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869B1 -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869B1
KR102231869B1 KR1020200008113A KR20200008113A KR102231869B1 KR 102231869 B1 KR102231869 B1 KR 102231869B1 KR 1020200008113 A KR1020200008113 A KR 1020200008113A KR 20200008113 A KR20200008113 A KR 20200008113A KR 102231869 B1 KR102231869 B1 KR 102231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ea
server
manager terminal
pers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훈
Original Assignee
윤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훈 filed Critical 윤상훈
Priority to KR1020200008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06K9/0010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G06T3/4015Demosaicing, e.g. colour filter array [CFA], Bayer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7Dynamic range modification
    • G06T5/9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82Detecting the live character of the finger, i.e. distinguishing from a fake or cadaver finger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300); 문서를 스캔하는 스캔장치(100); 및 스캔장치(100)에서 스캔된 스캔 이미지를 서버(300)에 업로드하는 관리자 단말(200); 을 포함하고,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온라인을 통하여 서비스 요청이 접수되면, 관리자 단말(200)의 스캔 이미지를 분석하여 지문, 주민번호,주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가 기재된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WEB BAS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THERE OF}
본 발명은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스마트기기 및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는 오늘날에도, 금융/통신/생활 등 각종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의 본인확인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수집-관리하는 관행이 유지되고 있다.
예를 들면, 문서들중에는 개인 정보, 특히 주민등록증이나 개인의 지문과 같은 정보가 날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인정보가 내부/외부 공격에 의해 유출 시, 그 피해 규모와 파급력도 향후 더 막대할 것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본인확인을 위한 신분증 사본 저장에 따른 지문정보 수집에 대한 제도 개선을 권고하고 있으며, 기존 지문정보 데이터 폐기 및 개인정보 마스킹 솔루션 도입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위와 같은 정책에 따라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영세 업자나 개인등은 비용이나 전문 인력 부족에 의해 정부 정책에 따른 개인정보를 위한 시스템을 실용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즉,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다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6288호(2017.07.04)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서에 포함된 지문을 추적하고 마스킹하여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인들이 모두가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서버와, 문서를 스캔하는 스캔장치 및 스캔장치에서 스캔된 스캔 이미지를 서버에 업로드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서버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온라인을 통하여 서비스 요청이 접수되면, 관리자 단말의 스캔 이미지를 분석하여 지문, 주민번호, 주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가 기재된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고, 서버 제어부는 스캔 이미지를 R, G, B 단색의 이미지 또는 흑백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의 채도를 조절하여 흑백의 도트 이미지로 변환시켜 다수의 도트가 밀집된 암영구역을 검출하여 설정된 면적 범위와 비교하여 일치되면 마스킹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별한 기술이나 시스템의 구축없이 다수의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하여 시스템에 접속하여 지문 추적 및 마스킹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S240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지문 이미지 변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지문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서비스 등록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서비스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서버(30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문서를 스캔하는 스캔장치(100)와, 스캔장치(100)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관리자 단말(200)과,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업로드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개인정보를 마스킹 처리하는 서버(300)를 포함한다.
스캔장치(100)는 문서를 스캔하여 관리자 단말(200)로 출력한다.
관리자 단말(200)은 스캔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스캔 이미지를 저장하고, 서버(300)에서 운영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스캔 이미지를 업로드 후 개인정보의 마스킹 처리를 요청한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200)은 서버(300)에 접속하여 진행결과를 확인 후 처리 완료된 스캔 이미지를 다운로드 한다. 또는 관리자 단말(200)은 서버(300)에 업로드된 원본 스캔 이미지를 요청함도 가능하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200)은 복수개로서 온라인을 통하여 서버(30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를 위하여 관리자 단말(200)은 서버(300)로부터 제공된 업로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서버(300)는 복수개의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접수하고, 각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업로드된 스캔 이미지에 포함된 개인정보(예를 들면, 지문, 주소, 주민번호 및/또는 사진)가 파악될 수 없도록 흑색 또는 기타 색상으로 덧씌우기 방식으로 마스킹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300)는 업로드 및 마스킹 처리된 문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320)와, 저장부(320)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를 분석하여 마스킹 처리하는 서버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저장부(320)는 관리자 단말(200)이 업로드한 스캔 이미지를 저장하는 업로드DB(321)와, 완료 이미지를 저장하는 처리DB(322)와, 분석 결과 및 처리 이력이 저장되는 기록DB(323)를 포함한다.
업로드DB(321)는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업로드된 스캔 이미지를 저장한다. 관리자 단말(200)은 서버 제어부(310)에 등록된 이후 서버(300)에서 배포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스캔 이미지를 업로드한다. 서버 제어부(310)는 업로드된 스캔 이미지를 관리자 단말(200)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업로드DB(321)에 저장한다.
처리DB(322)는 분석 및 마스킹 처리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즉, 서버(300)는 업로드DB(321)에 원본 이미지, 처리DB(322)에 마스킹 처리된 사본 이미지를 별도 저장한다.
업로드DB(321)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와, 처리DB(322)에 저장된 처리 이미지는 관리자 단말(200)에 의해 다운로드 및/또는 삭제가 가능하며, 관리자 단말(200)별로 저장부(320)의 사용 가능한 용량이 설정될 수 있다.
기록DB(323)는 관리자 단말(200)별로 서비스 요청된 스캔 이미지의 정보(업로드 날짜, 용량 및 숫자)와 처리 기록(마스킹된 수량 및 위치)이 포함된 이력정보가 저장된다. 아울러 이력정보는 각 관리자 단말(200)별로 서비스 요청된 스캔 이미지의 수량과, 날짜, 마스킹 처리된 이미지의 수량을 기간별 및/또는 문서별로 통계화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계화된 정보는 관리자 단말(200)에 기간별 또는 주기별, 서비스 종료시마다 제공될 수 있다. 통계화된 정보는 관리자들이 향후 문서 관리에 대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프로토콜을 확립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10)는 스캔 이미지를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모듈(311)과, 변환 된 이미지에서 암영구역을 추적하고, 추적된 암영구역의 면적을 확인하여 지문을 추적하는 추적 제어모듈(312)과, 추적된 영역에 마스킹 처리하는 마스킹 모듈(313)과, 관리자 단말(200)의 등록 및 서비스 요청을 접수하는 등록모듈(314)과, 서비스 처리 결과를 통계화하여 기록DB(323)에 저장하는 기록모듈(315)을 포함한다.
이미지 변환모듈(311)은 업로드DB(321)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예를 들면, 컬러 비트맵 이미지)에서 단색 또는 R, G, B 단색의 이미지 또는 흑백 이미지로 변환시킨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는 스캔 이미지에 포함된 컬러 지문이며, 도 6의 (b)는 변환된 흑백 비트맵 이미지, 도 6의 (c)는 채도 조절에 의해 도트(Dot)로 표현되는 암영 구역을 도시한 것이다.
즉, 이미지 변환모듈(311)은 컬러 이미지를 도 6의 (b)와 같은 R, G, B의 채도를 갖는 단색 또는 흑백의 비트맵 이미지로 변환시킨다.
추적 제어모듈(312)은 이미지 변환모듈(311)로부터 변환된 이미지에서 채도를 점차 조절하여 흑백의 도트(Dot) 이미지로 변환시켜 도 6의 (c)와 같이 일정 면적 내에서 도트(Dot)로 이루어진 영역을 추적한다.
예를 들면, 지문은, 도 6의 (b)를 참조하면, 구부러진 형상의 여러 선들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형상임에 따라 채도를 점차로 높이거나 낮게하면 도 6의 (c)와 같이 도트(Dot)들이 밀집된 영역으로 표현된다. 이때, 이미지 내의 문자는 채도가 변환됨에 따라 희미해지거나 상호 겹쳐지면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럭으로 표시된다. 또는 사진이나 도형 및 심볼의 경우에는 설정된 영역(지문의 면적) 보다 크거나 작은 암영 구역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추적 제어모듈(312)은 채도 조절에 의해 변환된 도트(Dot) 이미지에서 검출된 암영 구역의 면적과 설정된 면적 범위와 비교하여 일치되면 위치값을 생성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추적 제어모듈(312)은 암영구역을 특정하고, 특정된 암영 구역 내에서 벡터 이미지를 생성하여 가상의 지문을 생성하여 설정된 패턴과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지문 영역을 추적함도 가능하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지문은,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기문과 반기문, 쌍기문, 두형문, 호형문과 같은 다양한 패턴이 존재한다. 각 패턴들을 살펴보면, 지문의 골(b)은 중심점(a)을 기준으로 등간격의 호(c)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지문의 패턴을 설정하고, 추적된 암영구역 내에서 가상의 지문을 벡터 이미지로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추적 제어모듈(312)은 암영 구역내의 도트(Dot)들에 가상의 중심점(a)을 설정하고, 중심점(a)을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내의 도트(Dot)들을 선으로 연결된 벡터 이미지를 생성하고, 설정된 지문의 패턴(지문골 및/또는 등간격의 호(c))과 비교하여 지문을 추적한다.
그러므로 추적 제어모듈(312)은 암영구역의 면적으로 통하여 지문을 추적하거나, 암영구역 내에서 벡터 이미지를 구현하여 설정된 지문의 패턴과 비교하여 지문을 추적할 수 있다.
마스킹 모듈(313)은 추적 제어모듈(312)에서 추적된 지문이 포함된 영역을 마스킹처리하고, 마스킹 처리된 이미지를 처리DB(322)에 저장한다. 여기서 추적 제어모듈(312)은 추적된 지문이 포함된 영역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마스킹 영역을 설정한다. 따라서 마스킹모듈은 추적 제어모듈(312)에서 산출된 좌표값에 해당되는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고, 이를 처리DB(322)에 저장한다.
등록모듈(314)은 관리자 단말(200)과 서비스 요청된 스캔 이미지 및 스캔 이미지 그룹에 고유 식별정보를 부여하고, 업로드된 스캔 이미지를 임시폴더에 임시 저장 후 서비스 요청시 업로드DB(321)에 저장한다. 또한 등록모듈(314)은 마스킹 처리된 스캔 이미지를 처리DB(322)에 저장한다.
기록모듈(315)은 관리자 단말(200)별로 요청된 스캔 이미지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리스트는 서비스 요청한 관리자 단말(200)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스캔 이미지의 식별정보와, 수량, 처리 여부가 포함된다.
또한, 기록모듈(315)은 서비스 요청된 문서들의 처리 이력 및 결과가 포함된 기록을 생성하여 기록DB(323)에 저장한다. 여기서 기록모듈(315)은 관리자 단말(200)별 기간별 또는 문서별로 통계치를 산출하여 이를 관리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통계치는 기간별로 서비스 요청된 문서 수량과 문서별 또는 기간내 전체 문서의 지문의 포함 횟수나 비율(%)을 수치 및 그래프로 표시하며, 이는 관리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관리자 단말(200)에서 서버(300)에 이미지를 업로드하여 지문검출을 요청하는 관리자 단말(200)의 구동 단계와, 서버(300)에서 업로드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지문을 추적 및 마스킹 처리하는 서버(300)의 구동 단계를 포함한다.
이중 관리자 단말(200)의 구동단계는 관리자 단말(200)에서 서버(300)에 관리자 등록을 요청하는 S110 단계와, 서버(300)의 등록 이후에 문서의 스캔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S120 단계와, 이미지 업로드 이후에 지문 검출을 요청하는 S130 단계와, 서버(300)에 지문검출 진행사항을 확인하는 S140 단계와, 지문검출 결과를 확인하는 S150 단계를 포함한다.
S110 단계는 관리자 단말(200)이 온라인을 통하여 서버(300)에 접속하여 관리자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관리자 단말(200)은 서버(300)에 접속하여 업로드 및 서비스 요청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관리자 등록을 요청한다. 또는 관리자 단말(200)은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없이 서버(300)에서 운영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관리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S120 단계는 관리자 단말(200)에서 스캔된 문서의 스캔 이미지를 서버(300)에 업로드 하는 단계이다. 관리자는 스캔 장치를 이용하여 대상 문서를 스캔하고, 스캔된 이미지를 서버(300)에 업로드한다.
S130 단계는 관리자 단말(200)에서 지문검출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200)은 이미지 업로드 이후에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관리자 단말(200)별 리스트를 통하여 업로드된 이미지를 확인하고, 해당 웹페이지를 통하여 지문검출을 요청한다.
S140 단계는 관리자 단말(200)에서 업로드된 이미지들의 지문 검출의 진행사항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관리자 단말(200)의 지문 검출 진행상황의 확인은 도 8과 같은 리스트를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즉,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200)별 지문검출 요청에 따른 진행상황여부를 도 8에 도시된 리스트를 통하여 진행중, 진행완료, 미착수와 같은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리스트를 통하여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S150 단계는 관리자 단말(200)에서 지문검출결과를 조회하는 단계이다. 관리자 단말(200)은 도 8의 리스트를 통하여 진행결과를 확인함과 동시에 각 문서별로 지문검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8의 리스트에는 결과 확인용 메뉴가 별도로 포함된다. 검출결과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문서의 지문 검출 횟수 및 결과와 위치, 관리자 단말(200)별 누적된 지문검출결과를 수치와 그래프로서 표시한다.
이와 같은 통계화된 자료는 관리자가 향후 문서 관리에서 지문의 포함 비율을 확인하고, 향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정책을 수립할 때, 기초 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서버(300)의 구동 단계는 관리자 단말(200)을 등록하는 S210 단계와,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스캔 이미지를 저장하는 S220 단계와, 관리자 단말(200)의 지문검출 요청을 수신 및 등록하는 S230 단계와, 지문을 검출하는 S240 단계와, 검출 결과를 저장 및 제공하는 S250 단계를 포함한다.
S210 단계는 서버(300)가 관리자 단말(200)을 등록 하는 단계이다. 관리자 단말(200)은 서버(300)로부터 관리자 등록 요청이 접수되면, 등록모듈(314)이 구동되어 해당 관리자 단말(200)에 고유 식별정보를 부여한다. 여기서 서버 제어부(310)의 등록모듈(314)은 저장부(320)에 관리자 단말(200)별로 저장 용량을 할당한다. 저장 용량은 업로드DB(321) 및 처리DB(322)(322)를 모두 포함하거나 업로드DB(321)로만 한정할 수 있고, 관리자 단말(200)과의 협약(예를 들면, 금액)에 의해 차등 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기록모듈(315)은 관리자 단말(200)의 등록과 동시에 관리자 단말(200)의 식별정보에 따른 리스트를 생성한다.
S220 단계는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스캔 이미지가 업로드되면, 임시 폴더에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등록모듈(314)은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업로드된 이미지를 임시폴더에 임시 저장한다.
S230 단계는 서버(300)가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지문 검출 요청이 접수되면, 지문검출 요청을 등록하는 단계이다. 등록모듈(314)은 관리자 단말(200)의 지문검출 요청이 접수되면, 임시폴더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를 업로드DB(321) 로 저장하고, 해당 스캔 이미지 및/또는 이미지 그룹에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리스트(도 8 참조)에 관련 스캔 이미지의 식별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임시폴더는 관리자 단말(200)별로 생성되고, 업로드DB 에 할당된다. 등록모듈(314)은 관리자 단말(200)향후 지문 검출 요청이 접수되면 업로드DB(321)로 저장한다. 여기서 업로드DB(321)는 스캔 이미지의 원본 이미지에 해당된다.
S240 단계는 서버(300)의 지문 검출 단계이다. 여기서 서버 제어부(310)는 선택된 스캔 이미지 또는 다수개의 스캔 이미지가 그룹화된 이미지 그룹을 R, G, B의 채도를 갖는 단색 이미지로 변환 후 채도를 조절하여 도트 이미지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310)는 도트 이미지에서 다수의 도트(Dot)가 밀집된 영역을 형성하는 암영구역을 추적하여 지문의 영역을 특정하고, 마스킹 처리한다. 구체적인 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기록모듈(315)은 지문검출 결과를 기록하고, 마스킹 처리된 스캔 이미지를 처리DB(322)(322)에 저장한다. 즉, 본 발명은 원본 이미지와, 처리완료된 이미지를 모두 저장하고, 이는 관리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S250 단계는 서버(300)가 관리자 단말(200)에 진행결과 및 누적된 통계값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관리자 단말(200)의 서버(300)에 접속하여 도 8의 리스트에 표시된 요청건들 중 완료 표시된 항목을 선택하여 진행 결과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300)는 기록모듈(315)에 의해 생성된 지문검출 결과 및 누적된 통계값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치 및그래프로서 그 결과값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S24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240 단계는 업로드DB(321)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를 선택하는 S241 단계와, 선택된 스캔 이미지들을 변환시키는 S242 단계와, 변환된 이미지의 채도를 조절하여 암영구역을 검출하는 S243 단계와, 검출된 암영 구역의 면적과 설정된 암영구역의 면적을 비교하는 S244 단계와, 설정된 면적 이내의 암영구역에 마스킹 처리하는 S245 단계를 포함한다.
S241 단계는 서버 제어부(310)가 업로드DB(321)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를 검색 및 출력하는 단계이다. 서버 제어부(310)의 이미지 변환모듈(311)은 관리자 단말(200)의 지문검출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관리자 단말(200)에서 요청된 스캔 이미지들을 검색한다.
S242 단계는 서버 제어부(310)가 선택된 스캔 이미지들을 변환시키는 단계이다. 이미지 변환모듈(311)은 선택된 스캔 이미지들을 R, G, B 의 채도를 갖는 단색 또는 흑백 이미지로 변환시킨다.
S243 단계는 변환된 이미지의 채도를 조절하여 암영구역을 검출하는 단계이다. 변환된 이미지는 채도의 차이에 의하여 밝기가 변화되면서 지문이나 심볼,도형, 문자들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들중 밝기가 낮은 영역은 사라지고 밝기가 높은 영역들이 도트로서 남게 된다. 즉, R, G, B의 채도를 갖는 이미지는 흑백의 도트 이미지로 변환된다. 따라서 서버 제어부(310)는 도트 이미지에서 다수의 도트가 밀집된 암영구역을 검출한다.
S244 단계는 서버 제어부(310)가 설정된 면적과, 검출된 암영구역의 면적을 비교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지문은 특정 면적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문의 면적 범위를 설정하고, 검출된 암영구역의 면적을 산출하여 비교한다.
S245 단계는 서버 제어부(310)가 설정된 면적과 산출된 암영 구역의 면적 중에서 상호 일치되는 영역을 마스킹하는 단계이다. 추적 제어모듈(312)은 S244 단계에서 산출된 암영구역의 좌표값을 산출하고, 마스킹 모듈(313)은 산출된 좌표값에 해당되는 영역을 마스킹 처리한다. 기록모듈(315)은 이와 같은 마스킹 처리 결과를 기록하고, 처리DB(322)에 마스킹 처리된 스캔 이미지를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업로드DB(321)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를 선택하는 S261 단계와, 선택된 스캔 이미지들을 변환시키는 S262 단계와, 변환된 이미지의 채도를 조절하여 암영구역을 검출하는 S263 단계와, 검출된 암영 구역의 면적과 설정된 암영구역의 면적을 비교하는 S264 단계와, 설정된 면적 이내의 암영구역에서 벡터 이미지를 생성하는 S265 단계와, 벡터 이미지로 생성된 가상의 지문과 설정된 패턴을 비교하는 S266 단계와, 설정된 패턴에 대비되는 영역에 마스킹 처리하는 S267 단계를 포함한다.
S261 단계는 서버 제어부(310)가 업로드DB(321)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를 검색 및 출력하는 단계이다. 서버 제어부(310)의 이미지 변환모듈(311)은 관리자 단말(200)의 지문검출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관리자 단말(200)에서 요청된 스캔 이미지들을 검색한다.
S262 단계는 서버 제어부(310)가 선택된 스캔 이미지들을 변환시키는 단계이다. 이미지 변환모듈(311)은 선택된 스캔 이미지들을 R, G, B 의 채도를 갖는 단색 또는 흑백 이미지로 변환시킨다.
S263 단계는 변환된 이미지의 채도를 조절하여 암영구역을 검출하는 단계이다. 서버 제어부(310)는 채도를 조절하여 도트 이미지로 변환하고, 다수의 도트가 밀집된 암영 구역을 검출한다.
S264 단계는 서버 제어부(310)가 설정된 면적과, 검출된 암영구역의 면적을 비교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지문은 특정 면적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문의 면적의 범위를 설정하여 S263 단계에서 검출된 암영구역의 면적을 산출하여 비교한다.
S265 단계는 서버 제어부(310)가 설정된 면적과 산출된 암영 구역의 면적 중에서 상호 일치되는 영역에 벡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벡터 이미지는 도트(Dot)로 구성되는 암영구역에 가상의 중심점(a)을 생성하고, 중심점(a)을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된 도트(Dot)들간을 선으로 연결하여 가상의 지문을 구현한다.
S266 단계는 서버 제어부(310)가 벡터 이미지에서 의해 구현된 가상의 지문과 설정된 지문의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패턴은 가상의 중심점(a)을 기준으로 등간격의 호(c)에 의해 지문 골(b)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추적 제어모듈(312)은 벡터 이미지가 설정된 패턴에 해당되는 지를 비교한다.
또는 추적 제어모듈(312)은 벡터 이미지에서 구현된 가상의 지문이 등간격을 이루는 호에 의해 지문의 골(b)이 형성되었는지를 비교한다. 이는 패턴과의 대비와 함께 동시에 고려될 수 있다. 즉, 설정된 패턴과 일치 여부와, 등간격의 호(c)에 의한 지문 골(b)이 형성될 경우가 모두 만족되면 지문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는 이중 어느 하나의 조건에만 충족될경우에 지문으로 판정함도 가능하다.
S267 단계는 서버 제어부(310)가 벡터 이미지와 설정된 패턴이 일치되는 영역에 마스킹 처리하는 단계이다. 추적 제어모듈(312)은 S266 단계에서 산출된 영역의 좌표값을 산출하고, 마스킹 모듈(313)은 산출된 좌표값에 해당되는 영역을 마스킹 처리한다. 기록모듈(315)은 마스킹 처리 결과를 리스트에 표시하고, 통계치를 누적하여 기록DB(323)에 저장한다. 또한 등록모듈(314)은 처리DB(322)에 마스킹 처리된 스캔 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캔 이미지의 텍스트 레이어와 이미지 레이어를 분할하여 지문 외에도 주소와 주민번호와 같은 개인정보를 삭제 또는 마스킹 처리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포함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모두 적용가능하며, 이중 검출된 암영구역의 면적을 산출하여 설정된 면적과 비교하여 마스킹 처리하는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300)는 업로드 및 마스킹 처리된 문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320)와, 저장부(320)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를 분석하여 주소와 주민번호 및 지문을 삭제 또는 마스킹 처리하는 서버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저장부(320)는 관리자 단말(200)이 업로드한 스캔 이미지를 저장하는 업로드DB(321)와, 완료 이미지를 저장하는 처리DB(322)와, 분석 결과 및 처리 이력이 저장되는 기록DB(323)를 포함한다.
서버 제어부(310)는 이미지 변환모듈(311)과, 추적 제어모듈(312)과, 마스킹 모듈(313)과, 등록모듈(314)과, 기록모듈(315)과, 스캔 이미지를 텍스트 레이어와 이미지 레이어로 분리하는 레이어 분리모듈(316)을 포함한다.
여기서 레이어 분리모듈(316)은 업로드DB(321)에서 선택된 스캔 이미지에서 텍스트 레이어르 별도 분리하여 배경이 투명한 투명시트 이미지를 생성한다. 즉, 레이어 분리모듈(316)은 텍스트만 포함된 투명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미지 변환모듈(311)은 이미지 레이어를 R, G, B 채도를 갖는 단색 이미지로 변환시킨다.
추적 제어모듈(312)은 텍스트 레이어 에서 설정된 주소 및 주민번호의 패턴과 일치되는 숫자와 문자의 배열 영역을 추적하여 삭제 영역을 지정한다. 또한 추적 제어모듈(312)은 이미지 변환모듈(311)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의 채도를 조절하여 흑백 도트 이미지로 변환시켜 암영구역을 검출한다. 그리고 추적 제어모듈(312)은 검출된 암영 구역의 면적을 산출하여 설정된 면적에 포함되는 영역을 암영구역으로 검출하고, 위치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추적 제어모듈(312)은 주소의 패턴과 주민번호의 패턴을 설정한다. 주소 패턴은. 예를 들면, 지명(서울 특별시, 전라북도, 경기도)과 숫자(135번지, 108동 1104호)가 조합된 배열 구조로 설정되고, 주민번호 패턴은 총 13개의 숫자가 배열되되 7번째 숫자가 1 또는 2로 표시된 숫자들로 설정된다. 따라서 추적 제어모듈(312)은 텍스트 레이어에서 위와 같은 지명과 숫자가 포함된 문장과, 총 13개의 숫자 중 7번째 숫자가 1 또는 2로 기재된 숫자들을 주민번호로 감지한다.
마스킹 모듈(313)은 추적 제어모듈(312)에서 산출된 위치값(주소 및 주민번호와, 암영구역의 위치정보)에 따른 영역을 마스킹 또는 삭제한다.
등록모듈(314) 및 기록모듈(315)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업로드DB(321)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를 선택하는 S271 단계와, 선택된 스캔 이미지에서 텍스트 레이어와 이미지 레이어로 분리하는 S272 단계와, 텍스트 레이어에서 주소 및 주민번호를 검출하는 S273 단계와, 이미지 레이어를 R, G, B 단색의 이미지로 변환하는 S274 단계와, 변환된 이미지의 채도를 조절하여 암영구역을 검출하는 S275 단계와, 검출된 암영 구역의 면적과 설정된 암영구역의 면적을 비교하는 S276 단계와, 설정된 면적 이내의 암영구역에 마스킹 처리하는 S277 단계를 포함한다.
S271 단계는 서버 제어부(310)가 업로드DB(321)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를 검색 및 출력하는 단계이다.
S272 단계는 서버 제어부(310)가 선택된 스캔 이미지에서 텍스트 레이어를 분리하여 가상의 투명 시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즉, 텍스트 레이어는 투명 배경을 갖는 이미지로서 텍스트만 별도 분리된 이미지이다.
S273 단계는 서버 제어부(310)가 텍스트 레이어에서 주소 및 주민번호 패턴에 일치되는 문장들의 위치값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추적 제어모듈(312)은 설정된 주소 패턴과 주민번호 패턴에 일치되는 텍스트를 검색 및 검출하여, 그 위치값을 생성한다.
S274 단계는 선택된 스캔 이미지들을 변환시키는 단계이다. 이미지 변환모듈(311)은 선택된 스캔 이미지들을 R, G, B 의 채도를 갖는 단색 또는 흑백 이미지로 변환시킨다.
S275 단계는 변환된 이미지의 채도를 조절하여 암영구역을 검출하는 단계이다. 변환된 이미지는 채도의 차이에 의하여 밝기가 변화되면서 지문이나 심볼,도형, 문자들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들중 밝기가 낮은 영역은 사라지고 밝기가 높은 영역들만 남게 된다. 즉, 추적 제어모듈(312)은 변환된 R, G, B 단색 이미지의 채도를 변환시켜 흑백의 도트 이미지로 변환시킨 후 다수개의 도트(Dot)들이 모인 영역들을 검출한다.
S276 단계는 서버 제어부(310)가 설정된 면적과, 검출된 암영구역의 면적을 비교하는 단계이다. 추적 제어모듈(312)은 면적이 일치되면, 해당 영역의 위치값을 생성한다.
S277 단계는 서버 제어부(310)가 S273 단계 및/또는 S276 단계에서 산출된 위치값에 해당되는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는 단계이다. 마스킹 모듈(313)은 추적 제어모듈(312)에서 산출된 위치값에 해당되는 영역을 마스킹 철리한다. 기록모듈(315)은 위와 같은 처리 결과와. 해당 관리자 단말(200)의 처리 기록을 누적하여 통계치를 산출하여 기록DB(323)에 저장한다. 아울러 등록모듈(314)은 위와 같은 처리 결과가 포함되도록 해당 관리자 단말(200)의 리스트를 갱신한다. 바람직하게로는 서버(300)는 문자 또는 메일 송신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 처리 결과를 관리자 단말(200)에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함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서비스에 등록하여 개인의 문서에 포함된 지문의 포함 여부 및 마스킹 처리를 의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웹 기반의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일반인들에게 접근성이 용이함에 따라 범용적으로 실용화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 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스캔장치 200 : 관리자 단말
300 : 서버 310 : 서버 제어부
311 : 이미지 변환모듈 312 : 추적 제어모듈
313 : 마스킹 모듈 314 : 등록모듈
315 : 기록모듈 316 : 레이어 분리모듈
320 : 저장부 321 : 업로드DB
322 : 처리DB 323 : 기록DB

Claims (12)

  1. 서버(300);
    문서를 스캔하는 스캔장치(100); 및
    스캔장치(100)에서 스캔된 스캔 이미지를 서버(300)에 업로드하는 관리자 단말(200); 을 포함하고,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온라인을 통하여 서비스 요청이 접수되면, 관리자 단말(200)의 스캔 이미지를 분석하여 지문, 주민번호, 주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가 기재된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는 서버 제어부(310);를 포함하고,
    서버 제어부(310)은
    스캔 이미지를 R, G, B 단색의 이미지 또는 흑백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의 채도를 조절하여 흑백의 도트 이미지로 변환시켜 다수의 도트가 밀집된 암영구역을 검출하여 설정된 면적 범위와 비교하여 일치되면 마스킹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버(300)는
    업로드된 스캔 이미지와 마스킹 및 처리 완료된 이미지가 별도 저장되는 저장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버 제어부(310)는
    암영 구역에 가상의 중심점(a)을 설정하고, 가상의 중심점(a)에서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된 도트들간에 선으로 연결되는 가상의 벡터 이미지를 생성하여 설정된 지문 패턴과 일치되면 마스킹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서버 제어부(310)는
    벡터 이미지에서 등간격을 이루는 호로서 이루어지는 지문골이 생성되면, 해당 암영구역을 마스킹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버 제어부(310)는
    스캔 이미지에서 텍스트 레이어를 분리하고, 텍스트만 표시되는 투명시트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투명시트 이미지에서 설정된 주소와 주민번호 패턴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숫자와 문자의 배열이 포함되는 문장을 검색하여 마스킹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200)별로 스캔 이미지의 업로드 가능한 용량을 차등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9. 삭제
  10. 다수개의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문서의 스캔 이미지를 수신하여 개인정보를 마스킹 처리하는 서버(300)의 구동 단계를 포함하고,
    서버(300)는
    a)온라인을 통하여 접속된 관리자 단말(200)을 등록하고,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업로드된 스캔 이미지를 업로드DB(321)에 저장하는 단계;
    b)관리자 단말(200)별 업로드된 스캔 이미지들의 목록과 처리 진행을 표시하는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c)관리자 단말(200)의 서비스 요청이 접수되면, 업로드DB(321)에 저장된 선택된 스캔 이미지를 도트 이미지로 변환 후 도트가 밀집된 설정된 면적의 암영구역을 산출하여 마스킹 처리 후 처리DB(322)에 저장하는 단계; 및
    d)관리자 단말(200)별로 리스트에 진행결과를 표시 또는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c)단계는,
    c-1)업로드DB(321)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c-2)선택된 스캔 이미지들을 R, G, B 단색 이미지로 변환시키는 단계;
    c-3)단색 이미지의 채도를 조절하여 흑백의 도트 이미지로 변환하고, 다수의 도트(Dot))가 밀집된 암영구역을 검출하는 단계;
    c-4)검출된 암영구역의 면적과 설정된 면적 범위를 비교하는 단계; 및
    c-5)설정된 면적 범위 이내에 속한 암영구역을 마스킹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11. 다수개의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문서의 스캔 이미지를 수신하여 개인정보를 마스킹 처리하는 서버(300)의 구동 단계를 포함하고,
    서버(300)는
    a)온라인을 통하여 접속된 관리자 단말(200)을 등록하고,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업로드된 스캔 이미지를 업로드DB(321)에 저장하는 단계;
    b)관리자 단말(200)별 업로드된 스캔 이미지들의 목록과 처리 진행을 표시하는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c)관리자 단말(200)의 서비스 요청이 접수되면, 업로드DB(321)에 저장된 선택된 스캔 이미지를 도트 이미지로 변환 후 도트가 밀집된 설정된 면적의 암영구역을 산출하여 마스킹 처리 후 처리DB(322)에 저장하는 단계; 및
    d)관리자 단말(200)별로 리스트에 진행결과를 표시 또는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c)단계는
    c-1)업로드DB(321)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c-2)선택된 스캔 이미지들을 R, G, B 단색 이미지로 변환시키는 단계;
    c-3)단색 이미지의 채도를 조절하여 흑백의 도트 이미지로 변환하고, 다수의 도트(Dot))가 밀집된 암영구역을 검출하는 단계;
    c-4)검출된 암영구역의 면적과 설정된 면적 범위를 비교하는 단계;
    c-5)설정된 면적 범위 이내에 속한 암영구역에 가상의 중심점(a)을 산출하고, 중심점(a)을 중심으로 형성된 도트들을 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벡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c-6)벡터 이미지와 등간격의 호(c)를 이루는 지문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및
    c-7)벡터 이미지가 지문 패턴에 해당되면, 해당 암영구역을 마스킹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c)단계는
    스캔 이미지에서 텍스트 레이어를 분리하고, 분리된 텍스트 레이어를 배경이 투명한 투명 시트 이미지로 변환하여 설정된 주소 패턴과 주민번호 패턴에 해당되는 문장을 검색하고, 해당 문장이 표시된 영역을 마스킹 또는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KR1020200008113A 2020-01-21 2020-01-21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1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113A KR102231869B1 (ko) 2020-01-21 2020-01-21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113A KR102231869B1 (ko) 2020-01-21 2020-01-21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869B1 true KR102231869B1 (ko) 2021-03-30

Family

ID=7526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113A KR102231869B1 (ko) 2020-01-21 2020-01-21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420A (ko) * 2021-09-01 2023-03-08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기업의 감사보고서를 기초로 공시용 요약보고서를 작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문서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5893A (ko) * 2005-12-05 2008-08-19 커먼웰쓰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오가니제이션 보안화 이미지 형성 방법
KR20090014132A (ko) * 2008-12-02 2009-02-06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휴대용 저장장치와 연계한 웹 스토리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166776A (ja) * 2010-02-09 2011-08-25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KR101756288B1 (ko) 2017-02-07 2017-07-10 윤상훈 문서 보안 시스템
KR20180065201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엘시테크 웹 기반 전자문서 생성 시스템, 시스템의 작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20190043314A (ko) * 2017-10-18 2019-04-26 (주)비케이에스엔피 문서 내에서의 지문 탐지 및 마스킹 방법
KR20190118825A (ko) * 2018-04-11 2019-10-2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5893A (ko) * 2005-12-05 2008-08-19 커먼웰쓰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오가니제이션 보안화 이미지 형성 방법
KR20090014132A (ko) * 2008-12-02 2009-02-06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휴대용 저장장치와 연계한 웹 스토리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166776A (ja) * 2010-02-09 2011-08-25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KR20180065201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엘시테크 웹 기반 전자문서 생성 시스템, 시스템의 작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1756288B1 (ko) 2017-02-07 2017-07-10 윤상훈 문서 보안 시스템
KR20190043314A (ko) * 2017-10-18 2019-04-26 (주)비케이에스엔피 문서 내에서의 지문 탐지 및 마스킹 방법
KR20190118825A (ko) * 2018-04-11 2019-10-2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420A (ko) * 2021-09-01 2023-03-08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기업의 감사보고서를 기초로 공시용 요약보고서를 작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문서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576825B1 (ko) * 2021-09-01 2023-09-11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기업의 감사보고서를 기초로 공시용 요약보고서를 작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문서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va An overview on image forensics
US107334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urately detecting, extracting and representing redacted text blocks in a document
CN107239713B (zh) 一种敏感内容数据信息防护方法和系统
CN111886842B (zh) 使用基于阈值的匹配进行远程用户身份验证
RU2251734C2 (ru)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ко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дирования и декодирования
CN108197453A (zh) 一种图像隐私保护方法及系统
JP2020504402A (ja) オブジェクト固有の画像ドメインにおけるデータ損失防止のための構造化テキスト及びパターン照合
Armas Vega et al. Copy-move forgery detection technique based on discrete cosine transform blocks features
US9177199B2 (en) Semantic magazine pages
CN113111369B (zh) 一种数据标注中的数据保护方法及系统
CN101183458A (zh) 图片验证码生成方法和图片验证码生成装置
Zhao et al. Source camera identification via low dimensional PRNU features
KR102089797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홈페이지 개인정보유출차단시스템
KR102231869B1 (ko)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9492B1 (ko) Ai 딥러닝을 이용한 개인정보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처리방법
US10867170B2 (en) System and method of identifying an image containing an identification document
CN110378886A (zh) 图像比对方法、图像比对装置、电子设备和介质
KR102185351B1 (ko) 도트 이미지를 이용한 지문인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7736B1 (ko)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서식 이미지 인식/비식별 처리 시스템 및 방법
You et al. Tampering detection and localization base on sample guidance and individual camera devic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eatures
KR102298911B1 (ko) 웹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방법
CN114417397A (zh) 行为画像的构建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US11120520B2 (en) Method for marking visuals of information for subsequent identification or authentication
CN114782955A (zh) 埋点处理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
Zeng et al. Exposing image splicing with inconsistent sensor noise lev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