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157B1 - 절곡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절곡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157B1
KR102232157B1 KR1020200006654A KR20200006654A KR102232157B1 KR 102232157 B1 KR102232157 B1 KR 102232157B1 KR 1020200006654 A KR1020200006654 A KR 1020200006654A KR 20200006654 A KR20200006654 A KR 20200006654A KR 102232157 B1 KR102232157 B1 KR 102232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 radiation
radiation element
pilla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신
김진태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에이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에이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에이디씨
Priority to KR102020000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01Q15/16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curved in two dimensions, e.g. paraboloid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1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relative movement between primary active elements and secondary devices of antennas or antenna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부를 포함하는 안테나로서, 반사부, 상기 반사부에 결합하는 복수의 안테나 복사 소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복사 소자들은 평평한 영역을 가지는 제1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 및 상기 제1 안테나부와 동일한 모양을 가지되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제2 안테나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절곡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Antenna Device including a curved part}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한된 공간에서 적절한 소자 배열이 가능하도록 절곡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통신환경이 복잡해지면서 다른 통신망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통신망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적절한 복사빔을 출력하기 위해 안테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안테나의 무게와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테나를 소형화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물리적인 한계로 인하여 안테나 소형화의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안테나 크기 내에서 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 소자를 배열하여 안테나 소자의 복사빔의 사이드 로브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는 반사부, 상기 반사부에 결합하는 복수의 안테나 복사 소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복사 소자들은 평평한 영역을 가지는 제1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 및 상기 제1 안테나부와 동일한 모양을 가지되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제2 안테나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는 상기 반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중심이 연결되는 날개부들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평평한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 중 특정 안테나 복사 소자는 상기 반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중심이 연결되는 상기 제2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부는 상기 기둥부에 중심이 연결되는 날개부들 중 일부 날개부들이 평평한 영역을 형성하는 제1 평면부, 상기 날개부들 나머지 일부 날개부들이 상기 제1 평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평면부의 좌측에서 상기 기둥부 방향 또는 상기 기둥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1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 중 다른 안테나 복사 소자는 상기 반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중심이 연결되는 제3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안테나부는 상기 기둥부에 중심이 연결되는 날개부들 중 일부 날개부들이 평평한 영역을 형성하는 제2 평면부, 상기 날개부들 나머지 일부 날개부들이 상기 제2 평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평면부의 우측에서 상기 기둥부 방향 또는 상기 기둥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안테나 복사 소자들은 상기 반사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일측 가장자리 방향쪽 일부가 절곡된 제1 안테나 복사 소자, 상기 제1 안테나 복사 소자와 일정 간격 이격되고, 평평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안테나 복사 소자, 상기 제2 안테나 복사 소자와 일정 간격 이격되고, 평평한 영역을 포함하는 제3 안테나 복사 소자, 상기 제3 안테나 복사 소자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반사부의 타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타측 가장자리 방향쪽 일부가 절곡된 제4 안테나 복사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한정된 공간에 안테나 복사 소자들의 개수를 최대화 하고, 배치와 형태를 최적화함으로써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 중 안테나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제2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의 중심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제3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의 중심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부의 구획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평평한 영역만을 포함한 안테나 복사 소자들을 제한된 반사부 상에 배치한 안테나 장치의 방사 빔 수평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방사 빔 수평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는 한정된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안테나 복사 소자를 배치함으로써,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는 반사부(200) 및 안테나 복사 소자들(101, 102, 103, 1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200)는 상기 안테나 복사 소자들(101, 102, 103, 104)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200)는 예컨대, 복수의 층으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일부는 금속층을 포함하고, 나머지 적어도 일부는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200)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금속층은 상기 안테나 복사 소자들(101, 102, 103, 104)의 접지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200)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금속층은 상기 안테나 복사 소자들(101, 102, 103, 104)에 전원 또는 신호를 공급하는 급전 라인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200)는 예컨대,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넬 형상으로 마련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부(200)의 크기 및 형상은 상기 안테나 장치(10)가 배치된 주변 환경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복사 소자들(101, 102, 103, 104)은 예컨대, 상기 반사부(200)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도 1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복사 소자들(101, 102, 103, 104)은 예컨대, 제1 안테나 복사 소자(101), 제2 안테나 복사 소자(102), 제3 안테나 복사 소자(103) 및 제4 안테나 복사 소자(1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안테나 복사 소자(101)와 제2 안테나 복사 소자(102) 사이의 간격과, 제2 안테나 복사 소자(102)와 제3 안테나 복사 소자(103) 사이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3 안테나 복사 소자(103)와 제4 안테나 복사 소자(104) 사이의 간격과 다른 안테나 복사 소자들 사이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 복사 소자(101)는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안테나 복사 소자(104) 역시,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 복사 소자(101)와 상기 제4 안테나 복사 소자(104)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2 안테나 복사 소자(102) 및 제3 안테나 복사 소자(103)는 별도의 절곡부를 포함하지 않고 평평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 복사 소자들(101, 102, 103, 104)을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10)는 제한된 반사부(200) 크기 내에서, 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 복사 소자들을 배치하여 안테나 지향성을 높이면서도,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 중 안테나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1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제2 안테나 복사 소자(102) 및 제3 안테나 복사 소자(1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제1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에 대하여 제2 안테나 복사 소자(102)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안테나 복사 소자(102)는 반사부(200)와 연결되는 기둥부(120) 및 상기 기둥부(120)의 끝단에 배치되어 신호를 출력하거나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20)는 상기 반사부(200)의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반사부(200) 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급전부 역할을 하면서, 제1 안테나부(110)를 반사부(2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둥부(120)는 적어도 일부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 기능을 지원하면서, 제1 안테나부(110)를 반사부(2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기둥부(120)의 상단은 상기 제1 안테나부(110)의 중심(C0)과 물리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부(110)는 상기 기둥부(120)와 연결되면서, 상기 반사부(200)로부터 기둥부(120)의 적어도 일부 높이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부(110)는 무선 신호를 송출하거나, 외부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안테나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장의 날개부들(111, 112, 113, 114)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부(110)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제1 날개부(111), 상기 제1 방향과 90도 각도의 제2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제2 날개부(112), 상기 제2 방향과 90도 각도의 제3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제3 날개부(113), 상기 제3 방향과 90도 각도의 제4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제4 날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부(111) 우측에는 제2 날개부(112)가 배치되고 좌측에 제4 날개부(114)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3 날개부(113)의 시계 방향 측면에는 제4 날개부(114)가 배치되고, 제3 날개부(113)의 반시계 방향 측면에는 제2 날개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들(111, 112, 113, 114)은 상기 기둥부(120)가 연결된 중심(C0)을 기준으로 다른 날개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들(111, 112, 113, 114)은 각각 5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날개부들(111, 112, 113, 114) 각각의 형상 및 상기 날개부들(111, 112, 113, 114)이 연결된 전체 형상은 도시된 도면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날개부들(111, 112, 113, 114) 각각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거나, 적어도 일부가 휘어진 곡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들(111, 112, 113, 114) 전체 형상은 바람개비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꽃잎 형상, 만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들(111, 112, 113, 114)의 형상이 바람개비 형상으로 마련됨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부(110)는 제1 가상 대각선(L1) 및 상기 제1 가상 대각선(L1)과 직각으로 교차하면서 상기 제1 가상 대각선(L1)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제2 가상 대각선(L2), 상기 제1 가상 대각선(L1)과 상기 제2 가상 대각선(L2)과 직교하는 제3 가상선(L3) 및 제4 가상선(L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가상선(L3) 및 제4 가상선(L4)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제3 가상선(L3)은 상기 제1 가상 대각선(L1)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 대각선(L1)은 예컨대, 제2 날개부(112)의 중심선 및 제4 날개부(114)의 중심선을 가로지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상 대각선(L2)은 예컨대, 제1 날개부(111)의 중심선 및 제3 날개부(113)의 중심선을 가로지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가상선(L3) 및 제4 가상선(L4)은 상기 날개부들(111, 112, 113, 114)을 임의로 구획하는 선들이 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b는 제2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의 중심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는 앞서 설명한 제1 안테나 복사 소자(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제2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는 제1 안테나 복사 소자(101)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안테나 복사 소자(101)는 기둥부(120) 및 제2 안테나부(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둥부(120)는 앞서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제1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의 기둥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부(110a)는 예컨대, 앞서 도 2를 기준으로 볼 때, 상측 방향으로 평평하게 배치된 제1 평면부(101a) 및 상기 제1 평면부(101a)에 연결되데 상기 제1 평면부(101a)를 기준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안테나부(110a)는 기본적으로 전체적인 형상은 앞서 설명한 제1 안테나부(1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제1 안테나부(110)의 제1 날개부(111) 및 제4 날개부(114)의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제1 절곡부(101b)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부(101b)의 면적은 예컨대, 제1 날개부(111) 및 제2 날개부(112)의 절반 이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반사부(2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절곡부(101b)의 절곡 면적은 달라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절곡부(101b)의 면적은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험적으로 또는 통계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절곡부(101b)는 제1 평면부(101a)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평면부의 일측 가장자리(예: 좌측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부(101b)는 기둥부(120)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1 절곡부(101b)가 기둥부(120)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제1 절곡부(101b)는 기둥부(120) 반대 방향(예: 제1 평면부(101a)가 향하는 상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b는 제3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의 중심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3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는 상기 제2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와 동일한 절곡부를 포함하되, 절곡되는 방향이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3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는 앞서 설명한 제4 안테나 복사 소자(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제3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는 제4 안테나 복사 소자(104)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4 안테나 복사 소자(104)는 기둥부(120) 및 제3 안테나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둥부(120)는 앞서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제1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의 기둥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안테나부(110b)는 예컨대, 앞서 도 2를 기준으로 볼 때, 상측 방향으로 평평하게 배치된 제2 평면부(104a) 및 상기 제2 평면부(104a)에 연결되데 상기 제2 평면부(104a)를 기준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10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안테나부(110b)는 기본적으로 전체적인 형상은 앞서 설명한 제1 안테나부(1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제1 안테나부(110)의 제2 날개부(112) 및 제3 날개부(113)의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제2 절곡부(104b)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곡부(104b)의 면적은 상기 제1 절곡부(101b)와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절곡부(104b)의 면적은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험적으로 또는 통계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절곡부(104b)는 제2 평면부(104a)를 기준으로 상기 제2 평면부의 일측 가장자리(예: 우측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제2 절곡부(104b)는 기둥부(120) 방향으로 절곡되거나, 상기 기둥부(120) 반대 방향 또는 제2 평면부(104a)가 향하는 면의 방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부의 구획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안테나부(110)는 중심(C0)을 기준으로 중심부 영역(CS1)과, 제1 절곡부 영역(CS2) 및 제2 절곡부 영역(CS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부(110)는 예를 들어, 중심부 영역(CS1)과 제1 절곡부 영역(CS2)을 구분하는 제1 중심선(T1)을 포함하며, 중심부 영역(CS1)과 제2 절곡부 영역(CS3)을 구분하는 제2 중심선(T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심선(T1) 및 제2 중심선(T2)은 상기 중심(C0) 및 제4 가상선(L4)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중심선(T1)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중심(C0)에서 제1 날개부(111)와 제4 날개부(114) 사이의 일 지점까지의 거리의 절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 중심선(T2)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중심(C0)에서 제2 날개부(112)와 제3 날개부(113) 사이의 일 지점까지의 거리의 절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은 평평한 영역만을 포함한 안테나 복사 소자들을 제한된 반사부 상에 배치한 안테나 장치의 방사 빔 수평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방사 빔 수평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일한 반사부 크기를 가지는 경우, 별도의 절곡부가 형성된 안테나 복사 소자의 배치가 없는 경우, 도 1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3개의 안테나 복사 소자가 반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열에서 얻을 수 있는 Bi-directional Horizontal Beam은 도 8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side lobe가 약 15dB수준의 level로 출력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곡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복사 소자들을 포함한 안테나 장치(10)의 경우, 동일한 공간에서 소자를 추가할 수 있도록 측면을 절곡해 4개의 소자의 배치가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배열에 따른 안테나 장치(10)는 현저하게 낮아진 side lobe level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안테나 장치
101, 102, 103, 104: 안테나 복사 소자
111, 112, 113, 114: 날개부
110: 안테나부
101a, 104a: 평면부
101b, 104b: 절곡부
120: 기둥부
200: 반사부

Claims (5)

  1. 반사부;
    상기 반사부에 결합하는 복수의 안테나 복사 소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복사 소자들은
    평평한 영역을 가지는 제1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 및
    상기 제1 안테나부와 동일한 모양을 가지되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제2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복사 소자들은
    상기 반사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일측 가장자리 방향쪽 일부가 절곡된 제1 안테나 복사 소자;
    상기 제1 안테나 복사 소자와 일정 간격 이격되고, 평평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안테나 복사 소자;
    상기 제2 안테나 복사 소자와 일정 간격 이격되고, 평평한 영역을 포함하는 제3 안테나 복사 소자;
    상기 제3 안테나 복사 소자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반사부의 타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타측 가장자리 방향쪽 일부가 절곡된 제4 안테나 복사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는
    상기 반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기둥부;
    상기 제1 기둥부에 중심이 연결되는 날개부들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평평한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 중 특정 안테나 복사 소자는
    상기 반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기둥부;
    상기 제2 기둥부에 중심이 연결되는 상기 제2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부는
    상기 제2 기둥부에 중심이 연결되는 날개부들 중 일부 날개부들이 평평한 영역을 형성하는 제1 평면부;
    상기 날개부들 나머지 일부 날개부들이 상기 제1 평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평면부의 좌측에서 상기 제2 기둥부 방향 또는 상기 제2 기둥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1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안테나 복사 소자 중 다른 안테나 복사 소자는
    상기 반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중심이 연결되는 제3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안테나부는
    상기 제3 기둥부에 중심이 연결되는 날개부들 중 일부 날개부들이 평평한 영역을 형성하는 제2 평면부;
    상기 날개부들 나머지 일부 날개부들이 상기 제2 평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평면부의 우측에서 상기 제3 기둥부 방향 또는 상기 제3 기둥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삭제
KR1020200006654A 2020-01-17 2020-01-17 절곡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KR102232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654A KR102232157B1 (ko) 2020-01-17 2020-01-17 절곡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654A KR102232157B1 (ko) 2020-01-17 2020-01-17 절곡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157B1 true KR102232157B1 (ko) 2021-03-25

Family

ID=7522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654A KR102232157B1 (ko) 2020-01-17 2020-01-17 절곡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1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3946A (ko) * 2008-12-22 2010-07-0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용 이중대역 이중편파 안테나
KR20110024584A (ko) * 2009-09-02 2011-03-0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3946A (ko) * 2008-12-22 2010-07-0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용 이중대역 이중편파 안테나
KR20110024584A (ko) * 2009-09-02 2011-03-0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0700B2 (en) Omnidirectiona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EP3067985B1 (en) Antenna radiation element and multiband antenna
US5543809A (en) Reflectarray antenna for communication satellite frequency re-use applications
US20160134023A1 (en) Dual polarization array antenna and radiation units thereof
US8692730B2 (en)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tenna
WO1994013031A1 (en) Multi-beam antenna apparatus
US11527812B2 (en) Terminal device
US20100001918A1 (en) Passive repeater antenna
CN102820542A (zh) 波导缝隙天线及无线通信系统
CN106356647A (zh) 一种弯折天线阵列及其布置方法
KR102232157B1 (ko) 절곡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CN111048912A (zh) 矩形赋形阵列天线及室内基站
CN108987945B (zh) 一种终端设备
US5559523A (en) Layered antenna
WO2019128654A1 (zh) 天线及无线移动终端
EP0542447A1 (en) Flat plate antenna
EP3515091B1 (en) Loudspeaker horn array
CN111446537B (zh) 天线结构
WO2015159871A1 (ja) アンテナ及びセクタアンテナ
CN210957024U (zh) 矩形赋形阵列天线及室内基站
JP2019009708A (ja) アンテナ
JP2981096B2 (ja) 多ビームアンテナ装置
CN117616635A (zh) 包括辐射器阵列和折射器件的天线装置
JP6245561B2 (ja) アンテナ装置
KR20230085066A (ko) 안테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