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995B1 -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995B1
KR102231995B1 KR1020190087203A KR20190087203A KR102231995B1 KR 102231995 B1 KR102231995 B1 KR 102231995B1 KR 1020190087203 A KR1020190087203 A KR 1020190087203A KR 20190087203 A KR20190087203 A KR 20190087203A KR 102231995 B1 KR102231995 B1 KR 102231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inimum unit
line
font
straigh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964A (ko
Inventor
한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Priority to KR1020190087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9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폰트 관리 시스템이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문자, 숫자 또는 기호에 대한 저장에 있어서, 조합된 최소 단위의 종류 정보, 각 최소 단위의 위치 정보,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폰트 용량 최소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INIMIZING FONT STORAGE CAPACITY}
본 발명은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운영체제에 포함되는 기본 폰트 외에 다양한 폰트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들 폰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폰트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폰트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이를 PC 등의 단말기에 설치하여야 한다.
폰트 파일의 사이즈는 한글의 경우 수백에서 수천 킬로바이트 정도이므로, 폰트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폰트 파일 사이즈에 대한 저장 용량에 부담이 생길 수 있으며, 이를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는 데에 있어서도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폰트에 대한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회전, 기울기 등의 가공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폰트 이미지 자체에 대한 변환을 해야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폰트 편집에 필요한 개별적 파라미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폰트를 구성하는 문자, 숫자 및 기호를 최소 단위의 조합 정보, 각 최소 단위의 위치, 스케일, 두께, 곡선 표현 정보, 모서리 처리 정보로서 저장함으로써, 각 폰트의 저장 용량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폰트를 구성하는 문자의 자음 및 모음을 각각 최소 단위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하고, 해당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함으로써 문자를 설계함으로써, 폰트의 용량을 최소화하고 디자인 작업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폰트를 구성하는 문자의 자음 및 모음을 각각 최소 단위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하고, 해당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함으로써 문자를 설계함으로써, 폰트의 용량을 최소화하고 디자인 작업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소 단위를 변형시킨 서브 최소 단위를 둠으로써, 폰트 저장 용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문자, 숫자 및 기호의 상단, 하단, 좌측단, 우측단을 지나는 라인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라인 위치 변경을 통해 글자 모양 편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폰트 관리 시스템이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문자, 숫자 또는 기호에 대한 저장에 있어서, 조합된 최소 단위의 종류 정보, 각 최소 단위의 위치 정보,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폰트 용량 최소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최소 단위는, 가로 직선(─), 세로 직선(│), 원(○), 사선(/)인 폰트일 수 있다.
상기 최소 단위는, 가로 직선(─), 세로 직선(│), 원(○), 사선(/) 각각에 대해 스케일, 각도 또는 두께를 변형시킨 일 이상의 서브 최소 단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각 문자, 숫자 또는 기호에 있어서, 상호 연결되지 않은 일 이상의 분리 부분에 대한 상기 최소 단위 종류 정보, 각 최소 단위의 위치 정보,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 부분의 상단을 지나는 라인 정보, 하단을 지나는 라인 정보, 좌측단을 지나는 라인 정보, 우측단을 지나는 라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최소 단위의 양 종단에 대한 모서리 처리 정보 또는 곡선 표현 정보를 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선 표현 정보는, 상기 최소 단위의 양 종단을 지나는 법선 간 각도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스케일 정보 및 두께 정보는 상호 영향을 주지 않는 독립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각 문자, 숫자 또는 기호에 대한 저장에 있어서, 조합된 최소 단위의 종류 정보, 각 최소 단위의 위치 정보,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로서 저장하는 폰트 용량 최소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폰트를 구성하는 문자, 숫자 및 기호를 최소 단위의 조합 정보, 각 최소 단위의 위치, 스케일, 두께, 곡선 표현 정보, 모서리 처리 정보로서 저장함으로써, 각 폰트의 저장 용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폰트를 구성하는 문자의 자음 및 모음을 각각 최소 단위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하고, 해당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함으로써 문자를 설계함으로써, 폰트의 용량이 최소화되고 디자인 작업이 간소화/간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소 단위를 변형시킨 서브 최소 단위를 둠으로써, 폰트 저장 용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문자, 숫자 및 기호의 상단, 하단, 좌측단, 우측단을 지나는 라인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라인 위치 변경을 통해 글자 모양 편집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폰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자가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리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폰트 정보가 저장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폰트 정보 저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폰트의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100) 및 폰트 관리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폰트 관리 서버(200)의 동작은 모두 사용자 단말기(100) 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 자체적으로 오프라인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폰트 관리 서버(200)가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폰트 편집 정보를 폰트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 내에서 폰트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응용 프로그램은 폰트 관리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폰트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편집된 폰트의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폰트 관리 서버(200)는 해당 폰트의 각 문자, 숫자, 기호를 가로 직선(─), 세로 직선(│), 원(○), 사선(/)에 대한 정보로 분리해서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가로 직선(─), 세로 직선(│), 원(○), 사선(/)을 문자, 숫자, 기호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라 칭하기로 한다.
즉, 상기 최소 단위에 대한 정보, 해당 최소 단위의 위치 좌표 정보, 스케일, 두께, 곡선 처리 여부, 적어도 일단을 지나는 라인 정보, 모서리 처리 방법 등에 대한 정보로서 각각의 문자, 숫자, 기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폰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폰트 관리 서버(200)는 문자, 숫자, 기호 분리부(210), 분리 부분 분석부(220), 분리 부분 정보 처리부(230), 문자, 숫자, 기호 정보 저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문자, 숫자, 기호 분리부(210), 분리 부분 분석부(220), 분리 부분 정보 처리부(230), 문자, 숫자, 기호 정보 저장부(24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는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100), 폰트 관리 서버(20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문자, 숫자, 기호 분리부(210)는 사용자가 편집한 폰트에 있어서, 각 문자, 숫자, 기호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이미지에서 상호 연결되지 않은 일 이상의 영역을 분리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라는 글자는 상호 연결되지 않은 'ㄱ'에 해당하는 제1 부분(A) 및 'ㅏ'에 해당하는 제2 부분(B)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부분 분석부(220)는 문자, 숫자, 기호 분리부(210)에 의해 분리된 각 부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각각의 분리 부분은 최소 단위, 즉, 가로 직선(─), 세로 직선(│), 원(○), 사선(/) 중 일 이상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분리 부분 분석부(220)는 각 분리 부분에 있어서, 가로 직선(─), 세로 직선(│), 원(○), 사선(/) 중 어떠한 최소 단위로 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해당 최소 단위 종류들의 위치를 좌표 정보로서 판단하고, 각 최소 단위 종류의 위치 좌표 정보,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 곡선 처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판단한다.
이하, 이에 대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가'라는 글자에 대해서 분리된 제1 부분(A)에 대해서는, 가로 직선(─)과 사선(/)으로 조합되어 있고, 가로 직선(─)의 위치는 (a, b) 좌표, 사선(/)의 위치는 (c, d) 좌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는, 해당 최소 단위의 시작점 좌표로 획득할 수도 있지만, 중심점의 위치 또는 종단 위치의 좌표로 획득할 수도 있다. 좌표의 기준점은 분리된 부분(A)의 중심 또는 모서리 중 어느 하나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부분(A)에 있어서, 가로 직선(─)은 n배 확대되었고, 사선(/)은 m배 확대되었다는 스케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부분(A)에 있어서, 가로 직선(─)및 사선(/)의 두께가 모두 X포인트(pt)라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소 단위의 스케일 정보는 길이에 대한 확대 정보이고, 두께 정보는 별도로 획득한다. 즉, 스케일 정보와 두께 정보는 상호 영향을 주지 않는 독립 정보이기 때문에, 상기 최소 단위에 대한 스케일 정보 및 두께 정보로 다양한 문자, 숫자, 기호에 대한 표현이 가능해진다. 즉, 다양한 폰트의 문자, 숫자, 기호가 상기 최소 단위에 대한 정보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로 직선(─)의 양 종단 및 사선(/)의 양 종단에서의 모서리 처리 방식에 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부분(A)에 있어서는, 가로 직선(─)의 종단점 및 사선(/)의 시작점을 둥글게 또는 부드럽게 처리한다는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사선(/)에 있어서는 제1 지점과 제2 지점, 예를 들면, 양 종단을 지나는 법선 간 각도 정보(θ)를 획득함으로써, 해당 최소 단위의 곡선 표현 여부, 곡선 표현의 정도에 대한 정보도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를 구성하는 복수의 자음 및 모음들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최소 단위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이 되고, 폰트 디자이너는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되는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하여 간편하게 폰트 디자인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도 폰트를 이용함에 있어서 상기의 방식으로 저장된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식으로 저장되는 자음 및 모음의 정보를 나타내는 일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ㄱ”에 대해, 여려가지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와 같이 하부에 배치되는 모음과 조합되는 제1 형태 “국”과 같이 하부에 배치되는 모음 및 상기 모음의 하부에 배치되는 자음 받침과 조합되는 제2 형태, “가”와 같이 우측에 배치되는 모음과 조합되는 제3 형태 등이 있을 수 있다.
제1 형태는 최소 단위 중 가로 직선(─)과 세로 직선(│)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가로 직선(─)과 세로 직선(│)의 각 위치 좌표 정보,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제2 형태 또한 최소 단위 중 가로 직선(─)과 세로 직선(│)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가로 직선(─)과 세로 직선(│)의 각 위치 좌표 정보,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정보들은 “ㄱ”의 제1 형태에 대한 정보와 상이해질 수 있다.
제3 형태는 최소 단위 중 가로 직선(─)과 사선(/)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가로 직선(─)과 사선(/)의 각 위치 좌표 정보,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3 형태에서의 사선(/)은 곡선 처리가 되어야 하므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각도 정보(θ)가 추가적으로 함께 저장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ㅏ”와 관련하여서도,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조합되는 최소 단위에 대한 정보로서 여러가지 변형 가능한 모음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자음과 모음에 대한 변형 예들에 대해 최소 단위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고, 폰트 편집자 또는 사용자는 해당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폰트에 대한 디자인 또는 사용을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 “각”, “나”, “낙”, “아”, 안”이라는 문자를 저장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6개의 글자는 최소 단위 중 사선(/), 일정 각도로 곡선 처리된 사선(/), 세로 직선(│), 가로 직선(─), 원(○)의 정보로서 저장이 가능하다.
먼저, “가”에 대해서는 가로 직선(─), 일정 각도로 곡선 처리된 사선(/), 세로 직선(│), 가로 직선(─)의 위치 좌표,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로서 저장이 가능하고, “각”에 대해서도 가로 직선(─), 일정 각도로 곡선 처리된 사선(/), 세로 직선(│), 가로 직선(─)의 위치 좌표,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로서 저장이 가능하다.
“나”에 대해서는, 가로 직선(─), 세로 직선(│)의 위치 좌표,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로서 저장이 가능하며, “낙”에 대해서도 가로 직선(─), 세로 직선(│)의 위치 좌표,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로서 저장이 가능하다.
“아”, “안”은 원(○), 가로 직선(─), 세로 직선(│)의 위치 좌표,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로서 저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최소 단위, 즉, 가로 직선(─), 세로 직선(│), 원(○) 또는 사선(/)에 대한 일 이상의 서브 최소 단위가 문자, 숫자 및 기호의 저장에 이용될 수 있다.
서브 최소 단위는 최소 단위의 스케일, 각도, 두께 등을 변형시킨 것으로서, 예를 들어, 가로 직선(─)과 관련해서는, 스케일을 일정 비율 감소시킨 가로 직선(-)이 서브 단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나”라는 글자에 대한 정보 저장 시, “ㅏ”의 모음 저장에 있어서는 세로 직선(│)과 상기 스케일이 작은 가로 직선(-)에 대한 정보가 조합되어 저장되게 된다.
즉, 본래의 최소 단위인 가로 직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게 되면, 모음 “ㅏ”에 대한 정보 저장 시 가로 직선(─)의 스케일 정보가 더 포함되어야 하지만, 스케일을 줄인 가로 직선(-)을 최소 단위로서 이용하게 되면, 가로 직선에 대해서는 스케일 정보를 저장하지 않아도 되므로, 폰트 저장 용량이 더욱 최소화될 수 있다.
폰트 저장 시, 어떠한 최소 단위 또는 서브 단위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할지에 대한 결정은, 통계적 방법 또는 비교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라는 글자에서 “ㅏ” 저장에 있어서는, 세로 직선(│)과 가로 직선(─)에 대한 정보를 저정한 용량과, 세로 직선(│)과 상기 스케일이 작은 가로 직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용량을 비교하여 더 작은 용량을 갖는 쪽으로 저장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폰트 편집자가 직접 각 폰트 디자인에 활용한 최소 단위 또는 서브 최소 단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된 각 부분에 대한 위치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라인 정보가 추가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분리된 각 부분을 배열했을 때, 각 부분의 상단을 지나는 직선(라인 1), 하단을 지나는 직선(라인 2, 라인 3), 좌측단을 지나는 직선(라인 4), 우측단을 지나는 직선(라인 5)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라인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한다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라인을 이동시켜, 적어도 일부의 분리 부분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라인 3' 정보를 토대로 해당 라인 3을 윗방향으로 이동시키면, 'ㄴ'에 해당하는 분리 부분, 'ㄷ'에 해당하는 분리 부분이 각각 동일하게 윗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라인 1과 라인 2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ㄱ'에 대한 상하 사이즈 조절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라인 4와 라인 5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좌우 사이즈 조절을 수행할 수도 있다.
분리 부분 분석부(220)는 상기의 방식으로 각 분리 부분에 대해, 조합된 최소 단위의 종류 정보, 최소 단위의 위치(좌표) 정보,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 모시리 처리 정보, 곡선 처리 정보, 라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부분 정보 처리부(230)는 분리 부분 분석부(22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토대로 각 문자, 숫자, 기호에 대한 정보를 최종적으로 생성해낸다.
예를 들어, '가'라는 문자에 대해서는 상기의 방식으로 획득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부분(A) 및 제2 부분(B)이 결합된 문자라는 정보를 생성해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숫자, 기호 정보 저장부(240)는 분리 부분 정보 처리부(230)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 폰트별 문자, 숫자, 기호는 일 이상의 분리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분리 부분은 해당 분리 부분을 이루는 최소 단위에 대한 위치(좌표) 정보,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 모서리 처리 정보, 곡선 처리 정보, 라인 정보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모든 문자, 숫자, 기호가 이미지 형태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최소 단위의 조합 정보, 및 이의 변형 정보로 저장되기 때문에, 폰트 저장 또는 송수신에 필요한 용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폰트 관리 시스템이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문자, 숫자 또는 기호에 대한 저장에 있어서, 조합된 최소 단위의 종류 정보, 각 최소 단위의 위치 정보,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최소 단위는, 가로 직선(─), 세로 직선(│), 원(○), 사선(/)이고,
    상기 최소 단위는, 가로 직선(─), 세로 직선(│), 원(○), 사선(/) 각각에 대해 스케일, 각도 또는 두께를 변형시킨 일 이상의 서브 최소 단위를 더 포함하는, 폰트 용량 최소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각 문자, 숫자 또는 기호에 있어서, 상호 연결되지 않은 일 이상의 분리 부분에 대한 상기 최소 단위 종류 정보, 각 최소 단위의 위치 정보,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폰트 용량 최소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 부분의 상단을 지나는 라인 정보, 하단을 지나는 라인 정보, 좌측단을 지나는 라인 정보, 우측단을 지나는 라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폰트 용량 최소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최소 단위의 양 종단에 대한 모서리 처리 정보 또는 곡선 표현 정보를 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폰트 용량 최소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표현 정보는, 상기 최소 단위의 양 종단을 지나는 법선 간 각도 정보로 표현되는, 폰트 용량 최소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정보 및 두께 정보는 상호 영향을 주지 않는 독립 정보인, 폰트 용량 최소화 방법.
  9.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편집한 폰트에 있어서, 문자, 숫자 또는 기호 각각에 대해 최소 단위의 조합으로 표현하는 분리 부분 분석부; 및
    상기 문자, 숫자 또는 기호 각각을 저장하되, 조합된 최소 단위의 종류 정보, 각 최소 단위의 위치 정보, 스케일 정보, 두께 정보로서 저장하는 문자, 숫자, 기호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최소 단위는, 가로 직선(─), 세로 직선(│), 원(○), 사선(/)이고,
    상기 최소 단위는, 가로 직선(─), 세로 직선(│), 원(○), 사선(/) 각각에 대해 스케일, 각도 또는 두께를 변형시킨 일 이상의 서브 최소 단위를 더 포함하는, 폰트 용량 최소화 시스템.
KR1020190087203A 2019-07-18 2019-07-18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231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203A KR102231995B1 (ko) 2019-07-18 2019-07-18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203A KR102231995B1 (ko) 2019-07-18 2019-07-18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964A KR20210009964A (ko) 2021-01-27
KR102231995B1 true KR102231995B1 (ko) 2021-03-25

Family

ID=7423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203A KR102231995B1 (ko) 2019-07-18 2019-07-18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9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056B1 (ko) * 2001-07-12 2005-12-27 (주)네오퍼스 폰트의 손실 압축 및 저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1417B1 (en) * 2000-08-28 2003-12-09 Dynalab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an outline font into a glyph-based font
KR100686731B1 (ko) * 2005-03-30 2007-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캔라인 이미지 처리 방법
KR20070001765A (ko) * 2005-06-29 2007-01-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메모리 절약형 문자 표시 시스템 및 그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056B1 (ko) * 2001-07-12 2005-12-27 (주)네오퍼스 폰트의 손실 압축 및 저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964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1830B2 (en) Cross-device task execution
US9606989B2 (en) Multiple input language selection
JP6713141B1 (ja) レイアウト解析方法、読書補助装置、回路及び媒体
KR100975504B1 (ko)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이용가능한 정보를 만들기 위한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및 컴퓨터 시스템
US10430648B2 (en) Method of process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041558B2 (en) Text creating and edit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ith dynamic data loading
US20120004898A1 (en) Contextual Input Method
US20130033498A1 (en) Reducing font instructions
JP5154533B2 (ja) プログラム生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818656B (zh) 数据差异对比方法、装置、设备、介质和计算机程序产品
US20170090725A1 (en) Selecting at least one graphical user interface item
US20130082949A1 (en) Method of directly inputting a figure on an electronic document
US9910566B2 (en) Copy and paste operation using OCR with integrated correction application
CN107943381B (zh) 热区调整方法和装置、客户端
US20200035230A1 (en) System and method supporting context-specific language model
KR102231995B1 (ko) 폰트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70111297A (ko)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JP2014203393A (ja) 電子機器、手書き文書処理方法、及び手書き文書処理プログラム
CN113268246B (zh) 正则表达式的生成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US11320914B1 (en) Computer interaction method, device, and program product
CN112799658B (zh) 模型训练方法、模型训练平台、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00044179A (ko)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US6970877B2 (en) Reducing and controlling sizes of prototype-based recognizers
US9766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xtual input
US2024002099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sentence indicated by strok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