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992B1 - 손소독 패드 및 손소독 패드 제품 - Google Patents

손소독 패드 및 손소독 패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992B1
KR102231992B1 KR1020200147064A KR20200147064A KR102231992B1 KR 102231992 B1 KR102231992 B1 KR 102231992B1 KR 1020200147064 A KR1020200147064 A KR 1020200147064A KR 20200147064 A KR20200147064 A KR 20200147064A KR 102231992 B1 KR102231992 B1 KR 102231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disinfectant
pad
upper shee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정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철호 filed Critical 정철호
Priority to KR1020200147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상부시트, 테두리에서 상기 상부시트와 접착하여 상기 상부시트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시트 및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사이에 형성된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소독액을 포함하는 손소독 패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손소독 패드에서, 상기 상부시트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하부시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부 및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하부시트 방향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시트의 상기 돌출부에는 최소한 하나의 소독액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상부시트의 상기 돌출부를 누르면, 상기 돌출부를 누르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 아래에 있는 상기 내부공간에 채워진 상기 소독액이 상기 소독액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에 묻게 된다. 본 발명의 손소독 패드는 사용자가 소독액을 자신의 손에 묻히는 별도의 적극적 행위 없이도, 즉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는 행위 또는 출입문 손잡이를 잡는 행위를 하는 것만으로도 소독액이 사용자의 손에 묻게 함으로써 질병 예방 효과를 편리하게 달성한다.

Description

손소독 패드 및 손소독 패드 제품{Hand Disinfection Pad And Hand Disinfection Pad Product}
본 발명은 손소독 패드 및 손소독 패드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버튼부 및 출입문 손잡이부 등 손으로 터치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거나 출입문 손잡이를 잡을 때 사용자의 손에 묻은,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 또는 바이러스를 소독함으로써 사용자를 감염병으로부터 보호하는 손소독 패드 및 손소독 패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rona Virus Disease-19; COVID-19)의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으로 인하여 인류는 큰 고통을 받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에 대한 백신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스크 쓰기 및 손 씻기가 가장 중요하게 요구된다. 손씻기를 실천하는 가장 간단한 방안은 손소독제를 손에 바르는 것이다. 그래서, 손소독제가 담긴 플라스틱 병이 각종 출입문 근처 및 엘리베이터 내부에 비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출입문을 열거나 닫은 후 또는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른 후에 손소독제를 사용해야 효과가 있다. 그러나 출입문의 양쪽에 손소독제를 비치하는 것이 여의치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손소독제를 적극적으로 손에 바르는 것을 귀찮아 할 수 있다. 여러가지 이유로 감염병 예방효과를 위한 손소독제의 사용은 사용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수용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사용자들이 손소독제의 사용을 더욱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24743호(2020. 06. 12. 등록)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물체 터치 장치는 터치부와 덮개부가 분리된 것으로서, 터치부에 의하여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거나 출입문 자동열림 버튼을 누른 후 터치부를 덮개부에 넣으면 덮개부에서 소독액이 나와서 터치부를 소독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 또는 바이러스가 묻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34903호(2020. 07. 10. 등록)는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를 개시한다. 개시된 키오스크는 손 투입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의 손 투입구에 이용자의 손이 투입되면 소독액을 자동으로 토출함으로써 이용자의 손을 소독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에서,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사용자가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되는 소독액의 함량이 적어 자주 소독액을 보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상기한 키오스크는 손 투입구에 사용자가 손을 투입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어서 펌핑수단을 가지는 손소독제 병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더 편리하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소독액을 자신의 손에 묻히는 별도의 적극적 행위 없이도, 즉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는 행위 또는 출입문 손잡이를 잡는 행위를 하는 것만으로도 소독액이 사용자의 손에 묻게 함으로써 질병 예방 효과를 편리하게 달성하는 손소독 패드 및 손소독 패드 제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손소독 패드는 상부시트, 테두리에서 상기 상부시트와 접착하여 상기 상부시트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시트 및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사이에 형성된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소독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손소독 패드에서, 상기 상부시트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하부시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부 및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하부시트 방향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시트의 상기 돌출부에는 최소한 하나의 소독액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상부시트의 상기 돌출부를 누르면, 상기 돌출부를 누르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 아래에 있는 상기 내부공간에 채워진 상기 소독액이 상기 소독액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에 묻게 된다.
상기 소독액 유출구는 상기 돌출부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소독액이 상기 소독액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되지 않고 상기 돌출부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비로소 상기 소독액이 상기 소독액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될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홈부는 상기 하부시트와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소독 패드는 상기 상부시트의 상기 평면부 또는 상기 하부시트 또는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의 접합부에 형성되는 소독액 공급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손소독 패드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소독 패드 제품은 상기한 손소독 패드 및 소독액이 담긴 소독액 공급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손소독 패드의 상기 소독액 공급구는 상기 소독액 공급백에 연결되고, 그래서 상기 소독액 공급백에 담긴 소독액이 상기 소독액 공급구를 통하여 상기 손소독 패드의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된다.
상기 손소독 패드 제품이 사용될 때, 상기 소독액 공급백은 상기 손소독 패드 상부에 설치되고 그래서 상기 손소독 패드가 사용중에 상기 소독액 공급백에 담긴 상기 소독액이 중력에 의하여 상기 손소독 패드의 상기 내부공간으로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손소독 패드 및 손소독 패드 제품는 사용자가 소독액을 자신의 손에 묻히는 별도의 적극적 행위 없이도, 즉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는 행위 또는 출입문 손잡이를 잡는 행위를 하는 것만으로도 소독액이 사용자의 손에 묻게 함으로써 질병 예방 효과를 편리하게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소독 패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절단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소독 패드 제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소독 패드(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시트(100), 하부시트(200) 및 소독액을 포함한다. 상부시트(100)와 하부시트(200)는 테두리에서 서로 접착하여 그것들 사이에 내부공간(300)을 형성하고, 그렇게 형성된 내부공간(300)에는 소독액이 채워진다. 상부시트(100) 및 하부시트(200)는 유연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시트(100)는 평면부(110), 복수개의 돌출부(120) 및 복수개의 요홈부(130)를 포함한다.
평면부(110)는 소정 두께, 예를 들어 1 mm 두께의 시트 형상이 평평하게 형성된 부분으로서, 돌출부(120) 및 요홈부(130)가 형성된 지역의 외곽에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고, 또한 돌출부들(120) 사이, 요홈부들(130) 사이 및 돌출부(120)와 요홈부(130) 사이에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돌출부(120)는 평면부(110)로부터 하부시트(200)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120)는 평면부(11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돌출부(120) 내부에는 빈 내부공간(310)이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120) 내부라 함은 상부시트(100)와 하부시트(200) 사이에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돌출부(120)의 내부공간(310)의 폭은 예를 들어, 대략 3.5 mm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면, 돌출부(120)의 폭은 대략 5.5 m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돌출부(120)에는 돌출부(120)로부터 평면부(110)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부 연장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 연장부(122)는 없어도 무방하다. 돌출부(120)는 측면과 상면으로 이루어지며 하변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120)의 내부공간(310)은 상부시트(100)의 평면부(110)와 하부시트(200)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320)과 서로 연통한다. 이때, 내부공간(310)과 내부공간(320)은 상부시트(100)와 하부시트(200) 사이의 내부공간(300)을 임의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도 1에는 돌출부(120)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돌출부(120)는 4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진다. 반면에 상면은 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0)의 말단에서는 단면이 사각형에서 원형으로 전환되도록 경사영역을 가진다. 즉, 돌출부(120) 말단은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다. 한편, 돌출부(120)는 말단부에 페이퍼진 형상 대신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오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다각기둥 형상 및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돌출부(120)의 상면에는 최소한 하나의 소독액 유출구(140)가 형성되어 있다. 소독액 유출구(140)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2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소독액이 소독액 유출구(140)를 통하여 유출되지 않고 돌출부(120)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비로소 소독액이 소독액 유출구(140)를 통하여 유출될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독액 유출구(140)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바느질에 사용되는 바늘의 직경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요홈부(130)는 평면부(110)로부터 하부시트(200) 방향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요홈부(130)는 평면부(11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요홈부(130) 내부에는 빈 공간(132)이 형성된다. 이때, 요홈부(130) 내부는 상부시트(100)와 하부시트(200)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아니라 상부시트(100) 외부공간에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요홈부(130)의 빈 공간(132)의 폭은 예를 들어, 대략 3 mm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면, 요홈부(130)의 폭은 대략 5 m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요홈부(130)는 측면과 하면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요홈부(130)의 공간(132)은 외부와 연통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요홈부(130)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요홈부(130)의 상면은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요홈부(130)의 말단 부분은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요홈부(130)의 몸체 절단 단면의 원 직경은 요홈부(130)의 상면 원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큰 직경 원에서 작은 직경 원으로 연결되도록 요홈부(130)의 말단 부분이 라운드지게 된다. 한편, 요홈부(130)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 이외에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시트(100)에서 돌출부(120)와 요홈부(130)는 이웃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돌출부(120)와 요홈부(130)는 교대로 이웃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부(120)와 요홈부(130)는 교대로 이웃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대각선 방향에 대하여, 돌출부(120)와 요홈부(130)가 교대로 배열되는 라인과 돌출부(120)만으로 배열되는 라인이 교대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모든 대각선 라인에 대하여 돌출부(120)와 요홈부(130)가 교대로 배열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돌출부(120)와 요홈부(130)의 이웃하는 정도는 그것들 사이에 평면부(110)가 없도록 돌출부(120)와 요홈부(130)가 완전히 접촉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돌출부(120)와 요홈부(130) 사이에 약간이라도 평면부(110)가 존재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제조상 편리할 것이다.
하부시트(200)는 소정 두께, 예를 들어 1 mm 두께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시트(200)는 상부시트(100)의 평면부(110)와 같은 형상을 가지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다면, 하부시트(200)에 굴곡진 형상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시트(200)는 상부시트(100) 아래에서 요홈부(130)와 접착하는 접착부(210)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시트(200)는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것의 테두리에서 상부시트(100)와 접착하여 상부시트(100)와 하부시트(200) 사이에 내부공간(300)을 형성한다. 내부공간(300)에는 소독액이 채워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손소독 패드(10)는 엘리베이터 버튼부, 출입문 손잡이부, 또는 출입문 자동개폐 버튼부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때, 엘리베이터 버튼부, 출입문 손잡이부, 또는 출입문 자동개폐 버튼부에 본 발명의 손소독 패드(10)를 접착시켜 사용할 때에는, 하부시트(200)의 하면에 점착층이 형성되고, 그러한 점착층은 사용하기 전에 이형지로 보호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손소독 패드(10)가 엘리베이터 버튼부에 접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특정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기 위하여 상부시트(100)의 해당 돌출부(120)를 누르면, 돌출부(120)를 누르는 압력에 의하여 돌출부(120) 아래에 있는 내부공간(300)에 채워진 소독액이 소독액 유출구(140)를 통하여 유출되어 사용자의 손에 묻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비치된 펌핑수단이 구비된 소독제 병을 사용하여 자신의 손에 소독액을 묻히는 별도의 적극적 행위를 하지 않고, 단지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는 행위를 하는 것만으로도 소독액이 사용자의 손에 묻게 함으로써 질병 예방효과를 편리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손소독 패드(10)를 출입문의 손잡이부에 설치하는 것이 여의치 않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손소독 패드(10)는 출입문 자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출입문의 손잡이를 사용하여 출입문을 열거나 닫은 후 사용한 손으로 본 발명의 손소독 패드(10)를 터치함으로써 손에 소독액을 묻혀 자신의 손을 소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손소독 패드(10)는 엘리베이터 버튼부, 출입문 손잡이부 및 출입문 자동개폐 버튼부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실내의 적절한 곳, 예를 들어 실내의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자신의 손을 본 발명의 손소독 패드(10)에 터치함으로써 자신의 손에 소독액을 묻혀 손을 소독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손소독 패드(10)는 내부공간(300)에 채워진 소독액이 모두 소진되면, 소독액을 다시 충전하여 재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소독 패드(10)에는 소독액 공급구(400)가 설치될 수 있다. 소독액 공급구(400)는 상부시트(100)의 외곽에 있는 평면부(110), 하부시트(200) 또는 상부시트(100)와 하부시트(200)의 접합부에 마련될 수 있다. 소독액 공급구(400)는 내부공간(300)과 외부공간이 연통하는 구멍, 그러한 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관 및 일방향 개폐밸브, 즉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구의 구조는 공기주입구 또는 유체주입구에 흔히 적용되는 구조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손소독 패드(10)를 더욱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손소독 패드 제품(1)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소독 패드 제품(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손소독 패드(10), 소독액이 담긴 소독액 공급백(20) 및 손소독 패드(10)와 소독액 공급백(20)을 연결하는 연결관(30)을 포함한다. 연결관(30)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3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소독 패드(10)의 소독액 공급구(400)는 소독액 공급백(20)에 연결된다. 그래서 소독액 공급백(20)에 담긴 소독액이 소독액 공급구(400)를 통하여 손소독 패드(10)의 내부공간(300)으로 공급된다.
특히, 손소독 패드 제품(1)이 사용될 때, 소독액 공급백(20)은 손소독 패드(10) 상부에 설치되고 그래서 손소독 패드(10)가 사용중에 소독액 공급백(20)에 담긴 소독액이 중력에 의하여 손소독 패드(10)의 내부공간(300)으로 계속적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손소독 패드(10)의 내부공간(300)에 소독액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손소독 패드(10)는 오랫동안 관리자의 개입없이 사용될 수 있어 편리하다. 한편, 소독액 공급백(20)에 담긴 소독액이 모두 소진되면 새로운 소독액 공급백(20)으로 교체함으로써 손소독 패드(10)에 소독액을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손소독 패드 제품(1)은 관리자가 적절한 때에 소독액 공급백(20)를 교체하기만 하면 손소독 패드(10)에 의하여 소독액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하다.
1: 손소독 패드 제품 10: 손소독 패드
20: 소독액 공급백 30: 연결관
32: 개폐밸브 100: 상부시트
110: 평면부 120: 돌출부
122: 돌출부 연장부 130: 요홈부
132: 빈 공간 140: 소독액 유출구
200: 하부시트 300,310,320: 내부공간
400: 소독액 공급구

Claims (6)

  1. 상부시트, 테두리에서 상기 상부시트와 접착하여 상기 상부시트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시트 및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사이에 형성된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소독액을 포함하는 손소독 패드이고,
    상기 상부시트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하부시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부 및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하부시트 방향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시트의 상기 돌출부에는 최소한 하나의 소독액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상부시트의 상기 돌출부를 누르면, 상기 돌출부를 누르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 아래에 있는 상기 내부공간에 채워진 상기 소독액이 상기 소독액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에 묻게 되는 것이고,
    상기 요홈부와 상기 하부시트는 서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소독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액 유출구는 상기 돌출부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소독액이 상기 소독액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되지 않고 상기 돌출부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비로소 상기 소독액이 상기 소독액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될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소독 패드.
  3. 삭제
  4.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소독 패드는 소독액 공급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독액 공급구는 상기 상부시트의 상기 평면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시트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의 접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소독 패드.
  5. 제4항에 따른 손소독 패드 및 소독액이 담긴 소독액 공급백을 포함하는 손소독 패드 제품으로서, 상기 손소독 패드의 상기 소독액 공급구는 상기 소독액 공급백에 연결되고, 그래서 상기 소독액 공급백에 담긴 소독액이 상기 소독액 공급구를 통하여 상기 손소독 패드의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소독 패드 제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소독 패드 제품이 사용될 때, 상기 소독액 공급백은 상기 손소독 패드 상부에 설치되고 그래서 상기 손소독 패드가 사용중에 상기 소독액 공급백에 담긴 상기 소독액이 중력에 의하여 상기 손소독 패드의 상기 내부공간으로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소독 패드 제품
KR1020200147064A 2020-11-05 2020-11-05 손소독 패드 및 손소독 패드 제품 KR102231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064A KR102231992B1 (ko) 2020-11-05 2020-11-05 손소독 패드 및 손소독 패드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064A KR102231992B1 (ko) 2020-11-05 2020-11-05 손소독 패드 및 손소독 패드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992B1 true KR102231992B1 (ko) 2021-03-25

Family

ID=7522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064A KR102231992B1 (ko) 2020-11-05 2020-11-05 손소독 패드 및 손소독 패드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99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852U (ja) * 1996-10-16 1997-05-06 望月食品有限会社 足の消毒用マット
JPH11115108A (ja) * 1997-10-09 1999-04-27 Kawakami Sangyo Kk 抗菌性気泡シート
KR100468080B1 (ko) * 2002-11-30 2005-01-26 트레데가르 필름 프로덕츠 코포레이션 와이핑 장치
KR20100124384A (ko) * 2009-05-19 2010-11-29 오정택 손목 또는, 신체에 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살균·소독용 패치형 장치
KR20100011715U (ko) * 2009-05-25 2010-12-03 오정택 각종 장갑에 부착하거나 장갑과의 일체형으로 사용하는 패치형 살균·소독 장치
JP2013529099A (ja) * 2010-04-30 2013-07-18 レキット アンド コールマン (オーヴァーシーズ) リミテッド 液体容器及び補充装置を含むキット
KR101723683B1 (ko) * 2016-01-22 2017-04-06 임재원 손 소독제가 구비된 마우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852U (ja) * 1996-10-16 1997-05-06 望月食品有限会社 足の消毒用マット
JPH11115108A (ja) * 1997-10-09 1999-04-27 Kawakami Sangyo Kk 抗菌性気泡シート
KR100468080B1 (ko) * 2002-11-30 2005-01-26 트레데가르 필름 프로덕츠 코포레이션 와이핑 장치
KR20100124384A (ko) * 2009-05-19 2010-11-29 오정택 손목 또는, 신체에 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살균·소독용 패치형 장치
KR20100011715U (ko) * 2009-05-25 2010-12-03 오정택 각종 장갑에 부착하거나 장갑과의 일체형으로 사용하는 패치형 살균·소독 장치
JP2013529099A (ja) * 2010-04-30 2013-07-18 レキット アンド コールマン (オーヴァーシーズ) リミテッド 液体容器及び補充装置を含むキット
KR101723683B1 (ko) * 2016-01-22 2017-04-06 임재원 손 소독제가 구비된 마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0000B2 (ja) 表面装着可能な供給デバイス
US6968982B1 (en) Multiple-mist dispenser
JP2006283501A (ja) 薬剤供給具
GB2502248A (en) Hand washing and drying device
KR102231992B1 (ko) 손소독 패드 및 손소독 패드 제품
JP3140599U (ja) 壁面埋込型自動式手指消毒器
US20210330003A1 (en) Sanitizing Glove
CA2296152A1 (en) The hygiene controller
US20160008502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Disease Prevention
KR102218902B1 (ko) 풋 페달식 손 소독기
US20120324639A1 (en) Toilet cleaning pad and splash guard
US9796161B2 (en) Disposable card barrier assembly for personal skin hygiene
WO2022034600A1 (en) Wearable dispenser
KR101675564B1 (ko) 손 소독용 패치
US20210386891A1 (en) Disinfecting System
KR200263576Y1 (ko) 약품 투입 보조기구
KR102442006B1 (ko) 분사장치 및 분사패드
CN116113469A (zh) 消毒装置和具有消毒装置的保护壳
JP6840415B1 (ja) ポンプヘッド
ES1248800U (es) Dispensador de fluido desinfectante para manos de gran formato
JPH0716623Y2 (ja) スポイト容器
US20170367458A1 (en) Cleaning and sanitizing system
KR20220036274A (ko) 문을 열면서 손을 소독할 수 있도록 문 손잡이에 설치하는 레버형 손소독장치
US201503522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nitizing Stethoscope Heads
KR101882988B1 (ko) 살충먹이의 재도포가 용이한 먹이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