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053B1 -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053B1
KR102232053B1 KR1020190116729A KR20190116729A KR102232053B1 KR 102232053 B1 KR102232053 B1 KR 102232053B1 KR 1020190116729 A KR1020190116729 A KR 1020190116729A KR 20190116729 A KR20190116729 A KR 20190116729A KR 102232053 B1 KR102232053 B1 KR 102232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itation
user
control unit
outpu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영환
Original Assignee
여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영환 filed Critical 여영환
Priority to KR102019011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5/00Holding or levitation devices using magnetic attraction or repuls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부양 표시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양 표시 장치는 제 1기기의 상단에 놓여지며, 자석의 척력에 의해 공중 부양되는 제 2기기; 및 지면에 놓여지며, 내부에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기기를 공중 부양시키기 위해 내부 전자석의 자력을 제어하는 제 1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기기는 전자석의 자력 강도 및 극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 2기기를 기 설정된 높이로 공중부양시키고, 상기 제 2기기는 빔 프로젝터 기능을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대상 콘텐츠를 빔으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출력 대상 콘텐츠를 상기 부양 표시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추가의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출력 대상 콘텐츠를 추출 및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Levitation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공중 부양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석에 의해 발생된 인력 또는 척력을 통해 목적하는 물체를 비접촉방식으로 소정 위치에 공중 부양시켜 정지하는 공중부양장치는 심미성이 뛰어나 다양한 인테리어 용품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중부양 장치는 별도의 자력 컨트롤 시스템 없이는 자석간의 힘의 균형이 무너지기 쉬우며 그에 따라, 오작동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공중부양 장치를 적용한 제품들의 개발은 더딘 실정이다.
본 발명은 자력을 컨트롤하여 안정적으로 자기 부양 동작을 구현함을 통해, 안정적으로 자기 부양된 빔프로젝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중부양 장치를 적용한 빔 프로젝터, 스피커, 조명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부양 표시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양 표시 장치는 제 1기기의 상단에 놓여지며, 자석의 척력에 의해 공중 부양되는 제 2기기; 및 지면에 놓여지며, 내부에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기기를 공중 부양시키기 위해 내부 전자석의 자력을 제어하는 제 1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기기는 전자석의 자력 강도 및 극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 2기기를 기 설정된 높이로 공중부양시키고, 상기 제 2기기는 빔 프로젝터 기능을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대상 콘텐츠를 빔으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출력 대상 콘텐츠를 상기 부양 표시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추가의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출력 대상 콘텐츠를 추출 및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 1기기는 상기 제 2기기가 공중부양된 상태일 때, 상기 제 2기기와 제 1기기 사이의 수직 거리를 측정하여 공중부양 높이를 센싱하고, 사용자의 근접 여부 및 사용자의 기립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기기의 자력을 제어하며, 이를 통해 공중부양 설정값을 조절하는 제 1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센싱한 사용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눈높이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눈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빔이 출력되도록 제 2기기의 공중부양 높이를 제어하는 눈높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이용한 모션을 센싱하고, 상기 눈높이 제어부는 센싱된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하여 제 2기기의 공중부양 높이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제어부는 출력 대상 콘텐츠의 특성값에 대응하여 공중부양 설정값을 제어하는 콘텐츠 기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성값은 콘텐츠의 사운드 포함 여부, 이미지 여부 및 동영상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성값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상기 공중부양 설정값은 공중부양 높이, 공중부양 높이 변경 주기 및 공중부양 높이 변경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기기는 발광 기능을 수행하되, 다수 종류의 조명 발광 및 불연속 발광 동작을 수행하는 발광부, 스피커 및 마이크의 구성을 포함하며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출력 대상 콘텐츠의 속성에 따라 상기 표시부, 발광부, 오디오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 2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 센싱 정보, 콘텐츠의 특성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프로젝터의 일 설정값을 제어하는 프로젝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는 주변 밝기를 센싱하고, 센싱된 밝기 정보에 대응하여 프로젝터 출력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는 센싱된 주변 밝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공중 부양 높이를 변경하여 제 2기기가 상하 왕복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주변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것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 센싱 정보, 콘텐츠의 특성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발광 동작의 설정값을 제어하되, 사운드 연계형 발광 모드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템포에 연계하여 발광체의 점멸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 센싱 정보, 콘텐츠의 특성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사운드 출력 설정값을 제어하되, 사용자의 근접 정도에 대응하여 사운드 볼륨을 조정하는 스피커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 제어부는
주변의 소음도 수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소음도 수치에 대응하여 사운드 출력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공중 부양된 기기를 이용해 빔 프로젝터 기능을 수행하므로, 공중 부양 장치에 의한 심미성과 빔 프로젝터에 의한 활용성을 모두 충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사용자 눈높이에 기반하여 공중 부양 높이를 제어하므로 사용자 눈높이에 대응하는 빔 영사 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밖에도 하기 기술된 상세한 설명에 근거한 다양한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양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양 표시 장치의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양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 부양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 부양 높이 조절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은 공중 부양형 표시 장치(이하, 부양 표시 장치) 100, 사용자 단말 200, 서버 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는 사용자 단말 200과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기술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200은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의 구동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200 내 어플리케이션 설정값에 기반하여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 200에서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를 통해 출력(프로젝터 빔, 스피커 사운드 등)될 데이터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출력 대상이 되는 데이터 항목은 사용자 단말 200에서 상기 서버 30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 300는 출력 대상 데이터 항목을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 3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콘텐츠에 대한 표시 기능 내지는 오디오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출력 대상 데이터(예, SNS 피드 내용, 인스턴트 메신저 대화 내용, 뉴스 기사, 웹툰, 전자책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300는 출력 대상이 되는 데이터 항목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데이터 항목의 가공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도록 통합형(예, 부양 표시 장치 전용 콘텐츠 제공 서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 300는 추가의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출력 대상 콘텐츠를 수신한 이후, 상기 부양 표시장치 100에서 출력되는 데 요구되는 가공동작(예, 분류 동작, 특정 콘텐트 추출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추가의 서비스 서버는 예컨대, 각종 SNS 서버, 포털 서버, 전자책 제공 서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부양 표시장치 100는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 200 및 서버 3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부양 표시장치 100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서버 30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고, 서버 300에서 사용자 단말 200로 전송된 출력 대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부양 표시 장치100은 수집되거나 생성된 일부 정보(예, 센싱 정보, 사용자 음성 입력 정보 등)를 사용자 단말 200 또는 서버 300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부양 표시 장치의 구성과 부양 표시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양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는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면에 놓여지는 제 1 기기 100a와 상기 제 1기기의 상단에서 공중 부양되는 제 2기기 10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되는 제 1기기 100a와 제 2기기 100b의 형태는 일 예일 뿐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부양 표시 장치 100는 상기 제 1기기 100a의 상단 일 영역(예, 중심부)에 제 2 기기 100b가 놓여지며, 제 2기기 100b는 해당 위치에서 공중 부양 기능이 수행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중 부양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 1기기 100a와 제 2기기 100b는 각각 자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기기 100a와 제 2 기기 100b 중 적어도 하나는 자력의 강도가 제어 가능한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 기기 100a는 제 2기기 100b의 공중부양 높이를 제어하기 위해, 제 1기기 100a 내에 자력이 조절 가능한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 1기기 100a는 제 2 기기 100b를 공중에 띄우기 위해 제 2기기 100b의 자석의 극과 동일한 극의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기기 100a는 공중에 떠 있는 제 2기기 100b가 내려와 제 1 기기 100a의 상단면에 접촉되도록 자기력의 강도를 순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 1기기 100a는 제 2기기 100b를 자석의 동일 극 간의 척력을 이용해 공중 부양시킨 후, 제 2기기 100b가 떠 있는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기기 100a는 제 2기기 100b가 공중 부양될 시, 공중 부양된 높이를 기 탑재된 레이저 센서 등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기기 100a는 기 설정된 부양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전자석의 자력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공중 부양되는 제 2 기기 100b는 자기력이 아닌, 기타 방법에 의해 공중에 띄워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기기 100b는 드론과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드론 날개의 구동에 따라 공중부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공중 부양되는 제 2기기 10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빔 프로젝터와 같은 표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제 2기기 100b는 무드등, 미러볼 등의 조명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스피커, 단순 인테리어 용품 등의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양 표시 장치의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은 부양 표시 장치의 제 2기기 100b가 공중 부양된 상태에서 프로젝터의 역할을 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 2기기 100b는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중 부양 상태에서 스크린에 빔을 영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는 도 4에서와 같이 바닥면에 빔을 영사할 수도 있다.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는 광고, 고객 안내, 인테리어 등의 목적을 가지고 바닥에 빔을 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제 2기기 100b)의 공중 부양 여부 및 공중 부양되는 높이에 대응하여 콘텐츠가 표시되는 방향, 위치, 표시 사이즈 등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는 콘텐츠의 표시 방향, 위치, 표시 사이즈 등의 설정값을 제어하기 위해 공중 부양 설정값(공중부양 여부, 공중 부양 높이, 방향, 공중 부양 높이의 주기적 변경 여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양 표시 장치 1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양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양 표시 장치 100는 제 1기기 100a와 제 2기기 10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 1 기기 100a는 제 1 제어부 110, 센서부 120, 저장부 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기기 100b는 제 2제어부 140, 발광부 150, 표시부 160, 오디오 처리부 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 1기기의 일부 구성은 제 2기기에 포함될 수 있고, 반대로 제 2기기의 일부 구성은 제 1기기에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양 표시장치(적어도 상기 제 2기기 100b)에는 사용자 단말 200, 서버 300와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그 외에도 상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에는 입력부, 카메라부 등의 추가 구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제어부의 구성은 도 6을 참조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센서부 120는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시계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부는,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컬러(color) 센서(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온/습도 센서, 조도 센서,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부는,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센서부 120는 제 2기기 100b가 공중부양된 상태일 때, 상기 제 2기기 100b와 제 1기기 100a 사이의 수직 거리(즉, 제 2기기 100b가 공중 부양된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 120는 공중 부양된 높이를 센싱하기 위해, 예를 들어 레이저 줄자와 같은 원리로 거리를 두 물체간 이격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 120는 사용자의 근접 여부, 사용자의 기립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 120가 사용자의 눈높이에 대응하는 영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자의 얼굴 위치 및 눈높이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사용자의 눈높이 정보는 추후 사용자의 눈높이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 기능(빔 영사)을 수행할 시 요구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130는 공중부양 설정값(높이, 높이 변경주기, 방향 등)에 대응하는 자기력 제어 정보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자기력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 2기기 100b의 제 2 제어부 140의 구성에 대하여는 도 7을 참조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발광부 150는 제 2제어부의 제어 하에 발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 150는 미러볼, 인테리어 조명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발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발광부 150는 미러볼 기능(다수 종류의 조명 발광 및 불연속 발광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 2 기기 100b에서 발광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공중부양 높이가 지속적으로 변경(예, 부양 높이 5cm 와 15cm사이를 왕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160는 표시부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은 터치 패널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 160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 160는 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 160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 160는 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홀로그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160는 빔 프로젝터를 이용한 콘텐츠 표시 동작을 수행할 시, 콘텐츠의 종류에 대응하여 빔이 영사되는 스크린 위치를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대상 콘텐츠가 바닥 광고용 콘텐츠인 경우 상기 표시부 160는 빔의 출력 방향을 바닥면을 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표시부 160는 정면 전시용 콘텐츠인 경우, 해당 콘텐츠를 출력하는 빔의 영사 방향이 정면을 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 170는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예를 들면, 스피커, 리시버, 이어폰, 또는 마이크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 1제어부 110는 제 2기기 100b의 공중부양 기능과 관련된 설정값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제어부 110는 눈높이 제어부 111, 콘텐츠 기반 제어부 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눈높이 제어부 111는 사용자의 눈높이 정보에 대응하여 빔이 영사되는 표시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눈높이 제어부 111는 먼저 근처 사용자의 눈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눈높이 제어부 111는 센서부(예, 이미지 센서 등)에 의해 사용자의 근접 여부, 기립 여부와 같은 사용자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눈높이 제어부 111는 센싱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얼굴 위치 및 눈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눈높이 제어부 111는 사용자의 눈높이 정보를 산출하면, 사용자의 눈높이 정보에 대응한 빔 표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눈높이 제어부 111는 사용자의 눈높이 정보와 스크린과의 거리를 기반으로 스크린에 표시되는 출력물의 적정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눈높이 제어부 111는 산출된 목표 위치 및 적정 사이즈로 빔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눈높이 제어부 111는 상기 목표 위치에 출력물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공중부양 높이를 설정 및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눈높이 제어부 111는 빔 표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이용한 모션을 센싱하고,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하여 제 2기기 100b의 부양 높이를 조정함을 통해 빔 표시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눈높이 제어부 111는 센서부에 의해 사용자의 손등이 지면을 향하고 손바닥이 하늘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손이 수직으로 위아래 움직이는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동작이 제 2기기 100b의 부양 높이를 높이기 위한 모션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눈높이 제어부 111는 해당 동작을 센싱함에 따라 제 2기기 100b의 부양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자력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눈높이 제어부 111는 다양한 사용자 모션을 센싱하고 그에 대응하는 공중부양 기능의 설정값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기반 제어부 112는 출력되는 콘텐츠의 특성값에 대응하여 공중 부양 동작의 일 설정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콘텐츠 기반 제어부 112는 콘텐츠의 포맷(예, 사운드 포함 여부, 이미지, 동영상 등)에 대응하여 일 설정값(예, 공중부양 높이, 공중 부양 높이 변경 주기, 공중부양 높이 변경 범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기반 제어부 112는 출력 대상 콘텐츠가 사용자가 기 설정한 설정값 변경용 콘텐츠인 경우, 해당 콘텐츠 출력 시 공중부양 동작의 일 설정값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오디오 콘텐츠에 대하여 발광부(예, 미러볼)와 사운드 출력을 동시에 동작하도록 '발광 콘텐츠'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기반 제어부 112는 상기 발광 콘텐츠를 출력할 시, 공중부양 기능의 설정값을 제어하여 제 2 기기 100b가 일정 높이 범위를 수직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는 사용자가 발광 콘텐츠를 출력할 시 발광 기능이 보다 역동적으로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 1 제어부 110는 그 밖에도 사용자의 음성 명령 및 버튼 입력 등에 대응하여 공중부양 동작의 적어도 일 설정값(공중부양 높이, 공중부양 높이 변경 범위, 공중부양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 2 제어부 140는 제 2기기 100b이 수행하는 출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제어부 140는 프로젝터 제어부 141, 발광 제어부 142, 스피커 제어부 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 2기기 100b에도 제 1기기 100a에서와 같은 자력의 종류 및 강도가 조절되는 전자석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제 2 제어부 140또한 공중부양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 141는 사용자의 명령, 센싱 정보, 콘텐츠의 특성값 등에 기반하여 프로젝터의 일 설정값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 141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프로젝터의 전원, 프로젝터 출력 설정값(화면 밝기, 빔 출력 방향, 빔 사이즈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 141는 주변 밝기를 센싱하고, 센싱된 밝기 정보에 기반하여 프로젝터 출력 설정값(출력 밝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 141는 만약 주변 밝기가 충분히 어둡다면, 빔을 중간 밝기로 출력하고, 주변 밝기가 기준치 이상 밝은 경우, 빔을 최대 밝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 141는 프로젝터 기능 제어 시, 공중부양 기능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써,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 141는 주변 밝기가 기준치 이상으로 밝은 경우, 주변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 방법은 공중 부양 높이를 변경하여 제 2기기 100b가 상하 왕복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주변 밝기 제어의 필요성을 인지하도록 한다. (예, 제 1제어부에 공중부양 설정값 변경 동작 요청할 수 있다) 주변 밝기 조절 요청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 2기기 100b의 공중 부양된 상태에서의 회전동작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주변 조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커튼으로 외부 광원을 가리거나, 내부 조명 전원을 끄는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 때 사용자는 필연적으로 부양 표시 장치 100와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 141는 기기측이 요구하는 수준의 조도가 만족될 때까지 사용자에게 공중부양 높이 변경 또는 제 2기기 100b의 공중 부양 중 회전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부양 표시장치 100와 멀어지더라도 주변 조도 조절 요청 사인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제어부 142는 사용자의 명령, 센싱 정보, 콘텐츠의 특성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발광 동작의 설정값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제어부 142는 특정 사용자 설정 모드(예, 사운드 연계형 발광 모드) 하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템포와 연계하여 발광체의 점멸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광 제어부 142는 사운드 연계형 발광 모드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템포에 대응하여 발광체의 점멸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 제어부 142는 자장가와 같은 느린 템포의 음악이 출력되는 동안에는, 발광체의 점멸 기능이 동작하지 않거나, 기준값 이상(예, 20초 이상)을 주기로 하는 조명 점멸 기능을 수행(점멸 동작 속도를 하향 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발광 제어부 142는 클럽 음악과 같은 상대적으로 빠른 템포의 음악이 출력되는 동안에는, 발광체의 점멸 주기를 기준값 미만으로 설정(점멸 동작 속도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제어부 142도 마찬가지로 상기 발광 동작과 연계하여 공중 부양 동작의 설정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발광 제어부 142는 싸이키 조명, 미러볼, 야광 조명 등과 같은 파티용 조명의 발광 동작과 연계하여 공중부양 설정값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파티용 조명은 통상적으로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해, 조명의 색상 변경 및 점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조명의 색상 변경 또는 점멸 동작은 매우 빠른 속도(예, 0.5초 주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광 제어부 142는 이와 같은 파티용 조명의 조명 색상 변경 속도 또는 점멸 동작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공중 부양된 제 2기기 100b의 상하 왕복운동의 속도 또한 증가되도록 부양 표시 장치 100 내 자력을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발광 제어부 142는 발광부가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점멸 동작 또는 색상 변경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예, 10초 주기), 공중 부양된 제 2기기 100b의 높이 변경 동작(상화 왕복운동)의 속도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점멸 속도 또는 색상 변경 속도가 빠른 조명일수록 상하 왕복 운동 속도가 증가하고, 반대로 점멸 속도 또는 색상 변경 속도가 느릴수록 상하 왕복운동 속도가 함께 느려지는 공중부양 발광체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제어부 143는 사용자의 명령, 센싱 정보, 출력 콘텐츠의 속성에 대응하여 사운드 출력 설정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스피커 제어부 143는 사용자의 명령(음성 명령 등)에 기반하여 스피커 전원을 활성화 및 콘텐츠 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 제어부 143는 기 설정된 특정 모드(예, 사용자 기반 볼륨 설정 모드) 하에서, 사용자의 근접 정도에 대응하여 출력중인 사운드 볼륨을 조정하도록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피커 제어부 143는 근접 센서, 카메라 등을 통해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으로 근접한 경우 볼륨을 기준값 미만으로 조절하고, 사용자가 부양 표시 장치 100로부터 기준 거리 이상 멀어진 경우, 출력되는 오디오 볼륨을 기준값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 제어부 143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TTS(Text To Sound) 기능에 기반하여 텍스트의 리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피커 제어부 143는 SNS 게시물,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 내역, 인터넷 뉴스 기사, 전자책 등에 포함된 텍스트를 사운드 데이터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그에 따라 상기 스피커 제어부 143가 제어하는 '사운드 출력 설정값'의 범위에는 TTS 프로그램의 구동과 관련된 설정값 항목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TTS 프로그램의 구동과 관련된 설정값은 예컨대, 출력 목소리 종류, 효과음, 리딩 속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스피커 제어부 143는 주변 소음도 수준에 기반하여 사운드 출력 설정값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피커 제어부 143는 먼저, 주변 소음도 수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소음도 수치에 대응하여 사운드 출력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피커 제어부 143는 주변 환경의 소음도 수치가 큰 값일수록, 그에 대응하여 출력 볼륨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 소음도에 따라 직접 볼륨을 조정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적정값으로 조정된 사운드를 들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 제어부 143는 의미를 갖지 않은 기타 사운드(이하, 특정 명령음)에 대응하여, 사운드 출력 설정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피커 제어부 143는 박수 소리, 휘파람 소리 등의 특정 명령음에 대응하여 설정값(효과음, 목소리 변경, 사운드 볼륨, 리딩 속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 제어부 143는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의 반응 정보에 기반하여 사운드 출력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의 반응 정보는 일 리딩 동작이 개시된 이후 발생된 사용자의 표정, 사용자의 모션 등을 통해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반응 정보는 부양 표시 장치 100에 구비된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반응 정보의 예로는, 긍정 반응(예, 웃음 소리 감지), 집중 반응(예, 얼굴 정면 이미지 및 눈동자 감지), 하품 반응(예, 얼굴 이미지 및 하품 동작 감지), 수면 반응(예, 사용자 감지 및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움직임 및 음성이 감지되지 않음)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제어부 143는 감지된 사용자의 반응 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사운드 출력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제어부 143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반응이 긍정 반응 또는 집중 반응인 경우, 사운드 출력 설정값(예, 리딩 속도)을 유지하고, 그 외의 반응인 경우에 사운드 출력 설정값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 기반 제어부 171c는 사용자로부터 하품 반응이 발생한 것을 판단한 경우, 볼륨 업을, 사용자로부터 수면 반응이 감지된 경우, 리딩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상황 기반 제어부 171는 앞서 기술한 예시들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상황 정보를 감지 및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 설정값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서버 300가 부양 표시 장치 100, 사용자 단말 200과 통신하기 위해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고, 출력 대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 300는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출력 대상 선택부 301, 출력 대상 제공부 302, AI 지원부 3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부양 표시 장치 100를 통해 출력하고자 할 대상(대상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을 사용자 단말 200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200이 아닌 부양 표시 장치 100로의 음성 명령을 통해 출력할 콘텐츠(또는 연동할 어플리케이션)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부양 표시장치 100는 서버 300의 출력 대상 선택부 301가 출력 대상을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양 표시 장치 100는 “웹툰 보여줘” 라는 음성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부양 표시장치 100는 프로젝터의 표시 대상이 되는 웹툰을 선택할 것을 서버 300에 요청할 수 있다. 그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 300의 출력 대상 선택부 301는 사용자 단말 200의 웹툰 열람 기록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관심 웹툰 목록을 산출하고, 그 중 일 웹툰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출력 대상 선택부 301는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의 요청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일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선택된 출력 콘텐츠는 추후 출력 대상 제공부 302에 의해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 대상 선택부 301는 사용자 단말 200의 로그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접속 빈도, 주요 관심사 정보를 산출하고, 그에 대응하는 즐겨 찾기 목록을 산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출력 대상 선택부 301는 출력 대상 콘텐츠가 확정되지 않은 채 출력 동작(빔 영사, 사운드 출력 등)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의 즐겨찾기 목록에 기반하여 출력 대상 콘텐츠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구체적인 명령이 없더라도, 자신이 부양 표시 장치 100를 통해 주로 출력(화면 출력, 스피커 출력)한 생활 습관이 있다면, 해당 동작이 루틴화되어 제공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대상 제공부 302는 상기 출력 대상 선택부 301에 의해 선택된 출력 대상 콘텐츠를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 측에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대상 제공부 30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직접 서버 300에 보유된 콘텐츠를 무선 통신을 통해 부양 표시 장치 100측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출력 대상 제공부 302는 사용자 단말 200을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 상에 표시되는 콘텐츠가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에서 미러링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서버 300가 콘텐츠 제공 서버와 통합형 서버일 경우, 상기 서버 300는 기 저장된 동영상, 웹툰 등의 출력 대상 콘텐츠를 부양 표시 장치 100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콘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서버 300가 이원화된 경우, 상기 출력 대상 제공부 302는 출력 대상이 되는 콘텐츠의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출력 대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후 부양 표시 장치 100측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AI 지원부 303는 음성 인식 동작 및 TTS 기반의 리딩 동작 영역과 관련하여 AI 분석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AI 지원부 303는 TTS 기반의 리딩 동작 시, 추가로 출력될 배경음, 효과음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AI 지원부 303는 서버에 기 저장된 다수개의 배경음 및 효과음 샘플들 중 출력 대상 콘텐츠가 갖는 분위기와 유사한 분위기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는 샘플을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AI 지원부 303는 출력 대상 콘텐츠(예, SNS 게시글)이 포함하는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분위기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I 지원부 303는 서버에 기 저장된 배경음 및 효과음들 중 출력 대상 콘텐츠와 분위기 코드가 일치하는 배경음 또는 효과음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출력 대상 제공부 302는 선택된 배경음 또는 효과음 데이터를 부양 표시 장치 100측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배경음 및 효과음 데이터는 부양 표시 장치 100측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AI 지원부 303는 출력 대상 콘텐츠에서 산출된 분위기 코드 정보만을 부양 표시 장치 100측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는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에 게시된 이미지 및 게시글에 대한 리딩 동작 시, 상기 게시글을 읽음과 동시에 상기 이미지 및 게시글의 분위기에 대응하는 배경음 내지 효과음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는 메신저 대화 내용에 대한 리딩 동작 시, 대화 텍스트는 TTS에 기반하여 대응 사운드로 출력하고, 그와 동시에, 대화 상대자의 프로필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배경음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AI 지원부 303가 분위기 코드를 산출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AI 지원부 303는 AI 기반의 분위기 분석 알고리즘에 의해 이미지 및 단어들을 분위기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다. 분위기 분석 알고리즘의 학습 시 고려된 요소(학습 데이터의 특성 정보)는 이미지의 경우 계절, 색감, 배경, 조명, 날씨, 낮/밤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단어의 경우, 온도 표현, 계절 표현, 감정 표현, 긍정/부정 표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I 지원부 303는 분위기 분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분석 대상(출력 콘텐츠의 이미지, 단어)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별로 상이한 분위기 코드값을 부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 부양 동작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먼저, 부양 표시 장치 100는 제 2기기의 공중 부양 기능을 개시하는 905동작을 수행하고, 이후 상제 2기기의 부양된 높이를 판단하는 9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는 기 설정된 높이가 유지되도록 제 1기기 100a의 자력을 조절하는 9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 부양 높이 조절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양 표시 장치 100는 부양 높이 변경 이벤트를 수신하는 92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부양높이 변경이벤트는 매우 다양한데, 주변 조도, 사용자의 근접 여부, 템포가 빠른 사운드 콘텐츠 출력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는 920동작 이후 제 2기기의 현재 부양 높이를 판단하는 92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양 표시 장치 100는 제 2기기의 부양 높이 변경을 위한 제 1기기의 자기력을 조절하는 93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공중 부양 높이를 유지 또는 제어하기 위해 제 1기기의 자력이 조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만 언급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공중부양 높이를 제어하기 위해 자력이 조절되는 전자석은 제 1기기 및 제 2기기 모두에 존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 2기기 100b의 자력이 조절되는 실시 예도 구현 가능하며, 제 1기기 및 제 2기기의 자력이 모두 조절될 수도 있다.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부양 표시 장치
100a: 제 1기기
100b : 제 2기기
110 : 제 1제어부
120 : 센서부
130 : 저장부
140 : 제 2제어부
150 : 발광부
160 : 표시부
170 : 오디오 처리부

Claims (10)

  1. 부양 표시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양 표시 장치는
    제 1기기의 상단에 놓여지며, 자석의 척력에 의해 공중 부양되는 제 2기기; 및 지면에 놓여지며, 내부에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기기를 공중 부양시키기 위해 내부 전자석의 자력을 제어하는 제 1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기기는
    전자석의 자력 강도 및 극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 2기기를 기 설정된 높이로 공중부양시키고,
    상기 제 2기기는 빔 프로젝터 기능을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대상 콘텐츠를 빔으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출력 대상 콘텐츠를 상기 부양 표시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추가의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출력 대상 콘텐츠를 추출 및 가공하고,
    상기 제 1기기는
    상기 제 2기기가 공중부양된 상태일 때, 상기 제 2기기와 제 1기기 사이의 수직 거리를 측정하여 공중부양 높이를 센싱하고, 사용자의 근접 여부 및 사용자의 기립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기기의 자력을 제어하며, 이를 통해 공중부양 설정값을 조절하는 제 1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센싱한 사용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눈높이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눈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빔이 출력되도록 제 2기기의 공중부양 높이를 제어하는 눈높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손을 이용한 모션을 센싱하고,
    상기 눈높이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모션이 기설정된 모션에 대응되는 경우, 제 2기기의 공중부양 높이를 변경하고,
    상기 제 1제어부는
    출력 대상 콘텐츠의 특성값에 대응하여 공중부양 설정값을 제어하는 콘텐츠 기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성값은 콘텐츠의 사운드 포함 여부, 이미지 여부 및 동영상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성값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상기 공중부양 설정값은 공중부양 높이, 공중부양 높이 변경 주기 및 공중부양 높이 변경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발광 기능을 수행하되, 다수 종류의 조명 발광 및 불연속 발광 동작을 수행하는 발광부;
    스피커 및 마이크의 구성을 포함하며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출력 대상 콘텐츠의 속성에 따라 상기 표시부, 발광부, 오디오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 2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 센싱 정보, 콘텐츠의 특성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프로젝터의 일 설정값을 제어하는 프로젝터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는
    주변 밝기를 센싱하고, 센싱된 밝기 정보에 대응하여 프로젝터 출력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는
    센싱된 주변 밝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공중 부양 높이를 변경하여 제 2기기가 상하 왕복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주변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것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 센싱 정보, 콘텐츠의 특성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발광 동작의 설정값을 제어하되,
    사운드 연계형 발광 모드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템포에 연계하여 발광체의 점멸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 센싱 정보, 콘텐츠의 특성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사운드 출력 설정값을 제어하되,
    사용자의 근접 정도에 대응하여 사운드 볼륨을 조정하는 스피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제어부는
    주변의 소음도 수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소음도 수치에 대응하여 사운드 출력 설정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

KR1020190116729A 2019-09-23 2019-09-23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 KR102232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29A KR102232053B1 (ko) 2019-09-23 2019-09-23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29A KR102232053B1 (ko) 2019-09-23 2019-09-23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053B1 true KR102232053B1 (ko) 2021-03-25

Family

ID=7522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729A KR102232053B1 (ko) 2019-09-23 2019-09-23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0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0131A (ko) * 2009-06-03 2012-03-27 트랜스퍼시픽 이미지, 엘엘씨 멀티미디어 투사 관리
KR20150120198A (ko) * 2014-04-17 201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조명 장치
KR20160026647A (ko) * 2014-08-29 2016-03-09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마이크로프로젝션 디바이스, 마그네틱 서스펜션 베이스, 및 마이크로프로젝션 장비
JP2018125689A (ja) * 2017-01-31 2018-08-09 株式会社木村技研 投射システム及び投射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0131A (ko) * 2009-06-03 2012-03-27 트랜스퍼시픽 이미지, 엘엘씨 멀티미디어 투사 관리
KR20150120198A (ko) * 2014-04-17 201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조명 장치
KR20160026647A (ko) * 2014-08-29 2016-03-09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마이크로프로젝션 디바이스, 마그네틱 서스펜션 베이스, 및 마이크로프로젝션 장비
JP2018125689A (ja) * 2017-01-31 2018-08-09 株式会社木村技研 投射システム及び投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0912B2 (en) Face recognition triggered digital assistant and LED light ring for a smart mirror
US1123177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on the basis of eyeball motion, and device therefor
US9137878B2 (en) Dynamic lighting based on activity type
US11010601B2 (en) Intelligent assistant device communicating non-verbal cues
US1031063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djusting user interface thereof
US9690374B2 (en) Virtual/augmented reality transition system and method
US201601620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touchless activation of a device
US103460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a user interface for scaling and tracking
US9269009B1 (en) Using a front-facing camera to improve OCR with a rear-facing camera
Sudol et al. Looktel—A comprehensive platform for computer-aided visual assistance
KR102616850B1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10191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a user interface for sharing
US202002585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50047803A (ko) 인공지능 오디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08256B1 (ko) 리딩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 인형
US20190130874A1 (en) Portable emoji/image display device
CN106707512B (zh) 一种低功耗智能ar系统及智能ar眼镜
US10268175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US20160323534A1 (en) Functional module system
KR102232053B1 (ko) 공중 부양형 표시 시스템
US1049634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CN111078036A (zh) 互动多媒体展示系统及其基于网络的控制方法
CN210924530U (zh) 互动多媒体展示系统
US11961410B1 (en) Systems and methods to measure and affect focus and engagement
CN111919250B (zh) 传达非语言提示的智能助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