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971B1 - 페어링 요청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페어링 요청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971B1
KR102231971B1 KR1020190123795A KR20190123795A KR102231971B1 KR 102231971 B1 KR102231971 B1 KR 102231971B1 KR 1020190123795 A KR1020190123795 A KR 1020190123795A KR 20190123795 A KR20190123795 A KR 20190123795A KR 102231971 B1 KR102231971 B1 KR 102231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ing
request signal
service server
transmitt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23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7Signalling methods or messages providing extensions to protocols defined by standardisation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페어링 요청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페어링 요청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페어링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셋톱박스의 상기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셋톱 박스가 가입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중계 서버로 전송될 영상의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페어링에 사용될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셋톱 박스에 대한 페어링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페어링 요청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 OF PARING}
페어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 페어링을 통한 무선 디스플레이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 디스플레이 전송 기술은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을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무선 디스플레이 전송 기술은 무선으로 스마트폰고 같은 단말기의 화면을 스마트 TV와 같은 다른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전송 기술이다. 무선 디스플레이 전송 기술에 따르면, 단말기의 화면 정보가 인코딩되고, 인코딩된 영상 신호는 미리 정의된 통신 방식으로 다른 단말기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송되고, 이를 수신한 단말기는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요청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페어링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셋톱박스의 상기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셋톱 박스가 가입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중계 서버로 전송될 영상의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페어링에 사용될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셋톱 박스에 대한 페어링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셋톱 박스의 가상 번호의 조회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준비 요청 신호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셋톱 박스의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에 의해, 상기 셋톱 박스로 상기 페어링의 푸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취소 요청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페어링 취소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기와 셋톱 박스 간의 페어링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이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중계 서버로 페어링되는 영상의 취소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페어링에 사용되는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셋톱 박스에 대한 페어링 취소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셋톱 박스의 세션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에 의해, 상기 셋톱 박스로 상기 페어링 취소의 푸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응답 방법은, 셋톱 박스에 의해, 단말기의 페어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페어링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가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단말기에 대한 페어링 응답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기로 상기 페어링 응답의 푸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요청 방법은, 셋톱 박스에 의해, 페어링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기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중계 서버로 전송될 영상의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페어링에 사용될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단말기에 대한 페어링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요청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대체 세션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요청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단말기에 대한 상기 서비스의 프로그램의 설치 안내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준비 요청 신호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는, 영상 요청 세션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에 의해, 상기 셋톱 박스로 상기 페어링의 푸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응답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셋톱 박스의 페어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셋톱 박스의 페어링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가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셋톱 박스에 대한 페어링 응답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기로 상기 페어링 응답의 푸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셋톱 박스의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의 세션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어 요청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영상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중계 서버로 영상 제어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세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제어 요청 신호는, 시작 요청 신호, 중지 요청 신호 또는 재시작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종료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영상 종료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영상 종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세션 상태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조회 결과를 기초로 영상이 제어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세션 상태를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중계 서버로 영상 종료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요청 방법은, 셋톱 박스에 의해, 영상 종료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영상 종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 상태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조회 결과를 기초로 영상 종료 요청 신호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세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단말기에 대한 영상 종료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셋톱박스의 상기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셋톱 박스가 가입된 경우, 중계 서버로 전송될 영상의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페어링에 사용될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셋톱 박스에 대한 페어링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셋톱 박스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기를 조회하고, 중계 서버로 전송될 영상의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페어링에 사용될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단말기에 대한 페어링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디스플레이 전송 기술은 서비스 서버를 통해 페어링 동작을 중계함으로써 Wifi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통신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셋톱 박스 간의 페어링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요청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요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취소 요청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취소 요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응답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응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요청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요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응답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응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제어 요청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제어 요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종료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종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에 의해 영상 종료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종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셋톱 박스 간의 페어링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 디스플레이 전송 기술은 컨텐츠 전송 기술과 미러링 기술로 분류될 수 있다. 컨텐츠 전송 기술은 단말기의 화면을 그대로 전송하는 대신 서버를 거쳐 다른 단말기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VOD 서비스 내의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술이 컨텐츠 전송 기술에 해당할 수 있다. 컨텐츠 전송 기술은, 예를 들어, 유튜브, 넷플릭스, 훌루 또는 티빙 등의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다. 크롬캐스트 역시 컨텐츠 전송 기술을 활용하며, 크롬캐스트에 따르면 URL 주소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으로 캐스트함으로써 단말기의 컨텐츠의 영상 신호 또는 컨텐츠 파일은 서버를 거쳐 다른 단말기로 전송되고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컨텐츠 전송 기술에 따르면, 단말기는 영상 신호만 서버로 전송하기 때문에 많은 리소스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멀티 태스킹을 수행하기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 반면에, 컨텐츠 전송 기술을 지원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 전송 기술은 범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미러링 기술은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그대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다른 단말기에 동일한 화면이 재생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미러링 기술은 무선 방식으로 프리젠테이션에 사용되는 유선 방식의 D-sub(RGB), DVI, HDMI, DP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라 캐스트는 미러링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미러링 기술은 특정 서비스에 종속되지 않고 송신측 단말기의 화면의 픽셀 정보를 그대로 무선으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미러링 기술은 네트워크 속도의 한계로 인해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에 있다.
이처럼, 무선 디스플레이 전송 기술은 영상을 직접 전송하는 기술과 간접적으로 전송하는 기술로 분류되며 보통 직접 전송하는 기술이 미러링 기술로 지칭되지만 간접적으로 전송하는 기술 역시 미러링 기술이라고 혼용되고 있다. 다라서, 이하에서, 무선 디스플레이 전송 기술은 미러링, 화면 미러링, 스크린 미러링, 캐스트, 미러링크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디스플레이 전송 기술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스플레이 전송 기술은 Wifi 뿐만 아니라 LTE 또는 5G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수신 단말기에서도 동일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이처럼,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전송 기술은 Wifi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통신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무선 디스플레이 전송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단말기(110), 서비스 서버(120), 중계 서버(130) 및 셋톱 박스(set-top box, STB)(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10)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단말기를 의미하고, 셋톱 박스(140)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셋톱 박스(140)와 단말기(110)는 영상 신호를 송신하는지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예시적으로 구분된 명칭이며, 셋톱 박스(140) 역시 단말기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110)는 특정 영상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셋톱 박스(140)와 페어링하기 위해 서비스 서버(120)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말기(110)에 페어링 요청 신호가 전송될 셋톱 박스(140)의 식별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페어링 요청 신호는 서비스 서버(120) 및 중계 서버(130)를 통해 처리되고, 셋톱 박스(140)는 페어링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페어링 응답 신호를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페어링 응답 신호는 서비스 서버(120) 및 중계 서버(130)를 통해 단말기(110)로 전송되고, 단말기(110)와 셋톱 박스(140) 간에는 페어링에 의한 연결이 구축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10)에서 재생되는 영상은 셋톱 박스(14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역으로도 성립할 수 있다. 셋톱 박스(140)는 특정 영상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셋톱 박스(140)는 단말기(110)와 페어링하기 위해 서비스 서버(120)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셋톱 박스(140)에 페어링 요청 신호가 전송될 단말기(110)의 식별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페어링 요청 신호는 서비스 서버(120) 및 중계 서버(130)를 통해 처리되고, 단말기(110)는 페어링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페어링 응답 신호를 셋톱 박스(140)로 전송할 수 있다. 페어링 응답 신호는 서비스 서버(120) 및 중계 서버(130)를 통해 셋톱 박스(140)로 전송되고, 셋톱 박스(140)와 단말기(110) 간에는 페어링에 의한 연결이 구축될 수 있다. 이후, 셋톱 박스(140)에서 재생되는 영상은 단말기(11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요청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요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동시에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20)는 제1 인터페이스, STB 매니져, 세션 매니져, DB 매니져 및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201)에서, 단말기(110)는 페어링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301)에서 단말기(110)는 서비스 서버(120)의 제1 인터페이스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302)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STB 매니져로 STB 정보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는 STB 매니져로 STB의 VN(virtual number)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303)에서, STB 매니져는 제2 인터페이스로 VN 정보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203)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셋톱박스의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중계 서버로 셋톱 박스의 가상 번호의 조회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 서버는 STB의 VN 정보와 MAC 주소를 보유할 수 있다. 단계(304)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VN 정보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중계 서버(130)는 VN 정보의 조회 결과를 제2 인터페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305)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STB 매니져로 조회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307)에서, STB 매니져는 조회 결과를 제1 인터페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307)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조회 결과를 기초로 STB 등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205)에서, 셋톱 박스가 가입된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중계 서버(130)로 전송될 영상의 준비 요청 신호(예를 들어, session key, mobilekey, ctn, said, vn을 포함)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309)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영상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영상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준비 요청 신호의 응답 신호(예를 들어, 방송자 ip, 방송자 port, 수신자 ip, 수신자 port를 포함)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중계 서버(130)는 제2 인터페이스로 영상 준비 요청 신호의 준비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311)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페이스로 준비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207)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페어링에 사용될 세션의 상태(예를 들어, session key, mobilekey, vn을 포함)를 갱신할 수 있다. 단계(312)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세션 매니져로 세션 상태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단말기(110)의 세션의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단계(313)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송신자 세션 상태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셋톱 박스(140)의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314)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수신자 세션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315)에서, 세션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갱신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209)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중계 서버(130)로 셋톱 박스에 대한 페어링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예를 들어, mobliekey, ctn, nickname, enablerip, enableerport, paid, vpid을 포함)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316)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페어링 푸쉬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317)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 서버(130)는 셋톱 박스(140)로 페어링의 푸쉬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318)에서, 중계 서버(130)는 셋톱 박스(140)로 푸쉬 전송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셋톱 박스(140)는 중계 서버(130)로 푸쉬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 서버(130)는 제2 인터페이스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부터 푸쉬 전송 요청 신호의 푸쉬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319)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페이스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푸쉬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321)에서, 푸쉬 결과가 실패인 경우, 제2 인터페이스는 단말기(110)로 셋톱 박스(140)가 지원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단계(322)에서, 푸쉬 결과가 성공인 경우, 제2 인터페이스는 셋톱 박스(140)가 지원 대상이라는 것을 단말기(110)에 알릴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취소 요청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취소 요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를 동시에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401)에서, 단말기(110)는 페어링 취소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501)에서, 단말기(110)는 페어링 취소 요청 신호를 제1 인터페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403)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단말기와 셋톱 박스 간의 페어링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502)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페어링 여부 조회를 STB 매니져에 요청할 수 있다. 단계(503)에서, STB 매니져는 제2 인터페이스로 페어링 여부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는 STB 매니져로 페어링 여부 조회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504)에서, STB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조회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505)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페어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506)에서, STB와 단말기(110) 간에 페어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인터페이스는 단말기(110)로 페어링 취소 요청이 잘못된 요청이라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405)에서, 페어링이 확인된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중계 서버로 페어링되는 영상의 취소 요청 신호를 전송 할 수 있다. 단계(507)에서, STB와 단말기(110) 간에 페어링이 존재하는 경우,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영상 취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508)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영상 취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509)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페이스로 취소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407)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페어링에 사용되는 세션의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단말기의 세션의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셋톱 박스의 세션을 삭제할 수 있다. 단계(510)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세션 매니져로 세션 상태 갱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511)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송신자 세션 상태 갱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512)에서, 센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수신자 세션 삭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513)에서, 세션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갱신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409)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중계 서버로 셋톱 박스에 대한 페어링 취소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 할 수 있다. 중계 서버(130)는 셋톱 박스로 페어링 취소의 푸쉬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514)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페어링 취소 푸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515)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푸쉬 전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516)에서, 중계 서버(130)는 셋톱 박스(140)로 푸시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517)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페이스로 푸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518)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단말기(110)로 취소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응답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응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와 도 7을 동시에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601)에서, 셋톱 박스(140)는 단말기의 페어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701)에서, 셋톱 박스(140)는 제1 인터페이스로 페어링 요청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603)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단말기의 페어링 요청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702)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세션 매니져로 페어링 요청 여부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703)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페어링 요청 여부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704)에서, 세션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조회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705)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페어링 요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605)에서, 페어링 요청 신호가 확인된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세션의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단계(706)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세션 매니져로 세션 상태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707)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시청자 세션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708)에서, 세션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갱신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607)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중계 서버로 단말기에 대한 페어링 응답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709)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페어링 요청 푸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710)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푸쉬 전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711)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페이스로 푸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 서버(130)는 단말기(110)로 페어링 응답의 푸쉬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712)에서, 중계 서버(130)는 단말기(110)로 푸쉬 전송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713)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셋톱 박스(140)로 푸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요청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요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과 도 9를 동시에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801)에서, 셋톱 박스(140)는 페어링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901)에서, 셋톱 박스(140)는 제1 인터페이스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803)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기를 조회할 수 있다. 단계(902)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페어링 매니져로 단말기 정보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903)에서, 페어링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단말기 정보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904)에서, 페어링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조회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대체 세션키(예를 들어, VN+timestamp)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905)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세션 매니져로 대체 세션키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906)에서, 세션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대체 세션키 전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805)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중계 서버(130)로 전송될 영상의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907)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영상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908)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영상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909)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페이스로 준비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807)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페어링에 사용될 세션의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단계(910)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세션 매니져로 세션 상태 갱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911)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영상 요청 세션 저장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912)에서, 세션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갱신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영상 요청 세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809)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중계 서버로 단말기에 대한 페어링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 서버(130)는 셋톱 박스로 페어링의 푸쉬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913)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페어링 푸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914)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푸쉬 전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807)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준비 요청 신호의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915)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페이스로 푸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916)에서, 중계 서버(130)는 단말기(110)로 푸쉬 전송을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중계 서버로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의 프로그램의 설치 안내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917)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설치 안내 푸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918)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푸쉬 전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919)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페이스로 푸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920)에서, 중계 서버(130)는 단말기(110)로 푸쉬 전송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921)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셋톱 박스(140)로 페어링 요청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응답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페어링 응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과 도 11을 동시에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001)에서, 단말기(110)는 셋톱 박스의 페어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1101)에서, 단말기(110)는 제1 인터페이스로 페어링 요청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102)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세션 매니져로 페어링 요청 여부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1103)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페어링 요청 여부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1104)에서, 세션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조회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003)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셋톱 박스의 페어링 요청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1105)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페어링 요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1106)에서, 페어링 요청이 없었던 경우, 제1 인터페이스는 단말기(110)로 페어링 요청 응답 신호가 잘못된 응답이라는 것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005)에서, 페어링 요청 신호가 확인된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세션의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셋톱 박스의 세션의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단말기의 세션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1107)에서, 페어링 요청이 있었던 경우, 제1 인터페이스는 세션 매니져로 세션 상태 갱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108)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송신자 세션 갱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109)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수신자 세션 저장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110)에서, 세션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갱신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007)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중계 서버로 셋톱 박스에 대한 페어링 응답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 서버(130)는 단말기(110)로 페어링 응답의 푸쉬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111)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페어링 요청 응답 푸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112)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푸쉬 전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113)에서, 중계 서버(130)는 셋톱 박스(140)로 푸쉬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1114)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페이스로 푸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115)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단말기(110)로 페어링 요청 응답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제어 요청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제어 요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2와 도 13을 동시에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201)에서, 단말기(110)는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영상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301)에서, 단말기(110)는 제1 인터페이스로 영상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제어 요청 신호는, 시작 요청 신호, 중지 요청 신호 또는 재시작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203)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중계 서버로 영상 제어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302)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시작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303)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304)에서, 중계 서버(130)는 셋톱 박스(140)로 푸쉬 전송을 할 수 있다. 단계(1305)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요청 결과를 제1 인터페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1306)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영상에 대한 정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306)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정지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307)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308)에서, 중계 서버(130)는 셋톱 박스(140)로 푸쉬 전송을 할 수 있다. 단계(1309)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요청 결과를 제1 인터페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1310)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영상에 대한 재시작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310)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재시작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311)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312)에서, 중계 서버(130)는 셋톱 박스(140)로 푸쉬 전송을 할 수 있다. 단계(1313)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요청 결과를 제1 인터페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205)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세션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단계(1314)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세션 매니져로 세션 상태 갱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315)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송신자 세션 상태 갱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316)에서, 세션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갱신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317)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단말기(110)로 영상 제어 요청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종료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종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4와 도 15를 동시에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401)에서, 단말기(110)는 영상 종료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1501)에서, 단말기(110)는 제1 인터페이스로 영상 종료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403)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영상 종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세션 상태를 조회할 수 있다. 단계(1502)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세션 매니져로 세션 상태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1503)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세션 상태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1504)에서, 세션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조회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505)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영상 제어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1506)에서, 영상이 제어되고 있는 경우,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영상 제어의 종료 푸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507)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푸쉬 전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508)에서, 중계 서버(130)는 셋톱 박스(140)로 푸쉬 전송을 전달할 수 있다. 단계(1509)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페이스로 푸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405)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조회 결과를 기초로 영상이 제어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세션 상태를 초기화할 수 있다. 영상 제어 상태를 판단한 결과, 영상이 제어되고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영상 제어의 종료 푸쉬 결과를 수신한 경우에, 단계(1510)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세션 매니져로 세션 상태 초기화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1511)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송신자 세션 상태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1512)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수신자 세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1513)에서, 세션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초기화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407)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중계 서버로 영상 종료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514)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종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515)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종료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516)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페이스로 종료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517)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세션 매니져로 영상 이력 저장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518)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영상 이력 저장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519)에서, 세션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저장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520)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단말기(110)로 종료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에 의해 영상 종료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종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6와 도 17을 동시에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601)에서, 셋톱 박스(140)는 영상 종료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1701)에서, 셋톱 박스(140)는 제1 인터페이스로 영상 종료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603)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영상 종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 상태를 조회할 수 있다. 단계(1702)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세션 매니져로 영상 상태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1703)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영상 상태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1704)에서, 세션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조회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705)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영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1706)에서, 영상 상태가 종료되기에 부적합한 경우, 제1 인터페이스는 셋톱 박스(140)로 잘못된 요청이라는 것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605)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조회 결과를 기초로 영상 종료 요청 신호를 중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1707)에서, 영상 상태가 종료되기에 적합한 경우,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영상 시청 종료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단계(1708)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영상 정리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1709)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페이스로 종료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607)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세션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단계(1710)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세션 매니져로 수신자 세션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711)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수신자 세션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712)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세션 매니져로 영상 이력 저장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1713)에서, 세션 매니져는 DB 매니져로 영상 이력 저장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1714)에서, 세션 매니져는 제1 인터페이스로 저장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609)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중계 서버로 단말기에 대한 영상 종료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715)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로 종료 푸쉬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716)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서버(130)로 종료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717)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페이스로 푸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718)에서, 중계 서버(130)는 단말기(110)로 푸쉬 전송을 전달할 수 있다. 단계(1719)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셋톱 박스(140)로 종료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720)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단말기(110)로 영상 종료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801) 및 메모리(180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20)는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셋톱 박스(14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1)는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1)는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셋톱박스의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셋톱 박스가 가입된 경우, 프로세서(1801)는 중계 서버로 전송될 영상의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1)는 페어링에 사용될 세션의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1)는 중계 서버로 셋톱 박스에 대한 페어링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20)는 셋톱 박스(140)로부터 수신한 페어링 요청 신호를 단말기(11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1)는 셋톱 박스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1)는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기를 조회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1)는 중계 서버로 전송될 영상의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1)는 페어링에 사용될 세션의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1)는 중계 서버로 단말기에 대한 페어링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단말기
120: 서비스 서버
130: 중계 서버
140: 셋톱 박스

Claims (25)

  1. 단말기에 의해, 페어링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셋톱박스의 상기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셋톱 박스가 가입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중계 서버로 전송될 영상의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페어링에 사용될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셋톱 박스에 대한 페어링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셋톱 박스의 가상 번호의 조회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준비 요청 신호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셋톱 박스의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에 의해, 상기 셋톱 박스로 상기 페어링의 푸쉬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 방법.
  6. 단말기에 의해, 페어링 취소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기와 셋톱 박스 간의 페어링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이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중계 서버로 페어링되는 영상의 취소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페어링에 사용되는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셋톱 박스에 대한 페어링 취소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취소 요청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셋톱 박스의 세션을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취소 요청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에 의해, 상기 셋톱 박스로 상기 페어링 취소의 푸쉬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취소 요청 방법.
  9. 셋톱 박스에 의해, 단말기의 페어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페어링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가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중계 서버로 상기 단말기에 대한 페어링 응답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응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기로 상기 페어링 응답의 푸쉬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응답 방법.
  11. 셋톱 박스에 의해, 페어링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기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중계 서버로 전송될 영상의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페어링에 사용될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단말기에 대한 페어링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기를 조회한 후에,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대체 세션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단말기에 대한 페어링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에,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단말기에 대한 상기 서비스의 프로그램의 설치 안내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준비 요청 신호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는,
    영상 요청 세션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에 의해, 상기 셋톱 박스로 상기 페어링의 푸쉬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 방법.
  17. 단말기에 의해, 셋톱 박스의 페어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셋톱 박스의 페어링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가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중계 서버로 상기 셋톱 박스에 대한 페어링 응답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응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기로 상기 페어링 응답의 푸쉬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응답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셋톱 박스의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의 세션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응답 방법.
  20. 단말기에 의해,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영상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중계 서버로 영상 제어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세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제어 요청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 요청 신호는, 시작 요청 신호, 중지 요청 신호 또는 재시작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제어 요청 방법.
  22. 단말기에 의해, 영상 종료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영상 종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세션 상태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조회 결과를 기초로 영상이 제어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세션 상태를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중계 서버로 영상 종료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종료 방법.
  23. 셋톱 박스에 의해, 영상 종료 요청 신호를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영상 종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 상태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조회 결과를 기초로 영상 종료 요청 신호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세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중계 서버로 단말기에 대한 영상 종료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 방법.
  24.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셋톱박스의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셋톱 박스가 가입된 경우, 중계 서버로 전송될 영상의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페어링에 사용될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셋톱 박스에 대한 페어링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25.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셋톱 박스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기를 조회하고,
    중계 서버로 전송될 영상의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페어링에 사용될 세션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단말기에 대한 페어링의 푸쉬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KR1020190123795A 2019-10-07 2019-10-07 페어링 요청 방법 및 장치 KR102231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795A KR102231971B1 (ko) 2019-10-07 2019-10-07 페어링 요청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795A KR102231971B1 (ko) 2019-10-07 2019-10-07 페어링 요청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971B1 true KR102231971B1 (ko) 2021-03-24

Family

ID=7525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795A KR102231971B1 (ko) 2019-10-07 2019-10-07 페어링 요청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9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808A (ko) * 2012-10-15 2014-04-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ip 서비스 지원시스템, p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pip 서비스 지원방법
KR20170079237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케이티 미디어 재생 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페어링 하는 서버, 시스템 및 미디어 재생 장치
KR101800654B1 (ko) * 2017-03-29 2017-11-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고화질 영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그리고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80123863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ptv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방송 수신 단말과 이동 단말 간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18358A (ko) * 2017-08-14 2019-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한 컨텐츠를 이어서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컨텐츠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808A (ko) * 2012-10-15 2014-04-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ip 서비스 지원시스템, p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pip 서비스 지원방법
KR20170079237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케이티 미디어 재생 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페어링 하는 서버, 시스템 및 미디어 재생 장치
KR101800654B1 (ko) * 2017-03-29 2017-11-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고화질 영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그리고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80123863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ptv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방송 수신 단말과 이동 단말 간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18358A (ko) * 2017-08-14 2019-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한 컨텐츠를 이어서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컨텐츠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0234B2 (en) Connected-media end user experience using an overlay network
US107646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dia adaption
US10432982B2 (en) Adaptive bitrate streaming latency reduction
US8966547B2 (en) Seamless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cheme
US10114689B1 (en) Dynamic playlist generation
US9736541B1 (en) Pairing a set-top box and personal computing device using a visual code
US97493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content streaming
WO2017096851A1 (zh) 一种推送视频文件的方法、系统和服务器
US11943515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WO2015180446A1 (zh) 一种多设备联动服务中的连接通道维护系统及方法
KR20130099515A (ko)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KR102231971B1 (ko) 페어링 요청 방법 및 장치
KR102245105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 방송 연동형 서비스 시스템, 방송 연동형 서비스 클라이언트 장치, 트리거 컨텐츠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
WO2019141150A1 (zh) 跨平台内容控制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05847884B (zh) 一种控制电视用户使用电视的方法和装置
EP30894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video-on-demand quick switching among multiple screens
EP2790376B1 (en) Management of delivery multimedia components
CN114257835A (zh) 基于教育云平台的直播系统及其直播方法
US201102252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ansaction of iptv
KR20170111143A (ko) 네트워크 기반의 초다시점 디스플레이를 위한 단말 제어 방법
KR20130022521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40094705A (ko) 스마트 단말기간 정보 공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