 가상화폐로 환전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에서는 먼저 블록체인 상에 사용자 계정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계정은 가상 화폐를 담는 지갑의 기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계정이 생성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마일리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가상 화폐로의 전환을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에 요청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신청 범위에 해당하는 마일리지가 가상 화폐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마일리지와 가상 화폐의 전환 비율은 카드사에 미리 설정된 비율을 따를 수 있다. 그에 따라, 카드사가 보유한 가상 화폐가 마일리지 전환 비율에 따라 사용자 계정으로 이체된다.
다음으로, 투자(S120) 단계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투자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투자(S120) 단계는 투자 요청 수신(S121), 목표 금액 모집(S123), 원화 환전(S125), 투자 상품 생성 및 운용(S127)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에 보유된 가상 화폐 중 투자에 적용될 액수를 결정하여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에 투자를 요청한다(S121).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은 미리 설정한 목표 투자액이 모금될 때까지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투자 요청을 받을 수 있다(S123). 목표 투자액이 달성되면,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은 모집된 가상 화폐를 실물 화폐, 예컨대, 원화로 환전하고(S125) 이를 투자 운용사에 송금할 수 있다(S127). 그에 따라 투자 운용사는 상품 그룹을 생성하여 수신된 금액을 운용한다. 이때, 투자 내역(즉, 상품 정보)과 수익률에 대한 정보는 블록 체인으로 관리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을 통해 자신의 마일리지 전환액이 속한 상품 그룹의 수익률을 신뢰성있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로 복귀하여, 사용자가 개별로 결정한 목표 수익률을 달성하는 등의 사유로 투자 회수를 결정한 경우, 회수 절차(S13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에 투자한 상품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한 회수를 요청할 수 있으며,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은 회수 요청받은 가상 화폐 액수에 상응하는 금액을 투자 운용사로부터 회수한다. 회수된 금액은 다시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이 가상 화폐로 환전하며, 환전된 가상 화폐는 회수를 요청한 사용자의 지갑(계정)으로 이체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재투자를 위해 다시 투자(S120)를 결정할 수도 있으나, 원화 환전을 희망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원화 환전을 희망할 경우, 사용자는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에 자신의 지갑(계정)에 보유된 가상 화폐에 대한 원화 환전을 요청할 수 있으며,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갑에서 환전 요청액에 해당하는 가상 화폐를 카드사 계정으로 이체하고 해당 액수를 실물 화폐 계좌로 송금할 수 있다(S140).
전술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마일리지를 투자에 활용하여 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카드사는 마일리지에 해당하는 부채를 가상 화폐로 전환/운용/보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방식에는 3세대 블로체인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커스터마이징된 블록체인이 사용될 수 있으며, P2P 네트워크 방식, 자료구조, 암호화 방식과 같은 기본적인 블록체인 기술 자체는 기존의 암호화폐에서 적용되던 방식(예컨대, 이더리움)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합의알고리즘은 POW(Proof of Work), POS(Proof of Stake), dPOS(Delegated POS), PBFT(Private Byzantine fault tolerance) 방식을 모두 사용 가능한 구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블록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블록(300)은 헤더(310)와 바디(32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310)에는 이전블록해시 정보(311), 블록 정보(312) 및 블록 해시(313)가 포함될 수 있다. 블록 정보(312)는 소프트웨어/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 머클해시 정보, 블록 생성 시간, 난이도 조절 정보, 계산 회수(non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전블록해시(previousblockhash, 311) 정보는 블록 체인에서 바로 앞에 위치하는 블록의 블록 해시를 나타내며, 머클해시(merklehash)는 개별 거래 정보의 거래 해시를 2진 트리 형태로 구성할 때, 트리 루트에 위치하는 해시값일 수 있다. 또한, 계산회수(nonce) 정보는 최초 0에서 시작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해시값을 찾아낼때까지의 1씩 증가하는 계산 회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헤더(310)의 정보는 블록(300)의 식별자 역할을 하는 블록 해시(313)가 헤더(310)의 정보를 입력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개별 거래 정보는 결국 머클 트리의 해시값인 머클해시 값으로 집약된다. 헤더(310)에 포함되는 정보 중 계산 회수(nonce)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는 블록 해시를 만드는 시점에서 이미 확정되어 변하지 않는 값이고, 계산 회수(nonce) 정보는 확정되어 있지 않고 새로 구해야 하는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구해 최종적으로 블록 해시(313) 값을 구하고, 구해진 블록 해시(313) 값을 식별자로 가지는 유효한 블록을 만들어내는 것이 바로 작업 증명(Proof of Work), 흔히 말하는 채굴과정일 수 있다.
바디(320)에는 계정 상태 정보(321), 계정 이체 기록(322), 투자 상품 정보(323) 및 수익률(324)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계정 상태 정보(321)는 체인 상에 해당 투자 상품과 관련된, 또는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이 관리하는 모든 계정의 잔액과 상태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투자 상품 정보는 투자 운용사가 자금을 투여한 투자처(예컨대, 주식, 펀드, 실물, 선물, 가상 화폐 등) 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수익률(324) 정보는 투자 상품 정보(323)에 포함되는 개별 투자처 및/또는 전체 투자 상품의 기간별(예컨대, 일간) 수익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400)은 환전부(410), 투자부(420) 및 기록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환전부(S41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투자 과정에서 마일리지와 가상 화폐간 환전 및 가상 화폐와 실물 화폐간 환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투자부(4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투자 운용자에 투자 및 회수 과정을 중계한다. 아울러, 기록부(430)는 환전과 투자 내역을 블록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정보 조회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단말기(PC 등의 고정식 단말기, 스마트 기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마일리지 투자 시스템(400)에 각종 요청을 전달하고 요청에 대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각 단말기에는 투자 시스템(400)의 기록부(4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전술한 기재에서 마일리지는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신용카드 사용 실적에 따른 마일리지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마일리지는 카드사 마일리지 외에, 통신사 포인트나 쇼핑몰 포인트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7)

  1. 특정 사용자가 보유한 마일리지에 대한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체인 상에서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상기 전환 요청에 해당하는 가상 화폐가 이체되는 단계;
    상기 가상 화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투자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보유된 가상 화폐 중 상기 투자 요청에 상응하는 가상 화폐가 실물 화폐로 환전되어 투자 운용사로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투자 운용사의 운용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회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회수 요청에 상응하는 투자액이 상기 투자 운용사에서 회수되는 단계; 및
    상기 회수된 투자액이 가상 화폐로 환전되어 상기 사용자의 계정으로 이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환전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서 상기 환전 요청에 해당하는 가상 화폐가 실물 화폐로 환전되어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 이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상 화폐는,
    상기 실물 화폐와 기 설정된 비율로 환전되며, 가격 변동성이 없는,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을 구성하는 블록 각각은, 헤더 및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는,
    계정 상태, 계정 이체 기록, 투자 상품 정보 및 투자 상품 수익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마일리지 대 가상 화폐 전환 비율에 따라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
  6. 삭제
  7. 제1 항, 제4 항 및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80171441A 2018-12-28 2018-12-28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 및 시스템 KR102232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441A KR102232305B1 (ko) 2018-12-28 2018-12-28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441A KR102232305B1 (ko) 2018-12-28 2018-12-28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693A KR20200083693A (ko) 2020-07-09
KR102232305B1 true KR102232305B1 (ko) 2021-03-26

Family

ID=7160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441A KR102232305B1 (ko) 2018-12-28 2018-12-28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3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44B1 (ko) * 2014-11-06 2016-02-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멤버십 포인트 또는 사이버머니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통화로 전환하여 주는 장치
JP2018077714A (ja) * 2016-11-10 2018-05-17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取引管理プログラム、取引管理システム、及び取引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13289A1 (en) * 2016-01-27 2017-07-27 George Daniel Doney Dividend Yielding Digital Currency through Elastic Securitization, High Frequency Cross Exchange Trading, and Smart Contracts
KR20180115402A (ko) * 2017-04-13 2018-10-23 현대비에스앤씨 (주) 블록체인 기반 p2p 펀딩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44B1 (ko) * 2014-11-06 2016-02-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멤버십 포인트 또는 사이버머니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통화로 전환하여 주는 장치
JP2018077714A (ja) * 2016-11-10 2018-05-17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取引管理プログラム、取引管理システム、及び取引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693A (ko)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06513A1 (en) Crypto multiple security asset creation and redemption platform
JP7117416B2 (ja) 暗号複数証券資産作成および償還プラットフォーム
US11829997B2 (en) Self-enforcing security token implementing smart-contract-based compliance rules consulting smart-contract-based global registry of investors
US11216802B2 (en) Self-enforcing security token implementing smart-contract-based compliance rules consulting smart-contract-based global registry of investors
US11373216B2 (en)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mediating advertisement based on block chain
JP2005518596A (ja) 金額充填可能デビットカード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5518596A5 (ko)
US201900267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ledger-based peer-to-peer lending
JP7074327B2 (ja) 電子通貨管理システム
KR20190036154A (ko) 전자 화폐를 이용한 상거래의 세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0129A (ko)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JP4550156B1 (ja) 電子記録債権消込支援システム及び電子記録債権の消込支援方法
KR102232305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마일리지 투자 방법 및 시스템
KR101907624B1 (ko) P2p 금융의 투자자 예치금 분리 관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510472B2 (ja) 決済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Yarden Evaluating the performances of electronic commerce systems
KR20200127579A (ko) 소셜임팩트본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6019B1 (ko) 실시간 집금용 금융 정보 중개 처리 시스템 및 금융 정보중개 처리 방법
JP704108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620002B1 (ko)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
JP2004234257A (ja) 収納取引精査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録媒体
Song et al. An investigation on multiple e-payments and micro-payment-a technical and market view
TWI34354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interest into investment by use of debit service client
US20220129977A1 (en) Online tokenization of outstanding debt
CN114626842A (zh) 管家卡到款的去重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