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478B1 -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478B1
KR102231478B1 KR1020200146625A KR20200146625A KR102231478B1 KR 102231478 B1 KR102231478 B1 KR 102231478B1 KR 1020200146625 A KR1020200146625 A KR 1020200146625A KR 20200146625 A KR20200146625 A KR 20200146625A KR 102231478 B1 KR102231478 B1 KR 102231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support rod
coupling member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46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F03D9/43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using infrastructure primarily used for other purposes, e.g. masts for overhead railway power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은 배전선로의 전선을 교체하는 단계; 및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보호 시스템은, 배전선로(CV)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하되, 내피(11)와 외피(12) 및 상기 내피(11)와 외피(12) 사이에 형성된 방열공간(13)과, 상기 외피(12)에 관통 형성된 방열공(121)이 구비된 케이스(10)와,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결합하는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에는 각각 배전선로(CV)가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홈(33)이 형성된 결합부재(30)가 구비되며, 상기 전선 보호 시스템은, 상기 결합부재(30)의 상부에 구비되는 거치모듈부(110)와, 상기 거치모듈부(110)의 상부로 구비되며 발전된 전력을 상기 거치모듈부(110)로 공급하는 태양광모듈(120)과, 상기 태양광모듈(120)의 상부로 구비되며 발전된 전력을 상기 거치모듈부(110)로 공급하는 풍력발전모듈(130)이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ELECTRIC WIRE PROTECTION APPARATUS OF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과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된 전력을 이용하고, 다수 조류에 의하여 배전선로가 늘어지는 장애 발생의 경우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빠르게 전달하며, 케이블 교체를 최소화하고 케이블 보호수단을 효과적으로 설치하는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신주에 연결 설치된 가공 배전선로에는 조류들이 둥지를 만드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인접 배전선로와 연결되어 누전 또는 단전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조류가 집단으로 가공 배전선로에 내려 앉아 휴식을 취하는 경우 배전선로가 심하게 늘어지면서 주행하는 차량에 걸리거나 인근을 지나는 사람 또는 가축이 감전되어 안전사고를 발생시키거나 누전 등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 전선의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984217호(2010. 09. 17.)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주에 설치되고 풍력과 태양광을 이용하여 자체 발전으로 생산된 전력을 기반으로 가공 배전선로에 조류가 앉지 못하도록 하는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조류들에 의하여 배전선로가 심하게 늘어지는 등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원격지에 위치한 해당 관리자에게 해당 장애 상태를 빠르게 전달하여 필요한 후속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케이블 전선의 교체를 최소화하거나, 케이블 전선 교체 이후 케이블 전선의 보호수단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은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으로서, 배전선로의 전선을 교체하는 단계; 및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보호 시스템은, 배전선로(CV)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하되, 내피(11)와 외피(12) 및 상기 내피(11)와 외피(12) 사이에 형성된 방열공간(13)과, 상기 외피(12)에 관통 형성된 방열공(121)이 구비된 케이스(10)와,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결합하는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에는 각각 배전선로(CV)가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홈(33)이 형성된 결합부재(30)와, 상기 전선 보호 시스템은, 상기 결합부재(30)의 상부에 구비되는 거치모듈부(110)와, 상기 거치모듈부(110)의 상부로 구비되며 발전된 전력을 상기 거치모듈부(110)로 공급하는 태양광모듈(120)과, 상기 태양광모듈(120)의 상부로 구비되며 발전된 전력을 상기 거치모듈부(110로 공급하는 풍력발전모듈(130)이 구비되며, 상기 거치모듈부(110)는, 일측으로 전후 구동되는 제1 가변체(140)와, 상기 제1 가변체(1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제1 에어분사부(141)와, 상기 제1 가변체(140)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배전선로(CV)의 상태를 이격거리 감지방식으로 모니터링하는 제1 감지부(142)가 구비되는 제1 구동모듈과, 타측으로 전후 구동되는 제2 가변체(150)와, 상기 제2 가변체(15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제2 에어분사부(151)와, 상기 제2 가변체(150)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배전선로(CV)의 상태를 이격거리 감지방식으로 모니터링하는 제2 감지부(152)가 구비되는 제2 구동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전선 보호 시스템은, 상기 결합부재(3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부재(30)를 상부로 지탱하도록 보조하는 지지보조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보조유닛은, 일단이 제1 전신주에 볼팅되어 설치되는 소정 면적의 제1 받침봉(161)과, 상기 제1 받침봉(161)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이 제2 전신주에 볼팅되어 설치되는 소정 면적의 제2 받침봉(162)과, 상기 제1 받침봉(161)과 상기 제2 받침봉(162) 사이에 위치되는 기 설정된 면적을 가지는 제3 받침봉(163)과, 상기 제1 받침봉(161)과 상기 제3 받침봉(16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받침봉(161)과 상기 제3 받침봉(163)을 양측으로 수용하는 제1 수용모듈(164)과, 상기 제2 받침봉(162)과 상기 제3 받침봉(16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받침봉(162)과 상기 제3 받침봉(163)을 양측으로 수용하는 제2 수용모듈(165)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용모듈(164)은 상기 제1 받침봉(161)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고, 상기 제2 수용모듈(165)은 상기 제2 받침봉(162)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제1 받침봉(161), 상기 제2 받침봉(162) 및 상기 제3 받침봉(163) 사이에 긴장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3 받침봉(163)과 상기 결합부재(30)의 저면부 사이에는 승강모듈(M)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재(30)가 상기 제3 받침봉(163)의 상부로 지지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모듈(190)은, 상기 제3 받침봉(163)에 장착되는 제1 장착본체(191)와, 상기 제1 장착본체(191)의 상부로 승하강 이동되는 승강봉(192)과, 상기 승강봉(192)의 상부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재(30)의 저면부에 접촉하여 장착되는 제2 장착본체(193)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장착본체(193)의 상부로는 모터 회전 방식으로 회전되는 회전돌기(LT)가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돌기(LT)는 상기 결합부재(30)의 내부로 삽입된 이후, 일정한 힘으로 회전되어 상기 결합부재(30)의 저면부와 연동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제3 받침봉(163)의 저면부로는 하방이 지면에 삽입되며 상방이 상기 제3 받침봉(163)의 저면부로 강제끼움방식으로 삽입되는 제1 연결다리(170)가 구비되며, 하방이 지면에 삽입되며 상방이 상기 제3 받침봉(163)의 저면부로 강제끼움방식으로 삽입되는 제2 연결다리(18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연결다리(170)는 지면에 삽입되는 제1 하부연결다리(171)와 상기 제3 받침봉(163) 저면부로 삽입되는 제1 상부연결다리(172)와 상기 제1 하부연결다리(17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하부연결다리(171)를 상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1 높이조절부(17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연결다리(180)는 지면에 삽입되는 제2 하부연결다리(181)와 상기 제3 받침봉(163) 저면부로 삽입되는 제2 상부연결다리(182)와 상기 제2 하부연결다리(18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하부연결다리(181)를 상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 높이조절부(183)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주에 설치되고 풍력과 태양광을 이용하여 자체 발전으로 생산된 전력을 기반으로 가공 배전선로에 조류가 앉지 못하도록 하는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조류들에 의하여 배전선로가 심하게 늘어지는 등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원격지에 위치한 해당 관리자에게 해당 장애 상태를 빠르게 전달하여 필요한 후속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전선의 교체를 최소화하거나, 케이블 전선 교체 이후 케이블 전선의 보호수단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의 구성들 중 배전선로의 전선보호 케이스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케이스의 사용상태 단면을 개략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결합부재 및 수평조절부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을 구성하는 수평조절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선보호 케이스 장치(1)를 포함하는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로(CV)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와 배전선로(CV) 사이에 구비되어 배전선로(CV)로부터 발생한 열을 흡수하는 방열부재(20)와, 인접한 타 배전선로(CV)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30)와 상기 결합부재(30)에 구비되어 결합부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40) 및 상기 결합부재(30)에 구비되어 결합된 배전선로(CV)의 수평을 조절함과 동시에 이를 탄성지지하는 수평조절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배전선로(CV)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하되, 내피(11)와 외피(12) 및 상기 내피(11)와 외피(12) 사이에 형성된 방열공간(13)과, 상기 외피(12)에 관통 형성된 방열공(12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는, 내구성 및 단열성을 가진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12)는 상기 내피(11)를 감싸며 배치되되 내피(11)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됨으로써 방열공간(13)을 형성하며,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방열공(121)이 구비된다. [0031] 상기 방열공(121)은 외피(12)의 외측과 상기 방열공간(13)을 연통시키는 것으로, 방열공간(13)으로부터 이송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며 동시에 외부의 공기를 방열공간(13)으로 유입시켜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방열공간(13)은 내피(11)와 외피(12)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써 배전선로(CV)로부터 발생한 열을 상기 방열공(121)을 통해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외부로부터의 습기 및 이물질이 내피(11)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열부재(20)가 배치된다. 상기 방열부재(20)는, 상기 방열공간(13)에 배치되어 배전선로(CV)로부터 발생한 열은 외부로 방출하되 외부로부터의 습기 및 이물질이 내피(11)측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열전도성시트로 구성된 제1방열층(21)과, 상기 제1방열층(21)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내피(11)와 접착하는 접착성필름(22)과, 상기 제1방열층(21)의 일면에 구비되되 제2방열층(23)과, 상기 제2방열층(23)과 외피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방수필름(24)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방열층(21)은, 금속 망상체(메쉬체)에 발포흑연을 겹치고 압연하여 제조한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우수한 열전도성이 있고 그라파이트의 층간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방열층(23)은, 열전도도의 이방성이 우수한 흑연, 보다 구체적으로 팽창 흑연 시트를 사용하여 형성한 것으로, 여기서 팽창 흑연 시트의 밀도는, 열전도성, 가요성 등을 고려할 때 0.5 ~ 2.5 g/㎤, 바람직하게는 1.0~ 2.0 g/㎤인 것이 좋다. 만일,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가요성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 미만이면 열 전도성이나 시트 강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팽창 흑연은 공지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흑연 등의 흑연을 질산, 황산 등의 산 용액에 분산시킨 후 과산화수소나 과염소산 등의 산화제를 첨가하거나 전기분해 산화처리를 하는 것에 의해 질산, 황산 분자를 흑연층 내에 삽입시키고 수세 및 건조를 한 후, 고온에서 흑연층 내에 삽입된 층간 화합물을 급격하게 가스화시켜 팽창 흑연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팽창 흑연’은 흑연을 팽창시켜 시트로 제조하기 전의 상태를 의미하며, ‘팽창 흑연 시트’는 상기 팽창 흑연을 압연 등을 통해 시트 형태로 제조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방수필름(24)은, 외부로부터의 습기 및 이물질의 내부 유입은 차단하면서도 상기 제2방열층(23)을 통해 이송된 열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층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습기는 차단하면서도 통기는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방수필름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2370호를 통해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인접한 타 배전선로(CV)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배전선로(CV)는 시공시 필요한 위치로 분기되는데 상기 결합부재(30)가 배전선로(CV)의 분기부위에 배치되어 복수의 배전선로(CV)를 결합 고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부재(30)는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결합하는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에는 각각 배전선로(CV)가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홈(3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3)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33)은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가 결합된 후 배전선로(CV)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각각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링부재(40)는 배전선로(CV)의 외주면과 결합홈(33)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실링부재(40)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며 배전선로(CV)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하도록 링 형태로 이루어지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밀착편(4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밀착편(41)은 대칭되는 한 쌍의 면이 배전선로(CV)의 외주면과 결합홈(33)의 내주면에 각각 맞닿도록 배치되되 한 쌍의 면에 각각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된 반구형의 돌기(42)가 더 형성된다. 상기 돌기(42)는 인접한 한 쌍의 돌기(42) 사이에 외부로부터 유입된 습기 및 이물질을 일시 저장하는 임시저장공간(43)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습기 및 이물질이 결합부위의 내측 더 정확하게는 결합부재(3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습기에 의한 사고 발생 및 부식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30)에는 결합된 배전선로(CV)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부재(5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수평조절부재(50)는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가 결합시 내부에 삽입된 배전선로(CV)의 수평이 틀어짐으로써 결합 부위에 이격된 공간이 생기고 이로 인해 결합부재(30)의 수평도가 틀어짐으로써 화장실, 거실 바닥 등의 공사시 수평도를 재조절해야 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조절부재(50)는 상기 결합부재(30)의 결합홈(33)의 전방에 배치되며 배전선로(CV)가 안치되는 수평몸체(51)와, 상기 수평몸체(51)에 상호 이격된 위치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장력조절공(52)과, 일측이 개구된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장력조절공(52)에 양단이 각각 관통 삽입되는 판스프링(53)과, 상기 판스프링(53)의 양단부를 관통 결합하는 고정볼트(54) 및 상기 고정볼트(54)에 나사 결합하는 장력조절너트(55)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조절부재(50)의 동작 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배전선로(CV)는 수평몸체(51)에 안치되는데, 여기서 수평몸체(51)는 배전선로(CV)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부가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 바닥면에 닿을 시 수평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전선로(CV)와 닿는 내주면은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과 닿는 외면은 편평한 저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공(52)은 수평몸체(51)의 바닥면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판스프링(53)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며, 상기 판스프링(53)은 장력조절너트(55)를 회전시켜 고정볼트(54)의 헤드측으로 접근시키거나 이격시킴으로써 판스프링(53)의 양단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판스프링(53)의 장력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판스프링(53)과 맞닿은 배전선로(CV)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이를 탄성 지지한다.
즉, 판스프링(53)은 배전선로(CV)를 하방에서 탄성지지함과 동시에 배전선로(CV)의 수평도를 미세하게 조절할수 있어 수평각도가 틀어진 상태에서 배전선로(CV)가 배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바닥 공사시 수평도 조절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고, 나아가 결합부재(30)의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의 결합부위에 이격된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선로(CV)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하되, 내피(11)와 외피(12) 및 상기 내피(11)와 외피(12) 사이에 형성된 방열공간(13)과, 상기 외피(12)에 관통 형성된 방열공(121)이 구비된 케이스(10)와,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결합하는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에는 각각 배전선로(CV)가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홈(33)이 형성된 결합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 보호 시스템은, 상기 결합부재(30)의 상부에 구비되는 거치모듈부(110)와, 상기 거치모듈부(110)의 상부로 구비되며 발전된 전력을 상기 거치모듈부(110)로 공급하는 태양광모듈(120)과, 상기 태양광모듈(120)의 상부로 구비되며 발전된 전력을 상기 거치모듈부(110)로 공급하는 풍력발전모듈(1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모듈부(110)는, 일측으로 전후 구동되는 제1 가변체(140)와, 상기 제1 가변체(1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제1 에어분사부(141)와, 상기 제1 가변체(140)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배전선로(CV)의 상태를 이격거리 감지방식으로 모니터링하는 제1 감지부(142)가 구비되는 제1 구동모듈과, 타측으로 전후 구동되는 제2 가변체(150)와, 상기 제2 가변체(15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제2 에어분사부(151)와, 상기 제2 가변체(150)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배전선로(CV)의 상태를 이격거리 감지방식으로 모니터링하는 제2 감지부(152)가 구비되는 제2 구동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선 보호 시스템은, 상기 결합부재(3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부재(30)를 상부로 지탱하도록 보조하는 지지보조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보조유닛은, 일단이 제1 전신주에 볼팅되어 설치되는 소정 면적의 제1 받침봉(161)과, 상기 제1 받침봉(161)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이 제2 전신주에 볼팅되어 설치되는 소정 면적의 제2 받침봉(162)과, 상기 제1 받침봉(161)과 상기 제2 받침봉(162) 사이에 위치되는 기 설정된 면적을 가지는 제3 받침봉(163)과, 상기 제1 받침봉(161)과 상기 제3 받침봉(16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받침봉(161)과 상기 제3 받침봉(163)을 양측으로 수용하는 제1 수용모듈(164)과, 상기 제2 받침봉(162)과 상기 제3 받침봉(16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받침봉(162)과 상기 제3 받침봉(163)을 양측으로 수용하는 제2 수용모듈(16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모듈(164)은 상기 제1 받침봉(161)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고, 상기 제2 수용모듈(165)은 상기 제2 받침봉(162)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제1 받침봉(161), 상기 제2 받침봉(162) 및 상기 제3 받침봉(163) 사이에 긴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받침봉(163)과 상기 결합부재(30)의 저면부 사이에는 승강모듈(M)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재(30)가 상기 제3 받침봉(163)의 상부로 지지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모듈(190)은, 상기 제3 받침봉(163)에 장착되는 제1 장착본체(191)와, 상기 제1 장착본체(191)의 상부로 승하강 이동되는 승강봉(192)과, 상기 승강봉(192)의 상부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재(30)의 저면부에 접촉하여 장착되는 제2 장착본체(19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장착본체(193)의 상부로는 모터 회전 방식으로 회전되는 회전돌기(LT)가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돌기(LT)는 상기 결합부재(30)의 내부로 삽입된 이후, 일정한 힘으로 회전되어 상기 결합부재(30)의 저면부와 연동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 받침봉(163)의 저면부로는 하방이 지면에 삽입되며 상방이 상기 제3 받침봉(163)의 저면부로 강제끼움방식으로 삽입되는 제1 연결다리(170)가 구비되며, 하방이 지면에 삽입되며 상방이 상기 제3 받침봉(163)의 저면부로 강제끼움방식으로 삽입되는 제2 연결다리(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다리(170)는 지면에 삽입되는 제1 하부연결다리(171)와 상기 제3 받침봉(163) 저면부로 삽입되는 제1 상부연결다리(172)와 상기 제1 하부연결다리(17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하부연결다리(171)를 상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1 높이조절부(1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다리(180)는 지면에 삽입되는 제2 하부연결다리(181)와 상기 제3 받침봉(163) 저면부로 삽입되는 제2 상부연결다리(182)와 상기 제2 하부연결다리(18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하부연결다리(181)를 상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 높이조절부(183)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구동방식에 있어서 크기별 규격별 적합한 공기압식, 유압식, 전기식 등의 액츄에이터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회전의 경우에 모터기반 부재들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하는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은, 배전선로의 전선을 교체하는 단계; 및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보호 시스템은, 배전선로(CV)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하되, 내피(11)와 외피(12) 및 상기 내피(11)와 외피(12) 사이에 형성된 방열공간(13)과, 상기 외피(12)에 관통 형성된 방열공(121)이 구비된 케이스(10)와,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결합하는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에는 각각 배전선로(CV)가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홈(33)이 형성된 결합부재(30)가 구비되며, 상기 전선 보호 시스템은, 상기 결합부재(30)의 상부에 구비되는 거치모듈부(110)와, 상기 거치모듈부(110)의 상부로 구비되며 발전된 전력을 상기 거치모듈부(110)로 공급하는 태양광모듈(120)과, 상기 태양광모듈(120)의 상부로 구비되며 발전된 전력을 상기 거치모듈부(110)로 공급하는 풍력발전모듈(130)이 구비되는,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 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케이스 11: 내피
12: 외피 13: 방열공간
20: 방열부재 21: 제1방열층
22: 접착성필름 23: 제2방열층
24: 방수필름 30: 결합부재
31: 상부몸체 32: 하부몸체
33: 결합홈 40: 실링부재
41: 밀착편 42: 돌기
43: 임시저장공간 50: 수평조절부재
51: 수평몸체 52: 장력조절공
53: 판스프링 54: 고정볼트

Claims (1)

  1.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으로서,
    배전선로의 전선을 교체하는 단계; 및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보호 시스템은 배전선로(CV)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하되, 내피(11)와 외피(12) 및 상기 내피(11)와 외피(12) 사이에 형성된 방열공간(13)과, 상기 외피(12)에 관통 형성된 방열공(121)이 구비된 케이스(10)와,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결합하는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에는 각각 배전선로(CV)가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홈(33)이 형성된 결합부재(30)가 구비되며,
    상기 전선 보호 시스템은 상기 결합부재(30)의 상부에 구비되는 거치모듈부(110)와, 상기 거치모듈부(110)의 상부로 구비되며 발전된 전력을 상기 거치모듈부(110)로 공급하는 태양광모듈(120)과, 상기 태양광모듈(120)의 상부로 구비되며 발전된 전력을 상기 거치모듈부(110)로 공급하는 풍력발전모듈(130)이 구비되며,
    상기 거치모듈부(110)는 일측으로 전후 구동되는 제1 가변체(140)와, 상기 제1 가변체(1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제1 에어분사부(141)와, 상기 제1 가변체(140)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배전선로(CV)의 상태를 이격거리 감지방식으로 모니터링하는 제1 감지부(142)가 구비되는 제1 구동모듈과, 타측으로 전후 구동되는 제2 가변체(150)와, 상기 제2 가변체(15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제2 에어분사부(151)와, 상기 제2 가변체(150)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배전선로(CV)의 상태를 이격거리 감지방식으로 모니터링하는 제2 감지부(152)가 구비되는 제2 구동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전선 보호 시스템은 상기 결합부재(3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부재(30)를 상부로 지탱하도록 보조하는 지지보조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보조유닛은 일단이 제1 전신주에 볼팅되어 설치되는 소정 면적의 제1 받침봉(161)과, 상기 제1 받침봉(161)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이 제2 전신주에 볼팅되어 설치되는 소정 면적의 제2 받침봉(162)과, 상기 제1 받침봉(161)과 상기 제2 받침봉(162) 사이에 위치되는 기 설정된 면적을 가지는 제3 받침봉(163)과, 상기 제1 받침봉(161)과 상기 제3 받침봉(16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받침봉(161)과 상기 제3 받침봉(163)을 양측으로 수용하는 제1 수용모듈(164)과, 상기 제2 받침봉(162)과 상기 제3 받침봉(16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받침봉(162)과 상기 제3 받침봉(163)을 양측으로 수용하는 제2 수용모듈(165)이 구비되는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
KR1020200146625A 2020-11-05 2020-11-05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 KR102231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625A KR102231478B1 (ko) 2020-11-05 2020-11-05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625A KR102231478B1 (ko) 2020-11-05 2020-11-05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478B1 true KR102231478B1 (ko) 2021-03-24

Family

ID=7525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625A KR102231478B1 (ko) 2020-11-05 2020-11-05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556B1 (ko) * 2021-11-10 2022-04-29 주식회사 한강기술 도심지역 배전선로의 교체 시스템 제공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217B1 (ko) 2010-06-03 2010-09-28 백도현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KR101170022B1 (ko) * 2010-02-16 2012-08-01 주식회사 한성기건 압축공기를 이용한 조류 퇴치 장치
KR101605437B1 (ko) * 2015-12-29 2016-03-23 (주)세명이엔지 지중송전의 접속 브라킷
KR101626147B1 (ko) * 2016-03-15 2016-05-31 주식회사 해밀씨엠건축사사무소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KR20180022283A (ko) * 2016-08-24 2018-03-06 배인준 재생에너지와 센서를 이용한 조류퇴치장치
KR101876564B1 (ko) * 2018-04-11 2018-07-10 태양기술단(주)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보호 케이스 장치
KR20190030240A (ko) * 2017-09-13 2019-03-22 주식회사 신명전기 풍력 및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9138B1 (ko) * 2017-12-26 2019-04-15 염길동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 및 시스템
KR102175212B1 (ko) * 2020-07-24 2020-11-05 남부솔루션(주)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 클램프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022B1 (ko) * 2010-02-16 2012-08-01 주식회사 한성기건 압축공기를 이용한 조류 퇴치 장치
KR100984217B1 (ko) 2010-06-03 2010-09-28 백도현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KR101605437B1 (ko) * 2015-12-29 2016-03-23 (주)세명이엔지 지중송전의 접속 브라킷
KR101626147B1 (ko) * 2016-03-15 2016-05-31 주식회사 해밀씨엠건축사사무소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KR20180022283A (ko) * 2016-08-24 2018-03-06 배인준 재생에너지와 센서를 이용한 조류퇴치장치
KR20190030240A (ko) * 2017-09-13 2019-03-22 주식회사 신명전기 풍력 및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9138B1 (ko) * 2017-12-26 2019-04-15 염길동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 및 시스템
KR101876564B1 (ko) * 2018-04-11 2018-07-10 태양기술단(주)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보호 케이스 장치
KR102175212B1 (ko) * 2020-07-24 2020-11-05 남부솔루션(주)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556B1 (ko) * 2021-11-10 2022-04-29 주식회사 한강기술 도심지역 배전선로의 교체 시스템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658B1 (ko)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
US10950921B2 (en) Radio and power pole
ES2810154T3 (es) Sistema de protección contra sobretensiones para sistemas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KR102231478B1 (ko)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
WO2013033103A2 (en) Avian nesting diverter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20230248157A1 (en) Sleeping compartment with a sleeping region and an electrically conducting curtain
KR101028146B1 (ko) 송전변전 배전 피뢰기의 마운팅 브라켓 높이조절 장치
BR112016005448B1 (pt) Metodo e aparelho para montagem de ventoinha de torre de resfriamento para remoção a partir da parte interna da torre
PT1595076E (pt) Central de energia eólica com carris condutores
US20030188884A1 (en) Electrical bus duct system with heat-dissipating enclosure
CN210041295U (zh) 一种电缆分支箱
KR100667627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JP2015002243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214153236U (zh) 一种便于安装的线夹绝缘罩
CN211151252U (zh) 一种新型预装电气配电设备
CN219039945U (zh) 一种显示屏模组防护结构
CN220710845U (zh) 一种安全避雷装置
CN219659262U (zh) 可防火防雷的变电箱
CN210074571U (zh) 一种用于箱式变电站的散热结构
CN214506053U (zh) 一种电力塔杆用防雷装置
CN112310919B (zh) 一种架空电缆保护装置及其施工方法
CN214750619U (zh) 一种可进行湿度检测的电气设备安全失效监控装置
CN209861443U (zh) 一种具有散热功能的电气自动化控制柜
CN218734179U (zh) 光伏逆变器安装箱
CN215645767U (zh) 一种通风定位结构的高压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